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7362A - Apparatus and Method for Hyperthermia Treatment by using a current feedback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Hyperthermia Treatment by using a current feedba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7362A
KR20180117362A KR1020170050358A KR20170050358A KR20180117362A KR 20180117362 A KR20180117362 A KR 20180117362A KR 1020170050358 A KR1020170050358 A KR 1020170050358A KR 20170050358 A KR20170050358 A KR 20170050358A KR 20180117362 A KR20180117362 A KR 20180117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electrode
temperature
generator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3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71585B1 (en
Inventor
김상한
Original Assignee
동서메디케어 주식회사
김상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메디케어 주식회사, 김상한 filed Critical 동서메디케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0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585B1/en
Publication of KR20180117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3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5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18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micro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0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 A61N1/403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for thermotherapy, e.g. hyperther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696Controlled or regulated parameters
    • A61B2018/00714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696Controlled or regulated parameters
    • A61B2018/0072Curr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773Sensed parameters
    • A61B2018/00791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636Sensing and controlling the application of energy
    • A61B2018/00773Sensed parameters
    • A61B2018/00827Curr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18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microwaves
    • A61B2018/1823Generators therefor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hyperthermia cancer treatment through conductive current feedback to optimize arrival of target temperature by using real-time feedback for a treatment state, not one way electromagnetic wave radiation. The apparatus for hyperthermia cancer treatment includes a high frequency radiation device (20) of an RF supply circuit applying high frequency RF power to an upper electrode (23) of the upper body of a patient by an RF generator (21) and an RF matcher (22), and connected to a generator and a matcher through facing electrodes (24) and a cable (25) positioned at the lower body of the patien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controller (10) controlling the generator (21); a display unit (60)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ler (10) to display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and a conductive current metering unit (30) metering conductive current on the cable (25) to apply a metered value of a high frequency conductive current output amount (Vout) to the main controller (10). The main controller (10) estimates an amount of electromagnetic wave used in a practical treatment by the metered value of the high frequency conductive current output amount (Vout) metered by the conductive current metering unit (30), and performs feedback control for power of the RF generator based on the metered value.

Description

통전전류 피드백을 통한 온열 암 치료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Hyperthermia Treatment by using a current feedback}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and a method for treating a hyperthermia cancer,

본 발명은 온열 암 치료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전 전류 측정 및 피부온도 측정을 하여 피드백함으로써 최적의 조건 하에서 치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온열 암 치료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perthermia cancer treat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hyperthermia canc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treatment under optimal conditions by feeding current measurement and skin temperature measurement and feedback.

일반적으로 온열 암 치료는, 42~43℃의 온도에서 악성 세포의 단백질 변성을 일으키는 직접적인 효과와, 종양주변 미세환경의 pH, 산소농도, 대사율, 유전자/단백질 발현, 혈류변화를 초래하는 간접효과를 통해, 세포사를 유도해 암을 치료하는 방법이다.In general, hyperthermia treatment is an indirect effect that causes the direct effect of protein denaturation of malignant cells at 42 ~ 43 ℃ and changes in pH, oxygen concentration, metabolic rate, gene / protein expression and blood flow in the microenvironment surrounding the tumor Through this, it is a way to treat cancer by inducing cell death.

나아가, 고주파 온열 암 치료기(Hyperthermia)는, 고주파를 이용해 인체 내부의 온도롤 높여 온열치료 효과를 발생시키는 기기로서, 혈액암을 제외한 모든 고체암이 대상이 되며, 암세포의 세포막을 약화시켜 방사선 치료나 항암약물치료의 상승효과가 있어 이에 대한 보조 요법으로도 활용되고 있으며, 암에 의한 극심한 통증을 개선시킴으로써 진통제 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며,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기존 항암치료의 부작용(오심, 구토, 식욕부진, 체중감소, 소화장애)와 합병증(탈모, 팔과 다리 저림)이 없는 안전한 치료법이다.Furthermore, the hyperthermia treatment apparatus (Hyperthermia) is a device for generating a hyperthermia effect by raising the temperature roll inside the human body by using a high frequency wave, and all the solid cancer except blood cancer is a target and weakens the cell membrane of cancer cells, It is also used as an adjunct therapy for the anticancer drug therapy because it has a synergistic effect. It can reduce the use of analgesic drugs by improving the pain caused by cancer,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patients, Vomiting, anorexia, weight loss, digestive problems) and complications (hair loss, arm and leg stiffness).

일반적으로, 말기 폐암의 경우에, 1년 후 생존율이 일반치료의 경우보다, 온열 암 치료를 병행했을 때에 2배 가량 높다는 2011년 미국 'SEER 암센터'의 보고가 있으며, 항암제만 쓸 경우에 비해 항암제와 온열 암 치료를 병행했을 때에 14시간 후 종양세포의 활성이 2~3배 이상으로 낮아졌다는 1996년 'CellControl Biomedical Laboratories'의 보고가 있다.
In general, in the case of end-stage lung cancer, there is a report of 2011 'SEER Cancer Center' in the United States that the survival rate after one year is twice as high as that in the case of hyperthermia treatment, compared with the case of general treatment. In 1996, 'CellControl Biomedical Laboratories' reported that the activity of tumor cells was reduced to 2 to 3 times or more after 14 hours in combination with chemotherapy and hyperthermia treatment.

온열 암 치료기(Hyperthermia)의 기본 원리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 전극 (Electrode / Applicator)과 대향 전극(하부 전극, Counter Electrode) 사이에 환자가 위치하며, 치료 대상 환부가 그 사이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 1, the basic principle of the hyperthermia therapy apparatus is that a patient is positioned between an upper electrode (Electrode / Applicator) and a counter electrode (lower electrode) .

아울러, 고주파의 RF (Radio Frequency, 13.56MHz)가 인체를 통과하면서 인체가 가열되고, 특히 열에 약한 암세포가 먼저 괴사함으로써 암이 치료되는 원리이다.In addition, high frequency RF (Radio Frequency, 13.56 MHz) is passed through the human body, and the body is heated. In particular, cancer is first treated by necrosis of cancer cells which are weak to heat.

온열 암 치료기(Hyperthermia)의 구성을, 환자를 중심으로 맨 위에서 바닥까지 회로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composition of Hyperthermia, The circuit configuration from the top to the bottom centering on the pati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1) 상부 전극 (Electrode, Applicator) : RF가 방사되는 곳.1) Top electrode (Electrode, Applicator): Where RF is emitted.

2) 물주머니 (Water Bolus) : 전극과 인체 사이의 공간을 채워주며, 피부의 화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냉각수가 순환됨.2) Water Bolus: Fills the space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body, and the coolant circulates to prevent skin burns.

3) 환자 (피부 - 지방층 - 내부 조직 - 암 조직(Tumor tissue) - 지방층 - 피부)3) Patients (skin - fat layer - internal tissue - Tumor tissue - fat layer - skin)

4) 물침대 (Water Bed) : 하부 전극과 인체 사이의 공간을 채워주며, 피부의 화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냉각수가 순환됨 (도 1 하부 참조).4) Water Bed: Fills the space between the lower electrode and the human body, and the cooling water is circulated so as to prevent skin burns (see the lower portion of FIG. 1).

5) 대향 전극 (하부 전극, Counter Electrode) : 그라운드 전위 ( 0 V )를 띠며, 상부 전극에서 방사된 전파는 하부 전극을 통해 RF 소스(Source)인 제너레이터(Generator)로 돌아가는 폐 회로로 구성됨.
5) Counter Electrode: A ground potential (0 V), and the radio wave emitted from the upper electrode consists of a closed circuit that returns to the generator, which is an RF source, through the lower electrode.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종래 기술의 온열 암 치료기는, 고주파의 RF 파워의 크기를 경험적으로 조절할 뿐이어서, 정확히 어느 정도의 파워가 적절한지 알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인체의 현재 상태의 차이 등으로 인한 현재 조건에 적합한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다.
However, since the thermal cancer treatment apparatus of the first prior art as shown in FIG. 1 only empirically adjusts the magnitude of the high-frequency RF power, it is difficult to know exactly how much power is appropriate, It is not possible to confirm in real time whether or not it is suitable for the current condition due to the difference of

한편, 환자의 가열 부위에 적절한 온도를 인가하기 위한 온열 치료기로서, 파장의 변화를 꾀하는 방식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49678호 (다채널 고주파 세기 변조 온열 치료기의 제어 방법) 가 있다.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5-0049678 (a control method of a multi-channel high-frequency intensity modulation thermal therapy apparatus) is known as a thermal therapy apparatus for applying a suitable temperature to a heating region of a patient.

상기 제2 종래기술에 따른 다채널 고주파 세기 변조 온열 치료기(1)는,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100), 전극(200), 어플리케이터(300) 및 영상 취득 장치(4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체(100)는 제어부(110), RF 발생기(RF Generator)(120), RF 매쳐(RF Matcher)(130), 영상 처리부(140)를 포함한다. 3 to 5, the multi-channel high-frequency intensity modulation thermal therapy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second prior art includes a main body 100, an electrode 200, an applicator 300 and an image acquisition device 400, . The main body 100 includes a control unit 110, an RF generator 120, an RF matcher 130, and an image processing unit 140.

즉, 일반적으로 암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법으로는, 온열 치료, 방사선 치료, 고주파 온열 치료 등이 사용되었는바, 먼저, 온열 치료는 조직에 약 40~43℃의 온도로 열을 가하여 암세포를 제거하는 치료법으로, 이때, 조직에 가해 주는 온도에 따라 세포의 생존율 저하속도가 가속되거나 감속되는데, 온도가 42℃보다 낮을 경우를 저온 온열치료, 높을 경우를 고온 온열치료라고 한다. 이와 같은 온열 치료의 가장 어려운 점은 원하는 부위가 균일한 온도가 되도록 열을 공급해주는 것인데, 치료부위가 넓을수록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기가 대단히 어려우며 또한, 일부 치료부위의 온도가 저온으로 유지되면 치료 효과가 급격히 줄어들거나 없어지고 고온으로 유지되면 정상 조직에 심한 손상을 유발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That is, as a treatment for treating cancer in general, hyperthermia treatment, radiation therapy, and high-frequency hyperthermia treatment are used. First, the hyperthermia treatment is performed by applying heat to the tissue at a temperature of about 40 to 43 ° C to remove cancer cells In this case,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applied to the tissue, the rate of cell survival deceleration is accelerated or decelerated. When the temperature is lower than 42 ° C, the treatment is called low temperature treatment. The most difficult part of such a heat treatment is to supply heat so that the desired site becomes uniform temperature. It is very difficult to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as the treatment area is wider. Also, when the temperature of some treatment site is maintained at a low temperatu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may cause severe damage to the normal tissues if it is sharply reduced or eliminated and maintained at a high temperature.

그에 비해, 고주파 온열 암치료(Oncothermia Treatment)는 암 발생 부위나 전이 부위에 13.56㎒의 고주파를 통과시켜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자연사(Apoptosis), 괴사(Necrosis)시키는 치료법이다. 기존 온열치료법에서 열을 직접 심부에 전달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조직에서 스스로 열을 낼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고안하였으며 이를 위해 이용한 것이 고주파인 것이다. 13.56㎒의 전류를 적절히 흘리면 100㎒에서 반응하는 정상세포나 조직에서는 열 변화가 거의 없고, 암 조직에서만 열이 상승하는 현상으로부터, 고주파 온열 암치료가 암 치료에 특별하다는 결론에 도달했고, 임상시험을 거쳐 정식으로 사용되고 있다.Oncothermia treatment, on the other hand, treats selectively cancerous cells (apoptosis) and necrosis (necrosis) by passing high frequency of 13.56㎒MHz at the cancerous site or metastatic site. Since it is difficult to transfer heat directly to the deep part in the conventional thermotherapy method, a method of allowing the tissue to generate heat by itself is devised and the high frequency is used for this purpose. When the current of 13.56 MHz is appropriately flowed, it is concluded that the treatment of high frequency thermal cancer is special for the cancer treatment from the fact that the normal cells or tissues reacting at 100 MHz have little thermal change and the heat rises only in the cancer tissue. And is used formally.

이와 같은 고주파 온열 암치료(Oncothermia Treatment)는 기존 기술에 비해 부작용이 비교적 적고, 조직 깊숙한 곳까지 열을 전달할 수 있으며, 암 자체의 크기를 줄이는 효과가 큰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온열 암치료는 말기암 환자의 통증 완화에도 탁월하고, 방사선 요법과 화학 요법과 병행할 경우 재발암을 포함한 암 치료시, 치료 상승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는바, 최근에는 이와 같은 고주파 온열 치료 또는 방사선 치료 중 어느 하나의 방법만을 사용하는 것보다는, 온열 치료에 방사선 치료를 결합하여 치료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방법이 관심을 끌고 있다. 이는, 방사선과 온열을 동시에 가해주는 것이 치료 효과가 높을 뿐만 아니라 방사선 조사량을 줄일 수 있어서 방사선 과다 노출로 인한 정상 조직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를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환부가 균일한 온도가 되도록 열을 공급하거나 정상 조직의 방사선 피폭을 극소화해야 하는 등의 많은 기술적 난제를 해결해야 하였다.Oncothermia treatment of such high frequency cancer has relatively fewer side effects than conventional techniques, it can transmit heat to a deep place in the tissue, and it is reported that the effect of reducing the size of the cancer itself is great. In addition, the hyperthermia treatment is excellent for the pain relief of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and when it is combined with the radiotherapy and the chemotherapy, the cancer treatment including cancer of the recurrent cancer is evaluated to have a synergistic effect. Recently, Rather than using either the treatment or the radiation therapy alone, a method of maximizing the therapeutic effect by combining radiation therapy with hyperthermia is of interest. This is because the simultaneous application of radiation and heat can not only provide a high therapeutic effect, but also reduce radiation dose, thereby preventing normal tissue damage due to overexposure to radiation. However, in order to realize this, many technical difficulties have to be solved, such as supplying heat so that the lesion becomes uniform temperature or minimizing radiation exposure of normal tissue.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종래기술에 따른 다채널 고주파 세기 변조 온열 치료기는, 영상을 이용한 가열부위 확인이 가능하고 다채널 프로브를 결합한 새로운 방식의 세기 변조 온열치료 기술을 제공하여, 기존의 온열치료의 한계를 극복하고 두 치료법의 상승효과를 구현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넓은 부위에 균일한 온도를 가하기 매우 어려운 기존 온열 치료의 한계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부에 조사되는 방사선량을 적절히 줄이면서도 보다 효과적인 치료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제2 종래기술에서는 온열 치료 과정 동안 암 세포의 영역을 결정하고 세포가 가열되고 있는 동안 정상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종양세포를 죽이는 데 필요한 입력의 변화를 예측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이며, 따라서 상기 제2 종래기술은 영상을 이용한 가열부위 확인을 위해, 온도 분포 및 병변 경계의 역학을 모니터링하고 예측하는 수학적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과 빠른 자기 공명 영상 (MRI)을 결합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상기 제2 종래기술에 따른 다채널 고주파 세기 변조 온열 치료기(1)는 본체(100), 전극(200), 어플리케이터(300) 및 영상 취득 장치(400)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multichannel high-frequency intensity modulation thermal therapy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prior art provides a new type of intensity-modulated thermal therapy technique capable of confirming a heating site using an image and combining a multi- It is characterized by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hyperthermia treatment and realizing the synergistic effect of the two treatment methods. Thus, it is possible to solv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hyperthermia treatment which is difficult to apply a uniform temperature to a wide area, and to treat more effectively while appropriately reducing the amount of radiation irradiated to the affected area. In this second prior art,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the area of the cancer cell during the hyperthermia treatment, to minimize damage to the normal tissue while the cells are being heated, and to predict the change in input required to kill the tumor cells, The second conventional technique is to propose a method of combining a mathematical modeling and simulation and a rapi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for monitoring and predicting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the dynamics of the lesion boundary, The conventional multi-channel high-frequency intensity modulation thermal therapy apparatus 1 includes a main body 100, an electrode 200, an applicator 300, and an image acquisition device 400.

상기 제2 종래기술에서, 본체(100)는, 제어부(110), RF 발생기(RF Generator)(120), RF 매쳐(RF Matcher)(130), 영상 처리부(140)를 포함한다. RF 발생기(120)는 전극(200) 및 어플리케이터(300)에 연결되어, 외부 전원에 의하여 고주파 전류를 발생시켜 전극(200) 및 어플리케이터(300)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RF 발생기(12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해 고주파 전류를 발생시키게 되며, 이렇게 발생된 고주파 전류는 고주파 증폭부(미도시)에서 증폭되어 전극(200) 및 어플리케이터(300)로 인가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종래기술에 따른 RF 발생기(120)는 1채널 전극, 2채널 전극, 4채널 전극 등 다양한 다채널 전극(200)에 고주파 전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고주파 전류는 대전된 전극(200) 및 어플리케이터(300) 사이에 위치된 인체의 환부(C)에 유도된다. 여기서, 인체 중 고주파 전류가 인체를 흐를 때 대사가 활발한 부분, 즉 전리된 이온(나트륨 이온, 칼슘 이온 등)이 많은 부위는 전기전도도가 우수하여 전류가 집중적으로 흐르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고주파 전류는 전리된 이온을 가지는 암 세포 하나하나의 세포막을 둘러싸고 있는 세포외액을 따라 흐르게 된다. 이때, 암 세포는 고주파 전류에 의하여 정상 세포와는 달리 섭씨 38.5~42.0도의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자연적으로 파괴되어 괴사하게 된다.The main body 100 includes a control unit 110, an RF generator 120, an RF matcher 130, and an image processing unit 140. The RF generator 120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200 and the applicator 300 and generates a high frequency current by an external power source to supply the generated RF current to the electrode 200 and the applicator 300. The RF generator 120 generates a high frequency curren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The generated high frequency current is amplified by a high frequency amplifying unit and is applied to the electrode 200 and the applicator 300 . Here, the RF generator 120 according to the second conventional technique is configured to provide a high frequency current to various multi-channel electrodes 200 such as a 1-channel electrode, a 2-channel electrode, and a 4-channel electrode. This high frequency current is induced in the affected part (C) of the human body located between the charged electrode (200) and the applicator (300). Here, when a high-frequency current flows through the human body, a part where metabolism is active, that is, a part where ionized ion (sodium ion, calcium ion, etc.) is large, is excellent in electric conductivity and current flows intensively. For example, the high-frequency current flows along the extracellular fluid surrounding the cell membrane of each cancer cell having the ionized ion. At this time, the cancer cells are naturally destroyed and become necrotic when they reach a temperature of 38.5 ~ 42.0 degrees Celsius, unlike normal cells due to high frequency current.

즉, 상기 제2 종래기술에 의하면, 이와 같은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에 의하여, 암조직과 같은 환부에 에너지가 집중되어 환부 조직을 따라 자동으로 암치료가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제2 종래기술은 온열 치료를 방사선 치료와 병행하는 경우에도 치료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고, 방사선 치료가 어려운 경우에는 온열 치료만으로도 암 치료효과를 볼 수 있으며, 암에 의한 극심한 통증을 개선시킴으로써, 진통제 사용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종래기술은 RF 발생기(120)가 300W의 고용량의 파워를 가지도록 설계함으로써, 인체의 특성과 종양과 같은 환부의 위치에 따라 효율적인 에너지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제2 종래기술에 따른 다채널 고주파 세기 변조 온열 치료기(1)는 혈액암을 제외한 모든 종류의 고형암의 치료에 사용할 수 있고, 또한 부종 발생 등의 부작용이 없이 뇌종양의 치료에도 사용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second conventional technique, energy is concentrated on the affected part such as cancer tissue by the treatment using such high frequency, and cancer treatment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along the affected part tissue. Furthermore, the second conventional technique can increase the therapeutic effect even when the hyperthermia treatment is combined with the radiation therapy. In the case where the radiation therapy is difficult, the hyperthermia treatment effect can be seen only by the hyperthermia treatment.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analgesic used. Therefore, according to the second prior art, the RF generator 120 is designed to have a high power of 300 W, so that efficient energy control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body and the location of the affected part such as the tumor. Accordingly, the multichannel high-frequency intensity modulation hyperthermia treatment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second prior art can be used for treating all types of solid tumors excluding blood cancer, and can also be used for treatment of brain tumors without side effects such as edema .

아울러, 이와 같은 상기 제2 종래기술에 따른 RF 발생기(120)는 신체 내 온도 변화에 추종되는 자동 전원 제어(Auto Power Control)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인체의 안전을 위한 가변 전원 공급 제한 기능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RF 발생기(120)는 임피던스(Impedance) 측정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RF 발생기(120)는 안전성 향상을 위한 인터락(interlock) 설계가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빠르고 용이한 유지보수를 위하여 구성 장치별로 모듈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종래기술에 따른 RF 발생기(120)는 신체 내 정상 조직과 암세포 조직 간의 선택비를 최대한 높이기 위해 캐리어 주파수에 주파수 및 듀티(duty) 비를 가변할 수 있는 펄스 진폭 변조 장치를 구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RF generator 120 according to the second conventional technique may have an automatic power control function following a temperature change in the body, and may further include a variable power supply restriction function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RF generator 120 may include an impedance measurement module. Further, the RF generator 120 may be interlocked to improve safety, and may be modularized for each component device for quick and easy maintenance. In addition, the RF generator 120 according to the second prior art has a pulse amplitude modulation device capable of varying a frequency and a duty ratio at a carrier frequency in order to maximize a selection ratio between a normal tissue and a cancer cell tissue in the body You may.

한편, RF 매쳐(RF matcher)(130)는 매칭 박스(Matching Box) 라고도 하며, 커패시터(Capacitor)를 이용해 임피던스(Impedance)를 조절하여 플라스마(Plasma)의 안정화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제2 종래기술에 따른 RF 매쳐(RF matcher)(130)는 개별 환자에 따라 자동 선택되는 초기 매칭 포인트(matching point) 설정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때 환자의 전기적 충격 및 불쾌감을 줄이기 위하여 RF matching이 되지 않았을 경우, 전원 공급을 자동 제한하는 기능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나아가 환자 신체의 RF 전원에 의한 전기적 상태를 도식적으로 쉽게 알 수 있도록 스미스 차트상에서 그림 및 숫자 값으로 표시하는 기능을 더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RF matcher 130 is also referred to as a matching box, and is an apparatus for stabilizing a plasma by adjusting impedance by using a capacitor. Here, the RF matcher 130 according to the second conventional technique may have an initial matching point setting function that is automatically selected according to individual patients. At this time, the RF matcher 130 may reduce the electric shock and discomfort of the patient If RF matching is not performed, it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of automatically limiting power supply. Further,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function of displaying a figure and a numerical value on a Smith chart so that the electrical state of the RF power of the patient's body can be easily and schematically shown.

한편, 영상 처리부(140)는 영상 취득 장치(400)로부터 전송된 환자의 영상, 예를 들면 CT 영상이나 또는 MRI 영상을 수신하여 이를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세히, 영상 처리부(140)는 환자의 영상으로부터 가열 부위의 체내 온도를 분석하여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환자 영상을 이용하여 가열 부위를 실시간으로 확인함으로써, 넓은 부위에 균일한 온도를 원하는 시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종래기술은 영상을 이용한 가열부위 확인을 위해, 온도 분포 및 병변 경계의 역학을 모니터링하고 예측하는 수학적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과 빠른 자기 공명 영상 (MRI)을 결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Meanwhile, the image processing unit 140 receives a patient image, for example, a CT image or an MRI image transmitted from the image acquisition apparatus 400, and processes the received image. In detail, the image processing unit 140 may analyze the body temperature of the heated region from the patient image and display the analyzed body temperature. Thus, by observing the heating region in real time using the patient imag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stably maintaining a uniform temperature over a wide area for a desired time.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prior art provides a method for combining a mathematical modeling and simulation and a rapi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for monitoring and predicting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the dynamics of the lesion boundary, in order to confirm the heated region using the image.

제어부(110)는 상기 제2 종래기술에 따른 다채널 고주파 세기 변조 온열 치료기(1)의 각 구성요소 및 전반적인 시스템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즉 제어부(110)는 전극(200) 및 어플리케이터(300)에 공급되는 고주파 전류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영상 처리부(140)를 제어하여, 영상 취득 장치(400)로부터 전송된 환자의 영상으로부터 가열 부위의 체내 온도를 분석하여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체(100)는, 제어부(110)에 연결되어 다채널 고주파 세기 변조 온열 치료기(1)의 동작 상태, 환자 영상 및 치료 결과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시에 사용자로부터 작동 신호 입력을 받는 유저 인터페이스부(101), 치료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components and the overall system of the multichannel high-frequency intensity modulation heat therapy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second prior art. That is,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high-frequency current supplied to the electrodes 200 and the applicator 300. In addition, the controller 110 controls the image processor 140 to analyze the body temperature of the heated region from the image of the patient transmitted from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400, and display the analyzed body temperature. The main body 10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10 and displays a state of operation of the multi-channel high-frequency intensity modulation heat therapy apparatus 1, a patient image and a treatment result, and a user interface unit 101), a memory unit (not shown)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treatment, and the like.

전극(200)은 본체(100)의 RF 발생기(120)와 연결되어 RF 발생기(120)에서 발생된 고주파 전류를 공급받는다. 여기서, 상기 제2 종래기술에 따른 다채널 고주파 세기 변조 온열 치료기(1)는 고주파 세기 변조 온열 치료용(IMHT: Intensity Modulated Hyperthermia Treatment)의 다채널 전극(200)을 구비하는 것이다. 즉, 피부, 어깨, 팔/다리 부위를 위한 1채널 전극, 유방 및 가슴 전용 2채널 전극, 머리(Head), 골반(Pelvis) 전용 4채널 전극 등, IMHT용 다채널 전극을 개발함으로써, 환자 및 치료부위에 따라 다양한 전극을 적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즉, 종양 부위 및 크기에 따라 치료 부위 변형이 가능하도록, 각 부위에 최적화된 크기 및 형태의 다채널 전극들을 교체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전극 크기 및 채널 수의 제한으로 넓은 부위에 균일한 온도를 가하기 어려웠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종래에 비해 개선된 전극 재료를 개발하여, 더 높은 효율을 얻을 수도 있다.The electrode 200 is connected to the RF generator 120 of the main body 100 and receives a high frequency current generated from the RF generator 120. Here, the multichannel high-frequency intensity modulation thermal therapy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second prior art has a multi-channel electrode 200 for IMHT (Intensity Modulated Hyperthermia Treatment). That is, by developing a multi-channel electrode for IMHT, such as a 1-channel electrode for skin, shoulder, arm / leg, a 2-channel electrode for breast and chest, and a 4-channel electrode for head and pelvis, It is possible to apply various electrodes according to the treatment site. That is, the multi-channel electrodes of the size and shape optimized for each region are replaceable so that the therapeutic site can be modified depending on the tumor site and size, and a uniform temperature is applied to a wide region due to limitation of the electrode size and channel number It is possibl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that have been difficult.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develop an improved electrode material a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thereby achieving higher efficiency.

추가적으로, 어플리케이터(300)는 본체(100)의 RF 발생기(120)와 연결되어 RF 발생기(120)에서 발생된 고주파 전류를 공급받는다. 즉, 고주파 전류는 대전된 전극(200)과 어플리케이터(300) 사이에 위치된 인체의 환부(C)에 유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어플리케이터(300)에는 냉각을 위해 수냉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환부 접착력 높이기 위한 환자 맞춤형 보정기(Compensator)가 적용될 수 있으며, 환자의 신체 부위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어플리케이터(300)를 고정할 수 있으며 벤딩(bending)이 가능한 어플리케이터 고정 장치(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pplicator 300 is connected to the RF generator 120 of the main body 100 and is supplied with the RF current generated by the RF generator 120. That is, the high-frequency current is induced to the affected part C of the human body positioned between the charged electrode 200 and the applicator 300. The applicator 300 may be water-cooled for cooling. In addition, a patient-customized compensator for increasing adherence of the affected part may be applied, and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and sizes according to the body part of the patient. Further,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applicator 300 may further include an applicator fixing device (not shown) capable of fixing and bending the applicator 300.

마지막으로, 영상 취득 장치(400)는 환자의 영상을 촬영하여 본체(100)의 영상 처리부(14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영상 취득 장치(400)는 일반적인 CT(Computed Tom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등이 적용될 수 있다.Finally, the image acquisition device 400 takes a picture of the patient and transmits it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140 of the main body 100.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400 may be applied to general CT (Computed Tomography),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or the lik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제2 종래기술에 따른 다채널 고주파 세기 변조 온열 치료기(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자면, 우선 환자(H)는 장치의 치료 베드 위에 눕고 종양부위의 일 측에는 1채널, 2채널, 또는 4채널의 전극(200)을 배치하고, 다른 일 측에는 어플리케이터(300)를 배치하여 치료를 시작한다. 이때, 13.56MHz의 고주파가 종양 사이로 통과하면서 열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암세포들이 특히 민감한 13.56MHz의 고주파를 이용하여 비침습적인 에너지 제어방식을 이용하여 암조직에만 선택적으로 종양에 민감한 섭씨 42도의 열을 가함으로써, 직접적으로 종양의 괴사 또는 자살사를 유도하여 대사 및 면역체계를 활성화할 수 있게 된다.To describe the operation of the multichannel high frequency intensity modulation hypertherapy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second prior art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the patient H lies on a treatment bed of the apparatus, and one channel, two channels Or 4-channel electrodes 200 are arranged on the other side, and the applicator 300 is arranged on the other side to start the treatment. At this time, a high frequency of 13.56 MHz passes through the tumor and generates heat. Therefore, cancer cells selectively induce tumor-sensitive temperature of 42 degrees Celsius only in cancer tissues using a non-invasive energy control method using a particularly sensitive 13.56 MHz high frequency to directly induce tumor necrosis or suicide, The immune system can be activated.

따라서, 상기 제2 종래기술에 따른 다채널 고주파 세기 변조 온열 치료기(1)는 종래의 온열 치료장치가 해결하지 못한 췌장암 등 심부 깊숙한 암에도 효과적이며, 암은 조직에 침윤되는 특성을 가진 만큼 암조직을 중심으로 양쪽에서 고주파를 발사함으로써, 보다 높은 열 효과(즉,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종래기술은 가열 부위의 체내 온도를 확인하고, 다채널 전극을 이용하여 넓은 부위에 균일한 온도를 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치료 효과가 극대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refore, the multichannel high frequency intensity modulation thermal therapy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second prior art is effective for deep cancer deep within the body such as pancreatic cancer which is not solved by the conventional thermal therapy apparatus, A higher thermal effect (that is, a therapeutic effect) can be expected by emitting a high frequency from both sides. In addition, the second conventional technique can obtain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therapeutic effect by check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heating site and applying a uniform temperature to a wide area by using the multi-channel electrode.

이제, 상기 제2 종래기술에 따른 다채널 고주파 세기 변조 온열 치료기의 제어 방법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2 종래기술에 따른 다채널 고주파 세기 변조 온열 치료기의 제어 방법은 환자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S110 단계), 상기 입력된 환자 영상으로부터 고주파 에너지 흡수량을 계산하는 단계(S120 단계), 상기 계산된 고주파 에너지 흡수량으로부터 신체 내 온도를 시뮬레이션하는 단계(S130 단계), 상기 시뮬레이션 된 신체 내 온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140 단계)를 포함한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5, a method of controlling a multi-channel high-frequency intensity modulation thermal therapy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conventional technique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Step S110), calculating a high-frequency energy absorption amount from the input patient image (step S120), simulating the temperature in the body based on the calculated high-frequency energy absorption amount (step S130) And displaying the temperature (step S140).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먼저, 영상 취득 장치(400)로부터 전송된 환자의 영상, 예를 들면 CT 영상이나 또는 MRI 영상을 수신하여 이를 처리한다(S110 단계). 이때, CT 영상과 MRI 영상을 융합(fusion)할 수 있다. 즉, CT 영상과 MRI 영상을 입력받아 이를 분할(segmentation)하고, 이를 모델링(modeling) 한 후, 모델링된 데이터를 시뮬레이션 및 최적화(simulation and optimization)하여, 이를 3D로 시각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인체와 같은 비균질 매질에서의 고주파의 흡수 및 열전달을 시뮬레이션하여 온도분포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극 모양에 따른 고주파의 분포를 시뮬레이션할 수도 있고, RF 에너지 분포(distribution)를 계산하여 시뮬레이션 할 수도 있다. 이때 고주파 에너지로부터 신체 내 온도 추정을 위한 다양한 변환 요소(conversion factor)가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병변의 크기와 RF 에너지 흡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할 수도 있다.
First, an image of a patient, for example, a CT image or an MRI image transmitted from the image acquisition apparatus 400 is received and processed (step S110). At this time, the CT image and the MRI image can be fused. That is, it may include a step of segmenting the CT image and the MRI image, modeling the CT image and the MRI image, and then simulating and optimizing the modeled data and visualizing the same in 3D . Through this,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can be obtained by simulating the absorption and heat transfer of high frequencies in a nonhomogeneous medium such as the human bod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imulate the distribution of high frequenci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electrode, or to calculate and simulate an RF energy distribution. At this time, various conversion factors for estimating the temperature in the body from the high frequency energy can be set. These various simulations can be us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lesion size and RF energy absorption.

한편, 이상의 온열 암 치료기의 고주파를 이용한 조직별 열 발생 메커니즘을 약술하면, 고주파로 인한 열 발생 메커니즘은, i) 유전분극에 의한 물리적 발열, ii) 종양 조직의 혈액순환 특성의 차이, 및 iii) 암 세포의 선택적 발열에 기인한다.The heat generation mechanism due to the high frequency is as follows: i) the physical fever due to the genetic polarization; ii) the difference in the blood circulation characteristics of the tumor tissue; and iii) Due to the selective fever of cancer cells.

먼저, 유전분극에 의한 발열을 살펴보면, 도 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전분극 (Dielectric Polarization)은 절연체에 전기장을 가할 때, 한쪽에는 양전하가 많게 되고 다른 한쪽에는 음전하가 많아져 양전하와 음전하가 나뉘는 현상을 말하는바, 이러한 분극 현상이 고주파 주파수 (13.56MHz)에 따라 1초에 13,560,000회 일어나면서 분자의 물리적인 마찰에 의한 발열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First, as shown in FIG. 2A, the dielectric polarization is a phenomenon in which when an electric field is applied to an insulator, a positive charge is increased on one side and a negative charge is increased on the other side, This polarization phenomenon occurs 13,560,000 times per second in accordance with a high frequency (13.56 MHz), and a heat due to the physical friction of the molecules occurs.

아울러, 인체에 열이 가해지면,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상 조직의 혈관이 확장되어 혈류가 증가하면서 방열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종양 조직의 혈관은 확장이 되지 않아 흡수된 열이 축적되어 온도가 빨리 상승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heat is applied to the human body, as shown in FIG. 2B, the blood vessels of the normal tissue expand and blood flow is increased while the blood vessels of the tumor tissue are not enlarged. It rises quickly.

아울러, 종양세포와 건강한 세포의 구조적, 생리학적, 전기적 차이 및 정상 세포와 종양세포의 생물물리학적 차이로 인하여, 전자파에 노출되면 종양세포의 경우, 정상세포에 비해 선택적인 가열이 진행되고, 이에 따라 종양세포가 정상세포보다 먼저 42~43도에 이르게 되면서, 종양세포가 파괴되는 것이다.In addition, due to structural, physiological and electrical differences in tumor cells and healthy cells and biophysical differences between normal cells and tumor cells, selective exposure to electromagnetic waves causes selective heating of tumor cells compared with normal cells, Thus, tumor cells reach 42 to 43 degrees before normal cells, and tumor cells are destroyed.

그런데, 상기 제1 및 제2 종래기술은, 출력된 전자파 중 치료에 유효하게 활용된 전자파 측정이 불가하고, RF 전력과 환부 온도의 상관관계를 알 수 없으며, 단일 스틸형 전극을 활용한 한정적인 치료 방식은, 특정 부위 또는 다중 환부 치료 시 애로사항이 존재한다.However, in the first and second prior arts, it is impossible to measure electromagnetic waves effectively used for treatment among the outputted electromagnetic waves, and it is impossible to know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F power and the temperature of the affected part. Treatment modalities present difficulties in treating certain areas or multiple lesions.

더욱이, 기술적 측면에서 온열 암 치료기는, 고주파를 방사시킨 후에, 그 전자파가 환부에 얼마나 통과했고, 환부 온도 상승에 어떻게 이용됐는지 실시간으로 파악해, 적절한 출력 조절이 필요하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환부 온도 상승 결과를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환자의 느낌을 통해 치료 출력을 조절하는 방식의 원시적인 운영 시스템에 불과하였는바,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였다.Further, from the technical point of view, in the thermal cancer treatment apparatus, it is necessary to grasp in real time how much the electromagnetic wave has passed through the affected part after the high frequency is radiated, how the reflected electromagnetic wave is used to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affected part, There was no way to estimate the result of the elevation, and it was only a primitive operating system in which the treatment output was controlled through the patient's feelings.

또한, 기존의 고주파 온열 암 치료기는 스틸형의 전극만을 가지고 있어 굴곡이 심한 신체 부위에 밀착시키기에 애로사항이 있으며 이에 따라 치료의 효과성이 감소했고, 환자의 안전을 위해 전체 시스템의 동작 상태나 온도제어 등의 이상 발생을 알려주는 방식의 다양성이 부족하며 자동 임피던스 매칭(Automatic Impedance Matching) 시스템이 필요하였다.In addition, the existing high-frequency warming cancer treatment apparatus has only a steel type electrode, and there are difficulties in adhering to a bend-inflated body part. Thus, the 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 is decreased, The lack of a variety of ways to indicate anomalies such as temperature control and the need for an automatic impedance matching system.

더욱이, 기존 기기는 출력값과 치료 시간을 변화시킬 때마다, 방사선사가 직접 기계를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Furthermore, there was an inconvenience that the radiologist had to manually operate the machine whenever the output value and the treatment time were changed.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49678호 (다채널 고주파 세기 변조 온열 치료기의 제어 방법)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5-0049678 (Control Method of Multi-Channel High-Frequency Intensity-Modulated Thermal Therapy Devic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일방적인 전자파 방사가 아닌, 치료 상황에 대한 실시간 피드백을 이용해 목표 온도 도달에 있어 최적화를 추구하고, 다중 안전장치를 활용한 치료 안전성을 확보하며, 소프트웨어 개선을 통한 치료 편의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eek optimization not only by unilateral electromagnetic wave radiation but also by real- , Securing the safety of treatment using multiple safety devices, and ensuring ease of treatment through software improvement.

더욱이, 본 발명은, ① 고주파 통전 전류 측정과 체온 피드백을 이용한 실시간 출력제어 시스템 개발, ② 플랙시블 전극(Flexible Electrode) 개발, ③ 토탈 집중 시스템(Total Integrated System)의 절대적 안전을 확보하는 안전 시스템 개발, 및 ④고주파 치료 프로토콜, 즉 시간대별 출력을 한번에 셋팅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S/W 개발 등 4가지 목표를 달성하여, 의료인의 편의성을 높이고, 기존 제품에 비해 효과성, 활용도, 편의성이 개선된 고주파 온열 암 치료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a real-time output control system using high frequency current measurement and body temperature feedback, development of a flexible electrode, and development of a safety system to secure absolute safety of a total integrated system , And (4) development of a user interface (S / W) that can set the output of the radio frequency treatment at a time,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medical staff and improving the effectivenes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treating a high-frequency warm cancer with improved convenience.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통전전류 피드백을 통한 온열 암 치료 장치는, RF 제너레이터(21) 및 RF 매처(22)에 의해 고주파의 RF 파워를 환자 상부의 상부전극(23)에 인가하며, 환자의 하부에 위치하는 대향전극(24) 및 케이블(25)을 통해 제너레이터 및 매처로 이어지는 RF 공급 회로의 고주파 방사 장치(20)를 포함하는 온열 암 치료 장치로서, 상기 제너레이터(21)를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10); 상기 메인 컨트롤러(10)에 접속되어 각종 정보가 디스플레이되어지는 표시부(60); 및 상기 케이블(25)에서의 통전전류를 측정하여 고주파 통전전류 출력량(Vout) 측정값을 상기 메인 컨트롤러(10)로 인가하게 되는 통전전류 측정부(30); 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컨트롤러(10)는, 상기 통전전류 측정부(30)로부터의 고주파 통전전류 출력량(Vout) 측정값에 의해 실제 치료에 활용된 전자파의 양을 추정하고, 이에 기초하여 상기 RF 제너레이터의 파워를 피드백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treating a warm cancer through conduction current feedback, comprising: a RF generator (21) and an RF matcher (22) And a high frequency radiation device (20) of an RF supply circuit connected to the generator (23) and the generator (25) via a counter electrode (24) and a cable (25) A main controller 10 for controlling the generator 21; A display unit 60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ler 10 and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And a current measuring unit (30) for measuring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able (25) and applying a measurement value of a high frequency current output (Vout) to the main controller (10); The main controller 10 estimates the amount of electromagnetic waves actually used for treatment based on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high frequency current output Vout from the current measurement unit 30, And the power of the generator is feedback-controlled.

바람직하게는, 전자파의 영향을 받지 않는 광섬유(54a)의 온도센서(54)를 이용한 피부 온도 측정 시스템(5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a skin temperature measurement system 50 using a temperature sensor 54 of an optical fiber 54a which is not affected by electromagnetic waves; Further comprising:

더욱 바람직하게는, 여러 실측치를 통해 심부 온도를 추정하기 위해 작성된 룩업 테이블; 을 더 포함하되, 상기 룩업 테이블은, 상기 통전전류 측정부(30)에 의해 측정된 통전전류와 시간의 곱(A×min)으로 구해지는 전달된 에너지와, 상기 피부 온도 측정 시스템(50)에 의해 측정된 피부 온도 값을 이용해, 인체 내부 종양의 온도를 추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preferably, a lookup table prepared for estimating the deep portion temperature through a plurality of measured values; Wherein the look-up table is configured to measure the transmitted energy obtained by multiplying the energizing current measured by the energizing current measuring unit (30) by the time (A x min) And estimating a temperature of a tumor in the human body using the skin temperature value measured by the skin temperature measuring unit.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룩업 테이블은, 상기 전달된 에너지와 상기 피부 온도 값을 각각 X,Y축으로 하며, 피부에서의 깊이를 Z축으로 하는 3차원적 룩업 테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Most preferably, the lookup table is a three-dimensional lookup table having the X and Y axes as the transmitted energy and the skin temperature value, respectively, and the depth in the skin as the Z axis.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전전류 측정부(30)는, 상기 대향전극(24)에서 매칭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너레이터(21)로 돌아가는 신호 리턴용 전선 케이블(25)에 전기적으로, 전자적으로 혹은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커플링(Coupling) 소자(L)를 갖는 전류 픽업(Pick up) 회로(C, L)와, 상기 전류 픽업 회로와 측정회로 사이의 전기적 절연을 위한 포토 커플러(32)와, 상기 측정회로의 측정값을 증폭하여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33)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urrent measuring unit 30 may be electrically or electronically or magnet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cable 25 for signal returning from the counter electrode 24 to the generator 21 through the matching network. A current pick-up circuit (C, L) having a coupling element (L) coupled to the photocoupler (32) for electrical insulation between the current pickup circuit and the measurement circuit; And an output unit (33)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the measured value of the measuring circuit.

또한 바람직하게는, 환자의 바닥에 깔린 물침대(41)에서의 현재 침대 온도를 측정하는 물침대 온도 측정부(42)를 포함하는 과열 방지 안전 시스템(40)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과열 방지 안전 시스템(40)은 측정된 물침대 온도를 상기 메인 컨트롤러(10)로 보내주며, 이에 응하여, 상기 메인 컨트롤러(10)는 RF 제너레이터(21)의 파워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혹시 발생할 수도 있는 과열로 인한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preferably, the system further includes an overheat protection safety system (40) including a water bed temperature measurement unit (42) for measuring the current bed temperature in the waterbed (41) on the floor of the patient, wherein the overheat protection safety system The main controller 10 controls the power or operation of the RF generator 21 so that a problem due to overheating that may occur may be detected by the main controller 10 So that i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전극(23)은, 써멀 전극, 플렉서블 전극, 또는 이들의 결합 전극 중의 어느 한 가지 경우이고, 상기 대향전극(24)은, 써멀 전극, 플레이트 전극, 또는 플렉서블 전극 중의 어느 한 가지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upper electrode 23 is one of a thermal electrode, a flexible electrode, or a combination electrode thereof. The counter electrode 24 may be any one of a thermal electrode, a plate electrode, and a flexible electrode. And one case.

또한 바람직하게는, RF 공급 회로의 고주파 방사 장치(20)를 2 이상 갖으며, 상기 상부전극(23)은, 써멀 전극으로만 구성할 수도 있고, 플렉서블 전극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써멀 전극과 플렉서블 전극을 섞어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upper electrode 23 may be composed of only a thermal electrode or may be composed of only a flexible electrode and may be composed of a thermal electrode and a flexible electrode. And electrodes may be mixed with each other.

한편,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통전전류 피드백을 통한 온열 암 치료 방법은, 상기 온열 암 치료 장치를 이용한 온열 암 치료 방법으로서, (a) 상기 통전전류 측정부(30)에 의해 통전전류를 측정하는 단계(S11); (b) 상기 (a) 단계에서의 통전전류와 인가 시간을 승산함으로써 투입 에너지를 계산하는 단계(S13); (c) 상기 계산된 투입 에너지와 상기 피부 온도 측정 시스템(50)에 의해 측정된 피부 온도 측정값(S14)으로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S15), 심부 온도를 추정하는 단계(S16); (d) 상기 (c) 단계에서 추정된 심부온도가 목표온도와 일치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17); 및 (e) 상기 (d)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처음으로 리턴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너레이터의 출력을 조절한 후에(S18), 처음으로 리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treating a warm cancer with current feedback, the method comprising: (a) (S11) of measuring an energizing current by the unit 30; (b) calculating an input energy by multiplying the energizing current and the application time in the step (a) (S13); (c) referring to the look-up table (S15) with the calculated input energy and the skin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S14) measured by the skin temperature measurement system (50), estimating the deep portion temperature (S16); (d) determining whether the core temperature estimated in the step (c) coincides with the target temperature (S17); And (e) returning first when it is determin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d), and after returning the output of the generator if not (S18); And a control unit.

본 발명에 따른 온열 암 치료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통전 전류 측정, 체온 피드백 및 실시간 출력제어 알고리즘 개발하고, 통전전류 측정으로 실제 치료에 활용된 전자파의 양을 측정, 전자파의 영향을 받지 않는 광섬유 온도센서를 이용해 피부 온도 측정, 상기 실측치를 통해 심부 온도를 추정하는 룩업테이블 작성, 및 목표온도에 도달을 위한 출력 제어 알고리즘 개발을 통해, 1) 제너레이터로부터의 출력이 환자를 통과해 유효하게 치료에 이용된 양을 측정함으로써 치료 효율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피드백하고, 2) 대향 전극(Counter Electrode)의 형상에 따른 RF 회로의 효율적인 측정과 최적화 실시를 가능하게 하며, 3) 전자기장의 영향을 받지 않는 광섬유 온도측정 프로브를 이용해 피부 온도를 실시간 측정해 국소적 과열을 방지히고, 4) 피부 온도와 심부 온도의 관계 데이터 룩업테이블을 이용해 목표 온도 도달 여부를 알려주는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으며, 5) 제반 정보의 패드백으로 종합적인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a warm can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velop an algorithm for measurement of current flow, body temperature feedback and real-time output control algorithm, measure the amount of electromagnetic waves used in actual treatment by measurement of current flow, Through the use of a sensor to measure skin temperature, to create a lookup table that estimates the core temperature through the above measured values, and to develop an output control algorithm to reach the target temperature, 1) the output from the generator is effectively used 2) enables efficient measurement and optimization of the RF circui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ounter electrode, 3) enables the measurement of the optical fiber which is not affected by the electromagnetic field Real-time skin temperature measurement using a temperature measurement probe to prevent local overheating, 4) The algorithm can be applied to indicate whether the target temperature is reached by using the relational data lookup table of deep temperature. 5) It is advantageous to improve overall safety by pad back of all information.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과 효과들은,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Fur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반적으로 온열 암 치료기(Hyperthermia)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a는 일반적인 온열 암 치료기에서 유전분극에 의한 발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b는 일반적인 온열 암 치료기에서 종양 조직의 혈액순환 특성에 의한 발열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제2 종래기술의 다채널 고주파 세기 변조 온열 치료기의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2 종래기술의 다채널 고주파 세기 변조 온열 치료기의 블록도이며,
도 5는 도 3의 제2 종래기술의 다채널 고주파 세기 변조 온열 치료기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통전전류 피드백을 통한 온열 암 치료기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통전전류 피드백을 통한 온열 암 치료기 중에서 통전 전류 측정 및 체온 피드백을 위한 장치 구성도이고,
도 8은 도 7의 통전 전류 측정 회로 개념도이고,
도 9는 도 7의 체온 피드백을 위한 온도 센싱부의 회로 구성도이며,
도 10은 도 7의 광섬유를 이용한 온도 측정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통전전류 피드백을 통한 온열 암 치료를 위한 에너지-온도-표면 깊이에 대한 룩업테이블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통전전류 피드백을 통한 온열 암 치료 방법을 출력 제어 알고리즘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통전전류 피드백을 통한 온열 암 치료 정치에서 안전 시스템을 설명하는 장치 구성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관한 온열 암 치료기 중에서 각종 전극의 예에 대한 변형예들을 나타내며,
도 15는 본 발명에 관한 온열 암 치료기를 이중으로 구성하는 변형예들을 나타낸다.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asic principle of a hyperthermia therapy apparatus in general,
2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heat generation process due to dielectric polarization in a general warm cancer treatment apparatus,
FIG. 2B is a view for explaining heat generation characteristics due to blood circulation characteristics of a tumor tissue in a conventional warm cancer therapeutic apparatus,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multichannel high-frequency intensity modulation thermal therapy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prior art,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channel high-frequency intensity modulation thermal therapy apparatus of the second prior art of FIG. 3,
FIG. 5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multichannel high-frequency intensity modulation thermal therapy apparatus of the second prior art of FIG.
FIG. 6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thermal cancer treatment apparatus through conduction current feedb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measuring current flow and body temperature feedback in a thermal cancer treatment apparatus through conduction current feedb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energization current measuring circuit of Fig. 7,
FIG. 9 is a circuit diagram of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for body temperature feedback in FIG. 7,
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temperature measurement using the optical fiber of FIG. 7,
11 is a look-up table for energy-temperature-surface depth for thermal cancer treatment through conduction current feedback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output control algorithm as a method for treating a warm cancer through conduction current feedb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device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safety system in a warm cancer treatment state through conduction current feedb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shows modifications of examples of various electrodes in the thermal cancer therapeut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shows modified examples of dual thermal therapy de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도면 도 6 내지 도 15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5.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통전전류 피드백을 통한 온열 암 치료기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통전전류 피드백을 통한 온열 암 치료기 중에서 통전 전류 측정 및 체온 피드백을 위한 장치 구성도이고, 도 8은 도 7의 통전 전류 측정 회로 개념도이고, 도 9는 도 7의 체온 피드백을 위한 온도 센싱부의 회로 구성도이며, 도 10은 도 7의 광섬유를 이용한 온도 측정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통전전류 피드백을 통한 온열 암 치료를 위한 에너지-온도-표면 깊이에 대한 룩업테이블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통전전류 피드백을 통한 온열 암 치료 방법을 출력 제어 알고리즘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통전전류 피드백을 통한 온열 암 치료 정치에서 안전 시스템을 설명하는 장치 구성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관한 온열 암 치료기 중에서 각종 전극의 예에 대한 종류들을 나타내며, 도 15는 본 발명에 관한 온열 암 치료기를 이중으로 구성하는 변형예들을 나타낸다.
FIG. 6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thermal cancer therapeutic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evice configuration diagram for energizing current measurement and body temperature feedback in a thermal cancer treatment apparatus through conduction current feedb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ircuit diagram of a temperature sensing unit for body temperature feedback in FIG. 7, 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temperature measurement using the optical fiber of FIG. 7, and FIG. 11 is a look-up table for energy-temperature-surface depth for the treatment of hyperthermia cancer through conduction current feedback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treating hyperthermia cancer through conduction current feedb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device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 safety system in a warm cancer treatment policy through energization current feedb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Represent the type of an example of a variety of heat from the electrode cancer therapy device, Figure 15 shows a modification of the double configuration to the cancer thermotherapy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onl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You will know.

(제1 실시예)(Embodiment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전전류 피드백을 통한 온열 암 치료 장치는, 도 6의 (a)에서 보듯이, 환자의 신체를 통과하는 통전 전류 측정 및 피부 온도 측정의 피드백을 통한 최적 실시간 출력제어를 행하고, 도 6의 (b)에서 보듯이, 환자의 물 침대 온도 측정을 통한 적절한 쿨링 시스템을 가동하여 안전을 확보하고, 도 6의 (c)에서 보듯이, 환자별 치료 데이터, 암 유형별 기본 치료 프로세스를 분석하여, 시간대 별로 출력량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며, 도 6의 (d)에서 보듯이, 상부전극을 써멀(thermal) 전극이나 전도성 천을 사용한 플렉서블 전극으로 구성하고, 대향 전극을 전도성 천 소재의 하부 전극으로 제작하여 환자의 편의성 및 친화성을 증대시킨다.As shown in FIG. 6 (a), the apparatus for treating a warm cancer through conduction current feedb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motive force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current passing through a patient's body, As shown in FIG. 6 (b), the appropriate cooling system is operated by measuring the water bed temperature of the patient to ensure safety. As shown in FIG. 6 (c) 6 (d), the upper electrode is made of a thermal electrode or a flexible electrode using a conductive cloth, and the counter electrode is made of a conductive cloth material And a lower electrode, thereby increasing the convenience and affinity of the patient.

먼저, 통전 전류 측정 및 피부 온도 측정의 피드백을 통한 최적 실시간 출력제어에 대하여,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7에서는, RF 제너레이터(21) 및 RF 매처(22)에 의해 일례로 13.56 MHz의 RF 파워를 환자의 상부전극(23)에 인가하는바, 한편으로는 물침대에 누워있는 환자의 하부에 위치하는 대향전극(24) 및 케이블(25)을 통해 제너레이터 및 매처로 이어지는 RF 회로의 고주파 방사 장치(20)를 구성하게 된다.Referring to Figs. 7 to 10, the RF generator 21 and the RF matcher 22 are used as an example of the optimum real-time output control by feedback of the energization current measurement and the skin temperature measurement. RF power of 13.56 MHz is applied to the upper electrode 23 of the patient and on the other hand to the RF circuit 23 which is connected to the generator and the adapter via the counter electrode 24 and the cable 25 loc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patient lying in the waterbed, Frequency radiation device 20 of FIG.

아울러, 상기 제너레이터(21)를 메인 컨트롤러(10)가 제어하게 되며, 각종 정보가 메인 컨트롤러에 연결된 표시부(60)로 디스플레이되어 진다.In addition, the main controller 10 controls the generator 21, and various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60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ler.

한편, 상기 케이블(25)에서 통전전류 측정부(30)가 통전전류를 측정하게 되는바, 도 8에서와 같은 통전전류 측정부(30)에 의해 측정된 고주파 통전전류 출력량(Vout)을 상기 메인 컨트롤러(10)로 내 보내게 되며, 그리하여, 통전전류 측정으로 실제 치료에 활용된 전자파의 양을 추정하게 되고, 이에 기초하여 메인 컨트롤러는 RF 제너레이터의 파워를 피드백 제어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energization current measuring unit 30 measures the energizing current in the cable 25, the high frequency energizing current output amount Vout measured by the energizing current measuring unit 30 as shown in Fig. So that the amount of electromagnetic waves actually used for the treatment is estimated by measuring the electric current. Based on this, the main controller performs feedback control of the power of the RF generator.

일반적으로, 수 MHz 이상의 고주파를 다루는 전기장치는 회로이론(Circuit Theory)으로 해석할 수가 없으며, 전송선로 이론(Transmission Line Theory)에 입각한 해석을 해야 회로의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바, 본 발명의 주파수는 13.56MHz의 고주파이기 때문에, 회로에 흐르는 전압과 전류를 직접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도 8과 같은 커플링(Coupling) 원리를 이용해 CET (Capacitive Electric Transmission)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Generally, an electric device handling a high frequency of several MHz or more can not be interpreted as a circuit theory, and it is possible to evaluate characteristics of a circuit by analyzing based on a transmission line theory. Since the frequency is a high frequency of 13.56 MHz, it is not possible to directly measure the voltage and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ircuit. Therefore,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ET (Capacitive Electric Transmission) circuit can be measured using the coupling principle shown in FIG. .

즉, 상기 커플링 원리를 이용한 도 8의 회로를 이용함으로써, 인체를 통과한 전류의 양을 실시간으로 측정 가능하며, RF 제너레이터에서 발생하여 매칭 네트워크(Matching Network)를 통과한 전류가, 동축 케이블과 각종 커넥터(Connector)에서 손실되고, 전극(23, 24)에서 공간상으로 방사되어 손실된 전자파를 제외한, 실제 인체를 통과한 전류의 양을 측정할 수 있게 되므로, 치료에 활용된 전류의 과.부족을 알수 있게 되고, 그에 따른 출력 파워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by using the circuit of FIG. 8 using the coupling principle, the amount of current passing through the human body can be measured in real time, and a current generated in the RF generator and passed through a matching network is transmitted to the coaxial cable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amount of electric current passing through the human body except for the electromagnetic waves lost by various connectors and radiated into the space at the electrodes 23 and 24 and lost. It becomes possible to know the shortage and to adjust the output power accordingly.

상기 통전전류 측정부(30) 회로는, 크게 나누어 대향전극(24)에서 매칭 네트워크(Matching network)를 통해 제너레이터(21)로 돌아가는 신호 리턴용 전선 케이블(25)에 감겨 있는 커플링(Coupling) 소자(L)가 있으며, 이 장치는 13.56MHz의 주파수에 최적화된 검파 특성을 갖도록 설계되어 진다. 그 뒤에는 전류 픽업(Pick up) 회로(C, L)와 측정회로 사이의 전기적 절연을 위한 포토 커플러(32), 그리고, 증폭기(A)와 그 출력회로로 구성되는 출력부(33)로 구성되어 있다.The circuit of the current measuring unit 30 is roughly divided into a coupling unit which is wound around a signal return cable 25 returning from the counter electrode 24 to the generator 21 through a matching network (L), which is designed to have a detection characteristic optimized for a frequency of 13.56 MHz. Followed by a photocoupler 32 for electrical insulation between the current pick-up circuits C and L and the measuring circuit and an output unit 33 consisting of the amplifier A and its output circuit have.

도 8에서 보듯이, 커플링 소자인 인덕터(L)로 이루어지는 전류 픽업회로(31)에서 유도된 기전력이 포토커플러(32)의 발광부인 램프(LP)를 발광시키게 되고, 역시 포토커플러의 수광부인 광 센서(PD)를 구동하며, 이는 출력부(33)의 증폭기(A)에서 증폭되어 고주파 통전전류 출력량(Vout)을 상기 메인 컨트롤러(10)로 내 보내게 된다. 미설명부호 'C'는 'L'과 함께 공진회로로서의 전류픽업 회로를 구성하기 위한 공진용 커패시터이다.
8, the electromotive force induced in the current pickup circuit 31 composed of the inductor L, which is a coupling element, causes the lamp LP, which is the light emitting portion of the photocoupler 32, to emit light, And drives the optical sensor PD which is amplified by the amplifier A of the output unit 33 and outputs the high frequency current output amount Vout to the main controller 10. [ Reference character 'C' denotes a resonance capacitor for constituting a current pickup circuit as a resonance circuit together with 'L'.

한편, 도 9 및 도 10은, 전자파의 영향을 받지 않는 광섬유 온도센서를 이용한 피부 온도 측정 시스템에 대해 도시하고 있는바, 온열 암 치료는 종양 조직의 온도를 42~43도로 가열하면 종양 세포를 괴사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인데, 정상세포도 고주파의 영향을 받아 온도가 올라갈 수가 있으며, 따라서 의도된 가온이 될 수 있도록 조직의 정확한 온도 분포를 측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9 and 10 illustrate a skin temperature measurement system using an optical fiber temperature sensor that is not affected by electromagnetic waves. As shown in FIG. 9 and FIG. 10, when the temperature of the tumor tissue is heated to 42 to 43 degrees, It is very important to measure the exact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issues so that normal cells can also be affected by high frequencies and the temperature can rise, and thus become the intended temperature.

그러나, 현재 시장에 판매중인 온열 암 치료기는, 환부 또는 환자 피부의 온도를 측정하고 그것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크게 두 가지로 구분이 된다. 시장점유율 70%이상(추정치)을 차지하는 'Oncotherm GmbH'(Germany)와 20%이상(추정치)을 차지하는 'Celsius GmbH'(Germany)는 환부 또는 피부 온도를 측정하는 시스템을 갖고 있지 않다. 이 두 장비는 치료 도중에 환자가 뜨겁다고 느끼고 있으면 출력을 줄이고, 참을 수 있다고 하면 출력을 높여주는 방법이다.However, there are two broad categories of methods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affected part or the skin of the patient and using it. 'Oncotherm GmbH' (Germany), which accounts for more than 70% of the market share (estimated), and 'Celsius GmbH' (Germany), which occupies more than 20% (estimate), does not have a system to measure lesions or skin temperature. These two devices reduce the output if the patient feels hot during treatment, and increase the output if they can tolerate it.

반면에 'Yamamoto Vinta'사 (Japan)의 제품은, 환부의 신체 내부에 침습적인 방법으로 온도센서를 삽입하여 종양의 온도를 측정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열전대(Thermocouple)를 이용하지만, 이는 침습적인 방법으로 암세포와 피부조직에서의 출혈이 불가피하고, 고주파 전류의 영향으로 정확한 온도 측정이 불가능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product of Yamamoto Vinta (Japan) uses a thermocouple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tumor by inserting a temperature sensor into the body of the affected part in an invasive manner, , Hemorrhage in cancer cells and skin tissue is inevitable, and accurate temperature measurement is impossible due to influence of high frequency current.

한편으로는, 이상의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온도 센서가 동작하는 시간 동안은 고주파를 정지시키는 편법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치료시간의 비효율성이라는 단점이 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event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re is a case where the high frequency is stopped during the operation time of the temperature sensor is used, which is a disadvantage of inefficiency of the treatment time.

또한 피부암(Skin Cancer)과 같이 외피(Integument)조직에 대한 열치료는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Thermal Infraed Camera)를 이용하여 열의 확산에 의한 온도분포의 변화를 실시간 관찰할 수 있지만, 열화상 카메라의 경우, 치료시 방해받지 않기 위한 카메라의 위치선정 문제, 영상의 해상도의 한계, 측정 온도의 부정확성 등과 같은 단점을 가진다.In addition, heat treatment for the tissue of the integument such as skin cancer can observe the change of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due to heat diffusion in real time using a thermal infrared camera, but in the case of the thermal camera , The location of the camera to avoid disturbing the treatment, the resolution limit of the image, and the inaccuracy of the measurement temperature.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단점을 모두 극복하고자,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피부 체온 정보 피드백 알고리즘을 적용하는바, 도 9의 온도 센싱 회로 및 관련 시스템 모식도에서 보듯이, 전자파를 발생시키는 RF 제너레이터(21)와 매처(22) 및 매칭 네트워크, 그리고 RF 전송선로로서 광축 케이블(25)이 있고, 최종적으로 상부전극(23)과 대향전극(24)으로 RF 시스템이 구성되어 있으며, 온도 측정 장비로서의 광섬유(54a)를 포함한 온도센서(Fiber Optic Thermo sensor)(54)와 그 컨트롤러 본체(53), 그리고 이 온도값을 피드백받는 입출력장치(52), 측정모니터(51) 및 감시장비(55)의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overcome all the disadvantages, a skin temperature information feedback algorithm using an optical fiber sensor is applied. As shown in the temperature sensing circuit and the related system schematic diagram of FIG. 9, a RF generator 21 for generating electromagnetic waves, A matching network and an RF transmission line are provided with an optical axis cable 25. An RF system is finally formed by the upper electrode 23 and the counter electrode 24 and an optical fiber 54a And a computer system of a temperature sensor (fiber optic thermo sensor) 54, a controller main body 53 and an input / output device 52 receiving the temperature value, a measurement monitor 51 and a monitoring device 55 .

참고로, 상기 컨트롤러 본체(53)는 광섬유 센서로 광 신호를 발생하고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 및 증폭하며 ICS I/O 유닛으로 측정된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입출력장치(52)는 측정장비로 측정 지령을 발하고 측정 소프트웨어에 의한 데이터를 취득한다. 상기 온도 측정 장비(54)는, 상기 다채널 컨넥터를 구성하며, 상기 측정모니터(51)는 IO 유닛 및 OTMS 작동 상태 모니터이고, 상기 감시부(55)는 감시, 분석, 진단 소프트웨어에 의해 다양한 감시 모니터링을 행한다.For reference, the controller body 53 generates an optical signal with an optical fiber sensor, converts the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mplifies the optical signal, and transmits the measured data to the ICS I / O unit. The input / output device 52 issues a measurement command to the measurement equipment and acquires data by the measurement software. The monitoring unit 51 is an IO unit and an OTMS operating status monitor. The monitoring unit 55 monitors various kinds of monitoring by the monitoring, analysis, and diagnosis software, Monitoring is performed.

상기 광섬유 온도센서(54)는, 유연성과 전자기파에 대한 무간섭 및 신호의 원거리 전송능력 등의 특성을 갖고 있는바, 상기 광섬유를 이용한 온도 측정 원리를 설명하면,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적외선 광 펄스를 광섬유에 발하면, 구성 물질이 열 격자 분자 운동을 하게 되어 펄스파형이 변형된 광이 수신되는바, 이를 이용한 온도센서이다.
The optical fiber temperature sensor 54 has characteristics such as flexibility, no interference with electromagnetic waves, and remote transmission capability of signals. The principle of temperature measurement using the optical fiber will now be described. As shown in FIG. 10, When an infrared optical pulse is emitted to an optical fiber, the constituent material undergoes thermal lattice molecular motion, and the light of which the pulse waveform is deformed is received.

이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통전전류 피드백을 통한 온열 암 치료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여러 실측치를 통해 심부 온도를 추정하는 도 13에서와 같은 룩업 테이블을 작성하는바, 인체를 통과해 종양 조직의 가온에 이용된 전류의 양과, 피부 온도 값을 이용해 인체 내부 종양의 온도를 추정할 수 있는 룩업 테이블(LUT, Look Up Table)을 미리 구성한다.Now, with reference to Figs. 12 and 13, a method for treating a warm cancer through conduction current feedback will be described. First, a look-up table as shown in FIG. 13 for estimating the deep portion temperature is calculated through several measured values. The amount of current used for warming the tumor tissue through the human body and the skin temperature value are used to estimate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body tumor A lookup table (LUT) is prepared in advance.

참고로, 룩업 테이블은 컴퓨터 과학에서 일반적으로 배열이나 연관 배열로 된 데이터 구조로, 런타임 계산을 더 단순한 배열 색인화 과정으로 대체하는 데 자주 쓰인다. 처리 시간의 절약은 중요할 수 있는데, 이는 메모리로부터 값을 받아오는 것이 더 일이 많이 드는 계산이나 입출력 기능을 거치는 것보다 더 빠르기 때문이다. 테이블들은 정적인 프로그램 저장소에 미리 계산되어 저장하거나, 프로그램 초기화 단계(메모이제이션)의 일부로 계산(프리페치)할 수도 있다. 룩업 테이블은 배열에 위치한 일련의 (올바르거나 올바르지 않은) 값 항목들을 일치시키면서 입력값이 유효한지 확인하는 데 널리 쓰이기도 하며,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포인터 함수를 포함(또는 레이블로 오프셋)하여 일치하는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For reference, lookup tables are often used in computer science as data structures in arrays or associative arrays, often replacing run-time arithmetic with simpler array indexing. Saving processing time can be important because it is faster to fetch values from memory than through more computationally intensive computation or I / O functions. Tables can be pre-calculated and stored in a static program repository, or computed (pre-fetched) as part of the program initialization phase (memoization). A lookup table is commonly used to check that an input value is valid while matching a series of (correct or incorrect) value items in an array. In programming languages, a pointer function is included (or offset to a label) Can be processed.

본 발명에서는 도 13의 그림과 같이, 전달된 에너지와 피부 온도를 각각 X,Y축으로 하며, 피부에서의 깊이를 Z축으로 하는 3차원적 LUT를 작성하고자 한다. 도 13에서, X축의 에너지(Joule)는 통전전류와 시간의 곱(A×min)으로 구해지며, Y축의 피부 온도는 상기 도 9 및 도 10의 광섬유 온도계로부터 측정된 온도를 나타낸다. 이 테이블을 이용해 심부 온도를 추정할 수 있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3, a three-dimensional LUT having the energy and the skin temperature as the X and Y axes respectively and the skin depth as the Z axis will be created. 13, the energy Joule of the X axis is obtained by multiplying the energization current by the time (A x min), and the skin temperature of the Y axis is the temperature measured from the optical fiber thermometer of Figs. This table can be used to estimate the core temperature.

상기 LUT의 완성을 위해서는 수 많은 팬텀 실험이 필요하고, 효과적인 실험을 위해 최소한 4 채널 이상의 광파이버 온도계가 필수적이다.Numerous phantom experiments are required to complete the LUT, and at least four optical fiber thermometers are essential for effective experimentation.

이제, 룩업 테이블이 완성되면, 상기 룩업 테이블과 도 6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통전전류와 피부 온도, 그리고 LUT에 의해 추정된 심부 종양 온도는, 목표 온도와 비교되면서 출력의 적정성을 판단하게 되고, 필요시 출력을 조정하도록 해 준다.When the look-up table is completed, using the look-up table and the system of Fig. 6, the energization current, the skin temperature, and the deep tumor temperature estimated by the LUT are compared with the target temperature, Allows you to adjust the output as needed.

상기 통전전류 피드백을 통한 온열 암 치료 방법을 도 1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통전전류를 측정하고(S11), 타이머 정보(S12)에 기하여, 이들을 승산함으로써 에너지를 계산한다(S13).12, the energization current is first measured (S11), and the energy is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current based on the timer information S12 (S13 ).

이후, 상기 계산된 에너지와 측정된 피부 온도 측정값(S14)으로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S15), 심부 온도를 추정하게 된다(S16). Thereafter, referring to the lookup table with the calculated energy and the measured skin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S14 (S15), the skin temperature is estimated (S16).

그리하여, 추정된 심부온도가 목표온도와 일치하는가를 판단하여(S17),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그냥 처음으로 리턴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너레이터의 출력을 조절한 후에(S18), 처음으로 리턴하게 된다.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estimated core temperature coincides with the target temperature (S17).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stimated core temperature coincides with the target temperature, the first return is made. Otherwise, after the output of the generator is adjusted (S18), the first return is made.

그리하여, 심부온도가 실시간으로 추정되고 이를 피드백하여 제너레이터의 출력을 조절함으로써, 보다 실시간적으로 정확하며 효율적인 온열 암 치료가 가능하게 된다.
Thus, by adjusting the output of the generator by estimating the deep temperature in real time and feeding it back, more accurate and efficient warm cancer treatment is possible in real time.

한편으로, 본 발명의 통전전류 피드백을 통한 온열 암 치료 장치는 더욱 안전한 시스템을 위해, 도 13과 같은 과열 방지 안전 시스템(40)을 구축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more preferable to construct the overheat prevention safety system 40 as shown in FIG. 13 for a more secure system of the warm cancer treatment apparatus through the conduction current feedback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RF 제너레이터(21)와 매처(22) 및 RF 전송선로로서 광축 케이블(25)과 최종적으로 상부전극(23) 및 대향전극(24)으로 이루어진 매칭 네트워크 및 RF 시스템에 있어서, 환자의 바닥에 깔린 물침대(41)에서의 현재 침대 온도를 측정하는 물침대 온도 측정부(42)를 형성하고, 측정된 물침대 온도를 메인 컨트롤러(10)로 보내주며, 이에 응하여, 혹은 환자가 직접 제어하는 리모컨(43) 신호에 응하여, 메인 컨트롤러(10)는 RF 제너레이터의 파워나 동작을 제어하고, 혹은 쿨링부(44)를 구동함으로써, 혹시 발생할 수도 있는 과열로 인한 화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in the matching network and the RF system consisting of the RF generator 21, the matcher 22 and the optical axis cable 25 as the RF transmission line and finally the upper electrode 23 and the counter electrode 24, A water bed temperature measuring part 42 for measuring the current bed temperature in the waterbed 41 is formed and the measured water bed temperature is sent to the main controller 10 and the remote controller 43 ) Signal, the main controller 10 controls the power or operation of the RF generator or drives the cooling unit 44 so as to prevent an image due to overheating, which may possibly occur.

(제1 변형예)(First Modification)

이제,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통전전류 피드백을 통한 온열 암 치료 장치 중에서 각종 전극의 예에 대한 변형예들을 설명한다.Now, with reference to FIG. 14, modifications of examples of various electrodes among the apparatus for treating a warm cancer through conduction current feedb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4의 (a)는, 상부전극(23)을 써멀 전극으로, 대향전극(24)을 플레이트 전극으로 형성한 예이고, 도 14의 (b)는, 상부전극(23)을 써멀 전극으로, 대향전극(24a)도 써멀 전극으로 형성한 예이고, 도 14의 (c)는, 상부전극(23a)을 플렉서블 전극으로, 대향전극(24b)도 플렉서블 전극으로 형성한 예이다. 14A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upper electrode 23 is a thermal electrode and the counter electrode 24 is a plate electrode. FIG. 14B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upper electrode 23 is a thermal electrode, FIG. 14C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upper electrode 23a is a flexible electrode and the counter electrode 24b is a flexible electrode. FIG. 14C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ounter electrode 24a is formed of a thermal electrode.

도 14의 (d)는, 상부전극을 써멀 전극(23)과 플렉서블 전극(23a)의 이중으로 구성하되, RF 공급 케이블 커넥팅 단부에 RF 디바이더/실렉터(26)을 설치하고, 상기 써멀 전극(23)과 플렉서블 전극(23a)이 접속되도록 하며, 대향전극(24)을 넓게 구성한 플레이트 전극으로 형성한 또다른 변형예도 가능하다.14 (d)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upper electrode is composed of a double layer of the thermal electrode 23 and the flexible electrode 23a, and the RF divider / selector 26 is provided at the end of connecting the RF supply cable, And the flexible electrode 23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counter electrode 24 is formed to be a wide plate electrode.

참고로, 본 발명자는, 2016년 1월 29일자로, 발명의 명칭이 "온열 치료기 및 그에 사용되는 패드 전극"인 특허출원 제10-2016-11974호를 출원하였는바, 상기 선출원의 명세서의 내용은 본 출원의 명세서에서도 참조되어 진다.As a reference, the present inventor filed a patent application No. 10-2016-11974, entitled " a thermal therapy apparatus and a pad electrode used therein, " filed on January 29, 2016, Are also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따라서, 상기 제1 변형예에 의하면, 특정 부위의 환부 치료에 적응성을 가지며, 치료하고자 하는 환자의 각 부위의 기하학적 형태에 맞추어서 다양한 형상의 전극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cation, various shapes of electrodes can be used in accordance with the geometric shape of each part of the patient to be treated, which is adaptable to the treatment of the affected part of the specific part.

(제2 변형예)(Second Modification)

마지막으로,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통전전류 피드백을 통한 온열 암 치료 장치를 이중으로 구성하는 변형예들을 설명한다.Finally, with reference to FIG. 15, modified examples in which a hyperthermia treatment apparatus based on conduction current feedb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in duplicate will be described.

도 15는, RF 공급 시스템을 이중으로 구성하여, 제1 매처 네트워크(Channel 1)에는 제1 제너레이터(21) 및 제2 매처(22)와 제1 상부전극으로서 써멀 전극(23) 및 대향 전극(24)을 플레이트 전극으로 형성하고, 제2 매처 네트워크(Channel 2)에는 제2 제너레이터(21') 및 제2 매처(22')와 제2 상부전극으로서 플렉서블 전극(23a)으로 구성하고, 대향 전극(24)으로서 상기 플레이트 전극을 공유하는 듀얼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15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RF supply system is constructed in a duplex structure so that first and second matrices 21 and 22 and a thermal electrode 23 and a counter electrode 24 are formed as plate electrodes and the second generator 21 'and the second matters 22' and the flexible electrodes 23a as the second upper electrodes are formed in the second mapper network (Channel 2) A dual system is disclosed in which the plate electrode is shared as the electrode 24.

따라서, 상기 제2 변형예에 의하면, 특정 부위 또는 다중 환부 치료에 적합한바, 치료하고자 하는 환자의 각 부위의 기하학적 형태에 맞게 다양한 형상의 전극을 사용하도록 하면서, 동시에 각 부위의 신체 특성에 따라서, 혹은 암 발생한 부위의 깊이에 따라서 상이한 파워를 갖는 RF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cation, it is possible to use various shapes of electrodes according to the geometrical shape of each part of the patient to be treated, which is suitable for treatment of a specific site or multiple lesions, and at the same time, Or to supply RF having a different power depending on the depth of the cancerous site.

이처럼,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odif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Accordingly,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y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 : 메인 컨트롤러(main controller) 20 : 고주파 방사 장치
21 : 제너레이터(generator) 22 : 매처(matcher)
23 : 상부 전극 (Electrode, Applicator) 24 : 대향 전극 (Counter Electrode)
25 : 케이블 26 : RF 디바이더/실렉터
30 : 통전전류 측정부 31 : 전류픽업회로
32 : 포토 커플러 33 : 출력부
40 : 안전 시스템부 41 : 물침대 (Water Bed)
42 : 물침대 온도 측정부 43 : 리모콘
44 : 쿨링부
50 : 피부온도 측정/감시부 51 : 피부온도 측정 모니터
52 : 입출력장치 53 : 컨트롤러 본체
54 : 피부온도 측정장비 55 : 피부온도 감시부
60 : 표시부
10: main controller 20: high frequency radiator
21: generator 22: matcher
23: an upper electrode (Applicator) 24: a counter electrode (Counter Electrode)
25: Cable 26: RF divider / selector
30: energization current measurement part 31: current pickup circuit
32: photo coupler 33: output section
40: Safety system part 41: Water bed
42: Waterbed temperature measuring unit 43: Remote control
44: Cooling section
50: skin temperature measurement / monitoring part 51: skin temperature measurement monitor
52: input / output device 53: controller body
54: skin temperature measuring instrument 55: skin temperature monitoring unit
60:

Claims (9)

RF 제너레이터(21) 및 RF 매처(22)에 의해 고주파의 RF 파워를 환자 상부의 상부전극(23)에 인가하며, 환자의 하부에 위치하는 대향전극(24) 및 케이블(25)을 통해 제너레이터 및 매처로 이어지는 RF 공급 회로의 고주파 방사 장치(20)를 포함하는 온열 암 치료 장치로서,
상기 제너레이터(21)를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10);
상기 메인 컨트롤러(10)에 접속되어 각종 정보가 디스플레이되어지는 표시부(60); 및
상기 케이블(25)에서의 통전전류를 측정하여 고주파 통전전류 출력량(Vout) 측정값을 상기 메인 컨트롤러(10)로 인가하게 되는 통전전류 측정부(30);
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컨트롤러(10)는, 상기 통전전류 측정부(30)로부터의 고주파 통전전류 출력량(Vout) 측정값에 의해 실제 치료에 활용된 전자파의 양을 추정하고, 이에 기초하여 상기 RF 제너레이터의 파워를 피드백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전류 피드백을 통한 온열 암 치료 장치.
RF power of high frequency is applied to the upper electrode 23 of the patient by the RF generator 21 and the RF matcher 22 and is supplied to the generator and the counter electrode 24 via the counter electrode 24 and the cable 25, 1. A hyperthermia treatment device comprising a high frequency radiation device (20) of an RF supply circuit connected to a massager,
A main controller 10 for controlling the generator 21;
A display unit 60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ler 10 and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And
A current measuring unit 30 for measuring 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cable 25 and applying a measured value of the high-frequency current output Vout to the main controller 10;
/ RTI >
The main controller 10 estimates the amount of electromagnetic waves actually used for treatment based on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high frequency current output amount Vout from the current measurement unit 30 and outputs the power of the RF generator Wherein the feedback control is performed based on the current feedback.
제 1 항에 있어서,
전자파의 영향을 받지 않는 광섬유(54a)의 온도센서(54)를 이용한 피부 온도 측정 시스템(5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전류 피드백을 통한 온열 암 치료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kin temperature measuring system (50) using a temperature sensor (54) of an optical fiber (54a) not affected by electromagnetic waves; Further comprising an electric current feedback circuit for applying a current to the heater.
제 2 항에 있어서,
여러 실측치를 통해 심부 온도를 추정하기 위해 작성된 룩업 테이블; 을 더 포함하되,
상기 룩업 테이블은, 상기 통전전류 측정부(30)에 의해 측정된 통전전류와 시간의 곱(A×min)으로 구해지는 전달된 에너지와, 상기 피부 온도 측정 시스템(50)에 의해 측정된 피부 온도 값을 이용해, 인체 내부 종양의 온도를 추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전류 피드백을 통한 온열 암 치료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 lookup table created to estimate deep temperature through multiple measurements; , ≪ / RTI >
The look-up table is a table that stores the energy delivered by the product of the energizing current measured by the energizing current measuring unit 30 and the time (A x min), the skin temperature measured by the skin temperature measuring system 50 And estimating the temperature of the tumor in the human body using the value of the current valu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 테이블은, 상기 전달된 에너지와 상기 피부 온도 값을 각각 X,Y축으로 하며, 피부에서의 깊이를 Z축으로 하는 3차원적 룩업 테이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전류 피드백을 통한 온열 암 치료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ook-up table is a three-dimensional look-up table in which the transmitted energy and the skin temperature value are X and Y axes, respectively, and the skin depth is a Z axis.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전전류 측정부(30)는,
상기 대향전극(24)에서 매칭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너레이터(21)로 돌아가는 신호 리턴용 전선 케이블(25)에 전기적으로, 전자적으로 혹은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커플링(Coupling) 소자(L)를 갖는 전류 픽업(Pick up) 회로(C, L)와,
상기 전류 픽업 회로와 측정회로 사이의 전기적 절연을 위한 포토 커플러(32)와,
상기 측정회로의 측정값을 증폭하여 출력하기 위한 출력부(33)
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전류 피드백을 통한 온열 암 치료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nergization current measuring unit (30)
And has a coupling element L electrically, electronically or magnetically coupled to the electric cable 25 for signal return which returns from the counter electrode 24 to the generator 21 through the matching network Current pick-up circuits C and L,
An opto-coupler (32) for electrical insulation between the current pick-up circuit and the measurement circuit,
An output unit 33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measurement circu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heating unit.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자의 바닥에 깔린 물침대(41)에서의 현재 침대 온도를 측정하는 물침대 온도 측정부(42)를 포함하는 과열 방지 안전 시스템(40)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과열 방지 안전 시스템(40)은 측정된 물침대 온도를 상기 메인 컨트롤러(10)로 보내주며, 이에 응하여, 상기 메인 컨트롤러(10)는 RF 제너레이터(21)의 파워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혹시 발생할 수도 있는 과열로 인한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전류 피드백을 통한 온열 암 치료 장치.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Further comprising an overheat protection safety system (40) including a water bed temperature measurement unit (42) for measuring the current bed temperature in the waterbed (41) placed on the floor of the patient,
The main controller 10 controls the power or operation of the RF generator 21 so a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 overheat prevention safety system 40. [ Wherein the heating means is configured to prevent a problem due to overheating of the heating means.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전극(23)은, 써멀 전극, 플렉서블 전극, 또는 이들의 결합 전극 중의 어느 한 가지 경우이고,
상기 대향전극(24)은, 써멀 전극, 플레이트 전극, 또는 플렉서블 전극 중의 어느 한 가지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전류 피드백을 통한 온열 암 치료 장치.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upper electrode 23 may be one of a thermal electrode, a flexible electrode, or a combination electrode thereof.
Wherein the counter electrode (24) is one of a thermal electrode, a plate electrode, and a flexible electrode.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F 공급 회로의 고주파 방사 장치(20)를 2 이상 갖으며, 상기 상부전극(23)은, 써멀 전극으로만 구성할 수도 있고, 플렉서블 전극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써멀 전극과 플렉서블 전극을 섞어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전류 피드백을 통한 온열 암 치료 장치.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upper electrode 23 may be constituted only by a thermal electrode or may be constituted by only a flexible electrode or may be constituted by mixing a thermal electrode and a flexible electrode Wherein the apparatus further comprises:
제 2 항의 온열 암 치료 장치를 이용한 온열 암 치료 방법으로서,
(a) 상기 통전전류 측정부(30)에 의해 통전전류를 측정하는 단계(S11);
(b) 상기 (a) 단계에서의 통전전류와 인가 시간을 승산함으로써 투입 에너지를 계산하는 단계(S13);
(c) 상기 계산된 투입 에너지와 상기 피부 온도 측정 시스템(50)에 의해 측정된 피부 온도 측정값(S14)으로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S15), 심부 온도를 추정하는 단계(S16);
(d) 상기 (c) 단계에서 추정된 심부온도가 목표온도와 일치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17); 및
(e) 상기 (d)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처음으로 리턴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너레이터의 출력을 조절한 후에(S18), 처음으로 리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전전류 피드백을 통한 온열 암 치료 방법.
A method of treating a hyperthermia using the hyperthermia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a) measuring an energizing current by the energizing current measuring unit (S11);
(b) calculating an input energy by multiplying the energizing current and the application time in the step (a) (S13);
(c) referring to the look-up table (S15) with the calculated input energy and the skin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S14) measured by the skin temperature measurement system (50), estimating the deep portion temperature (S16);
(d) determining whether the core temperature estimated in the step (c) coincides with the target temperature (S17); And
(e) returning to the first state if it is determin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d), otherwise returning to the first after adjusting the output of the generator (S18);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KR1020170050358A 2017-04-19 2017-04-19 Apparatus and Method for Hyperthermia Treatment by using a current feedback KR1019715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358A KR101971585B1 (en) 2017-04-19 2017-04-19 Apparatus and Method for Hyperthermia Treatment by using a current feedb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358A KR101971585B1 (en) 2017-04-19 2017-04-19 Apparatus and Method for Hyperthermia Treatment by using a current feedba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362A true KR20180117362A (en) 2018-10-29
KR101971585B1 KR101971585B1 (en) 2019-04-23

Family

ID=64101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358A KR101971585B1 (en) 2017-04-19 2017-04-19 Apparatus and Method for Hyperthermia Treatment by using a current feedba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58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98297A (en) * 2020-03-21 2020-06-19 安徽兆立普医疗器械有限公司 High-frequency oscillation rehabilitation instrument for sub-high temperature thermotherap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8504A (en) * 2008-12-30 2010-07-08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High frequency electrical treatment equipment
KR20130009096A (en) * 2011-07-14 2013-01-23 주식회사 유니온 메디칼 Hot heat medical apparatus using radio frequency
JP2014195648A (en) * 2008-03-28 2014-10-16 コヴィディエン リミテッド パートナーシップ Electrosurgical apparatus with predictive rf source control
KR20150049678A (en) 2013-10-30 2015-05-08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Multi-channel Intensity Modulated Hyperthermia Treat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95648A (en) * 2008-03-28 2014-10-16 コヴィディエン リミテッド パートナーシップ Electrosurgical apparatus with predictive rf source control
KR20100078504A (en) * 2008-12-30 2010-07-08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High frequency electrical treatment equipment
KR20130009096A (en) * 2011-07-14 2013-01-23 주식회사 유니온 메디칼 Hot heat medical apparatus using radio frequency
KR20150049678A (en) 2013-10-30 2015-05-08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Multi-channel Intensity Modulated Hyperthermia Treat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98297A (en) * 2020-03-21 2020-06-19 安徽兆立普医疗器械有限公司 High-frequency oscillation rehabilitation instrument for sub-high temperature thermotherap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1585B1 (en) 201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2122A (en) Magnetic resonance guided hyperthermia
Rijnen et al. Clinical integration of software tool VEDO for adaptive and quantitative application of phased array hyperthermia in the head and neck
EP2401033B1 (en) Apparatus for therapeutic treatments using magnetic nanoparticles
Seegenschmiedt et al. Interstitial thermoradiotherapy: review on technical and clinical aspects
Johannsen et al. Thermotherapy of prostate cancer using magnetic nanoparticles: feasibility, imaging, and three-dimensional temperature distribution
US87281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ergy delivery to a tissue using an electrode array
US6904323B2 (en) Non-invasiv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F energy-induced localized hyperthermia
US1079971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argeted deep hyperthermia by time-shared RF inductive applicators
US20130079852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 Property Of A Tissue
Emami et al. RTOG quality assurance guidelines for interstitial hyperthermia
KR102388511B1 (en) Treatment system for unwanted tissue
US10232188B2 (en) Single c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hyperthermic treatments
US966923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yperthermic treatments
KR10197158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yperthermia Treatment by using a current feedback
KR101981733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an applied electric current through the calibration of a Hyperthermia Treatment
KR20150049678A (en) Multi-channel Intensity Modulated Hyperthermia Treatment
Zhu et al. Characterization of magnetic resonance-guided high-intensity focused ultrasound (MRgHIFU)-induced large-volume hyperthermia in deep and superficial targets in a porcine model
Petrusca et al. A nonparametric temperature controller with nonlinear negative reaction for multi-point rapid MR-guided HIFU ablation
Stauffer et al. Progress on system for applying simultaneous heat and brachytherapy to large-area surface disease
Trefna et al. Delivering Energy using Localized Hyperthermia Systems
Iseki et al. A new heating method with dielectric bolus using resonant cavity applicator for brain tumors
Kaatee et al. Spatial temperature control with a 27 MHz current source interstitial hyperthermia system
KR20150049679A (en) Multi-channel Intensity Modulated Hyperthermia Treatment
Visser et al. Technical and clinical quality assurance
Mittal et al. Simultaneous localized 915 MHz external and interstitial microwave hyperthermia to heat tumors greater than 3 cm in dep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