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6025A - 프론트 포크 고정형 자전거 트레드밀 - Google Patents

프론트 포크 고정형 자전거 트레드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6025A
KR20180116025A KR1020170048690A KR20170048690A KR20180116025A KR 20180116025 A KR20180116025 A KR 20180116025A KR 1020170048690 A KR1020170048690 A KR 1020170048690A KR 20170048690 A KR20170048690 A KR 20170048690A KR 20180116025 A KR20180116025 A KR 20180116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front fork
fixed
swing bar
f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6614B1 (ko
Inventor
김근우
Original Assignee
김근우
주식회사 이씨쓰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우, 주식회사 이씨쓰리 filed Critical 김근우
Priority to KR1020170048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6614B1/ko
Priority to PCT/KR2018/003001 priority patent/WO2018190525A1/ko
Publication of KR20180116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47Exercising devices not moving during us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7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by rotating cycling movement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사고가 예방되며 경사의 구현이 가능하고, 자전거의 무리가 가지 않으면서도 댄싱동작의 구현이 가능한 프론트 포크 고정형 자전거 트레드밀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전거의 전후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가지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측에 구비되며, 자전거의 후륜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리어휠 지지유닛,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측에 구비되며, 자전거의 프론트 포크가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고정된 자전거의 프론트 포크를 승강시켜 경사를 구현하는 프론트 포크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프론트 포크 고정형 자전거 트레드밀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프론트 포크 고정형 자전거 트레드밀{Front Fork Fixing Type Bicycle Treadmill}
본 발명은 프론트 포크 고정형 자전거 트레드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전사고가 예방되며 경사의 구현이 가능하고, 자전거의 무리가 가지 않으면서도 댄싱동작의 구현이 가능한 프론트 포크 고정형 자전거 트레드밀에 관한 것이다.
일반 자전거의 경우 도로나 공원, 산길(임도) 등에서 타는 용도로만 사용되고 있으며 실내 운동 기구로는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자전거 운동을 위한 여건이 안된 경우 부득이하게 실내에서 운동을 하기 위해서 실내 전용 자전거 운동장치가 필요한데, 이와 같은 실내자전거의 경우 단순히 의자에 앉아 페달만 회전하는 기구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운동기구만으로는 충분히 원하는 운동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이와 같은 단순한 형태의 자전거 형 운동기구뿐만 아니라 실제 자전거를실내에 설치하여 주행운동을 할 수 있는 자전거 운동장치가 개발되었다.
구체적으로 도로에서 사용하는 일반 자전거에 별도의 보조장치를 마련하여 실내용 헬스 자전거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러닝머신과 같은 형태의 운동기구 상부에 자전거를 거치하여 사용자가 주행할 수 있는 자전거 트레드밀도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운동기구들은 실제 도로를 주행하는 듯한 느낌을 주기엔 부족하여 사용자들이 금세 지루하다는 불만을 들어왔다.
또한, 종래에는 자전거 자체를 올려 주행하는 것으로서, 초보자의 경우 중심을 잘 잡지 못하면 자전거가 넘어질 수도 있어 사용자들에게 불안감을 심어줄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하여 자전거의 프론트 포크를 고정하는 방식들도 개발되고 있으나, 페달링을 힘주어 할 때에는 자전거가 좌우로 기울어지는 댄싱모션이 발생되는데, 프론트 포크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댄싱모션이 구현되지 아니하여 불편하며, 고정되어 있음에도 자전거 자체는 좌우로 기울어지려는 힘을 받게 되므로 자전거의 프론트 포크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게 되어 파손이나 휨 등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주면서도 자전거에 무리가 가지않는 프론트 포크 고정형 자전거 트레드밀을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전거의 전후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가지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측에 구비되며, 자전거의 후륜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리어휠 지지유닛,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측에 구비되며, 자전거의 프론트 포크가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고정된 자전거의 프론트 포크를 승강시켜 경사를 구현하는 프론트 포크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프론트 포크 고정형 자전거 트레드밀이 제공된다.
상기 메인프레임은, 바닥면에 지지되는 바디, 상기 바디로부터 후측으로 연장되는 센터멤버, 상기 바디의 양측면에서 측부 외측을 향하여 연장형성되는 사이드 맴버를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포크 지지유닛은, 상기 바디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서브 프레임, 상기 서브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자전거의 프론트 포크가 고정되고, 고정된 상기 자전거의 프론트 포크를 승강시켜 경사를 구현하는 경사구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구현모듈은, 상기 서브 프레임에 고정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는 승강모터, 상기 베이스 상에 회전축이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어느 일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승강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승강되는 스윙바, 상기 스윙바에 고정되며, 상기 자전거의 프론트 포크 끝단이 결합고정되는 포크 결합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윙바는, 양 단부가 리어휠 지지유닛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절곡 형성되고, 승기 스윙바의 중간부분에 상기 포크 결합 힌지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모터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되는 종동기어, 상기 종동기어의 회전축을 이루며, 상기 종동기어와 같이 회전하는 종동축, 상기 종동축의 양 단부측에 결합되며, 상기 종동축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되는 클램프, 상기 클램프와 상기 스윙바의 단부를 결합시키는 탄성 커플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커플링은, 일측에 상기 클램프가 고정되는 제1고정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스윙바의 단부가 결합되는 제2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클램프가 고정되는 부분과 상기 스윙바의 단부가 고정되는 부분의 사이에 코일이 형성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는 코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커플링의 코일부는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 커플링의 중심축과 형행하게 형성되며 코일부를 관통하는 탄성조절볼트 삽입공, 상기 탄성조절불트 삽입공에 삽입되며, 끝단은 상기 제1고정부 또는 제2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되며 헤드부는 상기 제1고정부 또는 제2고정부 중 다른 하나에 지지되어, 체결정도에 따라 상기 코일부를 압착하는 정도가 조절되어 상기 코일부에 의해 발휘되는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조절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크 결합 힌지는,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스윙바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프론트 포크에 체결되는 퀵릴리즈레버가 삽입되는 축, 상기 합입축과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우레탄 부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휠 지지유닛은, 자전거의 후륜을 지지하며, 후륜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드럼,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에 저항력을 부가하는 저항부, 상기 회전드럼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프리휠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론트 포크 고정형 자전거 트레드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자전거의 프론트 포크가 고정되므로 자전거가 넘어지지 않아 초보자도 안심하고 탑승할 수 있다.
둘째, 경사구현모듈이 구비되어 프론트 포크를 승강시켜 경사를 구현할 수 있으로 사실감이 보다 강화될 수 있다.
셋째, 자전거의 프론트 포크를 고정하는 포크 결합 힌지에 탄성을 가진 우레탄 부싱이 구비되고, 상기 포크 결합 힌지가 고정된 스윙바가 탄성 커플링에 의해 결합되므로 어느정도의 댄싱모션 구현이 가능하며, 자전거가 어느정도 좌우로 기울어짐을 허용함으로써 프론트 포크에 과도한 힘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포크 고정형 자전거 트레드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경사구현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포크 결합 힌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프론트 포크가 결합된 상태의 도 3의 포크 결합 힌지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1의 탄성 커플링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탄성 커플리의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자전거가 수평상태일때를 도시한 측면도, 그리고,
도 8은 자전거가 오르막길 상태일 때를 도시한 측면도 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포크 고정형 자전거 트레드밀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00), 리어휠 지지유닛(110), 프론트 포크 지지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100)은 거치되는 자전거(10)의 전후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가지도록 배치되며, 바디(102) 및 센터멤버(104), 사이드멤버(10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102)는 바닥면에 지지되며, 자전거(10) 및 자전거(10)에 탑승한 이용자가 넘어지지 않게 끔 무게중심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터멤버(104)는 상기 바디(102)로부터 후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멤버(106)는 상기 바디(102)의 측면에서 측부 외측을 향하여 연장형성되어 바닥면에 지지됨으로써 자전거(10) 등이 옆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포크 지지유닛(120)은 상기 메인 프레임(100)의 전측에 구비되며, 자전거(10)의 프론트 포크(30)가 결합되어 고정되고, 고정된 자전거(10)의 프론트 포크(30)를 승강시켜 경사를 구현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프론트 포크 지지유닛(120)은, 서브 프레임(122) 및 경사구현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프레임(122)은 일단은 상기 바디(102)에 결합되고, 타단은 바디(102)의 전측과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구현모듈(130)은 상기 서브 프레임(122)의 타단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경사구현모듈(130)은 상기 서브 프레임(122)에 고정되고 상기 자전거(10)의 프론트 포크(30)가 결합 고정되며, 결합된 상기 프론트 포크(30)를 승강시켜 경사를 구현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경사구현모듈(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31), 승강모터(132), 스윙바(137) 및 포크 결합 힌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31)는 상기 서브 프레임(122)의 일단부에 고정되며 판재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모터(132)는 상기 베이스(131) 상에 구비되며, 전기신호를 받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축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에는 구동기어(13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윙바(137)는 양 단부가 상기 리어휠 지지유닛(110) 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절곡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131) 상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스윙바(137)의 중간부분에 상기 포크 결합 힌지(150)가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윙바(137)가 정역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포크 결합 힌지(150) 또한 원호를 그리면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133)에 치합되는 종동기어(134)가 구비되며, 상기 종동기어(134)의 회전축을 이루며 상기 종동기어(134)와 같이 회전되는 종동축(135)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종동축(135)의 양 단부측에 결합되며, 상기 종동축(135)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되는 클램프(136)가 구비되고, 상기 클램프(136)와 상기 스윙바(137)의 단부를 결합시키는 탄성 커플링(140)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모터(132)가 회전됨에 따라 구동기어(133) 및 종동기어(134)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은 스윙바(137)가 회전하면서 상기 포크 결합 힌지(150) 또한 원호를 그리며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승강모터(132)를 회전시키는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됨은 물론이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승강모터(132)의 회전방향 및 회전량을 제어하거나 또는 외부의 입력에 의해 상기 승강모터(132)의 회전방향 및 회전량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포크 결합 힌지(150)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52), 삽입축(154) 및 우레탄 부싱(15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52)은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스윙바(137)에 고정되는 구성요소이다. 이 때, 상기 하우징(152)은 상기 스윙바(137)의 중앙부분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서 영구고정될 수 있다. 물론, 반드시 용접 등으로 영구고정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타 다른 방법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결합될 수 도 있다.
일반적으로, 자전거의 프론트 포크(30)에 자전거(10) 전륜의 허브의 양 단부가 수용되는 홈(32)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전륜의 허브의 양 단부가 상기 홈(32)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퀵릴리즈레버(34)가 허브를 관통하면서 상기 프론트 포크(30)를 압착하여 상기 프론트 포크(30)와 허브를 압착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포크 결합 힌지(150)의 하우징(152) 내부에 삽입축(15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삽입축(154)은 자전거의 프론트 포크(30)에 체결되는 퀵릴리즈레버(34)의 축이 삽입되도록 중공으로 형성되며, 그 양측단부의 외주면이 하우징(152)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의 프론트 포크(30)에 형성된 홈(32)이 상기 삽입축(154)의 양단부에 걸쳐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퀵릴리즈레버(34)가 상기 프론트 포크(30)와 홈(32)이 결합된 상태의 삽입축(154)에 삽입된 후 상기 프론트 포크(30)를 압착하여 상기 프론트 포크(30)와 삽입축(154)이 압착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축(154)과 하우징(152)의 사이에는 우레탄 부싱(15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부싱(156)은 어느정도 강성과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프론트 포크(30)와 퀵릴리즈레버(34)를 통해 전해지는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다소의 유격을 허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반드시 상기 퀵릴리즈레버(34)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다른 형태의 축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탄성 커플링(140)은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136)와 스윙바(137)의 단부를 각각 고정하여 축결합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어느정도의 탄성을 가져 상기 스윙바(137)에 소폭 탄성적인 유격을 부여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탄성 커플링(140)은 내부에 중공을 가진 원통의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그 일측에는 상기 클램프(136)가 결합고정되는 제1고정부(14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스윙바(137)의 단부가 결합고정되는 제2고정부(144)가 형성되며, 상기 제1고정부(142)와 제2고정부(144)의 사이에 나선상의 코일이 형성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는 코일부(14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 커플링(140)의 코일부(146)는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나선을 형성하는 코일부(146)의 중심은 상기 제1고정부(142)의 중심 및 제2고정부(144)의 중심과 일직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부(146)를 압착하거나 압착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코일부(146)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잇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 커플링(140)의 중심축과 평행하면서 상기 코일부(146)를 관통하는 탄성조절볼트 삽입공(148)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조절볼트 삽입공(148)에 탄성조절볼트(149)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탄성조절볼트(149)는 상기 탄성조절볼트 삽입공(148)에 삽입되어 그 끝단이 상기 제1고정부(142) 또는 제2고정부(144) 상에 체결되며, 헤드는 상기 제1고정부(142) 또는 제2고정부(144) 중 상기 끝단이 체결되지 아니한 측에 지지되어 상기 코일부(146)를 압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탄성조절볼트(149)의 체결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코일부(146)의 압착정도가 조절되어 탄성력이 조절될 수 있다.
즉, 탄성조절볼트(149)를 완전하게 체결하면 상기 코일부(146)가 완전히 압착되어 탄성력이 발휘되지 않으며, 상기 탄성조절볼트(149)를 느슨하게 체결하면 코일부(146)가 벌어지면서 탄성력이 발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윙바(137)에 탄성적인 유격을 허용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탄성 커플링(140)은 반드시 상기 스윙바(137)에 체결되는 것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상기 서브 프레임(122)과 베이스(131)의 사이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서브 프레임(122)과 바디(102)의 사이에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센터멤버(104)에도 구비될 수 있는 등, 축결합이 이루어지는 곳이라면 어디던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어휠 지지유닛(110)은 상기 센터멤버(104)와 결합되며, 상기 자전거의 후륜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리어휠 지지유닛(110)은 회전드럼(112), 저항부(114), 프리휠모터(1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드럼(112)은 상기 자전거의 후륜(20)을 지지하며, 후륜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저항부(114)는 상기 회전드럼(112)에 저항력을 부가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마찰력이나 전자기력을 통해 회전드럼(112)의 회전을 방해하는 힘을 작용시켜 사용자에게 부하를 느끼게 할 수 있다.
상기 프리휠모터(116)는 상기 저항부(114)와는 반대의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회전드럼(112)에 회전력을 부가하는 구성요소이다. 기어나 벨트, 체인등으로 상기 회전드럼(112)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항부(114) 및 프리휠모터(116)와 경사구현모듈(130)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경사구현모듈(130)의 스윙바(137)이 이루는 각도 및 저항부(114)에서 저항력을 부가하는 정도 및 상기 프리휠모터(116)에서 회전력을 인가하는 정도를 제어할 수 잇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기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할 수도 있으며, 또는 별도의 외부입력신호에 의해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신호를 외부입력하기 위해서 별도의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장비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장비는 컴퓨터나 별도로 구비된 콘솔 또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경사구현모듈(130)과 상기 리어휠 지지유닛(110)을 연동하여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구현모듈(130)의 스윙바(137)을 상승시켜 자전거(10) 앞쪽이 높아지도록 하면서 저항부(114)의 저항력을 증가시켜 오르막길을 모사할 수 있다.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구현모듈(130)의 스윙바(137)을 하강시켜 자전거 앞쪽이 낮아지도록 하여 자전거(10)가 수평상태 또는 앞쪽이 낮아진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상기 프리휠모터(116)의 회전인가력을 필요한 만큼 증가시켜 평지길 또는 내리막길을 모사할 수도 있다.
또한, 자전거의 프론트 포크(30)가 상기 포크결합힌지(150)에 결합되도록 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탑승하여 페달링을 할 때, 페달링 하는 힘이 커지게 되면 자전거가 좌우로 기울어지게 되는 댄싱모션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힘은 상기 포크결합힌지(150)에 결합된 프론트 포크(30)에 비틀림으로 작용되어 과도한 힘이 작용될 경우 변형 또는 파손이 일어날 수 있는데, 상기 포크결합힌지(150)에 탄성을 가진 우레탄 부싱(156)이 구비되며, 상기 스윙바(137)에 탄성 커플링(140)이 구비되므로, 다소간의 탄성적인 유격이 가능하여 상기 댄싱모션에 의해 작용되는 힘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프론트 포크(30)의 파손 또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자전거 20: 후륜
30: 프론트 포크 32: 홈
34: 퀵릴리즈레버 100: 메인 프레임
102: 바디 104: 센터멤버
106: 사이드멤버 110: 리어휠 지지유닛
112: 회전드럼 114: 저항부
116: 프리휠모터 120: 프론트 포크 지지유닛
122: 서브 프레임 130: 경사구현모듈
131: 베이스 132: 승강모터
133: 구동기어 134: 종동기어
135: 종동축 136: 클램프
140: 탄성커플링 142: 제1고정부
144: 제2고정부 146: 코일부
148: 탄성조절볼트 삽입공 149: 탄성조절볼트
150: 포크 결합 힌지 152: 하우징
154: 삽입축 156: 우레탄 부싱

Claims (8)

  1. 자전거의 전후방향으로 길이방향을 가지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측에 구비되며, 자전거의 후륜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리어휠 지지유닛;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측에 구비되며, 자전거의 프론트 포크가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고정된 자전거의 프론트 포크를 승강시켜 경사를 구현하는 프론트 포크 지지유닛;을 포함하는, 프론트 포크 고정형 자전거 트레드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바닥면에 지지되는 바디;
    상기 바디로부터 후측으로 연장되는 센터멤버;
    상기 바디의 양측면에서 측부 외측을 향하여 연장형성되는 사이드 맴버를 포함하며,
    상기 프론트 포크 지지유닛은,
    상기 바디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서브 프레임;
    상기 서브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자전거의 프론트 포크가 고정되고, 고정된 상기 자전거의 프론트 포크를 승강시켜 경사를 구현하는 경사구현모듈을 포함하는 프론트 포크 고정형 자전거 트레드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구현모듈은,
    상기 서브 프레임에 고정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는 승강모터;
    상기 베이스 상에 회전축이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어느 일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승강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승강되는 스윙바;
    상기 스윙바에 고정되며, 상기 자전거의 프론트 포크 끝단이 결합고정되는 포크 결합 힌지를 포함하는 프론트 포크 고정형 자전거 트레드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바는, 양 단부가 리어휠 지지유닛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절곡 형성되고, 상기 스윙바의 중간부분에 상기 포크 결합 힌지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모터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되는 종동기어;
    상기 종동기어의 회전축을 이루며, 상기 종동기어와 같이 회전하는 종동축;
    상기 종동축의 양 단부측에 결합되며, 상기 종동축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되는 클램프;
    상기 클램프와 상기 스윙바의 단부를 결합시키는 탄성 커플링;
    을 포함하는 프론트 포크 고정형 자전거 트레드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커플링은,
    일측에 상기 클램프가 고정되는 제1고정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스윙바의 단부가 결합되는 제2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클램프가 고정되는 부분과 상기 스윙바의 단부가 고정되는 부분의 사이에 코일이 형성되어 탄성력을 발휘하는 코일부가 형성되는 프론트 포크 고정형 자전거 트레드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커플링의 코일부는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 커플링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코일부를 관통하는 탄성조절볼트 삽입공;
    상기 탄성조절불트 삽입공에 삽입되며, 끝단은 상기 제1고정부 또는 제2고정부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되며 헤드부는 상기 제1고정부 또는 제2고정부 중 다른 하나에 지지되어, 체결정도에 따라 상기 코일부를 압착하는 정도가 조절되어 상기 코일부에 의해 발휘되는 탄성력을 조절하는 탄성조절볼트를 포함하는 프론트 포크 고정형 자전거 트레드밀.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 결합 힌지는,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스윙바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프론트 포크에 체결되는 퀵릴리즈레버가 삽입되는 축;
    상기 합입축과 하우징 사이에 형성되는 우레탄 부싱을 포함하는 프론트 포크 고정형 자전거 트레드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휠 지지유닛은,
    자전거의 후륜을 지지하며, 후륜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드럼;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에 저항력을 부가하는 저항부;
    상기 회전드럼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프리휠모터;
    를 포함하는 프론트 포크 고정형 자전거 트레드밀.
KR1020170048690A 2017-04-14 2017-04-14 프론트 포크 고정형 자전거 트레드밀 KR101946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690A KR101946614B1 (ko) 2017-04-14 2017-04-14 프론트 포크 고정형 자전거 트레드밀
PCT/KR2018/003001 WO2018190525A1 (ko) 2017-04-14 2018-03-14 프론트 포크 고정형 자전거 트레드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690A KR101946614B1 (ko) 2017-04-14 2017-04-14 프론트 포크 고정형 자전거 트레드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025A true KR20180116025A (ko) 2018-10-24
KR101946614B1 KR101946614B1 (ko) 2019-02-11

Family

ID=63793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690A KR101946614B1 (ko) 2017-04-14 2017-04-14 프론트 포크 고정형 자전거 트레드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46614B1 (ko)
WO (1) WO201819052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23347A (zh) * 2020-09-09 2020-12-04 青岛迈金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室内骑行训练的柔性支撑平台
KR20210042464A (ko) * 2019-10-10 2021-04-20 신상준 자전거 주행 보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12737B1 (en) * 1999-10-06 2004-03-30 Neil Nusbaum Exercise apparatus with video effects synchronized to exercise parameters
KR101036096B1 (ko) * 2010-02-05 2011-05-19 최장원 운동용 자전거
KR101184984B1 (ko) * 2010-04-19 2012-10-02 주식회사 모아로봇 자전거를 이용한 헬스 장치
US20150065309A1 (en) * 2013-09-03 2015-03-05 Velo Reality Corp. Bicycle trainer
KR101643378B1 (ko) 2015-02-27 2016-07-27 김근우 자전거 운동장치
KR101730127B1 (ko) * 2015-02-27 2017-04-27 김근우 가이드유닛이 구비된 자전거 운동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2464A (ko) * 2019-10-10 2021-04-20 신상준 자전거 주행 보조 장치
CN112023347A (zh) * 2020-09-09 2020-12-04 青岛迈金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室内骑行训练的柔性支撑平台
CN112023347B (zh) * 2020-09-09 2021-12-03 青岛迈金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室内骑行训练的柔性支撑平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90525A1 (ko) 2018-10-18
KR101946614B1 (ko) 201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3510B2 (en) Bicycle training apparatus
US7963889B2 (en) Indoor exercise cycle with tilt function
US6913560B2 (en) Stationary bike
US10265580B2 (en) Bicycle trainer
CN106178409A (zh) 具有多个运动模式的运动机器
EP2653198B1 (en) Cycling accessory and method of use
US20160236055A1 (en) Bicycle trainer
EP2222539A2 (en) Tricycle kick board
US11400339B2 (en) Movably supported exercise device
KR101946614B1 (ko) 프론트 포크 고정형 자전거 트레드밀
KR101143689B1 (ko) 페달
KR101190692B1 (ko) 가변 부하 운동기구
US11253742B2 (en) Frame lifting mechanism for fitness equipment
US20090011393A1 (en) Balance training device
US20220249905A1 (en) Movably Supported Exercise Device
CN110152242B (zh) 一种可振动自行车系统
JP2006289022A (ja) 固定式自転車トレーニング装置
GB2561830A (en) Apparatus for raising and/or lowering the front of a bicycle
CN116075340A (zh) 用于自行车训练器的运动平台
KR200352878Y1 (ko) 스테퍼 기능이 부가된 건강 자전거
KR100935589B1 (ko) 롤링 각 조절수단이 구비된 핸들 롤링 자전거
KR200382173Y1 (ko) 엔진이 장착된 무핸들 자전거
KR101189851B1 (ko) 탄성저항력이 부가된 자전거 및 사이클 운동기구
KR20110131592A (ko) 페달
KR200358995Y1 (ko) 자전거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