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4550A - Toothbrush - Google Patents

Toothbrus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4550A
KR20180114550A KR1020187019931A KR20187019931A KR20180114550A KR 20180114550 A KR20180114550 A KR 20180114550A KR 1020187019931 A KR1020187019931 A KR 1020187019931A KR 20187019931 A KR20187019931 A KR 20187019931A KR 20180114550 A KR20180114550 A KR 20180114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head portion
amount
neck
tooth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99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85323B1 (en
Inventor
나오시 카나마루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979069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8011455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14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45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5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53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54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 A46B5/006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designed to allow relative positioning of the head to body being flexible or resilient during us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46B5/021Grips or handles specially adapted to conform to the hand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Abstract

청소력이 보다 우수하고, 또한 사용감이 보다 우수한 칫솔을 제공한다. 헤드부(2)와, 상기 헤드부(2)에 연장 설치된 네크부(4)와, 상기 네크부(4)에 연장 설치된 핸들부(6)를 구비하는 핸들체(10)를 구비하고, 헤드부(2)의 식모면에는 모다발이 식설되고, 특정 측정 방법으로 측정되는 상기 헤드부(2)의 휘어짐량(A)과 상기 네크부(4)의 휘어짐량(B)의 곱이 0.8~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1).Provided is a toothbrush which is more excellent in cleaning power and has a better feeling. And a handle body (10) having a head part (2), a neck part (4) extended to the head part (2) and a handle part (6) extended to the neck part (4) And the product of the amount of warpage A of the head part 2 measured by a specific measuring method and the amount of warpage B of the neck part 4 is 0.8 to 10 (1).

Description

칫솔{TOOTHBRUSH}Toothbrush {TOOTHBRUSH}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brush.

본원은 2016년 3월 9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2016-045368호에 의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claims priority based 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6-045368 filed on March 9, 2016, th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충치, 치주병의 예방에는 칫솔을 사용한 브러싱에 의한 구강내의 플라크 제거가 중요하다. 종래 플라크 제거 효과를 높이기 위해 여러가지 칫솔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칫솔의 헤드부를 얇고, 네크부를 가늘게 함으로써 통상의 칫솔로는 닿기 어려운 어금니의 안쪽(어금니의 인후측)까지 용모(用毛)를 닿게 할 수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헤드부가 박형화되고, 구강내에서의 조작성이 우수한 칫솔이 기재되어 있다. To prevent tooth decay and periodontal disease, it is important to remove plaque in the mouth by brushing with a toothbrush. Various toothbrushes have been proposed to enhance the plaque removal effect. For example, by thinning the head portion of the toothbrush and making the neck portion narrow, it is possible to reach the inside of the molar teeth (the throat side of the molar teeth) that is difficult to reach with a normal toothbrush.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toothbrush having a thin head portion and excellent operability in the oral cavity.

한편, 치주 질환이 있는 생활자 등에 있어서는 칫솔을 사용한 브러싱에 의한 치주 포켓의 오염 제거나, 잇몸의 마사지가 중요해진다. 치주 포켓의 오염 제거나 잇몸의 마사지에는 용모의 적당한 휘어짐이 필요하며, 지금까지 지름이 가는 용모를 밀집시킨 칫솔이나, 선단 극세모 등을 사용한 칫솔이 제안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ose who have periodontal disease, contamination of periodontal pockets by brushing using a toothbrush, and massaging of the gums become important. A toothbrush having a compact diameter and a toothbrush with a tip end triangular shape has been proposed so far. The teeth of the periodontal pocket and the massage of the gum require appropriate bending of the appearance.

일본특허공개 평 7-143914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7-143914

그러나, 통상의 칫솔로는 닿기 어려운 어금니의 안쪽 등에 대한 청소력을 높이기 위해 칫솔의 헤드부를 단지 얇게 하면 헤드부의 내꺽임 강도나 모다발의 빠짐 강도가 저하하여 칫솔의 품질이 저하한다. 또한, 헤드부를 얇게 함으로써 사용 시에 헤드부가 휘어지기 쉬워 모다발이 넓어지는 등 사용자의 사용감이 손상된다. 그 때문에 헤드부를 얇게 하기 위해서는 한계가 있다. However, if only the head portion of the toothbrush is made thinner in order to increase the cleaning power against the inside of the molar teeth, which is difficult to reach by a normal toothbrush, the breaking strength of the head portion and the strength of break- In addition, by thinning the head portion, the head portion is liable to be bent at the time of use, thereby widening the foot, and the feeling of use of the user is impaired. Therefore, there is a limit to making the head portion thinner.

또한, 용모의 휘어짐을 크게 해서 잇몸에의 닿는 느낌을 양호하게 함으로써 사용감이 높아진다. 그러나, 용모의 휘어짐이 지나치게 크면 치주 포켓에의 용모의 진입성이 저하하여 청소력이 저하하거나, 모 벌어짐이 커져 칫솔의 내구성이 저하하는 등의 문제가 생긴다.In addition, since the appearance of the gums is improved by increasing the warpage of the appearance, the feeling of use is increased. However, if the warpage of the appearance is excessively large, the penetration of the appearance into the periodontal pocket is deteriorated, so that the cleaning force is lowered, the wrinkle is increased, and the durability of the toothbrush is lowered.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청소력이 보다 우수하고, 또한 사용감이 보다 우수한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othbrush which is excellent in cleaning power and which is more excellent in feeling.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1]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연장 설치된 네크부와, 상기 네크부에 연장 설치된 핸들부를 구비하는 핸들체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에는 모다발이 식설(植設)되고, 하기의 방법(α)으로 측정되는 상기 헤드부의 휘어짐량(A)과, 하기의 방법(β)으로 측정되는 상기 네크부의 휘어짐량(B)의 곱(A×B)이 0.8~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1] A hair styling device comprising: a head part; a neck part extending to the head part; and a handle body having a handle part extended to the neck part, Wherein the product (A x B) of the amount of warpage (A) of the head portion measured by the method (?) And the amount of warpage (B) of the neck portion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 Is 0.8 to 10 toothbrush.

방법(α):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을 연직방향의 위를 향하게 하고, 상기 헤드부와 상기 네크부의 경계의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핸들체의 선단의 높이를 기준 높이로 하고, 상기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또한 상기 헤드부에 있어서의 식모부의 장축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상기 식모부의 선단으로부터 10±3%의 위치에 200g의 추를 매달고 10초 후의 상기 핸들체의 선단의 상기 기준 높이로부터의 높이의 변위량(단위는 mm)을 상기 헤드부의 휘어짐량(A)으로 한다.Method (?): With the head of the head portion facing upwar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height of the tip of the handle body in a state where the position of the boundary between the head portion and the neck portion is fixed, And a weight of 200 g from a tip end of the flocking portion at a position of 10 3% from the tip of the flocking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cking portion in the head portion, (Unit: mm) is defined as the amount of warpage (A) of the head portion.

방법(β):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을 연직방향의 위를 향하게 하고, 상기 네크부와 상기 핸들부의 경계의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핸들체의 선단의 높이를 기준 높이로 하고, 상기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또한 상기 헤드부에 있어서의 식모부의 장축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상기 식모부의 선단으로부터 50±3%의 위치에 200g의 추를 매달고 10초 후의 상기 핸들체의 선단의 상기 기준 높이로부터의 높이의 변위량(단위는 mm)을 상기 네크부의 휘어짐량(B)으로 한다.Method (?): The height of the tip of the handle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edge of the head part faces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position of the boundary between the neck part and the handle part is fixed is set as the reference height, And a weight of 200 g from a tip end of the flocking portion at a position of 50 3% with respect to a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cking portion of the head portion, and a height from a reference height of a tip end of the handle body after 10 seconds (Unit: mm) is defined as the bending amount (B) of the neck portion.

[2] [1]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휘어짐량(A)과 상기 네크부의 휘어짐량(B)의 곱이 2~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2] The toothbrush according to [1], wherein the product of the warp amount (A) of the head part and the warp amount (B) of the neck part is 2 to 10.

[3] [1] 또는 [2]에 있어서, 하기의 방법(α')으로 측정되는 상기 헤드부의 휘어짐량(A')과 상기 네크부의 휘어짐량(B)의 곱이 2.5~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3] The method according to [1] or [2], wherein the product of the warp amount (A ') of the head part and the warp amount (B) Toothbrush.

방법(α'):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을 연직방향의 위를 향하게 하고, 상기 헤드부와 상기 네크부의 경계의 위치로부터 상기 핸들부측으로 10mm 어긋난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핸들체의 선단의 높이를 기준 높이로 하고, 상기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또한 상기 헤드부에 있어서의 식모부의 장축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상기 식모부의 선단으로부터 10±3%의 위치에 200g의 추를 매달고 10초 후의 상기 핸들체의 선단의 상기 기준 높이로부터의 높이의 변위량(단위는 mm)을 상기 헤드부의 휘어짐량(A')으로 한다.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a ') placing the tip of the head part in a vertical direction and fixing a position shifted by 10 mm from the position of the boundary between the head part and the neck part toward the handle part, A weight of 200 g was hanged at a position of 10 3% from the tip of the flock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cking portion of the head portion in the fixed state, (Unit: mm) of the height of the tip of the head from the reference height is defined as the amount of warpage A 'of the head portion.

[4]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연장 설치된 네크부와, 상기 네크부에 연장 설치된 핸들부를 구비하는 핸들체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에는 모다발이 식설되고, 하기의 방법(α')으로 측정되는 상기 헤드부의 휘어짐량(A')과 하기의 방법(β)으로 측정되는 상기 네크부의 휘어짐량(B)의 곱이 2.5~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4] A handpiece comprising a head part, a neck part extending to the head part, and a handle part extending to the neck part, Wherein a product of the amount of warpage (A ') of the head part measured by the method (2) and the amount of warpage (B) of the neck part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β) is 2.5 to 12.

방법(α'):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을 연직방향의 위를 향하게 하고, 상기 헤드부와 상기 네크부의 경계의 위치로부터 상기 핸들부측으로 10mm 어긋난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핸들체의 선단의 높이를 기준 높이로 하고, 상기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또한 상기 헤드부에 있어서의 식모부의 장축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상기 식모부의 선단으로부터 10±3%의 위치에 200g의 추를 매달고 10초 후의 상기 핸들체의 선단의 상기 기준 높이로부터의 높이의 변위량(단위는 mm)을 상기 헤드부의 휘어짐량(A')으로 한다.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a ') placing the tip of the head part in a vertical direction and fixing a position shifted by 10 mm from the position of the boundary between the head part and the neck part toward the handle part, A weight of 200 g was hanged at a position of 10 3% from the tip of the flock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cking portion of the head portion in the fixed state, (Unit: mm) of the height of the tip of the head from the reference height is defined as the amount of warpage A 'of the head portion.

방법(β):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을 연직방향의 위를 향하게 하고, 상기 네크부와 상기 핸들부의 경계의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핸들체의 선단의 높이를 기준 높이로 하고, 상기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또한 상기 헤드부에 있어서의 식모부의 장축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상기 식모부의 선단으로부터 50±3%의 위치에 200g의 추를 매달고 10초 후의 상기 핸들체의 선단의 상기 기준 높이로부터의 높이의 변위량(단위는 mm)을 상기 네크부의 휘어짐량(B)으로 한다.Method (?): The height of the tip of the handle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edge of the head part faces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position of the boundary between the neck part and the handle part is fixed is set as the reference height, And a weight of 200 g from a tip end of the flocking portion at a position of 50 3% with respect to a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cking portion of the head portion, and a height from a reference height of a tip end of the handle body after 10 seconds (Unit: mm) is defined as the bending amount (B) of the neck portion.

[5]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두께가 2.0~4.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5] The toothbrush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4],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head portion is 2.0 to 4.0 mm.

[6]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두께가 2.0~4.0mm이며, 또한 상기 네크부의 최소의 폭과 최소의 두께 중 작은 쪽이 3.0~4.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6] The headlamp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5],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head portion is 2.0 to 4.0 mm, and the minimum width and the minimum thickness of the neck portion are 3.0 to 4.5 mm Toothbrush.

[7] [6]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의 최소의 폭이 3.0~4.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7] The toothbrush according to [6], wherein the minimum width of the neck portion is 3.0 to 4.5 mm.

[8]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모다발을 구성하는 용모의 모 끝 강도가 1.7~3.0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8] The toothbrush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7], wherein the strength of the eye hair constituting the hair bundle is 1.7 to 3.0N.

[9]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핸들체의 재질이 폴리프로필렌 수지인 칫솔.[9] A toothbrush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8], wherein the handle body is made of polypropylene resin.

[10]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방법(β)에 있어서 상기 핸들체의 장축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상기 핸들체의 선단으로부터 42.4%의 위치를 고정하는 칫솔.[10] The toothbrush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9], wherein the position of 42.4% from the tip of the handle is fixed with respect to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dle in the method (?).

[11] [1] 내지 [3] 또는 [5]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휘어짐량(A)과 상기 휘어짐량(B)이 A<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11] A toothbrush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 or [5] to [10], wherein the amount of warping (A) and the amount of warping (B) satisfy A <

[12] [1] 내지 [3] 또는 [5]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휘어짐량(A)과 상기 휘어짐량(B)의 차(B-A)가 1≤(B-A)≤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12) In any one of [1] to [3] or [5] to [11], the difference BA between the amount of warpage A and the amount of warpage B satisfies 1? &Lt; / RTI &gt;

[13] [1] 내지 [3] 또는 [5]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휘어짐량(A)이 0.5~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13] A toothbrush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 or [5] to [12], wherein the amount of warpage (A) is 0.5 to 3.0.

[14]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휘어짐량(B)이 2.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14] The toothbrush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13], wherein the amount of warpage (B) is 2.1 to 5.0.

[15] [1] 내지 [3] 또는 [5]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핸들체의 재질이 폴리아세탈 수지이며, 상기 헤드부의 휘어짐량(A)과 상기 네크부의 휘어짐량(B)의 곱이 2~10이며, 상기 헤드부의 두께가 2.0~4.0mm이며, 또한 상기 네크부의 최소의 폭과 최소의 두께 중 작은 쪽이 3.0~4.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15] The stapler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 or [5] to [14], wherein the handle body is made of polyacetal resin and the warp amount A of the head part and the warp amount B) is 2 to 10, the thickness of the head portion is 2.0 to 4.0 mm, and the minimum width and the minimum thickness of the neck portion are 3.0 to 4.5 mm.

[16]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헤드부의 식모면에 모다발이 식설되어 있는 형태가 평선식 식모인 칫솔.[16] The toothbrush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15], wherein the head portion is provided with a flat foot on the wedge-shaped surface.

(발명의 효과)(Effect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칫솔은 청소력이 보다 우수하고, 또한 사용감이 보다 우수하다.The tooth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excellent in cleaning power and has a better feeling of use.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칫솔의 평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칫솔의 측면도이다.
도 2a는 헤드부의 휘어짐량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b는 헤드부의 휘어짐량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모 끝 강도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A is a plan view of a toothbrus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1B is a side view of a toothbrush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easuring the amount of warp of the head portion.
2B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easuring the amount of warp of the head portion.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measuring the end end strength. Fig.

[제 1 발명][First Invention]

이하, 제 1 발명의 칫솔의 실시형태를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toothbrush of the firs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A and 1B.

도 1a 및 도 1b의 칫솔(1)은 평면으로 볼 때 대략 사각형의 헤드부(2)와 상기 헤드부(2)에 연장 설치된 네크부(4)와 상기 네크부(4)에 연장 설치된 핸들부(6)(이하, 헤드부(2)와 네크부(4)와 핸들부(6)를 합쳐서 핸들체(10)라고도 한다)를 구비한다. 상기 헤드부(2)에는 식모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The toothbrush 1 of Figs. 1A and 1B includes a head portion 2 hav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in plan view, a neck portion 4 extending from the head portion 2, and a handle portion 4 extending from the neck portion 4,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handle body 10 by combining the head portion 2, the neck portion 4, and the handle portion 6). The head portion 2 is provided with a flocking portion (not shown).

핸들체(10)는 전체적으로 장척 형상으로 일체 성형된 것이며, 예를 들면 수지를 재료로 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다.The handle body 10 is integrally formed as a whole in a long shape, and is obtained by injection molding, for example, using a resin as a material.

핸들체의 재질로서는 폴리프로필렌 수지(PP), 폴리아세탈 수지(POM), 폴리스티렌 수지(PS),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BT),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ABS),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수지(AS), 폴리에스테르 수지(PCTA)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강도가 높고, 성형성이 우수한 점 등으로부터 PP, POM, PBT가 바람직하고, PP, POM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보다 저비용으로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얻을 수 있는 점에서 핸들체의 재질은 PP가 특히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material of the handle body include a polypropylene resin (PP), a polyacetal resin (POM), a polystyrene resin (PS),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PET), a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PBT), an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resin (ABS), polyarylate resin, polycarbonate resin, acrylonitrile styrene resin (AS), and polyester resin (PCTA). Of these, PP, POM and PBT are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high strength and excellent moldability, and PP and POM are more preferable. In addition, PP is particularly preferable as the material of the handle because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at a lower cost.

상기 수지는 1종이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좋고, 2종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되어도 좋다. One of the resins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resins may be used in combination.

핸들체의 재질의 굽힘 탄성률은 1200~3000MPa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0~3000MPa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핸들체의 재질의 굽힘 탄성률이 상술의 범위이면 헤드부의 휘어짐량을 적절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고, 구강내의 청소력이나 조작성의 향상, 사용자의 사용감의 향상으로 연결된다. 또한, 핸들체의 재질의 굽힘 탄성률은 JIS K7171에 의거하여 측정된다.The bending elastic modulus of the material of the handle body is preferably 1200 to 3000 MPa, more preferably 1500 to 3000 MPa. If the bending elastic modulus of the material of the handle body is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the amount of bending of the head portion can be set to an appropriate value,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leaning power and operability in the oral cavity and improve the usability of the user. The flexural modulus of the material of the handle body is measured in accordance with JIS K7171.

또한, 핸들체(10)는 핸들부(6)의 일부 또는 전부가 연질 수지로 피복되어 있어도 좋다. 핸들부(6)의 일부 또는 전부가 연질 수지로 피복되어 있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핸들부(6)를 쥐었을 때의 파지성이 보다 높아진다. 상기 연질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폴리우레탄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엘라스토머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The handle body 10 may have a part or all of the handle portion 6 covered with a soft resin. A part or the whole of the handle portion 6 is covered with the soft resin so that the gripping property when the user holds the handle portion 6 is higher. Examples of the soft resin include an elastomer resin such as a polyolefin elastomer, a styrene elastomer, a polyester elastomer and a polyurethane thermoplastic elastomer, and a silicone resin.

핸들체(10)의 길이(L1)는 조작성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150~200mm로 된다. The length L1 of the handle 10 can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operability and the like, and is, for example, 150 to 200 mm.

헤드부(2)는 핸들체(10)의 길이방향이 길이로 되고, 평면으로 볼 때 4개의 정부(頂部)가 곡선으로 모따기(corner cut-off)된 대략 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되어 있다. 헤드부(2)의 한쪽의 면(식모면(20))에는 식모 구멍(22)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 식모 구멍(22)에 용모가 묶인 모다발이 식설되어서 복수의 모다발로 이루어지는 식모부가 형성된다. The head part 2 has a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dle body 10 and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flat plate shape in which four corners are cut off in a curved line when viewed in plan. A plurality of hair-removal holes 22 are formed on one surface (the hair-removal surface 20) of the head portion 2. A foot is bound to the foothole hole 22 and the foo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oots.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평면으로 볼 때란 헤드부의 식모면측으로부터 칫솔을 보는 것을 의미한다. 식모면(20)과 평행하며 또한 핸들체(1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폭으로 하고, 식모면(20)에 직교하는 방향을 두께로 한다. 추가하여, 식모면(20)이 면하는 측을 표면, 식모면(20)이 면하는 측의 반대측을 이면으로 한다. Further, in this specification, when viewed in plan, it means that the toothbrush is viewed from the side of the head of the head portio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dle 10 is a width and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eating surface 20 is a thickness. In addition, the side facing the cooking cavity 20 is referred to as the surface, and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facing the cooking cavity 20 as the back side.

헤드부(2)는 평면으로 볼 때 선단(9)으로부터 네크부(4)를 향함에 따라 폭방향으로 넓어지고, 이어서 동등의 폭으로 연장되고, 이어서 폭방향으로 좁아지고 네크부(4)와의 경계(P1)에 이르는 것이다.The head portion 2 is widene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tip end 9 in a plan view toward the neck portion 4 and then extended in the same width and then narrow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reaches the boundary P1.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경계(P1)는 헤드부(2)의 평면으로 볼 때의 형상에 있어서의 네크부(4)로부터의 모따기를 형성하는 곡선의 종점, 즉 모따기를 형성하는 곡선의 구부러짐 방향이 변화되는 위치이다. 즉, 헤드부와 네크부의 경계(P1)는 평면으로 볼 때의 헤드부에 있어서의 네크부로부터의 모따기 부분의 폭이 좁아지는 양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곡선 또는 직선(R1)으로부터 폭이 넓어지는 곡선 또는 직선, 또는 폭이 같은 직선으로 변화되는 위치이다. 또한, 평면으로 볼 때 네크부가 핸들부를 향함에 따라 폭이 넓어지는 칫솔의 경우, 경계(P1)는 평면으로 볼 때 헤드부와 네크부에 있어서의 가장 폭이 작은 위치와 일치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oundary P1 is the end point of the curve forming the chamfer from the neck portion 4 in the shape seen in the plane of the head portion 2, that is,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curve forming the chamfer Is a changeable position. That is, the boundary P1 between the head part and the neck part is formed by a curved line that forms both edges where the width of the chamfered portion from the neck portion in the head portion in the plane is narrowed, Or a straight line, or a position where the width changes to a straight line. Further, in the case of a toothbrush whose width widens as the neck portion faces the handle portion in a plan view, the boundary P1 coincides with the smallest width position in the head portion and the neck portion in plan view.

또한, 예를 들면 헤드부와 네크부가 같은 폭으로 형성된 칫솔과 같이 상기 경계(P1)의 위치의 특정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길이(L1)에 대하여 핸들체(10)의 선단(9)으로부터 17.5%의 위치(예를 들면, 길이(L1)가 180mm인 경우, 핸들체(10)의 선단(9)으로부터 31.5mm의 위치)를 경계(P1)로 한다.Further, for example, it is difficult to specify the position of the boundary P1 like a toothbrush having the same width as the head portion and the neck portion. In this case, when the position L1 is 17.5% from the tip end 9 of the handle 10 in relation to the length L1 (for example, 31.5 mm from the tip 9 of the handle 10 when the length L1 is 180 mm) mm) is set as the boundary P1.

헤드부(2)의 크기는 구강내에서의 조작성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다.The size of the head part 2 can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operability in the oral cavity and the like.

헤드부(2)의 최대폭(W1)은 지나치게 크면 구강내에서의 조작성이 저하하고, 지나치게 작으면 식모되는 모다발의 수가 지나치게 적어져서 청소력이 손상되기 쉽다. 이 때문에 폭(W1)은 예를 들면, 5~13mm로 된다.If the maximum width W1 of the head portion 2 is too large, the operability in the oral cavity is deteriorated. If the head portion 2 is too small, the number of multiple legs to be implanted is too small and the cleaning force tends to be impaired. Therefore, the width W1 is, for example, 5 to 13 mm.

헤드부(2)의 두께(T1)는 2.0~4.0mm가 바람직하고, 2.0~3.5mm가 보다 바람직하고, 2.5~3.2mm가 더욱 바람직하다. 두께(T1)가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헤드부(2)에 있어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기 쉽다. 또한, 식모 구멍(22)을 두께방향으로 형성하기 쉬워지고, 모다발을 식모 구멍(22)에 강고하게 식설하기 쉬워져 모다발이 빠지는 것을 억제하기 쉬워진다. 또한, 두께(T1)가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칫솔(1)의 구강내에서의 조작성이 보다 높아진다. 또한, 어금니의 안쪽 등의 구강내의 구석구석까지 용모를 닿게 할 수 있어 구강내의 오염 제거 효과가 보다 높아진다. The thickness T1 of the head portion 2 is preferably 2.0 to 4.0 mm, more preferably 2.0 to 3.5 mm, and further preferably 2.5 to 3.2 mm. If the thickness T1 is not smaller than the lower limit value, it is easy to secure sufficient strength in the head portion 2. In addition, it is easy to form the hair-removing bore 22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it becomes easy for the hair to be firmly stitched on the hair-removing bore 22, and it is easy to suppress the hair-removing. If the thickness T1 is less than the upper limit value, the operability in the oral cavity of the toothbrush 1 is further increas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ach all the corners of the oral cavity, such as the inside of the molar teeth, so that the decontamination effect in the oral cavity is further enhanced.

또한, 헤드부(2)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 T1은 헤드부(2)의 최소의 두께를 의미한다. In addition, when the thickness of the head portion 2 is not constant, T1 means the minimum thickness of the head portion 2.

헤드부(2)의 길이(L2)는 지나치게 길면 구강내에서의 조작성이 손상되기 쉽고, 지나치게 짧으면 식모되는 모다발의 수가 지나치게 적어져서 청소 효과가 손상되기 쉽다. 이 때문에 길이(L2)는 예를 들면 10~40mm의 범위에서 적당히 결정된다.If the length L2 of the head part 2 is too long, the operability in the oral cavity tends to be impaired. If the length L2 is excessively short, the number of the feet can be excessively reduced and the cleaning effect tends to be impaired. Therefore, the length L2 is appropriately determined in the range of 10 to 40 mm, for example.

식모 구멍(22)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진원 또는 타원 등의 원형, 삼각형이나 사각형 등의 다각형 등을 들 수 있다. The shape of the hair-removal hole 2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circular shape such as a circle or an ellipse, or a polygon such as a triangle or a square may be used.

식모 구멍(22)의 수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0~60으로 된다. The number of the hair-removing bore 2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s, for example, 10 to 60. [

식모 구멍(22)의 직경은 요구하는 모다발의 굵기에 따라 결정되고, 예를 들면 1~3mm로 된다. The diameter of the hair-removal hole 22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required mass, and is, for example, 1 to 3 mm.

식모 구멍(22)의 배열 패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소위 격자 형상이나 지그재그 형상 등 어떠한 배열 패턴이어도 좋다. The arrangement pattern of the hair-removal holes 2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ny arrangement pattern such as a so-called lattice shape or zigzag shape.

모다발을 구성하는 용모로서는 모 끝을 향해 점차 그 지름이 작아지는 용모(테이퍼모), 모 끝의 둥근부분을 제외하고 외경이 거의 동일한 용모(스트레이트모), 모 끝이 스패츌러 형상, 구상, 끝이 갈라진 형상 등으로 되어 있는 용모를 들 수 있다. As for the appearance which constitutes the bundle, the appearance (taper wing) that th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towards the wing end, the appearance (the wing hair) with almost the same outer diameter except the round part of the wing end, the spur shape, And the shape of the end is a cracked shape.

용모로서는 테이퍼모가 바람직하다. 용모를 테이퍼모로 함으로써 치주 포켓 등의 오염 제거 효과가 높아진다. 또한, 잇몸의 마사지 효과가 높아지고 사용감이 보다 향상된다.As the appearance, a tapered face is preferable. The effect of removing contaminants from periodontal pockets and the like is enhanced by making the appearance of the tapered corners. In addition, the massage effect of the gum is enhanced and the feeling of use is further improved.

용모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6-12나일론, 6-10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PET, PB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PBN)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등의 합성 수지 재료를 들 수 있다. 이들의 수지 재료는 1종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좋고, 2종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되어도 좋다.Examples of the material of the appearance include polyamide such as 6-12 nylon and 6-10 nylon, polyamide such as PET, PBT, PTT,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polybutylene naphthalate (PBN) Polyolefins such as polyester and polypropylene, synthetic resin materials such as olefin elastomer and styrene elastomer. These resin materials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kinds.

또한, 용모는 심부와 상기 심부의 외측에 설치된 적어도 1층 이상의 초부를 갖는 다중 심구조이어도 좋다. In addition, the appearance may be a multi-core structure having a core portion and at least one layered portion provided outside the core portion.

용모의 횡단면 형상은 진원형이 바람직하지만, 진원형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칫솔(1)의 목적 용도에 따라 임의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타원형, 다각형(예를 들면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 이형(예를 들면, 별 모양, 세잎 클로버형, 네잎 클로버형 등) 등으로 할 수 있다.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appearance is preferably a true circular shap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 true circular shape and may be any shape according to the intended use of the toothbrush 1. [ For example, it can be an elliptical shape, a polygonal shape (e.g., a triangular shape, a square shape, a pentagonal shape, a hexagonal shape, etc.), a deformed shape (e.g., a star shape, a three-leaf clover shape,

각 용모의 굵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횡단면이 진원형인 경우, 4~8mil(1mil=1/1000inch=0.025mm)가 바람직하다.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자립성이 향상되어 청소성이 보다 높아지고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모다발(11)의 모 탄력이 적당하게 되어 닿는 느낌이 보다 양호해진다. The thickness of each appearanc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when the cross section is a true circular shape, 4 to 8 mil (1 mil = 1/1000 inch = 0.025 mm) is preferable. If the lower limit value is not less than the lower limit value, the self-supporting property is improved to improve the cleaning property. If the upper limit value is less than the upper limit value, the hair elasticity of the hair bundle 11 becomes appropriate.

모다발(11)을 구성하는 용모는 모두가 같은 굵기이어도 좋고, 2종 이상의 다른 굵기의 용모가 조합되어도 좋다. The appearance of the pattern 11 may be all the same, or two or more different thicknesses may be combined.

용모의 모 길이는 예를 들면 어른용으로 8mm~15mm, 아이용으로 6mm~12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강내의 사용성이나 사용감의 점에서 선택된 용모의 직경이 작을수록 용모의 모 길이를 짧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감이나, 브러싱감, 청소 효과, 내구성 등의 목적에 따라 굵기가 다른 복수개의 용모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the hair length of the appearance is 8 mm to 15 mm for adults and 6 mm to 12 mm for children. In addition, in view of usability in the oral cavity and feeling of use, it is preferable to shorten the parent hair length as the diameter of the selected feature is smaller. Further, a plurality of piece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may be used in combination according to purposes such as feeling, brushing, cleaning effect, and durability.

네크부(4)는 헤드부(2)와 핸들부(6)를 접속하는 것이다.The neck portion 4 connects the head portion 2 and the handle portion 6.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네크부(4)는 경계(P1)로부터 핸들부(6)를 향해 대략 동일 지름으로 연장되고, 이어서 확경되어 핸들부(6)와의 경계(P2)에 이르는 것이다. 상기 경계(P2)는 네크부(4)의 확경의 종점, 즉 평면으로 볼 때 확폭되는 부분의 양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직선의 종점 또는 확폭되는 부분의 양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곡선의 구부러짐 방향이 변화되는 위치이다. 도 1a이면 네크부와 핸들부의 경계(P2)는 평면으로 볼 때에 네크부에 있어서의 폭이 넓어지는 부분의 양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직선 또는 곡선(R2)으로부터 폭이 서서히 좁아지는 곡선으로 변화되는 위치이다. The neck portion 4 extends from the boundary P1 toward the handle portion 6 with substantially the same diameter and then reaches the boundary P2 with the handle portion 6. [ The boundary P2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curve forming the both ends of the end point of the widening of the neck portion 4, that is, the end point of the straight line forming both edges of the widened portion as viewed in plane, Location. 1A, the boundary P2 between the neck portion and the handle portion is a position where the width changes from a straight line or a curved line R2 forming both edges of a portion where the width of the neck portion widens to a curve that gradually narrows in width to be.

또한, 네크부와 핸들부가 같은 폭으로 형성된 칫솔과 같이 상기 경계(P2)의 위치의 특정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길이(L1)에 대하여 핸들체(10)의 선단(9)으로부터 42.2%의 위치(예를 들면, 길이(L1)가 180mm인 경우, 핸들체(10)의 선단(9)으로부터 76.0mm의 위치)를 경계(P2)로 한다. Further, it may be difficult to specify the position of the boundary P2 like the toothbrush having the neck portion and the handle portion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In this case, when the length L1 is 42.2% from the tip end 9 of the handle 10, for example, when the length L1 is 180 mm, 76.0 mm from the tip 9 of the handle 10 mm) is set as the boundary P2.

네크부(4)의 폭(W2)은 3.0~4.5mm가 바람직하고, 3.0~4.2mm가 보다 바람직하다. 폭(W2)이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네크부(4)에 있어서 내꺽임 등의 점에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기 쉽다. 또한, 칫솔(1)이 지나치게 연약해지지 않고 적당한 휘어짐에 의한 양호한 사용감이 얻어지기 쉬워진다. 또한, 폭(W2)이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칫솔(1)의 구강내에서의 조작성이 높아진다. 또한, 구강내의 구석구석까지 용모를 닿게 할 수 있어 구강내의 오염 제거 효과가 보다 높아진다. The width W2 of the neck portion 4 is preferably 3.0 to 4.5 mm, more preferably 3.0 to 4.2 mm. If the width W2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lower limit value, it is easy to secure sufficient strength in terms of breaking in the neck portion 4 or the like. Further, the toothbrush 1 is not excessively weakened, and a good feeling of use due to appropriate warping is likely to be obtained. If the width W2 is less than the upper limit value, the operability in the oral cavity of the toothbrush 1 is increas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ach all the corners of the oral cavity, thereby increasing the effect of removing contaminants in the oral cavity.

또한, 네크부(4)의 폭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 폭(W2)은 네크부(4)의 최소의 폭을 의미한다.Further, when the width of the neck portion 4 is not constant, the width W2 means the minimum width of the neck portion 4.

네크부(4)의 두께(T2)는 3.0~4.5mm가 바람직하고, 3.0~4.2mm가 보다 바람직하다. 두께(T2)가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네크부(4)에 있어서 내꺽임 등의 점에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기 쉽다. 또한, 칫솔(1)이 지나치게 연약해지지 않고 적당한 휘어짐에 의한 양호한 사용감이 얻어지기 쉬워진다. 또한, 두께(T2)가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칫솔(1)의 구강내에서의 조작성이 높아진다. 또한, 구강내의 구석구석까지 용모를 닿게 할 수 있어 구강내의 오염 제거 효과가 보다 높아진다. The thickness T2 of the neck portion 4 is preferably 3.0 to 4.5 mm, more preferably 3.0 to 4.2 mm. If the thickness T2 is not less than the lower limit value, it is easy to secure sufficient strength in the neck portion 4 in terms of breaking. Further, the toothbrush 1 is not excessively weakened, and a good feeling of use due to appropriate warping is likely to be obtained. If the thickness T2 is less than the upper limit value, the operability in the oral cavity of the toothbrush 1 is increas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ach all the corners of the oral cavity, thereby increasing the effect of removing contaminants in the oral cavity.

또한, 네크부(4)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 두께(T2)는 네크부(4)의 최소의 두께를 의미한다.Further, when the thickness of the neck portion 4 is not constant, the thickness T2 means the minimum thickness of the neck portion 4.

네크부(4)의 최소 지름은 3.0~4.5mm가 바람직하고, 3.0~4.2mm가 보다 바람직하다. 네크부(4)의 최소 직경이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네크부(4)에 있어서 내꺽임 등의 점에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기 쉽다. 또한, 칫솔(1)이 지나치게 연약해지지 않고 적당한 휘어짐에 의한 양호한 사용감이 얻어지기 쉬워진다. 또한, 네크부(4)의 최소 지름이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칫솔(1)의 구강내에서의 조작성이 높아진다. 또한, 구강내의 구석구석까지 용모를 닿게 할 수 있어 구강내의 오염 제거 효과가 보다 높아진다. The minimum diameter of the neck portion 4 is preferably 3.0 to 4.5 mm, more preferably 3.0 to 4.2 mm. If the minimum diameter of the neck portion 4 is not less than the above lower limit value, it is easy to secure sufficient strength in the neck portion 4 in terms of breaking or the like. Further, the toothbrush 1 is not excessively weakened, and a good feeling of use due to appropriate warping is likely to be obtained. If the minimum diameter of the neck portion 4 is less than the upper limit value, operability in the oral cavity of the toothbrush 1 is increas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ach all the corners of the oral cavity, thereby increasing the effect of removing contaminants in the oral cavity.

또한, 네크부(4)의 최소 지름은 상기 폭(W2)과 두께(T2) 중 작은 쪽의 값, 즉 네크부(4)의 최소의 폭과 최소의 두께 중 작은 쪽을 의미한다. 네크부에 있어서는 최소의 두께와 최소의 폭이 동일하거나, 또는 최소의 두께보다 최소의 폭의 쪽이 작고 최소의 폭이 3.0~4.5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minimum diameter of the neck portion 4 means the smaller one of the width W2 and the thickness T2, that is, the smaller one of the minimum width and the minimum thickness of the neck portion 4. [ In the neck portion,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minimum thickness and the minimum width are the same, or the minimum width is smaller than the minimum thickness and the minimum width is 3.0 to 4.5 mm.

네크부(4)의 길이(L3)는 헤드부의 길이(L2) 등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30~90mm가 되는 길이, 보다 바람직하게는 30~60mm이다. 길이(L3)가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구강내의 구석구석까지 용모를 닿게 하기 쉬워져 구강내의 오염 제거 효과가 보다 높아진다. 길이(L3)가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칫솔(1)의 구강내에서의 조작성이 보다 높아진다. The length L3 of the neck portion 4 can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length L2 of the head portion and is, for example, 30 to 90 mm, more preferably 30 to 60 mm. If the length L3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lower limit value, it is easy to touch the appearance to every corner of the oral cavity, and the effect of removing contaminants in the oral cavity is further enhanced. If the length L3 is less than the upper limit value, operability in the oral cavity of the toothbrush 1 becomes higher.

(헤드부(2)의 휘어짐량(A))(The amount of warpage A of the head portion 2)

헤드부의 휘어짐량(A)은 이하의 방법(α)에 의해 측정된다.The amount of warpage A of the head portion is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

방법(α):Method (α):

헤드부의 식모면을 연직방향의 위를 향하게 하고, 칫솔의 헤드부와 네크부의 경계(P1)의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의 핸들체의 선단의 높이를 기준 높이로 한다. 또한, 상기 경계(P1)의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서 헤드부에 있어서의 식모부의 장축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식모부의 선단으로부터 10±3%의 위치에 200g의 추를 매달고 10초 후의 핸들체의 선단의 기준 높이로부터의 높이의 변위량(단위는 mm)을 헤드부의 휘어짐량(A)으로 한다.The height of the front end of the handle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wicking surface of the head portion is directed up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position of the boundary P1 between the head portion and the neck portion of the toothbrush is fixed. Further, in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boundary P1 is fixed, a weight of 200 g is hanged at a position of 10 3% from the tip of the knife portion with respect to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knife portion in the head portion, The amount of displacement (unit: mm) of the height from the reference height is defined as the amount of warpage A of the head portion.

또한, 「식모부의 장축방향의 길이」란 헤드부를 평면으로 볼 때의 가장 선단측에 위치하는 식모 구멍의 선단과 가장 후단측에 위치하는 식모 구멍의 후단의 거리를 의미한다.The &quot;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cked portion &quot; means the distance between the tip of the flocked hole located at the forefront side of the head portion viewed in plan and the rear end of the flocked hole located at the most downstream side.

예를 들면, 평면으로 볼 때 네크부의 헤드부로부터의 부분의 폭이 동일한 경우, 상기 네크부의 헤드부로부터의 부분에 있어서 헤드부를 향해 서서히 위치를 바꾸면서 폭을 측정하고, 폭이 같은 부분과 폭이 커지기 시작하는 부분의 바뀔 때의 위치를 경계(P1)로 한다. 또한, 평면으로 볼 때 네크부의 헤드부로부터의 부분의 폭이 헤드부에 가까워짐에 따라 좁게 되어 있는 경우는 네크부의 헤드부로부터의 부분에 있어서 헤드부를 향해 서서히 위치를 바꾸면서 폭을 측정하고, 폭이 최소가 되는 위치를 경계(P1)로 한다.For example, when the width of the portion from the head portion of the neck portion is the same as seen from the plane, the width is measured while gradually changing the position from the head portion of the neck portion toward the head portion, The position at which the portion starting to increase is changed is set as the boundary P1. When the width of the portion of the neck portion closer to the head portion as viewed from the plane is narrower as the head portion is closer to the head portion, the width is measured while gradually changing the position from the head portion of the neck portion toward the head portion, The minimum position is the boundary P1.

본 발명에 있어서 헤드부(2)의 휘어짐량(A)은 이하와 같이 측정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warpage A of the head portion 2 is measured as follows.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칫솔(1)을 식모면(20)이 위를 향하도록 해서 네크부 최세부의 위치(경계(P1))에서 지그(100)를 사용하여 고정한다. 이 때, 핸들체(10)의 선단(9)의 높이를 기준 높이(H0)로 한다.The toothbrush 1 is fixed by using the jig 100 at the position (border P1) of the neck portion as shown in Fig. 2A, with the eating surface 20 facing upward. And in this case, relative to the height of the leading end 9 of the handle member 10, the height (H 0).

이어서,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00g의 추(102)를 S의 위치에 매달고 10초 후의 핸들체(10)의 선단(9)의 높이를 측정하고 그 높이를 H1로 한다. 상기 S는 식모부 장축방향에 대하여 식모부 선단으로부터 10±3%의 위치이다. 예를 들면, 식모부가 19mm인 경우, S는 상기 선단으로부터 2.0mm의 위치이다. Then, as shown in Fig. 2b hanging a weight 102 of 200g with the location of S, measure the height of the distal end 9 of the handle body 10 after 10 seconds and the height H 1. S is a position of 10 3% from the leading end of the flock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long axis of the flocking portion. For example, when the flocking portion is 19 mm, S is a position 2.0 mm from the tip.

이어서, H1과 H0의 차의 절대값을 a(단위는 mm)로 해서 구한다. 상기 a는 예를 들면, 하이트 게이지 등으로 측정된다. 측정은 실온 25±3℃에서 행한다. Subsequently,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H 1 and H 0 is obtained as a (unit: mm). The a is measured by, for example, a height gauge or the like. The measurement is carried out at room temperature 25 ± 3 ° C.

상기 측정을 5회 행하고, 상기 a의 평균값을 헤드부(2)의 휘어짐량(A)으로 한다.The above measurement is performed five times, and the average value of a is defined as the amount of warpage (A) of the head portion 2.

휘어짐량(A)은 0.4~3.0이 바람직하고, 0.4~2.5가 보다 바람직하고, 0.4~2.0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휘어짐량(A)은 0.5~3.0이 바람직하고, 0.5~2.5가 보다 바람직하고, 0.5~2.0이 더욱 바람직하다. 휘어짐량(A)이 상기 범위이면 헤드부(2) 자체가 적당히 휘어지고, 헤드부(2)에 식설된 식모부의 유연함이 발현되어서 잇몸에 닿는 느낌, 즉 사용감이 보다 양호해진다. 또한, 휘어짐량(A)이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사용감이 양호해진다. 휘어짐량(A)이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헤드부(2)에 있어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기 쉽다. 또한, 칫솔(1)이 지나치게 연약해지지 않고 양호한 구강내 조작성, 청소력이 얻어지기 쉬워진다. The amount of warping (A) is preferably 0.4 to 3.0, more preferably 0.4 to 2.5, still more preferably 0.4 to 2.0. The warping amount (A) is preferably 0.5 to 3.0, more preferably 0.5 to 2.5, and still more preferably 0.5 to 2.0. When the amount of warpage A is in the above-mentioned range, the head part 2 itself is appropriately warped and the flexibility of the knife-forming part formed on the head part 2 is expressed and the feeling of touching the gums, that is, the feeling of use is better. When the amount of warpage A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lower limit value, the feeling of use is improved. When the amount of warpage A is not more than the upper limit value, it is easy to secure sufficient strength in the head portion 2. In addition, the toothbrush 1 is not excessively fragile, and good operability in the oral cavity and cleaning force are easily obtained.

또한, 휘어짐량(A)은 헤드부(2)의 재질(즉, 핸들체(10)의 재질)의 굽힘 탄성률이나 헤드부(2)의 두께, 폭 등을 조정함으로써 조정된다.The warping amount A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bending elastic modulus of the material of the head portion 2 (that is, the material of the handle 10), the thickness and the width of the head portion 2, and the like.

(네크부(4)의 휘어짐량(B))(The bending amount B of the neck portion 4)

네크부의 휘어짐량(B)은 이하의 방법(β)에 의해 측정된다.The warping amount (B) of the neck portion is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

방법(β):Method (β):

헤드부의 식모면을 연직방향의 위를 향하게 하고, 칫솔의 네크부와 핸들부의 경계의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의 핸들체의 선단의 높이를 기준 높이로 한다. 상기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또한 헤드부에 있어서의 식모부의 장축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식모부의 선단으로부터 50±3%의 위치에 200g의 추를 매달고 10초 후의 핸들체의 선단의 상기 기준 높이로부터의 높이의 변위량(단위는 mm)을 네크부의 휘어짐량(B)으로 한다.The height of the front end of the handle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peripheral edge of the head portion is directed up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position of the boundary between the neck portion of the toothbrush and the handle portion is fixed is set as the reference height. In the fixed state, a weight of 200 g was hanged at a position of 50 3% from the tip of the knife portion with respect to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knife portion in the head portion, and the height of the tip of the handle body after 10 seconds from the reference height The amount of displacement (unit: mm) is defined as the bending amount (B) of the neck portion.

본 발명에 있어서 네크부(4)의 휘어짐량(B)은 칫솔(1)을 지그(100)로 고정하는 위치(경계(P1)), 및 추(102)를 매다는 위치(S)가 헤드부(2)의 휘어짐량(A)의 측정 방법과 다른 것 이외는 헤드부(2)의 휘어짐량(A)과 마찬가지로 측정된다. The bending amount B of the neck portion 4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et such that the position (border P1) where the toothbrush 1 is fixed by the jig 100 and the position S where the weight 102 hangs I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amount of warpage (A) of the head portion (2) except for the method of measuring the amount of warpage (A) of the head portion (2).

네크부(4)의 휘어짐량(B)의 측정에 있어서 칫솔(1)을 지그(100)로 고정하는 위치는 경계(P2)이다. 또한, S는 식모부의 장축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식모부 선단으로부터 50±3%의 위치이다. 예를 들면, 식모부가 19mm인 경우, S는 선단으로부터 9.5mm의 위치이다. The position where the toothbrush 1 is fixed by the jig 100 in the measurement of the amount of bending (B) of the neck portion 4 is the boundary P2. S is a position of 50 3% from the leading end of the flocked portion with respect to the length in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flocked portion.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flocking portion is 19 mm, S is located at 9.5 mm from the tip.

그리고, 헤드부(2)의 휘어짐량(A)의 측정 방법과 마찬가지로 추(102)를 매달기 전의 기준 높이(H0)와, 추(102)를 매달아서 10초 경과 후의 높이(H1)의 차의 절대값(단위는 mm)을 구한다. 측정은 실온 25±3℃에서 행한다. 이 측정을 5회 행하고 그 평균값을 네크부(4)의 휘어짐량(B)으로 한다.Then, the head portion (2) the warp amount (A) in height after suspending the reference height (H 0) and a weight (102) prior to suspending the weight 102. Like the measuring method 10 seconds elapsed in the (H 1) (Unit: mm)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values. The measurement is carried out at room temperature 25 ± 3 ° C. This measurement is performed five times, and the average value is defined as the bending amount (B) of the neck portion 4.

휘어짐량(B)은 2.1~5.0이 바람직하고, 2.3~4.5가 보다 바람직하고, 2.5~4.0이 더욱 바람직하다. 휘어짐량(B)이 상기 범위이면 네크부(4)가 적당히 휘어져서 적당한 쿠션성이 발현되고 식모부의 잇몸에 대한 닿는 느낌이 보다 양호해진다. 또한, 휘어짐량(B)이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어금니의 안쪽 등의 구강내의 구석구석까지 용모를 닿게 할 수 있어 구강내의 청소력이 보다 높아진다. 또한, 치주 포켓에의 용모의 진입성이 향상되어 치주 포켓의 청소력이 보다 높아진다. 휘어짐량(B)이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네크부(4)에 있어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기 쉽다. 또한, 칫솔(1)이 지나치게 연약해지지 않고 양호한 사용감이 얻어지기 쉬워진다. The amount of warping (B) is preferably from 2.1 to 5.0, more preferably from 2.3 to 4.5, still more preferably from 2.5 to 4.0. When the amount of bending (B)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neck portion 4 flexes moderately so that proper cushioning is exhibited and the feeling of contact with the gums of the kneading portion becomes better. If the amount of bending B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lower limit value, the wearer can reach all corners of the oral cavity such as the inside of the molar teeth, and the cleaning power in the oral cavity is further enhanced. In addition, the appearance of appearance to the periodontal pocket improves and the cleaning power of the periodontal pocket is further enhanced. If the amount of warpage B is not more than the upper limit value, it is easy to secure sufficient strength in the neck portion 4. In addition, the toothbrush 1 is not excessively soft and a good feeling of use is easily obtained.

또한, 휘어짐량(B)은 네크부(4)의 재질(즉, 핸들체(10)의 재질)의 굽힘 탄성률이나 네크부의 최소 지름, 경계(P2)의 단면 형상 등을 조정함으로써 조정된다.The bending amount B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bending elastic modulus of the material of the neck portion 4 (that is, the material of the handle 10), the minimum diameter of the neck portion, the cross-

헤드부의 휘어짐량(A)과 네크부의 휘어짐량(B)의 곱(A×B)은 0.8~10이며, 1~10이 보다 바람직하고, 1~6이 더욱 바람직하고, 1~3.5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A×B)는 2~10이 바람직하다. (A×B)가 상기 범위이면 헤드부(2)와 네크부(4)가 협조하는 적당한 휘어짐이 얻어진다. 이것에 의해 식모부를 청소 대상 부위(치아, 잇몸 등)에 대하여 슬라이딩시켰을 때에 식모부의 유연함과 쿠션성이 발현되어 식모부의 닿는 느낌이 양호해진다. 또한, (A×B)의 하한값은 0.8 이상이며, 1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2 이상이 바람직하다. (A×B)가 상기 하한값 이상인 것에 의해 적당한 휘어짐이 얻어짐으로써 잇몸에 대한 닿는 느낌이 양호하며, 잇몸에 대하여 높은 마사지 효과가 얻어지고 사용감이 향상된다. (A×B)의 상한값은 10 이하이며, 6 이하가 바람직하고, 3.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A×B)가 상기 상한값 이하인 것에 의해 헤드부(2)와 네크부(4)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이 지나치게 휘어져서 조작성이 저하하여 청소력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나치게 휘어짐에 의한 잇몸에 대한 마사지 효과가 저하하거나, 사용자가 칫솔(1)을 사용했을 때에 연약하다고 느끼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칫솔(1)의 강도가 높아지고 내구성이 향상된다.The product (A × B) of the warp amount A of the head part and the warp amount B of the neck part is 0.8 to 10, more preferably 1 to 10, further preferably 1 to 6, further preferably 1 to 3.5 Do. Further, (A x B) is preferably 2 to 10. (A x B) falls within the above-mentioned range, appropriate bending in which the head portion 2 and the neck portion 4 cooperate is obtained. As a result, when the flocking portion is slid with respect to the cleaning target portion (teeth, gums, and the like), flexibility and cushioning of the flocking portion are exhibited, and the feeling of touching the flocking portion is improved. The lower limit value of (A x B) is 0.8 or more, preferably 1 or more. Further, it is preferably 2 or more. (A x B) is equal to or more than the lower limit value, adequate bending can be obtained, so that the feeling of contact with the gum is good, a high massage effect is obtained with respect to the gum, and the feeling of use is improved. (A x B) is 10 or less, preferably 6 or less, more preferably 3.5 or less. (A x B)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upper limit value, the area formed by the head portion 2 and the neck portion 4 is excessively curved, so that the operability is lowered and the cleaning power is prevented from being lower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massage effect on the gum due to the excessive bending, or to feel that the user feels weak when the toothbrush 1 is used. Further, the strength of the toothbrush 1 is increased and the durability is improved.

휘어짐량(A)과 휘어짐량(B)은 A<B가 바람직하다. A<B이면 칫솔(1)의 조작성이 보다 높아진다.The warping amount (A) and warping amount (B) are preferably A < B. A < B, the operability of the toothbrush 1 is further enhanced.

또한, 휘어짐량(A)과 휘어짐량(B)의 차(B-A)는 1 이상이 바람직하고, 1.5 이상이 바람직하고, 2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B-A)가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헤드부(2)에 대하여 네크부(4)의 휘어짐량을 크게 유지하여 쿠션성이 높아져 잇몸에 대한 닿는 느낌이 양호해지고 사용자가 잇몸에의 마사지 효과를 실감하기 쉬워진다. The difference (B-A) between the amount of warping (A) and the amount of warping (B) is preferably 1 or more, more preferably 1.5 or more, and still more preferably 2 or more. The bending amount of the neck portion 4 is kept large relative to the head portion 2 so that the cushioning property is improved and the feeling of contact with the gum is improved and the user can easily feel the massage effect on the gum .

또한, (B-A)는 4 이하가 바람직하고, 3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B-A)가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헤드부(2)에 대하여 네크부(4)의 휘어짐량이 지나치게 커지지 않아 구강내에서의 조작성이 높아지기 쉬워진다. 또한, 사용자가 칫솔(1)을 사용했을 때에 연약하다고 느끼는 것을 억제하기 쉬어진다. Further, (B-A) is preferably 4 or less, more preferably 3 or less. The amount of bending of the neck portion 4 relative to the head portion 2 is not excessively increased so that the operability in the oral cavity is likely to be increased. Further, when the user uses the toothbrush 1, it is easier to suppress the feeling that the user feels weak.

(B-A)는 1~4가 바람직하고, 1~3이 보다 바람직하다.(B-A) is preferably 1 to 4, more preferably 1 to 3.

또한, 휘어짐량(B)과 휘어짐량(A)의 비(B/A)는 1.5~5.0이 바람직하고, 1.8~4.8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ratio (B / A) of the amount of warpage (B) to the amount of warpage (A) is preferably 1.5 to 5.0, more preferably 1.8 to 4.8.

(헤드부(2)의 휘어짐량(A'))(The amount of warpage A 'of the head portion 2)

헤드부의 휘어짐량(A')은 이하의 방법(α')에 의해 측정된다.The amount of warpage A 'of the head portion is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방법(α'):Method (α '):

헤드부의 식모면을 연직방향의 위를 향하게 하고, 칫솔에 있어서의 헤드부와 네크부의 경계의 위치로부터 핸들부측으로 10mm 어긋난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의 핸들체의 선단의 높이를 기준 높이로 한다. 상기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또한 헤드부에 있어서의 식모부의 장축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식모부의 선단으로부터 10±3%의 위치에 200g의 추를 매달고 10초 후의 핸들체의 선단의 상기 기준 높이로부터의 높이의 변위량(단위는 mm)을 상기 헤드부의 휘어짐량(A')으로 한다.The height of the front end of the handle body is set to be the reference height in a state in which the wedge face of the head portion is directed up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osition shifted by 10 mm from the position of the boundary between the head portion and the neck portion in the toothbrush is fixed. In the fixed state, a weight of 200 g was hanged at a position of 10 3% from the tip of the knife portion with respect to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knife portion in the head portion, and the height of the tip of the handle body after 10 seconds from the reference height The amount of displacement (unit: mm) is defined as the amount of warpage A 'of the head portion.

본 발명에 있어서 헤드부(2)의 휘어짐량(A')은 칫솔(1)을 지그(100)로 고정하는 위치(경계(P1))가 헤드부(2)의 휘어짐량(A)의 측정 방법과 다른 것 이외는 헤드부(2)의 휘어짐량(A)과 마찬가지로 측정된다.The bending amount A 'of the head portion 2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et such that the position (boundary P1) at which the toothbrush 1 is fixed by the jig 100 is a measurement of the bending amount A of the head portion 2 Except that the amount of warpage A of the head portion 2 is measured.

헤드부(2)의 휘어짐량(A')의 측정에 있어서 칫솔(1)을 지그(100)로 고정하는 위치는 장축방향에 있어서 경계(P1)의 위치로부터 핸들부측으로 10mm 어긋난 위치(P3)이다. The position where the toothbrush 1 is fixed by the jig 100 in the measurement of the amount of curvature A 'of the head part 2 is a position P3 deviated by 10 mm from the position of the boundary P1 in the major axis direction to the side of the handle part, to be.

그리고, 헤드부(2)의 휘어짐량(A)의 측정 방법과 마찬가지로 추(102)를 매달기 전의 기준 높이(H0)로부터 추(102)를 매달아 10초 경과 후의 높이(H1)의 차의 절대값(단위는 mm)을 측정한다. 측정은 실온 25±3℃에서 행한다. 이 측정을 5회 행하고 그 평균값을 헤드부(2)의 휘어짐량(A')으로 한다.T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head portion (2), the warp amount of (A) the height (H 1) after hanging 10 seconds have elapsed the weight 102 from the reference height (H 0) prior to suspending the weight 102. Like the measuring method of the (Unit: mm) is measured. The measurement is carried out at room temperature 25 ± 3 ° C. This measurement is performed five times, and the average value is defined as the amount of warpage A 'of the head portion 2.

휘어짐량(A')은 1~5가 바람직하고, 1~4가 보다 바람직하고, 1~3이 더욱 바람직하다. 휘어짐량(A')이 상기 범위이면 헤드부(2) 자체가 적당히 휘어지고, 헤드부(2)에 식설된 식모부의 유연함이 발현되어 잇몸에 대한 닿는 느낌, 즉 사용감이 보다 양호해진다. 또한, 휘어짐량(A')이 상기 하한값 이상이면 사용감이 양호해진다. 휘어짐량(A')이 상기 상한값 이하이면 헤드부(2)에 있어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기 쉽다. 또한, 칫솔(1)이 지나치게 연약해지지 않고 양호한 구강내 조작성, 청소력이 얻어지기 쉬워진다. The amount of warping (A ') is preferably from 1 to 5, more preferably from 1 to 4, and still more preferably from 1 to 3. When the amount of warpage A 'is in the above-mentioned range, the head part 2 itself is appropriately warped and the flexibility of the foot part 2 formed on the head part 2 is expressed, and the feeling of touching the gums, that is, the feeling of use is better. If the amount of warpage A 'is not less than the above lower limit value, the feeling of use is improved. If the amount of warpage A 'is not more than the upper limit value, it is easy to secure sufficient strength in the head part 2. In addition, the toothbrush 1 is not excessively fragile, and good operability in the oral cavity and cleaning force are easily obtained.

또한, 휘어짐량(A')은 헤드부(2)의 재질(즉, 핸들체(10)의 재질)의 굽힘 탄성률이나 헤드부(2)의 두께, 폭 등을 조정함으로써 조정된다.The warping amount A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bending elastic modulus of the material of the head portion 2 (that is, the material of the handle 10), the thickness, the width, and the like of the head portion 2.

헤드부의 휘어짐량(A')과 네크부의 휘어짐량(B)의 곱(A'×B)은 2.5~12가 바람직하고, 3~12가 보다 바람직하고, 3~10이 더욱 바람직하고, 3~7이 더욱 바람직하다. (A'×B)가 상기 범위이면 헤드부(2)와 네크부(4)가 협조하는 적당한 휘어짐이 얻어지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 식모부를 청소 대상 부위(치아, 잇몸 등)에 대하여 슬라이딩시켰을 때에 식모부의 유연함과 쿠션성이 발현되어 식모부의 닿는 느낌이 보다 양호해진다. 또한, (A'×B)는 2.5 이상이며, 3 이상이 바람직하다. (A'×B)가 상기 하한값 이상인 것에 의해 적당한 휘어짐이 얻어짐으로써 잇몸에 대한 닿는 느낌이 보다 양호하며, 잇몸에 대하여 보다 높은 마사지 효과가 얻어지고 사용감이 더욱 향상된다. (A'×B)는 12 이하이며, 10 이하가 바람직하고, 7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A'×B)가 상기 상한값 이하인 것에 의해 헤드부(2)와 네크부(4)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이 지나치게 휘어져서 조작성이 저하하여 청소력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지나치게 휘어짐에 의한 잇몸에 대한 마사지 효과가 저하하거나, 사용자가 칫솔(1)을 사용했을 때에 연약하다고 느끼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칫솔(1)의 강도가 높아지고 내구성이 더욱 향상된다.The product (A 'x B) of the warp amount A' of the head part and the warp amount B of the neck part is preferably 2.5 to 12, more preferably 3 to 12, still more preferably 3 to 10, 7 is more preferable. (A 'x B) is in the above-mentioned range, it is easy for the head portion 2 and the neck portion 4 to cooperate appropriately. As a result, when the flocking portion is slid with respect to the cleaning target portion (teeth, gums, etc.), flexibility and cushioning of the flocking portion are expressed and the feel of touching the flocking portion is better. Further, (A 'x B) is 2.5 or more, preferably 3 or more. (A 'x B) is equal to or more than the lower limit value, a proper bending is obtained, so that the feeling of contact with the gum is better, a higher massage effect is obtained with respect to the gum, and the feeling of use is further improved. (A 'x B) is 12 or less, preferably 10 or less, more preferably 7 or less. (A 'x B)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upper limit value, the area formed by the head portion 2 and the neck portion 4 is excessively curved, so that it is easy to suppress deterioration in cleaning ability due to deterioration in operabilit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massage effect on the gum due to the excessive bending, or to feel that the user feels weak when the toothbrush 1 is used. Further, the strength of the toothbrush 1 is increased and the durability is further improved.

또한, 휘어짐량(B)과 휘어짐량(A')의 비(B/A')는 0.8~2.5가 바람직하고, 0.9~2.0이 보다 바람직하다. The ratio (B / A ') of the amount of warping (B) to the amount of warping (A') is preferably 0.8 to 2.5, more preferably 0.9 to 2.0.

(용모의 모 끝 강도)(The strength of the hair ends of the appearance)

모다발을 구성하는 용모의 모 끝 강도는 이하와 같이 측정된다.The edge strength of the features that make up the bundle is measured as follows.

측정 장치로서 ISO 모 탄력 강도 시험기를 사용한다. 도 3에 나타내는 ISO 모 탄력 강도 시험기(200)는 기준면(202)과, 기준면 상에 배치된 래더(204)를 구비한다. 상기 래더(204)는 복수개의 원기둥 형상의 봉 형상체(스테인리스제, 직경: 3mm)를 구비한다. 상기 봉 형상체는 서로 평행하게 일정 간격(봉 형상체의 중심끼리에 의해 10mm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As the measuring device, ISO model elastic strength tester is used. The ISO model elastic strength tester 200 shown in FIG. 3 has a reference plane 202 and a ladder 204 disposed on the reference plane. The ladder 204 has a plurality of bar-shaped bar-like members (made of stainless steel, diameter: 3 mm). The bar-shaped bodie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10 mm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centers of the rod-shaped bodies) in parallel with each other.

우선, 칫솔(1)을 상기 시험기(200)에 설치한다. 그 때, 칫솔(1)의 헤드부(2)에 식설된 용모의 선단이 상기 시험기(200)의 기준면(202)에 접하도록 한다. 그리고, 헤드부(2)를 상기 기준면(202)에 대하여 수평으로 슬라이드시켰을 때의 최대 저항값을 구하고 이것을 용모의 모 끝 강도로 한다. 헤드부(2)의 슬라이드 방향은 칫솔(1)의 길이방향과, 상기 봉 형상체의 길이방향이 서로 수직이 되는 방향이다. 헤드부(2)의 슬라이드 속도는 10mm/분으로 한다.First, the toothbrush 1 is installed in the tester 200. At this time, the tip of the visual appearance of the head portion 2 of the toothbrush 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ference surface 202 of the tester 200. Then, the maximum resistance value when the head portion 2 is sli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plane 202 is obtained, and this is regarded as the edge strength of the appearance. The slide direction of the head portion 2 is a direction in whic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othbrush 1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d-like body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slide speed of the head portion 2 is 10 mm / minute.

용모의 모 끝 강도는 1.7~3.0N인 것이 바람직하고, 1.9~2.8N이 보다 바람직하다. 용모의 모 끝 강도가 상기 바람직한 범위이면 치구의 제거력이 보다 높아지고, 또한 용모의 잇몸에의 닿는 느낌이 보다 양호해지고 사용성이 더욱 높아진다. The strength of the eyebrows of the appearance is preferably 1.7 to 3.0 N, more preferably 1.9 to 2.8 N. If the strength of the hair of the hair is within the above-mentioned preferable range, the removal force of the jig becomes higher, and the feeling of contact with the gums of the hair becomes better and usability becomes higher.

본 실시형태의 칫솔(1)은 종래 공지의 칫솔의 제조 방법에 의거하여 제조된다. 예를 들면, 금형에 경질 수지를 사출하여 핸들체(10)를 성형한다. 이어서, 얻어진 핸들체(10)의 식모면(20)에 모다발을 식설함으로써 칫솔(1)이 얻어진다. 모다발을 식설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모다발을 둘로 접힘으로 하고 그 사이에 끼워넣어진 평선을 식모 구멍(22)에 박아넣음으로써 모다발을 석설하는 평선식 식모, 모다발의 하단을 식모부가 되는 용융 수지 중에 압입해서 고정하는 열 융착법, 모다발의 하단을 가열해서 용융괴를 형성한 후에 금형 중에 용융 수지를 주입해서 식모부를 성형하는 인몰드법 등을 들 수 있다.The toothbrush 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manufactured based on a conventionally known manufacturing method of a toothbrush. For example, the handle 10 is molded by injecting a hard resin into the mold. Then, a toothbrush 1 is obtained by wringing a bundle of teeth on the kneading surface 20 of the handle body 10 obtained. As a method of setting up the bundle, for example, a bundle bundle is folded in two, a flat line sandwiched between the bundles is inserted into the flat plate hole 22 to flatten the bundle, And an in-mold method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mold is heated to form a molten mass, and then a molten resin is injected into the mold to mold the casting portion.

제 1 발명의 칫솔은 평선식 식모에 의해 모다발을 식모한 칫솔로 할 때에 특히 효과적이다. 평선식 식모를 채용한 경우, 헤드부에 평선 박아넣음에 의한 부하가 가해진다. 그 때문에 헤드부가 얇아질수록 힘이 가해졌을 때의 변형에 대한 강도가 낮아진다. 본 실시형태의 칫솔(1)에서는 네크부에 적당한 휘어짐성을 갖게 함으로써 이를 닦을 때 등에 헤드부에 가하는 힘을 헤드부로부터 네크부 전체에 분산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평선식 식모의 경우, 본 발명의 효과를 특히 현저하게 얻을 수 있다. The toothbrush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effective when a toothbrush is implanted with a flat wire. In the case of adopting the flat wire type flocking, a load due to flattening of the head is applied to the head portion. Therefore, the thinner the head portion, the lower the strength against deformation when the force is applied. In the toothbrush 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neck portion is provided with an appropriate warp property, so that the force applied to the head portion can be dispersed from the head portion to the entire neck portion, for example when wiping the neck portion. Therefore,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markably obtained in the case of plain wire-type bristles.

특히 강도가 낮은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핸들체의 재질로서 채용한 평선식 식모에 의한 칫솔의 경우, 헤드부의 길이(L2)당 헤드부의 휘어짐량(A/L2)의 값 X를 0.015~0.045로 했을 때에 헤드부와 네크부의 길이의 합(L2+L3)당 네크부의 휘어짐량 (B/(L2+L3))의 값 Y와 상기 X의 비, Y/X를 0.8~2.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X는 0.018~0.4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18~0.040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이 때 Y/X를 0.9~2.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9~1.9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toothbrush using a flat wire-type floss, in which a low-strength polypropylene resin is used as the material of the handle body, when the value X of the amount of curl (A / L2) of the head portion per length (L2) of the head portion is 0.015 to 0.045 It is preferable that the value Y of the amount of bending of the neck portion (B / (L2 + L3)), the ratio of X to the sum of the lengths of the head portion and the neck portion (L2 + L3), and Y / X are 0.8 to 2.0. X is preferably 0.018 to 0.45, more preferably 0.018 to 0.040, and Y / X is preferably 0.9 to 2.0, more preferably 0.9 to 1.9.

또한, 강도가 높은 폴리아세탈 수지를 핸들 재질로서 채용한 평선식 식모에 의한 칫솔의 경우, 상기 X를 0.027~0.035, 바람직하게는 0.029~0.032로 했을 때에 상기 Y/X를 1.0~1.4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1.3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case of a toothbrush using a flat wire-type bristle brush employing a polyacetal resin having a high strength as a handle material, it is preferable that the Y / X is 1.0 to 1.4 when X is 0.027 to 0.035, preferably 0.029 to 0.032 And more preferably 1.0 to 1.3.

본 실시형태의 칫솔(1)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A method of using the toothbrush 1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우선, 핸들부(6)를 파지한다. 핸들부(6)를 파지하는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팜 그립식이어도 좋고, 펜 그립식이어도 좋다. 통상, 대상 부위에 대하여 압력을 가하면서 청소하기 때문에 어느 파지 형태에 있어서도 엄지 손가락 등을 네크부 후단의 경계(P2) 근방에 대고 핸들부(6)를 파지한다. First, the handle portion 6 is gripped. The shape for gripping the handle portion 6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 palm grip shape or a pen grip shape. Normally, the handle portion 6 is gripped by placing the thumb or the like in the vicinity of the boundary P2 of the rear end of the neck portion in any gripping form since the object portion is cleaned while applying pressure.

이어서, 구강내에 헤드부(2)를 삽입하고, 핸들부(6)를 압박하면서 식모부를 청소 대상 부위에 슬라이딩시킨다. 핸들부(6)에 가해진 힘이 네크부(4)를 통해 헤드부(2)에 전해지고, 또한 헤드부(2)로부터 식모부에 전해짐으로써 식모부는 청소 대상 부위에 압력을 가하면서 청소한다. 이 때, 헤드부의 휘어짐량(A)과, 네크부의 휘어짐량(B)의 곱(A×B)이 0.8~10이기 때문에 헤드부와 네크부가 협조하는 적당한 휘어짐이 얻어진다. 그 결과, 칫솔(1)의 헤드부(2)에 식설된 용모를 어금니의 안쪽 등의 구강내의 구석구석까지 닿게 하기 쉬워 구강내의 청소력이 높아진다. 또한, 치주 포켓에 용모를 진입시키기 쉬워 치주 포켓의 청소력이 높아진다. 추가하여, 적당한 휘어짐이 얻어짐으로써 식모부의 유연함과 쿠션성이 향상되고, 식모부의 잇몸에 대한 닿는 느낌이 양호해져 잇몸에 대한 양호한 마사지 효과가 얻어지고 사용감이 높아진다. Then, the head portion 2 is inserted into the mouth, and the knife portion is slid to the portion to be cleaned while pressing the handle portion 6. The force applied to the handle portion 6 is transmitted to the head portion 2 through the neck portion 4 and is transmitted to the flocking portion from the head portion 2 to clean the flocking portion while applying pressure to the cleaning target portion. At this time, since the product (A x B) of the amount of warpage A of the head portion and the amount of warpage B of the neck portion is 0.8 to 10, appropriate warping in which the head portion and the neck portion cooperate is obtained. As a result, it is easy to make the appearance of the hair on the head portion 2 of the toothbrush 1 touched to every corner of the oral cavity, such as the inside of the molar, so that the cleaning power in the oral cavity is enhanced. In addition, the appearance of the periodontal pocket is easy to enter, thus enhancing the cleaning power of periodontal pockets. In addition, by obtaining a suitable warp, softness and cushioning of the flocked portion can be improved, and the feeling of contact with the gums of the flocked portion can be improved, so that a good massage effect on the gums is obtained and the feeling of use is enhanced.

또한, 헤드부의 휘어짐량(A')과 네크부의 휘어짐량(B)의 곱(A'×B)이 2.5~12이면 헤드부와 네크부가 협조하는 적당한 휘어짐이 더욱 얻어지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 구강내의 어금니의 안쪽이나 치주 포켓 등의 청소력이 보다 높아지고, 또한 잇몸에 대한 양호한 마사지 효과가 얻어지기 쉬워 사용감이 보다 높아진다. Further, when the product (A 'x B) of the amount of warpage A' of the head portion and the amount of warpage B of the neck portion is 2.5 to 12, appropriate warpage in which the head portion and the neck portion cooperate is more easily obtained. As a result, the cleaning power of the inside of the molar teeth and the periodontal pockets in the oral cavity is increased, and a good massage effect on the gums is easily obtained, and the feeling of use is further enhanced.

또한, 헤드부(2)의 두께(T1)가 2.0~4.0mm이며, 또한 네크부(4)의 최소 지름이 3.0~4.5mm이면 헤드부(2)에 식설된 용모를 어금니의 안쪽 등의 구강내의 구석구석까지 보다 닿게 하기 쉬워져 구강내의 청소력이 보다 높아진다. 또한, 칫솔(1)의 조작성이 보다 높아진다. When the thickness T1 of the head part 2 is 2.0 to 4.0 mm and the minimum diameter of the neck part 4 is 3.0 to 4.5 mm, the appearance of the head part 2 is transferred to the inside of the molar It is easier to reach to every corner of the mouth, and the cleaning force in the oral cavity becomes higher. In addition, the operability of the toothbrush 1 is further enhanced.

또한, 모 끝 강도가 1.7~3.0N이면 치주 포켓에 용모를 보다 진입시키기 쉬워져 치주 포켓의 청소력이 보다 높아진다. 또한, 잇몸에의 닿는 느낌이 보다 양호해지고, 사용감이 보다 높아진다. In addition, when the tip end strength is 1.7 to 3.0N, the appearance of the periodontal pocket is more easily entered, and the cleaning power of the periodontal pocket is higher. In addition, the feeling of contact with the gum becomes better and the feeling of use becomes higher.

[제 2 발명][Second invention]

제 2 발명의 칫솔은 모다발이 식설된 헤드부와, 헤드부에 연장 설치된 네크부와, 네크부에 연장 설치된 핸들부를 구비하고, 헤드부의 휘어짐량(A')과 네크부의 휘어짐량(B)의 곱(A'×B)이 2.5~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이다. 제 2 발명의 칫솔은 헤드부의 휘어짐량(A')과 네크부의 휘어짐량(B)의 곱(A'×B)이 2.5~12인 것을 필수로 하는 이외는 제 1 발명의 칫솔과 마찬가지의 실시형태를 채용할 수 있고, 바람직한 실시형태도 같다.The toothbrush of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d portion provided with a prong, a neck portion extending from the head portion, and a handle portion extending from the neck portion, wherein the amount of warpage A 'of the head portion and the amount And the product (A 'x B) is 2.5 to 12. The toothbrush of the second invention is similar to the toothbrush of the first invention except that it is required that the product (A 'x B) of the warp amount A' of the head part and the warp amount B of the neck part is 2.5 to 12 Shape, and the preferred embodiment is also the same.

A'×B에 대해서는 제 1 발명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다.A 'x B are as described in the first invention.

제 2 발명의 칫솔에 있어서는 헤드부의 휘어짐량(A')과 네크부의 휘어짐량(B)의 곱(A'×B)이 2.5~12이기 때문에 헤드부와 네크부가 협조하는 적당한 휘어짐이 얻어진다. 그 결과, 칫솔의 헤드부에 식설된 용모를 어금니의 안쪽 등의 구강내의 구석구석까지 닿게 하기 쉬워 구강내의 청소력이 높아진다. 또한, 치주 포켓에 용모를 진입시키기 쉬워 치주 포켓의 청소력이 높아진다. 추가하여, 적당한 휘어짐이 얻어짐으로써 식모부의 유연함과 쿠션성이 향상되고, 식모부의 잇몸에 대한 닿는 느낌이 양호해져 잇몸에 대한 양호한 마사지 효과가 얻어지고, 사용감이 높아진다. In the toothbrush of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oduct (A 'x B) of the amount of warpage (A') of the head portion and the amount of warpage (B) of the neck portion is 2.5 to 12, appropriate warping in which the head portion and the neck portion cooperate is obtained. As a result, the appearance of the toothbrush in the head portion of the toothbrush can easily reach all the corners of the mouth, such as the inside of the molar, and the cleaning power in the oral cavity is enhanced. In addition, the appearance of the periodontal pocket is easy to enter, thus enhancing the cleaning power of periodontal pockets. In addition, by obtaining appropriate warpage, flexibility and cushioning of the flocked portion are improved, and the feeling of contact with the gums of the flocked portion is improved, and a good massage effect on the gum is obtained, and the feeling of use is increased.

이하에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한 재료는 하기와 같다. The materials used in this example are as follows.

<핸들체><Handle body>

·POM-1(굽힙 탄성률: 2600MPa)POM-1 (bending modulus: 2600 MPa)

·PP-1(굽힘 탄성률: 1900MPa)PP-1 (bending elastic modulus: 1900 MPa)

·PP-2(굽힘 탄성률: 1400MPa)PP-2 (bending elastic modulus: 1400 MPa)

<용모><Appearance>

·PBT· PBT

(실시예 1~3, 비교예 1~2)(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도 1a 및 도 1b와 같은 칫솔을 제작했다. 각 예의 칫솔의 핸들체의 길이(L1)는 180mm이며, 헤드부의 두께(T1), 헤드부의 길이(L2), 헤드부의 폭(W1), 네크부의 최소 지름(T2), 네크부의 길이(L3), 경계(P2)의 폭, 경계(P2)의 두께는 표 1에 나타내는 치수로 했다. 헤드부에는 용모(PBT제) 23개를 묶어서 모다발로 하고, 이 모다발을 도 1a에 나타내는 식모 패턴으로 식설하여 식모부를 형성했다. 또한, 각 예의 용모의 길이 및 굵기는 표 1에 나타내는 치수로 했다.A toothbrush as shown in Figs. 1A and 1B was produced. The length L1 of the handle body of each example toothbrush is 180mm and the thickness T1 of the head portion, the length L2 of the head portion, the width W1 of the head portion, the minimum diameter T2 of the neck portion, the length L3 of the neck portion, The width of the boundary P2, and the thickness of the boundary P2 were the dimensions shown in Table 1. In the head portion, 23 pieces of appearance (PBT) were bundled to make a bundle, and these bundles were stitched with a flock pattern shown in FIG. 1A to form flocked portions. In addition, the length and thickness of each example were set to the dimensions shown in Table 1.

각 예의 칫솔의 재질은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The materials of the toothbrushes of the respective examples are shown in Table 1.

또한, 각 예의 칫솔의 헤드부의 휘어짐량(A)과, 네크부의 휘어짐량(B), 모 끝 강도를 상술한 방법으로 측정했다(경계(P1)의 위치: 핸들체(10)의 선단(9)으로부터 31.5mm, 경계(P2)의 위치: 핸들체(10)의 선단(9)으로부터 76.0mm).The amount of warpage A of the head portion of each toothbrush of each example and the amount of warpage B of the neck portion and the strength of the cornice were measured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of the boundary P2: 76.0 mm from the tip end 9 of the handle 10).

각 예의 칫솔의 휘어짐량(A), 휘어짐량(B), A×B 및 모 끝 강도를 표 1에 나타낸다.Table 1 shows the amount of warpage (A), amount of warpage (B), A × B, and tooth tip strength of toothbrushes in each example.

(실시예 4~9, 비교예 3~7)(Examples 4 to 9 and Comparative Examples 3 to 7)

도 1a 및 도 1b와 같은 칫솔을 제작했다. 각 예의 칫솔의 핸들체의 길이(L1)는 180mm(실시예 4~9, 비교예 3~7)이며, 헤드부의 두께(T1), 헤드부의 길이(L2), 헤드부의 폭(W1), 네크부의 최소 지름(T2), 네크부의 길이(L3), 경계(P2)의 폭, 경계(P2)의 두께는 표 2 및 표 3에 나타내는 치수로 했다. 헤드부에는 용모(PBT제) 23개를 묶어서 모다발로 하고, 이 모다발을 도 1a에 나타내는 식모 패턴으로 식설하여 식모부를 형성했다. 또한, 각 예의 용모의 길이 및 굵기는 표 2 및 표 3에 나타내는 치수로 했다. A toothbrush as shown in Figs. 1A and 1B was produced. The length L1 of the handle of each example toothbrush is 180 mm (Examples 4 to 9 and Comparative Examples 3 to 7), and the thickness T1 of the head portion, the length L2 of the head portion, the width W1 of the head portion, The minimum diameter T2 of the portion, the length L3 of the neck portion, the width of the boundary P2, and the thickness of the boundary P2 are the dimensions shown in Tables 2 and 3, respectively. In the head portion, 23 pieces of appearance (PBT) were bundled to make a bundle, and these bundles were stitched with a flock pattern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length and thickness of the appearance of each example are the dimensions shown in Tables 2 and 3.

각 예의 칫솔의 재질은 표 2 및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The materials of the toothbrushes of the respective examples are shown in Tables 2 and 3.

또한, 각 예의 칫솔의 헤드부의 휘어짐량(A), 헤드부의 휘어짐량(A'), 네크부의 휘어짐량(B), 및 모 끝 강도를 상술한 방법으로 측정했다. 칫솔을 고정하는 경계(P1)의 위치 및 경계(P2)의 위치는 각 예의 칫솔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결정했다.In addition, the amount of warpage A, the amount of warpage A ', the amount of warpage B of the neck portion, and the strength of the cornice of each example toothbrush were measured by the method described above. The position of the boundary P1 for fixing the toothbrush and the position of the boundary P2 were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in the respective toothbrushes.

각 예의 칫솔의 휘어짐량(A), 휘어짐량(A'), 휘어짐량(B), A×B, A'×B, 및 모 끝 강도를 표 2 및 표 3에 나타낸다.Table 2 and Table 3 show the bending amount (A), the bending amount (A '), the bending amount (B), A x B, A' x B,

또한, 각 예의 칫솔에 대하여 청소력, 사용감, 조작성을 하기와 같이 평가했다. The cleaning power, feel and operability of each example toothbrush were evaluated as follows.

각각의 평가 결과를 표 1~3에 나타낸다.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s 1 to 3.

[어금니의 안쪽(어금니의 인후측)의 청소력][Cleaning power of the inside of molar teeth (throat side of molar teeth)]

10명의 모니터가 각 예의 칫솔로 구강내를 청소하고, 그 때의 어금니의 안쪽의 청소 효과를 하기의 평가 기준으로 평가했다. 10명의 모니터의 평균점이 4점 이상을 「○」, 2점 이상 4점 미만을 「△」, 2점 미만을 「×」로 했다.Ten monitors were used to clean the oral cavity with the toothbrush of each example, and the cleaning effect inside the molar teeth at that time was evaluated as the following evaluation criteria. The average score of 10 monitors was 4 or more, the score was 2 or more and the score was less than 4, and the score was less than 2.

<평가 기준><Evaluation Criteria>

5점: 어금니의 안쪽의 오염이 빠진 느낌을 매우 느낌5 points: I feel a feeling of lack of pollution inside the molars

4점: 어금니의 안쪽의 오염이 빠진 느낌을 강하게 느낌4 points: strong feeling that the inside of the molar teeth is missing pollution

3점: 어금니의 안쪽의 오염이 빠진 느낌을 느낌3 points: Feeling that the inside of the molar teeth is missing

2점: 어금니의 안쪽의 오염이 빠진 느낌을 그다지 느끼지 않음2 points: I do not feel the feeling of lack of pollution inside the molars

1점: 어금니의 안쪽의 오염이 빠진 느낌을 느끼지 않음1 point: I do not feel the dirt inside the molar teeth.

[사용감의 평가][Evaluation of feeling]

10명의 모니터가 각 예의 칫솔로 구강내를 청소하고, 그 때의 잇몸에의 닿는 기분을 하기의 평가 기준으로 평가하고, 칫솔의 사용감을 평가했다. 10명의 모니터의 평균점이 4점 이상을 「○」, 2점 이상 4점 미만을 「△」, 2점 미만을 「×」로 했다.Ten monitors were used to clean the oral cavity with the toothbrush of each example, and the feeling of touching the gums at that time was evaluated based on the following evaluation criteria, and the feeling of use of the toothbrush was evaluated. The average score of 10 monitors was 4 or more, the score was 2 or more and the score was less than 4, and the score was less than 2.

<평가 기준><Evaluation Criteria>

5점: 잇몸의 통증이 없고, 닿는 느낌이 대단히 부드러움5 points: There is no pain in the gums, and the touch is very soft

4점: 잇몸의 통증이 없고, 닿는 느낌이 매우 부드러움4 points: No pain in the gums, very soft touch

3점: 잇몸의 통증이 없고, 닿는 느낌이 부드러움3 points: No pain in the gums, soft touch

2점: 잇몸에 약한 통증을 느낌2 points: Feeling weak pain in the gums

1점: 잇몸에 강한 통증을 느낌1 point: I feel strong pain in my gums

[구강내에서의 조작성][Operability in the oral cavity]

10명의 모니터가 구강내를 청소하고, 각 예의 칫솔의 조작성에 대하여 평가했다. 조작성의 평가는 1점~7점의 7단계로 되고, 조작성이 양호하다고 느낀 것일수록 높은 점수로 되어 있다. 10명의 모니터의 평균점을 하기 판정 기준으로 분류하고, 구강내에서의 조작성을 판정했다.10 monitors cleaned the inside of the mouth and evaluated the operability of each example toothbrush. The operability is evaluated in seven steps from 1 point to 7 points, and the higher the operability is, the higher the score is. The average of 10 monitors was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criteria, and the operability in the oral cavity was judged.

<판정 기준><Criteria>

○: 평균점이 5점 이상.○: Average point is 5 points or more.

△: 평균점이 3점 이상 5점 미만.△: Average point is 3 or more and less than 5 points.

×: 평균점이 3점 미만.X: Average point is less than 3 points.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실시예 1, 2, 3의 칫솔은 구강내의 청소력이 우수하고, 또한 사용감이 양호했다. 또한, 구강내에서의 조작성이 우수했다. As shown in Table 1, the toothbrushes of Examples 1, 2, and 3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was applied showed excellent cleaning power in the oral cavity and a good feeling of use. In addition, the operability in the oral cavity was excellent.

이것에 대하여 A×B가 0.8 미만인 칫솔(비교예 1), A×B가 10 초과인 칫솔(비교예 2)은 어금니의 안쪽에 대한 청소력이 충분하지 않고, 구강내에서의 양호한 조작성도 얻어지지 않았다. On the other hand, the toothbrush with A × B less than 0.8 (Comparative Example 1) and the toothbrush with A × B exceeding 10 (Comparative Example 2) did not have sufficient cleaning power against the inside of the molar teeth and had good operability in the oral cavity I did.

또한,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칫솔(실시예 4~9)은 구강내의 청소력이 우수하고, 또한 사용감이 양호했다. 또한, 구강내에서의 조작성이 우수했다. Further, as shown in Table 2, the toothbrushes (Examples 4 to 9)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was applied had excellent cleaning power in the oral cavity and good feeling of use. In addition, the operability in the oral cavity was excellent.

이것에 대하여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B가 0.8 미만이며, 또한 A'×B가 3 미만인 칫솔(비교예 3~7)은 어금니의 안쪽에 대한 청소력, 치주 포켓에 대한 청소력, 사용감, 및 구강내에서의 조작성 중 적어도 1개가 불충분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Table 3, toothbrushes with A × B less than 0.8 and A '× B less than 3 (Comparative Examples 3 to 7) exhibited excellent cleaning power against the inside of molar teeth, cleaning power against periodontal pockets, And at least one of operability in the oral cavity was insufficient.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을 적용한 칫솔은 구강내의 청소력이 보다 우수하고, 또한 사용감이 보다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toothbrush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has better cleaning power in the oral cavity and better feeling of use.

1 칫솔 2 헤드부
4 네크부 6 핸들부
10 핸들체
1 toothbrush 2 head portion
4 Neck part 6 Handle part
10 handle

Claims (9)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연장 설치된 네크부와, 상기 네크부에 연장 설치된 핸들부를 구비하는 핸들체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에는 모다발이 식설되고,
하기의 방법(α)으로 측정되는 상기 헤드부의 휘어짐량(A)과, 하기의 방법(β)으로 측정되는 상기 네크부의 휘어짐량(B)의 곱이 0.8~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방법(α):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을 연직방향의 위를 향하게 하고, 상기 헤드부와 상기 네크부의 경계의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핸들체의 선단의 높이를 기준 높이로 하고, 상기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또한 상기 헤드부에 있어서의 식모부의 장축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상기 식모부의 선단으로부터 10±3%의 위치에 200g의 추를 매달고 10초 후의 상기 핸들체의 선단의 상기 기준 높이로부터의 높이의 변위량(단위는 mm)을 상기 헤드부의 휘어짐량(A)으로 한다.
방법(β):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을 연직방향의 위를 향하게 하고, 상기 네크부와 상기 핸들부의 경계의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핸들체의 선단의 높이를 기준 높이로 하고, 상기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또한 상기 헤드부에 있어서의 식모부의 장축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상기 식모부의 선단으로부터 50±3%의 위치에 200g의 추를 매달고 10초 후의 상기 핸들체의 선단의 상기 기준 높이로부터의 높이의 변위량(단위는 mm)을 상기 네크부의 휘어짐량(B)으로 한다.
A head portion, a neck portion extending from the head portion, and a handle portion extending from the neck portion, wherein the head portion is worn on the wedge-
Wherein a product of a warp amount (A) of the head part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a) and a warp amount (B) of the neck part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 Is 0.8 to 10.
Method (?): With the head of the head portion facing upwar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height of the tip of the handle body in a state where the position of the boundary between the head portion and the neck portion is fixed, And a weight of 200 g from a tip end of the flocking portion at a position of 10 3% from the tip of the flocking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cking portion in the head portion, (Unit: mm) is defined as the amount of warpage (A) of the head portion.
Method (?): The height of the tip of the handle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edge of the head part faces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position of the boundary between the neck part and the handle part is fixed is set as the reference height, And a weight of 200 g from a tip end of the flocking portion at a position of 50 3% with respect to a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cking portion of the head portion, and a height from a reference height of a tip end of the handle body after 10 seconds (Unit: mm) is defined as the bending amount (B) of the neck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휘어짐량(A)과 상기 네크부의 휘어짐량(B)의 곱이 2~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duct of the warp amount (A) of the head part and the warp amount (B) of the neck part is 2 to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기의 방법(α')으로 측정되는 상기 헤드부의 휘어짐량(A')과 상기 네크부의 휘어짐량(B)의 곱이 2.5~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방법(α'):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을 연직방향의 위를 향하게 하고, 상기 헤드부와 상기 네크부의 경계의 위치로부터 상기 핸들부측으로 10mm 어긋난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핸들체의 선단의 높이를 기준 높이로 하고, 상기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또한 상기 헤드부에 있어서의 식모부의 장축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상기 식모부의 선단으로부터 10±3%의 위치에 200g의 추를 매달고 10초 후의 상기 핸들체의 선단의 상기 기준 높이로부터의 높이의 변위량(단위는 mm)을 상기 헤드부의 휘어짐량(A')으로 한다.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product of a warp amount (A ') of the head part and a warp amount (B) of the neck part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 Is 2.5 to 12.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a ') setting the tip of the head portion to be vertically upward, and shifting a position of 10 mm from the position of the boundary between the head portion and the neck portion toward the handle portion, A weight of 200 g was hanged at a position of 10 3% from the tip of the flock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cking portion of the head portion in the fixed state, (Unit: mm) of the height of the tip of the head from the reference height is defined as the amount of warpage A 'of the head portion.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에 연장 설치된 네크부와, 상기 네크부에 연장 설치된 핸들부를 구비하는 핸들체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에는 모다발이 식설되고,
하기의 방법(α')으로 측정되는 상기 헤드부의 휘어짐량(A')과 하기의 방법(β)으로 측정되는 상기 네크부의 휘어짐량(B)의 곱이 2.5~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방법(α'):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을 연직방향의 위를 향하게 하고, 상기 헤드부와 상기 네크부의 경계의 위치로부터 상기 핸들부측으로 10mm 어긋난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핸들체의 선단의 높이를 기준 높이로 하고, 상기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또한 상기 헤드부에 있어서의 식모부의 장축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상기 식모부의 선단으로부터 10±3%의 위치에 200g의 추를 매달고 10초 후의 상기 핸들체의 선단의 상기 기준 높이로부터의 높이의 변위량(단위는 mm)을 상기 헤드부의 휘어짐량(A')으로 한다.
방법(β): 상기 헤드부의 식모면을 연직방향의 위를 향하게 하고, 상기 네크부와 상기 핸들부의 경계의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핸들체의 선단의 높이를 기준 높이로 하고, 상기 고정한 상태에 있어서 또한 상기 헤드부에 있어서의 식모부의 장축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상기 식모부의 선단으로부터 50±3%의 위치에 200g의 추를 매달고 10초 후의 상기 핸들체의 선단의 상기 기준 높이로부터의 높이의 변위량(단위는 mm)을 상기 네크부의 휘어짐량(B)으로 한다.
A head portion, a neck portion extending from the head portion, and a handle portion extending from the neck portion, wherein the head portion is worn on the wedge-
Wherein a product of a warp amount (A ') of the head part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 And a warp amount (B) of the neck part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 Is 2.5 to 12.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a ') setting the tip of the head portion to be vertically upward, and shifting a position of 10 mm from the position of the boundary between the head portion and the neck portion toward the handle portion, A weight of 200 g was hanged at a position of 10 3% from the tip of the flocking portion with respect to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cking portion of the head portion in the fixed state, (Unit: mm) of the height of the tip of the head from the reference height is defined as the amount of warpage A 'of the head portion.
Method (?): The height of the tip of the handle body in a state in which the edge of the head part faces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position of the boundary between the neck part and the handle part is fixed is set as the reference height, And a weight of 200 g from a tip end of the flocking portion at a position of 50 3% with respect to a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locking portion of the head portion, and a height from a reference height of a tip end of the handle body after 10 seconds (Unit: mm) is defined as the bending amount (B) of the neck portion.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두께가 2.0~4.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head portion is 2.0 to 4.0 mm.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두께가 2.0~4.0mm이며, 또한 상기 네크부의 최소의 폭과 최소의 두께 중 작은 쪽이 3.0~4.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head portion is 2.0 to 4.0 mm, and the minimum width and the minimum thickness of the neck portion are 3.0 to 4.5 mm.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의 최소의 폭이 3.0~4.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minimum width of the neck portion is 3.0 to 4.5 mm.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다발을 구성하는 용모의 모 끝 강도가 1.7~3.0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the strength of the hair ends of the hair constituting the hair bundle is 1.7 to 3.0N.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체의 재질이 폴리프로필렌 수지인 칫솔.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Wherein the handle body is made of polypropylene resin.
KR1020187019931A 2016-03-09 2017-03-09 Toothbrush KR10218532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45368 2016-03-09
JPJP-P-2016-045368 2016-03-09
PCT/JP2017/009462 WO2017155033A1 (en) 2016-03-09 2017-03-09 Toothbrush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9838A Division KR101970282B1 (en) 2016-03-09 2017-03-09 toothbrush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4156A Division KR102183120B1 (en) 2016-03-09 2017-03-09 Toothbrush
KR1020197014158A Division KR102183121B1 (en) 2016-03-09 2017-03-09 Toothbrush
KR1020197014153A Division KR102183114B1 (en) 2016-03-09 2017-03-09 Toothbrus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550A true KR20180114550A (en) 2018-10-18
KR102185323B1 KR102185323B1 (en) 2020-12-01

Family

ID=59790692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4158A KR102183121B1 (en) 2016-03-09 2017-03-09 Toothbrush
KR1020197014153A KR102183114B1 (en) 2016-03-09 2017-03-09 Toothbrush
KR1020187019838A KR101970282B1 (en) 2016-03-09 2017-03-09 toothbrush
KR1020197014156A KR102183120B1 (en) 2016-03-09 2017-03-09 Toothbrush
KR1020187019931A KR102185323B1 (en) 2016-03-09 2017-03-09 Toothbrush

Family Applications Before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4158A KR102183121B1 (en) 2016-03-09 2017-03-09 Toothbrush
KR1020197014153A KR102183114B1 (en) 2016-03-09 2017-03-09 Toothbrush
KR1020187019838A KR101970282B1 (en) 2016-03-09 2017-03-09 toothbrush
KR1020197014156A KR102183120B1 (en) 2016-03-09 2017-03-09 Toothbrush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4) JP6341527B2 (en)
KR (5) KR102183121B1 (en)
CN (4) CN108778048B (en)
MY (1) MY186920A (en)
SG (3) SG11201807607XA (en)
TW (2) TWI729082B (en)
WO (1) WO2017155033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01334B1 (en) * 2017-12-20 2020-06-24 The Gillette Company LLC Oral care implement
JP7190872B2 (en) * 2018-11-08 2022-12-16 ライオン株式会社 toothbrush
JP7407091B2 (en) 2020-09-03 2023-12-28 ライオン株式会社 toothbrush
KR20220072165A (en) 2020-11-25 2022-06-02 박수남 Functional tooth brush
JP2022100465A (en) * 2020-12-24 2022-07-06 ライオン株式会社 toothbrush
CN114532698B (en) * 2022-03-30 2023-07-21 好维股份有限公司 Toothbrush using state testing method and toothbrush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3914A (en) 1993-11-22 1995-06-06 Johnson & Johnson Kk Toothbrush
KR20140107191A (en) * 2011-12-07 2014-09-04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Toothbrush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5213B2 (en) * 1992-11-06 2001-03-12 ライオン株式会社 Toothbrush
JP2598708Y2 (en) * 1993-02-10 1999-08-16 ライオン株式会社 Toothbrush handle
DE19533144C2 (en) * 1995-09-08 1999-09-16 Coronet Werke Gmbh toothbrush
DE19816098A1 (en) * 1998-04-09 1999-10-14 Coronet Werke Gmbh Cleaning brush, especially toothbrush
JP2000300343A (en) * 1999-04-19 2000-10-31 Lion Corp Toothbrush
JP2003135148A (en) 2001-10-31 2003-05-13 Lion Corp Toothbrush
US6948209B2 (en) * 2002-09-13 2005-09-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lectric toothbrushes having flexible necks
ITBO20050571A1 (en) * 2005-09-21 2007-03-22 Alessio Battaglia TOOTHBRUSH
EP2229841B1 (en) * 2009-03-18 2015-03-11 Braun GmbH Toothbrush
JP5530776B2 (en) * 2010-03-24 2014-06-25 ライオン株式会社 toothbrush
JP5909192B2 (en) * 2010-10-29 2016-04-26 ライオン株式会社 toothbrush
US20130247321A1 (en) * 2012-03-06 2013-09-26 Gary Steven Sichau Pressure sensing toothbrush
CN104284611B (en) * 2012-05-01 2016-05-18 狮王株式会社 Toothbrush
JP2016010511A (en) * 2014-06-27 2016-01-21 小林製薬株式会社 toothbrush
GB201421442D0 (en) * 2014-12-02 2015-01-14 Tomtom Int Bv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oint of interest information
CN105254999B (en) * 2015-10-14 2018-06-05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A kind of damage resistant, high impact resistance polypropylene resin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3914A (en) 1993-11-22 1995-06-06 Johnson & Johnson Kk Toothbrush
KR20140107191A (en) * 2011-12-07 2014-09-04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Toothbru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86920A (en) 2021-08-26
CN110801097B (en) 2021-06-08
JP2018114362A (en) 2018-07-26
CN110063567B (en) 2021-06-04
SG11201807607XA (en) 2018-10-30
SG10202008764QA (en) 2020-10-29
SG10202008762YA (en) 2020-10-29
TW202130301A (en) 2021-08-16
JP6341527B2 (en) 2018-06-13
CN110063567A (en) 2019-07-30
TWI729082B (en) 2021-06-01
CN110169647B (en) 2021-05-28
TW201731419A (en) 2017-09-16
KR102183114B1 (en) 2020-11-25
KR20180085041A (en) 2018-07-25
JP6385023B2 (en) 2018-09-05
KR20190057425A (en) 2019-05-28
CN108778048A (en) 2018-11-09
JP7149730B2 (en) 2022-10-07
CN110801097A (en) 2020-02-18
KR102185323B1 (en) 2020-12-01
KR20190057427A (en) 2019-05-28
TWI770960B (en) 2022-07-11
KR20190057424A (en) 2019-05-28
WO2017155033A1 (en) 2017-09-14
KR102183121B1 (en) 2020-11-25
KR102183120B1 (en) 2020-11-25
KR101970282B1 (en) 2019-04-18
JP2018114424A (en) 2018-07-26
JPWO2017155033A1 (en) 2018-06-07
JP6385024B2 (en) 2018-09-05
JP2018114423A (en) 2018-07-26
CN108778048B (en) 2019-11-22
CN110169647A (en) 2019-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0282B1 (en) toothbrush
JP5269351B2 (en) toothbrush
JP6275832B2 (en) Head for oral care equipment
KR101971310B1 (en) Toothbrush
JP2008006281A (en) Toothbrush handle
JP2017509444A (en) Head for oral care equipment
TW201315410A (en) Toothbrush
TWI766856B (en) Toothbrush
TWI753888B (en) Toothbrush
KR20190011712A (en) toothbrush
JP7349324B2 (en) liquid toothpaste application brush
KR20180127964A (en) toothbrus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