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7019A - Sack for storage - Google Patents

Sack for stor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7019A
KR20180117019A KR1020170099650A KR20170099650A KR20180117019A KR 20180117019 A KR20180117019 A KR 20180117019A KR 1020170099650 A KR1020170099650 A KR 1020170099650A KR 20170099650 A KR20170099650 A KR 20170099650A KR 20180117019 A KR20180117019 A KR 20180117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rod
bag portion
support
s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96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51653B1 (en
Inventor
박현복
Original Assignee
(유)복영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복영산업 filed Critical (유)복영산업
Publication of KR20180117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0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6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31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with shape keeping flexi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1612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s [FIBC]
    • B65D88/1675Lifting fittings
    • B65D88/1681Flexible, e.g. loops, or reinforc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16Large containers flexible
    • B65D88/22Large containers flexible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ck for storage, comprising: a sack unit having an inner storage space and having an opened upper portion; ring unit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ack unit to lift the sack unit; a plurality of support rods applied to increase shape maintaining force of the sack unit; and at least one rod holding tube extended at positions spaced from each other of the sack unit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enable the support rod to be inserted therein. According to the sack for storage, the support rod is inserted into the rod holding tubes formed to be spaced from each other in the sack unit to increase the shape maintaining force of the sack to be easily stacked inside a container.

Description

저장용 포대{Sack for storage}{Sack for storage}

본 발명은 저장용 포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농산물, 비료, 광물 등과 같은 내용물을 저장하는 포대의 형태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철제 컨테이너의 내부에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는 저장용 포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ag,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orage bag for storing contents such as agricultural products, fertilizer, minerals and the like, .

일반적으로 대용량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포대의 일종인 톤백(ton bag)은 비료, 광물, 화학원료, 곡물 등과 같은 내용물을 적재 및 보관하기 위해 운반할 때 혹은 포장 등을 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A ton bag, which is a type of bag that can hold large contents in general, is used when transporting or storing materials such as fertilizers, minerals, chemical materials, grains,

이러한 톤백은 보통 상부가 개방된 자루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상단 테두리에는 2개 내지 4개의 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고리는 톤백의 외면을 따라 재봉되는 띠(벨트)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톤백의 하부에는 열고 조일 수 있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Such a tone bag usually takes the form of an open top, with two to four rings formed at the top edge, the ring being formed by a belt that is sewn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tone bag. In addition, an openable and ventilating outlet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tone bag to allow the contents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러한 톤백을 이용하여 내용물을 처리할 때에는 먼저 톤백 내에 내용물을 넣은 후 지게차의 포크를 상단 걸고리에 걸고 이어서 차량에 상차 및 하차 또는 구내운송하거나 포장기 기계 등으로 운반한다.When processing the contents using such a tone bag, first put the contents in the ton bag, put the fork of the forklift on the upper hook, and then carry it to the vehicle by getting off or getting off or transporting it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or the packing machine machine.

그리고 톤백에 담긴 내용물을 저장장치에 쏟아 저장하고자 할 때는 지게차나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톤백을 들어올린 후 작업자들이 톤백의 하단부를 낫이나 칼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일일이 수작업으로 절개하여 개봉하거나 배출구를 열어 내용물을 외부로 쏟아낸다. If you want to store the contents of the ton back into the storage device, lift up the ton back by using a forklift or hoist, and then manually open the bottom of the ton back with a tool such as a sickle or a knife to open or open the outlet The contents are poured out.

그리고 내용물이 담긴 톤백을 창고에 보관하는 경우 주로 철제 컨테이너의 내부에 톤백을 넣어 적재한다. 크기가 고정되어 있는 컨테이너에 톤백을 넣기 위해서는 톤백이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어야만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컨테이너의 내부에 다수의 톤백을 가지런하게 적재할 수 있다. And, when storing tonal bag containing contents in a warehouse, it is mainly loaded with tonal bag inside the iron container. In order to insert a tone bag into a container having a fixed size, the tone bag must be maintained in a constant shape so that it is easy to work and a large number of ton bags can be loaded in the container.

하지만 종래의 톤백은 내용물이 담기면 톤백 측면의 중앙부분이 측면의 상부나 하부보다 바깥 방향으로 불록하게 튀어나오므로 컨테이너에 넣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tone bag ha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insert the container into the container because the center portion of the tone bag side protrudes outwardly from the upper or lower side of the side surface if the contents are contained.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7623호에는 사각 형상유지가 가능한 저온 저장용 톤백이 개시되어 있다.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97623 discloses a tone bag for low temperature storage capable of maintaining a rectangular shape.

상기 톤백은 측면에 설치된 보강띠와 로프에 의해 내용물이 저장될 때 바깥 방향으로 부풀어 오르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하지만 상기 톤백은 중간 부분이 상부 및 하부에 비해 바깥 방향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오는 것을 감소시킬 수는 있으나 전체적으로 사각 형태의 외형이 변형되는 것을 막기에는 부족하다. The tonne bag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duce swelling in the outward direction when the contents are stored by the reinforcing band and the rope installed on the side. However, the tone bag can reduce the convex protrusion of the middle portion in the outward direction compared wit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but it is insufficient to prevent the overall rectangular shape from being deformed.

즉, 내용물을 저장하기 전에 사각의 형태를 갖지만 내용물을 가득 저장하면 사각의 형상이 원형으로 변형될 가능성이 높다. 이는 마주하는 양 측면 간의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막을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내용물이 저장된 후 형태가 원형으로 변형되므로 사각의 철제 컨테이너에 넣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That is, although the contents have a rectangular shape before storage, if the contents are stored in full, the shape of the square is likely to be transformed into a circular shape. This is because it can not prevent the gap between the facing sides. Therefore, after the contents are stored, the shape is deformed into a circular shape, so that it is difficult to put it in a rectangular iron container.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397623호: 사각 형상유지가 가능한 저온 저장용 톤백Korean Patent No. 10-1397623: Toner bag for low-temperature storage capable of maintaining rectangular shap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내용물을 저장하는 포대의 형태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철제 컨테이너의 내부에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는 저장용 포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orage bag which can be easily loaded inside a steel container so that the shape of a bag storing contents can be kept constant. hav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 포대는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자루부와; 상기 자루부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상기 자루부의 상부에 형성된 고리부들과; 상기 자루부의 형태 유지력을 높이기 위해 적용되는 복수개의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이 삽입될 수 있게 상기 자루부에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수직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봉홀딩 튜브;를 구비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orage bag comprising: a bag body having a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and an open top; Hook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g portion to lift the bag portion; A plurality of support rods adapted to increase the shape retention of the bag portion; And at least one bar holding tube extending along a vertical direction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allow the support rods to be inserted.

상기 자루부 내에 수용되는 내용물에 의해 상기 자루부의 마주하는 양 측면 간의 거리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자루부에 설치되는 측면간격고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측면간격고정부는 상기 자루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자루부의 일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자루부의 일측면과 마주하는 타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횡단밴드를 구비하며, 상기 자루부의 내측 모서리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자루부의 형태 변형을 방지하는 코너지지밴드;를 더 구비할 수 있다.And a side gap fixing part provided on the bag part to prevent a distance between opposite sides of the bag part from being widened by the contents accommodated in the bag part, And a transverse band that is fixed to one side of the bag portion and has an opposite end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bag portion that faces one side of the bag portion and transversely or transversely intersects the storage space, And a corner support band installed on the corner portion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shape of the bag por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루부는 사각형상의 저장공간을 갖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봉홀딩 튜브는 상기 자루부의 모서리에 각각 수직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자루부의 모서리 각각의 봉홀딩 튜브에 삽입된 4개의 상기 지지봉 상호간의 이격거리를 고정하도록 인접된 상기 지지봉 상호간에 각각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삽입링과, 상기 삽입링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봉을 갖는 복수개의 간격유지봉;을 더 구비한다.Preferably, the bag has a quadrangular storage space. The bag holding tub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edges of the bag, and the bag holding tubes are inserted into the bag holding tubes of the respective corners of the bag And a plurality of spacing rods having insertion rods formed with insertion holes which are respectively inserted between the adjacent support rods so as to fix the spacing distance between the four support rods and connection rods connecting the insertion rings.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봉의 종단 외주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된 나사선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간격유지봉이 상기 지지봉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간격유지봉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나사선부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를 더 구비한다.More preferably, the supporting rod has a threaded portio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portion of the support rod, and the nut member is screwed with the screwed portion in order to prevent the spacing ro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upport rod when the spacer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rod do.

본 발명에 따른 저장용 포대에 의하면 자루부에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봉홀딩 튜브에 지지봉을 삽입하여 자루의 형태 유지력을 높일 수 있어 컨테이너의 내부에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torage 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rod can be inserted into the rod holding tu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bag portion, so that the shape retention force of the bag can be enhanced and the bag can be easily loaded in the contain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저장용 포대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저장용 포대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저장용 포대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의 분리 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orage ba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the storing bag shown in Fig. 1,
3 is a bottom view of the storage bag of Fig. 1,
Fig. 4 is a sectional view of the storage bag of Fig. 1,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orage ba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orage bag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side view of a storage bag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storage ba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는 자루부(10)와, 고리부들(30)과, 측면간격고정부(40)와, 봉홀딩 튜브(70) 및 지지봉(80)을 구비한다.1 to 4, the storage ba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g 10, hooks 30, a lateral gap fixing part 40, a rod holding tube 70 And a support rod 80. [

자루부(10)는 내부에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저장공간을 갖는 자루 형태로 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자루부(10)는 사각형상의 저장공간을 갖는 직사각형의 형태로 되어 있다. 이와 달리 자루부는 정사각형, 원형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bag portion 10 is in the form of a bag having a storage space for storing contents therein.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magazine 10 is in the form of a rectangle having a rectangular storage space. Alternatively, the jar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square, a circle, and the like.

자루부(10)는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는 저장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하부가 막혀 있고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막힌 자루부(10)의 하부에는 내용물을 하방으로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자루부(10)의 배출구(20)의 가장자리를 따라 통로가 형성된 조임부(21)가 마련되고, 조임부(21)의 통로에 조절끈(25)이 삽입되어 있다. The bag portion 10 has a structure in which a storage space in which contents can be accommodated is formed inside, a lower portion is clogged, and an upper portion is opened. A discharge port 20 capable of discharging the contents downward may b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log 10. In this case, a throttle portion 21 having a passage is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discharge port 20 of the magazine portion 10, and a control cord 25 is inserted into the passage of the throttle portion 21.

내용물을 자루부(10)에 저장하기 전에 조절끈(25)의 양측 단부를 당겨 배출구(20)의 크기를 줄인 다음 조절끈(25)을 매듭지어 배출구(20)를 막는다. 그리고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에는 조절끈(25)을 풀어 배출구(20)를 확장시킨다. The size of the discharge port 20 is reduced by pulling both end portions of the adjustment strap 25 before storing the contents in the bag portion 10 and then the adjustment strap 25 is knotted to close the discharge port 20. [ When the content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control strap (25) is loosened to expand the discharge port (20).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달리 자루부(10)의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자루부(10)를 뒤집어 자루부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Also, unlike the above, the discharge port may not be formed in the bottom of the bag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the bag portion 10 is turned upside down and the contents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bag portion.

자루부(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내용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가령, 내용물로 곡물류나 과채류와 같은 농산물, 비료, 광물, 화학원료 등일 수 있다. The contents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inside of the bag portion 1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contents may be agricultural products such as cereals, fruit vegetables, fertilizers, minerals, chemical raw materials, and the like.

자루부(10)는 자루 구조를 갖는 것이라면 모양과 크기, 재질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The shape, size, and material of the bag portion 1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bag portion 10 has a bag structure.

도시된 예에서 자루부(10)는 통풍성을 위해 다수의 통기공들이 형성되어 있는 메쉬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메쉬망 구조의 자루부(10)는 통풍이 필요한 농산물의 저장이나 운반에 유리하다. 메쉬망이나 유연한 소재로 자루부(10)가 형성된 경우 일정 형상을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자루부(10)의 형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수평지지밴드들(13)과, 수직지지밴드들(15)이 자루부(10)에 형성될 수 있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bag 10 is made of a mesh net in which a plurality of air vents are formed for ventilation. The bag portion 10 of the mesh net structure is advantageous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agricultural products requiring ventilation. When the bag 10 is formed of a mesh net or a flexible material, it may be difficult to maintain a constant shape. Horizontal support bands 13 and vertical support bands 15 may be formed in the magazine 10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magazine 10 and to reinforce the strength.

수평지지밴드들(13)은 자루부(10)의 외측면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며 다수가 상하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수직지지밴드들(15)은 자루부(10)의 외측면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며 다수가 좌우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수평지지밴드들(13)과 수직지지밴드들(15)은 상호 교차한다.The horizontal support bands 13 are formed in the lateral direction on the outer side of the bag 10, and a plurality of the horizontal support bands 13 are installed so as to be vertically spaced apart. The vertical support bands 15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g 10, and a plurality of the vertical support bands 15 are install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horizontal support bands 13 and the vertical support bands 15 cross each other.

자루부(10)는 접어서 보관이 가능하도록 수평지지밴드(13)와 수직지지밴드(15)는 접을 수 있는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경우 수평지지밴드(13)와 수직지지밴드(15)는 소정 두께의 면으로 된 띠가 적용되었으나, 상기 조건을 충족하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horizontal support band 13 and the vertical support band 15 ar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so that the bag 10 can be folded and stored. In this embodiment, the horizontal support band 13 and the vertical support band 15 are formed of a belt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but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atisfying the above conditions.

고리부(3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다수가 자루부(10)에 형성될 수 있다. 지게차나 호이스트, 크레인 등의 기계장비를 이용하여 자루부(10)를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키기 위해 고리부(30)가 설치된다. One or more of the rings 30 may be formed in the bag 10. A hook 30 is provided for lifting or moving the bag 10 using mechanical equipment such as a forklift, a hoist, and a crane.

도시된 예에서 4개의 고리부(30)가 자루부(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인접하는 2개의 수직지지밴드(15)가 상부로 연장되어 서로 만나 고리부(30)를 형성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달리 고리부(30)는 수직지지밴드(15)와 별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four hooks 30 are formed on the top of the bag 10. In the example shown, two adjacent vertical support bands 15 extend upwardly to meet each other to form a collar 30.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ring 30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vertical support band 15 as shown.

측면간격고정부(40)는 자루부(10)에 수용되는 내용물에 의해 자루부(10)의 측면들이 서로 벌어지는 것을 막아 자루부(10)의 측면이 바깥 방향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자루부(10)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변형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자루부(10)를 일정한 모양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저장용 포대를 컨테이너의 내부에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다. The side clearance securing portion 40 effectively prevents the lateral sides of the bag portion 10 from protruding outward in a convex manner by preventing the sides of the bag portion 10 from being opened by the contents accommodated in the bag portion 10 have. Also, the shape of the bag 1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or the shape of the bag 10 can be kept constant by minimizing the deformation. Therefore, the storage bag can be easily loaded inside the container.

측면간격고정부(40)은 자루부(10)에 설치된다. 측면간격고정부(40)의 일 예로 자루부(10)의 내부에 설치된 횡단밴드(41)를 포함할 수 있다. 횡단밴드(41)는 마주하는 양 측면간의 사이가 벌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저장공간을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된다. The lateral gap fixing portion 40 is provided in the bag portion 10. As an example of the side clearance securing portion 40, it may include a transverse band 41 provided inside the bag 10. The transverse band 41 is installed to transverse the storage space in the lateral direction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prevent the space between the opposite side surfaces from spreading.

횡단밴드(41)의 일단은 자루부(10)의 일측면에 고정되고 횡단밴드(41)의 타단은 자루부(10)의 일측면과 마주하는 타측면에 고정된다. 횡단밴드(41)의 양단은 수평지지밴드(13)가 위치하는 부분에서 수평지지밴드(13)와 박음질하여 각각 고정할 수 있다. One end of the transverse band 41 is fixed to one side of the bag portion 10 and the other end of the transverse band 41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bag portion 10, Both ends of the transverse band 41 can be fixed to the horizontal support band 13 at the position where the horizontal support band 13 is located, respectively.

횡단밴드(41)는 자루부(10)의 양 측면이 벌어지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므로 길이방향으로의 신축변형률이 낮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연하면서도 길이방향의 변형이 낮은 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nsverse band 41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low expansion / contraction ratio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cause it is for preventing both side surfaces of the bag portion 10 from spreading. And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having a low deform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횡단밴드(41)는 자루부(10)의 내부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하나가 설치되는 경우 횡단밴드(41)는 저장공간의 상부 또는 저장공간의 중간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둘 이상이 설치되는 경우 저장공간의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순차적으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가령, 저장공간의 상부와 중간 부분에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에 위치하는 횡단밴드(41)는 위에서 첫 번째 수평지지밴드(13)에 고정되고, 중간 부분에 위치하는 횡단밴드(41)는 위에서 두번째 또는 세번째 수평지지밴드(13)에 고정될 수 있다. One or more transverse bands 41 may be provided in the interior of the magazine 10. If one is installed, the transverse band 41 may be installed above the storage space or in the middle of the storage space. If two or more are installed, the storage space may be sequentially spac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For example, one can be installed at the upper and middle portions of the storage space. In this case, the upper transverse band 41 is fixed to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band 13 at the top and the transverse band 41 located at the intermediate part can be fixed to the second or third horizontal support band 13 have.

도시된 예에서 횡단밴드(41)는 일정한 너비를 갖는 띠 형태를 이용하고 있지만, 이와 달리 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transverse band 41 uses a band shape having a certain width, but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transverse band 41 may be formed in a line shape.

본 발명에 적용된 횡단밴드(41)는 자루부(10)의 마주하는 양 측면 간의 거리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효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 형태의 자루부(10)의 경우 횡단밴드(41)는 전방측 측면과 후방측 측면을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자루부(10)에 내용물을 저장시 전방측 측면과 후방측 측면이 횡단밴드(41)의 길이보다 더 크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transverse band 41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in preventing the distance between opposite sides of the bag portion 10 from spreading. As shown in the figure, in the case of the rectangular shaped bag portion 10, the transverse band 41 is provided so as to connect the front side surface and the rear side surface to each other, and when the contents are stored in the bag portion 10, Can be prevented from widening more than the length of the transverse band (41).

또한, 횡단밴드(41)가 좌측 측면과 우측 측면을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된 경우에는 자루부(10)에 내용물을 저장시 좌측 측면과 우측 측면 사이가 횡단밴드(41)의 길이보다 더 크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when the transverse band 41 is provided so as to connect the left side surface and the right side surface to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ap between the left side surface and the right side surface from widening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transverse band 41 when storing the contents in the bag portion 10 Of course.

상술한 바와 같이 측면간격고정부(40)에 의해 자루부(10)에 내용물이 가득 채워지더라도 자루부(10)의 양 측면 간의 거리가 벌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자루부(10)의 측면이 바깥 방향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오는 것을 막는다.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distance between both sides of the bag 10 from spreading even if the bag 10 is filled with the contents by the side clearance securing portion 40 as described above, And prevent it from protruding outward in a convex shape.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 포대를 도 5에 도시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FIG. 5 shows a storage ba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저장용 포대는 자루부(10)의 내측 모서리 부위에 코너지지밴드(60)가 설치된다. 이러한 코너지지밴드(60)는 측면간격고정부인 횡단밴드(41)와 함께 자루부(10)의 형태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Referring to FIG. 5, the storage ba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rner support band 60 at an inner corner portion of the bag 10. These corner support bands 60 together with the transverse bands 41, which are the lateral spacing fixtures, serve to prevent deformations of the crates 10.

즉, 측면간격고정부인 횡단밴드(41)가 자루부(10)의 측면들이 서로 벌어지는 것을 막아 자루부(10)의 형태가 다른 모양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함께 코너지지밴드(60)는 사각형 자루부(10)의 모서리 부위에 설치되어 모서리의 형태 변형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전체적으로 자루부(10)의 형태를 사각형으로 유지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In other words, the transverse band 41, which is a side gap fixing portion, prevents the side surfaces of the bag portion 10 from being widened from each other, thereby preventing the shape of the bag portion 10 from being deformed. In addition, the corner support bands 60 are provided at the corners of the rectangular bar 10 to minimize the deformation of the corners, thereby helping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bar 10 generally square.

봉홀딩 튜브(70)는 후술되는 지지봉(80)이 삽입될 수 있게 자루부(10)의 모서리 각각에 수직방향을 따라 연장되되 상호 이격되게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다.The rod holding tube 7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paced apart portions extending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n each of the corners of the bag portion 10 so that the support rod 80 described later can be inserted.

이러한 봉홀딩 튜브(70)는 수평지지밴드(13)의 모서리부분을 지지봉(80)이 삽입될 수 있는 원형 중공을 갖게 박음질처리하여 형성할 수 있다.The rod holding tube 70 may be formed by stamping the corner of the horizontal support band 13 with a circular hollow into which the support rod 80 can be inserted.

또 다르게는 기존의 수평지지밴드(13) 위에 수평지지밴드(13)와 동일 소재로 박음처리하여 봉홀딩 튜브(70)를 형성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rod holding tube 70 can be formed by joining the horizontal supporting band 13 and the horizontal supporting band 13 with the same material.

봉홀딩 튜브(70) 각각의 원형 중공의 내경은 적용되는 지지봉(80)의 외경이 길이방향을 따라 다를 경우 상호 다르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Needless to say, the inner diameters of the circular hollows of each of the rod holding tubes 7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when the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 rod 80 to be applied is different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 다르게는 자루부(10)의 상부에서 하단까지 하나의 단일 원형 중공을 갖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lternatively, it may be formed to have a single circular hollow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bag 10.

지지봉(80)은 자루부(10)의 사각 형태 유지력을 높이기 위해 봉홀딩튜브(70)에 삽입되어 있다.The support rod 80 is inserted into the rod holding tube 70 to enhance the rectangular retention force of the bag portion 10.

지지봉(80)은 자루부(10)의 바닥으로부터 상부까지의 높이와 같거나 약간 더긴 길이를 갖는 것이 적용된다.The support rod 80 is applied with a length equal to or slightly longer than the height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bag portion 10. [

지지봉(80)은 자루부(10)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는 보관성을 위해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신축식 낚시대처럼 다단으로 상호 인출 및 인입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Needless to say, the support rod 80 may be formed in a multi-stage structure such that the rod 80 can be extended and retracted like a stretchable fishing rod so as to be adjustable in length for storage.

한편, 지지봉(80)에 의한 사각 형태유지력을 더욱 보강할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및 제2간격유지봉(91)(92)이 적용될 수 있다.Meanwhile, first and second spacing rods 91 and 92 as shown in FIG. 6 can be applied to further reinforce the rectangular retention force by the support rods 80.

제1간격유지봉(91)은 직사각 형상의 자루부(10)의 모서리 각각의 봉홀딩 튜브(70)에 삽입된 4개의 지지봉(80) 중 상대적을 길이가 짧은 변에 위하는 2개의 지지봉(80) 상호간의 이격거리를 고정하도록 인접된 지지봉(80) 상호간에 각각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삽입링(91a)과, 상호 이격된 삽입링(91a)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봉(91b)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first gap retaining rods 91 are connected to two support rods 80 for relative short sides of the four support rods 80 inserted into the rod holding tubes 70 of the respective corners of the rectangular- And a connecting rod 91b connecting between the insertion rings 91a formed with insertion holes 91a inserted into the adjacent support rods 80 and the insertion rings 91a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fix the spacing distance between the adjacent support rods 80, .

제2간격유지봉(92)은 직사각 형상의 자루부(10)의 모서리 각각의 봉홀딩 튜브(70)에 삽입된 4개의 지지봉(80) 중 상대적을 길이가 긴 변에 위하는 2개의 지지봉(80) 상호간의 이격거리를 고정하도록 인접된 지지봉(80) 상호간에 각각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삽입링(91a)과, 상호 이격된 삽입링(91a)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봉(92b)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second spacing rods 92 are connected to two support rods 80 for relative long sides of the four support rods 80 inserted into the rod holding tubes 70 at the corners of the rectangular portion 10 And a connecting rod 92b connecting between the insertion rings 91a formed with insertion holes 91a inserted into the adjacent support rods 80 and the insertion rings 91a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fix mutual separation distances, .

여기서, 제1 및 제2간격유지봉(91)(92)에서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삽입링(91a)은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고, 연결봉(91b)(92b)은 길이만 다르다. The insertion rings 91a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gap holding rods 91 and 92 have the same structure and the connecting rods 91b and 92b have different lengths.

따라서, 정사각형 자루부(10)가 적용되는 경우 하나의 간격유지봉을 호환되게 적용하면 된다.Accordingly, when the square bag portion 10 is applied, one gap retaining rod may be applied in a compatible manner.

이러한 제1 및 제2간격유지봉(91)(92)는 지지봉(80)에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사용하면 된다.The first and second spacing rods 91 and 92 may be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support rods 80 and used.

한편, 바닥 부분에도 적용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봉(80)의 종단 외주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된 나사선부(82)를 갖게 형성하고, 제1 및 제2간격유지봉은 지지봉(8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간격유지봉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나사선부(82)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95)를 적용하여 장착하도록 구축할 수 있다.7, the supporting rod 80 has a screw-threaded portion 82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the longitudinal end thereof, and the first and second spacing rods 80 are inserted into the supporting rod 80 And a nut member 95 screwed to the screw portion 82 to prevent the first and second spacing rods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spacing rods.

물론, 나사선부(82)를 지지봉(80)의 상단에도 형성하고 너트부재(95)로 이탈을 억제하도록 마감처리할 수도 있다.Needless to say, the threaded portion 82 may b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rod 80, and the nut member 95 may be subjected to a finishing treatment to suppress the deviation.

이상에서 설명된 저장용 포대에 의하면 자루부에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봉홀딩 튜브에 지지봉을 삽입하고, 간격유지봉으로 간격을 고정할 수 있어 자루의 형태 유지력을 높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컨테이너 내부에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torage bag described above, the support rods can be inserted into the rod holding tub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bag portion, and the spacing can be fixed by the gap retaining rods, so that the shape retention force of the bag can be enhanced, .

10: 자루부 13: 수평지지밴드
15: 수직지지밴드 20: 배출구
30: 고리부 40: 측면간격고정부
41: 횡단밴드 60: 코너지지밴드
70: 봉홀딩 튜브 80: 지지봉
91, 92: 제1 및 제2간격유지봉 95: 너트부재
10: bag 13: horizontal support band
15: vertical support band 20: outlet
30: ring portion 40: side clearance fixing portion
41: transverse band 60: corner support band
70: Rod holding tube 80: Support rod
91, 92: first and second spacing rods 95: nut member

Claims (4)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자루부와;
상기 자루부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상기 자루부의 상부에 형성된 고리부들과;
상기 자루부의 형태 유지력을 높이기 위해 적용되는 복수개의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이 삽입될 수 있게 상기 자루부에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수직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봉홀딩 튜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 포대.
A bag having a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and an open top;
Hook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ag portion to lift the bag portion;
A plurality of support rods adapted to increase the shape retention of the bag portion;
And at least one rod holding tub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allow the support rods to be inserted there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부 내에 수용되는 내용물에 의해 상기 자루부의 마주하는 양 측면 간의 거리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자루부에 설치되는 측면간격고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측면간격고정부는
상기 자루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자루부의 일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자루부의 일측면과 마주하는 타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횡단밴드를 구비하며,
상기 자루부의 내측 모서리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자루부의 형태 변형을 방지하는 코너지지밴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 포대.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ateral gap fixing portion provided on the bag portion to prevent a distance between opposite sides of the bag portion from being widened by the contents accommodated in the bag portion,
The side clearance fixing portion
And a transverse band that is fixed to one side of the bag portion and is opposite to a side surface of the bag portion, the transverse band crossing the storage space in a lateral direction or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corner support band installed at an inner corner of the bag to prevent the shape of the bag from being de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부는 사각형상의 저장공간을 갖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봉홀딩 튜브는 상기 자루부의 모서리에 각각 수직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자루부의 모서리 각각의 봉홀딩 튜브에 삽입된 4개의 상기 지지봉 상호간의 이격거리를 고정하도록 인접된 상기 지지봉 상호간에 각각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삽입링과, 상기 삽입링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봉을 갖는 복수개의 간격유지봉;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 포대.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bag has a rectangular storage space,
Wherein the bar holding tub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vertical direction at corners of the bag portion,
An insertion ring formed with insertion holes respectively inserted between the adjacent support rods so as to fix a distance between the four support rods inserted into the bar holding tubes of the respective corners of the bag portion, and a connecting rod connecting the insertion rings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spacing rod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의 종단 외주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된 나사선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간격유지봉이 상기 지지봉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간격유지봉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나사선부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용 포대.

4.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 nut member having a threaded portio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of the support rod and screwed to the screw threaded portion in order to prevent the spacing ro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upport rod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rod And a storage bag for storing the bag.

KR1020170099650A 2017-04-18 2017-08-07 Sack for storage KR10205165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800 2017-04-18
KR20170049800 2017-04-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019A true KR20180117019A (en) 2018-10-26
KR102051653B1 KR102051653B1 (en) 2019-12-03

Family

ID=64098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9650A KR102051653B1 (en) 2017-04-18 2017-08-07 Sack for stor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165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272B1 (en) * 2019-10-24 2020-04-27 최광수 Self Upright bag having a support rod in the bag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602B1 (en) * 2012-04-30 2014-04-23 박은숙 Self-rasing bulk container using the air tube
KR101397623B1 (en) 2013-07-12 2014-05-23 김흥이 Ton bag for keeping of form
KR101565146B1 (en) * 2015-03-11 2015-11-02 박현복 sack for overturn
KR200478924Y1 (en) * 2014-08-06 2015-12-02 중 기 유 prefabricated onions transport pallets
KR101594160B1 (en) * 2015-06-29 2016-02-15 박현복 Sack for storage
KR101609339B1 (en) * 2015-12-24 2016-04-05 박은숙 A bulk bag with stand type pulling up ring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602B1 (en) * 2012-04-30 2014-04-23 박은숙 Self-rasing bulk container using the air tube
KR101397623B1 (en) 2013-07-12 2014-05-23 김흥이 Ton bag for keeping of form
KR200478924Y1 (en) * 2014-08-06 2015-12-02 중 기 유 prefabricated onions transport pallets
KR101565146B1 (en) * 2015-03-11 2015-11-02 박현복 sack for overturn
KR101594160B1 (en) * 2015-06-29 2016-02-15 박현복 Sack for storage
KR101609339B1 (en) * 2015-12-24 2016-04-05 박은숙 A bulk bag with stand type pulling up ring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272B1 (en) * 2019-10-24 2020-04-27 최광수 Self Upright bag having a support rod in the b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1653B1 (en) 201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4160B1 (en) Sack for storage
US7600917B2 (en) Bulk bag for meat and meat products
US7506776B2 (en) Braceless liner
EP2785616B1 (en) Container system comprising a "big bag", a support and a rope
KR101625405B1 (en)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with supporting belt
KR101922377B1 (en) Baffle type container bag
JP2005510427A (en) Large storage body
KR101696884B1 (en) flexible intermediate bulk container
KR101688098B1 (en) Tonbaek production methods to mesh
US20230150728A1 (en) Firewood transport & storage assembly
US5873655A (en) Bulk container with internal baffle bands
KR20180117019A (en) Sack for storage
KR101964076B1 (en) Container bag
US20200229353A1 (en) Portable fabric grain bin
KR101565146B1 (en) sack for overturn
RU2530838C2 (en) Flexible container for packaging solid bulk materials and method of its use
KR200485469Y1 (en) A Bulk bag with enhanced outlet
AU2020233675A1 (en) An Improved Bag
KR102053797B1 (en) Ton Bag with Upper and Lower Openings
KR20210000241U (en) Ton bag for keeping onion
US3545644A (en) Laundry equipment
JP3100141U (en) Flexible container
US20140307983A1 (en) Bulk material transport & storage bag
RU158744U1 (en) SOFT CONTAINER FOR GRAIN COLLECTION AND TRANSPORT
RU213115U1 (en) POLYMER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