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3850A - Heating modu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Heating modu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3850A
KR20180113850A KR1020170045500A KR20170045500A KR20180113850A KR 20180113850 A KR20180113850 A KR 20180113850A KR 1020170045500 A KR1020170045500 A KR 1020170045500A KR 20170045500 A KR20170045500 A KR 20170045500A KR 20180113850 A KR20180113850 A KR 20180113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heater
heating module
surface laye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55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지준동
안진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170045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3850A/en
Publication of KR20180113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85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2215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 B60H1/221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electric heaters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hea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B60H1/00657Remote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detection of the vehicle occupants' presence; by detection of conditions relating to the body of occupants, e.g. using radiant heat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3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st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2001/222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heaters
    • B60H2001/2231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heaters for proper or safe operation of the he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2001/222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heaters
    • B60H2001/22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heaters automatic operation, e.g. control circuits or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2001/2246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obtaining information from a variable, e.g. by means of a sensor
    • B60H2001/2256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obtaining information from a variable, e.g. by means of a sensor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heater itself, e.g. flame detection or over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2001/2268Constructional features
    • B60H2001/2287Integration into a vehicle HVAC system or vehicle 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2001/2268Constructional features
    • B60H2001/2293Integration into other parts of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heating module, comprising: a surface layer positioned to face the inside of a vehicle; a heater unit connected to the surface layer and radiating radiant heat into the vehicle through the surface layer; and a press unit coupled to the heater unit and interposing the heater unit between the press unit and the surface unit to enable the heater unit to be closely attached to a side of the surface layer when being coupled to the surface layer.

Description

히팅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HEATING MODU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HEATING MODU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0001]

본 발명은 히팅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module and a vehicle including the same.

차량용 난방장치는 차량 외부의 공기를 차량 실내로 도입하거나 차량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가열시켜 차량 실내를 난방하기 위한 장치로서, 공조케이스의 내부에는 냉각작용을 위한 증발기와 가열작용을 위한 히터코어 및 증발기나 히터코어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를 송풍모드 전환용 도어를 사용하여 차량 실내의 각 부분으로 선택적으로 송풍되도록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탑승자의 필요에 따라 차량 실내의 운전석과 조수석에 각기 다른 온도의 공기가 공급되도록하여 개별적인 냉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른바, 좌우 독립 공조장치가 적용되고 있다. 나아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는 증발기와 송풍되어 블로어의 사이공기통로에 전단 세퍼레이터를 구비함에 따라, 블로어로부터 송풍되어 증발기를 통과하는 풍속의 분포가 변화되며, 좌우 풍량을 제어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대류를 통해 공조환경을 전환하기 위한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으로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다른 방식의 난방기구가 요구되어 왔다.An apparatus for heating a vehicle interior by introducing air outside the vehicle into the interior of a vehicle or circulating air in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he interior heating system comprising: an evaporator for cooling operation; a heater The air cooled or heated by the core and the evaporator or the heater core is selectively blown to each part of the interior of the vehicle by using a blowing mode switching door. Recently, so-called independent left and right independent air conditioners have been applied in which individual air-conditioning is performed by supplying different temperatures of air to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s seat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of passengers. Further, since the conventional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has a front-end separator in the air passage between the blower and the blower, the distribution of the air velocity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blown from the blower changes, and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amount of left and right airflow . Such a problem is a problem that arises in the process of switching the air conditioning environment through convection, and a different type of heating apparatus has been required to overcome this problem.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6-0121700 호 (2016. 10. 20)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6-0121700 (Oct. 20, 2016)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에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난방영역이 다른 히팅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heating module having a different heating area according to the position in which the vehicle is dispo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히팅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providing a vehicle including at least one heating module.

히터부; 히터부가 고정되는 표면층; 및 표면층 측으로 히터부가 밀착되도록 가압하는 고정층;를 포함하고, 히터부는 차량에 배치가 되어 차량 내부로 복사열을 방출하는, 히팅모듈이 제공된다.A heater section; A surface layer to which the heater section is fixed; And a fixing layer for pressing the heater portion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layer side, wherein the heater portion is disposed in the vehicle and emits radiant heat into the vehicle interior.

그리고, 배치는 상기 차량의 도어(door)에 될 수 있다.And, the arrangement can be a door of the vehicle.

또한, 복사열은 인체의 하방으로 방출될 수 있다.Radiant heat can also be emitted down the body.

또한, 하나의 도어에 복수 개의 상기 히터부가 배치될 수 있다.Further, a plurality of the heater sections may be disposed on one door.

또한, 배치는 차량의 센터콘솔에 될 수 있다.Also, the arrangement can be in the center console of the vehicle.

또한, 센터콘솔의 측면에 배치될 될 수 있다.It can also be arranged on the side of the center console.

또한, 배치는 차량의 시트의 배면에 될 수 있다.Also, the arrangement can be on the back side of the seat of the vehicle.

또한, 배면은 시트의 헤드부의 배면일 수 있다.Further, the back surface may be the back surface of the head portion of the sheet.

또한, 배면은 시트의 하부측 배면일 수 있다.Further, the back surface may be the lower back surface of the sheet.

또한, 히터부는 상기 차량의 백시트에 배치될 수 있다.Further, the heater portion may be disposed on the back sheet of the vehicle.

또한, 히터부는 복수 개이고, 히터부는 하나 이상이 열을 방출할 수 있다.Further, there are a plurality of heater portions, and at least one of the heater portions may emit heat.

또한, 배치는 차량의 오버헤드콘솔부에 될 수 있다.Also, the arrangement can be in the overhead console portion of the vehicle.

또한, 배치는 차량 실내의 천장트림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The arrangement may also be located at one side of the ceiling trim of the interior of the vehicle.

또한, 배치는 차량의 대쉬보드의 하측에 될 수 있다.Also, the arrangement can be under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또한, 배치는 차량의 대쉬보드에 될 수 있다.Also, the arrangement can be on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또한, 발열부재는 차량의 천장트림을 따라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heat generating members may be disposed along the ceiling trim of the vehicle.

또한, 복사열은 차량의 전면유리를 향해 방출될 수 있다.Further, radiant heat can be emitted toward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상기에 기재된 히팅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된다.There is provided a vehicle including the heating module described above.

그리고,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히팅모듈은 제어부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and the heating module can be independently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차량의 내부를 대향하도록 위치되는 표면층; 표면층과 연결되고, 표면층을 통해 차량 내부로 복사열을 방열하는 히터부; 및 히터부와 결합되고, 표면층과 결합되되 히터부가 표면층 측으로 밀착되도록 히터부를 사이에 개재시키고 결합되는 가압층을 복수 개 포함하고, 각각의 히터부는 제어부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히팅모듈이 제공된다.A surface layer positioned to face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 heater connected to the surface layer and radiating radiant heat into the vehicle through the surface layer; And a heating module coupled to the heater portion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pressure layers coupled to the surface layer and interposed between the heater portions so that the heater portion closely contacts the surface layer side, wherein each of the heater portions is independently controlled by the control portion .

그리고, 히팅모듈은 외부기기와 통신이 가능하고, 통신에 의해 동작여부, 발열온도 및 발열시간이 제어가능할 수 있다.The heating module can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and the operation status, the heat generation temperature and the heat generation time can be controlled by communication.

또한, 과열방지수단을 더 포함하고, 과열방지수단은 히터부로부터 기 결정된 거리 내에 인체가 위치되는 것을 감지하고 동작을 정지하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포함하는 센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overheat preven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including a light emitting unit and a light receiving unit for sensing that the human body is position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heater unit and stopping the operation.

또한, 센싱부는 가시광선이 수광부에 도달하지 않도록 차단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blocking film so that visible light does not reach the light receiving unit.

또한, 과열방지수단을 더 포함하고, 과열방지수단은 바이메탈일 수 있다.Further, it may further include an overheating preventing means, and the overheating preventing means may be a bimetal.

또한, 과열방지수단을 더 포함하고, 과열방지수단은 과열신호를 수신하면 히터부의 발열을 중단할 수 있다.Further,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n overheat preventing unit, and upon receiving the overheating signal, the overheating preventing unit can stop the heat generation of the heater unit.

또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차량 내부의 온도가 기 결정된 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히터부를 동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and the controller may operate the heater unit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vehicle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상기에 기재된 히팅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이 제공된다.A vehicle is provided, including the heating module described above.

그리고, 차량은 송풍팬을 더 포함하고, 히팅모듈은 송풍팬과 함께 동작될 수 있다.And, the vehicle further includes a blowing fan, and the heating module can be operated together with the blowing f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에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난방영역이 다른 히팅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heating module having different heating zones depending on the position in which the vehicle is plac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수 개의 히팅모듈을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vehicle including a plurality of heating modul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모듈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모듈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모듈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모듈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모듈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모듈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모듈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모듈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모듈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모듈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모듈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나타내는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he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a he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a he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a he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a he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a he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a he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a he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a he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a he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a he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he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a means for effectively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모듈(1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 heating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히팅모듈(100)은 히터부(110), 표면층(120) 및 고정층(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히터부(110)는 발열부재(미도시)가 양측에 절연필름(미도시)의 접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표면층(120)는 히터부(110)와 결합되는데, 히터부(110)로부터 발열되는 열이 방출될 수 있도록 방출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히팅모듈(100)은 차량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즉, 표면층(120)은 차량의 내부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히터부(110)는 표면층(120)을 통해 차량의 내부로 열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가압층(130)은 히터부(110)가 인서트됨으로써,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압층(130)은 히터부(1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인서트될 수 있도록 기 결정된 깊이만큼 음각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표면층(120)과 가압층(130)이 히터부(110)가 개재되도록 서로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heating module 100 may include a heater 110, a surface layer 120, and a fixing layer 130. Here, the heater unit 110 may be formed by bonding an insulating film (not shown) on both sides of a heating member (not shown). The surface layer 120 is coupled to the heater 110, and a discharge hole (not shown) may be formed to discharg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er 110. As an example, the heating module 100 may be located inside the vehicle. That is, the surface layer 120 may be disposed so as to face the inside of the vehicle, and the heater unit 110 may emit heat in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hrough the surface layer 120. Further, the pressing layer 130 can be joined to each other by inserting the heater part 110. [ Accordingly, the pressing layer 130 can be formed with a predetermined depth to be inserted into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heater 110. The surface layer 120 and the pressing layer 13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o interpose the heater portion 110 therebetween.

상기 히터부(110)에서 방출되는 열은 복사열이며, 표면층(120)은 가죽, 목재 등이 될 수 있다. 나아가, 히터부(110)가 가열되면서 히터부(110)의 온도가 증가될 수 있는데, 히터부(110)와 인접한 표면층(120)는 열에 의한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표면층(120)과 히터부(110)는 사이에 러버를 개재한 상태로 결합됨으로써, 기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전도에 의한 열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열에 의한 손상을 피할 수도 있다. 물론, 표면층(120)이 내열성 소재로 형성되더라도, 인체와의 거리를 형성하여 접촉에 의한 화상을 방지하기 위해 러버를 개재함으로써 거리를 두는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The heat emitted from the heater unit 110 may be radiation heat, and the surface layer 120 may be made of leather, wood, or the like. The surface layer 120 adjacent to the heater section 110 may be damaged by heat so that the surface layer 120 and the heater section 110 may be heated. 110 are coupled to each other with rubber interposed therebetween, so that heat due to conduction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rectly transferr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by avoiding damage due to heat. Of course, even if the surface layer 120 is formed of a heat-resistant material, the surface layer 120 can be disposed in a state of distance from the human body by interposing a rubber to prevent an image due to contact.

상술한 히터부(110)는 인체를 향해 복사열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팅모듈(100)은 차량에 위치되어 차량의 내부를 향하여 복사열을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내부의 온도를 증가시키거나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를 향해 복사열을 방출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heater unit 110 can radiate radiant heat toward the human body. For example, the heating module 100 may be located in a vehicle and emit radiant heat toward the interior of the vehicl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temperature inside the vehicle or to emit radiant heat toward the passenger on board the vehicle.

다른 예로서는 히팅모듈은 케이스, 히터부, 투과부재, 단열부재, 열반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발열부재에 의해 발생되는 열은 케이스의 외측으로 방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사되는 측에 투과부재이 위치되어 투과부재을 통과하여 상기 열이 케이스 외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열은 복사열이며, 적외선이 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heating module may include a case, a heater, a transmitting member, a heat insulating member, and a heat reflecting member. Heat generated by the heat generating member can be radi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Therefore, the transmitting member may be positioned on the radiating side, and the heat may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through the transmitting member. Here the heat is radiant heat, and it can be infrared.

한편, 투과부재은 얇은 형태일 수도 있고, 금속 내지 수지로 마련된 그릴형태일 수 있다. 투과부재는 적외선반사재료를 포함하거나 동재료로 코팅되어 있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ransmitting member may be in a thin form or may be in the form of a grill made of metal or resin. The transmissive member may comprise an infrared reflecting material or may be coated with a copper material.

나아가, 히팅모듈은 케이스, 발열부재, 투과부재, 단열부재, 열반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발열부재에 의해 발생되는 열은 케이스의 외측으로 방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사되는 측에 투과부재가 위치되어 투과부재을 통과하여 상기 열이 케이스 외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열은 복사열이며, 적외선이 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적외선방사체를 더 포함하는 히팅모듈로서, 적외선방사체는 센서부 및 센서막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는 케이스와 결합되고, 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센서부는 광을 발산할 수 있는데 광을 발산하는 광원부를 보호하기 위해 센서막에 의해 외측을 향하는 부분이 가려질 수 있다.Furthermore, the heating module may include a case, a heating member, a transmitting member, a heat insulating member, and a heat reflecting member. Heat generated by the heat generating member can be radi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Accordingly, the transmitting member may be positioned on the emitting side, and the heat may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through the transmitting member. Here the heat is radiant heat, and it can be infrared. Further, this embodiment is a heating module further comprising an infrared ray radiator, wherein the infrared ray radiator may include a sensor portion and a sensor film. The sensor unit may be coupled to the case and may be an infrared sensor. The sensor portion may emit light, and the portion facing outward by the sensor film may be obscured to protect the light source portion that emits the light.

또한, 발열부재는 중심에 위치되는 제1선, 상기 제1선을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연장되는 제2선 및 상기 제1선 및 제2선을 모두 감싸는 절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선은 전극과 연결되어 발열가능한 발열체가 될 수 있고, 예를 들면, 탄소사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선은 발열면적에 대하여 기 결정된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선을 타고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제1선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선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선은 열전도체로서, 제1선에서 발열되는 열이 전달되어 외측으로 방열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선이 제1선을 타고 나선형으로 감길 때 나선의 간격 즉, 피치 거리에 따라 발열성능이 일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당업자에 의해 발열성능을 결정하는 하나의 요인으로 피치 거리는 결정될 수 있다.The heating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first line positioned at the center, a second line extending while spirally winding the first line, and an insulation unit surrounding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line. Specifically, the first line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ode to be a heat generating body that can generate heat, and may be, for example, carbon. The first line may b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with respect to the heat generating area. Here, a second line extending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line may be formed while the first line is wound spirally. The second line is a heat conductor, and the heat generated in the first line is transferred to the outside. Therefore, when the second line is wound spirally along the first line, the heat generating performance can be partial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interval of the spirals, that is, the pitch distance. Thus, the pitch distance can be determined by one skilled in the art as one factor in determining the exothermic performance.

상기와 같이 발열면적에 배열된 제1선 및 제2선은 절연체에 의해 피복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선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열가능한 소재이므로 전기전도성을 지닐 수 있고 제2선이 금속재로 형성된 경우에 전기가 전도될 수 있으므로 외부로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부로 이를 피복할 수 있다. 물론 제2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자체적인 발열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절연부는 상기 제1선 및 제2선의 배치구조를 유지하기 위해 피복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line arranged in the exothermic area can be covered with an insulato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wire is electrically connected and can generate electricity, the first wire may have electrical conductivity. When the second wire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electricity may be conducted. Therefore, . Of course, the second line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generate its own heat. Further, the insulating portion may be coated to maintain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line.

한편, 앞선 실시예에 따르면, 발열부재는 제1선, 제2선 및 절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선은 예를 들어 탄소사일 수 있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열할 수 있으며, 발열면적에 대하여 넓게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상기 제2선과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선은 제1선의 표면에 밀착되어 제1선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다만, 제2선은 복수 개가 제1선의 표면과 접촉되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2선은 전도체일 수 있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열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foregoing embodiment, the heat generating member may include the first line, the second line and the insulating portion. Specifically, the first line may be, for example, carbon,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generate heat, and may be widely arranged with respect to the exothermic area. This arrangement can be made with the second line. The second line may be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first line and extend along the first line. However, a plurality of second lines may extend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first line. The second line may be a conductor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generate heat.

따라서, 절연부는 제1선 및 제2선을 모두 감싸면서 외부로 제1선이 노출되지 않도록 피복할 수 있다. 이러한 피복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임과 동시에, 제1선 및 제2선의 배치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조가 될 수 있다.Therefore, the insulating portion can cover both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line and can cover the first line so that the first line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Such a coating is a structure for preventing discharge, and can be a structure for maintaining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line.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히팅모듈의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eating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투과부재가 케이스에 결합되고, 투과부재는 러버로 지지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러버의 홈에 투과부재의 돌출부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러버는 외측으로부터 충격 및 가압 등에 의해 투과부재가 히팅모듈 내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충격 및 가압에 대하여 완충을 할 수 있다. 즉, 러버가 탄성을 지닌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고무 재질을 포함한 소재인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permeable member may be coupled to the case, the permeable member may be supported by the rubber, for example, the projection of the permeable member may be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groove of the rubber. The rubber can be buffered against the impact and pressurization when the permeable member is mov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heating module by impact, pressure or the like. That is, the rubber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for example, an elastic material including a rubber material.

구체적으로, 러버는 투과부재에 결합되어 투과부재와 커버부재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충격 및 가압에 의해 완충하기 위해서는 커버부재에 지지될 수 있는데, 커버부재는 발열부재와 접촉되어 있으므로 열이 전도되어 온도가 상승된 상태일 수 있다. 즉, 커버부재는 발열부재 및 러버 사이에 위치되어 발열부재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ubber may be coupled to the transmissive member and positioned between the transmissive member and the cover member. Therefore, the cover member may be supported by the cover member in order to buffer the shock due to the impact and pressure, and the cover member may be in a state in which the temperature is increased because the cover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heat generating member. That is, the cover member is positioned between the heating member and the rubber and can be heated by the heating member.

상기와 같은 배치에 의해 열전달로 인한 투과부재의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전도에 의한 열전달을 최소화하기 위해 러버의 접촉면은 만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면은 커버부재와의 접촉면으로서, 전도로 인한 열전달을 최소화하기 위해 점접촉이 되도록 러버는 곡면의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arrangement, heating of the permeable member due to heat transfer can be performed. 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contact surface of the rubber may be formed as a curved surface in order to minimize the heat transfer due to conduction. The contact surface is a contact surface with the cover member, and the rubber may include the surface of the curved surface such that it is in point contact so as to minimize heat transfer due to conduction.

즉, 접촉면적을 최소화하여 열전달을 감소시키기 위해 러버와 발열부재 사이에 위치한 커버부재와의 접촉은 최소화되어, 서로 점접촉에 의한 접촉점이 형성될 수 있다.That is, contact between the rubber and the heating member is minimized to minimize heat transfer by minimizing the contact area, so that contact points can be formed by point contact with each other.

그리고, 히팅모듈은 투과부재을 통해 열을 전달 할 수 있다. 따라서, 투과부재이 케이스의 일측에만 위치될 경우, 본 실시예와 같이 일측방으로만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열이 전달되지 않는 방향 즉, 제2케이스를 향하는 방향에는 단열재가 위치될 수 있고, 나아가, 열반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열반사부재는 발열부재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열을 전달하려는 방향으로 전달되도록 반사시킬 수 있다.And, the heating module can transmit heat through the permeable member. Therefore, when the transparent member is located only on one side of the case, heat can be transmitted only to one side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is case,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may be located in a direction in which heat is not transmitted, that is, in a direction toward the second case, and further, it may include a heat reflecting member. The heat reflecting member can reflect heat generated from the heat generating member to be transmitted in a direction to transmit heat.

한편, 히팅모듈은 투과부재을 통해 열을 전달 할 수 있다. 따라서, 투과부재가 케이스의 일측에만 위치될 경우, 본 실시예와 같이 일측방으로만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열이 전달되지 않는 방향 즉, 제2케이스를 향하는 방향에는 단열재가 위치될 수 있고, 나아가, 열반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열반사부재는 발열부재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열을 전달하려는 방향으로 전달되도록 반사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eating module can transmit heat through the permeable member. Therefore, when the permeable member is located only on one side of the case The heat can be transferred only to one side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is case,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may be located in a direction in which heat is not transmitted, that is, in a direction toward the second case, and further, it may include a heat reflecting member. The heat reflecting member can reflect heat generated from the heat generating member to be transmitted in a direction to transmit heat.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본 실시예는 적외선방사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방사체 복사열을 전달할 수도 있고, 센서 기능을 목적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센서 기능을 목적으로 광을 조사할 경우에는 예를 들어, 인체와의 거리 등을 감지하여 인체가 인접할 경우에 발열부재의 발열을 중단하거나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but th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n infrared ray radiator. Infrared radiator radiant heat can be transmitted, or light can be irradiated for the purpose of a sensor function. In the case of irradiating light for the purpose of the sensor function,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stop the heat generation of the heating member or lower the temperature when the human body is adjacent by sensing the distance to the human bod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단면도를 포함하고 있다. 케이스는 센서와 결합하여, 예를 들면, 인체가 투과부재에 접촉이 되는 경우를 감지하여 발열부재의 발열을 중지시키기 위해 센서는 투과부재에 인접하여 감지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Further,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ncludes a cross-sectional view. The case may be combined with the sensor to form a sensing area adjacent the transmissive member, for example, to sense when the human body is in contact with the transmissive member and to stop the heating of the heating member.

히팅모듈은 탄소사, 단열재 및 투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탄소사는 발열부재가 발열을 행하기 위한 최소한의 구성일 수 있다. 따라서, 발열부재는 다양한 소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히팅모듈은 열반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투과부재와 발열부재가 이격되도록 사이에 위치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ating module may include carbon yarn, thermal insulation, and permeable members. Here, the carbon yarn may be the minimum configuration for the heating member to generate heat. Therefore, the heat generating member may further include various materials. On the other hand, the heat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heat reflecting member. Further, it may include a cover member positioned between the permeable member and the heat generating member.

앞선 실시예와는 다른 예로써, 열통과부재, 케이스, 커버부재, 고정부재에 고정된 발열부재 및 단열재를 포함한다. 열이 케이스 외측으로 방사되는 측에 열통과부재가 위치되고, 반대측에 단열재가 위치될 수 있다. 단열재는 케이스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열통과부재는 투과부재에 해당할 수 있고, 투과부재와 러버가 포함될 수도 있다. 나아가, 열통과부재(320)는 케이스(30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도 있고, 케이스(301)와 외표면이 동일하도록 배치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different from the foregoing embodiment, the heat conducting member includes a heat passing member, a case, a cover member, a heating member fixed to the fixing member, and a heat insulating material. The heat passing member may be positioned on the side where heat is radi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and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may b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Insulation can be combined with the case. Further, the heat passage member may correspond to the transmissive member, and the transmissive member and the rubber may be included. Further, the heat passing member 320 may protrude outward from the case 301, and may be disposed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301 and the case 301 are the same.

앞선 실시예에서 개시된 히팅모듈에 과열방지수단이 더 필요할 수 있다. 과열방지수단은 기계적 또는 전자적 과열방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전자적 과열방지수단이란, 제어부에 의해 하나 이상의 센서가 감지한 감지정보를 전달받아 그에 대응되는 반응을 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히팅모듈의 인체를 향하고 있는 여과망이 인체에 의해 가압될 경우 가압센서에 의해 제어부는 가압되고 있는 히팅모듈의 동작을 정지시키거나 온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는 복수 개의 히팅모듈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하나 이상의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의미한다.The heating module disclosed in the foregoing embodiment may further require an overheating preventing means. The overheat preventing means may include a mechanical or electronic overheat preventing means, which means that the electronic overheating preventing means receives the sensed information sensed by one or more sensors by the control unit and performs a corresponding reaction. For example, when the filtering network facing the human body of the heating module is pressed by the human body, the control unit may stop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module being pressed or lower the temperature. Of course, this means that a plurality of heating modul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and controlled by one or more control units.

가압에 대한 정보뿐 아니라 차량에 설치될 경우 차량내부의 공기 온도를 감지하여 기 결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히팅모듈의 동작이 정지되거나 온도가 저하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인체가 히팅모듈에 인접한 채로 기 결정된 시간이 지나면 상기와 같은 결과로 제어될 수 있다. 이는 기계적 과열방지수단인 예로 바이메탈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정보를 기초로 제어부가 판단하여 제어부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Whe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s sensed,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module may be stopped or the temperature may be lowered by detecting the air temperature inside the vehicle as well as the information about the pressure, and when the human body is held at a predetermined time The above result can be controlled. This may be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based on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bimetal, which is a mechanical overheat preventing means, and may be determined by the control unit.

이러한 히팅모듈은 예를 들면 차량(V)에 운전자가 착석했을 때 하반신 즉, 발을 포함한 다리와 허리 측을 향하여 복사열을 전달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티어링 휠 하측부에 위치될 수 있고, 암레스트로부터 운전자를 향하는 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페달이 취치한 인근에 위치하여 운전자를 향해 복사열을 조사할 수 있다. 물론, 이는 모두 설치될 수 있고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Such a heating module can transmit radiant heat toward the lower half body, that is, the leg including the foot and the waist side when the driver is seated in the vehicle V, for example. For example, be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eering wheel and on the side facing the driver from the armrest. In addition, the pedal can be located near the pedal and can irradiate radiant heat toward the driver. Of course, they can all be installed and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제어부와 히팅모듈간의 통신 버스는, 상기 복수 개의 전자 제어 장치들 간에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 또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bus between the control unit and the heating module may be for performing 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communication or CAN (Controller Area Network) communication among the plurality of electronic control units.

상기 네트워크 통신이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통신인 경우, 제어부가 마스터 노드로 설정되고, 제어부를 제외한 히팅모듈들이 슬레이브 노드로 설정되며, 제어부는, 상기 통신 버스의 사용 상태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 통신의 모드를 액티브 모드와 슬립 모드 간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Wherein the control unit is set as a master node and the heating modules other than the control unit are set as a slave node when the network communication is LIN (Local Interconnect Network) communication,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ode of the network communication To switch between the active mode and the sleep mode.

반면에, 상기 네트워크 통신이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인 경우, 상기 히팅모듈들은, 소정 비트값의 고유 식별자가 할당되며, 상기 고유 식별자의 비트값에 따라 상기 통신 버스에 의한 데이터 송신에 대한 우선 순위가 설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network communication is a CAN (Controller Area Network) communication, the heating modules are assigned a unique identifier of a predetermined bit value, and according to the bit value of the unique identifier, Ranking can be set.

따라서, 감지된 센서로부터의 정보를 기초로 다수개의 히팅모듈 중 특정 히팅모듈만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히팅모둘 중 하나의 히팅모듈이 인체로부터의 가압 또는 인체의 접근 등을 감지했을 때 감지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고 제어부는 감지신호를 감지한 히팅모듈만 동작을 정지시키거나 온도를 저하 시킬 수 있다.Thus, only a specific one of a plurality of heating modules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information from the sensed sensors. For example, when one of the plurality of heating modules senses the pressing of the human body or the approach of the human body,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sensing signal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stops the operation of only the heating module that senses the sensing signal, .

또한, 히팅모듈에 포함되는 발열부재는 탄소사 및 구리선 등의 복수 의 세선(細線)을 포함할 수 있고, 탄소사가 포함될 경우, 탄소사를 중심으로 전도체가 복수 개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피복에 의해 하나의 와이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복은 다양한 화학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구리선을 포함할 경우에는 다수의 구리선이 꼬여서 마련되되, 구리선은 피복이 된 상태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ing member included in the heating module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ne wires such as carbon yarn and copper wire, and when carbon yarn is included, a plurality of conductors may be positioned around the carbon yarn. Such a structure may be formed of one wire by coating. The coating may be composed of various chemical fibers. When a copper wire is included, a plurality of copper wires may be twisted, but the copper wire may be coated.

상기의 피복은 절연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피복은 에나멜코팅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선(細線)은 0.1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선(細線)의 지름이 0.1mm를 초과할 경우, 전류통과 단면적이 줄어들어 저항이 저하되므로 발열량이 감소될 수 있고, 탄소사 및 구리선의 탄성이 증가하여 꼬임을 형성하는 제조상의 어려움이 유발될 수 있다.The coating may comprise an insulating coating. In particular, the coating may be an enamel coating. In addition, the fine line may be formed to be 0.1 mm or less. If the diameter of the fine wire is more than 0.1 mm, the current passing cross-sectional area is reduced and the resistance is lowered, so that the calorific value can be reduced, and the elasticity of the carbon yarn and the copper wire is increased to cause a manufacturing difficulty to form a twist .

또한, 발열부재의 상측, 즉, 발열부재의 열이 방출되는 방향 측에 커버부재가 위치되고, 타측에 고정부재가 위치되며,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고정부재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재 및 커버부재는 부직포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커버부재는 고정부재보다 얇은 부직포일 수 있다.Further, the cover member may b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heat generating member, that is, the side in which the heat of the heat generating member is emitted, and the fixing member may be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heat generating member. For example, the fixing member and the cover member may be provided as a nonwoven fabric, and in this case, the cover member may be a nonwoven fabric thinner than the fixing member.

발열부재가 탄소사인 경우, 섬유사에 의해 탄소사가 고정부재에 직조되어 고정될 수 있고, 발열부재다 인쇄히터의 경우에는 고정부재에 발열체가 인쇄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인쇄히터일 경우 고정부재는 부직포가 아닐 수 있다.When the heating member is made of carbon fiber, the carbon fiber can be woven and fixed on the fixing member by the fiber yarn, and in the case of the heating member and the printing heater, the heating member may be printed on the fixing member. Therefore, in the case of a print heater, the fixing member may not be a nonwoven fabric.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모듈(100)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n arrangement of the heating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히팅모듈(100)의 배치는 차량의 도어(door)에 될 수 있다. 차량의 도어에 배치되되, 복사열의 조사방향은 도어 측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를 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탑승자의 인체부위 중 하반신이 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조사방향은 하반신에 한정되지 않고 탑승자의 전면부 및 상반신을 포함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arrangement of the heating module 100 may be a door of a vehicle.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radiant heat can be directed to the occupant seated on the door side seat. For example, it may be the lower half of the human body part of the passenger. Of course, the irradiation direction is not limited to the lower half body but may include the front part and the upper half of the occupant.

나아가, 하나의 도어(10)에 복수 개의 상기 히팅모듈(10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 히팅모듈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물론, 히팅모듈(100)은 도어 외의 차량내부의 다른 위치에도 배치될 수 있으므로 서로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하다. 상기 제어는 대쉬보드(20) 등에 위치된 콘솔(30)에 의한 제어일 수 있다. 물론 콘솔(30)은 도어, 차량의 천장트림(50) 및 암레스트 등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천장트림(50)은 차량의 필러(C필러, A필러 및 8필러)를 포함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Furthermore, a plurality of the heating modules 100 may be disposed on one door 10. In this case, each heating module can be independently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not shown). Of course, since the heating module 100 can be disposed at other positions inside the vehicle than the door, independent control is possible. The control may be control by the console 30 located on the dashboard 20 or the like. Of course, the console 30 may be located on the door, on the ceiling trim 50 of the vehicle, on the armrest, or the like. Here, the ceiling trim 50 may be an area including a filler (C pillar, A pillar, and 8 pillar) of the vehicle.

예를 들면, 센터 콘솔(31, 32)에 의한 제어일 경우에는 센터 콘솔(31, 32)의 측면에 배치되어 탑승자를 향해 복사열을 방출할 수 있고, 오버헤드 콘솔(33)에 의한 제어일 경우에는 차량(1)의 천장트림(50) 부근 즉, 탑승자의 머리방향인 하방을 향해서 복사열을 방출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control by the center console 31, 32, it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center console 31, 32 to emit radiant heat toward the passenger. In the case of control by the overhead console 33 The radiant heat can be emitted to the vicinity of the ceiling trim 50 of the vehicle 1, that is,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occupant's head.

예를 들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모듈(100)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오버헤드센터콘솔(33)의 조작을 통해 복수 개 마련되는 히팅모듈(100)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예시와 같이 네 개의 히팅모듈(100)이 마련된 경우에 오버헤드센터콘솔의 조작을 통해 각 히팅모듈(100)의 동작여부, 열 방출 시간, 열방출온도 등을 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FIG. 11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heating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lurality of heating modules 100, which are provid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overhead center console 33,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four heating modules 100 are provided as in the present example, operation of each heating module 100, heat release time, heat release temperature and the like can be determin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overhead center console.

나아가, 하나의 히팅모듈(100)에 복수 개의 히터부(110)가 포함된 경우에도 각 히터부(110)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Further, even when a plurality of the heater units 110 are included in one heating module 100, the respective heater units 110 can be independently controlled.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히팅모듈(100)의 배치는 차량의 시트(40)에 위치될 수 있는데, 시트(40)의 배면측(41, 42, 43)에 배치되어 뒷자석에 탑승한 탑승자를 향해 복사열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배면은 시트(40)의 목받침후면(41), 등받이후면(42) 및 하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목받침후면(41)에 히팅모듈(100)이 위치될 경우, 시트(40)의 머리 받침대 측에 위치될 수 있다. 히팅모듈(100)이 배치된 시트(40)의 뒤에 탑승한 탑승자를 향해 탑승자의 머리를 포함한 전면측으로 복사열을 방출할 수 있다.3, 5 and 6, the arrangement of the heating module 100 may be located in the seat 40 of the vehicle, which is disposed on the back side 41, 42, 43 of the seat 40, The radiant heat can be emitted toward the passenger on the magnet. The back surface may include a back surface 41 of the neckrest of the seat 40, a backrest 42 and a lower portion 43 of the seat 40. For example, on the headrest side of the seat 40 when the heating module 100 is positioned on the back surface 41 of the neckrest. The radiant heat can be radiated toward the front side including the head of the passenger toward the occupant who rides behind the seat 40 on which the heating module 100 is disposed.

그리고 상기 등받이후면(42)에 히팅모듈(100)이 배치된 경우에는 복사열을 탑승자의 전면부 측으로 방출할 수 있다. 물론, 탑승자의 하반신을 포함한 영역일 수도 있다.When the heating module 100 is disposed on the back 42 of the backrest, the radiant heat can be radiated to the front side of the passenger. Of course, it may be an area including the lower half of the occupant.

또한, 상기 등받이후면(42)의 하측에 위치된 시트(40) 배면의 하부(43)에 히팅모듈(100)이 배치된 경우에는 복사열을 탑승자에 하반신을 포함하는 영역을 대상으로 방출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heating module 100 is disposed on the lower portion 43 of the rear surface of the seat 40 positioned below the back 42 of the backrest 42, the radiant heat may be radiated to the occupant on the area including the lower half .

도 4를 참조하면, 또한, 히터부(110)는 도어(10; 11, 12) 측에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히팅모듈(100)은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도조절 및 동작여부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특히 동작여부는 탑승자의 인체 등이 히팅모듈(100)과의 거리가 기 결정된 거리 이하로 감지되면 히팅모듈(100)의 동작이 정지될 수 있다. 따라서, 히팅모듈(100)이 복수 개 배치된 경우에는 각각의 히팅모듈(100)이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heater unit 110 further includes And a plurality of these can be disposed on the door (10; 11, 12) side. In this case, each heating module 100 can be independently controlled. For example, whether or not the temperature control and operation can be determined by a control unit (not shown), and in particular, whether or not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module 100 is detected by the heating module 100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Can be stopped. Accordingly, when a plurality of heating modules 100 are arranged, each heating module 100 can be independently controlled.

도 7 내지 9를 참조하면, 히팅모듈(100)은 차량의 대쉬보드(20) 또는 대쉬보드(20)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히팅모듈(100)이 대쉬보드(20)에 배치될 경우 차량의 전면 유리를 향해 조사할 수 있고, 대쉬보드(20)의 하측에 배치될 경우에는 탑승자의 발을 포함한 하반신을 향해 조사할 수 있다.7 to 9, the heating module 100 may be disposed below the dashboard 20 or the dashboard 20 of the vehicle. When the heating module 100 is disposed on the dashboard 20, it can be irradiated toward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When the heating module 100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dashboard 20, it can be irradiated toward the lower body including the feet of the occupant .

그리고, 히팅모듈(100)은 차량 실내의 천장트림(50)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천장트림(50)의 일측에 히팅모듈(100)이 배치된 경우에는 탑승자의 머리를 포함한 전면에 복사열을 방출할 수 있고, 차량(1)의 전면 유리(51)를 향해 복사열을 방출할 수 있다. 차량(1)의 전면 유리(51)를 향해 복사열을 방출함으로써 전면 유리(51)에 수분을 제거하여 탑승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The heating module 100 may be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ceiling trim 50 of the vehicle interior. When the heating module 10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eiling trim 50, it is possible to radiate radiant heat to the front including the occupant's head and emit radiant heat toward the front glass 51 of the vehicle 1 . The radiant heat is radiated toward the windshield 51 of the vehicle 1 to remove moisture from the windshield 51, thereby securing the visibility of the passenger.

또한, 차량(1)의 천장트림(50)에 히팅모듈(100)이 배치되되, 앞좌석과 뒷좌석에 걸쳐서 복수 개의 히팅모듈(100)이 위치될 때, 탑승자의 머리방향인 하방을 향해 복사열을 방출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경우에는 제어부에 의해 자동적으로 탑승자의 탑승여부를 판단하여 동작이 제어될 수도 있고, 콘솔(30)의 조작에 의하여 히팅모듈(100)의 동작 등의 제어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When the heating module 100 is disposed in the ceiling trim 50 of the vehicle 1 and a plurality of heating modules 100 are positioned over the front and rear seats, Can be released. Of course, in such a case, the operation may be controlled by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passenger is boarded automatically by the control unit, or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module 100 may be controlled by the operation of the console 30. [

도 10을 참조하면, 도어(10) 측에 배치된 히팅모듈(100)이 도어(10)에 설치되는 유리 주변에 위치될 수 있다. 차량(1)의 천장트림(50)과 인접한 곳에 위치될 수도 있고, 도어의 내측 콘솔 주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의 내측 콘솔 주변에 배치될 경우에는 차량(1)의 측면 유리(11a, 12a)를 향해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열에 의해 유리에 응결되는 수분이 제거되어 탑승자로 하여금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heating module 100 disposed on the door 10 side may be positioned around the glass installed on the door 10. [0052] Referring to FIG.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ceiling trim (50) of the vehicle (1), and may be located around the inner console of the door. And can radiate heat toward the side glasses 11a and 12a of the vehicle 1 when disposed around the inner console of the door 10. [ And the water condensed on the glass is removed by the heat, so that the passenger can secure a field of view.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팅모듈(100)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2 is a view show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heating modu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콘솔(30; 31, 32, 33)에 의해 작동되는 상기 히팅모듈(100)은 작동여부, 발열시간 및 발열온도 등을 포함한 정보를 콘솔(30) 측에 전달할 수 있다. 콘솔(30) 측에는 표시장치가 더 포함될 경우 상기 정보를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히팅모듈(100)의 상기 정보는 콘솔(30)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제어부를 경유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정보에 따라 히팅모듈(100)을 제어할 수 있다. 즉, 히팅모듈은 제어부에 의한 자동적인 제어 및 콘솔의 조작에 의한 수동적인 제어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자동적인 제어는 사용자에 의해 기 결정된 값이 입력된 이후에 상기 기 결정된 값을 벗어나는 온도에 도달하거나 기 결정된 값을 벗어나는 시간동안 발열될 때 제어부는 이를 감지하여 온도의 저하 및 발열의 중단 등의 대응을 할 수 있도록 신호를 히팅모듈(100) 측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기 결정된 값을 벗어나는 시간동안 발열될 때 제어부는 이를 감지하여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신호를 히팅모듈(100)에 송신할 수 있다.The heating module 100 operated by the console 30 (31, 32, 33) can transmit information including the operation status, the heat generation time and the heat generation temperature to the console 30 side. When the display device is further included in the console 30, the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Here, the information of the heating module 100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sole 30 through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heating module 100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That is, the heating module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and manually controlled by operating the console. For example, when the predetermined value is inputted by the user, the automatic control may detect a temperature that deviates from the predetermined value or is out of a predetermined value, It is possible to transmit a signal to the heating module 100 side so as to respond to the interruption of the heating module 100 or the like. In addition, when the heat is generated for a time outside the predetermined value, the control unit may sense the signal and send a signal to the heating module 100 to stop the operation.

나아가, 차량(1)에 배치된 각 시트(40) 측을 향해 방출되는 발열온도가 서로 상이하게 결정되면 그에 대응되는 온도로 발열될 수 있다. 또한, 시트(40)에 탑승자 유무를, 제어부와 연결되는 센서에 의해 감지되어, 제어부는 히팅모듈(100)의 동작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Further, when the heat generating temperatures emitted toward the respective sheets 40 disposed on the vehicle 1 are determined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heat can be generated at a corresponding temperature. Als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assenger on the seat 40 is sensed by a sensor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whether the heating module 100 operates.

한편 수동으로 히팅모듈(100)이 제어되는 경우에는, 각 시트(40) 측을 향한 히팅모듈(100)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독립적인 제어는 히팅모듈(100)의 동작여부, 발열온도 및 발열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heating module 100 is manually controlled, the heating module 100 directed toward each seat 40 can be independently controlled. Of course, the independent control may include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module 100, the heat generation temperature, the heat generation time, and the like.

또한, 상기 제어부는 과열방지수단과 연결되어 앞서 설명한 전자적 및 기계적 수단에 의해 히팅모듈(100)의 동작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be connected to the overheat preventing unit to determine whether the heating module 100 is operated by the electronic and mechanical means described above.

또한, 히팅모듈(100)은 외부기기와 통신이 가능하고, 통신에 의해 동작여부, 발열온도 및 발열시간이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외부기기가 무선통신이 가능한 기기일 경우에 탑승자는 차량에 탑승하기 전에 히팅모듈의 동작이 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ing module 100 can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and the operation status, the heat generation temperature and the heat generation time can be controlled by communication. For example, when the external device is a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the occupant can operate the heating module before boarding the vehicle.

과열방지수단을 더 포함하고, 히터부(110)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과열방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전자 및 기계식의 과열방지수단과 같이 발열온도가 기 결정된 온도이상으로 증가하면 히터부(110)의 발열을 중단시키는 과열방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고, 히팅모듈(100)에 접촉할 때 동작이 정지되는 과열방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And further includes an overheating preventing unit for preventing the overheating of the heater unit 110. [ May include overheat preventing means for stopping the heating of the heater unit 110 when the heating temperature is increas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more as in the electronic and mechanical overheating preventing means described above, The overheating prevention unit may be stopped.

예를 들어 이러한 방식이 광신호에 의해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경우, 발광부로부터 수광부로 광신호가 전달될 수 있는데, 이때 가시광선이 수광부에 도달함으로써 오작동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수광부의 주변에는 가시광선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막이 위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is method detects the approach of the human body by the optical signal, the optical signal can be trans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portion to the light receiving portion. In order to prevent malfunction due to the visible light reaching the light receiving portion, A shielding film for shielding visible light can be placed.

한편,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센싱부 등의 감지수단을 통해 전달받은 차량 내부의 온도가 기 결정된 온도와 비교하여 낮은 경우에는 히팅모듈의 동작이 행해지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복사열에 한해서 차량내부의 온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아니라, 차량의 공조장치에 구비된 송풍팬의 작동과 함께 열을 방출하면서 대류를 통한 열교환을 행할 수도 있다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operable to perform an operation of the heating module when a temperature of the vehicle received through the sensing unit such as a sensing unit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urther,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heat exchange through convection while discharging heat together with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fan provided in the air conditioner of the vehicle, instead of increas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vehicle only with respect to the radiant heat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to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1 : 차량
10 : 도어
11 : 전면도어
12 : 후면도어
20 : 대쉬보드
30 : 콘솔
31 : 전측센터콘솔
32 : 후측센터콘솔
33 : 오버헤드센터콘솔
40 : 시트
41 : 목받침후면
42 : 등받이후면
43 : 하부
50 : 천장트림
51 : 전면유리
100 : 히팅모듈
110 : 발열부재
120 : 표면층
130 : 고정층
1: vehicle
10: Door
11: Front door
12: Rear door
20: Dashboard
30: Console
31: Front center console
32: Rear center console
33: Overhead Center Console
40: sheet
41: back of neckrest
42: the back of the backrest
43: Lower
50: Ceiling trim
51: front glass
100: Heating module
110: heating member
120: Surface layer
130: fixed layer

Claims (28)

차량의 내부를 대향하도록 위치되는 표면층;
상기 표면층과 연결되고, 상기 표면층을 통해 상기 차량 내부로 복사열을 방열하는 히터부; 및
상기 히터부와 결합되고, 상기 표면층과 결합되되 상기 히터부가 상기 표면층 측으로 밀착되도록 상기 히터부를 사이에 개재시키고 결합되는 가압층을 포함하는, 히팅모듈.
A surface layer positioned to face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 heater connected to the surface layer and radiating radiant heat into the vehicle through the surface layer; And
And a pressure layer which is coupled to the heater and is coupled to the surface layer and interposed between the heater and the surface layer so that the heat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lay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는 상기 차량의 도어(door)에 위치되는, 히팅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er portion is located at a door of the vehicl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사열은 인체의 하방으로 방출되는, 히팅모듈.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radiant heat is emitted downward of the human body.
청구항 2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도어에 복수 개의 상기 히터부가 배치되는, 히팅모듈.
The method of claim 2,
And a plurality of the heater sections are disposed on one of the door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는 상기 차량의 센터콘솔에 위치되는, 히팅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er portion is located at a center console of the vehicle.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는 사이 차량의 센터콘솔의 측면에 배치되는, 히팅모듈.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heater portion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center console of the interior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는 상기 차량의 시트의 배면에 되는, 히팅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er portion is on a back surface of the seat of the vehicl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배면은 상기 시트의 헤드부의 배면인, 히팅모듈.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ack surface is the back surface of the head portion of the seat.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배면은 상기 시트의 하부측 배면인, 히팅모듈.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back surface is the lower side back surface of the seat.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배면은 상기 시트의 등받이후면 인 백시트인, 히팅모듈.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ack surface is a back sheet which is a back surface of the backrest of the sea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는 복수 개이고,
상기 히터부는 하나 이상이 열을 방출할 수 있는, 히팅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heater portions are provided,
Wherein the heater portion is capable of releasing one or more hea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는 상기 차량의 오버헤드콘솔부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차량의 천장트림에 배치되는, 히팅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er portion is controlled by an overhead console portion of the vehicle and is disposed in a ceiling trim of the vehic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는 상기 차량의 천장트림의 일측에 위치되는, 히팅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er portion is located at one side of a ceiling trim of the vehic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는 상기 차량의 대쉬보드의 하측에 위치되는, 히팅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er portion is located below the dashboard of the vehic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는 상기 차량의 대쉬보드 상에 위치되는, 히팅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er portion is located on a dashboard of the vehic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는 상기 차량의 천장트림을 따라 복수 개가 상기 배치되는, 히팅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the heater portions are disposed along the ceiling trim of the vehic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사열은 상기 차량의 전면유리를 향해 방출되는, 히팅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diant heat is emitted toward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는 상기 차량의 천장에 위치되고, 하방으로 상기 복사열을 방출하는, 히팅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er portion is located on the ceiling of the vehicle and emits the radiant heat downwar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는 복수 개이고, 각각의 상기 히터부는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히팅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the heater portions are provided, and each of the heater portions is independently controlled.
차량의 내부를 대향하도록 위치되는 표면층;
상기 표면층과 연결되고, 상기 표면층을 통해 상기 차량 내부로 복사열을 방열하는 히터부; 및
상기 히터부와 결합되고, 상기 표면층과 결합되되 상기 히터부가 상기 표면층 측으로 밀착되도록 상기 히터부를 사이에 개재시키고 결합되는 가압층을 복수 개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히터부는 제어부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히팅모듈.
A surface layer positioned to face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 heater connected to the surface layer and radiating radiant heat into the vehicle through the surface layer; And
A plurality of pressing layers which are coupled to the heater portion and are coupled to the surface layer so as to interpose the heater portion between the heater portion and the surface layer,
Wherein each of the heater sections is independently controlled by a control section.
청구항 1 내지 20에 있어서,
상기 히팅모듈은 외부기기와 통신이 가능하고,
상기 통신에 의해 동작여부, 발열온도 및 발열시간이 제어가능한, 히팅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0,
The heating module is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device,
A heating module capable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state, the heat generation temperature and the heat generation time by the communication,
청구항 1 내지 20에 있어서,
과열방지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과열방지수단은 상기 히터부로부터 기 결정된 거리 내에 인체가 위치되는 것을 감지하고 동작을 정지하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포함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히팅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0,
Further comprising an overheating preventing means,
Wherein the overheat preventing means includes a sensing portion including a light emitting portion and a light receiving portion for sensing that a human body is position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heater portion and stopping the operation,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가시광선이 상기 수광부에 도달하지 않도록 차단막을 더 포함하는, 히팅모듈.
23. The method of claim 22,
Wherein the sensing unit further includes a blocking film to prevent visible light from reaching the light receiving unit.
청구항 1 내지 20에 있어서,
과열방지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과열방지수단은 바이메탈인, 히팅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0,
Further comprising an overheating preventing means,
Wherein the overheat preventing means is a bimetal.
청구항 1 내지 20에 있어서,
과열방지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과열방지수단은 과열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히터부의 발열을 중단하는, 히팅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0,
Further comprising an overheating preventing means,
Wherein the overheating prevention unit stops the heat generation of the heater unit upon receiving the overheating signal,
청구항 1 내지 20에 있어서,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 내부의 온도가 기 결정된 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히터부를 동작시키는, 히팅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0,
Further comprising a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ler operates the heater unit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vehicle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20 중 하나에 기재된 히팅모듈을 포함하는, 차량.
A vehicle comprising a heating modu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0.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송풍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히팅모듈은 송풍팬과 함께 동작되는, 차량.
23. The method of claim 21,
The vehicle further includes a blowing fan,
Wherein the heating module is operated with a blowing fan.
KR1020170045500A 2017-04-07 2017-04-07 Heating modu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2018011385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500A KR20180113850A (en) 2017-04-07 2017-04-07 Heating modu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500A KR20180113850A (en) 2017-04-07 2017-04-07 Heating modu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850A true KR20180113850A (en) 2018-10-17

Family

ID=64099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5500A KR20180113850A (en) 2017-04-07 2017-04-07 Heating modu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385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2188A (en) 2020-11-25 2022-06-02 (주)대한이피씨 Heating System For Eletric Vehicle Air Condition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2188A (en) 2020-11-25 2022-06-02 (주)대한이피씨 Heating System For Eletric Vehicle Air Condition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11678A (en) Heating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CN101678737B (en) Vehicular heating system
US9025942B2 (en) Radiant heating device for vehicle
US10555372B2 (en) Armres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20090289045A1 (en) Footwell heating equipment
US20150028119A1 (en) Method of Heating the Interior of a Vehicle
EP2221199B1 (en) Vehicle heating system
JP5515201B2 (en) Vehicle heating system
CN107432055B (en) Heater device
JP2008265490A (en) Vehicular air conditioner
WO2015125423A1 (en) Control system for radiant heater device
JP2007209397A (en) Air-conditioning seat
CN111284376A (en) Temperature control system for seat assembly
KR20180113850A (en) Heating modu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20180089940A (en) Heating pad for vehicle
KR20180113851A (en) Heating modu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CN211684577U (en) Heating device, heating, ventilation and/or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otor vehicle
KR20180101742A (en) Heating modu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20180104347A (en) Heating modu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JP7089694B2 (en) Vehicle temperature control device
KR20180101107A (en) Heating modu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20180129092A (en) Heating elemant, heater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JP2007126104A (en) Air conditioner for seat
JP2007230256A (en) Heating apparatus in cabin and method therefor
JP6578893B2 (en) Heat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