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2304A - 인체의 치아와 동물치아의 도금 - Google Patents

인체의 치아와 동물치아의 도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2304A
KR20180122304A KR1020180126761A KR20180126761A KR20180122304A KR 20180122304 A KR20180122304 A KR 20180122304A KR 1020180126761 A KR1020180126761 A KR 1020180126761A KR 20180126761 A KR20180126761 A KR 20180126761A KR 20180122304 A KR20180122304 A KR 20180122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particles
plating
aloe
hum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6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9340B1 (ko
Inventor
류정락
Original Assignee
류정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락 filed Critical 류정락
Priority to KR1020180126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340B1/ko
Publication of KR20180122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2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K6/0017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sme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Abstract

치아의 도금을 통한 인류, 동물의 치아의 위생적관리가 되는 마도를 줄이거나 없애는 획기적인 알로에 나노입자의 추출과 그 이용이 위생에도 작용이 가능하며 알로에는 그 이용이 식용이며 분해된 입자를 사용하는 도금이므로 다른 부작용이 없이도 또 임상실험이 없이도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인체의 치아와 동물치아의 도금{human and animal teeth plating}
치아의 표면은 평면적이어서 치아에 많은 불필요한 물질이 항상 붙어 있는 데 그 원인이 되는 치아 표면을 나노의 입체면이 치아표면에 도금되도록 한다면 치아의 표면에 미세 공간을 구성하고 기체가 존재하게 함으로써 치아의 표면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어서 치아의 치석의 방지 효과를 가진다.
치아의 표면에 나노 금속의 양이온과 금속이 아닌 칼슘과 같은 입자 음이온이 있어서 거대분자가 치아 표면에 도금이 가능하고 그 입자들은 항상 마찰에도 윤활성을 가지고 있어서 마찰을 줄이는 것인데 그것은 마치 작은 구슬이 표면에서 구르는 현상을 할 수 있는 것이며 입자의 움직임으로 치아의 마찰은 감소되고 치아의 마모를 없앨 수 있거나 줄이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전자현미경의 알로에나노입자의 배치 상태를 관찰하여 입자의 크기와 입자의 배치에 대한 정보를 관찰하고 추리하는 과정에서 나노입자로 치아의 표면을 도금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알로에의 금속입자와 비금속입자의 추출과 치아의 적용인데 이것은 알로에광개시제의 입자가 도금되는 작은 입자의 성질이 있음을 알았다.
알로에 발효와 부패의 현상은 거치고 액체 용액을 수득하여 증발 후 알코올에 녹이면서 그 입자의 용액이 수득된다.
알로에의 입자의 추출과 나노크기의 액체 용액, 메탄올의 용매로 추출된 고체 구성물을 녹이는 과정과 침천으로 용액을 얻는다. 이 용액 속에는 각종 미네랄이 녹아 있는 활성물질이라 하겠다. 금속으로는 크롬,구리,철,마그네슘,포타시움, 아연 셀레니움, 망간,로듐,등이 있고, 비금속의 물질도 칼슘, 나트륨,인, 소디움(나트륨)이 있다고 밝혀져 있으므로 특히 단단한 금속이 그 마찰력을 줄이는 그슬과 같은 움직이는 동시에 입자의 막을 비금속과 함께 표면에 도금되어 마모를 줄이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치아는 그 구성 물질이 표면에 사기질이 닳아서 상아질이 나오면 치아가 쉽게 부서지거나 부식의 과정을 거치는 미생물의 침략을 받게 되는 것이다. 이를 보호하는 방책이 알로에 입자가 인력의 작용으로 도금을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알로에 SEM현미경의 촬영 도면을 보면 입자들이 조밀하게 거대고리로 거대분자의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입자들의 구성의 방식의 표면은 공간을 이루고 있어서 그 속에 공기와 습기를 유지하면서 도금되어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금속과 비금속이 고유한 특성을 가지면서 전체 표면을 감싸고 있으며 입자는 독립적으로 상하의 치아의 마찰에서 부드러운 치아의 작용이 일어나고 치아의 마찰을 줄이게 된다.
알로에의 잎과 줄기등을 고체물질을 걸러내고 알로에의 입자를 추출하는 방식에는 다양한 방식이 기히 밝혀져 있으며 이를 이를 이용하기 위한 추출 장비들도 열 수 추출, 동해 추출 압착추출과 같은 기름 등을 발효나 부패를 통하여 분해하고 보탐엎의 방법으로 진행하며 용액을 수득하고 용기에 또는 표면에 입혀서 증발시키고 이를 알코올에 녹이는 과정을 거치며 이를 입자들의 이용을 위하여 입자의 분말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나노 크기의 물질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작은 입자들의 양은 아주 작은 양이며 그 용액의 색깔이 주로 베지색이 되므로 면봉에도 미색으로 나타나는데 그것이 충분한 코팅을 통한 치아의 세포에 충분한 양이 되는 것이다. 치아는 이렇게 되면 금속 합금, 합성수지 치아 등을 바로 도금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알로에 입자를 추출하여 치아에 적용하는 데 그 크기는 입자의 조성을 위하여 충분한 알로에의 발효를 통하여 얻을 수 있거나 부패의 과정도 조합할 수 있으며 메탄올의 유기용매로 용질을 녹여서 액체 물질의 나노물질의 크기를 제시한 범위내서 치아와 치아의 역할을 도모하는 의치를 포함하여 도금하며 치아의 마모를 줄이는 것이다.
KR1020180126761A 2018-10-23 2018-10-23 인체의 치아와 동물치아의 도금 KR102349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761A KR102349340B1 (ko) 2018-10-23 2018-10-23 인체의 치아와 동물치아의 도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6761A KR102349340B1 (ko) 2018-10-23 2018-10-23 인체의 치아와 동물치아의 도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304A true KR20180122304A (ko) 2018-11-12
KR102349340B1 KR102349340B1 (ko) 2022-01-07

Family

ID=64398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6761A KR102349340B1 (ko) 2018-10-23 2018-10-23 인체의 치아와 동물치아의 도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34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2658A (ko) * 1996-02-20 1999-11-25 터너 칼튼 이. 알로에 추출물을 함유하는 의치용 접착제의 용도
JP2006248902A (ja) * 2005-03-08 2006-09-21 Clean Eco Kk 歯磨き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2658A (ko) * 1996-02-20 1999-11-25 터너 칼튼 이. 알로에 추출물을 함유하는 의치용 접착제의 용도
JP2006248902A (ja) * 2005-03-08 2006-09-21 Clean Eco Kk 歯磨き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9340B1 (ko) 2022-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ensche et al. Efficacy of a mouthrinse based on hydroxyapatite to reduce initial bacterial colonisation in situ
Fatemeh et al. The effect of silver nanoparticles on composite shear bond strength to dentin with different adhesion protocols
Hussein et al. Solvent-free and one-pot synthesis of silver and zinc oxide nanoparticles: activity toward cell membrane component and insulin signaling pathway in experimental diabetes
Zeng et al. Corrosion of magnesium alloy AZ31: The influence of bicarbonate, sulphate, hydrogen phosphate and dihydrogen phosphate ions in saline solution
Gal et al. A perspective on underlying crystal growth mechanisms in biomineralization: solution mediated growth versus nanosphere particle accretion
Chen et al. Synthesis and antibacterial property of zinc loaded hydroxyapatite nanorods
Gocmen et al. Effectiveness of some herbals on initial enamel caries lesion
Hanabusa et al. TEM interfacial characterization of an experimental self-adhesive filling material bonded to enamel/dentin
Nayak et al. Calcium fluoride-based dental nanocomposites
Rehage et al. Oral astringent stimuli alter the enamel pellicle’s ultrastructure as revealed by electron microscopy
Hossain et al. Advances of plant and biomass extracted zirconium nanoparticles in dental implant application
Torabi et al. Microstructure, mechanical properties and bio-corrosion properties of Mg-HA bionanocomposites fabricated by a novel severe plastic deformation process
Lu et al. Research on the corrosion resistance and formation of double-layer calcium phosphate coating on AZ31 obtained at varied temperatures
Chen et al. Carboxylic acid-functionalized tio2 nanoparticle-loaded pmma/peek copolymer matrix as a dental resin for 3d complete denture manufacturing by stereolitographic technique
Shuai et al. A continuous net-like eutectic structure enhances the corrosion resistance of Mg alloys
Rajeshkumar et al. Anticariogenic activity of silver nanoparticles synthesized using fresh leaves extract of kalanchoe pinnata
KR20180122304A (ko) 인체의 치아와 동물치아의 도금
Tang et al. Effects of MgO nano particles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corrosion behavior of Mg–Zn–Ca alloy
Zeng et al. In vitro corrosion of Mg-6Zn-1Mn-4Sn-1.5 Nd/0.5 Y alloys
RU2560682C1 (ru) Способ профилактики вредных эффектов общетоксического и генотоксического действия наночастиц оксида меди на организм
Heakal et al. Role of amoxicillin in enhancing AZ31 alloy degradation resistance and its monitoring using nano-Pd electrochemical sensor
Bhavan Ram et al. Oyster shell-derived nano-hydroxyapatite and proanthocyanidin pretreatment on dentinal tubule occlusion and permeability before and after acid challenge—an in vitro study
Li et al. Multifunctional magnesium organic framework-based photothermal and pH dual-responsive mouthguard for caries prevention and tooth self-healing promotion
Qiao et al. The preparation and corrosion performance of self-assembled monolayers of stearic acid and MgO layer on pure magnesium
Ge et al. Degradability and in vivo biocompatibility of micro-alloyed Mg-Ca-La alloys as orthopedic impl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