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9953A - Double drain cup for sinks with adjustable consumption of cleaning block - Google Patents

Double drain cup for sinks with adjustable consumption of cleaning b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9953A
KR20180119953A KR1020170053733A KR20170053733A KR20180119953A KR 20180119953 A KR20180119953 A KR 20180119953A KR 1020170053733 A KR1020170053733 A KR 1020170053733A KR 20170053733 A KR20170053733 A KR 20170053733A KR 20180119953 A KR20180119953 A KR 20180119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water
cleaning block
sink
in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37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23819B1 (en
Inventor
김용배
Original Assignee
김용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배 filed Critical 김용배
Priority to KR1020170053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819B1/en
Publication of KR20180119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95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8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0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2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 drain cup for a sink capable of controlling an amount of cleaning block consumption. When a user performs cleaning operation such as washing dishes, the double drain cup disintegrates and sterilizes butterfat which is fixed to a sink drain pipe while a cleaning block stored therein dissolves in water, so that a flow of cleaning water in the sink drain pipe is maintained smoothly by storing the cleaning block installed at an entrance of a sink drain at a place where a large amount of water is used such as a hotel or a restaurant or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water is used such a household. In order to control consumption of the cleaning block which removes malodor backflowing through the sink drain, the double drain cup is possible to control a consumption amount of the cleaning block stored by variably controlling an inflow amount of dishwater by forming the double drain cup consisting of a cleaning block receiving cup and a water inflow controlling cup in the amount of dishwater flowing through a mounting main body drain.

Description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Double drain cup for sinks with adjustable consumption of cleaning block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 drain cup for sinks,

본 발명은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호텔, 음식점 등 대량으로 물을 사용하는 곳이나 가정과 같이 비교적 소량으로 물을 사용하는 곳의 싱크대의 배수구 입구에 설치되어 내부에 세정작용 및 탈취작용을 하는 세정블록을 수납하여 설거지 등의 세정작업을 할 때, 수납된 세정블록이 물에 녹으면서 싱크대 배수관에 고착된 유지방 등을 분해 및 살균하여 싱크대 배수관의 세정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시키고, 배수구를 통해 역류되는 악취를 제거하는 세정블록의 소모량을 조절하도록, 거치본체의 배수공을 통해 흘러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양을 세정블럭 수납컵 및 물유입 조절컵으로 이루어지는 이중 배수컵으로 형성하여 설거지 물의 유입량을 가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수납된 세정블록의 소모량을 조절할 수 있는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al drainage cup for a sink capable of controlling the consumption of a cleaning block.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 drainage cup for a sink in which a large amount of water is used, such as a hotel, When the washing block such as washing dishes is housed in a cleaning block installed in the entrance and having a cleaning action and a deodorizing action therein, it is possible to disassemble and sterilize the milking box fixed to the sink drain pipe while the cleaning block stored therein is dissolved in water, The amount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drain hole of the mounting body is adjusted by the amount of the washing block accommodating cup and the water inflow adjusting cup so that the amount of wash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drain hole of the mounting body is controlled so as to smoothly maintain 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So that the inflow amount of the dishwashing water can be variably controlled, The cleaning block is controlled consumption with adjustable consumption of cleaning blocks on the possible double sink drain cups.

일반적으로, 싱크대는 조리할 음식 재료를 씻거나 다듬고, 음식을 조리한 요리기구 또는 식기류를 세정하고, 음식 쓰레기를 처리하는 생활가구로서, 음식에 포함된 유지방을 비롯한 각종 오염물이 섞인 생활하수를 하수 처리시설로 배출하게 되므로, 싱크대 배수구 입구에는 뚜껑 기능을 수행하는 거치본체가 배치되고 배수구 하부로 배수관 내부에는 음식물 찌꺼기를 걸려내는 걸름망체가 설치된다. Generally, a sink is a living household that cleans and refines food to be cooked, cooks cooking utensils or dishes that cook food, and treats food wastes. It is a living household that uses household sewage mixed with various contaminants, So that a sinking body for performing the lid function is disposed at the inlet of the sink drainage, and a screening net for catching the food waste inside the drainage pipe is installed below the drainage port.

이와 같이 유지방을 비롯한 오염물이 포함된 생활하수는 싱크대의 배수구를 통해 배출되므로, 싱크대의 배수구와 연결된 배수관 내에는 생활하수에 포함된 유지방과 같은 각종 오염물이 고착되게 되어 배수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며 여기에 각종 세균이 번식하게 되어 악취가 배수관을 타고 역류하여 싱크대의 배수구를 통해 실내로 유출되게 된다. As such, domestic sewage containing contaminated soil including milk tanks is discharged through the drain port of the sink, so that various contaminants such as milk fat contained in the domestic sewage are fixed in the drain pipe connected to the drain port of the sink, Here, various kinds of bacteria propagate, and the odor flows backward through the drain pipe and flows out to the room through the drain port of the sink.

따라서, 생활하수에 포함된 각종 오염물을 분해하여 배수관에 고착되지 못하도록 싱크대 배수구의 입구에 설치되는 거치본체의 내부 또는 하부로 세정액 또는 세정블록 등의 세정물질을 수납하여, 설거지를 할 때 발생되는 설거지 물이 수납된 세정물질을 녹여 세정물질에 내포된 세정성분으로 유지방 등의 오염물을 분해 및 살균하여 배수관에 고착되지 못하게 하고 바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잔존하는 오염물에 의한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Therefore, the cleaning liquid such as the cleaning liquid or the cleaning block is stored in the inside or the lower part of the mounting body installed at the inlet of the sink drain so that the various pollutants contained in the domestic sewage can be decomposed and fixed to the drain pipe, The cleaning material contained in the water dissolves to dissolve and sterilize contaminants such as milk fat with cleaning components contained in the cleaning material so as not to be fixed to the drain pipe and to be discharged immediately to prevent backflow of the odor due to the remaining contaminants .

이와 같이, 싱크대 배수구의 입구에 설치되어 세정물질을 수납하는 싱크대용 배수캡에 관한 종래의 방안을 살펴보면, 먼저 액체 세정물질을 수납하도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36313호, 명칭으로 '방부 처리 기능이 있는 싱크대 뚜껑'이 제안된바, 상기 제안에 따르면 방부 용액을 싱크대 뚜껑에 설치되는 용액보관통에 수용하고 사용자가 손으로 용액보관통을 눌러 수용된 방부 용액을 싱크대 배수구로 흐르게 하여 오염물을 제거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상기 제안은 설거지를 하면서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용액보관통의 상부를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용액보관통 내부에 수용된 방부 용액이 싱크대 배수구로 흐르도록 용액보관통의 구조를 복잡하게 구성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설거지할 때 사용하는 물을 활용하지 못하게 되는 한계점이 있는 제안이었다.In the conventional method for a drain pan for a sink, which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a sink drain hole and houses the cleansing material as described above, it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0-0136313 A countertop of a sink having a function is suggested. According to the above proposal, the preservative solution is accommodated in a solution reservoir installed in a sink cover, and a user pushes the solution reservoir by hand to flow the preservative solution into the sink drain to remove contaminants . However, the above-mentioned proposal has a problem that the user must directly press the upper part of the solution reservoir by hand while washing the dishes, and the structure of the solution reservoir must be complicated so that the preservative solution contained in the solution reservoir flows into the sink drain , Suggesting that there is a limit to the use of the water used in the dishes.

한편, 고형(固形)의 세정물질 즉 세정블록을 수납하도록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6742호, 명칭으로 '싱크대 배수구 커버'가 제안된바, 상기 제안에 따르면, 세정블록을 수납하는 덮개부, 거치부, 배출부로 이루어지는 커버본체와 상기 커버본체의 덮개부를 착탈가능하게 덮는 뚜껑부로 이루어지는 싱크대 배수구 커버를 싱크대 배수구의 입구에 설치하여 설거지할 때 사용하는 물을 활용하여 세정블록을 녹여 하부의 싱크대 배수관으로 흐르게 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상기 방안은 세정블록을 덮개부 중앙의 오목한 수납공간상에 수납하게 되어 어느 정도 높이의 물이 차 있어야 세정블록을 녹인 세정수가 덮개부의 수납공간을 넘치면서 유출로를 통해 하부 방향의 싱크대 배수관으로 흐르게 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어, 용해된 세정수는 유출로를 통해 그대로 배구관으로 흘러 내려가게 되고 수납공간이 협소하여 수납되는 세정블록은 작은 크기로 납작하게 만들어야 하여 세정블록의 교체가 수시로 이루어져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방안이었다.On the other hand,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76742 entitled "Sink Drain Cover" was proposed to store a solid cleaning material, that is, a cleaning block. According to the proposal, the lid portion for containing the cleaning block, A sink base drain cover provided with a cover main body composed of a cover part and a cover part detachably covering the cover main body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a sink drain hole to dissolve the cleaning block using the water used for washing the sink base, To the flow of the water. However, since the cleaning block is housed in the concave storage space at the center of the lid part, water of a certain height needs to be filled to some extent so that the washing water that melts the cleaning block flows over the storage space of the lid part to the downward sink- So that the dissolved cleansing water flows down through the outflow path as it is to the volute tube and the washing block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in a narrow space is made flat to be small in size so that replacement of the washing block needs to be performed from time to time It was a room with a good feeling.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7412호, 명칭으로 '세정블록의 교환이 용이한 싱크대용 배수캡'을 제안한바, 도 1의 도시와 같이, 싱크대 배수구에 거치되는 캡본체(1)의 저면으로 세정블록을 수납하는 세정블록 수납컵(2)을 형성하고 세정블록 수납컵(2)의 측면으로 다수의 세정액 배출공(2a)을 형성하여, 배수공(1a)을 통해 설거지 물이 유입되고 이 설거지 물에 의해 세정블록이 용해되면서 형성되는 세정액이 세정액 배출공(2a)을 통해 배수관으로 흘러나가게 하여, 설거지 물을 활용하여 캡본체(1)의 하부로 장착되어 다양한 크기의 세정블록을 수납하는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의 세정액 배출공(2a)을 통해 세정블록이 용해된 세정액이 흘러내리도록 하는 싱크대용 배수캡을 제안하였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Korean Patent No. 10-1677412, entitled " Sink Drain Cap for easy exchange of cleaning block ", fil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gistered therein is proposed. As shown in Fig. 1, A cleaning block accommodating cup 2 for accommodating the cleaning block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b body 1 to be mounted and a plurality of cleaning liquid discharge holes 2a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leaning block storage cup 2, And the washing block is dissolved by the washing water, the washing liquid is discharged to the drain pipe through the washing liquid discharging hole 2a, and the washing liquid is discharged to the lower part of the cap body 1 , And a cleaning liquid dissolving the cleaning block flows through the cleaning liquid discharge hole (2a) of the cleaning block receiving cup (2) storing the cleaning blocks of various sizes.

그러나 상기 싱크대용 배수캡을 실제 음식점이나 가정에 설치하여 사용하였을 때 예기치 못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는데, 즉 설거지 물을 많이 사용하는 경우 및 비교적 고온의 설거지 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세정블록 수납컵 내부에 수납되는 세정블록이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많이 용해되면서 용해된 세정액은 배수관을 통해 그대로 흘러 내려가게 되어 세정블록이 빨리 소모되면서 세정블록의 소모량이 예상외로 많아지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현실적으로 발생하였다.However, when the drain cap for the sink is installed in an actual restaurant or a home, an unexpected problem arises. That is, in the case of using a large amount of dishwashing water or using a relatively high-temperature dishwashing water, The cleaning block is dissolved at a higher rate than expected, and the dissolved cleaning fluid flows down through the drain pipe as it is, so that the cleaning block is consumed quickly and the consumption of the cleaning block is increased unexpectedly.

(선행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36313호(Prior Ar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136313 (선행문헌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6742호(Prior Art 2)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76742 (선행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7412호(Prior Art 3) Korean Patent No. 10-1677412

본 발명은 상기 선행문헌 2 및 3의 문제점 즉, 커버본체 내부 또는 세정블록 수납컵에 수납되는 세정블록이 설거지 물의 사용량 및 높은 수온에 의해 매우 빠른 속도로 용해되어 세정블록 소모량이 예상외로 많아지게 되어 빈번하게 세정블록을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싱크대의 배수구 입구에 거치되는 거치본체 하부에 장착되고 세정블록을 수납하면서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이중 배수컵을 구비하는 싱크대용 배수컵에 있어서, 싱크대 배수구에 거치되는 거치본체와, 거치본체의 저면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고정되며 내부로는 세정블록을 수납하고 측면으로는 설거지 물이 유입되고 세정블록이 용해된 세정액이 유출되는 물통과공이 형성된 세정블록 수납컵과,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의 외부로 설치되면서 거치본체의 저면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고정되며 측면으로 설거지 물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물유입 조절공이 형성된 물유입 조절컵으로 이루어져, 상기 물유입 조절컵을 회전작동하여 물유입 조절컵 측면에 형성된 상기 물유입 조절공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 측면의 물통과공으로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유입면적을 가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에 수납된 세정블록의 소모량을 조절할 수 있어, 세정블록의 사용기한을 사용자가 원하는 기한으로 자유롭게 자의적으로 연장할 수 있는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documents 2 and 3, that is, the cleaning block stored in the cover body or the cleaning block storage cup dissolves at a very high speed due to the use amount of the dishes and high water temperature, The drain cup for a sink includes a double drain cup which is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a sink body of a sink and accommodates the wash block and is capable of adjusting a consumption amount of a cleaning block, A bucket body which is detachably assembled and fix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body and accommodates the cleaning block in the inside thereof and the washing water into which the washing solution is introduced, And a cleaning block accommodating cup formed outside the cleaning block accommodating cup, And a water inflow adjusting cup formed to be detachably assemb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water inflow adjusting hole for adjusting the inflow amount of the washing water on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inflow adjusting cup, The amount of consumption of the cleaning block housed in the cleaning block accommodating cup can be adjusted by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inflow adjusting hole to variably adjust the inflow area of the dish soaked into the bucket and the ball on the side of the cleaning block accommodating cup,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ouble drain cup for a sink capable of adjusting the consumption of a cleaning block which can be freely and arbitrarily extended by a user's desired period.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은, 싱크대의 배수구에 거치되도록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거치환테와, 상기 거치환테에 인접하여 설거지의 물을 세정블록이 수납된 세정블록 수납컵 및 배수구로 배수시키는 다수의 배수공과, 상기 거치환테 및 배수공 사이에 하부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면서 설거지 물을 상기 배수공을 통해 하부로 안내하는 경사배수유로와, 중앙에 형성되며 세정블록에 물이 유입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중앙유입공으로 이루어지는 거치본체에 세정블록의 소모량을 조절하는 이중 배수컵이 조립되어 고정되는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에 있어서, 상기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은, 저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세정블록을 수납하는 세정블록 수납컵이 걸려 고정되는 걸림공간을 제공하는 다수의 걸림테가 형성된 거치본체와; 상기 거치본체의 저면에 형성된 상기 걸림테에 착탈가능하게 걸려 조립되고, 내부에 세정블록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측면에 설거지 물이 유입되고 세정블록이 녹은 세정액이 하부의 걸름망체 및 싱크대 배수관으로 흘러 유출되도록 하는 다수의 물통과공이 형성되고, 상부 외주연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테의 걸림공간으로 삽입되어 걸림 조립되도록 하는 다수의 걸림편이 형성되고, 저면 외주연를 따라 상기 물통과공을 통해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유입면적의 크기를 나타내는 다수의 유입면적 표시부가 형성되어 있는 세정블록 수납컵과;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의 외부로 설치되되 상기 거치본체의 저면에 형성된 상기 걸림테에 착탈가능하게 걸려 조립되고, 내부에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측면에 상기 물통과공을 통해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양을 조절하는 다수의 물유입 조절공이 형성되고, 상부 외주연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테의 걸림공간으로 삽입되어 걸림 조립되도록 하는 다수의 걸림편이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는 회전손잡이가 저면과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 가능하고, 저면 외주연에 인접하여 상기 유입면적 표시부의 표시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확인창이 형성되어 있는 외부 배수캡;으로 이루어지는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a water purifying apparatus for a sanitary landfill, comprising: a removable frame formed along an outer periphery to be placed in a drain port of a sink;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drain hole and protruding downwardly between the drain hole and the drain hole to guide the dishwash water to the bottom through the drain hole; A double drain cup for a sink, in which a double drain cup for adjusting the consumption amount of a cleaning block is assembled and fixed to a mounting body made of an inflow hole, the dual drain cup for a sink capable of adjusting the consumption amount of the cleaning block, A plurality of latching frames for providing a latching space for latching and securing a cleansing block receiving cup for receiving the blocks A tooth body; Wherein the cleaning liquid is suppli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mounting block so that the cleaning liquid can be received in the cleaning chamber, And a plurality of water bottles and a plurality of balls are formed on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edge to be inserted into the catching space of the catching frame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catching platform. A cleaning block accommodating cup having a plurality of inflow area display portions formed thereon, the inflow area displaying portions being indicative of a size of an inflow area of the dishwash water flowing through the overflow; A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the cleaning block accommodating cup is formed inside the cleaning block accommodating cup and detachably mounted on the retaining fram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body, A plurality of water inlet control holes for regulating the amount of washing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upper and outer peripheral edges of the upper and the lower outer peripheries are form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catching space of the catching frame, An outer drain cap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rotary knob and rotatable and having a confirmation window adjacent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ttom surface for confirming the display of the inflow area display portion; It is accomplished by a drainage cup.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치환테의 저면에 형성되어 걸림공간을 제공하는 상기 걸림테는 좌우 방향으로 막히지 않도록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다.Preferably, the latching fram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 < Desc / Clms Page number 7 > replacement frame and providing the latching space is formed so as not to be block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본 발명의 상기의 목적은, 싱크대의 배수구에 거치되도록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거치환테와, 상기 거치환테에 인접하여 설거지의 물을 세정블록이 수납된 세정블록 수납컵 및 배수구로 배수시키는 다수의 배수공과, 상기 거치환테 및 배수공 사이에 하부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면서 설거지 물을 상기 배수공을 통해 하부로 안내하는 경사배수유로와, 중앙에 형성되며 세정블록에 물이 유입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중앙유입공으로 이루어지는 거치본체에 세정블록의 소모량을 조절하는 이중 배수컵이 조립되어 고정되는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에 있어서, 상기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은, 거치본체의 하부로 걸름망체 내부로 수납되며 상호 일체로 형성되어 개폐가능하게 조립되는 상부컵 및 하부컵은 각각 내부에 세정블록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측면에 설거지 물이 유입되고 세정블록이 녹은 세정액이 걸름망체 및 싱크대 배수관으로 흘러 유출되도록 하는 다수의 물통과공이 형성되고, 상부컵 및 하부컵은 각각의 외주연에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컵 하부 외주연에 돌기가 형성된 돌출편이 형성되고 하부컵 상부 외주연에는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위치로 삽입공이 형성된 돌출편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부컵 및 하부컵이 상호 끼움고정되며 개폐가능하고, 상부컵의 외부 상면 외주연 및 하부컵의 외부 저면 외주연을 따라 상기 물통과공을 통해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유입면적의 크기를 나타내는 다수의 유입면적 표시부가 형성되어 있는 세정블록 수납컵과;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의 상부컵 및 하부컵 각각의 외부로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의 상부컵 및 하부컵 각각을 수납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측면에 상기 물통과공을 통해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양을 조절하는 다수의 물유입 조절공이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는 회전손잡이가 저면과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 가능하고, 저면 외주연에 인접하여 상기 유입면적 표시부의 표시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확인창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물유입 조절컵;으로 이루어지는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a water purifying apparatus for a sanitary landfill, comprising: a removable frame formed along an outer periphery to be placed in a drain port of a sink;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drain hole and protruding downwardly between the drain hole and the drain hole to guide the dishwash water to the bottom through the drain hole; A duplex drain cup for a sink, in which a double drain cup for adjusting the consumption amount of a cleaning block is fixed to a fixture body made of an inflow hole, wherein the double drain cup for a countertop capable of adjusting the amount of the cleaning block consumes, The upper cup and the lower cup, which are housed inside and integrally formed so as to be openably and closably assembled, A plurality of water bottles and a plurality of balls are formed to allow the washing liquid having the washing block to flow into the sidewall and the drain pipe of the sink, A protruding piece having protrusion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cup and a protruding piece having an insertion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s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cup, And the upper cup and the lower cup are mutually fitted and fixed to each other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and the size of the inflow area of the dish soaked through the water bottle and the bowl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bottom surfac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lower cup of the upper cup A cleaning block accommodating cup having a plurality of inflow area indicating portions formed therein; Wherein the cleaning block accommodating cup is provided outside the upper and lower cups of the cleaning block accommodating cup and has a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the upper and lower cups of the cleaning block accommodating cup therein, A plurality of water inflow adjusting holes for adjusting the amount of washing water to be supplied to the inflow area display unit ar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and a rotary knob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ttom surface to be rotatable, And a pair of water inflow control cups having a window formed therein; and a double drain cup for a countertop capable of controlling the consumption of the cleaning block.

본 발명에 따른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은, 세정블록을 수납하는 세정블록 수납컵 및 세정블록 수납컵의 외부로 세정블록 수납컵의 물통과공을 통해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물유입 조절컵을 이중으로 설치하면서 상호 조립 고정할 수 있어, 설거지를 하며 사용하는 물로 세정블록을 녹여 형성되는 세정액이 하부의 싱크대 배수구를 통해 배수관으로 바로 흐르게 하여 오염물을 분해 및 살균하여 제거하고 배수관에 오염물이 잔존하지 못하도록 하여 악취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물유입 조절컵을 회전작동하여 물유입 조절컵 측면에 형성된 물유입 조절공의 위치를 조절하여 세정블록 수납컵 측면의 물통과공으로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유입면적을 가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에 수납되어 설거지 물로 용해되어 소모되는 세정블록의 소모량을 조절할 수 있어 세정블록의 사용기한을 사용자가 원하는 기한으로 자유롭게 연장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The double drain cup for a sink capable of adjusting the consumption of the cleaning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mount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water tank and the ball of the cleaning block receiving cup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block receiving cup and the washing block receiving cup, The controllable water inflow control cups can be installed and fixed together while installing the dishwasher. The washing liquid, which is formed by the use of the washing block with the water used for washing dishes, flows directly to the drain pipe through the lower sink drain hole to dissolve and sterilize contaminants In particular, the water inflow adjusting cup is rotat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water inflow adjusting ball formed on the side of the water inflow adjusting cup, And the inflow area of the washing water introduced into the water tub and the ball of the washing tub can be variably controlled, It can be received in the receiving cup to control the consumption of the cleaning block which consumes dissolved dishwashing water has an excellent effect in the one of the cleaning block sayonggi user can freely extend in a desired time perio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싱크대용 배수캡을 구성하는 캡본체의 평면도 및 세정블록 수납컵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의 정면도 및 평면도.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의 확인창을 통해 유입면적 표시부의 표시를 확인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의 결합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이 걸름망체에 수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상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lan view of a cap body constituting a drain pan for a sink in accordance with the prior art and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ing block storage cup.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uble drain cup for a s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ouble drain cup for a s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and a plan view of a double drain cup for a sink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 and 5 (b)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play of an inflow area display unit can be confirmed through a confirmation window of a double drain cup for a s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uble drain cup for a sin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ouble drain cup for a sin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tat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double drain cup for a sin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oused in a scree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청구범위 및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본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Hereinafter, a double drain cup for a sink capable of adjusting a consumption of a cleaning block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In addition, terms and words used in the claims and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mean the meaning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the invention in the best way. As well as the other.

도 2 내지 5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A)은, 싱크대의 배수구에 거치되도록 거치환테(11), 배수공(12), 경사배수유로(13), 중앙유입공(14)이 형성된 거치본체(1)의 하부로 거치본체(1)의 저면에 걸려 조립고정된다.As shown in FIGS. 2 to 5 (a) and 5 (b), a double drain cup (A) for a sink capable of adjusting the consumption of a cleaning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ttached and fixed to the bottom of the mounting body 1 at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body 1 formed with the frame 11, the drain hole 12, the inclined drainage flow path 13 and the central inflow hole 14. [

상기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A)은, 저면에 걸림공간(15a)을 제공하는 다수의 걸림테(15)가 형성된 거치본체(1)의 저면으로 상기 걸림공간(15a)을 통해 상기 걸림테(15)에 삽입되어 상기 거치본체(1)에 착탈가능하게 걸려 조립되고, 내부에 세정블록(d)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21)이 형성되고, 측면에 설거지 물이 유입되고 세정블록이 녹은 세정액이 하부의 싱크대 배수관으로 흘러 유출되도록 하는 다수의 물통과공(22)이 형성되고, 상부 외주연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테(15)의 걸림공간(15a)으로 삽입되어 걸림 조립되도록 하는 다수의 걸림편(23)이 형성되고, 저면 외주연를 따라 상기 물통과공(22)을 통해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유입면적의 크기를 나타내는 다수의 유입면적 표시부(24)가 형성되어 있는 세정블록 수납컵(2)과;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의 외부로 설치되되 상기 거치본체(1)의 저면에 형성된 상기 걸림테(15)에 착탈가능하게 걸려 조립되고, 내부에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을 수납하는 수납공간(34)이 형성되고, 측면에 상기 물통과공(22)을 통해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양을 조절하는 다수의 물유입 조절공(31)이 형성되고, 상부 외주연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테(15)의 걸림공간(15a)으로 삽입되어 걸림 조립되도록 하는 다수의 걸림편(32)이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는 회전손잡이(33)가 저면과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 가능하고, 저면 외주연에 인접하여 상기 유입면적 표시부(24)의 표시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확인창(35)이 형성되어 있는 물유입 조절컵(3);으로 이루어진다.The dual drainage cup A for a sink capable of controlling the amount of the cleaning block can be formed in the latching space 15a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body 1 having a plurality of latching frames 15 for providing a latching space 15a on the bottom thereof, A storage space 21 is formed which is inserted into the latching frame 15 so as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mounting body 1 and is capable of housing the cleaning block d therein, A plurality of water bottles and a plurality of holes 22 are formed to allow the washing liquid to flow into the drain pipe of the lower sink through which the washing block is melted and protrude from the upper outer periphery, And a plurality of inflow area display portions 24 indicating the inflow area of the dishwash water flowing through the water bottles and holes 22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ttom surface The cleaning block accommodating cup 2 )and; (2), and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latching frame (15)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body (1) and accommodated in the inside of the cleansing block accommodating cup A plurality of water inflow control holes 31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the washing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water bottles and the holes 22 are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storage space 34, A plurality of latching pieces 32 are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latching space 15a of the latching frame 15 so that the latching latches can be assembled to the latching frame 15 and the rotary knob 33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ttom of the latching frame 15, And a water inflow adjusting cup (3) having a check window (35) adjacent to the periphery and allowing the display of the inflow area display (24) to be confirmed.

상기 거치본체(1)는, 싱크대의 배수구에 거치되도록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거치환테(11)와, 상기 거치환테(11)에 인접하여 설거지의 물을 세정블록이 수납된 세정블록 수납컵(2) 및 배수구로 배수시키는 다수의 배수공(12)과, 상기 거치환테(11) 및 배수공(12) 사이에 하부로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면서 설거지 물을 상기 배수공(12)을 통해 하부로 안내하는 경사배수유로(13)와, 중앙에 형성되며 세정블록에 물이 유입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중앙유입공(14)으로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기술구성은 본 출원인이 출원등록한 상술한 선행문헌 3의 싱크대용 배수캡의 캡본체의 기술구성과 동일하다. The stationary main body 1 is provided with a replacement frame 11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so as to be mounted on the drain port of the sink, and a cleaning block 11, which is adjacent to the removal frame 11,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12 to be drained by the cup 2 and a drain port and a plurality of drainage holes 12 which are formed to protrude downwardly between the drainage hole 11 and the drainage hole 12 to guide the dishwashing water downward through the drainage hole 12. [ And a plurality of central inflow holes 14 formed at the center and adapted to allow water to flow into the cleaning block. This technical arrangement is based o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reference 3, Is the same as the technical constitution of the cap main body of the drain cap.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거치본체(1)의 저면은, 본 발명에 따른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캡(A)을 걸림 고정으로 상호 조립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다수의 배수공(12)에 인접하여 원호(圓弧) 형상의 다수의 걸림테(1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테(15)는 좌우로 막히지 않게 연통된 걸림공간(15a)을 제공하게 되므로 후술하는 세정블록 수납컵(2) 및 물유입 조절컵(3)의 외주연에 각각 돌출 형성된 걸림편(23,32)이 상기 걸림공간(15a)을 통해 상기 걸림테(15)에 걸리면서 세정블록 수납컵(2) 및 물유입 조절컵(3)이 거치본체(1)에 상호 조립고정되도록 하게 한다. 또 상기 걸림테(15)의 걸림공간(15a)은 좌우로 연통되므로 사용자가 상호 세정블록 수납컵(2) 및 물유입 조절컵(3)을 좌우 방향 어디서나 걸림공간(15a)으로 삽입하여 걸림테(15)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걸려 고정하게 하는 편의성을 제고하게 된다.However,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body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in order to fix the double drain cap A for sink base capable of adjusting the consumption of the cleaning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ircular arc-shaped latching frames 15 are formed adjacent to the drainage holes 12 of the latching frame 15. The latching frame 15 provides a latching space 15a communicated in a left- The retaining pieces 23 and 32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ces of the cleaning block accommodating cup 2 and the water inflow controlling cup 3 are caught by the retaining frame 15 through the retaining space 15a, So that the cup (2) and the water inflow adjusting cup (3) are assembled and fixed to the mounting body (1). In addition, since the latching space 15a of the latching frame 15 communicates left and right, the user inserts the cleansing block accommodating cup 2 and the water inflow adjusting cup 3 into the latching space 15a everywher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fastening and fastening the fastening member 15 to the fastening member 15 quickly and easily.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은, 저면에 걸림공간(15a)을 제공하는 다수의 걸림테(15)가 형성된 거치본체(1)의 저면으로 상기 걸림공간(15a)을 통해 상기 걸림테(15)에 삽입되어 상기 거치본체(1)에 착탈가능하게 걸려 조립되도록 상부 외주연에 다수의 걸림편(23)이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The cleansing block accommodating cup 2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embossing body 1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atching frames 15 for providing a latching space 15a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with the latching frame 15 And a plurality of latching pieces 23 protrude outwardly from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as to be detachably assembled to the main body 1.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의 내부로 세정블록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21)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으로 설거지 물이 유입되고 세정블록이 녹은 세정액이 하부의 싱크대 배수관으로 흘러 유출되도록 하는 다수의 물통과공(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 외주연를 따라 상기 물통과공(22)을 통해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양을 조절하도록 상기 물통과공(22)의 유입면적의 크기를 나타내는 다수의 유입면적 표시부(24)가 형성되어 있다.A storage space 21 capable of receiving the cleaning block is formed inside the cleaning block storage cup 2 so that the washing liquid flowing into the side surface of the washing block and having the cleaning block melted flows out to the lower sink discharge pipe A plurality of water bottles and a plurality of holes 22 and a plurality of water bottles 22 are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ttom wall to control the amount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through the water bottles and the holes 22, An inflow area display section 24 is formed.

상기 유입면적 표시부(24)는 상기 물통과공(22)을 통해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양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상기 물통과공(22)이 개방되어 설거지 물이 유입되는 유입면적의 크기을 숫자를 통해 상대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물통과공(22)이 모두 개방되어 설거지 물이 최대로 유입될 수 있는 유입면적으로 개방되면 '3'으로 표시하여 '최대 면적'을 의미하고, 최대 유입면적의 2/3의 유입면적으로 개방되면 '2'로 표시하여 '중간 면적'을 의미하고, 최대 유입면적의 1/3의 유입면적으로 개방되면 '1'로 표시하여 '최소 면적'을 의미하여, 사용자는 상기 물통과공(22)을 통해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유입량을 조절하여 설거지 물에 의해 용해되면서 소모되는 세정블록의 소모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설거지 물의 수온에 따라 다소 차이는 발생할 수 있으나 같은 온도의 설거지 물이 유입되는 것을 가정한다면, 상기 유입면적 표시부(24)의 숫자를 '1'의 위치에 맞추어 상기 물통과공(22)의 개방면적을 설정하면 숫자 '3'의 위치에 맞추어 상기 물통과공(22)의 개방면적을 설정한 경우에 대비하여 개략적으로 세정블록의 소모량을 1/3 정도로 절감시킬 수 있어 세정블록의 사용기한은 3배로 늘릴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inflow area display unit 24 does not indicate the amount of the dishwash water flowing through the water bottle and the hole 22 but the water bottle and the hole 22 are opened so that the size of the inflow area into which the dishwash water flows is relatively For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ater tank and the hole 22 are both opened and the dishwasher is opened to an inflow area capable of maximally inflowing the dishwashing water, '3' . If it is opened with an inflow area of 2/3 of the maximum inflow area, it means 'middle area' when it is opened with '2'. If the inflow area is opened to 1/3 of the maximum inflow area, '1' The user can control the consumption amount of the cleaning block consumed while being dissolved by the dishes by adjusting the inflow amount of the dishwashing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water bottle and the hole 22. If the number of the inflow area display unit 24 is set to '1', the opening area of the water tank 22 and the opening area of the water tank 22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water temperature of the dishwashing water. The consumption amount of the cleaning block can be reduced to about 1/3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open area of the water bottle and the hole 22 is se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number '3'. Therefore, So that the effect can be doubl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유입면적 표시부(24)는 숫자 '1, 2, 3'에 의해 상기 물통과공(22)의 유입면적을 3분(三分)하고 있으나, 이러한 유입면적 등분은 2분(二分) 내지 5분(五分) 등으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며, 상기 물통과공(22)의 절개면적과 설거지의 양, 설거지 물의 사용량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등분을 선택하여 적용함이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low area display unit 24 displays the inflow area of the water bottle and the hole 22 by three (three) minutes by the numbers '1, 2, and 3' The area can be varied in a range of 2 minutes (five minutes) to five minutes (five minutes), and an appropriate equilibrium i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cut-off area of the water bottle and the hole 22, the amount of washing dishes, It would be desirable to apply the

상기 물통과공(22)의 유입면적의 조절은 후술하는 물유입 조절컵(3)의 회전손잡이(35)의 회전작동에 의해 물유입 조절공(31)에 의해 수행되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물유입 조절컵(3)의 회전손잡이(35)의 기술구성에 대한 설명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trol of the inflow area of the water bottle and the hole 22 is performed by the water inflow control hole 31 by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rotary knob 35 of the water inflow control cup 3, Th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construction of the rotary knob 35 of the inflow adjusting cup 3 will be described again.

상기 물유입 조절컵(3)은,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의 외부로 설치되어 세정블록 수납컵(2)의 물통과공(22)의 개방면적 즉 설거지 물의 유입면적을 조절하는 기술구성으로서, 상기 거치본체(1)의 저면에 형성된 상기 걸림테(15)의 걸림공간(15a)으로 삽입되어 착탈가능하게 걸려 조립되도록 상부 외주연에 외부방향으로 돌출되게 다수의 걸림편(32)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을 수납하는 수납공간(34)이 형성되고, 측면에 상기 물통과공(22)을 통해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양을 조절하는 다수의 물유입 조절공(31)이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는 회전손잡이(33)가 저면과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 가능하고, 저면 외주연에 인접하여 상기 유입면적 표시부(24)의 표시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확인창(35)이 형성되어 있다.The water inflow adjusting cup 3 is provided outside the cleaning block accommodating cup to control the opening area of the water tub and the hole 22 of the cleaning block accommodating cup 2, that is, the inflow area of the dish, A plurality of latching pieces 32 are formed so as to protrude outwardly from the upper outer circumference so as to be detachably inserted and inserted into the latching space 15a of the latching frame 15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 A storage space 34 for storing the cleaning block accommodating cup 2 therein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water inflow control holes (not shown) for regulating the amount of the dishwashing water introduced into the water bottles and holes 22 A confirmation window 35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so that the rotary knob 33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ttom surface and is rotatable and adjacent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ttom surface to allow confirmation of the display of the inflow area display portion 24. [ Respectively.

상기 걸림편(32)은,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의 걸림편(23)과 동일하게, 상기 거치본체(1)의 걸림공간(15a)으로 삽입되어 걸림테(15)에 걸려 조립 고정되게 하여, 상기 물유입 조절컵(3) 내부의 수납공간(34)으로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을 수납하게 하면서 상기 거치본체(1)의 저면 하부로 배치되게 한다.The retaining piece 32 is inserted into the retaining space 15a of the retaining body 1 in the same manner as the retaining piece 23 of the cleansing block accommodating cup 2, So that the cleaning block accommodating cup 2 is hous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34 inside the water inflow adjusting cup 3 while being positioned below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body 1.

상기 물유입 조절공(31)은, 도 5의 (a) 및 (b)의 도시와 같이, 상기 물유입 조절컵(3)의 측면에 형성하여 상기 물유입 조절공(31)이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의 물통과공(22)과 개방된 부분이 완전히 겹치게 되면 설거지 물은 최대의 양으로 세정블록 수납컵(2)으로 유입되어, 최대량으로 유입된 설거지 물에 의해 세정블록이 빨리 대량으로 용해하여 소모되도록 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물유입 조절공(31)과 물통과공(22)이 2/3 정도로 개방 부분이 겹치게 되면 설거지 물의 유입량 역시 2/3 정도로 유입될 것이며 상기 물유입 조절공(31)과 물통과공(22)이 1/3 정도로 개방 부분이 겹치게 되면 설거지 물의 유입량 역시 1/3 정도의 양으로 유입되어 그만큼 세정블록이 용해되어 소모되는 소모량이 적어질 것이므로, 사용자는 설거지 상황에 적합하도록 설거지 물의 유입량을 조절하면서 세정블록의 소모량을 자유롭게 자의적으로 선택하여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5 (a) and 5 (b), the water inflow control hole 31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water inflow control cup 3, When the water container of the storage cup 2 and the open portion of the water hole 22 are completely overlapped, the washing utensils flow into the cleaning block storage cup 2 in the maximum amount, and the washing block The amount of the inflow of the dishwashing water will also be introduced to about 2/3 when the opening part overlaps with the water inflow control hole 31 and the water bottle and the air hole 22 by about 2/3, When the open part overlaps with the hole 31 and the water bottle and the hole 22, the inflow amount of the dish is also about 1/3, so that the amount of consumed consumed by the cleaning block is reduced, Amount of influent of dishes to be suitable for washing situation The amount of consumption of the cleaning block can be freely and arbitrarily selected and adjusted.

이와 같이 세정블록 수납컵(2)으로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상기 물유입 조절공(31)의 조절은 상기 물유입 조절컵(3)의 저면 중앙에 저면과 일체로 형성된 상기 회전손잡이(33)의 회전작동에 의해 가능하다. 상기 회전손잡이(33)를 사용자의 손으로 파지하여 좌방향 또는 우방향으로 회전하면 물유입 조절컵(3) 역시 좌방향 또는 우방향으로 함께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물유입 조절컵(3)의 측면에 형성된 물유입 조절공(31)이 물통과공(22)과 함께 겹쳐지며 생기는 개방 면적을 최대면적, 중간면적, 최소면적 등으로 가변하게 조절할 수 있어, 세정블록이 수납된 세정블록 수납컵(2)의 물통과공(22)을 통해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adjustment of the water inflow adjusting hole 31, which can control the inflow amount of the washing utensils introduced into the washing block receiving cup 2, is performed by the rotation handl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water inflow adjusting cup 3, (33). The water inflow adjusting cup 3 is also rotated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by rotating the rotary knob 33 i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by grasping the rotary knob 33 with the user's hand, An intermediate area, a minimum area, and the like, which are formed by overlapping the water inflow adjusting hole 31 formed in the water supply hole 31 and the water inlet and the hole 22, 2) and the amount of inflow of the dishwash water flowing through the hole 22 can be adjusted.

이때 사용자가 상기 조절공(31)이 물통과공(22)과 함께 겹쳐지며 생기는 개방 면적 즉 설거지 물의 유입면적을 최대면적, 중간면적, 최소면적 등으로 가변하여 조절되었음을 식별하기 위해, 상기 물유입 조절컵(3)의 저면 외주연에 인접하여 상기 유입면적 표시부(24)의 표시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확인창(3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확인창(35)을 통해 표시되는 숫자를 신속 용이하게 확인하여 설거지 물의 유입면적의 가변 상태를 확인하여 식별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 및 물유입 조절컵(3) 측면에 형성된 물통과공(22) 및 물유입 조절공(31)이 서로 겹쳐져 생긴 개방 면적이 어느 상태인지 눈대중으로 적당히 식별하여 판단할 필요없이 상기 확인창(35)에 나타나는 숫자, 예를 들어 '1, 2, 3'만 보고 개방 면적의 가변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in order to discriminate that the open area where the control hole 31 overlaps with the water bottle and the hole 22, that is, the inflow area of the dish, is adjusted by varying the maximum area, the intermediate area, the minimum area, A confirmation window 35 is formed adjacent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adjustment cup 3 so as to confirm the display of the inflow area display section 24. [ Therefore, the user can quickly and easily check the number displayed on the confirmation window 35 to identify and identify the variable state of the inflow area of the dishwasher. Therefore, when the user removes the cleaning block storage cup 2 and the water inflow control cup The number displayed in the confirmation window 35 can be displayed without having to appropriately identify and determine the state in which the open space formed by the water bottle, the hole 22, and the water inflow control hole 31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For example, '1, 2, 3'.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A)의 조립 및 작동은 매우 간단하고 용이한 것으로서, 우선 세정블록을 세정블록 수납컵(2)의 내부로 수납하고 세정블록 수납컵(2)의 외연에 돌출 형성된 다수의 걸림편(23)을 거치본체(1) 저면의 걸림공간(15a)을 통해 삽입하여 걸림테(15)에 걸려 조립 고정되게 하고, 이 상태에서 다시 세정블록 수납컵(2)을 수납하도록 물유입 조절컵(3)의 외연에 돌출 형성된 다수의 걸림편(32)을 거치본체(1) 저면의 걸림공간(15a)을 통해 삽입하여 걸림테(15)에 걸려 조립 고정되게 하면 조립과정은 완료된다.Assembly and operation of the double drain cup (A) for a sink capable of controlling the consumption of the cleaning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simple and easy. First, the cleaning block is housed inside the cleaning block receiving cup A plurality of latching pieces 23 protruding from the outer edge of the cleansing block accommodating cup 2 are inserted through the latching space 15a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body 1 and hooked on the latching frame 15 to be assembled and fixed, A plurality of retaining pieces 32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water inflow adjusting cup 3 are inserted through the retaining space 15a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body 1 so as to accommodate the cleaning block accommodating cup 2 again, (15) so that the assembling process is completed.

이와 같이 조립과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설거지의 양, 설거지 물의 사용량을 감안하여 세정블록의 소모량을 조절하기 위해, 물유입 조절컵(3)의 저면에 형성된 회전손잡이(33)를 좌방향 또는 우방향으로 회전작동하면서 역시 물유입 조절컵(3)의 저면에 형성된 확인창(35)을 통해 표시되는 유입면적 표시부(24)의 숫자를 확인하여 물통과공(22)의 개방 면적을 선택하게 되면 소망하는 세정블록 소모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세정블록의 교체주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the assembling process is completed, the user rotates the rotary knob 33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inflow adjusting cup 3 to the left or right side in order to adjust the consumption amount of the washing block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washing dishes, When the number of the inflow area display unit 24 displayed through the check window 35 formed on the bottom of the water inflow control cup 3 is checked and the open area of the water bottle and the hole 22 is selected It is possible to freely adjust the consumption amount of the desired cleaning block, thereby selectively adjusting the replacement cycle of the cleaning block.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은, 도 6 내지 8의 도시와 같이, 거치본체의 저면에 조립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거치본체가 거치되는 싱크대 배수구에 구비되는 음식물 찌꺼기를 걸러내는 걸름망체의 내부로 수납되는 것이다.6 to 8, the double drain cup for a sink capable of adjusting the consumption of the cleaning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stalled and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body, but is provided in the sink drain It is housed in the inside of the screen that filters food wast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A')은, 거치본체(1)의 하부로 걸름망체(f) 내부로 수납되며 상호 일체로 형성되어 개폐가능하게 조립되는 상부컵(2'a) 및 하부컵(2'b)으로 이루어지는 세정블록 수납컵(2')과; 상기 상부컵(2'a) 및 하부컵(2'b) 각각을 내부로 수납하는 한 쌍의 물유입 조절컵(3');으로 이루어진다.The double drain cup A 'for the sink, which is capable of controlling the consumption of the cleaning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housed in the interior of the screening fender (f) at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body 1, A cleaning block accommodating cup 2 'composed of an upper cup 2'a and a lower cup 2'b to be assembled; And a pair of water inflow adjusting cups 3 'for accommodating the upper and lower cups 2'a and 2'b, respectively.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은, 내부에 세정블록(d)을 수납하는 것으로서, 일체로 형성된 상부컵(2'a) 및 하부컵(2'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컵(2'a) 및 하부컵(2'b) 내부의 수납공간(21')으로 세정블록을 수납하게 된다. The cleaning block accommodating cup 2 'includes an upper cup 2'a and a lower cup 2'b formed integrally therewith for accommodating a cleaning block d therein and the upper cup 2' and the receiving space 21 'inside the lower cup 2'b.

상기 상부컵(2'a) 및 하부컵(2'b)은 각각의 외주연에 연결부(2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연결부(27')에 의해 상부컵(2'a) 및 하부컵(2'b)은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 상부컵(2'a) 하부 외주연에 돌기(25'a)가 형성된 돌출편(25')이 형성되고 하부컵(2'b) 상부 외주연에는 상기 돌기(25'a)에 대응하는 위치로 삽입공(26'b)이 형성된 돌출편(26')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25'a)가 상기 삽입공(26'b)에 삽입되어 상부컵(2'a) 및 하부컵(2'b)이 상호 끼움고정되면서 개폐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이와 반대로 상기 돌기(25'a)가 형성된 돌출편(25')이 하부컵(2'b)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26'b)이 형성된 돌출편(26')이 상부컵(2'a)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The upper and lower cups 2'a and 2'b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outer circumferences of the upper and lower cups 2'a and 2'b, (2'b) are integrally formed without being separated. A protruding piece 25 'formed with a protrusion 25'a is formed on the lower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cup 2'a and a protruding piece 25' The protrusion 25'a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6'b so that the upper cup 2'a and the lower cup 26'b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6'b, 2'b are mutually fitted and fixed together. On the contrary, the projecting piece 25 'formed with the projection 25'a is formed in the lower cup 2'b and the projecting piece 26' formed with the insertion hole 26'b is formed in the upper cup 2 'a).

상기 상부컵(2'a) 및 하부컵(2'b)은 각각 내부에 세정블록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21')이 형성되고, 측면에 설거지 물이 유입되고 세정블록이 녹은 세정액이 걸름망체(f) 및 싱크대 배수관으로 흘러 유출되도록 하는 다수의 물통과공(22')이 형성되고, 상부컵(2'a)의 외부 상면 외주연 및 하부컵(2'b)의 외부 저면 외주연을 따라 상기 물통과공(22')을 통해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유입면적의 크기를 나타내는 다수의 유입면적 표시부(24')가 형성되어 있다.Each of the upper cup 2'a and the lower cup 2'b is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21 'in which a cleaning block can be housed, a washing liquid in which the washing water flows into the side surface, A plurality of water bottles and holes 22 'are formed to flow out to the out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cup 2'a and the outer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up 2'b And a plurality of inflow area display units 24 'are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water tank and the inflow area through the holes 22'.

상기 수납공간(21'), 다수의 물통과공(22'), 다수의 유입면적 표시부(24')는 상기 상부컵(2'a) 및 하부컵(2'b) 각각에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상이하지만, 그 기능은 일실시예와 완전 동일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storage space 21 ', a plurality of water troughs and holes 22', and a plurality of inflow area display portions 24 'are formed i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cups 2'a and 2'b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ts function is exactly the same as the embodimen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을 구성하는 상기 상부컵(2'a) 및 하부컵(2'b) 각각의 외부로는 상기 상부컵(2'a) 및 하부컵(2'b) 각각을 내부로 수납하는 수납공간(34')이 형성된 한 쌍의 물유입 조절컵(3')이 설치된다.The upper cup 2'a and the lower cup 2'b are respectively provided outside the upper cup 2'a and the lower cup 2'b constituting the cleansing block receiving cup 2 ' A pair of water inflow adjusting cups 3 'are formed in which a storage space 34' for storing the inside of the water inflow adjusting cup 3 'is formed.

상기 한 쌍의 물유입 조절컵(3') 각각은, 측면에 상기 물통과공(22')을 통해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양을 조절하는 다수의 물유입 조절공(31')이 형성되고, 상부면 중앙에는 회전손잡이(33')가 저면과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 가능하고, 상부면 외주연에 인접하여 상기 유입면적 표시부(24')의 표시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확인창(35')이 형성되어 있다.Each of the pair of water inflow control cups 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ater inflow control holes 31' for adjusting the amount of the dishwash water flowing through the water bottles and the holes 22 ' A check window 35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ace so that the rotation handle 33'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ttom face and is rotatable and adjacent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face so that the display of the inflow area display portion 24 ' .

상기 한 쌍의 물유입 조절컵(3')은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의 상부면상에 반원형보다 더 돌출된 돌출부(28')가 형성되고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에 수납되는 물유입 조절컵(3')의 회전손잡이(33')의 내측면에 형성된 조립홈(37')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28')가 조립홈(37')에 삽입조립되는 방식으로 조립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한 쌍의 물유입 조절컵(3')이 세정블록 수납컵(2')상을 회전하는 다른 방식도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The pair of water inflow adjusting cups 3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shing block receiving cup 2' with protrusions 28 'projecting more than a semicircular shape, and the washing block receiving cups 2' An assembling groove 37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otary knob 33' of the water inflow adjusting cup 3 'is formed and the protruding portion 28' is inserted into the assembling groove 37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ways of rotating the pair of water inflow control cups 3 'on the cleaning block receiving cup 2' are also possible.

상기 한 쌍의 물유입 조절컵(3')의 측면에 형성된 상기 다수의 물유입 조절공(31') 역시 내부로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3')의 상부컵(2'a) 및 하부컵(2'b) 측면에 형성된 물통과공(22')의 개방 면적을 조절하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물유입 조절공(31)과 완전 동일하고, 상기 회전손잡이(33')의 구성 및 기능 역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회전손잡이(33)의 구성 및 기능과 완전 동일하고, 상기 물유입 조절공(31')의 조절에 의해 상기 물통과공(22')의 개방 면적을 상기 유입면적 표시부(24')의 숫자로 확인하는 상기 확인창(35')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확인창(35)과 완전 동일한 것이어서, 상기 물유입 조절공(31'), 회전손잡이(33'), 확인창(35')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plurality of water inflow control holes 31 'form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pair of water inflow control cups 3' are also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cleaning block accommodating cup 3 'so as to control the amount of the washing- The water inflow control hole 3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djust the opening area of the water bottle and the hole 22 'formed on the sides of the cup 2'a and the lower cup 2'b, And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rotary knob 33 'are exactly the same as those of the rotary knob 33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tructure of the water inlet adjustment hole 31' The confirmation window 35 'for confirming the open area of the water bottle and the hole 22' by the number of the inflow area display unit 24 '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water inflow control hole 31 ', the rotary knob 33' and the confirmation window 35 'will be omitted do.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A')의 조립 및 작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매우 간단하고 용이한 것으로서, 우선 세정블록을 세정블록 수납컵(2')의 하부컵(2'b) 내부로 수납하고 상부컵(2'a)를 하부컵(2'b) 상으로 덮으면서 상부컵(2'a)의 돌기(25'a)가 형성된 돌출편(25')을 하부컵(2'b)의 삽입공(26'b)이 형성된 돌출편(26')을 맞닿게 하여 상기 돌기(25'a)가 상기 삽입공(26'b)에 강제끼움으로 조립고정되게 하여 상부컵(2'a) 및 하부컵(2'b)을 상호 폐쇄하여 세정블록을 세정블록 수납컵(2') 내부로 수납하고, 이 상태에서 세정블록 수납컵(2')을 수납하도록 한 쌍의 물유입 조절컵(3')을 상부컵(2'a) 및 하부컵(2'b) 각각의 외부로 설치되게 하면서 상기 상하부 조절컵(3')을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압축하여 하부 조절컵(3')의 조립홈(37')이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의 돌출부(28')가 삽입되면서 조립되는 방식으로 상호 조립되게 되는 것이다. The assembling and operation of the double drain cup A 'for the sink capable of adjusting the consumption of the cleaning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simple and easy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cup 2'a of the upper cup 2'a and the lower cup 2'b of the upper cup 2'a while storing the upper cup 2'a in the lower cup 2'b of the storage cup 2 ' The protrusion 25'a formed with the protrusion 25'a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rotrusion piece 26'where the insertion hole 26'b of the lower cup 2'b is formed, 'b to be assembled and fixed by force fitting so that the upper cup 2'a and the lower cup 2'b are closed to accommodate the cleaning block in the cleaning block housing cup 2' A pair of water inflow adjusting cups 3 'are installed outside the upper cup 2'a and the lower cup 2'b so as to accommodate the block receiving cups 2' The assembling groove 37 'of the lower adjusting cup 3' is compressed by inserting the protruding portion 28 'of the cleansing block receiving cup 2' by inserting the adjusting cup 3 '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상부 조절컵(3')의 조립홈(37')이 세정블록 수납컵(2')의 돌출부(28')에 스냅조립되면서 세정블록 수납컵(2')과 한 쌍의 물유입 조절컵(3')이 상호 조립 고정되게 하면 이들의 상호 조립과정은 완료된다.The assembling groove 37 'of the upper adjusting cup 3' is snap-fitted to the protruding portion 28 'of the cleansing block accommodating cup 2' so that the cleaning block accommodating cup 2 ' When the cups 3 'are mutually assembled and fixed, their mutual assembly process is completed.

이와 같이 조립과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설거지의 양, 설거지 물의 사용량을 감안하여 세정블록의 소모량을 조절하기 위해, 물유입 조절컵(3')의 저면에 형성된 회전손잡이(33')를 좌방향 또는 우방향으로 회전작동하면서 역시 물유입 조절컵(3')의 저면에 형성된 확인창(35')을 통해 표시되는 유입면적 표시부(24')의 숫자를 확인하여 세정블록 수납컵(2')의 상부컵(2'a) 및 하부컵(2'b) 각각에 형성된 물통과공(22')의 개방 면적을 선택하게 되면 소망하는 세정블록 소모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세정블록의 교체주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the assembling process is completed, the user rotates the rotary knob 33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inflow adjusting cup 3' to the left side in order to adjust the consumption amount of the washing block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washing dishes, The number of the inflow area display portion 24 'displayed through the check window 35' formed on the bottom of the water inflow control cup 3 'is checked and the number of the cleaning block accommodating cup 2' The amount of consumption of the desired cleaning block can be freely adjusted by selecting the opening area of the water bottle and the hole 22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cups 2'a and 2'b of the cleaning block, And can be selectively adjusted.

본 발명에 따른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은 싱크대의 배수구를 통해 역류되는 악취를 제거하고 배수구 및 배수관의 오염물을 분해 및 살균하여 제거하는 세정물질을 수납하여 싱크대 배수구의 입구에 거치되는 싱크대용 배수컵을 생산하는 싱크대용 배수컵 제조산업에서 동일한 제품을 반복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큰 발명이라고 할 수 있다.The double drain cup for a sink capable of controlling the consumption of the cleaning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odor recovered through the drain port of the sink is removed and the cleaning material for decomposing and sterilizing the pollutants of the drain port and the drain pipe is stored, It can be said that it is possible to repeatedly manufacture the same product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of the drain cup for a sink, which produces the drain cup for the sink, which is a highly industrial use.

A, A' :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
1 : 거치본체 11 : 거치환테
12 : 배수공 13 : 경사배수유로
14 : 중앙유입공 15 : 걸림테
15a : 걸림공간
2, 2' : 세정블록 수납컵 21, 21' : 수납공간
22, 22' : 물통과공 23 : 걸림편
24, 24' : 유입면적 표시부 25' : 돌출편
25'a : 돌기 26' : 돌출편
26'b : 삽입공 27' : 연결부
2'a : 상부컵 2'b : 하부컵
3, 3' : 물유입 조절컵 31. 31' : 물유입 조절공
32 : 걸림편 33, 33' : 회전손잡이
34, 34' : 수납공간 35, 35' : 확인창
d : 세정블록 f : 걸름망체
A, A ': double drain cup for sinks with adjustable cleaning block consumption
1: mounting body 11:
12: drainage hole 13: inclined drainage passage
14: Central inflow hole 15: Jam tee
15a:
2, 2 ': Cleansing block accommodating cup 21, 21': Storage space
22, 22 ': Bucket and ball 23:
24, 24 ': inflow area display portion 25': protruding piece
25'a: projection 26 ': projection
26'b: insertion hole 27 ': connection portion
2'a: upper cup 2'b: lower cup
3, 3 ': Water inflow control cup 31. 31': Water inflow control ball
32: engaging pieces 33, 33 ': rotating handle
34, 34 ': storage space 35, 35': confirmation window
d: cleaning block f:

Claims (5)

싱크대의 배수구에 거치되도록 거치환테(11), 배수공(12), 경사배수유로(13), 중앙유입공(14)이 형성된 거치본체(1)의 하부로 거치본체(1)의 저면에 걸려 조립고정되며, 내부에 세정블록을 수납하고 수납된 세정블록의 소모량을 조절할 수 있는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에 있어서,
상기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A)은,
저면에 걸림공간(15a)을 제공하는 다수의 걸림테(15)가 형성된 거치본체(1)의 저면으로 상기 걸림공간(15a)을 통해 상기 걸림테(15)에 삽입되어 상기 거치본체(1)에 착탈가능하게 걸려 조립되고, 내부에 세정블록(d)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21)이 형성되고, 측면에 설거지 물이 유입되고 세정블록이 녹은 세정액이 하부의 싱크대 배수관으로 흘러 유출되도록 하는 다수의 물통과공(22)이 형성되고, 상부 외주연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테(15)의 걸림공간(15a)으로 삽입되어 걸림 조립되도록 하는 다수의 걸림편(23)이 형성되어 있는 세정블록 수납컵(2)과;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의 외부로 설치되되 저면에 걸림공간(15a)을 제공하는 다수의 걸림테(15)가 형성된 거치본체(1)의 저면으로 상기 걸림공간(15a)을 통해 상기 걸림테(15)에 삽입되어 상기 거치본체(1)에 착탈가능하게 걸려 조립되고,내부에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을 수납하는 수납공간(34)이 형성되고, 측면에 상기 물통과공(22)을 통해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양을 조절하는 다수의 물유입 조절공(31)이 형성되고, 상부 외주연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테(15)의 걸림공간(15a)으로 삽입되어 걸림 조립되도록 하는 다수의 걸림편(32)이 형성되어 있는 물유입 조절컵(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
The bottom of the mounting body 1 is hook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body 1 in which the replacement frame 11, the drainage hole 12, the inclined drainage flow path 13 and the central inflow hole 14 are formed, A dual drainage cup for a sink, which is assembled and fixed, accommodates therein a cleaning block, and is capable of adjusting the consumption amount of the cleaning block housed therein,
The double drain cup (A) for a sink,
A plurality of latching frames 15 for providing a latching space 15a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ding body 15 are inserted into the latching frame 15 through the latching space 15a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atching body 1, So that the washing liquid which flows into the side surface of the washing block and the washing block which has melted in the washing block flows out into the sink drain pipe of the lower part A plurality of water catches and holes 22 are formed and protruded from the upper outer periphery to be inserted into the catching space 15a of the catching frame 15 so that the catching pieces 23 are formed A cleaning block accommodating cup 2;
A plurality of latching frames 15 provided outside the cleansing block accommodating cup 2 and provided with a latching space 15a on the bottom face thereof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atching body 1 through the latching space 15a, A storage space 34 for storing the cleaning block accommodating cup 2 is formed in the detachable mounting body 1 inserted into the mounting body 15 and detachably mounted on the mounting body 1, A plurality of water inflow control holes 31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the washing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upper and lower outer peripheral edges 22 and 22 are formed and protrude from the upper outer periphery and inserted into the catching space 15a of the catching frame 15, And a water inflow adjusting cup (3) having a plurality of catching pieces (32) formed thereon to allow the amount of cleaning block consumption to be adjus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본체(1)의 저면으로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의 걸림편(23)과 상기 물유입 조절컵(3)의 걸림편(32)이 삽입되어 걸리게 되는 걸림공간(15a)을 제공하는 다수의 걸림테(15)는 좌우 방향으로 막히지 않도록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의 걸림편(23)과 상기 물유입 조절컵(3)의 걸림편(32)은 상기 걸림테(15)의 좌우방향으로 삽입되어 걸려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atching space 15a for catching the catching piece 23 of the cleansing block receiving cup 2 and the catching piece 32 of the water inflow adjusting cup 3 is inserted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tching main body 1 The plurality of latching frames 15 are formed so as not to be block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Wherein the fastening piece 23 of the cleaning block housing cup 2 and the fastening piece 32 of the water inflow adjusting cup 3 are inserted and assembled in the right and left direction of the fastening frame 15. [ Double drain cup for countertop with adjustable block consump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의 저면에는 상기 물통과공(22)을 통해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유입면적의 크기를 나타내는 다수의 유입면적 표시부(24)가 형성되고,
상기 물유입 조절컵(3)의 저면 중앙에는 회전손잡이(33)가 저면과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 가능하고, 상기 물유입 조절컵(3)의 저면 외주연에 인접하여 상기 유입면적 표시부(24)의 표시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확인창(3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inflow area display portions 24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leansing block accommodating cup 2 to indicate the size of the inflow area of the dishwash water flowing through the water bottles and holes 22,
A rotation handle 33 is formed integrally with a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water inflow control cup 3 and is rotatable. The inflow area display unit 24 is adjacent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ttom of the water inflow control cup 3, And a confirmation window (35) for confirming the display of the washing block is formed.
싱크대의 배수구에 거치되도록 거치환테(11), 배수공(12), 경사배수유로(13), 중앙유입공(14)이 형성된 거치본체(1)의 하부로 구비되는 걸름망체(f) 내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세정블록을 수납하고 수납된 세정블록의 소모량을 조절할 수 있는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에 있어서,
상기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A')은,
거치본체(1)의 하부로 걸름망체(f) 내부로 수납되며 상호 일체로 형성되어 개폐가능하게 조립되는 상부컵(2'a) 및 하부컵(2'b)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컵(2'a) 및 하부컵(2'b) 각각은 내부에 세정블록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21')이 형성되고, 측면에 설거지 물이 유입되고 세정블록이 녹은 세정액이 걸름망체(f) 및 싱크대 배수관으로 흘러 유출되도록 하는 다수의 물통과공(22')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컵(2'a) 및 하부컵(2'b)은 각각의 외주연에 형성된 연결부(27')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컵(2'a) 하부 외주연에 돌기(25'a)가 형성된 돌출편(25')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컵(2'b) 상부 외주연에는 상기 돌기(25'a)에 대응하는 위치로 삽입공(26'b)이 형성된 돌출편(26')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25'a)가 상기 삽입공(26'b)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컵(2'a) 및 하부컵(2'b)이 상호 끼움고정되며 개폐가능하고, 상기 상부컵(2'a)의 외부 상면 외주연 및 하부컵(2'b)의 외부 저면 외주연을 따라 상기 물통과공(22')을 통해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유입면적의 크기를 나타내는 다수의 유입면적 표시부(24')가 형성되어 있는 세정블록 수납컵(2')과;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의 상부컵(2'a) 및 하부컵(2'b) 각각의 외부로 설치되고, 내부에 상기 상부컵(2'a) 및 하부컵(2'b) 각각을 수납하는 수납공간(34')이 형성되고, 측면에 상기 물통과공(22')을 통해 유입되는 설거지 물의 양을 조절하는 다수의 물유입 조절공(31')이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는 회전손잡이(33')가 저면과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 가능하고, 저면 외주연에 인접하여 상기 유입면적 표시부(24')의 표시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확인창(35')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물유입 조절컵(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
(F)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xture body (1), which is provided with the insertion hole (11), the drain hole (12), the inclined drainage passage (13) and the central inflow hole A dual drainage cup for a sink, comprising: a cleaning block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of the sink;
The double drain cup (A ') for a sink capable of controlling the amount of the cleaning block consumption,
And an upper cup 2'a and a lower cup 2'b which ar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and are assembled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Each of the lower cups 2'a and 2'b has a storage space 21 'in which a cleaning block can be received, a washing solution which flows into the side surfaces of the washing cup, A plurality of water bottles and a plurality of holes 22 'for allowing the water to flow out to the sink drain pipe and the holes 22' are formed. The upper cup 2'a and the lower cup 2'b have connection portions 27 ' A projecting piece 25 'formed with a projection 25'a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cup 2'a and the projection 25'a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upper cup 2'b, The projecting piece 26'is formed with the insertion hole 26'b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 25'a so that the projection 25'a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26'b, (2'a) and the lower cup (2'b) And is connect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upper surface of the upper cup 2'a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er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up 2'b, A cleaning block accommodating cup 2 'in which a plurality of inflow area indicating portions 24' indicating the inflow area size are formed;
The upper and lower cups 2'a and 2'b are provided outside the respective upper and lower cups 2'a and 2'b of the cleaning block accommodating cup 2 ' A plurality of water inflow control holes 31 'for regulating the amount of the washing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water bottles and the holes 22' are formed on the sides of the storage spaces 34 ' As long as the confirmation window 35 'is formed so that the rotary knob 33'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ttom surface and is rotatable and adjacent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ttom surface to confirm the display of the inflow area display portion 24 ' And a pair of water inflow control cups (3 '). The double drain cup for a countertop capable of controlling the consumption of the cleaning block.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물유입 조절컵(3')은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의 상부면상에 반원형보다 더 돌출된 돌출부(28')가 형성되고 상기 세정블록 수납컵(2')에 수납되는 물유입 조절컵(3')의 회전손잡이(33')의 내측면에 형성된 조립홈(37')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28')가 조립홈(37')에 삽입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
5. The method of claim 4,
The pair of water inflow adjusting cups 3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shing block receiving cup 2' with protrusions 28 'projecting more than a semicircular shape, and the washing block receiving cups 2' And the protrusion 28 'is inserted and assembled into the assembly groove 37' by forming an assembly groove 37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otary knob 33' of the water inflow adjusting cup 3 ' Double drain cup for sinks with adjustable cleaning block consumption
KR1020170053733A 2017-04-26 2017-04-26 Double drain cup for sinks with adjustable consumption of cleaning block KR1019238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733A KR101923819B1 (en) 2017-04-26 2017-04-26 Double drain cup for sinks with adjustable consumption of cleaning b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733A KR101923819B1 (en) 2017-04-26 2017-04-26 Double drain cup for sinks with adjustable consumption of cleaning bl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953A true KR20180119953A (en) 2018-11-05
KR101923819B1 KR101923819B1 (en) 2018-11-29

Family

ID=64328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733A KR101923819B1 (en) 2017-04-26 2017-04-26 Double drain cup for sinks with adjustable consumption of cleaning b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81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36392A (en) * 2019-12-24 2020-06-05 广东菲力住工科技有限公司 Integral bathroom floor drain convenient to clea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10273B2 (en) * 2004-07-30 2011-06-29 株式会社トヨトミ Fragrance device installed in the blowout part of the blower fan
KR200483266Y1 (en) * 2015-08-19 2017-04-20 이영호 Sink drains cover
KR101677412B1 (en) * 2016-03-24 2016-11-17 주식회사 청수이앤에스 A drainage cap for sin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36392A (en) * 2019-12-24 2020-06-05 广东菲力住工科技有限公司 Integral bathroom floor drain convenient to cle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3819B1 (en) 2018-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9872B2 (en) System and device for water filtration and purification
WO2008044831A1 (en) Automated rice cooking system
KR200483266Y1 (en) Sink drains cover
WO2004113232A2 (en) System and containers for water filtration and item sanitization
KR101923819B1 (en) Double drain cup for sinks with adjustable consumption of cleaning block
KR20130127619A (en) The filtering net of a waterway for a sink
KR200476742Y1 (en) Sink drains cover
KR20160002642U (en) Sterilizing Container for Spoons and Chopsticks
KR101116463B1 (en) Structure of sink bawl
US20120067749A1 (en) Container
KR101677412B1 (en) A drainage cap for sink
KR200429134Y1 (en) Nature filtering type clean water fuction have alkali water creation machine
JPH09264041A (en) Sink equipped with garbage processing unit
JP2019170333A (en) Food washing device
KR101640596B1 (en) Drain cover of sink-bowl with a disinfectant
KR20140002737U (en) Sink drains cover
JPH09296492A (en) Filth remover for drain port
JP4861936B2 (en) adapter
CN209172017U (en) A kind of automatically washing and sterilizing water dispenser
JPH03284393A (en) Filter body for water activating device
CA2530456C (en) System and containers for water filtration and item sanitization
KR102187887B1 (en) Pot
JP3943844B2 (en) Cleaning agent container and cleaning tool with cleaning agent
JP7045666B2 (en) Food cleaning equipment
KR200462072Y1 (en) The sewer cover having a filter which function for diffusing a sweet fragrance and steriliz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