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7830A - multipurpose tray - Google Patents

multipurpose tr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7830A
KR20180117830A KR1020170050839A KR20170050839A KR20180117830A KR 20180117830 A KR20180117830 A KR 20180117830A KR 1020170050839 A KR1020170050839 A KR 1020170050839A KR 20170050839 A KR20170050839 A KR 20170050839A KR 20180117830 A KR20180117830 A KR 20180117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versely opposite
longitudinally
mount
transvers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8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류창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썬닷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썬닷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썬닷컴
Priority to KR1020170050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7830A/en
Publication of KR20180117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83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2Germinating apparatus; Determining germination capacity of seed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 Y02P60/216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y device specifically configured for germinating peanut sprouts, which varies the dimensions of a tray to thereby permit peanut sprout germination cups with varied dimensions to be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tray. The tray device comprises: a square frame (100); a first vertical support (10); a second vertical changeable support (20); a first horizontal stationary support (30); a second horizontal stationary support (40); a third horizontal stationary support (50); a fourth horizontal stationary support (60); a first container (70); and a second container (80).

Description

땅콩새싹 발아용 채반장치{multipurpose tray}Peanut sprout germination device {multipurpose tray}

본 발명은 땅콩새싹 발아용 채반장치를 제공하되, 채반의 규격을 가변화하여 땅콩새싹 발아용 컵의 규격을 다양화한 상태로 채반에 삽입 설치하여 기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콩새싹 발아용 채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illing device for germinating peanut sprout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ze of the teabag is varied so that the size of the cup for germinating peanut buds can be varied and inserted into the teaba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lling device.

일반적으로 숙주나물, 콩나물, 새싹 등의 식용야채 등을 기르는 재배장치는 수경재배의 일종으로 시루(일종의 용기)나 나무통 등을 이용한 전통적인 방식에서 근래에는 플라스틱 용기를 이용한 재배용기가 일반화되어 있다.Generally, a cultivation apparatus for cultivating vegetables, such as host herbs, bean sprouts, and sprouts, is a kind of hydroponic cultivation, and in recent years, cultivation vessels using plastic containers have been generalized in a conventional manner using a siru (a kind of container) or a wooden barrel.

그러나 상술한 플라스틱 용기에 의한 재배는 플라스틱 자체에 중금속 물질이 침출되어 식물에 흡수됨으로써 위생을 해치는 폐단이 따르고, 공기 소통이 원활하지 못하여 용존 산소의 부족으로 인핸 부패 및 성장저해 현상이 따르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성장 촉진제 및 방부제의 사용이 불가피하였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cultivation by the plastic container can not prevent the degradation due to lack of oxygen dissolved due to lack of oxygen in the air due to the leakage of the heavy metal material into the plastic itself, The use of a growth promoting agent and an antiseptic agent was inevitable.

그러므로 상기 플라스틱 용기를 통해 새싹식물을 상품화할 경우에는 새싹식물에 잔류 유해물질이 검출됨으로써 식품 유통상 많은 문제를 야기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Therefore, when a sprout plant is commercialized through the plastic container, many harmful substances are detected in the sprout plant, causing a lot of problems in food distribution.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43714호에는 내부에 밀폐형 챔버(10)가 구비되고, 상기 챔버의 하측으로 저수조(20)가 구비된 종자 발아장치에 있어서, 상기 챔버(10)의 내부에 적층식으로 수납되는 복수개의 재배함(30)과, 상기 챔버(10)의 내측벽에 설치되며 상기 재배함(30)의 상측과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액적을 분무하는 급수부(50)와, 상기 저수조(20)에 저장된 물을 상기 급수부(50)로 공급하는 펌프(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자 발아장치’가 기재되어 있으나 밀폐된 구조로 마련되기 때문에 설치가 복잡하고, 가정에서 쉽게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3-0043714 discloses a seed germination apparatus having an enclosed chamber 10 inside and a water tank 20 below the chamber, A plurality of cultivating chambers 30 installed in the chamber 10 in a stacked manner and spraying droplets horizontally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ultivating chamber 30, And a pump P for supplying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20 to the water supply unit 50. The seed germination apparatus of claim 1,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is complicated and can not be easily used at home.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00919호에는 다단 적층 가능하도록 단턱을 구비하며 하부로 배수구조가 형성된 차광 재질의 케이스 부재; 및 상기 케이스 부재 내부에 상기 케이스 부재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게 수용 설치되며, 바닥면에는 다수의 투수공이 형성된 수용부재;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 재배조를구비하여, 씨앗의 발아 및 성장 공간을 제공하는 다단 적층구조의 재배부와; 상기 재배부 상부에 적층 설치되어 상기 재배부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조; 및 상기 재배조의 케이스 부재 사이 또는 재배조의 케이스 부재와 급수조 사이에 삽입되어 적층구조로 설치되는 투광 또는 차광 재질로 제작된 상하 관통된 구조의 연장 케이스를 구비하여; 새싹의 종류 및 생장과정의 필요에 따라, 상기 재배조 및 상기 연장 케이스를 적층 설치하여, 새싹에 최적의 생육공간과 광합성 환경이 조성되도록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 재배기’가 공개되어 있으나 상기 새싹 재배기는 물을 자연급수할 수 있는 구조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유지 관리가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00919 also discloses a case member made of a light-shielding material having a stepped portion for multi-layer lamination and having a drainage structure at the bottom; And a receiving member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case member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member by a predetermined height and has a plurality of water hole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to provide a space for germination and growth of seeds A multi-layered laminate structure growing section; A water supply tank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re-cultivation unit to supply water to the re-cultivation unit; And an extension case having a vertically penetrating structure made of a light transmitting or shielding material which is inserted between the case member of the refining tank or between the case member of the refining tank and the water supply tank and installed in a laminated structure, A sprout grower is disclosed in which a seedling grower and an extension case are stacked in accordance with a kind of sprout and a need for a growth process so that an optimum growth space and a photosynthesis environment are formed in the sprout, There is a problem that maintenance is difficult because there is no structure for watering the water in the cultivator.

아울러 종래의 새싹 재비기는 채반에 새싹을 기른 후에 별도의 용기에 다시 담아서 판매해야 하므로 불편함이 있으며, 소비자가 계속 기르면서 취식하기 곤란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In addition, conventional bud remodeling is inconvenient because it is necessary to store buds in a separate container after reaping the buds, and it has a structure in which it is difficult for consumers to continue to grow and eat th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땅콩새싹 발아용 전용 채반장치를 제공하되, 채반의 규격을 가변화하여 땅콩새싹 발아용 컵의 규격을 다양화한 상태로 채반에 삽입 설치하여 기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pecial tilling device for germination of peanut sprouts, wherein the size of the tipping table can be varied, and the size of the peanut germination cup can be varied and inserted into the tea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As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은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되, 세로방향으로 일정 너비를 갖는 패널 형태이며, 내측은 공간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사각 프레임틀(100)과; 상기 사각 프레임틀(100)의 내측에 설치하되.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며, 직사각형 패널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부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연속되는 요철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 1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10)와; 상기 사각 프레임틀(100)의 내측에 설치하되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 1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10)에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되며, 직사각형 패널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부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연속되는 요철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 2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20)와; 상기 사각 프레임틀(100)의 내측에 설치하되 제 1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10)의 요철과 제 2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20)의 요철을 가로질러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제 1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10)와 제 2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20)에 지지되어 고정되는 제 1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30)와; 상기 사각 프레임틀(100)의 내측에 위치하되 제 1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30)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 1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10)의 요철과 제 2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20)의 요철을 가로질러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제 1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10)와 제 2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20)에 지지되어 고정되는 제 2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40)와; 상기 사각 프레임틀(100)의 내측에 위치하되 제 2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40)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 1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10)의 요철과 제 2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20)의 요철을 가로질러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제 1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10)와 제 2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20)에 지지되어 고정되는 제 3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50)와; 상기 사각 프레임틀(100)의 내측에 위치하되 제 3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50)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 1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10)의 요철과 제 2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20)의 요철을 가로질러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제 1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10)와 제 2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20)에 지지되어 고정되는 제 4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60)와; 상기 제 1 가로방향 고정 지지대(30)와 제 2 가로방향 고정 지지대(40) 사이의 공간부에 삽입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가 오픈된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 공간부를 통해 땅콩이 투입되는 제 1 용기(70)와; 상기 제 3 가로방향 고정 지지대(50)와 제 4 가로방향 고정 지지대(60) 사이의 공간부에 삽입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가 오픈된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 공간부를 통해 땅콩이 투입되는 제 2 용기(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tangular frame mold (100) having a rectangular shape and a pane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 hollow space on the inside thereof; And is installed inside the rectangular frame frame (100). A first longitudinal variable mount (10)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nel, the upper longitudinal section being formed in a concavo-convex shape in which concave portions and convex portions are continuous; The first longitudinally variable holder (10) is disposed at an inner side of the rectangular frame frame (100) and arrang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longitudinally variable holder (10) has a rectangular panel shape, A second longitudinally variable mount (20) formed of a continuous continuous concavo-convex shape; And is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cross the concavities and convexities of the first longitudinally-movable base 10 and the concave-convexities of the second longitudinally-movable base 20, and the first longitudinally- (10) and a second longitudinally variable mount (20); And a second longitudinally movable cradle 20 which is located inside the rectangular frame frame 10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ateral fixed type cradle 3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second transversely fixed shelf 40 which i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concavo-convex of the first transversely opposite transversely opposite transversely opposite transversely opposite transversely opposite transversely opposite transversely opposite transversely opposite transversely opposite transversely opposite transversely opposite transversely opposite transversely opposite transversely opposite transversely opposite transversely opposite transversely opposite transversely opposite transverses; The first longitudinally variable mount 10 and the second longitudinally movable mount 20 are disposed inside the rectangular frame frame 100 and ar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transverse fixed mount 4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third transverse fixed base 50 which is disposed in a transverse direction across the concavo-convex of the first transversely opposite base 10 and is supported and fixed to the second longitudinally-movable base 20; The first longitudinally-movable base 10 and the second longitudinally-movable base 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third transverse fixed base 50, And a fourth transversely fixed holder (60) supported by and supported by the first longitudinal variable seating (10) and the second longitudinal adjustable seating (20); The first container i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fixed support 30 and the second horizontal fixed support 40 and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70); The second container i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third transverse fixed support (50) and the fourth transverse fixed support (60) to form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an open top. The second container (80).

또한, 상기 제 1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10) 및 제 2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20)는, 사각 프레임틀(100)에 용접 결합되는 것이 특징이다.Further, the first longitudinal variable mount 10 and the second longitudinal adjustable mount 20 are welded to the rectangular frame 100.

또한, 상기 제 1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30)와, 제 2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40)와, 제 3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50)와, 제 4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60)는 원기둥 봉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In addition, the first transverse fixed shelf 30, the second transverse fixed shelf 40, the third transverse fixed shelf 50, and the fourth transverse fixed shelf 60 are formed in a cylindrical rod shape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땅콩새싹 발아용 전용 컵 및 채반장치를 제공하되, 채반의 규격을 가변화하여 땅콩새싹 발아용 컵의 규격을 다양화한 상태로 채반에 삽입 설치하여 기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ecial cup for peanut sprout germination and a feeding device, wherein the size of the peanut sprout is varied to insert the peanut sprout germination cup in a variety of sizes, .

도 1은 본 발명의 땅콩새싹 발아용 채반장치 구성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peanut bud sprou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scriptio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terms us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user, intention or custom of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The configuration is omitted as much as possible, and a functional configuration that should be additionally provided for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described.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e functions of the components that have been used in the prior art among the functional configurations that are not show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s and the components added for the present invention will also be clearly understood.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In order to efficiently explain the essential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properly modify the term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clear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It is by no means limited.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As a resul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efficiently expla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

도 1은 본 발명의 땅콩새싹 발아용 채반장치 구성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peanut bud sprou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참고로, 땅콩은 원산지가 남미의 안데스지방으로, 지방과 단백질이 듬뿍 들어 있으며 비타민과 미네날이 풍부하다. 이러한 땅콩이 새싹으로 발아 및 나물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지방 및 칼로리가 낮아지고 땅콩에 없는 비타민 C가 생성되는 한편, 땅콩에 미량으로 존재하는 레스베라트롤(Resveratol)라는 항암 장수물질이 대량으로 증가한다. 또한, 아스파라긴산이 콩나물보다 9배나 많이 함유되어 있어 숙취해소에도 효과가 크다. 땅콩나물은 한마디로 살아 있는 영양덩어리다.For reference, peanuts are the South American Andean region of origin, rich in fat and protein, and rich in vitamins and minerals. While these peanuts grow as germination and herbaceous sprouts, their fat and calories are lowered and vitamin C, which is not found in peanuts, is produced. On the other hand, a large amount of resveratrol, resveratol, exists in peanuts. In addition, aspartic acid is 9 times more than bean sprouts, so it is also effective in eliminating hangovers. The land bean sprouts are living nutrition chunks in one word.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사각 프레임틀(100)과, 제 1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10)와, 제 2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20)와, 제 1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30)와, 제 2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40)와, 제 3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50)와, 제 4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60)와, 제 1 용기(70)와, 제 2 용기(80)로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rectangular frame frame 100, a first longitudinally variable mount 10, a second longitudinally adjustable mount 20, a first transverse fixed mount 30, A third transverse fixed base 50, a fourth transverse fixed base 60, a first container 70, and a second container 80. The transverse fixed base 40, the third transverse fixed base 50, the fourth transverse fixed base 60,

상기 사각 프레임틀(100)은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되, 세로방향으로 일정 너비를 갖는 패널 형태이며, 내측은 공간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The rectangular frame frame 100 has a rectangular shape, a pane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pace portion formed on the inner side.

상기 제 1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10)는 상기 사각 프레임틀(100)의 내측에 설치하되.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며, 직사각형 패널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부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연속되는 요철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first longitudinal variable mount (10) is installed inside the rectangular frame (100). And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nel, and the upper portion is formed in a concave and convex shape in which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are continuous.

상기 제 2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20)는 상기 사각 프레임틀(100)의 내측에 설치하되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 1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10)에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되며, 직사각형 패널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부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연속되는 요철 형태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longitudinal variable mount table 20 is disposed inside the rectangular frame frame 100 and 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first longitudinal variable mount table 10, And the upper portion is formed in a concavo-convex shape in which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are continuous.

상기 제 1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30)는 원기둥형 봉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사각 프레임틀(100)의 내측에 설치하되 제 1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10)의 요철과 제 2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20)의 요철을 가로질러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제 1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10)와 제 2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20)에 지지되어 고정된다.The first transverse fixed shelf 30 is formed in a cylindrical rod shape and is installed inside the rectangular frame frame 100. The first transverse fixed shelf 30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rectangular frame frame 100, And is supported and fixed by the first longitudinally variable mount 10 and the second longitudinally adjustable mount 20.

상기 제 2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40)는 원기둥형 봉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사각 프레임틀(100)의 내측에 위치하되 제 1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30)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 1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10)의 요철과 제 2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20)의 요철을 가로질러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제 1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10)와 제 2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20)에 지지되어 고정된다.The second transverse fixed shelf 4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ylindrical rod and is disposed inside the rectangular frame frame 100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transverse fixed shelf 3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10) and the second longitudinal direction variable mount (20), and are arranged transversely across the irregularities of the first longitudinal direction variable mount (10) and the second longitudinal direction adjustable mount (20) And is fixed.

상기 제 3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50)는 원기둥형 봉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사각 프레임틀(100)의 내측에 위치하되 제 2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40)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 1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10)의 요철과 제 2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20)의 요철을 가로질러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제 1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10)와 제 2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20)에 지지되어 고정된다.The third transverse fixed shelf 5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ylindrical rod and is disposed inside the rectangular frame frame 100 an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transverse fixed shelf 4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10) and the second longitudinal direction variable mount (20), and are arranged transversely across the irregularities of the first longitudinal direction variable mount (10) and the second longitudinal direction adjustable mount (20) And is fixed.

상기 제 4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60)는 원기둥형 봉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사각 프레임틀(100)의 내측에 위치하되 제 3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50)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 1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10)의 요철과 제 2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20)의 요철을 가로질러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제 1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10)와 제 2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20)에 지지되어 고정된다.The fourth transverse fixed shelf 6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olumnar bar and is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rectangular frame frame 100 and spaced apart from the third transverse fixed shelf 5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10) and the second longitudinal direction variable mount (20), and are arranged transversely across the irregularities of the first longitudinal direction variable mount (10) and the second longitudinal direction adjustable mount (20) And is fixed.

상기 제 1 용기(70)는 제 1 가로방향 고정 지지대(30)와 제 2 가로방향 고정 지지대(40) 사이의 공간부에 삽입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가 오픈된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 공간부를 통해 땅콩이 투입된다.The first container 70 is inserted into a space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fixed support 30 and the second horizontal fixed support 40 and is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an open upper portion. Peanuts are added.

상기 제 2 용기(80)는 제 3 가로방향 고정 지지대(50)와 제 4 가로방향 고정 지지대(60) 사이의 공간부에 삽입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가 오픈된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 공간부를 통해 땅콩이 투입된다.
The second container 80 is inserted into a space between the third transverse direction support supporter 50 and the fourth transverse direction support supporter 60 and is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an open top, Peanuts are added.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조립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assembl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은 먼저 사각 프레임틀(100)과, 제 1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10)와, 제 2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20)와, 제 1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30)와, 제 2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40)와, 제 3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50)와, 제 4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60)와, 제 1 용기(70)와, 제 2 용기(80)를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firstly comprises a rectangular frame frame 100, a first longitudinal variable mount 10, a second longitudinal adjustable mount 20, a first transverse fixed mount 30, a second transverse fixed mount 30, A third horizontal fixed shelf 50, a fourth horizontal fixed shelf 60, a first container 70, and a second container 80. The second container 80 includes a base 40,

이때, 상기 제 1 용기(70)와 제 2 용기(80)는 다수개 구비하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 용기는 2개 구비하고, 제 2 용기는 3개 구비하였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the first container 70 and the second container 80 are provid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first containers are provided and three second containers are provided.

그리고, 상기 사각 프레임틀(100)과 제 1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10)를 고정함에 있어서 사각 프레임틀(100)의 몸체에 제 1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10)의 양측 끝단부를 용접 결합하여 단단히 고정시키도록 한다.In fixing the rectangular frame frame 100 and the first longitudinal variable mount 10, both ends of the first longitudinal adjustable mount 10 are welded and fixed to the body of the rectangular frame 100, .

아울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사각 프레임틀(100)과 제 2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20)를 고정함에 있어서 사각 프레임틀(100) 몸체에 제 2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20)의 양측 끝단부를 용접하여 단단히 고정시키도록한다.In addition, in fixing the rectangular frame frame 100 and the second longitudinal-direction adjustable pedestal 20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the opposite longitudinal end portions of the second longitudinal-adjustable pedestal 20 are welded to the body of the rectangular frame frame 100 Secure it firmly.

상기와 같이 제 1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10)와 제 2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20)를 사각 프레임틀(100)에 용접 결합하는 이유는 단단히 지지되어야 하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the first longitudinal variable mount 10 and the second longitudinal adjustable mount 20 are welded to the rectangular frame 100 as described above must be firmly supported.

이때, 상기 제 1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10)와 제 2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20)의 상부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연속되는 요철형태로 이루어지는바, 후술하는 제 1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30)와, 제 2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40)와, 제 3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50)와, 제 4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60)를 요철의 오목부에 결합시켜 지지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longitudinally variable mount 10 and the second longitudinally adjustable mount 20 ar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continuous with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The first and second transverse fixed mounts 30 and 30 The second transverse fixed shelf 40, the third transverse fixed shelf 50, and the fourth transverse fixed shelf 60 to be coupled to the recesses of the concave and convex portions.

즉, 제 1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30)와, 제 2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40)와, 제 3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50)와, 제 4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60)는 모두 원기둥형 봉 형태로 이루어지며, 모두 제 1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10)와 제 2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20)의 요철에 용이하게 결합되는 굵기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first transverse fixed shelf 30, the second transverse fixed shelf 40, the third transverse fixed shelf 50, and the fourth transverse fixed shelf 60 all have a cylindrical rod shape Both of which are easily combined with the concavities and the protrusions of the first longitudinally-movable base 10 and the second longitudinally-movable base 20, respectively.

이에 따라 상기 제 1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30)와, 제 2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40)와, 제 3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50)와, 제 4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60)를 제 1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10)와 제 2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20)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여 적절한 규모의 공간부를 형성토록하며, 상기 공간부에 제 1 용기(70)와 제 2 용기(80)를 삽입 설치하여 채반을 완성토록한다.
Accordingly, the first transverse fixed shelf 30, the second transverse fixed shelf 40, the third transverse fixed shelf 50, and the fourth transverse fixed shelf 60 are arranged in the first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container 70 and the second container 80 are inserted into the space portion by arranging the first container 70 and the second container 80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variable mount table 10 and the second longitudinal variable mount 20, To complete the jig.

이하에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은 먼저 사각 프레임틀(100)과, 제 1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10)와, 제 2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20)를 배치하여 세로방향의 지지구조를 완성하고, 상기 제 1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10)와, 제 2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20)를 배치하여 지지구조가 완성되면 이어서 제 1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30)와, 제 2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40)와, 제 3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50)와, 제 4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60)를 가로방향으로 배치하여 제 1 용기(70)와, 제 2 용기(80)를 결합시키도록한다.The present invention firstly provides a support structur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disposing a rectangular frame frame (100), a first longitudinal variable mount (10) and a second longitudinal movable mount (20) When the support structure is completed by disposing the holder 10 and the second longitudinal-direction variable mount 20, the first horizontal fixed-type holder 30, the second horizontal fixed-type holder 40, The stationary holder 50 and the fourth transverse fixed holder 60 are arranged in the lateral direction to couple the first container 70 and the second container 80 together.

이때, 상기 제 1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30)와, 제 2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40)와, 제 3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50)와, 제 4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60)의 결합 간격을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제 1 용기(70)와 제 2 용기(80)를 결합시킬 수 있는바, 예컨데 제 1 용기(70)의 크기가 크면 제 1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30)와, 제 2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40)의 사이를 크게 띄어서 넓은 공간부를 확보하도록하여 크기가 큰 제 1 용기(70)를 보다 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fixed base 30, the second horizontal fixed base 40, the third horizontal fixed base 50, and the fourth horizontal fixed base 60 is adjusted The first container 70 and the second container 80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in various sizes. For example, if the size of the first container 70 is large, the first and second transverse fixed holders 30, The space between the stationary holders 40 is largely spaced to secure a large space, so that the first container 70 having a large size can be more easily coupled.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 2 용기(80)의 크기가 작으면 제 3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50)와, 제 4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60)의 간격을 적게 띄어서 좁은 공간부를 확보하도록하여 크기자 작은 제 2 용기(80)를 보다 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If the size of the second container 80 is small in this way, the space between the third horizontal fixed-type holder 50 and the fourth horizontal fixed-type holder 60 is made small so as to secure a narrow space, 2 container 80 can be more easily coupled.

즉, 본 발명은 제 1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30)와, 제 2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40)와, 제 3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50)와, 제 4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60)의 배치 방법에 따라 다양한 규모의 공간부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규격의 제 1 용기(70)와 제 2 용기(80)를 탑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arranging a first transverse fixed shelf 30, a second transverse fixed shelf 40, a third transverse fixed shelf 50, and a fourth transverse fixed shelf 60 The first container 70 and the second container 80 of various sizes can be mounted.

그리고,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서 제 1 용기(70)와 제 2 용기(80)를 결합하여 채반이 완성되면 제 1 용기(70)와 제 2 용기(80)에 땅콩을 삽입하고, 땅콩 새싹 재배기에 투입하여 땅콩을 재배하게 되며, 재배가 완료되면 제 1 용기(70)와 제 2 용기(80)의 상부에 캡을 씌워서 곧바로 소비자에게 판매하면 된다.When the first container 70 and the second container 80 are coupled by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peanut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ntainer 70 and the second container 80, And the peanut is cultivated. When the cultivation is completed, the cap is put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container 70 and the second container 80, and it is immediately sold to the consumer.

즉, 다양한 규모의 용기를 채반에 탑재한 상태에서 땅콩을 투입하고 이를 새싹 재배기에 삽입하여 땅콩을 재배하며, 재배가 완료되면 용기의 상부에 캡을 씌워서 곧바로 소비자에게 판매가 이루어지는 것이다.In other words, peanuts are put into a sprout cultivator with various sizes of containers mounted on the tray, and peanuts are cultivated. When the cultivation is completed, a cap is placed on the top of the container and the product is immediately sold to consumers.

그러면, 소비자는 상부와 하부가 폐쇄된 상태의 땅콩 새싹 케이를 구비하여 집에 가져가고, 집에서 곧바로 신선한 땅콩 새싹을 취식하거나, 아니면 집에서 더 길러서 필요한 때마다 땅콩 새싹을 취식할 수 있게 된다.The consumer can then take home a peanut sprout with closed top and bottom kernels, eat fresh peanut buds straight from home, or grow up at home and eat peanut buds whenever needed.

10: 제 1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
20: 제 2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
30: 제 1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
40: 제 2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
50: 제 3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
60: 제 4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
70: 제 1 용기
80: 제 2 용기
100: 사각 프레임틀
10: first longitudinal direction variable holder
20: second vertically adjustable holder
30: First horizontal fixed type holder
40: second horizontal fixed type holder
50: Third horizontal fixed type holder
60: Fourth horizontal fixed type holder
70: First container
80: Second container
100: square frame frame

Claims (3)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되, 세로방향으로 일정 너비를 갖는 패널 형태이며, 내측은 공간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사각 프레임틀(100)과;
상기 사각 프레임틀(100)의 내측에 설치하되.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며, 직사각형 패널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부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연속되는 요철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 1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10)와;
상기 사각 프레임틀(100)의 내측에 설치하되 세로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 1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10)에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되며, 직사각형 패널 형태로 이루어지되, 상부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연속되는 요철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 2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20)와;
상기 사각 프레임틀(100)의 내측에 설치하되 제 1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10)의 요철과 제 2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20)의 요철을 가로질러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제 1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10)와 제 2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20)에 지지되어 고정되는 제 1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30)와;
상기 사각 프레임틀(100)의 내측에 위치하되 제 1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30)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 1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10)의 요철과 제 2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20)의 요철을 가로질러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제 1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10)와 제 2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20)에 지지되어 고정되는 제 2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40)와;
상기 사각 프레임틀(100)의 내측에 위치하되 제 2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40)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 1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10)의 요철과 제 2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20)의 요철을 가로질러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제 1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10)와 제 2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20)에 지지되어 고정되는 제 3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50)와;
상기 사각 프레임틀(100)의 내측에 위치하되 제 3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50)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 1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10)의 요철과 제 2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20)의 요철을 가로질러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제 1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10)와 제 2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20)에 지지되어 고정되는 제 4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60)와;
상기 제 1 가로방향 고정 지지대(30)와 제 2 가로방향 고정 지지대(40) 사이의 공간부에 삽입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가 오픈된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 공간부를 통해 땅콩이 투입되는 제 1 용기(70)와;
상기 제 3 가로방향 고정 지지대(50)와 제 4 가로방향 고정 지지대(60) 사이의 공간부에 삽입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가 오픈된 직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 공간부를 통해 땅콩이 투입되는 제 2 용기(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땅콩새싹 발아용 채반장치.
A square frame 100 having a rectangular shape and a pane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n inner space formed with a space;
And is installed inside the rectangular frame frame (100). A first longitudinal variable mount (10)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nel, the upper longitudinal section being formed in a concavo-convex shape in which concave portions and convex portions are continuous;
The first longitudinally variable holder (10) is disposed at an inner side of the rectangular frame frame (100) and arrang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longitudinally variable holder (10) has a rectangular panel shape, A second longitudinally variable mount (20) formed of a continuous continuous concavo-convex shape;
And is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cross the concavities and convexities of the first longitudinally-movable base 10 and the concave-convexities of the second longitudinally-movable base 20, and the first longitudinally- (10) and a second longitudinally variable mount (20);
And a second longitudinally movable cradle 20 which is located inside the rectangular frame frame 10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ateral fixed type cradle 3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second transversely fixed shelf 40 which i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concavo-convex of the first transversely opposite transversely opposite transversely opposite transversely opposite transversely opposite transversely opposite transversely opposite transversely opposite transversely opposite transversely opposite transversely opposite transversely opposite transversely opposite transversely opposite transversely opposite transversely opposite transversely opposite transversely opposite transverses;
The first longitudinally variable mount 10 and the second longitudinally movable mount 20 are disposed inside the rectangular frame frame 100 and ar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transverse fixed mount 4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third transverse fixed base 50 which is disposed in a transverse direction across the concavo-convex of the first transversely opposite base 10 and is supported and fixed to the second longitudinally-movable base 20;
The first longitudinally-movable base 10 and the second longitudinally-movable base 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third transverse fixed base 50, A fourth transversely fixed holder 60 which is disposed transversely to the concavo-convex of the first transversely extending holder 10 and the second transversally adjustable holder 20 to be fixed thereto;
The first container i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fixed support 30 and the second horizontal fixed support 40 and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70);
The second container i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third transverse fixed support (50) and the fourth transverse fixed support (60) to form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an open top. The second container (80). ≪ / RTI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10) 및 제 2 세로방향 가변형 거치대(20)는, 사각 프레임틀(100)에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콩새싹 발아용 채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longitudinally variable mount (10) and the second longitudinally adjustable mount (20) are welded to the rectangular frame frame (10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30)와, 제 2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40)와, 제 3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50)와, 제 4 가로방향 고정형 거치대(60)는 원기둥 봉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땅콩새싹 발아용 채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transverse fixed shelf 30, the second transverse fixed shelf 40, the third transverse fixed shelf 50 and the fourth transverse fixed shelf 60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cylinder Features peanut sprout germination device.
KR1020170050839A 2017-04-20 2017-04-20 multipurpose tray KR2018011783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839A KR20180117830A (en) 2017-04-20 2017-04-20 multipurpose tr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839A KR20180117830A (en) 2017-04-20 2017-04-20 multipurpose tr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830A true KR20180117830A (en) 2018-10-30

Family

ID=64100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839A KR20180117830A (en) 2017-04-20 2017-04-20 multipurpose tr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783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70303A1 (en) Floating plant propagation tray
US8505238B2 (en) Vertical aeroponic plant growing system
US5555676A (en) Vertical planter apparatus and method
US10986787B2 (en) Hydroponic tower compatible plant plug holder
KR101977392B1 (en) Magnetization type seed germinating and cultivating device
US20040031194A1 (en) Combination planter
KR200495038Y1 (en) A hydroponics cultivation device
KR101362925B1 (en) Multifunctional household device for cultivating vegetable and sprout
JP2015073467A (en) Atomization cultivation container of root vegetable, and ultrasonic atomization cultivation system
US10492390B2 (en) Hydroponic display container for flowering bulbs
KR20180117830A (en) multipurpose tray
GB2538583A (en) Floating plant propagation tray
JP2015188370A (en) Plant cultivation device
WO2017104703A1 (en) Open-field hydroponic kit, open-field hydroponic system, and plant manufacturing method
CN205005668U (en) Blake bottle that has built -in mount suitable for liquid medium
KR102011127B1 (en) An improved device for hydroponics
JP4507444B2 (en) Plant hydroponics equipment
JPH10271926A (en) Planting board for nutrient solution-culture
JPH0837962A (en) Plant culture vessel
KR101736494B1 (en) Container support guides for plastic greenhouses for growing plants
KR20180011469A (en) management container for cultivaton of plant
KR102511318B1 (en) Hydroponics apparatus
KR101862538B1 (en) A peanut cultivation device
KR101923310B1 (en) Apparatus for cultivating multiple plants using nutrient solution
CN105123527A (en) Culture bottle provided with built-in fixing frame and applicable to liquid culture medi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