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3642A - 송풍식 자연 가습기 - Google Patents

송풍식 자연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3642A
KR20180123642A KR1020180124602A KR20180124602A KR20180123642A KR 20180123642 A KR20180123642 A KR 20180123642A KR 1020180124602 A KR1020180124602 A KR 1020180124602A KR 20180124602 A KR20180124602 A KR 20180124602A KR 20180123642 A KR20180123642 A KR 20180123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umidifier
filter
filter memb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4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0979B1 (ko
Inventor
황성민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엠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엠전자 filed Critical (주)에스엠전자
Priority to KR1020180124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979B1/ko
Publication of KR20180123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3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24F6/04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with self-sucking action, e.g. wi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식 자연 가습기 는 상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본체; 내부에 물을 흡수하는 필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부재의 내측에 상기 필터부재로 둘러 싸인 가습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에 저장된 물에 부유된 상태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본체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 승강 가능한 가습체; 및 상기 가습체에 설치되어 상기 가습공간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가습공간과 외부공간 간의 공기의 흐름을 제어 가능한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가습체는, 상기 본체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본체로부터 출몰 가능하고,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된 정도를 통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시인 가능하다.
물이 수용되는 본체의 내부에 수위에 따라 승강 가능하고, 내부에 필터부재로 둘러 싸인 가습공간을 형성하는 가습체를 설치하고, 송풍팬을 통해 공기를 강제 순환시킴으로써, 가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송풍식 자연 가습기{VENTILATION TYPE HUMIDIFIER}
본 발명은 송풍식 자연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이 수용되는 본체의 내부에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가습체를 통해 공기를 강제순환시켜 공기를 가습할 수 있도록 하는 송풍식 자연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초음파 방식이나 가열 방식으로 수증기를 만들어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장치이고, 공기청정기는 공기 속의 먼지나 세균 따위를 걸러 내어 공기를 깨끗하게 하는 장치이다.
최근 대기 오염이 심해지고, 겨울철에도 황사의 영향을 받게 됨으로 인하여 실내 환경에 대한 관리가 더욱 중요해 지고 있다. 그래서, 공기 정화기능과 가습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가습공기 청정기인 에어워셔(Air washer)가 개발되었고, 그 보급이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가습기의 다른 종류로 흡입한 물을 원심력으로 날려서 부딪치게 하여 입자화하는 원심분무식 가습기, 전기회로에서 어떤 주파수의 전기신호를 발생시켜 물속에 놓인 진동자로 전달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키면 캐비테이션이 일어나 는 안개가 발생하도록 하는 초음파 가습기, 히터나 전극봉으로 물을 가열시켜 증기를 발생시키는 전열식 가습기, 젖은 필터로 공기가 통하게 하여 물을 증발시키는 필터기화식 가습기 등이 있다.
한편, 근래에는 자연증발 방식을 이용한 자연증발 가습기가 사용되고 있다. 자연증발 가습기는 물을 수용하는 본체와, 물을 기화시킬 수 있도록 본체에 구비되는 필터부재를 구비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자연증발 가습기는, 필터부재에 흡수되는 물이 자연증발되므로, 가습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3542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이 수용되는 본체의 내부에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가습체를 통해 공기를 강제순환시켜 공기를 가습할 수 있는 송풍식 자연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식 자연 가습기 는 상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본체; 내부에 물을 흡수하는 필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부재의 내측에 상기 필터부재로 둘러 싸인 가습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에 저장된 물에 부유된 상태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본체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 승강 가능한 가습체; 및 상기 가습체에 설치되어 상기 가습공간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가습공간과 외부공간 간의 공기의 흐름을 제어 가능한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가습체는, 상기 본체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본체로부터 출몰 가능하고,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된 정도를 통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시인 가능하다.
상기 가습체는, 상기 본체에 저장된 물에 부유되어 물의 수위에 따라 승강 가능한 부유체; 상기 부유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부유체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필터부재의 하면 및 내면을 지지하며, 상기 필터부재와 상기 가습공간을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홀부를 구비하는 내부커버; 및 상기 내부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필터부재의 상면 및 외면을 지지하고, 상기 부유체의 승강 시 상기 본체의 내면에 가이드되며, 상기 필터부재와 외부공간을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유동홀부를 구비하는 외부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커버는, 상면에 상기 필터부재가 안착되어 지지되고, 하면에 상기 부유체가 결합되는 필터안착부재; 및 상기 필터안착부재의 중앙부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재의 내면을 지지하고, 내측에 상기 가습공간을 형성하며, 둘레를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홀부가 형성되는 필터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커버는, 상기 필터지지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필터부재의 상면을 지지하고, 원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필터고정부재; 및 상기 필터고정부재의 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재의 외면을 지지하고, 둘레를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유동홀부가 형성되는 외면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단부에 외부의 공기가 흡입 가능한 공기흡입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저수탱크와, 상기 가습체의 승강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저수탱크에 구비되는 승강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이 수용되는 본체의 내부에 수위에 따라 승강 가능하고, 내부에 필터부재로 둘러 싸인 가습공간을 형성하는 가습체를 설치하고, 송풍팬을 통해 공기를 강제 순환시킴으로써, 가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식 자연 가습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식 자연 가습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식 자연 가습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를 도시한 요부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식 자연 가습기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식 자연 가습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식 자연 가습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식 자연 가습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를 도시한 요부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체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식 자연 가습기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식 자연 가습기(100)는, 물이 저장되는 본체(110)와, 본체(110)에 구비되는 가습체(120)와, 가습체(120)의 부유를 위한 부유체(13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송풍식 자연 가습기(100)는 본체(110)의 수위에 따라 가습체(120)가 승강되며, 외부의 공기가 본체(110)를 통해 유입되어 가습체(120)를 통과하면서 가습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이를 통해 실내 공기를 가습시킬 수 있게 된다.
본체(110)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탱크(111)와, 가습체(120)의 승강을 가이드하기 위한 승강가이드부(113)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체(110)는 저수탱크(111)의 상단부에 승강가이드부(113)가 결합된다.
저수탱크(111)는 상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단부에 외부공기의 흡입을 위한 공기흡입부(111a)가 형성된다. 공기흡입부(111a)는 저수탱크(111)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저수탱크(111)는 가습체(120)가 내부에 저장되는 물의 수위에 따라 가습체(120)가 승강하게 되므로, 가습체(120)가 출몰하는 높이에 따라 저수된 물의 수위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저수탱크(111)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저수탱크(111)의 형태를 다각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승강가이드부(113)는 가습체(120)의 외면이 접촉되어 지지되도록 저수탱크(111)의 상단부 내면에 구비된다. 이러한, 승강가이드부(113)는 가습체(120)와 접촉되는 면적을 줄이면서 가습체(120)의 안정되고, 원활한 승강을 위하여 간격유지부재(113a)와, 가이드원통(113b)을 구비한다.
간격유지부재(113a)는 저수탱크(111)의 내면에 이격되게 결합되며, 고무, 우레탄, 실리콘 등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가이드원통(113b)은 간격유지부재(113a)에 결합되며, 내면에 가습체(120)가 삽입되어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원통(113b)은 가습체(120)와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켜 가습체(120)의 원활한 승강을 유도하게 된다.
가습체(120)는 본체(110)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어 본체(110)의 수위 변화에 따라 승강하며, 본체(110)의 물을 흡수하게 된다. 이러한 가습체(120)는 본체(110)의 물을 흡수하기 위한 필터부재(121)와, 필터부재(121)를 고정하기 위한 내부커버(123) 및 외부커버(125)와, 공기의 강제 토출을 위한 송풍팬(127)을 포함한다.
필터부재(121)는 내부커버(123) 및 외부커버(125)에 의해 고정되며, 하단부가 저수탱크(111)에 수용되는 물에 접촉하여 물을 흡수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121)는 펠트지, 부직포, 스펀지 등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내부커버(123)는 외부커버(125)와 쌍을 이루어 필터부재(121)를 지지하며, 하부에 부유체(130)가 결합된다. 이러한 내부커버(123)는 필터부재(121)의 하면 및 내면을 지지하도록 필터안착부재(123a)와 필터지지부재(123b)로 이루어지며, 필터지지부재(123b)가 필터안착부재(123a)의 내측에서 상측으로 연장형성된다.
필터안착부재(123a)는, 하면에 부유체(130)가 결합되며, 필터부재(121)의 하면이 안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안착부재(123a)는 링 형태로 형성되며, 중앙부에서 필터지지부재(123b)가 일체로 연장 형성된다.
필터지지부재(123b)는 필터안착부재(123a)의 중앙부에서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며, 필터부재(121)의 내면을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필터지지부재(123b)는 저수탱크(111)의 물이 필터부재(121)에 원활하게 흡수된은 물론 필터부재(121)를 통과하는 가습공기가 용이하게 토출되도록 토출홀부(123c)를 구비한다. 토출홀부(123c)는 필터부재(121)를 통과하는 가습공기가 원활하게 토출되도록 필터지지부재(123b)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된다.
외부커버(125)는 내부커버(123)와 쌍을 이루어 필터부재(121)를 커버하도록 내부커버(123)와 결합되며, 필터부재(121)의 상면 및 외면을 지지한다. 이러한 외부커버(125)는 외면이 가이드원통(113b)의 내면에 접촉되어 가이드되며, 상면에 송풍팬(127)이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커버(125)는 필터부재(121)의 상면을 지지하는 필터고정부재(125a)와, 필터부재(121)의 측면을 지지하는 외면지지부재(125b)를 포함한다.
필터고정부재(125a)는 원판형태로 형성되며, 중앙부에 내부커버(123)의 필터지지부재(123b)가 결합되는 결합구멍(125c)이 형성되며, 필터부재(121)의 상면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필터고정부재(125a)는 송풍팬(127)에 의해 가습공기 토출이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보조토출홀부(123c)가 형성된다. 보조토출홀부(123c)는 결합구멍(125c)과 근접되도록 복수개 형성된다.
외면지지부재(125b)는 필터부재(121)의 외면을 지지하도록 필터고정부재(125a)의 외면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며, 외부의 공기가 필터부재(121)로 유입되도록 공기유동홀부(125d)를 구비한다. 이러한 외면지지부재(125b)는 하면이 필터지지부재(123b)의 상면에 결합된다. 공기유동홀부(125d)는 외면지지부재(125b)의 하단부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된다.
송풍팬(127)은 가습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가습체(120)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토출시킨다. 예를 들어 송풍팬(127)은 본체(110) 외부공기가 필터부재(121)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외부커버(125)의 상단부에 안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송풍팬(127)은 외부커버(125)에 탈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체(120)는 필터부재(121)가 내부커버(123) 및 외부커버(125)에 의해 고정되므로, 필터부재(121)를 세척 및 살균 처리할 때 필터부재(121)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필터부재(12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가습체(120)를 세척 및 살균처리할 때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130)는 저수탱크(111)의 수위에 따라 가습체(120)가 승강하도록 저수탱크(111)의 저장된 물에 부유하며, 가습체(120)의 내부커버(123)와 탈착된다. 이러한 부유체(130)는 가습체(120)의 필터부재(121)를 세척 및 살균처리할 수 있도록 내부커버(123)와 탈착된다.
또한, 부유체(130)는 가습체(120)를 본체(110)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그 폭이 내부커버(123)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식 자연 가습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가습체(120)를 본체(110)에서 분리하고, 본체(110)의 저수탱크(111)에 물을 공급한다. 그리고 외부커버(125)의 외면이 가이드원통(113b)에 가이드되도록 가습체(120)를 본체(110)에 결합한다. 이때, 부유체(130)가 내부커버(123)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가습체(120)를 본체(110)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본체(110)로 삽입된 가습체(120)는 부유체(130)에 의해 저수탱크(111)에서 부유하면서 필터부재(121)가 저수탱크(111)의 물을 흡수하게 된다. 이후 외부커버(125)의 상측에 송풍팬(127)을 장착하고 송풍팬(127)을 작동시키면 저수탱크(111)의 공기흡입부(111a)를 통해 본체(110)의 외부공기가 강제흡입되어 필터부재(121)를 통과한 후 외부로 토출된다. 이때, 외부공기가 필터부재(121)를 통과하면서 가습된다.
한편, 송풍식 자연 가습기(100)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필터부재(121)를 세척하고자 할 때에는 송풍팬(127)을 가습체(120)에서 분리하고, 가습체(120)를 본체(110)에서 분리한 후, 필터부재(121)를 세척한다. 또한, 필터부재(121)를 살균 처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가습체(120)에서 부유체(130)를 분리한 후, 끓는 물이나 전자레인지 등에서 고온 살균처리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송풍식 자연 가습기
110. 본체
111. 저수탱크
113. 승강가이드부
120. 가습체
121. 필터부재
123. 내부커버
125. 외부커버
127. 송풍팬
130. 부유체

Claims (4)

  1. 상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본체;
    내부에 물을 흡수하는 필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부재의 내측에 상기 필터부재로 둘러 싸인 가습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에 저장된 물에 부유된 상태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본체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 승강 가능한 가습체; 및
    상기 가습체에 설치되어 상기 가습공간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가습공간과 외부공간 간의 공기의 흐름을 제어 가능한 송풍팬;
    을 포함하고,
    상기 가습체는, 상기 본체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본체로부터 출몰 가능하고,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된 정도를 통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시인 가능한, 송풍식 자연 가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체는,
    상기 본체에 저장된 물에 부유되어 물의 수위에 따라 승강 가능한 부유체;
    상기 부유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부유체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필터부재의 하면 및 내면을 지지하며, 상기 필터부재와 상기 가습공간을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홀부를 구비하는 내부커버; 및
    상기 내부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필터부재의 상면 및 외면을 지지하고, 상기 부유체의 승강 시 상기 본체의 내면에 가이드되며, 상기 필터부재와 외부공간을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유동홀부를 구비하는 외부커버;
    를 포함하는 송풍식 자연 가습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커버는,
    상면에 상기 필터부재가 안착되어 지지되고, 하면에 상기 부유체가 결합되는 필터안착부재; 및
    상기 필터안착부재의 중앙부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재의 내면을 지지하고, 내측에 상기 가습공간을 형성하며, 둘레를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토출홀부가 형성되는 필터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송풍식 자연 가습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커버는,
    상기 필터지지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필터부재의 상면을 지지하고, 원주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필터고정부재; 및
    상기 필터고정부재의 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재의 외면을 지지하고, 둘레를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기유동홀부가 형성되는 외면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송풍식 자연 가습기.
KR1020180124602A 2018-10-18 2018-10-18 송풍식 자연 가습기 KR102030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602A KR102030979B1 (ko) 2018-10-18 2018-10-18 송풍식 자연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602A KR102030979B1 (ko) 2018-10-18 2018-10-18 송풍식 자연 가습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8973A Division KR20180067350A (ko) 2016-12-12 2016-12-12 송풍식 자연 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642A true KR20180123642A (ko) 2018-11-19
KR102030979B1 KR102030979B1 (ko) 2019-10-11

Family

ID=64561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4602A KR102030979B1 (ko) 2018-10-18 2018-10-18 송풍식 자연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09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35668A1 (en) * 2019-12-10 2021-06-16 LG Electronics Inc.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US11566796B2 (en) 2019-12-10 2023-01-31 Lg Electronics Inc. Air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7573A (ko) * 2003-09-15 2005-03-21 서동신 물에 띄우는 초음파 가습기
KR20140135425A (ko) 2013-05-16 2014-11-26 김난희 자연 증발식 천연 가습기
KR200476833Y1 (ko) * 2014-08-29 2015-04-07 박성훈 공기정화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가습기
KR20160025972A (ko) * 2014-08-28 2016-03-09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에어워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7573A (ko) * 2003-09-15 2005-03-21 서동신 물에 띄우는 초음파 가습기
KR20140135425A (ko) 2013-05-16 2014-11-26 김난희 자연 증발식 천연 가습기
KR20160025972A (ko) * 2014-08-28 2016-03-09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에어워셔
KR200476833Y1 (ko) * 2014-08-29 2015-04-07 박성훈 공기정화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가습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35668A1 (en) * 2019-12-10 2021-06-16 LG Electronics Inc.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US11566796B2 (en) 2019-12-10 2023-01-31 Lg Electronics Inc. Air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11774113B2 (en) 2019-12-10 2023-10-03 Lg Electronics Inc.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US11796190B2 (en) 2019-12-10 2023-10-24 Lg Electronics Inc.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US11852360B2 (en) 2019-12-10 2023-12-26 Lg Electronics Inc.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US11906176B2 (en) 2019-12-10 2024-02-20 Lg Electronics Inc. Air management apparatus 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0979B1 (ko) 2019-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2247B1 (ko) 가습청정장치
EP3163188B1 (en)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pparatus
US20230093557A1 (en) Humidifier
JP2009014254A (ja) 加湿装置
KR20180123642A (ko) 송풍식 자연 가습기
JP7001695B2 (ja) 送風装置
KR101916886B1 (ko) 가습기
JP2018044762A (ja) 加湿空気清浄機
KR102361033B1 (ko) 가습공기 청정기
JP2010151365A (ja) 加湿装置
KR20180067350A (ko) 송풍식 자연 가습기
KR101915659B1 (ko) 소형 에어워셔 가습기
JP2009152125A (ja) イオン発生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WO2019038950A1 (ja) 加湿装置
JP5494340B2 (ja) 加湿装置
KR102400096B1 (ko) 살균장치
KR20140135425A (ko) 자연 증발식 천연 가습기
KR100431103B1 (ko)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 정화기용 필터
KR102474775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20113028A (ko) 가습 장치
KR102153685B1 (ko) 가습장치
KR20120113026A (ko) 가습장치
KR20210042488A (ko) 공기청정기
KR102646173B1 (ko) 소음 저감 기능을 포함하는 이중 구조 가습기
KR100855286B1 (ko)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