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8899A - Valve-module laminating structure in a high voltage direct-current system - Google Patents

Valve-module laminating structure in a high voltage direct-curren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8899A
KR20180118899A KR1020170052146A KR20170052146A KR20180118899A KR 20180118899 A KR20180118899 A KR 20180118899A KR 1020170052146 A KR1020170052146 A KR 1020170052146A KR 20170052146 A KR20170052146 A KR 20170052146A KR 20180118899 A KR20180118899 A KR 20180118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shield
frames
frame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1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영근
강한영
배채윤
최명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2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8899A/en
Publication of KR20180118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889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03Constructional details, e.g. physical layout, assembly, wiring or busba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6Arrangements for transfer of electric power between ac networks via a high-tension dc lin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60Arrangements for transfer of electric power between AC networks or generators via a high voltage DC link [HVC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A valve module laminate in a high voltage direct current transmission system comprises a plurality of valve modules and an insulator disposed between the valve modules. Each of the valve modules includes a plurality of component elements and a shield frame for mounting the component elements. The shield frame includes at least two sub shield frames and at least one slit formed between the sub shield frames.

Description

고압 직류 송전 시스템에서의 밸브모듈 적층체{Valve-module laminating structure in a high voltage direct-current system}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lve module laminate for a high voltage direct current transmission system,

실시예는 고압 직류 송전 시스템에서의 밸브모듈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relates to a valve module laminate in a high voltage direct current transmission system.

전력 계통을 연계하는 방식에는 기존의 교류 전력 계통을 그대로 연계하는 방식과, 전력변환기를 통해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계통을 연계하는 방식이 있다. 근래에는 교류 전력 계통을 그대로 연계하는 방식보다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전력 계통을 연계하는 방식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전력변환기를 이용한 고압 직류 송전(High Voltage Direct Current; HVDC) 시스템을 제주와 해남 사이에 설치하여 제주와 해남의 전력 계통을 연계하고 있다.There are two methods of linking power systems: a method of linking an existing AC power system as it is, and a method of converting an AC power to a DC power through a power converter and linking the system.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a method of converting AC power into DC power and linking the power system rather than directly linking the AC power system. In Korea, a high voltage direct current (HVDC) system using a power converter is installed between Jeju and Haenam to link the power system of Jeju and Haenam.

HVDC 방식이라 함은, 전기 송전 방식의 하나로서, 발전소에서 발전한 고압의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시켜 송전한 후, 원하는 수전 지역에서 다시 교류 전력으로 재 변환하는 공급 방식을 말한다. 직류 송전 방식의 장점은 여러 가지가 꼽힌다.The HVDC system is a type of electric power transmission system that converts high-voltage alternating-current power generated by a power plant into direct-current power and transmits it again, and then re-converts it into alternating-current power in a desired power receiving area. There are several advantages of the DC transmission system.

우선 직류 전압은 교류 전압의 최대 값에 비해 크기가 약 70%에 불과해 기기의 절연이 용이하고, 전압이 낮기 때문에 각 기기에 설치돼 있는 절연체의 수량 및 철탑의 높이를 줄일 수 있다. 동일한 전력을 보내는 경우 교류 방식에 비해 직류 방식이 송전 손실이 적기 때문에 송전 효율이 높아질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직류가 교류에 비해 2배 이상의 전류를 운송할 수 있다.First, the DC voltage is about 70% smaller than the maximum value of the AC voltage, so that it is easy to insulate the device and the voltage is low, so the number of insulators and the height of the steel tower installed in each device can be reduced. When the same power is transmitted, the DC transmission system has a smaller transmission loss than the AC system, so transmiss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DC can carry current more than twice as much as AC.

물론 전선 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송전선로의 면적을 줄일 수 있어 효과적이며 전압이나 주파수가 다른 두 교류 계통 사이에 연결해 계통의 안정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송전 거리에 대한 제약이 없고 450Km가 넘는 육지 전력 전송이나 40Km가 넘는 해저를 통한 전력 전송에 있어서도 직류 송전 방식이 건설비가 저렴하다. 최근에는 중국, 인도 등의 경우 발전소와 전기 사용자 사이의 거리가 1000Km 이상되기 때문에 HVDC 시스템의 보급이 급속하게 확장되고 있는 상황이다.Of cours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able usage and reduce the transmission line area, which is effective and can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system by connecting between two AC systems with different voltage or frequency. The construction cost is low because there is no restriction on the transmission distance and the power transmission over 450 Km or over 40 Km. In recent years, in the case of China and India, the distance between the power plant and the electric user is more than 1000 Km, and the spread of the HVDC system is rapidly expanding.

도 1은 이러한 HVDC 방식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Figure 1 schematically illustrates this HVDC scheme.

도 1을 참고하면, 발전소 등에서 생산된 교류 전력은 교류전력선(4)을 통해 송전측 변환소(5)로 전송된다. 송전측 변환소(5)에는 입력 교류 전력을 송전용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변압기(10)와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전력변환기(20)가 구비된다. 전력변환기(20)는 상기 변압기(10)에 연결되며 송전용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Referring to FIG. 1, AC power produced by a power plant or the like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 side converter 5 through the AC power line 4. The transmission side converter (5) is provided with a transformer (10) for converting input AC power into transmission AC power and a power converter (20) including a switching element. The power converter 20 is connected to the transformer 10 and converts transmission AC power into DC power.

전력변환기(20)를 통해 직류로 전환된 전력은 직류전력선(30)을 통해 수전측 변환소(55)로 송전된다. 수전측 변환소(55)는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변환기(40)와 변압기(50)를 구비한다. 그에 따라 직류 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여 교류전력선(54)을 통해 전송하게 된다.The power converted into direct current through the power converter 20 is transmitted to the power receiving side converter 55 through the DC power line 30. [ The power receiving side converter 55 includes a power converter 40 and a transformer 50 for converting DC power into AC power. So that DC power is converted into AC power and transmitted through the AC power line 54.

전력변환기(20, 40)에는 다수의 밸브모듈로 구성된 밸브모듈 적층체가 구비된다.The power converters 20 and 40 are provided with a valve module stack composed of a plurality of valve modules.

이러한 밸브모듈 적층체는 각 밸브모듈 사이의 절연 내력의 우수성과 각 밸브모듈의 두께 축소가 절실히 요구되지만, 각 밸브모듈에 흐르는 고전류로 인해 절연 내력에 한계가 있고 각 밸브모듈의 두께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Such a valve module laminate is desperately required to have excellent dielectric strength between each valve module and to reduce the thickness of each valve module. However, there is a limit to the dielectric strength due to the high current flowing through each valve module, have.

특히, 절연 내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밸브모듈의 두께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Particular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hickness of the valve module increases in order to enhance the dielectric strength.

실시예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embodiments are directed to solving the above problems and other problems.

실시예의 다른 목적은 절연 내력을 강화하면서 밸브모듈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HVDC 시스템에서의 밸브모듈 적층체를 제공한다.Another object of the embodiment is to provide a valve module laminate in an HVDC system that can reduce the thickness of the valve module while enhancing the dielectric strength.

실시예의 또 다른 목적은 부품의 사이즈에 따라 최적화된 밸브모듈 구성이 가능한 HVDC 시스템에서의 밸브모듈 적층체를 제공한다.Another object of the embodiment is to provide a valve module laminate in an HVDC system capable of an optimized valve modul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art.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고압 직류 송전 시스템에서의 밸브모듈 적층체는 다수의 밸브모듈; 및 상기 밸브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애자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모듈 각각은 다수의 부품소자; 및 상기 부품소자를 장착하기 위한 실드(shield)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실드프레임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브 실드프레임 -상기 부품소자는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브 실드프레임 중 하나의 서브 실드프레임에 장착됨-; 및 상기 각 서브 실드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an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above or other objects, a valve module laminate in a high voltage direct current transmission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valve modules; And an insulating insulator disposed between the valve modules. Each of said valve modules comprising: a plurality of component elements; And a shield frame for mounting the component element. Wherein the shield frame comprises at least two or more subshield frames, the component elements being mounted to one of the at least two subshield frames; And at least one slit formed between the respective sub shield frames.

실시예에 따른 HVDC 시스템에서의 밸브모듈 적층체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Effects of the valve module laminate in the HVDC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브 실드프레임으로 구성된 실드프레임에 의해 부품소자의 높이에 따라 최적의 두께를 갖는 실드프레임 구성이 가능하다. 즉, 부품소자의 높이에 따라 그에 맞는 개수의 서브 실드프레임의 개수가 정해지고, 그 정해진 서브 실드프레임으로 구성된 실드프레임을 기반으로 한 밸브모듈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shield frame having an optimum thickness according to the height of a component element is possible by a shield frame composed of at least two sub-shield frames. That is, the number of the number of the sub-shield frames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component elemen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omponent element, and the valve module based on the shield frame composed of the predetermined sub-shield frame can be easily manufactured.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브 실드프레임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이 구비됨으로써,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을 통해 실드프레임에 장착된 다수의 부품소자에서 발생된 열이 용이하게 방출되므로, 밸브모듈의 열 방출 성능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since at least one slit is provided between at least two sub-shield frames, heat generated from a plurality of component elements mounted on the shield frame through at least one slit is easily released, Can be improved dramatically

실시예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실시예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은 특정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Additional ranges of applicability of the embodiments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embodiments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at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are given by way of example only.

도 1은 HVDC 방식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HVDC 시스템에서의 변환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실드프레임을 도시한다.
도 4는 다수의 서브 실드프레임의 체결 구조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실드프레임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실드프레임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실드프레임을 도시한다.
1 is a schematic view of the HVDC system.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transformer in the HVDC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shows a shield fr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shows a fastening structure of a plurality of sub-shield frames.
5 shows a shield fram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 shield fram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 shield fram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is appl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HVDC 시스템에서의 변환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transformer in the HVDC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HVDC 시스템에서의 변환소는 송전측 변환소나 수전측 변환소일 수 있다.The converter in the HVDC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 transmission side transformer or a receiving side transformer.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HVDC 시스템에서의 변환소는 밸브모듈 적층체(6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transformer in the HVDC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valve module laminate 60.

이러한 밸브모듈 적층체(60)는 전력변환기에 포함될 수 있다. 전력변환기는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거나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Such a valve module laminate 60 may be included in the power converter. The power converter can convert AC power to DC power or convert DC power to AC power.

변환소의 상측에 지진 및 절연에 대한 밸브의 보호를 위해 접지프레임(63)이 설치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밸브모듈 적층체(60)는 접지프레임(63)에 연결 및 고정되어 하부 방향으로 늘어진 형태로 유지될 수 있다. A ground frame 63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transformer for protecting the valve against earthquake and insulation, but this is not limitative. In this case, the valve module laminate 60 may be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ground frame 63 and held in a downwardly elongated shape.

밸브모듈 적층체(60)는 다수의 밸브모듈(61)과 각 밸브모듈(61) 사이에 연결되는 절연애자(6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절연애자(62)가 접지프레임(63)에 연결 및 고정되고, 제1 절연애자(62)에 다른 절연애자(62)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다수의 밸브모듈(61)이 연결될 수 있다. 다수의 밸브모듈(61)은 접지프레임(63)으로부터 하부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The valve module laminate 60 may include an insulating insulator 62 connected between the plurality of valve modules 61 and each valve module 61. The first insulation insulator 62 is connected to and fixed to the ground frame 63 and a plurality of valve modules 61 arranged in the first insulation insulator 62 via the other insulation insulator 62 are connected . The plurality of valve modules 61 may be arranged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ground frame 63.

절연애자(62)는 인접하는 밸브모듈(61) 사이의 절연을 유지하여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insulator 62 can serve to maintain the insulation between the adjacent valve modules 61.

각 밸브모듈(61)은 게이트소자, 다수의 스위칭소자, 댐핑 커패시터, 댐핑 저항소자, 리액터, 절연소자, 부스바 및 냉각파이프 등과 같은 다수의 부품소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Each valve module 61 may include a number of component elements (not shown) such as a gate element, a plurality of switching elements, a damping capacitor, a damping resistor element, a reactor, an insulating element, a bus bar and a cooling pipe.

이러한 부품소자는 실드프레임(shield frame)에 수납될 수 있다. These component elements can be housed in a shield frame.

게이트소자는 스위칭소자를 스위칭하기 위한 게이트신호를 공급하여 준다. 스위칭소자는 사이리스터(thyristor)소자나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소자일 수 있다. 다수의 스위칭소자에 의해 밸브가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3상 교류전력의 전력 변환시에는 각 상마다 2개의 밸브로 구성되어 총 6개의 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6개의 밸브의 스위칭동작에 의해 교류전력이 직류전력으로 변환되거나 직류전력이 교류전력으로 변환될 수 있다. The gate element supplies a gate signal for switching the switching element. The switching element may be a thyristor element or an IGBT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element. The valve can be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switching elements. For example, at the time of converting the power of the three-phase AC power, it may be constituted by two valves for each phase and a total of six valves. Therefore, the AC power can be converted into DC power or the DC power can be converted into AC power by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ix valves.

스위칭소자는 이러한 게이트소자에 응답하여 스위칭될 수 있다. 댐핑 커패시터는 스위칭소자의 스위칭에 따라 전원을 충방전하는 역할을 한다. 댐핑 저항소자는 갑작스러운 과전류를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리액터는 밸브모듈(61)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절연소자는 부품소자와 실드프레임 사이의 절연 기능을 한다. 부스바는 각 부품소자 사이의 전기적인 통로일 수 있다. 냉각파이프는 각 부품소자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냉각파이프에는 물이 채워지고, 이러한 물이 순환되는 동작에 의해 열 방출이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The switching elements can be switched in response to these gate elements. The damping capacitor serves to charge and discharge the power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switching element. The damping resistor element serves to stabilize the sudden overcurrent. The reactor serves to limit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valve module 61. The insulating element has an insulating function between the component element and the shield frame. The bus bar may be an electrical path between each component element. The cooling pipe can serve to dissipate the heat generated by each component element. The cooling pipe may be filled with water, and heat may be released by the circulation of such water, but this is not limiting.

실드프레임은 각 밸브모듈(61)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장을 차폐시키는 한편 각 부품소자를 고정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shield frame shields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by each valve module 61 and can serve to fix and support the component elements.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실드프레임을 도시한다.Fig. 3 shows a shield fr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실드프레임(100)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브 실드프레임(110, 120, 13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shield fram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two or more sub-shield frames 110, 120, and 130.

예컨대, 실드프레임(100)은 제1 서브 실드프레임(110)과, 상기 제1 서브 실드프레임(110) 위에 배치되는 제2 서브 실드프레임(120)과, 제2 서브 실드프레임(120) 위에 배치되는 제3 서브 실드프레임(13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내지 제3 서브 실드프레임(110, 120, 130)은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hield frame 100 may include a first sub shield frame 110, a second sub shield frame 120 disposed on the first sub shield frame 110, and a second sub shield frame 120 disposed on the second sub shield frame 120 And a third sub shield frame 130 formed on the first sub shield frame 130. That is, the first through third sub shield frames 110, 120 and 130 may be arrang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부품소자는 예컨대, 제2 서브 실드프레임(120) 내에 별도로 구비되는 다수의 지지바를 이용하여 제2 서브 실드프레임(120)에 장착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즉, 부품소자는 제1 서브 실드프레임(110) 또는 제3 서브 실드프레임(130)에 장착될 수도 있다. The component element may be mounted on the second sub-shield frame 120 using, for example, a plurality of support bars separately provided in the second sub-shield frame 12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component element may be mounted on the first sub-shield frame 110 or the third sub-shield frame 130.

제1 서브 실드프레임(110)은 서로 마주보도록 평행하게 대향하는 제1 및 제2 서브바(bar)(111, 113) 및 제1 및 제2 서브바(111, 113)와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평행하게 대향하는 제3 및 제4 서브바(115, 11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내지 제4 서브바(111, 113, 115, 117)는 제1 사각 테두리 형상을 가지고, 사각 테두리 형상의 내부에는 빈 공간을 가질 수 있다. The first sub shield frame 110 includes first and second sub bars 111 and 113 facing each other and first and second sub bars 111 and 113 facing each other in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ird and fourth sub-bars 115 and 117 that are opposed in parallel to face each other. The first through fourth sub bars 111, 113, 115, and 117 may have a first rectangular frame shape and a hollow space inside the rectangular frame shape.

제2 서브 실드프레임(120)은 서로 마주보도록 평행하게 대향하는 제1 및 제2 서브바(121, 123) 및 제1 및 제2 서브바(121, 123)의 일측에서 제1 및 제2 서브바(121, 123)와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평행하게 대향하는 제3 및 제4 서브바(125, 12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내지 제4 서브바(121, 123, 125, 127)는 제2 사각 테두리 형상을 가지고, 사각 테두리 형상의 내부에는 빈 공간을 가질 수 있다. The second sub-shield frame 120 includes first and second sub-bars 121 and 123 and first and second sub-bars 121 and 123 which are parallel and opposed to each other, And third and fourth subbars 125 and 127 that are parallel to and opposite to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ars 121 and 123. The first through fourth sub bars 121, 123, 125, and 127 may have a second rectangular shape, and may have a hollow space inside the rectangular shape.

제3 서브 실드프레임(130)은 서로 마주보도록 평행하게 대향하는 제1 및 제2 서브바(131, 133) 및 제1 및 제2 서브바(131, 133)의 일측에서 제1 및 제2 서브바(131, 133)와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평행하게 대향하는 제3 및 제4 서브바(135, 13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내지 제4 서브바(131, 133, 135, 137)는 제3 사각 테두리 형상을 가지고, 사각 테두리 형상의 내부에는 빈 공간을 가질 수 있다. The third sub-shield frame 130 includes first and second sub-bars 131 and 133 and first and second sub-bars 131 and 133, which are parallel and opposed to each other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third and fourth sub bars 135 and 137, which are opposed to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ars 131 and 133 so as to face each other. The first through fourth sub bars 131, 133, 135, and 137 may have a third rectangular frame shape, and may have a hollow space inside the rectangular frame shape.

제1 내지 제3 서브 실드프레임(110, 120, 130) 각각은 동일한 사각 테두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to third sub-shield frames 110, 120, and 130 may have the same rectangular frame shape.

제1 서브 실드프레임(110)의 제1 내지 제4 서브바(111, 113, 115, 117), 제2 서브 실드프레임(120)의 제1 내지 제4 서브바(121, 123, 125, 127) 및 제3 서브 실드프레임(130)의 제1 내지 제4 서브바(131, 133, 135, 137) 각각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first to fourth sub bars 111, 113, 115 and 117 of the first sub shield frame 110 and the first to fourth sub bars 121, 123, 125 and 127 of the second sub shield frame 120 And the first to fourth sub bars 131, 133, 135, and 137 of the third sub shield frame 130 may have a plate shape.

구체적으로, 제1 서브 실드프레임(110)에서 서로 마주보는 제1 내지 제2 서브바(111, 113)의 내측면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고, 서로 마주보는 제3 및 제4 서브바(115, 117)의 내측면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내지 제2 서브바(111, 113)의 외측면 그리고 제3 및 제4 서브바(115, 117)의 외측면 또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Specifically,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b-bars 111 and 113 facing each other in the first sub-shield frame 110 are plate-shaped, and the inner surfaces of the third and fourth sub-bars 115 and 117 May have a plate shape.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ub bars 111 and 113 and the outer surfaces of the third and fourth sub bars 115 and 117 may have a plate sha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2 서브 실드프레임(120)의 제1 내지 제4 서브바(121, 123, 125, 127)의 내측면과 제3 서브 실드프레임(130)의 제1 내지 제4 서브바(131, 133, 135, 137)의 내측면이나 외측면 또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first to fourth sub bars 121, 123, 125 and 127 of the second sub shield frame 120 and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first to fourth sub bars 131, 133, 135, and 137 may have a plate shape.

제1 내지 제4 서브 실드프레임(111, 113, 115, 117, 121, 123, 125, 127, 131, 133, 135, 137) 각각은 전기장 차폐가 가능한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내지 제4 서브 실드프레임(111, 113, 115, 117, 121, 123, 125, 127, 131, 133, 135, 137)은 그 자체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거나 스테인레스스틸 재질로 이루어진 본체의 외표면이 알루미늄 재질로 도금될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to fourth sub-shield frames 111, 113, 115, 117, 121, 123, 125, 127, 131, 133, 135, and 137 may be formed of an aluminum material capable of shielding the electric field. For example, the first to fourth sub-shield frames 111, 113, 115, 117, 121, 123, 125, 127, 131, 133, 135, and 137 may be made of an aluminum material or may be made of stainless steel The outer surface of the electrode plate may be plated with an aluminum material.

이와 같이,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브 실드프레임(110, 120, 130)으로 구성된 실드프레임(100)에 의해 부품소자의 높이에 따라 최적의 두께를 갖는 실드프레임(100) 구성이 가능하다. 즉, 부품소자의 높이가 비교적 작은 경우에는 예컨대 2개의 서브 실드프레임으로 구성된 실드프레임(100)으로 구성하여, 이 실드프레임(100)에 해당 부품소자가 고정될 수 있다. 부품소자의 높이가 비교적 큰 경우에는 예컨대 4개의 서브 실드프레임으로 구성된 실드프레임(100)으로 구성하여, 이 실드프레임(100)에 해당 부품소자가 고정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hield frame 100 having at least two or more sub-shield frames 110, 120, and 130 can provide the shield frame 100 having an optimum thickness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omponent elements. That is, when the height of the component element is relatively small, the component element can be fixed to the shield frame 100 by, for example, a shield frame 100 composed of two sub-shield frames. When the height of the component element is relatively large, the component element may be fixed to the shield frame 100 by, for example, a shield frame 100 composed of four sub-shield frames.

다시 말해, 부품소자의 높이에 따라 그에 맞는 개수의 서브 실드프레임의 개수가 정해지고, 그 정해진 서브 실드프레임으로 구성된 실드프레임(100)을 기반으로 한 밸브모듈(61)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number of the number of the sub-shield frames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component elemen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omponent element, and the valve module 61 based on the shield frame 100 composed of the determined sub-shield frame can be easily manufactured .

한편, 상하 방향을 따라 제1 서브 실드프레임(110)과 제2 서브 실드프레임(120)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서브 실드프레임(110)과 제2 서브 실드프레임(120) 사이에는 제1 슬릿(slit)(14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하 방향에 따라 제2 프레임과 제3 서브 실드프레임(130)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프레임과 제3 서브 실드프레임(130) 사이에는 제2 슬릿(150)이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sub shield frame 110 and the second sub shield frame 12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ly, a first slit 14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sub-shield frame 110 and the second sub-shield frame 120. In addition, the second frame and the third sub-shield frame 13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ly, the second slit 15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econd frame and the third sub-shield frame 130.

여기서는, 2개의 슬릿(140, 150)이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지만, 서브 실드프레임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슬릿의 개수 또한 많아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릿의 개수는 서브 실드프레임의 개수에서 1을 뺀 값이 될 수 있다.Here, it is described that two slits 140 and 150 are provided. However, as the number of the sub-shield frames increases, the number of slits may also increase. Specifically, the number of slits may be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one from the number of sub-shield frames.

이와 같이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140, 150)을 통해 실드프레임(100)에 장착된 다수의 부품소자에서 발생된 열이 용이하게 방출되므로, 밸브모듈(61)의 열 방출 성능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Since the heat generated from the plurality of component elements mounted on the shield frame 100 is easily discharged through the at least one slit 140 or 150 provided as described above, the heat release performance of the valve module 61 is remarkably improved .

이때, 각 슬릿(140, 150)의 간격, 즉 인접하는 서브브레임(110, 120, 130) 사이의 이격 간격은 전자기장의 차폐 기능을 해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즉, 이러한 슬릿(140, 150) 간격에서도 전자기장이 차폐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At this time, the spacing between the slits 140 and 150, that is, the spacing between the adjacent sub-bores 110, 120 and 130, should be designed so as not to impair the shielding function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That is, the slits 140 and 150 must be designed so that electromagnetic fields are shielded from each other.

각 슬릿(140, 150)의 간격이나 각 서브 실드프레임(110, 120, 130)의 두께는 실험을 통해 최적화될 수 있다. The spacing of each of the slits 140 and 150 and the thickness of each of the sub shield frames 110, 120 and 130 can be optimized through experiments.

도 4는 다수의 서브 실드프레임의 체결 구조를 도시한다.4 shows a fastening structure of a plurality of sub-shield frames.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컨대, 제1 내지 제3 서브 실드프레임(110, 120, 130)은 다수의 체결부(161, 163, 165, 167, 171, 173, 175, 177)를 이용하여 서로 간에 체결될 수 있다. 4, the first to third sub shield frames 110, 120, and 130 are formed by using a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161, 163, 165, 167, 171, 173, 175, and 177 They can be fastened together.

체결부는 제1 내지 제4 코너체결부(161, 163, 165, 167)와 제1 내지 제4 평면체결부(171, 173, 175, 17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코너체결부(161, 163, 165, 167)와 제1 내지 제4 평면체결부(171, 173, 175, 177)는 제1 내지 제3 서브 실드프레임(110, 120, 130)과 동일한 재질을 가질 수도 있고, 상이한 재질을 가질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내지 제3 서브 실드프레임(110, 120, 130)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는데 반해, 제1 내지 제4 코너체결부(161, 163, 165, 167)와 제1 내지 제4 평면체결부(171, 173, 175, 177)는 스테인레스스틸 재질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The fastening portion may include first to fourth corner fastening portions 161, 163, 165, 167 and first to fourth flat fastening portions 171, 173, 175, 177. The first to fourth corner coupling parts 161, 163, 165 and 167 and the first to fourth planar coupling parts 171, 173, 175 and 177 are connected to the first to third sub shield frames 110, 120 and 130 ), Or may have different materials. For example, the first to third sub-shield frames 110, 120, and 130 are formed of aluminum, while the first to fourth corner fastening portions 161, 163, 165, The portions 171, 173, 175, and 177 may be formed of stainless stee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1 내지 제4 코너체결부(161, 163, 165, 167)는 인접하는 서브바의 배치구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동일 서브 실드프레임의 인접하는 서브바가 서로 간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경우, 제1 내지 제4 코너체결부(161, 163, 165, 167) 또한 수직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4 코너체결부(161, 163, 165, 167)는 제1 부재와 제1 부재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된 제2 부재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예컨대, 제1 코너체결부(161)의 제1 부재가 예컨대 제1 내지 제3 서브 실드프레임(110, 120, 130)의 제1 서브바(111, 121, 131)에 면접촉되는 경우, 코너체결부의 제2 부가는 예컨대 제1 내지 제3 서브 실드프레임(110, 120, 130)의 3 서브바(115, 125, 135)에 면접촉될 수 있다. The first through fourth corner fastening portions 161, 163, 165, and 167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adjacent sub bars. For example, when adjacent sub bars of the same subshell frame are arranged vertically to each other, the first to fourth corner fastening portions 161, 163, 165, and 167 may also have a vertical structure. That is, the first to fourth corner fastening portions 161, 163, 165, and 167 may have a first member and a second member bent perpendicularly from the first member. In this case, for example, when the first member of the first corner fastening portion 161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irst sub-bar 111, 121, 131 of the first to third sub-shield frames 110, 120, The second portion of the corner fastening portion may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three sub bars 115, 125 and 135 of the first to third sub shield frames 110, 120 and 130, for example.

예컨대, 제1 내지 제3 서브 실드프레임(110, 120, 130) 각각의 제1 내지 제3 서브바의 각 끝단 사이에는 제1 내지 제4 코너체결부(161, 163, 165, 167)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4 코너체결부(161, 163, 165, 167)는 제1 내지 제3 서브 실드프레임(110, 120, 130)의 서로 상이한 서브바를 체결하여 준다.For example, first through fourth corner fastening portions 161, 163, 165 and 167 are provided between the respective ends of the first through third sub bars of the first through third sub shield frames 110, 120 and 130 . That is, the first through fourth corner fastening portions 161, 163, 165, and 167 fasten different sub bars of the first through third sub shield frames 110, 120, and 130.

구체적으로, 제1 코너체결부(161)를 이용하여 제1 내지 제3 서브 실드프레임(110, 120, 130) 각각의 제1 서브바(111, 121, 131)의 일측과 제3 서브바(115, 125, 135)의 일측이 체결되고, 제2 코너체결부(163)를 이용하여 제1 내지 제3 서브 실드프레임(110, 120, 130) 각각의 제1 서브바(111, 121, 131)의 타측과 제4 서브바(117, 127, 137)의 일측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서브 실드프레임(110, 120, 130)의 제2 서브바(113, 123, 133)의 일측과 제4 서브바(117, 127, 137)의 타측이 체결되고, 제1 내지 제3 서브 실드프레임(110, 120, 130)의 제2 서브바(113, 123, 133)의 타측과 제3 서브바(115, 125, 135)의 타측이 체결될 수 있다. Specifically, one side of the first sub-bar 111, 121, 131 of each of the first to third sub-shield frames 110, 120, 130 and the other side of the third sub- Shielding frames 110, 120 and 130 are coupled to the first sub-bar 111, 121, and 131 of the first to third sub-shield frames 110, And one side of the fourth sub-bar 117, 127, 137 can be fastened. One side of the second sub-bar 113, 123, 133 of the first to third sub-shield frames 110, 120, 130 and the other side of the fourth sub-bar 117, 127, The other side of the third sub bars 115, 125 and 135 may be fasten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ub bars 113, 123 and 133 of the first to third sub shield frames 110, 120 and 130.

제1 내지 제4 평면체결부(171, 173, 175, 177)는 제1 내지 제3 서브 실드프레임(110, 120, 130) 각각의 동일 서브바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내지 제3 서브 실드프레임(110, 120, 130) 각각의 제1 서브바(111, 121, 131)의 내측면이 평면 형상을 가지는 경우, 제1 평면체결부(171) 또한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first to fourth flat coupling portions 171, 173, 175 and 177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ame sub-bar of each of the first to third sub-shield frames 110, 120 and 130. For example, when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sub bars 111, 121, and 131 of the first through third sub shield frames 110, 120, and 130 have a planar shape, Shape.

예컨대, 제1 내지 제4 평면체결부(171, 173, 175, 177)는 제1 내지 제3 서브 실드프레임(110, 120, 130) 각각의 동일 서브바 사이를 체결하여 준다.For example, the first to fourth flat coupling parts 171, 173, 175, and 177 fasten the same sub bars of the first to third sub shield frames 110, 120, and 130, respectively.

구체적으로, 제1 평면체결부(171)를 이용하여 제1 내지 제3 서브 실드프레임(110, 120, 130) 각각의 제1 서브바(111, 121, 131)가 체결되고, 제2 평면체결부(173)를 이용하여 제1 내지 제3 서브 실드프레임(110, 120, 130) 각각의 제2 서브바(113, 123, 133)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3 평면체결부를 이용하여 제1 내지 제3 서브 실드프레임(110, 120, 130) 각각의 제3 서브바(115, 125, 135)가 체결되고, 제4 평면체결부를 이용하여 제1 내지 제3 서브 실드프레임(110, 120, 130) 각각의 제4 서브바(117, 127, 137)가 체결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irst sub bars 111, 121 and 131 of the first through third sub shield frames 110, 120 and 130 are fastened by using the first flat fastener 171, The second sub bars 113, 123 and 133 of the first through third sub shield frames 110, 120 and 130 can be fastened by using the tab 173. Further, the third sub-bars 115, 125, and 135 of the first through third sub-shield frames 110, 120, and 130 are fastened to each other using the third planar fastening portion, The fourth sub-bar 117, 127, 137 of each of the third sub-shield frames 110, 120, 130 can be fastened.

제1 내지 제4 코너체결부(161, 163, 165, 167) 각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first through fourth corner fastening portions 161, 163, 165, and 167 may be provided.

도 4에서는 체결부(161, 163, 165, 167, 171, 173, 175, 177)가 각 서브바의 내측면에서 체결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지만, 각 서브바의 외측면에서 체결될 수도 있다. Although the fastening portions 161, 163, 165, 167, 171, 173, 175 and 177 are shown as being fastened at the inner side of each sub-bar in Fig. 4, they may be fastened at the outer side of each sub-bar.

도 4에서는 제1 내지 제3 서브 실드프레임(110, 120, 130)의 각 서브바의 모서리가 라운드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지만, 해당 모서리는 각을 갖는 형상을 가질 수 도 있다. In FIG. 4, the corners of the sub bars of the first through third sub shield frames 110, 120, and 130 are shown as having a round shape, but the corners may have an angled shape.

본 발명에 따른 밸브모듈용 실드프레임(100)이 제조되기 위해서는 먼저 부품의 높이가 고려되어야 하고, 부품의 높이를 고려하여 실드프레임(100)에 포함될 서브 실드프레임의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브 실드프레임의 개수가 결정되는 경우, 그 결정된 서브 실드프레임의 개수와 그 서브 실드프레임 사이의 슬릿을 고려하여 서브 실드프레임을 체결하기 위한 제1 내지 제4 코너체결부(161, 163, 165, 167) 및 제1 내지 제4 평면체결부(171, 173, 175, 177)의 사이즈가 결정될 수 있다. In order to manufacture the shield frame 100 for a valv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component must be considered first, and the number of the sub-shield frames to be included in the shield frame 100 can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height of the component. In the case where the number of sub-shield frames is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o fourth corner fastening portions 161, 163, and 163 for fastening the sub-shield frame in consideration of the determined number of sub-shield frames and the slit between the sub- 165, and 167 and the first to fourth flat coupling portions 171, 173, 175, and 177 can be determined.

따라서, 미리 많은 개수의 서브 실드프레임과 다양한 사이즈의 코너체결부(161, 163, 165, 167) 및 평편체결부(171, 173, 175, 177)가 구비되는 경우, 어떠한 높이를 갖는 부품소자가 채택되더라도 완전한 전자기장 차폐와 더불어 최적의 조립 구조를 갖는 실드프레임(100) 제조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조된 실드프레임(100)에 다양한 부품소자가 장착되어 밸브모듈(61)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밸브모듈(61)을 다수개 제조한 후 그 밸브모듈(61) 사이에 절연애자(62)가 연결됨으로써, 밸브모듈 적층체(60)가 제조되어 변환소의 상측에 구비된 접지프레임(63)에 연결 및 고정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a large number of sub-shield frames and corner fitting portions 161, 163, 165, 167 and flat-plate fastening portions 171, 173, 175, 177 of various sizes are provided in advanc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shield frame 100 having the optimum assembling structure together with the complete electromagnetic shielding. The valve module 61 can be manufactured by mounting various component elements on the shield frame 100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such valve modules 61 are manufactured and the insulating insulator 62 is connected between the valve modules 61 so that the valve module laminate 60 is manufactured and the ground frame 63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transformer, As shown in FIG.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실드프레임을 도시한다.5 shows a shield fram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실드프레임은 2개 이상의 서브 실드프레임(110, 120, 130)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shield frame shown in FIG. 4 may include two or more sub-shield frames 110, 120, and 130. FIG.

2개 이상의 서브 실드프레임(110, 120, 130) 중에서 두개의 서브 실드프레임(110, 130) 각각의 끝단이 연결되고 그 연결된 부분에서의 서브 실드프레임(110, 130)은 라운드진 형상을 가지는 구조일 수 있다. The end portions of the two sub shield frames 110 and 1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mong the two or more sub shield frames 110 and 120 and the sub shield frames 110 and 130 at the connected portions are formed in a rounded shape Lt; / RTI >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실드프레임에서, 2개 이상의 서브 실드프레임(110, 120, 130) 중에서 예컨대 제1 서브 실드프레임(110)의 일측 끝단과 제2 서브 실드프레임(130)의 일측 끝단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2개 이상의 서브 실드프레임(110, 120, 130) 중에서 예컨대 제1 서브 실드프레임(110)의 타측 끝단과 제2 서브 실드프레임(130)의 타측 끝단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5, in the shield fram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first sub shield frame 11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b shield frame 110, One end of the frame 13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mong the two or more sub-shield frames 110, 120 and 130, for example, the other end of the first sub-shield frame 11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ub-shield frame 13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따라서, 제1 및 제3 서브 실드프레임(110, 130)은 폐루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rst and third sub shield frames 110 and 130 may have a closed loop structure.

제1 서브 실드프레임(110)과 제3 서브 실드프레임(130)이 서로 연결된 부분은 라운드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portions where the first sub shield frame 110 and the third sub shield frame 1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may have a rounded shape.

제1 서브 실드프레임(110)과 제3 서브 실드프레임(130) 사이에 위치된 제2 서브 실드프레임(120)의 적어도 일측 끝단은 제1 서브 실드프레임(110)과 제3 서브 실드프레임(130)이 서로 연결된 부분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때의 이격거리는 설계 사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At least one end of the second sub-shield frame 120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third sub-shield frames 110 and 1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third sub-shield frames 110 and 13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separation distance may vary depending on design specifications.

제2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누락된 설명은 제1 실시예(도 4)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mitted in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can be easily understood from the first embodiment (Fig. 4).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실드프레임을 도시한다.6 shows a shield fram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실드프레임에는 사각 형상의 프레임(180)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180)은 4개의 외측면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180)는 절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a rectangular frame 180 may be provided in the shield fram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us, the frame 180 may have four outer sides. The frame 180 may b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프레임(180)에는 다양한 부품소자가 장착될 수 있다. Various component elements can be mounted on the frame 180.

프레임(180)의 각 외측면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로나 실드(181, 183)가 장착될 수 있다. At least one corona shield 181, 183 may be mounted on each outer side of the frame 180.

이와 달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로나 실드(181, 183)는 프레임(180)의 각 내측면 상에 장착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at least one of the corona shields 181, 183 may be mounted on each inner side of the frame 180.

코로나 실드(181, 183)는 전계의 집중에 의한 코로나 방전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도전부재로서, 비교적 저항이 높기 때문에 반도전 특성을 가질 수 있다. The corona shields 181 and 183 are conductive members provided to prevent corona discharge due to the concentration of an electric field, and can have anti-conduction characteristics because of their relatively high resistance.

코로나 실드(181, 183)는 프레임(180)의 높이(h1)와 동일하거나 더 높은 높이(h2)를 가질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The corona shields 181 and 183 may have a height h2 that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height h1 of the frame 180 but is not limited thereto.

각 측면 상에 장착된 코로나 실드(181, 183) 간에는 일정하거나 랜덤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The corona shields 181 and 183 mounted on each side may be spaced apart at regular or random intervals.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실드프레임을 도시한다.7 shows a shield fram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실드프레임에는 서로 마주보고 일정 간격 이격된 제1 및 제2 프레임(190, 192)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3 실시예에서 설명된 사각 형상의 프레임(180)이 제공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shield fram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frames 190 and 19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ternatively, the square shaped frame 180 described in the third embodiment may be provided.

제1 및 제2 프레임(190, 192)는 다양한 부품소자를 수용하며 이들 장치를 지지하는 부재일 수 있다. 제1 및 제2 프레임(190, 192)는 절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frames 190, 192 may be members that receive and support various component elements. The first and second frames 190 and 192 may b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제1 및 제2 서브 실드프레임(194, 195)와 제1 및 제2 코로나 실드(196, 197)가 제공될 수 있다. First and second sub shield frames 194, 195 and first and second corona shields 196, 197 may be provided.

제1 서브 실드프레임(194)은 제1 프레임(190)의 일측으로부터 제1 프레임(190)의 일측과 제2 프레임(192)의 일측 사이를 경유하여 제2 프레임(192)의 일측에 대응되어 장착될 수 있다.The first sub shield frame 194 corresponds to one side of the second frame 192 via one side of the first frame 190 and one side of the second frame 192 from one side of the first frame 190 Can be mounted.

제2 서브 실드프레임(195)은 제1 프레임(190)의 타측으로부터 제1 프레임(190)의 타측과 제2 프레임(192)의 타측 사이를 경유하여 제2 프레임(192)의 타측에 대응되어 장착될 수 있다.The second sub shield frame 195 corresponds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frame 192 via the other side of the first frame 190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frame 192 from the other side of the first frame 190 Can be mounted.

제1 및 제2 서브 실드프레임(194, 195)은 제1 및 제2 프레임(190, 192)에 나사 체결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The first and second sub shield frames 194 and 195 may be screwed into the first and second frames 190 and 192, bu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1 프레임(190)의 외측면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코로나 실드(196)가 장착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92)의 외측면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코로나 실드(197)가 장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및 제2 코로나 실드(196, 197) 각각은 제1 및 제2 프레임(190, 192)의 내측면 상에 장착될 수도 있다. At least one first corona shield 196 may be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rame 190. At least one second corona shield 197 may be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frame 192. Alternatively,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rona shields 196, 197 may be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190, 192.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실시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실시예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ll aspects as limiting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should be determined b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s of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100: 실드프레임
110, 120, 130, 194, 195: 서브 실드프레임
111, 121, 131, 113, 123, 133, 115, 125, 135, 117, 127, 137: 서브바
161, 163, 165, 167: 코너체결부
171, 173, 175, 177: 평면체결부
180, 190, 192: 프레임
181, 183, 196, 197: 코로나 실드
100: Shield frame
110, 120, 130, 194, 195: a sub shield frame
111, 121, 131, 113, 123, 133, 115, 125, 135, 117, 127,
161, 163, 165, and 167:
171, 173, 175, and 177:
180, 190, 192: frame
181, 183, 196, 197: corona shield

Claims (18)

다수의 밸브모듈; 및
상기 밸브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애자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모듈 각각은,
다수의 부품소자; 및
상기 부품소자를 장착하기 위한 실드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실드프레임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브 실드프레임 -상기 부품소자는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브 실드프레임 중 하나의 서브 실드프레임에 장착됨-; 및
상기 각 서브 실드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을 포함하는 고압 직류 송전 시스템에서의 밸브모듈 적층체.
A plurality of valve modules; And
And an insulation insulator disposed between the valve modules,
Wherein each of the valve modules comprises:
Multiple component elements; And
And a shield frame for mounting the component element,
The shield frame
At least two or more subshield frames, the component elements being mounted to one of the at least two or more subshield frames; And
And at least one slit formed between the respective sub-shield fram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브 실드프레임은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고압 직류 송전 시스템에서의 밸브모듈 적층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two or more of the at least two subshield frames are dispos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실드프레임 각각은 사각 테두리 형상을 가지고 내부에는 빈 공간을 가지는 고압 직류 송전 시스템에서의 밸브모듈 적층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sub shield frames has a quadrangular frame shape and has an empty space in the inside there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실드프레임 각각은,
서로 마주보도록 평행하게 대향하는 제1 및 제2 서브바; 및
상기 제1 및 제2 서브바와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평행하게 대향하는 제3 및 제4 서브바를 포함하는 고압 직류 송전 시스템에서의 밸브모듈 적층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sub-
First and second sub-bars opposed in parallel to face each other; And
And third and fourth subbars parallel to each other so as to face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and second subbar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서브바는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고압 직류 송전 시스템에서의 밸브모듈 적층체.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to fourth subbars have a plate shap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프레임은,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브 실드프레임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고압 직류 송전 시스템에서의 밸브모듈 적층체.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hield frame
Further comprising a fastening portion for fastening the at least two or more subshield fram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서브 실드프레임 각각의 상기 제1 내지 제4 서브바의 각 끝단 사이를 체결하기 위한 코너체결부; 및
상기 서브 실드프레임 각각의 동일 프레임 사이를 체결하기 위한 평면체결부를 포함하는 고압 직류 송전 시스템에서의 밸브모듈 적층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astening portion
A corner fastening portion for fastening between the respective ends of the first through fourth sub bars of each of the sub shield frames; And
And a planar fastening portion for fastening between the same frames of each of said sub shield fram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체결부는 상기 서브 실드프레임 각각의 인접하는 서브바의 배치구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고압 직류 송전 시스템에서의 밸브모듈 적층체.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rner fastening portion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an arrangement structure of adjacent sub bars of each of the sub shield fram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체결부는 상기 서브 실드프레임 각각의 동일 서브바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고압 직류 송전 시스템에서의 밸브모듈 적층체.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lanar fastening portion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an inner surface of the same sub-bar of each of the sub-shield fram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실드프레임 각각은 동일한 사각 테두리 형상을 갖는 고압 직류 송전 시스템에서의 밸브모듈 적층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sub shield frames has the same rectangular frame sh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 실드프레임의 개수는 상기 부품소자의 높이에 따라 달라지는 고압 직류 송전 시스템에서의 밸브모듈 적층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umber of the sub-shield frames included in the shield frame varies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component ele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브 실드프레임 중 적어도 2개의 서브 실드프레임 의 끝단은 서로 연결되는 고압 직류 송전 시스템에서의 밸브모듈 적층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t least two of the at least two sub-shield fram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an end of the sub-shield fram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연결된 연결 부분은 라운드진 형상을 갖는 고압 직류 송전 시스템에서의 밸브모듈 적층체.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interconnected connection portions have a rounded shap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서브 실드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또 다른 서브 실드프레임의 끝단은 상기 서로 연결된 부분으로부터 이격되는 고압 직류 송전 시스템에서의 밸브모듈 적층체.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an end of another sub-shield frame disposed between the two sub-shield frames is spaced from the mutually connected portions.
제12항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 프레임; 및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각각의 측면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로나 실드를 더 포함하는 고압 직류 송전 시스템에서의 밸브모듈 적층체.
13. The method of claim 12,
First and second frames facing each other; And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corona shield disposed on a sid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연결된 적어도 2개의 서브 실드프레임를 포함하는 상기 2개 이상의 서브 실드프레임은 상기 제1 및 제2 프레임 사이에 장착되는 고압 직류 송전 시스템에서의 밸브모듈 적층체.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two or more subshield frames including at least two subshield frames connected to each other are moun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rames.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밸브모듈; 및
상기 밸브모듈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애자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모듈 각각은,
다수의 부품소자; 및
상기 부품소자를 장착하기 위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은 다수의 측면을 가짐-; 및
상기 측면 상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로나 실드를 포함하는 고압 직류 송전 시스템에서의 밸브모듈 적층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valve modules; And
And an insulation insulator disposed between the valve modules,
Wherein each of the valve modules comprises:
Multiple component elements; And
A frame for mounting the component element, the frame having a plurality of sides; And
And at least one corona shield mounted on said side surface. ≪ RTI ID = 0.0 > A < / RTI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코로나 실드는 상기 프레임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더 높은 높이를 갖는 고압 직류 송전 시스템에서의 밸브모듈 적층체.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corona shield has a height equal to or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frame.
KR1020170052146A 2017-04-24 2017-04-24 Valve-module laminating structure in a high voltage direct-current system KR2018011889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146A KR20180118899A (en) 2017-04-24 2017-04-24 Valve-module laminating structure in a high voltage direct-curren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146A KR20180118899A (en) 2017-04-24 2017-04-24 Valve-module laminating structure in a high voltage direct-current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899A true KR20180118899A (en) 2018-11-01

Family

ID=64398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146A KR20180118899A (en) 2017-04-24 2017-04-24 Valve-module laminating structure in a high voltage direct-curren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889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9681B1 (en) Thermally efficient busway joint pack
US8437113B2 (en) Cooling and shielding of a high voltage converter
AU2013224654B2 (en) Capacitor bank, laminated bus bar, and power supply apparatus
US797363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electromagnetic component
KR101183474B1 (en) Seismic proof switchgear and controlgear using plat spring
US10811994B2 (en) Multiphase multilevel power converter
US20110310523A1 (en) Electrical apparatus with electrostatic shield
KR102094223B1 (en) Switch assembly of reactive power compensation apparatus
Wang et al. E-field distribution analysis on three types of converter double valve in 800kV valve hall
US20150342076A1 (en) Housing arrangement of a power electronics device
KR20180118899A (en) Valve-module laminating structure in a high voltage direct-current system
CN205178277U (en) Three -phase bus in cubical switchboard
CA2915400C (en) A power converter with oil filled reactors
WO2018177515A1 (en) Shielding arrangement for high voltage equipment
CN112772007B (en) Shielding device for high voltage equipment separated from adjacent objects and converter station
EP3794913B1 (en) Shielding of high voltage equipment
Jodeyri et al. Thyristor valve for the 12-pulse converter for the 3 Gorges-Shanghai II HVDC transmission scheme
CN109417070B (en) Electrical device with semiconductor circuit
CN110546839B (en) Short-circuit-resistant bus bar arrangement
Boutry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evaluation of the Integrated gate-commutated thyristor (IGCT) as a switch for Modular Multi Level Converters (MMC)
EP3216119B1 (en) Capacitor unit divided in a plurality of pieces for power converter applications
Cong et al. A 99.977% Efficient, 20 kV, 50 A, T-Type Modular Dc Circuit Breaker with SiC Based Full Bridge Modules
Tanabe et al. Discussion of thyristor characteristic optimization for HVDC valves
KR101088759B1 (en) High voltage large capacity rectifier module and high voltage large capacity rectifier using the same
CN105140784A (en) Three-phase buses in switch cabi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