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0175A - Agc, 타이밍, 및 채널 추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필드들을 갖는 단일 채널, 본딩된 채널 및 mimo ofdm 프레임들을 송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Agc, 타이밍, 및 채널 추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필드들을 갖는 단일 채널, 본딩된 채널 및 mimo ofdm 프레임들을 송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0175A
KR20180120175A KR1020187025128A KR20187025128A KR20180120175A KR 20180120175 A KR20180120175 A KR 20180120175A KR 1020187025128 A KR1020187025128 A KR 1020187025128A KR 20187025128 A KR20187025128 A KR 20187025128A KR 20180120175 A KR20180120175 A KR 20180120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ransmission
time
domain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5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5455B1 (ko
Inventor
알렉산더 에이탄
아미차이 산드로비치
갈 바순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80120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0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4Pilot insertion in the transmitter chain, e.g. pilot overlapping with data, insertion in time or frequency dom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3Signal structure ensuring backward compatibility with legacy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04L27/2613Structure of the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24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 H04L25/0226Channel estimation using sounding signals sounding signals per 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14Peak power aspects
    • H04L27/262Reduction thereof by selection of pilot symb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49Demodulators
    • H04L27/265Fourier transform demodulators, e.g. fast Fourier transform [FFT] or discrete Fourier transform [DFT] demod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2TPC using AGC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s or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장치는 단일-채널 프레임, 본딩된 채널 프레임, 또는 MIMO 채널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한다. 프레임 타입들 각각은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제1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제1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제1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지 않으며,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제2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제2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며; 그리고 장치는, 송신을 위한 프레임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제2 부분은 AGC를 위한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필드, FFT 프로세싱을 위한 입력 샘플 윈도우의 타이밍을 위한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포함하는 제2 필드, 및 채널 추정을 위한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을 포함하는 제3 필드를 포함한다. MIMO의 경우, 상이한 송신 체인들에 대한 이들 필드들은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송신된다.

Description

AGC, 타이밍, 및 채널 추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필드들을 갖는 단일 채널, 본딩된 채널 및 MIMO OFDM 프레임들을 송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0001] 본 출원은, 2016년 3월 2일자로 미국 특허 및 상표청에 출원된 가출원 번호 제 62/302,754호, 및 2017년 2월 22일자로 미국 특허 및 상표청에 출원된 정규 출원 번호 제 15/439,048호를 우선권으로 그리고 그들의 이득을 주장하며, 이들의 전체 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통합된다.
[0002] 본 개시내용의 소정의 양상들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들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채널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프레임, 본딩된-채널(bonded-channel) OFDM 프레임, 단일-채널 MIMO(multiple-input-multiple-output) OFDM 프레임, 및 본딩된-채널 MIMO OFDM 프레임을 송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프레임들 각각은 AGC(automatic gain control), FFT(Fast Fourier Transform)를 수행하는 것과 연관된 타이밍, 및 수신된 프레임과 연관된 채널 추정를 수행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필드들을 갖는다.
[0003] 성공적인 송신, 수신, 및 디코딩을 위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프레임의 송신은 소정의 정보를 포함해야 한다. 예컨대, 그러한 프레임은,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가 바람직한 선형 구역들에서 자신의 프론트-엔드 컴포넌트들을 동작시키기 위해 AGC(automatic gain control)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해야 한다. 그러한 프레임은 또한, 수신기가 프로세싱을 위해 수신 신호의 샘플들을 FFT(Fast Fourier Transform)에 입력하기 위한 최적의 시간 윈도우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포함해야 한다. 부가적으로, 그러한 프레임은, 수신 프레임에 대한 적절한 등화가 수행될 수 있도록 프레임이 전파되게 하는 채널을 수신기가 추정할 수 있게 하는 정보를 포함해야 한다.
[0004] OFDM 프레임에서 송신되어야 하는 전술된 정보는, 본딩된 채널을 통해 OFDM 송신을 전송하는 프레임들에 적용된다. 유사하게, 전술된 정보는 또한, 수신기가 수신된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들의 독립적인 AGC, 병렬 FFT 프로세싱, 및 채널 추정/등화를 수행하기 위해 프레임의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들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분리할 수 있도록, MIMO(multiple-input-multiple-output) OFDM 프레임에서 송신되어야 한다.
[0005] 본 개시내용의 소정의 양상들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장치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시스템 ―상기 제1 부분은 제1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제1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제1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지 않으며,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제2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제2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함―; 및 송신을 위한 프레임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0006] 본 개시내용의 소정의 양상들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부분은 제1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제1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제1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지 않으며,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제2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제2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함―; 및 송신을 위한 프레임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0007] 본 개시내용의 소정의 양상들은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장치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1 부분은 제1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제1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제1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지 않으며,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제2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제2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함―; 및 송신을 위한 프레임을 출력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0008] 본 개시내용의 소정의 양상들은 명령들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하며, 이 명령들은,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며 ―상기 제1 부분은 제1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제1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제1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지 않으며,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제2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제2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함―; 그리고 송신을 위한 프레임을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0009] 본 개시내용의 소정의 양상들은 무선 노드를 제공한다. 무선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시스템 ―상기 제1 부분은 제1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제1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제1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지 않으며,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제2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제2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함―; 및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송신을 위한 프레임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0010]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은 또한, 위에서 설명된 장치들 및 동작들에 대응하는 다양한 방법들, 수단들,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을 제공한다.
[0011]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소정의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다이어그램이다.
[0012]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소정의 양상들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일반적으로, 제1 무선 노드) 및 사용자 디바이스(일반적으로, 제2 무선 노드)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예시한다.
[0013] 도 3a는 본 개시내용의 소정의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프레임 또는 프레임 부분을 예시한다.
[0014] 도 3b는 본 개시내용의 소정의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EDMG(Extended Directional Multigigabit) 헤더를 예시한다.
[0015]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소정의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단일-채널 프레임을 예시한다.
[0016]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소정의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본딩된-채널 프레임을 예시한다.
[0017]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소정의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2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 MIMO 프레임을 예시한다.
[0018]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소정의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3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 MIMO 프레임을 예시한다.
[0019]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소정의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4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 MIMO 프레임을 예시한다.
[0020]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소정의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6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 MIMO 프레임을 예시한다.
[0021]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소정의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2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 채널-본딩된 MIMO 프레임을 예시한다.
[0022]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소정의 양상들에 따른, 다양한 송신 체인 및 채널 본딩 구성들을 위한 의사랜덤 바이너리 시퀀스(pseudorandom binary sequence)들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원시 다항식들에 대한 예시적인 시드(seed)들의 표를 예시한다.
[0023]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소정의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노드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예시한다.
[0024]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은, 복수의 채널들 각각에서 송신되는 채널 추정 트레이닝 시퀀스들을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채널들을 본딩함으로써 형성되는 본딩된 채널의 채널 추정을 수행하기 위한 기법들을 제공한다.
[0025]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 더욱 완전히 설명된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은 많은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제시되는 임의의 특정 구조 또는 기능으로 제한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오히려, 이들 양상들은, 본 개시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것이며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당업자들에게 완전히 전달하도록 제공된다. 본원에서의 교시들에 기반하여, 당업자는, 본 개시내용의 임의의 다른 양상과 독립적으로 구현되든 또는 결합하여 구현되든 간에, 본 개시내용의 범위가 본원에서 개시된 개시내용의 임의의 양상을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됨을 인식해야 한다. 예컨대, 본원에서 제시된 임의의 수의 양상들을 사용하여 장치가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부가하여, 본 개시내용의 범위는, 본원에서 제시된 개시내용의 다양한 양상들에 부가하여 또는 이러한 다양한 양상들 이외의 다른 구조, 기능성, 또는 구조 및 기능성을 사용하여 실시되는 그러한 장치 또는 방법을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원에서 개시된 개시내용의 임의의 양상이 청구항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엘리먼트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0026] "예시적"이란 단어는 "예, 실례, 또는 예시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된다.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에서 설명된 임의의 양상이 반드시 다른 양상들보다 바람직하거나 또는 유리한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0027] 특정 양상들이 본원에서 설명되지만, 이들 양상들의 많은 변형들 및 치환들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있다. 바람직한 양상들의 일부 이득들 및 장점들이 언급되지만, 본 개시내용의 범위는 특정 이득들, 사용들, 또는 목적들로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개시내용의 양상들은 상이한 무선 기술들, 시스템 구성들, 네트워크들, 및 송신 프로토콜들에 광범위하게 적용가능한 것으로 의도되며, 이들 중 일부는 바람직한 양상들의 다음의 설명에서 그리고 도면들에서 예로서 예시된다.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은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본 개시내용을 예시할 뿐이며, 본 개시내용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 및 그들의 등가물들에 의해 정의된다.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
[0028] 본원에서 설명된 기법들은, 직교 멀티플렉싱 방식에 기반하는 통신 시스템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브로드밴드 무선 통신 시스템들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통신 시스템들의 예들은 SDMA(Spatial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SC-FDMA(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들 등을 포함한다. SDMA 시스템은 다수의 사용자 단말들에 속하는 데이터를 동시에 송신하기 위해 충분히 상이한 방향들을 활용할 수 있다. TDMA 시스템은, 송신 신호를 상이한 시간 슬롯들로 분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 단말들이 동일한 주파수 채널을 공유할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각각의 시간 슬롯은 상이한 사용자 단말에 할당된다. OFDMA 시스템은, 전체 시스템 대역폭을 다수의 직교 서브-캐리어들로 파티셔닝하는 변조 기법인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을 활용한다. 이들 서브-캐리어들은 또한, 톤들, 빈들 등으로 불릴 수 있다. OFDM을 이용하여, 각각의 서브-캐리어는 데이터와 독립적으로 변조될 수 있다. SC-FDMA 시스템은, 시스템 대역폭에 걸쳐 분산되는 서브-캐리어들 상에서 송신하기 위한 IFDMA(interleaved FDMA), 인접한 서브-캐리어들의 블록 상에서 송신하기 위한 LFDMA(localized FDMA), 또는 인접한 서브-캐리어들의 다수의 블록들 상에서 송신하기 위한 EFDMA(enhanced FDMA)를 활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변조 심볼들은 OFDM을 이용하여 주파수 도메인에서 전송되고, SC-FDMA을 이용하여 시간 도메인에서 전송된다.
[0029] 본원에서의 교시들은 다양한 유선 또는 무선 장치들(예컨대, 노드들)에 통합(예컨대, 이 장치들 내에 구현 또는 이 장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본원에서의 교시들에 따라 구현된 무선 노드는 액세스 포인트 또는 액세스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0030] 액세스 포인트("AP(access point)")는 노드 B, 라디오 네트워크 제어기("RNC(Radio Network Controller)"), 이벌브드 노드 B(eNB; evolved Node B), 기지국 제어기("BSC(Base Station Controller)"),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BTS(Base Transceiver Station)"), 기지국("BS(Base Station)"), 트랜시버 기능("TF(Transceiver Function)"), 라디오 라우터, 라디오 트랜시버, 기본 서비스 세트("BSS(Basic Service Set)"), 확장 서비스 세트("ESS(Extended Service Set)"), 라디오 기지국("RBS(Radio Base Station)"), 또는 어떤 다른 용어를 포함하거나, 이들로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로서 알려질 수 있다.
[0031] 액세스 단말("AT(access terminal)")은 가입자 스테이션, 가입자 유닛, 모바일 스테이션,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 사용자 단말,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사용자 장비, 사용자 스테이션, 또는 어떤 다른 용어를 포함하거나, 이들로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로서 알려질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액세스 단말은 셀룰러 전화, 코드리스(cordless)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폰, 무선 로컬 루프("WLL(wireless local loop)") 스테이션, 개인 디지털 어시스턴트("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연결 능력을 갖는 핸드헬드 디바이스, 스테이션("STA(Station)"),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어떤 다른 적절한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본원에서 교시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은 폰(예컨대, 셀룰러 폰 또는 스마트폰), 컴퓨터(예컨대, 랩톱),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예컨대, 개인 데이터 어시스턴트), 엔터테인먼트 디바이스(예컨대, 뮤직 또는 비디오 디바이스, 또는 위성 라디오),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디바이스, 또는 무선 또는 유선 매체를 통해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에 통합될 수 있다. 일부 양상들에서, 노드는 무선 노드이다. 그러한 무선 노드는, 예컨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네트워크(예컨대, 광역 네트워크, 이를테면, 인터넷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에 대한 또는 이 네트워크로의 연결성을 제공할 수 있다.
[0032] 다음의 설명을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들과 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의 통신들이 허용될 뿐만 아니라, 개개의 사용자 디바이스들 사이의 직접(예컨대, 피어-투-피어) 통신들도 허용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더욱이, 디바이스(예컨대, 액세스 포인트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는 다양한 조건들에 따라 사용자 디바이스와 액세스 포인트 사이에서 자신의 거동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물리 디바이스는, 예컨대 상이한 채널들, 상이한 시간 슬롯들, 또는 양쪽 모두에서, 다수의 역할들: 사용자 디바이스 및 액세스 포인트, 다수의 사용자 디바이스들,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을 맡을 수 있다.
[0033]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소정의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통신 네트워크(100)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예시한다. 통신 네트워크(100)는 액세스 포인트(102), 백본 네트워크(104), 레거시 사용자 디바이스(106), 및 새로운 프로토콜 사용자 디바이스(110)를 포함한다.
[0034]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구성될 수 있는 액세스 포인트(102)는 사용자 디바이스들(106 및 110) 사이의 데이터 통신들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02)는 추가로, 백본 네트워크(104), 그리고 사용자 디바이스들(106 및 110) 중 임의의 하나 또는 그 초과에 커플링된 디바이스들 사이의 데이터 통신들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0035] 이 예에서, 액세스 포인트(102)와 레거시 사용자 디바이스(106)는 레거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서로 간에 데이터 통신한다. 레거시 프로토콜의 일 예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ad를 포함한다. 이 프로토콜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102)와 레거시 사용자 디바이스(106) 사이의 데이터 통신들은, 802.11ad 프로토콜을 준수하는 데이터 프레임들의 송신을 통해 달성된다. 본원에서 추가로 논의된 바와 같이, 802.11ad 데이터 프레임은 L-STF(short training field) 시퀀스 및 L-CEF(channel estimation field) 시퀀스로 구성된 프리앰블, 헤더(L-헤더), 페이로드 데이터, 및 선택적인 빔형성 트레이닝 필드를 포함한다.
[0036] L-STF 시퀀스는 복수의 연쇄된 골레이 시퀀스(Golay sequence)들(Ga128) 및 그 뒤에 STF 시퀀스의 끝을 의미하기 위한 네거티브 골레이 시퀀스(-Ga128)를 포함한다. L-STF 시퀀스는, 수신기가 프레임의 나머지를 정확하게 수신하기 위해 자신의 AGC(automatic gain control), 타이밍, 그리고 주파수 셋업을 셋업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0037] SC(single carrier) 송신 모드의 경우, L-CEF는 Gu512 시퀀스(다음의 연쇄된 골레이 시퀀스들(-Gb128, -Ga128, Gb128, -Ga128)로 구성됨) 및 그 뒤에 Gv512 시퀀스(다음의 연쇄된 골레이 시퀀스들(-Gb128, Ga128, -Gb128, -Ga128)로 구성됨)를 포함하고, Gv128(-Gb128와 동일함) 시퀀스로 끝난다.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송신 모드의 경우, L-CEF는 Gv512 시퀀스 및 그 뒤에 Gu512 시퀀스를 포함하고, Gv128 시퀀스로 끝난다. L-CEF는 수신기가, 데이터 프레임이 송신되는 채널의 주파수 응답 또는 전달 함수를 추정하는 것을 보조한다.
[0038] 802.11ad 데이터 프레임의 L-헤더는 프레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그러한 정보는 스크램블러 개시 필드를 포함하고, 이 스크램블러 개시 필드는, 데이터 백색화(whitening) 목적들을 위해 페이로드 데이터 및 헤더의 나머지에 적용되는 스크램블링을 위한 시드를 특정한다. L-헤더는 또한, 프레임의 데이터 페이로드 부분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12개의 정의된 변조 및 코딩 방식(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중에서 하나를 표시하기 위한 MCS 필드를 포함한다. L-헤더는 데이터 페이로드의 길이를 옥텟 단위로 표시하기 위한 길이 필드를 포함한다. L-헤더는 선택적인 빔 형성 트레이닝 시퀀스의 길이를 표시하기 위한 트레이닝 길이 필드를 프레임의 끝에 더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L-헤더는, 선택적인 빔 형성 필드가 송신에 관련되는지 또는 수신에 관련되는지를 표시하기 위한 패킷 타입 필드를 포함한다. 추가로, L-헤더는 헤더 비트들에 대한 CRC(cyclic redundancy code)(예컨대, CRC-32) 체크섬을 표시하기 위한 HCS(header checksum) 필드를 포함한다.
[0039]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레거시 사용자 디바이스(106)는 전체 802.11ad 데이터 프레임을 디코딩할 수 있다. 새로운 표준 또는 프로토콜, 이를테면, 현재 개발 중인 IEEE 802.11ay에 대해 후속하여 채택될 수 있는, 본원에서 개시된 새로운 프레임은 어떤 역호환성 특징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더욱 상세히 논의된 바와 같이, 새로운 프레임은 802.11ad의 프리앰블(L-STF 및 L-CEF) 및 L-헤더를 포함하지만, 제안된 새로운 프로토콜에 관련된 부가적인 부분들을 또한 포함한다. 그에 따라서, 레거시 사용자 디바이스(106)는 새로운 프레임의 L-STF, L-CEF, 및 L-헤더 필드들을 디코딩하도록 구성되지만, 새로운 프레임의 나머지 부분을 디코딩하도록 구성되지 않는다. 레거시 사용자 디바이스(106)는, 레거시 사용자 디바이스들과 새로운 프로토콜 디바이스들 양쪽 모두가 송신을 위해 동일한 채널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송신 충돌 방지 목적들을 위해 새로운 프레임의 길이를 결정하기 위한 NAV(network allocation vector)를 계산하기 위하여, 새로운 프레임의 L-헤더의 길이 필드 내의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다.
[0040] 새로운 프로토콜 사용자 디바이스(110)는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을 사용하여 액세스 포인트(102)와 통신할 수 있으며, 새로운 프레임의 일부 또는 모든 특징들은 현재 개발 중인 802.11ay 프로토콜에 대해 채택될 수 있다. 본원에서 추가로 논의된 바와 같이,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은 레거시 L-STF, L-CEF, 및 L-헤더 필드들을 포함한다. 레거시 필드들에 부가하여, 새로운 프레임은 EDMG(Extended Directional Multigigabit) 헤더를 더 포함한다. 본원에서 더욱 상세히 논의된 바와 같이, EDMG 헤더는 새로운 프레임에 대한 다양한 속성들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필드들을 포함한다. 그러한 속성들은 페이로드 데이터 길이, EDMG 헤더에 첨부된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데이터 블록들의 수, 공간 스트림들의 수, 본딩된 채널들의 수, 본딩된 채널들 중 가장 왼쪽(가장 낮은 주파수) 채널, 새로운 프레임의 데이터 페이로드에 대한 MCS(modulation coding scheme), 및 다른 정보를 포함한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EDMG 헤더에는 추가로, 새로운 프레임의 데이터 페이로드 부분에 있지 않은 페이로드 데이터가 첨부될 수 있다. 짧은 메시지들의 경우, 전체 페이로드 데이터가 EDMG 헤더에 첨부되어서; 프레임에 상당한 오버헤드를 부가하는, 새로운 프레임의 "별개의" 데이터 페이로드 부분을 송신할 필요가 방지될 수 있다.
[0041] 새로운 데이터 프레임은, 더 높은 데이터 변조 방식들, 채널 본딩, 및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안테나 구성들을 통한 개선된 공간 송신을 사용함으로써, 데이터 스루풋을 개선하기 위한 부가적인 특징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레거시 802.11ad 프로토콜은 BPSK, QPSK, 및 16QAM의 이용가능한 변조 방식들을 포함한다. 새로운 프로토콜에 따라, 더 높은 변조 방식들, 이를테면, 64QAM, 64APSK, 128APSK, 256QAM, 및 256APSK가 이용가능하다. 부가적으로, 데이터 스루풋을 증가시키기 위해 복수의 채널들이 본딩될 수 있다. 추가로, 그러한 본딩된 채널들은 MIMO 안테나 구성을 사용하여 복수의 공간 송신들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0042] 도 2는 액세스 포인트(210)(일반적으로, 제1 무선 노드) 및 사용자 디바이스(250)(일반적으로, 제2 무선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200)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예시한다. 액세스 포인트(210)는 다운링크를 위한 송신 엔티티 및 업링크를 위한 수신 엔티티이다. 사용자 디바이스(250)는 업링크를 위한 송신 엔티티 및 다운링크를 위한 수신 엔티티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송신 엔티티"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독립적으로 동작되는 장치 또는 디바이스이고, "수신 엔티티"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독립적으로 동작되는 장치 또는 디바이스이다.
[0043] 액세스 포인트(210)가 대안적으로 사용자 디바이스일 수 있고, 사용자 디바이스(250)가 대안적으로 액세스 포인트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0044]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액세스 포인트(210)는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220), 프레임 빌더(222), 송신 프로세서(224), 복수의 트랜시버들(226-1 내지 226-N), 및 복수의 안테나들(230-1 내지 230-N)을 포함한다. 액세스 포인트(210)는 또한, 액세스 포인트(210)의 동작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234)를 포함한다.
[0045] 동작 중에,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220)는 데이터 소스(215)로부터 데이터(예컨대, 데이터 비트들)를 수신하고, 송신을 위해 데이터를 프로세싱한다. 예컨대,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220)는 데이터(예컨대, 데이터 비트들)를 인코딩된 데이터로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데이터를 데이터 심볼들로 변조할 수 있다.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220)는 상이한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들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220)는 복수의 상이한 코딩 레이트들 중 임의의 하나로 (예컨대, LDPC(low-density parity check) 인코딩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인코딩할 수 있다. 또한,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220)는, BPSK, QPSK, 16QAM, 64QAM, 64APSK, 128APSK, 256QAM, 및 256APSK(그러나, 이들에 제한되지 않음)를 포함하는 복수의 상이한 변조 방식들 중 임의의 하나를 사용하여, 인코딩된 데이터를 변조할 수 있다.
[0046] 소정의 양상들에서, 제어기(234)는 (예컨대, 다운링크의 채널 조건들에 기반하여) 어느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를 사용할지를 특정하는 커맨드를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22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220)는 특정된 MCS에 따라 데이터 소스(215)로부터의 데이터를 인코딩 및 변조할 수 있다.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220)가 데이터에 대한 부가적인 프로세싱, 이를테면, 데이터 스크램블링 및/또는 다른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220)는 데이터 심볼들을 프레임 빌더(222)에 출력한다.
[0047] 프레임 빌더(222)는 프레임(패킷으로 또한 지칭됨)을 구성하고, 데이터 심볼들을 프레임의 페이로드 데이터에 삽입한다. 프레임은 레거시 프리앰블(예컨대, L-STF 및 L-CEF), 레거시 L-헤더, EDMG 헤더, 새로운 프로토콜 프리앰블(예컨대, EDMG STF-A, EDMG STF-B, 및 EDMG STF-CEF), 데이터 페이로드, 및 선택적인 빔 트레이닝 시퀀스(TRN; training sequence)를 포함할 수 있다. 레거시 프리앰블은, 사용자 디바이스(250)가 프레임을 수신하는 것을 보조하기 위해, L-STF(legacy short training field) 시퀀스 및 L-CEF(legacy channel estimation field)를 포함할 수 있다. L-헤더 및 EDMG 헤더는 페이로드 내의 데이터에 관련된 정보, 이를테면, 데이터의 길이, 그리고 데이터를 인코딩 및 변조하기 위해 사용된 MCS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정보는 사용자 디바이스(250)가 데이터를 복조 및 디코딩할 수 있게 한다. 새로운 프로토콜 프리앰블 필드들인 EDMG STF-A, EDMG STF-B, 및 EDMG CEF는 수신기가, 자신의 프론트 엔드의 AGC(automatic gain control), 샘플들을 FFT(Fast Fourier Transform)에 입력하기 위한 타이밍 윈도우를 셋업하는 것, 그리고 프레임이 수신되게 하는 채널의 주파수 응답을 추정하는 것을 보조한다. 페이로드 내의 데이터는 복수의 블록들 사이에서 분할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블록은, 위상 추적을 이용하는 수신기를 보조하기 위한 보호 인터벌(GI; guard interval) 및 데이터의 일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빌더(222)는 프레임을 송신 프로세서(224)에 출력한다.
[0048] 송신 프로세서(224)는 다운링크 상에서의 송신을 위해 프레임을 프로세싱한다. 예컨대, 송신 프로세서(224)는 상이한 송신 모드들, 이를테면, OFDM(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송신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제어기(234)는 어느 송신 모드를 사용할지를 특정하는 커맨드를 송신 프로세서(224)에 전송할 수 있으며, 송신 프로세서(224)는 특정된 송신 모드에 따라 송신을 위해 프레임을 프로세싱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224)는, 다운링크 신호의 주파수 구성성분이 소정의 스펙트럼 요건들을 충족시키도록, 스펙트럼 마스크를 프레임에 적용할 수 있다.
[0049] 소정의 양상들에서, 송신 프로세서(224)는 MIMO(multiple-input-multiple-output) 송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들 양상들에서, 액세스 포인트(210)는 다수의 안테나들(230-1 내지 230-N) 및 다수의 트랜시버들(226-1 내지 226-N)(예컨대, 각각의 안테나에 대해 하나씩)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224)는 들어오는 프레임들에 대한 공간 프로세싱을 수행하고, 복수의 송신 스트림들을 복수의 안테나들에 제공할 수 있다. 트랜시버들(226-1 내지 226-N)은 개개의 송신 프레임 스트림들을 수신 및 프로세싱(예컨대, 아날로그로 변환, 증폭, 필터링, 및 주파수 상향변환)하여, 각각 안테나들(230-1 내지 230-N)을 통한 송신을 위한, 별도의 공간적으로 다양한 송신 신호들을 생성한다.
[0050]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자 디바이스(250)는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260), 프레임 빌더(262), 송신 프로세서(264), 복수의 트랜시버들(266-1 내지 266-M), 및 복수의 안테나들(270-1 내지 270-M)(예컨대, 트랜시버당 하나의 안테나)을 포함한다. 사용자 디바이스(250)는 업링크 상에서 액세스 포인트(210)에 데이터를 송신하며, 그리고/또는 (예컨대, 피어-투-피어 통신의 경우)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250)는 또한, 사용자 디바이스(250)의 동작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274)를 포함한다.
[0051] 동작 중에,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260)는 데이터 소스(255)로부터 데이터(예컨대, 데이터 비트들)를 수신하고, 송신을 위해 데이터를 프로세싱(예컨대, 인코딩 및 변조)한다.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260)는 상이한 MCS들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260)는, 복수의 상이한 코딩 레이트들 중 임의의 하나로 (예컨대, LDPC 인코딩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인코딩하며, BPSK, QPSK, 16QAM, 64QAM, 64APSK, 128APSK, 256QAM, 및 256APSK(그러나, 이들에 제한되지 않음)를 포함하는 복수의 상이한 변조 방식들 중 임의의 하나를 사용하여, 인코딩된 데이터를 변조할 수 있다. 소정의 양상들에서, 제어기(274)는 (예컨대, 업링크의 채널 조건들에 기반하여) 어느 MCS를 사용할지를 특정하는 커맨드를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26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260)는 특정된 MCS에 따라 데이터 소스(255)로부터의 데이터를 인코딩 및 변조할 수 있다.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260)가 데이터에 대한 부가적인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260)는 데이터 심볼들을 프레임 빌더(262)에 출력한다.
[0052] 프레임 빌더(262)는 프레임을 구성하고, 수신된 데이터 심볼들을 프레임의 페이로드 데이터에 삽입한다. 프레임은 레거시 프리앰블(L-STF 및 L-CEF), 레거시 L-헤더, EDMG 헤더, 새로운 프로토콜 프리앰블(EDMG STF-A, EDMG STF-B, 및 EDMG CEF), 데이터 페이로드, 및 선택적인 빔 트레이닝 시퀀스(TRN)를 포함할 수 있다. 레거시 및 새로운 프로토콜 프리앰블은 액세스 포인트(210) 및/또는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가 프레임을 수신하는 것을 보조한다. L-헤더 및 EDMG 헤더는 페이로드 내의 데이터에 관련된 정보, 이를테면, 데이터의 길이, 그리고 데이터를 인코딩 및 변조하기 위해 사용된 MCS를 포함할 수 있다. 페이로드 내의 데이터는 복수의 블록들 사이에서 분할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블록은, 위상 추적을 이용하는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 및/또는 액세스 포인트를 보조하는 GI(guard interval) 및 데이터의 일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빌더(262)는 프레임을 송신 프로세서(264)에 출력한다.
[0053] 송신 프로세서(264)는 송신을 위해 프레임을 프로세싱한다. 예컨대, 송신 프로세서(264)는 상이한 송신 모드들, 이를테면, OFDM 송신 모드 및 WB SC 송신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제어기(274)는 어느 송신 모드를 사용할지를 특정하는 커맨드를 송신 프로세서(264)에 전송할 수 있으며, 송신 프로세서(264)는 특정된 송신 모드에 따라 송신을 위해 프레임을 프로세싱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264)는, 업링크 신호의 주파수 구성성분이 소정의 스펙트럼 요건들을 충족시키도록, 스펙트럼 마스크를 프레임에 적용할 수 있다.
[0054] 트랜시버들(266-1 내지 266-M)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안테나들(270-1 내지 270-M)을 통한 송신을 위해, 송신 프로세서(264)의 출력을 수신 및 프로세싱(예컨대, 아날로그로 변환, 증폭, 필터링, 및 주파수 상향변환)한다. 예컨대, 트랜시버(266-1 내지 266-M)는 송신 프로세서(264)의 출력을, 60 GHz 범위의 주파수를 갖는 송신 신호로 상향변환할 수 있다.
[0055] 소정의 양상들에서, 송신 프로세서(264)는 MIMO(multiple-input-multiple-output) 송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들 양상들에서, 사용자 디바이스(250)는 다수의 안테나들(270-1 내지 270-M) 및 다수의 트랜시버들(266-1 내지 266-M)(예컨대, 각각의 안테나에 대해 하나씩)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 프로세서(264)는 들어오는 프레임에 대한 공간 프로세싱을 수행하고, 복수의 송신 프레임 스트림들을 복수의 안테나들(270-1 내지 270-M)에 제공할 수 있다. 트랜시버들(266-1 내지 266-M)은 개개의 송신 프레임 스트림들을 수신 및 프로세싱(예컨대, 아날로그로 변환, 증폭, 필터링, 및 주파수 상향변환)하여, 안테나들(270-1 내지 270-M)을 통한 송신을 위한, 별도의 공간적으로 다양한 송신 신호들을 생성한다.
[0056]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액세스 포인트(210)는 수신 프로세서(242) 및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244)를 포함한다. 동작 중에, 트랜시버들(226-1 내지 226-N)은 (예컨대, 사용자 디바이스(25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공간적으로 프로세싱(예컨대, 주파수 하향변환, 증폭, 필터링, 및 디지털로 변환)한다.
[0057] 수신 프로세서(242)는 트랜시버들(226-1 내지 226-N)의 출력들을 수신하고, 데이터 심볼들을 복구하기 위해 이 출력들을 프로세싱한다. 예컨대, 액세스 포인트(210)는 (예컨대, 사용자 디바이스(250)로부터의) 데이터를 프레임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수신 프로세서(242)는 프레임의 프리앰블 내의 레거시 L-STF 시퀀스를 사용하여 프레임의 시작을 검출할 수 있다. 수신기 프로세서(242)는 또한, AGC(automatic gain control) 조정을 위해 L-STF 및/또는 EDMG STF-A를 사용할 수 있다. 수신기 프로세서(242)는 또한, 프로세싱을 위해, 수신된 신호의 샘플들을 FFT에 입력하기 위한 적절한 시간 윈도우를 세팅 및 유지하기 위해 EDMG STF-B를 사용할 수 있다. 수신 프로세서(242)는 또한, (예컨대, 프레임의 레거시 L-CEF 및/또는 새로운 프로토콜 EDMG CEF 필드들을 사용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하고, 채널 추정에 기반하여, 수신된 신호에 대한 채널 등화를 수행할 수 있다.
[0058] 추가로, 수신기 프로세서(242)는 페이로드 내의 GI(guard interval)들을 사용하여 위상 잡음을 추정하고, 추정된 위상 잡음에 기반하여, 수신된 신호의 위상 잡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위상 잡음은 주파수 변환을 위해 사용되는, 액세스 포인트(210)의 로컬 오실레이터로부터의 잡음 및/또는 사용자 디바이스(250)의 로컬 오실레이터로부터의 잡음에 기인할 수 있다. 위상 잡음은 또한, 채널로부터의 잡음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프로세서(242)는 또한, 프레임의 헤더로부터 정보(예컨대, MCS 방식)를 복구하고, 이 정보를 제어기(234)에 전송할 수 있다. 채널 등화 및/또는 위상 잡음 감소를 수행한 후에, 수신 프로세서(242)는 프레임으로부터 데이터 심볼들을 복구하고, 추가적인 프로세싱을 위해, 복구된 데이터 심볼들을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244)에 출력할 수 있다.
[0059]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244)는 수신 프로세서(242)로부터의 데이터 심볼들, 및 제어기(234)로부터의 대응하는 MCS 방식의 표시를 수신한다.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244)는 표시된 MCS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복구하기 위해 데이터 심볼들을 복조 및 디코딩하고, 저장 및/또는 추가적인 프로세싱을 위해, 복구된 데이터(예컨대, 데이터 비트들)를 데이터 싱크(246)에 출력한다.
[0060]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사용자 디바이스(250)는 OFDM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 프로세서(242)는 OFDM 송신 모드에 따라 수신 신호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송신 프로세서(264)는 MIMO(multiple-input-multiple-output) 송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 액세스 포인트(210)는 다수의 안테나들(230-1 내지 230-N) 및 다수의 트랜시버들(226-1 내지 226-N)(예컨대, 각각의 안테나에 대해 하나씩)을 포함한다. 각각의 트랜시버는 개개의 안테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프로세싱(예컨대, 주파수 하향변환, 증폭, 필터링, 주파수 상향변환)한다. 수신 프로세서(242)는 데이터 심볼들을 복구하기 위해 트랜시버들(226-1 내지 226-N)의 출력들에 대한 공간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0061]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자 디바이스(250)는 수신 프로세서(282) 및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284)를 포함한다. 동작 중에, 트랜시버들(266-1 내지 266-M)은 (예컨대, 액세스 포인트(210) 또는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개개의 안테나들(270-1 내지 270-M)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프로세싱(예컨대, 주파수 하향변환, 증폭, 필터링, 및 디지털로 변환)한다.
[0062] 수신 프로세서(282)는 트랜시버들(266-1 내지 266-M)의 출력들을 수신하고, 데이터 심볼들을 복구하기 위해 이 출력들을 프로세싱한다. 예컨대,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사용자 디바이스(250)는 (예컨대, 액세스 포인트(210) 또는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를 프레임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수신 프로세서(282)는 프레임의 프리앰블 내의 레거시 L-STF 시퀀스를 사용하여 프레임의 시작을 검출할 수 있다. 수신 프로세서(282)는 레거시 L-STF 및/또는 EDMG STF-A를 사용하여 AGC(automatic gain control)를 수행할 수 있다. 수신기 프로세서(282)는 또한, 프로세싱을 위해, 수신된 신호의 샘플들을 FFT에 입력하기 위한 적절한 시간 윈도우를 세팅 및 유지하기 위해 EDMG STF-B를 사용할 수 있다. 수신 프로세서(282)는 또한, (예컨대, 프레임의 레거시 L-CEF 및/또는 새로운 프로토콜 EDMG CEF를 사용하여) 채널 추정을 수행하고, 채널 추정에 기반하여, 수신된 신호에 대한 채널 등화를 수행할 수 있다.
[0063] 추가로, 수신 프로세서(282)는 페이로드 내의 GI(guard interval)들을 사용하여 위상 잡음을 추정하고, 추정된 위상 잡음에 기반하여, 수신된 신호의 위상 잡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수신 프로세서(282)는 또한, 프레임의 헤더로부터 정보(예컨대, MCS 방식)를 복구하고, 이 정보를 제어기(274)에 전송할 수 있다. 채널 등화 및/또는 위상 잡음 감소를 수행한 후에, 수신 프로세서(282)는 프레임으로부터 데이터 심볼들을 복구하고, 추가적인 프로세싱을 위해, 복구된 데이터 심볼들을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284)에 출력할 수 있다.
[0064]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284)는 수신 프로세서(282)로부터의 데이터 심볼들, 및 제어기(274)로부터의 대응하는 MCS 방식의 표시를 수신한다.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284)는 표시된 MCS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복구하기 위해 데이터 심볼들을 복조 및 디코딩하고, 저장 및/또는 추가적인 프로세싱을 위해, 복구된 데이터(예컨대, 데이터 비트들)를 데이터 싱크(286)에 출력한다.
[0065]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210) 또는 다른 사용자 디바이스는 OFDM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 프로세서(282)는 OFDM 송신 모드에 따라 수신 신호를 프로세싱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송신 프로세서(224)는 MIMO(multiple-input-multiple-output) 송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디바이스(250)는 다수의 안테나들 및 다수의 트랜시버들(예컨대, 각각의 안테나에 대해 하나씩)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트랜시버는 개개의 안테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프로세싱(예컨대, 주파수 하향변환, 증폭, 필터링, 주파수 상향변환)한다. 수신 프로세서(282)는 데이터 심볼들을 복구하기 위해 트랜시버들의 출력들에 대한 공간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0066]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210)는 또한, 제어기(234)에 커플링된 메모리(236)를 포함한다. 메모리(236)는, 제어기(234)에 의해 실행될 때 제어기(234)로 하여금 본원에서 설명된 동작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저장할 수 있다. 유사하게, 사용자 디바이스(250)는 또한, 제어기(274)에 커플링된 메모리(276)를 포함한다. 메모리(276)는, 제어기(274)에 의해 실행될 때 제어기(274)로 하여금 본원에서 설명된 동작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저장할 수 있다.
향상된 프레임들에 공통된 프레임 포맷
[0067] 도 3a는 본 개시내용의 소정의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프레임 또는 프레임 부분(300)의 다이어그램을 예시한다.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원에서 설명된 프레임 포맷들 전부는 레거시(예컨대, 802.11ad) 필드들: L-STF, L-CEF, 및 L-헤더로 시작한다. 이들 필드들은 레거시 사용자 디바이스들 및 새로운 프로토콜 디바이스들(예컨대, 액세스 포인트들 및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의해 디코딩가능할 수 있다. 레거시 필드들 후에, 송신은, 새로운 프로토콜(예컨대, "NG60"으로서 또한 알려진, 현재 개발되고 있는 802.11ay 프로토콜)의 일부일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양한 필드들을 포함한다. 프레임 또는 프레임 부분(300)의 새로운 프로토콜 옵션들은 선택적인 첨부된 페이로드 데이터를 갖는 EDMG(Extended Directional Multigigabit) 헤더로 시작한다. 레거시 디바이스들은 EDMG 헤더를 디코딩하지 못할 수 있지만, 새로운 프로토콜 디바이스들은 EDMG 헤더를 디코딩할 수 있다.
[0068] 다이어그램에 따라, x-축 또는 수평 축은 시간을 표현하고, y-축 또는 수직 축은 주파수를 표현한다. 레거시(예컨대, 802.11ad) 프로토콜 역호환성 목적들을 위해, 프레임(300)의 레거시 L-STF는 1.16 마이크로세컨드(㎲)의 지속기간을 가질 수 있고, 레거시 L-CEF 부분은 0.73㎲의 지속기간을 가질 수 있으며, 레거시 L-헤더 부분은 0.58㎲의 지속기간을 가질 수 있다. EDMG 헤더는 0.29㎲ 또는 그 초과의 지속기간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300)이 전체 프레임(프레임 부분이 아님)일 경우, 프레임(300)은 단일 주파수 레거시 채널을 통해 송신되며, EDMG 헤더에 첨부된 페이로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은 짧은 메시지들에 대해 유용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송신을 위해 오버헤드를 소비할 수 있는, 새로운 프레임 포맷에 따른 별개의 페이로드 데이터에 대한 어떤 필요도 없기 때문이다.
[0069] 레거시 L-헤더는 다양한 파라미터들을 특정하며,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스테이션들(레거시 디바이스들, 새로운 프로토콜 디바이스들, 및 액세스 포인트들)에 의해 디코딩될 수 있다. 이들 스테이션들은, 그들이 메시지를 수신하려고 대기하고 있을 때 또는 송신 전에 청취한다. 레거시 L-헤더는 데이터 송신에서 사용된 MCS(modulation coding scheme), 그리고 송신되는 데이터의 양을 특정한다. 스테이션들은, NAV(network allocation vector)를 업데이트하기 위해, 이들 2개의 값들을 사용하여, 본원에서 설명된 새로운 프레임들 중 임의의 프레임의 전체 지속기간 길이(예컨대, L-STF, L-CES, L-헤더, EDMG 헤더, EDMG STF-A(포함된 경우), EDMG STF-B(포함된 경우), EDMG CEF(포함된 경우), 및 페이로드 데이터(포함된 경우)를 포함하지만, TRN 필드를 제외함)를 컴퓨팅한다. 이는 스테이션들이, 매체가 다른 디바이스(예컨대, 액세스 포인트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될 것임을, 그들이 데이터 자체를 디코딩할 수 없더라도 또는 그들이 메시지의 의도된 수신기가 아닐지라도 알 수 있게 하는 메커니즘이다. NAV의 사용은 송신된 신호 충돌들을 방지하기 위한 메커니즘들 중 하나이다.
[0070] 레거시 802.11ad 프레임 포맷에서, 데이터는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블록들 ―여기서, 사이즈는 코드 레이트에 따름― 에 배치되고, 그런 다음, 고정 길이 블록들(예컨대, 672 비트)로 인코딩된다. 결과는 연쇄되며, 그런 다음, 선택된 MCS(주로, 변조)에 따라 FFT(Fast Fourier Transform) 블록들(변조 심볼들의 블록들)로 분할된다. 수신기에서, 프로세스는 반전된다. 낮은 데이터 MCS들에서, 하나의 LDPC 블록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FFT 블록들을 요구할 것인 반면에, 높은 데이터 MCS들에서, 하나의 FFT 블록은 하나 초과의 LDPC 블록들을 호스팅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이 논의는, 본원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EDMG 헤더에 첨부된 LDPC 데이터의 배치에 관련 있다.
[0071] 도 3b는 본 개시내용의 소정의 양상들에 따른, 프레임 또는 프레임 부분(300)의 예시적인 EDMG 헤더(350)를 예시한다. EDMG 헤더는, 송신 프레임을 수신 및 디코딩할 수 있기 위해 수신기에 의해 사용되는 송신 프레임 파라미터들(MCS, 데이터 길이, 모드들 등)을 특정한다. 다른 스테이션들(목적지 스테이션이 아님)이 EDMG 헤더를 복조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EDMG 헤더 및 첨부된 데이터는 목적지 스테이션에 적절한 높은 MCS로 송신될 수 있다.
[0072] EDMG 헤더(350)는 다음을 포함한다: (1) 페이로드 데이터가 EDMG 헤더에 첨부되는지 또는 별개의 페이로드 데이터 부분에 있는지에 관계없이, 모든 동시 채널들에서 옥텟 단위로 페이로드 데이터의 길이를 특정하기 위한 24 비트를 포함할 수 있는 페이로드 데이터 길이 필드; (2) EDMG 헤더에 첨부된 LDPC 데이터 블록들의 수를 특정하기 위한 10 비트를 포함할 수 있는, LDPC 블록들의 EDMG 헤더 수 필드. 이 값이 제로(0)일 때, 이러한 제로(0)는, EDMG 헤더 내에 데이터의 1개의 LDPC 블록이 있음을 의미한다; (3) 송신되고 있는 공간 스트림들의 수(예컨대, 1개 내지 16개)를 표현하기 위한 4 비트를 포함할 수 있는 공간 스트림들 필드; (4) 본딩된 채널들(예컨대, 1개 내지 8개의 802.11ad 주파수 채널들(뿐만 아니라 802.11ad에서 이용가능하지 않은 부가적인 채널들))의 수를 특정하기 위한 3 비트를 포함할 수 있는 채널들 필드; 및 (5) 본딩된 채널들 중 제1 채널의 오프셋을 특정하기 위한 3 비트를 포함할 수 있는 채널 오프셋 필드. 다시 말해서, 채널 오프셋은 본딩된 채널들 사이에서 가장 낮은 주파수 채널을 식별한다. 이 값은, 제1 채널이 모든 이용가능한 채널들 사이에서 가장 낮은 주파수 채널일 때, 또는 단 1개의 채널이 사용될 때(즉, 채널 본딩 없음), 제로(0)로 세팅된다.
[0073] EDMG 헤더(350)는 다음을 더 포함한다: (6) 프레임의 페이로드 데이터 부분에서 사용된 MCS를 특정하기 위한 6 비트를 포함할 수 있는 11ay MCS 필드. EDMG 헤더에 첨부된 데이터가 레거시 802.11ad MCS만을 사용한다는 것(그리고 새로운 프로토콜에 따라서만 이용가능한 더 높은 MCS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에 주목하라. 새로운 프로토콜 MCS는 802.11ad에서 이용가능한 것들을 넘어서는 더 높은 스루풋 변조 방식들, 이를테면, 64QAM, 64APSK, 256QAM, 및 256 APSK를 포함할 수 있다; (7) 쇼트(short) 또는 롱(long) GI(Guard Interval)를 표시하기 위한 1 비트를 포함할 수 있는 GI 모드 필드. (8) 쇼트 또는 롱 FFT 블록을 표시하기 위한 1 비트를 포함할 수 있는 FFT 모드 필드. (9) 쇼트 또는 롱 LDPC 블록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1 비트를 포함할 수 있는 LDPC 모드 필드. 그리고 (10) 세팅될 때, MIMO에 대한 롱 채널 추정 시퀀스의 사용을 표시하는 1 비트를 포함할 수 있는 롱 CEF 필드; 공간 스트림들의 수가 1일 경우, 이 비트는 예비된다.
[0074] EDMG 헤더(350)는 다음을 더 포함한다: (11) 이번에는 예비되는 26 비트를 포함할 수 있는, 예비 비트들. 송신기들은 이번에는 0으로 예비 비트들을 세팅해야 한다. 미래에, 이들 비트들은 다양한 필요들에 배정될 수 있다; (12) 벤더에 의해 사용될 수 있고 상호운용성을 요구하지 않는 여분의 8 비트를 포함할 수 있는 사유 비트들. 이들 비트들이 무엇인지 수신기들이 알 때까지, 수신기들은 이들 비트들을 폐기해야 한다; 그리고 (13) EDMG 헤더에 서명(sign)하기 위한 16 비트를 포함할 수 있는 CRC 필드. 이 필드는, 수신된 EDMG 헤더의 정확도를 검증하기 위해 수신기에 의해 사용되어야 한다. CRC를 컴퓨팅하기 위해, 모든 비트들(CRC 제외)이 사용될 것이다.
[0075] EDMG 헤더(350)는, 정확하게 동일한 콘텐츠를 갖는, 동시에 송신된 각각의 채널 상에서 전송될 수 있다. 이 중복은, 정확한 검출 확률을 증가시키기 위해 수신기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수신기는 상이한 알고리즘들을 사용할 수 있다: 옵션1: 수신기는 단 1개의 채널만을 디코딩한다(간단하지만, 가장 낮은 성능); 옵션2: 수신기는 그때에 단 1개의 채널만을 디코딩한다. CRC가 통과되면, 부가적인 채널(들)에 대한 CRC 프로세싱을 중단하고, CRC가 통과되지 않으면, 부가적인 채널(들)에 대한 CRC 프로세싱을 시도한다. 옵션 2는 옵션 1보다 성능이 더 양호하지만, 직렬 프로세싱을 요구한다; 그리고 옵션3: 수신기는 모든 채널들을 디코딩하고, 정정된 CRC를 갖는 채널을 선택한다. 옵션 3은 옵션 2와 동일한 성능을 갖지만, 더 빠르다.
단일-채널 OFDM의 경우 프레임 포맷
[0076]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소정의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단일-채널 OFDM 프레임(400)을 예시한다. OFDM 프레임(400)은, 역호환되기 위하여 프리픽스로서 레거시 802.11ad 프리앰블(L-STF 및 L-CEF) 그리고 L-헤더를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프레임의 레거시 부분인 L-STF, L-CEF, 및 L-헤더는 레거시 802.11ad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디바이스들, 뿐만 아니라 현재 개발 중인 802.11ay 프로토콜일 수 있는 새로운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디바이스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다. EDMG 헤더, EDMG STF-A, EDMG STF-B, EDMG CEF, 및 데이터 페이로드는 새로운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디바이스들에 의해서는 디코딩가능하지만, 레거시 802.11ad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디바이스들에 의해서는 디코딩가능하지 않다.
[0077] 단일-채널 OFDM 프레임(400)의 경우, EDMG STF-A는, 프레임의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를, 자신의 프론트 엔드 컴포넌트들(예컨대, 각각, PA(power amplifier) 및 LNA(low noise amplifier))의 AGC(automatic gain control) 시 보조하도록 구성된다. EDMG STF-A가 레거시 L-STF와 동일한 주파수 채널을 통해 송신되므로, EDMG STF-A는 선택적일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가 레거시 L-STF를 사용하여 AGC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EDMG STF-B는, 프로세싱을 위해, 수신기가 수신된 신호의 샘플들을 FFT에 입력하기 위한 적절한 시간 윈도우를 셋업 및 유지하는 것을 보조하도록 구성된다. 유사하게, EDMG STF-B가 레거시 L-STF와 동일한 주파수 채널을 통해 송신되므로, EDMG STF-B는 선택적일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수신기가 레거시 L-STF를 사용하여, 전술된 타이밍 동작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EDMG CEF는, 수신기가 프레임(400)이 수신되는 채널의 임펄스 응답을 추정하며, 채널 추정에 기반하여, 수신된 신호에 대한 등화를 수행하는 것을 보조하도록 구성된다. 유사하게, EDMG CEF가 레거시 L-CEF와 동일한 주파수 채널을 통해 송신되므로, EDMG CEF는 선택적일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수신기가 레거시 L-CEF를 사용하여, 전술된 채널 추정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0078] 단일 채널이 336개의 데이터 서브캐리어들의 802.11ad 세트를 유지할 수 있다. 채널 간격(spacing)은 420개의 서브캐리어들로 세팅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채널 간격은 418개의 서브캐리어들로 세팅될 수 있다.
EDMG STF-A
[0079]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EDMG STF-A는, 송신기의 프론트 엔드(예컨대, PA(power amplifier))의 AGC(automatic gain control)를 수행하기 위해 송신기에 의해 사용되며, 수신기의 프론트 엔드(예컨대, LNA(low noise amplifier))에서 AGC를 수행하기 위해 수신기에 의해 사용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양상에 따라, EDMG STF-A는, 대응하는 프레임의 OFDM 송신의 서브캐리어들을 통해 송신되는 주파수-도메인 PRBS(pseudorandom binary sequence) 데이터로서 구성된다.
[0080]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EDMG STF-A를 구성하는 목적은, (예컨대,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의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를 취한 후의) 대응하는 OFDM 송신이, 데이터 페이로드의 OFDM 송신의 PAPR(peak-to-average-power-ratio)을 더 많이 표현하는 PAPR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송신기에서 AGC를 수행하기 위해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은, 페이로드 데이터를 송신할 때 바람직한 선형 구역에서 동작하도록 PA(power amplifier)의 구성을 용이하게 한다. 이는, 송신기에서의 전력 효율 및 수신기에서의 페이로드 데이터의 신호 품질을 개선시킨다. 유사하게, 수신기에서 AGC를 수행하기 위해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은, LNA(low noise amplifier)에 의해 수신 신호의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해 바람직한 선형 구역에서 동작하도록 LNA의 구성을 용이하게 한다.
[0081] 파일럿들, 이를테면, 골레이 시퀀스들이 특히, 낮은 PAPR을 갖도록 구성되며; 그에 따라, 페이로드 데이터의 PAPR의 우수한 표본(representative)이 아니다. 그에 따라서, 파일럿들에 기반하여 AGC를 수행하는 것은, 송신기 전력 증폭기 및 수신기 LNA가 너무 높은 이득으로 세팅되도록 야기할 수 있다. 그 결과, 전력 증폭기 및/또는 LNA가 데이터를 증폭하고 있을 때, 그들이 바람직하지 않은 비-선형 구역에서 동작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이는 왜곡된 송신 및 수신 신호를 야기할 수 있다.
[0082] EDMG STF-A의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는 OFDM 송신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OFDM 심볼 인터벌들에 대해 넌-제로 서브캐리어들을 통해 병렬로 송신될 수 있다. EDMG STF-A의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는 MIMO 송신들을 위해 공간 Q-행렬을 사용하여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되며, 감소된 PAPR을 위해 회전
Figure pct00001
-행렬을 통해 프리-코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CP(cyclic prefix)가 대응하는 시간-도메인 (IFFT) 심볼들 및 윈도우잉(windowing)에 적용되어, 심볼들 간의 전환들이 평활화(smooth)될 수 있다.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는, 16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또는 다른 타입의 변조를 사용하여 변조될 수 있다.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는 수신기에 의해 선험적으로 알려져 있다.
[0083] MIMO 송신의 경우, 제1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에 관련된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는, 대응하는 프레임의 송신 및 수신 동안 의도치 않은 빔형성의 가능성을 방지하거나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제2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에서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송신되는 다른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와 낮은 교차-상관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들 둘 모두에서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의 송신들을 서로에 대해 시간 오프세팅(즉, 순환 지연 또는 시프트)할 필요를 제거한다. 순환 지연 또는 시프트는 바람직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이러한 순환 지연 또는 시프트가 채널과 연관된 지연 확산을 고려하기에는 충분히 길지 않을 수 있으며, 이것이 수신기에서 다중-경로 신호들을 디코딩할 때 오류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0084]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는 특정 원시 다항식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되는 특정 원시 다항식은, 본딩된 채널들의 수 및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들의 수에 기반할 수 있다. 예컨대, 다음은, 단일 채널(CB=1) 그리고 다양한 채널 본딩 구성들(CB=2(2개의 채널들이 본딩됨), CB=3(3개의 채널들이 본딩됨), 그리고 CB=4(4개의 채널들이 본딩됨))에 대해 사용될 수 있는 특정 원시 다항식들의 예들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2
이들 특정 원시 다항식들이 단지 예들이며, 다른 것들이 다양한 채널 본딩 구성들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0085]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소정의 양상들에 따른, 다양한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들 및 채널 본딩 구성들을 위한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원시 다항식들에 대한 예시적인 시드들의 표를 예시한다. 가장 왼쪽 열은 제로(0) 내지 11의 송신 체인 인덱스를 표현하며, 여기서, 인덱스 제로(0)는 단일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을 표현하고, 인덱스 11은 12개의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들을 표현한다. 송신 체인 인덱스 열의 오른쪽으로, 채널 본딩 구성들 CB=1, CB=2, CB=3, 및 CB=4를 표현하는 4개의 열들이 있다.
[0086] 특정 송신 체인 인덱스 및 특정 채널 본딩 구성에 대응하는, 표 내의 각각의 엔트리가 특정 원시 다항식에 대한 특정 시드를 표현한다. 예컨대, 송신 체인 인덱스 0 및 채널 본딩 CB=1의 경우, 원시 다항식
Figure pct00003
에 대한 시드는 3이다. 다른 예에 대하여, 송신 체인 인덱스 4 및 채널 본딩 CB=2의 경우, 원시 다항식
Figure pct00004
에 대한 시드는 51이다. 또 다른 예에 대하여, 송신 체인 인덱스 8 및 채널 본딩 CB=3의 경우, 원시 다항식
Figure pct00005
에 대한 시드는 230이다. 그리고, 또 다른 예에 대하여, 송신 체인 인덱스 11 및 채널 본딩 CB=4의 경우, 원시 다항식
Figure pct00006
에 대한 시드는 657이다. 채널 본딩 구성 CB=3에 대한 특정 원시 다항식이 채널 본딩 구성 CB=4에 대한 것과 동일하다는 것에 주목하라. 그에 따라서, CB=3 구성 및 CB=4 구성에 대한 각각의 행의 시드들은 상이해야 한다. 도 11의 표 내의 특정 시드들이 단지 예들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EDMG STF-B
[0087] EDMG STF-B는, 수신된 신호의 대응하는 주파수-도메인 샘플들을 생성하기 위해 병렬로 프로세싱하기 위해 FFT(Fast Fourier Transform)에 입력하기 위한, 수신된 신호의 샘플들의 윈도우의 선택을 위한 타이밍 제어 시, 수신기를 보조하도록 구성된다. EDMG STF-B는, 단일-채널 송신마다 실질적으로 1개의 OFDM 심볼 인터벌의 길이를 갖는 시간-도메인 시퀀스로서 구성된다. 예로서, 시간-도메인 시퀀스는 골레이 시퀀스로서 구성될 수 있다. 시간-도메인 시퀀스는 수신기에 의해 선험적으로 알려져 있다. 시간-도메인 시퀀스는 수신기가 시퀀스의 시작 및 시퀀스의 끝을 결정할 수 있게 한다. 시간-도메인 시퀀스의 길이가 1개의 OFDM 심볼 인터벌이 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수신기는, 시간-도메인 시퀀스 인터벌 후의 모든 각각의 OFDM 심볼 인터벌에 대해, 다음의 FFT 시간 윈도우들을 정확하게 세팅할 수 있다.
[0088] MIMO 애플리케이션들의 경우, 한 쌍의 직교 시간-도메인 시퀀스들은, 각각,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들의 각각의 쌍에서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송신된다. 이는, 한 쌍의 데이터 서브프레임들이 병렬로 FFT 프로세싱을 겪도록, 한 쌍의 수신된 OFDM 데이터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대응하는 FFT 입력 샘플 윈도우들을 세팅하기 위해, 수신기가 시간-도메인 시퀀스들을 분리할 수 있게 한다. 직교 시간-도메인 시퀀스들 각각이 상이한 CIR(channel input response)을 겪기 때문에, 대응하는 FFT 샘플 윈도우를 세팅할 때 수신기에 의해 각각의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의 CIR이 고려된다.
[0089] 본원에서 추가로 더욱 상세히 논의될 바와 같이, 3개의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는 프레임의 경우,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들 중 2개에 대한 한 쌍의 직교 시간-도메인 시퀀스들이 1개의 OFDM 심볼 인터벌에서 전송되고, 단일 시간-도메인 시퀀스가 다른 OFDM 심볼 인터벌에서 전송된다. 4개의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들의 경우,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들 중 2개에 대한 한 쌍의 직교 시간-도메인 시퀀스들이 1개의 OFDM 심볼 인터벌에서 전송되고, 다른 한 쌍의 직교 시간-도메인 시퀀스들이 다른 OFDM 심볼 인터벌에서 전송된다.
[0090] 시간-도메인 시퀀스의 길이는, 각각의 서브프레임에서 본딩된 채널들의 수에 비례할 수 있다. 예로서, 1의 채널 본딩(예컨대, 단일 채널)의 경우, 시간-도메인 시퀀스 베이시스(basis) Sg는 다음의 골레이 시퀀스들의 연쇄된 블록들 및 골레이 시퀀스의 부분 (클리핑된(clipped)) 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Figure pct00007
여기서, Gb128(1:43)은 Gb128 시퀀스 블록의 첫 번째 43개의 복소수 원소들이다.
[0091] 2의 채널 본딩(CB=2)의 경우, 시간-도메인 시퀀스 베이시스 Sg는 다음의 골레이 시퀀스들의 연쇄된 블록들 및 골레이 시퀀스의 부분 (클리핑된) 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Figure pct00008
여기서, Gb256(1:86)은 Gb256 시퀀스 블록의 첫 번째 86개의 복소수 원소들이다.
[0092] 3의 채널 본딩(CB=3)의 경우, 시간-도메인 시퀀스 베이시스 Sg는 다음의 골레이 시퀀스들의 연쇄된 블록들로 구성될 수 있다:
Figure pct00009
[0093] 4의 채널 본딩(CB=4)의 경우, 시간-도메인 시퀀스 베이시스 Sg는 다음의 골레이 시퀀스들의 연쇄된 블록들 및 골레이 시퀀스의 부분 (클리핑된) 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Figure pct00010
여기서, Gb512(1:171)는 Gb512 시퀀스 블록의 첫 번째 171개의 복소수 원소들이다.
[0094] 다음은, EDMG STF-B 필드에 대해 사용될 수 있는 한 쌍의 직교 골레이 시퀀스들의 예를 제공한다:
Figure pct00011
여기서, n은 시퀀스의 원소 인덱스이고,
Figure pct00012
은 켤레 원소 회전자(conjugate element rotator)이며,
Figure pct00013
은 복소수 켤레 연산이다. 본원에서 더욱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직교 시퀀스들 Sg1(n) 및 Sg2(n)는, 각각, 한 쌍의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들에서, OFDM 심볼 인터벌의 전체 지속기간에 대해,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송신된다. 단일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의 경우(또는 홀수 개의 송신 체인 프레임들로 구성된 프레임의 쌍을 이루지 않은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의 경우), OFDM 심볼 인터벌의 전체 지속기간 동안, Sg1(n) 또는 Sg2(n)가 송신될 수 있다.
[0095] 시퀀스들 Sg1(n) 및 Sg2(n) 각각이 OFDM 심볼 인터벌의 전체 지속기간을 점유하기 위하여, 시퀀스는, 예컨대 SRRC(square root raised cosine) 업-샘플링 프로세스에 의해 업-샘플링될 수 있다. 예컨대, 2.64GHz의 주파수에서 1의 채널 본딩(CB=1)의 경우, 시퀀스는 SRRC에 의해 640개의 샘플들로 업-샘플링될 수 있다. 예컨대, 5.28GHz의 주파수에서 2의 채널 본딩(CB=2)의 경우, 시퀀스는 SRRC에 의해 1280개의 샘플들로 업-샘플링될 수 있다. 예컨대, 7.92GHz의 주파수에서 3의 채널 본딩(CB=3)의 경우, 시퀀스는 SRRC에 의해 1920개의 샘플들로 업-샘플링될 수 있다. 그리고, 예컨대, 10.56GHz의 주파수에서 4의 채널 본딩(CB=4)의 경우, 시퀀스는 SRRC에 의해 2560개의 샘플들로 업-샘플링될 수 있다. 각각의 시퀀스의 송신 전력은 특정 전력 레벨, 이를테면, 프레임 또는 서브프레임의 송신 전력의 공칭(평균)에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EDMG CEF
[0096] EDMG CEF는, 수신기가 각각의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에 대한 채널 추정 및 대응하는 등화를 수행하는 것을 보조하도록 구성된다. EDMG CEF는, OFDM 송신의 넌-제로 서브캐리어들을 통해 각각 송신되는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수신기에 의해 선험적으로 알려진 심볼들)의 세트로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파일럿 심볼은 +1 또는 -1(
Figure pct00014
) 심볼일 수 있다.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의 세트는, 단일 채널에 대한 특정 임계치이거나 또는 그 미만(예컨대, 이를테면, 4dB이거나 또는 그 미만)의 PAPR을 갖는 (IFFT를 수행한 후의) OFDM 송신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PA(power amplifier)의 비-선형성 또는 압축에 기인하는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의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송신기 PA의 더 많은 선형 구역에서의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의 송신을 용이하게 한다.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이, 감소된 PAPR을 위해 회전
Figure pct00015
-행렬을 사용하여 프로세싱되고, IFFT 후의 각각의 심볼에 대한 순환 프리픽스들(채널 본딩마다 120개의 샘플들(
Figure pct00016
)), 그리고 순환 프리픽스의 부가 후의 윈도우잉을 포함하도록 프로세싱되어, 인접한 시간-도메인 심볼들 간의 전환이 평활화될 수 있다.
[0097] MIMO 애플리케이션들(하나 초과의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의 경우, 2개 또는 그 초과의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EDMG CEF들은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즉, EDMG CEF들의 송신 사이에 순환 지연 또는 시프트가 없음) 송신된다. EDMG CEF의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의 세트들은, NST(넌-제로 서브캐리어들의 수) 곱하기 NSTS,total(공간 스트림들의 총 수) 곱하기 NTX(송신 체인 서브프레임들의 수)의 차원을 갖는 공간 Q-행렬 프로세싱을 겪을 수 있다. 부가적으로, EDMG CEF의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의 각각의 세트는, 수신기가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들의 EDMG CEF들을 구분할 수 있게 하기 위해, P-행렬을 사용하는 심볼당 다이버시티(per-symbol-diversity) 프로세싱을 겪을 수 있다. 2개, 3개, 및 4개의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들에 대한 P-행렬들의 예들은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17
P-행렬의 열들은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 차원을 표현하고, p-행렬의 행들은 OFDM 심볼 인터벌 차원을 표현한다. P-행렬은 서브캐리어 단위로 병렬로 모든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에 대해 동작한다.
[0098] 송신되는 서브캐리어마다 송신되는 주파수-도메인 파일럿 심볼들의 수는, 공간 스트림들의 총 수 NSTSMAX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예컨대, 송신되는 파일럿 심볼들의 수는 1개, 2개, 3개, 4개, 6개, 8개 그리고 12개일 수 있다. 특히, 파일럿 심볼들의 수는 공간 스트림들의 총 수 NSTSMAX와 동일하거나 또는 그 초과(다음 차례의 이용가능한 심볼들의 수만큼)일 수 있다. 예컨대, NSTSMAX=4일 경우, 파일럿 심볼들의 수는 4개이다. NSTSMAX=5일 경우, 파일럿 심볼들의 수는 6개이다. 채널 본딩의 경우, 본딩된 채널은, 본딩되는 2개의 채널들 사이의 갭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이 삽입되어 있는 단일 채널처럼 보여야 한다.
[0099] 1의 채널 본딩(CB=1)의 경우 낮은 PAPR을 위해,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은 경험적으로 결정된 시퀀스에 기반한다. 다른 채널 본딩 경우들에 대한 주파수-도메인 시퀀스들은, 채널들 사이의 주파수 갭들 전부를 채우기 위해, 경험적으로 결정된 부가적인 파일럿들 및 중복에 의한 것일 수 있다. 1을 초과하는 채널 본딩(CB>1)에 대한 중복은, PAPR을 감소시키기 위해 회전
Figure pct00018
-행렬을 통해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을 프로세싱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음은 다양한 본딩 경우들에 대한 예들을 제공한다:
[00100] 단일 채널(CB=1)의 경우,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Figure pct00019
여기서, Left는 177개의 파일럿들의 더 낮은 주파수 측 시퀀스이고, 0,0,0은 널(null) 서브캐리어들이고, Right는 177개의 파일럿들의 더 높은 주파수 측 시퀀스이며; 여기서, 결과적 PAPR이 최소화되거나 또는 원하는 낮은 값으로 세팅되도록, Left 시퀀스는 Right 시퀀스와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00101] 2의 채널 본딩(CB=2)의 경우,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Figure pct00020
여기서,
Figure pct00021
Figure pct00022
행렬에 의해 회전된, CB=1 경우에서와 동일한 177개의 파일럿들의 Left 시퀀스이고, 3P는 3개의 파일럿들이고,
Figure pct00023
Figure pct00024
행렬에 의해 회전된, CB=1 경우에서와 동일한 177개의 파일럿들의 Right 시퀀스이고, 30P는 30개의 파일럿들의 세트이고, 0, 0, 0은 널 서브캐리어들이고, 30P는 30개의 파일럿들의 다른 세트이고,
Figure pct00025
Figure pct00026
행렬에 의해 회전된, CB=1 경우에서와 동일한 177개의 파일럿들의 Left 시퀀스이고, 3P는 3개의 파일럿들이며, 그리고
Figure pct00027
Figure pct00028
행렬에 의해 회전된, CB=1 경우에서와 동일한 177개의 파일럿들의 Right 시퀀스이다.
[00102] 왼쪽 30개의 파일럿들, 널 서브캐리어들 0,0,0, 그리고 오른쪽 30개의 파일럿들이 갭 주파수와 일치하는, 본딩된 채널의 부분에 놓인다는 것에 주목하라. 또한, 30개의 파일럿들의 세트들 둘 모두가 동일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3개의 파일럿들의 세트들 둘 모두가 동일할 필요도 없다. 이들 파일럿들은, PAPR을 원하는 대로 세팅하기 위해 최적화된다.
[00103] 3의 채널 본딩(CB=3)의 경우,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Figure pct00029
여기서,
Figure pct00030
Figure pct00031
행렬에 의해 회전된, CB=1 경우에서와 동일한 177개의 파일럿들의 Left 시퀀스이고, 3P는 3개의 파일럿들이고,
Figure pct00032
Figure pct00033
행렬에 의해 회전된, CB=1 경우에서와 동일한 177개의 파일럿들의 Right 시퀀스이고, 63P는 63개의 파일럿들의 세트이고,
Figure pct00034
Figure pct00035
행렬에 의해 회전된, CB=1 경우에서와 동일한 177개의 파일럿들의 Left 시퀀스이고, 0, 0, 0은 널 서브캐리어들이고,
Figure pct00036
Figure pct00037
행렬에 의해 회전된, CB=1 경우에서와 동일한 177개의 파일럿들의 Right 시퀀스이고, 63P는 63개의 파일럿들의 다른 세트이고,
Figure pct00038
Figure pct00039
행렬에 의해 회전된, CB=1 경우에서와 동일한 177개의 파일럿들의 Left 시퀀스이고, 3P는 다른 3개의 파일럿들이며, 그리고
Figure pct00040
Figure pct00041
행렬에 의해 회전된, CB=1 경우에서와 동일한 177개의 파일럿들의 Right 시퀀스이다.
[00104] 더 낮은 주파수 측의 63개의 파일럿들과 상위 주파수 측의 63개의 파일럿들이 갭들의 주파수 대역과 일치한다는 것에 주목하라. 또한, 63개의 파일럿들의 세트들 둘 모두가 동일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3개의 파일럿들의 세트들 모두가 동일할 필요도 없다. 이들 파일럿들은, PAPR을 원하는 대로 세팅하기 위해 최적화된다.
[00105] 4의 채널 본딩(CB=4)의 경우,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은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Figure pct00042
여기서,
Figure pct00043
Figure pct00044
행렬에 의해 회전된, CB=1 경우에서와 동일한 177개의 파일럿들의 Left 시퀀스이고, 3P는 3개의 파일럿들이고,
Figure pct00045
Figure pct00046
행렬에 의해 회전된, CB=1 경우에서와 동일한 177개의 파일럿들의 Right 시퀀스이고, 63P는 63개의 파일럿들의 세트이고,
Figure pct00047
Figure pct00048
행렬에 의해 회전된, CB=1 경우에서와 동일한 177개의 파일럿들의 Left 시퀀스이고, 3P는 다른 3개의 파일럿들이고,
Figure pct00049
Figure pct00050
행렬에 의해 회전된, CB=1 경우에서와 동일한 177개의 파일럿들의 Right 시퀀스이고, 30P는 30개의 파일럿들의 세트이고, 0, 0, 0은 널 서브캐리어들이고, 30P는 30개의 파일럿들의 다른 세트이고,
Figure pct00051
Figure pct00052
행렬에 의해 회전된, CB=1 경우에서와 동일한 177개의 파일럿들의 Left 시퀀스이고, 3P는 3개의 파일럿들이고,
Figure pct00053
Figure pct00054
행렬에 의해 회전된, CB=1 경우에서와 동일한 177개의 파일럿들의 Right 시퀀스이고, 63P는 63개의 파일럿들의 다른 세트이고,
Figure pct00055
Figure pct00056
행렬에 의해 회전된, CB=1 경우에서와 동일한 177개의 파일럿들의 Left 시퀀스이고, 3P는 다른 3개의 파일럿들이며, 그리고
Figure pct00057
Figure pct00058
행렬에 의해 회전된, CB=1 경우에서와 동일한 177개의 파일럿들의 Right 시퀀스이다.
[00106] 더 낮은 주파수 측의 첫 번째 63P가 더 낮은 주파수 갭과 일치하고, 30P, 000, 30P가 중간 주파수 갭과 일치하며, 상위 주파수 측의 두 번째 63P가 갭들의 상위 주파수 대역과 일치한다는 것에 주목하라. 또한, 63개의 파일럿들의 세트들 둘 모두가 동일할 필요가 없고, 30개의 파일럿들의 세트들 둘 모두가 동일할 필요가 없으며, 3개의 파일럿들의 모든 4개의 세트들이 동일할 필요가 없다. 이들 파일럿들은, PAPR을 원하는 대로 세팅하기 위해 최적화된다.
[00107] 위의 예들은, 채널 간격이 채널마다 420개의 서브캐리어들로 세팅되는 경우에 적용된다. 418개의 서브캐리어들의 채널 간격을 위해, 위의 예들에서의 30P 및 63P를 각각 29P 및 61P로 대체하라.
[00108]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단일 채널(CB=1)의 경우,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은, 4dB 또는 그 미만의 원하는 PAPR을 갖는 OFDM 송신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2의 채널 본딩(CB=2)의 경우,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은, 5.5dB 또는 그 미만의 원하는 PAPR을 갖는 OFDM 송신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3의 채널 본딩(CB=3)의 경우,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은, 7.0dB 또는 그 미만의 원하는 PAPR을 갖는 OFDM 송신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4의 채널 본딩(CB=4)의 경우,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은, 8.5dB 또는 그 미만의 원하는 PAPR을 갖는 OFDM 송신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패드 필드
[00109] 예시적인 프레임들에 대해 본원에서 추가로 논의된 바와 같이,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들에서 레거시 프리앰블(L-STF 및 L-CEF), 레거시 헤더(L-헤더), 및 EDMG 헤더의 송신은 시간 오프셋 ΔT만큼 서로 오프셋(순환 지연 또는 시프트)된다. 예컨대, 제1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에 대한 L-STF, L-CEF, L-헤더, 및 EDMG 헤더는 시간 t0에서 송신될 수 있으며, 제2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에 대한 L-STF, L-CEF, L-헤더, 및 EDMG 헤더는 시간 t0 + ΔT에서 송신될 수 있다. 제3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에 대한 L-STF, L-CEF, L-헤더, 및 EDMG 헤더는 시간 t0 + 2ΔT에서 송신될 수 있다. 이를 수행하는 이유는, 개개의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들의 이들 부분들의 송신 동안 의도치 않은 빔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00110] 그러나,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들의 개개의 EDMG STF-A들은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즉, 순환 시프트 없음) 송신되고;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들의 개개의 EDMG STF-B들은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즉, 순환 시프트 없음) 송신되며; 그리고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들의 개개의 EDMG CEF들은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즉, 순환 시프트 없음) 송신된다. 따라서, EDMG STF-A들, EDMG STF-B들, 및 EDMG CEF의 시간 정렬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부분과, L-STF, L-CEF, L-헤더, 및 EDMG 헤더 부분 사이에 패드들이 삽입된다. 패드 필드의 길이는, 후속하여 송신되는 각각의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에 대해 감소한다. 일 예에서, 패드 필드는 레거시 802.11ad 프로토콜에서 특정된 단일-캐리어-단일-채널 GI(guard interval)와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패드 필드는, 패드 필드에 대해 요구되는 길이에 기반하여 절단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골레이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00111] 다음은 위에서 설명된 EDMG STF-A, EDMG STF-B, 및 EDMG CEF 필드들을 사용하는 다양한 프레임들을 설명한다.
[00112]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소정의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단일-채널 프레임(400)을 예시한다. 표시된 바와 같이, x-축 또는 수평-축은 송신 시간을 표현하고(왼쪽으로 더 이른 시간이고, 오른쪽으로 더 늦은 시간임), y-축 또는 수직-축은 송신 채널 주파수를 표현한다. 프레임(400)은, 레거시 프로토콜(예컨대, 802.11ad)에 따라 동작하는 액세스 포인트들 및 사용자 디바이스들에 의해 디코딩가능할 수 있는 레거시 프리앰블 및 헤더 필드들(L-STF, L-CEF, 및 L-헤더)을 포함한다.
[00113]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이것은, 주파수 채널이 언제 이용가능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레거시 디바이스들이 새로운 프레임(400)의 길이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러한 레거시 디바이스들이 NAV(Network Allocation Vector)를 계산하기 위하여 이 프레임(400)의 이 부분을 디코딩할 수 있도록 수행된다. 새로운 프로토콜(예컨대, 현재 개발 중인 802.11ay)에 따라 동작하는 새로운 프로토콜 디바이스들(액세스 포인트들 및 사용자 디바이스들)이 또한, 프레임(400)의 레거시 부분(L-STF, L-CEF, 및 L-헤더)을 디코딩할 수 있다.
[00114] 프레임(400)은 EDMG 헤더, 그리고 EDMG STF-A, EDMG STF-B, 또는 EDMG CEF 필드 중 적어도 하나, 그리고 데이터 페이로드를 포함하는 새로운 프로토콜 부분을 더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지만, 프레임(400)(그리고 본원에서 설명된 다른 프레임들(500, 600, 700, 800, 900, 및 1000))은 송신 및/또는 수신 빔형성 목적들을 위해 데이터 페이로드 후에 송신되는 빔 트레이닝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새로운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디바이스들(액세스 포인트들 및 사용자 디바이스들)은 EDMG 헤더, 그리고 EDMG STF-A, EDMG STF-B, 또는 EDMG CEF 필드 중 임의의 필드, 그리고 데이터 페이로드를 디코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필드들은, 레거시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디바이스에 의해서는 디코딩가능하지 않다.
[00115] 프레임의 다양한 필드들(L-STF, L-CEF, L-헤더, EDMG 헤더, 그리고 EDMG STF-A, EDMG STF-B, 또는 EDMG CEF 중 적어도 하나, 그리고 데이터 페이로드)은 해당 시간 순서로 동일한 주파수 채널(예컨대, 단일 802.11ad 주파수 채널)을 통해 송신된다. 단일-채널 프레임(400)의 경우, EDMG CEF는 선택적일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수신기가 채널 추정을 수행하기 위해 L-CEF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사하게, EDMG STF-A는 선택적일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가 AGC(automatic gain control)를 수행하기 위해 L-STF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사하게, EDMG STF-B는 선택적(그러나, 더 바람직)일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수신기가 FFT 프로세싱을 수행하기 위한 입력 샘플 윈도우를 셋업하기 위해 L-STF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00116]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소정의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채널 본딩된 프레임(500)을 예시한다. 이 예에서, 프레임(500)은 2 채널 본딩된 프레임의 예이다. 다시, x-축 또는 수평-축은 송신 시간을 표현하고(왼쪽으로 더 이른 시간이고, 오른쪽으로 더 늦은 시간임), y-축 또는 수직-축은 송신 채널 주파수를 표현한다.
[00117] 특히, 프레임(500)은 제1 주파수 채널을 통한 송신을 위한 레거시 부분(L-STF CH1, L-CEF CH1, 및 L-헤더 CH1), 그리고 제2 주파수 채널을 통한 송신을 위한 레거시 부분(L-STF CH2, L-CEF CH2, 및 L-헤더 CH2)을 포함한다. 예시된 바와 같이, L-STF CH1 및 L-STF CH2는 실질적으로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둘 모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작 시간, 종료 시간, 그리고 동일한 길이를 가짐) 송신된다. 유사하게, L-CEF CH1 및 L-CEF CH2는 실질적으로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송신된다. 그리고, L-헤더 CH1 및 L-헤더 CH2는 실질적으로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송신된다.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주파수 채널(CH1)과 제2 주파수 채널(CH2) 사이에 주파수 갭이 있다. 다시, 이들 레거시 부분들은 레거시 디바이스들 및 새로운 프로토콜 디바이스들 양쪽 모두에 의해 디코딩가능할 수 있다.
[00118] 프레임(500)은, 제1 주파수 채널(CH1)을 통한 송신을 위한 EDMG 헤더 CH1, 그리고 제2 주파수 채널(CH2)을 통한 송신을 위한 EDMG 헤더 CH2를 더 포함한다. EDMG 헤더 CH1 및 EDMG 헤더 CH2는,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의 송신을 위해 구성된다. 데이터 페이로드 필드와 EDMG STF-A, EDMG STF-B, EDMG CEF 필드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주파수 채널(CH1)의 적어도 일부 및 제2 주파수 채널(CH2)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본딩된 주파수 채널(CH1+CH2)을 통해 송신된다. 본딩된 채널이 또한, 제1 주파수 채널(CH1)과 제2 주파수 채널(CH2) 사이의 주파수 갭을 포함한다는 것이 주목된다. 본딩된 채널(CH1+CH2)은 (프레임(400)처럼) 단일 채널과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본딩된 채널(CH1+CH2)의 갭 주파수는, EDMG STF-A, EDMG CEF, 및 데이터 페이로드, 뿐만 아니라 EDMG STF-B의 시간-도메인 시퀀스의 심볼들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새로운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디바이스들(액세스 포인트들 및 사용자 디바이스들)은 EDMG 헤더 CH1 및 EDGM 헤더 CH2, 그리고 본딩된 채널(CH1+CH2)의 EDMG STF-A, EDMG STF-B, 또는 EDMG CEF 필드들 중 임의의 필드, 그리고 본딩된 채널(CH1+CH2)의 데이터 페이로드를 디코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필드들은, 레거시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디바이스에 의해서는 디코딩가능하지 않다.
[00119]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상에 따른 예시적인 2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 MIMO 프레임(600)을 예시한다. MIMO 프레임(600)은 레거시 부분인 L-STF TX-1, L-CEF TX-1, 및 L-헤더 TX-1을 포함하는 제1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제1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은 새로운 프로토콜 부분인 EDMG 헤더 TX-1, 패드 TX-1, EDMG STF-A TX-1, EDMG STF-B TX-1, EDMG CEF TX-1, 그리고 데이터 페이로드 TX-1을 더 포함한다. 유사하게, MIMO 프레임(600)은 레거시 부분인 L-STF TX-2, L-CEF TX2, 및 L-헤더 TX-2를 포함하는 제2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을 더 포함한다. 제2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은 새로운 프로토콜 부분인 EDMG 헤더 TX-2, 패드 TX-2, EDMG STF-A TX-2, EDMG STF-B TX-2, EDMG CEF TX-2, 그리고 데이터 페이로드 TX-2를 더 포함한다.
[00120]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에서의 의도치 않은 빔형성을 방지하기 위해, 제2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의 L-STF TX-2, L-CEF TX-2, L-헤더 TX-2, EDMG 헤더 TX-2, 및 패드 TX-2의 송신은, 제1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의 L-STF TX-1, L-CEF TX-1, L-헤더 TX-1, EDMG 헤더 TX-1, 및 패드 TX-1의 송신에 대해 시간 오프셋 ΔT만큼 지연된다(즉, 2개의 송신 체인들의 대응하는 필드들의 시작 및 끝은 시간 오프셋된 방식으로 송신됨).
[00121] 제1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 및 제2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의 나머지 개개의 부분들은 실질적으로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송신된다. 예컨대, EDMG STF-A TX-1 및 EDMG STF-A TX-2는 실질적으로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송신된다. EDMG STF-B TX-1 및 EDMG STF-B TX-2는 실질적으로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송신된다. EDMG CEF TX-1 및 EDMG CEF TX-2는 실질적으로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송신된다. 그리고, 데이터 페이로드 TX-1 및 데이터 페이로드 TX-2는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송신된다.
[00122] 예시된 바와 같이, 패드 TX-1의 길이는 패드 TX-2의 길이보다 더 길다. 그에 따라서, 패드 TX-1 및 패드 TX-2는 L-STF, L-CEF, L-헤더, 및 EDMG 헤더의 시간 오프셋된 부분과, 시간 정렬된 부분인 EDMG STF-A, EDMG STF-B, EDMG CEF, 및 데이터 페이로드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패드 TX-1은 제1 길이의 GI(guard interval)를 포함할 수 있고, 패드 TX-2는 제2 길이의 GI(guard interval)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길이는 제2 길이를 초과한다. 또한,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패드 TX-1의 보호 인터벌은 제1 길이를 갖는 골레이 시퀀스에 기반할 수 있고, 패드 TX-2의 보호 인터벌은 제2 길이를 갖는 골레이 시퀀스에 기반할 수 있으며, 제1 길이는 제2 길이를 초과한다.
[00123] EDMG STF-A TX-1의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는 특정 원시 다항식에 대한 제1 특정 시드에 기반할 수 있고, EDMG STF-A TX-2의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는 동일한 특정 원시 다항식에 대한 제2 특정 시드에 기반할 수 있다(도 11 참조). EDMG STF-A TX-1의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는 EDMG STF-A TX-2의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와 낮은 교차-상관을 갖는다. 그에 따라서, 제1 송신 서브프레임 TX-1 및 제2 송신 서브프레임 TX-2 둘 모두에 대한 독립적인 AGC가 수행될 수 있도록, 송신기 및 수신기는, EDMG STF-A TX-1 및 EDMG STF-A TX-2 둘 모두의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에 대해 분리할 수 있다.
[00124] EDMG STF-B TX-1의 시간-도메인 시퀀스는 위에서 설명된 Sg1(n)(짧게, "Sg1") 시퀀스에 기반할 수 있고, EDMG STF-B TX-2는 위에서 설명된 Sg2(n)(짧게, "Sg2") 시퀀스에 기반할 수 있다. 시퀀스 Sg1과 시퀀스 Sg2 둘 모두는 서로 직교한다. 그에 따라서, 수신기는, 제1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 TX-1 및 제2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 TX-2로부터의 수신된 샘플들의 실질적으로 병렬인 FFT 프로세싱을 수행하기 위한 입력 샘플 윈도우들을 독립적으로 세팅하기 위해, 시퀀스 Sg1과 시퀀스 Sg2를 분리할 수 있다.
[00125] EDMG CEF TX-1의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 및 EDMG CEF TX-2의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은,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 사이에 심볼 다이버시티를 제공하기 위해, 위에서 논의된 P-행렬에 의해 프로세싱되었다. 그에 따라서, 수신기는, 수신된 제1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 TX-1 및 제2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 TX-2에 대한 독립적인 채널 추정 및 등화를 수행하기 위해, EDMG CEF TX-1의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과 EDMG CEF TX-2의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을 분리할 수 있다.
[00126]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상에 따른 예시적인 3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 MIMO 프레임(700)을 예시한다. MIMO 프레임(700)은 레거시 부분인 L-STF TX-1, L-CEF TX-1, 및 L-헤더 TX-1을 포함하는 제1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제1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은 새로운 프로토콜 부분인 EDMG 헤더 TX-1, 패드 TX-1, EDMG STF-A TX-1, EDMG STF-B TX-1, EDMG CEF TX-1, 그리고 데이터 페이로드 TX-1을 더 포함한다. 유사하게, MIMO 프레임(700)은 레거시 부분인 L-STF TX-2, L-CEF TX2, 및 L-헤더 TX-2를 포함하는 제2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을 더 포함한다. 제2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은 새로운 프로토콜 부분인 EDMG 헤더 TX-2, 패드 TX-2, EDMG STF-A TX-2, EDMG STF-B TX-2, EDMG CEF TX-2, 그리고 데이터 페이로드 TX-2를 더 포함한다. 또한, MIMO 프레임(700)은 레거시 부분인 L-STF TX-3, L-CEF TX-3, 및 L-헤더 TX-3를 포함하는 제3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을 더 포함한다. 제3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은 새로운 프로토콜 부분들인 EDMG 헤더 TX-3, 패드 TX-3, EDMG STF-A TX-3, EDMG STF-B TX-3, EDMG CEF TX-3, 그리고 데이터 페이로드 TX-3을 더 포함한다.
[00127]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에서의 의도치 않은 빔형성을 방지하기 위해, 제2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의 L-STF TX-2, L-CEF TX-2, L-헤더 TX-2, EDMG 헤더 TX-2, 및 패드 TX-2의 송신은, 제1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의 L-STF TX-1, L-CEF TX-1, L-헤더 TX-1, EDMG 헤더 TX-1, 및 패드 TX-1의 송신에 대해 시간 오프셋 ΔT만큼 지연된다. 그리고, 제3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의 L-STF TX-3, L-CEF TX-3, L-헤더 TX-3, EDMG 헤더 TX-3, 및 패드 TX-3의 송신은, 제2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의 L-STF TX-2, L-CEF TX-2, L-헤더 TX-2, EDMG 헤더 TX-2, 및 패드 TX-2의 송신에 대해 시간 오프셋 ΔT만큼 지연된다.
[00128] 제1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 제2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 및 제3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의 나머지 개개의 부분들은 실질적으로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송신되는데, 아래에서 주목되는 바와 같은 몇 개의 예외들이 있다. 예컨대, EDMG STF-A TX-1, EDMG STF-A TX-2, 및 EDMG STF-A TX-3은 실질적으로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송신된다. EDMG STF-B TX-1 및 EDMG STF-B TX-2는 제1 OFDM 심볼 인터벌에서 실질적으로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송신된다. 제3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은 제1 OFDM 심볼 인터벌 동안 송신이 없도록(블랭크) 구성된다. EDMG STF-B TX-3은 제2 OFDM 심볼 인터벌 동안 송신된다. 제1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 및 제2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은 제2 OFDM 심볼 인터벌 동안 송신이 없도록(블랭크) 구성된다. EDMG CEF TX-1, EDMG CEF TX-2, 및 EDMG CEF TX-3은 실질적으로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송신된다. 그리고, 데이터 페이로드 TX-1, 데이터 페이로드 TX-2, 및 데이터 페이로드 TX-3은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송신된다.
[00129] 예시된 바와 같이, 패드 TX-1의 길이는 패드 TX-2의 길이를 초과하며, 차례로, 패드 TX-2의 길이는 패드 TX-3의 길이를 초과한다. 그에 따라서, 패드 TX-1, 패드 TX-2, 및 패드 TX-3은 시간 오프셋된 부분인 L-STF, L-CEF, L-헤더, 및 EDMG 헤더와, 시간 정렬된 부분인 EDMG STF-A, EDMG STF-B, EDMG CEF, 및 데이터 페이로드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패드 TX-1은 제1 길이의 GI(guard interval)를 포함할 수 있고, 패드 TX-2는 제2 길이의 GI(guard interval)를 포함할 수 있고, 패드 TX-3은 제3 길이의 GI(guard interval)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길이는 제2 길이를 초과하고, 제2 길이는 제3 길이를 초과한다. 또한,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패드 TX-1의 보호 인터벌은 제1 길이를 갖는 골레이 시퀀스에 기반할 수 있고, 패드 TX-2의 보호 인터벌은 제2 길이를 갖는 골레이 시퀀스에 기반할 수 있고, 패드 TX-3의 보호 인터벌은 제3 길이를 갖는 골레이 시퀀스에 기반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길이는 제2 길이를 초과하고, 제2 길이는 제3 길이를 초과한다.
[00130] EDMG STF-A TX-1의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는 특정 원시 다항식에 대한 제1 특정 시드에 기반할 수 있고, EDMG STF-A TX-2의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는 동일한 특정 원시 다항식에 대한 제2 특정 시드에 기반할 수 있으며, EDMG STF-A TX-3의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는 동일한 특정 원시 다항식에 대한 제3 특정 시드에 기반할 수 있다(도 11 참조). 그에 따라서, 제1 송신 서브프레임 TX-1, 제2 송신 서브프레임 TX-2, 및 제3 송신 서브프레임 TX-3에 대한 독립적인 AGC가 수행될 수 있도록, 송신기 및 수신기는, EDMG STF-A TX-1, EDMG STF-A TX-2, 및 EDMG STF-A TX-3의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에 대해 분리할 수 있다.
[00131] EDMG STF-B TX-1의 시간-도메인 시퀀스는 위에서 설명된 Sg1 시퀀스에 기반할 수 있고, EDMG STF-B TX-2는 위에서 설명된 Sg2 시퀀스에 기반할 수 있다. 시퀀스 Sg1과 시퀀스 Sg2 둘 모두는 서로 직교한다. 그에 따라서, 수신기는, 제1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 TX-1 및 제2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 TX-2로부터의 수신된 샘플들의 실질적으로 병렬인 FFT 프로세싱을 수행하기 위한 수신된 샘플 윈도우들을 독립적으로 세팅하기 위해, 시퀀스 Sg1과 시퀀스 Sg2를 분리할 수 있다. EDMG STF-B TX-3은 Sg1(도 7에서 예시됨) 또는 Sg2 시퀀스에 기반할 수 있다.
[00132] EDMG CEF TX-1의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 EDMG CEF TX-2의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 및 EDMG CEF TX-3의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은,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 사이에 심볼 다이버시티를 제공하기 위해, 위에서 논의된 3x3 P-행렬에 의해 프로세싱되었다. 그에 따라서, 수신기는, 수신된 제1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 TX-1, 제2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 TX-2, 및 제3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 TX-3에 대한 독립적인 채널 추정 및 등화를 수행하기 위해, EDMG CEF TX-1의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 EDMG CEF TX-2의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 그리고 EDMG CEF TX-3의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을 분리할 수 있다.
[00133]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상에 따른 예시적인 4 송신 체인 MIMO 프레임(800)을 예시한다. MIMO 프레임(800)은 레거시 부분인 L-STF TX-1, L-CEF TX-1, 및 L-헤더 TX-1, 그리고 새로운 프로토콜 부분인 EDMG 헤더 TX-1, 패드 TX-1, EDMG STF-A TX-1, EDMG STF-B TX-1, EDMG CEF TX-1, 그리고 데이터 페이로드 TX-1을 포함하는 제1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MIMO 프레임(700)은 레거시 부분들인 L-STF TX-2, L-CEF TX-2, 및 L-헤더 TX-2, 그리고 새로운 프로토콜 부분인 EDMG 헤더 TX-2, 패드 TX-2, EDMG STF-A TX-2, EDMG STF-B TX-2, EDMG CEF TX-2, 그리고 데이터 페이로드 TX-2를 포함하는 제2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을 더 포함한다.
[00134] 유사하게, MIMO 프레임(800)은 레거시 부분인 L-STF TX-3, L-CEF TX-3, 및 L-헤더 TX-3, 그리고 새로운 프로토콜 부분들인 EDMG 헤더 TX-3, 패드 TX-3, EDMG STF-A TX-3, EDMG STF-B TX-3, EDMG CEF TX-3, 그리고 데이터 페이로드 TX-3을 포함하는 제3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MIMO 프레임(800)은 레거시 부분인 L-STF TX-4, L-CEF TX-4, 및 L-헤더 TX-4, 그리고 새로운 프로토콜 부분인 EDMG 헤더 TX-4, 패드 TX-4, EDMG STF-A TX-4, EDMG STF-B TX-4, EDMG CEF TX-4, 그리고 데이터 페이로드 TX-4를 포함하는 제4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을 더 포함한다.
[00135]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에서의 의도치 않은 빔형성을 방지하기 위해, 제2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의 L-STF TX-2, L-CEF TX-2, L-헤더 TX-2, EDMG 헤더 TX-2, 및 패드 TX-2의 송신은, 제1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의 L-STF TX-1, L-CEF TX-1, L-헤더 TX-1, EDMG 헤더 TX-1, 및 패드 TX-1의 송신에 대해 시간 오프셋 ΔT만큼 지연된다. 그리고, 제3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의 L-STF TX-3, L-CEF TX-3, L-헤더 TX-3, EDMG 헤더 TX-3, 및 패드 TX-3의 송신은, 제2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의 L-STF TX-2, L-CEF TX-2, L-헤더 TX-2, EDMG 헤더 TX-2, 및 패드 TX-2의 송신에 대해 시간 오프셋 ΔT만큼 지연된다. 제4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의 L-STF TX-4, L-CEF TX-4, L-헤더 TX-4, EDMG 헤더 TX-4, 및 패드 TX-4의 송신은, 제3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의 L-STF TX-3, L-CEF TX-3, L-헤더 TX-3, EDMG 헤더 TX-3, 및 패드 TX-3의 송신에 대해 시간 오프셋 ΔT만큼 지연된다.
[00136] 제1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 제2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 및 제3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의 나머지 개개의 부분들은 실질적으로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송신되는데, 아래에서 주목되는 바와 같은 몇 개의 예외들이 있다. 예컨대, EDMG STF-A TX-1, EDMG STF-A TX-2, EDMG STF-A TX-3, 및 EDMG STF-A TX-4는 실질적으로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송신된다. EDMG STF-B TX-1 및 EDMG STF-B TX-2는 제1 OFDM 심볼 인터벌에서 실질적으로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송신된다. 제3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 및 제4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은 제1 OFDM 심볼 인터벌 동안 송신이 없도록(블랭크) 구성된다. EDMG STF-B TX-3 및 EDMG STF-B TX-4는 제2 OFDM 심볼 인터벌 동안 송신된다. 제1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 및 제2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은 제2 OFDM 심볼 인터벌 동안 송신이 없도록(블랭크) 구성된다. EDMG CEF TX-1, EDMG CEF TX-2, EDMG CEF TX-3, 및 EDMG CEF TX-4는 실질적으로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송신된다. 그리고, 데이터 페이로드 TX-1, 데이터 페이로드 TX-2, 데이터 페이로드 TX-3, 및 데이터 페이로드 TX-4는 실질적으로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송신된다.
[00137] 예시된 바와 같이, 패드 TX-1의 길이는 패드 TX-2의 길이를 초과하고, 차례로, 패드 TX-2의 길이는 패드 TX-3의 길이를 초과하며, 차례로, 패드 TX-3의 길이는 패드 TX-4의 길이를 초과한다. 그에 따라서, 패드 TX-1, 패드 TX-2, 패드 TX-3, 및 패드 TX-4는 L-STF, L-CEF, L-헤더, 및 EDMG 헤더의 시간 오프셋된 부분과, 시간 정렬된 부분인 EDMG STF-A, EDMG STF-B, EDMG CEF, 및 데이터 페이로드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패드 TX-1, 패드 TX-2, 패드 TX-3, 및 패드 TX-4는 각각 제1 길이, 제2 길이, 제3 길이, 및 제4 길이의 GI(guard interval)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제1 길이는 제2 길이를 초과하고, 제2 길이는 제3 길이를 초과하며, 제3 길이는 제4 길이를 초과한다. 또한,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패드 TX-1, 패드 TX-2, 패드 TX-3, 및 패드 TX-4의 GI(guard interval)들은 각각, 내림차순(decreasing order)의 제1 길이, 제2 길이, 제3 길이, 및 제4 길이의 개개의 골레이 시퀀스들에 기반할 수 있다.
[00138] EDMG STF-A TX-1의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는 특정 원시 다항식에 대한 제1 특정 시드에 기반할 수 있고, EDMG STF-A TX-2의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는 동일한 특정 원시 다항식에 대한 제2 특정 시드에 기반할 수 있고, EDMG STF-A TX-3의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는 동일한 특정 원시 다항식에 대한 제3 특정 시드에 기반할 수 있으며, EDMG STF-A TX-4의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는 동일한 특정 원시 다항식에 대한 제4 특정 시드에 기반할 수 있다(도 11 참조). 그에 따라서, 제1 송신 서브프레임 TX-1, 제2 송신 서브프레임 TX-2, 제3 송신 서브프레임 TX-3, 및 제4 송신 서브프레임 TX-4에 대한 독립적인 AGC가 수행될 수 있도록, 송신기 및 수신기는, EDMG STF-A TX-1, EDMG STF-A TX-2, EDMG STF-A TX-3, 및 EDMG STF-A TX-4의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에 대해 분리할 수 있다.
[00139] EDMG STF-B TX-1의 시간-도메인 시퀀스는 위에서 설명된 Sg1 시퀀스에 기반할 수 있고, EDMG STF-B TX-2는 위에서 설명된 Sg2 시퀀스에 기반할 수 있다. 시퀀스 Sg1과 시퀀스 Sg2 둘 모두는 서로 직교한다. 그에 따라서, 수신기는, 제1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 TX-1 및 제2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 TX-2로부터의 수신된 샘플들의 실질적으로 병렬인 FFT 프로세싱을 수행하기 위한 수신된 샘플 윈도우들을 독립적으로 세팅하기 위해, 시퀀스 Sg1과 시퀀스 Sg2를 분리할 수 있다. 유사하게, EDMG STF-B TX-3의 시간-도메인 시퀀스는 위에서 설명된 Sg1 시퀀스에 기반할 수 있고, EDMG STF-B TX-4는 위에서 설명된 Sg2 시퀀스에 기반할 수 있다. 논의된 바와 같이, 시퀀스 Sg1과 시퀀스 Sg2 둘 모두는 서로 직교한다. 그에 따라서, 수신기는, 제3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 TX-3 및 제4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 TX-4로부터의 수신된 샘플들의 실질적으로 병렬인 FFT 프로세싱을 수행하기 위한 수신된 샘플 윈도우들을 독립적으로 세팅하기 위해, 시퀀스 Sg1과 시퀀스 Sg2를 분리할 수 있다.
[00140] EDMG CEF TX-1의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 EDMG CEF TX-2의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 EDMG CEF TX-3의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 및 EDMG CEF TX-4의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은,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 사이에 심볼 다이버시티를 제공하기 위해, 위에서 논의된 4x4 P-행렬에 의해 프로세싱되었다. 그에 따라서, 수신기는, 수신된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들 TX-1, TX-2, TX-3, 및 TX-4에 대한 독립적인 채널 추정 및 등화를 수행하기 위해, EDMG CEF TX-1의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 EDMG CEF TX-2의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 EDMG CEF TX-3의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 그리고 EDMG CEF TX-4의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을 분리할 수 있다.
[00141] 도 9은 본 개시내용의 소정의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6 송신 체인 MIMO 프레임(900)을 예시한다. MIMO 프레임(900)은 4 송신 체인 MIMO 프레임(800)의 것과 유사하지만, 부가적인 2개의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들 TX-5 및 TX-6을 포함한다(MIMO 프레임(800)을 형성하기 위해 MIMO 프레임(600)에 2개의 부가적인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들을 부가하는 것과 유사함). 그에 따라서, MIMO 프레임(900)을 구성하는 것에 대한 세부사항들은 자명하다.
[00142] 주목할 만한 것 중에서, 6개의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들이 있기 때문에, 송신 체인들 전부의 EDMG STF-B를 송신하기 위해 3개의 OFDM 심볼 인터벌들이 사용된다. 제1 OFDM 심볼 인터벌 동안, 시퀀스 Sg1을 갖는 EDMG STF-B TX-1 및 시퀀스 Sg2를 갖는 EDMG STF-B TX-2는 실질적으로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송신된다. 제1 OFDM 심볼 인터벌 동안,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들 TX-3 내지 TX-6은 송신이 없도록(블랭크) 구성된다. 제2 OFDM 심볼 인터벌 동안, 시퀀스 Sg1을 갖는 EDMG STF-B TX-3 및 시퀀스 Sg2를 갖는 EDMG STF-B TX-4는 실질적으로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송신된다. 제2 OFDM 심볼 인터벌 동안,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들 TX-1 및 TX-2 그리고 TX-5 및 TX-6은 송신이 없도록(블랭크) 구성된다. 제3 OFDM 심볼 인터벌 동안, 시퀀스 Sg1을 갖는 EDMG STF-B TX-5 및 시퀀스 Sg2를 갖는 EDMG STF-B TX-6은 실질적으로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송신된다. 제3 OFDM 심볼 인터벌 동안,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들 TX-1 내지 TX-4는 송신이 없도록(블랭크) 구성된다.
[00143] OFDM 프레임은 임의의 짝수 개, 이를테면, 8개, 10개, 및 12개의 송신 체인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들에서, 대응하는 EDMG STF-B를 송신하기 위해 필요한 OFDM 심볼 인터벌들의 수들은 각각 4개, 5개, 및 6개이다. 유사하게, OFDM 프레임들은 임의의 홀수 개, 이를테면, 5개, 7개, 9개, 및 11개의 송신 체인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들에서, 대응하는 EDMG STF-B들을 송신하기 위해 필요한 OFDM 심볼 인터벌들의 수들은 각각 3개, 4개, 5개, 및 7개이다.
[00144]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소정의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2-송신 체인 및 2-채널-본딩된 MIMO 프레임(1000)을 예시한다. MIMO 프레임(1000)은, 프레임(500)의 것과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는 제1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 TX-1을 포함하는데, EDMG 헤더 Ch1 및 EDMG 헤더 CH2와, 대응하는 본딩된 채널 사이의 송신 시간에 2개의 패드들인 CH1 및 CH2가 각각 놓인다는 예외가 있다.
[00145] MIMO 프레임(1000)은, 프레임(500)의 것과 유사하게 또한 구성될 수 있는 제2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 TX-2를 더 포함하지만, EDMG 헤더 CH1 및 EDMG 헤더 CH2와, 대응하는 본딩된 채널 사이의 송신 시간에 2개의 패드들인 CH1 및 CH2가 각각 놓인다는 동일한 예외가 있다. 부가적으로, 제2 송신 체인 TX-2의 L-STF, L-CEF, L-헤더, EDMG 헤더, 및 패드들의 송신은, 제1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 TX-1의 L-STF, L-CEF, L-헤더, EDMG 헤더, 및 패드들의 송신에 대해 시간 오프셋 ΔT만큼 지연되도록 구성된다.
[00146] 제1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 TX-1의 데이터 페이로드, EDMG STF-A, EDMG STF-B, 및 EDMG CEF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 TX-2의 데이터 페이로드, EDMG STF-A, EDMG STF-B, 및 EDMG CEF와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송신된다. 그에 따라서,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제1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 TX-1의 패드들의 길이는 제2 송신 체인 서브프레임 TX-2의 패드들의 길이를 초과한다.
[00147]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소정의 양상들에 따른 예시적인 디바이스(1200)를 예시한다. 디바이스(1200)는, 본원에서 설명된 동작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수행하기 위해 액세스 포인트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1200)는 프로세싱 시스템(1220), 및 프로세싱 시스템(1220)에 커플링된 메모리(1210)를 포함한다. 메모리(1210)는, 프로세싱 시스템(1220)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싱 시스템(1220)으로 하여금 본원에서 설명된 동작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1220)의 예시적인 구현들은 아래에서 제공된다. 디바이스(1200)는 또한, 프로세싱 시스템(1220)에 커플링된 송신/수신기 인터페이스(1230)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1230)(예컨대, 인터페이스 버스)는, 아래에서 추가로 논의된 바와 같이, RF(radio frequency) 프론트 엔드(예컨대, 트랜시버들(226-1 내지 226-N, 또는 266-1 내지 266-M)에 프로세싱 시스템(1220)을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148] 소정의 양상들에서, 프로세싱 시스템(1220)은 본원에서 설명된 동작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수행하기 위해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예컨대, 송신 데이터 프로세서(220 또는 260)), 프레임 빌더(예컨대, 프레임 빌더(222 또는 262)), 송신 프로세서(예컨대, 송신 프로세서(224 또는 264)) 및/또는 제어기(예컨대, 제어기(234 또는 274))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양상들에서, 프로세싱 시스템(1220)은 프레임을 생성하고, (예컨대, 액세스 포인트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로의) 무선 송신을 위해, 이 프레임을 인터페이스(1230)를 통해 RF 프론트 엔드(예컨대, 트랜시버(226-1 내지 226-N, 또는 266-1 내지 266-M)에 출력할 수 있다.
[00149] 소정의 양상들에서, 프로세싱 시스템(1220)은 본원에서 설명된 동작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수행하기 위해 수신 프로세서(예컨대, 수신 프로세서(242 또는 282)),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예컨대, 수신 데이터 프로세서(244 또는 284)) 및/또는 제어기(예컨대, 제어기(234 및 274))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양상들에서, 프로세싱 시스템(1220)은, 위에서 논의된 양상들 중 임의의 하나 또는 그 초과에 따라, 인터페이스(1230)를 통해 RF 프론트 엔드(예컨대, 트랜시버들(226-1 내지 226-N, 또는 266-1 내지 266-M)로부터 프레임을 수신하고, 이 프레임을 프로세싱할 수 있다.
[00150] 사용자 디바이스의 경우, 디바이스(1200)는 프로세싱 시스템(1220)에 커플링된 사용자 인터페이스(124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240)는, 사용자로부터 (예컨대,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 데이터를 프로세싱 시스템(1220)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240)는 또한, 프로세싱 시스템(1220)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예컨대,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을 통해) 사용자에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는, 사용자에 출력되기 전에 부가적인 프로세싱을 겪을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210)의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1240)는 생략될 수 있다.
[00151] 위에서 설명된 방법들의 다양한 동작들은 대응하는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수단은, 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프로세서(그러나, 이들에 제한되지 않음)를 포함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동작들이 도면들에서 예시된 경우, 그러한 동작들은 유사한 넘버링을 갖는 대응하는 상대측 수단-플러스-기능 컴포넌트들을 가질 수 있다.
[00152] 예컨대,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또는 구성하기 위한 수단의 일부 예들은 프로세싱 시스템(1220), 프레임 빌더(222), 및 프레임 빌더(262)를 포함한다. 송신을 위한 프레임을 출력하기 위한 수단의 일부 예들은 송신/수신 인터페이스(1230), 송신 프로세서(224), 및 송신 프로세서(264)를 포함한다.
[00153] 일부 경우들에서, 프레임을 실제로 송신하는 것이 아니라, 디바이스는 송신을 위한 프레임을 출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출력하기 위한 수단)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는 프레임을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을 위한 RF(radio frequency) 프론트 엔드에 출력할 수 있다. 유사하게, 프레임을 실제로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디바이스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프레임을 획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획득하기 위한 수단)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는 수신을 위한 RF 프론트 엔드로부터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레임을 획득(또는 수신)할 수 있다.
[00154]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결정하는" 것이란 용어는 매우 다양한 액션들을 포괄한다. 예컨대, "결정하는" 것은 계산하는 것, 컴퓨팅하는 것, 프로세싱하는 것, 도출하는 것, 조사하는 것, 룩업하는 것(예컨대, 표,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에서 룩업하는 것), 확인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하는" 것은 수신하는 것(예컨대, 정보를 수신하는 것), 액세스하는 것(예컨대, 메모리의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정하는" 것은 해결하는 것, 선택하는 것, 선정하는 것, 설정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00155]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아이템들의 목록 "중 적어도 하나"를 지칭하는 어구는 단일 멤버들을 포함하여 그러한 아이템들의 임의의 결합을 지칭한다. 예로서,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는 a, b, c, a-b, a-c, b-c, 그리고 a-b-c, 뿐만 아니라 다수의 동일한 엘리먼트의 임의의 결합(예컨대, a-a, a-a-a, a-a-b, a-a-c, a-b-b, a-c-c, b-b, b-b-b, b-b-c, c-c, 그리고 c-c-c 또는 a, b, 및 c의 임의의 다른 순서화)을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00156] 본 개시내용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지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DSP(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다른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원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결합, 예컨대,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00157] 본원에서 설명된 프로세싱은 위에서 논의된 임의의 디지털 수단, 및/또는 임의의 아날로그 수단 또는 회로소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00158] 본 개시내용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직접적으로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 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당업계에서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저장 매체의 일부 예들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등을 포함한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단일 명령 또는 다수의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몇몇 상이한 코드 세그먼트들에 걸쳐, 상이한 프로그램들 사이에, 그리고 다수의 저장 매체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커플링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일체형일 수 있다.
[00159] 본원에서 개시된 방법들은 설명된 방법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단계들 또는 액션들을 포함한다. 방법 단계들 및/또는 액션들은,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서로 상호교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단계들 또는 액션들의 특정 순서가 특정되지 않는 한, 특정 단계들 및/또는 액션들의 순서 및/또는 사용은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될 수 있다.
[00160]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로 구현되면, 예시적인 하드웨어 구성은 무선 노드 내의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시스템은 버스 아키텍처로 구현될 수 있다. 버스는, 프로세싱 시스템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설계 제약들에 따라 임의의 수의 상호연결 버스들 및 브리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버스는, 프로세서, 머신-판독가능 매체, 및 버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다양한 회로들을 함께 링크할 수 있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다른 것들 중에서 네트워크 어댑터를 버스를 통해 프로세싱 시스템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어댑터는 PHY 계층의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들(106 및 110)(도 1 참조) 중 임의의 사용자 디바이스의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예컨대, 키패드, 디스플레이, 마우스, 조이스틱 등)는 또한,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버스는 또한, 다양한 다른 회로들, 이를테면, 타이밍 소스들, 주변장치들, 전압 조정기들, 전력 관리 회로들 등을 링크할 수 있으며, 이들은 당업계에서 잘 알려져 있고, 그러므로, 더 이상 추가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00161] 프로세서는, 머신-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포함하여, 일반적인 프로세싱 및 버스를 관리하는 것을 담당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범용 및/또는 특수-목적 프로세서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DSP 프로세서들, 및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다른 회로소자를 포함한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디스크립션(description) 언어로 지칭되든 또는 달리 지칭되든 간에, 명령들, 데이터,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광범위하게 해석될 것이다. 머신-판독가능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레지스터들, 자기 디스크들, 광학 디스크들, 하드 드라이브들,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예로서 포함할 수 있다. 머신-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프로그램 제품은 패키징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162] 하드웨어 구현에서, 머신-판독가능 매체는 프로세서와 별개인 프로세싱 시스템의 일부일 수 있다. 그러나, 당업자들이 용이하게 인식할 바와 같이, 머신-판독가능 매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일부는 프로세싱 시스템 외부에 있을 수 있다. 예로서, 머신-판독가능 매체는 송신 라인, 데이터에 의해 변조된 반송파, 및/또는 무선 노드와 별개인 컴퓨터 제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전부는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로세서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하여, 머신-판독가능 매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일부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는데, 이를테면, 이 경우는 캐시 및/또는 범용 레지스터 파일들에 대해서일 수 있다.
[00163] 프로세싱 시스템은, 프로세서 기능성을 제공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및 머신-판독가능 매체의 적어도 일부를 제공하는 외부 메모리를 갖는 범용 프로세싱 시스템으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 전부는 외부 버스 아키텍처를 통해 다른 지원 회로소자와 함께 링크된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싱 시스템은, 프로세서, 버스 인터페이스, (액세스 단말의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지원 회로소자, 및 단일 칩에 통합된 머신-판독가능 매체의 적어도 일부를 갖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들, PLD(Programmable Logic Device)들, 제어기들, 상태 머신들, 게이팅된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회로소자, 또는 본 개시내용 전반에 걸쳐 설명된 다양한 기능성을 수행할 수 있는 회로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당업자들은,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전체 설계 제약들에 따라 프로세싱 시스템에 대한 설명된 기능성을 최상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인식할 것이다.
[00164] 머신-판독가능 매체는 다수의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싱 시스템으로 하여금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한다. 소프트웨어 모듈들은 송신 모듈 및 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소프트웨어 모듈은 단일 저장 디바이스에 상주하거나 또는 다수의 저장 디바이스들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 예로서, 소프트웨어 모듈은 트리거링 이벤트가 발생할 때 하드 드라이브로부터 RAM으로 로딩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의 실행 동안, 프로세서는 액세스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명령들 중 일부를 캐시에 로딩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캐시 라인들은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해 일반적인 레지스터 파일에 로딩될 수 있다. 아래에서 소프트웨어 모듈의 기능성을 참조할 때, 그러한 기능성은 그 소프트웨어 모듈로부터 명령들을 실행할 때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00165]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면, 기능들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명령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또는 이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일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의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및 컴퓨터 저장 매체 둘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그러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부, 자기 디스크 저장부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반송(carry)하거나 또는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연결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 적절히 불린다. 예컨대,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twisted pair), DSL(digital subscriber line), 또는 적외선(IR; infrared),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송신되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컴팩트 디스크(CD; compact disc), 레이저 디스크(disc), 광학 디스크(disc),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 디스크(disk), 및 Blu-ray® 디스크(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이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는 반면에,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들을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따라서, 일부 양상들에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예컨대, 유형의(tangible)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하여, 다른 양상들에 대해,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예컨대,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것들의 결합들이 또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00166] 따라서, 소정의 양상들은 본원에서 제시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그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명령들이 저장(및/또는 인코딩)되어 있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명령들은 본원에서 설명된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가능하다. 소정의 양상들에 대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패키징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00167] 추가로,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들 및 기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들 및/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은 적용가능할 때 사용자 단말 및/또는 기지국에 의해 다운로딩되고 그리고/또는 다른 방식으로 획득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예컨대, 그러한 디바이스는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서버에 커플링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원에서 설명된 다양한 방법들이 저장 수단(예컨대, RAM, ROM, 물리적 저장 매체, 이를테면, CD(compact disc) 또는 플로피 디스크 등)을 통해 제공될 수 있어서, 사용자 단말 및/또는 기지국은 저장 수단을 디바이스에 커플링하거나 또는 제공할 때 다양한 방법들을 획득할 수 있다. 게다가,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들 및 기법들을 디바이스에 제공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기법이 활용될 수 있다.
[00168] 청구항들이 위에서 예시된 바로 그 구성 및 컴포넌트들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양한 수정들, 변화들 및 변형들이,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위에서 설명된 방법들 및 장치의 어레인지먼트(arrangement), 동작 및 세부사항들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80)

  1.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시스템; 및
    송신을 위한 상기 프레임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제1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제1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지 않으며,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은 제2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제2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며;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1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도록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제3 부분 및 제4 부분을 포함하는 제2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도록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제1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고, 상기 제4 부분은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지 않으며, 상기 제3 부분 및 상기 제4 부분은 상기 제2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며;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제1 OFDM 송신의 서브캐리어들의 제1 세트를 통한 송신을 위해 구성된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의 제1 세트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부분을 구성하며; 그리고
    제2 OFDM 송신의 서브캐리어들의 제2 세트를 통한 송신을 위해 구성된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의 제2 세트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4 부분을 구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특정 원시 다항식에 대한 제1 시드(seed)에 기반하여 상기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의 제1 세트를 생성하며; 그리고
    상기 특정 원시 다항식에 대한 제2 시드에 기반하여 상기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의 제2 세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인터페이스는, 송신을 위한 상기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의 제1 세트 및 상기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의 제2 세트를 실질적으로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OFDM 송신의 서브캐리어들을 통한 송신을 위한 주파수-도메인 PRBS(pseudorandom binary sequence)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부분을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특정 원시 다항식에 대한 특정 시드에 기반하여 상기 PRBS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부분을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골레이 시퀀스(Golay sequence)를 포함하도록 상기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OFDM 송신의 서브캐리어들을 통한 송신을 위한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부분을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특정 임계치이거나 또는 그 미만의 PAPR(peak-to-average-power-ratio)을 갖는 상기 OFDM 송신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의 시퀀스를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의 AGC(automatic gain control)를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제1 필드;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상기 프레임의 OFDM 송신의 샘플들을 FFT(Fast Fourier Transform)에 입력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를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제2 필드; 및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상기 프레임과 연관된 채널 추정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제3 필드
    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부분을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상기 OFDM 송신의 서브캐리어들을 통한 송신을 위한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1 필드를 구성하고;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필드를 구성하며; 그리고
    상기 OFDM 송신의 서브캐리어들을 통한 송신을 위한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3 필드를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송신을 위한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제4 부분을 실질적으로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송신을 위한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을 시간 오프셋된 방식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제1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부분을 구성하며; 그리고
    제2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4 부분을 구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시간-도메인 시퀀스는 상기 제2 시간-도메인 시퀀스에 직교하며;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송신을 위한 상기 제1 시간-도메인 시퀀스 및 상기 제2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실질적으로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제1 OFDM 송신의 서브캐리어들의 제1 세트를 통한 송신을 위한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의 제1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부분을 구성하며; 그리고
    제2 OFDM 송신의 서브캐리어들의 제2 세트를 통한 송신을 위한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의 제2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4 부분을 구성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송신을 위한 상기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의 제1 시퀀스 및 상기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의 제2 시퀀스를 실질적으로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의 시간에 놓인 제1 패드 필드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1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상기 제3 부분과 상기 제4 부분 사이의 시간에 놓인 제2 패드 필드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패드 필드의 길이는 상기 제2 패드 필드의 길이를 초과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제1 골레이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1 패드 필드를 구성하도록, 그리고 제2 골레이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패드 필드를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1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도록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제3 부분 및 제4 부분을 포함하는 제2 서브프레임; 및
    제5 부분 및 제6 부분을 포함하는 제3 서브프레임
    을 포함하도록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제1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부분을 구성하고;
    상기 제1 시간-도메인 시퀀스에 직교하는 제2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4 부분을 구성하며; 그리고
    제3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6 부분을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제1 OFDM 심볼 인터벌 동안, 송신을 위한 상기 제1 시간-도메인 시퀀스 및 상기 제2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제2 OFDM 심볼 인터벌 동안, 송신을 위한 상기 제3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상기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2 OFDM 심볼 인터벌 동안 송신을 위한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및 상기 제2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출력을 생성하지 않도록,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및 상기 제2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며;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1 OFDM 심볼 인터벌 동안 송신을 위한 상기 제3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출력을 생성하지 않도록, 제3 송신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1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도록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제3 부분 및 제4 부분을 포함하는 제2 서브프레임;
    제5 부분 및 제6 부분을 포함하는 제3 서브프레임; 및
    제7 부분 및 제8 부분을 포함하는 제4 서브프레임
    을 포함하도록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제1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부분을 구성하고;
    상기 제1 시간-도메인 시퀀스에 직교하는 제2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4 부분을 구성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제1 OFDM 심볼 인터벌 동안, 송신을 위한 상기 제1 시간-도메인 시퀀스 및 상기 제2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됨―;
    제3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6 부분을 구성하며; 그리고
    상기 제3 시간-도메인 시퀀스에 직교하는 제4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8 부분을 구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인터페이스는, 제2 OFDM 심볼 인터벌 동안, 송신을 위한 상기 제3 시간-도메인 시퀀스 및 상기 제4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상기 인터페이스가, 제1 심볼 인터벌 동안 송신을 위한 상기 제3 서브프레임 및 상기 제4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출력을 생성하지 않도록, 상기 제3 서브프레임 및 상기 제4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며;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가, 제2 심볼 인터벌 동안 송신을 위한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및 상기 제2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출력을 생성하지 않도록,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및 상기 제2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제1 주파수 채널을 통한 송신을 위한 상기 제1 부분을 구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상기 제1 주파수 채널로부터 주파수가 이격된 제2 주파수 채널을 통한 송신을 위한 제3 부분을 포함하도록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도록 상기 제3 부분을 구성하도록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상기 제1 주파수 채널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 주파수 채널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본딩된 주파수 채널을 통한 송신을 위한 상기 제2 부분을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OFDM 송신의 서브캐리어들을 통한 송신을 위한 주파수-도메인 PRBS(pseudorandom binary sequence)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부분을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5.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부분을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6.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OFDM 송신의 서브캐리어들을 통한 송신을 위한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부분을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27.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으로서,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송신을 위한 상기 프레임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제1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제1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지 않으며,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은 제2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제2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며;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1 서브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제3 부분 및 제4 부분을 포함하는 제2 서브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제1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고, 상기 제4 부분은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지 않으며, 상기 제3 부분 및 상기 제4 부분은 상기 제2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며;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제1 OFDM 송신의 서브캐리어들의 제1 세트를 통한 송신을 위해 구성된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의 제1 세트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부분을 구성하며; 그리고
    제2 OFDM 송신의 서브캐리어들의 제2 세트를 통한 송신을 위해 구성된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의 제2 세트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4 부분을 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특정 원시 다항식에 대한 제1 시드에 기반하여 상기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의 제1 세트를 생성하며; 그리고
    상기 특정 원시 다항식에 대한 제2 시드에 기반하여 상기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의 제2 세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을 위한 상기 프레임을 출력하는 단계는, 송신을 위한 상기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의 제1 세트 및 상기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의 제2 세트를 실질적으로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28.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OFDM 송신의 서브캐리어들을 통한 송신을 위한 주파수-도메인 PRBS(pseudorandom binary sequence)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부분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29.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특정 원시 다항식에 대한 특정 시드에 기반하여 상기 PRBS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30.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부분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31.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골레이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32.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OFDM 송신의 서브캐리어들을 통한 송신을 위한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부분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33. 제3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특정 임계치이거나 또는 그 미만의 PAPR(peak-to-average-power-ratio)을 갖는 상기 OFDM 송신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의 시퀀스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34.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의 AGC(automatic gain control)를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제1 필드;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상기 프레임의 OFDM 송신의 샘플들을 FFT(Fast Fourier Transform)에 입력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를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제2 필드; 및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상기 프레임과 연관된 채널 추정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제3 필드
    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부분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35. 제3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OFDM 송신의 서브캐리어들을 통한 송신을 위한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1 필드를 구성하고;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필드를 구성하며; 그리고
    상기 OFDM 송신의 서브캐리어들을 통한 송신을 위한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3 필드를 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36.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을 위한 상기 프레임을 출력하는 단계는, 송신을 위한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제4 부분을 실질적으로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37.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을 위한 상기 프레임을 출력하는 단계는, 송신을 위한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을 시간 오프셋된 방식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38.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제1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부분을 구성하며; 그리고
    제2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4 부분을 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시간-도메인 시퀀스는 상기 제2 시간-도메인 시퀀스에 직교하며; 그리고
    인터페이스는, 송신을 위한 상기 제1 시간-도메인 시퀀스 및 상기 제2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실질적으로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39.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제1 OFDM 송신의 서브캐리어들의 제1 세트를 통한 송신을 위한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의 제1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부분을 구성하며; 그리고
    제2 OFDM 송신의 서브캐리어들의 제2 세트를 통한 송신을 위한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의 제2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4 부분을 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그리고
    인터페이스는, 송신을 위한 상기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의 제1 시퀀스 및 상기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의 제2 시퀀스를 실질적으로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40.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의 시간에 놓인 제1 패드 필드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1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부분과 상기 제4 부분 사이의 시간에 놓인 제2 패드 필드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드 필드의 길이는 상기 제2 패드 필드의 길이를 초과하며; 그리고 상기 송신을 위한 상기 프레임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의 송신을 위한 제1 패드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부분과 상기 제4 부분 사이의 송신을 위한 상기 제2 패드 필드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41. 제4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제1 골레이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1 패드 필드를 구성하는 단계, 및 제2 골레이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패드 필드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42.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1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도록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제3 부분 및 제4 부분을 포함하도록 제2 서브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제5 부분 및 제6 부분을 포함하도록 제3 서브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43. 제4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제1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부분을 구성하고;
    상기 제1 시간-도메인 시퀀스에 직교하는 제2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4 부분을 구성하며; 그리고
    제3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6 부분을 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44. 제43 항에 있어서,
    송신을 위한 상기 프레임을 출력하는 단계는, 제1 OFDM 심볼 인터벌 동안, 송신을 위한 상기 제1 시간-도메인 시퀀스 및 상기 제2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제2 OFDM 심볼 인터벌 동안, 송신을 위한 상기 제3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45. 제4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2 OFDM 심볼 인터벌 동안 송신을 위한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및 상기 제2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출력을 생성하지 않도록,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및 상기 제2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며;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1 OFDM 심볼 인터벌 동안 송신을 위한 상기 제3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출력을 생성하지 않도록, 제3 송신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46.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1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도록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제3 부분 및 제4 부분을 포함하는 제2 서브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제5 부분 및 제6 부분을 포함하는 제3 서브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제7 부분 및 제8 부분을 포함하는 제4 서브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47. 제4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제1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부분을 구성하고;
    상기 제1 시간-도메인 시퀀스에 직교하는 제2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4 부분을 구성하고 ―송신을 위한 상기 프레임을 출력하는 단계는, 제1 OFDM 심볼 인터벌 동안, 송신을 위한 상기 제1 시간-도메인 시퀀스 및 상기 제2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함―;
    제3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6 부분을 구성하며; 그리고
    상기 제3 시간-도메인 시퀀스에 직교하는 제4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8 부분을 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송신을 위한 상기 프레임을 출력하는 단계는, 제2 OFDM 심볼 인터벌 동안, 송신을 위한 상기 제3 시간-도메인 시퀀스 및 상기 제4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48. 제4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1 심볼 인터벌 동안 송신을 위한 상기 제3 서브프레임 및 상기 제4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출력을 생성하지 않도록, 상기 제3 서브프레임 및 상기 제4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며;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2 심볼 인터벌 동안 송신을 위한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및 상기 제2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출력을 생성하지 않도록,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및 상기 제2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49.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제1 주파수 채널을 통한 송신을 위한 상기 제1 부분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주파수 채널로부터 주파수가 이격된 제2 주파수 채널을 통한 송신을 위한 제3 부분을 포함하도록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도록 상기 제3 부분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주파수 채널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 주파수 채널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본딩된 주파수 채널을 통한 송신을 위한 상기 제2 부분을 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50. 제4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OFDM 송신의 서브캐리어들을 통한 송신을 위한 주파수-도메인 PRBS(pseudorandom binary sequence)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부분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51. 제4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부분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52. 제4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는, OFDM 송신의 서브캐리어들을 통한 송신을 위한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부분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방법.
  53.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로서,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및
    송신을 위한 상기 프레임을 출력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제1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제1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지 않으며,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은 제2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제2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며;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1 서브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및 제3 부분 및 제4 부분을 포함하는 제2 서브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제1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고, 상기 제4 부분은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지 않으며, 상기 제3 부분 및 상기 제4 부분은 상기 제2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며;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제1 OFDM 송신의 서브캐리어들의 제1 세트를 통한 송신을 위해 구성된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의 제1 세트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부분을 구성하며; 그리고
    제2 OFDM 송신의 서브캐리어들의 제2 세트를 통한 송신을 위해 구성된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의 제2 세트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4 부분을 구성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특정 원시 다항식에 대한 제1 시드에 기반하여 상기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의 제1 세트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특정 원시 다항식에 대한 제2 시드에 기반하여 상기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의 제2 세트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을 위한 상기 프레임을 출력하기 위한 수단은, 송신을 위한 상기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의 제1 세트 및 상기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의 제2 세트를 실질적으로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출력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54. 제5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OFDM 송신의 서브캐리어들을 통한 송신을 위한 주파수-도메인 PRBS(pseudorandom binary sequence)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부분을 구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55. 제5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특정 원시 다항식에 대한 특정 시드에 기반하여 상기 PRBS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56. 제5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부분을 구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57. 제5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골레이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구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58. 제5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OFDM 송신의 서브캐리어들을 통한 송신을 위한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부분을 구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59. 제5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특정 임계치이거나 또는 그 미만의 PAPR(peak-to-average-power-ratio)을 갖는 상기 OFDM 송신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의 시퀀스를 구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60. 제5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의 AGC(automatic gain control)를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제1 필드;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상기 프레임의 OFDM 송신의 샘플들을 FFT(Fast Fourier Transform)에 입력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를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제2 필드; 및
    상기 제2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상기 프레임과 연관된 채널 추정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제3 필드
    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부분을 구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61. 제6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OFDM 송신의 서브캐리어들을 통한 송신을 위한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1 필드를 구성하고;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필드를 구성하며; 그리고
    상기 OFDM 송신의 서브캐리어들을 통한 송신을 위한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3 필드를 구성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62. 제5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을 위한 상기 프레임을 출력하기 위한 수단은, 송신을 위한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제4 부분을 실질적으로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출력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63. 제5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을 위한 상기 프레임을 출력하기 위한 수단은, 송신을 위한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을 시간 오프셋된 방식으로 출력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64. 제5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제1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부분을 구성하기 위한 수단; 및
    제2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4 부분을 구성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시간-도메인 시퀀스는 상기 제2 시간-도메인 시퀀스에 직교하며; 그리고
    상기 프레임을 출력하기 위한 수단은, 송신을 위한 상기 제1 시간-도메인 시퀀스 및 상기 제2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실질적으로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출력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65. 제5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제1 OFDM 송신의 서브캐리어들의 제1 세트를 통한 송신을 위한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의 제1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부분을 구성하기 위한 수단; 및
    제2 OFDM 송신의 서브캐리어들의 제2 세트를 통한 송신을 위한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의 제2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4 부분을 구성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프레임을 출력하기 위한 수단은, 송신을 위한 상기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의 제1 시퀀스 및 상기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의 제2 시퀀스를 실질적으로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출력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66. 제5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 사이의 시간에 놓인 제1 패드 필드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1 서브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3 부분과 상기 제4 부분 사이의 시간에 놓인 제2 패드 필드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서브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드 필드의 길이는 상기 제2 패드 필드의 길이를 초과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67. 제6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제1 골레이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1 패드 필드를 구성하고, 제2 골레이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패드 필드를 구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68. 제5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1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도록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제3 부분 및 제4 부분을 포함하도록 제2 서브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및
    제5 부분 및 제6 부분을 포함하도록 제3 서브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69. 제6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제1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부분을 구성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1 시간-도메인 시퀀스에 직교하는 제2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4 부분을 구성하기 위한 수단; 및
    제3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6 부분을 구성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70. 제69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을 위한 상기 프레임을 출력하기 위한 수단은,
    제1 OFDM 심볼 인터벌 동안, 송신을 위한 상기 제1 시간-도메인 시퀀스 및 상기 제2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출력하기 위한 수단, 및
    제2 OFDM 심볼 인터벌 동안, 송신을 위한 상기 제3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출력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71. 제7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및 상기 제2 서브프레임을 출력하는 것이 상기 제2 OFDM 심볼 인터벌 동안 어떤 송신도 야기하지 않도록,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및 상기 제2 서브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한 수단; 및
    송신을 위한 제3 서브프레임을 출력하는 것이 상기 제1 OFDM 심볼 인터벌 동안 어떤 송신도 야기하지 않도록, 제3 송신 서브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72. 제5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1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도록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제3 부분 및 제4 부분을 포함하는 제2 서브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제5 부분 및 제6 부분을 포함하는 제3 서브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및
    제7 부분 및 제8 부분을 포함하는 제4 서브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73. 제7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제1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부분을 구성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1 시간-도메인 시퀀스에 직교하는 제2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4 부분을 구성하기 위한 수단 ―상기 송신을 위한 상기 프레임을 출력하기 위한 수단은, 제1 OFDM 심볼 인터벌 동안, 송신을 위한 상기 제1 시간-도메인 시퀀스 및 상기 제2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출력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함―;
    제3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6 부분을 구성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3 시간-도메인 시퀀스에 직교하는 제4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8 부분을 구성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을 위한 상기 프레임을 출력하기 위한 수단은, 제2 OFDM 심볼 인터벌 동안, 송신을 위한 상기 제3 시간-도메인 시퀀스 및 상기 제4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출력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74. 제7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송신을 위한 상기 제3 서브프레임 및 상기 제4 서브프레임을 출력하는 것이 제1 심볼 인터벌 동안 어떤 송신도 초래하지 않도록, 상기 제3 서브프레임 및 상기 제4 서브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및 상기 제2 서브프레임을 출력하는 것이 제2 심볼 인터벌 동안 어떤 송신도 초래하지 않도록, 상기 제1 서브프레임 및 상기 제2 서브프레임을 구성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75. 제5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제1 주파수 채널을 통한 송신을 위한 상기 제1 부분을 구성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1 주파수 채널로부터 주파수가 이격된 제2 주파수 채널을 통한 송신을 위한 제3 부분을 포함하도록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1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도록 상기 제3 부분을 구성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1 주파수 채널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2 주파수 채널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본딩된 주파수 채널을 통한 송신을 위한 상기 제2 부분을 구성하기 위한 수단
    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76. 제7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OFDM 송신의 서브캐리어들을 통한 송신을 위한 주파수-도메인 PRBS(pseudorandom binary sequence)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부분을 구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77. 제7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시간-도메인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부분을 구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78. 제7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은, OFDM 송신의 서브캐리어들을 통한 송신을 위한 주파수-도메인 파일럿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부분을 구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장치.
  79. 명령들이 저장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들은,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기 위한 명령들; 및
    송신을 위한 상기 프레임을 출력하기 위한 명령들
    이며,
    상기 제1 부분은 제1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제1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지 않으며,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은 제2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제2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며;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은,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1 서브프레임을 생성하는 것, 및 제3 부분 및 제4 부분을 포함하는 제2 서브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제1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고, 상기 제4 부분은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지 않으며, 상기 제3 부분 및 상기 제4 부분은 상기 제2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며;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은,
    제1 OFDM 송신의 서브캐리어들의 제1 세트를 통한 송신을 위해 구성된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의 제1 세트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부분을 구성하며; 그리고
    제2 OFDM 송신의 서브캐리어들의 제2 세트를 통한 송신을 위해 구성된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의 제2 세트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4 부분을 구성하는 것
    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은,
    특정 원시 다항식에 대한 제1 시드에 기반하여 상기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의 제1 세트를 생성하며; 그리고
    상기 특정 원시 다항식에 대한 제2 시드에 기반하여 상기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의 제2 세트를 생성하는 것
    을 포함하며,
    상기 송신을 위한 상기 프레임을 출력하는 것은, 송신을 위한 상기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의 제1 세트 및 상기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의 제2 세트를 실질적으로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80. 무선 노드로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시스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송신을 위한 상기 프레임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제1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제1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지 않으며,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은 제2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제2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며;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제1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도록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제3 부분 및 제4 부분을 포함하는 제2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도록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부분은 상기 제1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고, 상기 제4 부분은 상기 제1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지 않으며, 상기 제3 부분 및 상기 제4 부분은 상기 제2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상기 제2 디바이스에 의해 디코딩가능하며;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제1 OFDM 송신의 서브캐리어들의 제1 세트를 통한 송신을 위해 구성된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의 제1 세트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부분을 구성하며; 그리고
    제2 OFDM 송신의 서브캐리어들의 제2 세트를 통한 송신을 위해 구성된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의 제2 세트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4 부분을 구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세싱 시스템은,
    특정 원시 다항식에 대한 제1 시드에 기반하여 상기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의 제1 세트를 생성하며; 그리고
    상기 특정 원시 다항식에 대한 제2 시드에 기반하여 상기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의 제2 세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인터페이스는, 송신을 위한 상기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의 제1 세트 및 상기 주파수-도메인 PRBS 데이터의 제2 세트를 실질적으로 시간 정렬된 방식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노드.
KR1020187025128A 2016-03-02 2017-02-23 Agc, 타이밍, 및 채널 추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필드들을 갖는 단일 채널, 본딩된 채널 및 mimo ofdm 프레임들을 송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0754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02754P 2016-03-02 2016-03-02
US62/302,754 2016-03-02
US15/439,048 2017-02-22
US15/439,048 US10333669B2 (en) 2016-03-02 2017-02-22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ngle channel, bonded channel, and MIMO OFDM frames with fields to facilitate AGC, timing, and channel estimation
PCT/US2017/019187 WO2017151393A2 (en) 2016-03-02 2017-02-23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ngle channel, bonded channel, and mimo ofdm frames with fields to facilitate agc, timing, and channel estim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175A true KR20180120175A (ko) 2018-11-05
KR102075455B1 KR102075455B1 (ko) 2020-02-10

Family

ID=59724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5128A KR102075455B1 (ko) 2016-03-02 2017-02-23 Agc, 타이밍, 및 채널 추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필드들을 갖는 단일 채널, 본딩된 채널 및 mimo ofdm 프레임들을 송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333669B2 (ko)
EP (1) EP3424192B1 (ko)
JP (1) JP6591694B2 (ko)
KR (1) KR102075455B1 (ko)
CN (1) CN108702350B (ko)
BR (1) BR112018067354A2 (ko)
CA (1) CA3012865C (ko)
ES (1) ES2764428T3 (ko)
HU (1) HUE046810T2 (ko)
TW (1) TWI697219B (ko)
WO (1) WO201715139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9133A (ko) 2021-04-30 2022-11-08 서재원 유산균 썬 수분 쿠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06535B1 (en) * 2011-06-24 2021-02-24 Sun Patent Trust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receiving device and receiving method
US10505765B2 (en) * 2016-04-28 2019-12-10 Intel IP Corporation Channel estimation fields for wireless networks
US10587442B2 (en) * 2016-05-03 2020-03-10 Intel IP Corporation Enhanced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preamble frame
CN107566022B (zh) * 2016-06-30 2020-10-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波束训练序列设计方法及装置
US20180013480A1 (en) * 2016-07-11 2018-01-11 Intel Corporation Header encoding and modulation for single carrier physical layer
US10256952B2 (en) * 2016-07-14 2019-04-09 Intel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a transmission according to a symbol block structure and guard interval (GI) scheme
US10355896B2 (en) * 2016-09-09 2019-07-16 Intel Corporation Optimized channel estimation field for enhanced directional multi-gigabit network
US11108603B2 (en) * 2016-10-10 2021-08-31 Qualcomm Incorporated Frame format with dual mode channel estimation field
EP3528445B1 (en) * 2017-01-10 2021-09-0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wlan system and device therefor
WO2018175722A1 (en) * 2017-03-23 2018-09-27 Intel IP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an edmg ppdu
WO2018236660A1 (en) * 2017-06-19 2018-12-27 Intel IP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 (PPDU)
US11539455B2 (en) * 2017-06-26 2022-12-27 Intel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a 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 (PPDU)
US10904062B2 (en) 2017-08-08 2021-01-26 Intel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a 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 (PPDU) including a training field
US10419066B1 (en) * 2017-10-05 2019-09-17 Harmonic, Inc. Remote radio frequency (RF) AGC loop
US11546026B2 (en) * 2017-10-18 2023-01-03 Intel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a physical layer protocol data unit (PPDU)
EP3614752B1 (en) * 2018-06-27 2021-11-1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 in wireless lan system, and device therefor
CN109039961A (zh) * 2018-07-16 2018-12-18 成都吉纬科技有限公司 用于高速环境下的车地通信方法
TWI681655B (zh) * 2018-10-08 2020-01-0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無線區域網路系統中進行位元層級管理之方法、傳送器以及接收器
CN111262805B (zh) * 2018-11-30 2023-01-13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装置及系统
EP4084386A1 (en) * 2021-04-29 2022-11-02 Nxp B.V. Apparatuses and methods involving communications utilizing different protocols in a common channe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2366A (ko) * 2007-10-31 2010-06-30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특성들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912B1 (ko) 2003-06-16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장치 및 방법
US7039412B2 (en) 2003-08-08 2006-05-02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wireless signals on multiple frequency channels in a frequency agile network
CN100446459C (zh) * 2004-07-27 2008-12-24 美国博通公司 以混合模式帧结构进行高速绿地传输的网络设备和方法
EP1622290B1 (en) 2004-07-27 2008-03-05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wide bandwidth mixed-mode wireless communications
US7742389B2 (en) 2005-08-23 2010-06-22 Agere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short preamble formats in a multiple antenna communication system
EP2122954A2 (en) * 2007-01-15 2009-11-2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 generating low peak-to-average power ratio ( papr) binary preamble sequences for ofdm systems
US9935805B2 (en) * 2009-08-25 2018-04-03 Qualcomm Incorporated MIMO and MU-MIMO OFDM preambles
US9197473B2 (en) 2013-06-06 2015-11-24 Broadcom Corporation Preamble with modified signal field (SIG) for use in wireless communications
CA3068668C (en) 2013-08-19 2022-04-12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EP3017641B1 (en) * 2013-11-12 2019-10-02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high efficiency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ommunications
ES2899194T3 (es) * 2014-09-30 2022-03-10 Huawei Tech Co Ltd Método y aparato de transmisión de datos
US10044635B2 (en) 2014-12-09 2018-08-07 Qualcomm Incorporated Frame formats for channel bonding and MIMO transmissions
US10021695B2 (en) 2015-04-14 2018-07-10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data frames
US9960877B2 (en) * 2015-04-30 2018-05-01 Inten IP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beamforming
KR20180016364A (ko) * 2015-06-03 2018-02-14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집약 물리층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의 전송 장치 및 전송 방법
WO2017031001A1 (en) * 2015-08-14 2017-02-23 Marvell World Trade Ltd. Physical layer data unit format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2366A (ko) * 2007-10-31 2010-06-30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송신 특성들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 Eitan et al, "PHY Frame Format proposal for 11ay", IEEE 802.11-16/0061, January 2016(2016.01.18.)* *
Carlos Cordeiro, "Specification Framework for TGay", IEEE 802.11-15/01358r2 (2016.01.27.)* *
E.Manasseh et al, "DESIGN OF LOW PAPR PREAMBLE AND PILOT SYMBOL FOR CHANNEL ESTIMATION IN OFDM SYSTEMS", ICIC, Vol.7, January 2011(2011.01.)* *
IEEE Std 802.11ad™-2012, 28 December 2012(2012.12.28.)* *
Timothy M. Schmidl et al, "Robust Frequency and Timing Synchronization for OFDM", IEEE TRANSACTIONS ON COMMUNICATIONS, VOL. 45, NO. 12, DEC. 1997(1997.12.)*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9133A (ko) 2021-04-30 2022-11-08 서재원 유산균 썬 수분 쿠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702350B (zh) 2020-10-27
WO2017151393A2 (en) 2017-09-08
CA3012865C (en) 2021-01-19
CN108702350A (zh) 2018-10-23
TW201735597A (zh) 2017-10-01
BR112018067354A2 (pt) 2019-01-15
US10333669B2 (en) 2019-06-25
JP6591694B2 (ja) 2019-10-16
HUE046810T2 (hu) 2020-03-30
KR102075455B1 (ko) 2020-02-10
US20170257201A1 (en) 2017-09-07
ES2764428T3 (es) 2020-06-03
TWI697219B (zh) 2020-06-21
EP3424192A2 (en) 2019-01-09
JP2019512923A (ja) 2019-05-16
CA3012865A1 (en) 2017-09-08
EP3424192B1 (en) 2019-09-25
WO2017151393A3 (en) 2017-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5455B1 (ko) Agc, 타이밍, 및 채널 추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필드들을 갖는 단일 채널, 본딩된 채널 및 mimo ofdm 프레임들을 송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78577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data frames
US10033564B2 (en) Frame format for facilitating channel estimation for signals transmitted via bonded channels
JP6833946B2 (ja) サブキャリアの再チャネル化
US201901096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header data portion of a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