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7852A - 풍량 증가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풍량 증가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7852A
KR20180117852A KR1020170050897A KR20170050897A KR20180117852A KR 20180117852 A KR20180117852 A KR 20180117852A KR 1020170050897 A KR1020170050897 A KR 1020170050897A KR 20170050897 A KR20170050897 A KR 20170050897A KR 20180117852 A KR20180117852 A KR 20180117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ata center
indoor space
internet data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윈드앰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윈드앰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윈드앰프
Priority to KR1020170050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7852A/ko
Publication of KR20180117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8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7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server racks or cabinets; for data centers, e.g. 19-inch computer racks
    • H05K7/20718Forced ventilation of a gaseous coolant
    • H05K7/20745Forced ventilation of a gaseous coolant within rooms for removing heat from cabinets, e.g. by air conditioning devi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209Thermal management, e.g. fan contro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7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server racks or cabinets; for data centers, e.g. 19-inch computer racks
    • H05K7/20754Air circulating in closed loop within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실내 공간의 전체적인 냉각 온도 분포를 고르게 유지할 수 있으며, 유량 증가 및 소음 감소가 가능한 풍량 증가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풍량 증가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은, 인터넷 데이터 센터 실내공간의 공기를 유입하여 열교환시키는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와 연결되고 상기 인터넷 데이터 센터 실내 공간 바닥에 설치되는 덕트와, 상기 덕트와 연결되어 냉각기의 열교환된 냉각공기를 상기 인터넷 데이터 센터 내부로 공급하는 송풍부와,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길이를 갖는 축 외주연에 복수개의 블레이드가 장착되는 회전수단으로 구성하되, 상기 송풍부는 상호 마주보게 설치되어 역회전하는 한 쌍의 상기 회전수단의 구동에 의해 냉각공기가 상기 회전수단의 사이 공간으로 유입되고, 상기 회전수단의 회전력에 의해 풍속과 풍량이 향상되어 상기 인터넷 데이터 센터 실내공간으로 냉각공기가 공급되며, 상기 블레이드 외면을 따라 복수의 돌출링부가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풍량 증가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INTERNET DATA CENTER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INCREASED AIR FLOW}
본 발명은 풍량 증가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인터넷 데이터 센터 실내 공간을 냉각시킬 수 있는 풍량 증가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 데이터 센터 내부에 배치되는 서버랙을 냉각하기 위해 공조기로부터 공급되는 냉기를 인터넷 데이터 센터 실내 공간 바닥을 통해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서버랙에서 발상되는 열기는 상부에 배기구를 형성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서버랙 또는 분전반 12이 인터넷 데이터 센터 벽 쪽에 배치되고 이로부터 복수 열의 전산장비 14가 열과 행을 맞추어 인터넷 데이터 센터 실내공간에 배치된다.
벽 측의 분전반으로부터 전력케이블이 각각의 전산장비로 공급되게 되며, 항온항습기 10에서는 냉각 공기를 인터넷 데이터 센터 실내 공간 바닥에 설치된 이중마루 16 하단의 공간으로 불어넣어 주고 냉각 공기는 이중마루 하단에서 이동하면서 이중마루에 형성된 냉각공기 통과공을 통해 상측으로 유도되어 전산장비를 냉각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 운영을 위한 인터넷 데이터 센터 전원공급 장치구조는 공조기를 통해 발생되는 풍량과 풍속을 갖는 냉각공기를 바닥 공간에 설치된 덕트를 통해 흐름시키되. 상기 덕트는 실내 공간의 바닥에 설치된 바닥통기부와 연통되어 덕트를 통해 공기가 흐름되면서 기압이 낮은 실내공간측으로 부분적으로 빠져나간다.
이는, 실내공간측으로의 공기 배출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덕트를 통해 흐름되는 냉각공기의 흐름 방향이 인터넷 데이터 센터 내부공간으로 안내하는 별도의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인터넷 데이터 센터 실내 공간의 냉각 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통해 도 2와 같이, 인터넷 데이터 센터 내부에 복수개의 서버랙이 동일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푸른색은 낮은 온도를, 붉은색은 높은 온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인터넷 데이터 센터 내부의 온도분포가 불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에너지 관리시스템은 공조기로부터 토출되는 냉기가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곳은 서버랙의 냉각에 있어 월등한 효율을 나타내지만, 냉기가 미쳐 다다르지 못하는 곳 즉, 푸른계열로부터 녹색계열을 지나 붉은 계열로 나타나는 중앙부분은 서버랙의 열기가 채 식기 전에 주변에 배치되는 다른 서버랙에서 배출되는 열기와 함께 그 주변 온도가 높아져 냉각 효율이 급격하게 떨어지게 된다.
또한, 복수개의 서버랙이 배치되는 인터넷 데이터 센터 내부에서도 특정 서버에 사용량이 집중되거나, 또는 사용량이 집중되는 특정 서버가 불특정 영역에서 빈번하게 발생되는 경우, 공조기의 냉각 영향권으로부터 벗어난 영역의 서버랙은 냉각효율이 현저히 떨어져 전체적으로 전력 소비가 증가하는 것을 부정할 수 없다.
본 발명은 냉각기를 통해 제공되는 냉각공기를 인터넷 데이터 센터 실내 공간으로 증가된 풍량과 풍속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풍량 증가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기가 공급되는 인터넷 데이터 센터 실내 공간의 공기를 순환시켜 실내 공간의 전체적인 냉각 온도 분포를 고르게 유지할 수 있는 풍량 증가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 데이터 센터 실내 공간의 온도를 감지하여 셋팅 온도에 맞추도록 냉각부와 순환부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풍량 증가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에너지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풍량 증가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풍량 증가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은, 인터넷 데이터 센터 실내공간의 공기를 유입하여 열교환시키는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와 연결되고 상기 인터넷 데이터 센터 실내 공간 바닥에 설치되는 덕트와, 상기 덕트와 연결되어 냉각기의 열교환된 냉각공기를 상기 인터넷 데이터 센터 내부로 공급하는 송풍부와,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길이를 갖는 축 외주연에 복수개의 블레이드가 장착되는 회전수단으로 구성하되, 상기 송풍부는 상호 마주보게 설치되어 역회전하는 한 쌍의 상기 회전수단의 구동에 의해 냉각공기가 상기 회전수단의 사이 공간으로 유입되고, 상기 회전수단의 회전력에 의해 풍속과 풍량이 향상되어 상기 인터넷 데이터 센터 실내공간으로 냉각공기가 공급되며, 상기 블레이드 외면을 따라 복수의 돌출링부가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터넷 데이터 센터 실내 공간 바닥에 순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순환부는 덕트와 연결되지 않고 실내 공간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터넷 데이터 센터 실내 공간 상부에 기류교환부를 더 포함시켜 실내 공간의 더운 상승기류를 냉각기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링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이동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터넷 데이터 센터 실내 공간에 감지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감지수단은 실내공간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감지수단의 온도 값을 인가받은 제어부는 셋팅된 실내 공간의 온도에 맞추어 상기 송풍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풍부는, 인터넷 데이터 센터 실내 공간의 바닥 덕트와 연통되도록 연결공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공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공간에서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호 역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수단의 근접되게 배치되고 만곡된 형상을 갖는 한 쌍의 가이드수단을 마련하여 상기 가이드수단이 덕트로부터 제공되는 냉각공기를 회전수단으로 유입시켜 배출공측으로 흐름을 안내할 때 상기 회전수단에 의해 냉각공기의 풍속을 증가시키면 한 쌍의 가이드수단 사이에 형성된 유입공간측의 공기를 끌어당겨 증가된 풍량으로 배출공에 배출토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순환부는, 서버가 설치된 실내 공간 바닥에 설치되고 상부에 출구와 입구가 각각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공간에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호 역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수단의 근접되게 배치되는 만곡된 형상을 갖는 한 쌍의 가이드수단을 마련하여 상기 회전수단에 의해 실내 공기를 입구를 통해 케이스 내부로 유입시켜 가이드수단을 통해 출구측으로 공기 흐름을 안내할 때 회전수단에 의해 냉각공기의 풍속을 증가시키면 한 쌍의 가이드수단 사이에 형성된 유입공간측의 공기를 끌어당겨 증가된 풍량으로 출구측에 배출토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터넷 데이터 센터 실내 공간에 감지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감지수단은 실내공간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감지수단의 온도 값을 인가받은 제어부는 셋팅된 실내 공간의 온도에 맞추어 상기 순환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송풍부는, 상기 케이스의 배출공 단부에 내부공간으로 수직으로 연장시킨 격벽이 마련되어 배출공 길이를 연장시키고, 상기 가이드수단은 만곡된 곡률의 일측이 배출공 하부 내주연에 향하도록 하고 타측은 연결공측으로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순환부는, 상기 케이스의 출구와 입구의 경계에 격벽이 형성되어 출구와 입구를 각각 구분하되, 상기 격벽은 케이스 내부 공간으로 수직으로 연장시키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수단은 만곡된 곡률의 일측 출구 하부 내주연에 향하도록 하고 타측은 입구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풍량 증가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은, 냉각기를 통해 제공되는 냉각공기를 인터넷 데이터 센터 실내 공간으로 증가된 풍량과 풍속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냉기가 공급되는 인터넷 데이터 센터 실내 공간의 공기를 순환시켜 실내 공간의 전체적인 냉각 온도 분포를 고르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터넷 데이터 센터 실내 공간의 온도를 감지하여 셋팅 온도에 맞추도록 냉각부와 순환부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동일한 에너지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량 증가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의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량 증가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의 송풍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량 증가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의 송풍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량 증가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의 순환부의 단면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량 증가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의 회전수단의 블레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량 증가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의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량 증가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의 송풍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풍량 증가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의 송풍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량 증가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의 순환부의 단면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량 증가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의 블레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3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풍량 증가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 10은 인터넷 데이터 센터 12 실내공간의 공기를 유입하여 열교환시키는 냉각기 500와, 상기 냉각기 500와 연결되고 인터넷 데이터 센터 실내 공간 바닥에 설치되는 덕트 13와, 상기 덕트 13와 연결되어 냉각기 500의 열교환된 냉각공기를 인터넷 데이터 센터 내부로 공급하는 송풍부 100로 구성한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송풍부 100는 실내 공간 바닥에 설치된 덕트 13와 연결되어 상기 덕트 13를 통해 공급되는 냉각공기를 실내공간으로 공급한다.
상기 송풍부 100는 상호 마주보게 설치되어 역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수단 120의 구동에 의해 냉각공기가 회전수단 120의 사이 공간으로 유입되면서 회전수단 120의 회전력에 의해 풍속과 풍량이 향상되는 동시에 냉각공기의 송풍 방향을 전환시켜 인터넷 데이터 센터 12 실내공간으로 냉각공기를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송풍부 100는 케이스 110와, 회전수단 120 및 가이드수단 130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케이스 110는 서버가 설치된 실내 공간의 바닥 덕트 13와 양측면이 연통되도록 연결공 111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공 11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공 111은 케이스 하부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수단 120은 상기 케이스 110 내부공간 113에서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호 역회전하여 풍량 및 풍속을 발생 및 증가시킨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수단 130은 상기 회전수단 120의 근접되게 배치되고 만곡된 형상을 갖고 한 쌍으로 마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송풍부 100는 상기 가이드수단 130이 덕트 13로부터 제공되는 냉각공기를 회전수단 120으로 유입시켜 배출공 112측으로 흐름을 안내할 때 상기 회전수단 120에 의해 냉각공기의 풍속을 증가시키면 한 쌍의 가이드수단 130 사이에 형성된 유입공간 131측의 공기를 끌어당겨 증가된 풍량으로 배출공 112에 배출토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수단 120은 모터 121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길이를 갖는 축 122 외주연에 복수개의 블레이드 123가 장착된다. 이때, 모터 121는 회전수단 120의 내측에 배치된다. 즉, 복수개의 블레이드 123가 모터 121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축 122은 회전수단 120을 관통하여 모터 121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송풍부 100는 상기 케이스 110의 배출공 112 단부에 내부공간 113으로 수직으로 연장시킨 격벽 140이 마련되어 배출공 112 길이를 연장시키고, 상기 가이드수단 130은 만곡된 곡률의 일측이 배출공 112 하부 내주연에 향하도록 하고 타측은 연결공 111측으로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는, 상기 덕트 13를 통해 공급되는 냉각공기가 상기와 같은 격벽 140과 가이드수단 130의 배치상태에 의해 냉각공기 흐름을 인터넷 데이터 센터 12 실내공간으로 자연스럽게 흐름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송풍부 100의 기능은 아래와 같다.
상기 송풍부 100는 덕트 13와 연결되어 인터넷 데이터 센터 12 실내 공간의 바닥에 하나 이상 설치된다.
상기 송풍부 100는 냉각기 500에서 발생되는 냉각공기를 덕트 13로부터 공급받아 인터넷 데이터 센터 12 실내 공간으로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송풍부 100는 덕트 13로부터 냉각공기가 케이스 110 내부로 유입되면, 2개의 공간으로 분기되어 공급된다.
즉, 상기 가이드수단 130을 통해 회전수단 120측으로 냉각공기가 공급되는 동시에 한 쌍의 가이드수단 130 사이의 유입공간 131으로 냉각공기가 공급된다.
이때, 한 쌍의 회전수단 120의 상호 역회전에 의해 공기 압력을 상승시켜 한 쌍의 회전수단 120 사이 공간의 기압을 높여 풍속을 증가시킨다.
즉, 한 쌍의 회전수단 120과 가이드수단 130 사이의 공간의 기압이 높아지면 상기 가이드수단 130 외측의 유입공간 131의 기압이 낮아진다.
결국, 공기의 힘은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작용하므로 한 쌍의 회전수단 120을 통해 풍속이 증가된 냉각공기는 유입공간 131의 기류를 끌어당겨 풍량이 증가된다.
다시 말해, 송풍부 100는 덕트 13를 통해 공급되는 냉각공기의 송풍 방향을 전환시켜 인터넷 데이터 센터 12 실내공간으로 공급하는 동시에 냉각공기의 풍속과 풍량을 향상시켜 케이스 110의 배출공 112을 통해 인터넷 데이터 센터 12 실내공간으로 제공하여 인터넷 데이터 센터 12 실내공간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인터넷 데이터 센터 12 실내 공간 바닥에 순환부 200를 설치한다.
상기 순환부 200는 덕트 13와 연결되지 않고, 실내 공간 중 바닥 부근의 냉각공기를 순환시킨다.
즉, 인터넷 데이터 센터 12 실내 공간의 더운 열은 대류에 의해 상승하고, 차가운 열은 실내 공간 바닥측에 존재하게 된다.
이때, 순환부 200는 인터넷 데이터 센터 12 실내 공간의 바닥 부분에 있는 차가운 냉각공기를 순환시켜 인터넷 데이터 센터 12 실내 공간 상부로 배출됨으로서, 인터넷 데이터 센터 12 실내공간이 전체적으로 고른 냉각 온도 분포포를 갖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순환부 200는 케이스 210와, 회전수단 220 및 가이드수단 2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 210는 인터넷 데이터 센터 12의 실내 공간 바닥에 설치되고 상부에 출구 211와 입구 212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수단 220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케이스 210 내부공간 213에 마주보게 배치된 상태로 상호 역회전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수단 230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회전수단 220의 근접되게 배치되는 만곡된 형상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순환부 200는 상기 회전수단 220에 의해 실내 공기를 입구 212를 통해 케이스 210 내부로 유입시켜 가이드수단 230을 통해 출구 211측으로 공기 흐름을 안내할 때 회전수단 220에 의해 냉각공기의 풍속을 증가시키면 한 쌍의 가이드수단 230 사이에 형성된 유입공간 231측의 공기를 끌어당겨 증가된 풍량으로 출구 211측에 배출토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수단 220은 모터 221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길이를 갖는 축 222 외주연에 복수개의 블레이드 223가 장착된다.
특히, 상기 순환부 200는 상기 케이스 210의 출구 211와 입구 212의 경계에 격벽 240이 형성되어 출구 211와 입구 212를 각각 구분하되, 상기 격벽 240은 케이스 210 내부공간 213으로 수직으로 연장시키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수단 230은 만곡된 곡률의 일측 출구 211 하부 내주연에 향하도록 하고 타측은 입구 212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를 통해 입구 212와 출구 211를 구획시켜 인터넷 데이터 센터 12 실내공간의 공기가 입구 212를 통해 유입되어 회전수단 220을 거쳐 출구 211측으로 용이하게 흐름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순환부 200의 기능은 아래와 같다.
상기 순환부 200는 덕트 13와 연결되지 않고, 인터넷 데이터 센터 12 실내 공간의 바닥에 하나 이상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순환부 200는 케이스 210 내부에서 한 쌍의 회전수단 220이 회전되면 인터넷 데이터 센터 12 실내공간의 공기가 케이스 210의 입구 212를 통해 내부공간 213으로 유입된다.
상기 입구 212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가이드수단 230을 통해 회전수단 220측으로 공급되는 동시에 한 쌍의 가이드수단 230 사이의 유입공간 231으로 분기되어 공급된다.
이때, 상기 회전수단 220과 가이드수단 230 사이 공간으로 공급된 공기는 한 쌍의 회전수단 220의 상호 역회전에 의해 공기 압력을 높여 회전수단 220과 가이드수단 230 사이 공간의 기압을 높여 풍속을 증가시킨다.
그리고, 공기의 속도가 한 쌍의 회전수단 220과 가이드수단 230 사이의 공간의 기압이 높아지면 상기 가이드수단 230 외측의 유입공간 231의 기압이 낮아진다.
결국, 공기의 힘은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작용하므로 한 쌍의 회전수단 220을 통해 풍속이 증가된 공기는 유입공간 231측의 기류를 끌어당겨 풍량을 증가시키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순환부 200를 통해 증가된 풍속과 풍량의 공기를 출구 211측으로 배출하여 인터넷 데이터 센터 12 실내 공간의 공기를 순환시켜 인터넷 데이터 센터 12 실내 공간의 전체적인 냉각 온도 분포를 고르게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터넷 데이터 센터 12 실내 공간 상부에 기류교환부 400를 더 포함시켜 실내 공간의 더운 상승기류를 냉각기 500로 제공한다.
즉, 상기 순환부 200는 실내 공간의 바닥측의 차가운 냉각공기를 순환시키는 기능을 갖고, 기류교환부 400는 실내 공간의 천정 측 상부의 더운 상승기류를 실내 공간에서 냉각기 500로 흐름되도록 한다.
결국, 냉각기 500를 거쳐 열교환된 냉각공기는 송풍부를 통해 인터넷 데이터 센터 12의 실내 공간으로 공급되어 실내 공간의 열을 교환하고, 순환부 200는 실내 공간 바닥측의 공기를 순환하여 고른 열분포도를 갖도록 하며, 기류교환부 400는 실내 공간 상부에 존재하는 더운 공기를 냉각기 500로 흐름시킨다.
이렇게 실내 공간에서 냉각공기를 순환시키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인터넷 데이터 센터 12 실내 공간에 복수의 감지수단 310을 설치한다.
상기 감지수단 310은 온도를 측정하는 수단으로써, 복수개로 마련되어 인터넷 데이터 센터 12 실내 공간 곳곳에 설치된다.
그리고, 감지수단 310은 측정된 온도 값을 제어부 300로 인가시킨다.
이는, 셋팅된 실내 공간의 온도에 맞출 수 있도록 제어부 300는 인가된 온도 값에 따라 상기 송풍부 100와 순환부 200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인 온도 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인터넷 데이터 센터 12 실내공간에 서버랙 14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서버랙 14 사이 공간 바닥에 덕트 13와 연결된 송풍부 100와 덕트 13와 연결되지 않은 순환부 200를 교번적으로 배치하여 서버랙 14 사이 공간에 송풍부 100를 통해 냉각공기를 공급하는 동시에 순환부 200가 설치된 서버랙 14 사이 공간의 바닥측의 차가운 냉각공기를 순환시키도록 하여 실내공간의 열분포도를 고르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내공간 상층부에 존재하는 더운 상승기류는 기류교환부 400를 통해 냉각기 500측으로 유도되어 열교환되도록 함으로서, 인터넷 데이터 센터 12의 실내공간의 공기가 열교환되면서 순환되도록 한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각 블레이드 123에는, 블레이드 123의 소정 폭을 가지는 돌출링부 610가 블레이드 124의 외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데, 블레이드 123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도록 돌출된다. 돌출링부 610는 각 블레이드 123에 복수로 형성되며, 각각의 돌출링부는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회전수단 120을 지나는 공기가 블레이드 120를 따라 이동할 때 공기의 유동 속도가 높은 경우에 박리 현상에 의해 공기 저항이 커질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링부 610에 의해 작은 와류가 생성되어 공기 저항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공기는 회전수단 120을 원할하게 지나며,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이 증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 공조 시스템 11 : 바닥통기부
12 : 인터넷 데이터 센터 13 : 덕트
14 : 서버랙 100 : 송풍부
110 : 케이스 111 : 연결공
112 : 배출공 113 : 내부공간
120 : 회전수단 121 : 모터
122 : 축 123 : 블레이드
130 : 가이드수단 131 : 유입공간
140 : 격벽 200 : 순환부
210 : 케이스 211 : 출구
212 : 입구 213 : 내부공간
220 : 회전수단 221 : 모터
222 : 축 223 : 블레이드
230 : 가이드수단 231 : 유입공간
240 : 격벽 300 : 제어부
310 : 감지수단 400 : 기류교환부
500 : 냉각기 610 : 돌출링부

Claims (10)

  1. 인터넷 데이터 센터 실내공간의 공기를 유입하여 열교환시키는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와 연결되고 상기 인터넷 데이터 센터 실내 공간 바닥에 설치되는 덕트와,
    상기 덕트와 연결되어 냉각기의 열교환된 냉각공기를 상기 인터넷 데이터 센터 내부로 공급하는 송풍부와,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길이를 갖는 축 외주연에 복수개의 블레이드가 장착되는 회전수단으로 구성하되,
    상기 송풍부는 상호 마주보게 설치되어 역회전하는 한 쌍의 상기 회전수단의 구동에 의해 냉각공기가 상기 회전수단의 사이 공간으로 유입되고, 상기 회전수단의 회전력에 의해 풍속과 풍량이 향상되어 상기 인터넷 데이터 센터 실내공간으로 냉각공기가 공급되며, 상기 블레이드 외면을 따라 복수의 돌출링부가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량 증가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데이터 센터 실내 공간 바닥에 순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순환부는 덕트와 연결되지 않고 실내 공간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량 증가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데이터 센터 실내 공간 상부에 기류교환부를 더 포함시켜 실내 공간의 더운 상승기류를 냉각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량 증가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링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량 증가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데이터 센터 실내 공간에 감지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감지수단은 실내공간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감지수단의 온도 값을 인가받은 제어부는 셋팅된 실내 공간의 온도에 맞추어 상기 송풍부를 구동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량 증가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는,
    상기 인터넷 데이터 센터 실내 공간의 바닥 덕트와 연통되도록 연결공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공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공간에서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호 역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수단의 근접되게 배치되고 만곡된 형상을 갖는 한 쌍의 가이드수단을 마련하여 상기 가이드수단이 덕트로부터 제공되는 냉각공기를 회전수단으로 유입시켜 배출공측으로 흐름을 안내할 때 상기 회전수단에 의해 냉각공기의 풍속을 증가시키면 한 쌍의 가이드수단 사이에 형성된 유입공간측의 공기를 끌어당겨 증가된 풍량으로 배출공에 배출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량 증가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부는,
    서버가 설치된 실내 공간 바닥에 설치되고 상부에 출구와 입구가 각각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공간에 마주보게 배치되어 상호 역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수단과,
    상기 회전수단의 근접되게 배치되는 만곡된 형상을 갖는 한 쌍의 가이드수단을 마련하여 상기 회전수단에 의해 실내 공기를 입구를 통해 케이스 내부로 유입시켜 가이드수단을 통해 출구측으로 공기 흐름을 안내할 때 회전수단에 의해 냉각공기의 풍속을 증가시키면 한 쌍의 가이드수단 사이에 형성된 유입공간측의 공기를 끌어당겨 증가된 풍량으로 출구측에 배출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량 증가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데이터 센터 실내 공간에 감지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감지수단은 실내공간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감지수단의 온도 값을 인가받은 제어부는 셋팅된 실내 공간의 온도에 맞추어 상기 순환부를 구동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량 증가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는,
    상기 케이스의 배출공 단부에 내부공간으로 수직으로 연장시킨 격벽이 마련되어 배출공 길이를 연장시키고,
    상기 가이드수단은 만곡된 곡률의 일측이 배출공 하부 내주연에 향하도록 하고 타측은 연결공측으로 향하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풍량 증가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부는,
    상기 케이스의 출구와 입구의 경계에 격벽이 형성되어 출구와 입구를 각각 구분하되, 상기 격벽은 케이스 내부 공간으로 수직으로 연장시키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수단은 만곡된 곡률의 일측 출구 하부 내주연에 향하도록 하고 타측은 입구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풍량 증가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
KR1020170050897A 2017-04-20 2017-04-20 풍량 증가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 KR201801178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897A KR20180117852A (ko) 2017-04-20 2017-04-20 풍량 증가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897A KR20180117852A (ko) 2017-04-20 2017-04-20 풍량 증가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852A true KR20180117852A (ko) 2018-10-30

Family

ID=64101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897A KR20180117852A (ko) 2017-04-20 2017-04-20 풍량 증가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785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71474A (ko) 공조용 토출 장치 시스템, 배출열 반송 장치 시스템 및이들을 구비한 공조 시스템
US9335059B2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20150135126A (ko) 서버 룸 공조 시스템
KR20190114594A (ko) 서버 룸 바닥 공조 시스템
CN106196291A (zh) 空调室内机及具有其的空调器
CN105864887A (zh) 空调室内机
KR20180117423A (ko) 자가 세정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
RU2515530C2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для охлаждения воздуха в шкафу для электронных устройств
WO2015178736A1 (ko) 서버 룸 공조 시스템
CN206459529U (zh) 一种翅片式换热器
KR20180117852A (ko) 풍량 증가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
KR20140011716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80117851A (ko) 유량 증가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
KR20180117425A (ko) 반도체 소자를 가지는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
KR20180117853A (ko) 이중 팬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
KR20180117422A (ko) 공기 방향 전환이 가능한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
KR101012397B1 (ko) 증속호퍼와 회전식 토출구를 갖춘 천장 4방향 냉난방 실내기
KR20180117850A (ko) 공간 절약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
KR20180117424A (ko) 에너지 절약형 인터넷 데이터 센터 공조 시스템
CN111442376B (zh) 吊顶式空调室内机
US2505394A (en) Ventilating register
CN102404975A (zh) 数据中心
CN109757085A (zh) 渐缩渐扩式强迫风冷系统
KR20200098794A (ko) 천장 팬의 블레이드
CN111520820B (zh) 壁挂式空调器室内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