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8419A - A suturing device for surgical - Google Patents

A suturing device for surgic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8419A
KR20180118419A KR1020170051721A KR20170051721A KR20180118419A KR 20180118419 A KR20180118419 A KR 20180118419A KR 1020170051721 A KR1020170051721 A KR 1020170051721A KR 20170051721 A KR20170051721 A KR 20170051721A KR 20180118419 A KR20180118419 A KR 20180118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needle
film
hold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7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육상수
백은영
육민수
육근지
Original Assignee
육상수
육민수
육근지
백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육상수, 육민수, 육근지, 백은영 filed Critical 육상수
Priority to KR1020170051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8419A/en
Publication of KR20180118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841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5Devices or means, e.g. loops, for capturing the suture thread and threading it through an opening of a suturing instrument or needle eyel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91Sewing machines for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7Suture clamps, clips or locks, e.g. for replacing suture knots;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clamps, clips or locks
    • A61B2017/0488Instruments for applying suture clamps, clips or l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66Needles, e.g. needle tip configurations
    • A61B2017/0608J-shap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turing device capable of enhancing reliability by sanitarily and conveniently suturing an incised affected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turing device comprises: a suture film to which a suture including a pull portion and a loop portion is detachably attached; a body which has a guide slit to guide transfer of the suture; and a suture needle which pulls the suture pull portion of the suture film that transfers along the guide slit of the body, and rotates to pass through the loop portion through the affected part. In addition, a driving member which serves to rotate the suture needle and transfer the suture film, a holding member which holds the pull portion having passed through the loop portion of the suture to tie a knot, and a cutting member which cuts the knotted suture can be selectively use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ectively use the function of sewing an affected part by a simple operation, the function of holding a suture to form a knot, the function of cutting a knotted suture, and the like as needed.

Description

봉합기{A suturing device for surgical}A suturing device for surgical

본 발명은 봉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절개된 환부를 위생적으로 편리하게 봉합하여 신뢰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봉합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ture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ture machine that can sanitarily and conveniently suture an incised portion to improve reliability.

주지된 바와 같이, 봉합사는 수술이나 외상으로 인한 조직의 손상된 환부를 봉합하는 데 사용하는 실이다.As is well known, a suture is a thread used to suture a damaged lesion of a tissue due to surgery or trauma.

근래에는 봉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봉합사 또는 봉합사의 매듭을 맺는 장치에 관련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에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00291호(공개일자 2010.01.06) ‘수술용 봉합장치’ 및 등록실용신안 제0195052호(등록일자 2000.06.26) ‘내시경 수술시 수술 봉합사 매듭 조임기기’ 등이 개시되어 있다.In recent years, various sutures or knots have been developed in order to facilitate suturing, and as a related art related thereto,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0-0000291 (Published Date 2010.01.06) 'Surgical Sealing Device And 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0195052 (registered on Jun. 26, 2000) entitled " Surgical suture knot tightening device for endoscopic surgery ".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선행기술은 별도로 마련된 봉합사를 장치나 기기에 끼워서 사용하는 과정에서 오염되어 위생성이 떨어질 수 있고, 환부를 꿰매고 매듭을 지어 마무리하는 과정이 번거롭고 불편할 수 있으며, 매듭을 묶어 유지하는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may contaminate the sanitary property of the suture by putting the separate suture into a device or a device, and it may be troublesome and inconvenient to sew the lesion and finish with the knot, There was a problem that could fall.

(선행기술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00291호(공개일자 2010.01.06)(Prior Art 000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0-0000291 (Published Date 2010.01.06) (선행기술 000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95052호(등록일자 2000.06.26)(Prior Art 0002) Utility Model No. 0195052 registered in the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on June 26, 2000)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절개된 환부를 위생적으로 편리하게 봉합하여 신뢰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봉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ture device which can improve the reliability by sanitarily and easily sealing an incised abutment por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봉합기는, 견인부 및 루프부를 포함하는 봉합사가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봉합사필름, 상기 봉합사필름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가이드슬릿을 갖는 바디, 상기 바디의 가이드슬릿을 따라 이송하는 상기 봉합사필름의 봉합사 견인부를 견인하여 환부를 지나 상기 루프부를 관통하도록 회전하는 봉합바늘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ture includes a suture film to which a suture including a traction portion and a loop portion is detachably attached, a body having a guide slit to guide the suture film transfer, And a suture needle which pulls the suture pulling portion of the suture film to be conveyed along the guide slit of the body and rotates to pass through the loop portion and through the loop por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봉합기는, 견인부 및 루프부를 포함하는 봉합사가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봉합사필름, 상기 봉합사필름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가이드슬릿을 갖는 바디, 상기 바디의 가이드슬릿을 따라 이송하는 상기 봉합사필름의 봉합사 견인부를 견인하여 환부를 지나 상기 루프부를 관통하도록 회전하는 봉합바늘, 상기 봉합바늘의 회전 및 상기 봉합사필름의 이송을 겸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uture machine including a suture film to which a suture including a traction portion and a loop portion is detachably attached, a body having a guide slit to guide the suture film transfer, A suture needle that pulls the suture thread pulling portion of the suture film to be conveyed along the guide slit of the body and rotates to pass through the loop portion through the loop portion, a rotation of the suture needle, and a driving member for conveying the suture fil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봉합기는, 견인부 및 루프부를 포함하는 봉합사가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봉합사필름, 상기 봉합사필름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가이드슬릿을 갖는 바디, 상기 바디의 가이드슬릿을 따라 이송하는 상기 봉합사필름의 봉합사 견인부를 견인하여 환부를 지나 상기 루프부를 관통하도록 회전하는 봉합바늘, 상기 봉합바늘의 회전 및 상기 봉합사필름의 이송을 겸하는 구동부재,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상기 봉합사의 루프부를 관통한 견인부를 잡아서 매듭을 맺는 홀딩부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uture machine including a suture film to which a suture including a traction portion and a loop portion is detachably attached, a body having a guide slit to guide the suture film transfer, A suture needle which pulls the suture thread pulling portion of the suture film to be conveyed along the guide slit of the body and rotates so as to pass through the loop portion and through the loop portion, a driving member which rotates the suturing needle and also serves to convey the suture film, And a holding member for holding a pulling portion penetrating through the loop portion of the suture to bind the kno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봉합기는, 견인부 및 루프부를 포함하는 봉합사가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봉합사필름, 상기 봉합사필름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가이드슬릿을 갖는 바디, 상기 바디의 가이드슬릿을 따라 이송하는 상기 봉합사필름의 봉합사 견인부를 견인하여 환부를 지나 상기 루프부를 관통하도록 회전하는 봉합바늘, 상기 봉합바늘의 회전 및 상기 봉합사필름의 이송을 겸하는 구동부재,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매듭을 맺은 봉합사를 커팅하는 커팅부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uture machine including a suture film to which a suture including a traction portion and a loop portion is detachably attached, a body having a guide slit to guide the transport of the suture film, A suture needle which pulls the suture thread pulling portion of the suture film to be conveyed along the guide slit of the body and rotates so as to pass through the loop portion and through the loop portion, a driving member which rotates the suturing needle and also serves to convey the suture film, And a cutting member for cutting the knotted sutur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봉합기는,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봉합사필름을 상기 가이드슬릿으로 이송시키는 필름푸셔 및 랙이 구비되어 상기 바디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푸시바, 상기 푸시바의 랙에 맞물리는 구동피니언, 상기 구동피니언에 벨트로 연결되는 종동피니언이 구비되어 봉합바늘을 회전시키는 바늘샤프트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uture machine, wherein the driving member includes: a push bar provided on the body and including a film pusher and a rack for feeding the suture film to the guide slit, A driving pinion engaged with the rack of the push bar, and a needle pin provided with a driven pinion connected to the driving pinion by a belt to rotate the sewing need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봉합기는, 견인부 및 루프부를 포함하는 봉합사가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봉합사필름, 상기 봉합사필름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가이드슬릿을 갖는 바디, 상기 바디의 가이드슬릿을 따라 이송하는 상기 봉합사필름의 봉합사 견인부를 견인하여 환부를 지나 상기 루프부를 관통하도록 회전하는 봉합바늘, 상기 봉합바늘의 회전에 의해 상기 봉합사의 루프부를 관통한 견인부를 잡아서 매듭을 맺는 홀딩부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uture machine comprising a suture film to which a suture including a traction portion and a loop portion is detachably attached, a body having a guide slit to guide the transport of the suture film, A suture needle which pulls the suture thread pulling portion of the suture film to be conveyed along the guide slit of the body and rotates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loop portion through the ring portion and a pulling portion penetrating the loop portion of the suture by the rotation of the suturing needle, And a holding memb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의한 봉합기는, 견인부 및 루프부를 포함하는 봉합사가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봉합사필름, 상기 봉합사필름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가이드슬릿을 갖는 바디, 상기 바디의 가이드슬릿을 따라 이송하는 상기 봉합사필름의 봉합사 견인부를 견인하여 환부를 지나 상기 루프부를 관통하도록 회전하는 봉합바늘, 상기 봉합바늘의 회전에 의해 상기 봉합사의 루프부를 관통한 견인부를 잡아서 매듭을 맺는 홀딩부재, 상기 봉합바늘의 회전에 의해 매듭을 맺은 봉합사를 커팅하는 커팅부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wing machine comprising a suture film to which a suture including a pulling portion and a loop portion is detachably attached, a body having a guide slit to guide the feeding of the suture film, A suture needle which pulls the suture thread pulling portion of the suture film to be conveyed along the guide slit of the body and rotates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loop portion through the ring portion and a pulling portion penetrating the loop portion of the suture by the rotation of the suturing needle, And a cutting member for cutting the knotted suture by rotation of the suture need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의한 봉합기는, 견인부 및 루프부를 포함하는 봉합사가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봉합사필름, 상기 봉합사필름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가이드슬릿을 갖는 바디, 상기 바디의 가이드슬릿을 따라 이송하는 상기 봉합사필름의 봉합사 견인부를 견인하여 환부를 지나 상기 루프부를 관통하도록 회전하는 봉합바늘, 상기 봉합바늘의 회전에 의해 매듭을 맺은 봉합사를 커팅하는 커팅부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ture includes a suture film to which a suture including a traction portion and a loop portion is detachably attached, a body having a guide slit to guide the transport of the suture film, A suture needle which pulls the suture thread pulling portion of the suture film to be conveyed along the guide slit of the body and rotates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loop portion, and a cutting member which cuts the knotted suture by the rotation of the suturing need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의한 봉합기는, 견인부 및 루프부를 포함하는 봉합사가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봉합사필름, 상기 봉합사필름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가이드슬릿을 갖는 바디, 상기 바디의 가이드슬릿을 따라 이송하는 상기 봉합사필름의 봉합사 견인부를 견인하여 환부를 지나 상기 루프부를 관통하도록 회전하는 봉합바늘, 상기 봉합사필름을 원하는 위치로 이송시키는 필름이송부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ture includes a suture film to which a suture including a pulling portion and a loop portion is detachably attached, a body having a guide slit to guide the transport of the suture film, A suture needle which pulls the suture thread pulling portion of the suture film to be fed along the guide slit of the body and rotates to pass through the loop portion to pass through the loop portion, and a film feeding member for feeding the suture film to a desired posi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의한 봉합기는, 견인부 및 루프부를 포함하는 봉합사가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봉합사필름, 상기 봉합사필름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가이드슬릿을 갖는 바디, 상기 바디의 가이드슬릿을 따라 이송하는 상기 봉합사필름의 봉합사 견인부를 견인하여 환부를 지나 상기 루프부를 관통하도록 회전하는 봉합바늘, 상기 환부의 절개된 부위를 잡는 환부캐치부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t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ture includes a suture film to which a suture including a traction portion and a loop portion is detachably attached, a body having a guide slit to guide the transport of the suture film, A suture needle pulling the suture thread pulling portion of the suture film to be conveyed along the guide slit of the body and rotating to pass through the loop portion to pass through the loop portion, and a foreign body catch member for holding the cut portion of the foreign body por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의한 봉합기는, 상기 봉합사필름을 원하는 위치로 이송시키는 필름이송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aler according to the el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lm transferring member for transferring the suture film to a desired position.

이때, 상기 필름이송부재는, 상기 봉합사필름의 양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된 스프로킷홀에 맞물리는 어퍼스프로킷 및 구동풀리가 구비되어 상기 바디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어퍼회전롤러, 상기 어퍼회전롤러의 구동풀리에 벨트로 연결되는 종동풀리 및 상기 봉합사필름의 스프로킷휠에 맞물리는 로워스프로킷이 구비되어 상기 바디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로워회전롤러, 상기 어느 한 회전롤러를 회전시키도록 연결된 로터리노브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lm transferring member includes an upper rotating roller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and having an upper sprocket and a driving pulley engaged with sprocket hol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both sides of the suture film, A lower roller connected to the driving pulley by a belt and a lower sprocket which is engaged with the sprocket wheel of the suture film and is rotatably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a rotary knob connected to rotate the rotating roller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의한 봉합기는, 상기 환부의 절개된 부위를 잡는 환부캐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ealer according to the twel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oreign matter catch member for holding the incised portion of the foreign body part.

이때, 상기 환부캐치부재는, 상기 환부의 절개된 부위 표면을 지지하도록 바디에 구비된 캐치바서포트, 상기 캐치바서포트에 지지된 환부의 절개된 부위 내면을 잡는 커브로드, 상기 커브로드를 작동시키도록 바디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캐치바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ffected part catch member may include a catch bar support provided on the body to support the incised site surface of the affected part, a curved rod holding the incised site inner surface of the affected part supported by the catch bar support, And a catch bar installed on the body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또한, 상기 환부캐치부는 상기 캐치바를 탄성적으로 복원시키도록 바디에 설치된 캐치바 복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ffected part catch part may include a catch bar restoring member provided on the body to elastically restore the catch bar.

본 발명의 상기 푸시바에는 상기 구동피니언에 단속되도록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The push ba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stopper so as to be interrupted by the driving pinion.

본 발명의 상기 홀딩부재는, 상기 루프부를 관통한 봉합사의 어느 한 부분을 지지하도록 바디에 형성된 홀딩바서포트, 상기 홀딩바서포트에 지지된 봉합사를 잡아서 매듭을 맺는 홀더, 상기 홀더를 승강시키도록 바디에 설치된 홀딩바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lding member may include a holding bar support formed on the body to support a part of the suture passing through the loop portion, a holder for holding a suture supported by the holding bar support and holding the knot,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홀딩부재는 상기 홀딩바를 탄성적으로 복원시키도록 바디에 설치된 홀딩바 복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lding member may include a holding bar restoring member installed on the body to elastically restore the holding bar.

본 발명의 상기 커팅부재는, 상기 루프를 관통하여 매듭을 맺은 상기 봉합사를 커팅하는 커터, 상기 커터를 작동시키도록 바디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커팅바를 포함할 수 있다.The cutt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utter for cutting the knotted suture passing through the loop, and a cutting bar vertically movable on the body to operate the cutter.

이때, 상기 커팅부재는 상기 커팅바를 탄성적으로 복원시키도록 상기 바디에 설치된 커팅바 복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utting member may include a cutting bar restoring member installed on the body to elastically restore the cutting bar.

본 발명의 상기 가이드슬릿은, 상기 바디의 양측에 형성된 직선형의 선형 가이드슬릿, 상기 양측 선형 가이드슬릿의 하단부를 만곡되게 연결하는 만곡 가이드슬릿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guide sl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a straight linear guide slit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and a curved guide slit connecting the lower ends of the both linear guide slits curvedly.

이때, 상기 어느 한 선형 가이드슬릿의 상단부에는 봉합사필름의 진입을 안내하도록 진입 가이드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n entry guide slit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one of the linear guide slits so as to guide the entry of the suture film.

본 발명의 상기 봉합바늘은, 상기 바디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늘액슬, 상기 바늘액슬에 직교로 연결되는 바늘연결부, 상기 바늘연결부에 연결되어 봉합사를 견인하여 환부를 꿰매는 바늘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ture need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needle axle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a needle connection portion orthogonally connected to the needle axle, and a needle portion connected to the needle connection portion, have.

이때, 상기 바늘부의 선단에는 봉합사를 견인하도록 견인홈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trailing groove may be formed at the tip of the needle to pull the suture.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봉합바늘에 의해 봉합사필름에서 봉합사가 분리되면서 환부를 꿰매어 위생적으로 봉합할 수 있으며, 간단한 작동에 의해 환부를 꿰매는 기능, 매듭을 형성하기 위해 봉합사를 홀딩하는 기능, 매듭을 맺은 봉합사를 커팅하는 기능, 원하는 위치로 봉합사필름을 이송하는 기능 및 환부의 절개된 부위를 캐치하는 기능 등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implemented by the above-mentioned solution, the suture thread is separated from the suture film by the suture needle, and the suture can be sewn by sewing the sutured part. The function of sewing the affected part by simple operation, A function of cutting a knotted suture, a function of transporting a suture film to a desired position, and a function of catching an incised portion of a lesion portion can be selectively used as need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봉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봉합기에서 케이스와 커버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봉합바늘과 구동부재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봉합바늘과 구동부재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봉합사필름을 나타낸 입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필름이송부재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홀딩부재와 커팅부재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면바디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환부캐치부재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B-B선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봉합사필름, 구동부재, 홀딩부재 및 커팅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itc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se and a cov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a stitc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assembled state of the stitching needle and the driving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mbined state of a stitching needle and a driv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levational view of a suture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assembled state of the film transfer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assembled state of the holding member and the cutting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ront body is remov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ffected part catch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isassembled state. FIG.
11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FIG. 12 is an opera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suture film, a driving member, a holding member, and a cut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Therefore, the shapes and the like of the constituent elem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in order to emphasize a clearer explan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Furth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of the known art, which are considered to be unnecessarily obscured b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봉합기는, 견인부(122) 및 루프부(126)를 포함하는 봉합사(120)가 베이스필름(110)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봉합사필름(100), 봉합사필름(100)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가이드슬릿(231)을 갖는 바디(200), 바디(200)의 가이드슬릿(231)을 따라 이송하는 봉합사필름(100)의 봉합사(120) 견인부(122)를 견인하여 환부(1)를 지나 루프부(126)를 관통하도록 회전하는 봉합바늘(470), 봉합바늘(470)의 회전 및 봉합사필름(100)의 이송을 겸하는 구동부재(400), 구동부재(400)에 의해 봉합사(120)의 루프부(126)를 관통한 견인부(122)를 잡아서 매듭을 맺는 홀딩부재(500), 홀딩부재(500)로 매듭을 맺은 봉합사(120)를 커팅하는 커팅부재(600)를 포함한다.The su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suture 120 including the traction portion 122 and the loop portion 126 is used to transport the suture film 100 and the suture film 100 that are removably attached to the base film 110 The body 200 having the guide slit 231 to guide the suture thread 120 and the suture thread 120 of the suture film 100 to be conveyed along the guide slit 231 of the body 200, A driving member 400 serving also to rotate the suture needle 470 and to transfer the suture film 100, a suture needle 470 which rotates through the loop portion 126 passing through the loop portion 126, A cutting member 600 for holding a knotted suture 120 with a holding member 500 holding a knot by gripping a pulling portion 122 passing through a loop portion 126 of the knot 120 do.

봉합사필름(100)은 유연성을 갖는 베이스필름(110)과 이 베이스필름(110)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어 수술이나 외상으로 인한 조직의 환부(1)를 봉합하는데 쓰이는 봉합사(120)를 포함한다.The suture film 100 includes a flexible base film 110 and a suture 120 detachably attached to the base film 110 and used for suturing the affected part 1 of the tissue due to surgery or trauma.

먼저, 베이스필름(110)은 소정의 곡률로 휘어지도록 유연성을 갖는 얇은 두께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진다. 도 5를 참조하면, 베이스필름(110)의 좌우 양측에는 약간 두꺼운 비드(111)가 형성되어 소정의 외력-필름푸셔(420)로 누르는 힘-에 대항하여 변형되지 않고 어느 정도 형체를 유지하는 형체력을 갖고, 이 비드(111)에는 복수의 스프로킷홀(112)이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되어 후술하는 어퍼스프로킷(712) 및 로워스프로킷(722)에 맞물려 이송된다. 베이스필름(110)의 중앙에는 길이 방향으로 긴 바늘관통공(114)이 형성되며, 이 바늘관통공(114)은 봉합바늘(470)이 회전하면서 관통되어 봉합사(120)의 견인부터 루프부(126)를 지나 매듭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First, the base film 110 is made of a thin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flexibility so as to be bent at a predetermined curvature. 5, a slightly thicker bead 111 is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se film 110 so as to form a bead 111 which is not deformed against a predetermined external force-force applied by the film pusher 420, And a plurality of sprocket holes 112 are punch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beads 111 to be engaged with the upper sprocket 712 and the lower sprocket 722 to be described later. A long needle penetration hole 114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ase film 110. The needle penetration hole 114 penetrates through the needle 470 while the suture needle 470 rotates, 126 to form a knot.

그리고 봉합사(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필름(110)의 바늘관통공(114) 선단에 배치되는 견인부(122), 견인부(122)에 연이어져 바늘관통공(114)의 어느 한 측변에 인접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연결부(124), 연결부(124)에 연이어져 바늘관통공(114)의 후단에 인접되도록 배치되는 루프부(126), 루프부(126)에 연이어지는 마감부(128)를 포함한다.5, the suture 120 includes a pull portion 122 disposed at the tip of the needle through hole 114 of the base film 110, a needle through hole 114 connected to the pull portion 122, A loop portion 126 disposed adjacent to the rear end of the needle through hole 114 in series with the connection portion 124, a loop portion 126 disposed adjacent to the loop portion 126, The succession includes a finishing portion 128.

견인부(122)는 베이스필름(110)의 바늘관통공(114) 선단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부분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부(122)의 선단과 후단은 베이스필름(110)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고 그 사이의 중앙은 바늘관통공(114)의 선단에 인접된 부분을 가로지르게 된다. 견인부(122)의 선단에는 견인매듭(123)이 형성되어 도 12의 (b) 좌측에 일점쇄선 원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봉합바늘(470)이 견인부(122)를 견인할 때 걸려서 봉합사(120)의 선단부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5, the leading end and the trailing end of the pulling portion 122 are connected to the base film 110 and the base film 110, And the center between them is crossed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tip of the needle through hole 114. [ A pulling knot 123 is formed at the tip of the pulling portion 122 so that the sewing needle 470 is hooked when pulling the pulling portion 122 as shown in an enlarged scale on the left side in FIG. 12 (b) (Not shown).

연결부(12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부(122)에 연이어져 바늘관통공(114)의 길이방향 어느 한 측변에 인접되도록 베이스필름(110)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는 부분으로서, 이러한 연결부(124)는 봉합바늘(470)이 견인부(122)를 견인하면서 시작하는 1회전 후 루프부(126)를 관통하는 이동 거리를 고려하여 적절한 길이로 이루어진다.5, the connection portion 124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base film 110 so as to be adjacent to one side of the needle through hole 11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ulling portion 122, The connecting portion 124 is formed to have an appropriate length in consideration of the moving distance through the loop portion 126 after the one rotation after the sewing needle 470 starts pulling the pull portion 122.

루프부(126)는 매듭을 형성하기 위해 조여지지 않은 고정된 고리 형상의 부분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24)에 연이어진 둥근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관통되는 견인부(122)와 묶어서 매듭을 형성한다.The loop portion 126 is a fixed annular portion that is not tightened to form a knot. The loop portion 126 has a traction portion 122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continuous with the connection portion 124 as shown in FIG. 5 and penetrating therethrough It binds to form a knot.

마감부(128)는 루프부(126)에 연이어져 베이스필름(110)에 분리가능하게 부착되어 봉합사(120)의 끝 부분을 마감한다.The finishing portion 128 is connected to the loop portion 126 and detachably attached to the base film 110 to close the end of the suture 120. [

이에 따라, 봉합사(120)는 견인부(122)가 봉합바늘(470)에 의해 견인되어 조직의 환부(1)를 지나 루프부(126)를 관통한 후 묶어서 매듭을 형성하게 된다.Accordingly, the suture thread 120 is pulled by the suture needle 470 through the pulling portion 122, passes through the loop portion 1 of the tissue, passes through the loop portion 126, and is then bundled to form a knot.

바디(200)는 본 발명의 골조를 이루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바디(210)와 후면바디(250) 및 그 사이에 결합되는 중간바디(23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00)의 전후 및 좌우 부분은 케이스(300)에 의해 보호되고 상부는 커버(310)에 의해 마감된다. 여기서, 커버(310)에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바홀(311), 필름푸셔홀(312), 푸시바홀(313) 및 커팅바홀(314)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홀딩바(510), 필름푸셔(420), 푸시바(410) 및 커팅바(610)가 각각 작동가능하게 돌출된다. 그리고 커버(310)에는 필름인출공(315)이 형성되어 가이드슬릿(231)을 따라 이송된 봉합사필름(100)이 인출된다.The body 200 includes a front body 210, a rear body 250, and an intermediate body 230 coupled between the front body 210 and the rear body 250,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1, the front and back and right and left portions of the body 200 are protected by the case 300 and the upper portion is closed by the cover 310. 1 and 6, a holding bar hole 311, a film pusher hole 312, a push bar hole 313, and a cutting bar hole 314 are formed on the cover 310, ), A film pusher 420, a push bar 410, and a cutting bar 610, respectively. A film drawing hole 315 is formed in the cover 310 so that the suture film 100 transferred along the guide slit 231 is drawn out.

전면바디(210)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의 단면으로 이루어져 세로 방향으로 긴 틀 형상으로 형성된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전면바디(210)의 전면 양측에는 캐치바레일(211)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캐치바(810)의 승강을 안내하는데, 이러한 캐치바레일(211)의 중앙 윗부분에는 캐치바 스프링홈(211a)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캐치바 복원부재(820)가 설치된다. 그리고 도 8을 참조하면, 전면바디(210)의 좌측면에는 홀딩바레일(222)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홀딩바(510)의 승강을 안내하는데, 이러한 홀딩바레일(222)의 상부에는 홀딩바 스프링홈(222a)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홀딩바 복원부재(530)가 설치된다. 또한,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전면바디(210)의 안쪽 후면 좌측에는 푸셔레일(223)이 형성되어 필름푸셔(420)의 승강을 안내하고, 우측에는 커팅바레일(224)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커팅바(610)의 승강을 안내한다. 아울러, 전면바디(210)의 하부 중앙에는 대략 반원형으로 만곡된 면을 갖는 캐치바서포트(225)가 구비되어 환부(1)의 절개된 부위(10)의 표면(11)을 지지한다. 더하여, 전면바디(210)의 후면 하부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사가이드(232)가 구비되어 봉합바늘(470)의 회전으로 환부(1)를 관통하는 봉합사(120)가 회전하는 봉합바늘(470)에 간섭되지 않도록 안내하고, 그 상부에는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234)에 의해 지지되는 필름스토퍼(233)가 구비되어 봉합사필름(100)에 소정의 힘을 가할 경우에만 가이드슬릿(231)을 따라 이송되도록 단속하게 된다.As shown in FIGS. 2 and 6, the front body 210 has a substantially '?' 6, a catch barrel 211 is formed on both sides of a front surface of the front body 210 so as to guide a catch bar 810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upper center of the catch barrel 211, A catch bar spring groove 211a is formed and a catch bar restoring member 820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8, a holding barrel 222 is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front body 210 to guide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holding bar 510, A spring groove 222a is formed and a holding bar restoring member 53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6 and 8, a pusher rail 223 is formed on the left rear side of the inner side of the front body 210 to guide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film pusher 420 and a cutting barrel 224 is formed on the right side And guides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cutting bar 6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 catch bar support 225 having an approximately semicircular curved surface is provided at the lower center of the front body 210 to support the surface 11 of the incised portion 10 of the annular portion 1. 7 and 8, a suture thread guide 232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body 210 so that the suture thread 120 passing through the annular portion 1 by the rotation of the suture needle 470 is rotated 7 and 9, a film stopper 233 supported by a torsion spring 234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lm stopper 233 so that the suture film 100 The guide slit 231 is moved along the guide slit 231,

중간바디(230)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의 단면으로 이루어진 세로 방향으로 긴 틀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면바디(210)의 후면에 결합된다. 중간바디(230)의 전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슬릿(231)이 형성되어 봉합사필름(100)의 선형 및 원호 이송을 안내하는데, 이러한 가이드슬릿(231)은 중간바디(230)의 전면 양측에 직선형으로 형성된 선형 가이드슬릿(231a)과 이 선형 가이드슬릿(231a)의 하단부를 만곡되게 연결하는 만곡 가이드슬릿(231b)을 포함하여 대략 ‘U’자 형의 궤도로 형성된다. 여기서, 좌측의 선형 가이드슬릿(231a)의 상단부에는 넓은 폭으로 이루어진 진입 가이드슬릿(231c)이 형성되어 봉합사필름(100)의 용이한 진입을 안내하고, 우측의 선형 가이드슬릿(231b)의 상단부는 커버(310)의 필름인출공(315)에 연이어져 인출되도록 중간바디(230)의 상부까지 연장된다. 이와 같이 중간바디(230)의 전면에 형성된 가이드슬릿(231)은 전면바디(210)의 안쪽 후면에도 동일하게 형성되어 봉합사필름(100)의 양측을 안내하여 안정적인 이송을 하게 된다.3 and 6, the intermediate body 230 is formed in a longitudinally long frame shape having a substantially '└┘' cross section and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body 210. 3, a guide slit 231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intermediate body 230 to guide the linear and circular transfer of the suture film 100. The guide slit 231 is formed on the intermediate body 230, U 'shaped orbit including a linear guide slit 231a linear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side and a curved guide slit 231b curvedly connecting the lower end of the linear guide slit 231a. Here, a wide width entry guide slit 231c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left linear guide slit 231a to guide the easy entry of the suture film 100 and the upper end of the right linear guide slit 231b And extend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termediate body 230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film drawing hole 315 of the cover 310. The guide slit 231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intermediate body 230 is formed on the inner rear surface of the front body 210 so as to guide both sides of the suture film 100 and perform stable feeding.

후면바디(2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간바디(230)의 후면에 결합된다. 후면바디(250)의 전면 상부에는 가이드블럭이 형성되어 푸시바(410)의 일면을 승강가능하게 지지한다. 후면바디(250)의 전면에는 중앙에서 하부까지 길게 연결된 구획철부(252)가 구비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440)의 구동 시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데, 그 중앙에는 푸시바가이더(254)가 구비되어 푸시바(410)의 승강 시 유동을 방지하도록 안내하며, 하부에는 샤프트홀(256)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바늘샤프트(46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The rear body 25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plate-like shape as shown in FIG. 3 and is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body 230. A guide block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rear body 250 to support one side of the push bar 410 in a liftable manner. 4, the front body 250 is provided with a partition bar 252 extending from the center to the bottom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the belt 440 as shown in FIG. 4. The push bar guider 254 is dispos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 shaft hole 256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so that a needle shaft 460 to be described later is rotatably coupled.

봉합바늘(470)은 봉합사(120)의 견인부(122)를 견인하여 환부(1)를 지나 루프부(126)를 관통하도록 회전한다.The suture needle 470 pulls the pull portion 122 of the suture 120 and rotates through the loop portion 1 and through the loop portion 126. [

도 3의 하부 좌측에 일점쇄선의 타원 내부에 확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봉합바늘(470)은 바늘샤프트(460)에 결합되는 바늘액슬(471), 바늘액슬(471)에 직교로 연결된 바늘연결부(472), 바늘연결부(472)에 연결되어 견인한 봉합사(120)로 환부(1)를 꿰매는 바늘부(473)를 포함한다.3, the suture needle 470 includes a needle axle 471 coupled to the needle shaft 460, a needle 452 coupled to the needle axle 471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needle axle 471, And a needle part 473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472 and the needle connection part 472 and sewing the ring part 1 to the suture 120 pulled.

그리고 바늘액슬(471)은 후술하는 바늘샤프트(460)의 액슬홀(462)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하고, 바늘액슬(471)과 바늘연결부(472)는 직교로 연결되어 우측에서 보면 대략 ‘┌’한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needle axle 471 is coupled to the axle hole 462 of the needle shaft 460 to be described later and integrally rotates. The needle axle 471 and the needle connection portion 47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right angles. Shaped.

또한, 바늘부(473)는 대략 반원형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봉합사(120)의 견인부(122)를 견인하고 환부(1)를 지나 루프부(126)를 관통하여 꿰매게 되는데, 이러한 바늘부(473)의 선단에는 대략 ‘v’자 형상의 견인홈(474)이 형성되어 봉합사(120)를 걸어서 빠지지 않도록 견인하게 된다.The needle part 473 is formed in an approximately semicircular arc shape and is pulled through the pulling part 122 of the suture thread 120 and stitches through the loop part 126 through the loop part 1, A trailing groove 474 having a substantially 'v' shape is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syringe barrel 473 so that the suture thread 120 is pulled so as not to be pulled out.

구동부재(400)는 봉합바늘(470)을 회전시켜서 봉합사(120)로 환부(1)를 꿰매는 기능과 봉합사필름(100)을 가이드슬릿(231)을 따라 이송시키는 기능을 동시에 겸한다. 구동부재(4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00) 내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봉합사필름(100)을 가이드슬릿(231)으로 이송시키는 필름푸셔(420) 및 랙(411)이 구비된 푸시바(410), 푸시바(410)의 랙(411)에 맞물리도록 바디(2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동피니언(430), 구동피니언(430)에 벨트(440)로 연결되는 종동피니언(450)이 구비되어 바디(2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바늘샤프트(460), 푸시바(410)를 복원시키는 푸시바 복원부재(480)를 포함한다.The driving member 400 also has a function of sewing the suture part 1 with the suture thread 120 by rotating the suture needle 470 and a function of feeding the suture film 100 along the guide slit 231 at the same time. 3 and 4, the driving member 400 includes a film pusher 420 and a rack 411 that are installed in the body 200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to feed the suture film 100 to the guide slit 231, A drive pinion 430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dy 200 to be engaged with the rack 411 of the push bar 410 and a drive pinion 430 rotatably mounted on the drive pinion 430 by a belt 440 A needle shaft 460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dy 200 and a push bar restoring member 480 for restoring the push bar 410 are provided.

푸시바(410)는 봉합바늘(470)을 회전시키는 작용과 봉합사필름(100)을 이송시키는 작용을 동시에 겸하도록 구동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바(410)의 일면은 후면바디(250)의 가이드블럭(251)에 지지되고 대응되는 다른 일면은 중간바디(230)의 후면에 지지되어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푸시바(410)의 중앙에는 랙(411)이 세로 방향으로 구비되어 맞물리는 구동피니언(430)을 회전시키고, 랙(411)의 하부에는 푸시로드(412)가 구비되어 푸시바가이더(254)를 따라 승강이 안내되며, 랙(411)의 상부에는 스토퍼(414)가 구비되어 푸시바(410)의 하강 시 구동피니언(430)에 걸려서 더 이상 내려가지 않도록 단속된다. 또한, 푸시바(410)의 일측에는 결합홈(413)이 형성되어 필름푸셔(420)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돌기(421)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러한 필름푸셔(420)는 푸시바(410)를 누르는 동시에 하강되어 봉합사필름(100)의 상단부를 눌러서 가이드슬릿(231)을 따라 이송시키며, 필름푸셔(420)의 타측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바디(210)에 형성된 푸셔레일(223)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The push bar 410 simultaneously drives the rotation of the suture needle 470 and the action of feeding the suture film 100. 3 and 4, one side of the push bar 410 is supported by the guide block 251 of the rear body 250 and the other side of the push bar 410 is supported by the rear side of the intermediate body 230, Respectively. A push rod 412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rack 411 to rotate the push bar guider 254 And a stopper 414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rack 411 so that the stopper 414 is caught by the drive pinion 430 when the push bar 410 descends and is interrupted so as not to descend further. An engaging groove 41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push bar 410 so that the engaging protrusion 421 formed on one side of the film pusher 4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push bar 410, The other side of the film pusher 420 is pressed against the pusher rail (not shown) formed on the front body 210 as shown in FIG. 8 223, respectively.

구동피니언(430)은 도 3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바디(230)와 후면바디(250) 사이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푸시바(410)의 랙(411)에 맞물려 회전된다.3 and 4, the driving pinion 43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between the intermediate body 230 and the rear body 250 and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rack 411 of the push bar 410 .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바늘샤프트(460)의 일측에는 구동피니언(430)에 벨트(440)로 연결되는 종동피니언(450)이 구비되어 후면바디(250)의 샤프트홀(256)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에는 액슬홀(462)이 형성되어 봉합바늘(470)이 장착된다.3 and 4, a driven pinion 450 connected to the driving pinion 430 by a belt 44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needle shaft 460 to rotate the pinion 450 in the shaft hole 256 of the rear body 250 And an axle hole 462 is formed at the other side to mount the sewing needle 470. [

푸시바 복원부재(480)는 하강된 푸시바(410)를 탄성적으로 복원시키는 부재로서, 이러한 푸시바 복원부재(48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로드(412)의 외경에 결합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현되어 랙(411)과 푸시바가이더(254) 사이에서 탄성적인 압축 및 신장 운동을 하게 된다. 선택적으로, 푸시바 복원부재(480)는 하강된 푸시바(410)를 탄성적으로 복원시킬 수 있는 판스프링 따위로 구현될 수 있다.The push bar restoring member 480 is a member for resiliently restoring the lowered push bar 410. This push bar restoring member 480 has an outer diameter of the push rod 412 as shown in Figures 3 and 4, So as to perform elastic compression and stretching movements between the rack 411 and the push bar guider 254. Alternatively, the push bar restoring member 480 may be embodied as a leaf spring capable of elastically restoring the lowered push bar 410.

홀딩부재(500)는 봉합사(120)의 루프부(126)를 관통한 견인부(122)를 잡아서 매듭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홀딩부재(50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바디(210)의 홀딩바레일(222) 하단부에 형성된 홀딩바서포트(226), 봉합사(120)의 루프부(126)를 관통하여 홀딩서포트(226)에 지지되는 견인부(122)를 잡도록 홀더(520), 홀더(520)를 작동시키도록 전면바디(210)의 홀딩바레일(222)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홀딩바(510), 홀딩바(510)를 탄성적으로 복원시키는 홀딩바 복원부재(530)를 포함한다.The holding member 500 is for forming a knot by gripping a pulling portion 122 passing through the loop portion 126 of the suture thread 120. Such a holding member 500 may be formed as shown in Figures 8 and 9, A holding bar support 226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holding barrel 222 of the front body 210 and a pulling portion 122 supported by the holding support 226 through the loop portion 126 of the suture thread 120 A holding bar 510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along a holding barrel 222 of the front body 210 so as to operate the holder 520 and the holder 520 to hold the holding bar 520, And a bar restoring member 530.

홀딩바서포트(226)는 홀딩바레일(222)의 하단부에 수평으로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어 홀더(520)와의 사이에 배치된 봉합사(120)의 견인부(122) 어느 한 부분을 지지하게 된다.The holding bar support 226 is formed as a horizontal flat surface at the lower end of the holding barrel 222 to support any portion of the pulling portion 122 of the suture 120 disposed between the holding bar support 222 and the holder 520.

홀딩바(5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는 둘레가 둥글고 하부는 사각형으로 형성된 봉으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홀딩바(510)의 둥근 상부에는 홀딩바 복원부재(530)가 결합되어 하강된 홀딩바(510)를 탄성적으로 복원시키고, 사각형의 하부는 전면바디(210)의 홀딩바레일(222)을 따라 승강된다.8, a holding bar restoring member 530 is coupled to a rounded upper portion of the holding bar 51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holding bar 510 is lowered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rectangle is lifted and lowered along the holding barrel 222 of the front body 210. [

홀더(520)는 홀딩바(510)의 하단에 구비되어 수평으로 평평한 상면을 갖는데, 이 평평한 상면은 홀딩바서포트(226)에 지지된 봉합사(120)를 견고히 잡게 된다.The holder 52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holding bar 510 and has a horizontally flat upper surface which firmly holds the suture 120 supported by the holding bar support 226.

홀딩바 복원부재(5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바(510)의 상부 외경에 결합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현되어 전면바디(210)의 홀딩바 스프링홈(222a)에 수용되며, 이때 코일스프링의 상단은 스냅링(540)에 의해 빠지지 않게 된다. 선택적으로, 홀딩바 복원부재(530)는 하강된 홀딩바(510)를 탄성적으로 복원시킬 수 있는 판스프링 따위로 구현될 수 있다.8, the holding bar restoring member 530 is embodied as a coil spring coupled to the upper outer diameter of the holding bar 510 and is received in the holding bar spring groove 222a of the front body 210, The upper end of the spring is not pulled out by the snap ring 540. Alternatively, the holding bar restoring member 530 may be realized as a leaf spring capable of elastically restoring the lowered holding bar 510.

이에 따라, 손으로 홀딩바(510)를 눌러서 하강시키면 홀딩바서포트(226)와 홀더(5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으로 봉합사(120)의 루프부(126)를 관통한 견인부(122)가 배치될 때 홀딩바(510)에서 손을 떼면 홀딩바 복원부재(530)의 탄성에 의해 홀딩바(510)는 상승하면서 봉합사(120)의 견인부(122)를 견고히 잡게 되므로, 봉합사(120)의 루프부(126)를 관통한 견인부(122)를 당겨서 매듭을 형성할 수 있다.When the holding bar 510 is pushed down by hand,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holding bar support 226 and the holder 520, and a pulling portion, which penetrates the loop portion 126 of the suture thread 120, The holding bar 510 is lifted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holding bar restoring member 530 when the holding bar 510 is released when the holding bar 122 is disposed and the pulling portion 122 of the suture thread 120 is firmly held, The knot can be formed by pulling the pulling portion 122 passing through the loop portion 126 of the suture thread 120. [

커팅부재(600)는 매듭을 맺은 봉합사(120)를 커팅하는 부재로서, 이러한 커팅부재(60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0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커팅바(610), 커팅바(610)에 설치되어 매듭을 맺은 봉합사(120)를 커팅하는 커터(620), 커팅바(610)를 탄성적으로 복원시키는 커팅바 복원부재(630)를 포함한다.The cutting member 600 is a member for cutting the knotted suture yarn 120. The cutting member 600 is provided with a cutting bar 610 A cutter 620 installed on the cutting bar 610 for cutting the knotted suture 120 and a cutting bar restoring member 630 for elastically restoring the cutting bar 610. [

커팅바(610)는 전면바디(210)의 커팅바레일(224)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커터(620)를 작동시키는 것으로서, 이러한 커팅바(610)의 하단부에는 커팅바로드(612)가 구비되어 후술하는 커팅바 복원부재(630)로 구현되는 코일스프링이 결합된다.The cutting bar 610 is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along the cutting barrel 224 of the front body 210 to operate the cutter 620. A cutting bar 612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cutting bar 610 And a coil spring, which is realized by a cutting bar restoring member 630 described later, is engaged.

커터(620)는 커팅바(6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커팅바(610)에 의해 하강하면서 매듭을 맺은 봉합사(120)를 커팅하게 된다.The cutter 620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utting bar 610 and is cut by the cutting bar 610 to cut the knotted suture 120.

커팅바 복원부재(630)는 봉합사(120)를 커팅하기 위해 하강한 커팅바(610)를 탄성적으로 복원시키는 부재로서, 이러한 커팅바 복원부재(63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으로 구현되어 커팅바로드(612)의 외경에 결합된다. 선택적으로, 커팅바 복원부재(630)는 하강된 커팅바(610)를 탄성적으로 복원시키는 판스프링 따위로 구현될 수 있다.The cutting bar restoring member 630 is a member for resiliently restoring the lowered cutting bar 610 to cut the suture thread 120. The cutting bar restoring member 630 is a member for restoring the cutting bar 610 as shown in Figures 8 and 9 And is coupled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cutting bar 612. Alternatively, the cutting bar restoration member 630 may be embodied as a leaf spring that resiliently restores the lowered cutting bar 610.

이에 따라, 손으로 커팅바(610)를 누르면 커터(620)가 동시에 하강되어 루프부(126)를 관통하여 매듭을 맺은 봉합사(120)를 커팅하고, 커팅바(610)에서 손을 떼면 커팅바 복원부재(630)에 의해 탄성적으로 상승되어 원위치를 유지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cutting bar 610 is manually pressed, the cutter 620 is simultaneously lowered to cut the knotted suture thread 120 through the loop part 126. When the knot is cut off from the cutting bar 610, And is elastically raised by the restoring member 630 to maintain the home position.

한편, 본 발명의 봉합기는 봉합사필름(100)을 원하는 위치로 이송시키는 필름이송부재(700)를 더 포함한다.Meanwhile, the sutur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ilm transfer member 700 for transferring the suture film 100 to a desired position.

이러한 필름이송부재(70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사필름(100)의 스프로킷홀(112)에 맞물리는 어퍼스프로킷(712) 및 구동풀리(711)가 구비되어 바디(20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어퍼회전롤러(710), 구동풀리(711)에 벨트(730)로 연결되는 종동풀리(721) 및 봉합사필름의 스프로킷홀(112)에 맞물리는 로워스프로킷(712)이 구비되어 바디(20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로워회전롤러(720), 어퍼회전롤러(710)를 회전시키도록 연결되어 봉합사필름(100)을 이송시키는 로터리노브(740)를 포함한다.6 and 7, the film transferring member 700 includes an upper sprocket 712 and a driving pulley 711 which are engaged with the sprocket holes 112 of the suture film 100, A driven pulley 721 connected to the drive pulley 711 by a belt 730 and a lower sprocket 712 engaged with the sprocket holes 112 of the suture film, And a rotary knob 740 connected to rotate the upper rotating roller 710 to feed the suture film 100. The rotary knob 740 rotates the upper kneading roll 720 and the upper kneading roll 720,

어퍼회전롤러(710)는 전면바디(210)와 중간바디(230) 사이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로터리노브(740)의 회전에 의해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어퍼회전롤러(710)의 중앙에는 구동풀리(711)가 구비되고 그 양측에는 어퍼스프로킷(712)이 구비되어 봉합사필름(100)의 스프로킷홀(112)에 맞물린다.The upper rotating roller 71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upper part between the front body 210 and the middle body 230 and generates a driving force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knob 740. A drive pulley 711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rotating roller 710 and an upper sprocket 712 is provided on both sides thereof to engage with the sprocket holes 112 of the suture film 100.

로워회전롤러(720)는 전면바디(210)와 중간바디(230) 사이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어퍼회전롤러(71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된다. 로워회전롤러(720)의 중앙에는 구동풀리(711)에 벨트(730)로 연결되는 종동풀리(721)가 구비되고 그 양측에는 로워스프로킷(722)이 구비되어 봉합사필름(100)의 스프로킷홀(112)에 맞물린다.The lower rotating roller 720 is rotatably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between the front body 210 and the middle body 230 and is rotated by driving the upper rotating roller 710. A driven pulley 721 connected to the driving pulley 711 by a belt 730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rotating roller 720 and a lower sprocket 722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riven pulley 721 to connect the sprocket holes 112).

로터리노브(7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바디(2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어퍼회전롤러(710)에 결합되어 어퍼회전롤러(710)를 회전시켜서 봉합사필름(100)을 이송시키게 된다.The rotary knob 740 is coupled to the upper rotating roller 710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ront body 210 as shown in FIG. 6 to rotate the upper rotating roller 710 to feed the suture film 100 .

이에 따라, 로터리노브(740)를 어느 한 방향으로 돌리면 어퍼회전롤러(710)가 회전하고, 이 어퍼회전롤러(710)의 구동풀리(711)에 벨트(730)로 연결된 종돌풀리(721)가 작동되어 로워회전롤러(720)를 돌리게 되므로, 봉합사필름(100)은 어퍼스프로킷(712)과 로워스프로킷(722)에 맞물리는 스프로킷홀(112)에 의해 원하는 위치에 이송되는 것이다.Thus, when the rotary knob 740 is rotated in either direction, the upper rotating roller 710 rotates, and the even-numbered pulley 721 connected to the driving pulley 711 of the upper rotating roller 710 by the belt 730 The suture film 100 is transported to a desired position by the sprocket holes 112 engaged with the upper sprocket 712 and the lower sprocket 722. [

또한, 필름푸셔(420)의 하강에 의해 봉합사필름(100)이 이송될 때, 어퍼스프로킷(712)과 로워스프로킷(722)이 봉합사필름(100)의 스프로킷홀(112)에 맞물려서 회전하므로, 봉합사필름(100)은 좌우로 유동되지 않고 안전하게 이송된다.When the suture film 100 is fed by the lowering of the film pusher 420, since the upper sprocket 712 and the lower sprocket 722 are engaged with the sprocket holes 112 of the suture film 100 and rotate, The film 100 is transported safely without flowing sideways.

다른 한편, 본 발명은 환부(1)의 절개된 부위(10)를 잡는 환부캐치부재(800)를 더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foreign-body catch member 800 for holding the incised region 10 of the foreign-matter part 1.

이러한 환부캐치부재(1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바디(210)의 하부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환부(1)의 절개된 부위(10) 표면을 지지하는 캐치바서포트(225), 캐치바서포트(225)에 지지된 환부(1)의 절개된 부위(10) 내면을 잡는 커브로드(812)가 구비되어 전면바디(210)의 캐치바레일(211)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캐치바(810), 캐치바(810)를 탄성적으로 복원시키는 캐치바 복원부재(820)를 포함한다.10 and 11, the foreign-matter catch holder 10 includes a catch bar support (not shown)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body 210 to support the surface of the incised portion 10 of the foreign- And a curved rod 812 for catching the inner surface of the incised portion 10 of the annular portion 1 supported by the catch bar support 225 to be movable up and down along the catch barrel 211 of the front body 210 And a catch bar restoring member 820 for resiliently restoring the catch bar 810.

캐치바서포트(225)는 전면바디(210)의 하부에 소정의 곡률로 만곡된 곡면을 이루도록 돌출되게 형성되어 환부(1)의 절개된 부위(10) 표면(11)을 지지한다.The catch bar support 225 protrudes at a lower portion of the front body 210 to form a curved surface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to support the surface 11 of the incised portion 10 of the annular portion 1.

캐치바(81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가 둥근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면바디(210)의 양측에 형성된 캐치바레일(211)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되게 캐치바손잡이(814)가 구비되어 손으로 편리하게 누를 수 있으며, 하부에는 캐치바서포트(225)의 곡면에 부합되도록 만곡된 커브로드(812)가 구비되어 환부(1)의 절개된 부위(10) 내면(12)을 지지한다. 여기서, 캐치바(8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둘레가 둥근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에 따라 캐치바레일(211)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절개된 환부(1)의 다양한 모양에 따라 적절히 회전 및 승강시킬 수 있다.10, the catch bar 810 is formed in a round rod shape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along the catch barrel 211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body 210, And a curved rod 812 bent to fit the curved surface of the catch bar support 225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utter bar support 812. The cut portion 812 of the cut- ) Supporting the inner surface (12). As described above, the catch bar 8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ound rod, and thus the catch bar 810 can be rotated in the lateral direction about the catch barrel 211, And can be appropriately rotated and lifted and lowered.

캐치바 복원부재(820)는 하강된 캐치바(810)를 탄성적으로 복원시키는 부재로서, 이러한 캐치바 복원부재(82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치바(810)의 상부 외경에 결합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현되어 캐치바레일에 형성된 캐치바 스프링홈(211a)에 수용되며, 이때 코일스프링의 상단은 캐치바(810)의 상부에 결합된 스냅링(830)에 의해 고정된다. 선택적으로, 캐치바 복원부재(820)는 하강된 캐치바(810)를 탄성적으로 복원시킬 수 있는 판스프링 따위로 구현될 수 있다.The catch bar restoring member 820 is a member for resiliently restoring the lowered catch bar 810. The catch bar restoring member 820 is coupled to the upper outer diameter of the catch bar 810, And the upper end of the coil spring is fixed by a snap ring 83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tch bar 810. The catch bar spring groove 211a is formed in the catch barrel. Alternatively, the catch bar restoring member 820 may be embodied as a leaf spring capable of resiliently restoring the lowered catch bar 810.

이에 따라, 캐치바손잡이(814)를 잡아 누르면서 캐치바(810)가 하강되어 캐치바서포트와(225)의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는데, 이때 환부(1)의 절개된 부위(10) 사이로 커브로드(812)를 넣어 내면(12)을 받치고 캐치바서포트(225)로 환부(1)의 절개된 부위(10) 표면(11)을 누른 상태에서 캐치바손잡이(812)에서 손을 떼면, 캐치바 복원부재(820)에 의해 캐치바(810)가 탄성적으로 상승되어 환부(1)의 절개된 부위(10)는 견고히 캐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얇은 조직의 특성으로 인해 환부(1)의 절개된 부위(10)가 흐물거리지 않도록 유지하여 봉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catch bar 810 is lowered while holding the catch bar knob 814, so that a gap is formed between the catch bar support 225 and the cut bar support 810. At this time, When the catch bar handle 812 is released while the inner surface 12 of the incised portion 10 of the affected part 1 is pressed by the catch bar support 225 by supporting the inner surface 12 by inserting the catch bar 812, The catching bar 810 is elastically lifted by the restoring member 820 so that the incised portion 10 of the affected portion 1 is held in a firmly caught state. The incised portion 10 can be kept from flowing so as to facilitate suturing.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overall opera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construct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환부캐치부재(800)로 환부(1)의 절개된 부위(10)를 잡아서 흐물거리지 않도록 긴장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앞서 환부캐치부재(800)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캐치바(810)를 눌러 환부(1)의 절개된 부위(10) 내면(12)을 받치고 캐치바서포트(225)로 환부(1)의 절개된 부위(10) 표면(11)을 눌러서 환부(1)의 절개된 부위(10)를 견고히 잡으며, 이로 인해 환부(1)의 절개된 부위(10)를 당겨서 봉합하기에 적절한 긴장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First, the incised portion 10 of the affected part 1 can be held by the affected part catch member 800 so as to maintain tension so as not to be disturbed. The catch bar 810 is pressed so as to support the inner surface 12 of the incised portion 10 of the affected part 1 and is returned to the catch bar support 225 as described above in the structure and action of the affected part catch member 800. [ (10) of the incised portion (10) of the affected area (1) to securely hold the incised portion (10) of the affected portion (1) and thereby to pull the incised portion (10) The tension can be maintained.

이어서, 구동부재(400)에 의해 봉합사필름(100)을 이송시키면서 봉합바늘(470)을 작동시켜서 환부(1)를 꿰매는 과정을 설명한다.Next, a process of sewing the affected part 1 by operating the sewing needle 470 while feeding the suture film 100 by the driving member 400 will be described.

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푸시바(410)를 눌러서 하강시키면 랙(411)에 맞물리는 구동피니언(430)이 회전되고, 이 구동피니언(430)에 벨트(440)로 연결된 종동피니언(450)이 회전되어 도 12의 (a)와 같이 바늘샤프트(460)와 봉합바늘(470)이 동시에 회전되는데, 이때 푸시바(410)의 일측에 구비된 필름푸셔(420)도 동시에 하강되면서 봉합사필름(100)의 상단부를 아래로 밀어 가이드슬릿(231)을 따라 이송시킨다.When the push bar 410 is pressed down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4, the drive pinion 430 engaged with the rack 411 is rotated and the driven pinion 450 connected to the drive pinion 430 by the belt 440 is rotated 12 (a), the needle shaft 460 and the suturing needle 470 are rotated at the same time. At this time, the film pusher 420 provided at one side of the push bar 410 is simultaneously lowered and the suture filament 100 ) Is moved down along the guide slit (231).

그리고 도 12의 (b)와 같이 캐치바서포트(225)를 환부(1)의 표면에 접촉시키거나 근접시킨 상태에서 푸시바(410)를 눌러서 하강시키면 봉합바늘(470)이 회전되어 봉합사(120)의 견인부(122)를 견인하기 시작하고, 봉합바늘(470)의 견인홈(474)은 도 12의 (b) 좌측에 일점쇄선 원으로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사(120)의 견인매듭(123)에 걸려서 빠지지 않고 견인하는데, 이때 필름푸셔(420)는 푸시바(410)와 동시에 하강되어 봉합사필름(120)을 이송시키며, 이후에서도 필름푸셔(420)는 푸시바(410)와 동시에 하강하여 봉합사필름(120)을 계속 이송시키게 된다.12 (b), when the push bar 410 is pressed and lowered in a state in which the catch bar support 225 is in contact with or close to the surface of the annular portion 1, the suture needle 470 is rotated, And the pulling groove 474 of the suture needle 470 begins to pull the pulling portion 122 of the suture 120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the one-dot chain line on the left side of Figure 12 (b) The film pusher 420 descends at the same time as the push bar 410 to transport the suture film 120 and the film pusher 420 moves downward simultaneously with the push bar 410 So that the suture film 120 is continuously transported.

계속해서, 푸시바(410)를 더 누르면 도 12의 (c)와 같이 봉합사(120)의 견인부(122)를 견인한 봉합바늘(470)이 연결부(124)와 함께 환부(1)를 관통한 후, 도 12의 (d)와 같이 루프부(126)를 지나게 된다.12 (c), the sewing needle 470 pulling the pulling portion 122 of the suture 120 is pushed through the ring portion 1 together with the connecting portion 124. Then, And then passes through the loop unit 126 as shown in FIG. 12 (d).

다음, 홀딩바(510)를 아래로 누르면 홀드서포트(226)와 홀더(52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으로 봉합사(120)의 루프부(126)를 관통한 견인부(122)가 배치될 때, 홀딩바(510)에서 손을 떼면 홀딩바 복원부재(530)의 탄성에 의해 홀딩바(510)는 상승하여 도 12의 (e)와 같이 봉합사(120)의 견인부(122)를 견고히 잡게 되므로, 견인부(122)를 당겨서 매듭을 형성하게 된다.Next, when the holding bar 510 is pushed downward,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holder support 226 and the holder 520, and a pulling portion 122 passing through the loop portion 126 of the suture thread 120 is formed The holding bar 510 is lifted by the elasticity of the holding bar restoring member 530 so that the pulling portion 122 of the suture thread 120 is lifted up as shown in Figure 12E, The pulling portion 122 is pulled to form a knot.

이와 같이 매듭을 맺은 봉합사(120)는 커팅부재(600), 즉 도 12의 (e)와 같이 커팅바(610)를 눌러서 하강하는 커터(620)에 의해 커팅되어 봉합을 마감하게 된다.The knotted suture 120 is cut by the cutting member 600, that is, the cutter 620 descending by pressing the cutting bar 610 as shown in (e) of FIG. 12, and the suture is closed.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 환부 10 : 절개된 부위
100 : 봉합사필름 110 : 베이스필름
120 : 봉합사 122 : 견인부
126 : 루프부 200 : 바디
210 : 전면바디 225 : 캐치바서포트
230 : 중간바디 231 : 가이드슬릿
250 : 후면바디 300 : 케이스
310 : 커버 400 : 구동부재
410 : 푸시바 420 : 필름푸셔
460 : 바늘샤프트 470 : 봉합바늘
500 : 홀딩부재 510 : 홀딩바
520 : 홀더 530 : 홀딩바 복원부재
600 : 커팅부재 610 : 커팅바
620 : 커터 630 : 커팅바 복원부재
700 : 필름이송부재 710 : 어퍼회전롤러
712 : 어퍼스프로킷 720 : 로워회전롤러
722 : 로워스프로킷 740 : 로터리노브
800 : 환부캐치부재 810 : 캐치바
812 : 커브로드 820 : 캐치바 복원부재
1: lesion 10: incision site
100: suture film 110: base film
120: suture 122: pulling part
126: Loop part 200: Body
210: Front body 225: Catch bar support
230: intermediate body 231: guide slit
250: Rear body 300: Case
310: cover 400: driving member
410: push bar 420: film pusher
460: Needle shaft 470: Suturing needle
500: holding member 510: holding bar
520: holder 530: holding bar restoring member
600: cutting member 610: cutting bar
620: Cutter 630: Cutting bar restoring member
700: Film feeding member 710: Upper rotating roller
712: Upper sprocket 720: Lower roller
722: Lower sprocket 740: Rotary knob
800: a return catch member 810: a catch bar
812: Curve rod 820: Catch bar restoring member

Claims (11)

견인부 및 루프부를 포함하는 봉합사가 분리가능하게 부착된 봉합사필름,
상기 봉합사필름의 이송을 안내하도록 가이드슬릿을 갖는 바디,
상기 바디의 가이드슬릿을 따라 이송하는 상기 봉합사필름의 봉합사 견인부를 견인하여 환부를 지나 상기 루프부를 관통하도록 회전하는 봉합바늘,
상기 봉합바늘의 회전 및 상기 봉합사필름의 이송을 겸하는 구동부재,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상기 봉합사의 루프부를 관통한 견인부를 잡아서 매듭을 맺는 홀딩부재를 포함하는 봉합기.
A suture film to which a suture including a pull portion and a loop portion is detachably attached,
A body having a guide slit for guiding the transport of the suture film,
A suture needle for pulling a suture thread pulling portion of the suture film to be fed along the guide slit of the body and rotating to pass through the loop portion and penetrate the loop portion,
A driving member which also rotates the suture needle and feeds the suture film,
And a holding member for holding a pulling portion penetrating through the loop portion of the suture by the driving member and knotting the pulling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봉합사필름을 상기 가이드슬릿으로 이송시키는 필름푸셔 및 랙이 구비되어 상기 바디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푸시바,
상기 푸시바의 랙에 맞물리는 구동피니언,
상기 구동피니언에 벨트로 연결되는 종동피니언이 구비되어 봉합바늘을 회전시키는 바늘샤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iving member comprises:
A push bar provided on the body and movable up and down, a film pusher and a rack for feeding the suture film to the guide slit,
A drive pinion engaged with the rack of the push bar,
And a needle shaft having a driven pinion connected to the driving pinion by a belt to rotate the sewing needl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푸시바에는 상기 구동피니언에 단속되도록 스토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기.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ush bar is provided with a stopper to be interrupted by the driving pin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재는,
상기 루프부를 관통한 봉합사의 어느 한 부분을 지지하도록 바디에 형성된 홀딩바서포트,
상기 홀딩바서포트에 지지된 봉합사를 잡아서 매듭을 맺는 홀더,
상기 홀더를 승강시키도록 바디에 설치된 홀딩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lding member comprises:
A holding bar support formed on the body to support any part of the suture passing through the loop,
A holder for holding a knot held by the holding bar support,
And a holding bar provided on the body to move the holder up and dow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재는 상기 홀딩바를 탄성적으로 복원시키도록 바디에 설치된 홀딩바 복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holding member includes a holding bar restoring member provided on the body for resiliently restoring the holding ba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봉합바늘은,
상기 바디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늘액슬,
상기 바늘액슬에 직교로 연결되는 바늘연결부,
상기 바늘연결부에 연결되어 봉합사를 견인하여 환부를 꿰매는 바늘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늘부의 선단에는 봉합사를 견인하도록 견인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turing needle
A needle axle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A needle connection portion orthogonally connected to the needle axle,
And a needle part connected to the needle connection part to pull the suture thread to sew the affected part,
And a pulling groove is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needle portion to pull the su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슬릿은,
상기 바디의 양측에 형성된 직선형의 선형 가이드슬릿,
상기 양측 선형 가이드슬릿의 하단부를 만곡되게 연결하는 만곡 가이드슬릿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slit
A linear linear guide slit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And a curved guide slit that connects the lower ends of the two side linear guide slits in a curved manner.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한 선형 가이드슬릿의 상단부에는 봉합사필름의 진입을 안내하도록 진입 가이드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기.
The method of claim 7,
And an entry guide slit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any one of the linear guide slits so as to guide entry of the suture fil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부의 절개된 부위를 잡는 환부캐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oreign body catch member for holding an incised portion of the foreign body portion.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환부캐치부재는,
상기 환부의 절개된 부위 표면을 지지하도록 바디에 구비된 캐치바서포트,
상기 캐치바서포트에 지지된 환부의 절개된 부위 내면을 잡는 커브로드,
상기 커브로드를 작동시키도록 바디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캐치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기.
The method of claim 9,
The affected part catch member
A catch bar support provided on the body to support the incised site surface of the affected part,
A curved rod for holding an inner surface of an incised portion of the affected portion supported by the catch bar support,
And a catch bar provided on the body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so as to operate the curve rod.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환부캐치부재는 상기 캐치바를 탄성적으로 복원시키도록 바디에 설치된 캐치바 복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기.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affected part catch member includes a catch bar restoring member mounted on the body for resiliently restoring the catch bar.
KR1020170051721A 2017-04-21 2017-04-21 A suturing device for surgical KR2018011841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721A KR20180118419A (en) 2017-04-21 2017-04-21 A suturing device for surgic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721A KR20180118419A (en) 2017-04-21 2017-04-21 A suturing device for surgic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419A true KR20180118419A (en) 2018-10-31

Family

ID=64099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721A KR20180118419A (en) 2017-04-21 2017-04-21 A suturing device for surgic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841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53415A (en) * 2022-04-18 2022-08-30 江苏吉福新材料股份有限公司 Building decorative panel tectorial membrane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53415A (en) * 2022-04-18 2022-08-30 江苏吉福新材料股份有限公司 Building decorative panel tectorial membrane device
CN114953415B (en) * 2022-04-18 2023-02-10 江苏吉福新材料股份有限公司 Building decorative panel tectorial membran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64676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securing tissue
US4747358A (en) Surgical suturing machine
US9034013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securing tissue using a suture having one or more protrusions
JP3944243B2 (en) Suture system
US8603112B2 (en) Suturing assembly and method
US6585744B1 (en) Surgical sewing device
CA2935477C (en) Devices and methods for advancing knots
WO2005018467A2 (en) Suturing device
US8307978B2 (en) Knotless endostitch package
KR20140022903A (en) Advance suture passer
JPH09507421A (en) Suturing device having suture adjusting means
TWI525232B (en) Sewing machine for gas handling threading device
WO2006077883A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tampon for physiology
US6585300B1 (en) Apparatus for applying string to tampon pledgets
US20200109501A1 (en) Fly Edgestitching Apparatus
US109597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ture knot forming
KR101541507B1 (en) suturing device
KR20180118419A (en) A suturing device for surgical
KR20180118416A (en) A suturing device for surgical
KR20180118420A (en) A suturing device for surgical
KR20180118418A (en) A suturing device for surgical
KR20180118423A (en) A suturing device for surgical
KR20180118424A (en) A suturing device for surgical
KR20180118421A (en) A suturing device for surgical
KR20180118425A (en) A suturing device for surgic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