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5117A - 보관 용기용 IoT 기반의 정보 처리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음식물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보관 용기용 IoT 기반의 정보 처리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음식물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5117A
KR20180115117A KR1020170047366A KR20170047366A KR20180115117A KR 20180115117 A KR20180115117 A KR 20180115117A KR 1020170047366 A KR1020170047366 A KR 1020170047366A KR 20170047366 A KR20170047366 A KR 20170047366A KR 20180115117 A KR20180115117 A KR 20180115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electronic device
sensor
foo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0233B1 (ko
Inventor
황성일
진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맥스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맥스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맥스포
Priority to KR1020170047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0233B1/ko
Publication of KR20180115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05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using contain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6Stock mana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2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8Sensors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보관 용기 커버에 결합되어 음식물 관리를 위한 정보를 외부의 전자 장치에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보관 용기용 IoT 기반의 정보 처리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음식물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용 IoT 기반의 정보 처리 장치는 외부의 전자 장치의 접촉에 기 저장된 용기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용 태그와, 상기 용기가 보관되고 도어를 구비한 기기의 상기 도어 개폐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 1 센서와, 음식물 관리용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상기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듈과, 상기 용기에 보관된 음식물의 악취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 2 센서와, 상기 제 2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센서값을 이용하여 상기 용기에 보관된 음식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제 1 센서를 통해 상기 도어가 오픈된 것으로 판단된 후 상기 수집된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음식물이 부패한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통신 모듈을 웨이크업시켜 상기 수집된 상태 정보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용 태그의 고유 식별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중앙처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관 용기용 IoT 기반의 정보 처리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음식물 관리 방법{APPARATUS FOR PROCESSING INFORMATION BASED ON INTERNET OF THING FOR CONTAINERS AND METHOD FOR MANAGING FO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음식물 보관 용기 커버에 결합되어 음식물 관리를 위한 정보를 외부의 전자 장치에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보관 용기용 IoT 기반의 정보 처리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음식물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냉장고에 다양한 식품을 냉장/냉동 보관하는 것이 일상생활이 되었다. 또한, 냉장고의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냉장고에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할 정도로 많은 음식들을 보관하고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용자는 냉장고에 보관된 식품을 일일이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또한, 냉장고 깊숙이 넣어둔 보관 식품은 사용자가 그 상태를 확인하기에 불편함에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냉장고에 보관식품을 넣어둔 사실을 잊을 경우 보관식품의 보존기간이 초과되어 보관식품이 부패되므로 보관 식품의 낭비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스마트폰과 통신 기술의 발달로 냉장고에 IoT 기능을 구현하여 다양한 관리가 가능한 냉장고가 출시되어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냉장고의 기대 수명이 수년에서 많게는 십년 이상을 사용한다는 점과 고가의 장비임을 고려하면, 일반 가정에서는 사용하기에 다소 부담이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6733호(2012.06.08. 등록)
본 발명은 냉장고와 같은 특정 공간에 보관된 용기 내부의 음식물의 부패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시간 보관 시 이를 외부의 전자 장치에 알려줄 수 있는 보관 용기용 IoT 기반의 정보 처리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음식물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용 IoT 기반의 정보 처리 장치는 음식물이 보관될 수 있는 용기와 결합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외부의 전자 장치의 접촉에 기 저장된 상기 용기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용 태그와, 상기 용기가 보관되고 도어를 구비한 기기의 상기 도어 개폐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 1 센서와, 음식물 관리용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상기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듈과, 상기 용기에 보관된 음식물의 악취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 2 센서와, 상기 제 2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센서값을 이용하여 상기 용기에 보관된 음식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제 1 센서를 통해 상기 도어가 오픈된 것으로 판단된 후 상기 수집된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음식물이 부패한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통신 모듈을 웨이크업시켜 상기 수집된 상태 정보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용 태그의 고유 식별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중앙처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작 버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처리유닛은 상기 타이머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누적 동작 시간을 계산하며, 상기 누적 동작 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통신 모듈을 웨이크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용기 내부의 온도 변화를 센싱하기 위한 제 3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처리유닛은 상기 제 3 센서에 의해 센싱된 온도 변화에 따라 사용자의 용기 사용 여부를 체크하며, 상기 통신 모듈을 웨이크업시켜 상기 체크한 용기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앙처리유닛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고유 식별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용 태그 내 설정된 고유 식별 정보를 업데이트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모듈은 LoRa, BLE 및 LPWA 중 어느 하나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관 용기용 IoT 기반의 정보 처리 장치를 이용한 음식물 관리 방법은 용기와 연결되며, 근거리 무선 통신용 태그, 상기 용기가 보관된 기기의 도어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용기에 보관된 음식물의 부패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센싱하는 복수의 센서 및 IoT 기반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을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를 이용한 음식물 관리 방법에 있어서, 외부의 전자 장치의 접촉에 따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용 태그 내 고유 식별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용기를 상기 전자 장치에 인식시키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센서를 구동시켜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한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도어가 오픈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부패 정도에 대응하는 센싱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을 웨이크업시켜 상기 수집된 센서 데이터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용 태그 내 고유 식별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한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도어가 클로즈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을 슬립 모드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타이머를 구비하며, 상기 타이머를 통해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누적 동작 시간을 계산하며, 상기 음식물 관리 방법은 상기 도어가 오픈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누적 동작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기 설정된 임계 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통신 모듈을 웨이크업시켜 상기 센서 데이터를 상기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용기 커버에 장착되어 용기 내 내용물의 부패를 감지하고, 장시간 보관 시 알람을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는 IoT 기반의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특정 공간(예컨대, 냉장고) 내 보관된 음식물에 대한 관리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가의 냉장고 구입 없이 저렴한 비용으로 냉장고 관리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 용기 커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 용기 커버에 장착된 정보 처리 장치의 세부 구성과 그 주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 내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되는 음식물 관리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 용기 커버에 장착된 정보 처리 장치가 동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 용기 커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 용기 커버에 장착된 정보 처리 장치(110)의 세부 구성과 그 주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보관 용기 커버(100)에는 외부기기, 예컨대 음식물 관리용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이 설치된 냉장고, 모바일 단말 등과의 통신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고, 음식물 보관 용기 내 음식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110)가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정보 처리 장치(110)는 사물 인터넷을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50)의 근거리 접촉에 따라 기 저장된 용기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용 태그(200), 음식물 보관 용기 커버(100)가 결합되는 용기 내부의 음식물에 대한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용기가 보관된 기기, 예컨대 냉장고의 도어 개폐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센서부(210), 외부의 전자 장치(250)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220), 정보 처리 장치(110)의 전반적인 제어를 위한 중앙처리유닛(230), 타이머(240) 및 정보 처리 장치(110)의 각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미도시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근거리 무선 통신용 태그(200)는 용기의 고유 식별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전자 장치(250), 예컨대 음식물 관리용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이 설치 및 구동되는 모바일 단말과의 근거리 통신을 통해 고유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용 태그(2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를 들 수 있으며, 전자 장치(250) 내 설치된 음식물 관리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기 저장되어 있는 고유 식별 정보가 변경될 수 있다.
센서부(210)는 용기가 보관된 냉장고의 도어 개폐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신호를 센싱하는 제 1 센서(212), 용기에 보관된 음식물의 부패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 2 및 제 3 센서(216)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센서(212)는 냉장고 내부의 조도를 감지하는 수단으로서, 조도의 변화를 감지한 후 이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중앙처리유닛(230)에 인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센서(212)는 어두운 상태에서 빛이 감지될 때 및 밝은 상태에서 어두운 상태로 변경될 때에 해당하는 감지 신호를 중앙처리유닛(230)에 제공할 수 있다.
제 2 센서(214)는 용기 내부의 악취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악취 정도를 감지한 후 이에 대응하는 센서값을 중앙처리유닛(230)에 제공할 수 있다.
제 3 센서(216)는 용기 내부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용기 내부의 온도 변화를 감지한 후 이에 대응하는 센서값을 중앙처리유닛(230)에 제공할 수 있다.
중앙처리유닛(230)은 제 1, 2 및 제 3 센서(216)로부터 제공받은 감지 신호와 센서값을 기반으로 정보 송신의 필요성을 체크하며, 필요할 경우 통신 모듈(220)을 웨이크업(wakeup) 상태를 변경시켜 수집된 정보를 통신 모듈(220)을 통해 전자 장치(250)로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앙처리유닛(230)은 제 1 센서(212)로부터 조도 변화(어두운 상태에서 밝은 상태의 조도 변화)의 감지에 따른 감지 신호를 인가받을 때 냉장고의 도어가 오픈된 것으로 판단한 후 제 2 센서(214)로부터 제공받은 센서값을 기반으로 용기에 보관된 음식물의 악취 정도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 악취 정도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통신 모듈(220)을 웨이크업 상태를 변경시킨 후 제 2 및 제 3 센서(216)로부터 제공받은 센서값(센서 데이터)을 외부의 전자 장치(25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중앙처리유닛(230)은 센서 데이터의 전송과 더불어 소정의 알람 메시지를 외부의 전자 장치(25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중앙처리유닛(230)은 제 1 센서(212)로부터 빛이 없어지는 조도 변화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가 인가될 때 냉장고의 도어가 클로즈된 것으로 판단하여 통신 모듈(220)이 웨이크업 상태일 경우 슬립 상태로 변경시키고, 슬립 모드 상태일 경우 그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중앙처리유닛(230)은 제 3 센서(216)로부터 제공받은 온도 변화에 대응하는 센서값을 기반으로 해당 용기의 사용 여부 및 이상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앙처리유닛(230)은 센서값이 급격하게 변경되는 경우 해당 용기의 커버가 오픈되어 용기가 사용된 것으로 판단함과 더불어 용기에 보관된 음식물의 부패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하며, 판단 결과에 대응하는 센서 데이터를 전자 장치(250)에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중앙처리유닛(230)은 센서 데이터와 더불어 근거리 무선 통신용 태그(200)의 고유 식별 정보를 같이 전자 장치(25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250)는 고유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센서 데이터가 어떤 용기 내 보관된 음식물과 관련된 정보인지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10)는 타이머(240)와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작 버튼(24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타이머(240)는 동작 버튼(245)의 조작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이 경우, 중앙처리유닛(230)은 타이머(240)의 구동에 따라 누적 동작 시간을 계산하며, 누적 동작 시간에 따라 통신 모듈(220)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앙처리유닛(230)은 제 1 센서(212)의 감지 신호에 따라 냉장고의 도어가 오픈된 것으로 판단한 후 누적 동작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값 이상 초과할 경우 정보 전송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통신 모듈(220)을 웨이크업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다.
통신 모듈(220)은 IoT 기반의 근거리 무선 통신, 예컨대 LoRa(Long Range), BLE(Bluetooth Low Energy), LPWA(Low Power Wide Area) 등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회로를 이용하여 중앙처리유닛(230)의 제어에 따라 정보, 예컨대 센서 데이터를 전자 장치(250)로 전송하거나 전자 장치(250)로부터 정보, 예컨대 고유 식별 정보, 임계 시간, 임계값 등을 수신하여 중앙처리유닛(23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모듈(220)은 중앙처리유닛(230)의 제어에 따라 두 가지 모드로 동작할 수 있는데, 즉 웨이크업 모드와 슬립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웨이크업 모드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상태이며, 슬립 모드는 정보를 송수신하지 않는 대기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110)가 보관 용기 커버(100)에 부착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다양한 제품에 탈부착될 수도 있다. 즉, 정보 처리 장치(110)는 칩의 형태로 구현되고, 칩의 탈부착을 위해 탈부착제가 칩의 일면 또는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정보 처리 장치(110)와 IoT 기반의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전자 장치(250)는 IoT 기반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정보 처리 장치(110)로부터 정보를 수신한 후 이를 기반으로 음식물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함과 더불어 정보 처리 장치(110) 내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250)의 세부 구성 및 동작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110)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25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50)는 프로세서(300), 저장장치(310), 메모리(320), 통신 회로(330), 입력/출력 회로(340), 디스플레이(350) 및 카메라(3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전자 장치(250)는 각 구성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부(370)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00)는 전자 장치(250)의 동작 및 수행을 제어하도록 동작하는 임의의 처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00)는 운영 체제 어플리케이션들, 펌웨어 어플리케이션들, 음식물 관리용 어플리케이션들, 매체 재생 어플리케이션들, 매체 편집 어플리케이션들 또는 임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00)는 디스플레이(350)를 구동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입력들을 처리할 수 있다.
저장장치(310)는 예컨대 하드 드라이브,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 ROM과 같은 영구적인 메모리, 임의의 다른 적합한 종류의 저장 컴포넌트,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장치(310)는 예컨대 매체 데이터(예컨대 음악 및 비디오 파일들),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예컨대 전자 장치(250) 상에서 정보 처리 장치(110)와의 연동을 통해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음식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한 것), 펌웨어, 사용자 기호(preference) 정보 데이터(예컨대 매체 재생 기호들), 인증 정보(예컨대 인가된 사용자들과 연관된 데이터의 라이브러리들), 생활 양식 정보 데이터(예컨대 음식 기호들), 일정표 정보 데이터 및 임의의 다른 적합한 데이터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20)는 캐시 메모리(cache memory), RAM과 같은 반영구적인 메모리 및/또는 일시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상이한 종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320)는 또한 전자 장치 애플리케이션들을 동작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 또는 저장 장치(112)에 저장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종류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메모리(320) 및 저장장치(310)는 단일 저장 매체로서 결합될 수 있다.
통신 회로(330)는 전자 장치(250)가 임의의 적합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서버 또는 다른 장치들과 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 전자 장치(250)는 상이한 통신 네트워크들을 이용하여 몇몇 통신 동작들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통신 회로(330)의 하나 이상의 인스턴스를 포함할 수 있으나, 도면을 지나치게 복잡하게 하지 않도록 도 3에는 하나만 도시되어 있다. 예컨대, 통신 회로(330)는 LoRa(Long Range), BLE(Bluetooth Low Energy), LPWA(Low Power Wide Area), Wi-Fi(예컨대 802.11 프로토콜), 이더넷(Ethernet),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시스템들, 셀룰러 네트워크들(예컨대 GSM, AMPS, GPRS, CDMA, EV-DO, EDGE, 3GSM, DECT, IS-136/TDMA, iDen, LTE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셀룰러 네트워크 또는 프로토콜), 적외선, TCP/IP(예컨대 TCP/IP 레이어들 각각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들 중 임의의 것), HTTP, 비트토런트(BitTorrent), FTP, RTP, RTSP, SSH, VOIP(Voice over IP), 임의의 다른 통신 프로토콜,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지원할 수 있다.
입력/출력 회로(340)는 아날로그 신호들 및 다른 신호들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및 필요한 경우 인코딩/디코딩)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입력/출력 회로(340)는 또한 디지털 데이터를 임의의 다른 종류의 신호로 변환할 수 있고, 그 역도 가능하다. 예컨대, 입력/출력 회로(340)는 물리적인 접촉 입력들(예컨대 멀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물리적인 움직임들(예컨대 마우스 또는 센서로부터),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예컨대 마이크로부터), 또는 임의의 다른 입력을 수신 및 변환할 수 있다. 디지털 데이터는 프로세서(300), 저장장치(310), 메모리(320), 또는 전자 장치(250)의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에 제공되고 그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입력/출력 회로(340)는 전자 장치(250)의 단일 컴포넌트로서 도 3에 도시되어 있으나, 입력/출력회로의 몇몇 인스턴스들이 전자 장치(250)에 포함될 수 있다.
전자 장치(250)는 사용자가 입력/출력 회로(340)에 입력들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임의의 적합한 메커니즘 또는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250)는 예컨대 버튼, 키패드(keypad), 다이얼(dial), 클릭 휠(click wheel), 또는 터치 스크린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입력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250)는 정전식(capacitive) 센싱 메커니즘, 또는 멀티 터치 정전식 센싱 메커니즘을 포함할수 있다.
입력/출력 회로(340)는 사용자가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350)(예컨대 스크린 또는 프로젝션 시스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350)는 전자 장치(250)에 포함되는 스크린(예컨대 LCD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디스플레이(350)는 전자 장치(250)로부터 떨어진 표면 상에 콘텐츠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 가능 디스플레이 또는 프로젝팅 시스템(예컨대 비디오 프로젝터)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디스플레이(350)는 디지털 매체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들로 변환하기 위한 코더/디코더(코덱)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또는 전자 장치(250) 내의 다른 적합한 회로)는 비디오 코덱들, 오디오 코덱들,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종류의 코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50)는 또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회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들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50)는 프로세서(300)의 지시 하에 콘텐츠(예컨대 매체 재생 정보, 전자장치 상에서 구현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스크린들, 진행 중인 통신 동작들에 관한 정보, 들어오는 통신 요청들에 관한 정보, 또는 장치 동작 스크린들)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전자 장치(250) 상에서 동작하는 음식물 관리 기능은 프로세서(300)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3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메모리(320) 또는 저장장치(310)에 저장된 후 프로세서(30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프로그램(380)은 통신 회로(330)를 통해 정보 처리 장치(110)와의 통신, 예컨대 IoT 기반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110)에 전송하거나, 정보 처리 장치(110)로부터 정보를 수신한 후 이를 기반으로 음식물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로그램(380)을 통해 제공되는 음식물 관리 기능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유 식별 번호 조회 및 설정, 음식물 종류 설정, 사진 정보 제공 및 재촬영, 누적 동작 시간 조회 및 설정, 센서 정보 조회 및 설정, 알람 설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380)을 통해 제공되는 음식물 관리 기능은 정보 처리 장치(110)를 구비한 음식물 보관 용기 커버(100)가 씌워진 음식물 보관 용기가 보관된 구역별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식물 보관 용기가 보관된 구역이 냉장고일 경우 프로그램(380)은 냉동실 및 냉장실로 구분하여 음식물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프로그램(380)은 음식물 관리 기능 중 재설정 또는 설정 기능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있을 경우 재설정 또는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재설정 또는 설정된 정보를 통신 회로(330)를 통해 정보 처리 장치(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프로그램(380)에 의해 제공되는 음식물 관리 기능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고유 식별 번호 조회 및 설정 기능은 특정 장소(이하, '냉장고'라고 함)에 보관된 음식물 보관 용기 커버에 장착된 정보 처리 장치(110)의 근거리 무선 통신용 태그(200)의 정보를 조회하고, 재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프로그램(380)은 전자 장치(250)와 근거리 무선 통신용 태그(200)의 접촉을 통해 수신한 정보 처리 장치(110)로부터 수신한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장치(310)에 저장한 후 사용자에 의해 고유 식별 번호 조회 및 설정 기능의 조작에 따라 고유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350)에 표시하고, 설정 기능의 조작에 따라 고유 식별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 후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고유 식별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110)에 전송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용 태그(200)에 설정된 고유 식별 정보를 변경시킬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음식물 종류 설정 기능의 조작에 따라 프로그램(380)은 통신 회로(330)를 활성화시킨 후 근거리 무선 통신용 태그(200)의 접촉에 의해 수신한 고유 식별 정보와 음식물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음식물 정보와 근거리 무선 통신용 태그(200)로부터 수신한 고유 식별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장치(31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380)은 저장장치(310)에 저장된 음식물 정보와 고유 식별 정보를 디스플레이(350)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그램(380)은 사진 정보 제공 기능의 조작에 따라 통신 회로(330)를 활성화시킴과 더불어 음식물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자 장치(250) 내 카메라(360)를 구동시키며, 카메라(360)의 구동에 따라 촬영된 사진 데이터(음식물 사진 데이터)와 활성화된 통신 회로(330)를 통해 정보 처리 장치(110)의 근거리 무선 통신용 태그(200)로부터 수신한 고유 식별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장치(31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그램(380)은 저장장치(310)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유 식별 정보가 태그로 설정된 사진 데이터를 디스플레이(35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재촬영 기능의 조작에 따라 프로그램(380)은 사진 정보 제공 기능의 조작에 따라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자 장치(250) 내 카메라(360)를 구동시키며, 활성화된 통신 회로(330)를 통해 수신한 고유 식별 정보에 매칭된 사진 데이터를 카메라(360)의 구동을 통해 촬영된 사진 데이터로 업데이트시킬 수 있다.
프로그램(380)은 누적 동작 시간 조회 기능의 조작에 따라 통신 회로(330)를 활성화시킨 후 정보 처리 장치(110) 내 통신 모듈(220)과의 통신을 통해 정보 처리 장치(110)에 설정된 누적 동작 시간(즉, 임계 시간)을 제공받아 디스플레이(35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380)은 누적 동작 시간 설정 기능의 조작에 따라 통신 회로(330)를 활성화시킨 후 정보 처리 장치(110) 내 통신 모듈(220)의 웨이크업 상태에 필요한 누적 동작 시간(즉, 임계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350)를 통해 제공하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누적 동작 시간을 정보 처리 장치(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보 처리 장치(110)는 전송받은 누적 동작 시간을 이용하여 통신 모듈(220)의 웨이크업에 필요한 임계 시간을 업데이트시킬 수 있다.
프로그램(380)은 센서 정보 조회 기능의 조작에 따라 정보 처리 장치(110)의 중앙처리유닛(230)에 의해 수집된 정보, 예컨대 악취 정도, 음식물 보관 용기의 내부 온도 변화에 대응하는 센서값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350)에 표시하거나 저장장치(310)에 저장된 데이터(악취 정도 및 내부 온도 변환에 대응하는 센서값)을 디스플레이(35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380)은 센서 정보 설정 기능의 조작에 따라 정보 처리 장치(110) 내 통신 모듈(220)의 웨이크업 상태에 필요한 임계값, 예컨대 악취 정도에 대한 임계값을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350)를 통해 제공하며, 인터페이스를 통해 설정된 악취 정도에 대한 임계값을 정보 처리 장치(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보 처리 장치(110)는 전송받은 임계값을 통신 모듈(220)의 웨이크업에 필요한 임계값을 업데이트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정보 처리 장치(110)가 동작하는 과정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관 용기 커버(100)에 장착된 정보 처리 장치(110)가 동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50)를 음식물 보관 용기 커버(100)의 정보 처리 장치(110)에 접촉하게 되면, 정보 처리 장치(110)는 근거리 무선 통신용 태그(200)에 설정된 고유 식별 정보를 전자 장치(250)에 전송한다(S400). 즉, 전자 장치(250)는 근거리 무선 통신용 태그(200)를 인식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용 태그(200)에 설정된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한 후 이를 디스플레이(350)에 표시함과 더불어 수신한 고유 식별 정보와 사용자 입력 데이터(예컨대 음식물 보관 용기 커버(100)와 결합된 용기 내 음식물의 종류) 등을 저장장치(310)에 저장한다.
이후, 정보 처리 장치(110)는 전자 장치(250)로부터 고유 식별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고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용 태그(200)에 설정된 고유 식별 정보를 변경시킨다(S402). 즉, 사용자가 디스플레이(350)를 통해 표시된 고유 식별 정보 설정 기능을 조작함에 따라 이를 인식한 전자 장치(250)는 고유 식별 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 후 인터페이스를 통해 변경된 고유 식별 정보를 정보 처리 장치(110)에 전송함과 더불어 저장장치(310)에 저장된 고유 식별 정보를 업데이트시킨다. 이에 따라 정보 처리 장치(110)는 전송받은 고유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용 태그(200)에 설정된 고유 식별 정보를 변경시킨다.
그런 다음, 정보 처리 장치(110)의 중앙처리유닛(230)은 센서부(210) 및 타이머(240)를 구동시킨 후 센서부(2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센서 데이터를 수집함과 더불어 타이머(240)의 구동에 따른 누적 동작 시간을 산출한다(S404).
그런 다음, 중앙처리유닛(230)은 센서부(210)의 제 1 센서(212)로부터 조도 변화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수신(S406)하여 음식물 보관 용기가 보관된 특정 장소, 예컨대 냉장고의 도어가 오픈되었는지를 판단한다(S408). 구체적으로, 중앙처리유닛(230)은 센서부(210)의 제 1 센서(212)에서 감지된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냉장고의 내부 조도 변화(어두운 상태에서 밝은 상태로의 조도 변화)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S408의 판단 결과, 도어가 오픈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조도 변화가 있을 경우), 중앙처리유닛(230)은 누적 동작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값(임계 시간)을 초과 또는 악취 정도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S410).
S410의 판단 결과, 누적 동작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 시간을 초과한 경우 또는 악취 정도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 중앙처리유닛(230)은 통신 모듈(220)을 웨이크업시킨(S412) 후 센서부(210)의 제 2 및 제 3 센서(216)를 통해 수집한 센서 데이터(악취 정도 및 온도 변화에 대응하는 센서값) 및 소정의 알람 메시지를 전자 장치(250)에 전송한다(S414).
한편, S410의 판단 결과, 누적 동작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 시간을 초과하지 않고, 악취 정도가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을 경우 중앙처리유닛(230)은 통신 모듈(220)의 상태를 슬립 모드 상태로 유지시킨다(S416).
한편, 중앙처리유닛(230)은 센서부(210)의 제 1 센서(212)로부터 조도 변화에 대응하는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냉장고의 도어가 클로즈 되었는지를 판단한다(S418). 구체적으로, 중앙처리유닛(230)은 센서부(210)의 제 1 센서(212)에서 감지된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냉장고의 내부 조도 변화(밝은 상태에서 어두운 상태로의 조도 변화)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S418의 판단 결과, 냉장고의 도어가 클로즈된 경우, 중앙처리유닛(230)은 웨이크업된 통신 모듈(220)을 슬립 모드로 변경시킨다(S420).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용기 커버
110 : 정보 처리 장치
200 : 근거리 무선 통신용 태그
210 : 센서부
220 : 통신 모듈
230 : 중앙처리유닛
240 : 타이머
245 : 동작 버튼
250 : 전자 장치

Claims (7)

  1. 음식물이 보관될 수 있는 용기와 결합되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외부의 전자 장치의 접촉에 기 저장된 상기 용기의 고유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용 태그와,
    상기 용기가 보관되고 도어를 구비한 기기의 상기 도어 개폐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제 1 센서와,
    음식물 관리용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상기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듈과,
    상기 용기에 보관된 음식물의 악취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 2 센서와,
    상기 제 2 센서로부터 제공받은 센서값을 이용하여 상기 용기에 보관된 음식물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제 1 센서를 통해 상기 도어가 오픈된 것으로 판단된 후 상기 수집된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음식물이 부패한 것으로 판단될 때 상기 통신 모듈을 웨이크업시켜 상기 수집된 상태 정보와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용 태그의 고유 식별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중앙처리유닛을 포함하는 보관 용기용 IoT 기반의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작 버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처리유닛은,
    상기 타이머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누적 동작 시간을 계산하며, 상기 누적 동작 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통신 모듈을 웨이크업시키는 보관 용기용 IoT 기반의 정보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용기 내부의 온도 변화를 센싱하기 위한 제 3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처리유닛은,
    상기 제 3 센서에 의해 센싱된 온도 변화에 따라 사용자의 용기 사용 여부를 체크하며, 상기 통신 모듈을 웨이크업시켜 상기 체크한 용기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보관 용기용 IoT 기반의 정보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유닛은,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고유 식별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용 태그 내 설정된 고유 식별 정보를 업데이트시키는 보관 용기용 IoT 기반의 정보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LoRa, BLE 및 LPWA 중 어느 하나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보관 용기용 IoT 기반의 정보 처리 장치.
  6. 용기와 연결되며, 근거리 무선 통신용 태그, 상기 용기가 보관된 기기의 도어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용기에 보관된 음식물의 부패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센싱하는 복수의 센서 및 IoT 기반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을 구비한 정보 처리 장치를 이용한 음식물 관리 방법에 있어서,
    외부의 전자 장치의 접촉에 따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용 태그 내 고유 식별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용기를 상기 전자 장치에 인식시키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센서를 구동시켜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한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도어가 오픈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부패 정도에 대응하는 센싱값이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기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을 웨이크업시켜 상기 수집된 센서 데이터를 상기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한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도어가 클로즈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을 슬립 모드 상태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관 용기용 IoT 기반의 정보 처리 장치를 이용한 음식물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타이머를 구비하며, 상기 타이머를 통해 상기 정보 처리 장치의 누적 동작 시간을 계산하며,
    상기 음식물 관리 방법은,
    상기 도어가 오픈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누적 동작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기 설정된 임계 시간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통신 모듈을 웨이크업시켜 상기 센서 데이터를 상기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보관 용기용 IoT 기반의 정보 처리 장치를 이용한 음식물 관리 방법.
KR1020170047366A 2017-04-12 2017-04-12 보관 용기용 IoT 기반의 정보 처리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음식물 관리 방법 KR102030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366A KR102030233B1 (ko) 2017-04-12 2017-04-12 보관 용기용 IoT 기반의 정보 처리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음식물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366A KR102030233B1 (ko) 2017-04-12 2017-04-12 보관 용기용 IoT 기반의 정보 처리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음식물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117A true KR20180115117A (ko) 2018-10-22
KR102030233B1 KR102030233B1 (ko) 2019-10-08

Family

ID=64102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366A KR102030233B1 (ko) 2017-04-12 2017-04-12 보관 용기용 IoT 기반의 정보 처리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음식물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02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5835A1 (ko) * 2019-02-25 2020-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현관용 냉장고용 수납 박스
WO2020213761A1 (ko) * 2019-04-17 2020-10-22 (주)그린에스시스템즈 식품의 신선도 모니터링 방법 및 모니터링 시스템
CN111854266A (zh) * 2019-04-25 2020-10-30 夏普株式会社 物品托盘、冰箱、以及物品托盘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6958A (ja) * 2003-08-29 2005-03-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蔵庫システム
KR101156733B1 (ko) 2010-05-31 2012-06-14 전자부품연구원 냉장고 물품관리 시스템
KR20170034296A (ko) * 2015-09-18 2017-03-28 윤근진 초저온 냉동고 또는 의료용 냉장고의 수납 이력관리를 위한 무선제어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이력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6958A (ja) * 2003-08-29 2005-03-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蔵庫システム
KR101156733B1 (ko) 2010-05-31 2012-06-14 전자부품연구원 냉장고 물품관리 시스템
KR20170034296A (ko) * 2015-09-18 2017-03-28 윤근진 초저온 냉동고 또는 의료용 냉장고의 수납 이력관리를 위한 무선제어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이력 관리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5835A1 (ko) * 2019-02-25 2020-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현관용 냉장고용 수납 박스
US11841185B2 (en) 2019-02-25 2023-12-12 Lg Electronics Inc. Storage box for refrigerator at entrance
WO2020213761A1 (ko) * 2019-04-17 2020-10-22 (주)그린에스시스템즈 식품의 신선도 모니터링 방법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91296A (ko) * 2019-04-17 2021-07-21 주식회사 그린에스시스템즈 식품의 신선도 모니터링 방법 및 모니터링 시스템
CN111854266A (zh) * 2019-04-25 2020-10-30 夏普株式会社 物品托盘、冰箱、以及物品托盘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0233B1 (ko) 201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58169C1 (ru) Рабочий способ и рабочее устройство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ого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аппарата
RU2601176C2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для подсчета расхода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US10355748B2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f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and program
JP6503592B2 (ja) 家電機器制御用方法及び装置
CN103283210B (zh) 用于接近检测验证的移动设备和方法
US10568034B2 (en) Intelligent power management for monitoring a movable object
CN107750060B (zh) 电子设备及其方法
US9928725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minding user
KR102030233B1 (ko) 보관 용기용 IoT 기반의 정보 처리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음식물 관리 방법
WO2014121741A1 (zh) 基于环境识别的实现移动设备防丢功能的移动电源
KR20150082079A (ko)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홈 디바이스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CA2982515C (en) Recyclable logistics apparatus and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empty and full signals thereof
KR102135965B1 (ko) 화면잠금을 제어하는 방법 및 휴대 단말
US20140378081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enhanced power management
CN105259112A (zh) 食物保质期的确定方法及装置
KR101656754B1 (ko) 기능설정 스위치 모듈이 구비된 조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50080446A (ko) 무선네트워크 온오프 제어방법, 장치, 이동단말기, 무선액세스설비, 무선네트워크 온오프 제어시스템,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N104348973A (zh) 用于智能穿戴设备的闹钟管理方法、装置及智能穿戴设备
JP2013009079A (ja) 端末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端末装置の起動方法
JP2013009230A (ja) 端末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端末装置の起動方法
CN105300024B (zh) 智能冰箱提醒方法及装置、智能冰箱及便携设备
CN105242775B (zh) 状态调整的方法及装置
CN108206881A (zh) 移动终端提示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20200177301A1 (en)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slave device
KR20170083881A (ko)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