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1843A - 기능성 휴대 물건 분실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기능성 휴대 물건 분실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1843A
KR20180121843A KR1020180127396A KR20180127396A KR20180121843A KR 20180121843 A KR20180121843 A KR 20180121843A KR 1020180127396 A KR1020180127396 A KR 1020180127396A KR 20180127396 A KR20180127396 A KR 20180127396A KR 20180121843 A KR20180121843 A KR 20180121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unit
weight
portable objec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7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선욱
Original Assignee
임선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선욱 filed Critical 임선욱
Priority to KR1020180127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1843A/ko
Publication of KR20180121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18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등의 휴대 물건에 부착되어 분실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만보기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등의 휴대 물건에 부착되어 분실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싱부(101), 신호발생부(110), 제어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기능성 휴대 물건 분실 방지 장치(100)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신호발생부(110)는 소리발생모듈부(111), 진동모듈부(112) 또는/및 깜박이모듈부(113)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된 기능성 휴대 물건 분실 방지 장치(100)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만보기부(130)를 더 부가한 기능성 휴대 물건 분실 방지 장치(100)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기능성 휴대 물건 분실 방지 장치{a functional device preventing portable things from losing}
본 발명은 휴대폰 등의 휴대 물건에 부착되어 분실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만보기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등의 휴대 물건에 부착되어 분실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휴대하고 다니는 물건은 지갑, 가방, 핸드폰 등과 같은 것으로서 사람들은 이와 같은 휴대 물건을 지참하고 다니지만 가끔 분실한 경우에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나중에 알게 되어 낭패를 겪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휴대폰은 이동성을 갖는 장치로서 휴대하면서 가지고 다니는 이동통신기기이다.
이러한 휴대폰은 우리의 일상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휴대물품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최근의 산업사회 및 정보사회에 있어 실제로 이 휴대폰을 소유하지 않을 경우에 불편함을 겪는 이들이 아주 많이 존재하는 실정에 이르고 있다.
하지만, 반도체기술의 발달로 소형화되고 있는 추세의 휴대폰은 개인소유자의 실수로 분실하기가 쉬우며, 실제로 많은 휴대폰들이 분실되고 있어 개인의 경제적인 손해와 정보력이 상실되는 문제점은 물론 분실한 휴대폰의 보관 및 처리 등 국가적으로도 경제적인 낭비가 행해지는 문제점이 유발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휴대폰에는 휴대폰 본체에 장식줄이나 목걸이줄 등을 연결시 사용되는 연결고리가 본체의 상부로만 구성됨에 의해 연결고리를 활용하는데 제약이 따르거나 사용상 불편함이 제기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소형 지갑의 경우 옷의 주머니 등에 넣고 다니는 경우가 일반적이지만 회식이나 회의 중과 같이 탁자에 놓고 일을 보는 경우 가끔 분실의 문제점이 제기되기도 한다.
등록실용신안 20-0437920(휴대폰 분실방지 및 사용편의를 위한 장치)는 "휴대폰 본체 또는 휴대폰 보호케이스의 하부에 결속용 고리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휴대폰 본체 또는 휴대폰 보호케이스의 하부에 형성한 결속용 고리에 결속시킨 고리줄에 연결되고 인형류나 액세서리류의 장식부재에 내재되며 휴대폰의 사용시 그 이동성에 따라 신축기능을 자유자재로 발휘토록 한 신축수단과, 상기 신축수단에 연결되고 의복바지의 허리고리에 걸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분실방지용 고리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되게 하고; 상기 휴대폰 본체나 휴대폰 보호케이스 또는 상기 장식부재에 내재되는 신축수단의 어느 하나에는 교통카드가 구비되게 하는 기술"을 제시한 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사람이 지참한 휴대 물건의 분실을 방지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핸드폰, 지갑, 가방 등의 휴대 물건에 삽입하거나 부착하여 이의 분실을 방지하는 휴대 물건 분실 방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핸드폰, 지갑, 가방 등의 휴대 물건의 분실을 방지하는 기능과 함께 만보기 기능이 있는 건강의 기능을 높이는 효과가 있는 휴대 물건의 분실을 방지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및 요구를 해결하기 위하여,
케이싱부(101), 신호발생부(110), 제어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기능성 휴대 물건 분실 방지 장치(100)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신호발생부(110)는 소리발생모듈부(111), 진동모듈부(112) 또는/및 깜박이모듈부(113)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된 기능성 휴대 물건 분실 방지 장치(100)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만보기부(130)를 더 부가한 기능성 휴대 물건 분실 방지 장치(1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휴대 물건 분실 방지 장치는 핸드폰, 지갑, 가방 등의 휴대 물건에 삽입하거나 부착하여 사용하게 됨에 따라 사용의 편의성이 있으며, 소리, 진동, 깜박이 등의 신호발생을 통하여 휴대 물건의 분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현저히 높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휴대 물건 분실 방지 장치는 휴대 물건의 분실을 방지하는 기능과 함께 만보기의 기능이 있게 되어 건강의 기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휴대 물건 분실 방지 장치의 구성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휴대 물건 분실 방지 장치의 외부 구성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휴대 물건 분실 방지 장치의 신호발생부의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휴대 물건 분실 방지 장치의 전자식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만보기의 구성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휴대 물건 분실 방지 장치의 휴대물건(핸드폰)의 사용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케이싱부(101), 신호발생부(110), 제어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 휴대 물건 분실 방지 장치(1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에 만보기부(130)를 더 부가한 휴대 물건 분실 방지 장치(1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케이싱부(101)는 상기한 각각의 구성 즉, 신호발생부(110), 만보기부(130), 제어부(120) 등이 장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
도 1에서 보는 것처럼 케이싱부(101)는 신호발생부(110), 만보기부(130), 제어부(120) 등을 포섭하여 장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케이싱부(101)는 삼각형, 사각형 등 그 형상은 자유롭게 될 수 있으며, 바람지하게는 매우 얇은 형태로 된 것이 좋다.
이와 같은 케이싱부(101)에 의하여 핸드폰, 지갑, 가방 등의 휴대 물건에 삽입하거나 부착하기가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케이싱부(101)는 얇게 형성되어 있어서 핸드폰, 지갑, 가방 등의 휴대 물건에 삽입하거나 부착할 경우 파손되거나 하는 것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케이싱부(101)는 금속 재질 또는 고분자 조성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케이싱부(101)는 다양한 휴대 물건의 특성에 대하여 내구성이 있어야 하는바 즉, 각종 알코올, 물 등의 액체 등에 산성 및 부식 등에 강하여야 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파손의 염려가 있으므로 내구성이 강하고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높은 재질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본 발명의 케이싱부(101)는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프로필렌(PP), 술폰화 폴리스틸렌(SPS, sulfonated polystyrene), 오피피(OPP, Oriented Poly Propylene)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고분자 조성물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고분자 조성물에는 충전제, 안정제, 활제, 충격보강제, 셀롤로오즈 파이버, 디에틸렌 글리콜 및 커플링에이전트를 더 추가할 수 있다.
상기한 조성물은 폴리에틸렌(PE) 100중량부에,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20~50중량부 , 폴리프로필렌(PP) 20~50중량부, 술폰화 폴리스틸렌(SPS, sulfonated polystyrene) 20~50중량부, 오피피(OPP, Oriented Poly Propylene) 20~50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한다.
또한 상기한 폴리에틸렌(PE) 100중량부에 충전제는 1~3중량부, 안정제는 4~6중량부, 활제는 1~2중량부, 충격보강제는 1~2중량부, 셀룰로오즈 파이버는 3~6중량부, 디에틸렌 글리콜 1~2중량부, 커플링 에이전트는 1~5 중량부가 더 혼합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충전제, 안정제, 활제, 충격보장제, 셀룰로오즈 파이버, 디에틸렌 글리콜, 커플링에이전트 등의 보충제를 더 추가하는 이유는 1차적으로 케이스로 압출하는 과정에서보다 보다 안정적이고 적정한 강도와 점도 등을 유지시켜 주기 때문이고,
2차적으로는 상기한 케이스를 성형할 때의 좋은 강도와 유연한 압출, 적정한 점도 등의 물리적, 화학적 물성을 유지해 주기 때문이다.
상기의 충전제는 고분자물질의 실용화에서 노화방지·보강·증량(增量)의 목적으로 가하는 물질을 말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고분자 물질의 특성에 맞게 사용되는 통상의 충전제를 의미한다. 통상적으로 탈크, 칼슘 카보네이트 또는 규회석, 또는 이들과 합성 섬유(예를 들어, 유리 또는 탄소 섬유)와의 조합물을 의미한다.
안정제는 고분자물질의 상용화된 것(플라스틱) 등에 열화(劣化)를 방지하거나 또는 억제하기 위해서 첨가하는 화학약품이다. 플라스틱 등은 열·빛·산소의 영향을 받아 열화해 가므로 이를 방지해야 한다. 대표적인 것에 열안정제·산화방지제·광안정제 등이 있다. 따라서 안정제는 본 발명의 고분자 물질에 맞게 사용되는 통상의 안정제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UV안정제, 열안정제, 에폭시 화합물, 스테아린산아연·스테아린산칼슘 등의 유기산금속류 등이 있다.
활제(lubricant)는 본 발명의 고분자 물질에 맞게 사용되는 통상의 활제를 의미하며, 폴리에틸렌계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등에 통상 사용되는 것으로, 스테아린산 등 지방산류; 스테아린산 아미드, 올레인산 아미드 등 지방산 아미드류; 파라핀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등 왁스류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이 단독 또는 적정 비율로 혼합되어 사용된다.
특히 셀룰로오즈 파이버의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압출기 벽면의 점착에 의해 셀룰로오즈 파이버가 타는 경향이 심해지기 때문에 활제의 선택 및 첨가량이 매우 중요하다.
충격보강제는 분열, 인장, 압축, 휨, 충격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플라스틱에 첨가하는 섬유상 불용성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충격보강제는 Acrylic, CPE(Chlorinated Polyethylene), EVA(Ethylene Vinyl Acetate),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틸렌(MBS)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틸렌(ABS)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셀룰로오즈 파이버는 그 예로 왕겨분, 펄프 분말, 볏짚 분말 등을 들 수 있고, 분말 형태로서 평균입경은 20∼500μm의 것이 좋은데, 입경이 커지면 케이스의 외관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고, 입경이 작으면 외관은 우수해지나, 분산이 어려워지고 미분말로 만드는데 원가가 올라가 경제성이 떨어지는 취약점이 있다. 또한 셀룰로오즈 파이버의 수분은 비록 압출공정중 일부 잔여 수분이 벤트되어 제거되기도 하지만 물성 및 생산성을 고려할 때 10% 이하의 것이 좋고 5%이하의 것이 더욱 좋다.
커플링에이전트는 가교제로서 실란 계통 또는 말레익언하이드라이드, 테트라 히이드로 프탈릭언 하이드라이드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실란 계통은 비닐실란, 아미노에틸계 실란 등이 있다.
디에틸렌 글리콜은 케이스의 강화된 강도를 나타낼 수 있게 되어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어 준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고분자 조성물에 친환경적인 천연 첨가물을 혼합하여 플라스틱에서 발생하는 환경 호르몬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한 고분자 조성물 100중량부에 상기한 친환경적인 천연 첨가물은 1~3 중량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친환경적인 천연 첨가물은 고삼, 백선피, 사매, 자초, 지부자, 독활, 방풍, 선퇴, 지각, 화피를 혼합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의미한다.
상기한 친환경적인 천연 첨가물은 바람직하게는 고삼 100중량부에 백선피 80~120중량부, 사매 80~120중량부, 자초 80~120중량부, 지부자 80~120중량부, 독활 80~120중량부, 방풍 80~120중량부, 선퇴 80~120중량부, 지각 80~120중량부, 화피 80~120중량부를 혼합하여 추출한 추출물로 하는 것이 좋다.
상기한 친환경적인 천연 첨가물은 고삼, 백선피, 사매, 자초, 지부자, 독활, 방풍, 선퇴, 지각, 화피를 상기한 중량부로 혼합한 혼합물 100중량부에 정제수 100~2,000 중량부와 혼합하고 가열하여 추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삼은 도둑놈의 지팡이·너삼·뱀의정자나무라고도 한다. 양지 바른 풀밭에서 자란다. 높이 80∼100cm로 녹색이지만 어릴 때는 검은빛을 띤다. 줄기는 곧고 잎은 어긋나며 홀수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15∼40개이고 긴 타원형 또는 긴 달걀 모양이며 길이 2∼4cm, 나비 7∼15mm이다. 잎자루가 길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말린 것을 고삼이라 하는데, 맛이 쓰고 인삼의 효능이 있어 소화불량·신경통·간염·황달·치질 등에 처방한다. 민간에서는 줄기나 잎을 달여서 살충제로 쓰기도 한다. 같은 속의 식물로 산두근(山豆根)이 있는데 생김새가 매우 비슷하다. 한국·일본·중국·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본 발명에서는 주로 뿌리를 말린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나, 잎이나 줄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백선피(白鮮皮)는 우리나라에서는 운향과의 백선(Dictamnus dasycarpus Turcz.)의 뿌리껍질을 말한다. 중국에서는 우리나라와 같고 일본에서는 공정생약으로 수재되지 않았다.
백선피는 습열로 인한 피부발진, 피부미란, 습진, 풍진, 가려움증, 알레르기성 피부염, 신경성 피부염과 급성간염으로 인한 황달, 습열성 하지마비에 쓰며 해수, 인후건조, 번갈에도 사용한다.
백선피의 약리작용으로 해열작용과 피부진균 억제작용이 보고되었다.
본 발명의 사매는 뱀딸기를 의미한다.
뱀딸기는 풀밭이나 논둑의 양지에서 자란다. 덩굴이 옆으로 벋으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잎은 어긋나고 뿌리에 달린 잎은 3장의 작은잎이 나온 잎이며 작은잎은 달걀 모양이거나 달걀 모양 원형이며 길이 2∼3.5cm, 너비 1∼3cm이다. 잎가장자리에 이 모양의 톱니가 있고 뒷면에는 긴 털이 난다. 턱잎은 달걀 모양 바소꼴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그 꽃은 4∼5월에 노란색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긴 꽃줄기가 나와서 끝에 1개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달걀 모양이고 부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다시 얕게 3개로 갈라진다. 꽃잎은 넓은 달걀 모양이며 길이 5∼10mm이다. 열매는 수과로서 6월에 익으며 둥글고 지름 1cm 정도로 붉게 익으며 먹을 수 있다. 한국·중국·일본·말레이시아·인도 등지에 분포한다.
본 발명의 사매는 주로 열매를 사용하나 잎이나 줄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자초(紫草)는 지치 또는 지초라고도 하며, 산과 들의 풀밭에서 자란다. 뿌리는 굵고 자주색이며 땅속으로 깊이 들어간다.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가 갈라지며 높이가 30∼70cm이고 전체에 위로 향한 잔털이 많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3∼7cm의 바소꼴 또는 긴 타원 모양의 바소꼴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이 좁아 잎자루 같으며 거친 털이 빽빽이 있다. 잎 앞면은 잎맥을 따라 깊게 주름이 있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잎자루는 없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자초(紫草)라는 약재로 쓰는데, 토혈·코피·소변 출혈·홍역에 효과가 있고, 화상·동상·습진·발진·피부궤양 등에 소독약으로 외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지치 또는 지초의 뿌리인 자초를 사용한다.
본 발명은 지부자는 낙추자, 독추, 백지초, 소추 등으로 불리며, 댑싸리의 열매(과실)를 의미한다.
댑싸리는 중국 원산의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나무처럼 빳빳하고 곧게 서며 많은 가지를 쳐서 1.5m 정도의 높이까지 자란다. 많은 잎은 서로 어긋나게 자리잡고 있으며 피침 꼴 또는 줄 꼴 모양을 하고 있다. 잎자루는 없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암꽃과 수꽃이 각기 다른 포기에 피어나며 잎겨드랑이에 2~3송이의 꽃이 밀착한다. 꽃잎은 없으며 다섯 갈래로 갈라진 꽃받침이 꽃처럼 보인다. 꽃 바로 밑에는 잎처럼 생긴 받침잎이 붙어 있고 수꽃은 5개의 수술을 가지고 있다. 암꽃은 1개의의 암술을 가지고 있는데 암술대(花柱)는 두 갈래로 갈라진다. 꽃의 빛깔은 초록빛이고 지름은 3mm 안팎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댑싸리의 열매를 이용한다.
상기한 독활(Aralia continentalis Kitagawa)은 독활의 뿌리를 사용하여 만든 약재(한국)를 의미한다. 중국은 중치모당귀(Angelica pubescens Maxim. f. biserrata Shan et Yuan:重齒毛當歸)를 쓴다. 일본은 땅두릅(Aralia cordata Thunb.)의 뿌리줄기를 독활(獨活)로 사용하고 있다.
상기한 방풍은 풍을 막아 준다는 뜻으로 풍병(風病)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약재이다. 병풍(屛風)이란 말도 이와 유사한 뜻으로 이명으로 사용되며 꽃의 향기가 강해서 난초나 향기 좋은 쑥에 비유되기도 하였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있고 약성은 맵고 달며 따듯하다.[辛甘溫]
상기한 방풍은 외감성 두통, 오한, 발열, 전신통, 인후통 등 모든 풍증(風症)에 효과가 있다. 풍한습의 사지관절동통, 파상풍, 근육경련, 중풍으로 인한 반신불수, 마비동통, 피부가려움증, 버짐 등에 쓰인다.
약리작용으로 해열, 항염증, 진경, 면역활성화, 항알레르기, 항궤양, 항균, 피부개선균 억제 등이 보고되었다.
상기한 선퇴는 Cryptotympana pustulata의 허물로, 상초(上焦)의 풍열(風熱)을 없애고 발진(發疹)을 없애고 인후(咽喉)를 이롭게 하며 목예를 없애고 주리를 열어주고 폐기(肺氣)를 펴주고 경기(驚氣)를 그치게 하며 폐열(肺熱)을 식히고 양기(陽氣)를 보익(補益)하는 효능을 가진 약재이다.
상기한 지각은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재배한다. 약효성분은 정유와 후라보노이드 물질이 들어 있는데, 광귤나무에는 네오헤스페리딘(Neohesperidin)·나린진(Naringin)·비타민C 등이 들어 있다. 맛은 쓰고 약간 매운 듯하며 약성은 서늘하다.
효능은 기운을 내려주면서 거담작용을 보이고 적취를 제거한다. 그러므로 가슴과 복부의 위쪽에서 담이 있고 갑갑함을 호소하는 증상에 쓰인다. 이를테면 신경과민으로 심리적인 충격을 받고 가슴이 답답한 증상에 기운을 아래로 내려주면서 시원함을 얻게 한다. 그리고 건위소화작용을 보이므로 소화장애가 있으면서 옆구리가 결리고 아픈 증상, 구역 등에 효력이 있다.
이질과 그 후유증으로 뒤가 무겁고 작열감을 느낄 때에도 쓰이며, 여름에 많이 발생하는 토사곽란에도 효력을 얻는다. 피부염과 가려움증에도 쓰이고 해소에도 반응을 보이므로 노동력을 과다하게 소모해서 일어나는 해소에도 활용된다. 또, 폐에 수분이 과다하게 정체되어 일어나는 폐수종증과 치질에도 이것을 뜨겁게 하여 찜질을 하면 염증을 식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탈홍에도 효력이 있고 변비를 치료하는 데도 일조를 한다.
근래에 발표된 임상결과를 보면 자궁하수 위하수에 장복하면 수축작용을 하므로 정상기능을 회복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이밖에도 위무력증상으로 인한 소화불량과 위확장증, 결장에도 효력이 있다.
상기한 화피는 벗나무의 껍질로서 활을 만들 때 쓰기도 하며, 한방에서는 유종(乳腫), 두진(痘疹), 온독(瘟毒)의 약재로도 쓴다.
학명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Betula platyphylla의 나무껍질을 의미하며 습열(濕熱)로 인한 황달, 이질, 복통, 설사 등에 효능이 있는 약재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원재료를 건조시켜 사용하는 것이 좋으나, 건조시키지 않은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고분자 조성물에 고분자 물질의 내산성 및 내염기성을 증진시켜 제조된 케이스의 내구성을 현저히 높인 내구성 강화 첨가물을 혼합하여 케이스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고분자 조성물 100 중량부에 내구성 강화 첨가물 2~5 중량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내구성 강화 첨가물은 폴리아크릴 수분산 수지 100 중량부에 폴리우레탄-우레아 수분산 수지 5∼15 중량부, 친수성 아미노기 함유 멜라민 수지 0.5∼5 중량부, 에폭시 5∼40 중량부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폴리아크릴 수분산 수지(1)는 용제 존재하에서 아크릴 모노머를 공중합시키며, 분자량은 개시제 함량으로 조절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폴리아크릴 수분산 수지의 경우, 케이스의 경질화를 촉진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폴리아크릴 수분산체는 90∼95 중량%의 경질의 아크릴 수지에 연질성, 인장 강도 및 부착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에폭시기를 함유한 카두라 E10을 5∼10 중량% 도입하여 아크릴 모노머와 함께 공중합시켰다. 이렇게 하여 제조된 공중합물은 감압하여 용제를 제거하고, 3가 아민으로 중화한 후, 물을 첨가하여 수분산화시킨다.
상기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아크릴 수분산 수지는 종래의 폴리아크릴 수분산 수지가 갖고 있던 문제점인 케이스의 내한칩핑성, 내충격성 및 내굴곡성 저하현상을 말끔히 해소하였다.
상기한 폴리우레탄-우레아 수분산 수지(2)는 내한칩핑성, 내충격성 및 내굴곡성의 향상을 나타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우레아 수분산 수지의 제조방법에 특징이 있으며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즉, 이소시아네이트(-NCO)를 말단으로 하는 초기 중합체와 반응시키는 쇄연장자로서 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하여 반응성 케티민 활성기가 적어도 2개 이상이며, 수산기를 적어도 1개 이상 함유하는 디케티민-에폭시 화합물을 쇄연장자로 사용함으로써 제조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최종의 수산기 함유 폴리우레탄-우레아 수분산 수지는 기존의 가교 활성기가 존재하지 않는 폴리우레탄-우레아 수분산 수지보다 월등한 기계적 물성, 즉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인 내한칩핑성, 내충격성 및 내굴곡성의 향상을 나타냈다.
또한, 종래의 플라스틱 수지가 탄성 강도를 지나치게 증가시킴으로 해서 야기되었던 케이싱부의 크랙 문제를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우레아 수분산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내구성 약화의 문제점을 말끔히 해소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상기한 멜라민 수지는 무촉매하에서 140∼150℃에서 상기 (1)과 (2)의 수분산 수지들의 수산기와 친수성 멜라민 수지의 메톡시기 및 이미노기가 가교 반응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아미노기 함유 친수성 멜라민 수지를 적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한 친수성 멜라민 수지는 케이스의 내한칩핑성, 내충격성 및 내굴곡성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친수성 멜라민 수지로 적용 가능한 제품으로는 사이텍사 사이멜-325, 사이멜-327, 사이멜-385와 솔루시아사레지멘 HM-2608, 레지멘-718, 레지멘-717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한 에폭시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형 에폭시, 우레탄 개질 에폭시, 고무 개질 에폭시, 삼관능성 에폭시, 사관능성 에폭시, 다관능성 비스페놀 A형 에폭시, 페놀 노볼락형 에폭시, 크레졸 노볼락형 에폭시, 비스페놀 A 노볼락 에폭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핸드폰, 지갑, 가방 등의 휴대 물건에 삽입하거나 부착하여 핸드폰, 지갑, 가방 등의 분실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신호발생부(110)는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신호가 발생되는 장치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한 신호발생부(110)는 소리발생모듈부(111), 진동모듈부(112) 또는/및 깜박이모듈부(11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소리발생모듈부(111)는 상기한 제어부(130)에서 명령한 대로 일정한 시간 동안 또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또는 예정된 시간에 소리를 발생시키는 장치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
따라서 소리발생모듈부(111)는 소리가 발생되는 소리발생 장치 등이 포함되어 구비되어 있고, MCU, CPU, 전자회로 등이 구비된 하드웨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한 전동모듈부(112)는 상기한 제어부(130)에서 명령한 대로 일정한 시간 동안 또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또는 예정된 시간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장치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
따라서 진동모듈부(112)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 장치 등이 포함되어 구비되어 있고, MCU, CPU, 전자회로 등이 구비된 하드웨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한 깜박이모듈부(113)는 상기한 제어부(130)에서 명령한 대로 일정한 시간 동안 또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또는 예정된 시간에 깜박거리는 빛을 발생시키는 장치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
따라서 깜박이모듈부(113)는 빛이 발생되는 광선 발생 장치 등이 포함되어 구비되어 있고, MCU, CPU, 전자회로 등이 구비된 하드웨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제어부(120)는 상기한 신호발생부(11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즉, 소리발생모듈부(111), 진동모듈부(112) 또는/및 깜박이모듈부(113)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제어부(120)는 상기한 신호발생부(110)의 소리발생모듈부(111), 진동모듈부(112) 또는 깜박이모듈부(113)를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제어부(120)는 신호발생부(110)의 소리발생모듈부(111), 진동모듈부(112) 또는/및 깜박이모듈부(113)에 대하여 일정한 시간 동안 또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또는 예정된 시간에 작동을 하게 하거나 멈추게 하는 등의 제어를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한 제어부(120)는 상기한 만보기부(12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제어부(120)는 MCU(Micro controller unit), CPU(Cemtral Processing Unit), 전자회로 등의 정보처리장치, 메모리, 정보송수신 장치 등의 하드웨어를 구비하고, 이와 같은 하드웨어에 탑재될 제어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을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만보기부(130)은 본 발명의 휴대 물건 분실 방지 장치(100)를 사용자가 착용하거나 휴대하여 산책이나 달리기 등의 운동을 하는 경우 그 사용자가 얼마나 많은 걸음을 걸었는지 알게 해주는 장치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만보기부(130)은 상기한 제어부(120)에 의하여 제어되며 만보기부의 작동을 실행시키거나 실행시키지 않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상기한 만보기부(130)는 사용자가 착용하거나 휴대하여 산책이나 달리기 등의 운동을 하는 경우 그 사용자가 얼마나 많은 걸음을 걸었는지 알게 해주는 어떠한 장치 또는 수단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4에서 보는 것처럼, 본 발명의 상기한 만보기부(130)는 전자식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보행자의 자세변화를 감지하여 중력 방향 가속도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전자식 가속도 센서(131)와; 상기 전자식 가속도 센서(131)로부터 입력된 중력 방향 가속도 신호들을 입력받아 신호를 증폭 및 필터링하기 위한 신호 증폭부(132)와; 상기 신호 증폭부(132)를 통해 전처리된 가속도 신호와 기 입력된 비교신호를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비교하여 가장 크게 나타나는 중력 방향 가속도 신호를 보행 이벤트로 획득하기 위한 신호 처리부(133)와; 상기 신호 처리부(133)에서 처리된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34) 및 상기 신호 처리부(133)에서 처리된 결과를 외부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140)를 포함하되, 상기 신호 처리부(133)는 상기 3축 가속도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중력 방향 가속도 신호들 중 연속된 2개의 신호값의 미분값이 양수에서 음수로 변하는 변곡점, 상기 비교신호가 상기 중력 방향 가속도 신호보다 작다가 커지는 점 및, 상기 중력 방향 가속도가 지정된 문턱치 이상되는 점을 모두 만족하는 중력 방향 가속도 신호를 상기 보행 이벤트로 획득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만보기부(130)는 사용자의 보폭의 크기를 입력할 수 있어서 어느 일정 기간(예를 들어 하루에)에 걸은 걸음걸이의 수와 이를 기초로 하여 몇 m 또는 몇 km로 얼마만큼 걸었는지 알게 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만보기부(130)는 보폭입력부(134, 도면 미도시)가 구성되어 있어서 사용자의 보폭을 입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평상 걸음일 때와 빠른 걸음일 때, 달릴 때의 자신의 보폭을 예를 들어 10~250cm 까지 입력하게 되고, 상기한 보행 이벤트로 획득하는 수를 곱하여 얼마만큼 걸었는지 알게 해준다.
본 발명의 만보기부(130)는 심장박동감지부(135, 도면 미도시)가 부가되어 있어 사용자의 심장박동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심장에 이상이 있는지 또는 부정맥의 현상이 있는지 여부를 알게 해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심장박동감지부(135, 도면 미도시)는 심장박동감지센서로 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휴대 물건 분실 방지 장치를 사용자가 손으로 쥐거나 피부에 접촉시키는 경우 심장박동감지센서에 접촉하게 되어 사용자의 심장의 박동 펄스 주기와 분당 박동수를 측정하게 되고 이러한 측정결과는 표시부(140)에 표시되게 되어 사용자의 건강여부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에 표시부(140)를 더 부가한 휴대 물건 분실 방지 장치(100)를 제공한다.
상기한 표시부(140)는 신호발생부(110)의 작동상황, 만보기부(120)의 작동상황, 또는 제어부(120)에서 신호발생부(110), 만보기부(120) 등의 제어 상황을 보여주는 장치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한 표시부(140)는 상기한 제어부(120)에서 신호발생부(110)를 제어하는 것을 보여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구동이 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능성 휴대 물건 분실 방지 장치(100)를 휴대폰 또는 지갑 등의 휴대물(A)에 끼워 넣거나 부착하여 놓는다.
사용자는 본 발명의 기능성 휴대 물건 분실 방지 장치(100)의 신호발생부(110)의 소리발생모듈부(111), 진동모듈부(112) 또는 깜박이모듈부(113)를 선택하게 된다.
사용자가 소리발생모듈부(111)를 선택하고 소리가 발생하는 시간을 15분에 한번씩 10초간 소리를 발생시키도록 설정하게 되면, 사용자가 휴대물을 분실하는 것을 현저히 방지하게 된다.
사용자가 진동모듈부(112)를 선택하는 경우 진동이 발생하는 시간을 15분에 한번씩 10초간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설정하게 되면, 사용자가 휴대물을 분실하는 것을 현저히 방지하게 된다.
사용자가 깜박이모듈부(113)를 선택하는 경우 빛이 깜박이는 것을 2분에 한번씩 10초간 깜박이도록 설정하게 되면, 사용자가 휴대물을 분실하는 것을 현저히 방지하게 된다.
물론 상기한 설정은 예시로서 다른 설정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만보기부(130)를 작동시키는 경우 사용자가 하루에 몇 번 걸었는지 또한 이를 기준으로 몇 km를 걸었은지 알게 해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기능성 휴대 물건 분실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휴대 물건의 분실을 방지하는 장치를 생산, 유통, 판매, 연구하는 산업에 매우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은 만보기 기능을 구비한 휴대 물건의 분실을 방지하는 장치를 생산, 유통, 판매, 연구하는 산업에 매우 유용하다.
휴대 물건 분실 방지 장치(100),
케이싱부(101), 신호발생부(110),
소리발생모듈부(111), 진동모듈부(112), 깜박이모듈부(113)
제어부(120),
만보기부(130),
표시부(140),

Claims (2)

  1. 케이싱부(101), 신호발생부(110), 제어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기능성 휴대 물건 분실 방지 장치(100).
  2. 제1항에 있어서,
    만보기부(130)를 더 부가한 기능성 휴대 물건 분실 방지 장치(100).

KR1020180127396A 2018-10-24 2018-10-24 기능성 휴대 물건 분실 방지 장치 KR201801218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396A KR20180121843A (ko) 2018-10-24 2018-10-24 기능성 휴대 물건 분실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396A KR20180121843A (ko) 2018-10-24 2018-10-24 기능성 휴대 물건 분실 방지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2453A Division KR101920974B1 (ko) 2016-12-29 2016-12-29 기능성 휴대 물건 분실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843A true KR20180121843A (ko) 2018-11-09

Family

ID=64426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396A KR20180121843A (ko) 2018-10-24 2018-10-24 기능성 휴대 물건 분실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184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6109A1 (ko) 2018-10-12 2020-04-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발광소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6109A1 (ko) 2018-10-12 2020-04-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발광소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8050B1 (ko) 약용 꽃을 활용한 쌈 발효법 및 이를 활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CN107182677A (zh) 一种迷迭香套种作物治理石漠化的方法
KR20180121843A (ko) 기능성 휴대 물건 분실 방지 장치
KR101676603B1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발모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920974B1 (ko) 기능성 휴대 물건 분실 방지 장치
CN101375830A (zh) 芦荟保湿营养护肤霜及其制备方法
Zerova et al. Two new species of the genus Eurytoma (Hymenoptera, Eurytomidae) from Iran
CN106888761A (zh) 一种仙鹤草种植方法
CN202445231U (zh) 水田鞋
CN207995939U (zh) 一种女式分体泳装
Wilson The Rural Cyclopedia: Or A General Dictionary of Agriculture, and of the Arts, Sciences, Instruments, and Practice, Necessary to the Farmer, Stockfarmer, Gardener, Forester, Landsteward, Farrier, & C
CN209806802U (zh) 一种带帽的宠物胸背带
CN207461436U (zh) 一种春夏两用便于被发现的裤子
CN204796793U (zh) 一种易穿戴护膝
CN107232711A (zh) 能散发香气的珍珠包
CN203575728U (zh) 凉鞋
CN205306016U (zh) 功能性保健上衣
CN205884894U (zh) 运动储物腰包
CN206586409U (zh) 一种新型服装
CN107125884A (zh) 能散发香气的抗静电珍珠包
CN203028164U (zh) 一种宝宝吃饭衣
CN2774197Y (zh) 新型履裤
CN201911466U (zh) 椰包
Palmer Mexican caves with human remains
CN2404367Y (zh) 水田作业防护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