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2868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2868A
KR20180122868A KR1020170057033A KR20170057033A KR20180122868A KR 20180122868 A KR20180122868 A KR 20180122868A KR 1020170057033 A KR1020170057033 A KR 1020170057033A KR 20170057033 A KR20170057033 A KR 20170057033A KR 20180122868 A KR20180122868 A KR 20180122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cch
information
base station
pusch
uplink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7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6416B1 (ko
Inventor
류현석
쉬에펑
유현규
최상원
황규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70057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416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23153277.1A priority patent/EP4192130A1/en
Priority to PCT/KR2018/005096 priority patent/WO2018203662A1/ko
Priority to CN201880029559.3A priority patent/CN110731104B/zh
Priority to EP18793760.2A priority patent/EP3606190B1/en
Priority to CN202310655417.0A priority patent/CN116867046A/zh
Priority to CN202310655924.4A priority patent/CN116867047A/zh
Priority to US16/609,600 priority patent/US11044677B2/en
Publication of KR20180122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2868A/ko
Priority to US17/352,929 priority patent/US11683763B2/en
Priority to KR1020210153013A priority patent/KR1024305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416B1/ko
Priority to US18/328,307 priority patent/US2023030902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2TPC of broadcast or control channels
    • H04W52/325Power control of control or pilot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08Closed loop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0Open loop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2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path lo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5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4Signalisation aspects of the TPC commands, e.g. frame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73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transmission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layers above the physical layer, e.g. RRC or MAC-CE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04W72/232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the control data signalling from the physical layer, e.g. DCI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통신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채널 전송과 관련된 제1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1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슬롯에서 전송될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슬롯에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채널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전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동적 프레임 구조에서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송신 전력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 (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 (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인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5G 통신 시스템에서 기존보다 낮은 레이턴시를 요구하게 되고, 이에 따라 단말이 해당 요구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전송 전력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출원의 일 실시 예는 동적 프레임 구조에서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송신전력 제어를 동작시키기 위한 단말 및 기지국의 동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의 또 다른 실시 예는 실시 예는 hybrid beamforming을 사용하는 시스템, 서로 다른 부반송파 간격을 사용하는 시스템, 그리고 서로 다른 상향링크 waveform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송신전력 제어를 동작시키기 위한 단말과 기지국의 동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통신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채널 전송과 관련된 제1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1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슬롯에서 전송될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슬롯에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채널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통신 방법은 단말로 상향링크 채널 전송과 관련된 제1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특정 슬롯에서 상기 제1정보를 기반으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채널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되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채널 전송과 관련된 제1정보를 수신하고, 제1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슬롯에서 전송될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채널을 선택하고, 상기 특정 슬롯에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채널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되며, 단말로 상향링크 채널 전송과 관련된 제1정보를 전송하고, 특정 슬롯에서 상기 제1정보를 기반으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채널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 제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향링크 지연 시간이 줄어들 수 있다.
도 1a는 동적 프레임 구조에 대한 예시이다.
도 1b는 동적 프레임 구조에 대한 또 다른 예시이다.
도 2는 동적 프레임 구조에서 단말이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PUSCH)의 전송 후, 동일 slot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 (PUCCH)을 전송할 때 발생하는 전력의 전이 시간 (power transient time)에 대한 예시이다.
도 3a는 단말이 특정 slot에서 PUSCH와 S-PUCCH을 연속적으로 전송해야 하는 경우, PPUSCH와 PS- PUCCH의 차이가 커짐으로써 발생하는 문제를 막기 위한 기지국의 동작에 대한 예시이다.
도 3b는 단말이 특정 slot에서 PUSCH와 S-PUCCH을 연속적으로 전송해야 하는 경우, PPUSCH와 PS- PUCCH의 차이가 커짐으로써 발생하는 문제를 막기 위한 단말의 동작에 대한 예시이다.
도 4a는 단말이 특정 slot에서 PUSCH와 S-PUCCH을 연속적으로 전송해야 하는 경우, PPUSCH와 PS- PUCCH의 차이가 커짐으로써 발생하는 문제를 막기 위한 기지국의 동작에 대한 또 다른 예시이다.
도 4b는 단말이 특정 slot에서 PUSCH와 S-PUCCH을 연속적으로 전송해야 하는 경우, PPUSCH와 PS- PUCCH의 차이가 커짐으로써 발생하는 문제를 막기 위한 단말의 동작에 대한 또 다른 예시이다.
도 5는 14 심볼로 구성된 slot에서 L-PUCCH (Long PUCCH)와 S-PUCCH가 공존하는 예시이다.
도 6은 기지국과 단말에서 형성하는 beam 또는 beam pair에 대한 예시이다.
도 7a는 hybrid beamforming을 고려한 S-PUCCH 송신전력에서 기지국과 단말간의 시그널링 절차를 나타낸다.
도 7b는 PDCCH로의 파라미터 수신과 해당 파라미터를 상향링크 전송에 적용하는 timing에 대한 예시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 (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 (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 예는 동적 프레임 구조를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단말의 상향링크 제어채널의 송신 전력 제어를 지원하기 위한 기지국과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장치를 포함한다.
LTE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상향링크 제어 채널 (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에 대한 송신 전력 제어는 하기의 [수학식 1]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수학식 1]
PPUCCH(i) = min{PCMAX(i), P0 _ PUCCH + PL + h(nCQI, nHARQ, nSR) + ΔF_ PUCCH(F) + ΔTxD(F') + g(i)} [dBm]
상기 [수학식 1]은 단말의 i 번째 서브프레임(subframe)에서 상향링크 제어정보 전송을 위한 물리 채널인 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의 송신전력, PPUCCH(i) 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P0 _ PUCCH 는 P0 _NOMINAL_ PUCCH + P0 _ UE _ PUCCH 로 구성된 파라미터이며 상위 계층 신호(higher layer signaling) (e.g. RRC signaling)을 통해 기지국이 단말에게 설정할 수 있는 값이다. 특히, P0 _NOMINAL_ PUCCH 는 8-bit 정보로 구성된 셀-특정 (cell-specific)한 값으로 [-126, 24]dB의 범위를 갖는다. 또한 P0_UE_PUCCH 는 4-bit 정보로 구성된 단말-특정 (UE-specific)한 값으로 [-8, 7]dB의 범위를 갖는다. Cell-specific한 값은 cell-specific RRC signaling (SIB: system information block)을 통해 기지국이 단말에 전송하며, UE-specific한 값은 dedicated RRC signaling을 통해 기지국이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1]에서 경로손실 값인 PL(path loss)은 기지국이 하향링크 채널로 전송하는 CRS (Cell-specific Reference Signal)의 수신 전력을 통해 단말이 계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UE-specific 또는 Cell-specific RRC signaling을 통해 CRS의 송신 전력을 의미하는 referenceSignalPower과, 단말이 측정한 RSRP (Reference Signal Receiver Power)의 averaging을 위한 filtering coefficient를 전송한다. 이를 기반하여 단말은 경로 손실을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계산한다.
[수학식 2]
PL = referenceSignalPower - higher layer filtered RSRP
상기 [수학식 1]에서 ΔF_ PUCCH(F) 는 higher layer signaling (Cell-specific or UE-specific RRC signaling)을 통해 단말로 전송되며, PUCCH의 format에 따라 가변 하는 값으로 PUCCH format 1a (1-bit HARQ-ACK/NACK 전송)을 기준으로 상대적인 값을 진다. ΔF_ PUCCH(F) 값은 표 1과 같이 구성된다.
표 1: ΔF_ PUCCH(F) Values
PUCCH Format Parameters, ? _ PUCCH (F) Values [dB]
1 deltaF-PUCCH-Format1 [-2, 0, 2]
1b deltaF-PUCCH-Format1b [1, 3, 5]
2 deltaF-PUCCH-Format2 [-2, 0, 1, 2]
2a deltaF-PUCCH-Format2a [-2, 0, 2]
2b deltaF-PUCCH-Format2b [-2, 0, 2]
상기 [수학식 1]에서 ΔTxD(F')는 PUCCH가 2-antanna port로 전송되는 경우 (즉, SFBC: Space Frequency Block Code), higher layer signaling (Cell-specific or UE-specific RRC signaling)을 통해 단말로 전송되는 파라미터이다. ΔTxD(F')는 표 2에서와 같이 PUCCH의 format에 따라 가변 하는 값이다. SFBC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ΔTxD(F') = 0이다.
표 2: ΔTxD(F') Values
PUCCH Format Parameters, ΔTxD(F') Values [dB]
1 deltaTxD-OffsetPUCCH-Format1 [0, -2]
1a/1b deltaTxD-OffsetPUCCH-Format1a1b [0, -2]
2/2a/2b deltaTxD-OffsetPUCCH-Format22a2b [0, -2]
3 deltaTxD-OffsetPUCCH-Format3 [0, -2]
상기 [수학식 1]에서 h(nCQI, nHARQ, nSR)는 PUCCH format에 따라 다른 값이 사용되며, 이때 nCQI는 channel quality information의 피드백에 사용되는 비트수를 의미하고, nHARQ는 HARQ-ACK/NACK 피드백에 사용되는 비트수, 그리고 nSR는 Scheduling Request의 피드백에 사용되는 비트로서 0 또는 1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PUCCH format 1, 1a, 그리고 1b에서 h(nCQI, nHARQ, nSR) = 0 이다. PUCCH format 2, 2a, 그리고 2b에서 Normal CP를 사용하는 경우, h(nCQI, nHARQ, nSR)는 다음과 같다.
[수학식 3]
Figure pat00001
PUCCH format 2에서 Extended CP를 사용하는 경우, h(nCQI, nHARQ, nSR) 는 다음과 같다.
[수학식 4]
Figure pat00002
PUCCH format 3에서
Figure pat00003
는 다음과 같다.
[수학식 5]
Figure pat00004

상기 [수학식 1]에서 g(i)는 Closed-loop으로 전력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이며, 하기 [수학식 6]과 같이 주어진다.
[수학식 6]
Figure pat00005
즉, i-번째 subframe에서 g(i)는 이전 subframe (즉, i - 1번째 subframe)에서 사용한 g(i - 1) 값에 i - km 번째 subframe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통해 DCI로 단말에게 전송했던 δPUCCH 값을 accumulation해서 결정 할 수 있다. FDD 시스템에서 M = 1, k0 = 4 이며, TDD 시스템에서 M, k0 는 아래 표 3과 같이 DL/UL Configuration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표 3: {k 0 , k 1 ,... k M -1 } for TDD
TDD DL/UL Configuration Subframe number n
0 1 2 3 4 5 6 7 8 9
0 - - 6 - 4 - - 6 - 4
1 - - 7, 6 4 - - - 7, 6 4 -
2 - - 8, 7, 4, 6 - - - - 8, 7, 4, 6 - -
3 - - 7, 6, 11 6, 5 5, 4 - - - - -
4 - - 12, 8, 7, 11 6, 5, 4, 7 - - - - - -
5 - - 13, 12, 8, 9, 7, 5, 4, 11, 6 - - - - - - -
6 - - 7 7 5 - - 7 7 -
δPUCCH 값은 DCI format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DCI format 1A/1B/1D/1/2A/2B /2C/2/3에 대해서는 표 4의 값을 사용하며, DCI format 3A의 경우, δPUCCH 값은 표 5의 값을 사용한다.
표 4: Mapping of TPC Command Field in DCI format 1A/1B/1D/1/2A/2B/2C/2/3 to accumulated δPUCCH values.
TPC Command Field in
DCI format 1A/1B/1D/1/2A/2B/2C/2/3
Accumulated δPUCCH [dB]
0 -1
1 0
2 1
3 3
표 5: Mapping of TPC Command Field in DCI format 3A to accumulated δPUSCH values.
TPC Command Field in
DCI format 3A
Accumulated δPUSCH [dB]
0 -1
1 1
단말의 상향링크 송신전력 제어의 목적은 인접 셀로 야기하는 간섭 양의 최소화 및 단말의 전력소모 최소화이다. 또한, 셀 내 단말의 위치에 관계없이 기지국이 수신하는 수신 신호의 세기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단말의 송신신호가 기지국 수신단 AGC (automatic gain control)의 dynamic range 내에 들어오게끔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전송전력 제어를 위해서, 단말은 digital domain 또는 analog domain에서 PUCCH의 전송을 위한 송신 전력 값을 설정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송신 전력 값은 상기 [수학식 1]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단말의 최대 출력 값, PCMAX(i)를 넘어서는 안 된다.
한편, LTE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n 번째 subframe에서 수신하는 하향링크 데이터 정보에 해당되는 HARQ-ACK/NACK 피드백 정보가 n + 4 번째 subframe에서 상향링크를 통해 전송된다. 이러한 동작은 5G 통신 시스템의 요구사항들 중 하나인 적은 통신 지연시간 (Latency)를 만족하지 못할 수 있고, 기지국 스케줄러의 자유도를 제한하기 때문에 기지국 스케줄러의 Flexibility가 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n 번째 subframe에서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하향링크 데이터 정보에 해당되는 HARQ-ACK/NACK 피드백 정보가, 동일 subframe (n 번째 subframe)에 전송될 수 있는 프레임 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프레임 구조는 빠른 HARQ-ACK/NACK 피드백을 통해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기지국 운용의 Flexibility를 최대화하고, 5G 통신 시스템의 요구사항들 중 하나인 적은 통신 지연시간 (Low Latency)을 만족할 수 있도록 동적인 프레임 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동적 프레임 구조에서는, subframe의 구성이 매 subframe 마다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 번째 subframe은 하향링크 데이터 수신, (n + 1) 번째 subframe은 상향링크 데이터 송신, (n + 2) 번째 subframe은 하향링크 데이터 수신, (n + 3) 번째 subframe은 상향링크 제어정보 송신 등과 같이 서브프레임의 구성이 가변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또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이 매 subframe 마다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a는 동적 프레임 구조에 대한 예시이다.
도 1a을 참조하면 1개의 slot(110, 120)을 7심볼을 포함할 수 있으며, 7심볼들 중에서 첫 번째 2심볼은 하향링크 제어채널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의 전송에 사용되고, 마지막 1 심볼 또는 2 심볼에 빠른 HARQ-ACK/NACK 피드백 전송을 포함한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을 위한 Short PUCCH (S-PUCCH)가 위치할 수 있다. 7 심볼들 중, PDCCH 2 심볼과 S-PUCCH 1 심볼 또는 S-PUCCH 2 심볼을 제외한 나머지 4 심볼 또는 3 심볼을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로 운용하여, 단말이 상기 PUSCH 를 통해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이 하향링크 PDCCH 수신 후, 상향링크 PUSCH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 스위칭 타임이 필요하다. 마찬가지로, 기지국이 하향링크 PDCCH를 송신하고 상향링크 PUSCH를 단말로부터 수신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 스위칭 타임이 필요하다. 이러한 하드웨어 스위칭 타임을 위해 1 심볼 GAP을 사용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도 1a에서는 PDCCH 전송을 위해 2 심볼을 사용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1 심볼, 3 심볼 또는 그 이상의 심볼들이 PDCCH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GAP 용도로 2 심볼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7 심볼들 중, PDCCH 2 심볼과 S-PUCCH 1 심볼 또는 S-PUCCH 2 심볼을 제외한 나머지 4 심볼 또는 3 심볼을 PDSCH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b는 동적 프레임 구조에 대한 또 다른 예시이다.
도 1a에서는 1개의 slot이 7심볼을 포함하는 예시에 대해서 서술하였으나, 도 1b는 1개의 slot(160, 170)이 14 심볼을 포함하는 경우에 대한 예시를 설명한다. 14 심볼들 중에서 첫 번째 2심볼은 하향링크 제어채널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의 전송에 사용되고, 마지막 1 심볼 또는 2 심볼에 빠른 HARQ-ACK/NACK 피드백 전송을 위한 Short PUCCH (S-PUCCH)가 위치할 수 있다. 14 심볼들 중, PDCCH 2 심볼과 S-PUCCH 1 심볼 또는 S-PUCCH 2 심볼을 제외한 나머지 11 심볼 또는 10 심볼을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로 운용하여, 단말이 PUSCH 를 통해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에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이 하향링크 PDCCH 수신 후, 상향링크 PUSCH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 스위칭 타임이 필요하다. 마찬가지로, 기지국이 하향링크 PDCCH를 송신하고 상향링크 PUSCH를 단말로부터 수신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 스위칭 타임이 필요하다. 이러한 하드웨어 스위칭 타임을 위해 1 심볼 GAP을 사용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도 1b에서는 PDCCH 전송을 위해 2 심볼을 사용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1 심볼, 3 심볼 또는 그 이상의 심볼들이 PDCCH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GAP 용도로 2 심볼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14 심볼들 중, PDCCH 2 심볼과 S-PUCCH 1 심볼 또는 S-PUCCH 2 심볼을 제외한 나머지 11 심볼 또는 10 심볼을 PDSCH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a 또는 도 1b와 같은 동적 프레임 구조에서 단말이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PUSCH)의 전송 후, 동일 slot에서 상향링크 제어 채널 (PUCCH)을 연속적으로 전송할 때 발생하는 전력의 전이 시간 (power transient time)에 대한 예시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동적 서브프레임 구조에서 단말의 송신 전력 전이가 일어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PUSCH를 전송하기 위해 PUSCH 영역의 시작점에서 power ON을 수행한다. 이때, PUSCH 전송을 위해 하드웨어가 램핑 업(ramping up) 되는데 지연 시간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를 전력의 전이 시간이라 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PUSCH 전송을 위한 전럭 전이 시간은 식별번호 210으로 표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PUSCH의 전송이 끝나는 지점에서 단말은 PUSCH의 power를 OFF시킨다. 이때, 식별번호 220과 같이 하드웨어가 램핑 다운(ramping down)되는데 지연 시간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를 전력의 전이 시간이라 할 수 있다. PUSCH 전송을 끝낸 단말은 PUCCH를 전송하기 위해 power ON을 수행한다, 이때, 식별 번호 230과 같이 PUCCH 전송을 위한 하드웨어가 ramping up 되는데 지연 시간이 발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PUCH의 전송이 끝나는 지점에서 단말은 PUCCH의 power를 OFF시킨다. 이때, 식별 번호 240과 같이 하드웨어가 ramping down 되는데 지연 시간이 발생될 수 있으며 위와 같이 이를 전력의 전이 시간이라 할 수 있다. LTE 시스템에서는 식별 번호 210 내지 240의 전력 전이 시간 각각이 20 us 보다 작거나 같아야 한다는 요구사항이 있었다.
5G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의 데이터 전송률을 증가시키기 위해 넓은 대역폭의 사용을 고려하고 있다. 예를 들어, LTE 시스템에서는 구성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 당 최대 20 MHz 시스템 대역폭을 사용했으며, 100개의 RB (Resource Block)를 사용할 수 있었다 (15 kHz 부반송파 간격인 경우). 이와 달리, 5G 시스템에서는 CC 당 100 MHz 또는 200 MHz의 시스템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으며, 15 kHz 부반송파 간격을 사용한다고 가정할 경우, 100 MHz의 시스템 대역폭에서 500개의 RB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PUSCH의 전송에 사용되는 RB의 수와 S-PUCCH의 전송에 사용되는 RB의 수에 차이가 큰 경우, PUSCH의 송신 전력과 S-PUCCH의 송신 전력에 많은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앞서 도 2의 예시에서 언급한 전력 전이 시간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일 예로, PUSCH의 전송에 100 개의 RB가 사용되고, S-PUCCH 전송에 1 RB가 사용된다고 가정하자. 이때, PUSCH의 송신 전력과 S-PUCCH의 송신 전력의 차이는 20 dB 발생할 수 있다. 송신 전력의 차이가 클수록 하드웨어에서 송신전력을 셋업(setup)하기 위해 전력을 ramping up하고 ramping down 하는데 요구되는 시간 (전력 전이 시간)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단말이 PUSCH와 S-PUCCH의 동시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전력 전이 시간에 대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지 못할 수 있다.
LTE 시스템에서는 데이터 전송률을 증가시키기 위해 digital beamforming을 사용했다. mmWave에서 동작하는 5G 시스템에서는 전파의 파장 (λ)이 짧아지기 때문에 안테나 간 거리가 짧아질 수 있다. 즉 LTE 시스템에 비해, 동일 면적에서 많은 수의 안테나를 장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많은 안테나는 지원하기 위해 많은 수의 digital chain을 장착하는 것은 기지국 및 단말의 구현 복잡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mmWave 대역을 지원하는 시스템에서는 hybrid beamforming을 사용할 수 있다. Hybrid beamforming을 지원하는 시스템에서는 analog beamforming과 digital beamforming의 조합으로 빔이 형성되기 때문에, Full digital beamforming 시스템에 비해 적은 수의 digital chain을 가질 수 있으므로 구현 복잡도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아날로그 도메인에서의 신호처리는 디지털 도메인에서의 신호처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신호처리 지연시간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hybrid beamforming을 지원하는 시스템에서는 아날로그 도메인에서의 신호처리로 인해 도 2에서 예시한 전력 전이 시간이 더욱 길어질 수 있다.
한편, 5G 시스템에서는 큰 부반송파 간격 (higher subcarrier spacing)을 지원할 수 있기 때문에, LTE 시스템에 비해서 짧은 심볼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120 kHz 부반송파 간격을 사용하는 5G 시스템에서는 15 kHz 부반송파 간격을 사용하는 LTE 시스템 대비, 심볼 길이가 8배 짧아지게 된다. 이러한 짧은 심볼 길이는 보다 빠른 신호처리를 요구하기 때문에, PUSCH와 S-PUCCH의 송신 전력의 차이가 크게 되면, ramping up 및 ramping down 시간의 증가로 인해 단말이 송신전력을 조절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15 kHz 부반송파 간격을 사용하는 LTE 시스템에서 송신전력 전이 시간을 20 us로 가정할 경우, 120 kHz 부반송파 간격을 사용하는 5G 시스템에서의 송신전력 전이 시간은 2.5 us가 된다. 즉, 단말은 5 us (2.5 us 동안 PUSCH 송신전력 ramping down + 2.5 us 동안 S-PUCCH 송신전력 ramping up) 이내에 PUSCH 전송 전력에서 S-PUCCH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전력으로 변경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PUSCH와 S-PUCCH의 송신전력 차이가 큰 경우, 단말은 이러한 요구사항 (5 us 이내에 PUSCH 전송 전력에서 S-PUCCH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전력으로 변경)을 만족시키지 못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S-PUCCH 송신전력의 제한을 고려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이 특정 slot에서 PUSCH와 S-PUCCH를 연속적으로 전송해야 하는 경우, S-PUCCH의 송신 전력 (PS- PUCCH)은 PUSCH 송신전력 (PPUSCH)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S-PUCCH의 송신 전력은 min{PPUSCH, PS- PUCCH}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PPUSCH가 PS- PUCCH보다 큰 경우, 단말은 S-PUCCH의 전송 전력을 상기 [수학식 1]을 통해 계산하여 적용할 수 있다. 만일, PPUSCH가 PS- PUCCH보다 작은 경우, 단말은 S-PUCCH의 송신 전력을 PPUSCH로 setting하여 전송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PUSCH와 S-PUCCH의 송신 전력 차이가 커짐으로써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전송전력 전이 시간의 증가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의 단점은 PUSCH의 커버리지와 S-PUCCH의 커버리지에 대한 요구사항이 다르고, 기지국에서의 PUSCH 수신 SINR에 대한 요구사항과 기지국에서의 S-PUCCH 수신 SINR에 대한 요구사항이 다르기 때문에, min{PPUSCH, PS- PUCCH} 값을 기반으로 S-PUCCH의 송신전력을 결정하는 경우 S-PUCCH의 전송 성능을 보장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긴다.
S-PUCCH의 송신전력을 제한하는 또 다른 일 예로, 단말이 특정 slot에서 PUSCH와 S-PUCCH을 연속적으로 전송해야 하는 경우, S-PUCCH의 송신 전력은 max{PPUSCH, PS- PUCCH}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즉, PPUSCH가 PS- PUCCH 보다 작은 경우, 단말은 S-PUCCH의 전송 전력을 상기 [수학식 1]을 통해 계산하여 적용할 수 있다. 만일, PPUSCH가 PS- PUCCH 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단말은 S-PUCCH의 송신 전력을 PPUSCH로 setting하여 전송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PUSCH와 S-PUCCH의 송신 전력 차이가 커짐으로써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전송전력 전이 시간의 증가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의 단점은 S-PUCCH의 커버리지 및 기지국에서의 S-PUCCH 수신 SINR에 대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실제로 전송할 수 있는 송신전력보다 더 큰 송신전력으로 S-PUCCH를 전송하기 때문에, 단말의 불필요한 전력소모 및 인접 셀로 야기하는 간섭의 양이 증가할 수 있다.
단말이 특정 slot에서 PUSCH와 S-PUCCH를 연속적으로 전송해야 하는 경우, PPUSCH와 PS- PUCCH의 차이가 커짐으로써 발생하는 문제를 막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 기지국의 스케줄링 및 단말과 기지국과의 사전 약속을 이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는 PPUSCH와 PS- PUCCH의 차이가 커짐으로써 발생하는 문제를 막기 위한 기지국의 동작에 대한 예시이고, 도 3b는 단말의 동작에 대한 예시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제어를 위해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면 상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단계는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 310에서 기지국은 특정 단말이 PUSCH와 S-PUCCH를 동일 slot에서 연속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기지국은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 능력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서 이와 같은 과정은 기지국과 단말 사이의 능력협상 과정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단말의 하드웨어가 PUSCH와 S-PUCCH 사이의 전력 전이 시간에 대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이러한 단말은 PUSCH와 S-PUCCH를 동일 slot에서 연속적으로 전송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이후 기지국은 이러한 단말에게는 PUSCH와 S-PUCCH의 연속 전송을 명령하지 않을 수 있다.
단계 315에서 기지국은 단말에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제어를 위한 파라메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단말의 PUSCH와 S-PUCCH의 연속 전송에 대한 능력을 판단하고 해당 능력의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송신전력제어 파라미터를 전송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속 전송이 가능한 단말에서 사용할 수 있는 PUSCH와 S-PUCCH의 송신전력 제어 파라미터와 연속 전송이 불가능한 단말에서 사용할 수 있는 PUSCH와 S-PUCCH의 송신전력제어 파라미터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단말의 전송 능력을 판단하지 않고, 기지국이 단말에 상기 파라메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기지국은 자신의 셀에 접속하고자 하는 모든 단말이 전송전력 전이 시간에 대한 요구사항을 만족할 수 있다고 가정하고, PUSCH와 S-PUCCH의 연속전송 여부에 대한 단말의 능력협상은 절차상 생략될 수 있다.
단계 320에서 기지국은 단말에게 동일 slot에서 PUSCH/S-PUCCH의 연속 전송 여부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의 능력이 PUSCH와 S-PUCCH의 연속 전송을 지원할 수 있더라도 (또는 기지국에 접속한 모든 단말들이 PUSCH와 S-PUCCH를 연속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고 가정하더라도), 기지국은 스케줄링의 유연성을 위해 특정 slot에서 PUSCH와 S-PUCCH의 연속 전송을 허용하거나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은 스케줄링된 PUSCH와 S-PUCCH에 할당하는 RB의 수가 일정 이상 차이가 날 경우, PUSCH와 S-PUCCH의 연속 전송을 허용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연속 전송에 대한 허용 여부는 UE-specific RRC signaling, group common PDCCH, 또는 UE-specific PDCCH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기지국이 단말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은 다양한 방법으로 정보가 구성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일 예로, 특정 slot에서 PUSCH와 S-PUCCH가 연속적으로 전송되는 것이 허용될 것인지, 허용되지 않은 것인지의 여부가 explicit하게 1-bit 정보로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1-bit에서 0은 PUSCH와 S-PUCCH의 연속 전송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이고, 1은 연속 전송이 허용되는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특정 slot (n 번째 slot)에서 PUSCH의 전송 여부는 동일 slot (n 번째 slot) 또는 이전 slot (n - k 번째 slot)에서 하향링크로 전송되는 UL DCI를 통해 기지국이 단말에게 indication할 수 있다. 이때, k 값은 RRC signaling을 통해 단말에게 사전에 알려지는 값이거나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미리 합의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k = 0, 1, 2, .., max 중 하나의 값일 수 있다. 한편, n 번째 slot에서 S-PUCCH의 전송 여부는 동일 slot (n 번째 slot) 또는 이전 slot (n - l 번째 slot)에서 하향링크로 전송되는 DL DCI 또는 UL DCI를 통해 기지국이 단말에게 지시(indication)할 수 있다. 이때, l 값은 RRC signaling을 통해 단말에게 사전에 알려지는 값이다. 예를 들어, l = 0, 1, 2, .., max 중 하나의 값일 수 있다. 앞서 언급한 k 값과 l 값은 서로 다른 값일 수 있으며, k 값에 대한 max와 l 값에 대한 max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단계 325에서 기지국은 이전 단계에서 전송한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로부터 PUSCH 및 S-PUCCH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자신이 특정 slot에서 PUSCH와 S-PUCCH를 연속적으로 전송할 것을 허락한 단말에게서는 PUSCH와 S-PUCCH가 연속적으로 전송될 것을 기대하고, PUSCH와 S-PUCCH를 연속적으로 수신한다. 그러나, 기지국이 특정 slot에서 PUSCH와 S-PUCCH를 연속적으로 전송할 것을 허용하지 않은 단말에게서는 PUSCH와 S-PUCCH 둘 중 하나만이 전송될 것을 기대한다. 실시 예에서 PUSCH와 S-PUCCH를 기대하는 것은 해당 상향링크 자원에서 해당 채널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기지국은 단말에 PUSCH S-PUCCH의 연속 전송을 지시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단말이 PUSCH를 전송해야 하는지 또는 S-PUCCH를 전송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앞서 설명한 것처럼 group common DCI 또는 UE-specific DCI를 통해 단말에게 indication할 수 있다. 기지국은 PUSCH와 S-PUCCH의 연속전송 여부만을 단말에게 indication하고 단말은 기지국과의 사전에 약속한 규칙에 따라 특정 slot에서 PUSCH 또는 S-PUCCH 만을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상기 연속 전송 여부를 지시하는 indication은 해당 slot의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되거나 기 설정된 숫자만큼 이전의 slot에서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과의 사전에 약속한 규칙에 따라 PUSCH 또는 S-PUCCH만을 특정 slot에서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규칙은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으며, 다음의 예를 포함할 수 있다.
* PUSCH로 UCI가 multiplexing되어 전송되지 않는 경우
- PUSCH는 dropping되고 S-PUCCH만 전송된다.
* PUSCH로 UCI가 multiplexing되어 전송되는 경우
- PUSCH에 HARQ-ACK/NACK 정보가 multiplexing 되는 경우, S-PUCCH는 dropping되고 PUSCH가 전송된다.
- PUSCH에 HARQ-ACK/NACK 정보가 multiplexing 되지 않는 경우, PUSCH는 dropping되고 S-PUCCH가 전송된다.
실시 예에서 HARQ-ACK/NACK과 같은 피드백 정보 전송에 우선을 두어 dropping 되는 정보를 결정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실시 예에 따라 기 설정되었거나, 기지국이 지시한 정보가 dropping 될 수 있다.
도 3b는 PPUSCH와 PS- PUCCH의 차이가 커짐으로써 발생하는 문제를 막기 위한 단말 동작에 대한 예시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단말은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제어를 위해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면 상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단계는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 340에서 단말은 동일 slot에서 PUSCH와 S-PUCCH를 연속적으로 전송할 수 있을지에 대한 능력협상을 기지국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능력 협상은 기지국의 요청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단말은 상향링크 전송 능력과 관련된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으며, 기지국은 해당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 능력, 셀 내의 다른 단말의 전송 능력 및 셀 내의 단말들의 스케줄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동일 slot에서 PUSCH와 S-PUCCH의 연속 전송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345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송신전력 제어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상향링크 송신 전력 제어 관련 정보는 상향링크 송신 전력을 결정하기 위한 파라메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PUSCH와 S-PUCCH를 연속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 단말과, 이러한 능력을 갖지 못하는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송신전력 제어 파라미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모든 단말은 동일 slot에서 PUSCH와 S-PUCCH를 연속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앞서 언급한 기지국과의 능력협상은 생략될 수 있다. 단말이 기지국과 능력협상을 수행하는 경우, PUSCH와 S-PUCCH의 연속전송 능력을 보유한 단말과 연속전송 능력을 보유하지 못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서로 다른 상향링크 송신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350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특정 slot에서 PUSCH와 S-PUCCH의 연속 전송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계 355 및 단계 360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동일 슬롯 내에서 PUSCH와 S-PUCCH를 연속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상향링크 전송 능력을 가진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이와 관련된 상향링크 송신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수신 및, 기지국으로부터 별도의 PUSCH/S-PUCCH 연속전송 여부에 대해 지시 수신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스케줄링의 유연성을 위해, PUSCH와 S-PUCCH의 연속전송 능력을 가진 단말에게 특정 slot에서 PUSCH 또는 S-PUCCH 중 하나의 전송만을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PUSCH와 S-PUCCH를 연속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단말이라도, 특정 slot에서 PUSCH와 S-PUCCH를 연속적으로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를 기지국으로부터 명령 받을 수 있다. 이러한 특정 slot에서 PUSCH와 S-PUCCH를 연속적으로 전송할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는 group common DCI 또는 UE-specific DCI를 통해 단말에게 수신될 수 있다. 동일 slot에서 PUSCH와 S-PUCCH를 연속적으로 전송할 것을 기지국으로부터 명령 받은 단말은 PUSCH와 S-PUCCH를 연속적으로 전송한다. PUSCH와 S-PUCCH를 연속적으로 전송할 것을 기지국으로부터 허가 받지 못한 단말은, 기지국의 명령에 따라 PUSCH 또는 S-PUCCH를 전송한다. 또 다른 일 예로, PUSCH와 S-PUCCH의 연속전송 능력이 없는 단말 또는 PUSCH와 S-PUCCH의 연속전송을 허가 받지 못한 단말은, 기지국의 별도 명령 없이, 정해진 우선 순위 (또는 정해진 규칙)에 따라 PUSCH 또는 S-PUCCH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규칙은 도 3a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기지국은 단말이 PUSCH와 S-PUCCH 중 어느 채널을 전송했는지 모르기 때문에, blind decoding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이 단말에 설정한 상향링크 송신 전력 제어 파라메터를 기반으로 단말이 특정 slot에서 PUSCH와 S-PUCCH의 연속 전송 여부를 결정할 경우, 기지국은 단말이 전송한 신호에 대해서 blind decoding을 수행하고 이를 기반으로 단말이 전송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4a는 PPUSCH와 PS- PUCCH의 차이가 커짐으로써 발생하는 문제를 막기 위한 기지국 동작에 대한 또 다른 예시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제어를 위해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면 상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단계는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단계 410과 같이 동일 slot에서 PUSCH와 S-PUCCH의 연속 전송 능력을 판단하는 부분은 도 3a의 단계 310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415에서 기지국은 단말에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제어를 위한 파라메터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PUSCH와 S-PUCCH의 연속 전송 여부를 기지국이 결정해서 이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으며, 단말이 PUSCH와 S-PUCCH의 연속 전송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파라미터를 설정(configuration)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송신전력제어 파라미터에 Threshold (임계값)를 포함시켜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임계값은 PUSCH와 S-PUCCH의 송신전력 차이의 최대 허용치를 나타내는 값이거나 (Y [dB] or Y [dBm]), PUSCH와 S-PUCCH의 송신전력 차이를 유발하는 PUSCH와 S-PUCCH 전송을 위해 할당된 RB 수의 차이에 대한 최대 허용치를 의미할 수 있다 (x RBs).
단계 420에서 기지국은 이전 단계에서 전송한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로부터 PUSCH 및 S-PUCCH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전 단계에서 기지국이 단말에 임계값으로써 Y [dB] or Y [dBm]을 configuration한 경우, 기지국은 단말의 송신전력 값을 정확히 모르기 때문에, 단말이 PUSCH와 S-PUCCH를 연속적으로 전송할 것인지, PUSCH와 S-PUCCH 둘 중 하나만을 전송할 것인지의 여부를 모를 수 있고, 이에 따라 기지국은 단말이 전송한 신호에 대해 blind decoding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b는 PPUSCH와 PS- PUCCH의 차이가 커짐으로써 발생하는 문제를 막기 위한 단말 동작에 대한 또 다른 예시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단말은 상향링크 전송 전력 제어를 위해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면 상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단계는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 430에서 단말은 동일 slot에서 PUSCH와 S-PUCCH를 연속적으로 전송할 수 있을지에 대한 능력협상을 기지국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능력 협상은 기지국의 요청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단말은 상향링크 전송 능력과 관련된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으며, 기지국은 해당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 능력, 셀 내의 다른 단말의 전송 능력 및 셀 내의 단말들의 스케줄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동일 slot에서 PUSCH와 S-PUCCH의 연속 전송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동일 slot에서 PUSCH와 S-PUCCH의 연속 전송 보유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부분은 도 3b의 단계 340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435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송신전력 제어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상향링크 송신 전력 제어 관련 정보는 상향링크 송신 전력을 결정하기 위한 파라메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기지국은 PUSCH와 S-PUCCH의 연속 전송 여부를 단말에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상기 기지국이 전송한 파라메터를 기반으로 특정 slot에서 단말이 PUSCH와 S-PUCCH의 연속 전송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임계값을 포함한 송신전력제어 파라미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430에서 단말은 PPUSCH와 PS- PUCCH 의 차이 값이 기지국에서 설정한 임계값 보다 큰지 여부에 대해서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단계 445 및 단계 45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시 예에서 PPUSCH와 PS- PUCCH의 차이가 기지국이 configuration한 임계값 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단말은 PUSCH와 S-PUCCH를 해당 slot에서 연속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PUSCH와 S-PUCCH의 송신전력은 기지국이 configuration한 송신전력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단말이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상기 [수학식 1]을 사용하여 상향링크 채널과 관련된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PPUSCH와 PS- PUCCH의 차이가 기지국이 configuration한 임계값 보다 큰 경우, 단말은 기지국과의 약속된 규칙 (또는 우선순위)에 따라 특정 slot에서 PUSCH 또는 S-PUCCH 둘 중 하나만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단말과 기지국과의 약속된 규칙은 다양하게 정의할 수 있으며 다음의 예를 포함할 수 있다.
* PUSCH로 UCI가 multiplexing되어 전송되지 않는 경우
- PUSCH는 dropping되고 S-PUCCH만 전송된다.
* PUSCH로 UCI가 multiplexing되어 전송되는 경우
- PUSCH에 HARQ-ACK/NACK 정보가 multiplexing 되는 경우, S-PUCCH는 dropping되고 PUSCH가 전송된다.
- PUSCH에 HARQ-ACK/NACK 정보가 multiplexing 되지 않는 경우, PUSCH는 dropping되고 S-PUCCH가 전송된다.
도 5는 14 심볼로 구성된 slot에서 L-PUCCH (Long PUCCH)와 S-PUCCH가 공존하는 예시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각 슬롯(510, 520)에서 L-PUCCH 및 S-PUCCH를 위한 자원 영역이 할당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L-PUCCH 및 S-PUCCH는 각 자원 영역을 언급하기 위한 표현으로 해당 자원 영역을 지칭하는 용어는 자유롭게 변형되어 사용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단말은 특정 slot에서 L-PUCCH와 S-PUCCH를 연속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UCI (uplink control information) 종류 및 UCI의 크기 (bits 수)에 따라 L-PUCCH 또는 S-PUCCH를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CQI 또는 hybrid beamforming에 관련된 피드백 정보는 HARQ-ACK 피드백 정보에 비해 많은 비트 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비트 수가 많은 UCI들은 L-PUCCH로 전송되고, 상대적으로 적은 비트 수를 갖는 SR (Scheduling Request)과 HARQ-ACK은 S-PUCCH로 전송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지연 시간에 대한 요구사항이 큰 (예를 들어, 짧은 지연 시간을 요구) UCI들은 S-PUCCH로 전송되고, 지연 시간에 대한 요구사항이 적은 UCI들은 L-PUCCH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a, 도 3b, 도 4a, 그리고 도 4b에서 언급한 PUSCH와 S-PUCCH에 대한 동작은 L-PUCCH 와 S-PUCCH에 대한 동작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이때,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사전에 약속된 규칙 (우선순위)은 PUSCH/S-PUCCH의 전송과 L-PUCCH/S-PUCCH의 전송에서 다를 수 있다. 일 예로, L-PUCCH/S-PUCCH에 대한 단말과 기지국과의 약속된 규칙은 다음과 같다.
* L-PUCCH로 HARQ-ACK이 전송되지 않고 S-PUCCH로 HARQ-ACK이 전송되는 경우
- L-PUCCH는 dropping되고 S-PUCCH만 전송된다.
* L-PUCCH로 HARQ-ACK이 전송되고 S-PUCCH로 HARQ-ACK이 전송되지 않는 경우
- S-PUCCH는 dropping되고 L-PUCCH 가 전송된다.
실시 예에서 HARQ-ACK/NACK과 같은 피드백 정보 전송에 우선을 두어 dropping 되는 정보를 결정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실시 예에 따라 기 설정되었거나, 기지국이 지시한 정보가 dropping 될 수 있다.
단말과 기지국과의 약속된 규칙에 대한 또 다른 일 예로, S-PUCCH와 L-PUCCH의 연속 전송을 지원하지 못하는 단말이나, 특정 slot에서 기지국이 S-PUCCH와 L-PUCCH의 연속 전송을 허용하지 않은 경우, 또는 특정 slot에서 기지국이 configuration한 임계값을 만족하지 못한 경우, 단말은 지연 시간에 민감한 S-PUCCH 전송에 우선순위를 두고 L-PUCCH의 전송을 포기 (L-PUCCH drop)하도록 규칙을 정할 수 있다.
한편, 도 4a 내지 도 4b에서 언급한 PUSCH와 S-PUCCH의 연속 전송을 결정하는 임계값과, L-PUCCH와 S-PUCCH의 연속 전송을 결정하는 임계값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PUSCH와 S-PUCCH, 그리고 L-PUCCH의 송신전력 제어를 위한 파라미터 및 수학식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수학식 1]은 L-PUCCH의 송신전력 제어에 사용될 수 있다. 다만, L-PUCCH에 사용될 수 있는 심볼의 개수가 4 내지 14에서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coding rate을 유지하기 위해서, 심볼 개수에 따라 주파수 자원을 증가 또는 감소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L-PUCCH로 전송되는 UCI payload size를 X bits로 가정하고, L-PUCCH의 심볼 개수가 L1이고, 주파수 자원 (RB의 수 또는 subcarrier의 수)이 m1인 경우의 coding rate을 R1이라고 가정하자. 이때, R1 = X / (L1 * m1)일 수 있다. 동일 UCI X bits의 전송을 가정할 때, 동일 coding rate을 유지하기 위해, L-PUCCH의 심볼수가 L2로 변경되면 L-PUCCH의 주파수 자원은 m2로 변경돼야 한다. 즉, R1 = X / (L1 * m1) = (L2 * m2). 따라서 상기 [수학식 1]은 하기 [수학식 7]과 같이 L-PUCCH 주파수 자원 (전송 대역폭), ML- PUCCH을 고려하여 변경될 필요가 있다.
[수학식 7]
PL - PUCCH(i) = min{PCMAX(i), 10 log 10 (M L- PUCCH ) + P0 _ PUCCH + PL + h(nCQI, nHARQ, nSR) + ΔF_ PUCCH(F) + ΔTxD(F') + g(i)} [dBm]
상기 [수학식 7]은 도 3a, 도 3b, 도 4a 내지 도 4b에서 언급한 기지국과 단말의 동작과 더불어 S-PUCCH의 송신 전력 제어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도 3a, 도 3b, 도 4a 내지 도 4b에서 언급한 PUSCH 또는 S-PUCCH의 dropping 등은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학식 7]은 PUSCH와 S-PUCCH가 연속적으로 전송되는 경우, 전송전력의 전이 시간에 대한 요구사항을 만족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하기 [수학식 8-1]과 같은 S-PUCCH 송신전력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수학식 8-1]
PS- PUCCH(i) = min{PCMAX(i), PS- PUCCH _OFFSET(k) + 10log10(MS- PUCCH) + P0 _ PUSCH(j) + α(j)*PL + f(i)} [dBm]
상기 [수학식 8-1]에서 PS- PUCCH _OFFSET(k)는 UE-specific RRC 또는 Cell-specific RRC를 통해 configuration될 수 있는 파라미터로써, PUSCH와 S-PUCCH의 송신전력 차이를 보상해 주는 값이다. 또한 PS- PUCCH _OFFSET(k)는 S-PUCCH의 수신 SINR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한 값으로, S-PUCCH로 전송되는 UCI payload size (즉, UCI 전송 bits 수) 또는 UCI payload 종류 (즉, HARQ-ACK, CQI, SR 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S-PUCCH로 전송되는 UCI payload size 또는 UCI payload 종류에 따라 S-PUCCH의 포맷을 정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S-PUCCH format 1은 1-bit 또는 2-bit HARQ-ACK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PUCCH format 2는 10 bits의 크기를 지원하며, HARQ-ACK, CQI, SR 또는 hybrid beamforming 시스템에서 beam에 대한 정보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S-PUCCH format 3은 30 bits의 크기를 지원하며, S-PUCCH format 2와 유사하게, HARQ-ACK, CQI, SR 또는 hybrid beamforming 시스템에서 beam에 대한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PS- PUCCH _OFFSET(k)는 앞서 언급한 다양한 S-PUCCH format을 지원하기 위해, S-PUCCH format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즉, k는 S-PUCCH format의 index를 나타낼 수 있다). MS- PUCCH는 S-PUCCH 전송을 위한 주파수 자원 (전송 대역폭)을 나타낸다. P0 _ PUSCH(j)는 PUSCH 전송 전력에 대한 파라미터로써, P0 _NOMINAL_ PUSCH + P0 _ UE _ PUSCH로 구성될 수 있으며, higher layer signaling (RRC signaling)을 통해 기지국이 단말에게 configuration하는 값이다. 특히, P0 _NOMINAL_ PUSCH 는 셀-특정 (cell-specific)한 값이며, P0 _ UE _ PUSCH 는 단말-특정 (UE-specific)한 값이다. Cell-specific한 값은 Cell-specific RRC signaling (SIB: System Information Block)을 통해 기지국이 전송하며, UE-specific한 값은 dedicated RRC signaling (UE-specific RRC signaling)을 통해 기지국이 전송할 수 있다. 이때, j는 PUSCH의 grant 방식을 의미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j = 0은 semi-persistent grant를 의미하고, j = 1은 dynamic scheduled grant, 그리고 j = 2는 random access response에 대한 PUSCH grant를 의미한다. 한편, α(j)는 경로손실 (path-loss)을 보상하기 위한 값으로, PUSCH grant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을 기지국이 configuration할 수 있다. 일 예로, j = 0 또는 j = 1인 경우, α(j)는 {0, 0.4, 0.5, 0.6, 0.7, 0.8, 0.9, 1} 중 하나의 값으로 기지국이 cell-specific하게 configuration할 수 있다. j = 2인 경우, α(j) = 1일 수 있다. PL은 단말이 계산하는 경로손실 값으로, 기지국이 전송하는 하향링크 채널의 RS (reference signal)의 수신 전력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 이때, 경로손실을 계산하는 하향링크 채널의 RS는 CSI-RS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또는 SS (synchronization signal)일 수 있다.
한편, f(i)는 Closed-loop으로 전력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파라미터이며, accumulation 기반의 전력제어 또는 absolute value 기반의 전력제어를 수행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accumulation 기반의 전력제어 또는 absolute value 기반의 전력제어를 수행하는지의 여부는, higher layer signaling (dedicated RRC signaling)을 통해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ccumulation-enabled = on 되면 단말은 accumulation 기반의 전력제어를 수행하고, Accumulation-enabled = off 되면, 단말은 absolute value 기반의 전력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absolute value 기반의 전력 제어 수행 여부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이 단말에 전송할 수도 있으며, 해당 정보가 off를 지시할 경우 accumulation 기반의 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의 Accumulation 기반의 전력제어에서 f(i) = f(i - 1) + δPUSCH(i - KPUSCH)로 동작할 수 있다. 즉, i 번째 subframe에서 f(i)는 이전 subframe (즉, i - 1번째 subframe)에서 사용한 f(i-1) 값에 i - KPUSCH번째 subframe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통해 DCI로 단말에게 전송했던 δPUSCH 값을 accumulation해서 사용하게 된다. KPUSCH 는 기지국이 RRC signaling을 통해 단말 별로 configuration할 수 있다. 이때, KPUSCH 는 단말의 capability와 연관이 있는 파라미터로, 기지국과 단말의 능력협상 시 기지국이 각 단말로부터 획득하는 값이다. 이를 바탕으로 기지국은 특정 단말이 하향링크 PDCCH의 수신 후, 얼마나 빨리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해야 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에 근거하여 기지국은 KPUSCH 값을 RRC signaling을 통해 configuration 하거나, group common DCI 또는 UE-specific DCI를 통해 단말에게 indication할 수 있다. FDD 시스템과 TDD 시스템에서 KPUSCH는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Absolute value 기반의 전력제어에서 f(i) = δPUSCH(i - KPUSCH)로 동작한다. 즉, i 번째 subframe에서 f(i)는 i - KPUSCH 번째 subframe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통해 DCI로 단말에게 전송했던 δPUSCH 값을 accumulation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다. KPUSCH 는 기지국이 RRC signaling, group common DCI 또는 UE-specific DCI를 통해 configuration할 수 있으며, FDD 시스템과 TDD 시스템에서 KPUSCH는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Accumulation 기반의 전력제어와 Absolute value 기반의 전력제어에 사용되는 δPUSCH 값은 DCI format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수학식 8-1]에서 P0 _ PUSCH(j) + α(j)*PL + f(i)는 i번째 subframe에서 PUSCH 전송에 사용된 송신전력 파라미터를 재사용하는 것으로써, 이러한 송신전력 제어를 통해 앞서 언급한 PUSCH와 S-PUCCH의 송신전력 차이가 커짐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8-1]에 대한 변형으로 하기 [수학식 8-2]를 고려할 수 있다.
[수학식 8-2]
PS- PUCCH(i) = min{PCMAX(i), PS- PUCCH _OFFSET(k) + 10log10(MS- PUCCH) + PL + f(i)} [dBm]
상기 [수학식 8-2]에서는 상기 [수학식 8-1]의 P0 _ PUSCH(j)가 사용되지 않으며, PS- PUCCH _OFFSET(k) 값이 P0 _ PUSCH(j)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채널의 신뢰도 높은 전송을 위해, α(j)는 항상 1로 setting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수학식 8-1]에서 f(i)는 i번째 subframe에서 PUSCH에 사용될 closed-loop 전력제어 파라미터를 의미한다. 따라서 f(i)에 δPUSCH와 KPUSCH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 [수학식 8-2]에서 f(i)는 i번째 subframe에서 S-PUCCH에 사용될 closed-loop 전력제어 파라미터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f(i)에 δS- PUCCH와 KS- PUCCH가 사용될 수 있다. [수학식 8-2]에서도 상기 [수학식 8-1]에서처럼 f(i)에 accumulation 방법이 사용될 것인지 또는 absolute 방법이 사용될 것인지에 대해 기지국이 RRC로 configuration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학식 8-1]에서와 다르게 기지국의 RRC configuration 없이, absolute 방법 또는 accumulation 방법만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8-2]에 대한 변형으로 하기 [수학식 8-2]을 고려할 수 있다.
[수학식 8-3]
PS- PUCCH(i) = min{PCMAX(i), P S- PUCCH _OFFSET + h( n CQI , n HARQ , n SR ) + 10log10(MS- PUCCH) + PL + f(i)} [dBm]
상기 [수학식 8-2]에서 PS- PUCCH _OFFSET(k)는 S-PUCCH로 전송되는 제어정보의 크기 (bits 수) 또는 제어정보의 종류 (예를 들어, CQI, HARQ-ACK, SR, 또는 beam 관련 정보)에 따라 달라지는 값일 수 있다 (즉, S-PUCCH의 format에 따라 서로 다른 PS-PUCCH_OFFSET(k) 값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수학식 8-3]에서는 S-PUCCH로 전송되는 제어정보의 크기 및 제어정보의 종류에 무관하게, 동일한 PS- PUCCH _OFFSET이 사용될 수 있다 (즉, S-PUCCH의 format에 무관하게 동일한 PS- PUCCH _OFFSET 값이 사용됨). 그리고, 제어정보의 크기 및 제어정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요구사항 (예를 들어, 기지국에서의 수신 SINR)을 만족시키기 위해, 상기 [수학식 1]에서와 같이 h(nCQI, nHARQ, nSR) 파라미터를 도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학식 8-3]에서 명시한 h(nCQI, nHARQ, nSR) 파라미터는 상기 [수학식 1]에 명시된 h(nCQI, nHARQ, nSR) 파라미터와 다른 값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8-3]에서 f(i)는 i번째 subframe에서 PUSCH에 사용될 closed-loop 전력제어 파라미터를 의미한다. 따라서 f(i)에 δPUSCH와 KPUSCH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수학식 8-3]에서 f(i)는 i번째 subframe에서 S-PUCCH에 사용될 closed-loop 전력제어 파라미터를 의미할 수 있다. 즉, δPUSCH와 KPUSCH와 다른 값을 갖는 δS- PUCCH와 KS- PUCCH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8-3]에 대한 변형으로 하기 [수학식 8-4]를 고려할 수 있다.
[수학식 8-4]
PS- PUCCH(i) = min{PCMAX(i), PS- PUCCH _OFFSET + h(nCQI, nHARQ, nSR) + PL + f(i)+ Δ F_PUCCH (F) + Δ TxD (F')} [dBm]
상기 [수학식 8-4]에서는 상기 [수학식 8-3]에 상기 [수학식 1]에서와 같이, ΔF_ PUCCH(F) + ΔTxD(F')가 추가되었다. 또한 10log10(MS- PUCCH)가 삭제되었다. ΔF_ PUCCH(F)은 상기 [수학식 1]에서와 같이 S-PUCCH의 포맷에 따라 가변 될 수 있는 offset을 의미한다. ΔTxD(F')는 상기 [수학식 1]에서와 같이 S-PUCCH에 송신 안테나 다이버시티 기법이 사용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파라미터이다. 상기 [수학식 8-4]에서 f(i)는 i번째 subframe에서 PUSCH에 사용될 closed-loop 전력제어 파라미터를 의미한다. 따라서 f(i)에 δPUSCH와 KPUSCH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수학식 8-4]에서 f(i)는 i번째 subframe에서 S-PUCCH에 사용될 closed-loop 전력제어 파라미터를 의미할 수 있다. 즉, δPUSCH와 KPUSCH와 다른 값을 갖는 δS- PUCCH와 KS- PUCCH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예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수학식 8-1], [수학식 8-2], [수학식 8-3], 그리고 [수학식 8-4]의 다양한 조합으로 인한 변형들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수학식 8-1], [수학식 8-2], [수학식 8-3], 그리고 [수학식 8-4]의 조합이 아닌 하기 [수학식 9]를 고려할 수 있다.
[수학식 9]
PS- PUCCH(i) = min{PCMAX(i),
PS- PUCCH _OFFSET + PL + 10log10(MS- PUCCH) + Δ F_ PUCCH (F) + Δ TF (i) + g(i)} [dBm]
상기 [수학식 9]에서 ΔTF(i)는 UCI의 payload size (bits 수)에 따라 서로 다른 error rate 요구사항을 만족 시키기 위한 파라미터이다. ΔTF(i)는 10log10(21.25*BPRE(i) - 1)로 계산될 수 있으며, BPRE(i)는 resource element (subcarrier) 당 bit 수를 의미하며 (Bits Per Resource Element), i번째 subframe에서 전송되는 UCI 정보들의 bits 수와 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resource element (RE) 수의 비로 계산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9]에서 ΔF_ PUCCH(F)는 상기 [수학식 8-4]에서와 명시한 바와 같이 S-PUCCH의 format에 따라 변하는 offset 값이다. 상기 [수학식 9]에서 g(i)는 S-PUCCH를 위한 별도의 closed-loop 송신전력 제어 함수를 의미하며, 상기 [수학식 8-1], [수학식 8-2], [수학식 8-3] 그리고 [수학식 8-4]에 명시한 f(i)와 다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수학식 9]의 변형으로, [수학식 8-1], [수학식 8-2], [수학식 8-3] 그리고 [수학식 8-4]에 명시한 f(i)와 같이, 상기 [수학식 9]의 g(i)는 PUSCH의 closed-loop 송신전력 제어에 사용되는 함수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hybrid beamforming 시스템에서는 PUSCH 전송에 사용되는 단말의 TX beam과 S-PUCCH 전송에 사용되는 단말의 TX beam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PUSCH 수신에 사용되는 기지국의 RX beam과 S-PUCCH 수신에 사용되는 기지국의 RX beam이 서로 다를 수 있다. PUSCH 전송에 사용되는 단말의 TX beam과 PUSCH 수신에 사용되는 기지국의 RX beam의 pair (쌍)를 PUSCH beam pair (BP)로 정의하고, S-PUCCH 전송에 사용되는 단말의 TX beam과 S-PUCCH 수신에 사용되는 기지국의 RX beam의 pair (쌍)를 S-PUCCH beam pair(BP)로 정의하자. 이때, 동일 slot에서 PUSCH와 S-PUCCH가 연속적으로 전송되는 경우, 기지국의 빔 운용 시나리오에 따라 PUSCH BP와 S-PUCCH BP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flexible한 빔 운용을 위해, 상기 [수학식 8-1]에 정의된 P0_PUSCH(j), α(j), PS- PUCCH _OFFSET(k) 값을 BP 별로 서로 다르게 운용할 수 있다.
도 6은 기지국과 단말에서 형성하는 beam 또는 beam pair에 대한 예시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지국(610)은 단말(620)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620)은 T1 내지 TM의 송신 빔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기지국(610)은 R1 내지 RN의 수신빔을 기반으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지국(610)은 N개의 RX beam을 형성할 수 있고 각 beam의 index가 R1, R2, R3, … ,RN-1, RN 이라고 가정하자. 또한, 단말(620)은 M개의 TX beam을 형성할 수 있고 각 beam의 index가 T1, T2, T3, … ,TM -1, TM 이라고 가정하자. 기지국(610)의 RX beam과 단말의 TX beam의 pair에 따라 P11, P12, Pij,…, PNM을 형성할 때 (i는 기지국 RX beam, j는 단말 TX beam), 기지국은 각 BP에 따라 P0 _ PUSCH(j), α(j), 그리고 PS- PUCCH _OFFSET(k) 값을 다르게 configuration할 수 있다. 즉, 다음 예시와 같이 기지국(610)은 configuration할 수 있다.
P0-NominalPUSCH-beampair11 = X1 [dBm], P0-NominalPUSCH-beampair12 = X2 [dBm], …, P0-NominalPUSCH-beampairNM = XNM [dBm];
P0-UE-PUSCH-beampair11 = Y1 [dBm], P0-UE-PUSCH-beampair12 = Y2 [dBm], …, P0-UE-PUSCH-beampairNM = YNM [dBm];
PS- PUCCH _OFFSET-beampair11 = Z1 [dBm], PS- PUCCH _OFFSET-beampair12 = Z2 [dBm], …,
PS- PUCCH _OFFSET-beampairNM = ZNM [dBm];
Alpha-beampair11 = A1, Alpha-beampair12 = A2, …, Alpha-beampairNM = ANM, 이때, 0 ≤ ANM ≤ 1 이다.
상기 예는 BP에 따라 P0 _ PUSCH(j), α(j), 그리고 PS- PUCCH _OFFSET(k) 값 모두가 다르게 configuration하는 경우이나, P0 _ PUSCH(j), α(j), 그리고 PS- PUCCH _OFFSET(k) 값들 중 하나 또는 둘은 상기 예에서와 같이 BP에 따라 서로 다른 파라미터를 사용하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값은 BP에 무관하게 동일한 값을 사용하여 configuration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예에서, N과 M은 각각 기지국과 단말의 beam 개수를 지칭하므로, 기지국과 단말이 형성할 수 있는 모든 BP에 대해 configuration하는 경우에 대해 표현하였다. 그러나 기지국은 모든 BP 중 일부 BP에 대해서만 configuration 할 수 있으며, 이때 configuration되는 P0 _ PUSCH(j), α(j), 그리고 PS- PUCCH _OFFSET(k) 값들은 단말 별로 서로 상이할 수 있다.
BP 별로 P0 _ PUSCH(j), α(j), 그리고 PS- PUCCH _OFFSET(k) 값을 다르게 configuration하는 경우, 기지국과 단말에서 운용하는 빔의 개수가 증가하게 되면, 많은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BP 별로 P0 _ PUSCH(j), α(j), 그리고 PS-PUCCH_OFFSET(k) 값을 다르게 configuration하는 가장 큰 이유는, 인접 셀로 야기하는 간섭의 세기가 BP 별로 상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서로 인접한 빔들 또는 인접한 BP들은 인접 셀로 야기하는 간섭의 세기가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BP들을 grouping하여 BPG (beam pair group) 별로 서로 다른 P0 _ PUSCH(j), α(j), 그리고 PS- PUCCH _OFFSET(k) 값을 configuration할 수 있으며, 다음 예시와 같다.
P0-NominalPUSCH-beampairGroup1 = X1 [dBm], P0-NominalPUSCH-beampairGroup2 = X2 [dBm], …, P0-NominalPUSCH-beampairGroupK = XK [dBm];
P0-UE-PUSCH-beampairGroup1 = Y1 [dBm], P0-UE-PUSCH-beampairGroup2 = Y2 [dBm], …, P0-UE-PUSCH-beampairGroupK = YK [dBm];
PS- PUCCH _OFFSET-beampair11 = Z1 [dBm], PS- PUCCH _OFFSET-beampair12 = Z2 [dBm], …,
PS- PUCCH _OFFSET-beampairNM = ZK [dBm];
Alpha-beampairGroup1 = A1, Alpha-beampairGroup2 = A2, …, Alpha-beampairGroupK = AK, 이때, 0 ≤ AK ≤ 1 이다.
상기 예는 BPG에 따라 P0 _ PUSCH(j), α(j), 그리고 PS- PUCCH _OFFSET(k) 값 모두가 다르게 configuration하는 경우이나, P0 _ PUSCH(j), α(j), 그리고 PS- PUCCH _OFFSET(k) 값들 중 하나 또는 둘은 상기 예에서와 같이 BPG에 따라 서로 다른 파라미터를 사용하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값은 BPG에 무관하게 동일한 값을 사용하여 configuration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예에서, K는 기지국과 단말이 형성할 수 있는 모든 BPG에 대해 configuration하는 경우를 표현하였다. 그러나 기지국은 모든 BPG 중 일부 BPG에 대해서만 configuration 할 수 있으며, 이때 configuration되는 P0 _ PUSCH(j), α(j), 그리고 PS- PUCCH _OFFSET(k) 값들은 단말 별로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BP 별 또는 BPG 별 서로 다른 configuration은 Common RRC signaling 또는 UE-specific RRC signaling (dedicated RRC signaling)을 통해 기지국이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configuration에 대한 또 다른 일 예로, 특정 BP 또는 BPG에 대해서 P0 _ PUSCH(j), α(j), 그리고 PS- PUCCH _OFFSET(k) 값을 configuration하고, 나머지 BP 또는 BPG에 대해서는 configuration한 P0 _ PUSCH(j), α(j), 그리고 PS- PUCCH _OFFSET(k) 값을 기준으로, offset (차이 값) 값만을 configuration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RRC signaling은 semi-static하게 configuration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BP 또는 BPG이 dynamic하게 변경되는 경우 이를 송신전력 제어에 반영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모든 BP 또는 BPG에 대한 P0_PUSCH(j), α(j), 그리고 PS- PUCCH _OFFSET(k), 또는 모든 BP 또는 BPG에 대한 P0 _ PUSCH(j), α(j), 그리고 PS- PUCCH _OFFSET(k) 들 중에서 일부 값들 (subset)을 configuration하고, 실제로 어떤 P0 _ PUSCH(j), α(j), 그리고 PS- PUCCH _OFFSET(k) 값을 S-PUCCH 송신전력 제어에 사용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group common PDCCH 또는 UE-specific PDCCH를 통해 기지국이 단말로 dynamic하게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hybrid beamforming 시스템에서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전송하는 하향링크 beam, 그리고 단말이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상향링크 beam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빔 관리: beam management). 따라서, 기지국은 단말이 송신하는 PUSCH와 S-PUCCH의 beam (BP 또는 BPG)을 MAC CE 또는 DCI를 통해 indication할 수 있다. 이때, beam, BP (또는 BPG)에 대한 정보는 BP (또는 BPG)와 연계된 자원 index 또는 BP (또는 BPG)와 연계된 안테나 port index를 통해 간접적으로 지칭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특정 slot (예를 들어, n 번째 slot)에서 PUSCH가 전송되는 경우, 기지국은 n - k 번째 slot에서 PDCCH로 전송되는 DCI 또는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로 전송되는 MAC CE를 통해, n 번째 slot에서 전송되는 PUSCH가 사용해야 하는 beam, BP 또는 BPG에 대한 정보를 indication할 수 있다. 이때, k 값은 RRC를 통해 configuration할 수 있다. 일 예로, k = 0으로 기지국이 configuration한 경우, 단말은 n 번째 slot에 PDCCH로 전송되는 DCI 또는 PDSCH로 전송되는 MAC CE를 통해 해당 slot (n 번째 slot)에 PUSCH가 사용해야 하는 beam, BP 또는 BPG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beam, BP 또는 BPG에 대한 정보는 특정 beam, BP 또는 BPG 방향으로 전송되는 하향링크 RS (예를 들어, CSI-RS 또는 SS)의 시간/주파수 자원 index, 하향링크 RS의 안테나 포트 index, 또는 beam index 및 BP index (BPG index)일 수 있다.
이러한 기지국의 빔 관리를 단말이 지원하기 위해, 단말은 둘 이상의 beam, BP, 또는 BPG에 대해 경로감쇄 값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학식 8-1], [수학식 8-2], [수학식 8-3], [수학식 8-4], 내지 [수학식 9]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단말은 송신전력을 계산하기 위해 PL을 추정하며, 이때 PL 추정은 상기 [수학식 2]와 같이 기지국이 전송한 referenceSignalPower와 단말이 측정하여 filtering한 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에 기반할 수 있다. Hybrid beamforming 시스템에서는, 기지국이 송신하는 RS에 TX beamforming이 적용되기 때문에 기지국은 자신의 TX beam gain이 반영된 referenceSignalPower를 단말에게 RRC signaling을 통해 configuration할 수 있다. 또한, hybrid beamforming 시스템에서, 빔의 변화가 dynamic할 수 있기 때문에 higher layer에서 filtering을 수행할 경우, filtering에 소요되는 긴 지연시간으로 인해 빔의 변화에 따른 dynamic 송신전력 제어를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hybrid beamforming 시스템에서는 higher layer에서의 filtering 없이 측정한 RSRP를 사용하여 경로감쇄를 추정할 수도 있다. 한편, higher layer filtering의 적용 여부를 기지국은 RRC signaling을 통해 configuration할 수 있다 (즉, higher layer filtering의 on/off). Higher layer filtering 적용을 configuration하는 경우, 기지국은 higher layer filtering에 사용되는 filtering coefficient 값들을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빔 관리를 위해 기지국이 지시한 beam, BP, 또는 BPG에 대해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기지국으로 보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RRC signaling 또는 MAC CE를 통해 단말이 보고해야 할 beam, BP, 또는 BPG의 개수를 configuration할 수 있다. 이에 기반하여 단말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기지국에 해당 beam, BP 또는 BPG의 품질을 보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단말에게 N개의 beam, BP 또는 BPG에 대한 보고를 지시할 수 있다 (N ≥ 1). 단말은 N개의 beam, BP 또는 BPG에 대해 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를 측정하고 이를 보고한다. N = 3으로 기지국이 단말에게 configuration한 경우, 단말은 셀 내의 전체 beam, BP 또는 BPG (셀에서 기지국과 단말이 형성할 수 있는 모든 beam, BP 또는 BPG)들 중, 신호세기가 가장 큰 3개의 beam, BP 또는 BPG에 대해 기지국으로 보고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은 신호세기가 가장 큰 3개의 beam, BP 또는 BPG에 대한 index와 각 beam, BP 또는 BPG의 신호세기 (예를 들어, beam, BP 또는 BPG의 RSRP)를 기지국으로 보고할 수 있다. 기지국은 n번째 subframe에서 단말로부터 보고 받은 N개의 beam, BP 또는 BPG들 중 n + k 번째 subframe에서 어떤 beam, BP 또는 BPG를 사용할 것인지에 대해 n + l 번째 subframe에서 하향링크로 전송되는 PDCCH의 DCI 또는 PDSCH의 MAC CE를 통해 indication할 수 있다. 이때, l은 k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앞서 언급한 k와 l 값은 RRC signaling을 통해 기지국이 단말에게 configuration할 수 있다.
단말이 몇 개의 beam, BP 또는 BPG에 대한 PL를 계산해야 할 것인지는, 앞서 언급한 빔 관리를 위해 기지국이 configuration한 beam, BP 또는 BPG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송신전력 제어를 위해 단말이 계산해야 할 PL의 개수에 대해 별도로 configuration할 수 있다. 이러한 configuration은 common RRC signaling 또는 UE-specific (dedicated) RRC signaling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이 계산해야 할 PL의 개수에 대해 configuration 받은 단말은, 서로 다른 beam, BP 또는 BPG에 대해 해당 개수만큼의 PL를 저장할 수 있다. 단말이 저장하고 있는 PL들 중, 어떤 PL를 사용할 것인지에 대해 기지국은 하향링크로 전송되는 PDCCH의 DCI 또는 PDSCH의 MAC CE를 통해 indication할 수 있다.
한편, 동일 slot에서 PUSCH와 S-PUCCH가 연속적으로 전송되는 경우, PUSCH와 S-PUCCH는 서로 다른 beam, BP (또는 BPG)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은 n 번째 slot에서 전송되는 PUSCH와 S-PUCCH에 사용되는 beam, BP 또는 BPG에 대한 정보를 n - k 번째 slot에 전송되는 PDCCH의 DCI 또는 PDSCH의 MAC CE를 통해 단말에게 indication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k 값은 RRC를 통해 configuration할 수 있다. 또한 n 번째 slot에서 전송되는 PUSCH에 사용되는 beam, BP 또는 BPG에 대한 정보를 n - k1 번째 slot에 전송되는 PDCCH의 DCI 또는 PDSCH의 MAC CE를 통해 기지국이 indication하고, n 번째 slot에서 전송되는 S-PUCCH에 사용되는 beam, BP 또는 BPG에 대한 정보를 n - k2 번째 slot에 전송되는 PDCCH의 DCI 또는 PDSCH의 MAC CE를 통해 기지국이 indication할 수 있다. 이때, k1과 k2는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으며, RRC signaling 통해 configuration될 수 있다.
도 7a는 hybrid beamforming을 고려한 S-PUCCH 송신전력에서 기지국과 단말간의 시그널링 절차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hybrid beamforming관련된 단말(705) 및 기지국(710) 사이의 신호 송수신 과정이 기술된다.
단계 715에서 기지국(710)은 단말(705)에 Open-loop 전력 제어를 위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지국(710)은 단말(705)에게 open-loop 전력제어 파라미터 및 timing 파라미터를 RRC signaling을 통해 configuration할 수 있다. 이때, open-loop 전력제어 파라미터는 상기 [수학식 8-1]에 기술된, PS-PUCCH_OFFSET(k), P0 _ PUSCH(j) 그리고 α(j) 중 적어도 하나 일 수 있다. 상기 [수학식 8-2]에서는 PS- PUCCH _OFFSET(k)일 수 있다. 상기 [수학식 8-3]에서는 PS- PUCCH _OFFSET와 h(nCQI, nHARQ, nSR) 중 적어도 하나 일 수 있다. 상기 [수학식 8-4]에서는 PS-PUCCH_OFFSET, h(nCQI, nHARQ, nSR), ΔF_ PUCCH(F), 그리고 ΔTxD(F') 중 적어도 하나 일 수 있다. 상기 [수학식 9]에서는 PS- PUCCH _OFFSET와 ΔF_ PUCCH(F)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open-loop 전력제어 파라미터는 상기 [수학식 8-1], [수학식 8-2], [수학식 8-3], [수학식 8-4], 그리고 [수학식 9]에서, 몇 개의 PL 값을 단말이 저장하고 있어야 하는지에 대한 configuration정보 및 도 4a와 도 4b에서 언급한 Threshold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open-loop 전력제어 파라미터는 beam, BP 또는 BPG 별로 서로 다를 수 있으며, UE-specific RRC signaling (dedicated RRC signaling)을 통해 기지국이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beam pair 또는 beam pair group 별 서로 다른 open-loop 전력제어 파라미터의 운용은 하기 [수학식 10]에 'l'을 통해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10]
PS- PUCCH(i) = min{PCMAX(i), PS- PUCCH _OFFSET(k,l) + 10log10(MS- PUCCH) + P0 _ PUSCH ,c(j,l) + α(j,l)*PL + f(i)} [dBm]
상기 [수학식 10]은 상기 [수학식 8-1]의 변형으로써, [수학식 10]에서 PS-PUCCH_OFFSET(k,l), P0 _ PUSCH(j,l) 및 α(j,l)에서 'l'은 beam, BP 또는 BPG 별로 서로 다른 파라미터가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10]에서 α(j,l)은 beam, BP 또는 BPG 별로 기지국이 서로 다른 값을 configuration할 수 있음을 예시하였으나, 제어채널 전송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경로감쇄를 최대로 보상하기 위해 α(j,l) 값은 기지국의 configuration 없이 항상 1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수학식 8-2], [수학식 8-3], [수학식 8-4], 그리고 [수학식 9]에서도 open-loop 전력제어 파라미터들은 beam, BP 또는 BPG 별로 서로 다른 파라미터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l'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720에서 기지국(710)은 단말(705)에 PDCCH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PDCCH를 통해 이전 실시 예에서 설명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단말(705)에 전송될 수 있다.
단계 725에서 단말(705)은 이전에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향링크 송신 전력과 관련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단계 730에서 단말(705)은 상기 설정된 상향링크 송신 전력과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PUSCH 및 S-PUCCH 중 적어도 하나를 특정 slot에서 기지국(7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b는 PDCCH로의 파라미터 수신과 해당 파라미터를 상향링크 전송에 적용하는 timing에 대한 예시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기지국(710) 및 단말(705) 사이에 신호 송수신이 개시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PDCCH를 통해 상향링크 송신 전력 제어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상향링크 전송에 적용하기 위한 타이밍 관계가 서술된다.
실시 예에서 기지국은 제어 정보를 통해 수신된 정보와 이를 적용할 타이밍 관계에 대한 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기지국은 RRC signaling을 통해 timing 파라미터를 단말에 configuration할 수 있다.
단계 740에서 기지국은 n - k1 번째 subframe에 단말로 PDCCH의 DCI (또는 PDSCH의 MAC CE)를 통해 특정 명령을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명령은 n 번째 subframe에 단말이 상향링크로 PUSCH 전송을 수행할 때 적용될 수 있다.
단계 745에서 기지국은 n - k2 번째 subframe에 단말로 PDCCH의 DCI (또는 PDSCH의 MAC CE)를 통해 특정 명령을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명령은 n 번째 subframe에 단말이 상향링크로 S-PUCCH 전송을 수행할 때 적용될 수 있다.
단계 750에서 단말은 상기 설정된 정보를 기반으로 기지국에 PUSCH 및 S-PUCCH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k1과 k2 값을 기지국이 RRC signaling을 통해 단말로 전송할 수 있으며, k1과 k2 값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k1과 k2 은 기 설정된 값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k1과 k2 값이 동일한 경우, 기지국은 하나의 값을 configuration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n - k1 번째 subframe에 단말로 PDCCH의 DCI (또는 PDSCH의 MAC CE)를 통해, 기지국이 configuration 했던 open-loop 전력제어 파라미터들 중 실제로 어떤 파라미터가 n번째 subframe에 전송되는 PUSCH의 송신전력 제어에 적용될 것인지를 알려줄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n - k2 번째 subframe에 단말로 PDCCH의 DCI (또는 PDSCH의 MAC CE)를 통해, 기지국이 configuration 했던 open-loop 전력제어 파라미터들 중, 실제로 어떤 파라미터가 n번째 subframe에 전송되는 S-PUCCH의 송신전력 제어에 적용될 것인지를 알려줄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기지국은 n - k1 번째 subframe에 단말로 PDCCH의 DCI 또는 PDSCH의 MAC CE를 통해, 단말이 저장하고 있는 둘 이상의 PL 값들 중 실제로 어떤 PL 값이 n번째 subframe에서 전송되는 PUSCH의 송신전력 제어에 적용될 것인지를 알려줄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n - k2 번째 subframe에 단말로 PDCCH의 DCI 또는 PDSCH의 MAC CE를 통해, 단말이 저장하고 있는 둘 이상의 PL 값들 중 실제로 어떤 PL 값이 n번째 subframe에서 전송되는 S-PUCCH의 송신전력 제어에 적용될 것인지를 알려줄 수 있다. 이러한 k1과 k2 값을 기지국은 RRC signaling을 통해 단말로 전송할 수 있으며, k1과 k2 값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실시 예에서 k1과 k2 값이 동일한 경우, 기지국은 하나의 값을 configuration할 수 있다.
Open-loop 전력제어 파라미터 및 timing 파라미터를 configuration한 기지국은 PDCCH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PDCCH로 전송되는 DCI (또는 PDSCH로 전송되는 MAC CE)는 다음의 정보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 기지국이 RRC로 configuration 했던 open-loop 송신전력 제어 파라미터들 중 n번째 subframe의 PUSCH 및 S-PUCCH 전송에 실제로 사용될 송신전력 제어 파라미터 (예를 들어, 상기 [수학식 9]에서 beam, BP 또는 BPG 별로 configuration된 PS- PUCCH _OFFSET(k,l), P0 _ PUSCH(j,l) 및 α(j,l) 값들 중, n 번째 subframe에서 사용될 PS- PUCCH _OFFSET(k,l), P0 _ PUSCH(j,l) 및 α(j,l) 값. 예를 들어, 3개의 beam, BP 또는 BPG이 있다고 가정하고, 이에 대한 open-loop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이 각각 다음과 같이 RRC signaling을 통해 configuration된다고 가정하자. PS- PUCCH _OFFSET(k,l) = {x1, x2, x3} [dBm], P0_PUSCH(j,l) = {y1, y2, y3} [dBm], α(j,l) = {z1, z2, z3}. 그리고, n 번째 subframe에서 PUSCH에 사용될 beam, BP 또는 BPG에 대한 파라미터가 각각, x1, y2, z3인 경우, 기지국은 PDCCH로 전송되는 DCI (또는 PDSCH로 전송되는 MAC CE)를 통해 000110을 indication할 수 있다. MSB 2-bit에서 00은 x1을 의미하고, 가운데 2-bit에서 01은 y2, LSB 2-bit에서 10은 z3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indication 정보가 DCI로 전송되는 경우, 해당 DCI는 group common DCI 이거나 UE-specific DCI일 수 있다. 앞서 예시한 바와 같이 open-loop 송신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PDCCH의 DCI 또는 MAC CE를 통해 정확하게 지칭할 수도 있으나, 이는 많은 signaling overhead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PDCCH로 전송되는 DCI (또는 PDSCH로 전송되는 MAC CE)를 통해 n번째 subframe에 PUSCH 또는 S-PUCCH의 전송에 사용되는 beam, BP, 또는 BPG를 직접 indication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beam, BP 또는 BPG이 있다고 가정하고, 이에 대한 open-loop 전력 제어 파라미터들이 각각 다음과 같이 RRC signaling을 통해 configuration된다고 가정하자. PS- PUCCH _OFFSET(k,l) = {x1, x2, x3} [dBm], P0 _ PUSCH(j,l) = {y1, y2, y3} [dBm], α(j,l) = {z1, z2, z3}. 그리고, n 번째 subframe에서 PUSCH에 사용될 beam, BP 또는 BPG에 대한 index가 3인 경우, PDCCH로 전송되는 DCI (또는 PDSCH로 전송되는 MAC CE)를 통해 10이 전송된다. 이때 10은 index 3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를 수신한 단말은 PS- PUCCH _OFFSET(k,l) = x3 [dBm], P0 _ PUSCH(j,l) = y3 [dBm], α(j,l) = z3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은 각 beam, BP, 또는 BPG에 mapping되는 open-loop 송신전력 제어 파라미터 값을 알고 있다고 가정한다. 단말은 DCI 또는 MAC CE가 indication한 beam, BP 또는 BPG에 해당되는 (mapping 되는) 송신전력 제어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PUSCH 및 S-PUCCH의 송신전력 값을 계산한다.
- 단말이 저장하고 있는 둘 이상의 PL 값들 중, 어떤 PL 값을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PL 값은 앞서 언급한 beam, BP, 또는 BPG에 mapping될 수 있다. 따라서, PDCCH로 전송되는 DCI가 n번째 subframe의 PUSCH 및 S-PUCCH 전송에 특정 beam, BP, 또는 BPG를 사용할 것을 명령할 경우, 단말은 해당 beam, BP 또는 BPG에 대한 PL 값을 적용하여 PUSCH 및 S-PUCCH 송신전력 제어에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학식 8-1], [수학식 8-2], [수학식 8-3], [수학식 8-4], [수학식 9] 내지 [수학식 10]의 PL는 단말이 하향링크 RS의 측정을 통해 추정한 값이다. Hybrid beamforming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 beam gain (기지국의 TX beam gain + 단말의 RX beam gain)과 상향링크 beam gain (단말의 TX beam gain + 기지국의 RX beam gain)이 다르기 때문에, 단말이 추정한 하향링크 PL 값과 기지국이 추정할 수 있는 상향링크 PL 값의 차이가 매우 클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기지국은 단말에게 자신이 추정한 상향링크 PL값을 적용하여 송신전력제어를 수행할 것을 명령할 수 있다. 이러한 상향링크 PL 값은 RRC signaling, UE-specific DCI 또는 MAC CE를 통해 기지국이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단말은 상향링크 송신전력 setting 시, 자신이 측정한 하향링크 PL을 반영하지 않고, 기지국이 전송한 상향링크 PL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기지국은 단말이 전송한 PHR (Power Headroom Report)를 통해 단말이 추정한 하향링크 PL 값을 추정해 낼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이 전송하는 상향링크 RS 또는 SRS (Sounding Reference Signal)를 이용하여, 상향링크 PL 값을 추정해 낼 수 있다. 기지국은 자신이 추정한 하향링크 PL 값과 상향링크 PL 값을 이용하여 두 PL 간의 offset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PL 간의 offset 값을 RRC signaling, UE-specific DCI 또는 MAC CE를 통해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단말은 송신전력 setting 시, 자신이 추정한 하향링크 PL에 기지국이 전송한 offset 값을 더하여 PL 값을 보정할 수 있다.
- 한편, PDCCH로 전송되는 DCI에는 closed-loop 송신전력 제어 파라미터인 δP US CH와 δPUCCH가 포함될 수 있다. δPUSCH와 δPUCCH 값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두 값이 서로 동일할 경우, 하나의 값이 PDCCH를 통해 indication될 수 있다. 또한, KPUSCH와 KS- PUCCH값이 PDCCH로 전송되는 DCI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 KPUSCH와 KS- PUCCH값은 각각, closed-loop 파라미터 값이 적용되는 timing을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n번째 subframe에서 수신된 PDCCH의 DCI가 KS- PUCCH = 4 를 indication한 경우, 단말은 closed-loop 송신전력 파라미터를 n + 4 번째 subframe에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timing 관련 파라미터는 RRC signaling을 통해 configuration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timing 관련 파라미터의 set (둘 이상의 파라미터 값)이 RRC signaling을 통해 기지국이 configuration하고, 이러한 둘 이상의 파라미터들 중, 실제로 어떤 값이 사용될 것인지가 group common DCI 또는 UE-specific DCI를 통해 단말로 indication될 수 있다.
- 이와 유사하게, 도 7a에 언급한 timing 파라미터 k1과 k2 값의 set을 기지국은 RRC signaling을 통해 group common DCI 또는 UE-specific DCI를 통해 단말로 indication할 수 있다. k1과 k2 값이 동일한 경우, 기지국은 하나의 값을 indication할 수 있다
Hybrid beamforming에서의 송신전력 제어에 대한 또 다른 일 예로, 앞서 언급한 beam, BP, 또는 BPG 별로 서로 다른 open-loop 전력제어 파라미터를 운용하지 않고, closed-loop 송신전력 제어만을 이용하여 beam, BP, 또는 BPG 별 송신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학식 8-1], [수학식 8-2], [수학식 8-3], [수학식 8-4], [수학식 9] 그리고 [수학식 10]에서 P0 _ PUSCH, α, 그리고 PS-PUCCH_OFFSET은 PUSCH 및 S-PUCCH 전송에 사용되는 beam, BP, 또는 BPG에 무관하게 동일한 값이 configuration될 수 있다. 이러한 가정에서, PUSCH 또는 S-PUCCH의 전송에 사용되는 beam, BP, BPG가 변경되는 경우, 기지국은 closed-loop 전력제어 파라미터인 δPUSCH와 δS- PUCCH에 이를 반영하여 송신전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PUSCH와 S-PUCCH에 사용되는 beam, BP, 또는 BPG에 따라 서로 다른 δPUSCH와 δS- PUCCH 값이 사용될 수 있으며, PUSCH 전송에 사용된 δPUSCH 값과 S-PUCCH에 사용할 δS- PUCCH 값이 서로 다를 수 있다.
5G 시스템에서는 다양한 서비스 지원을 위해 다수 개의 부반송파 간격 (SCS: Subcarrier Spacing)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15 kHz SCS는 eMBB (enhanced Mobile Broad Band)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사용되고, 60 kHz SCS가 URLLC (Ultra 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 서비스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15 kHz SCS와 30 kHz SCS 모두 eMBB 서비스 지원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서비스는 서로 다른 요구사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URLLC를 위한 S-PUCCH는 eMBB를 위한 S-PUCCH 보다 짧은 지연시간 및 높은 신뢰도를 갖고 기지국에 수신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동일 eMBB 서비스라도 traffic의 종류에 따라, 특정 traffic은 다른 traffic에 비해 짧은 지연시간을 가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을 반영한 S-PUCCH의 송신전력 제어가 필요하며 이는 하기 [수학식 11]과 같다.
[수학식 11]
PS- PUCCH(i) = min{PCMAX(i), PS- PUCCH _OFFSET(k,n) + 10log10(MS- PUCCH) + P0 _ PUSCH(j) + α(j)*PL + f(i)} [dBm]
상기 [수학식 11]에서 PS- PUCCH _OFFSET(k,n)에서 'n'은 numerology (부반송파 간격: SCS)를 나타내는 index이다. 예를 들어, 'n' = 1은 15 kHz SCS, 'n'=2는 30 kHz SCS을 의미하며, 동일 'k' 값에서 'n' 값에 따라 서로 다른 PS- PUCCH _OFFSET(k,n)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PS- PUCCH _OFFSET(k,n) 값은 기지국이 common RRC signaling, UE-specific RRC signaling (dedicated RRC signaling)을 통해 configuration 하거나, group common PDCCH 또는 UE-specific DCI를 통해 indication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10]에서 언급한 PS- PUCCH _OFFSET(k,l)과 상기 [수학식 11]에서 언급한 PS-PUCCH_OFFSET(k,n) 은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5G 시스템에서는 상향링크에 CP-OFDM (Cyclic Prefix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과 DFT-S-OFDM (Discrete Fourier Transform-Spread-OFDM)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에 CP-OFDM을 사용할 것인지 또는 DFT-S-OFDM을 사용할 것인지 configuration할 수 있다. 이러한 configuration은 common RRC signaling, UE-specific RRC signaling (dedicated RRC signaling)을 통해 이루어지거나, group common PDCCH 또는 UE-specific DCI를 통해 기지국이 indication할 수 있다. S-PUCCH가 CP-OFDM을 이용하여 전송될 때와 DFT-S-OFDM을 사용하여 전송될 때, 서로 다른 송신전력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DFT-S-OFDM은 CP-OFDM에 비해 낮은 PAPR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CP-OFDM의 경우 DFT-S-OFDM에 비해 더 많은 전력의 back off를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하기 [수학식 12] 또는 하기 [수학식 13]를 고려할 수 있다.
[수학식 12]
PS- PUCCH(i) = min{PCMAX(i) - Δ, PS- PUCCH _OFFSET(k) + 10log10(MS- PUCCH) + P0 _ PUSCH(j) + α(j)*PL + f(i)} [dBm]
상기 [수학식 112]에서 Δ는 CP-OFDM의 back off를 반영한 값으로, DFT-S-OFDM을 사용하는 경우 Δ = 0일 수 있다. CP-OFDM을 사용할 경우, PCMAX(i)에서 Δ만큼 back off 한 값이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최대 송신전력이 될 수 있다. Δ 값은 고정된 값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 dB), Δ 값이 0일지 0이 아닌 지의 여부는 DFT-S-OFDM을 사용하는지 또는 CP-OFDM을 사용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향링크 waveform을 semi-static하게 변경하는 경우, 기지국은 RRC signaling을 통해 단말에게 CP-OFDM 또는 DFT-S-OFDM을 사용할 것을 명령할 수 있다. CP-OFDM의 사용이 configuration된 경우, 단말은 상기 [수학식 12]에서와 같이 Δ 값을 적용하여 송신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만일, 상향링크 waveform이 dynamic하게 변경될 필요가 있는 경우, 기지국은 group common DCI 또는 UE specific DCI를 통해 waveform을 indication할 수 있다. 일 예로, DCI field 내의 특정 1-bit는 waveform을 indication 할 수 있으며,'0'은 단말이 CP-OFDM의 사용을 1'은 DFT-S-OFDM의 사용을 의미할 수 있다. 해당 DCI는 n-번째 subframe에 하향링크를 통해 전송되며, waveform의 적용은 n + k 번째 subframe에 적용될 수 있다. k 값은 RRC signaling을 통해 기지국이 configuration할 수 있으며 0보다 같거나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k = 0인 경우, n-번째 subframe에 DCI를 수신한 단말은 동일 subframe에서 S-PUCCH 전송 시, DCI가 indication한 waveform을 사용한다.
[수학식 13]
PS- PUCCH(i) = min{PCMAX(i), PS- PUCCH _OFFSET(k,w) + 10log10(MS- PUCCH) + P0 _ PUSCH ,c(j) + α(j)*PL + f(i)} [dBm]
상기 [수학식 13]에서는 waveform에 따라 PCMAX(i) 값이 변경되는 것이 아니라, PS- PUCCH _OFFSET(k,w)이 변경됨을 나타낸다. CP-OFDM과 DFT-S-OFDM은 서로 다른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S-PUCCH의 수신 SINR 성능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waveform에 따라 서로 다른 PS- PUCCH _OFFSET(k,w) 값을 configuration할 수 있다. 이때 'w'는 waveform의 index를 나타낸다. PS- PUCCH _OFFSET(k,w) 값은 common RRC signaling, UE-specific RRC signaling (dedicated RRC signaling)을 통해 기지국이 configuration 하거나, group common PDCCH 또는 UE-specific DCI를 통해 기지국이 indication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 예에서 각 요소들을 고려한 상향링크 전력 제어에 필요한 정보는 기 설정되거나 기지국이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은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는 본 명세서의 단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실시 예의 단말(800)은 송수신부(802), 저장부(804) 및 제어부(806)을 포함한다.
송수신부(802)는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저장부(804)는 단말(800)과 관련된 정보 및 상기 송수신부(802)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804)는 단말이 측정한 PL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806)은 단말(8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실시 예에서 설명한 단말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단말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806)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은 본 명세서의 기지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실시 예의 기지국(900)은 송수신부(902), 저장부(904) 및 제어부(2306)을 포함한다.
송수신부(902)는 단말 및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저장부(904)는 기지국(900)과 관련된 정보 및 상기 송수신부(902)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906)은 기지국(9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실시 예에서 설명한 기지국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지국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906)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20)

  1.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통신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채널 전송과 관련된 제1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1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슬롯에서 전송될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슬롯에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채널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정보는 상기 단말의 전송 능력 정보, 상기 기지국의 스케줄링 정보, 상기 단말의 송신 빔 정보, 상기 기지국의 수신 빔 정보, 상기 상향링크 채널 전송과 관련된 부반송파 간격(subcarrier spacing) 정보 및 상기 특정 슬롯에 포함된 심볼의 개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채널은 제1상향링크 채널 및 제2상향링크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정보는 상기 제1상향링크 채널 및 상기 제2상향링크 채널의 송신 전력 차이의 임계 값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채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채널 상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상향링크 채널 전송과 정보가 적용될 타이밍과 관련된 제2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특정 슬롯은 상기 제2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6.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통신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 상향링크 채널 전송과 관련된 제1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특정 슬롯에서 상기 제1정보를 기반으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채널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제1정보는 상기 단말의 전송 능력 정보, 상기 기지국의 스케줄링 정보, 상기 단말의 송신 빔 정보, 상기 기지국의 수신 빔 정보, 상기 상향링크 채널 전송과 관련된 부반송파 간격(subcarrier spacing) 정보 및 상기 특정 슬롯에 포함된 심볼의 개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채널은 제1상향링크 채널 및 제2상향링크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정보는 상기 제1상향링크 채널 및 상기 제2상향링크 채널의 송신 전력 차이의 임계 값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채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채널 상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 상기 상향링크 채널 전송과 정보가 적용될 타이밍과 관련된 제2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특정 슬롯은 상기 제2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11. 이동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되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채널 전송과 관련된 제1정보를 수신하고, 제1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슬롯에서 전송될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채널을 선택하고, 상기 특정 슬롯에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채널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제1정보는 상기 단말의 전송 능력 정보, 상기 기지국의 스케줄링 정보, 상기 단말의 송신 빔 정보, 상기 기지국의 수신 빔 정보, 상기 상향링크 채널 전송과 관련된 부반송파 간격(subcarrier spacing) 정보 및 상기 특정 슬롯에 포함된 심볼의 개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채널은 제1상향링크 채널 및 제2상향링크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정보는 상기 제1상향링크 채널 및 상기 제2상향링크 채널의 송신 전력 차이의 임계 값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채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채널 상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상향링크 채널 전송과 정보가 적용될 타이밍과 관련된 제2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특정 슬롯은 상기 제2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6.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되며, 단말로 상향링크 채널 전송과 관련된 제1정보를 전송하고, 특정 슬롯에서 상기 제1정보를 기반으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채널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지국.
  17. 제16항에 있어서,
    제1정보는 상기 단말의 전송 능력 정보, 상기 기지국의 스케줄링 정보, 상기 단말의 송신 빔 정보, 상기 기지국의 수신 빔 정보, 상기 상향링크 채널 전송과 관련된 부반송파 간격(subcarrier spacing) 정보 및 상기 특정 슬롯에 포함된 심볼의 개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채널은 제1상향링크 채널 및 제2상향링크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정보는 상기 제1상향링크 채널 및 상기 제2상향링크 채널의 송신 전력 차이의 임계 값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채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향링크 채널 상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로 상기 상향링크 채널 전송과 정보가 적용될 타이밍과 관련된 제2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특정 슬롯은 상기 제2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170057033A 2017-05-04 2017-05-0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3264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033A KR102326416B1 (ko) 2017-05-04 2017-05-0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PCT/KR2018/005096 WO2018203662A1 (ko) 2017-05-04 2018-05-0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N201880029559.3A CN110731104B (zh) 2017-05-04 2018-05-02 控制无线通信系统中的终端的传输功率的方法和装置
EP18793760.2A EP3606190B1 (en) 2017-05-04 2018-05-02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3153277.1A EP4192130A1 (en) 2017-05-04 2018-05-02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202310655417.0A CN116867046A (zh) 2017-05-04 2018-05-02 基站、终端、由基站执行的方法及由终端执行的方法
CN202310655924.4A CN116867047A (zh) 2017-05-04 2018-05-02 基站、用户设备、由基站执行的方法和由用户设备执行的方法
US16/609,600 US11044677B2 (en) 2017-05-04 2018-05-02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7/352,929 US11683763B2 (en) 2017-05-04 2021-06-21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0210153013A KR102430558B1 (ko) 2017-05-04 2021-11-0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18/328,307 US20230309025A1 (en) 2017-05-04 2023-06-02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033A KR102326416B1 (ko) 2017-05-04 2017-05-0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3013A Division KR102430558B1 (ko) 2017-05-04 2021-11-0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868A true KR20180122868A (ko) 2018-11-14
KR102326416B1 KR102326416B1 (ko) 2021-11-15

Family

ID=6401697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7033A KR102326416B1 (ko) 2017-05-04 2017-05-04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0210153013A KR102430558B1 (ko) 2017-05-04 2021-11-0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3013A KR102430558B1 (ko) 2017-05-04 2021-11-0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11044677B2 (ko)
EP (2) EP3606190B1 (ko)
KR (2) KR102326416B1 (ko)
CN (3) CN110731104B (ko)
WO (1) WO201820366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24770A1 (ko) * 2020-12-11 2022-06-16 삼성전자 주식회사 테라헤르츠 대역 기반 통신 환경에 적합한 프레임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47775A1 (en) * 2017-02-08 2018-08-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signal distortion mitigation
US11395271B2 (en) * 2017-08-07 2022-07-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ual strategy for short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sPUCCH) utilization
US11812449B2 (en) * 2018-08-10 2023-11-07 Qualcomm Incorporated Active beam management, configuration, and capability signaling
US11133909B2 (en) * 2018-11-30 2021-09-28 T-Mobile Usa, Inc. Scheduling HARQ transmissions in mini-slots based on fading conditions
US11233620B2 (en) * 2018-11-30 2022-01-25 T-Mobile Usa, Inc. Scheduling HARQ transmissions in mini-slots
US11019573B2 (en) * 2019-03-29 2021-05-25 Qualcomm Incorporated Out-of-order communication management
EP3734885A1 (en) * 2019-05-02 2020-11-04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User equipment and network node involved in communication
WO2021038655A1 (ja) * 2019-08-23 2021-03-04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US11632189B1 (en) * 2019-10-11 2023-04-18 Tarana Wireles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selection of modulation and coding schemes (MCS) including examples of per-sub-band and per-stream MCS selection
US20230039771A1 (en) * 2020-01-03 2023-02-09 Lenovo (Beijing) Ltd. Mac ce for configuring pathloss reference signal for pusch
CN114902765A (zh) * 2020-01-03 2022-08-12 联想(北京)有限公司 用于为srs配置路径损耗参考信号的mac ce
US11690022B2 (en) * 2020-03-24 2023-06-27 Qualcomm Incorporated Managing transmit power control
TWI729764B (zh) * 2020-04-09 2021-06-01 國立清華大學 支援基於點陣劃分的非正交多重接取的基站及調變方法
CN111954249A (zh) * 2020-08-11 2020-11-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路径损耗确定方法、节点和存储介质
CN114866380A (zh) * 2021-02-03 2022-08-0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信号处理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13056024A (zh) * 2021-03-08 2021-06-29 北京贝耀信科技有限公司 基于云存储的金融大数据信息保存方法及系统
WO2022205038A1 (en) * 2021-03-31 2022-10-06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power control under unified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ion
WO2023272709A1 (en) * 2021-07-02 2023-01-05 Qualcomm Incorporated Power control parameter in unified tci
US11863314B1 (en) 2022-01-27 2024-01-02 Tarana Wireles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er-sub-band, per-stream, and per-user selection of modulation and coding schemes including scheduling using channel condition metrics indicative of channel interferen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47796A1 (en) * 2011-09-30 2014-09-04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150163745A1 (en) * 2012-06-12 2015-06-11 Samsung Electronic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mall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99463B2 (en) * 2005-02-16 2011-03-01 Nokia Corporation Communication resource control enhancing time-based frequency reuse
CN103518405A (zh) * 2011-03-17 2014-01-15 诺基亚西门子网络公司 用于确定传输功率的方法和装置
CN102811478B (zh) 2011-05-31 2016-03-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路损补偿方法和基站及用户设备
EP2719228A4 (en) * 2011-06-08 2014-11-05 Nokia Solutions & Networks Oy EMISSION POWER
BR112014002188A2 (pt) 2011-08-03 2017-03-01 Huawei Tech Co Ltd método de controle de energia de transmissão de dados ascendentes, estação de base e equipamento do usuário
KR101835026B1 (ko) * 2011-09-30 2018-03-09 주식회사 팬택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향링크 신호 방법
CN103096375B (zh) * 2011-11-07 2016-07-06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天线系统及其中接收功率的报告方法
JP2013236289A (ja) * 2012-05-10 2013-11-21 Sharp Corp 端末、基地局、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JP6053324B2 (ja) 2012-05-18 2016-12-27 シャープ株式会社 移動局装置、パスロス算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集積回路
CN104782208B (zh) 2012-11-14 2018-07-20 Lg电子株式会社 在载波聚合系统中操作终端的方法和使用该方法的装置
WO2014161169A1 (zh) * 2013-04-03 2014-10-09 华为技术有限公司 获取ue能力的方法、终端及基站
EP3790339A1 (en) 2013-05-31 2021-03-10 Huawei Technologies Co., Ltd.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network device, and user equipment
WO2015034311A1 (ko) 2013-09-05 2015-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안테나 지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참조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RU2623448C1 (ru) * 2013-09-26 2017-06-26 Хуавэй Текнолоджиз Ко., Лтд.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по обратной связи управляющей информации, абонент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US9554339B2 (en) 2013-11-09 2017-01-2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EP3127380B1 (en) 2014-03-31 2018-11-21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Uplink access with compressed mode in a communication network system
US20190173534A1 (en) * 2016-08-11 2019-06-06 Ntt Docomo, Inc. Method for uplink transmisison
EP3602903B1 (en) * 2017-03-24 2022-09-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echnique for controlling the timing of uplink control information in a radio communication between a network node and a radio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47796A1 (en) * 2011-09-30 2014-09-04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US20150163745A1 (en) * 2012-06-12 2015-06-11 Samsung Electronic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mall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24770A1 (ko) * 2020-12-11 2022-06-16 삼성전자 주식회사 테라헤르츠 대역 기반 통신 환경에 적합한 프레임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92130A1 (en) 2023-06-07
US11683763B2 (en) 2023-06-20
EP3606190B1 (en) 2023-03-01
KR102326416B1 (ko) 2021-11-15
CN116867046A (zh) 2023-10-10
US20200059871A1 (en) 2020-02-20
US20230309025A1 (en) 2023-09-28
US20210314877A1 (en) 2021-10-07
WO2018203662A1 (ko) 2018-11-08
EP3606190A1 (en) 2020-02-05
KR102430558B1 (ko) 2022-08-08
CN116867047A (zh) 2023-10-10
CN110731104B (zh) 2023-06-23
EP3606190A4 (en) 2020-04-15
KR20210137956A (ko) 2021-11-18
CN110731104A (zh) 2020-01-24
US11044677B2 (en) 202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055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110063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ower headroom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2353168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파워 헤드룸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30590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송 방법 및 장치
EP3522617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f user equipment in beamforming system
US11304155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power headroom inform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WO2018127022A1 (zh) 发送功率的确定方法、装置及系统
CN110547001A (zh) 信息类型复用和功率控制
KR102341470B1 (ko) 빔포밍 시스템에서 단말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341474B1 (ko) 빔포밍 시스템에서 단말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22010300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채널 송신 방법 및 장치
KR20190088815A (ko) 통신 시스템의 단말의 송신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80122239A (ko) Dynamic TDD 시스템을 위한 전송 전력 제어 방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