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8997A - Mornitor Supporter for adjusting height - Google Patents

Mornitor Supporter for adjusting heigh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8997A
KR20180118997A KR1020170052399A KR20170052399A KR20180118997A KR 20180118997 A KR20180118997 A KR 20180118997A KR 1020170052399 A KR1020170052399 A KR 1020170052399A KR 20170052399 A KR20170052399 A KR 20170052399A KR 20180118997 A KR20180118997 A KR 20180118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adjusting
post
adjusting post
height
suppor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3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81165B1 (en
Inventor
이성근
최낙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시스
Priority to KR1020170052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1165B1/en
Publication of KR20180118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89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1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3Supporting arrangements, e.g. for filters or documents associated to a laptop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itor supporter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Especially, the monitor supporter comprises: a supporting body having an inner space and an opening in which an upper part of the inner space is opened; a height adjusting post provided to be vertically moved through the opening in the inner space of the supporting body; and a shelf vertically moving in conjunction with the height adjusting post, arranged to be slidably movable in a front-and-back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an upper end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and having a monitor mounted on an upper surface. Therefore, the convenience of a user is improved.

Description

높이조절이 가능한 모니터 받침대{Mornitor Supporter for adjusting height}A height adjustable monitor base {Mornitor Supporter for adjusting height}

본 발명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모니터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니터가 거치되는 선반이 서포팅 바디를 기준으로 안정적으로 상하 무빙됨과 아울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무빙되도록 구비됨으로써 모니터의 위치를 사용자 체형에 맞도록 맞춤 거치할 수 있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모니터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itor base capable of height adjust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nitor base in which a monitor is stably lifted and lowered with respect to a supporting body, and is slidably moved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nitor base capable of height-adjustable and capable of being fitted and fixed in a proper manner.

일반적으로, 컴퓨터의 구성품인 모니터와 키보드, 마우스는 책상이나 테이블 위에 두고 사용하는 사무용품으로 분류될 수 있다.Generally, a monitor, a keyboard, and a mouse, which are components of a computer, can be classified as an office supply that is placed on a desk or a table.

특히, 모니터는 사용자가 직접 화면을 응시하여야 하는 바, 그 높낮이가 매우 중요한 한편, 사용자 체형에 맞도록 책상 또는 테이블 위에 거치되어야 한다.In particular, the monitor must gaze directly at the screen, which is very important, while it must be mounted on a desk or table to suit the user's body.

종래에는 사용자가 모니터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모니터의 하부에 높이가 일정하도록 제조된 모니터 받침대를 자신의 체형 등을 고려하여 선택하여 구매한 후 사용 모니터를 상부에 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adjust a height of a monitor, a user has to select a monitor base manufactured to have a constant height at a lower portion of the monitor in consideration of its body shape, etc., and then mount the monitor on the monitor.

그러나, 종래의 모니터 받침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높이가 일정하게 제조되어 각각 상이한 사용자 사용습관 및 이로부터 형성된 사용자 체형에 전부 맞춤시켜 모니터를 거치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monitor pedestal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mount the monitor on the monitor, because the height of the monitor pedestal is made uniform and the user's habit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아울러, 사용자는 자신의 시각에 맞도록 모니터와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를 위해서는 모니터 받침대 전체를 책상 또는 테이블 위에서 전후로 이동시켜 거리를 조절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In addition, it is common that the user adjusts the distance to the monitor in accordance with his / her viewing angle. In this case, it is inconvenient to adjust the distance by moving the entire monitor pedestal back and forth from the desk or table.

한편,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종래기술로서, 모니터의 높낮이를 가변할 수 있는 모니터 받침대의 내용을 개시한 등록실용신안 제20-0482736호가 있다.On the other hand, as a prior art of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re is a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482736 which discloses the contents of a monitor pedestal capable of varying the height of the monitor.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82736호 (2017.02.28.공고)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82736 of the Republic of Korea (Notice of February 28, 2017)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모니터가 거치되는 선반이 서포팅 바디를 기준으로 안정적으로 상하 무빙됨과 아울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무빙되도록 구비됨으로써 모니터의 위치를 사용자 체형에 맞도록 맞춤 거치할 수 있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모니터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lay apparatus and a display apparatus in which a monitor shelf is stably lifted and lowered with respect to a supporting body,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nitor base capable of being height-adjustable.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모니터 받침대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내부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의 상부가 개구된 개구부를 가지는 서포팅 바디와, 상기 서포팅 바디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하로 무빙되게 구비된 높이조절 포스트와, 상기 높이조절 포스트와 연동하여 상하 무빙되되, 상기 높이조절 포스트의 상단부에 대하여 전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무빙 가능하게 배치되고, 모니터가 상면에 거치되는 선반을 포함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height adjustable monitor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ing body having an inner space and an opening in which an upper portion of the inner space is opened, And a shelf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so as to be slid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horizontal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upper end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and to b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여기서, 상기 서포팅 바디에 구비되되, 상기 높이조절 포스트와 간섭 및 해제되어 임의의 높이에서 상기 높이조절 포스트를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하는 락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upporting body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part provided on the supporting body, the locking part interfering with and releasing the height adjusting post to fix or unlock the height adjusting post at an arbitrary height.

또한, 상기 락킹부는, 상기 서포팅 바디에 전후로 무빙되게 설치되되, 상기 내부 공간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돌기가 형성된 스페이서와, 상기 서포팅 바디 중 상기 스페이서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스페이서를 상기 높이조절 포스트의 전면부로 밀어주는 캠형 클램핑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king part may include a spacer, which is mounted on the supporting body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at least one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space, and a supporting part provided in front of the spacer of the supporting body, And a cam-type clamping lever to push against the front of the post.

또한, 상기 높이조절 포스트의 전면에는, 상기 스페이서의 고정 돌기의 후단부가 임의의 높이에서 수용되는 복수의 고정홈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which are received at a predetermined height,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so that the rear end of the fixing protrusion of the spacer is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높이조절 포스트의 후면에는, 상하방향으로 물결 형상의 수직단면을 가지도록 상하 이격되게 복수의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에 해당하는 상기 서포팅 바디의 내측면에는 상기 복수의 요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수용되어 걸림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recessed portions ar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have a wavy vertical sec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rear surface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an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ing body corresponding to the inner space, At least one or more locking protrusions may be formed which are received in at least one of the locking protrusions.

또한, 상기 캠형 클램핑 레버는, 상단부를 중심으로 하단부가 회동되는 레버 플레이트와, 상기 스페이서의 전면에 미끄럼 접촉되는 캠부를 포함하고, 상기 캠부는, 상기 레버 플레이트의 하단부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스페이서가 후방으로 무빙되고, 상기 레버 플레이트의 하단부를 후방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스페이서가 전방으로 무빙되게 상기 레버 플레이트의 회동 중심에 대하여 편심된 외주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am-type clamping lever includes a lever plate having a lower end turned about an upper end thereof, and a cam portion slidingly contacted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spacer. When the lower end of the lever plate is turned forward, When the lower end of the lever plate is rotated backward, the spacer may be formed to have an outer peripheral surface eccentric to the rotation center of the lever plate so as to be moved forward.

또한, 상기 높이조절 포스트의 후면과 상기 내부 공간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서포팅 바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높이조절 포스트의 상하 무빙시 소정의 동작 촉감을 부여하는 조작감 형성부와, 상기 높이조절 포스트의 상하 무빙시 상기 높이조절 포스트의 하단부를 전방으로 지지하는 밸런스 형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 operation feeling forming unit provid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and the supporting body forming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to give a predetermined movement feeling when the height adjusting post is moved up and down, And a balance forming unit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forward when the upper and lower movable bodies move up and down.

또한, 상기 조작감 형성부는, 상기 서포팅 바디의 내측면에 홈 형상으로 형성된 제1설치홈에 수용되고, 상기 높이조절 포스트의 후면에 상하방향으로 물결 형상의 수직단면을 가지도록 상하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요홈부에 구름 접촉되는 제1접촉 롤러와, 상기 제1설치홈에 배치되어 상기 제1접촉 롤러를 상기 제1설치홈의 외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1지지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밸런스 형성부는, 상기 높이조절 포스트의 후면에 홈 형상으로 형성된 제2설치홈에 수용되고, 상기 서포팅 바디의 내측면에 구름 접촉되는 제2접촉 롤러와, 상기 제2설치홈에 배치되어 상기 제2접촉 롤러를 상기 제2설치홈의 외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2지지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nipulation-feeling forming portion is accommodated in a first attachment groove formed in a groove-like shape on an inner surface of the supporting body, and a plurality of vertically spaced apart vertical and vertical sections ar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height- And a first support elastic member disposed in the first installation groove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first contact roller to the outside of the first installation groove, A second contact roller which is accommodated in a second mounting groove formed in a groove shape on a rear surface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and is in rolling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upporting body; And a second support elastic body elastically supporting the second installation groove outside.

또한, 제1지지탄성체 및 제2지지탄성체는, 상기 제1설치홈 또는 제2설치홈의 내측에 수용되는 고무 재질의 범퍼체일 수 있다.The first supporting elastic body and the second supporting elastic body may be rubber-made bumper bodies accommodated in the first mounting groove or the second mounting groove.

또한, 상기 내부 공간의 상측에 해당하는 상기 서포팅 바디의 상단부에는, 상기 개구부를 3개의 영역으로 구획함과 아울러, 상기 높이조절 포스트의 상하 무빙을 안내하는 가이드 브릿지가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 포스트는, 상기 3개의 영역 중 가운데를 점하도록 무빙되는 센터 포스트와, 상기 3개의 영역 중 일측을 점하도록 무빙되는 일측 포스트와, 상기 3개의 영역 중 타측을 점하도록 무빙되는 타측 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guide bridge for guiding vertical movement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upporting body correspon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inner space, the opening portion is divided into three regions, A center post that moves to point at the center of the three areas, a side post that moves to point to one side of the three areas, and a side post that moves to point to the other side of the three areas.

또한, 상기 센터 포스트와 상기 일측 포스트 및 상기 타측 포스트는, 각각의 인접하는 하단부가 상호 연결되고, 각각의 인접하는 사잇 공간에 상기 가이드 브릿지가 위치되어 상기 높이조절 포스트의 상하 무빙을 가이드할 수 있다.The center post, the one-side post, and the other-side post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ir lower ends, and the guide bridges may be positioned in adjacent adjoining spaces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

또한, 상기 높이조절 포스트의 상단과 상기 선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선반을 전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무빙시키는 슬라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lide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and the shelf to slide and move the shelf in the front and rear horizontal directions.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선반의 하면에 전후방향으로 긴 장방형으로 형성된 레일 설치홈에 설치되고, 양단부에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개구되게 하방으로 알루미늄 압출성형에 의해 절곡 형성된 레일홈이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과, 상기 높이조절 포스트의 상단부와 결합되고, 양단부가 상기 레일홈에 끼움되는 고정 상판을 포함할 수 있다.The sliding portion may include a sliding rail provided in a rail mounting groove formed in a long rectangular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helf and having a rail groove formed by bending by aluminum extrusion molding so as to open in mutually opposite directions at both ends, And a fixed top plate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and having both ends fitted in the rail grooves.

또한, 상기 서포팅 바디의 후방부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결합되고, 상기 서포팅 바디가 안착되는 데스크의 상부 플레이트의 후단부에 상기 서포팅 바디를 고정시키는 바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body fixing unit coupl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supporting body so as to protrude downward and to fix the supporting body to the rear end of the upper plate of the desk on which the supporting body is mounted.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모니터 받침대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height-adjustable monitor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various effects can be achieved.

첫째, 선반이 서포팅 바디에 대하여 상하로 무빙되게 구비되므로,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모니터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First, since the shelf is provided so as to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body,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monitor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hape.

둘째, 선반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무빙되게 구비되므로, 사용자의 개성 및 사무 환경에 따라 모니터와의 이격거리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Second, since the shelf is slidably mov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it is possible to freely adjust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monitor according to the user's personality and office environment.

셋째, 모니터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을 정도의 고정력을 가지므로, 제품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ird, since the fixing force is enough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monitor, the st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모니터 받침대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높이조절 포스트의 상하 무빙 작동 모습을 나타낸 작동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구성 중 슬라이딩부에 의한 선반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 무빙 작동 모습을 나타낸 작동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구성 중 락킹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락킹부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구성 중 서포팅 바디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도 2의 A-A 및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구성 중 슬라이딩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1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height adjustable monitor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opera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rtical movement of the height adjustment post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
FIG. 3 is an opera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liding and moving operation of the shelf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by the sliding part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ing part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
FIG.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part,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supporting body of the structure of FIG. 1,
Figs. 7A and 7B are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s AA and BB in Fig. 2,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liding portion of the structure of FIG. 1,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in Fi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모니터 받침대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height adjustable monitor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모니터 받침대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높이조절 포스트의 상하 무빙 작동 모습을 나타낸 작동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구성 중 슬라이딩부에 의한 선반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 무빙 작동 모습을 나타낸 작동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height adjustable monitor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opera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rtical movement of a height adjusting post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liding movement of the shelf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FIG.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모니터 받침대(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내부 공간(11)과, 내부 공간(11)의 상부가 개구된 개구부(12)를 가지는 서포팅 바디(10)와, 서포팅 바디(10)의 내부 공간(11)에서 개구부(12)를 통하여 상하로 무빙되게 구비된 높이조절 포스트(20)와, 높이조절 포스트(20)와 연동하여 상하 무빙되되, 높이조절 포스트(20)의 상단부에 대하여 전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무빙 가능하게 배치되고, 모니터(미도시)가 상면에 거치되는 선반(30)을 포함한다.1 to 3, the height adjustable monitor pedestal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space 11 and an opening (not shown) in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space 11 is opened A height adjusting post 20 which is vertically moved through the opening 12 in the inner space 11 of the supporting body 10 and a height adjusting post 20, And includes a shelf 30 which is vertical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upper end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20 so as to be slidable and movable in the front and back horizontal direction and on which a monitor (not shown)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서포팅 바디(10)는, 데스크(책상)의 상부 플레이트(미도시)에 안착되는 구성으로서, 전체적으로 선반(30)의 상면에 거치되는 모니터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구성이다. 또한, 서포팅 바디(10)는, 높이조절 포스트(20)가 상하 무빙될 때 이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The supporting body 10 is configured to be mounted on an upper plate (not shown) of a desk (desk), and stably supports the load of the monitor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helf 30 as a whole. The supporting body 10 guides the height adjusting post 20 when the height adjusting post 20 is moved up and down.

서포팅 바디(10)는,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어 내부에 상술한 내부 공간(11)에 형성되고, 대략 상부로 갈수록 수평 단면의 면적이 점점 작아지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서포팅 바디(10)의 개구된 하면은, 하부 플레이트(13)에 의하여 차폐될 수 있다.The supporting body 10 may be formed in a shape of a hexahedron which is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formed in the inner space 11 described above and the area of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upper part. The open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ing body 10 can be shielded by the lower plate 13.

아울러, 서포팅 바디(10)의 후방에는 후술하는 바디 고정부(80)가 결합되는 후방 돌출단(14)이 형성될 수 있다. 후방 돌출단(14)은, 서포팅 바디(10)의 후방 하측에서 후방으로 소정길이 돌출 연장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서포팅 바디(10)의 데스크의 상부 플레이트에 대한 지지 면적을 넓혀주어 모니터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Further, a rear protruding end 14 to which a later-described body fixing part 80 is coupled may be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supporting body 10. The rear protruding end 14 is provided so as to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rearwardly from the rear lower side of the supporting body 10 to enlarge the supporting area of the desk of the supporting body 10 with respect to the upper plate so as to more stably support the monitor .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모니터 받침대(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서포팅 바디(10)의 후방부의 후방 돌출단(14)에 결합되고, 서포팅 바디(10)가 안착되는 데스크의 상부 플레이트의 후단부에 서포팅 바디(10)를 고정시키는 바디 고정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height adjustable monitor pedestal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and 3, is coupled to the rear protruding end 14 of the rear part of the supporting body 10 And a body fixing part 80 for fixing the supporting body 10 to the rear end of the upper plate of the desk on which the supporting body 10 is mounted.

바디 고정부(80)는, 데스크 플레이트의 상면에 안착된 서포팅 바디(10)의 하부 플레이트(13)와 함께 데스크 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서포팅 바디(10)를 고정시키는 고정 후크(81)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후크(81)는, 데스크 플레이트의 두께에 따라 상하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body fixing part 80 is provided with a fixing hook 81 for fixing the supporting body 10 with the desk plate interposed therebetween together with the lower plate 13 of the supporting body 10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sk plate . The fixing hooks 81 may be vertically adjustable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desk plat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모니터 받침대(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서포팅 바디(10)에 구비되되, 높이조절 포스트(20)와 간섭 및 해제되어 임의의 높이에서 높이조절 포스트(20)를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하는 락킹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to 3, the monitor bas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supporting body 10 and includes a height adjusting post 20 and an interference And a locking portion 40 that releases and fixes or disengages the height adjustment post 20 at any height.

도 4는 도 1의 구성 중 락킹부(40)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락킹부(40)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cking part 40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 and Fig.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part 40. Fig.

도 4 및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서포팅 바디(10)의 전면 중 가운데 부위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되 후방으로 함몰되게 락킹 설치부(15)가 형성된다. 락킹 설치부(15)는, 락킹부(40)의 설치 장소를 제공한다.As shown in FIGS. 4 and 5, a lock mounting part 15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ing body 10 so as to be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recessed backward. The locking mounting portion 15 provides a mounting place for the locking portion 40.

보다 상세하게는, 락킹부(40)는, 도 4 및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서포팅 바디(10)의 전후로 무빙되게 설치되되, 내부 공간(11)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돌기(42)가 형성된 스페이서(41)와, 서포팅 바디(10) 중 스페이서(41)의 전방에 설치되고, 스페이서(41)를 높이조절 포스트(20)의 전면부로 밀어주는 캠형 클램핑 레버(45)를 포함할 수 있다.4 and 5, the locking part 40 includes at least one fixing protrusion 42 (not shown) which is installed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of the supporting body 10 and protrudes into the inner space 11, And a cam type clamping lever 45 which is provided in front of the spacer 41 of the supporting body 10 and pushes the spacer 41 to the front face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20 .

락킹 설치부(15)는, 대략 서포팅 바디(10)의 전면 중 가운데 부분에 전방이 개구된 'ㄷ'자 형상의 수평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The locking mounting portion 15 is formed to have a horizontal cross section of a 'D' shape having a front opening at a center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ing body 10.

여기서, 락킹 설치부(15)는, 도 4 및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스토퍼 리브(15c)에 의하여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는데, 상부 공간으로써 스페이서 설치 공간(15a)과, 하부 공간으로써 레버 그립 공간(15b)으로 구획될 수 있다.4 and 5, the locking installation part 15 can be divided into two spaces by a stopper rib 15c to be described later. The upper space includes a spacer installation space 15a, And can be partitioned into a lever grip space 15b as a lower space.

스페이서 설치 공간(15a)과 레버 그립 공간(15b)은, 락킹 설치부(15)의 후면 중간 부분에서 전방으로 소정길이 수평되게 연장된 스토퍼 리브(15c)에 의하여 구획될 수 있다.The spacer installation space 15a and the lever grip space 15b may be partitioned by a stopper rib 15c extended horizontally by a predetermined length forward at the rear middle portion of the locking installation portion 15. [

스페이서 설치 공간(15a)은, 상단부를 제외한 락킹 설치부(15)의 후면이 개구되어 후방의 높이조절 포스트(20)가 구비된 내부 공간(11)과 연통되게 구비될 수 있다.The spacer installation space 15a may be provid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space 11 having the rear height adjustment post 20 opened at the rear side of the locking installation portion 15 except for the upper end portion.

스페이서 설치 공간(15a) 중 좌우 측벽에는 각각 스페이서(41)의 양단부가 끼움되어 캠형 클램핑 레버(45)에 의하여 전후로 무빙될 때 스페이서(41)의 무빙을 안내하는 설치 레일홈(16)이 구비될 수 있다.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the spacer installation space 15a are provided with installation rail grooves 16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pacers 41 when the both ends of the spacers 41 are inserted and moved forward and backward by the cam type clamping levers 45 .

스페이서(41)에는, 대략 스페이서 설치 공간(15a)에서 전후로 무빙되는 크기를 가진 블록 형태로 형성되되, 좌우 양단부의 가운데 부분이 설치 레일홈(16)에 삽입되도록 좌우로 각각 소정길이 연장되는 설치단(43)이 형성될 수 있다.The spacer 41 is formed in a block shape having a size to move back and forth in the approximately spacer installation space 15a. The spacer 41 has a mounting end (43) may be formed.

아울러, 스페이서(41)의 후면에는 4개의 고정 돌기(42)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4개의 고정 돌기(42)는, 대략 스페이서(41)의 상단부 좌우에 2개가 이격되게 구비되고, 스페이서(41)의 중간 부분 좌우에 2개가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four fixing protrusions 42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pacer 41 so as to protrude rearward. The four fixing protrusions 42 are provid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spacer 41 and two spaced from each other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spacer 41.

4개의 고정 돌기(42)는, 서포팅 바디(10)의 내부 공간(11)에 상하로 무빙되는 높이조절 포스트(20)의 전면과 간섭되는 정도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four fixing protrusions 42 may protrude rearward to such an extent as to interfere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20 moving up and down in the inner space 11 of the supporting body 10. [

한편, 캠형 클램핑 레버(45)는,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단부를 중심으로 하단부가 회동되는 레버 플레이트(46)와, 스페이서(41)의 전면에 미끄럼 접촉되는 캠부(47)를 포함할 수 있다.4, the cam-type clamping lever 45 includes a lever plate 46 having a lower end turned about an upper end portion thereof and a cam portion 47 slidingly contacting the front surface of the spacer 41 .

캠형 클램핑 레버(45)의 상단부 좌우 양측에는 락킹 설치부(15) 중 설치 레일홈(16)의 전단에 일체로 형성된 힌지 수용홈(17)에 삽입되고, 캠형 클램핑 레버(45)의 회동 중심이 되는 힌지 결합돌기(48)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Type clamping levers 45 are inserted into the hinge receiving grooves 17 integrally formed on the front ends of the mounting rail grooves 16 of the locking mounting portions 15 so that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cam- And the hinge coupling protrusions 48 may be formed.

여기서, 캠부(47)는,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레버 플레이트(46)의 하단부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스페이서(41)가 후방으로 무빙되고, 레버 플레이트(46)의 하단부를 후방으로 회동시키면 스페이서(41)가 전방으로 무빙되게 레버 플레이트(46)의 회동 중심에 대하여 편심된 외주면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5, when the lower end of the lever plate 46 is rotated forward, the spacer 41 is moved backward and the lower end of the lever plate 46 is rotated backward It is preferable that the spacer 41 is formed so as to have an outer peripheral surface eccentric to the rotation center of the lever plate 46 so as to be moved forward.

아울러, 레버 플레이트(46)의 하단부는, 서포팅 바디(10)가 안착되는 데스크 플레이트의 상면에 대하여 소정거리 이격되는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손가락과 같은 신체 일부가 레버 그립 공간(15b)으로 용이하게 삽입되어 레버 플레이트(46)의 하단부를 그립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lever plate 46 is formed to have a length that is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desk plate on which the supporting body 10 is seated so that a part of the body such as the user's finger is easily inserted into the lever grip space 15b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lever plate 46 can be gripped.

한편, 내부 공간(11)의 상측에 해당하는 서포팅 바디(10)의 상단부에는, 개구부(12)를 3개의 영역(도 2의 도면부호 12a,12b,12c 참조)으로 구획함과 아울러, 높이조절 포스트(20)의 상하 무빙을 안내하는 가이드 브릿지(18)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upporting body 10 correspon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inner space 11, the opening 12 is divided into three regions (refer to 12a, 12b and 12c in Fig. 2) And a guide bridge 18 for guiding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post 20 can be formed.

가이드 브릿지(18)는, 2개가 각각 이격되게 서포팅 바디(10)의 상단부에 형성되되, 전후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서포팅 바디(10)의 전단부와 후단부를 각각 연결시킴으로써 개구부(12)를 3개의 영역으로 구획한다.The guide bridge 18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ing body 1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guide bridge 18 is extended horizont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connec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supporting body 10, Area.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 포스트(20) 또한, 3개의 영역 중 가운데를 점하도록 무빙되는 센터 포스트(21a)와, 3개의 영역 중 일측(도면상 좌측)을 점하도록 무빙되는 일측 포스트(21b)와, 3개의 영역 중 타측(도면상 우측)을 점하도록 무빙되는 타측 포스트(21c)로 구성될 수 있다.2, the height adjustment post 20 also includes a center post 21a which moves to point at the center of the three areas, and a side post 21a which moves to point at one side (left side in the figure) And a second post 21c which moves to point to the other side (the right side in the figure) of the three areas.

센터 포스트(21a)와, 일측 포스트(21b) 및 타측 포스트(21c)는 각각의 인접하는 하단부가 미도시의 연결단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고, 각각의 인접하는 사잇 공간에 가이드 브릿지(18)가 위치되는 이격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높이조절 포스트(20)가 상하 무빙할 때 가이드 브릿지(18)가 이를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The center post 21a and one of the posts 21b and 21c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connecting ends of adjacent lower ends thereof. So that the guide bridge 18 guides the height adjusting post 20 when the height adjusting post 20 is moved up and down.

또한, 가이드 브릿지(18)는, 높이조절 포스트(20)의 연결단과 간섭됨으로써, 높이조절 포스트(20)가 개구부(12)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guide bridge 18 interferes with the connecting end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20 to prevent the height adjusting post 20 from being displaced upward from the opening 12. [

높이조절 포스트(20) 중 센터 포스트(21a)의 전면에는, 스페이서(41)의 고정 돌기(42)의 후단부가 임의의 높이에서 수용되는 복수의 고정홈(22)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22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enter post 21a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20 so that the rear end of the fixing protrusion 42 of the spacer 41 is received at an arbitrary height, .

이와 같이 형성된 높이조절 포스트(20)의 복수의 고정홈(22)에는, 캠형 클램핑 레버(45)의 레버 플레이트(46)의 하단부를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눌러 후방으로 회동시키면 스페이서(41)가 락킹 설치부(15)에서 후방으로 무빙되면서 스페이서(41)의 고정 돌기(42)가 높이 조절된 임의의 높이에 위치에 해당하는 복수의 고정홈(22) 중 적어도 하나에 압입되어 수용된다. 이때, 스토퍼 리브(15c)의 전단에 레버 플레이트(46)의 내측면이 접촉됨으로써, 사용자의 과회전 동작을 제한할 수 있다.When the user pushes the lower end of the lever plate 46 of the cam-type clamping lever 45 by pressing his / her finger backward, the spacers 41 are locked in the plurality of fixing grooves 22 of the height- The fixing protrusions 42 of the spacer 41 are pressed into and accommodated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xing grooves 22 corresponding to the height-adjusted arbitrary height. At this time, since the inner surface of the lever plate 46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end of the stopper rib 15c, the overrun operation of the user can be restricted.

반대로, 복수의 고정홈(22) 중 적어도 하나에 스페이서(41)의 고정 돌기(42)가 압입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캠형 클램핑 레버(45)의 레버 플레이트(46)의 하단부를 잡아당겨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스페이서(41)를 가압하는 캠형 클램핑 레버(45)의 압입력이 해제되면서, 스페이서(41)가 락킹 설치부(15)에서 전방으로 무빙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고, 이 경우 사용자는 다시 높이조절 포스트(20)를 임의의 높이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Conversely, when the user pushes the lower end of the lever plate 46 of the cam-type clamping lever 45 in the state in which the fixing protrusion 42 of the spacer 41 is press-fit and received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xing grooves 22 The spacer 41 is switched to a state in which the spacer 41 can be moved forward in the locking installation portion 15 while the pressure input of the cam type clamping lever 45 for pressing the spacer 41 is released, The height adjusting post 20 can be adjusted to any height.

도 6은 도 1의 구성 중 서포팅 바디의 내부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도 2의 A-A 및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supporting body of the structure of FIG. 1, and FIGS. 7a and 7b are 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A-A and B-B of FIG.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모니터 받침대(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6 내지 도 7b에 참조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 포스트(20)의 후면과 내부 공간(11)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서포팅 바디(10) 사이에 구비되어, 높이조절 포스트(20)의 상하 무빙시 소정의 동작 촉감을 부여하는 조작감 형성부(50)와, 높이조절 포스트(20)의 상하 무빙시 높이조절 포스트(20)의 하단부를 전방으로 지지하는 밸런스 형성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preferable embodiment of the height adjustable monitor pedestal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rear surface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2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11 are formed as shown in FIGS. An operation feeling forming unit 50 provided between the supporting bodies 10 for supporting the height adjusting posts 20 to give a predetermined feeling of movement when the height adjusting posts 20 are moved up and down, 20)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20a and 20b forward.

보다 상세하게는, 높이조절 포스트(20)의 후면에는, 상하방향으로 물결 형상의 수직단면을 가지도록 상하 이격되게 복수의 요홈부(24)가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 plurality of recessed grooves 24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20 so as to have a vertically wavy vertical section.

복수의 요홈부(24)는, 높이조절 포스트(20)의 후면에 좌우로 길게 형성된 곡면 형태의 요홈이 전방으로 함몰되게 복수개 형성되고, 복수의 요홈이 상하방향으로 연속되게 다단 배열되게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recessed grooves 24 are formed in the rear surface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20 so as to be recessed forwardly in a curved shape formed to be laterally long and a plurality of grooves may be formed in a multi- have.

이와 같은 복수의 요홈부(24)는, 높이조절 포스트(20)의 센터 포스트(21a), 일측 포스트(21b) 및 타측 포스트(21c)의 후면 모두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recessed grooves 24 are formed on both the center post 21a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20, the one side post 21b and the rear side of the other side post 21c.

여기서, 조작감 형성부(50)는, 도 7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서포팅 바디(10)의 내측면 중 후면 상측 중간 부분에 홈 형상으로 형성된 제1설치홈(19)에 수용되고, 높이조절 포스트(20) 중 센터 포스트(21a)에 형성된 복수의 요홈부(24)에 구름 접촉되는 제1접촉 롤러(51)와, 제1설치홈(19)에 배치되어 제1접촉 롤러(51)를 제1설치홈(19)의 외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1지지탄성체(52)를 포함할 수 있다.7A, the operation feeling forming portion 50 is accommodated in a first attachment groove 19 formed in a groove-like shape at an upper middle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upporting body 10, A first contact roller 51 that is in rolling contact with a plurality of recessed grooves 24 formed in the center post 21a of the first mounting groove 20 and a second contact roller 51 which is disposed in the first mounting groove 19 to form the first contact roller 51 And a first supporting elastic body 52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first mounting groove 19 to the outside.

조작감 형성부(50)는, 사용자가 높이조절 포스트(20)를 상하방향으로 무빙시키면서 모니터의 높이 조절을 시도할 때, 제1지지탄성체(52)에 의하여 제1설치홈(19)의 외측으로 탄성 지지되는 제1접촉 롤러(51)의 일부가 복수의 요홈부(24)에 요입되었다가 토출되기를 반복하면서 생성하는 간섭 진동을 소리 내지는 사용자의 촉감에 의하여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소정의 조작감을 느끼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operation feeling forming unit 50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user trie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monitor while moving the height adjusting post 20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by the first supporting elastic body 52, A part of the first contact roller 51 that is elastically supported is repeatedly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recessed portions 24 and repeatedly discharged to transmit the generated interference vibration by the sound of the user or the like, It plays a role to make you feel.

아울러, 밸런스 형성부(60)는, 도 7b에 참조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 포스트(20) 중 일측 포스트(21b) 및 타측 포스트(21c)의 후면 하단부에 홈 형상으로 형성된 제2설치홈(29)에 수용되고, 서포팅 바디(10)의 내측면에 구름 접촉되는 제2접촉 롤러(61)와, 제2설치홈(29)에 배치되어 제2접촉 롤러(61)를 제2설치홈(29)의 외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2지지탄성체(62)를 포함할 수 있다.7B, the balance forming portion 60 includes a second mounting groove 29 (see FIG. 7B) formed in a groove shape at a lower end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other side post 21c and the other side post 21c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20, A second contact roller 61 housed in the second mounting groove 29 so as to be in rolling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supporting body 10 and a second contact roller 61 disposed in the second mounting groove 29 And a second supporting elastic body 62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first supporting elastic body 62 outwardly.

밸런스 형성부(60)는, 높이조절 포스트(20)의 하단부를 전방으로 탄성 지지함으로써 높이조절 포스트(20)가 상하 무빙될 때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된 조작감 형성부(50)에 의하여 높이조절 포스트(20)가 전방으로 기울어질 우려가 있는 바, 밸런스 형성부(60)에 의하여 높이조절 포스트(20)의 하단부가 전방으로 탄성 지지됨으로써 높이조절 포스트(20)가 전체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무빙되도록 가이드한다.The balance forming portion 60 serves to prevent the height adjusting post 20 from tilting forward when the height adjusting post 20 is lifted up and down by elastically supporting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20 forward. That is, the height adjusting post 20 may be tilted forward by the operation feeling forming portion 50 positioned on the relatively upper side,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20 is moved forward Thereby guiding the height adjusting post 20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a whole.

제1설치홈(19) 및 제2설치홈(29), 제1접촉 롤러(51) 및 제2접촉 롤러(61), 그리고 제1지지탄성체(52) 및 제2지지탄성체(62)는 모두 각각 동일한 크기, 모양 및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Both the first mounting groove 19 and the second mounting groove 29, the first contact roller 51 and the second contact roller 61 and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elastic members 52 and 62 And may be formed of the same size, shape, and material, respectively.

다만, 제1설치홈(19)의 형성 위치 및 이에 설치되는 제1접촉 롤러(51)와 제1지지탄성체(52)의 구비 위치는 서포팅 바디(10)의 내부 공간(11)을 형성하는 후방면 상측이고, 제2설치홈(29)의 형성 위치 및 이에 설치되는 제2접촉 롤러(61)와 제2지지탄성체(62)의 구비 위치는 높이조절 포스트(20)의 일측 포스트(21b) 및 타측 포스트(21c)의 후면 하단부만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first installation groove 19 and the position of the first contact roller 51 and the first support elastic body 52 provided thereon are formed in the inner space 11 of the supporting body 10 The position of the second attachment groove 29 and the position of the second contact roller 61 and the second support elastic body 62 provided on the second attachment groove 29 are located at one side post 21b of the height adjustment post 20, Only the rear lower end of the other post 21c can be set differently.

아울러, 제1지지탄성체(52) 및 제2지지탄성체(62)는, 제1설치홈(19) 또는 제2설치홈(29)의 내측에 수용되는 고무 재질의 범퍼체일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제1지지탄성체(52) 및 제2지지탄성체(62)가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제1접촉 롤러(51) 및 제2접촉 롤러(61)에 소정의 탄성 지지력을 부여하는 한도에서 스프링 부재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The first support elastic body 52 and the second support elastic body 62 may be rubber bumpers accommodated in the first installation groove 19 or the second installation groove 29. [ However, the first supporting elastic body 52 and the second supporting elastic body 62 are not necessarily made of a rubber material, and a predetermined elastic supporting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contact roller 51 and the second contact roller 61 It may be provided with a spring membe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모니터 받침대(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내부 공간(11)의 내측면 중 후방면에는 상술한 락킹부(40)와 함께 높이조절 포스트(2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스토퍼 돌기(19a)가 형성될 수 있다.6, the rear side of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inner space 11 is provided with the above-described locking part 40 and the above- A plurality of stopper projections 19a for stably fixing the height adjusting posts 20 together can be formed.

복수의 스토퍼 돌기(19a)는, 높이조절 포스트(20)의 후방면에 형성된 복수의 요홈부(24)에 걸림됨으로써, 높이조절 포스트(20)의 전면에서 상술한 락킹부(40)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에 대향하는 높이조절 포스트(20)의 후면에서 안정적으로 높이조절 포스트(2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plurality of stopper projections 19a are engaged with the plurality of recessed grooves 24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20 so as to be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20 by the above- The height adjusting post 20 can be stably fix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20 opposite to the height adjusting post 20.

도 8은 도 1의 구성 중 슬라이드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1의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lide part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모니터 받침대(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8 및 도 9에 참조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 포스트(20)의 상단과 선반(30) 사이에 구비되어 선반(30)을 전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무빙시키는 슬라이드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height adjustable monitor pedestal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20 and the shelf 30, as shown in Figs. 8 and 9, 30 in the front-back horizontal direction.

슬라이드부(70)는, 선반(30)의 하면에 전후방향으로 긴 장방형으로 형성된 레일 설치홈(31)에 설치되고, 양단부에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개구되게 하방으로 알루미늄(Al) 압출성형에 의해 절곡 형성된 레일홈(72)이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71)과, 높이조절 포스트(20)의 상단부와 결합되고, 양단부가 레일홈(72)에 끼움되는 고정 상판(75)을 포함할 수 있다.The slide portion 70 is provided in a rail mounting groove 31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helf 30 and is formed by aluminum (Al) extrusion molding so as to open in both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A sliding rail 71 formed with a bent rail groove 72 and a fixed top plate 75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20 and having both ends fitted into the rail groove 72.

슬라이딩 레일(71)은, 선반(30)의 하부에 형성된 레일 설치홈(31)에 복수의 체결부재(73)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슬라이딩 레일(71)의 좌우 양단부에 형성된 레일홈(72)은, 대략 '└'자 또는 '┘'자 형상의 수직 단면을 가지도록 절곡되게 형성되고, 이와 같이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71)의 레일홈(72)에 고정 상판(75)의 양단부가 끼움된다.The sliding rail 71 is fixed to the rail mounting groove 31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helf 30 by using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73. The rail grooves 72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sliding rail 71 are formed to be bent to have a vertical section of a substantially └ or ┘ shape, Both ends of the stationary upper plate 75 are fitted to the upper plate 72.

고정 상판(75)은, 도 8 및 도 9에 참조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 포스트(20)의 상단에 복수의 체결부재(76)에 의하여 고정되고, 높이조절 포스트(20)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연동되게 무빙된다.8 and 9, the fixed upper plate 75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20 by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76, and is vertically movable with the height adjusting post 20 Moved in conjunction.

여기서, 고정 상판(75)은, 슬라이딩 레일(71)을 레일 설치홈(31)에 고정시키기 전에 높이조절 포스트(20)의 상단에 고정시킨 후, 슬라이딩 레일(71)의 레일홈(72)에 양단부를 끼움시킨 다음, 높이조절 포스트(20)와 고정 상판(75) 및 슬라이딩 레일(71)이 가조립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레일(71)을 레일 설치홈(31)에 체결부재(73)를 이용하여 체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xed upper plate 75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20 before the sliding rail 71 is fixed to the rail mounting groove 31 and then fixed to the rail groove 72 of the sliding rail 71 The slide rails 71 are inserted into the rail mounting grooves 31 in the state where the height adjusting posts 20 and the fixed upper plate 75 and the sliding rail 71 are assembled with each other using the fastening members 73 It is preferable to fasten.

이와 같은 슬라이드부(70)는, 사용자의 시력 또는 모니터 사용 습관에 의거하여 사용자가 모니터와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 선반(30)을 전방 수평방향으로 잡아당기거나 후방 수평방향으로 미는 동작으로 모니터와의 이격거리를 사용자 본인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고정 상판(75)에 대한 선반(30)의 고정 방식은 프리 스탑 방식에 의하고, 미도시 되었으나, 선반(30)을 고정시키는 별도의 고정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user needs to adjust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monitor based on the visual acuity of the user or the habit of using the monitor, the slide unit 70 may be configured to pull the shelf 30 in the front horizontal direction or in the rear horizontal direction You can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monitor and the monitor according to the user. At this time, the fixing method of the shelf 30 with respect to the fixed upper plate 75 is a free stop method, but it may be provided with another fixing means for fixing the shelf 30.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모니터 받침대의 조립 과정 및 작동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assembling process and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height adjustable monitor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서포팅 바디(10)의 제1설치홈(19) 및 높이조절 포스트(20)의 제2설치홈(29)에 각각 조작감 형성부(50)와 밸런스 형성부(60)의 구성인 제1지지탄성체(52)와 제1접촉 롤러(51) 및 제2지지탄성체(62)와 제2접촉 롤러(61)를 삽입 설치한다.First of all, the first installation groove 19 of the supporting body 10 and the second installation groove 29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20 are provided with the operation feeling forming portion 50 and the first The support elastic body 52, the first contact roller 51, the second support elastic body 62, and the second contact roller 61 are inserted and installed.

다음으로, 상하로 개구된 서포팅 바디(10)의 내부 공간(11)에 하부로부터 상부로 높이조절 포스트(20)를 삽입하여 가이드 브릿지(18)가 센터 포스트(21a)와 일측 포스트(21b)의 사잇 공간 및 센터 포스트(21a)와 타측 포스트(21c)의 사잇 공간에 각각 위치되도록 설치한다.Next, the height adjusting posts 20 ar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11 of the supporting body 10, which is opened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so that the guide bridges 18 are inserted between the center posts 21a and the posts 21b Side spaces 21a and the other posts 21c, respectively.

그리고, 서포팅 바디(10)의 개구된 하부를 하부 플레이트(13)를 설치함으로써 차폐한 후, 서포팅 바디(10)의 락킹 설치부(15)에 스페이서(41)를 삽입 고정하고, 스페이서(41)의 전면을 가압하도록 캠형 클램핑 레버(45)를 설치한다.The spacer 41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locking mounting portion 15 of the supporting body 10 after the opened lower portion of the supporting body 10 is shielded by providing the lower plate 13, Type clamping lever 45 is provided so as to press the front surface of the cam-shaped clamping lever 45.

다음으로, 고정 상판(75)을 체결부재(76)를 이용하여 높이조절 포스트(20)의 상단에 고정시키고, 슬라이딩 레일(71)의 레일홈(72)에 고정 상판(75)의 양단부가 끼움되도록 가고정시킨다.Next, the fixed upper plate 75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20 using the fastening member 76, and both ends of the fixed upper plate 75 are fitted into the rail grooves 72 of the sliding rail 71 Let's go and fix it.

이와 같은 상태에서, 선반(30)의 하부에 형성된 레일 설치홈(31)에 슬라이딩 레일(71)을 체결부재(73)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킨다.In this state, the sliding rail 71 is firmly fixed to the rail mounting groove 31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shelf 30 by using the fastening member 73.

마지막으로, 서포팅 바디(10)의 후방부에 형성된 후방 돌출단(14)에 바디 고정부(80)를 설치한 후, 사용자가 이용하는 데스크의 상부 플레이트에 바디 고정부(80)를 이용하여 서포팅 바디(10)를 견고하게 고정한 다음, 선반(30)의 상면에 사용하고자 하는 모니터를 거치한다.Finally, after the body fixing part 80 is installed on the rear protruding end 14 formed on the rear part of the supporting body 10, the body fixing part 80 is attached to the upper plate of the desk used by the user, (10) is firmly fixed, and then a monitor to be used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helf (30).

이와 같이, 데스크의 상부 플레이트에 서포팅 바디(10)와 그 상부의 선반(30)에 모니터를 거치한 후에는, 도 2의 (a) 및 (b)와 같이,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높이조절 포스트(20)를 상부 또는 하부로 무빙시키는 동작으로 모니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도 3의 (a) 및 (b)와 같이, 사용자의 시력 또는 사용 습관에 맞도록 선반(30)을 전후로 무빙시키는 동작으로 모니터와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2 (a) and 2 (b), after the monitor is mounted on the supporting body 10 and the shelf 30 on the upper part of the desk, The height of the monitor can be adjusted by moving the post 20 to the upper portion or the lower portion and the shelf 30 can be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visual acuity or usage habit as shown in Figures 3 (a) and 3 (b) Moving back and forth can adjust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monitor.

이상, 본 발명에 따른 높이조절이 가능한 모니터 받침대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height adjustable monitor pedest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omething to do.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 모니터 받침대 10: 서포팅 바디
11: 내부 공간 12: 개구부
12a,12b,12c: 3개의 영역 13: 하부 플레이트
14: 후방 돌출부 15: 락킹 설치부
15a: 스페이서 설치 공간 15b: 레버 그립 공간
16: 설치 레일홈 17: 힌지 수용홈
18: 가이드 브릿지 19: 제1설치홈
19a: 스토퍼 돌기 20: 높이조절 포스트
21a: 센터 포스트 21b: 일측 포스트
21c: 타측 포스트 22: 고정홈
29: 제2설치홈 30: 선반
31: 레일 설치홈 40: 락킹부
41: 스페이서 42: 고정 돌기
45: 캠형 클램핑 레버 46: 레버 플레이트
47: 캠부 48: 힌지 결합돌기
50: 조작감 형성부 51: 제1접촉 롤러
52: 제1지지탄성체 60: 밸런스 형성부
61: 제2접촉 롤러 62: 제2지지탄성체
70: 슬라이드부 71: 슬라이딩 레일
72: 레일홈 73: 체결부재
75: 고정 상판 76: 체결부재
80: 바디 고정부 81: 고정 후크
1: Monitor base 10: Supporting body
11: inner space 12: opening
12a, 12b, 12c: three regions 13: bottom plate
14: rear protruding portion 15: locking mounting portion
15a: Spacer installation space 15b: Lever grip space
16: mounting rail groove 17: hinge receiving groove
18: guide bridge 19: first installation groove
19a: stopper projection 20: height adjustment post
21a: center post 21b: one post
21c: the other post 22: a fixing groove
29: second installation groove 30: shelf
31: rail mounting groove 40: locking part
41: spacer 42: fixing projection
45: cam type clamping lever 46: lever plate
47: cam portion 48: hinge coupling projection
50: operation feeling forming section 51: first contact roller
52: first supporting elastic body 60: balance forming part
61: second contact roller 62: second supporting elastic body
70: Slide part 71: Sliding rail
72: rail groove 73: fastening member
75: fixed upper plate 76: fastening member
80: Body fixing part 81: Fixing hook

Claims (14)

내부 공간과, 상기 내부 공간의 상부가 개구된 개구부를 가지는 서포팅 바디와;
상기 서포팅 바디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하로 무빙되게 구비된 높이조절 포스트와;
상기 높이조절 포스트와 연동하여 상하 무빙되되, 상기 높이조절 포스트의 상단부에 대하여 전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무빙 가능하게 배치되고, 모니터가 상면에 거치되는 선반을 포함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모니터 받침대.
A supporting body having an inner space and an opening in which an upper portion of the inner space is opened;
A height adjusting post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upporting body to move up and down through the opening;
And a height adjustable post which is vertically movable in conjunction with the height adjusting post, the height adjustable post being slidably and horizontally movable with respect to an upper end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and a monitor mounted on the top surf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포팅 바디에 구비되되, 상기 높이조절 포스트와 간섭 및 해제되어 임의의 높이에서 상기 높이조절 포스트를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하는 락킹부를 더 포함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모니터 받침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ocking portion provided on the supporting body, the locking portion interfering with and releasing the height adjusting post to fix or unlock the height adjusting post at an arbitrary heigh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서포팅 바디에 전후로 무빙되게 설치되되, 상기 내부 공간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 돌기가 형성된 스페이서와;
상기 서포팅 바디 중 상기 스페이서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스페이서를 상기 높이조절 포스트의 전면부로 밀어주는 캠형 클램핑 레버를 포함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모니터 받침대.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t least one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into the inner space, the spacers being mounted on the supporting body in a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a cam-type clamping lever provided in front of the spacer among the supporting bodies to push the spacer to the front portion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 포스트의 전면에는, 상기 스페이서의 고정 돌기의 후단부가 임의의 높이에서 수용되는 복수의 고정홈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된 높이조절이 가능한 모니터 받침대.
The method of claim 3,
The height of the height adjustable post is adjustable in height by arranging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vertical direction at a rear end of the fixing protrusion of the space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 포스트의 후면에는, 상하방향으로 물결 형상의 수직단면을 가지도록 상하 이격되게 복수의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에 해당하는 상기 서포팅 바디의 내측면에는 상기 복수의 요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수용되어 걸림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된 높이조절이 가능한 모니터 받침대.
The method of claim 4,
A plurality of recessed portions ar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so as to have a vertically wavy vertical section,
Wherein at least one locking protrusion is received 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recessed grooves to engage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supporting body corresponding to the inner spac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캠형 클램핑 레버는,
상단부를 중심으로 하단부가 회동되는 레버 플레이트와;
상기 스페이서의 전면에 미끄럼 접촉되는 캠부를 포함하고,
상기 캠부는, 상기 레버 플레이트의 하단부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스페이서가 후방으로 무빙되고, 상기 레버 플레이트의 하단부를 후방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스페이서가 전방으로 무빙되게 상기 레버 플레이트의 회동 중심에 대하여 편심된 외주면을 가지도록 형성된 높이조절이 가능한 모니터 받침대.
The method of claim 3,
The cam-type clamping lever includes:
A lever plate having a lower end turned about an upper end thereof;
And a cam portion slidably contacting the front surface of the spacer,
The spacer is moved rearward when the lower end of the lever plate is rotated forward, and when the lower end of the lever plate is rotated backward, the spacer is moved away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lever plate, A height adjustable monitor pedestal that is configured to have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 포스트의 후면과 상기 내부 공간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상기 서포팅 바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높이조절 포스트의 상하 무빙시 소정의 동작 촉감을 부여하는 조작감 형성부와;
상기 높이조절 포스트의 상하 무빙시 상기 높이조절 포스트의 하단부를 전방으로 지지하는 밸런스 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모니터 받침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upport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and the supporting body forming an inn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An operation feeling forming unit for imparting a predetermined movement feeling to the height adjusting post when the height adjusting post is moved up and down;
And a balance forming unit for supporting a lower end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forward when the height adjusting post is moved up and down.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조작감 형성부는,
상기 서포팅 바디의 내측면에 홈 형상으로 형성된 제1설치홈에 수용되고, 상기 높이조절 포스트의 후면에 상하방향으로 물결 형상의 수직단면을 가지도록 상하 이격되게 형성된 복수의 요홈부에 구름 접촉되는 제1접촉 롤러와;
상기 제1설치홈에 배치되어 상기 제1접촉 롤러를 상기 제1설치홈의 외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1지지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밸런스 형성부는,
상기 높이조절 포스트의 후면에 홈 형상으로 형성된 제2설치홈에 수용되고, 상기 서포팅 바디의 내측면에 구름 접촉되는 제2접촉 롤러와;
상기 제2설치홈에 배치되어 상기 제2접촉 롤러를 상기 제2설치홈의 외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2지지탄성체를 포함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모니터 받침대.
The method of claim 7,
The operation feeling-
Wherein the support posts are housed in a first installation groove formed in a groove shap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ing body and have a vertical cross section in a vertical direction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rear surface, 1 contact roller;
And a first support elastic body disposed in the first installation groove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first contact roller to the outside of the first installation groove,
The balance-
A second contact roller received in a second mounting groove formed in a groove shape on a rear surface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and rolling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ing body;
And a second supporting elastic body which is disposed in the second mounting groove and elastically supports the second contact roller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installation groov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탄성체 및 상기 제2지지탄성체는, 상기 제1설치홈 또는 상기 제2설치홈의 내측에 수용되는 고무 재질의 범퍼체인 높이조절이 가능한 모니터 받침대.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supporting elastic body and the second supporting elastic body are made of a rubber material and are accommodated in the first mounting groove or the second mounting groov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의 상측에 해당하는 상기 서포팅 바디의 상단부에는, 상기 개구부를 3개의 영역으로 구획함과 아울러, 상기 높이조절 포스트의 상하 무빙을 안내하는 가이드 브릿지가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 포스트는, 상기 3개의 영역 중 가운데를 점하도록 무빙되는 센터 포스트와, 상기 3개의 영역 중 일측을 점하도록 무빙되는 일측 포스트와, 상기 3개의 영역 중 타측을 점하도록 무빙되는 타측 포스트를 포함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모니터 받침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ing body correspon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inner space divides the opening into three areas and a guide bridge for guiding vertical movement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is formed,
Wherein the height adjustment post includes a center post that moves to point at the center of the three areas, a side post that moves to point at one side of the three areas, and a side post that moves to point to the other side of the three areas Includes height adjustable monitor stand.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센터 포스트와 상기 일측 포스트 및 상기 타측 포스트는,
각각의 인접하는 하단부가 상호 연결되고, 각각의 인접하는 사잇 공간에 상기 가이드 브릿지가 위치되어 상기 높이조절 포스트의 상하 무빙을 가이드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모니터 받침대.
The method of claim 10,
The center post, the one-side post and the other-
Each of the adjacent lower ends being mutually connected and the guide bridge being located in each of adjacent adjacent spaces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 포스트의 상단과 상기 선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선반을 전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무빙시키는 슬라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모니터 받침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lide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and the shelf to slide and move the shelf in the front and back horizontal directions.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선반의 하면에 전후방향으로 긴 장방형으로 형성된 레일 설치홈에 설치되고, 양단부에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개구되게 하방으로 알루미늄 압출성형에 의해 절곡 형성된 레일홈이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과;
상기 높이조절 포스트의 상단부와 결합되고, 양단부가 상기 레일홈에 끼움되는 고정 상판을 포함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모니터 받침대.
The method of claim 12,
The slide portion
A sliding rail provided in a rail mounting groove formed in a long rectangular shap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helf and having rail grooves formed by bending by aluminum extrusion molding so as to open in opposite directions in opposite ends;
And a fixed upper plate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height adjusting post and having both ends fitted in the rail groov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포팅 바디의 후방부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결합되고, 상기 서포팅 바디가 안착되는 데스크의 상부 플레이트의 후단부에 상기 서포팅 바디를 고정시키는 바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모니터 받침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body fixing unit coupled to the rear of the supporting body to protrude downward and fix the supporting body to a rear end of an upper plate of the desk on which the supporting body is mounted.
KR1020170052399A 2017-04-24 2017-04-24 Mornitor Supporter for adjusting height KR1019811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399A KR101981165B1 (en) 2017-04-24 2017-04-24 Mornitor Supporter for adjusting heigh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399A KR101981165B1 (en) 2017-04-24 2017-04-24 Mornitor Supporter for adjusting heigh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997A true KR20180118997A (en) 2018-11-01
KR101981165B1 KR101981165B1 (en) 2019-05-22

Family

ID=64398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399A KR101981165B1 (en) 2017-04-24 2017-04-24 Mornitor Supporter for adjusting heigh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1165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2185A (en) * 1998-12-04 2000-06-23 Furuno Electric Co Ltd Display device
KR20040032277A (en) * 2002-10-08 2004-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Height controls of display set
KR100435232B1 (en) * 2002-08-09 2004-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Stand structure for lcd monitor
KR100587300B1 (en) * 2004-12-22 2006-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Enhanced lock device for stand used in lcd monitor
KR20080055462A (en) * 2006-12-15 2008-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KR20110004386U (en) * 2009-10-28 2011-05-04 조윤휘 computer monitor leg
KR200482736Y1 (en) 2015-10-16 2017-02-28 최태남 Monitor supporte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2185A (en) * 1998-12-04 2000-06-23 Furuno Electric Co Ltd Display device
KR100435232B1 (en) * 2002-08-09 2004-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Stand structure for lcd monitor
KR20040032277A (en) * 2002-10-08 2004-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Height controls of display set
KR100587300B1 (en) * 2004-12-22 2006-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Enhanced lock device for stand used in lcd monitor
KR20080055462A (en) * 2006-12-15 2008-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KR20110004386U (en) * 2009-10-28 2011-05-04 조윤휘 computer monitor leg
KR200482736Y1 (en) 2015-10-16 2017-02-28 최태남 Monitor suppor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1165B1 (en) 201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3747B2 (en) Display moveable in two dimensions
US10499730B2 (en) Height-adjustable desk
US7561414B2 (en) Display height adjusting device, and portable computer and display having the display height adjusting device
KR100255765B1 (en) Front and rear regulation support structure of monitor
US5924666A (en) Carrier device
US20100320339A1 (en) Height adjustable stand and flat panel display utilizing the same
US5704698A (en) Keyboard slide structure with removable palm rest and slide rail means
US20080117574A1 (en) Thin-type display
US9247821B1 (en) Modified back rack
US5692712A (en) Desk-mounted supports for computer accessories
US7306288B2 (en) Adjustable armrest assembly
KR20190057809A (en) Structure for Height Adjustable Shelf
US6799816B2 (en) Ergonomic bi-level workstation
US7114694B2 (en) Linkage mechanism for foot seats
US8955815B2 (en) Supporting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es
KR101981165B1 (en) Mornitor Supporter for adjusting height
US9797546B1 (en) Pivotal device for a support of an electric device
TWI239802B (en) Panel structure capable of being attached with or detached from a supporting stand mainly
CN203948890U (en) Holding device
KR101009572B1 (en) Notebook Computer Supportor
JPWO2018230143A1 (en) Receptacle
JP3937619B2 (en) Desk panel device
CN218208901U (en) Knob type lifting structure, support and display
TW201942511A (en) Support device
KR100587350B1 (en) Height adjustment stand structure for a flat type video display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