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5981A - Hybrid oven - Google Patents

Hybrid ov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5981A
KR20180115981A KR1020170048570A KR20170048570A KR20180115981A KR 20180115981 A KR20180115981 A KR 20180115981A KR 1020170048570 A KR1020170048570 A KR 1020170048570A KR 20170048570 A KR20170048570 A KR 20170048570A KR 20180115981 A KR20180115981 A KR 20180115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heat source
main body
heat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5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78542B1 (en
Inventor
이유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8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8542B1/en
Publication of KR20180115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9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5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82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radiant heating, e.g. infrared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1/00Heating by combined application of processe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H05B3/00 - H05B7/00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8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82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radiant heating, e.g. infrared heating
    • H05B6/6485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radiant heating, e.g. infrared heating further combined with convection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76Prevention of microwave leakage, e.g. door seal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 hybrid oven capable of cooking food in various ways. The hybrid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having an internal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food; a magnetron emitting a microwave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and a first heat source transferring heat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by being installed outside the main body to be adjacent to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An opening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corresponding to the first heat source. A protrusion exten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pening and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is formed around the opening. The protrusion may be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microwave.

Description

복합 오븐 {HYBRID OVEN}HYBRID OVEN

본 발명은 복합 오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방식으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복합 오븐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ove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ucture of a composite oven capable of cooking food in various ways.

흔히 사용되는 조리 기구로서 오븐은 음식물을 넣고 히터를 이용하여 대류 방식이나 복사 방식을 통해 그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오븐은 음식물의 표면을 용이하게 굽거나 익힐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음식물의 표면과 그 내부를 동시에 균일하게 가열하기는 어려운 단점이 있다.As a commonly used cooking apparatus, the oven is made so that the food can be heated and cooked by convection or radiation using a heater. Such an oven has an advantage that the surface of the food can be easily bake or cooked, but it is difficult to uniformly heat the surface and the inside of the food at the same time.

한편 또 다른 조리 기구로서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파를 방출함으로써 음식물에 함유된 수분이 진동할 때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그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자레인지는 음식물의 내부도 신속하게 데울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음식물에 함유된 수분이 과도하게 증발됨으로써 그 음식물이 지나치게 건조해질 수 있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전자레인지로는 음식물을 굽는 방식의 조리를 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icrowave oven as another cooking appliance is configured to heat the food by using the heat generated when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food is vibrated by emitting microwaves. Such a microwave oven has an advantage that the inside of the food can be quickly heated, but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food is excessively evaporated, so that the food may become excessively dry, and as the microwave oven, There is a limit that can not be done.

이에 최근에는 오븐의 기능과 전자레인지의 기능이 통합된 이른바 복합 오븐들이 등장하고 있다.Recently, so-called composite ovens have come into being, in which oven functions and microwave functions are integrated.

본 발명은 안전성과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복합 오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osite oven capable of enhancing safety and durability.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오븐은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마이크로파를 방출하기 위한 마그네트론 및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본체의 일면에 이웃하게 설치되어 발열함으로써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열을 전달하기 위한 제1 열원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일면에는 상기 제1 열원에 대응되는 영역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의 주변에는 그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돌기는 마이크로파를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mposite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internal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food, a magnetron for emitting a microwave into an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and a magnetron disposed adjacent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And a first heat source for transferring heat to an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wherein an opening is form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heat source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extends around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Protrusions are formed, and the protrusions may be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microwaves.

또한 상기 개구는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돌기는 각 개구마다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plurality of openings may be formed, and the protrusions may be formed for each opening.

또한 상기 돌기는 상기 개구에 버링 가공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본체의 일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protrusion may be integrally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by burring the opening.

또한 마이크로파를 차단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개구를 가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차폐 커버 및 상기 차폐 커버를 선택적으로 움직이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그네트론이 작동할 때에는 상기 차폐 커버가 상기 개구를 폐쇄하도록 움직이고, 상기 마그네트론이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차폐 커버가 상기 개구를 개방하도록 움직일 수 있다.The microwave oven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hielding cover which is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blocking microwaves and is configured to shield the opening, and a control unit for selectively moving the shielding cover, wherein when the magnetron is operated, The shield is moved to close the opening, and when the magnetron is not working, the shield cover can be moved to open the opening.

또한 상기 개구는 상기 제1 열원의 중앙에 해당하는 지점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차폐 커버는 상기 개구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와 동심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폐 커버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차폐 커버가 상기 개구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도록 움직일 수 있다.Wherein the opening is formed radially from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first heat source, the shield cover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and is arranged concentrically with the opening, and the control section rotates the shield cover So that the shielding cover can move to close or open the opening.

또한 상기 차폐 커버의 회전 중심에 결합되는 모터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차폐 커버를 회전시킬 수 있다.And a motor coupled to the rotation center of the shielding cover, wherein the control unit can rotate the shielding cover by driving the motor.

또한 상기 제1 열원은 전기 저항에 따른 줄 열에 의해 발열할 수 있다.Also, the first heat source may generate heat by the heat of the string due to electrical resistance.

또한 상기 제1 열원은 하이라이트용 발열체로서, 상기 본체의 하면 아래에 설치될 수 있다.Further, the first heat source may be a heating element for highlighting, and may be installed below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또한 세라믹 유리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의 하면 위에 배치되어 상기 음식물을 받치기 위한 받침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열원은 전도 방식을 통해 상기 받침판을 거쳐 상기 음식물로 그 열을 전달할 수 있다.The first heat source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lat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support the food, the first heat source may transmit the heat to the food through the support plate through the support plate.

또한 단열성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열원 중 상기 본체의 일면을 바라보는 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들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단열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eat insulating cover may further include a heat insulating cover formed to surround other portions of the first heat source other than a portion of the first heat source facing the first surface.

또한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발열함으로써, 대류 방식이나 복사 방식을 통해 상기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는 제2 열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 second heat sourc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to generate heat to heat the food through a convection system or a radiation system.

또한 상기 제2 열원은 할로겐 히터, 쿼츠 히터, 카본 히터, 세라믹 히터 또는 시즈 히터일 수 있다.The second heat source may be a halogen heater, a quartz heater, a carbon heater, a ceramic heater or a sheath heater.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오븐은 본체의 일면에 개구가 형성됨으로써 제1 열원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The composite ov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first heat source by forming the opening on one side of the body.

이때 그 개구의 둘레를 따라 돌출된 돌기가 마그네트론에 의한 마이크로파를 흡수함으로써 제1 열원에 스파크가 발생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At this time, protrusions protrud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pening absorb microwaves by the magnetron, thereb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sparks occurring in the first heat source.

또한 마그네트론이 작동할 때 차폐 커버가 그 개구를 폐쇄함으로써 마이크로파가 제1 열원에 도달하지 않도록 하여 제1 열원에 스파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agnetron is operated, the shield cover closes the opening, thereby preventing the microwave from reaching the first heat source, thereby preventing spark from occurring in the first heat sour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오븐의 조립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오븐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오븐의 본체의 하면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오븐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오븐에서 마그네트론이 작동할 때 차폐 커버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오븐에서 마그네트론이 작동하지 않을 때 차폐 커버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n assembled view of a composite ov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a composite ove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bottom surface of a body of a composite ov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a composite ov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llustrates the position of a shielding cover when the magnetron is operated in a composite ov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llustrates the location of the shielding cover when the magnetron is not operating in a composite ov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오븐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a composite ov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오븐(100)의 조립도이다.1 is an assembled view of a composite oven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복합 오븐(100)은 개괄적으로 본체(110), 마그네트론(120), 제1 열원(130), 단열 커버(140), 제2 열원(150), 팬(160) 및 받침판(17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composite oven 100 generally includes a body 110, a magnetron 120, a first heat source 130, a heat insulating cover 140, a second heat source 150, a fan 160, 170).

본체(110)는 복합 오븐(100)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며 그 내부에는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다. 도 1에서는 본체(110)가 대략 직육면체의 형태로서 상하면, 좌우측면 그리고 후면으로 이루어져 내부 공간을 한정하고, 개방된 전면을 통해 사용자가 음식물을 넣고 꺼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단지 한 예시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체(110)는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할 수만 있다면, 또한 마그네트론(120), 제1 열원(130) 및 제2 열원(150)에 의해 그 음식물이 가열될 수만 있다면 그밖에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본체(11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The body 110 forms the overall shape of the composite oven 100 and has a space for accommodating food therein. In FIG. 1, the main body 11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and a rear surface to define the inner space and allow the user to insert and remove food through the opened front surface. However, Do. The body 110 may be formed in other shapes as long as the food can be heated by the magnetron 120, the first heat source 130 and the second heat source 150 as long as the food can be accommodated therein have. Hereinafter, the case where the main body 110 is formed as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또한 도 1에서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체(110)에는 개폐식 도어가 결합되어, 본체(110)의 개방된 전면을 폐쇄함으로써 본체(110)의 내부 공간의 열이 외부로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어의 구체적인 구조는 공지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lthough not shown separately in FIG. 1,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10 to prevent the heat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110 from being lost to the outside by closing the opened front face of the main body 110, Can be blocked. However, since the detailed structure of such a door is well know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마그네트론(120)은 본체(110)의 내부 공간으로 마이크로파를 방출하여 음식물에 함유된 수분이 진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열에 의해 그 음식물이 가열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이러한 마그네트론(120)의 구체적인 구조 역시 공지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도 생략하기로 한다.The magnetron 120 radiates microwave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110 and functions to heat the food by the heat generated as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food is oscillated. However, since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magnetron 120 is also know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마그네트론(120)은 본체(110)의 좌측면이나 우측면 또는 후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본체(110)의 상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에는 마그네트론(120)이 본체(110)의 우측면에 설치된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The magnetron 120 may be installed on the left side, the right side, or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10, and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10, if necessary. FIG. 1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magnetron 120 is installed on the right side of the main body 110.

제1 열원(130)은 본체(110)의 외부에서 그 일면에 이웃하게 설치되어 발열할 수 있는데, 특히 본체(110)의 하면 아래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면 제1 열원(130)에 의한 열은 전도 방식을 통해 본체(110)의 하면 위에 놓인 음식물로 전달되어 그 음식물을 가열하게 된다.The first heat source 130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main body 110 and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The heat generated by the first heat source 130 is transferred to the food plac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through the conduction system to heat the food.

이때 제1 열원(130)은 예컨대 니크롬과 같이 전기 저항이 높은 금속으로 이루어져, 전류가 흐를 때 그 전기 저항에 따른 줄 열에 의해 발열할 수 있다. 또한 그 금속은 보다 길게 형성됨으로써 더 큰 저항값을 갖기 위해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제1 열원(130)이 더욱 고온으로 발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러한 제1 열원(130)은 예를 들어 하이라이트용 발열체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heat source 130 is made of a metal having a high electrical resistance, such as nichrome, and can generate heat due to the heat of the string due to the electrical resistance thereof when the electric current flows. Also, the metal may be elongated to extend in a zigzag fashion to have a larger resistance value. In this case, the first heat source 130 can generate heat at a higher temperature. In particular, the first heat source 130 may be, for example, a heating element for highlighting.

단열 커버(140)는 단열성이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져 제1 열원(130) 중 본체(110)의 하면을 바라보는 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들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에 의하면 제1 열원(130)에 의한 열이 사방으로 분산되어 불필요하게 손실되지 않고, 본체(110)의 하면으로만 집중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제1 열원(130)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한편, 제1 열원(130)에 이웃하게 설치된 다른 부품들이 제1 열원(130)에 의한 열에 의하여 과열되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도 1에는 단열 커버(140)가 특정한 높이를 갖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열원(130)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된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The heat insulating cover 140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heat insulating property and is formed to surround other portions of the first heat source 130 except the portion that faces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The efficiency of the first heat source 130 can be improved by inducing the heat generated by the first heat source 130 to be concentrated only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without being unnecessarily los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ther components installed adjacent to the first heat source 130 from being overheated by the heat generated by the first heat source 130. 1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heat insulating cover 140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having a specific height and is arranged to surround the first heat source 130.

제2 열원(150)은 발열함으로써 대류 방식이나 복사 방식을 통해 음식물을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2 열원(150)은 그 음식물의 전체적인 표면에 걸쳐 균일하게 열을 전달하기 위해 본체(11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제2 열원(150)이 본체(110)의 좌측면이나 우측면 또는 후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The second heat source 150 heats the food through the convection system or the radiation system by generating heat. At this time, the second heat source 150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to uniformly transmit heat across the entire surface of the food. Of course, the second heat source 150 may be installed on the left side, the right side, or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10, if necessary.

이때 제2 열원(150)도 전기 저항이 높은 금속으로 이루어져, 전류가 흐를 때 그 전기 저항에 따른 줄 열에 의해 발열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제2 열원(150)은 예를 들어 할로겐 히터, 쿼츠 히터, 카본 히터, 세라믹 히터 또는 시즈 히터 등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heat source 150 is also made of a metal having a high electrical resistance, and can generate heat by the heat of the string due to the electrical resistance when the electric current flows. In particular, the second heat source 150 may be, for example, a halogen heater, a quartz heater, a carbon heater, a ceramic heater, a sheath heater, or the like.

팬(160)은 본체(110)의 내부 공간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의하면 제2 열원(150)에 의한 열의 대류 현상이 더욱 촉진되어 음식물이 보다 효과적으로 가열될 수 있다.The fan 160 serves to circulate the air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110. According to this, convection of heat by the second heat source 150 is further promoted, and the food can be heated more effectively.

받침판(170)은 대략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110)의 하면 위에 배치됨으로써 음식물을 받치는 역할을 한다.The support plate 17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plate shape and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to support the food.

이때 받침판(170)은 제1 열원(130)에 의한 열을 음식물로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열전도율이 큰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특히 고온에서도 부적절하게 변형되지 않도록 예컨대 세라믹 유리와 같이 열팽창 계수가 낮고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pport plate 17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in order to efficiently transfer the heat generated by the first heat source 130 to the food. In particular, it can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low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and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ceramic glass so as not to be unduly deformed even at a high temperature.

이상으로 설명한 복합 오븐(100)의 개괄적인 구성에 기초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오븐(200)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오븐(200)의 특징에 대해 각각 설명한다.Based on the general structure of the composite oven 100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will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e oven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mposite oven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Explain.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오븐(200)의 특징에 대해 설명한다.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e oven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오븐(200)의 부분 확대도로서, 본체(210)의 일부와 제1 열원(130)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오븐(200)의 본체(210)의 하면의 부분 단면도이다.FIG. 2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a composite oven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portion of a body 210 and a first heat source 130.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of the composite oven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복합 오븐(200)은 본체(210)의 하면 중 제1 열원(130)이 설치된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개구(211)가 형성된다. 이에 의하면 제1 열원(130)에 의한 열이 개구(211)를 통과하여 본체(210)의 하면 위에 놓인 음식물로 보다 직접적으로 전달됨으로써 제1 열원(130)의 효율이 더 개선될 수 있다.1 to 3, the composite oven 200 is formed with an opening 211 in an area corresponding to a position where the first heat source 130 is install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The heat generated by the first heat source 130 is mor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food plac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through the opening 211 so that the efficiency of the first heat source 130 can be further improved.

그러나 반대로 마그네트론(120)이 작동하면 그 마이크로파가 개구(211)를 통과하여 제1 열원(130)에 도달하게 될 수도 있다. 제1 열원(13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마그네트론(120)에 의한 마이크로파가 제1 열원(130)에 도달하게 되면 그 금속의 예리한 부분을 통해 스파크가 발생할 수 있으며, 따라서 화재나 폭발이 일어날 수도 있다.Conversely, when the magnetron 120 operates, the microwave may pass through the opening 211 to reach the first heat source 130. [ Since the first heat source 130 is made of metal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icrowave generated by the magnetron 120 reaches the first heat source 130, a spark may be generated through a sharp portion of the metal, Explosion may occur.

이에 본체(210)의 하면은 마이크로파를 흡수할 수 있도록 전기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개구(211)는 비교적 작은 크기로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210 is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so as to absorb microwaves, and the openings 211 can be formed in a plurality of relatively small sizes.

작은 개구(211)가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경우와 큰 개구가 한 개만 형성되는 경우를 서로 비교해 보면, 전자의 경우에서 개구(211)의 전체적인 면적의 합이 후자의 경우에서 개구의 면적과 동일할 때, 전자의 경우에서 개구(211)의 전체적인 둘레의 합은 후자의 경우에서 개구의 둘레보다 더 긴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전자의 경우가 후자의 경우보다 마그네트론(120)에 의한 마이크로파가 그 개구를 통과하는 동안 본체(211)의 하면과 접촉하게 되는 면적이 더 넓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결국 이는 전자의 경우가 후자의 경우보다 마그네트론(120)에 의한 마이크로파가 상기 개구를 통과하는 동안 본체(211)의 하면에 더 많이 흡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When a plurality of small openings 211 are formed and a case where only one large opening is formed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when the sum of the entire areas of the openings 211 in the former case is the same as the area of the openings in the latter case , It can be seen that the sum of the overall perimeter of the opening 211 in the former case is longer than the perimeter of the opening in the latter case. This means that the area of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1 is larger in the former case than in the latter case while the microwaves by the magnetron 120 pass through the opening. This means that the electrons are absorbed more by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1 while the microwaves by the magnetron 120 pass through the openings than in the latter case.

따라서 이에 의하면 개구(211)를 통과하여 제1 열원(130)에 도달하게 되는 마이크로파를 보다 줄일 수 있어, 결과적으로 제1 열원(130)에 스파크가 발생할 가능성도 더 낮출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further reduce the microwave passing through the opening 211 to reach the first heat source 130, and as a result, the possibility of generating sparks in the first heat source 130 can be further reduced.

한편 개구(211)의 면적이나 개수는 제1 열원(130)에 의한 열이 음식물로 적절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되 마그네트론(120)에 의한 마이크로파가 제1 열원(130)에 과도하게 도달하지는 않도록 하는 적정 수준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이는 복합 오븐(200)의 개별적인 설계 조건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여기서 구체적으로 특정하지는 않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area and the number of the openings 211 are set so that the heat by the first heat source 130 can be appropriately transferred to the food, but the microwaves by the magnetron 120 do not reach the first heat source 130 excessively And it may vary depending on the individual design conditions of the composite oven 200, so that it is not specifically specified here.

또한 개구(211) 주변에는 그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본체(210)의 하면으로부터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소정의 높이로 돌출된 돌기(21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는 돌기(212)가 본체(210)의 하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된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이러한 돌기(212) 역시 마이크로파를 흡수할 수 있도록 전기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다.Further, a protrusion 212 protruding upward or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at a predetermined height may be formed around the opening 211. 3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protrusion 212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As shown in Fig. These protrusions 212 are also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so as to absorb microwaves.

이에 의하면 마그네트론(120)에 의한 마이크로파가 개구(211)를 통과하는 동안 돌기(212)와도 접촉하면서 흡수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제1 열원(130)에 도달하게 되는 마이크로파를 더욱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열원(130)에 스파크가 발생할 가능성을 더욱 낮출 수 있다.The microwave generated by the magnetron 120 is absorb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212 while passing through the opening 211, so that the microwave ultimately reaching the first heat source 130 can be further reduced. Thus, the possibility of sparking in the first heat source 130 can be further reduced.

이때 돌기(212)의 높이도 복합 오븐(200)의 개별적인 설계 조건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여기서 구체적으로 특정하지는 않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protrusions 212 may vary depending on the individual design conditions of the composite oven 200, so that it is not specifically specified here.

한편 이러한 돌기(212)는 별개의 구성 요소로 형성되어 본체(21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는 돌기(212)가 본체(210)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개구(211)에 위에서 아래로 또는 아래에서 위로 버링(burring) 가공이 이루어짐으로써 돌기(212)의 형상을 성형할 수 있다. 물론 그밖에 공지된 다른 가공 방법을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protrusion 212 may be formed as a separate component and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Or the protrusion 212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0. [ The shape of the protrusion 212 can be formed by, for example, burring processing from top to bottom or from bottom to top in the opening 211. Of course, other known processing methods may be utiliz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오븐(300)의 특징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e oven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오븐(300)의 부분 확대도로서, 본체(310)의 일부, 제1 열원(130) 및 차폐 커버(380)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오븐(300)에서 마그네트론(120)이 작동할 때 차폐 커버(380)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오븐(300)에서 마그네트론(120)이 작동하지 않을 때 차폐 커버(380)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FIG. 4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a composite oven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portion of a body 310, a first heat source 130, and a shielding cover 380. 5 illustrates the position of the shielding cover 380 when the magnetron 120 operates in the composite oven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the position of the shielding cover 380 when the magnetron 120 does not operate in the oven 300.

도 4를 참조하면 복합 오븐(300)은 본체(310)의 하면 중 제1 열원(130)이 설치된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개구(311)가 형성된다. 이에 의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열원(130)에 의한 열이 개구(311)를 통과하여 본체(310)의 하면 위에 놓인 음식물로 보다 직접적으로 전달됨으로써 제1 열원(130)의 효율이 더 개선될 수 있다.4, an opening 311 is formed in a reg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310 corresponding to a position where the first heat source 130 is installed. The heat generated by the first heat source 130 passes through the opening 311 and is mor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food plac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310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efficiency of the first heat source 130 is further improved .

다만 마그네트론(120)에 의한 마이크로파가 제1 열원(130)에 도달하게 됨으로써 스파크가 발생하거나 화재나 폭발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복합 오븐(300)은 차폐 커버(380)와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The microwave oven 300 includes a shielding cover 380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for preventing the microwave generated by the magnetron 120 from reaching the first heat source 130 to prevent sparking or fire or explosion. .

차폐 커버(380)는 마이크로파가 투과할 수 없는 소재로 이루어지는데, 이를 위한 차폐 커버(380)의 재질은 공지된 바와 같으므로 여기서 구체적으로 서술하지는 않기로 한다.The shielding cover 380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not transmit microwaves. The material of the shielding cover 380 for this purpose is well known and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here.

이러한 차폐 커버(380)는 개구(311)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개구(311)를 가릴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때 차폐 커버(380)는 본체(310)의 하면 위에 배치되어 개구(311)를 가릴 수도 있고, 본체(310)의 하면 아래에 배치되어 개구(311)를 가릴 수도 있다. 도 4에는 차폐 커버(380)가 본체(310)의 하면 위에 배치된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This shielding cover 38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311, and is installed so as to cover the opening 311. At this time, the shielding cover 380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310 to cover the opening 311, or may be disposed below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310 to cover the opening 311. 4 shows a case in which the shielding cover 380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310. [

제어부는 마그네트론(120)의 작동 여부에 따라 차폐 커버(380)를 선택적으로 움직이는 역할을 한다.The control unit selectively moves the shielding cover 380 according to whether the magnetron 120 is operated or not.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마그네트론(120)이 작동할 때에는 차폐 커버(380)가 개구(311)를 폐쇄하도록 움직인다. 이에 의하면 마그네트론(120)에 의한 마이크로파가 개구(311)를 통과할 수 없어 제1 열원(130)에 도달하지 않게 되며, 따라서 제1 열원(130)에 스파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moves the shielding cover 380 to close the opening 311 when the magnetron 120 operates. According to this, the microwave generated by the magnetron 120 can not pass through the opening 311, so that the microwave can not reach the first heat source 130, thereby preventing sparks from occurring in the first heat source 130.

반면 제어부는 마그네트론(120)이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차폐 커버(380)가 개구(311)를 개방하도록 움직인다. 이는 마그네트론(120)이 작동하지 않는다면 마이크로파가 제1 열원(130)에 도달할 일도 없기 때문이다. 또한 이로써 제1 열원(130)에 의한 열이 개구(311)를 통과하여 본체(310)의 하면 위에 놓인 음식물로 직접적으로 전달되도록 허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moves the shielding cover 380 to open the opening 311 when the magnetron 120 is not operating. This is because the microwaves do not reach the first heat source 130 unless the magnetron 120 operates. This also allows heat by the first heat source 130 to pass directly through the opening 311 to the food placed on the underside of the body 310.

이때 개구(311)와 차폐 커버(38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열원(130)의 중앙에 해당하는 지점으로부터 방사상으로 각각 형성되어 서로 동심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차폐 커버(380)를 회전시킴으로써 차폐 커버(380)가 개구(311)를 폐쇄하도록 움직일 수도 있고(도 5 참조), 차폐 커버(380)가 개구(311)를 개방하도록 움직일 수도 있다(도 6 참조).At this time, the opening 311 and the shielding cover 380 may be formed radially from the center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first heat source 130 as shown in FIG. 4 and arranged concentrically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may move the shielding cover 380 to close the opening 311 by rotating the shielding cover 380 (see FIG. 5), and the shielding cover 380 may move to open the opening 311 (See FIG. 6).

또한 차폐 커버(380)의 중앙, 즉 그 회전 중심에 모터(390)가 결합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하면 제어부가 모터(390)를 미리 정해진 만큼 회전시키는 비교적 단순한 구동만으로도 차폐 커버(380)가 개구(311)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Further, the motor 390 may be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shielding cover 380, that is, the center of rotation thereof. According to this, the shielding cover 380 can be rotated so as to close or open the opening 311 by a relatively simple drive in which the control unit rotates the motor 390 by a predetermined amount.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정해진다. 한편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하게 개량하거나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오븐(200)의 특징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오븐(300)의 특징을 동시에 채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개량이나 변경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do not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On the other han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iously improve or chang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e oven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ite oven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ployed at the same time.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they are obvious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laims (12)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마이크로파를 방출하기 위한 마그네트론 및
상기 본체의 외부에서 상기 본체의 일면에 이웃하게 설치되어 발열함으로써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으로 열을 전달하기 위한 제1 열원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일면에는 상기 제1 열원에 대응되는 영역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의 주변에는 그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돌기는 마이크로파를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복합 오븐.
A main body having an internal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food,
A magnetron for emitting a microwave into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And a first heat source disposed adjacent to one side of the body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to transmit heat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Wherein an opening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body corresponding to the first heat source and a protrusion is formed on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to protrude from the one surface,
Wherein the protrusions are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microwav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복수 개로 형성되고, 상기 돌기는 각 개구마다 형성되는 복합 오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nings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openings, and the projections are formed in each ope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개구에 버링 가공이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본체의 일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복합 오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jections are integrally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ody by burring processing the openings.
제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파를 차단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개구를 가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차폐 커버 및
상기 차폐 커버를 선택적으로 움직이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그네트론이 작동할 때에는 상기 차폐 커버가 상기 개구를 폐쇄하도록 움직이고, 상기 마그네트론이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차폐 커버가 상기 개구를 개방하도록 움직이는 복합 오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hielding cover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blocking microwaves and formed so as to cover the opening,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for selectively moving the shielding cover,
Wherein the control unit moves the shield cover to close the opening when the magnetron is operated and moves the shield cover to open the opening when the magnetron is not operat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제1 열원의 중앙에 해당하는 지점으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차폐 커버는 상기 개구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와 동심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폐 커버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차폐 커버가 상기 개구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도록 움직이는 복합 오븐.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opening is formed radially from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center of the first heat source,
Wherein the shielding cover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and is disposed concentrically with the opening,
Wherein the control unit moves the shield cover to rotate the shield cover so that the shield cover closes or opens the open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커버의 회전 중심에 결합되는 모터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차폐 커버를 회전시킬 수 있는 복합 오븐.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motor coupled to a rotational center of the shielding cover,
Wherein the control unit is capable of rotating the shielding cover by driving the mo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원은 전기 저항에 따른 줄 열에 의해 발열할 수 있는 복합 오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heat source is capable of generating heat due to a string of heat due to electrical resist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원은 하이라이트용 발열체로서, 상기 본체의 하면 아래에 설치되는 복합 오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heat source is a highlight heating element, and is installed below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제8항에 있어서,
세라믹 유리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의 하면 위에 배치되어 상기 음식물을 받치기 위한 받침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열원은 전도 방식을 통해 상기 받침판을 거쳐 상기 음식물로 그 열을 전달할 수 있는 복합 오븐.
9. The method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plate made of ceramic glass and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support the food,
Wherein the first heat source is capable of transferring heat to the food through the saucer through a conductiv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단열성 소재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열원 중 상기 본체의 일면을 바라보는 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들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단열 커버를 더 포함하는 복합 오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eat insulating cover made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configured to surround other portions of the first heat source other than a portion that faces the first surface of the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발열함으로써, 대류 방식이나 복사 방식을 통해 상기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는 제2 열원을 더 포함하는 복합 오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econd heat source installed in an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to generate heat to heat the food through a convection system or a radiation system.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열원은 할로겐 히터, 쿼츠 히터, 카본 히터, 세라믹 히터 또는 시즈 히터인 복합 오븐.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econd heat source is a halogen heater, a quartz heater, a carbon heater, a ceramic heater, or a sieve heater.
KR1020170048570A 2017-04-14 2017-04-14 Hybrid oven KR1022785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570A KR102278542B1 (en) 2017-04-14 2017-04-14 Hybrid ov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570A KR102278542B1 (en) 2017-04-14 2017-04-14 Hybrid ov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981A true KR20180115981A (en) 2018-10-24
KR102278542B1 KR102278542B1 (en) 2021-07-16

Family

ID=64132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570A KR102278542B1 (en) 2017-04-14 2017-04-14 Hybrid ov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8542B1 (en)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5736A1 (en) * 2020-01-17 2021-07-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king appliance
WO2022239893A1 (en) * 2021-05-10 2022-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Cooking appliance
EP4175418A1 (en) 2021-10-28 2023-05-03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liance
EP4175413A1 (en) 2021-10-28 2023-05-03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li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EP4175419A1 (en) 2021-10-28 2023-05-03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liance
EP4175416A1 (en) 2021-10-28 2023-05-03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liance
EP4175414A1 (en) 2021-10-28 2023-05-03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3075276A1 (en) 2021-10-28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Cooking apparatus
WO2023075050A1 (en) 2021-10-28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Cooking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30061202A (en) 2021-10-28 2023-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Cooking appliance
KR20230061204A (en) 2021-10-28 2023-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Cooking appliance
KR20230061203A (en) 2021-10-28 2023-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Cooking appliance
KR20230061207A (en) 2021-10-28 2023-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Cooking applian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9615A (en) * 1999-08-23 2001-03-06 Mitsubishi Electric Corp High frequency cooking heater
JP2010255938A (en) * 2009-04-27 2010-11-11 Hitachi Appliances Inc Cooker
KR101480185B1 (en) * 2008-01-03 2015-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Oven and using method for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9615A (en) * 1999-08-23 2001-03-06 Mitsubishi Electric Corp High frequency cooking heater
KR101480185B1 (en) * 2008-01-03 2015-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Oven and using method for the same
JP2010255938A (en) * 2009-04-27 2010-11-11 Hitachi Appliances Inc Cooker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5736A1 (en) * 2020-01-17 2021-07-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oking appliance
WO2022239893A1 (en) * 2021-05-10 2022-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Cooking appliance
EP4175418A1 (en) 2021-10-28 2023-05-03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liance
EP4175413A1 (en) 2021-10-28 2023-05-03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li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EP4175419A1 (en) 2021-10-28 2023-05-03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liance
EP4175416A1 (en) 2021-10-28 2023-05-03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liance
EP4175414A1 (en) 2021-10-28 2023-05-03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3075276A1 (en) 2021-10-28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Cooking apparatus
WO2023075050A1 (en) 2021-10-28 2023-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Cooking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30061202A (en) 2021-10-28 2023-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Cooking appliance
KR20230061204A (en) 2021-10-28 2023-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Cooking appliance
KR20230061203A (en) 2021-10-28 2023-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Cooking appliance
KR20230061200A (en) 2021-10-28 2023-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Cooking appli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30061201A (en) 2021-10-28 2023-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Cooking applian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30061206A (en) 2021-10-28 2023-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Cooking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30061207A (en) 2021-10-28 2023-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Cooking appliance
KR20230061205A (en) 2021-10-28 2023-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Cooking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8542B1 (en) 2021-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15981A (en) Hybrid oven
KR100747810B1 (en) Electric oven
US20230254951A1 (en) Cooking appliance
US8666237B2 (en) Cook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CA2461794C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speedcooking oven
RU2521995C2 (en) High-frequency current heating device
US6172347B1 (en) Microwave oven with halogen lamps
US3414708A (en) Forced convection oven
JP2001090956A (en) Radiation electric heater for microwave oven
JPH04227420A (en) Lighting device for oven
EP0247574A1 (en) Heating device for a microwave appliance
KR102603217B1 (en) Hybrid oven
KR101990626B1 (en) An oven
KR101480185B1 (en) Oven and using method for the same
KR102513419B1 (en) An electronic cooker
JPH02161215A (en) Heating device
SE513851C2 (en) Heating element
KR100618229B1 (en) Assembling structure of heater-base for microwave oven
JPH08195280A (en) Heating cooker having turntable
KR200365631Y1 (en) A structure of oven section for Electric oven range
JP6824065B2 (en) Cooker
JPS6231766Y2 (en)
KR100680813B1 (en) A Heater Cooling Apparatus Of Cooking Device
JP2515007B2 (en) Electric range unit
KR20210129991A (en) Cooking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