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2208A - 대기 상태시 오프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대기 상태시 오프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2208A
KR20180122208A KR1020170056436A KR20170056436A KR20180122208A KR 20180122208 A KR20180122208 A KR 20180122208A KR 1020170056436 A KR1020170056436 A KR 1020170056436A KR 20170056436 A KR20170056436 A KR 20170056436A KR 20180122208 A KR20180122208 A KR 201801222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power
signal
wireless powe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6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3070B1 (ko
Inventor
최신욱
강정일
장두희
우성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6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070B1/ko
Priority to PCT/KR2018/004722 priority patent/WO2018203608A1/en
Priority to CN201880029128.7A priority patent/CN110603711B/zh
Priority to EP18795174.4A priority patent/EP3574564A1/en
Priority to US15/968,417 priority patent/US10714978B2/en
Publication of KR20180122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2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H02J13/007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6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전자 장치의 동작을 위한 구동 장치로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 모듈;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전원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신호 수신 모듈; 상기 제1 신호 수신 모듈로 전력을 공급하는 제1 전력 공급 모듈; 및 상기 제1 전력 공급 모듈을 제어하는 제1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신호 수신 모듈이 오프(off)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무선 전력 송신 모듈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도록 상기 제1 전력 공급 모듈을 제어할 수 있는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대기 상태시 오프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THAT IS TURNED OFF IN STANDBY STATE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관련된 기술이다.
전자 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전자 장치는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는 전원과 연결된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전자 장치의 구동부와 연결된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무선으로 전력 송수신 장치는 공진기(resonator)를 구비하고, 공진기를 통해 공진 커플링을 형성함으로써 무선으로 전력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거리에 따라 송수신되는 전력의 효율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연결된 전자 장치의 구동부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부하의 임피던스가 변화하여 임피던스의 매칭 조건이 달라질 수 있어 송수신되는 전력의 효율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에 대한 기술은 송수신되는 전력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다.
무선 전력 송수신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서 전자 장치의 온오프 상태를 변경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 신호 수신부가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전자 장치는 오프 상태(또는, 대기 상태)일 때 온 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제어 신호 수신부가 연결되어 있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뿐만 아니라 무선 전력 송신 장치도 활성화시켜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는 오프 상태일 때 유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전자 장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전력을 소비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전술한 문제 및 본 문서에서 제기되는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전자 장치가 오프 상태일 때 무선 전력 송신 장치도 오프시킴으로써 전력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전자 장치의 동작을 위한 구동 장치로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 모듈;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전원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신호 수신 모듈; 상기 제1 신호 수신 모듈로 전력을 공급하는 제1 전력 공급 모듈; 및 상기 제1 전력 공급 모듈을 제어하는 제1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신호 수신 모듈이 오프(off)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무선 전력 송신 모듈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도록 상기 제1 전력 공급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 모듈;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전원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신호 수신 모듈; 상기 제1 신호 수신 모듈로 전력을 공급하는 제1 전력 공급 모듈; 및 상기 제1 전력 공급 모듈을 제어하는 제1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부; 및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구동을 위한 구동부를 동작시키는 무선 전력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신호 수신 모듈이 오프(off)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무선 전력 송신 모듈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도록 상기 제1 전력 공급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무선 전력 수신부뿐만 아니라 무선 전력 송신부에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 모듈을 포함하여 전자 장치가 오프 상태(또는, 대기 상태)일 때 무선 전력 송신부의 일부 구성을 오프시킴으로써,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구동부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장치에서 대기 상태일 때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의 이상 동작으로 무선 전력 송신부, 무선 전력 수신부 및 구동부에 과전압이 인가될 때, 무선 전력 송신부를 오프시킴으로써 전자 장치가 고장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원격 제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무선 전력 송신 모듈 및 무선 전력 수신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온(on)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온 상태에서 오프 신호를 수신할 때 전자 장치의 각 구성의 입력 또는 출력 값을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오프(off)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오프 상태에서 온 신호를 수신할 때 전자 장치의 각 구성의 입력 또는 출력 값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무선 전력 송신부가 MCU(micro controller unit)를 포함하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스탠드를 포함하였을 때, 무선 전력 수신부 및 구동부와 연결된 디스플레이가 회전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무선 전력 송신부(110)가 벽에 고정된 상태에서, 무선 전력 수신부(120) 및 구동부(130)가 무선 전력 송신부(110)에 결합되어 월마운트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및 원격 제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또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TV(television), PC(personal computer)의 모니터(monitor) 또는 전자 액자 등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외부 전원(예: 벽 전원)(1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외부 전원(10)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은, 예를 들어, 교류 전력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상기 공급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구성 각각에 공급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무선 전력 송신부(110), 무선 전력 수신부(120) 및 구동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무선 전력 송신부(110), 무선 전력 수신부(120) 및 구동부(1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송신부(110)는 무선 전력 수신부(120)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부(110)는 무선 전력 수신부(120)로 연결된 도선 없이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수신부(120)는 무선 전력 송신부(110)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수신부(120)는 무선 전력 송신부(1110)로부터 연결된 도선 없이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다르면, 무선 전력 수신부(120)는 무선 전력 송신부(110)로부터 수신된 전력을 구동부(130)로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구동부(130)는 무선 전력 수신부(120)로부터 디스플레이의 구성 각각에 전류(또는, 전압)를 인가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130)는 무선 전력 수신부(120)로 연결된 도선을 통해 무선 전력 수신부(12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구동부(130)는 디스플레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130)는 패널 구동 회로 및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구동 회로는, 예를 들어, 제어 회로로부터 전송 받은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예: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PDP(plasma display panel) 패널, LED(light emitting diode) 패널)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제어 회로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이미지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패널 구동 회로로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30)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LCD 패널인 경우, 백라이트(backlight)를 구동시키기 위한 백라이트 구동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구동 회로는 백라이트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압을 백라이트에 인가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전자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200)는 전자 장치(100)를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제어 신호를 전자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NFC 또는 IR 송수신기 등 근거리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온 또는 오프 신호를 수신하여 온 또는 오프 상태(또는, 대기 생태(standby state))로 전환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오프 상태에서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온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가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온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구성(예: 제어 신호 수신 모듈)에만 전력을 공급하는 상태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장치가 무선 전력 수신부(120)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온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무선 전력 수신부(120)뿐만 아니라 무선 전력 송신부(110)도 활성화시켜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대기 상태일 때, 유선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자 장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전력을 소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대기 상태일 때 무선 전력 송신부(110)의 일부 구성 및 무선 전력 수신부(120)를 오프시킴으로써 전력의 소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무선 전력 송신 모듈 및 무선 전력 수신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부(110)는 무선 전력 송신 모듈(111), 제1 신호 수신 모듈(113), 제1 전력 공급 모듈(115) 및 제1 제어 모듈(117)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모듈(111)은 무선 전력 수신부(또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20)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모듈(111)은 제1 정류부(111a), 역률 개선부(power factor correction)(PFC)(111b), 인버터(111c) 및 송신 공진기(111d)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정류부(111a)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수신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정류부(111a)는 교류 전력을 정류하기 위한 정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류 회로는, 예를 들어, 수신된 교류 전력을 정류하여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브릿지 회로(예: 브릿지 다이오드 회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역률 개선부(111b)는 제1 정류부(111a)로부터 입력되는 직류 전력의 역률을 조정하고, 직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역률 개선부(111b)는 출력단에 연결된 커패시터(또는, 평활 커패시터)를 통해 상기 직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역률 개선부(111b)는 온 또는 오프될 수 있다. 역률 개선부(111b)는 온되면 상기 직류 전력의 역률을 조정하여 상기 직류 전압을 출력하고, 오프되면 상기 직류 전압을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버터(111c)는 역률 개선부(111b)로부터 입력되는 직류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무선 전력 수신부(120)로 송신되는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인버터(111c)는 상기 생성된 전압을 증폭시키는 전력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송신 공진기(111d)는 인버터(111c)로부터 입력되는 교류 전력을 무선 전력 수신부(12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 공진기(111d)는 지정된 공진 주파수를 갖는 공진 회로일 수 있다. 상기 공진 회로는 인덕터 및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공진기(111d)는 상기 공진 회로를 통해 상기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전자기 에너지를 발생시키고, 상기 전자기 에너지를 무선 전력 수신부(120)의 공진기로 전달하여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제1 신호 수신 모듈(113)은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신호 수신 모듈(113)은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온오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신호 수신 모듈(113)은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제1 제어 모듈(117)로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전압(VIR)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신호 수신 모듈(113)은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하이 레벨(high level)의 신호에서 로우 레벨(low level)의 신호로 지정된 시간 동안 출력되는 신호를 변경할 수 있다.
제1 전력 공급 모듈(115)은 제1 정류부(111a)로부터 전달 받은 직류 전력을 무선 전력 송신부(110)의 구성 각각에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력 공급 모듈(115)은 역률 개선부(111b)로 전력을 공급(또는, 전압(VCC1)을 인가)할 수 있다. 역률 개선부(111b)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연결은 온 또는 오프될 수 있다. 제1 전력 공급 모듈(115)은 제1 신호 수신 모듈(113)으로 전력을 공급(또는, 전압(VCC2)을 인가)할 수 있다. 제1 전력 공급 모듈(115)는 제1 제어 모듈(117)로 전력을 공급(또는, 전압(VCC3)을 인가)할 수 있다.
제1 제어 모듈(117)은 제1 전력 공급 모듈(115)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 모듈(117)은 제1 전력 공급 모듈(115)에서 역률 개선부(111b)로 출력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제어 모듈(117)은 제1 전력 공급 모듈(115)을 제어하기 위해 무선 전력 송신 모듈(111)의 출력 및 제1 신호 수신 모듈(113)의 출력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모듈(111)의 출력은, 예를 들어, 역률 개선부(111b)의 커패시터의 전압(VC1) 및 송신 공진기(111d)의 커패시터의 전압(VC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제어 모듈(117)은 상기 출력들을 입력 받는 직접 회로(integrated circuit)(IC)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 모듈(또는, 직접 회로)(117)은 제1 NOT 게이트(117a), 비교기(comparator)(117b), AND 게이트(117c), 제2 NOT 게이트(117d) 및 S-R 래치(latch)(117e)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NOT 게이트(117a)는 제1 신호 수신 모듈(113)의 출력이 입력으로 연결될 수 있다. 비교기(117b)는 무선 전력 송신 모듈(111)의 출력(VINV) 및 지정된 값(VR)이 입력으로 연결될 수 있다. AND 게이트(117c)는 제1 NOT 게이트(117a)의 출력 및 비교기(117b)의 출력이 입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NOT 게이트(117d)는 비교기(117b)의 출력이이 입력으로 연결될 수 있다. S-R 래치(117e)는 AND 게이트(117c)의 출력이 S 입력으로 연결되고, 제2 NOT 게이트(117d)의 출력이 R 입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값(VR)은, 예를 들어, 제1 전력 공급 모듈(115)에 의해 제1 제어 모듈(117)에 인가되는 전압(VCC3)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제어 모듈(117)은 제1 신호 수신 모듈(113)이 오프 신호를 수신하면, 무선 전력 송신 모듈(111)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도록 제1 전력 공급 모듈(115)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 모듈(117)은 제1 신호 수신 모듈(113)이 온 신호를 수신하면, 무선 전력 송신부(111)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1 전력 공급 모듈(115)를 제어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부(120)는 무선 전력 송신부(110)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여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구동부(13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부(120)는 무선 전력 수신 모듈(121), 제2 신호 수신 모듈(123), 제2 전력 공급 모듈(125) 및 제2 제어 모듈(127)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 모듈(121)은 무선 전력 송신부(110)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 모듈(121)은 수신 공진기(121a) 및 정류기(121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신 공진기(121a)는 무선 전력 송신부(110)로부터 교류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공진기(121a)는 지정된 공진 주파수를 갖는 공진 회로일 수 있다. 상기 공진 회로는 인덕터 및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공진기(121a)는 상기 공진 회로를 통해 무선 전력 송신부(110)의 공진기에서 발생된 전자기 에너지를 수신하고, 상기 전자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교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정류부(121b)는 무선 전력 송신부로부터 수신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제2 정류부(121b)는 무선 전력 송신부(110)의 무선 전력 송신 모듈(111)의 제1 정류부(111a)와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정류부(121b)는 교류 전력을 정류하기 위한 정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신호 수신 모듈(123)은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신호 수신 모듈(123)은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온오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신호 수신 모듈(123)은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제2 제어 모듈(127)로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전력 공급 모듈(125)은 무선 전력 수신 모듈(121)로부터 전달 받은 직류 전력을 무선 전력 수신부(120)의 구성 각각에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력 공급 모듈(125)은 제2 신호 수신 모듈(123)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2 전력 공급 모듈(125)은 구동부(13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2 전력 공급 모듈(125)에서 구동부(130)로 공급되는 전력은 제2 제어 모듈(127)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제2 제어 모듈(127)은 제2 전력 공급 모듈(125)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제어 모듈(127)은 제2 전력 공급 모듈(125)에서 구동부(130)로 출력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제어 모듈(127)은 제2 신호 수신 모듈(123)의 출력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제2 제어 모듈(127)은 제2 신호 수신 모듈(123)이 오프 신호를 수신하면, 구동부(130)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도록 제2 전력 공급 모듈(125)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 모듈(127)은 제2 신호 수신 모듈(123)이 온 신호를 수신하면, 구동부(130)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2 전력 공급 모듈(125)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송신부(110)의 제1 제어 모듈(117)은 제1 신호 수신 모듈(113) 및 제2 신호 수신 모듈(123)이 오프 신호를 수신하면, 무선 전력 수신부(120)의 제2 제어 모듈(127)에 의해 구동부(130)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고 무선 전력 송신 모듈(111)(예: 송신 공진기(111d))로부터 지정된 값을 초과하는 출력(예: 송신 공진기(111d)의 커패시터의 전압(VC2))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제어 모듈(117)은 무선 전력 송신 모듈(111)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도록 제1 전력 공급 모듈(115)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온(on)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가 온 상태일 때, 구동부(130)를 동작시켜 디스플레이에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제어 모듈(117)은 전자 장치(100)가 온 상태일 때, 제1 전력 공급 모듈(115)로부터 무선 전력 송신 모듈(111)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1 전력 공급 모듈(115)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 모듈(117)은 제1 전력 공급 모듈(115)로부터 무선 전력 송신 모듈(111)의 역률 개선부(111b)로 전력(VCC1)을 공급하기 위한 연결을 온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력 공급 모듈(115)은 제1 신호 수신 모듈(113) 및 제1 제어 모듈(117)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신호 수신 모듈(113)이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므로, 제1 제어 모듈(117)은 제1 신호 수신 모듈(113)로부터 하이 레벨의 출력 전압(VIR)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부(111)의 역률 개선부(111b) 및 송신 공진기(111d)는 동작 상태이므로, 제1 제어 모듈(117)은 무선 전력 송신 모듈(111)로부터 지정된 전압 값(VR) 이하의 출력 전압(VC1,VC2)을 입력 전압(VINV)으로 전송 받을 수 있다. 제1 제어 모듈(117)은 비교기(117b)를 통해 무선 전력 송신부(110)로부터의 입력 전압(VINV) 및 지정된 전압(VR)을 비교할 수 있다. 비교기(117b)는 무선 전력 송신 모듈(111)의 출력이 지정된 전압(VR) 이하이면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무선 전력 송신 모듈(111)의 출력이 지정된 전압(VR)을 초과하면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제어 모듈(117)은 비교기(117b)를 통해 하이 레벨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제어 모듈(117)의 S-R 래칫(117e)은 제1 신호 수신 모듈(113)의 출력이 입력된 제1 NOT 게이트(117a)의 출력 및 비교기(117b)의 출력을 입력으로 한 AND 게이트(117c)의 출력(또는, 로우 레벨 신호)을 S 입력으로 전송 받을 수 있다. S-R 래칫(117e)은 비교기(117b)의 출력이 입력된 제2 NOT 게이트(117d)의 출력(또는, 로우 레벨 신호)을 R 입력으로 전송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S-R 래칫(117e)은 출력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 모듈(117)은 제1 전력 공급 모듈(115)로부터 무선 전력 송신 모듈(111)의 역률 개선부(111b)로 전력(VCC1)을 공급하기 위한 연결을 온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 모듈(111)은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교류 전력을 제1 정류부(111a)를 통해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고, 역률 개선부(111b)를 통해 상기 변환된 직류 전력의 역률을 개선하여 직류 전압을 출력하고, 인버터(111c)를 통해 상기 직류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교류 전력으로 생성하고, 송신 공진기(111d)를 통해 상기 생성된 교류 전력을 무선 전력 수신부(120)로 송신할 수 있다.
제2 제어 모듈(127)은 전자 장치(100)가 온 상태일 때, 제2 전력 공급 모듈(125)로부터 구동부(130)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제어 모듈(127)은 전자 장치(100)의 상태와 상관 없이 제2 신호 수신 모듈(123)로 무선 전력 송신부(111)로부터 송신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제2 신호 수신 모듈(123)을 통해 제어 신호(예: 온(on)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부(130)를 동작시켜 디스플레이에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온 상태에서 오프 신호를 수신할 때 전자 장치의 각 구성의 입력 또는 출력 값을 나타낸 것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시각(t1)에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오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제어 모듈(117)은 전자 장치(100)가 오프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제1 전력 공급 모듈(115)로부터 무선 전력 송신 모듈(111)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도록 제1 전력 공급 모듈(115)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송신부(110)의 제1 신호 수신 모듈(113)은 제1 시각(t1)에 오프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제1 시각(t1)부터 제2 시각(t2)까지 로우 레벨의 전압(VIR)을 출력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부(120)의 제2 신호 수신 모듈(123)은 오프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무선 전력 수신부(120)의 제2 제어 모듈(127)로 상기 오프 신호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제어 모듈(127)은 제2 전력 공급 모듈(125)을 제어하여 구동부(130)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구동부(130)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무선 전력 수신부(120)에 연결된 부하가 감소(또는, 경부화)되므로, 무선 전력 송신 모듈(111)의 출력은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송신 모듈(111)의 인버터(111c)의 커패시터 전압(VC2)이 증가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모듈(111)의 출력의 증가로 비교기(117b)로 입력되는 전압(VINV)은 제2 시각(t2)에 지정된 전압 값(VR)을 초과할 수 있다. 비교기(117b)는 비교기(117b)로 입력되는 전압(VINV)이 지정된 전압 이상이 되는 제2 시각(t2)부터 제3 시각(t3)까지 로우 레벨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S-R 래칫(117e)은 AND 게이트(117c)의 로우 레벨 신호를 S 입력으로 전송 받을 수 있고, 제2 NOT 게이트(117d)의 하이 레벨 신호를 R 입력으로 전송 받을 수 있다. S-R 래칫(117e)은 제2 시간(t2)에 출력을 로우 레벨 신호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부(110)는 무선 전력 수신부(120)로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무선 전력 송신 모듈(111)의 일부 구성(예: 역률 개선부(111b), 인버터(111c) 및 송신 공진기(111d))을 오프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의 이상 동작으로 무선 전력 송신부(110)에 과전압이 인가될 때, 무선 전력 송신부(100)를 오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무선 전력 송신부(110)에 과전압이 인가될 때, 역률 개선부(111b)의 커패시터 전압(VC1)이 증가하여 비교기(117b)로 입력되는 전압(VINV)이 지정된 전압 값(VR)을 초과함으로써 무선 전력 송신부(110)를 오프시킬 수 있다.
도 4a 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오프(off)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오프 상태(또는, 대기 상태)일 때,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온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신호 수신 모듈만 동작시킬 수 있다.
제1 제어 모듈(117)은 전자 장치(100)가 오프 상태일 때, 제1 전력 공급 모듈(115)로부터 무선 전력 송신 모듈(111)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도록 제1 전력 공급 모듈(115)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 모듈(117)은 제1 전력 공급 모듈(115)로부터 무선 전력 송신 모듈(111)의 역률 개선부(111b)로 전력(VCC1)을 공급하기 위한 연결을 오프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력 공급 모듈(115)은 전자 장치(100)가 오프 상태일 때 온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제1 신호 수신 모듈(113) 및 제1 제어 모듈(117)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신호 수신 모듈(113)이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제1 제어 모듈(117)은 제1 신호 수신 모듈(113)로부터 하이 레벨의 출력 전압(VIR)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 모듈(111)의 역률 개선부(111b) 및 송신 공진기(111d)는 동작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제1 제어 모듈(117)은 무선 전력 송신 모듈(111)로부터 지정된 값 이하의 출력 전압(예: O V)을 입력 전원(VINV)으로 전송 받을 수 있다. 제1 제어 모듈(117)은 비교기(117b)를 통해 무선 전력 송신부(110)로부터 입력 전압(VINV) 및 지정된 전압(VR)을 비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제어 모듈(117)은 비교기(117b)를 통해 하이 레벨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제어 모듈(117)의 S-R 래칫(117e)은 제1 신호 수신 모듈(113)의 출력이 입력된 제1 NOT 게이트(117b)의 출력(또는, 로우 레벨 신호) 및 비교기(117b)의 출력을 입력으로 한 AND 게이트(117c)의 출력(또는, 로우 레벨 신호)을 S 입력으로 전송 받을 수 있다. S-R 래칫(117e)은 비교기(117b)의 출력을 제2 NOT 게이트(117d)의 출력(예: 로우 레벨 신호)을 R 입력으로 전송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S-R 래칫(117e)은 출력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 모듈(117)은 제1 전력 공급 모듈(115)로부터 무선 전력 송신 모듈(111)의 역률 개선부(111b)로 공급되는 연결을 오프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 모듈(111)은 무선 전력 수신부(120)의 무선 전력 수신 모듈(121)로 전력이 송신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제어 모듈(127)은 무선 전력 송신부(110)로부터 송신되는 전력이 없으므로 구동부(130)로 전력을 공급할 수 없다.
도 4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오프 상태에서 온 신호를 수신할 때 전자 장치의 각 구성의 입력 또는 출력 값을 나타낸 것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시각(t1)에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온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제어 모듈(117)은 전자 장치(100)가 온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제1 전력 공급 모듈(115)로부터 무선 전력 송신 모듈(111)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1 전력 공급 모듈(115)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송신부(110)의 제1 신호 수신 모듈(113)은 제1 시각(t1)에 온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 제1 시각(t1)부터 제2 시각(t2)까지 로우 레벨 전압(VIR)을 출력할 수 있다. 비교기(117b)는 비교기(117b)로 입력되는 전압(VINV)이 지정된 전압 이하이므로 하이 레벨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S-R 래칫(117e)은 AND 게이트(117c)의 하이 레벨 신호를 S 입력으로 전송 받을 수 있고, 제2 NOT 게이트(117d)의 로우 레벨 신호를 R 입력으로 전송 받을 수 있다. S-R 래칫(117e)은 하이 레벨 신호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제어 모듈(117)은 제2 시각(t2)에서 제1 신호 수신 모듈(113)이 하이 레벨 전압(VIR)을 출력하더라도 전자 장치(100)의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R 래칫(117e)은 AND 게이트(117c)의 로우 레벨 신호를 S 입력으로 전송 받을 수 있고, 비교기(117b)의 출력이 입력된 제2 NOT 게이트(117d)의 로우 레벨 신호를 R 입력으로 전송 받을 수 있다. S-R 래칫(117e)은 출력을 하이 레벨 신호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무선 전력 송신부가 MCU(micro controller unit)를 포함하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0)는 무선 전력 송신부(1010), 무선 전력 수신부(1020) 및 구동부(103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는 도 2의 전자 장치(100)와 유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 장치(1000)와 도 2의 전자 장치(100)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겠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송신부(1010)의 제1 제어 모듈(1017)은 MCU(micro controller unit)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MCU는, 예를 들어, 제1 신호 수신 모듈(1013)의 출력을 입력으로 전송 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제어 모듈(1017)은 제1 전력 수신 모듈(1013)이 오프 신호를 수신하면, 무선 전력 송신 모듈(1011)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도록 제1 전력 공급 모듈(1015)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 모듈(1017)은 제1 전력 공급 모듈(1015)로부터 무선 송신 모듈(1011)의 역률 개선부(1011b)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연결을 오프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제어 모듈(1017)은 제1 전력 수신 모듈(1013) 온 신호를 수신하면, 무선 전력 송신 모듈(1011)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1 전력 공급 모듈(1015)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 모듈(1017)은 제1 전력 공급 모듈(1015)로부터 무선 송신 모듈(1011)의 역률 개선부(1011b)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연결을 온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 1000)는 무선 전력 수신부(120, 1020)뿐만 아니라 무선 전력 송신부(110, 1010)에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 모듈(113, 1013)을 포함하여 전자 장치(100, 1000)가 오프 상태(또는, 대기 상태)일 때 무선 전력 송신부(110, 1010)의 일부 구성을 오프시킴으로써,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구동부(130)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장치에서 대기 상태일 때 소비되는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 1000)의 이상 동작으로 무선 전력 송신부(110, 1010), 무선 전력 수신부(120, 1020) 및 구동부(130, 1030)에 과전압이 인가될 때, 무선 전력 송신부(110, 1010)를 오프시킴으로써 전자 장치가 고장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스탠드를 포함하였을 때, 무선 전력 수신부 및 구동부와 연결된 디스플레이가 회전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무선 전력 송신부(110), 무선 전력 수신부(120) 및 구동부(130)를 포함하고, 무선 전력 수신부(120) 및 구동부(13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스탠드(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탠드(140)는 무선 전력 송신부(110)와 무선 전력 수신부(120) 및 구동부(130) 사이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수신부(120) 및 구동부(130)는 스탠드(140)를 중심으로 수평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수신부(120) 및 구동부(130)는 스탠드(140)와 연결된 지점을 중심으로 수직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부(110)와 무선 전력 수신부(120)는 서로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무선 전력 수신부(120) 및 구동부(130)는 유선 연결에 따른 제약 없이 한쪽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벽에 월마운트(wall-mounted)되었을 때, 무선 전력 수신부 및 구동부와 연결된 디스플레이가 회전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는 무선 전력 송신부(110)가 벽에 고정된 상태에서, 무선 전력 수신부(120) 및 구동부(130)가 무선 전력 송신부(110)에 결합되어 월마운트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부(120) 및 구동부(13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는 무선 전력 수신부(120) 및 구동부(130)가 무선 전력 송신부(110)에 연결된 지점을 중심으로 수직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부(110)와 무선 전력 수신부(120)는 서로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무선 전력 수신부(120) 및 구동부(130)는 유선 연결에 따른 제약 없이 한쪽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무선 전력 수신부(120) 및 구동부(13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예: CD-ROM, DVD, 자기-광 매체 (예: 플롭티컬 디스크), 내장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 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있어서,
    전자 장치의 동작을 위한 구동 장치로 전력을 공급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 모듈;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전원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신호 수신 모듈;
    상기 제1 신호 수신 모듈로 전력을 공급하는 제1 전력 공급 모듈; 및
    상기 제1 전력 공급 모듈을 제어하는 제1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신호 수신 모듈이 오프(off)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무선 전력 송신 모듈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도록 상기 제1 전력 공급 모듈을 제어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무선 전력 송신 모듈의 출력 및 상기 제1 신호 수신 모듈의 출력을 입력 받는 직접 회로(integrated circuit)(IC)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모듈은상기 제1 신호 수신 모듈이 오프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구동 장치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어상기 무선 전력 송신 모듈로부터 지정된 값을 초과하는 출력을 입력 받아상기 무선 전력 송신 모듈로 공급되는 전력을차단하도록제1 전력 공급 모듈을 제어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직접 회로는 상기 제1 신호 수신 모듈의 출력이 입력으로 연결된 제1 NOT 게이트; 상기 무선 전력 송신 모듈의 출력 및 지정된 값이 입력으로 연결된 비교기(comparator); 상기 제1 NOT 게이트의 출력 및 상기 비교기의 출력이 입력으로 연결된 AND 게이트; 상기 비교기의 출력이 입력으로 연결된 제2 NOT 게이트; 및 상기 AND 게이트의 출력이 S 입력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NOT 게이트의 출력이 R 입력으로 연결된 S-R 래치(latch) 회로;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 모듈의 출력이 상기 지정된 값 이하이면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무선 전력 송신 모듈의 출력이 상기 지정된 값을 초과하면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값은 상기 제1 전력 공급 모듈에 의해 상기 제1 제어 모듈에 인가되는 전압인 무선 전력 송신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신호 수신 모듈이 온(on)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1 전력 공급 모듈을 제어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신호 수신 모듈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는 MCU(micro controller unit)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신호 수신 모듈이 오프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신호 수신 모듈로부터 변경된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도록 상기 제1 전력 공급 모듈을 제어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0. 전자 장치에 있어서,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 모듈;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전원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신호 수신 모듈; 상기 제1 신호 수신 모듈로 전력을 공급하는 제1 전력 공급 모듈; 및 상기 제1 전력 공급 모듈을 제어하는 제1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부; 및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구동을 위한 구동부를 동작시키는 무선 전력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신호 수신 모듈이 오프(off)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무선 전력 송신 모듈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도록 상기 제1 전력 공급 모듈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수신부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 모듈;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전원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신호 수신 모듈; 상기 무선 전력 수신 모듈로부터 전력을 전달 받아서 상기 제2 신호 수신 모듈로 전력을 공급하는 제2 전력 공급 모듈; 및 상기 제2 전력 공급 모듈을 제어하는 제2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 모듈은 상기 제2 신호 수신 모듈이 오프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2 전력 공급 모듈로부터 상기 구동부로 전력 공급이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신호 수신 모듈의 출력 및 상기 무선 전력 송신 모듈의 출력을 입력 받는 직접 회로(integrated circuit)(IC)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신호 수신 모듈 및 상기 제2 신호 수신 모듈이 오프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2 제어 모듈에 의해 상기 구동부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어 상기 무선 전력 송신 모듈로부터 지정된 값을 초과하는 출력을 입력 받아 상기 무선 전력 송신 모듈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도록 제1 전력 공급 모듈을 제어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직접 회로는 상기 제1 신호 수신 모듈의 출력이 입력으로 연결된 제1 NOT 게이트; 상기 무선 전력 송신 모듈의 출력 및 지정된 값이 입력으로 연결된 비교기(comparator); 상기 제1 NOT 게이트의 출력 및 상기 비교기의 출력이 입력으로 연결된 AND 게이트; 상기 비교기의 출력이 입력으로 연결된 제2 NOT 게이트; 및 상기 AND 게이트의 출력이 S 입력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NOT 게이트의 출력이 R 입력으로 연결된 S-R 래치(latch)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비교기는 상기 무선 전력 송신 모듈의 출력이 상기 지정된 값 이하이면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무선 전력 송신 모듈의 출력이 상기 지정된 값을 초과하면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전자 장치.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값은 상기 제1 전력 공급 모듈에 의해 상기 제1 제어 모듈에 인가되는 전압인 전자 장치.
  17.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신호 수신 모듈이 온(on)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1 전력 공급 모듈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18. 청구항11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모듈은 상기 제2 신호 수신 모듈이 온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2 전력 공급 모듈로부터 상기 구동부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9.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신호 수신 모듈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는 MCU(micro controller unit)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신호 수신 모듈이 오프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신호 수신 모듈로부터 변경된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도록 상기 제1 전력 공급 모듈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KR1020170056436A 2017-05-02 2017-05-02 대기 상태시 오프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23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436A KR102423070B1 (ko) 2017-05-02 2017-05-02 대기 상태시 오프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CT/KR2018/004722 WO2018203608A1 (en) 2017-05-02 2018-04-24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that is turned off in standby state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CN201880029128.7A CN110603711B (zh) 2017-05-02 2018-04-24 在待机状态下关闭的无线电力发送设备和包括无线电力发送设备的电子设备
EP18795174.4A EP3574564A1 (en) 2017-05-02 2018-04-24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that is turned off in standby state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US15/968,417 US10714978B2 (en) 2017-05-02 2018-05-01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that is turned off in standby state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436A KR102423070B1 (ko) 2017-05-02 2017-05-02 대기 상태시 오프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208A true KR20180122208A (ko) 2018-11-12
KR102423070B1 KR102423070B1 (ko) 2022-07-21

Family

ID=64014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436A KR102423070B1 (ko) 2017-05-02 2017-05-02 대기 상태시 오프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14978B2 (ko)
EP (1) EP3574564A1 (ko)
KR (1) KR102423070B1 (ko)
CN (1) CN110603711B (ko)
WO (1) WO201820360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8231A1 (en) * 2019-12-10 2021-06-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Levitating display device
US11177701B2 (en) 2019-04-16 2021-1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supplying wireless power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49467B2 (en) * 2018-07-16 2024-04-02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heterogeneous communication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N110620888B (zh) * 2019-09-06 2021-07-20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电源控制电路及显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0618A (ko) * 2010-01-06 2011-07-13 유장호 대기 전력 차단 콘센트
KR20150004635A (ko) * 2013-07-03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5328A (ko) * 1999-02-05 2000-09-05 김형태 개인용 양방향 영상 및 음성의 무선통신 시스템
EP1734461A2 (en) * 1999-07-12 2006-12-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obile body discrimination apparatus for rapidly acquiring respective data sets transmitted through modulation of reflected radio waves by transponders which are within a communication region of an interrogator apparatus
JP4047839B2 (ja) * 2004-08-09 2008-02-13 株式会社東芝 表示装置及び携帯型電子機器
US8101898B2 (en) * 2009-03-23 2012-01-24 General Electric Company Optically gated MEMS switch
US8908400B2 (en) * 2010-12-29 2014-12-09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Voltage multiplication in a wireless receiver
JP5616980B2 (ja) * 2011-01-14 2014-10-2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半導体スイッチ素子の駆動装置
TW201308830A (zh) 2011-08-09 2013-02-16 Askey Technology Jiangsu Ltd 手持式電子裝置的備用電力系統及備用電力供應方法
KR20130051153A (ko) * 2011-11-09 2013-05-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698628B2 (en) * 2011-12-14 2017-07-04 Intel Corporation System integration of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ubsystem
US9806564B2 (en) * 2014-05-07 2017-10-31 Energous Corporation Integrated rectifier and boost converter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TW201415749A (zh) * 2012-10-12 2014-04-16 Espower Electronics Inc 多機型無線電源供應系統
TWI446680B (zh) * 2012-10-30 2014-07-21 Au Optronics Corp 顯示裝置及無線電力傳輸系統
US9520749B2 (en) * 2013-08-08 2016-12-13 Hyundai Motor Company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frequency interference
CN107155385A (zh) * 2014-12-18 2017-09-12 财团法人多次元智能It融合系统 多模式无线电力接收装置及方法
KR20160142524A (ko) * 2015-06-03 2016-12-13 주식회사 엘트로닉스 무선 충전 장치
KR102481953B1 (ko) * 2015-09-09 2022-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 제어 방법
US9997317B2 (en) * 2015-10-22 2018-06-12 General Electric Company Isolated control circuit and driver for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switch
US10505396B2 (en) * 2015-11-20 2019-12-10 Rohm Co., Ltd.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0618A (ko) * 2010-01-06 2011-07-13 유장호 대기 전력 차단 콘센트
KR20150004635A (ko) * 2013-07-03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77701B2 (en) 2019-04-16 2021-1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supplying wireless power thereof
WO2021118231A1 (en) * 2019-12-10 2021-06-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Levitating display device
US11664685B2 (en) 2019-12-10 2023-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Levitating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74564A4 (en) 2019-12-04
US20180323650A1 (en) 2018-11-08
US10714978B2 (en) 2020-07-14
CN110603711A (zh) 2019-12-20
CN110603711B (zh) 2023-06-23
KR102423070B1 (ko) 2022-07-21
WO2018203608A1 (en) 2018-11-08
EP3574564A1 (en)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03711B (zh) 在待机状态下关闭的无线电力发送设备和包括无线电力发送设备的电子设备
EP2814163B1 (en) Power supply, power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a standby mod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EP2611016B1 (en) Power suppl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7050049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991297B2 (en) Power supply device that outputs a signal corresponding to whether AC power is input, display device having same, and power supply method
US20140042819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power management method
JPH1097356A (ja) 節電型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730155B1 (ko) 스마트 윈도우 제어 장치
WO2015149474A1 (zh) 模拟电压源电路及显示装置
KR101925142B1 (ko) 파워 서플라이 및 그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US9985474B2 (en) Display apparatus and power supplying method thereof
KR20170120421A (ko) 전원공급장치,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원 공급 방법
EP2434629B1 (en) Power suppl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11139188A (ja) 照明および表示システム
KR20190094933A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
KR20090025876A (ko) 위치인식 무접점 전력 공급장치와 배터리 충전장치 및 이를이용한 충전시스템
US11741816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self-diagnosis function
US11177701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supplying wireless power thereof
KR20200008351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224353B2 (en) Liquid crystal monitor using DC-DC converter
KR101043403B1 (ko) 전원공급장치 및 전원공급방법
KR20210151228A (ko) 전자기기, 이의 제어방법 및 무선전력 송수신시스템
US20160322905A1 (en) Power supply apparatus and power supply method thereof
KR20040078334A (ko) 디스플레이의 절전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