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2144A - 인슐린 비강 전달용 제제 - Google Patents

인슐린 비강 전달용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2144A
KR20180122144A KR1020170056253A KR20170056253A KR20180122144A KR 20180122144 A KR20180122144 A KR 20180122144A KR 1020170056253 A KR1020170056253 A KR 1020170056253A KR 20170056253 A KR20170056253 A KR 20170056253A KR 20180122144 A KR20180122144 A KR 20180122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in
formulation
peptide
present
sucr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6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림
배해득
맹지혜
정성훈
김남아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56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2144A/ko
Publication of KR20180122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21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3N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22Hormones
    • A61K38/28Insul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sters, polyamino acids, polysiloxanes, polyphosphazines, copolymers of polyalkylene glycol or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8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Diabetes (AREA)
  • Endocri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슐린 비강 전달용 제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신규 TCTP-PTD (Translationally Controlled Tumor Protein-Protein Transduction Domain) 펩타이드, 인슐린, 수크로스 및 단백질 응집 억제제를 포함하는 제제, 및 인슐린의 비강 투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제는 우수한 제제 안정성 및 인슐린의 세포막 투과 효과를 가지므로 인슐린 투여를 위한 제제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인슐린 비강 전달용 제제 {A formulation for nasal administration of insulin}
본 발명은 인슐린 비강 전달용 제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신규 TCTP-PTD (Translationally Controlled Tumor Protein-Protein Transduction Domain) 펩타이드, 인슐린, 수크로스 및 단백질 응집 억제제를 포함하는 제제, 및 인슐린의 비강 투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대표적인 만성 대사성 질환인 당뇨병은 전 세계적으로 인구의 노령화와 서구화된 생활습관, 운동부족 증가에 따라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향후 국내 및 국외 모두 환자수가 급증할 것으로 예측된다. 기존 인슐린 주사제의 침습적인 투여 방법으로 인하여 환자의 불편 및 감염 가능성, 장기 투여 시 피부의 변형, 자가 주사가 어려운 환자에게서의 미충족 의학수요가 높은 상황이며, 이에 비침습적 인슐린 제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와 관련하여, 코 점막을 통한 약물전달은 비침습적이며, 약물을 전달하는데 있어 접근하기 쉬운 경로로 인식되고 있다. 코 점막은 표면적이 약 150 cm2로 풍부한 혈관이 분포되어 있어 우수한 약물 흡수 사이트를 제공하며, 비강 투여된 약물은 위장관에서의 분해와 간에서의 초회 통과를 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인슐린과 같은 친수성이며 분자량이 1 kDa 이상인 약물은 코 점막에서 잘 투과되지 않아 전신 순환에 도달하는 약물의 양이 적어 생체이용률이 낮다.
코 점막에서 약물 흡수능을 높이기 위해 지난 수십 년간 다양한 비강흡수촉진제를 이용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현재까지 개발된 비강흡수촉진제는 제한적으로 낮은 분자량의 약물만 흡수시키는 제한점이 있었다. 또한, 몇몇 비강흡수촉진제는 코점막을 손상시키는 부작용을 나타냈다. 이에,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전성이 높은 비강흡수촉진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막 투과 도메인 (Protein Transduction Domain, PTD)은 특별한 수용체의 매개 없이 세포막을 투과하며, 세포막 손상을 거의 주지 않는 것으로 알려진 짧은 펩타이드이다. PTD는 분자량이 커서 세포 내로 운반이 어려운 플라스미드 DNA, siRNA, 펩타이드 및 단백질 등에 대해 in vivoin vitro 수준에서 전달자 (carrier)의 역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기존에 인간 TCTP (Translationally Controlled Tumor Protein) 단백질의 N-말단에 10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PTD (TCTP-PTD)를 발견하였고, 고분자 물질을 세포 내 전달하는 전달체로써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고한 바 있다. 또한, TCTP-PTD의 알라닌 스캐닝 (alanine scanning)을 통해 세포막 투과에 중대한 역할을 하는 아미노산을 찾았고, 이 실험 자료를 기반으로 야생형 TCTP-PTD 보다 용해도와 세포막 투과능이 우수한 변이체 TCTP-PTD들을 발견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98954호).
본 발명자들은 비강 점막을 통한 인슐린 전달력이 우수한 제제를 개발하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선행 연구를 통해 발굴된 TCTP-PTD 및 이의 변이체들 보다 비강 내 인슐린 전달 효과가 우수한 신규 TCTP-PTD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제제를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 인슐린, 수크로스 및 단백질 응집 억제제를 포함하는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 인슐린, 수크로스 및 단백질 응집 억제제를 포함하는, 인슐린의 비강 투여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 인슐린, 수크로스 및 단백질 응집 억제제를 포함하는, 제제이다.
본 발명자들은 기존에 야생형 TCTP-PTD (Translationally Controlled Tumor Protein-Protein Transduction Domain) 펩타이드 및 이의 변이체를 제작하고 상기 펩타이드가 세포막 투과능이 우수함을 밝힌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98954호). 본 발명에서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는 신규한 TCTP-PTD 펩타이드의 변이체로서, 그 자체로 세포막 투과성이 우수하며, 타겟 물질을 생체 조직 내로 전달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제제는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 및 인슐린을 포함하므로, 세포막을 통해 인슐린을 전달하는 능력이 매우 우수하며, 투여 개체의 점막 조직을 통해 인슐린을 전달할 수 있다.
인슐린은 5.8 kDa의 큰 분자량을 가지므로 점막 내로 투과될 수 없어 피하주사로 투여되어 왔다. 그러나 주사는 환자에게 공포와 고통을 유발하며 감염의 위험 역시 존재하므로 비 침습적인 투여 방법이 개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인슐린과 같이 당뇨 환자가 주기적으로 투여해야 하는 약물은 간편하게 투여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는 인슐린의 점막 투과능을 개선하여 인슐린이 비강을 비롯한 점막으로 투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기존에 알려진 비강흡수 촉진제 (예: 지방산, 담즙산염)들은 점막을 손상시킬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의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는 그 자체로 점막을 거의 손상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의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는 인슐린의 투과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제제는 기존에 알려진 비강흡수 촉진제를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포함하더라도 점막에 큰 손상을 주지 않는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제는 인슐린 및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가 1 : 1 내지 1 : 5의 몰 비율로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례로 인슐린 및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가 1 : 1 내지 1 : 3의 몰 비율로 포함될 수 있고, 다른 일례로 인슐린 및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가 1 : 2의 몰 비율로 포함될 수 있으나, 통상의 기술자는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제제 내 포함되는 인슐린 및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 비율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와 인슐린은 제제 내 단순 혼합된 형태 (mixture)로 포함될 수 있고, 펩타이드와 인슐린이 물리적 결합, 화학적 결합, 공유 결합, 비공유 결합으로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매개체 (예컨대, 링커)를 이용하여 통합된 또는 융합된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인슐린을 코딩하는 서열에 상기 펩타이드의 코딩 서열을 추가하여 융합 단백질 (fusion protein)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인슐린 및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를 제제 내 포함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는 아미노산 서열 자체로 구성된 펩타이드일 수 있고, 혹은 필요에 따라 펩타이드에 아세틸화, 아미드화 등으로 수식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제는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 및 인슐린 외에 수크로스 및 단백질 응집 억제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수크로스는 단백질 안정화제로서 사용되었다. 일례로 상기 수크로스는 제제 내 0.1 %(w/v) 내지 10 %(w/v)로 포함될 수 있고, 다른 일례로 제제 내 0.5 %(w/v) 내지 5 %(w/v), 또 다른 일례로 1 %(w/v) 내지 3 %(w/v)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단백질 응집 억제제"는 단백질이 응집되는 현상을 막거나 지연시키는 물질을 말하며, 본 발명의 목적상 제제 내에서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 인슐린 등과 같은 단백질이 응집되는 현상을 막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백질 응집 억제제는 알지닌, 알지닌 염산염, 사이클로덱스트린, 프롤린, 알부민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제에서 예컨대, 알지닌 염산염을 단백질 응집 억제제로 사용할 경우, 상기 알지닌 염산염은 10 mM 내지 200 mM로 제제 내 포함될 수 있고, 또는 25 내지 150 mM로 제제 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인슐린을 비강으로 전달할 수 있는 제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신규한 TCTP-PTD 펩타이드를 제작한 뒤, 이를 포함하는 다양한 조성의 제제를 제조하여, 상기 제제의 인슐린 비강 전달 능력을 시험하였다. 그 결과, 서열번호 1의 TCTP-PTD 펩타이드, 인슐린, 수크로스 및 단백질 응집 억제제를 포함하는 제제인 1-5, 2-1 및 2-2 제제는 제제 안정성 및 비강 인슐린 전달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도 1, 도 2 및 표 3).
상기 제제는 경구제제, 주사제, 점막투여제제, 구강 점막 투여 제제, 비강 투여 제제, 안과 제제, 질 투여 제제, 흡입제, 외용제제, 경피흡수제, 설하 투여 제제, 이식 제제, 및 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제는 인슐린의 비강 투여용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제는 상기 펩타이드 및 인슐린 외에 별도의 다른 효능을 나타내는 약물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경구투여시에는 결합제, 활택제, 붕해제, 부형제, 가용화제, 분산제, 안정화제, 현탁화제, 색소, 향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주사제의 경우에는 완충제, 보존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등장화제, 안정화제 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국소 투여용의 경우에는 기제, 부형제, 윤활제, 보존제, 항산화제, 안정화제, 완충제, 점증제, 등장화제, 가용화제, 항응집제, 계면활성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담체는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례로 본 발명에서 상기 제제는 계면활성제 또는 항산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록사머 (poloxamer 188), 폴리소르베이트20, 폴리소르베이트40, 폴리소르베이트60, 폴리소르베이트80, 라우릴황산나트륨 및 스테아릴푸마르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상기 항산화제는 메티오닌, 아스코르빌팔미테이트, 부틸히드록실아니솔, 부틸히드록실톨루엔, 차아인산, 모노싸이오글리세롤, 메타중아황산칼륨, 몰식자산프로필, 산성아황산나트륨, 소듐포름알데하이드설폭시레이트, 메타중아황산나트륨, 차아황산나트륨, 이산화황 및 토코페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상기 제제는 완충액 (buff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제는 투여 경로, 투여되는 대상 등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제의 pH는 10 이하가 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이 될 수 있고, 일례로 pH 6.0 내지 pH 7.5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제를 투여하는 방법은 특별히 그 구체적 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건조 상태의 것 또는 용액상의 것을 그대로 투여하거나, 건조 상태의 것을 물에 일단 용해 분산시킨 후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제를 생체에 투여할 때의 투여량이나 투여 횟수는 투여 형태, 환자의 연령, 체중, 증상의 중독도에 따라 적당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 일 실시예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제는 비강에서 우수한 인슐린 전달 효과를 가지는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 인슐린, 수크로스 및 단백질 응집 억제제를 포함하는, 인슐린의 비강 투여용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인슐린의 비강 투여용 조성물은 효과가 안정적으로 나타나며 비강을 통해 우수한 인슐린 전달 활성을 가지므로, 비침습적 방식으로 인슐린을 환자에 투여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는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 인슐린, 수크로스 및 단백질 응집 억제제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제제는 우수한 제제 안정성 및 인슐린의 세포막 투과 효과를 가지므로 인슐린 투여를 위한 제제로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1차 포뮬레이션을 설계한 다음 실험동물의 비강 내 투여 후 인슐린 농도를 채혈 시간대 별로 정량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2차 포뮬레이션을 설계한 다음 실험동물의 비강 내 투여 후 인슐린 농도를 채혈 시간대 별로 정량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비강 인슐린 투여용 1차 제제 설계
비강 인슐린 전달체로서 서열번호 1의 신규 TCTP-PTD 펩타이드를 펩트론(주)에 의뢰하여 고순도 (~ 95 %)로 제작하였고, 합성 펩타이드의 N-말단과 C-말단은 각각 아세틸화와 아미드화로 수식 (modification)하였다.
인슐린의 등전점 (isoelectric point)은 약 pH 5.3으로 등전점에 가까운 pH에서 용해도가 감소하므로, 인슐린 용해도와 비강 점막 내 평균 pH 6.3을 고려하여 기본 완충액 (10 mM phosphate buffer (PB))의 pH를 6.4 ~ 7.0으로 설정하였다. 인슐린 및 TCTP-PTD의 혼합물에서 응집체 형성을 억제하고 보관 안정성을 향상하기 위해 단백질 안정화제, 단백질 응집 억제제, 계면활성제 및 항산화제를 기반으로 1차 제제를 설계하였다 (표 1).
제제 인슐린
(mM)
TCTP-PTD
(mM)
안정화제 응집 억제제 계면활성제 항산화제 완충액
1-1 0.1 0.2 250 mM
만니톨
- 폴록사머 188
(0.5 mg/mL)
1 mM
메티오닌
10 mM PB, pH 7.0
1-2 0.1 0.2 - 150 mM
알지닌·HCl
폴록사머 188
(0.5 mg/mL)
1 mM
메티오닌
10 mM PB, pH 6.5
1-3 0.1 0.2 150 mM
만니톨
100 mM
알지닌·HCl
폴록사머 188
(0.5 mg/mL)
1 mM
메티오닌
10 mM PB, pH 6.5
1-4 0.1 0.2 글리세린
(16 mg/mL)
- 폴록사머 188
(0.5 mg/mL)
1 mM
메티오닌
10 mM PB, pH 7.0
1-5 0.1 0.2 1 %(w/v) 수크로스 25 mM
알지닌·HCl
폴록사머 188
(0.5 mg/mL)
1 mM
메티오닌
10 mM PB, pH 6.5
PB: 인산 완충액
실시예 2: 1차 제제의 효능 평가
초기 비강 인슐린 제제를 설계 후 각각의 비강 인슐린 제제의 효능을 동물 모델에서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체중이 165 ~ 200 g의 수컷 랫트 (Wister rat)를 실험동물로 공시하였고, 비강 내 인슐린 제제를 투여하기 위해 마취제인 소듐 펜토바비탈 (sodium pentobarbital) 복강주사 (투여량: 65 mg/kg)로 마취를 유도하였다. 마취된 랫트의 비강 내 각각의 인슐린 제제 (인슐린 투여량: 1 IU/kg)를 투여한 다음 투약 후 15, 30, 60 분경과 시점에 채혈한 뒤, 혈장을 분리하여 시판용 ELISA 키트 (Mercodia 社)로 혈장 내 인슐린 함량을 정량하였다. 본 평가에서는 단순히 기본 완충액 (10 mM PB, pH 6.4)에 인슐린과 PTD를 혼합하여 비강에 투여한 처리군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동물 모델에서 평가한 1차 포뮬레이션의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1-1 제제를 제외한 모든 제제는 대조군 (Free insulin+PTD) 대비 유사한 수준의 인슐린 전달력을 보였다. 특히, 1-3 내지 1-5의 제제는 대조군보다 혈장 인슐린 농도가 지속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1-3, 1-4 및 1-5의 제제가 대조군 보다 비강 점막에서 인슐린 흡수가 더 지속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실시예 3: 비강 인슐린 투여용 2차 제제의 설계
상기 1차 제제에 대한 평가를 토대로 2차 비강 인슐린 제제 (2차 포뮬레이션)를 설계하였다 (표 2).
제제 인슐린
(mM)
TCTP-PTD
(mM)
안정화제 응집 억제제 계면활성제 항산화제 완충액
2-1 0.1 0.2 1 %(w/v) 수크로스 100 mM
알지닌·HCl
폴록사머 188
(0.5 mg/mL)
1 mM
메티오닌
10 mM PB, pH 6.5
2-2 0.1 0.2 3 %(w/v) 수크로스 100 mM
알지닌·HCl
폴록사머 188
(0.5 mg/mL)
1 mM
메티오닌
10 mM PB, pH 6.5
2-3 0.1 0.2 글리세린
(16 mg/mL)
1 %(w/v) 수크로스 폴록사머 188
(0.5 mg/mL)
1 mM
메티오닌
10 mM PB, pH 7.0
2-4 0.1 0.2 글리세린
(16 mg/mL)
100 mM
알지닌·HCl
폴록사머 188
(0.5 mg/mL)
1 mM
메티오닌
10 mM PB, pH 6.5
2-5 0.1 0.2 글리세린
(30 mg/mL)
100 mM
알지닌·HCl
폴록사머 188
(0.5 mg/mL)
1 mM
메티오닌
10 mM PB, pH 6.5
PB: 인산 완충액
구체적으로 1 차 포뮬레이션 평가에서는 3 종의 단백질 안정화제 (만니톨, 글리세린 및 수크로스)를 선정하여 평가하였으나, 안정화제를 첨가하지 않거나 (1-2 제제), 만니톨을 안정화제로 첨가한 경우 (1-1 및 1-3 제제) 인슐린 전달력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2차 비강 인슐린 제제 설계에서는 만니톨을 제외한 2 종 (수크로스 및 글리세린)의 단백질 안정제를 선정하였고, 상기 2 종의 단백질 안정제의 농도를 달리하여 2 차 포뮬레이션을 설계하였다.
실시예 4: 2차 제제의 효능 평가
동물 모델에서 상기 설계된 2 차 제제의 효능 평가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2-1, 2-2 및 2-4의 제제의 경우 투여 후 대조군 보다 혈장 인슐린 농도가 지속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수크로스 및 알지닌을 혼합하여 제형을 설계한 경우 실험동물의 비강 내 인슐린 흡수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의 결과로부터 곡선하면적을 계산하여 하기 표 3으로 나타내었다. 인슐린과 TCTP-PTD를 단순 혼합하여 비강으로 투여한 대조군 및 인슐린만 피하 주사한 결과를 함께 비교하였다.
제제 AUC0 -60 min Enhancement ratio
(vs control)
대조군
(free insulin + PTD)
2559.60 ± 190.48 -
1-1 제제 153.12 ± 37.84 -
1-2 제제 2119.07 ± 357.89 -
1-3 제제 2728.31 ± 386.10 1.07
1-4 제제 2513.50 ± 315.47 -
1-5 제제 3145.23 ± 423.26 1.23
2-1 제제 2895.76 ± 174.37 1.13
2-2 제제 3012.39 ± 213.25 1.18
2-3 제제 1382.37 ± 231.20 -
2-4 제제 3489.29 ± 577.46 1.63
2-5 제제 1286.25 ± 34.90 -
인슐린 피하주사
(0.5 IU/kg)
2441.93 ± 161.38 -
*곡선하면적 (AUC)은 0 내지 60 분의 인슐린 농도-시간 곡선의 하면적을 나타냄.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1 차 제제 및 2 차 제제 중 대조군 (Free insulin+PTD) 보다 인슐린 전달력이 우수한 5 종의 비강 인슐린 제제를 확인하였으며, 특히 1-5, 2-1, 2-2 및 2-4 제제의 경우 대조군 대비 13 % 이상 인슐린 전달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단백질 안정화제인 글리세린을 기반으로 한 2-4 제제의 경우 인슐린 전달력이 우수하였으나, 개체 간 편차가 심하여 제제 안정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서 수크로스 기반의 제형으로 단백질 응집 억제제를 포함하는 1-5, 2-1 및 2-2 제형은 제제 안정성이 우수하고, 대조군과 비교하여 PK 지표 중에 하나인 AUC 값이 각각 1.23, 1.13 및 1.18 배 증가하여 비강 인슐린 전달력이 강화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EWHA UNIVERSITY - INDUSTRY COLLABORATION FOUNDATION <120> A formulation for nasal administration of insulin <130> P17-008-EWHA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CTP-PTD peptide <400> 1 Met Ile Ile Phe Arg Leu Leu Ala Ser His Lys Lys 1 5 10

Claims (11)

  1.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 인슐린, 수크로스 및 단백질 응집 억제제를 포함하는, 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인슐린 및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가 1 : 1 내지 1 : 5의 몰 비율로 포함된 것인, 제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크로스는 0.1 %(w/v) 내지 10 %(w/v)로 포함되는 것인, 제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응집 억제제는 알지닌, 알지닌 염산염, 사이클로덱스트린, 프롤린, 및 알부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제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알지닌 염산염은 10 mM 내지 200 mM로 포함되는 것인, 제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계면활성제 또는 항산화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제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록사머 (poloxamer 188), 폴리소르베이트20, 폴리소르베이트40, 폴리소르베이트60, 폴리소르베이트80, 라우릴황산나트륨 및 스테아릴푸마르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제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제는 메티오닌, 아스코르빌팔미테이트, 부틸히드록실아니솔, 부틸히드록실톨루엔, 차아인산, 모노싸이오글리세롤, 메타중아황산칼륨, 몰식자산프로필, 산성아황산나트륨, 소듐포름알데하이드설폭시레이트, 메타중아황산나트륨, 차아황산나트륨, 이산화황 및 토코페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제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pH 6.0 내지 pH 7.5의 완충액을 포함하는 것인, 제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비강 투여용인 것인, 제제.
  11.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 인슐린, 수크로스 및 단백질 응집 억제제를 포함하는, 인슐린의 비강 투여용 조성물.
KR1020170056253A 2017-05-02 2017-05-02 인슐린 비강 전달용 제제 KR201801221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253A KR20180122144A (ko) 2017-05-02 2017-05-02 인슐린 비강 전달용 제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253A KR20180122144A (ko) 2017-05-02 2017-05-02 인슐린 비강 전달용 제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144A true KR20180122144A (ko) 2018-11-12

Family

ID=64397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253A KR20180122144A (ko) 2017-05-02 2017-05-02 인슐린 비강 전달용 제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214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63272T3 (es) Formulaciones de la hormona paratiroidea y utilizaciones de la misma.
ES2715326T3 (es) Formulación liquida de conjugado de insulina de acción prolongada
JP5894174B2 (ja) グルカゴンを含む新規組成物
ES2669190T3 (es) Uso de péptidos intestinales vasoactivos modificados en el tratamiento de la hipertensión
US20130084277A1 (en) Formulations of active agents for sustained release
EP3065765B1 (en) Use of il-22 dimers in manufacture of medicaments for treating pancreatitis
TW201542239A (zh) 穩定液體調配物
US8178489B2 (en) Formulation for aviptadil
ES2385888T3 (es) Solución acuosa estable de eritropoyetina humana que no contiene albúmina sérica
US11931417B2 (en) Methods of preparing a pegylated human IL-11 composition
WO2015190378A1 (ja) 安定なアダリムマブ水性製剤
ES2524454T3 (es) Formulación líquida de G-CSF
US8895503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ansnasal administration of peptide hormones or cytokines
KR20180122144A (ko) 인슐린 비강 전달용 제제
US20240041977A1 (en) Annexin a1 n-terminal peptide formulations and methods
AU2013368990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AU2011288919B2 (en) Therapeutic method for treating congestive heart failure
US20100099602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hypoxic injury
EP4129324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at least an amylin receptor agonist and a glp-1 receptor agonist
NZ617828A (en) Controlled release peptide formulations
NZ617828B2 (en) Controlled release peptide formul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