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8264A - 전원케이블이 수납되는 보조 배터리 - Google Patents

전원케이블이 수납되는 보조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8264A
KR20180118264A KR1020170051332A KR20170051332A KR20180118264A KR 20180118264 A KR20180118264 A KR 20180118264A KR 1020170051332 A KR1020170051332 A KR 1020170051332A KR 20170051332 A KR20170051332 A KR 20170051332A KR 20180118264 A KR20180118264 A KR 20180118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able
cover
main body
power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움
Priority to KR1020170051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8264A/ko
Publication of KR20180118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82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2/1022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2Interior fittings; Means, e.g. inserts, for holding and packing 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공간을 가지는 본체에 개폐 가능한 커버가 마련되고, 입력부와 출력부가 각각 마련되는 케이스;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에 의해 충전되며, 상기 출력부를 통해서 외부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충전지;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커버의 개폐를 허용하도록 마련되는 록킹부; 및 상기 커버의 내측에 상기 충전지에 충전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거나, 상기 충전지로부터 외부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원케이블을 수납하도록 마련되는 수납부;를 포함하도록 한 전원케이블이 수납되는 보조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케이블이 내측에 편리하면서도 용이하게 수납되도록 함으로써, 전원케이블의 별도 휴대 및 보관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분리형 전원케이블의 도입으로 인해 전원케이블의 손상으로 인한 수리 및 교체에 소요되는 비용과 노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배터리가 내측에 수용되는 구조로 인해 외부 요인으로부터 배터리를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원케이블이 수납되는 보조 배터리{Supplementary battery for containing power cable}
본 발명은 전원케이블이 수납되는 보조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케이블이 내측에 편리하면서도 용이하게 수납되도록 함으로써, 전원케이블의 별도 휴대 및 보관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케이블이 수납되는 보조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통신 및 전자 산업의 발달로 인해, 휴대폰이나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 뿐만 아니라, 노트북, 디지털카메라, MP3 플레이어, 전자수첩 등과 같은 제품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휴대용 전자제품은 별도의 외부 전원을 공급받지 않아도 자체 충전지에 의해 작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충전지의 용량 한계로 인해서 전원이 부족한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보조 배터리의 빈번한 사용을 필요로 하고 있다.
종래의 보조 배터리와 관련된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39130호의 "휴대용 단말기의 보조 배터리"가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배면에 전원단자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보조 배터리에 있어서, 상기 전원단자에 접속되는 접속단자를 구비하며 바닥면에 공기구멍이 뚫려져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케이스와, 상기 바닥면에 안치되어 상기 접속단자에 연결되는 아연공기전지와, 상기 케이스에 씌워지며 상부면에 에어홀이 뚫려진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휴대용 단말기 등에 대한 전원 공급을 위해서 전원케이블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데, 이러한 전원케이블을 별도로 휴대 및 보관하게 됨으로써, 전원케이블의 사용에 불편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심지어는 파손이나 분실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원케이블이 일체를 이루도록 연결되는 보조 배터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 경우, 전원케이블이나 이의 연결부분에 대한 손상이나 파손 발생시, 보조 배터리 전체에 대한 수리나 교체를 요구하게 됨으로써 비경제적이라는 다른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원케이블의 수납이 편리하면서도 용이하도록 하여, 전원케이블의 휴대 및 보관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하고, 전원케이블의 손상으로 인한 수리 및 교체에 소요되는 비용과 노력을 최소화하며, 외부 요인으로부터 배터리를 보호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내부공간을 가지는 본체에 개폐 가능한 커버가 마련되고, 입력부와 출력부가 각각 마련되는 케이스;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에 의해 충전되며, 상기 출력부를 통해서 외부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충전지;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커버의 개폐를 허용하도록 마련되는 록킹부; 및 상기 커버의 내측에 상기 충전지에 충전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거나, 상기 충전지로부터 외부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원케이블을 수납하도록 마련되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전원케이블이 수납되는 보조 배터리가 제공된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 각각의 테두리부재가 일측부끼리 서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의 타측부가 상기 록킹부에 의해 록킹 또는 록킹해제될 수 있다.
상기 록킹부는,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 중 어느 하나에 다른 하나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걸림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록킹돌기; 및 상기 본체에 상기 커버가 닫히는 경우 상기 록킹돌기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도록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 중 다른 하나에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록킹돌기에 의해 회전시 상기 록킹돌기와의 이탈을 억제하도록 상기 록킹돌기가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록킹돌기가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되도록 누름에 의해 회전되기 위해 외측면에 누름돌기가 형성되는 록킹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부는, 상기 커버에 상기 전원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를 향하여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수용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전원케이블의 이탈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수용공간의 일부가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부는, 상기 커버에 상기 전원케이블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전원케이블이 삽입되는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납부는, 상기 커버에 상기 전원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를 향하여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수용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에 상기 전원케이블이 끼워지도록 마련되는 끼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부는, 상기 커버에 상기 전원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를 향하여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수용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케이블이 수납되는 보조 배터리에 의하면, 전원케이블이 내측에 편리하면서도 용이하게 수납되도록 함으로써, 전원케이블의 별도 휴대 및 보관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분리형 전원케이블의 도입으로 인해 전원케이블의 손상으로 인한 수리 및 교체에 소요되는 비용과 노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배터리가 내측에 수용되는 구조로 인해 외부 요인으로부터 배터리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전원케이블이 수납되는 보조 배터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전원케이블이 수납되는 보조 배터리를 개방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전원케이블이 수납되는 보조 배터리의 상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전원케이블이 수납되는 보조 배터리에서 록킹부의 록킹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전원케이블이 수납되는 보조 배터리에서 록킹부의 록킹 해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전원케이블이 수납되는 보조 배터리의 수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따른 전원케이블이 수납되는 보조 배터리의 수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례에 따른 전원케이블이 수납되는 보조 배터리의 수납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전원케이블이 수납되는 보조 배터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전원케이블이 수납되는 보조 배터리를 개방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전원케이블이 수납되는 보조 배터리의 상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전원케이블이 수납되는 보조 배터리(100)는 케이스(110), 충전지(120), 록킹부(130; 도 4에 도시) 및 수납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본체(111)에 개폐 가능한 커버(112)가 마련되고, 입력부(113)와 출력부(114)가 각각 마련된다. 본체(111)와 커버(112)는 합성수지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이나 금속 합금 등으로 제작될 수 있고, 본체(111)와 커버(112) 각각의 테두리에 마련된 테두리부재(111a,112a)가 일측부끼리 서로 연결됨으로써 커버(112)가 본체(111)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본체(111)와 커버(112)의 타측부가 록킹부(130)에 의해 록킹 또는 록킹해제될 수 있다. 본체(111)와 커버(112) 각각의 테두리부재(111a,112a)는 일측부끼리 제조 과정에서 일체를 이루도록 연결되거나, 별개로 제작되어 힌지부재를 사용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입력부(113)는 본 실시례에서 마이크로 5핀 커넥터(113a), 라이트닝 8핀 커넥터(113b) 및 USB - C 커넥터(113c) 각각이 마련됨을 나타내었으며, 각각이 충전지(120)의 충전을 위해 사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는 이들 중 원하는 방식의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밖에도 본 실시례와 달리, 마이크로 5핀 커넥터(113a), 라이트닝 8핀 커넥터(113b) 및 USB - C 커넥터(113c) 중 일부가 단일 또는 다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 밖에도 다양한 방식의 충전을 위한 커넥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14)는 USB 커넥터를 비롯하여 다양한 방식의 전원 출력을 위한 커넥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단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하지 않고 충전지(120)의 용량에 따라 동시에 충전하기 위한 외부 기기의 대수에 상응하도록 다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충전지(120)는 본체(111)의 내부공간에 끼움이나 접착 방식 또는 고정부재 등을 사용하여 장착될 수 있고, 입력부(113)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에 의해 충전되며, 출력부(114)를 통해서 외부 기기, 예컨대 휴대폰이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 뿐만 아니라, 노트북, 디지털카메라, MP3 플레이어, 전자수첩 등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록킹부(130)는 본체(111)로부터 커버(112)의 개폐를 허용하도록 마련된다. 록킹부(130)는 본체(111)와 커버(112)의 개폐 허용 및 제한을 위하여, 후크나 스냅단추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록킹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일례로 본 실시례에서처럼 록킹돌기(131) 및 록킹레버(132)를 포함할 수 있다. 록킹돌기(131)는 본체(111)와 커버(112) 중 어느 하나, 예컨대 커버(112)에 다른 하나, 예컨대 본체(111)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걸림이 가능하도록 단부에 턱이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록킹레버(132)는 본체(111)에 커버(112)가 닫히는 경우 록킹돌기(131)에 의해 가압되어 예컨대 "B"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본체(111)와 커버(112) 중 다른 하나, 예컨대 본체(111)에 회전축(132a)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록킹돌기(131)에 의해 회전시 록킹돌기(131)와의 이탈을 억제하도록 록킹돌기(131)가 걸리는 걸림홈(132b)이 형성될 수 있으며, 록킹돌기(131)가 걸림홈(132b)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예컨대 "C" 방향으로 누름에 의해 예컨대 "D" 방향으로 회전되기 위해 외측면에 누름돌기(132c)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수납부(140)는 커버(112)의 내측에 충전지(120)에 충전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거나, 충전지(120)로부터 외부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원케이블(10)을 수납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전원케이블(10)은 일례로 전원이 공급되는 측, 예컨대 출력부(114)에 연결되기 위한 제 1 커넥터(11)와, 외부기기의 커넥터에 접속되어 전원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 2 커넥터(12)가 양단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커넥터(11)는 출력부(114)의 커넥터 방식에 상응하는 커넥터, 예컨대 USB 커넥터를 비롯하여, 다양한 방식의 커넥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 2 커넥터(12)는 외부 기기의 커넥터 방식에 상응하는 커넥터, 예컨대 마이크로 5핀 커넥터, 라이트닝 8핀 커넥터 또는 USB - C 커넥터를 비롯하여, 다양한 방식의 커넥터가 사용될 수 있다.
수납부(140)는 일례로 커버(112)에 전원케이블(10)을 수용하기 위하여 본체(111)를 향하여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수용공간(141)과, 수용공간(141)으로부터 전원케이블(10)의 이탈을 억제하기 위해 수용공간(141)의 일부가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네트(net; 14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원케이블(10)은 네트(142)에 의해 이탈이 억제되도록 수용공간(141) 내에 수용되고, 필요시 네트(142)에 의해 일부, 예컨대 상부가 개방되는 측을 통해서 인출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예에 따른 수납부(240)는 커버(212)에 전원케이블(10)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전원케이블(10)이 삽입되는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홈으로 이루어지는 수납부(240)는 전원케이블(10)의 형태 뿐만 아니라, 제 1 및 제 2 커넥터(11,12)가 각각 수납되기 되기 위한 홈을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전원케이블(10)은 수납부(240)에 끼워진 상태로 수납되고, 필요시 수납부(240)로부터 빼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또 다른 예에 따른 수납부(340)는 커버(312)에 전원케이블(10)을 수용하기 위하여 본체를 향하여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수용공간(341)과, 수용공간(341)의 내측에 전원케이블(10)이 끼워지도록 마련되는 끼움돌기(34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끼움돌기(342)는 전원케이블(10)의 양측을 각각 지지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각의 사이에 전원케이블(10)이 끼워질 수 있으며, 본 실시례에서처럼 다수의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또 다른 예에 따른 수납부(440)는 커버(412)에 전원케이블(10)을 수용하기 위하여 본체를 향하여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수용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케이블이 수납되는 보조 배터리에 따르면, 전원케이블이 내측에 편리하면서도 용이하게 수납되도록 함으로써, 전원케이블의 별도 휴대 및 보관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분리형 전원케이블의 도입으로 인해 전원케이블의 손상으로 인한 수리 및 교체에 소요되는 비용과 노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배터리가 내측에 수용되는 구조로 인해 외부 요인으로부터 배터리를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전원케이블 11 : 제 1 커넥터
12 : 제 2 커넥터 110 : 케이스
111 : 본체 111a : 테두리부재
111b : 수용홈 112,212,312,412 : 커버
112a : 테두리부재 113 : 입력부
114 : 출력부 120 : 충전지
130 : 록킹부 131 : 록킹돌기
132 : 록킹레버 132a : 회전축
132b : 걸림홈 132c : 누름돌기
140,240,340,440 : 수납부 141,341 : 수용공간
142 : 네트 342 : 끼움돌기

Claims (7)

  1. 내부공간을 가지는 본체에 개폐 가능한 커버가 마련되고, 입력부와 출력부가 각각 마련되는 케이스;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에 의해 충전되며, 상기 출력부를 통해서 외부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충전지;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커버의 개폐를 허용하도록 마련되는 록킹부; 및
    상기 커버의 내측에 상기 충전지에 충전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거나, 상기 충전지로부터 외부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원케이블을 수납하도록 마련되는 수납부;
    를 포함하는, 전원케이블이 수납되는 보조 배터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 각각의 테두리부재가 일측부끼리 서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로부터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의 타측부가 상기 록킹부에 의해 록킹 또는 록킹해제되는, 전원케이블이 수납되는 보조 배터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 중 어느 하나에 다른 하나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마련되고, 걸림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록킹돌기; 및
    상기 본체에 상기 커버가 닫히는 경우 상기 록킹돌기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도록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 중 다른 하나에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록킹돌기에 의해 회전시 상기 록킹돌기와의 이탈을 억제하도록 상기 록킹돌기가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록킹돌기가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되도록 누름에 의해 회전되기 위해 외측면에 누름돌기가 형성되는 록킹레버;
    를 포함하는, 전원케이블이 수납되는 보조 배터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커버에 상기 전원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를 향하여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수용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전원케이블의 이탈을 억제하기 위해 상기 수용공간의 일부가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네트;
    를 포함하는, 전원케이블이 수납되는 보조 배터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커버에 상기 전원케이블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전원케이블이 삽입되는 홈으로 이루어지는, 전원케이블이 수납되는 보조 배터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커버에 상기 전원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를 향하여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수용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에 상기 전원케이블이 끼워지도록 마련되는 끼움돌기;
    를 포함하는, 전원케이블이 수납되는 보조 배터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커버에 상기 전원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를 향하여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수용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전원케이블이 수납되는 보조 배터리.
KR1020170051332A 2017-04-21 2017-04-21 전원케이블이 수납되는 보조 배터리 KR201801182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332A KR20180118264A (ko) 2017-04-21 2017-04-21 전원케이블이 수납되는 보조 배터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332A KR20180118264A (ko) 2017-04-21 2017-04-21 전원케이블이 수납되는 보조 배터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264A true KR20180118264A (ko) 2018-10-31

Family

ID=64099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332A KR20180118264A (ko) 2017-04-21 2017-04-21 전원케이블이 수납되는 보조 배터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82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2583B1 (ko) * 2021-01-12 2022-04-2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조합 블록 신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2583B1 (ko) * 2021-01-12 2022-04-2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조합 블록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7645B2 (en) Latching mechanism for battery cover assembly
US6496685B2 (en) Portable phone with imbedded battery
US7300314B2 (en) Socket for trans-flash memory card
US7738247B2 (en) Removable and replaceable docking unit
US20120211626A1 (en) Holder for electronic device
US20160066453A1 (en) Electronic device case having a kickstand with a removable charger cable
US20090314400A1 (en) Protective Cover With Power Supply Uni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0692837A1 (en) Charger for battery pack
US8263257B2 (en) Removable handle for industrial battery
KR101839146B1 (ko) 커버 부재 결합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배터리 커버 결합 구조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EP2999198B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detachable battery pack
US20090258286A1 (en) Modular battery pack and computer and familly of computers having a modular battery pack
US20100119925A1 (en) Battery cover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80118264A (ko) 전원케이블이 수납되는 보조 배터리
US6460947B1 (en) Interchangable battery pack for a portable computer
CN108683430B (zh) 卡托、插卡装置及电子设备
CN207743719U (zh) 一种手机充电背夹及充电电池
US20060152193A1 (en) Rechargeable back-up battery pack
KR100498956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금속성 커버 로킹 장치
KR102146238B1 (ko) 유에스비 케이블 장착구 및 이를 구비하는 가방
JP2009246454A (ja) 接続機器
US20130344366A1 (en) Battery cover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KR100890300B1 (ko) 배터리 일체형 휴대폰
KR102028687B1 (ko) 전자기기용 커버의 결합구조
KR20160062633A (ko) 휴대단말기용 배터리 장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