KR20180124307A -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4307A
KR20180124307A KR1020170058594A KR20170058594A KR20180124307A KR 20180124307 A KR20180124307 A KR 20180124307A KR 1020170058594 A KR1020170058594 A KR 1020170058594A KR 20170058594 A KR20170058594 A KR 20170058594A KR 20180124307 A KR20180124307 A KR 20180124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energy
accident
incident event
safety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8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8337B1 (ko
Inventor
도윤미
이은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58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337B1/ko
Priority to US15/977,029 priority patent/US10782662B2/en
Publication of KR20180124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05B19/0428Safety,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39Energy management, use maximum of cheap power, keep peak load low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하나의 에너지원의 안전 사고와 서로 다른 에너지원이 연관되는 융합 안전 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분석하는 중앙 안전 관리 장치 및 에너지원의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고 사고 이벤트를 판단하여 보고하는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가 개시된다.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는 중앙 안전 관리 장치뿐만 아니라 다른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와 상호간의 직접적인 정보 교환을 통해 급격한 변화에도 신속한 안전 제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ENERGY SAFETY MANAGEMENT}
본 발명은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에너지원의 단독 안전 사고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에너지원이 연관되어 발생하는 융합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 생활에서 전기 에너지는 다른 형태의 에너지로 전환이 상대적으로 쉽기 때문에 현대 사회의 편리성을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전기는 전체 화재의 30%를 차지하는 중대한 요인으로서, 합선, 과부하, 접촉불량, 누전, 전기 스파크(spark) 등의 발화 원인으로 작용하여 전기화재를 일으킬 수 있다.
합선은 절연체가 파괴되거나 열화되면 발생하는 것으로, 합선으로 인한 단락 시 스파크가 발생하여 주위 인화성 물질이 발화된다. 또한, 과부하가 발생하면, 전선에 전류가 흐르면서 열이 발생하여, 순차적으로, 피복이 손상되고 아크(arc)가 발생하여 화재가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과부하는 주로 케이블 노후나 부하용량의 증가로 발생한다. 부하 용량의 증가는 열을 발생시키며, 과부화와 마찬가지의 과정을 따라 화재가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부하 용량의 증가는 문어발식 콘센트 사용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누전은 도체 이외의 곳에 전류가 흐르는 현상으로서, 전류 이동 경로에 가연성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누전은 절연체의 열화로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누전으로 인한 화재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절연저항에 대한 정기적 측정 및 보수가 필요하다. 또한, 전기 스파크는 스위치(switch)를 개폐할 때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기 스파크가 발화성 물질 닿으면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전기 화재의 70% 이상은 아크로 인해 발생한다. 현재 대부분 주택의 누전 차단기는 감전 사고 예방 기능만 포함되어 있을 뿐 전기 화재를 예방하는 기능은 없으며, 아크 차단기는 주로 분전반 위주로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는 개별 설비에 의한 차단이 필요하다.
전기 에너지는 화재 발생의 원인뿐만 아니라 폭발의 점화원으로도 작용할 수 있다. 폭발의 점화원이란 전기 설비와 가스 설비가 함께 설치된 경우 가스가 누출되어 가스 폭발 발생 시 그 원인으로서 전기의 스파크를 말한다.
특히, 공장 내부의 이러한 폭발 점화원 및 화재발생의 원인으로 전기가 17%에 달하는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가스 방폭을 위해 그 점화원인 전기 관리가 동반되어야 한다. 또한, 전기 재해가 발생한 경우 부가적인 가스 재해로 이어질 수 있어, 가스에 의한 2차 피해로 더 큰 재난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이에 대한 고려 없이 각각의 에너지원이 독립적으로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한편,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및 IoT(Internet of Things)의 기술 개발에 따라 안전 관리 분야에서도 이러한 기술을 접목하여 발전하고 있다. 종래의 센서 네트워크 및 IoT에서는, 일반적으로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상황을 판단하고 제어 명령을 통하여 액추에이터(actuator)로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상황을 대처하였으며, 이러한 데이터 수집, 분석, 판단 및 제어의 과정은 적합한 센싱에 따른 데이터의 전달, 데이터의 저장 및 상황 판단을 위한 분석이 필요하다.
다만, 대부분의 안전 사고는 급박하게 진행되므로, 상술한 일련의 과정이 안전 사고에 대처하기 부적절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안전 관리 분야에서는 이러한 급박한 사고에도 대처할 수 있는 관리 장치의 제어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중앙 안전 관리 장치와의 정보 교환 이전에 복수의 서로 다른 에너지원의 안전 관리 장치들 상호간의 직접적인 정보 교환을 통한 융합 안전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의 에너지원에 따른 안전 관리 정책 및 규제에 따라 운영 기준을 산정하고, 각 에너지원의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와 상기 운영 기준을 기초로 안전 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분석하는 중앙 안전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에너지원의 센싱 데이터 및 다른 에너지원의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를 기초로 사고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다른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로 송신하는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에너지원의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제1 사고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제1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를 다른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로 송신하고, 다른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로부터 제2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안전 관리 장치는, 각각의 에너지원에 따른 안전 관리 정책 및 규제를 수집하여 각 에너지원에 따른 운영 기준을 산정하는 안전 관리부, 서로 다른 에너지원을 관리하는 복수의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들로부터 각 에너지원의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와 운영 기준을 기초로 안전 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분석하는 사고전조예측부, 및 사고전조예측부의 분석 결과를 복수의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들에게 송신하는 안전 실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에너지원에 관련된 설비 정보, 설비 주변의 기상 환경 및 설비의 사고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여 사고전조예측부에게 제공하는 외부 연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는 에너지원에 대한 센싱 데이터 및 사고 이벤트의 발생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운영 기준은 에너지원에 대한 센싱 기준 및 에너지원에 대한 제어 기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영 기준은 에너지 안전 사고의 발생 판단의 기초가 되는 복수의 인자들 및 서로 다른 에너지원이 연관되는 융합 안전 사고의 발생 판단의 기초가 되는 복수의 인자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고전조예측부는 에너지원별 안전 사고의 유형에 따라 안전 사고를 대비할 수 있는 시간 및 안전 사고에 대처할 수 있는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안전 실행부는 사고전조예측부에서 산출한 시간을 복수의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들에게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는, 에너지원의 센서 장치로부터 수집한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사고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센싱부,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를 다른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로 송신하는 제어부, 및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를 중앙 안전 관리 장치로 송신하는 리포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는 사고 이벤트의 발생 여부 및 상기 센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는 다른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로부터 다른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의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센싱 데이터 및 다른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의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를 기초로 융합 사고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의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는 다른 에너지원의 센싱 데이터 및 다른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의 사고 이벤트의 발생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센싱부의 판단 결과를 기초로 제어 신호를 에너지원의 액추에이터(actuator)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안전 관리 방법은, 제1 에너지원에 대한 복수의 센서들의 제1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제1 사고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제1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를 제2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및 제2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로부터 제2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는 제1 센싱 데이터 및 제1 사고 이벤트의 발생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고 이벤트의 발생 여부에 따라 제어 신호를 액추에이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제1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를 중앙 안전 관리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는 제2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의 제2 사고 이벤트의 발생 여부 및 제2 센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 및 제2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를 기초로 융합 사고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융합 사고 이벤트의 발생 여부에 따라 제어 신호를 액추에이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융합 사고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중앙 안전 관리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에너지원에 따른 안전 관리 정책 및 규제에 따른 운영 기준에 따라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분석된 안전 사고의 발생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중앙 안전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안전 관리 장치로부터 안전 사고를 대비할 수 있는 시간 및 안전 사고에 대처할 수 있는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 안전 관리 장치와의 정보 교환 이전에 복수의 서로 다른 에너지원의 안전 관리 장치들 상호간의 직접적인 정보 교환이 이루어지므로, 급박한 안전 사고에 대한 신속히 대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에너지원 안전 관리 장치에서 신속한 대처를 수행한 후 중앙 안전 관리 장치에 보고하므로, 안전 관리의 시급성에 대처할 수 있는 선처리 후보고의 안전 관리 체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안전 관리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안전 관리 방법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안전 관리 방법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안전 관리 방법의 단계별 안전 제어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전조예측부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전조예측부의 사고전조모델로 센싱 데이터 값과 안전 조치로 사고 예방이 가능한 추정 시각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관리 시스템은 중앙 안전 관리 장치(10) 및 제1~제n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들(40-1, 40-2, ..., 40-n)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은 이들 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다. 여기서, n은 2이상의 자연수이며, 본 발명의 설명에서 n은 계속하여 동일한 의미를 나타내므로 이하 설명은 생략한다.
각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들(예를 들어, 40-1)은 자신을 제외한 나머지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들(40-2, 40-3, ..., 40-n)과 중앙 안전 관리 장치(1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들(40-1, 40-2, ..., 40-n)은 각 에너지원에 탑재되어 있는 센서들(20-1, 20-2, ..., 20-n) 및 각 에너지원의 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는 액추에이터(actuator, 30-1, 30-2, ..., 30-n)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에너지원은, 주거 지역, 상가 지역 및 산업 지역 등에서 시설 운용에 필요한 에너지원으로, 전기, 가스, 수도 열원 및 스마트 그리드 신재생 에너지 발전에 의한 에너지원(예를 들어, 직류 전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액추에이터(30-1, 30-2, ..., 30-n)는 전기 에너지에 의하여 동작할 수 있다.
중앙 안전 관리 장치(10)는 외부로부터 정책 및 규제에 관한 정보 또는 에너지원에 관한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각 에너지 관리 장치(40-1, 40-2, ..., 40-n)로부터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안전 사고를 분석 및 대응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2와 같이 후술하겠다.
각 에너지 관리 장치(40-1, 40-2, ..., 40-n)들은 각 에너지원에 탑재된 센서(20-1, 20-2, ..., 20-n)를 통해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각 에너지원의 액추에이터(30-1, 30-2, ..., 30-n)로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중앙 안전 관리 장치(10)로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3과 같이 후술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안전 관리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안전 관리 장치(10)는 안전 관리부(11), 외부 연동부(12), 사고전조예측부(13) 및 안전 실행부(14)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구성들은 공통 버스(common bus)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나, 연결 방식에 있어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안전 관리부(11)는 각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들(40-1, 40-2, ..., 40-n)이 관리하는 각 에너지원에 대한 안전 사고 발생을 판단할 수 있도록 안전 관리 정책 및 규제를 외부로부터 수집하여 운영 기준을 수립할 수 있다. 여기서, 운영 기준은 각 에너지원에 대한 센싱 기준 및 제어 기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에너지원에 대한 안전 사고의 발생 판단에 기초가 되는 복수의 인자들, 상기 복수의 인자들 각각의 임계치, 서로 다른 인자들간의 복합적인 관계 및 서로 다른 에너지원이 연관되는 융합 안전 사고의 발생 판단의 기초가 되는 또 다른 복수의 인자들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연동부(12)는 외부로부터 각 에너지원의 설비관련 데이터, 각 설비가 위치한 장소의 기상 데이터, 각 설비의 사용자 데이터, 각 설비의 사고 이력 등을 수집할 수 있으며, 각 에너지원별로 조건이 다를 수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수집하는 데이터는 각 에너지원별 요구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필요 시에는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빅데이터 엔진을 이용하여 안전 사고 발생 가능성을 분석할 수 있다.
사고전조예측부(13)는 각 에너지원별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40-1, 40-2, ..., 40-n)로부터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사고전조예측부(13)는 각 예너지원별로 독립적으로 존재하여, 각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40-1, 40-2, ..., 40-n)로부터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는 각 에너지원의 센서(20-1, 20-2, ..., 20-n)가 측정한 센싱 데이터 및 각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40-1, 40-2, ..., 40-n)가 판단한 에너지원의 사고 이벤트 발생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고전조예측부(13)는 수집한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를 기초로 안전 관리부(11)가 수립한 운영 기준에 따라 하나의 에너지원에 의한 단독 안전 사고의 발생 가능성과 서로 다른 에너지원이 연관되는 융합 안전 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사고전조예측부(13)는 안전 사고 유형에 따라 안전 사고에 대처할 수 있는 골든 타임(golden time) 또는 안전 사고에 대비할 수 있는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골든 타임 및 안전 사고에 대비할 수 있는 시간의 산출에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도 7과 같이 후술하겠다.
안전 실행부(14)는 사고전조예측부(13)의 분석 결과, 골든 타임 및 안전 사고에 대비할 수 있는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전 사고의 발생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각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40-1, 40-2, ..., 40-n)로 송신할 수 있고, 각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40-1, 40-2, ..., 40-n)는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액추에이터(actuator)를 구동함으로써 안전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전 실행부(14)는 안전 사고 발생에 대비하여 조치를 수행할 수 있으며, 여기서, 조치는 안전 사고와 관련된 에너지원의 차단 제어, 안전 관리 담당자 호출, 위급 상황 전파를 위한 경보 발령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안전 관리 방법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안전 관리 방법은 중앙 안전 관리 장치(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그 동작 주체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안전 관리 방법의 동작 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중앙 안전 관리 장치(10)는 안전 관리부(11)에 의해 정책 및 규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S310), 각 에너지원에 대한 운영 기준을 수립할 수 있고(S320), 외부 연동부(12)에 의해 외부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S330). 중앙 안전 관리 장치(10)는 각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들(40-1, 40-2, ..., 40-n)로부터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S340), 수신한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 운영 기준, 외부 데이터 등을 기초로 안전 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분석할 수 있다(S350). 중앙 안전 관리 장치(10)는 분석 후, 각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들(40-1, 40-2, ..., 40-n)로 안전 사고의 발생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S360), 안전 사고 발생에 대한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S37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는 센싱부(41), 제어부(42) 및 리포팅부(43)를 각각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구성들은 수행하는 역할에 의해 구분될 수 있으므로, 명칭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하 내용은 제1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40-1)에 대한 설명이며, 다른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들(40-2, 40-3, ..., 40-n)은 제1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40-1)과 동일한 구조로 동작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40-1)의 센싱부(41)는 제1 에너지원에 탑재된 제1 센서(20-1)에 의해 측정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중앙 안전 관리 장치(10)로부터 사전에 수신한 안전 사고의 발생 가능성에 대한 정보와 수집한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제1 에너지원의 사고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 데이터는, 예를 들어, 제1 에너지원이 전기 에너지인 경우, 누전 감지, 정전 감지, 과전류 발생 감지, 과부하 발생 감지, 아크(arc) 발생 감지, 연기 감지, 불꽃 감지 및 고온 감지 등과 같이 전기 안전 사고의 결정적 원인으로 알려지거나 영향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요소들에 대한 센서의 데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에너지원이 가스 에너지인 경우, 가스 누출 감지, 풍량 감지, 습도 감지, 연기 감지, 불꽃 감지 및 고온 감지 등과 같이 가스 안전 사고의 결정적 원인으로 알려지거나 영향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요소들에 대한 센서의 데이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안전 사고의 발생 가능성에 대한 정보는 이전에 사고 이벤트가 발생하여 각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가 중앙 안전 관리 장치(10)로 송신한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것으로, 사전 피드백 정보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센싱부(41)는 다른 에너지 안전 장치들(40-2, 40-3, ..., 40-n)으로부터 다른 에너지원의 사고 이벤트의 발생 여부 및 다른 에너지원의 센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다른 에너지원의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센싱부(41)는 수신한 다른 에너지원의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 제1 센서(20-1)에 의해 측정된 센싱 데이터 및 중앙 안전 관리 장치(10)로부터 사전에 수신한 안전 사고의 발생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융합 사고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42)는 센싱부(41)의 판단 결과 사고 이벤트 또는 융합 사고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1 에너지원의 액추에이터(30-1)로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다른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40-2, 40-3, ..., 40-n)로 사고 이벤트의 발생 여부 및 제1 센서에 의해 측정된 센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 또는 융합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40-1)의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를 수신한 제2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40-2)의 동작을 설명하지만, 후술하는 동작은 다른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들(40-3, 40-4, ..., 40-n)도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제2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40-2)의 센싱부(41)는 제1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40-1)의 제어부(42)가 송신한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 제2 에너지원의 센싱 데이터 및 중앙 안전 관리 장치(10)로부터 사전에 수신한 안전 사고의 발생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융합 사고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2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40-2)의 제어부(42)는 제2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40-2)의 센싱부(41)의 판단 결과 융합 사고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2 액추에이터로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다른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40-1, 40-3, 40-4, ..., 40-n)로 융합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리포팅부(43)는 제어부(42)가 제어 신호 및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융합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를 포함함)를 송신한 후, 중앙 안전 관리 장치(10)로 사고 이벤트의 발생 여부 및 센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고 이벤트 발생 관련 정보(융합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를 포함함)를 송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안전 관리 방법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안전 관리 방법은, 도 5를 참조하여, 예를 들어, 제1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40-1)의 동작 순서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40-1)는 중앙 안전 관리 장치(10)로부터 안전 사고의 발생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510). 제1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40-1)는 안전 사고의 발생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후, 제1 에너지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S520), 수신한 센싱 데이터 및 수신한 안전 사고의 발생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사고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30).
또한, 제1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40-1)는 다른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40-2, 40-3, ..., 40-n)로부터 사고 이벤트 발생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S540), 수신한 다른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40-2, 40-3, ..., 40-n)의 사고 이벤트 발생 관련 정보, 제1 에너지에 대한 센싱 데이터 및 수신한 안전 사고의 발생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융합 사고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50). 여기서, S520 단계와 S540 단계는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제1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40-1)는 사고 이벤트 또는 융합 사고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다른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40-2, 40-3, ..., 40-n)로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 또는 융합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S560), 제1 액추에이터(30-1)로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S570). 여기서, S560 단계와 S570 단계는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제1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40-1)는 제어 신호 및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융합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를 포함함)를 송신한 후, 중앙 안전 관리 장치(10)로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융합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를 포함함)를 송신할 수 있다(S58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안전 관리 방법의 단계별 안전 제어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안전 관리 방법은 3가지 단계의 안전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각 단계별로 안전 제어에 관여하는 구성이 다르고, 관여하는 구성에 따라 안전 제어가 수행되는 시간 및 안전 제어를 위한 분석의 기반이 다르다. 아래는 각 단계별 안전 제어가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제1 단계는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들(40-1, 40-2, ..., 40-n) 각각만으로 안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각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들(40-1, 40-2, ..., 40-n)의 센싱부(41)는 중앙 안전 관리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안전 사고의 발생 가능성에 대한 정보와 각 에너지원의 센싱 데이터를 비교하여 실시간으로 사고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안전 사고의 발생 가능성에 대한 정보는 센싱 데이터에 대한 문턱값(threshold value)을 포함할 수 있다. 문턱값이란 효과가 나타나는 경계치를 말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안전 사고가 발생하는 경계치에 해당할 수 있다. 각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들(40-1, 40-2, ..., 40-n)은 각 센서(20-1, 20-2, ..., 20-n)가 측정한 센싱 데이터와 문턱값을 비교하여 안전 사고를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센싱 데이터의 급속한 변화에 따라 안전 사고를 신속하게 판단하여 대처할 수 있다. 즉, 각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들(40-1, 40-2, ..., 40-n)은 센싱 데이터와 문턱값을 기반으로 안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2 단계는 제1 단계에 중앙 안전 관리 장치(10)의 사고전조예측부(13)가 더 포함되어 안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사고전조예측부(13)는 각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들(40-1, 40-2, ..., 40-n)로부터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 및 안전 관리부(11)가 수립한 운영 기준을 기반으로 안전 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고, 안전 사고 발생 시점을 예측하고 안전 사고에 대비할 수 있는 시간을 산출할 수 있고, 안전 사고에 대처할 수 있는 골든 타임(golden time)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안전 사고란 하나의 에너지원의 안전 사고 및 서로 다른 에너지원들이 연관되는 융합 안전 사고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고전조예측부(13)는 각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들(40-1, 40-2, ..., 40-n)의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와 안전 관리부(11)의 운영 기준을 통한 사고전조예측을 기반으로 안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제2 단계는 정보 수집, 분석 및 판단을 수행하므로 제1 단계보다 실시간성이 약하다.
제3 단계는 제2 단계에 중앙 안전 관리 장치(10)의 외부 연동부(12)가 더 포함되어 안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사조전조예측부(13)는 안전 사고의 발생 가능성 분석의 기초로 외부 연동부(13)의 외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데이터는 각 에너지원에 관련된 설비 정보, 상기 설비 주변의 기상 환경 및 상기 설비의 사고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연동부(13)는 필요 시 외부 데이터를 기반으로 빅데이터 엔진을 이용하여 안전 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단계는 내부 및 외부의 정보를 기반으로 안전 제어를 수행하므로, 제2 단계보다 실시간성이 약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전조예측부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전조예측부(13)는 각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들(40-1, 40-2, ..., 40-n)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안전 관리부(11)로부터 정책 및 규제에 따라 수립한 운영 기준을 수신하여, 안전 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고전조예측부(13)는 운영 기준을 통하여 에너지원이 연관되는 조건을 전달받을 수 있으며, 안전 사고 발생 시점을 예측하고 대비할 수 있는 시간 및 안전 사고에 대처할 수 있는 골든 타임(golden time)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안전 사고란 하나의 에너지원의 안전 사고 및 서로 다른 에너지원들이 연관되는 융합 안전 사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에너지원이 가스 에너지이고, 제2 에너지원이 전기 에너지라고 가정하자. 이 경우, 제1 에너지원의 센싱 데이터는 가스 누출 값 및 온도를 포함할 수 있고, 안전 사고는 가스 폭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조전조예측부(13)는 안전 사고의 발생 가능성으로서 가스 누출 값에 의한 폭발 하한계(lower explosive limit)에 도달하는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폭발 하한계는 폭발이 발생하는 최저의 가스 농도를 의미할 수 있으며, 운영 기준으로부터 가스와 전기 간의 폭발 하한계가 정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8과 같이 후술하겠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전조예측부의 사고전조모델로 센싱 데이터 값과 안전 조치로 사고 예방이 가능한 추정 시각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고전조예측부(13)는 안전 사고의 발생 가능성으로서 폭발 하한계에 도달하는 시간을 예측할 수 있으며, 예측한 도달 시간은 곧바로 안전 조치로 인해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시간에 해당할 수 있다. 도달 시간을 예측하는 것은 안전 사고의 모델 중 가스 누출 감지에 대한 모델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도 8의 A 및 B는 폭발 하한계에 대한 가스 누출을 기준으로 각각 0.5 및 0.75에 도달하는 추정 시간을 나타내고, C는 폭발 하한계에 도달하는 추정 시간을 나타낸다. 여기서, 가스 누출 감지에 대한 모델은 가스의 밀도 및 누출의 정도를 포함하는 가스의 특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사고전조예측부(13)는 안전 사고의 모델이 설정되면 A, B 및 C와 같은 시간을 예측하여 각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40-1, 40-2, ..., 40-n)로 송신할 수 있고, 안전 실행부(14)를 통해 안전 사고 발생에 대한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에너지원의 가스가 LPG 가스인 경우, 폭발이 발생하는 C 이전에 환풍을 통하여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LPG 가스의 안전 관리 장치로 안전 사고의 발생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송신할 수 있고, LPG 가스의 안전 관리 장치는 환풍을 수행하는 액추에이터로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다만, 환풍이 수행되지 않거나, 환풍의 수행으로 전기적 요인이 발생할 수 있는 경우에는 가스 밸브의 차단을 통해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밸브 차단을 수행하는 액추에이터로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안전 관리 방법의 동작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은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측면들은 장치의 문맥에서 설명되었으나, 그것은 상응하는 방법에 따른 설명 또한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블록 또는 장치는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특징에 상응한다. 유사하게, 방법의 문맥에서 설명된 측면들은 또한 상응하는 블록 또는 아이템 또는 상응하는 장치의 특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의 몇몇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 또는 전자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또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에서, 가장 중요한 방법 단계들의 하나 이상은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장치(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머블 게이트 어레이)가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필드 프로그머블 게이트 어레이는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법들은 어떤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중앙 안전 관리 장치 11: 안전 관리부
12: 외부 연동부 13: 사고전조예측부
14: 안전 실행부
20-1, 20-2, ..., 20-n: 제1~제n 센서
30-1, 30-2, ..., 30-n: 제1~제n 액추에이터
40-1, 40-2, ..., 40-n: 제1~제n 에너지 관리 장치
41: 센싱부 42: 제어부
43: 리포팅부

Claims (20)

  1. 각각의 에너지원에 따른 안전 관리 정책 및 규제를 수집하여 각 에너지원에 따른 운영 기준을 산정하는 안전 관리부;
    서로 다른 에너지원을 관리하는 복수의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들로부터 각 에너지원의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와 상기 운영 기준을 기초로 안전 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분석하는 사고전조예측부; 및
    상기 사고전조예측부의 분석 결과를 복수의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들에게 송신하는 안전 실행부를 포함하는, 중앙 안전 관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에너지원에 관련된 설비 정보, 상기 설비 주변의 기상 환경 및 상기 설비의 사고 이력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여 상기 사고전조예측부에게 제공하는 외부 연동부를 더 포함하는, 중앙 안전 관리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는,
    에너지원에 대한 센싱 데이터 및 사고 이벤트의 발생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중앙 안전 관리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영 기준은,
    에너지원에 대한 센싱 기준 및 에너지원에 대한 제어 기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중앙 안전 관리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영 기준은,
    에너지 안전 사고의 발생 판단의 기초가 되는 복수의 인자들 및 서로 다른 에너지원이 연관되는 융합 안전 사고의 발생 판단의 기초가 되는 복수의 인자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중앙 안전 관리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고전조예측부는,
    에너지원별 안전 사고의 유형에 따라 안전 사고를 대비할 수 있는 시간 및 안전 사고에 대처할 수 있는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는, 중앙 안전 관리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안전 실행부는,
    상기 사고전조예측부에서 산출한 시간을 복수의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들에게 송신하는, 중앙 안전 관리 장치.
  8. 에너지원의 센서 장치로부터 수집한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사고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센싱부;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를 다른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로 송신하는 제어부; 및
    상기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를 중앙 안전 관리 장치로 송신하는 리포팅부를 포함하는,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는,
    상기 사고 이벤트의 발생 여부 및 상기 센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다른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로부터 다른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의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센싱 데이터 및 상기 다른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의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를 기초로 융합 사고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다른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의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는,
    다른 에너지원의 센싱 데이터 및 다른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의 사고 이벤트의 발생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
  12. 청구항 8 또는 10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의 판단 결과를 기초로 제어 신호를 상기 에너지원의 액추에이터(actuator)로 송신하는,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
  13. 제1 에너지원에 대한 복수의 센서들의 제1 센싱 데이터를 기초로 제1 사고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제1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를 제2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로부터 제2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에너지 안전 관리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는,
    제1 센싱 데이터 및 제1 사고 이벤트의 발생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에너지 안전 관리 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사고 이벤트의 발생 여부에 따라 제어 신호를 액추에이터(actuator)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를 중앙 안전 관리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에너지 안전 관리 방법.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2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는,
    상기 제2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의 제2 사고 이벤트의 발생 여부 및 제2 센싱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에너지 안전 관리 방법.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 및 상기 제2 사고 이벤트 관련 정보를 기초로 융합 사고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에너지 안전 관리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융합 사고 이벤트의 발생 여부에 따라 제어 신호를 액추에이터(actuator)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융합 사고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중앙 안전 관리 장치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에너지 안전 관리 방법.
  19. 청구항 15 또는 18에 있어서,
    각각의 에너지원에 따른 안전 관리 정책 및 규제에 따른 운영 기준에 따라 수신한 정보를 기초로 분석된 안전 사고의 발생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상기 중앙 안전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에너지 안전 관리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중앙 안전 관리 장치로부터 안전 사고를 대비할 수 있는 시간 및 안전 사고에 대처할 수 있는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에너지 안전 관리 방법.
KR1020170058594A 2017-05-11 2017-05-11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028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594A KR102028337B1 (ko) 2017-05-11 2017-05-11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 및 방법
US15/977,029 US10782662B2 (en) 2017-05-11 2018-05-11 Apparatus and method for energy safety manag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594A KR102028337B1 (ko) 2017-05-11 2017-05-11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307A true KR20180124307A (ko) 2018-11-21
KR102028337B1 KR102028337B1 (ko) 2019-10-04

Family

ID=64096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8594A KR102028337B1 (ko) 2017-05-11 2017-05-11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782662B2 (ko)
KR (1) KR1020283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038B1 (ko) * 2020-10-20 2022-01-11 오동식 대상 작업의 위험성을 평가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작업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87413B2 (en) 2019-04-26 2023-10-17 Samsara Inc. Baseline event detection system
US11494921B2 (en) 2019-04-26 2022-11-08 Samsara Networks Inc. Machine-learned model based event detection
US11080568B2 (en) * 2019-04-26 2021-08-03 Samsara Inc. Object-model based event detection system
US10999374B2 (en) 2019-04-26 2021-05-04 Samsara Inc. Event detection system
CN111190943B (zh) * 2020-01-08 2024-04-30 中国石油天然气集团有限公司 一种事故事件致因的智能化分析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729B1 (ko) * 2012-03-06 2012-12-11 한국가스안전공사 지능형 위험전조 패턴 분석모델을 이용한 에너지 플랜트의 실시간 위험전조 예측방법 및 예측시스템
KR20150067923A (ko) * 2013-12-10 2015-06-19 케티파트너스 주식회사 안전관리 대상물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71819A (ko) * 2013-12-18 2015-06-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 데이터 처리를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33781B2 (en) * 2001-10-10 2007-06-19 Ochoa Optics Llc System and method for emergency notification content delivery
KR100755955B1 (ko) 2007-03-15 2007-09-06 주식회사 젤파워 수배전 설비 고장 진단 시스템
KR101127094B1 (ko) 2009-11-28 2012-03-23 한국전기안전공사 원격 전기안전 진단 시스템 및 장치
MX340207B (es) * 2012-03-15 2016-06-29 Bright Energy Storage Tech Llp Subconjunto de energía auxiliar y método de uso.
KR20160027389A (ko) 2014-08-29 2016-03-10 전자부품연구원 사물 인터넷 기술을 활용한 지능화된 가스 안전 관리 방법 및 장치
US10461347B2 (en) * 2015-07-06 2019-10-29 Bloom Energy Corporation Real-time monitoring and automated intervention platform for long term operability of fuel cells
CN105958480B (zh) * 2016-05-27 2018-07-06 清华大学 一种电-气耦合多能流系统联合静态安全分析方法
KR102608464B1 (ko) * 2016-10-05 2023-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729B1 (ko) * 2012-03-06 2012-12-11 한국가스안전공사 지능형 위험전조 패턴 분석모델을 이용한 에너지 플랜트의 실시간 위험전조 예측방법 및 예측시스템
KR20150067923A (ko) * 2013-12-10 2015-06-19 케티파트너스 주식회사 안전관리 대상물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71819A (ko) * 2013-12-18 2015-06-2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에너지 관리 시스템에서 데이터 처리를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038B1 (ko) * 2020-10-20 2022-01-11 오동식 대상 작업의 위험성을 평가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작업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82662B2 (en) 2020-09-22
US20180329381A1 (en) 2018-11-15
KR102028337B1 (ko) 2019-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4307A (ko) 에너지 안전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084784B1 (ko) 머신러닝기반 태양광발전운영 관리방법
CN107220775B (zh) 一种考虑信息系统作用的有源配电网多视角协同脆弱性评估方法
JP2018503344A (ja) 統合ハザード・リスク管理及び軽減システム
KR20180125658A (ko) 디지털sop 및 예측기반 빌딩통합운영시스템 및 방법
KR102228089B1 (ko) 화재 예측 및 차단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 시스템
CN109034424A (zh) 一种变电站设备维护管理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13726014B (zh) 基于断路器的用电监控方法及系统
CN112023300B (zh) 一种动力电池灭火系统及灭火方法
CN110515333B (zh) 一种智能物联端子箱、泛在电力物联网平台及其应用方法
CN114969876A (zh) 电气安全监测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09345151A (zh) 一种面向电力信息物理系统的变电站综合风险评估方法
CN109490715A (zh) 一种极端环境下的电力系统故障判别方法
KR102238764B1 (ko) 위해도 평가를 이용한 실시간 사고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75148B1 (ko) Ess 화재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Pal et al. Probabilistic study of undervoltage load shedding scheme to mitigate the impact of protection system hidden failures
CN117409526A (zh) 一种电气火灾极早期预警监测系统及灭火方法
KR102266752B1 (ko) 자기 반추 및 머신러닝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접속반 및 태양광 발전 접속반의 예측진단 방법
KR20170058840A (ko) 에너지 융합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28512B1 (ko) 머신러닝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설비의 고장 및 접속함 화재 감시기능과 원격제어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발전장치
CN113559442A (zh) 电动汽车充电桩火灾分区域智能防控方法及系统
CN114062911A (zh) 断路器状态监测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20150061251A (ko) Usn 기반의 실시간 화재관제 시스템
JP2014222980A (ja) 自立運転支援装置
Lin et al. Component Model of Grid Cyber Physical Systems Based on Finite Autom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