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2538A - Apartment basement garage emergency bell device - Google Patents

Apartment basement garage emergency bel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2538A
KR20180122538A KR1020170056703A KR20170056703A KR20180122538A KR 20180122538 A KR20180122538 A KR 20180122538A KR 1020170056703 A KR1020170056703 A KR 1020170056703A KR 20170056703 A KR20170056703 A KR 20170056703A KR 20180122538 A KR20180122538 A KR 20180122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parking
parking space
emergency b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67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성일
Original Assignee
엘제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제이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제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6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2538A/en
Publication of KR20180122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253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 G07C9/00166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bell device of an apartment basement garage through a network, capable of easily securing stability for a parking space through the emergency bell device in an unmanned vehicle garage and securing the safety of a vehicle user by enabling the user to check notification information in a parking control ce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an information request for a parking space is received from the user to confirm information on the parking space in order to park the vehicle in the apartment basement garage, the user is requested to input user information. The authentication of the user is requested by receiving the user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the user information to a control server. If the authentication pass of the user is received from the control server, the selected vehicle releases the locking of the emergency bell device of the basement garage. The emergency bell device of the apartment basement garage and a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cope with an emergency situation through the monitoring of the user who uses the apartment basement garage.

Description

무인으로 운영되는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자동차의 손상, 분실 등을 억제하는 비상벨 장치{Apartment basement garage emergency bell devic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bell device for preventing damage or loss of an automobile in an unattended underground parking lot,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아파트 주차공간 감시를 수행하는 지하주차장 비상벨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아파트 지하주차장의 정보를 확보하고 위험한 상황 및 위급한 상황에 대한 예방을 강조하여 안전한 공간을 사용하기 위한 장치를 설치하여 아파트 지하주차장 비상벨 장치를 고안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bell apparatus for monitoring an apartment parking space through a network. The emergency bell apparatus is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the underground parking lot of the apartment and emphasizes prevention of dangerous situations and emergency situations. And to design an emergency bell apparatus for an underground parking lot of an apartment building.

우리는 이동수단으로 자동차를 널리 이용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는 이동수단으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자동차는 공해 물질을 배출하는 이동수단으로서, 교통체증을 유발시키고 주차에 어려움이 일반화되어 있다. 아파트, 건물 또는 지하We are using cars widely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Especially, automobiles are very useful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Automobiles are a means of transporting pollutants, causing traffic congestion and making parking difficult. Apartment, building or basement

철역 등에 주차장을 확보하기 위한 법률적인 지원이 미흡한 현실을 타개하기 위한공영주차장을 설치하는 등의 다양한 개선 확대 방안이 실시되고 있다. 이와 같이 자동차는 목적지에 주차공간이 확보되어 있다면 이동수단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들이 자동차를 각각 소유해야 하고, 소유한 자동차를 정해진 주차장에 주차한 이후에 다른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여 이동하는 경우, 이동한 곳에서 근거리에 위치하는 목적지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여러가지 불편함이 있다. 물론 출발지와 목적지에 각각 주차장이 설치되어 있다면 이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하지만 모든 출발지와 목적지에 각각 개인 소유의 주차장을 배치해 놓을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주차장이 대중교통수단을 연계하는 지점, 놀이공원, 유원지, 광장, 시민공원 등에 설치되고 있다. 사용자는 자가용을 주차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역에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주차장은 주차요금, 주차공간 및 관리가 관리인에 의해 수행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주차공간을 활용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불편하며 주차장의 보급실정이 좋지 않고 주차장 사용에 대한 정보가 미흡하여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놀이공원, 유원지, 광장, 시민공원 등에서 주차공간을 이용할 시 사용자는 고비용을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경제적 비용이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한편으로 관리인 입장에서는 주차장 유지보수에 대한 비용대비 저렴하게 운영 관리를 하는 경우 주차된 차량의 보안 관리가 어렵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과 관리자 입장을 모두 고려한 주차관리 시스템이 보완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관리자 입장에서 많은 수의 자동차를 일일이 관리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이로 인해 자동차의 파손, 분실 등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또한 자동차의 주차 가능한 공간 파악이 어렵기 때문에, 주차한 자동차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 여부나, 사용자가 초등학생과 같은 보호자의 보호가 필요한 경우에 보호자의 요청에 따라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There are various ways to improve the facilities, such as installing a public parking lot to bridge the reality that the legal support for securing the parking lot in the railway station is insufficient. In this way, a car can be usefully used as a moving means if a parking space is secured at a destination. However, if users have to own a car, park their car in a designated parking lot, then use other public transportation, or move from one place to another, have. Of course, if the parking lot is installed at both the starting point and the destination, this inconvenience can be solved. However, it is not possible to place a private car park at each departure and destination. Therefore,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parking lot is installed at a point connecting public transportation means, an amusement park, an amusement park, a plaza, a public park, and the like. The user has the advantage of being available in the area required to park the car. However, since the parking lot, the parking space and the management of the conventional parking lot are performed by the manager, it takes a lot of time for the user to utilize the parking space, which is inconvenient and the information on the parking lot usage is poor, . In particular, when a parking space is used in an amusement park, an amusement park, a plaza, a public park, etc., a user has to pay a high cost, so that the economic cost of the user is inefficient. On the other hand, it is necessary for the manager to supplement the parking management system considering both the position of the user and the position of the manager, because it is difficult to manage the security of the parked vehicle when the operation management is inexpensive compared to the cost of maintenance. And it is not practical for a manager to manage a large number of cars individually. As a result, damage or loss of the vehicle frequently occurs. In addition, since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parking space of a car, it is difficult to know the location of the vehicle in case of a safety accident caused by the parked vehicle or when the user needs to protect the guardian such as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is holding.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아파트 지하주차장에 비상벨 장치를 하여 중앙관제센터에서 네트워크를 통한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주차장의 주차 가능한 공간을 통합 관리함으로 인해 아파트 지하주차장의 관리자와 사용자의 안정성도 확보하는 종합적인 알림서비스인 비상벨 장치를 하여 사전에 사용자를 보호함과 동시에 관리자의 운영 및 관리 비용을 최소화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인으로 운영되는 주차장 관리에서의 주차된 차량의 손상, 분실 등이 발생되는 것을 감시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통한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알림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 단말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통하여 주차장 관리를 수행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주차 관리 시스템 및 사전예방을 위한 비상벨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차할 차량의 주차공간에 대한 위치 추적을 통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통한 주차공간 관리 시스템 및 알림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긴급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통한 지하주차장 비상벨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mergency bell system in an underground parking lot of an apartment, systematically manage the network through the central control center, and manage the parking space of the parking lot. The emergency alert system, which is a comprehensive notification service, protects the user in advance and minimizes the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cost of the administrator.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a notification device via a network that can monitor occurrence of damage or loss of a parked vehicle in an unmanned parking lot management.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rking management system through a network for performing parking management through user authentication through a user terminal and an emergency bell apparatus for prevention.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rking space management system and a notification method through a network which can grasp the position of a user through tracking a position of a parking space of a car to be parked.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underground parking emergency bell apparatus through a network that can quickly respond to an emergency situ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상벨 장치가 사용자로부터 주차공간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에게 사용자정보 입력을 요청하는 입력 요청 단계와 상기 주차공간 알림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정보를 수신하여 관제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증을 요청하는 인증 요청 단계와 상기 자동차 주차공간 비상벨 장치가 상기 관제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인증 통과를 수신하면 주차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자동차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 단계와, 상기 지하주차장 비상벨 장치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출력한 주차공간 정보에서 주차할 공간 확보에 자동차의의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자동차가 대기하고 있는 입구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해제 단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주차장 비상벨 장치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복수의 대기중인 자동차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네트워크를 통한 주차공간 확보 시스템의 지하주차장 비상벨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대기 차량은 각각 잠금부재에 의해 주차된다. 그리고 상기 주차공간의 확보는 지하주차장 비상벨 장치에 설치되며 상기 주차공간을 포함하여 상기 주차된 차량을 관리한다. 이때 CCTV는 주차공간 근방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함께 설치되며 관제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부와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모듈과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입력받는 터치스크린과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주차공간 확보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에게 사용자정보 입력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관제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인증 통과를 수신하면 주차장 확보를 할 수 있는 자동차 정보를 상기 터치스크린에 출력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출력한 자동차 정보에서 확보가능한 주차 공간의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자동차가 대기중인 입구의 잠금을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복수의 자동차가 주차공간 확보에 대한 비상벨 장치 및 관제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네트워크를 통한 아파트 지하주차장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자동차 주차공간 확보 알림 비상벨 장치는 복수의 입구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주차장에 근접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그리고 관제 서버는 상기 복수의 자동차 주차상태를 관리한다. 이때 상기 자동차 주차공간 관리센터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자동차 주차공간 확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에게 사용자정보 입력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관제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증을 요청하고, 상기 관제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인증 통과를 수신하면 주차 가능한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출력한 자동차 정보에서 주차 가능한 주차공간의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자동차가 주차된 주차공간의 잠금을 해제한다.In order to attain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controlling a parking space notification system, the method comprising: an input request step of requesting the user to input user information when the emergency bell apparatus receives a parking space request from a user; An authentication request step of receiving and requesting authentication of the user by transmitting to the control server, and outputting vehicle information capable of securing a parking space when the vehicle parking space emergency bell device receives authentication of the user from the control server And an unlocking unit for unlocking the entrance of the selected car when the underground parking emergency bell apparatus receives a selection signal of the vehicle to secure a space for parking the parking space information from the user, Parking emergency bell via network containing steps Provides a device management method.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underground parking emergency bell apparatus of a parking space securing system via a network comprising a plurality of waiting cars. Each of the plurality of waiting vehicles is parked by a lock member. The secured parking space is installed in an underground parking emergency bell apparatus and manages the parked vehicle including the parking space. In this case, the CCTV is installed together with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vicinity of the parking space, and includes a transceiver for communicating with the control server,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a touch screen for receiving a user's selection signal, Requests the user to input user information, receives user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of the user and transmits the user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to request authentication of the user, When receiving a selection signal of a parking space that can be secured from the vehicle information outputted from the user through the touch screen, Selected car is waiting And a control unit for unlocking the spher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apartment underground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via a network wherein a plurality of vehicles are configured including an emergency bell device and a control server for parking space securing. The plurality of car parking space securing notification emergency bell units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a plurality of entrances, and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user terminal of a user in proximity to the plurality of parking lots. The control server manages the plurality of car parking statuses. At this time, when the car parking space management center receives the information on securing the car parking space from the user, it requests the user to input user information, receives user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of the user, and transmits the user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And outputs the parking information when receiving the authentication pass of the user from the control server. When receiving the selection signal of the parking space which can be parked in the outputted car information from the user, the selected car is parked Unlock the parking space.

본 발명에 따르면 무인으로 운영되는 아파트 지하주차장 비상벨 장치를 통하여 주차장 주차공간의 확보와 관리센터에서의 통합 관리 및 운영을 통하여 쉽게 주차장을 사용하고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간편하게 정보를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아파트 지하주차장 이용 안전 확보에 기여할 수 있다. 주차장 비상벨 장치는 카메라를 통하여 주차장 주변을 감시하기 때문에, 무인으로 운영되는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의 자동차의 손상, 분실 등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자동차 비상벨 장치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을 통한 사용자 인증을 통하여 주차공간 확보 및 안전을 제공하기 때문에, 기존과 다르게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직접적으로 확인하고 안전에 대한 불안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주차공간에서 발생하는 문제의 발생 소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 아파트 주차장 비상벨 장치는 주차장 근방에 위치하는 CCTV를 이용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과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관제 서버에 전송하기 때문에, 관제 서버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추적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비상벨 장치는 설치된 비상벨이 눌리면, 경보음을 출력하거나 경보등을 점등시키고 비상신호를 관제 서버로 전송한다. 관제 서버의 관리자는 비상벨을 누른 사람과의 통화를 통하여 긴급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utilize the information through the parking lot of the user and the user terminal of the user through the securing of the parking lot space through the unmanned apartment underground parking lot emergency bell device and the integrated management and operation in the management center It can contribute to securing the safety of using the underground parking lot of the apartment. Since the parking emergency bell apparatus monitors the vicinity of the parking lot through the camera,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amage or loss of the vehicle from occurring in the underground parking lot of the unattended apartment. Since the vehicle emergency bell apparatus provides the parking space securing and safety through the user authentication through the user terminal of the user, it is possible to directly check the information on the parking space and to eliminate the anxiety about the safety,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a problem occurring in the apparatus. Since the emergency parking system of the apartment parking lot grasps the location of the user through the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of the user using the CCTV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parking lot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server, the control server indirectly The location of the user can be grasped. When the emergency bell is pressed, the emergency bell unit outputs an alarm sound or illuminates the alarm light and transmits the emergency signal to the control server. The administrator of the control server can also respond quickly to emergency situations by communicating with the person who pressed the emergency bell.

도 1은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2는 주차장 비상벨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3은 관제 서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4는 네트워크를 통한 지하주차장 비상벨 장치를 활용한 관리 방법을 보여주는 개념도.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arking emergency bell apparatus;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trol server;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management method using an underground parking emergency bell apparatus via a network;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념도는 매개로 연결된 관제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사용자의 사용자단말과 통신을 수행한다. 네트워크는 관제 서버 사이의 데이터 전송 및 정보 교환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네트워크는 IP를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 및 끊김 없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IP망으로, IP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망을 통합한 IP망 구조인 ALL-IP망일 수 있다. 또는 네트워크는 유선통신망, 이동통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HSDPA(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위성통신망 중에 하나일 수 있다. 사용자단말은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형 통신단말로서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사용자단말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형 통신단말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단말기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방식의 단말기를 포함한다. GSM 방식의 단말기는 GSM 방식을 기반으로는 한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방식의 단말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관제 서버(50)는 네트워크를 매개로 통신을 수행하며 주차공간 CCTV 주변 감시를 통합적으로 관리한다. 특히 사용자로부터 주차공간 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사용자에게 사용자정보 입력을 요청한다. 사용자의 사용자단말로부터 사용자정보를 수신하여 관제 서버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인증을 요청한다. 관제 서버(50)로부터 사용자의 인증 통과를 수신하면 주차장 정보를 출력한다. 사용자로부터 상기 출력한 정보에서 신호를 수신하면, 주차장의 잠금을 해제하여 사용자가 비상벨 장치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주차공간 CCTV 근방을 촬영하고, 촬영한 정보를 관제 서버로 전송하여 감시하도록 한다.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server connected through an intermediary, and performs communication with a user terminal of a user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e network perform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operations for data transmission and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the control servers. The network may be an IP network providing high-capacity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ervice and seamless data service through IP, and an ALL-IP network that is an IP network structure in which different networks are integrated based on IP. Or the network may be one of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WiBro (Wireless Broadband) network, a 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network, and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The user terminal transmits and receives data vi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s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possessed by a user. A user terminal is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hile the user is portable. The terminal includes a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erminal and a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GSM type terminal includes a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type terminal based on the GSM type. The control server 50 communicates through the network and integrally manages the CCTV peripheral surveillance. In particular, upon receiving a parking space information request from a user, the user is requested to input user information. Receives the user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of the user, transmits the user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and requests the user authentication. And outputs the parking lot information when it receives the authentication pass of the user from the control server 50. [ Upon receipt of the signal from the user, the parking lot is unlocked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emergency bell apparatus. The parking space CCTV is photographed, and the photograph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server for monitoring.

본 실시 예에 따른 아파트 지하주차장 관리서버와 연결된 사용자단말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어부, 제1 송수신부, 제1 입력부, 제1 저장부, 제1 음성처리부, 제1 표시부 및 스마트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제어부는 사용자단말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이다. 제1 제어부는 정보의 요청에 따라 스마트카드에 저장된 사용자정보 전송을 제어한다. 제1 송수신부는 상대방의 통신 단말기와의 음성, 문자메시지 등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일련의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제1 송수신부는 제1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변조 및 주파수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무선신호를 전송한다. 제1 송수신부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한 무선신호로부터 수신신호를 분리하여 주파수 변환 및 복조하여 제1 제어부로 전달한다. 제1 입력부는 사용자단말의 조작을 위한 복수의 키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키선택에 따른 선택 신호를 발생하여 제1 제어부에 전달한다. 제1 입력부로는 키패드, 터치패드와 같은 포인팅 장치,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등의 입력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제1 저장부는 사용자단말의 동작 제어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 소자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 이루어진다. 제1 저장부는 사용자단말에 결합되는 스마트카드의 결합 여부를 감지하여 부팅을 수행하고, 스마트카드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활성화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제1 음성처리부는 제1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성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고, 제1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복조하여 스피커로 출력한다. 제1 표시부는 사용자단말에서 실행되는 각종 기능 메뉴를 비롯하여 제1 저장부 및 스마트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표시한다. 제1 표시부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터치스크린이 사용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표시 장치와 입력 장치으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그리고 스마트카드는 가입자 인증 모듈 카드로서 사용자단말에 탈착할 수 있는 외장형 카드이다. 스마트카드는 사용자의 인증, 과금, 보안 기능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사용자정보를 저장한다. 스마트카드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이나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방식 등 이동 통신 기술 규격에 관계없이 어느 지역에서나 자신의 전화번호로 자유롭게 이동 통신을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이와 같은 스마트카드는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카드와 USIM(Universal Subscribe Identity Module)카드를 포함한다. 이때 USIM카드는 제3 세대 이동 통신의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의 가입자 인증 모듈 카드이다. 스마트카드는 카드몸체에 제1 근거리 통신모듈이 내장된 구조를 갖는다. 제1 근거리 통신모듈은 통1 and 2,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an apartment underground parking lot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control unit, a first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a first input unit, a first storage unit, a first voice processing unit, 1 display unit and a smart card. The first control unit is a microprocessor that performs an overall control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The first control unit controls transmission of the user information stored in the smart card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information. The first transceiver performs a series of wireless communication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such as voice and text messages with th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other party. The first transceiver modulates and frequency-converts th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first controller and transmits the radio signal through the antenna. The first transceiver unit separates the received signal from the radio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frequency-converts and demodulates the signal, and transmits the frequency-converted signal to the first controller. The first input unit provides a plurality of keys for operating the user terminal, and generates a sel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user's key selection and transmits the selection signal to the first control unit. The first input unit may be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pad, a pointing device such as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The first storage unit stores a program require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data generated during the execution of the program, and includes at least one volatile memory element and a nonvolatile memory element. The first storage unit stores a program for detecting whether the smart card coupled to the user terminal is coupled and performing booting, and activating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smart card. The first voice processing unit converts the voice micro-input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first control unit into a digital signal, demodulates the voice data received through the first transceiving unit, and outputs the voice data to the speaker. The first display unit displays information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and the smart card, as well as various function menus executed in the user terminal. As the first display unit,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or a touch screen may be used. The touch screen serves both as a display device and as an input device. The smart card is an external card that can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a user terminal as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card. The smart card stores user information to provide various services such as user authentication, billing, and security functions. The smart card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freely use mobile communication with its own telephone number regardless of the standard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such as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ethod or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method. Such a smart card includes a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card and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card. At this time, the USIM card is a subscriber authentication module card of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of the third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The smart card has a structure in which a first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is embedded in a card body. The firs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신방식으로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WideBand), 바이너리 씨디엠에이(Binary CDMA)중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근거리 통신모듈은 칩 안테나 또는 루프 안테나를 통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제1 제어부는 스마트카드가 삽입되어 부팅되는 경우, 스마트카드로부터 사용자정보를 획득하여 인증한다. 제1 제어부는 삽입된 스마트카드의 제1 근거리 통신모듈을 활성화시켜, 제1 근거리통신모듈을 통한 사용자정보 및 대여 정보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You can use Bluetooth, ZigBee, Ultra-WideBand (UWB), or Binary CDMA. The firs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performs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a chip antenna or a loop antenna. In particular, when the smart card is inserted and booted, the first control unit acquires and authenticates the user information from the smart card. The first control unit activates the firs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inserted smart card and control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user information and rental information through the first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Thu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illustrative of specific examples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0 : 사용자 단말
200 : 주차장 비상벨 장치
300 : 주차공간 확보 알림 장치
400 : 주차장
500 : 관제 서버
600 : 주차장 관리 시스템
100: user terminal
200: Parking emergency bell
300: Parking space notice device
400: Parking lot
500: control server
600: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Claims (1)

아파트 지하주차장 비상벨 장치를 적용한 주차공간 정보에 따라서 사용자로부터 주차 정보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에게 사용자정보 입력을 요청하는 입력 요청 단계,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정보를 수신하여 관제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의 인증을 요청하는 인증 요청 단계, 상기 관제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인증 통과를 수신하면 주차공간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출력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출력한 정보에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주차공간에 대한주차장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해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아파트 지하주차장 비상벨 장치.An input request step of requesting the user to input user information when receiving a parking information request from the user according to the parking space information to which the apartment underground parking emergency bell apparatus is applied; receiving user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of the user and transmitting the user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An information output step of outputting parking space information upon receipt of the authentication pass of the user from the control server, a step of outputting parking space information to the selected parking space when the signal is received from the user, And an unlocking step of unlocking the parking lot for the underground garage.
KR1020170056703A 2017-05-03 2017-05-03 Apartment basement garage emergency bell device KR2018012253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703A KR20180122538A (en) 2017-05-03 2017-05-03 Apartment basement garage emergency bel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703A KR20180122538A (en) 2017-05-03 2017-05-03 Apartment basement garage emergency bell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538A true KR20180122538A (en) 2018-11-13

Family

ID=64397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703A KR20180122538A (en) 2017-05-03 2017-05-03 Apartment basement garage emergency bell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253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2178A (en) 2020-12-24 2022-07-01 모빌토크(주) Smart management system of apartment parking lot based on actual using ti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2178A (en) 2020-12-24 2022-07-01 모빌토크(주) Smart management system of apartment parking lot based on actual using ti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26603A1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parked cars
CN104952128A (en) Intelligent handheld terminal based electronic unlocking system and unlocking method thereof
US814399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a telematics terminal in vehicle
AU2011346565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secured access to gated areas
KR10079750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hentication of a telematics terminal within a mobile vehicle
KR2012002245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ayment sertvice, client device and smart card for payment service
CN102984809A (en) Method and communication arrangement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link
KR10151885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s based Machine-to-Machine
EP3238182B1 (en) On-board device for a vehicle
KR20180122538A (en) Apartment basement garage emergency bell device
US8138898B2 (en) Electronic device to be incorporated into a motor vehicle in order to help retrieve the device following a theft
KR101958572B1 (en) Caller identification changing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caller identification changing service
EP3416352B1 (en) On-board device for a vehicle
KR20100011060A (en) Anti-theft system of digital apparatus and digital apparatus therefor
KR101924934B1 (en) Automobile telematics apparatus control method using a USB modem
KR10094424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Securit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KR20190066199A (en) Caller identification changing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caller identification changing service
EP1926263A2 (en) Access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the access of a user of mobile equipment to an enclosure.
KR100799250B1 (en) Anti-theft system of digital apparatus, digital apparatus therefor
KR20160057759A (en) Vehicle to Infrastruction System and the Method for Requesting Emergency Rescue thereof
KR2006013426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ssenger security service
CN109523712A (en) A kind of car rental system and its rent method based on optic communication
KR100520521B1 (en) Communication terminal to connect information center authentication control method
KR101254044B1 (en) System of provinding moving route of tag and method theory
RU2279139C2 (en) System for monitoring moveable advertising obj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