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9876A - Mixing ball with drainage function of washing water - Google Patents
Mixing ball with drainage function of washing wa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19876A KR20180119876A KR1020170053540A KR20170053540A KR20180119876A KR 20180119876 A KR20180119876 A KR 20180119876A KR 1020170053540 A KR1020170053540 A KR 1020170053540A KR 20170053540 A KR20170053540 A KR 20170053540A KR 20180119876 A KR20180119876 A KR 2018011987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le
- outer container
- container
- inner container
- receiving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2899 de-mixing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078 claw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99 spi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22 ve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2—Bowl hand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1/00—Devices having a modular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기재된 내용은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에 관한 것으로써, 상측이 개방된 반구 형상의 외부용기와, 상측이 개방된 반구 형상을 가지며, 바닥면에 배수홀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에 포개져 수용되는 내부용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외부용기는 마주하는 양측에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손잡이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수용부에는 이탈방지구가 구비되고, 상기 내부용기는 마주하는 양측에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손잡이가 형성되어 손잡이의 하부가 상기 손잡이 수용부에 끼워지며,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이탈방지구가 끼워져 안내될 수 있도록 탈착공을 가지는 안내슬롯이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xing ball having a drainage function of washing water. The mixing bowl has a hemispherical outer container with an open upper side, a hemispherical shape with an opened upper side, a drain hol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Wherein the outer container is formed with a handle receiving portion such that the outer container protrudes outward on both sides of the outer container, the handle receiv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releasing chamber, and the inner container is provided on both sides A handle is formed so as to protrude outwardly, a lower portion of the handle is fitted in the handle receiving portion, and a guide slot is formed in the handle such that the release slot can be inserted and guided.
Description
기재된 내용은 음식물을 담거나 세척시 사용될 수 있는 세척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에 관한 것이다.The disclosed subject matter relates to a mixing ball having a wash water drain function that can be used to contain or wash food.
우선, 이하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후술 되는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에 대한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배경이 되는 기술에 언급된 내용이 종래 기술로 단정될 필요는 없다.First, the following technique is to help understand the content of a mixing ball having the drainage function of the washing water described later, and the contents mentioned in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need to be construed as prior art.
일반적으로 믹싱볼은 쌀, 과일, 아채 등을 세척하거나 무침 요리, 반죽 등을 할 때 사용하는 대략 반구형의 그릇을 말한다.In general, a mixing ball is an approximately hemispherical bowl used to wash rice, fruit, and spices, and to cook and dough.
이러한 믹싱볼을 사용함에 있어서, 믹싱볼을 이용하여 쌀이나 과일이나 야채를 세척하는 경우, 반구형의 믹싱볼에 수용된 세척수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믹싱볼을 어느 한쪽으로 기울인 다음 세척수와 함께 세척 대상물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손으로 차단한 상태에서 믹싱볼로부터 세척수를 제거하게 된다.In the case of using such a mixing ball, when washing rice, fruit or vegetable using a mixing ball, in order to remove the washing water accommodated in the hemispherical mixing ball, the mixing ball is tilted to one side and then the hand is blocked In this state, the washing water is removed from the mixing ball.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세척 대상물이 세척수와 함께 배출되는 경우가 많아 세척작업에 따른 시간이 오래 걸리고, 세척작업이 불편하며, 세척 대상물이 쉽게 버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such a process, since the object to be cleaned is often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washing water, it takes a long time to perform the washing operation, inconvenient washing operation, and the object to be cleaned is easily discarded.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세척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저면에 배수공이 형성된 내부용기와, 그러한 내부용기가 내부로 겹쳐지는 외부용기로 믹싱볼을 구성한 후 필요에 따라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면서 사용하는 선행기술이 이미 게재된 바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mixing ball is formed of an inner container having a drain hole on its bottom surface so that the washing water can be discharged, and an outer container in which the inner container is overlapped with the inner container. Has already been published.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외부용기의 내부에 내부용기가 단순히 포개지도록 구성됨에 따라 믹싱볼에 수용된 세척 대상물을 반복적으로 세척하기 위해 믹싱볼에 담겨진 세척수를 배출시킬 경우, 먼저 외부용기로부터 내부용기를 분리시켜 내부용기를 다른 곳에 두고 외부용기를 기울여 세척수를 배출하게 되며, 배출이 완료된 후에는 분리시켜 놓은 내부용기를 다시 외부용기에 포개지도록 결합시킨 다음 다시 세척수를 넣고 세척작업을 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됨에 따라 세척에 따른 시간이 오래 걸리고, 세척과정이 번거로워 사용자의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ccording to this prior art, when the inner container is configured to be simply superimposed inside the outer container, when the washing water contained in the mixing ball is discharged to repeatedly clean the object to be cleaned contained in the mixing ball, the inner container is separated from the outer container, And then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by tilting the outer container. After the discharging is completed, the separated inner container is coupled to the outer container again so as to be superimposed and then the washing water is inserted again and the washing process is repeated. And the cleaning process is troublesome, and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s deteriorated.
따라서 기재된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외부용기와 내부용기가 간단한 탈착구조를 통해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되면서 필요에 따라 쉽게 분리 및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외부용기와 내부용기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외부용기의 세척수를 제거할 수 있어 세척을 신속하면서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을 제공하는 목적이 포함될 수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ainer for an internal containe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ixing ball having a drainage function of the washing water so that the washing water of the outer container can be removed even in a state where the container is coupled, so that the washing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easily.
아울러, 기재된 내용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 disclosed. It will be understood clearly.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기재된 내용은 상측이 개방된 반구 형상의 외부용기 및 상측이 개방된 반구 형상을 가지며, 바닥면에 배수홀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에 포개져 수용되는 내부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용기는 마주하는 양측에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손잡이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수용부에는 이탈방지구가 구비되며, 상기 내부용기는 마주하는 양측에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손잡이가 형성되어 손잡이의 하부가 상기 손잡이 수용부에 끼워지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이탈방지구가 끼워져 안내될 수 있도록 탈착공을 가지는 안내슬롯이 형성된다.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include an inner container having a hemispherical outer container with an open top and a hemispherical shape with an open top, a drain hol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nd an inner container which is superimposed and accommodated inside the outer container And a handl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container so that the outer container protrudes outwardly. The handle container is provided with an escape chamber. The inner container is formed with a handle so as to protrude outward on opposite sides thereof, A lower portion is fitted in the handle receiving portion, and the handle is formed with a guide slot having a de-venting hole so that the release slot can be inserted and guided.
더 바람직하게 상기 손잡이는 세워진 형태의 원판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와 상기 내부용기 외측둘레와의 제1연결부는 아래쪽으로 만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안내슬롯은 상기 제1연결부의 만곡진 형상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탈착공은 상기 안내슬롯의 중심에서 안쪽방향으로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수용부는 상기 손잡이의 하측 일부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만곡진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수용부와 상기 외부용기 외측둘레와의 제2연결부는 상기 제1연결부의 만곡진 저면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아래쪽으로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between the handle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container is formed to be curved downward and the guide slot is formed along the curved shap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Wherein the knob housing portion is formed with a curved receiving groove so that a lower part of the knob can be rotatably fitted to the knob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container may be curved downward so that the curved bottom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can be seated.
더 바람직하게 상기 이탈방지구는 선단부가 안쪽을 향하여 구부러지게 형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tip of the departure prevention member may be curved inward.
더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용기의 바닥면은 수평한 면으로 구성되거나, 복수의 받침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may be formed as a horizontal surface, or a plurality of supporting projections may be formed.
더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용기 바닥면은 수평한 면으로 구성되거나, 복수의 안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may be a horizontal surface, or a plurality of seating projections may be formed.
더 바람직하게 상기 손잡이의 상부는 상기 손잡이 수용부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upper portion of the handle may protrude from the upper end of the handle receiving portion.
더 바람직하게 상기 손잡이 수용부의 바깥면에는 상단에서 아래쪽을 향하여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cutout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le receiving portion from the upper end toward the lower end.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절개부는 일자형 또는 반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cut-out portion may be formed in a straight or semicircular shape.
더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용기의 배수홀은 일자형의 배수홀이 방사형으로 이격 형성되고, 상기 일자형의 배수홀 사이 사이로 원형의 배수홀이 형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drain hole of the inner container is formed with a radially spaced-apart drain hole, and a circular drain hole may be formed between the drain holes.
더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용기의 외측둘레에는 하나 이상의 배수 유도홈이 형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one or more drainage guiding grooves may be form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container.
더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용기의 상단과 상기 외부용기의 상단은 동일한 높이로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upper end of the inner container and the upper end of the outer container may have the same height.
더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용기의 상단과 상기 외부용기의 상단은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upper end of the inner container and the upper end of the outer container may be configured such that one of them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other.
기재된 내용에 따른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mixing ball having the drainage function of the washing water according to the described contents has the following effects.
즉, 외부용기와 그러한 외부용기의 내부에 포개져 수용되며 배수홀이 구비된 내부용기로 구성되고, 내부용기가 외부용기에 회전 가능하게 탈착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외부용기에 담긴 세척수를 제거시 외부용기로부터 내부용기를 분리시킬 필요 없이 외부용기를 기울여 제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외부용기로부터 내부용기를 간단하게 탈착시킬 수 있어 믹싱볼의 효용성과 사용자의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That is, it comprises an outer container, an inner container which is housed in the outer container and is provided with a drain hole, and the inner container is rotatab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outer container, The inner container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outer container, if necessary, so that the efficiency of the mixing ball and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further improved.
여기서, 이와 같이 기재된 내용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Here, since the effect of the contents described above is expected to be exercised by the constitution of the contents described irrespective of whether or not the inventor perceives it, the above-mentioned effects are only some effects according to the contents described, It should not be recognized that it is described.
또한, 기재된 내용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 of the described disclosure should be further understood by reference to the overall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and that, although not explicitly described,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appreciate It should be seen as an effect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도 1 은 기재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믹싱볼을 구성하는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분리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기재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믹싱볼을 구성하는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결합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3 은 기재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믹싱볼을 구성하는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결합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는 기재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믹싱볼을 구성하는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작동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는 기재된 내용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믹싱볼을 구성하는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결합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nner vessel and an outer vessel constituting a mixing ball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ner container and an outer container, which form a mixing b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inner container and an outer container, which form a mixing b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state of an inner vessel and an outer vessel constituting a mixing b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ner container and an outer container of a mixing ba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기재된 내용의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는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기재된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기재된 내용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기재된 내용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In addition, the sizes and shap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terms defined specifically in consideration of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contents describe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the operator And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우선, 기재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은 도 상측이 개방된 반구 형상의 외부용기와, 그러한 외부용기의 내부에 수용되는 내부용기를 포함하며, 내부용기의 양측에는 손잡이가 형성되고, 외부용기의 양측에는 내부용기의 손잡이가 끼워져 회전될 수 있는 손잡이 수용부가 형성된 것이 특징이며, 예시된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irst, a mixing ball having a function of draining wash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container having a hemispherical shape opened on the upper side and an inner container accommodated inside the outer container, and on both sides of the inner container, And a handle receiving part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container and rotatable with a handle of the inner container is formed.
먼저, 외부용기(200)는,First, the
도 1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측이 개방된 형태의 반구 형상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물이나 음식물 등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된다.As shown in FIG. 1, a hemispherical shape having an opened top side, and a space in which water, food, and the like can be received is provided therein.
외부용기(200)의 바닥면은 사방으로 또는 방사형으로 안착돌기(250)가 형성되어 설치면으로부터 외부용기(200)의 바닥면이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도록 하면서 외부용기(200)가 설치면으로부터 기울어지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bottom surface of the
외부용기(200)가 설치면으로부터 유동되거나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른 실시 예로는 바닥면을 설치면과 평행하도록 수평한 면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As another embodiment for preventing the
외부용기(200)는 마주하는 양측에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된 손잡이 수용부(210)가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손잡이 수용부(210)의 안쪽에는 이탈방지구(230)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The
외부용기(200)에는 도 5 에서와 같이 외부용기(200)의 내부에 담긴 물을 배수할 때 배수의 양을 조절하고 배수의 방향을 안내할 수 있도록 외부용기(200)의 외측둘레에서 바깥쪽을 향해 대략 "∧" 형태의 배수 유도홈(27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수 유도홈(270)은 외부용기(200)의 외축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이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양쪽 손잡이 수용부(210)의 사이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5, the
한편, 내부용기(100)는,On the other hand, in the
도 1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측이 개방된 형태의 반구 형상이며, 내부에 음식물 등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고, 외측둘레가 전술한 외부용기(200)의 내측둘레에 접면되어 포개질 수 있도록 외부용기(200)보다 작은 크기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a hemispherical shape having an open top side, a space in which food or the like can be received therein, and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hemispherical shape,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내부용기(100) 또한 개별적으로 설치면에 놓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바닥면의 사방 또는 방사형으로 받침돌기(140)가 형성될 수 있고, 내부용기(100) 또한 설치면으로부터 유동되거나 기울어지지 않도록 바닥면을 설치면과 평행하도록 수평한 면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The
내부용기(100)의 마주하는 양측에는 전술한 외부용기(200)의 손잡이 수용부(210)에 수용될 수 있도록 바깥쪽을 향해 돌출된 손잡이(110)가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손잡이(110)의 안쪽에는 외부용기(200)의 손잡이 수용부(210)에 구비된 이탈방지구(230)가 끼워져 안내될 수 있도록 안내슬롯(132)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안내슬롯(132)의 중심부에는 이탈방지구(230)의 탈착을 보조하기 위한 탈착공(131)이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내부용기(100)는 바닥면에 배수홀(120)이 형성되고, 이러한 배수홀(120)은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인 패턴을 가지면서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개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바닥면 중심이 기준이 되어 일자형의 복수의 배수홀(120)이 방사형으로 형성되고, 그러한 일자형의 배수홀(120)의 사이 사이로 동일 선상을 유지하는 다수의 원형 배수홀(120)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A
내부용기(100)는 내측둘레에 복수의 돌기(도면중 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돌기는 세척 대상물의 세척 과정에서 돌기와의 마찰을 통해 세척의 효율성을 높일 수도 있다.A plurality of protrusions (not shown in the figure)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여기서, 손잡이(110)와 손잡이 수용부(210)의 실시 예를 도 2 및 도 3 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 an embodiment of the
먼저, 손잡이(110)는 내부용기(100)의 외측둘레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며, 대략 원판의 형상을 가지면서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형태가 된다.First, the
손잡이(110)와 내부용기(100)의 외측둘레 사이는 제1연결부(130)로 구성되며, 이러한 제1연결부(130)는 아래쪽을 향하여 만곡지게 형성되고, 그러한 만곡진 제1연결부(130)의 내측둘레를 따라 소정 길이의 안내슬롯(132)이 절개되어 형성된다.The
손잡이(110)의 외측면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측과 하측의 반지름이 동일한 정원으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예시된 도면에서와 같이 중심점을 기준으로 하부의 반지름보다 상부의 반지름이 짧은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outer surface of the
그리고 손잡이 수용부(210)는 외부용기(200)의 외측둘레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며, 전술한 손잡이(110)의 하부가 끼워져 회전될 수 있도록 만곡진 형상의 수용홈(220)이 형성된다.The
손잡이 수용부(210)와 외부용기(200)의 외측둘레 사이는 제2연결부(240)로 구성되며, 이러한 제2연결부(240)는 전술한 내부용기(100)의 제1연결부(13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아래쪽을 향하여 만곡지게 형성되고, 그러한 만곡진 제2연결부(240)의 내축둘레 중심에는 상향 돌출된 이탈방지구(230)가 형성되며, 이러한 이탈방지구(230)는 외부용기(200)의 내부로 내부용기(100)가 포개질 때 내부용기(100)의 탈착공(131)을 통해 안내슬롯(132)으로 끼워지게 된다.The
이탈방지구(230)는 바람직하게 외부용기(200)의 중심을 향하는 안쪽을 향해 선단부가 구부러져 형성됨에 따라 이탈방지구(230)가 안내슬롯(132)에 끼워진 상태에서 이동될 때 안내슬롯(132)으로부터 불필요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한편, 외부용기(200)의 내부에 내부용기(100)가 포개지면서 내부용기(100)의 손잡이(110)가 외부용기(200)의 손잡이 수용부(210)에 수용되면 외부용기(200)의 이탈방지구(230)는 내부용기(100)의 탈착공(131)을 통해 안내슬롯(132)으로 끼워지게 되는데, 이때 손잡이(110)의 상부를 손잡이 수용부(210)의 상단 외부로 돌출되지 않게 구성할 수도 있지만, 내부용기(100)를 외부용기(200)로 분리시킬 때 사용자가 손잡이(110)를 정확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110)의 상부가 손잡이 수용부(210)의 상단에서 돌출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When the
여기서, 내부용기(100)의 손잡이(110)를 파지하기 위한 다른 실시 예로 도 5 에서와 같이 손잡이 수용부(210)의 바깥면에 상단에서 수직 하방으로 소정 길이의 절개부(260)를 형성하면 손잡이(110)의 상부가 손잡이 수용부(210)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거나 돌출되지 않더라도 그러한 절개부(260)를 통해 손잡이(110)를 간편하게 파지할 수 있으며, 이때 절개부(260)는 일자형, 반원형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when the
아울러, 외부용기(200)의 내부로 내부용기(100)가 포개지면서 결합될 때 내부용기(100)의 상단은 외부용기(200)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지만, 내부용기(100)의 상단이 외부용기(200)의 상단보다 낮게 구성되거나 반대로 높게 구성될 수도 있다.The upper end of the
이와 같이 구성되는 내부용기(100)와 외부용기(200)가 결합되어 사용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process in which the
먼저, 도 2 와 같이 외부용기(200)의 내부로 내부용기(100)를 포개지도록 집어넣게 되면 내부용기(100)의 손잡이(110)가 외부용기(200)의 손잡이 수용부(210)에 수용되면서 외부용기(200)의 이탈방지구(230)가 내부용기(100)의 탈착공(131)을 거쳐 안내슬롯(132)에 끼워지게 되고, 이에 따라 외부용기(200)와 내부용기(10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2, when the
이러한 상태에서 외부용기(200)로부터 내부용기(100)를 분리시킬 경우에는 외부용기(200)의 이탈방지구(230)를 내부용기(100)의 안내슬롯(132) 중심에 위치한 탈착공(131)에 맞춘 후 내부용기(100)의 손잡이(110)를 파지하여 들어올리게 되면 내부용기(100)가 외부용기(200)로부터 간단하게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한편, 외부용기(200)의 내부에 내부용기(1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세척수와 함께 세척 대상물이 내부용기(100)로 투입되면 세척수는 내부용기(100)의 배수홀(120)을 통해 외부용기로 이동되며, 투입되는 세척수의 양에 따라 세척수는 외부용기(200) 및 내부용기(100)에 일정량을 유지하게 된다.When the object to be cleaned is put into the
이러한 상태에서 내부용기(100)에 수용된 세척 대상물을 세척한 후에는 세척수를 제거할 필요가 있으며, 이때 사용자는 도 4 와 같이 양손으로 손잡이 수용부(210)를 각각 파지한 후 외부용기(200)를 어느 한쪽으로 기울이면 기울어진 외부용기(200)로부터 세척수가 외부로 배출되고, 이탈방지구(230)는 안내슬롯(132)의 중심에서 어느 한쪽에 이동된 상태가 되며, 내부용기(100)는 내부의 세척 대상물로 인한 무게중심이 유지되면서 기울어지지 않으며, 내부용기의 남아 있는 세척수는 배수홀(120)을 통해 배수됨에 따라 외부용기(200)와 내부용기(100)의 분리 없이 세척 대상물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state,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washing water after cleaning the cleaning object accommodated in the
이와 같이 기재된 내용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기재된 내용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기재된 내용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내부용기
110 : 손잡이
120 : 배수홀
130 : 제1연결부
131 : 탈착공
132 : 안내슬롯
140 :받침돌기
200 : 외부용기
210 : 손잡이 수용부
220 : 수용홈
230 : 이탈방지구
240 : 제2연결부
250 : 안착돌기
260 : 절개부
270 : 배수 유도홈100: inner container 110: handle
120: drain hole 130: first connection part
131: Deaerating hole 132: Guide slot
140: Support projection 200: Outer container
210: handle receiving portion 220: receiving groove
230: Disengagement zone 240: Second connection
250: a seating projection 260:
270: drain guide groove
Claims (12)
상측이 개방된 반구 형상을 가지며, 바닥면에 배수홀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용기의 내부에 포개져 수용되는 내부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용기는 마주하는 양측에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손잡이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수용부에는 이탈방지구가 구비되며,
상기 내부용기는 마주하는 양측에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손잡이가 형성되어 손잡이의 하부가 상기 손잡이 수용부에 끼워지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이탈방지구가 끼워져 안내될 수 있도록 탈착공을 가지는 안내슬롯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A hemispherical outer container having an open upper side; And
An inner container having a hemispherical shape with an open upper side, a drain hole formed in a bottom surface thereof, and an inner container superimposed and accommodated in the outer container,
Wherein the outer container is formed with a handle receiving part protruding outward on opposite sides of the outer container,
The inner container is formed with a handle so as to protrude outward on opposite sides of the inner container, a lower portion of the handle is fitted in the handle receiving portion, and the handle is formed with a guide slot having a de- Mixing ball with drainage function of washing water feature.
상기 손잡이는 세워진 형태의 원판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손잡이와 상기 내부용기 외측둘레와의 제1연결부는 아래쪽으로 만곡지게 형성되고, 상기 안내슬롯은 상기 제1연결부의 만곡진 형상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탈착공은 상기 안내슬롯의 중심에서 안쪽방향으로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 수용부는 상기 손잡이의 하측 일부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만곡진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 수용부와 상기 외부용기 외측둘레와의 제2연결부는 상기 제1연결부의 만곡진 저면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아래쪽으로 만곡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onnection part between the handle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container is formed to be curved downward and the guide slot is formed by being cut along the curved shap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Wherein the de-fitting hole is formed so as to communicate inward from the center of the guide slot,
Wherein the knob housing portion is formed with a curved receiving groove so that a lower portion of the knob is rotatably fitted, and a second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knob receiving portion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container is formed by a curved low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Wherein the bottom surface of the mixing bowl has a bottom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상기 이탈방지구는 선단부가 안쪽을 향하여 구부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is formed such that its tip end portion is bent inward.
상기 내부용기의 바닥면은 수평한 면으로 구성되거나, 복수의 받침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ontainer is formed as a horizontal surface, or a plurality of supporting projections are formed.
상기 외부용기 바닥면은 수평한 면으로 구성되거나, 복수의 안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Wherein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container has a horizontal surface or a plurality of seating projections are formed.
상기 손잡이의 상부는 상기 손잡이 수용부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upper portion of the handle is protruded from an upper end of the handle receiving portion.
상기 손잡이 수용부의 바깥면에는 상단에서 아래쪽을 향하여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ut-out portion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andle receiving portion from an upper end to a lower end.
상기 절개부는 일자형 또는 반원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incising part is formed in a straight shape or a semicircular shape.
상기 내부용기의 배수홀은 일자형의 배수홀이 방사형으로 이격 형성되고, 상기 일자형의 배수홀 사이 사이로 원형의 배수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drain hole of the inner container is formed with a straight drain hole spaced radially from the drain hole and a circular drain hole is formed between the straight drain holes.
상기 외부용기의 외측둘레에는 하나 이상의 배수 유도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drainage guide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container.
상기 내부용기의 상단과 상기 외부용기의 상단은 동일한 높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end of the inner container and the upper end of the outer container are formed at the same height.
상기 내부용기의 상단과 상기 외부용기의 상단은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척수의 배수기능을 가진 믹싱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end of the inner container and the upper end of the outer container are positioned higher than the other on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3540A KR20180119876A (en) | 2017-04-26 | 2017-04-26 | Mixing ball with drainage function of washing wa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3540A KR20180119876A (en) | 2017-04-26 | 2017-04-26 | Mixing ball with drainage function of washing wat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19876A true KR20180119876A (en) | 2018-11-05 |
Family
ID=64328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53540A KR20180119876A (en) | 2017-04-26 | 2017-04-26 | Mixing ball with drainage function of washing wa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119876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80450B1 (en) * | 2021-03-18 | 2022-03-29 | 최혁 | The pot in which tray |
-
2017
- 2017-04-26 KR KR1020170053540A patent/KR20180119876A/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80450B1 (en) * | 2021-03-18 | 2022-03-29 | 최혁 | The pot in which tra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50257608A1 (en) | Cutting board assembly | |
JP2007144119A (en) | Grating device | |
KR20060089653A (en) | Cooking Pot | |
KR20180018606A (en) | Cookware including lid having handle with utensil rest | |
KR101128051B1 (en) | A pan cover for multipurpose cooking | |
KR20180136681A (en) | Mixing ball with drainage function of washing water | |
KR20180119876A (en) | Mixing ball with drainage function of washing water | |
US20150196153A1 (en) | Pasta pot and strainer combination | |
EP2745756B1 (en) | Improved cooking vessel | |
US20130233868A1 (en) | Produce Washing Bowl | |
KR101379754B1 (en) | Removable Handle for Cover of Cookware | |
JP2008302188A (en) | Ladle | |
KR101823612B1 (en) | Cooking apparatus | |
KR101717124B1 (en) | Pot with draining spoon | |
KR101028302B1 (en) | Kitchen knife stand | |
KR101733338B1 (en) | Rice washing device | |
KR101388807B1 (en) | Removable type cover handle for cookware | |
KR20130007142U (en) | A fruit cutting machine set | |
KR102380450B1 (en) | The pot in which tray | |
KR200446836Y1 (en) | cooking container cover | |
KR102240619B1 (en) | Kitchen container | |
CN217792701U (en) | Disconnect-type chafing dish handle structure | |
WO2020061141A1 (en) | Portable device for cleaning and/or sanitizing jewelry and other small parts | |
KR200366806Y1 (en) | Scissors having function of frying pan knob | |
KR20010108396A (en) | Top attachment for pots and pan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2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4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4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02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