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0484A - Partition for Dining Table - Google Patents

Partition for Dining T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0484A
KR20180120484A KR1020170054490A KR20170054490A KR20180120484A KR 20180120484 A KR20180120484 A KR 20180120484A KR 1020170054490 A KR1020170054490 A KR 1020170054490A KR 20170054490 A KR20170054490 A KR 20170054490A KR 20180120484 A KR20180120484 A KR 20180120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auxiliary
groove
lif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4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호
Original Assignee
김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호 filed Critical 김영호
Priority to KR1020170054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0484A/en
Publication of KR20180120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048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002/7418Accessories supported on the free upper edge, e.g. auxiliary panels, noise abatement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83Details of furniture, e.g. tables or shelves, associated with the part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A partition for a dining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rtition arranged between dining tables, comprising: a base including one pair of standing side walls and an upper portion shielding plate connecting the top portions of the standing side walls so as to form a base space surrounded by the standing side walls and the upper portion shielding plate, while the upper portion shielding plate includes an opening portion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 lifting body lifted from the base space to the top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shielding plate, and including a storage portion formed with a storage space on the top surface thereof; and a lifting module lifting and controlling the lifting body when applied with an external force.

Description

식당용 테이블 파티션{Partition for Dining Table}Table Partition for Dining Table {Partition for Dining Table}

본 발명은 식당용 테이블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서, 음식점의 식탁 사이에 설치되고 높낮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가변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단부에 보관공간을 구비하여 파티션으로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도 활용이 가능해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식당용 테이블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ble partition for a restaurant, which is installed between a dining table of a restaurant and is adjustable in height and can be used in a variable manner as needed, and can be utilized even when it is not used as a partition, To a table partition for a dining room that can enhance convenience.

일반적으로, 파티션은 소정의 둘러싸인 공간을 가로질러 막는 물건으로서, 통상적으로 독서실이나 사무실의 테이블에 설치되어 사용된다.In general, a partition is an object that is placed across a predetermined enclosed space, and is usually installed in a reading room or a table in an office.

일반 식당이나 레스토랑 등의 음식점에서는 다수의 식탁을 배치하고 각 식탁별로 손님들에게 음식을 제공하고 있으나, 손님의 유입이 유동적으로 변화되기 때문에 음식점에서 파티션을 사용하는 것은 불편이 있었다.In a restaurant such as a general restaurant or a restaurant, a plurality of tables are arranged, and each table provides food to the guests. However, it is inconvenient to use a partition at a restaurant because the influx of the guest changes in a fluid manner.

음식점 내부의 공간 활용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식탁을 조밀하게 배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는 많은 손님이 음식점을 이용하는 상황에서는 다소 불편함을 느끼게 할 수 있었으며 쾌적한 환경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었다.In order to improve the utilization of the space inside the restaurant, it is necessary to dispose the dining table densely. However, this could make some people feel uncomfortable in the situation where many customers use the restaurant and it could be a factor that hinders the pleasant environment.

또한, 일행으로 들어온 손님의 인원수에 맞추어 식탁을 움직여서 함께 식사하도록 해야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 불편을 줄 수 있었으며, 다른 손님들의 식사를 방해하거나 불측의 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도 상존하였다.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often necessary to move the table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the guests who entered the party and to eat together,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it could interfere with other guests' meals or cause unexpected accidents.

이에 따라, 쾌적한 음식점 환경을 유지하면서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음식점용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파티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height adjustable partition for a restaurant that can enhance comfort while maintaining a pleasant restaurant environment.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음의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following technique is disclosed.

먼저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 20-0478611호“음식점용 높낮이 조절식 자동 파티션”은 음식점의 식탁(2) 사이에 배치되고, 상면에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된 파티션 바디(20); 및 상기 파티션 바디(20)에 수용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승강되는 승강체부(10);를 포함하고, 상기 파티션 바디(20)는, 상기 승강체부(10)의 승강을 지원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2); 상기 모터(22)와 연결되어 상기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24);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스크류 홈(28)이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동력 전달부(2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축방향으로 회전하는 스크류 기어(26); 상기 스크류 기어(26)를 상기 파티션 바디(2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 및 일측은 상기 승강체부(10)와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 기어(26)가 결합되는 관통홈이 형성된 승강부(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길이방향은 상기 파티션 바디(20)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는 방향이고, 상기 관통홈의 내주면은 상기 스크류 홈(28)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승강부(30)는 상기 스크류 기어(26)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스크류 기어(26)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고, 상기 승강부(3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승강체부(10)의 승강이 가능한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파티션은 높낮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가변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겠으나, 파티션으로서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단순 공간만 차지하는 짐이 되기 마련이라는 단점이 있다.First, domestic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478611 entitled " height-adjustable automatic partition for restaurants " includes a partition body 20 disposed between a dining table 2 of a restaurant and having an opening opened on its upper surface; And a lifting body part (10) accommodated in the partition body (20) and lifted and lowered through the opening part. The partition body (20) generates power for support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lifting body part A motor 22 for driving the motor; A power transmission unit 24 connected to the motor 22 to transmit the power; A screw gear 26 which is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s a screw groove 28 spirally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which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transmission portion 24 and rotates in the axial direction;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screw gear (26) to the partition body (20); And a lifting portion 30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lifting body 10 and having a through groove through which the screw gear 26 is engaged,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groove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crew groove 28 so that the elevating part 30 can move the screw gear 26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of the screw gear 26. [ And is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the lifting body part 10 in accordance with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of the lifting part 30. [ Such a partition can be configured to be adjustable in height and can be used variably as needed, and can be improved in convenience. However, when the partition is not used as a partition, it is a burden to occupy only a simple space.

다음으로 국내 공개특허 제 10-2016-0144596호 “접이식 파티션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며 상부로 개구된 몸체; 상기 몸체의 양단에 축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회동하는 지지 가이드; 상기 몸체에 내장되어 스크린을 감거나 푸는 롤링 장치; 상기 스크린의 상단에 수평으로 구비되어 양단이 지지 가이드를 따라 이송하는 승하강 바; 및 상기 지지 가이드의 말단부에 구비되어 승하강 바의 하강을 방지하는 걸림 수단; 으로 구성되는 파티션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접이식 파티션은 롤 스크린 방식이므로 미사용 시 모든 구성이 몸체 내에 내장되어 부피가 최소화됨으로써 운반이 용이하며 좁은 공간에도 많이 보관할 수 있지만, 결국 파티션으로서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공간만을 차지한다는 단점이 있다.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6-0144596 entitled " Folding Partition and Table Having Such Folding Partition " A support guide axial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ody to rotate in a vertical direction; A rolling device built into the body to wind or unwind the screen; An elevating bar provided horizontally at an upper end of the screen and having both ends thereof conveyed along the supporting guide; And an engaging means provided at a distal end of the support guide for preventing a descent of the lifting bar. And a table having the partition. Since the folding type partition is a roll screen type, all the components are built in the body when not in use, so that the volume is minimized, so that it is easy to carry and can be stored in a narrow space. However, when the partition is not used as a partition, it occupies only a space.

따라서 음식점의 식탁 사이에 설치되고 높낮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가변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단부에 보관공간을 구비하여 파티션으로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도 활용이 가능해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식당용 테이블 파티션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된다.Therefore, it is installed between the dining tables of the restaurants and can be used to adjust the height, and it can be used as the variable according to the needs. Also, when the table space is provided at the upper part, There is a need to develop.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음식점의 식탁 사이에 설치되고 높낮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가변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단부에 보관공간을 구비하여 파티션으로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도 활용이 가능해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식당용 테이블 파티션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above-described technology,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which is installed between a dining table of a restaurant and is adjustable in height and can be used as needed, It is also important to provide a table partition for a restaurant that can be used to enhance convenien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강모듈에 지속적으로 승강을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the lifting and lowering module can be repeatedly lifted and lower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승강체에도 보조 보관공간을 형성하여 추가적인 보관용도로 활용할 수 있을뿐더러, 이 보조 보관공간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보조 보관공간을 가려 파티션으로서 활용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xiliary storage space that can be used as an additional storage space in an ascending / descending body and can be utilized as a partition by covering the auxiliary storage space when the auxiliary storage space is not us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승강체가 사고나 고장 등으로 인해 갑자기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unction for preventing a descent of an ascending / descending body suddenly due to an accident or a failur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당용 테이블 파티션은, 식당용 테이블 사이에 배치되는 파티션으로서, 한 쌍의 기립측벽과 상기 기립측벽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부 가림판을 포함하여 상기 기립측벽 및 상기 상부 가림판으로 둘러싸인 베이스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상부 가림판은 상하로 관통된 개구부를 더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공간으로부터 상기 상부 가림판의 상면으로 승강되는 것으로서, 상면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부를 포함하는 승강체;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승강체를 승강제어하는 승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table partition for a restaur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rtition arranged between tables for a restaurant, comprising a pair of standing side walls and an upper covering plate connecting upper portions of the standing side walls, And a base enclosed by the upper shielding plate, wherein the upper shielding plate further comprises an opening penetrating up and down; An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which is lifted from the base spac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vering plate and has a storage space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n elevating module for controlling the elevating and lowering of the elevating body as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더하여, 상기 승강체는, 상기 수납부의 하부 양 측으로부터 상기 승강모듈을 향해 절곡 연장된 한 쌍의 보조 기립측벽을 포함하여, 상기 한 쌍의 보조기립측벽과 상기 수납부의 하부로 둘러싸인 보조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evator body includes a pair of auxiliary standing side walls bent and extended from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toward the elevation module, and the auxiliary supporting side walls and the auxiliary storage portion And a space is formed.

나아가, 상기 베이스는, 상기 기립측벽의 하부를 연결하는 바닥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모듈은, 한 쌍의 승강실린더로 구성되되, 상기 바닥판의 중앙부위에 장착되는 메인힌지와, 일 단부가 상기 메인힌지에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사이간격이 높이방향으로 진행될수록 점차 벌어지는 한 쌍의 승강실린더와, 상기 승강실린더의 단부 타 측에 장착되어 상기 승강체의 하면 양 측에 각각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서브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base may further include a bottom plate connec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upright sidewall, the elevation module including a main hinge mounted on a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plate, the main hinge including a pair of lifting and lowering cylinders, A pair of lifting and lowering cylinders which are installed on the other end side of the lifting cylinder so as to be gradually opened in a heightwise direction in a state where the lifting cylinder is rotatably mounted to the main hinge in a left- And a sub hinge mounted rotatabl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또한, 상기 승강체는, 상기 수납부의 측면 일 측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보조 수납공간의 개방된 부위를 가리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을 권취하는 회전축으로 구성되는 스크린와인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evator further includes a screen winder mounted on one side of the 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the screen winder including a screen covering the opened portion of the auxiliary storage space and a rotating shaft for winding the screen .

본 발명에 따른 식당용 테이블 파티션에 의하면,According to the table partition for a restaur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음식점의 식탁 사이에 설치되고 높낮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가변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단부에 보관공간을 구비하여 파티션으로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도 활용이 가능해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고,1) It is installed between the dining tables of a restaurant, and the height is adjustable so that it can be used in a variable manner as needed, and a storage space is provided at the upper part, so that it can be utilized even when it is not used as a partition,

2) 승강모듈로서 V형태로 장착된 승강실린더를 활용하여 안정적인 승강을 통해 지속적으로 승강을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2) As the elevating module,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elevating cylinder mounted in V shape,

3) 승강체에 보조 보관공간을 형성하여 추가적인 보관용도로 활용할 수 있을뿐더러, 이 보조 보관공간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스크린와인더 구성을 추가해 보조 보관공간을 가려 파티션으로서 활용할 수 있으며,3) Secondary storage space can be formed in the elevator so that it can be used for additional storage purpose. In addition, when the secondary storage space is not used, the screen winder configuration can be added to cover the secondary storage space,

4) 나아가 승강체에 고정수단으로서 고정판을 더 장착하여 사고나 고장 등으로 인해 갑자기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4) Further, a fixing plate is further attached to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as a fixing means, thereby preventing sudden descent due to an accident or a failure.

도 1은 본 발명의 테이블 파티션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테이블 파티션의 기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테이블 파티션의 승강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테이블 파티션에서 승강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스크린와인더와 그 연계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스크린와인더에 가림판을 더 적용한 구성을 도시한 확대도.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table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ic form of a table part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levation state of the table part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elevator in a table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reen wind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linkage structure thereof.
6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screening plate is further applied to the screen wind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various drawings refer to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테이블 파티션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테이블 파티션의 기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테이블 파티션의 승강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table part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ic form of a table part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able part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식당용 테이블 파티션(10)은 테이블(11) 사이에 배치되는 일종의 승강체(200)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한 쌍의 기립측벽(110)과 한 쌍의 기립측벽(110)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부 가림판(130)을 포함하되, 이 기립측벽(110)과 상부 가림판(130)으로 둘러싸인 베이스공간(600)을 형성하고, 나아가 상부 가림판(130)에는 상하로 관통된 개구부(131)가 더 형성된 베이스(100)와, 베이스공간(600)에 수용되는 것으로서, 상면에는 테두리를 둘러싸는 둘레벽(211)이 형성되어 둘레벽(211)으로 둘러싸인 내부에 수납공간(212)이 형성된 수납부(210)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베이스(100)의 개구부(131)를 통과하여 승강되는 승강체(200)와, 승강체(200)의 하면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승강체(200)가 외력으로 눌리면 하강시켜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고, 다시 외력에 의해 들어올려지면 상승되도록 압력을 가하는 승강모듈(1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able partition 10 for a restaurant serves as a kind of ascending / descending body 200 disposed between the tables 11 and includes a pair of standing side walls 110, The upper shielding plate 130 includes an upper shielding plate 130 and a lower shielding plate 130. The upper shielding plate 130 surrounds the upper shielding plate 130. The upper shielding plate 130 surrounds the upper shielding plate 130, And a peripheral wall 211 surrounding the rim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100. The peripheral wall 211 is surrounded by the peripheral wall 211. The base 100 includes a base 100, A lifting body 200 that is lifted and lowered through the opening 131 of the base 100 and a lower housing 210 which is formed by supporting a lower surface of the lifting body 200 When the lifting body 200 is pressed by an external force, the lifting body 200 is lowered and held in a lowered state, And an elevating module 140 for applying pressure to the elevating module 140 when the elevating module 140 is lifted up.

이러한 식당용 테이블 파티션(10)은 테이블(11)과 테이블(11)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원칙적으로 하되, 필요에 따라 단일 테이블(11)의 측면에도 설치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미도시)를 더 장착하거나 접지력을 높이기 위한 별도의 고정다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such a table partition 10 for a restaurant is disposed between the table 11 and the table 11, and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the table partition 10 on the side of the single table 11 as required. Further, a wheel (not shown) may be further mounted to facilitate movement, or a separate fixed leg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to increase the gripping force.

가장 먼저 베이스(100)를 살펴보면, 베이스(100)는 테이블(11)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테이블(11)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높이로 구성된다. 구성은 양 측단에 각각 위치하는 기립측벽(110)과, 이 기립측벽(110)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부 가림판(130)으로 구성된다. 이 때, 기립측벽(110)의 경우 테이블(11)과 마주보게 배치되거나 혹은 테이블(11)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도 있으며, 둘의 큰 차이는 없지만 여름철 통풍 등의 문제를 고려하는 경우 테이블(11)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Referring first to the base 100, the base 100 is disposed between the tables 11 and is generally constructed of the same or similar height as the height of the table 11. The constitution comprises an upstanding sidewall 110 located at both ends and an upper shielding plate 130 connecting the upper part of the upstanding sidewall 110. At this time, the upright sidewall 110 may be arranged to face the table 11 or be arranged side by side with the table 11, but when considering the problem of ventilation in the summer, It can be said that it is preferable to be disposed side by side.

여기서 상부 가림판(130)의 경우, 상하로 관통된 개구부(131)가 더 형성되는데, 이 개구부(131)를 통해 베이스(100)에 수용되는 승강체(200)가 승강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pper shielding plate 130 is further formed with an opening 131 pass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 lifting body 200 accommodated in the base 100 can be raised and lowered through the opening 131.

승강체(200)는 베이스공간(600)에 수용되는 것이되, 승강체(200)의 하부에는 승강모듈(140)의 일 단이 보조힌지를 매개로 장착되고, 베이스(100)의 기립측벽(110)의 하부를 연결하는 바닥판(120)이 더 포함되어, 이 승강모듈(140)의 타단이 바닥판(120) 일 측에 장착됨으로써 승강체(200)가 베이스(100)로부터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승강체(200)의 상면에는 테두리를 따라 둘레벽(211)이 형성되어, 이 둘레벽(211)으로 둘러싸인 내부에 수납공간(212)이 형성된 수납부(210)의 구성을 갖추고 있다. 이 수납부(210)에는 수납공간(212)에 냅킨이나 티슈, 식사도구, 양념통, 메뉴판, 진동벨, 물병 등 테이블(11)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각종 부자재나 화분, 그림 등 장식품을 보관할 수 있으며, 승강체(200)가 승강 가능하기 때문에 승강체(200)를 하강시켜 부자재들을 꺼내 사용하고 간편하게 다시 상승시켜 승강체(200)로서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lifting body 200 is accommodated in the base space 600. One end of the lifting and lowering module 140 is moun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ifting body 200 via an auxiliary hinge, The elevator module 140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bottom plate 120 so that the elevator 200 is lifted and lowered from the base 100 . A peripheral wall 211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body 200 so as to surround the peripheral wall 211 and has a receiving space 210 in which a receiving space 212 is formed. In this storage unit 210, various kinds of auxiliary materials such as a napkin, a tissue, a meal tool, a spice bottle, a menu plate, a vibration bell, a water bottle, and the like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212. Since the lifting body 200 can be lifted and lowered, the lifting body 200 can be lowered so that the subsidiary materials can be taken out and used.

여기서 추가로 바닥판(120)은 바닥에 밀착 형성되거나 바닥에서 일정 높이 이격된 위치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이는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함은 물론이다.In this case, the bottom plate 120 may be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or may be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floor, and it is freely adjustable as needed.

이 때, 기립측벽(110)의 좌우 측면에는 베이스공간(600)을 향해 일정 길이 연장된 걸림벽(111)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걸림벽(111)이 형성되면 기립측벽(110)의 횡단면이‘ㄷ’형상을 갖게되며, 따라서 걸림벽(111)을 통해 승강체(200)의 표면 일부를 잡아주어 승강체(20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rising side walls 110 may further include hooking walls 111 extending to the base space 600 at predetermined lengths. When the engaging wall 111 is formed, the transverse side surface of the rising side wall 110 has a 'C' shape so that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200 is held by the catching wall 111, It is possible to prevent it from being deviated to

나아가 앞선 설명에서 승강체(200)는 바닥판(120)과 승강모듈(140)을 통해 연결된다고 하였는데, 이 승강모듈(140)은 ‘V’형태로 연결된 한 쌍의 승강실린더(142)로 구성된다. 즉, 바닥판(120)의 중앙부위에는 좌우로 회동되는 메인힌지(141)가 장착되는데, 이 메인힌지(141)에 ‘V’자 형태로 한 쌍의 승강실린더(142)가 부착된다.(즉, 메인힌지(141)로부터 승강실린더(142)는 서로 점차 멀어지는 형태로 부착됨.) 승강실린더(142)의 타 단은 승강체(200)의 하면이자, 하면의 양 단부에 각각 서브힌지(143)를 매개로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승강실린더(142)는 유압 또는 공압 등으로 승강제어 되는 것인데, ‘V’형태로 결합됨으로써 승강실린더(142)의 상하 이동폭이 크지 않더라도 승강체(200)의 승강이 용이하게 될뿐더러, 승강실린더(142)의 단부가 승강체(200)의 양 끝단을 각각 지지하게 되어 승강실린더(142)를 수직으로 세워 사용하는 경우보다 높은 안정성을 갖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인 승강 구성을 갖춘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승강실린더(142)는 자동제어(별도의 컨트롤러에 의한)나 수동제어가 모두 가능함은 물론이다.Further,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ascending / descending body 200 is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120 through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module 140.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module 140 is composed of a pair of ascending and descending cylinders 142 connected in a 'V' do. A pair of lifting cylinders 142 are attached to the main hinge 141 in a 'V' shape (that is, a pair of lifting and lowering cylinders) The other end of the lifting cylinder 142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body 200 and the lower end of the lower hinge 141 by a sub hinge 143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elevating cylinder 142 is controlled to be elevated or lowered by hydraulic pressure or pneumatic pressure. The elevating cylinder 142 is coupled in the form of a 'V' so that the elevating cylinder 200 can be easily elevated and lowered even if the elevating cylinder 142 is not wide. 142 are supported at both ends of the lifting body 200 to have higher stability than when the lifting cylinder 142 is vertically erected and thus can be said to have a more effective lifting structure. Needless to say, such an elevating cylinder 142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by a separate controller) or manually controlled.

또, 승강체(200)의 중앙부위를 관통하여 보조 수납공간(240)을 형성하여 활용할 수도 있다. 즉 승강체(200)의 수납부(210)를 기준으로, 수납부(210)의 하부 양 단부를 지지하도록 승강모듈(140)을 향해 절곡 연장된 것으로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기립측벽(110)과 평행하게 연장된 한 쌍의 보조기립측벽(220)을 기본으로 하되, 이 보조기립측벽(220)의 하부를 연결하는 수평판(23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보조기립측벽(220)이 기립측벽(110)과 평행하게 연장되므로 앞선 승강실린더(142)의 장점을 그대로 갖출 수 있으면서도, 보조기립측벽(220)의 하단부에 승강실린더(142)의 타 단이 서브힌지(143)를 매개로 장착될 수 있다. 승강체(200)의 내부이자 한 쌍의 보조기립측벽(220)과 수납부(210)의 하부(및 수평판(230)의 상부)로 둘러싸인 보조 수납공간(240)이 형성될 수 있다. Also, the auxiliary storage space 240 may be formed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200 and utilized. The upper end of the upstanding side wall 110 and the lower end of the lower end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10 are bent to extend toward the lifting and lowering module 140 so as to support the lower end portions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10 with respect to the accommodating portion 210 of the lifting body 200, 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horizontal plate 230 connecting a lower portion of the auxiliary standing side wall 220 on the basis of a pair of auxiliary standing side walls 220 extending in parallel. In this case, since the auxiliary standing side wall 220 extends parallel to the standing side wall 110, the advantages of the foregoing ascending and descending cylinder 142 can be maintained, Can be mounted via the sub hinge 143. [ An auxiliary storage space 240 enclosed by a pair of auxiliary standing side walls 220 and a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portion 210 (and an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plate 230) may be formed inside the ascending /

이 보조 수납공간(240)에는 역시 앞선 수납부(210)와 마찬가지로 테이블(11)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각종 부자재나 장식품을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Needless to say, the auxiliary storage space 240 can also store various kinds of auxiliary materials and ornaments that can be used in the table 11 like the preceding storage unit 210.

이렇게 보조 수납공간(240)을 적용하는 경우, 상부 가림판(130)에 위치한 개구부(131)는 보조기립측벽(220)에 대응되는 형태로 관통되는(보조기립측벽(220)만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도 적용될 수 있겠으며, 이에 따라 앞선 구성에 추가적으로 상부 가림판(130)의 상면이 더 이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When the auxiliary storage space 240 is used as described above, the opening 131 located in the upper shielding plate 130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auxiliary rising side wall 220 in a manner corresponding to the auxiliary rising side wall 220 Of the upper shielding plate 130 may be used.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hielding plate 130 may be further used.

다만, 보조 수납공간(240)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파티션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부자재나 장식품이 이 보조 수납공간(240)을 충분히 가리지 못하여 옆 테이블(11)이 군데군데 비치게 되면 파티션의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조 수납공간(240)으로 활용하더라도, 부자재를 꺼내어 보조 수납공간(240)의 활용이 끝나게 되면 이 보조 수납공간(240)을 가려 정상적으로 파티션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더 필요할 수 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auxiliary storage space 240 is formed, the partition may not function properly. That is, if the auxiliary table or the decorative article does not sufficiently cover the auxiliary storage space 240 and the side table 11 is scattered, the partition can not function properly. Therefore, even if the auxiliary storage space 240 is utilized, it may be necessary to take out the auxiliary material and cover the auxiliary storage space 240 when the auxiliary storage space 240 is used, Can occur.

도 4는 본 발명의 테이블 파티션에서 승강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elevator in a table part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를 위해 승강체(200)에서 수납부(210)의 측면 일 측이자, 테이블(11)과 마주보는 측면 일 측에 스크린와인더(300)가 더 부착될 수 있다. 이 스크린와인더(300)는 회전축(302)과, 이 회전축(302)에 권취된 스크린(301)으로 구성되는데, 보조 수납공간(240)의 활용 이후 스크린(301)을 스크린와인더(300)로부터 전개시킴으로써 보조 수납공간(240)을 가릴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스크린(301)은 적어도 보조 수납공간(240)을 가릴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을 갖추어야 하며 스크린와인더(300) 내부에도 스크린(301)의 전개 이후 전개된 형태를 고정할 수 있는 스토퍼장치가 내장되어야 함은 물론이다.To this end, a screen winder 300 may be further attached to one side of the side of the receiving part 210 and one side of the side facing the table 11 in the lifting body 200. The screen winder 300 is composed of a rotating shaft 302 and a screen 301 wound around the rotating shaft 302. The screen winder 300 can be use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240. [ So that the auxiliary storage space 240 can be covered. Therefore, the screen 301 must have an area enough to cover at least the auxiliary storage space 240, and a stopper device capable of fixing the developed shape after the development of the screen 301 is also provided inside the screen winder 300 Of course, it should be built.

이러한 스크린(301)의 표면에는 광고이미지나 메뉴판 등을 위치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스크린(301)을 전개하는 것으로 이러한 부가적인 효과를 바랄 수 있는 것이다.On the surface of such a screen 301, an advertisement image, a menu plate, and the like can be positioned, and therefore, this additional effect can be expected by developing the screen 301.

여기서 스크린(301)의 하부에는 지지부(30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지지부(303)는 바람직하게는 스크린(301)의 하부에 대응되는 형태로 부착되어 스크린(301)을 당기기 쉽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지지부(303)의 일 측에는 추가로 돌출된 걸림돌기(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부 가림판(130)의 상면 일 측에는 이 지지부(303)가 탈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걸림부(132)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따라서 스크린(301)을 펼쳐 상부 가림판(130)에 위치한 걸림부(132)에 고정하게 되면 스크린와인더(300) 자체의 스토퍼 기능보다 더욱 확실한 고정이 가능하다고 하겠다.Here, the support portion 303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creen 301. This supporting part 303 is preferably attached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lower part of the screen 301 so as to facilitate pulling of the screen 301. The support part 303 has a further protruding locking projection ) May be further formed. The upper shielding plate 130 may further include an engaging portion 132 to which the supporting portion 303 can be detachably fixed. It is possible to fix the screen winder 300 more securely than the stopper function of the screen winder 300 itself.

도 5는 본 발명의 스크린와인더와 그 연계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reen wind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linkage structure.

다시 스크린(301)의 설명으로 돌아가면, 스크린(301)에서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해 신장되는 서브스크린(301)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서브 스크린(304)은 스크린(301)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입출되는 것으로서, 기존의 스크린(301)이 미처 가리지 못한 범위를 보조하여 가리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서브 스크린(304)은 스크린(301)의 후면 또는 측면에 커튼 방식으로 접히거나 롤방식으로 말려 보관될 수 있으며, 서브 스크린(304)에 의해 스크린(301)이 회전축(302)에 말려 스크린와인더(300)로 감기거나 전개되는 것에 문제가 없어야 함은 물론이다.Returning to the description of the screen 301 again, the screen 301 may further include a sub screen 301 extending toward the left or right side. The sub-screen 304 is provid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screen 301, and can serve as an auxiliary screen for a range in which the conventional screen 301 is not covered. The sub screen 304 may be curled or rolled in the back or side of the screen 301 and the screen 301 may be curled by the sub screen 304 onto the rotating shaft 302,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re is no problem to be rolled or developed into the further 300.

나아가, 스크린(301)은 승강체(200)에서 개방된 보조 수납공간(240)의 일 측을 가릴 수 있는데, 보조 수납공간(240)은 개방된 면이 양 쪽에 각각 위치하지만 스크린와인더(300)는 비용 문제로 양 면에 모두 위치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스크린(301)으로 일 면을 가려 사용하다가, 반대쪽 테이블(11)에도 손님이 들어선 경우에는 스크린(301)으로부터 이 서브 스크린(304)을 전개하여 서브 스크린(304)을 통해 개방된 반대쪽 보조 수납공간(240)을 가리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Further, the screen 301 may cover one side of the auxiliary storage space 240 opened in the ascending / descending body 200. The auxiliary storage space 240 has the open side respectively on both sides, but the screen winder 300 ) Is not likely to be located on both sides due to cost problems. Accordingly, when one side is covered with the screen 301 and the guest on the other side table 11 is opened, the sub screen 304 is expanded from the screen 301 and the other side opened through the sub screen 304 It may be configured to cover the storage space 240.

이 경우에 서브 스크린(304)을 고정할 수 있도록 서브스크린(301)의 기립된 측면 일 측에 걸림고리(30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스크린(301)의 기립된 측면 일 측에도 이 걸림고리(305)가 걸려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홈(30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먼저 스크린(301)을 하방을 향해 펼쳐 보조 수납공간(240)의 개방된 부위를 가리고, 나아가 스크린(301)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서브 스크린(304)을 펼친다. 이 때, 서브 스크린(304)은 보조기립측벽(220)의 둘레를 둘러싼 상태에서 더욱 연장되어 스크린(301)이 위치한 반대쪽 면의 보조 수납공간(240)에서 개방된 부위를 가릴 수 있으며, 추가 연장되어 반대쪽 보조기립측벽(220)의 둘레를 둘러싸 다시 스크린(301)의 측면과 맞닿는 위치까지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브 스크린(304)의 걸림고리(305)와 스크린(301)의 고정홈(306)을 결합시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크린와인더(300)가 두 개 장착되는 경우에도 양 쪽의 스크린와인더(300) 모두에서 스크린(301)을 펼치고, 동일한 측면에서 서브 스크린(304)을 펼쳐 각각의 서브 스크린(304)의 걸림고리(305)를 다른 스크린(301)의 측면에 위치한 고정홈(306)에 걸어 고정시키거나 혹은 하나의 스크린(301)의 양 측면에서 서브 스크린(304)을 펼쳐 다른 스크린(301)의 고정홈(306)에 서브 스크린(304)의 걸림고리(305)를 각각 걸어 고정시키는 것으로 구성도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sub-screen 301 may further include a hooking ring 305 on one side of the standing side of the sub-screen 301 so that the sub-screen 304 can be fixed, And a fixing groove 306 to which the fixing member 305 can be fixed by being hooked. That is, first, the screen 301 is spread downward to cover the opened portion of the auxiliary storage space 240, and further, the sub screen 304 is sprea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screen 301. At this time, the sub-screen 304 may further extend around the auxiliary standing side wall 220 to cover the open portion in the auxiliary receiving space 240 on the opposite side where the screen 301 is located, And is movable to a position where it surrounds the periphery of the opposite auxiliary standing side wall 220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screen 301 again. Accordingly, the locking ring 305 of the sub-screen 304 and the locking groove 306 of the screen 301 can be coupled and fixed. In addition, even when two screen winders 300 are mounted, the screen 301 is spread out on both screen winders 300, and the sub screen 304 is unfolded on the same side to expose each subscreen 304, The hook 305 of the other screen 301 is hooked to the fixing groove 306 located on the side of the other screen 301 or the sub screen 304 is unfolded on both sides of one screen 301, And the hooks 305 of the sub-screen 304 may be respectively fixed to the fixing grooves 306 by hooking them.

이러한 서브 스크린(304)과 스크린(301)은 바람직하게는 실제 해당 테이블(11)을 활용하는 경우에만 전개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따라서, 테이블(11)의 활용 시점에는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고, 테이블(11)을 활용하지 않는 시점에는 말려 들어가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테이블(11)을 활용하는 시점에 이 스크린(301)이 말려 들어가지 않도록 스크린(301)의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이 더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The sub screen 304 and the screen 301 are preferably deployed only when actually using the corresponding table 11 so that the table 11 is kept open and the table 11), it is important to have a configuration that is rolled up. Accordingly, it may be necessary to further arrange the screen 301 so that the screen 301 is not stretched at the time when the table 11 is utilized.

도 6은 본 발명의 스크린와인더에 가림판을 더 적용한 구성을 도시한 확대도이다.6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screening plate is further applied to the screen wind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따라, 보조기립측벽(220)의 외측면 일 측이자 기립측벽(110)과 마주보는 방향의 일 측에서 함입된 삽입홈(221)을 더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 보조기립측벽(220)을 둘러싸게 되는 서브 스크린(304)에도 삽입홈(221)과 대응되는 위치를 관통시킨 보조 삽입홈(307)이 더 형성된다. 이 때, 식당용 테이블 파티션(10)은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것으로서, 보조 삽입홈(307)을 관통하여 삽입홈(221)에 삽입 결합되는 고정부(410)와 이 고정부(410)의 일 측에서 보조기립측벽(220)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보드부(420)로 구성되는 고정판(4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보조기립측벽(220)과 서브 스크린(304)에 각각 삽입홈(221)과 보조 삽입홈(307)을 형성하고, 이 삽입홈(221)과 보조 삽입홈(307)을 모두 통과하여 결합되는 고정부(410)를 갖는 고정판(400)이 삽입되는 것이다. 이 고정판(400)은 보조기립측벽(220)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승강체(200)가 사고 등에 의해 급작스럽게 하강되더라도 삽입 고정된 고정부(410)의 보드부(420)가 보조기립측벽(220)과 기립측벽(110) 사이에 걸려 승강체(200)의 하강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서브 스크린(304)도 이 보드부(420)를 통해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어 서브 스크린(304)이 말리거나 접히지 않도록 형태를 고정시키는 역할 또한 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further form the insertion groove 221 which is embedded in one side of the auxiliary rising side wall 220 facing the one side of the external side surface and the rising side wall 110. The sub screen 304 surrounding the auxiliary standing side wall 220 is further formed with an auxiliary insertion groove 307 passing through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groove 221. At this time, the table partition 10 for a restaurant is a table partition 10 which is inserted from the outside and has a fixing portion 410 which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21 through the auxiliary insertion groove 307, And a board portion 420 extending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auxiliary standing side wall 220 in the fixing board 400. In other words, the auxiliary grooves 221 and the auxiliary insertion grooves 307 are formed in the auxiliary standing side wall 220 and the sub screen 304, respectively, The fixing plate 400 having the fixing portion 410 is inserted. Since the fixing plate 400 extends outwardly of the auxiliary standing side wall 220, even if the elevating member 200 is suddenly lowered due to an accident or the like, the board portion 420 of the fixed portion 410, 220 and the upright sidewall 110 to prevent the descent of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body 200 and furthermore the position of the sub screen 304 can be fixed through the board portion 420, It is also possible to fix the shape so that it does not curl or fold.

이 때, 삽입홈(221)에는 이 고정부(410)가 삽입홈(221)에 삽입되었을 때, 경사지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부에 위치한 내측면을 경사진 챔퍼면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삽입홈(221)에 고정부(410)가 삽입되면 챔퍼면에 의해 경사지게 지지되어 보드부(420)는 이 챔퍼면의 경사에 따라 동일한 경사로 기립될 수 있다. 여기서 챔퍼면의 경우, 그 목적의 특이성에 따라 내측을 향할수록 점차 지면을 향해 높이가 낮아지는(하방을 향해 점차 높이가 낮아지는) 형태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며, 그 반대로 구성되는 경우는 오히려 중력에 의한 영향을 더 받을 수 밖에 없어 바람직하지 못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사형태는 보드부(420)가 중력에 의해 낙하하려는 성질을 어느 정도 상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도하게 보드부(420)가 외부로 튀어나오지 않아 주변 보행자의 통행에 걸리적거리지 않을뿐더러 경사지게 노출되더라도 충분히 승강체(200)의 하강 및 서브 스크린(304)의 이탈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도록 각도가 조절되어야 함은 물론이다.At this time, when the fixing part 4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221,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221 may be inclined so that it can be inclinedly supported. When the fixing portion 41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221, the board portion 420 is supported by the chamfered surface, and the board portion 420 can be erected at the same inclination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chamfered surface. In the case of the chamfer surface, the height should be gradually decreased toward the ground toward the inner side according to the specificity of the purpose (lowering gradually toward the downward direction). 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obtain a more favorable effect due to the unfavorable constitution. This inclined form not only can offset the property of the board part 420 to fall by gravity to some extent but also does not excessively cause the board part 420 to protrude to the outsid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angle should be adjusted so as to sufficiently prevent descent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body 200 and disengagement of the sub-screen 304.

특히 보드부(420)는 쉽게 말해 단순한 판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 판은 음식점에서 주문내역이 적힌 주문서나 영수증을 끼워 보관하도록 별도의 집게(미도시)나 접착패드(미도시) 등을 더 장착하여 영수증받침대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In particular, the board portion 420 is a simple plate. The board 420 is further provided with a separate clip (not shown) or an adhesive pad (not shown) to store the order or receipt with the order details written in the restaurant Of course, be configured to serve as a receipt pedestal.

다만, 이러한 구성은 다음의 문제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두 개의 테이블(11) 사이에 위치하는 식당용 테이블 파티션(10)의 특성 상 한 쪽 테이블(11)의 사용이 완료되었더라도 반대쪽 테이블(11)의 사용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 식당용 테이블 파티션(10)을 치우는 것은 실례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앞선 구성의 경우 반대쪽 테이블(11)을 직접 확인하거나 혹은 반대쪽 테이블(11)의 고정판(400)의 장착여부를 확인하는 것으로 반대쪽 테이블(11)이 사용 중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다.However, this configuration may further include the following problems. First, when the use of one side table 11 is completed but the use of the other side table 11 is not complet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ble partition 10 for a restaurant located between the two tables 11, (10) is an example. However, in the case of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the opposite table 11 is in use by confirming the opposite table 11 directly or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fixing plate 400 of the opposite table 11 is mounted.

이러한 구성은 식당용 테이블 파티션(10)이 충분히 높게 상승되거나 테이블(11)의 넓이가 사용자가 반대쪽을 확인하기 어려울 정도로 넓은 경우에는 직접 반대쪽 테이블(11)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파티션을 치우도록 하는 방법밖에 없는데, 육안으로 반대쪽 테이블(11)을 확인하는 것 또한 실례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확인할 수 있는 더욱 확실한 방안이 필요하다.In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table partition 10 for a restaurant is elevated to a sufficiently high height or the width of the table 11 is wide enough for the user to check the opposite side, There is no other way, but it is also an example to check the other table (11) with the naked eye.

따라서, 테이블(11)의 활용여부를 반대쪽 테이블(11)에 안내할 수 있도록 다음의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Therefore, the following configuration may be further included so as to guide the utilization of the table 11 to the opposite table 11.

먼저, 스크린와인더(300)의 회전축(302)에는 삽입홈(221)이 형성된 방향의 측단면 중앙부위를 함입한 가림판고정홈(310)이 더 형성되고, 이 가림판고정홈(310)에 끼움 결합되는 연장축(510)과, 연장축(510)의 표면 일 측에서 지면을 향해 길게 연장된 가림막(520)을 포함하는 가림판(500)의 구성을 더 갖추도록 하는 것이다.The shielding plate fixing groove 310 is formed in the rotary shaft 302 of the screen winder 300 so as to enclose a central portion of the side end surfa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sertion groove 221 is formed. And a shielding film 520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surface of the elongate shaft 510 toward the ground to extend to the ground.

이 가림막(520)은 식당용 테이블 파티션(10)에서 측면으로 가릴 수 있는 범위를 연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고정판(400)만 튀어나와있던 구성에서 더 나아가 가림막(520)을 통해 반대측 테이블(11)에 위치한 사용자가 이 가림막(520)의 유무를 쉽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이라 하겠다. 또한, 가림막(520)을 통해 고정판(400)에(특히 보드부(420)에) 부착된 영수증이나 주문서 등을 옆 테이블(11)에 보이지 않도록 가리는 용도로도 활용될 수 있고 나아가 스크린(301)과 같이 표면에 광고이미지나 메뉴판 등을 위치시킬 수 있어 이러한 부가용도를 더 기대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curtain wall 520 can extend the range of the side wall of the table partition 10 for a restaurant and can be extended beyond the conventional fixing plate 400, It is assumed that the user located in the main body 11 can easily visually confirm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creening film 520.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screen 301 to cover the receipt or the order attached to the fixing plate 400 (in particular, the board 420) through the screening film 520 so as not to be visible on the side table 11, The advertisement image, the menu plate, and the like can be positioned on the surface as shown in FIG.

다만, 이러한 식당용 테이블 파티션(10)을 처음 사용해보는 사용자나 일부 악덕 사용자의 경우 테이블(11)의 사용 이후에도 가림판(500)을 치우지 않고 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주문서나 영수증이 부착된 고정판(400)을 삽입홈(221)에서 빼내는 경우 가림판(500)이 자동으로 해제되어 이를 치우고 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However, since a user who first attempts to use such a table partition 10 for a restaurant or some vicious user may go without removing the covering plate 500 even after the use of the table 11, 400 is removed from the insertion groove 221, the cover plate 500 may be automatically released so that the cover plate 500 can be removed.

즉 가림판(500)에서 연장축(510)의 일 측이자, 가림판고정홈(310)에 삽입되는 부위의 둘레면 일 측에는 잠금돌기(51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잠금돌기(511)는 쉽게 생각하면 자물쇠를 열기 위한 열쇠와 같이 연장축(510)을 중심 축으로 하여, 잠금돌기(511)가 표면 일 측에 돌출된 것을 의미한다. 이에 대응되어 가림판고정홈(310)에도 최초로 잠금돌기(511)가 형성된 연장축(510)을 삽입할 수 있도록 이 잠금돌기(511)의 종단면 형상으로 연장축(510)의 삽입방향을 따라 연장 함입된 끼움홈(31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끼움홈(311)만 형성하는 경우에는 연장축(510)이 일 방향으로의 삽입 또는 배출만 가능하기 때문에 주변에서 강한 충격을 받거나 중력의 영향으로 인해 연장축(510)이 가림판고정홈(310)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끼움홈(311)의 측면 일 측에서 잠금돌기(511)의 종단면 형상으로 다시 가림판고정홈(310)의 내주면을 따라 추가로 함입 연장된 회동홈(312)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A locking protrusion 511 may be further formed on one side of the extension shaft 510 in the shielding plate 500 and on one sid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rtion to be inserted into the shielding plate fixing groove 310. The locking protrusion 511, when considered easily, means that the locking protrusion 511 protrudes to one side of the surface with the extending axis 510 as a center axis, like a key for opening the lock. The locking protrusion 511 is extended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extending shaft 5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extending shaft 510 having the locking protrusion 511 can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plate fixing groove 310 The insertion groove 311 may be further formed. However, when only the fitting groove 311 is formed, since the extension shaft 510 can be inserted or ejected in only one direction, a strong impact is applied to the periphery of the extension shaft 510,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base 310. This further includes the configuration of the pivotal groove 312 further extend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ielding plate fixing groove 3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cking protrusion 511 from one side of the fitting groove 311 .

이 회동홈(312)의 구성이 더해지면 잠금돌기(511)는 끼움홈(311)을 통해 가림판고정홈(310)의 내부로 유입된 상태에서 회동홈(312)을 통해 이동되어 연장축(51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앞서 설명한 가림판(500)과 고정판(400)의 구성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고정판(400)(특히 고정부(410)가) 또한 일정한 면적을 갖는 부재이므로 가림판(500)의 가림막(520)이 이 고정판(400)의 측면을 지나는 경우에 가림판(500) 전체가 일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따라서, 최초로 가림판(500)을 가림판고정홈(310)에 끼운 이후 고정판(400)의 측면으로 가림판(500)을 이동(영수증이나 주문서가 옆 테이블(11)에 보이지 않게 하려면 가림판(500)을 이동시킴으로써 자신이 위치한 테이블(11)에서만 고정판(400)이 보이도록 해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시키게 되는데, 이 때 연장축(510)이 회전되면서 잠금돌기(511)가 회동홈(312)으로 이동하게 되어 연장축(510)이 가림판고정홈(3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The locking protrusion 511 is moved through the rotation groove 312 in the state where the locking protrusion 511 is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locking plate fixing groove 310 through the fitting groove 311, 510) can be fixed. Since the fixing plate 400 (particularly, the fixing portion 410) is also a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area, it is possible to use the configuration of the cover plate 500 and the fixing plate 400, The entire cover plate 500 should be moved to the left or right in some cases when the curtain 520 of the cover plate 500 passes the side surface of the fixing plate 400.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receipt or order from being visible on the side table 11 after the cover plate 500 is first inserted into the cover plate fixing groove 310, the cover plate 500 is moved to the side of the fixing plate 400 The locking protrusion 511 is rotated by the pivotal movement of the pivotal movement of the pivotal movement of the pivotal groove 312 So that the extension shaft 510 can not be separated from the shielding plate fixing groove 310.

이후 테이블(11)의 사용이 끝나 고정판(400)을 뽑게되면, 가림판(500)이 중력의 영향을 받아 지면과 수직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 때 잠금돌기(511)는 회동홈(312)에서 끼움홈(311)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쉽게 가림판(500)이 가림판고정홈(310)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어, 잠금돌기(511)의 이동 후 남은 관성의 영향으로 연장축(510)이 가림판고정홈(310)에서 탈거되어 사용자가 일일이 가림판(500)을 해제하지 않더라도 단순히 고정판(400)을 해제하는 것으로 자연스럽게 가림판(500)이 탈거되어 옆 테이블(11)에 테이블(11)을 사용하지 않음을 알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 가림판(500)이 가림판고정홈(310)에서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가림판고정홈(310)의 내부를 경사지게 형성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fter the use of the table 11 is completed and the fixing plate 400 is pulled out, the closure plate 500 is mov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under the influence of gravity. At this time, To the fitting groove 311. In this case, The shielding plate 500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shielding plate fixing groove 310 and the extension shaft 510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shielding plate fixing groove 310 due to the inertia remaining after the locking protrusion 511 is moved Even if the user does not release the covering plate 500, simply by releasing the fixing plate 400, it is possible to naturally inform the user that the covering plate 500 is detached and the table 11 is not used in the side table 11 will b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inside of the cover plate fixing groove 310 may be inclined so that the cover plate 500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cover plate fixing groove 310.

이러한 구성을 통해 테이블(11)과 테이블(11) 사이에 위치하여 공간을 나눌 수 있으면서, 동시에 파티션의 다양한 수납공간(212)을 활용할 수 있고, 나아가 스크린(301) 등의 부가 구성을 통해 단순히 테이블(11)과 테이블(11) 사이를 가리는 기능을 벗어나 보다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식당용 테이블 파티션(10)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space can be divided between the table 11 and the table 11, and at the same time, the various storage spaces 212 of the partition can be used. Further, through the additional structure such as the screen 301,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able partition 10 for a restaurant that performs a more complex function beyond the function of covering between the table 11 and the table 11.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당용 테이블 파티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table partition for a restaur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10: 테이블 파티션 11: 테이블
100: 베이스 110: 기립측벽
111: 걸림벽 120: 바닥판
130: 상부 가림판 131: 개구부
132: 걸림부 140: 승강모듈
141: 메인힌지 142: 승강실린더
143: 서브힌지 200: 승강체
210: 수납부 211: 둘레벽
212: 수납공간 220: 보조기립측벽
221: 삽입홈 230: 수평판
240: 보조 수납공간 300: 스크린와인더
301: 스크린 302: 회전축
303: 지지부 304: 서브 스크린
305: 걸림고리 306: 고정홈
307: 보조 삽입홈 310: 가림판고정홈
311: 끼움홈 312: 회동홈
400: 고정판 410: 고정부
420: 보드부 500: 가림판
510: 연장축 511: 잠금돌기
520: 가림막 600: 베이스공간
10: Table Partition 11: Table
100: Base 110: Standing side wall
111: engaging wall 120: bottom plate
130: upper shielding plate 131: opening
132: latch 140: lift module
141: main hinge 142: lifting cylinder
143: Sub hinge 200:
210: storage part 211: peripheral wall
212: storage space 220: auxiliary standing side wall
221: insertion groove 230: horizontal plate
240: auxiliary storage space 300: screen winder
301: Screen 302:
303: Support 304: Subscreen
305: Retaining ring 306: Fixing groove
307: auxiliary insertion groove 310: shielding plate fixing groove
311: fitting groove 312: pivoting groove
400: stationary plate 410:
420: board part 500: shielding plate
510: extension shaft 511: locking projection
520: Screen cover 600: Base space

Claims (10)

식당용 테이블 사이에 배치되는 파티션으로서,
한 쌍의 기립측벽과 상기 기립측벽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부 가림판을 포함하여 상기 기립측벽 및 상기 상부 가림판으로 둘러싸인 베이스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상부 가림판은 상하로 관통된 개구부를 더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공간으로부터 상기 상부 가림판의 상면으로 승강되는 것으로서, 상면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부를 포함하는 승강체;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승강체를 승강제어하는 승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당용 테이블 파티션.
A partition disposed between tables for a dining room,
And an upper shielding plate connecting a pair of standing side walls and an upper side of the standing side wall to form a base space surrounded by the standing side wall and the upper shielding plate, wherein the upper shielding plate further includes an opening Base;
An ascending / descending member which is lifted from the base spac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vering plate and has a storage space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lifting / lowering module for lifting / lowering the lifting / lowering body as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는,
상기 수납부의 하부 양 측으로부터 상기 승강모듈을 향해 절곡 연장된 한 쌍의 보조기립측벽을 포함하여,
상기 한 쌍의 보조기립측벽과 상기 수납부의 하부로 둘러싸인 보조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당용 테이블 파티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fting /
And a pair of auxiliary rising sidewalls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bottom of the receiving part to extend toward the elevating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an auxiliary storage space surrounded by the pair of auxiliary standing side walls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unit is form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기립측벽의 하부를 연결하는 바닥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모듈은,
한 쌍의 승강실린더로 구성되되,
상기 바닥판의 중앙부위에 장착되는 메인힌지와,
일 단부가 상기 메인힌지에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사이간격이 높이방향으로 진행될수록 점차 벌어지는 한 쌍의 승강실린더와,
상기 승강실린더의 단부 타 측에 장착되어 상기 승강체의 하면 양 측에 각각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서브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당용 테이블 파티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bottom plate connecting the bottoms of the standing side walls,
The elevating module includes:
A pair of lifting cylinders,
A main hinge mounted on a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plate,
A pair of lifting and lowering cylinders which gradually widen as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hinges is increased in the height direction in a state where one end is rotatably mounted on the main hinge,
And a sub hinge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elevating cylinder and rotatably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elevating body.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체는,
상기 수납부의 측면 일 측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보조 수납공간의 개방된 부위를 가리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을 권취하는 회전축으로 구성되는 스크린와인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당용 테이블 파티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ifting /
And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side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screen winder configured by a screen for covering an open portion of the auxiliary storage space and a rotating shaft for winding the screen.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상기 스크린의 하부에 장착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가림판의 상면 일 측에는,
상기 지지부를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걸림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당용 테이블 파티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creen,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portion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screen,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hielding plate,
Further comprising a latching portion for releasably securing the support portion.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상기 스크린에서 좌우 각각으로 신장 가능한 서브 스크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당용 테이블 파티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creen,
Further comprising a sub-screen that is extendable left and right on the screen.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스크린의 기립된 측면 일 측에는,
걸림고리가 더 포함되고,
상기 스크린의 기립된 측면 일 측에는,
상기 걸림고리가 걸려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당용 테이블 파티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n one side of the standing side of the sub-screen,
A hook ring is further included,
On one side of the standing side of the screen,
Further comprising a securing groove to which the retaining ring can be secured.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기립측벽의 외측면 일 측에는,
함입된 삽입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스크린은,
상기 보조기립측벽의 외측 표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절곡 장착되되, 상기 삽입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된 보조 삽입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식당용 테이블 파티션은,
외부로부터 상기 보조 삽입홈을 관통 연장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 측에서 상기 보조기립측벽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보드부로 구성되는 고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당용 테이블 파티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n one side of the outer side of the auxiliary standing side wall,
Further comprising an embedded insertion groove,
The sub-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insertion groove which is bendably mount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auxiliary standing side wall and penetrate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groove,
The table partition for a restaurant comprises:
A fix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auxiliary insertion groove and inserted and coupled to the insertion groove,
Further comprising a fixing plate formed of a board portion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fixing portion to the outside of the auxiliary standing side wall.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방향의 측단면 중앙부위에서 함입된 가림판고정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식당용 테이블 파티션은,
상기 가림판고정홈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삽입홈에 결합된 상기 보드부의 상부와 마주보는 위치까지 수평 연장된 연장축과,
상기 연장축의 표면 일 측에서 지면을 향해 연장된 가림막으로 구성된 보조가림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당용 테이블 파티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rotation shaft
Further comprising a cover plate fixing groove embedded above a center portion of a side end surfa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insertion groove is formed,
The table partition for a restaurant comprises:
And is rotatably fitted in the shutter plate fixing groove,
An extension shaft extending horizontally to a position fac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oard portion coupled to the insertion groove,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closure plate composed of a covering film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surface of the extension shaft toward the ground.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축에서 상기 가림판고정홈에 삽입되는 부위의 둘레면 일 측에는,
잠금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가림판고정홈은,
상기 잠금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가림판고정홈의 내주면 일 측에서 상기 잠금돌기의 종단면 형상으로 상기 연장축의 삽입방향을 따라 연장 함입된 끼움홈과,
상기 끼움홈의 측면 일 측에서 상기 잠금돌기의 종단면 형상으로 상기 가림판고정홈의 내주면을 따라 추가로 함입 연장된 회동홈을 더 포함하여,
상기 고정판이 상기 삽입홈으로부터 이탈된 이후 상기 연장축을 상기 가림판고정홈에서 회전하여 탈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당용 테이블 파티션.
10. The method of claim 9,
On one sid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rtion to be inserted into the shielding plate fixing groove in the extending axis,
A locking protrusion is further formed,
The cover plate fixing groove
A fitting groove which is extended from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plate fixing groove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protru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cking protrusion along the inserting direction of the extending shaft,
Further comprising a pivoting groove which is further extend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ipping plate fixing gro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cking protrusion at one side of the fitting groove,
Wherein the extension shaft is rotatably detachable from the cover plate fixing groove after the fixing plate is detached from the insertion groove.
KR1020170054490A 2017-04-27 2017-04-27 Partition for Dining Table KR2018012048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490A KR20180120484A (en) 2017-04-27 2017-04-27 Partition for Dining T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490A KR20180120484A (en) 2017-04-27 2017-04-27 Partition for Dining Ta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484A true KR20180120484A (en) 2018-11-06

Family

ID=64329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490A KR20180120484A (en) 2017-04-27 2017-04-27 Partition for Dining T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048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8260A (en) 2020-08-06 2022-02-15 주식회사 모닝아트 droplet blocking fence for tab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8260A (en) 2020-08-06 2022-02-15 주식회사 모닝아트 droplet blocking fence for tab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061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tractable furniture unit
KR20180120484A (en) Partition for Dining Table
KR101832620B1 (en) foldable camping grill
KR101858444B1 (en) Cable drum apparatus having function for lifting and fixing
KR20110017710A (en) Polder style slim bathtub
JP5858271B2 (en) Nosocomial infection prevention device
KR101173408B1 (en) Posting apparatus for hanging banners
KR101307251B1 (en) Folding desk having stopper
US20080035822A1 (en) Folding table leg
NL1026722C2 (en) Device and method for applying a duvet cover around a duvet.
KR101822379B1 (en) Laundry dryer having space storage dryer
KR200336951Y1 (en) Partition for table
JP3179057B2 (en) Belt type lifting device
JPH08175577A (en) Containing case for tissue paper or the like
KR20190063377A (en) folding bath base for companion animals
CN213605465U (en) Multifunctional folding bed
US11944243B2 (en) Portable bathtub
CN211081223U (en) Flag-raising auxiliary device
KR102564302B1 (en) Bedding fixing device for wall bed
JPH044476Y2 (en)
KR20240000166U (en) Storage box cover for camping
KR20130032717A (en) Roll screen apparatus
KR200229767Y1 (en) Clothes Hanger with Electric Rise and Fall Apparatus
CA2816750A1 (en) Collapsible toilet enclosure
JP2016037837A (en) Pulley unit and shield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