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6667A - filter module for water-purifying device using gravity and water-purify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filter module for water-purifying device using gravity and water-purify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6667A
KR20180116667A KR1020170049280A KR20170049280A KR20180116667A KR 20180116667 A KR20180116667 A KR 20180116667A KR 1020170049280 A KR1020170049280 A KR 1020170049280A KR 20170049280 A KR20170049280 A KR 20170049280A KR 20180116667 A KR20180116667 A KR 20180116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ter
housing
spac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2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66759B1 (en
Inventor
한경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to KR1020170049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759B1/en
Priority to PCT/KR2017/011970 priority patent/WO2018080219A1/en
Priority to CN201780066209.XA priority patent/CN109890487B/en
Priority to US16/344,255 priority patent/US11247153B2/en
Publication of KR20180116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6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7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8Flat membrane modules
    • B01D63/082Flat membrane modules comprising a stack of flat membranes
    • B01D63/0822Plate-and-fram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8Flat membrane modules
    • B01D63/082Flat membrane modules comprising a stack of flat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1Constructions of two or more housings
    • B01D35/303Constructions of two or more housings the housings being modular, e.g. standardi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8Flat membrane modules
    • B01D63/082Flat membrane modules comprising a stack of flat membranes
    • B01D63/0821Membrane plate arrangements for submerged op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2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 B01D2239/025Types of fibres, filaments or particles, self-supporting or supported materials comprising nano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4Specific pressurizing or depressuriz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7Modular desig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A filter module for a water-purifying device using gravity is provi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module for a water-purifying device using gravity comprises: a plurality of filter members formed to be slab-shaped, spaced to b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while leaving a distance therebetween, and fixated to each other with at least one coupling bar as a medium; a common receiving member connected to each receiving port formed in the filter members for filter water generated in the filter members to be collected; and a weight applying member increasing the whole weight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bar for settling to be easily performed.

Description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력식 정수장치{filter module for water-purifying device using gravity and water-purifying device includ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er module for a gravity-type water purification device, and a gravity-type water purification device including the filter module,

본 발명은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력을 이용하여 원수를 여과할 수 있는 중력식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gravity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capable of filtering raw water using gravity.

깨끗하고 안전한 물의 공급은 인간의 건강과 생존에 필수적이다. 그러나 아프리카 지역이나 개발도상국은 깨끗한 물이 충분하게 공급되지 못하므로 오염된 연못, 웅덩이에 고여 있는 물을 식수로 사용하는 경우가 빈번하다.The supply of clean and safe water is essential for human health and survival. However, in Africa and developing countries, the supply of clean water is not enough, and therefore, polluted ponds and pools of water are often used as drinking water.

오염된 물을 마시면 오염된 물에 포함된 미생물에 의해 각종 감염병이 발병할 수 있다. 즉, 복통, 설사, 구토 등과 같은 질병을 유발하고, 심한 경우 생명을 위협하는 문제가 있다.Drinking contaminated water can cause various infectious diseases caused by microorganisms contained in contaminated water. In other words, it causes illnesses such as abdominal pain, diarrhea, vomiting and the like, and in severe cases, there are life-threatening problems.

따라서,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먹는 음식이나 물이 미생물에 오염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Therefore, to prevent this, it is important that the food or water we eat is not contaminated by microorganisms.

현재 개발도상국에서 깨끗한 물과 충분한 음식만 확보된다면 전체 사망률을 줄일 수 있을 정도로 깨끗한 물 공급으로 예방할 수 있는 환경개선의 효과는 의학이나 치료기술의 발달보다도 훨씬 크다고 할 수 있다.If clean water and adequate food are currently being secured in developing countries, the effect of environmental improvement that can be prevented by clean water supply to reduce the overall mortality rate is far greater than the development of medical or therapeutic technology.

그러나, 일반적인 정수기는 일정한 수압을 가하여 필터를 통과시켜서 원수를 정수하는 원리이므로, 일정한 수압을 부여할 수 있는 펌프시설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전기시설도 함께 갖추어져야 한다. 이와 같은 시설이 없는 상황에서는 일반적인 정수기를 사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However, since a general water purifier is a principle of constantly applying water pressure and passing the filter through the filter,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water pump with a constant water pressure. In the absence of such a facility, there is a limit to that general water purifiers can not be used.

KRKR 20-022375920-0223759 Y1Y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중력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여과수를 생산할 수 있는 중력식 정수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lter module for a gravity-typ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that can be applied to a gravity-typ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that can easily produce filtered water using gravity.

또한, 본 발명은 전기와 같은 동력의 공급의 공급이 없는 열악한 조건에서도 중력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여과수를 생산할 수 있는 중력식 정수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ravity-typ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capable of easily producing filtered water even under harsh conditions, such as electricity, without supply of power such as electricit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평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이격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체결바를 매개로 서로 고정되는 복수 개의 필터부재; 상기 필터부재에 형성되는 각각의 수취구가 연결되어 상기 필터부재에서 생산된 여과수가 모이는 공통수취부재; 및 전체적인 중량을 증가시켜 침강이 용이하도록 상기 체결바 측에 결합되는 중량부여부재;를 포함하는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ilter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filter members, each of which is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and spaced from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distance therebetween and fixed to each other via at least one fastening bar; A common receiving member connected to each of the receiving openings formed in the filter member to collect the filtered water produced in the filter member; And a weight imparting member joined to the side of the tightening bar so as to facilitate sedimentation by increasing the overall weight of the filter module.

일 실시예로써, 상기 중량부여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필터부재의 하부측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eight imparting member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lower side of the plurality of filter members.

이때, 상기 중량부여부재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의 제1판과, 상기 제1판의 양 측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판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판이 상기 체결바의 양 단부측에 체결될 수 있다.Here, the weight imparting member may include a plate-shaped first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a pair of second plates extending upward from both side ends of the first plate, And can be fastened to both ends of the bar.

또한, 상기 중량부여부재는 복수 개의 통과공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The weight imparting member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중량부여부재는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된 메쉬망으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재의 일면과 마주하도록 상기 체결바에 체결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weight imparting member is formed of a mesh net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may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bar so as to face one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또한, 상기 중량부여부재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weight-providing member may be made of stainless steel.

또한, 상기 필터부재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여과부재; 및 상기 여과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여과부재의 테두리 측에 결합되고, 상기 여과부재를 통해 생산된 여과수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ter member may include: a filter member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a support frame coupled to a rim of the filtration member to support the filtration member, and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filtrate produced through the filtration member flows is formed.

또한, 상기 여과부재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의 제1지지체와, 상기 제1지지체의 양면에 나노섬유로 형성되는 한 쌍의 나노섬유웹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member may include a plate-like first support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a pair of nanofiber webs formed of nanofibers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또한, 상기 나노섬유웹은 표면에 항균물질이 코팅된 제1나노섬유웹과 상기 제1나노섬유웹의 일면에 적층되는 제2나노섬유웹을 포함할 수 있다.The nanofiber web may include a first nanofiber web having a surface coated with an antimicrobial material and a second nanofibrous web laminated on a first surface of the first nanofiber web.

또한, 상기 나노섬유웹 및 제1지지체 사이에는 제2지지체가 개재될 수 있다.Also, a second support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nanofiber web and the first support.

한편, 본 발명은 원수가 저장된 내부공간을 갖는 하우징; 및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필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원수는 중력에 의해 상기 필터부재 측으로 흡입되어 이물질이 걸러져 여과수가 생산되는 중력식 정수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in which raw water is stored; And at least one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arranged in the internal space so as to filter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raw water, And the filtrate water is produced by filtering the foreign matter.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내부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may include a cover that opens and closes an opened upper portion of the inner space.

또한, 상기 덮개는 상기 내부공간 측으로 원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소정의 면적으로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투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투입공의 상부 측에는 상기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걸름망이 배치될 수 있다.Also, the cover may include at least one charging hole formed in a predetermined area so as to supply raw water to the inner space side, and a capillary for filtering foreign matters contained in the raw water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charging hole .

일 실시예로, 상기 하우징은 원수가 저장되는 제1공간이 형성된 제1하우징과, 상기 필터모듈을 통해 생산된 여과수가 저장되는 제2공간이 형성된 제2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공간은 상기 제1하우징의 바닥면에 형성된 유출구와 상기 필터모듈이 연결되어 상기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처리수가 저장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ousing includes a first housing having a first space in which raw water is stored, and a second housing having a second space in which filtered water produced through the filter module is stored, An outlet port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nd a process water connected to the filter module and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port may be stored.

또한, 상기 제2하우징은 상부측에 상기 유출구가 배치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는 상기 제2공간에 저장되는 여과수의 수위에 따라 회동하는 개폐수단을 통해 개폐될 수 있다.The second housing may have an opening at an upper side thereof, and the outlet may be opened and closed through an opening / closing means that rotate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filtered water stored in the second space.

또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유출구 측에 링크부재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여과수의 수위에 따라 승,하강되는 부력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의 단부에 연결된 밀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opening / closing means may include a buoyancy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outlet side through a link member to be raised and lower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filtered water, and a sealing member connected to the end of the linkage member.

또한,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may be detachably coupled.

다른 실시예로, 상기 필터모듈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각각의 필터모듈에 포함된 공통수취부재는 하나의 여과수취합부재와 일대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은 빗물저장탱크일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plurality of filter modules ar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and the common receiving member included in each of the filter modules can be connected in a one-to-one manner with one filtering member. At this time, the housing may be a rainwater storage tank.

본 발명에 의하면, 중량부여부재를 통해 필터모듈이 원활하게 침강될 수 있음으로써 중력식 정수장치에 효율적인 적용이 가능하며, 깨끗한 여과수를 원활하게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lter module can be settled smoothly through the weight-providing member, it is possible to apply efficiently to the gravity-typ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nd clean filtered water can be obtained smoothly.

또한, 본 발명은 전기와 같은 동력의 공급의 공급이 없는 열악한 조건에서도 중력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여과수를 생산할 수 있음으로써 열악한 환경에서도 깨끗한 여과수를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produce filtered water using gravity even in a poor condition in which there is no supply of power such as electricity, so that clean filtered water can be obtained even in a harsh environment.

이로 인해, 별도의 정수시설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비용 및 유지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오염된 물의 섭취로 인해 발병되는 질병을 예방할 수 있음으로써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is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osts for installing separate water purification facilities.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quality of life can be improved by preventing disease caused by intake of contaminated wa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에서 공통수취부재 및 중량부여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서 중량부여부재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에서 공통수취부재 및 중량부여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에 적용될 수 있는 필터부재의 일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분리도,
도 8은 도 6에 적용되는 프레임의 단면도,
도 9는 도 6에 적용되는 연결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6에서 연결부재와 지지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6에서 여과수가 수취구 측으로 유입되는 이동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6에 적용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여과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이 적용된 중력식 정수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14는 도 13에서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도 14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16은 도 15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도면,
도 17은 도 14에서 제2공간에 저장된 여과수의 수위에 따른 개폐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도 15에서 유출구와 개폐수단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도 15에 적용되는 개폐수단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0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이 적용된 중력식 정수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1은 도 20에 적용되는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을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22는 도 21을 저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filter module for a gravity-type water purification 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mmon receiving member and the weight imparting member are separated in Fig. 1,
Fig. 3 is a view showing another form of the weight imparting member in Fig. 2,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mmon receiving member and a weight-providing memb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a filter module for a gravity-type water pu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 filter module for a gravity-type water pu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filter member applicable to a filter module for a gravity-type water pu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ectional view of FIG. 6,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rame applied to FIG. 6,
FIG. 9 is a view showing a connecting member applied to FIG. 6,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support frame in FIG. 6;
Fig. 11 is a view showing a movement path in which the filtered water flows into the receiving opening in Fig. 6,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type of filtration member that may be applied to Figure 6,
FIG. 1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gravity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to which a filter module for a gravity-type water purification 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1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FIG. 13;
Fig. 15 is an engaging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Fig. 14,
FIG. 16 is a view of FIG.
FIG. 17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opening / closing mean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filtered water stored in the second space in FIG. 14;
Fig. 18 is a view showing the coupling relation between the outlet and the opening / closing means in Fig. 15,
Fig. 19 is a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applied to Fig. 15,
FIG. 2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gravity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to which a filter module for a gravity-typ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1 is a view showing a filter module for a gravity-type water purification device applied to FIG. 20,
FIG. 2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FIG. 21 is viewed from the bottom.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ing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for clarify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add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100,100',200,200')은 원수 내에 잠긴 상태에서 중력 또는 위치에너지에 기인한 수압을 통해 원수가 필터부재(110) 측으로 흡입됨으로써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여과수를 생산하기 위한 것이다.In the filter module 100, 100 ', 200, 200' for gravity type wate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w water is sucked into the filter member 110 through water pressure due to gravity or position energy in a state of being locked in raw water, And to remove the foreign substances to produce filtered water.

즉, 본 발명에 따른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100,100',200,200')은 도 13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력식 정수장치(1000,2000)에서 원수가 저장된 내부공간(S) 측에 배치된 후 중력 또는 위치에너지에 기인한 수압을 통하여 필터부재(110) 주위의 원수가 여과부재(111)의 내부로 침투함으로써 여과수를 생산할 수 있다.13 and 20, the filter modules 100, 100 ', 200, and 200' for the gravity-type water pu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internal space S where the raw water is stored in the gravity- Raw water around the filter member 110 penetrates into the interior of the filtration member 111 through water pressure due to gravity or potential energy, thereby producing filtered water.

이를 위해, 상기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100,100',200,20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재(110), 공통수취부재(120) 및 중량부여부재(130,130',230)를 포함한다.1 to 5, the filter module 110, the common receiving member 120, and the weight-providing members 130, 130 ', and 230 are disposed on the filter module 100, 100', 200, .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100,100',200,200')은 상기 중력식 정수장치(1000,2000) 측에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모듈화된 형태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lter modules 100, 100 ', 200, 200' for the gravity-typ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ularized so that they can be easily disposed on the side of the gravity-typ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es 1000,

일례로, 상기 필터모듈(100,100',200,200')은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이격배치된 복수 개의 필터부재(110)가 체결바(150)를 매개로 서로 고정된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중량부여부재(130,130',230)가 상기 체결바(150) 측에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필터부재(110)는 상기 공통수취부재(120)와 연결관(141)을 매개로 상호 연결된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공통수취부재(120)는 연결관(142)을 매개로 생산된 여과수를 배출하기 위한 다른 구성(일례로, 후술하는 제1하우징(310)에 형성된 유출구(311) 또는 도 20에서의 여과수취합부재(420))와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lter modules 100, 100 ', 200, 2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filter members 110 spaced apart in parallel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e fixed to each other via fastening bars 150, The members 130, 130 ', and 230 may be coupled to the fastening bar 150 side. Each of the filter members 110 may be connected to the common receiving member 120 through a connection pipe 141. The common receiving member 120 may be connected to the common receiving member 120 through a connection pipe 142 (For example, the outlet 311 formed in the first housing 310 described later or the filtrate collecting member 420 in Fig. 20)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water.

이에 따라, 각각의 필터부재(110)를 통해 생산된 여과수는 상기 공통수취부재(120)를 통해 취합된 후 여과수를 배출하기 위한 다른 구성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ltered water produced through each of the filter members 110 can be collected through the common receiving member 120 and then moved to another component side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water.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필터부재(110)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상태에서 소정의 길이를 갖는 하나의 체결바(150)를 통해 일체화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부재(110)에 형성된 각각의 수취구(114)는 상기 공통수취부재(120)와 서로 일대일로 연결됨으로써 각각의 필터부재(110)를 통해 생산된 여과수가 상기 공통수취부재(120)에서 취합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filter members 110 may be integrally formed through one fastening bar 15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a state of being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respective receiving ports 114 formed in the filter member 110 are connected to the common receiving member 120 in a one-to-one manner, so that filtered water produced through the respective filter members 110 is transferred to the common receiving member 120 ). ≪ / RTI >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필터부재(110)는 서로 이웃하는 여과부재(111)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될 수 있다.Here, the plurality of filter members 110 may b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so that a predetermined space can be secured between adjacent filter members 111.

이에 따라, 서로 이웃하는 여과부재(111) 사이의 공간에는 여과대상액인 원수가 유입되어 여과부재(111)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여과부재(111) 주위에 존재하는 원수는 중력 또는 위치에너지에 기인한 수압을 통해 상기 여과부재(111)의 내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각각의 여과부재(111)를 통해 동시에 여과수가 생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필터부재(110)에 대한 세부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Thus, raw water, which is an object to be filtered, may be introduced into the space between adjacent filter elements 111 so as to surround the filter element 111, and the raw water present around the filter element 111 may be gravity or The filtered water can be simultaneously produced through the respective filtration members 111 by moving to the inside of the filtration member 111 through the water pressure due to the potential energy.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filter member 110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공통수취부재(120)는 각각의 필터부재(110)에서 생산된 여과수를 통합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공통수취부재(120)는 각각의 필터부재(11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수취구(114)와 서로 연결됨으로써 각각의 필터부재(110)에서 개별적으로 생산된 여과수가 하나의 공간에 취합될 수 있다.The common receiving member 120 is for integrating the filtered water produced in each filter member 110. That is, the common receiving member 120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receiving opening 114 formed in each filter member 110, so that filtered water produced individually in each filter member 110 is collected in one space .

더불어, 상기 공통수취부재(120)는 상기 여과부재(111)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역세작업시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세척수 또는 고압의 공기와 같은 고압의 유체를 각각의 필터부재(110) 측으로 분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체결바(150)에 고정된 복수 개의 필터부재(110)를 별도로 분리하지 않더라도 각각의 여과부재(111)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음으로써 청소작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mmon receiving member 120 is provided with a high-pressure fluid such as washing water or high-pressure air supplied from the outside in the backwashing operation for removing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filtering member 111 toward each filter member 110 It can also play a role of distributing. Accordingly, even if the plurality of filter members 110 fixed to the fastening bar 150 are not separately separated, the foreign matters adhered to the respective filtering members 111 can be removed, thereby facilitating the cleaning operation.

이와 같은 공통수취부재(12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필터부재(110)에 하나의 수취구(114)가 형성된 경우 각각의 필터부재(110)에 형성된 하나의 수취구(114)들과 연결될 수도 있고,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필터부재(110)에 복수 개의 수취구(114)가 형성된 경우 각각의 필터부재(110)에 형성된 복수 개의 수취구(114)가 하나의 공통수취부재(120)에 각각 연결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공통수취부재(120)는 각각의 필터부재(120)에 형성된 수취구(124)의 전체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어 각각의 필터부재(120)에 형성된 각각의 수취구(124)와 일대일로 연결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15, when one receiving opening 114 is formed in each of the filter members 110, the common receiving member 120 has one receiving opening 114 formed in each of the filter members 110, 20, when a plurality of receiving ports 114 are formed in the respective filter members 110, a plurality of receiving ports 114 formed in each of the filter members 110 may be connected to one And may be connected to the common receiving member 120, respectivel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common receiving member 120 may be provid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total number of the receiving openings 124 formed in the respective filter members 120, One-to-one connection with the receiving port 124 of the receiver.

이를 위해, 상기 공통수취부재(120)는 상기 수취구(114)와 각각 연결되는 복수 개의 유입구(121)와 여과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22)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mmon receiving member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let ports 121 connected to the receiving port 114 and an outlet port 122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water to the outside.

이때, 상기 유입구(121)는 각각의 필터부재(110)에 구비되는 수취구(114)와 각각 연결될 수 있도록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유입구(121)와 수취구(114)는 서로 일대일로 매칭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도 15 및 도 20 참조). 이를 통해, 상기 복수 개의 필터부재(110)에서 생산된 여과수는 상기 공통수취부재(120) 측으로 유입된 후 하나로 통합될 수 있다.The inlet 121 may be connected to the receiving port 114 of the filter member 110 and the inlet 121 may be connected to the receiving port 114 one to one. (See Figs. 15 and 20). Accordingly, the filtered water produced by the plurality of filter members 110 may be introduced into the common receiving member 120 and then be integrated into one.

상기 중량부여부재(130,130',230)는 여과대상액인 원수가 저장된 내부공간 측에 배치되는 필터모듈(100,100',200,200')의 전체무게를 증가시켜 침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weight imparting members 130, 130 'and 230 are provided to increase the total weight of the filter modules 100, 100', 200, and 200 'disposed on the inner space side where the raw water, which is an object to be filtered, is stored.

즉, 본 발명에 따른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100,100',200,200')은 상기 중량부여부재(130,130',230)를 통해 무게가 증가됨으로써 별도의 구속부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상기 필터모듈(100,100',200,200')이 원수가 채워진 내부공간의 바닥면 측에 침강된 상태 또는 가라앉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at is, the weight of the filter modules 100, 100 ', 200, 200' for the gravity-type water pu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creased through the weight-providing members 130, 130 ', 230 so that the filter modules 100, 100' 200, 200 ') can be maintained in a sinking state or a sinking state on the bottom surface side of the inner space filled with the raw water.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100,100',200,200')은 원수가 저장된 내부공간에 저장된 원수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상기 원수에 완전히 잠긴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공간에 저장된 원수의 양이 적더라도 상기 여과부재(111)와 접촉되는 원수의 양을 최대화함으로써 여과수의 생산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filter module 100, 100 ', 200, 200' for a gravity-type water treatment pl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keep the raw water completely locked when the amount of raw water stored in the internal space is large, Even if the amount of raw water is small, the amount of the raw water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ltration member 111 is maximized, so that the production of the filtered water can be smoothly performed.

이를 위해, 상기 중량부여부재(130,130',230)는 프레임구조물로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재(110)의 하부측에 배치될 수도 있고, 메쉬망의 형태로 되어 상기 필터부재(110)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중량부여부재(130,130',230)는 상기 복수 개의 필터부재(110)를 결속하기 위한 체결바(150) 측에 고정될 수 있으며,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this, the weight-providing members 130, 130 ', and 230 may be formed as a frame structure and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lter member 110, and may be arranged in a mesh network and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filter member 110 . The weight imparting members 130, 130 ', and 230 may be fixed to the fastening bar 150 for fastening the plurality of filter members 110, and may be made of stainless steel.

구체적인 일례로써, 상기 중량부여부재(130,13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의 제1판(131)과, 상기 제1판(131)의 양측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판(132)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제2판(132)이 체결공(133)을 매개로 상기 체결바(150)의 양 단부측에 결합되는 형태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중량부여부재(130,130')의 형태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한 쌍의 제2판(132)은 상기 체결바(150)와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제1판(131)으로부터 연장되는 브라켓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As shown in FIG. 1 and FIG. 2, the weight imparting members 130 and 130 'may include a first plate 131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the pair of second plates 132 may be formed on both end sides of the fastening bar 150 via fastening holes 133. [ Lt; / RTI > However, the shape of the weight imparting member 130, 130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air of second plates 132 may extend from the first plate 131 for engagement with the fastening bar 150 And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bracket.

이때, 상기 중량부여부재(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통과공(134)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통과공(134)은 상기 필터모듈(100')이 침강하는 과정에서 원수가 통과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터모듈(100')의 전체무게를 증가시키면서도 부력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용이하게 침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3, at least one through hole 134 may be formed through the weight imparting member 130 '. The passage hole 134 allows the raw water to pass through the filter module 100 'in the process of sinking the filter module 100', thereby minimizing the buoyancy of the filter module 100 ' .

다른 예로써, 상기 중량부여부재(2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된 메쉬망의 형태일 수 있으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필터부재(110) 중 최외곽 측에 배치되는 필터부재(110)의 일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량부여부재(23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복수 개의 필터부재(110) 중 최외곽 측에 배치되는 두 개의 필터부재(110)의 일면과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weight imparting member 230 may be a mesh network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s shown in FIG. 4, and may be disposed at the outermost one of a plurality of filter members 110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The filter member 11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one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110. The weight imparting members 230 may be disposed in a pair so as to face the respective surfaces of the two filter members 110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 of the plurality of filter members 110.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중량부여부재(230)는 필터모듈(200)의 전체무게를 증가시키는 역할과 더불어, 복수 개의 통공을 통하여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이물질이 상기 중량부여부재(230)를 통해 걸러진 후 상기 필터부재(110)의 여과부재(111) 측으로 유입됨으로써 상기 여과부재(111)의 표면 측에 들러붙는 이물질의 양을 줄여줌으로써 여과부재(111)의 사용수명을 늘려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과수의 생산성을 높여줄 수 있다.In this case, the weight imparting member 230 may increase the overall weight of the filter module 200, and may filter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raw water 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 relatively large foreign matter is filtered through the weight-providing member 230 and then flows into the filter member 111 of the filter member 110 so that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111 By reducing the amount, the service life of the filter element 111 can be increased and the productivity of the filtered water can be increased.

또 다른 예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2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부여부재(130,230)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프레임구조물 중 어느 하나의 형태와 도 4에 도시된 메쉬망 형태가 모두 적용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filter module 200 'for a gravity-type water pur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weight-providing members 130 and 230 are installed in any one of the frame structures shown in FIGS. 2 and 3 And the shape of the mesh network shown in FIG. 4 may be applied.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필터부재(110)는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재(111), 지지프레임 및 연결부재(113,113')를 포함하는 평판형일 수 있다.Meanwhile, the filter member 11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flat plate type including the filter member 111, the support frame, and the connecting members 113 and 113 ', as shown in FIGS. 6 to 11.

상기 여과부재(111)는 이물질이 포함된 원수로부터 이물질을 여과시키기 위한 것으로, 공지의 여과부재가 사용될 수도 있지만 제1지지체(111a)의 양면에 나노섬유웹(111c)이 배치된 판상의 형태일 수 있다.The filter member 111 is for filtering foreign matters from the raw water containing foreign matter and may be a known filter member. However, the filter member 111 may be a plate-shaped member in which a nanofiber web 111c is disposed on both surfaces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11a. .

본 발명에서, 상기 나노섬유웹(111c)은 상기 원수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들을 걸러내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지지체(111a)는 상기 나노섬유웹(111c)을 지지하고 상기 나노섬유웹(111c)에 의해 생산된 여과수가 이동하는 이동통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anofiber web 111c is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raw water during the passage of the raw water. The first support 111a supports the nanofiber web 111c, The filtrate produced by the nanofiber web 111c can act as a movement path for movement.

이때, 상기 여과부재(111)는 상기 나노섬유웹(111c)이 상기 제1지지체(111a)의 양면에 직접 부착되는 3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기 나노섬유웹(111c)과 제1지지체(111a) 사이에 다른 제2지지체(111b)가 개재되는 5층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filter member 111 may have a three-layer structure in which the nanofiber web 111c is directly attached to both surfaces of the first support 111a, and the nanofiber web 111c and the first support Layer structure in which a second support body 111b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members 111a and 111a.

여기서, 상기 제2지지체(111b)는 상기 여과부재(111)의 전체적인 두께를 줄일 수 있도록 상기 제1지지체(111a)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지지체(111a)의 일면에 합지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111b may be formed to have a thickness that is relatively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support 111a so as to reduce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filtration member 111. The first support 111a ). ≪ / RTI >

이를 통해, 상기 나노섬유웹(111c)이 상기 제1지지체(111a)에 직접 부착되지 않고 상기 제2지지체(111b)를 통해 부착됨으로써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nanofiber web 111c is attached to the first support 111a without being directly attached to the second support 111b, thereby improving adhesion and facilitating adhesion.

일례로, 상기 나노섬유웹(111c)은 열융착, 초음파 융착, 고주파 융착 등을 통하여 상기 제2지지체(111b)를 매개로 상기 제1지지체(111a)에 부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nanofiber web 111c may be attached to the first support 111a via the second support 111b through thermal fusion, ultrasonic fusion, high frequency fusion, or the like.

이때, 상기 제2지지체(111b)는 부착과정에서 일부 또는 전부가 용융되어 상기 제1지지체(111a)에 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나노섬유웹(111c)은 열에 의하여 용융되지 않도록 융착과정에서 수행되는 공정온도보다 더 높은 용융온도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2지지체(111b)는 융착과정에서 수행되는 공정온도보다 더 낮은 용융온도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support 111b may be partially or completely melted and attached to the first support 111a during the attachment process. For this, the nanofiber web 111c may have a melting temperature higher than the process temperature that is performed during the fusing process so that the nanofiber web 111c is not melted by heat, and the second support 111b may have a melting temperature higher than the process temperature And may be provided to have a low melting temperature.

이에 따라, 상기 여과부재(111)는 상기 제2지지체(111b)가 완전히 용융되어 3층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고, 상기 제2지지체(111b)의 일부만이 용융되어 나노섬유웹(111c)과 제1지지체(111a) 사이에 상기 제2지지체(111b)가 잔존하는 5층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여과부재(111)의 구조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두 개의 나노섬유웹(111c) 사이에 하나 이상의 지지체가 개재되는 형태라면 무방함을 밝혀둔다.The second support 111b may be completely melted to have a three-layer structure and only a part of the second support 111b may be melted to form the nanofiber web 111c and the second support 111b. Layer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support body 111b remains between the first support bodies 111a.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filtration member 111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should be noted that it is not necessary that the structure is such that at least one support is interposed between the two nanofiber webs 111c.

더불어, 상기 제1지지체(111a) 및 제2지지체(111b)는 상기 나노섬유웹(111c)에 의해 생산된 여과수가 이동하는 이동통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공성의 기재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지지체(111a) 및/또는 제2지지체(111b)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직물, 편물 또는 부직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상기 부직포는 케미컬본딩 부직포, 써멀본딩 부직포, 에어레이 부직포 등의 건식부직포나 습식부직포, 스판레스 부직포, 니들펀칭 부직포 또는 멜트블로운과 같은 공지된 부직포가 사용될 수 있으며, 부직포의 공경, 기공율, 평량 등은 목적하는 수투과도, 여과효율, 기계적 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밝혀둔다. 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111a and the second support 111b may be porous substrates so that the filtered water produced by the nanofiber web 111c may serve as a movement path. For example, the first support 111a and / or the second support 111b may be any one of commonly known woven, knitted or nonwoven fabrics commonly used, and the nonwoven fabric may be a chemical bonding nonwoven fabric, a thermal bonding nonwoven fabric, A nonwoven fabric such as a nonwoven fabric, a dry nonwoven fabric such as a nonwoven fabric, a nonwoven fabric, a nonwoven fabric, a nonwoven fabric, a nonwoven fabric or a nonwoven fabric,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다시 말하면, 상기 제1지지체(111a) 및/또는 제2지지체(111b)는 그 재질에 있어서 제한이 없으며, 일례로써,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및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합성섬유 또는 셀룰로오스계를 포함하는 천연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first support 111a and / or the second support 111b are not limited in their materials. For example, synthetic fib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ster, polypropylene, nylon and polyethylene, or cellulose Lt; / RTI > fibers can be used.

다만, 상기 나노섬유웹(111c)과의 결속력 향상을 통한 수처리 공정 적용 중 제1지지체(111a) 및/또는 제2지지체(111b)와 나노섬유웹(111c) 간의 분리를 방지하고, 별도의 접착성분의 사용에 따른 수투과도 저하 등의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지지체(111a) 및 제2지지체(111b)는 열융착이 가능한 공지된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저융점 폴리에틸렌 등 저융점 고분자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저융점 폴리에스테르를 초부로 하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심부로 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저융점 복합섬유 및/또는 저융점 폴리에틸렌을 초부로 하고 폴리프로필렌을 심부로 하는 폴리올레핀계 저융점 복합섬유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융점 고분자화합물의 융점은 60 ~ 180℃일 수 있으며, 상기 제1지지체(111a)의 두께는 2 ~ 20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it is possible to prevent separation between the first support body 111a and / or the second support body 111b and the nanofiber web 111c during the water treatment process by improving the binding force with the nanofiber web 111c, The first support 111a and the second support 111b may be formed of a low-melting-point polymer compound such as a known low-melting-point polyester and a low-melting-point polyethylene capable of being thermally fused to each other to prevent problems such as lowering of water- And a polyolefin low melting point conjugated fiber having a low melting point polyester as a core and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as a core and a polyester low melting point conjugated fiber and / or a low melting point polyethylene as a core and a polypropylene core as a core . The melting point of the low melting point polymer compound may be 60-180 ° C., and the thickness of the first support 111 a may be 2-200 μm,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2지지체(111b)는 상기 제1지지체(111a)와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상기 제1지지체(111a)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합지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지지체(111a)와의 부착력을 높일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111b may be made of a different material from the first support 111a but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support 111a,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dhesion force with the first electrode 111a.

상기 나노섬유웹(111c)은 여과대상액에 포함된 이물질들을 걸러내기 위한 것으로 나노섬유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나노섬유는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PAN)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를 포함하는 섬유형성성분 및 상기 섬유형성성분의 혼화성을 향상시키는 에멀젼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The nanofiber web 111c may be formed through nanofibers to filter foreign matters contained in the filtrate. At this time, the nanofibers may include a fiber forming component including polyacrylonitrile (PAN) and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and an emulsifying agent for improving miscibility of the fiber forming component.

여기서, 상기 섬유형성성분은 친수성이 큰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PAN, 이하 PAN으로 호칭함)과 소수성이 매우 큰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이하 PVDF로 호칭함)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iber forming component may include polyacrylonitrile (PAN) and hydrophilic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both of which have high hydrophilicity.

상기 PVDF는 재질의 특성상 나노섬유의 기계적 강도, 내화학성을 담보시킬 수 있으며, 상기 PAN은 친수성이 커서 상기 PVDF로 인한 나노섬유의 소수성화를 방지하고 나노섬유의 친수성을 향상시켜 여과부재에 나노섬유가 부착되었을 때 향상된 수투과도를 발현할 수 있다.The PVDF can secure the mechanical strength and chemical resistance of the nanofiber due to the nature of the material. The PAN is hydrophilic, thereby preventing the hydrophobicity of the nanofiber due to the PVDF and improving the hydrophilicity of the nanofiber, An improved water permeability can be exhibited.

한편, 상기 나노섬유웹(111c)은 3차원 네트워크 구조의 나노섬유웹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PAN) 및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를 포함하는 섬유형성성분과, 에멀젼화제를 포함하는 나노섬유가 방사면에 대하여 수직하여 적층될 수 있는데, 방사 중에 공기중에 휘발/증발되지 못한 용매로 인하여 적층된 나노섬유 중 섬유 표면 간에 맞닿는 부분에서 융착이 발생하여 3차원 네크워크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nanofiber web 111c may include a nanofiber web having a three-dimensional network structure. For example, nanofibers comprising a fiber forming component comprising polyacrylonitrile (PAN) and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and an emulsifying agent can be laminated perpendicularly to the radiation plane, Due to the solvent which has not been volatilized / evaporated during the fusing process, fusion occurs in the portion of the laminated nanofibers contacting the surfaces of the fibers to form a three-dimensional network structure.

이와 같은 상기 나노섬유웹(111c)은 단층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다층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나노섬유웹(111c)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체(111a) 또는 제2지지체(111b)의 일면에 부착되는 제1나노섬유웹(111d)과, 상기 제1나노섬유웹(111d)의 일면에 적층되는 제2나노섬유웹(111e)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나노섬유웹(111d)의 일면에는 은나노 물질과 같은 항균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The nanofiber web 111c may be formed as a single layer or may have multiple layers. For example, the nanofiber web 111c may include a first nanofiber web 111d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111a or the second support 111b as shown in FIG. 12, And a second nanofiber web 111e laminated on one surface of the nanofiber web 111d. At this time, an antimicrobial material such as a silver nano material may be coat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nanofiber web 111d.

이에 따라, 상기 원수는 상기 제2나노섬유웹(111e) 및 제1나노섬유웹(111d)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짐과 동시에 상기 제1나노섬유웹(111d)에 포함된 항균물질을 통해 세균과 같은 유해성분이 재차 걸러짐으로써 고품질의 여과수를 생산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raw water is sequentially passed through the second nanofiber web 111e and the first nanofiber web 111d so that the foreign matter is filtered and the antibacterial material contained in the first nanofiber web 111d It is possible to produce high-quality filtered water by filtering out harmful substances such as bacteria again.

더불어, 상기 제1나노섬유웹(111d)의 일면에는 항균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제2나노섬유웹(111e)이 적층되어 원수와 직접 접촉됨으로써 제2나노섬유웹(111e)의 표면에는 미생물의 증식이 가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미생물이 제2나노섬유웹(111e)의 표면에 들러붙은 유기물들을 제거하여 줌으로써 유기물에 의한 파울링 역시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a second nanofiber web 111e which does not contain an antimicrobial substance is laminat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nanofiber web 111d and directly contacted with the raw water, so that the surface of the second nanofiber web 111e is allowed to grow May be possible. Thus, the microorganisms remove organic substances adhering to the surface of the second nanofibrous web 111e, thereby preventing fouling caused by organic matter.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항균물질의 일례로서 은나노 물질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나노섬유웹(111c)에 부착 또는 코팅될 수 있는 것이라면 항균물질로 알려진 공지의 다양한 물질이 모두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In the present embodiment, silver nanomaterials are exemplified as an example of the antimicrobial material,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f it is possible to attach or coat the nanofiber web 111c, various known materials known as antibacterial materials can be used Leave.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여과부재(111)의 테두리측에 배치되어 상기 여과부재(111)의 테두리측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여과부재(111)가 판상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support frame is disposed at the edge of the filter member 111 and supports the edge of the filter member 111 so that the filter member 111 can maintain a plate-like shape.

이와 같은 지지프레임은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여과부재(111)의 테두리 측을 전체적으로 지지하거나 부분적으로 지지할 수도 있지만, 복수 개의 프레임(112,112')이 상기 여과부재(111)의 테두리 측에 결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support frame may be a single member that supports or partially supports the edge of the filter member 111, but a plurality of frames 112 and 112 'may be coupled to the edge of the filter member 111 . ≪ / RTI >

일례로,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112,112')은 어느 하나의 단부가 다른 하나의 단부에 접하도록 상기 여과부재(111)의 테두리 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여과부재(111)의 모서리 측에 배치되는 연결부재(113,113')를 통하여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프레임(112,112)(112,112')의 단부측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지지프레임의 형상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여과부재(111)의 형상에 따라 원형, 호형, 다각형 및 이들이 상호 조합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여과부재의 테두리를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가 되더라도 무방함을 밝혀둔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frames 112 and 112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edge side of the filter member 111 so that one end thereof contacts the other end, The end sides of the two adjacent frames 112, 112 (112, 112 ')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s 113, 113'. However, the shape of the support frame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hanged into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arc, polygon, and a combination thereof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filter member 111, It is clear that any form is acceptable.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여과부재(111)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함께 상기 여과부재(111)에 의해 생산된 여과수가 수취구(114) 측으로 이동하는 유동경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프레임을 구성하는 각각의 프레임(112,112')은 일측이 개방된 대략 'ㄷ'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내측에 상기 여과부재(111)로부터 유입된 여과수가 이동하는 유로(112c)가 형성될 수 있다(도 8 참조).At this time, the support frame may serve as a flow path for supporting the filtration member 111 and for the filtered water produced by the filtration member 111 to move to the receiving opening 114 side. For this purpose, each of the frames 112 and 112 'constituting the support frame may be provided in a substantially' C 'shape with one side thereof being opened, and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filtered water flowing from the filtration member 111 moves 112c may be formed (see FIG. 8).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112,112')은 판상의 제1판(112a)과, 상기 제1판(112a)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판(112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로(112c)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2판(112b) 사이에 프레임(112,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frames 112 and 112 'includes a first plate 112a having a plate shape, a pair of second plates 112b ext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both ends of the first plate 112a, And the flow path 112c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ames 112 and 112 'between the pair of second plates 112b facing each other.

이를 통해, 상기 여과부재(111)는 테두리 측이 상기 한 쌍의 제2판(112b) 사이에 형성된 공간 측으로 삽입됨으로써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2판(112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제2판(112b) 사이에 형성된 공간측으로 삽입되는 여과부재(111)의 테두리측은 상기 제1판(112a)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삽입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lter member 111 can be supported by the pair of second plates 112b, which face each other by being inserted into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pair of second plates 112b. At this time, the edge of the filtration member 111 inserted into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pair of second plates 112b may be inserted at a distance from the first plate 112a.

즉,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2판(112b)의 대향면 상에는 상기 여과부재(111)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구속부재(112d)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여과부재(111)의 테두리측이 각각의 프레임(112,112')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구속부재(112d)를 통해 상기 여과부재(111)의 삽입깊이가 제한됨으로써 상기 여과부재(111)의 테두리측 단부와 상기 제1판(112a) 사이에는 여과수가 이동할 수 있는 유로(112c)가 형성될 수 있다.That is, a restricting member 112d for restricting the insertion depth of the filtration member 111 may be formed on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pair of second plates 112b facing each other. The insertion depth of the filtration member 111 is restricted through the restricting member 112d in the process of fastening the edge of the filtration member 111 to the respective frames 112 and 112 ' A flow path 112c through which filtrate water can move may be formed between the edge side of the first plate 112a and the first plate 112a.

본 발명에서, 상기 구속부재(112d)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2판(112b)의 대향면 상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한 쌍의 제2판(112b) 중 어느 하나의 내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구속부재(112d)는 각각의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부분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속부재(112d)가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2판(112b)의 대향면 상에 각각 형성되는 경우 각각의 구속부재(112d)는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이격배치됨으로써 여과수가 상기 간격을 통해 유로(112c)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traint member 112d may be formed on each of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pair of second plates 112b facing each other, but may be formed on only one of the pair of second plates 112b . In addition, the restraint member 112d may be entirely or partially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frame. When the restraint members 112d are formed on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pair of second plates 112b facing each other, the respective restraint members 112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To the flow path 112c side.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필터부재(110)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모서리측에 결합되는 연결부재(113,1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부재(113,113')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모서리측에 결합되어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프레임(112,112)(112,112')의 단부를 고정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lter member 11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connecting members 113 and 113 'that are coupled to the edge of the support frame. A plurality of such connecting members 113 and 113 'may be provided, and the ends of the two adjacent frames 112 and 112 (112 and 112') may be fixed to the corner of the supporting frame.

이를 위해, 상기 연결부재(113,113')는 서로 이웃하는 프레임(112,112)(112,112')의 단부측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몸체(113a)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112,112') 중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프레임은 단부측이 각각 상기 몸체(113a)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몸체(113a)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connecting members 113 and 113 'may include a body 113a having one side opened so as to insert the end sides of the adjacent frames 112 and 112 (112 and 112'). Accordingly, two frames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frames 112 and 112 'constituting the support frame can be fixed by the body 113a by inserting the end sides into the body 113a.

일례로,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112)의 단부는 상기 몸체(113a)의 제1방향으로 삽입되고, 나머지 하나의 프레임(112')의 단부는 상기 몸체(113a)의 제2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방향으로 삽입된 프레임(112)의 단부와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도 10 참조).For example, the end of one of the two frames 112 adjacent to each other is inserted in the first direction of the body 113a, and the end of the other one of the frames 112 ' (See FIG. 10) inserted into the first direction and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frame 112 inserted in the first direction.

이때, 상기 제1방향으로 삽입된 프레임(112)에 형성된 유로(112c)와 상기 제2방향으로 삽입된 프레임(112')에 형성된 유로(112c)는 서로 연통되도록 배치됨으로써 복수 개의 프레임(112,112')에 각각 형성된 유로가 모두 연통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low path 112c formed in the frame 112 insert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flow path 112c formed in the frame 112 'inserted in the second directio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form a plurality of frames 112 and 112' Can b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여기서, 상기 제1방향 및 제2방향은 동일 평면상에서 서로 직교하는 방향일 수도 있고, 동일 평면상에서 하나의 직선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기울어진 방향일 수도 있다.Here,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may be directions orthogonal to each other on the same plane, or may be inclin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one straight line on the same plane.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필터부재(110)가 복수 개로 구비되어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경우, 각각의 여과부재(111)가 간격을 두고 이격배치될 수 있도록 간격조절구(115)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간격조절구(115)는 상기 지지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프레임(112,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도 있지만, 상기 연결부재(113,1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간격조절구(115)는 체결공(115c)이 형성된 연장판(125a) 및 이격부재(115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113,113')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filter members 110 are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with a space therebetween, an interval adjusting unit 115 is provided so that each of the filtering members 111 can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The gap adjusting member 115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rames 112 and 112 'constituting the support frame, but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connecting members 113 and 113'. For example, the gap adjusting member 115 may include an extension plate 125a and a spacing member 115b formed with a fastening hole 115c, and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s 113 and 113 '.

구체적으로, 상기 연장판(125a)은 상기 연결부재(113,113')의 몸체(113a)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체결바(150)가 통과되는 체결공(115c)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는 상기 체결공(115c)이 상기 연장판(125a)에 원형으로 관통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체결바(150)의 단면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체결공(115c)은 원형, 호형, 다각단면 또는 이들이 조합된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extension plate 125a may extend outward from the body 113a of the connection members 113 and 113 ', and a fastening hole 115c through which the fastening bar 150 passes may be formed. Although the fastening holes 115c are illustrated as being formed in the extension plate 125a in a circular shape, the fastening holes 115c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fastening bar 150. For example, the fastening hole 115c may have any one of a circular shape, an arc-like shape, a polygonal cross-section, or a combination thereof.

이때, 상기 이격부재(115b)는 상기 연장판(125a)의 일면으로부터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일정 높이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이격부재(115b)는 상기 체결공(115c)의 테두리를 전체적으로 둘러싸거나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pacing member 115b may protrude to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one surface of the extension plate 125a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spacing member 115b may surround the edge of the fastening hole 115c as a whole, As shown in FIG.

여기서, 상기 이격부재(115b)는 상기 연장판(125a)의 양면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연장판(125a)의 일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연장판(125a)의 일면으로부터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다단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spacing member 115b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xtension plate 125a or may be formed on only one side of the extension plate 125a and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extension plate 125a, As shown in FIG.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필터부재(110)가 체결바(150)를 통해 서로 고정되는 경우 각각의 필터부재(110)를 완전히 밀착시키더라도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여과부재(111)는 상기 이격부재(115b)를 통해 간격을 두고 이격될 수 있다(도 1 참조). 이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필터부재(110)를 체결공(115c)을 통해 체결바(150)를 체결하고 각각의 필터부재(120)를 서로 밀착시키게 되면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각각의 여과부재(111)는 상기 이격부재(115b)를 통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plurality of filter members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fixed to each other through the fastening bar 150, the filter member 111, which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even when the respective filter members 110 are complete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can be spaced apart through the spacing member 115b (see FIG. 1). Accordingly, when the fastening bar 150 is fastened to the plurality of filter members 110 through the fastening holes 115c and the filter members 120 are closely contacted with each other, the respective filter members 111 May b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through the spacing members 115b.

즉, 체결바(150)에 연결된 각각의 필터부재(110)들을 서로 밀착시키면 작업자가 일일이 필터부재 간의 간격을 조절하지 않더라도 상기 이격부재(115b)에 의해 여과부재(111) 사이에 균일한 간격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바(150)의 양측에 너트와 같은 고정부재를 체결하면 각각의 여과부재(111) 사이에 형성된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respective filter members 110 connected to the fastening bar 15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even if the operator does not adjust the gap between the filter members, uniform spacing is provided between the filter members 111 by the spacing member 115b And when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nut is fastened to both sides of the fastening bar 150, a gap formed between the respective filtration members 111 can be maintained.

이로 인해, 상기 필터부재(110)는 각각의 여과부재(111) 양측에 원수가 존재할 수 있음으로써 중력 또는 수압에 의해 상기 여과부재(111)의 외부 양측에서 여과부재(111)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여과수를 생산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filter member 110 may be filled with raw water on both sides of each filter member 111, so that the filter member 110 moves to the inside of the filter member 111 from both sides of the filter member 111 by gravity or water pressure It is possible to produce filtered water.

더불어, 반복적인 여과수의 생산작업이 수행된 후 상기 여과부재(111)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역세작업이 수행되는 경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와 같은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여과부재(111)에 부착된 이물질들이 분리된 후 서로 이웃하는 여과부재(111) 사이의 공간으로 낙하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backwashing is performed to remove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filtration member 111 after repetitive filtration water production operation is performed, the pressure of the fluid, such as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Can be separated and then fall into a space between adjacent filter elements 111. [

한편, 상기 연결부재(113,1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113')는 각각의 프레임(112,112')에 형성된 유로(112c)를 따라 이동된 여과수를 배출하기 위한 수취구(114)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프레임의 모서리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연결부재(113,113') 중 상기 수취구(114)가 형성되지 않은 연결부재(113)는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역할만을 수행하는 반면, 상기 수취구(114)가 형성된 연결부재(113')는 상기 수취구(114)를 통하여 생산된 여과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의 역할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connecting members 113 and 113 'may be provided with a receiving opening 114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water moved along the flow path 112c formed in each of the frames 112 and 112' . That is, the connection member 113, which is not provided with the receiving opening 114 among the plurality of connection members 113 and 113 'coupled to the edge of the support frame, only plays a role of connecting the adjacent pair of frames And the connection member 113 'having the receiving opening 114 may serve as a drain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water produced through the receiving opening 114 to the outside.

이러한 수취구(11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공통수취부재(120)와 연결관(141)을 매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The receiving port 114 may be connected to the common receiving member 120 via the connecting pipe 141 as described above.

이때, 상기 수취구(114)가 형성된 연결부재(113')는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프레임(112,112')과의 결합시 상기 두 개의 프레임(112,112')에 각각 형성되는 유로(112c)들과 연통되는 수집공간(116)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집공간(116)은 상기 수취구(114)와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member 113 'in which the receiving opening 114 is formed communicates with the flow channels 112c formed in the two frames 112 and 112' when they are coupled with the two neighboring frames 112 and 112 ' And the collecting space 116 may be formed at a position in communication with the receiving opening 114. [

일례로, 상기 수집공간(116)은 상기 수취구(114)가 형성된 연결부재(113')와 두 개의 프레임(112,112') 간의 결합시 상기 연결부재(113')에 삽입되는 두 개의 프레임(112,112')의 단부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집공간(116)은 상기 연결부재(113,113')에 삽입되는 두 개의 프레임(112,112') 중 어느 하나(112')의 단부를 절개하여 서로 형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llection space 116 includes two frames 112 and 112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member 113' when the connection member 113 'in which the receiving opening 114 is formed and the two frames 112 and 112' And the collecting space 116 may be formed at one end of one of the two frames 112 and 112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members 113 and 113' .

한편, 상술한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100,100',200,200')은 중력을 이용하여 필터부재(110) 측으로 원수가 유입된 후 여과수가 배출되는 중력식 정수장치(1000,2000)에 적용될 수 있다.The filter modules 100, 100 ', 200, 200' for the gravity-typ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may be applied to the gravity water purification apparatuses 1000, 2000 in which raw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filter member 110 by gravity and then filtered water is discharged.

즉, 본 발명에 따른 중력식 정수장치(1000,2000)는 도 13 내지 도 17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10,410) 및 필터모듈(100)을 포함한다.That is, the gravity-typ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1000, 2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housing 310, 410 and the filter module 100 as shown in Figs. 13 to 17 and Fig.

상기 하우징(310,410)은 처리대상액인 원수가 저장되고 상기 원수로부터 여과수를 생산하기 위한 필터모듈(100)이 배치되는 곳으로, 소정의 내부공간(S)을 갖는 함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310 and 410 may be formed as a housing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S where raw water as a treatment target solution is stored and a filter module 100 for producing filtered water from the raw water is disposed.

이때, 상기 하우징(310,410)은 상기 내부공간(S)이 하나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두 개의 공간(S1,S2)으로 구획된 형태일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internal space S of the housing 310 and 410 may be formed as one space or may be divided into two spaces S1 and S2.

일례로, 상기 하우징(310)은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수가 저장되는 제1공간(S1)이 형성된 제1하우징(310a)과, 상기 여과수가 저장되는 제2공간(S2)이 형성된 제2하우징(310b)으로 구성될 수 있다.13 to 17, the housing 310 includes a first housing 310a having a first space S1 in which raw water is stored, a second space S2 in which the filtered water is stored, And a second housing 310b formed with the second housing 310b.

여기서, 상기 제1공간(S1)에는 상기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모듈(10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하우징(310a)의 바닥면에는 상기 필터모듈(100)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출구(311)가 관통형성됨으로써 이물질이 제거되지 않은 원수의 유입은 차단하고 상기 필터모듈(100)을 통해 생산된 여과수만이 상기 유출구(311)를 통해 상기 제2하우징(310b)의 제2공간(S2)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하우징(310a)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취부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316)가 형성될 수 있다.A filter module 100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raw water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space S1. The filter module 100 may be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310a, So that only filtered water produced through the filter module 100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second housing 310b through the outlet 311. In this case, To the second space S2 side. In addition, at least one handle 316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housing 310a so that the user can easily mount the handle 310 on the first housing 310a.

더불어, 상기 필터모듈(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필터부재(110)가 체결바(150)를 매개로 서로 고정된 모듈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필터모듈(100)은 상기 제1공간(S1)에 배치되어 자중에 의해 원수에 침강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중력 또는 수압을 통하여 필터부재(110) 주위의 원수가 여과부재(111)의 내부로 침투함으로써 여과수를 생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필터모듈(100)은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filter module 100 may be in the form of a module in which a plurality of filter members 110 are fixed to each other via fastening bars 150 as described above. The filter module 100 is disposed in the first space S1 and maintains a state of being submerged in the raw water by its own weight so that the raw water around the filter member 110 through gravity or water pressure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filtration member 111 To produce filtered water. Since the filter module 100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필터모듈(100)은 상기 제1공간(S1)에 배치된 상태에서 연결관(162)을 매개로 상기 제1하우징(310a)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유출구(311)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모듈(100)을 통해 생산된 여과수는 상기 유출구(311)를 통해 제2하우징(310b)에 형성된 제2공간(S1)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filter module 100 may be connected to the outlet 311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310a through the connection pipe 162 in a state where the filter module 100 is disposed in the first space S1 . Accordingly, the filtered water produced through the filter module 100 can be moved to the second space S1 formed in the second housing 310b through the outlet 311. [0050] FIG.

이때, 상기 제1하우징(310a)은 상기 제2하우징(310b)의 상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출구(311)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공간(S1)에 저장된 원수가 중력 또는 수압에 의해 상기 여과부재(111)로 침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원수는 여과부재(121)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침투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진 후 상기 유출구(311)를 통해 상기 제2공간(S2) 측으로 낙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housing 310a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housing 310b. Accordingly, the raw water stored in the first space S1 can be infiltrated into the filtration member 111 by gravity or water pressure when the outlet 311 is opened. Therefore, the raw water can be dropped from the outside of the filter member 121 to the inside of the filter unit 121 through the outlet 311 after the foreign matter is filter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정수장치(1000)는 필터모듈(100) 및 원수가 저장된 제1하우징(310a)이 제2하우징(310b)의 상부측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중력 또는 위치에너지에 기인한 수압을 통해 발생되는 자연동력을 이용하여 원수가 필터모듈의 여과부재(121) 측으로 침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전기와 같은 추가적인 동력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여과수를 생산할 수 있음으로써 전기와 같은 기간시설이 설치되지 않거나 전기의 공급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가혹한 환경에서도 필요한 여과수를 간편하게 생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gravity water filtering apparatus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filter module 100 and the first housing 310a storing the raw water to b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housing 310b, The raw water can penetrate to the filter member 121 side of the filter module by using the natural power generated through the water pressure caused by the energy. Thus, it is possible to produce filtered water even without using additional power such as electricity,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produce filtered water required even in a harsh environment in which a periodical facility such as electricity is not installed, electricity can not be supplied, or is difficult.

한편, 상기 제1하우징(310a)의 일측에는 상기 제1공간(S1)과 연통되는 드레인배출구(312)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원수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제1하우징(310a)의 바닥면에 침전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거나 필요한 경우 상기 제1공간(S1)에 저장된 원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도 있다. Meanwhile, a drain outlet 312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space S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first housing 310a, thereby separating foreign matter deposi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310a from the raw water The raw water stored in the first space S1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f necessary.

또한, 상기 제2하우징(310b)의 일측에는 상기 제2공간(S2)과 연통되는 여과수배출구(313)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공간(S2)에 저장된 여과수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여과수배출구(313)를 통해 여과수를 인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여과수배출구(313)는 상기 제2공간(S2)에 저장된 여과수가 중력에 의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하우징(310b)의 바닥면과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하우징(310b)의 바닥면은 상기 제2공간(S2)에 저장된 여과수가 원활하게 상기 여과수배출구(313)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ltration water outlet 313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space S2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econd housing 310b so that when the filtered water stored in the second space S2 is used, the filtered water outlet 313 The filtrate can be withdrawn through the filter. At this time, the filtered water outlet 313 may be formed at a position near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310b so that filtered water stored in the second space S2 can be smoothly discharged by gravity, 2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310b may be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so that the filtered water stored in the second space S2 can smoothly move toward the filtered water outlet 313.

여기서, 상기 드레인배출구(312) 및 여과수배출구(313) 측에는 공지의 개폐밸브(314)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간편하게 개폐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Here, a well-known on / off valve 314 is provided on the side of the drain outlet 312 and the filtered water outlet 313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hange the open / close state.

한편, 상기 제1하우징(310a)의 상부측에는 상기 제1공간(S1)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기 위한 덮개(320)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공간(S1) 측으로 원수의 공급이 필요하거나 상기 제1공간(S1)에 배치된 필터모듈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덮개(320)를 열어 상기 제1공간(S1) 측으로 원수를 공급하거나 필터모듈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Meanwhile, a lid 32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 top of the first space S1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housing 310a. Accordingly, when it is necessary to supply the raw water to the first space S1 or to replace the filter module disposed in the first space S1, the cover 320 is opened to the first space S1 side You can feed raw water or simply replace the filter module.

이때, 상기 덮개(320) 측에는 상기 제1공간(S1) 측으로 원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소정의 면적으로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투입공(3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공간(S1) 측으로 원수를 공급할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덮개(320)를 열지 않더라도 상기 투입공(322)을 통해 제1공간(S1) 측으로 원수를 공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ver 320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injection hole 322 formed to pass through the predetermined space so as to supply raw water to the first space S1 side. Accordingly, if it is necessary to supply the raw water to the first space S1, the raw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first space S1 through the charging hole 322 without opening the lid 320. [

더불어, 상기 투입공(322)의 주위에는 상기 투입공(322)을 둘러싸는 스크린부재(324)가 상기 덮개(320)의 일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투입공(322)을 통해 제1공간(S1) 측으로 원수를 공급하는 경우 상기 투입공(322) 측으로 공급되는 원수의 양이 많더라도 상기 스크린부재(324)를 통해 상기 투입공(322)을 미처 통과하지 못한 원수가 흘러 이탈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원수의 공급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 screen member 324 surrounding the charging hole 322 may be formed around the charging hole 322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from one surface of the charging member 320. Therefore, when raw water is supplied to the first space S1 through the input hole 322, even if the amount of raw water supplied to the input hole 322 is large, 322 are prevented from flowing away and thus the raw water supply ope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이때, 상기 투입공(322)의 상부 측에는 상기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걸름망(346)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원수에 낙엽이나 진흙 등과 같은 부피가 큰 이물질이 포함된 경우 상기 걸름망(346)에 의해 부피가 큰 이물질이 걸러짐으로써 상기 필터모듈의 여과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걸름망(346)은 상기 스크린부재(324) 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스테인레스 재질이나 플라스틱 등 걸름망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모든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a drawing wire 346 for filtering foreign matters contained in the raw water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charging hole 322. Accordingly, when the raw water contains volumetric foreign material such as leaves or mud, foreign matter having a large volume is filtered by the filter net 346, thereby increasing the filtration efficiency of the filter module. The screen 344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creen member 324, or may be formed of any known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or plastic.

여기서, 상기 제1하우징(310a) 및 제2하우징(310b)은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Here, the first housing 310a and the second housing 310b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each other or may be detachably coupled.

즉, 상기 하우징(310)은 상기 제1하우징(310a) 및 제2하우징(310b)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310a)의 바닥면 또는 제2하우징(310b)의 상부면이 상기 제1공간(S1)과 제2공간(S2)을 구획하는 격벽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제1공간(S1)에 저장된 원수와 상기 제2공간(S2)에 저장된 여과수를 서로 분리하는 형태일 수 있다.That is, the housing 31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housing 310a and the second housing 310b, and a bottom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310a or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310b And serves to partition the first space S1 and the second space S2 so that the raw water stored in the first space S1 and the filtered water stored in the second space S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have.

대안으로, 상기 하우징(310)은 상기 제1하우징(310a) 및 제2하우징(310b)이 분리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하우징(310a)이 상기 제2하우징(310b)의 상부측에 결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first housing 310a and the second housing 310b may be removably formed in the housing 310, and the first housing 310a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housing 310b As shown in FIG.

즉,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하우징(310b)의 상부 모서리측에는 상기 제1하우징(310a)의 하부 모서리 측을 지지하기 위한 결합구(315)가 각각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하우징(310a)이 상기 제2하우징(310b)의 상부측에 결합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14, a coupling hole 315 for supporting the lower edge side of the first housing 310a is formed on the upper edge side of the second housing 310b, so that the first housing 310a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housing 310b.

일례로, 상기 결합구(315)는 대략 'ㄴ'자 형상으로 상기 제2하우징(310b)의 상부 모서리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하우징(310b)의 상부측에 배치된 제1하우징(310a)은 하부 모서리 측이 상기 결합구(315)와 밀착됨으로써 상기 제2하우징(310b)과 간편하게 결합되고 상기 결합구(315)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하우징(310a) 또는 제2하우징(310b)의 부분적인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도 상기 제1하우징(310a)을 상부로 들어올려 하부 모서리측이 상기 결합구(315)로부터 이탈되도록 함으로써 해당 하우징만을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upling hole 315 may be formed on the upper edge side of the second housing 310b in a substantially 'C' shape. Accordingly, the first housing 310a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housing 310b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second housing 310b by closely contacting the lower edge side with the coupling hole 315, The flow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can be prevented by the first and second flow paths 315 and 315. [ In addition, when the first housing 310a or the second housing 310b is partially replaced, the first housing 310a is lifted up and the lower edge side is detached from the coupling hole 315 Only the housing can be easily replaced.

본 발명에서, 상기 제1하우징(310a) 및 제2하우징(310b)이 분리가능하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2하우징(310b)의 상판 측에는 상기 유출구(311)와 대응되는 영역에 소정의 면적을 갖는 개구부(317)가 관통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출구(311)를 통해 배출되는 여과수가 상기 제2공간(S2) 측으로 낙하하여 상기 제2공간(S2)에 저장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housing 310a and the second housing 310b are detachably forme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310b has a predetermined area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outlet 311 The opening 317 can be formed through. Accordingly, the filtered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311 may fall into the second space S2 and be stored in the second space S2.

여기서, 상기 상판 측에는 소정의 높이를 갖추고 상기 개구부(317)의 테두리를 둘러싸는 방지턱(318)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공간(S2)에 저장되는 여과수의 양을 최대화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pper plate has a predetermined height and a bushing 318 surrounding the rim of the opening 317, thereby maximizing the amount of filtered water stored in the second space S2.

이때, 상기 유출구(311)는 개폐수단(330)을 통해 상기 필터모듈(100)에서 생산된 여과수의 배출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utlet 311 may allow or block the discharge of the filtered water produced by the filter module 100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330.

여기서, 상기 개폐수단(330)은 상기 제2공간(S2)에 저장된 여과수의 수위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어 여과수의 배출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기와 같은 별도의 구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Here, the opening / closing means 330 is operated automatically by the water level of the filtered water stored in the second space S2 to allow or block the discharge of the filtered water, thereby not requiring a separate driving force such as electricity. .

일례로, 상기 개폐수단(330)은 상기 유출구(311)에 체결되는 중공형의 관체(331)와, 상기 관체(33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부재(3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링크부재(332)의 양단부 측에는 밀폐부재(333)와 부력부재(334)가 각각 고정될 수 있다(도 18 참조). For example,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330 may include a hollow tube body 331 to be coupled to the outlet 311, and a link member 332 rotatably connected to the tube body 331, The sealing member 333 and the buoyancy member 334 can be fixed to both end portions of the link member 332 (see Fig. 18).

여기서, 상기 밀폐부재(333)는 상기 링크부재(332)의 회동시 함께 회동되어 상기 유출구(311)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으며, 상기 부력부재(334)는 상기 제2공간(S2)에 저장된 여과수의 수위에 따라 부력에 의해 승,하강됨으로써 상기 링크부재(332)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sealing member 333 may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link member 332 to open or close the outlet 311 and the buoyancy member 334 may be stored in the second space S2. And can be provided with a driving force for rotating the link member 332 by being lifted and lowered by buoyancy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filtered water.

이에 따라, 상기 개폐수단(330)은 상기 제2공간(S2)에 유입된 여과수의 양이 적을 때에는 상기 부력부재(334)의 자중에 의해 상기 링크부재(332)가 하부측으로 회동됨으로써 상기 유출구(311)를 개방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도 19의 (a) 참조). When the amount of filtered water flowing into the second space S2 is small, the opening / closing means 330 rotates the link member 332 downward by the weight of the buoyancy member 334, 311) can be kept open (see Fig. 19 (a)).

반대로, 상기 제2공간(S2)에 여과수가 일정량 채워진 경우 상기 부력부재(334)는 여과수의 표면에 부유되고 상기 제2공간(S2)에 저장된 여과수의 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부력에 의해 상승함으로써 상기 링크부재(332)가 상부측으로 회동될 수 있다(도 19의 (b) 참조). 이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332)의 단부에 고정된 밀폐부재(333)가 상기 유출구(311)를 덮어 상기 유출구(311)를 폐쇄상태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필터모듈을 통해 생산된 여과수가 제2공간(S2)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On the contrary, when a certain amount of filtered water is filled in the second space S2, the buoyancy member 334 floats on the surface of the filtered water and rises by buoyancy as the level of the filtered water stored in the second space S2 rises, The link member 332 can be pivoted to the upper side (see Fig. 19 (b)). The sealing member 333 fixed to the end portion of the link member 332 covers the outlet 311 and changes the outlet 311 to the closed state so that the filtered water produced through the filter module flows into the second space (S2).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력식 정수장치(1000)는 상기 제2공간(S2)에 수용할 수 있는 여과수의 양이 채워진 경우 개폐수단(330)을 통해 유출구(311)를 폐쇄상태로 변경하여 상기 필터모듈을 통한 여과수의 생산을 중단할 수 있음으로써 원수 또는 생산된 여과수가 불필요하게 버려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amount of the filtered water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second space S2 is filled, the gravity water filtering apparatus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the outlet 311 to the closed state through the opening / closing means 330, The production of the filtered water through the filter module can be stopped so that the raw water or the produced filtered wat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unnecessarily discarded.

다른 예로써, 상기 중력식 정수장치(200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410)이 하나의 내부공간(S)을 갖는 형태일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gravity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2000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housing 410 has one internal space S as shown in FIG.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410)은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대용량의 사이즈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써, 상기 하우징(410)은 건물의 옥상이나 지면에 설치되는 빗물저장탱크일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using 410 can be implemented in a large-sized size so that an operator can enter and exit the apparatus. As a specific example, the housing 410 may be a rainwater storage tank installed on the roof or the ground of the building.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하우징(410)에 배치되는 필터모듈(100)은 하나일 수도 있으나, 복수 개가 서로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re may be one filter module 100 disposed in the housing 410, but a plurality of filter modules 1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하우징(410)의 일측에는 상기 내부공간(S)과 연통되는 여과수배출구(413)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필터모듈(100)로부터 생산된 여과수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상기 여과수배출구(413) 측에는 공지의 개폐밸브(414)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간편하게 개폐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여과수배출구(413)는 상기 필터모듈(100)에서 생산된 여과수가 중력에 의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410)의 바닥면과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ltering water outlet 413 communicating with the internal space S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410 so that filtered water produced from the filter module 10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Closing valve 414, the user can easily change the open / close state. The filtered water outlet 413 may be formed near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410 so that filtered water produced by the filter module 100 can be smoothly discharged by gravity.

이에 따라, 상기 여과수배출구(413)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필터모듈(100)에서 생산된 원수가 중력 또는 수압에 의해 상기 여과부재(111) 측으로 침투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진 후 상기 여과수배출구(4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In the state where the filtered water outlet 413 is opened, the raw water produced by the filter module 100 is infiltrated into the filter member 111 side by gravity or water pressure, so that foreign matter is filtered and then the filtered water outlet 413 To the outsid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정수장치(2000)는 상기 여과수배출구(413)가 개방된 경우 중력 또는 위치에너지에 기인한 수압을 통해 발생되는 자연동력을 이용하여 원수가 필터모듈의 여과부재(121) 측으로 침투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gravity water filtration apparatus 2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ltered water outlet 413 is opened, raw water is supplied to the filter module 300 using natural power generated through water pressure due to gravity or potential energy. It can penetrate into the filter member 121 side.

이로 인해, 전기와 같은 추가적인 동력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여과수를 생산할 수 있음으로써 전기와 같은 기간시설이 설치되지 않거나 전기의 공급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가혹한 환경에서도 필요한 여과수를 간편하게 생산할 수 있다.Thus, it is possible to produce filtered water even without using additional power such as electricity,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produce filtered water required even in a harsh environment in which a periodical facility such as electricity is not installed, electricity can not be supplied, or is difficult.

이때, 상기 필터모듈(100)은 복수 개의 필터부재(110)가 체결바(150)를 매개로 서로 고정된 모듈 형태일 수 있으며, 복수 개가 서로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중력식 정수장치(2000)는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두 개의 필터모듈(100)이 브라켓(430)을 매개로 연결된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브라켓(430) 측에 여과수취합부재(420)가 고정된 형태일 수 있다. 더불어, 각각의 필터모듈(100)을 구성하는 필터부재(110)는 두 개의 수취구(114)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두 개의 수취구(114)는 상기 필터모듈(100)에 포함된 하나의 공통수취부재(120)에 연결된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공통수취부재(120)는 상기 중량부여부재(130)의 일측에 고정된 형태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lter module 100 may have a module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filter members 110 are fixed to each other through a fastening bar 150, and a plurality of filter members 11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For example, in the gravity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2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S. 20 to 22, the two filter modules 100 may be connected through a bracket 430, The filtering member 420 may be fixed to the filter 430 side. In addition, the filter member 110 constituting each filter module 100 may be formed with two receiving ports 114, and the two receiving ports 114 may be formed by one And the common receiving member 120 may be fixed to one side of the weight imparting member 130. The common receiving member 120 may be connected to the common receiving member 120,

여기서, 상기 여과수취합부재(420)는 각각의 필터모듈(100)에서 생산된 여과수를 하나로 통합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필터모듈(100)에 포함된 공통수취부재(120)와 서로 연결됨으로써 각각의 필터모듈(100)에서 생산된 여과수가 취합될 수 있다.The filter receiving member 420 is connected to the common receiving member 120 included in each filter module 100 to collect the filtered water produced by each filter module 100, The filtered water produced in the filter module 100 can be collected.

이와 같은 여과수취합부재(420)는 복수 개의 유입구(421)와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4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입구(421)는 각각의 공통수취부재(120)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배출구(422)는 상기 하우징(4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여과수배출구(413)와 연결될 수 있다. The filtrate collecting member 4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let ports 421 and at least one outlet port 422. The inlet port 421 may be connected to each common receiving member 120, 422 may be connected to a filtered water outlet 413 form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410.

이에 따라, 각각의 필터모듈(100)로부터 생산된 여과수는 두 개의 수취구(114)를 통해 각각의 공통수취부재(120)로 이동하고 상기 여과수취합부재(420)를 통해 통합된 후 상기 여과수배출구(4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filtered water produced from each filter module 100 is moved to the respective common receiving members 120 through the two receiving ports 114 and integrated through the filtered water collecting member 420, And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413.

본 실시예에서, 도면에는 상기 내부공간(S)에 두 개의 필터모듈(100)이 서로 연결된 형태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필터모듈(100)의 전체개수는 상기 내부공간(S)에 저장되는 원수의 전체용량에 맞게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wo filter modules 100 are shown connected to the internal space 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total number of the filter modules 100 may be the same as the internal space S, It can be suitably changed according to the total capacity of the raw water to be stored in the raw water.

한편, 도면에는 상기 제1공간(S1) 또는 내부공간(S)에 도 1에 도시된 필터모듈(100)이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필터모듈(100,100',200,200')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1, the filter module 100 shown in FIG. 1 is disposed in the first space S1 or the inner space S. However, the filter module 100 is not limited to the filter module 100 shown in FIGS. 1 to 5 All of the filter modules 100, 100 ', 200, 200' may be applied.

더불어, 상기 필터모듈(100,100',200,200')을 구성하는 필터부재(110)를 평판형태로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다양한 필터부재가 모두 채용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부재(120)의 구조는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In addition, although the filter member 110 constituting the filter modules 100, 100 ', 200, 200' is exemplarily described in the form of a flat plate, various known filter members may be employed, 120 may be suitably modified.

특히, 여과부재(121)의 테두리 측에 여과부재(121)를 판상의 형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지지프레임은 생략될 수 있다. 일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여과부재(121)가 3층 또는 5층 구조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제1지지체(121a)의 양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나노섬유웹(121c) 또는 나노섬유웹(121c)과 제2지지체(121b)가 제1지지체(121a)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후 상기 제1지지체(121a)의 테두리로부터 돌출된 부분이 서로 맞접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In particular, the support frame disposed so as to support the filter member 121 in the form of a plate can be omitted from the rim of the filter member 121. [ For example, when the filter member 121 is implemented as a three-layer or five-layer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a pair of the nanofiber webs 121c or the nanofiber webs 121c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member 121a 121c and the second support 121b are formed to have a relatively larger area than the first support 121a and then the portions protruding from the rim of the first support 121a are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Leav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100',200,200' :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
110 : 필터부재 120 : 공통수취부재
130,130',230 : 중량부여부재
1000,2000 : 중력식 정수장치 310a : 제1하우징
310b : 제2하우징 320 : 덮개
330 : 개폐수단 410 : 하우징
420 : 여과수취합부재
100,100 ', 200,200': Filter module for gravity type water purification device
110: filter member 120: common receiving member
130, 130 ', 230:
1000, 2000: gravity type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310a: first housing
310b: second housing 320: cover
330: opening / closing means 410: housing
420: Filtration water collecting member

Claims (18)

평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이격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체결바를 매개로 서로 고정되는 복수 개의 필터부재;
상기 필터부재에 형성되는 각각의 수취구가 연결되어 상기 필터부재에서 생산된 여과수가 모이는 공통수취부재; 및
전체적인 중량을 증가시켜 침강이 용이하도록 상기 체결바 측에 결합되는 중량부여부재;를 포함하는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
A plurality of filter members which are plate-shaped and ar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in parallel at intervals and fixed to each other via at least one fastening bar;
A common receiving member connected to each of the receiving openings formed in the filter member to collect the filtered water produced in the filter member; And
And a weight imparting member coupled to the fastening bar side so as to facilitate sedimentation by increasing the overall weight of the filter modu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여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필터부재의 하부측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weight imparting member is disposed so as to surround the lower side of the plurality of filter member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여부재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의 제1판과, 상기 제1판의 양 측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판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판이 상기 체결바의 양 단부측에 체결되는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weight imparting member includes a plate-shaped first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a pair of second plates extending upward from both side ends of the first plate,
And the pair of second plates are fastened to both ends of the fastening ba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여부재는 복수 개의 통과공이 관통형성되는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weight imparting member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therethrough.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여부재는 복수 개의 통공이 형성된 메쉬망으로 형성되고, 상기 필터부재의 일면과 마주하도록 상기 체결바에 체결되는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eight imparting member is formed of a mesh net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bar so as to face one surface of the filter memb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부여부재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eight imparting member is made of stainless stee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여과부재; 및
상기 여과부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여과부재의 테두리 측에 결합되고, 상기 여과부재를 통해 생산된 여과수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er member comprises:
A filter member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And a support frame coupled to a rim of the filtration member to support the filtration member and having a flow path through which filtered water produced through the filtration member flows.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재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상의 제1지지체와, 상기 제1지지체의 양면에 나노섬유로 형성되는 한 쌍의 나노섬유웹을 포함하는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lter member comprises a plate-like first support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a pair of nanofiber webs formed of nanofibers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웹은 표면에 항균물질이 코팅된 제1나노섬유웹과 상기 제1나노섬유웹의 일면에 적층되는 제2나노섬유웹을 포함하는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nanofiber web comprises a first nanofiber web having a surface coated with an antimicrobial material and a second nanofiber web laminat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nanofiber web.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웹 및 제1지지체 사이에는 제2지지체가 개재되는 중력식 정수장치용 필터모듈.
9. The method of claim 8,
And a second support interposed between the nanofiber web and the first support.
원수가 저장된 내부공간을 갖는 하우징; 및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필터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원수는 중력에 의해 상기 필터부재 측으로 흡입되어 이물질이 걸러져 여과수가 생산되는 중력식 정수장치.
A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in which raw water is stored; And
And at least one filter modu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arranged in the internal space so as to filter foreign matter contained in raw water,
Wherein the raw water is sucked to the filter member side by gravity and the foreign matter is filtered to produce filtered water.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내부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중력식 정수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the housing includes a cover that opens and closes an open top of the inner space.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내부공간 측으로 원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소정의 면적으로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투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투입공의 상부 측에는 상기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걸름망이 배치되는 중력식 정수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lid includes at least one charging hole formed in a predetermined area so as to supply raw water to the inner space side, and a gravity type water purification device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harging hole, Device.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원수가 저장되고 상기 필터모듈이 배치되는 제1공간이 형성된 제1하우징과, 상기 필터모듈을 통해 생산된 여과수가 저장되는 제2공간이 형성된 제2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공간은 상기 제1하우징의 바닥면에 형성된 유출구와 상기 필터모듈이 연결되어 상기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처리수가 저장되는 중력식 정수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housing includes a first housing in which raw water is stored and in which a first space in which the filter module is disposed is formed, and a second housing in which a second space in which filtered water produced through the filter module is stored,
Wherein the second space is connected to an outlet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filter module to store process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은 상부측에 상기 유출구가 배치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는 상기 제2공간에 저장되는 여과수의 수위에 따라 회동하는 개폐수단을 통해 개폐되는 중력식 정수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second housing is formed with an opening on the upper side where the outlet is arranged and the outlet is opened and closed by an opening / closing means that rotate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filtered water stored in the second space.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유출구 측에 링크부재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여과수의 수위에 따라 승,하강되는 부력부재와, 상기 링크부재의 단부에 연결된 밀폐부재를 포함하는 중력식 정수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opening / closing means includes a buoyancy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outlet port side via a link member so as to be raised and lowered according to a water level of the filtrate water, and a sealing member connected to an end portion of the link member.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중력식 정수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are detachably coupled.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모듈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각각의 필터모듈에 포함된 공통수취부재는 하나의 여과수취합부재와 일대일로 연결되는 중력식 정수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plurality of filter modules ar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and common receiving members included in the respective filter modules are connected in a one-to-one manner with one filtering-water collecting member.
KR1020170049280A 2016-10-27 2017-04-17 filter module for water-purifying device using gravity and water-purify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9667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280A KR101966759B1 (en) 2017-04-17 2017-04-17 filter module for water-purifying device using gravity and water-purify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PCT/KR2017/011970 WO2018080219A1 (en) 2016-10-27 2017-10-27 Filter module for gravity-type water purifier and gravity-type water purifier including same
CN201780066209.XA CN109890487B (en) 2016-10-27 2017-10-27 A gravity type purifier that is used for gravity type purifier's filter module and includes it
US16/344,255 US11247153B2 (en) 2016-10-27 2017-10-27 Filter module for gravity-type water purifier and gravity-type water purifier includ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280A KR101966759B1 (en) 2017-04-17 2017-04-17 filter module for water-purifying device using gravity and water-purify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667A true KR20180116667A (en) 2018-10-25
KR101966759B1 KR101966759B1 (en) 2019-04-08

Family

ID=64131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280A KR101966759B1 (en) 2016-10-27 2017-04-17 filter module for water-purifying device using gravity and water-purify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759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2465A1 (en) * 2018-12-11 2020-06-1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ter module for gravity-based water purification device and gravity-based water purification device including same
WO2021221434A1 (en) * 2020-04-28 2021-11-04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ter module for gravity-type water-purifying device and gravity-type water-purifying device comprising same
KR20220125527A (en) * 2021-03-05 2022-09-14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ter media for filtration of fibrous micro-plastic in dyeing wastewater, filter unit and filter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WO2023224268A1 (en) * 2022-05-19 2023-11-23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Non-powered water supply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1967A (en) * 2020-12-24 2022-07-01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water-purifying device using gravity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3759Y1 (en) 2000-12-16 2001-05-15 지병욱 Buoyancy Purifier
US20040011721A1 (en) * 2000-09-12 2004-01-22 Kari Aalto Apparatus for purifying water
KR20090037557A (en) * 2007-10-12 2009-04-16 코오롱건설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to frame structure
KR20100000200A (en) * 2008-06-24 2010-01-06 주식회사 디엠퓨어텍 Membrane module for treating water
KR20110139692A (en) * 2009-02-24 2011-12-29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Membrane module unit and assembly method, disassembly method, and maintenance method for same, and water-treatment apparatus
KR20120133600A (en) * 2011-05-31 2012-12-11 최송휴 membrane unit for membrane module
KR20170027682A (en) * 2015-09-02 2017-03-10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lat type Filter for water treatment and filter module includ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11721A1 (en) * 2000-09-12 2004-01-22 Kari Aalto Apparatus for purifying water
KR200223759Y1 (en) 2000-12-16 2001-05-15 지병욱 Buoyancy Purifier
KR20090037557A (en) * 2007-10-12 2009-04-16 코오롱건설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installing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to frame structure
KR20100000200A (en) * 2008-06-24 2010-01-06 주식회사 디엠퓨어텍 Membrane module for treating water
KR20110139692A (en) * 2009-02-24 2011-12-29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Membrane module unit and assembly method, disassembly method, and maintenance method for same, and water-treatment apparatus
KR20120133600A (en) * 2011-05-31 2012-12-11 최송휴 membrane unit for membrane module
KR20170027682A (en) * 2015-09-02 2017-03-10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lat type Filter for water treatment and filter module including the sam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2465A1 (en) * 2018-12-11 2020-06-1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ter module for gravity-based water purification device and gravity-based water purification device including same
KR20200071418A (en) * 2018-12-11 2020-06-19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ter module for water-purifying device using gravity and water-purify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3164841A (en) * 2018-12-11 2021-07-23 阿莫绿色技术有限公司 Gravity type is filtration module for purifier and includes this gravity type purifier
US11938424B2 (en) 2018-12-11 2024-03-26 Amogreentech Co., Ltd. Filter module for gravity-based water purification device and gravity-based water purific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21221434A1 (en) * 2020-04-28 2021-11-04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ter module for gravity-type water-purifying device and gravity-type water-purifying device comprising same
KR20220125527A (en) * 2021-03-05 2022-09-14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ter media for filtration of fibrous micro-plastic in dyeing wastewater, filter unit and filter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WO2023224268A1 (en) * 2022-05-19 2023-11-23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Non-powered water suppl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6759B1 (en) 2019-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6759B1 (en) filter module for water-purifying device using gravity and water-purify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9890487B (en) A gravity type purifier that is used for gravity type purifier's filter module and includes it
KR102020787B1 (en) Flat type Filter for water treatment and filter module including the same
WO2007004262A1 (en) Filtration device
CA2650941A1 (en) Inverted aerated immersed screen, screen assembly and operating process
RU2426585C2 (en) Filtration module with capillary membrane
KR102164890B1 (en) Water-purifying device using gravity
KR100623929B1 (en) Small water purifier for valley water
DK2646130T3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filtering rainwater and industrial wastewater
KR20180046210A (en) Water-purifying device using gravity
KR20100051947A (en) A spiral wound type filter cartridge
KR102394715B1 (en) filter module for water-purifying device using gravity and water-purify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1484233A (en) IN. V.erted aerated immersed screen, screen assembly and operating process
KR101813528B1 (en) Sewage Wastewater for the screen device
JP4688049B2 (en) Water purifier and backwash method for water purifier
JP2009024111A (en) Coal dressing system
CN212403679U (en) Filter equipment is used in making wine
KR101244286B1 (en) Water purification system and filter of using internet
CN212050787U (en) Combined ultrafiltration membrane filter element
US20240066450A1 (en) Gravity type water-purifying device
JP7292759B2 (en) MBR system
CN214611842U (en) Novel composite filter element
JP2009022910A (en) Sewage filtration box
JPH07194946A (en) Membrane module
KR20210132921A (en) filter module for water-purifying device using gravity and water-purify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