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3734A -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3734A
KR20180113734A KR1020170045175A KR20170045175A KR20180113734A KR 20180113734 A KR20180113734 A KR 20180113734A KR 1020170045175 A KR1020170045175 A KR 1020170045175A KR 20170045175 A KR20170045175 A KR 20170045175A KR 20180113734 A KR20180113734 A KR 20180113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air
harness
light emitt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51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78637B1 (en
Inventor
오기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5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8637B1/en
Publication of KR20180113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7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8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86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8Ventilating systems
    • F21V33/0092Ventilating systems with heating or coo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24F2001/003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fixing a harness connected to a light-emitting device.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comprises: a discharge panel having an exit hole through which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 air guide having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and the light-emitting device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guide member; a lifting device lifting the air guide; a lifting guide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wherein the air guide is lifted and accommodated; and a control unit connecting a first harness connected to the light-emitting device to a second harness installed in the discharge panel and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rst harness. Moreover, the air guide has a first fixing unit for fixing the first harness, and the lifting guide can have a second fixing unit for fixing the first harness and the second harness.

Description

천장형 공기조화기{Ceiling type air conditioner}Ceiling typ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광기구에 연결된 하네스가 에어가이드의 승강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하네스를 고정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that fixes a harness so that a harness connected to a light emitting mechanism is not damaged by lifting and lowering an air guide.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는 기기이다.The air conditioner is a device that creates a more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for the user.

공기조화기는 냉매가 순환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를 갖는 냉동사이클 장치를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킬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can cool or heat the room using a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having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mechanism, and an evaporator in which refrigerant is circulated.

공기조화기는 그 설치위치에 따라 스텐드형 공기조화기와,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와, 천장형 공기조화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may be classified into a stand type air conditioner, a wall-mounted type air conditioner, 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nd the like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천장에 설치되어 실내로 냉기 또는 온기를 토출할 수 있다.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on the ceiling and can discharge cold or warm air into the room.

천장형 공기조화기에는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고, 공기토출구에는 실내를 향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풍향조절부재는 공기토출구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may have an air outle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and the air outlet may be provided with a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 for adjusting the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oward the room.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 may be rotatably disposed on the air outlet.

풍향조절부재는 그 회전중심축이 공기토출구에 위치되거나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The pivotal axis of the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 may be located at the air outlet or inside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풍향조절부재는 실내를 향해 소정각도 경사지게 회전되어 공기를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하측 경사방향으로 토출 안내하거나 수평하게 회전되어 공기토출구를 차폐할 수 있다. The air-direction controlling member may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clined toward the inside of the room to guide the air in the downward oblique direction of the ceiling-type air conditioner or horizontally rotated to shield the air outlet.

공기토출구의 개방시, 공기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는 풍향조절부재의 양면에 안내되어 실내로 토출될 수 있고, 풍향조절부재는 공기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상하 풍향을 조절할 수 있고, 그 회전 각도에 따라 천장형 공기조화기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를 결정할 수 있다.When the air outlet port is opened, the air discharged to the air outlet port can be guided to both sides of the air flow direction adjusting member and can be discharged to the room. The air flow adjusting member can adjust the vertical airflow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air outlet port, The air flow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can be determined.

본 발명은 발광기구에 연결된 하네스가 에어가이드의 승강에 의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eiling-type air conditioner in which a harness connected to a light emitting mechanism is fixed so as not to move by lifting and lowering an air guide.

본 발명은 발광기구에 연결된 하네스가 에어가이드의 승강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를 방지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eiling-type air conditioner that prevents a harness connected to a light emitting mechanism from being damaged by lifting and lowering an air guid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출구가 형성된 토출패널과, 토출 공기의 기류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와 가이드부재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기구를 갖는 에어가이드와, 에어가이드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와, 에어가이드가 상승되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승강가이드와, 발광기구와 연결된 제1 하네스와, 토출패널에 설치되고 제1 하네스와 착탈되는 제2 하네스가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에어가이드에는 제1 하네스를 고정하는 제1 고정부가 형성되고, 승강가이드에는 제1 하네스 및 제2 하네스를 고정하는 제2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A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charge panel having an outle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 air guide having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air flow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and a light emitting mechanism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guide member A lifting mechanism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air guide, a lifting and lowering guide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air guide is lifted and accommodated, a first harness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mechanism, and a second harness attached to the discharge panel, The air guide includes a first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first harness, and a second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first and second harnesses may be formed on the elevation guide.

에어가이드는 발광기구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발광기구 수용부를 포함하고, 제1 고정부는 발광기구 수용부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air guide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mechanism accommodating portion in which the light emitting mechanism is inserted and accommodated, and the first fixing portion may be formed inside the light emitting mechanism accommodating portion.

제2 고정부는 승강가이드 외면에 형성되고, 승강가이드에는 제1 하네스가 관통하는 하네스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fixing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levating guide, and the elevating guide may be formed with a harness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harness passes.

제1 하네스는 발광기구에 연결된 제1 와이어와, 제1 와이어에 연결된 제1 커넥터를 포함하고, 제2 하네스는 제어부에 연결된 제2 와이어와, 제2 와이어가 연결되고 제1 커넥터와 착탈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고, 제2 고정부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함께 고정시킬 수 있다.The first harness includes a first wire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a first connector connected to the first wire. The second harness includes a second wir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 second wire connected to the second wire, 2 connector,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can fix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together.

제2 고정부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과 접촉되는 한 쌍의 리브와, 한 쌍의 리브의 일단과 이격되고 제1 커넥터가 걸리는 한 쌍의 제1 돌기와, 한 쌍의 리브의 타단과 이격되고 제2 커넥터가 걸리는 한 쌍의 제2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fixing portion includes a pair of ribs that are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side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 pair of first projections spaced apart from one end of the pair of ribs and engaged with the first connector, And a pair of second projec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second connector.

제2 고정부의 수평 방향 단면적 크기는 제1 커넥터의 수평 방향 단면적 크기와 제2 커넥터의 수평 방향 단면적 크기의 합 보다 클 수 있다.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size of the second fixing part may be larger than the sum of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size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size of the second connector.

승강가이드는 제2 고정부와 이격되고 제2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와이어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levating guide may further include a wire fixing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fixing portion and fixing the second wire.

토출패널에는 외부 공기가 흡입되기 위해 통과하는 흡입유로가 형성되고, 토출패널에는 제2 하네스가 수용되는 하네스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The discharge panel is formed with a suction passage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sucked, and the discharge panel is provided with a harness guide for receiving the second harness.

발광기구는 한 쌍이 가이드부재의 양 측단에 결합되고, 제2 고정부는 승강가이드의 상면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The pair of light emitting mechanisms may b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guide member,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on guide.

승강가이드가 수용되는 승강가이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제1 하네스 및 제2 하네스를 덮는 아우터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an outer cover formed with an elevating guide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elevating guide and covering the first and second harnesse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와 발광기구를 연결하는 하네스는 에어가이드의 승강에 관계없이 고정될 수 있어 마찰 등의 사유로 파손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rness connecting the control unit and the light emitting mechanism can be fixed regardless of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f the air guide, thereby being advantageous in that the harnes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due to friction or the lik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발광기구와 연결된 와이어를 1차적으로 고정하고, 커넥터를 2차적으로 고정하여 보다 견고하게 발광기구와 연결된 하네스를 고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ire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mechanism is primarily fixed, and the connector is fixed to the secondary, so that the harness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mechanism can be more firmly fix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와 연결된 와이어를 1차적으로 고정하고, 커넥터를 2차적으로 고정하여 보다 견고하게 제어부와 연결된 하네스를 고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ir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can be primarily fixed, and the connector can be fixed to the secondary, so that the harnes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can be more firmly fix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와 연결된 하네스를 토출패널 내부에서 승강가이드까지 안내하여 제어부와 연결된 하네스가 흡입유로 등에 위치하여 공기의 흡입을 방해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arness,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from being guided from the discharge panel to the elevation guid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결합된 커넥터들을 고정부에 고정시킴으로써 커넥터들을 안정하게 연결시키고, 발광기구가 작동하지 않거나 오작동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by fixing the coupled connectors to the fixing portion, the connectors are stably connected and the light emitting mechanism does not operate or malfunctions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실내기의 저면도.
도 5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토출패널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토출패널에서 흡입패널이 분리되었을 때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토출패널의 토출유로가 도시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토출패널의 흡입유로 및 토출유로가 도시된 평면도.
도 9는 도 6의 X-X' 선 단면도.
도 10은 도 6의 Y-Y'선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토출패널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인 유로바디가 도시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인 유로바디의 일부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인 유로바디가 도시된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인 유로바디가 도시된 저면도.
도 1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너 유로 바디의 확대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너 유로바디의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수평 기류를 형성할 때의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수직 기류를 형성할 때의 단면도.
도 20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아우터 커버와, 에어가이드와, 승강가이드가 함께 도시된 사시도.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아우터 커버를 승강가이드에서 분리하였을 때의 사시도.
도 22는 에어가이드와 승강가이드와 승강기구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에어가이드 및 승강가이드를 A 방향에서 바라봤을 때의 사시도.
도 24는 도 22에 도시된 에어가이드 및 승강가이드를 B 방향에서 바라봤을 때의 사시도.
도 25는 도 22에 도시된 승강가이드를 에어가이드에서 분리했을 때의 사시도.
도 26은 발광기구와 연결된 하네스가 고정부에 고정된 모습이 도시된 사시도.
도 27은 발광기구와 연결된 하네스 및 제어부에 연결된 하네스가 고정부에 고정된 모습이 도시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ottom view of a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ottom view of the indoor unit shown in Figs. 1 and 3.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charge panel shown in Figs. 1 to 3.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charge panel shown in Fig. 5 when the suction panel is separate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charge path of a discharge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showing a suction path and a discharge path of the discharge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 'in Fig. 6;
10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Y-Y 'in Fig. 6;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scharge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ain flow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a main flow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4 is a plan view of a main flow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bottom view of a main flow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n inner flow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lan view of an inner flow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sectional view of a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horizontal airflow is formed.
FIG. 19 is a sectional view of a ceiling-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vertical airflow is formed; FIG.
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er cover, an air guide, and an elevation guide toge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2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uter cover shown in Fig. 20 when the outer cover is separated from the elevation guide. Fig.
22 is a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air guide, the elevation guide, and the elevation mechanism are enlarged.
Fig. 2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ir guide and the elevation guide shown in Fig. 22 when viewed from direction A; Fig.
Fig. 2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ir guide and the elevation guide shown in Fig. 22 when viewed in the direction of B; Fig.
25 i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elevation guide shown in Fig. 22 is separated from the air guide. Fig.
2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arness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mechanism is fixed to the fixing portion;
Fig. 2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rness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mechanism and a harnes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fixed to the fixing unit;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저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실내기의 저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eiling-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ottom view of a ceiling-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ottom view of the indoor unit shown in Figs. 1 and 3. Fig.

본 실시예의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1)와, 토출패널(2)을 포함한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토출패널(2)에 설치된 흡입패널(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indoor unit 1 and a discharge panel 2. [ The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 suction panel (3) provided on the discharge panel (2).

<실내기><Indoor unit>

실내기(1)에는 송풍기(4) 및 열교환기(5)가 내장될 수 있다. 실내기(1)는 공기를 흡입하여 냉매와 열교환시킨 후 토출패널(2)로 송풍할 수 있다. 실내기(1)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본체를 구성할 수 있다. The indoor unit (1) may include a blower (4) and a heat exchanger (5). The indoor unit 1 can blow air to the discharge panel 2 after sucking the air and exchanging heat with the refrigerant. The indoor unit 1 can constitute the main body of the ceiling-type air conditioner.

실내기(1)는 실내기(1)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영역(15)과 실내기(1) 내부의 공기가 토출패널(2)로 송풍되는 영역(7)(8)(9)(10)을 구획하는 실내기 유로바디(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indoor unit 1 has a region 15 in which air is sucked into the indoor unit 1 and a region 7, 8, 9 and 10 in which air in the indoor unit 1 is blown to the discharge panel 2 And an indoor unit flow body 13 for partitioning the indoor unit.

실내기(1)는 열교환기(5)의 하부에 배치된 드레인 유닛(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indoor unit (1) may further include a drain unit (14)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eat exchanger (5).

<실내기의 공기흡입 및 실내기의 공기토출><Air intake of indoor unit and air discharge of indoor unit>

실내기(1)에는 흡입패널(3)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실내기(1) 내부로 흡입되는 이너 흡입공(6)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실내기(1)에는 열교환기(5)를 통과한 공기를 토출 안내하는 복수의 송풍통로(7)(8)(9)(10)가 형성될 수 있다.The indoor unit 1 may be provided with an inner suction hole 6 through which the air sucked through the suction panel 3 is sucked into the indoor unit 1. [ The indoor unit 1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ir passages 7, 8, 9, and 10 for discharging and guiding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heat exchanger 5.

실내기(1)는 복수의 송풍통로(7)(8)(9)(10)를 통해 그 하측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실내기(1)는 실내기(1)의 내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송풍되는 복수의 토출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토출기류는 나란한 방향으로 송풍될 수 있다.The indoor unit 1 can discharge the air in the downward direction through the plurality of air passages 7, 8, 9, and 10. The indoor unit 1 can form a plurality of discharge air streams blown from the inside of the indoor unit 1 in the downward direction. Such a plurality of discharge airflows can be blown in a side-by-side direction.

실내기(1)의 외둘레는 다각형 형상일 수 있다. 복수의 송풍통로(7)(8)(9)(10)는 실내기(1)의 저면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실내기(1)는 그 저면을 통해 하측방향으로 송풍되는 복수의 수직기류를 토출할 수 있다.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door unit 1 may have a polygonal shape. The plurality of air passages 7, 8, 9, and 10 may be formed to be open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door unit 1. The indoor unit 1 can discharge a plurality of vertical air currents blown downward through the bottom surface thereof.

실내기(1)는 천장에 매달리게 설치될 수 있다. 실내기(1)는 천장에 고정되는 앵커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지지될 수 있다. 실내기(1)에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부(12)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The indoor unit 1 can be installed on the ceiling. The indoor unit 1 can be supported by a fastening member such as an anchor bolt fixed to the ceiling. In the indoor unit 1, a fastening portion 12 to fasten the fastening member can be formed as shown in Figs.

실내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샤시(11)를 포함할 수 있다. 샤시(11)는 실내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실내기 바디일 수 있다. The indoor unit 1 may include a chassis 11 forming an appearance. The chassis 11 may be an indoor unit body that forms the appearance of the indoor unit.

<실내기의 샤시><Chassis of indoor unit>

샤시(11)는 앵커 볼트 등의 체결부재로 천장에 장착될 수 있다. 샤시(11)에는 앵커 볼트 등의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부(12)가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The chassis 11 can be mounted on the ceiling with fastening members such as anchor bolts. The chassis 11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portion 12 to which a fastening member such as an anchor bolt is fastened.

샤시(11)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샤시(11)는 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hassis 11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members. The chassis 11 may be formed in a polyhedral shape having a bottom open and a space therein.

샤시(11)는 내부에 송풍기(4) 및 열교환기(5)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샤시(11)는 전, 후, 좌, 우 네면 각각과 상면이 막힌 형상일 수 있다. The chassis 11 may have a space in which the blower 4 and the heat exchanger 5 are accommodated. The chassis 11 may have a shape in which front, rear, left, right sides and upper surfaces are clogged.

<실내기의 송풍기><Blower of indoor unit>

송풍기(4)는 샤시(1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기(4)는 샤시(11)의 상판에 장착될 수 있다. The blower 4 may be disposed inside the chassis 11. The blower 4 can be mounted on the top plate of the chassis 11. [

송풍기(4)는 적어도 일부가 열교환기(5)의 내부에 위치되게 샤시(11)에 장착될 수 있다. The blower 4 may be mounted to the chassis 11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blower 4 is located inside the heat exchanger 5.

송풍기(4)는 토출패널(20)의 후술하는 어퍼 중공부(20) 상측에 위치되게 장착될 수 있다.The blower 4 can be mounted above the upper hollow portion 20 of the discharge panel 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송풍기(4)는 그 하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원심방향으로 송풍하는 원심식 송풍기로 구성될 수 있다. 송풍기(4)는 모터(41)와, 모터(41)에 연결된 원심팬(42)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4)는 원심팬(42)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4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lower 4 may be composed of a centrifugal blower that sucks the air on the lower side thereof and blows the air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The blower 4 may include a motor 41 and a centrifugal fan 42 connected to the motor 41. The blower 4 may include an orifice 43 for guiding air sucked into the centrifugal fan 42.

모터(41)는 원심팬(42)에 연결되는 회전축이 하부로 돌출되게 장착될 수 있다.The rotation shaft connected to the centrifugal fan 42 may be mounted on the motor 41 so as to protrude downward.

원심팬(42)은 터보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entrifugal fan 42 may be configured as a turbo fan.

오리피스(43)는 샤시(11)의 내부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오리피스(43)는 후술하는 실내기 유로바디(13)에 설치될 수 있다. 이너 흡입공(6)은 오리피스(43)에 형성될 수 있다.The orifice (43) can be installed inside the chassis (11). The orifice 43 may be provided in the indoor unit flow body 13 described later. The inner suction hole 6 may be formed in the orifice 43.

흡입패널(3)을 통과한 공기는 오리피스(43)의 이너 흡입공(6)을 통과해 원심팬(42)으로 흡입될 수 있고, 원심팬(42)에 의해 원심팬(42)의 원심방향으로 송풍될 수 있다.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uction panel 3 can be sucked into the centrifugal fan 42 through the inner suction hole 6 of the orifice 43 and can be sucked by the centrifugal fan 42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of the centrifugal fan 42 .

원심팬(42)에서 원심방향으로 송풍된 공기는 원심팬(42)의 외둘레를 둘러싸게 배치된 열교환기(5)로 유동될 수 있고, 열교환기(5)와 열교환될 수 있다. The air blown in the centrifugal fan 42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can flow into the heat exchanger 5 dispos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centrifugal fan 42 and can be heat-exchanged with the heat exchanger 5.

<실내기의 열교환기><Heat exchanger of indoor unit>

열교환기(5)는 적어도 1회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열교환기(5)는 샤시(11) 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되어 샤시(1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heat exchanger 5 may be at least once bent. The heat exchanger 5 may be formed to be smaller in size than the chassis 11 and disposed inside the chassis 11.

열교환기(5)는 샤시(11)의 내부에 사각형 형상 또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heat exchanger (5) may be arranged in a rectangular or hollow cylindrical shape inside the chassis (11).

열교환기(5)는 샤시(11)의 내면에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5)와 샤시(11)의 내면 사이에는 공기가 후술하는 송풍통로(7)(8)(9)(10)로 안내되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The heat exchanger (5)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hassis (11). Between the heat exchanger 5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hassis 11, a passage may be formed in which air is guided to the blowing passages 7, 8, 9, and 10 to be described later.

열교환기(5)는 내부에 송풍기(4)가 수용되는 공간(S1)이 형성되게 절곡될 수 있다. 열교환기(5)는 샤시(11)의 서로 상이한 면을 마주보는 4개의 열교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5)는 송풍기(4)의 외측에서 송풍기(4)의 외둘레면을 둘러쌀 수 있다. The heat exchanger 5 may be bent so that a space S1 in which the blower 4 is accommodated is formed therein. The heat exchanger (5) may include four heat exchangers facing different surfaces of the chassis (11). The heat exchanger 5 can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lower 4 from the outside of the blower 4. [

<실내기의 드레인 유닛><Drain unit of indoor unit>

드레인 유닛(14)은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고, 그 내부에는 열교환기(5)의 하부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The drain unit 14 may be formed so that the upper surface thereof is opened, and a space in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heat exchanger 5 can be accommodated may be formed therein.

<실내기의 실내기 유로바디><Indoor unit air conditioner body of indoor unit>

실내기 유로바디(13)는 드레인 유닛(14)에 결합될 수 있다. 실내기 유로바디(13)에는 공기가 상하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는 중공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중공부(15)는 실내기(1) 하부의 공기를 실내기(1) 내부로 흡입할 수 있는 실내기 공기흡입구일 수 있다. 중공부(15)는 실내기(1)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영역일 수 있다. The indoor unit flow body 13 may be coupled to the drain unit 14. The indoor unit flow body 13 may have a hollow portion 15 through which air can pas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hollow portion 15 may be an indoor air intake port for sucking the air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door unit 1 into the indoor unit 1. [ The hollow portion 15 may be a region where air is sucked into the indoor unit 1.

<실내기의 복수개 송풍통로>&Lt; a plurality of ventilation passages of the indoor unit &

실내기 유로바디(13)는 샤시(11)의 내측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내기 유로바디(13)는 실내기(1)의 저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The indoor unit flow body 13 may be disposed at an inner lower portion of the chassis 11. The indoor unit flow body 13 can form an appearan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indoor unit 1.

실내기(1)에 형성된 복수의 송풍통로(7)(8)(9)(10) 각각은 그 단면 형상이 다각형 형상일 수 있다. 복수의 송풍통로(7)(8)(9)(10) 각각은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일 수 있다. Each of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passages 7, 8, 9, and 10 formed in the indoor unit 1 may have a polygonal cross-sectional shape. Each of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passages 7, 8, 9, and 10 may have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복수의 송풍통로(7)(8)(9)(10)는 실내기(1) 내부의 공기가 토출패널(2)로 송풍되는 영역일 수 있다.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passages 7, 8, 9, and 10 may be a region where the air inside the indoor unit 1 is blown to the discharge panel 2.

복수의 송풍통로(7)(8)(9)(10)는 이너 흡입공(6)과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air passages 7, 8, 9, and 1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ction holes 6.

복수의 송풍통로(7)(8)(9)(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송풍통로(7)와, 우측 송풍통로(8)와, 전방측 송풍통로(9)와, 후방측 송풍통로(10)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passages 7, 8, 9, and 10 include left ventilation passages 7, right ventilation passages 8, front ventilation passages 9, And a rear-side airflow passage (10).

복수의 송풍통로(7)(8)(9)(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가상선(19A)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송풍통로(7)(8)(9)(10)는 사각형 가상선(17A)의 각 변에 1개씩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plurality of blower passages 7, 8, 9, and 10 can be formed along the rectangular imaginary line 19A, and the plurality of blower passages 7, 8, 9 ) 10 may be formed on each side of the rectangular hypothetical line 17A.

좌측 송풍통로(7)는 실내기(1)의 좌측면(1A)과 우측면(1B) 중 좌측면(1A)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고,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The left air blowing passage 7 can be positioned close to the left side face 1A of the left side face 1A and the right side face 1B of the indoor unit 1 and can be formed lo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우측 송풍통로(8)는 실내기(1)의 좌측면(1A)과 우측면(1B) 중 우측면(1B)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고,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잇다. The right air blowing passage 8 can be positioned close to the right side face 1B of the left side face 1A and the right side face 1B of the indoor unit 1 and can be formed lo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전방측 송풍통로(9)는 실내기(1)의 전면(1C)과 배면(1D) 중 전면(1C)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고,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The front side air passage 9 may be positioned close to the front surface 1C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1C and 1D of the indoor unit 1 and may be formed lo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후방측 송풍통로(10)은 실내기(1)의 전면(1C)과 배면(1D) 중 배면(1D)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고,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잇다. The rear blowing passage 10 can be positioned close to the front face 1C of the indoor unit 1 and the rear face 1D of the rear face 1D and can be elong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복수개 송풍통로의 형성 위치>&Lt; Positioning of a plurality of blowing passages &

복수의 송풍통로(7)(8)(9)(10)는 실내기 유로바디(13)에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송풍유로(7)(8)(9)(10)는 실내기 유로바디(13)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air passages 7, 8, 9 and 10 can be formed in the indoor unit flow path body 13 and a plurality of air flow paths 7, 8, 9 and 10 can be formed in the indoor unit flow path body 13, respectively.

복수의 송풍통로(7)(8)(9)(10)는 실내기 유로바디(13)와 샤시(11)의 내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송풍유로 (7)(8)(9)(10)는 실내기 유로바디(13)와 샤시(11)의 내면 사이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air passages 7, 8, 9 and 10 can be formed between the indoor unit flow path body 13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hassis 11, (1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tween the indoor unit flow path body (13)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hassis (11).

복수의 송풍통로(7)(8)(9)(10)는 그 위치가 상이하고 개방방향이 나란한 네 개의 개구 영역일 수 있고, 실내기(1)는 이러한 복수의 송풍통로(7)(8)(9)(10) 통해 공기가 토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passages 7, 8, 9 and 10 may be four opening areas in which the positions are different and the opening directions are parallel to each other. (9) and (10).

실내기(1)는 그 토출 방향이 서로 나란한 4개의 수직기류를 형성하는 4 way 토출형 실내기일 수 있다. The indoor unit 1 may be a 4-way discharge type indoor unit which forms four vertical air flows whose discharge directions are parallel to each other.

토출패널(2)은 외둘레(2A)가 원형일 수 있다. 토출패널(2)은 저면(2B)이 평면일 수 있다. The outer periphery 2A of the discharge panel 2 may be circular. In the discharge panel 2, the bottom surface 2B may be flat.

토출패널(2)은 실내기(1)에 결합될 수 있고, 복수의 송풍통로(7)(8)(9)(10)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토출 안내할 수 있다. 토출패널(2)은 흡입패널(3)과 함께 실내기(1)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패널(2)은 흡입패널(3)과 함께 실내기(1)의 아래에 배치된 로어바디 어셈블리를 구성할 수 있다. The discharge panel 2 can be coupled to the indoor unit 1 and can guide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passages 7, 8, 9 and 10 to the outside. The discharge panel 2 may be disposed under the indoor unit 1 together with the suction panel 3. [ The discharge panel 2 together with the suction panel 3 can constitute a lower body assembly disposed under the indoor unit 1.

토출패널(2)은 실내기(1)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고, 복수의 송풍통로(7)(8)(9)(10)를 통해 하측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 안내할 수 있다. The discharge panel 2 can b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door unit 1 and can guide the air blown downward through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passages 7, 8, 9, 10 to the room .

토출패널(2)은 실내기(1)에서 서로 나란한 네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를 받아 토출패널(2)의 하부 주변으로 토출 안내할 수 있다.The discharge panel 2 can receive the air blown in four directions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indoor unit 1 and can guide the discharge to the lower periphery of the discharge panel 2. [

토출패널(2)은 실내기(1)에서 수직방향 특히, 하측방향으로 송풍된 공기의 기류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H1)으로 전환하여 토출 안내하거나 수평방향(H1)과 예각의 경사각(θ)을 갖는 하측 경사방향(H2)으로 전환하여 토출 안내할 수 있다. The discharge panel 2 switches the air flow of the air bl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particularly in the downward direction, in the indoor unit 1 to the horizontal direction H1 as shown in Fig. 3 and discharges it or guides i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H1 and acute angle To the lower inclination direction H2 having the inclination angle [theta] of the inclination angle [theta].

토출패널(2)은 복수개 부재(50)(60)(70)(90)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The discharge panel 2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the plurality of members 50, 60, 70,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토출 패널(2)에 승강되게 배치되고 출구(25)를 통과한 공기의 기류 방향을 변경하는 에어가이드 어셈블리(T)를 포함할 수 있다.The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may include an air guide assembly T which is disposed on the discharge panel 2 so as to be raised and lowered and changes an airflow direction of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outlet 25.

에어가이드 어셈블리(T)는 에어가이드(100)와, 에어가이드(100)의 승강 안내하는 승강가이드(110)와, 에어가이드(100)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1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guide assembly T may include an air guide 100, an elevation guide 110 for guiding the air guide 100 up and down, and an elevator 120 for moving the air guide 100 up and down.

토출패널(2)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가이드(100)가 토출패널(2)의 출구(25) 주변으로 하강되거나 토출패널(2)의 내부로 상승될 수 있는 슬릿(57)이 형성될 수 있다. The discharge panel 2 is provided with a slit 57 in which the air guide 100 can be lowered around the outlet 25 of the discharge panel 2 or can be raised inside the discharge panel 2, Can be formed.

도 5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토출패널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토출패널에서 흡입패널이 분리되었을 때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토출패널의 토출유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토출패널의 흡입유로 및 토출유로가 도시된 평면도이며, 도 9는 도 6의 X-X' 선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6의 Y-Y'선 단면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charge panel shown in FIGS. 1 to 3,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charge panel shown in FIG. 5 when the suction panel is separated.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charge path of the discharge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suction path and the discharge path of the discharge pa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Y-Y 'in FIG.

<토출패널><Discharge panel>

토출패널(2)에는 흡입패널(3)을 통과한 공기를 실내기(1)의 내부로 흡입 안내하는 흡입유로(16)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토출패널(2)에는 복수개 송풍통로(7)(8)(9)(10)에서 토출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 안내하는 토출유로(18)가 형성될 수 있다. The discharge panel 2 may be provided with a suction passage 16 for sucking and guiding the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suction panel 3 to the inside of the indoor unit 1. The discharge panel 2 may be provided with a discharge passage 18 for discharging and guiding the air discharged from a plurality of the air blowing passages 7, 8, 9, and 10 to the room.

<토출패널의 흡입유로>&Lt; Suction flow path of discharge panel &

토출패널(2)에는 흡입패널(3)을 통과한 공기를 실내기(1)의 중공부(15, 도 3 참조)로 안내하는 흡입유로(16)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패널(2)에는 흡입패널(3)을 통과한 공기가 실내기(1)의 내부로 흡입되기 위해 통과하는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패널(2)의 중공부는 토출패널(2)의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중공부는 토출패널(2)의 흡입유로(16)가 될 수 있다. 이하, 토출패널(2)의 흡입유로와 토출패널(2)의 중공부에 대해 동일 도면 부호를 '1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The discharge panel 2 may be provided with a suction passage 16 for guiding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uction panel 3 to the hollow portion 15 (see FIG. 3) of the indoor unit 1. The discharge panel 2 may be provided with a hollow portion through which the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suction panel 3 passes to be sucked into the indoor unit 1. The hollow portion of the discharge panel 2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discharge panel 2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hollow portion may be the suction passage (16) of the discharge panel (2). Hereinafter, the suction flow path of the discharge panel 2 and the hollow portion of the discharge panel 2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 16 '.

흡입유로(16)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유로(18) 내측에 위치될 수 있고, 토출유로(18)와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suction passage 16 may be located inside the discharge passage 18 and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discharge passage 18 as shown in FIG.

흡입유로(16)는 수평방향 단면 형상이 원형이거나 사각형일 수 있다. 흡입유로(16)의 사각형 형상은 원형에 가까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원형에 가까운 사각형은 두 쌍의 대변을 갖되 네 꼭지점이 라운드지게 형성된 사각형을 의미할 수 있다. The suction passage 16 may have a circular or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quadrangular shape of the suction passage 16 may include a quadrangular shape close to a circle. Here, a quadrangle close to a circle may mean a quadrangle having two pairs of opposite sides and having four vertices rounded.

단면 형상이 원형인 흡입유로(H)는 단면 형상이 사각형인 흡입유로(16) 보다 크기가 작고, 단면 형상이 사각형인 흡입유로(16)는 토출패널(2)의 내부에 보다 넓은 흡입면적을 확보할 수 있어, 공기의 신속한 흡입을 도울 수 있다. The suction passage H having a circular sectional shape is smaller in size than the suction passage 16 having a rectangular sectional shape and the suction passage 16 having a rectangular sectional shape has a larger suction area inside the discharge panel 2 So that the air can be sucked in quickly.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유로(16)에 제어부(17)가 수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5 and 8, the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can receive the control unit 17 in the suction flow path 16.

<제어부><Control section>

제어부(17)는 토출패널(2)에 설치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 may be installed in the discharge panel 2. [

제어부(17)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는 에어가이드(100)의 승강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는 에어가이드(100)가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제어하여 토출 기류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는 에어가이드(100)의 발광기구(108)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는 발광기구(108)를 온 또는 오프시키거나, 광의 색상 등을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제어부(17)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필요한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7 can control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air guide 100. The control unit 17 can change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airflow by controlling the air guide 100 to be raised or lowered.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7 can control the light emitting mechanism 108 of the air guide 100. The control unit 17 can turn on or off the light emitting device 108, or change the color of light or the like.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control unit 17 can control the components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한편, 제어부(17)는 발광기구(108)를 제어하기 위해 발광기구(108)와 연결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17 may be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108 to control the light emitting device 108.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7)와 발광기구(108)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7)와 발광기구(108)는 케이블 등과 같은 와이어로 연결되어 상호간에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7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108 may be connected by wire. The control unit 17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108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wire such as a cable and can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o each other.

이와 같이, 제어부(17)와 발광기구(108)가 유선으로 연결하는 경우 안정적으로 신호를 송수신하여 발광기구(108)가 오동작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ntrol unit 17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108 are connected by wi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malfunction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108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stably.

제어부(17)와 발광기구(108)를 유선으로 연결하는 방법은 도 22 내지 도 27을 통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A method of connecting the control unit 17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108 by wire is explain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2 to FIG.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7)와 발광기구(108)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와 발광기구(108)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Wi-Fi(Wireless-Fidelity)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음이 타당하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7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108 may be wirelessly connected.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7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108 can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using a local communication technology such as Bluetooth (TM),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d Wi-Fi (Wireless-Fidelity) , Which is merely an example, so that it is not restrictive.

제어부(17)는 단면 형상이 사각형이거나 사각형에 가까운 형상인 흡입유로(16)에 공기의 유동을 최대한 방해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The control section 17 can be arranged so as not to disturb the flow of air to the suction flow path 16 whose cross-sectional shape is quadrangular or close to a quadrangle.

한편, 제어부(17)의 형상이 사각형일 경우, 사각형인 제어부(17)는 단면 형상이 원형인 흡입유로(H)에 장착되기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사각형인 제어부(17)가 원형인 흡입유로(H)를 가로막는 면적이 과다할 수 있고, 원형인 흡입유로(H)를 통한 공기 흡입량은 감소될 수 있다. 즉, 토출패널(2)의 흡입유로(16)는 단면 형상이 사각형이거나 최대한 사각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hape of the control unit 17 is a rectangle, the quadrangular control unit 17 may not be easily mounted on the suction passage H having a circular sectional shape. The quadrangular control unit 17 can overflow the area of the circular suction flow path H, and the air suction amount through the circular suction flow passage H can be reduced.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suction passage 16 of the discharge panel 2 is formed in a shape having a quadrangular cross section or a quadrilateral shape at the maximum.

<토출패널의 토출유로>&Lt; Discharge channel of discharge panel >

토출패널(2)에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패널(2)에는 복수의 송풍통로(7)(8)(9)(10)와 대응되는 복수의 입구(21)(22)(23)(24)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패널(2)에는 호 형상 또는 원 형상인 출구(25)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패널(2)에는 복수의 입구(21)(22)(23)(24)와 출구(25)를 연결하는 연결유로(26)가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inlet may be formed in the discharge panel 2. The discharge panel 2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lets 21, 22, 23, 24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blowing passages 7, 8, 9, The discharge panel 2 may be formed with an arc-shaped or circular-shaped outlet 25. The discharge panel 2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ing flow passage 26 fo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inlets 21, 22, 23, 24 and the outlet 25.

토출패널(2)의 토출유로(18)는 복수의 입구(21)(22)(23)(24)와, 연결유로(26)와, 출구(2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charge passage 18 of the discharge panel 2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lets 21, 22, 23 and 24, a connecting passage 26 and an outlet 25.

실내기(1)의 송풍통로(7)(8)(9)(10)에서 토출된 공기는 복수의 입구(21)(22)(23)(24)를 통해 연결유로(26)로 유입될 수 있고, 연결유로(26)를 통과한 공기는 출구(25)를 통해 토출패널(2)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blowing passages 7, 8, 9 and 10 of the indoor unit 1 can be introduced into the connecting flow passage 26 through the plurality of inlets 21, 22, 23 and 24 And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26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ischarge panel 2 through the outlet 25. [

<토출패널의 입구><Inlet of ejection panel>

토출패널(2)에 형성된 입구(21)(22)(23)(24)는 실내기(1)에 형성된 송풍통로(7)(8)(9)(10)와 1:1 대응될 수 있다.The inlets 21, 22, 23 and 24 formed in the discharge panel 2 can correspond one to one with the ventilation passages 7, 8, 9 and 10 formed in the indoor unit 1.

토출패널(2)에 형성된 입구(21)(22)(23)(24)는 좌측 송풍통로(7)와 상하방향으로 연통되는 좌측 입구(21)와, 우측 송풍통로(8)와 상하방향으로 연통되는 우측 입구(22)와, 전방측 송풍통로(9)와 상하방향으로 연통되는 전방측 입구(23)와, 후방측 송풍통로(10)와 상하방향으로 연통되는 후방측 입구(2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lets 21, 22, 23 and 24 formed in the discharge panel 2 are provided with a left inlet 21 communicating with the left ventilation passage 7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left inlet 21 communicating with the right ventilation passage 8 in the vertical direction A front side inlet 23 communicating with the front side airflow passage 9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rear side inlet 24 communicating with the rear side airflow passage 10 in the vertical direction, .

좌측 입구(21)와 우측 입구(22)는 토출패널(2)에 형성된 중공부(16)를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좌측 입구(21)와 우측 입구(22)는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좌측 입구(21)와 우측 입구(22) 각각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The left inlet 21 and the right inlet 22 may be spaced apart in the left-right direction with the hollow portion 16 formed in the discharge panel 2 interposed therebetween. The left inlet 21 and the right inlet 22 may be elongat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each other. Each of the left inlet 21 and the right inlet 22 may be elonga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전방측 입구(23)와 후방측 입구(24)는 토출패널(2)에 형성된 중공부(16)를 사이에 두고 전후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전방측 입구(23)와 후방측 입구(24)는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전방측 입구(23)와 후방측 입구(24) 각각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side inlet 23 and the rear side inlet 24 can be spaced apart in the front-rear direction with the hollow portion 16 formed in the discharge panel 2 interposed therebetween. The front side inlet 23 and the rear side inlet 24 may be elongat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each other. Each of the front side inlet 23 and the rear side inlet 24 may be elongat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입구의 크기 및 형상><Size and shape of inlet>

복수의 입구(21)(22)(23)(24) 각각의 단면 크기는 복수의 송풍통로(7)(8)(9)(10) 각각의 단면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Sectional siz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inlets 21, 22, 23 and 24 may be equal to the cross-sectional siz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passages 7, 8, 9,

입구(21)(22)(23)(24)의 단면 형상은 송풍통로(7)(8)(9)(1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Sectional shapes of the inlet ports 21, 22, 23 and 24 may be the same as those of the blowing passages 7, 8, 9,

입구(21)(22)(23)(24)의 단면 형상은 다각형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입구(21)(22)(23)(24)의 다각형 형상은 적어도 하나의 꼭지점 부분이 소정 곡률을 갖게 라운드지게 형성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tional shapes of the openings 21, 22, 23, and 24 may be polygonal. Here, the polygonal shape of the inlets 21, 22, 23, and 24 may include a shape in which at least one vertex portion is rounded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입구(21)(22)(23)(24)의 단면 형상은 송풍통로(7)(8)(9)(10)의 단면 형상과 같이, 사각형 특히, 직사각형 일 수 있다. 여기서, 입구(21)(22)(23)(24)의 직사각형 형상은 수평방향으로 긴 장방향 형상일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변이나 적어도 하나의 꼭지점이 라운드진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tional shapes of the inlets 21, 22, 23 and 24 may be rectangular, in particular rectangular, as in the sectional shape of the air passage 7, 8, 9, Here, the rectangular shape of the openings 21, 22, 23 and 24 may be a long rectangular shap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t least one side or at least one vertex may include a rounded shape.

이하, 입구(21)(22)(23)(24)를 다각형 입구(21)(22)(23)(24)로 칭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entrances 21, 22, 23 and 24 will be described as the polygonal openings 21, 22, 23 and 24, respectively.

다수의 다각형 입구(21)(22)(23)(24)는 실내기(1)의 송풍통로(7)(8)(9)(10)와 같이, 사각형 가상선(19B, 도 7 및 도 8 참조)를 따라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다수의 다각형 입구(21)(22)(23)(24)는 사각형 가상선(19B)의 각 변에 1개씩 형성될 수 있다. The polygonal openings 21, 22, 23 and 24 of the plurality of polygonal openings 24 are arranged in a rectangular virtual line 19B (Figs. 7 and 8), as in the case of the ventilation passages 7, 22, 23, and 24 may be formed along each side of the rectangular virtual line 19B. The polygonal openings 21, 22, 23, and 24 may be formed along one side of the rectangular virtual line 19B.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토출패널(2)의 사각형 가상선(19B)과 도 4에 도시된 실내기(1)의 사각형 가상선(19A)은 그 크기가 같고, 상하방향으로 일치될 수 있다. The rectangular imaginary line 19B of the discharge panel 2 shown in Figs. 7 and 8 and the rectangular imaginary line 19A of the indoor unit 1 shown in Fig. 4 are equal in size and can be alig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

<토출패널의 출구>&Lt; Exit of discharge panel &

출구(25)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에서 공조된 공기가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토출구일 수 있다. The outlet 25 may be an air outlet through which air circulated in the ceiling-type air condition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eiling-type air conditioner.

출구(25)는 다각형 입구(21)(22)(23)(24) 보다 개수가 작을 수 있다. 출구(25)는 복수개 다각형 입구(21)(22)(23)(24) 각각 보다 크기가 클 수 있다. The outlet 25 may be smaller in number than the polygonal openings 21, 22, 23 and 24. The outlet 25 may be larger in size than each of the plurality of polygonal openings 21, 22, 23 and 24.

<출구의 형상 및 개수><Shape and number of outlet>

출구(25)는 호 형상일 수 있고, 이 경우, 토출패널(2)에는 복수의 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출구(25)는 호 형상일 경우, 복수의 출구(25)는 토출패널(2)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고, 원형 가상선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출구(25)가 호 형상일 경우, 호 형상은 'C'자 형상과 같은 우호 형상이나 열호 형상이나 반원 형상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The outlet 25 may be arc-shaped, and in this case, a plurality of outlets may be formed in the discharge panel 2. When the outlet 25 is arc-shaped, the plurality of outlets 25 may be spaced apar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ischarge panel 2, and may be formed along a circular imaginary line. In the case where the outlet 25 is arc-shaped, the arc-like shape may have the same shape as a 'C' shape, or a shape including a heat or semicircular shape.

출구(25)는 원 형상일 수 있고, 이 경우, 토출패널(2)에는 하나의 출구(25)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출구(25)가 원형일 경우, 원형은 타원 형상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고, 그 단면 형상은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outlet 25 may have a circular shape, and in this case, one outlet 25 may be formed in the discharge panel 2. Here, when the outlet 25 is circular, the circle may have an elliptical shape, and its sectional shape may be formed in a closed loop shape.

출구(25)는 연결유로(26)를 통과한 공기가 토출패널(2)의 외부로 토출되는 개구부일 수 있다.The outlet 25 may be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connecting passage 26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ischarge panel 2. [

토출패널(2)은 실내기(1)의 하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실내로 노출될 수 있고, 출구(25)는 토출패널(2)의 저면과 함께 실내로 노출될 수 있다.The discharge panel 2 can be exposed to the room while being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door unit 1 and the outlet 25 can be exposed to the room together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charge panel 2. [

<토출패널의 연결유로>&Lt; Connection channel of discharge panel >

연결유로(26)는 다각형 입구(21)(22)(23)(24)로 유입된 공기를 출구(25)로 안내할 수 있다. The connecting flow passage 26 can guid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polygonal openings 21, 22, 23 and 24 to the outlet 25.

연결유로(26)는 복수의 다각형 입구(21)(22)(23)(24)로 흡입된 공기의 기류를 전환하여 출구(25)로 안내하는 기류전환 토출통로일 수 있다. 연결유로(26)는 복수의 다각형 입구(21)(22)(23)(24)로 흡입된 공기를 혼합하여 출구(25)로 안내하는 기류혼합 토출통로일 수 있다.The connection passage 26 may be an air flow switching discharge passage for switching the air flow of the air sucked into the plurality of polygonal openings 21, 22, 23 and 24 and guiding the air flow to the outlet 25. The connecting flow path 26 may be an air flow mixed discharge path for mixing the air sucked into the plurality of polygonal inlets 21, 22, 23 and 24 and guiding the mixed air to the outlet 25.

<입구와 연결유로의 관계 및 출구와 연결유로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inlet and connection channel and relationship between outlet and connection channel>

복수의 다각형 입구(21)(22)(23)(24)는 연결유로(26)의 공기 유동방향 일단에 위치할 수 있고, 출구(25)는 연결유로(26)의 공기 유동방향 타단에 위치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polygonal openings 21, 22, 23 and 24 may be located at one end of the connecting flow passage 26 in the air flow direction and the outlet 25 may be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flow passage 26 in the air flowing direction can do.

<연결유로의 형상><Shape of connection channel>

연결유로(26)는 수평방향 단면 형상이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유로(26)는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커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onnecting passage 26 may have a closed cross-sectional shap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connecting passage 26 may be formed in such a shape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increases toward the lower side.

연결유로(26)는 수직기류를 수평기류를 전환하게 형성될 수 있고, 이를 위해 그 수직방향 단면 형상이 굽은 형상일 수 있다. 연결유로(26)는 수직방향 단면 형상이 하측으로 갈수록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는 형상일 수 있다. The connecting passage 26 may be formed to switch the vertical airflow to the horizontal airflow, and the vertical sectional shape thereof may be curved. The connecting passage 26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extends in the outward direction toward the lower side.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다수의 다각형 입구(21)(22)(23)(24)가 위치하는 사각형 가상선(19B)은 출구(25) 보다 높을 뿐만 아니라 출구(25)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각형 가상선(19B)의 변과 출구(25) 사이의 제1거리(D1)는 사각형 가상선(19B)의 꼭지점과 출구(25) 사이의 제2거리(D2)와 상이할 수 있다. 7 and 8, the rectangular imaginary line 19B in which the plurality of polygonal inlets 21, 22, 23 and 24 are located is formed not only higher than the outlet 25 but also smaller than the outlet 25 . In this case, the first distance D1 between the sides of the quadrangular imaginary line 19B and the outlet 25 may be different from the second distance D2 between the vertex of the quadrangular imaginary line 19B and the outlet 25 have.

제1거리(D1)는 제2거리(D2) 보다 길 수 있고, 사각형 가상선(19B)과 원형인 출구(25) 사이의 거리는 원주방향을 따라 증가와 감소를 반복할 수 있다. 제1거리(D1)는 사각형 가상선(19B)의 꼭지점과 가까워질수록 점차 감소될 수 있다. The first distance D1 may be longer than the second distance D2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quadrilateral imaginary line 19B and the circular exit 25 may repeat the increase and decreas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first distance D1 can be gradually reduced as it approaches the vertex of the rectangular virtual line 19B.

연결유로(26)는 이러한 거리 차(D1-D2)를 고려하여, 원주방향으로 그 수평방향 폭(D3)(D4)이 동일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ng flow paths 26 may be formed such that their horizontal widths D3 and D4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re not the same in consideration of the distance difference D1-D2.

연결유로(26)의 수평방향 폭(D3)(D4)은 출구(25)를 따라 교대로 증가하였다가 감소할 수 있고, 증가와 감소를 반복할 수 있다. The horizontal widths D3 and D4 of the connecting flow passage 26 can be alternately increased and decreased along the outlet 25 and repeatedly increased and decreased.

연결유로(26)는 다각형 입구(21)(22)(23)(24)와 위치관계에 따라, 다각형 입구(21)(22)(23)(24)의 아래에 형성된 제1영역(26A)과, 다각형 입구(21)(22)(23)(24)의 주변 아래에 형성된 제2영역(26B)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necting flow path 26 has a first region 26A formed under the polygonal openings 21, 22, 23 and 24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al relationship with the polygonal openings 21, 22, And a second area 26B formed below the periphery of the polygonal openings 21, 22, 23 and 24.

제2영역(26B)은 수평방향으로 제1영역(26A) 옆에 위치될 수 있다. The second region 26B may be positioned beside the first region 26A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제1영역(26A)과 제2영역(26B)은 토출패널(2)의 원주방향으로 출구(25)를 따라 교대로 위치될 수 있다. The first region 26A and the second region 26B may be alternately disposed along the outlet 25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ischarge panel 2. [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영역(26A)의 수평방향 폭(D3)은 제2영역(26B)의 수평방향 폭(D4) 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수평방향 폭(D3)(D4) 비교는 동일한 높이에서의 비교이다.7 and 8, the horizontal width D3 of the first region 26A may be greater than the horizontal width D4 of the second region 26B. Here, the horizontal widths D3 and D4 are compared at the same height.

제1영역(26A)의 수평방향 폭(D3)은 제2영역(28B)과 가까워질수록 점차 감소될 수 있다. The horizontal width D3 of the first region 26A can be gradually reduced as it gets closer to the second region 28B.

도 7을 참조하면, 제1영역(26A)의 수평방향 폭(D3)은 출구(25)를 따라 시계방향으로 증가되었다가 감소되고, 제2영역(26B)의 수평방향 폭(D4)은 출구(25)를 따라 시계방향으로 감소되었다가 증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영역(26A)의 수평방향 폭(D3) 평균은 제2영역(26B)의 수평방향 폭(D4) 평균 보다 클 수 있다. 7, the horizontal width D3 of the first region 26A is increased and decreased clockwise along the outlet 25 and the horizontal width D4 of the second region 26B is increased May be decreased clockwise along the line 25 and then increased. In this case, the horizontal direction D3 average of the first region 26A may be larger than the horizontal direction D4 average of the second region 26B.

연결유로(26)의 상단(26C)은 다수의 다각형 입구(21)(22)(23)(24)과 출구(25) 중 다수의 다각형 입구(21)(22)(23)(24)와 더 가까운 영역일 수 있다. 이러한 상단(26C)의 단면형상은 전체적으로 사각형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단(26C)의 꼭지점 부분은 굽은 형상일 수 있다. The upper end 26C of the connecting passage 26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polygonal openings 21, 22, 23 and 24 among the plurality of polygonal openings 21, 22, 23 and 24 and an outlet 25, May be closer.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upper end 26C is formed in a rectangular ring shape as a whole, and the vertex portion of the upper end 26C may be curved.

연결유로(26)의 하단은 출구(25)일 수 있고, 그 단면 형상은 원형 형상일 수 있다.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assage 26 may be the outlet 25, and the sectional shape thereof may be a circular shape.

연결유로(26)는 그 상단(26C)의 형상과 출구(25)의 형상에 대응되기 위해 그 상단(26C)에서 출구(25)로 갈수록 사각형 고리 형상에서 점차 원형에 가까워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passage 26 may be formed to have a shape gradually becoming round from the upper end 26C to the outlet 25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upper end 26C and the shape of the outlet 25 have.

연결유로(26)의 상단(26C)은 다각형 입구(21)(22)(23)(24)의 아래에 위치하고 제1곡률을 갖는 영역(이하, 제1곡률 영역(26D)이라 칭함)과, 다각형 입구(21)(22)(23)(24)의 주변 아래에 위치되고 제1곡률 보다 큰 제2곡률을 갖는 영역(이하, 제2곡률 영역(26E))을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end 26C of the connecting flow passage 26 is divided into a region having a first curvatur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curvature region 26D) located below the polygonal openings 21, 22, 23 and 24,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cond curvature region 26E) located below the periphery of the polygonal openings 21, 22, 23, 24 and having a second curvature larger than the first curvature.

제2곡률 영역(26E)은 제1곡률 영역(26D)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영역일 수 있다. 즉, 제1곡률 영역(26D)과 제2곡률 영역(26E)은 연결유로(26)의 상단(26C)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교대 위치될 수 있다.The second curvature region 26E may be a region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first curvature region 26D. That is, the first curvature region 26D and the second curvature region 26E can be alternately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upper end 26C of the coupling flow path 26. [

그리고, 출구(25)는 제1곡률 보다 큰 제3곡률을 갖을 수 있다. 출구(25)의 제3곡률은 제2곡률과 같거나 작거나 클 수 있다.And the outlet 25 may have a third curvature greater than the first curvature. The third curvature of the outlet 25 may be equal to, less than, or greater than the second curvature.

연결유로(26)는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그 단면 형상이 점차 원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nection passage 26 gradually becomes closer to the circular shape as it goes downward.

연결유로(26) 중 제1곡률영역(26D)의 아래에 위치하는 유로는 그 곡률이 점차 증가하는 형상일 수 있다. The flow path located below the first curvature region 26D of the connection flow path 26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curvature gradually increases.

연결유로(26) 중 제2곡률영역(26E)의 아래에 위치하는 유로는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그 곡률이 일정하거나 점차 감소되거나 점차 증가되는 형상일 수 있다.The flow path located below the second curvature region 26E of the coupling flow path 26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curvature thereof is constant or gradually decreases or gradually increases in a downward direction.

제2곡률이 제3곡률과 동일할 경우, 연결유로(26) 중 제2곡률영역(26E)의 아래에 위치하는 유로는 하측방향으로 곡률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When the second curvature is equal to the third curvature, the flow path located below the second curvature region 26E of the coupling flow path 26 can be kept constant in the downward direction.

제2곡률이 제3곡률보다 작을 경우, 연결유로(26) 중 제2곡률영역(26E)의 아래에 위치하는 유로는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곡률이 점차 증가될 수 있다.When the second curvature is smaller than the third curvature, the curvature of the flow path located below the second curvature region 26E of the coupling flow path 26 may gradually increase toward the lower direction.

제2곡률이 제3곡률보다 클 경우, 연결유로(26) 중 제2곡률영역(26E)의 아래에 위치하는 유로는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곡률이 점차 감소될 수 있다.When the second curvature is larger than the third curvature, the curvature of the flow path located below the second curvature region 26E of the coupling flow path 26 may gradually decrease toward the lower direction.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작동시, 다수의 다각형 입구(21)(22)(23)(24)를 통과한 공기는 제1영역(26A)으로 낙하될 수 있고, 이러한 공기 중 일부는 제1영역(26A)에서 출구(25)로 유동된 후 출구(25)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제1영역(26A)으로 낙하된 공기 중 나머지는 제1영역(26A)에서 제2영역(26B)으로 유동된 후, 제2영역(26B)에서 출구(25)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In operation of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the air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polygonal openings 21, 22, 23 and 24 can be dropped into the first area 26A, (26A) to the outlet (25) and then through the outlet (25). On the other hand, the rest of the air that has fallen into the first region 26A can be discharged from the first region 26A to the second region 26B and then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25 from the second region 26B .

즉, 본 실시 예는 다수의 다각형 입구(21)(22)(23)(24)로 유입된 공기가 연결유로(26)에서 수평방향으로 넓게 퍼지면서 출구(25)로 토출될 수 있고,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출구(25)의 전체 영역으로 공조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polygonal openings 21, 22, 23 and 24 can be discharged to the outlet 25 while sprea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connection passage 26, Type air conditioner can discharge conditioned air to the entire area of the outlet 25.

<흡입패널><Suction panel>

흡입패널(3)은 후술하는 이너 유로바디(6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패널(3)은 일부가 로어 중공부(68)을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흡입 패널(3)은 이너 유로바디(60)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 패널(3)에는 공기가 로어 중공부(68)로 흡입되기 위해 통과하는 다수의 통공(31)이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통공은 그 전부 또는 일부가 로어 중공부(68)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The suction panel 3 may be disposed below the inner flow body 60 described later. The suction panel 3 may be arranged such that a portion of the suction panel 3 faces the lower hollow portion 68. The suction panel 3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passage body 60. The suction panel 3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1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nto the lower hollow portion 68.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may be all or part of the lower hollow portion 68.

여기서, 통공(31)은 실내의 공기가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흡입구일 수 있다.Here, the through hole 31 may be an air intake port through which the air in the room is sucked into the ceiling-type air conditioner.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토출패널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인 유로바디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인 유로바디의 일부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인 유로바디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인 유로바디가 도시된 저면도이고, 도 1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너 유로 바디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너 유로바디의 평면도이다.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jection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ain passage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cross- FIG. 15 is a bottom view of a main flow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is a bottom view of the main flow bod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n inner flow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7 is a plan view of an inner flow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토출패널(2)은 메인 유로바디(50)와, 메인 유로바디(50)와 결합된 이너 유로바디(60)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패널(2)은 송풍통로(7)(8)(9)(10)를 통과한 공기를 연결유로(26)로 안내하는 아우터 커버(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토출패널(2)은 메인 유로바디(50)에 결합된 데코 커버(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ischarge panel 2 may include a main flow body 50 and an inner flow body 60 coupled to the main flow body 50. The discharge panel 2 may further include an outer cover 70 for guiding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air blowing passages 7, 8, 9 and 10 to the connecting flow path 26. The discharge panel 2 may further include a decor cover 90 coupled to the main flow body 50.

토출패널(2)은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54)(64)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어 통과할 수 있다. 공기는 한 쌍의 가이드(54)(64)가 안내하는 방향으로 토출 안내될 수 있다. The discharge panel 2 can pass air through a pair of spaced guides 54, The air can be discharged and guid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ir of guides 54, 64 guide.

<한 쌍의 가이드><One pair of guides>

한 쌍의 가이드(54)(64) 중 어느 하나는 메인 유로바디(50)에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의 가이드(54)(64) 중 다른 하나는 이너 유로바디(60)에 형성될 수 있다. Any one of the pair of guides 54 and 64 may be formed in the main flow path body 50 and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guides 54 and 64 may be formed in the inner flow path body 60 have.

이러한 한 쌍의 가이드(54)(64)는 상대적으로 외측에 위치하는 아우터 가이드(54)와, 아우터 가이드(54)의 내측에 아우터 가이드(54)와 이격되게 위치하는 이너 가이드(6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air of guides 54 and 64 includes an outer guide 54 positioned on the outer side and an inner guide 64 positioned on the inner side of the outer guide 54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guide 54 can do.

<아우터 가이드 및 이너 가이드 각각의 위치 및 연결유로>&Lt; Location of each outer guide and inner guide and connecting channel >

아우터 가이드(54)는 메인 유로바디(50)에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가이드(54)는 메인 유로바디(50)의 내둘레면에 형성될 수 있다. The outer guide 54 may be formed in the main flow path body 50. The outer guide 54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flow path body 50.

그리고, 이너 가이드(64)는 이너 유로바디(6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64)는 이너 유로바디(60)의 외둘레면에 형성될 수 있다. The inner guide 64 may be formed in the inner passage body 60. The inner guide 64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passage body 60.

연결유로(26)는 이너 가이드(64)와 아우터 가이드(5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유로(26)는 입구(21)(22)(23)(24)로 유입된 공기를 출구(25)로 안내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ssage 26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guide 64 and the outer guide 54. The connecting flow passage 26 can guid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lets 21, 22, 23 and 24 to the outlet 25.

<토출패널의 중공부><Hollow section of discharge panel>

토출패널(2)은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중공부(16)가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중공부(16)는 토출패널(2)의 내둘레를 따라 평면(F1)과 곡면(R1)이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The discharge panel 2 can be formed with a hollow portion 16 open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the hollow portion 16 is formed so that the plane F1 and the curved surface R1 alternate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discharge panel 2. [ As shown in FIG.

중공부(16)는 서로 직교한 한 쌍의 평면(F1)이 곡면(R1)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한 쌍의 곡면(R1)이 평면(F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중공부(16)는 4개의 평면(F1)과 4개의 곡면(R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The hollow portion 16 can be connected by a curved surface R1 and a pair of curved surfaces R1 can be connected by a plane F1. The hollow portion 16 may be formed by four planes F1 and four curved surfaces R1.

중공부(16)는 메인 유로바디(50) 및 이너 유로바디(6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유로바디(50)에 형성된 어퍼 중공부(20)와 이너 유로바디(60)에 형성된 로어 중공부(68)는 상하방향으로 연통될 수 있다. The hollow portion 16 may be formed in the main flow path body 50 and the inner flow path body 60, respectively. The upper hollow portion 20 formed in the main flow path body 50 and the lower hollow portion 68 formed in the inner flow path body 60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어퍼 중공부(20) 및 로어 중공부(68)는 그 형상이 동일할 수 있고, 그 각각은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F1)과 곡면(R1)을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hollow portion 20 and the lower hollow portion 68 may have the same shape and each of them may include a plane F1 and a curved surface R1 as shown in Figures 14 to 16 .

<메인 유로바디><Main Eurobody>

메인 유로바디(50)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어퍼 중공부(20)가 형성될 수 있다. 어퍼 중공부(20)는 흡입패널(3)을 통과한 공기가 실내기(1)로 흡입되기 위해 통과하는 흡입유로(16)로 기능할 수 있다. 어퍼 중공부(20)는 흡입패널(3)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고, 실내기(1)의 이너 흡입공(6)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The main channel body 50 may be formed with an upper hollow portion 20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upper hollow portion 20 can function as a suction passage 16 through which the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suction panel 3 passes to be sucked into the indoor unit 1. [ The upper hollow portion 20 can be positioned above the suction panel 3 and can be positioned below the inner suction hole 6 of the indoor unit 1. [

메인 유로바디(50)는 외둘레와 어퍼 중공부(20)의 사이에 복수의 입구(21)(22)(23)(24)를 형성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 main flow path body 50 may have an opening formed between the outer periphery and the upper hollow portion 20 to form a plurality of inlets 21, 22, 23 and 24.

<메인 유로바디의 크기><Size of main main body>

메인 유로바디(50)는 실내기(1)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실내기(1)의 하부에서 실내기(1)를 가릴 수 있다. 메인 유로바디(50)는 상하 방향으로 실내기(1)를 마주보는 영역과, 상하 방향으로 실내기(1)의 주변을 마주보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잇다. The main flow path body 50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indoor unit 1 and may cover the indoor unit 1 at a lower portion of the indoor unit 1. [ The main flow body 50 may include a region facing the indoor unit 1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region facing the periphery of the indoor unit 1 in the vertical direction.

<메인 유로바디의 서비스홀 및 데코 커버><Service hall and deco cover of Main Eurobodies>

메인 유로바디(50)에는 실내기(1)를 천장에 체결하는 체결부(12)를 마주보는 서비스홀(59)이 형성될 수 있다. 서비스홀(59)은 체결부(12)의 개수만큼 메인 유로바디(50)에 형성될 수 있다. 서비스홀(59)은 상하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개구부일 수 있다. 서비스홀(59)은 옆면이 개방될 수 있다. 토출패널(2)은 서비스홀(59)을 가리는 데코 커버(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코 커버(90)는 토출패널(2)의 테두리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A service hole 59 may be formed in the main flow path body 50 so as to face the coupling part 12 for coupling the indoor unit 1 to the ceiling. The service holes 59 may be formed in the main flow path body 50 by the number of the fastening portions 12. The service hole 59 may be an opening formed to be opened in the up-and-down direction. The service hole 59 may be open at its side. The discharge panel 2 may further include a decor cover 90 for covering the service hole 59. The decorative cover 90 can form the rim appearance of the discharge panel 2. [

<메인 유로바디의 상세 구조><Detailed structure of main flow body>

메인 유로바디(50)는 어퍼 바디부(51)와, 아우터 바디부(52)와, 연결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ain flow body 50 may include an upper body portion 51, an outer body portion 52, and a connecting portion 53.

어퍼 바디부(51)는 중앙에 어퍼 중공부(20)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어퍼 바디부(51)는 어퍼 바디부(52) 보다 큰 아우터 바디부(52)와 연결부(53)로 연결될 수 있다. The upper body part 51 may be formed so that the upper hollow part 20 passes through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center. The upper body part 51 may be connected to the outer body part 52, which is larger than the upper body part 52, by a connection part 53.

아우터 바디부(52)는 어퍼 바디부(51)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바디부(52)의 높이는 어퍼 바디부(51)의 높이 보다 낮을 수 있다. The outer body portion 52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upper body portion 51. The height of the outer body portion 52 may b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upper body portion 51.

연결부(53)는 높이 및 크기가 상이한 어퍼 바디부(51)와 아우터 바디부(52)를 연결할 수 있다. The connecting portion 53 can connect the upper body portion 51 and the outer body portion 52, which are different in height and size.

<메인 유로바디의 어퍼 바디부><Upper body part of main flow body>

어퍼 바디부(51)는 폐루프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어퍼 바디부(51)의 내둘레면(51A)은 어퍼 중공부(20)를 형성할 수 있다. The upper body portion 51 may be formed in a closed loop cross-sectional shap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51A of the upper body portion 51 can form the upper hollow portion 20. [

어퍼 중공부(20)는 단면 형상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되, 네 꼭지점 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어퍼 바디부(51)의 내둘레면(51A)은 내둘레면을 따라 평면(F1)과 곡면(R1)이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The upper hollow portion 20 may have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and four vertexes may be rounde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51A of the upper body portion 51 may be formed alternately with the plane F1 and the curved surface R1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어퍼 바디부(51)는 아우터 커버(70)와 함께 연결유로(26)의 상부유로를 구성할 수 있다. The upper body part 51 may constitute an upper flow path of the connection flow path 26 together with the outer cover 70.

어퍼 바디부(51)는 다각형 입구(21)(22)(23)(24)를 형성할 수 있고, 다각형 입구(21)(22)(23)(24)의 아래에 위치하는 부분이 아우터 커버(70)와 함께 연결유로(26)의 상부유로를 구성할 수 있다. The upper body portion 51 can form the polygonal openings 21, 22, 23 and 24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polygonal openings 21, 22, 23, The upper flow path of the connection flow path 26 can be formed together with the upper flow path 70.

어퍼 바디부(51)의 외둘레면(51B)는 연결부(53) 및 아우터 커버(70)와 함께 다각형 입구(21)(22)(23)(24)를 형성할 수 있다. 다각형 입구(21)(22)(23)(24)는 어퍼 바디부(51)와 연결부(53)와 아우터 커버(7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51B of the upper body part 51 may form the polygonal openings 21, 22, 23 and 24 together with the connecting part 53 and the outer cover 70. [ The polygonal openings 21, 22, 23 and 24 may be formed between the upper body part 51, the connecting part 53 and the outer cover 70.

어퍼 바디부(51)의 외둘레면(51B)은 아우터 커버(70)의 일면(70A)과 이격될 수 있다. 다각형 입구(21)(22)(23)(24)는 어퍼 바디부(51)의 외둘레면(51B)과 아우터 커버(70)의 일면(70A)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51B of the upper body portion 51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ne surface 70A of the outer cover 70. [ The polygonal openings 21, 22, 23 and 24 may be vertically penetrat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51B of the upper body portion 51 and the one surface 70A of the outer cover 70 .

어퍼 바디부(51)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되, 네 꼭지점 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upper body part 51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four vertexes may be rounded.

어퍼 바디부(51)의 외둘레면은 어퍼 평면(F2)과, 어퍼 평면(F2) 보다 낮은 로어 곡면(R3)(R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아우터 커버(70)는 어퍼 평면(F2) 및 로어 곡면(R3)(R4)을 수평방향으로 마주보는 일면(70A)을 갖을 수 있다.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upper body portion 51 may include an upper plane F2 and lower curved surfaces R3 and R4 lower than the upper plane F2. The outer cover 70 may have one surface 70A facing the upper plane F2 and the lower curved surfaces R3 and R4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어퍼 평면(F2)은 연결부(53) 및 아우터 커버(70)와 함께, 다각형 입구(21)(22)(23)(24)를 형성할 수 있다. The upper plane F2 can form the polygonal openings 21, 22, 23 and 24 together with the connecting portion 53 and the outer cover 70. [

로어 곡면(R3)(R4)은 아우터 커버(70)와 함께 연결유로(26)의 상부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The lower curved surfaces R3 and R4 may form the upper flow path of the coupling flow path 26 together with the outer cover 70. [

어퍼 바디부(51)는 어퍼 평면(F2)이 형성된 어퍼 가이드(51C)와, 외둘레면을 따라 로어 곡면(R3)(R4)이 형성된 로어 가이드(51D)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body portion 51 may include an upper guide 51C formed with an upper plane F2 and a lower guide 51D formed with lower curved surfaces R3 and R4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어퍼 평면(F2)은 수평방향으로 긴 평면일 수 있고, 수평방향으로 아우터 커버(70)의 일면(70A)를 마주볼 수 있다. The upper plane F2 may be a horizontally long plane and face one side 70A of the outer cover 7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다각형 입구(21)(22)(23)(24)는 어퍼 평면(F2)과 연결부(53)의 측단(53C)과, 아우터 커버(70)의 일면(70A) 사이에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polygonal openings 21, 22, 23 and 24 are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between the upper plane F2 and the side ends 53C of the connecting portions 53 and one surface 70A of the outer cover 70 .

로어 곡면(R3)(R4)는 평면에 가까운 곡률을 갖는 곡면일 수 있다. 다각형 입구(21)(22)(23)(24)를 통과한 공기는 로어 곡면(R3)(R4)에 안내될 수 있다.The lower curved surface R3 (R4) may be a curved surface having a curvature close to the flat surface.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olygonal openings 21, 22, 23 and 24 can be guided to the lower curves R3 and R4.

로어 곡면(R3)(R4)은 수평방향으로 아우터 커버(70)의 일면(70A)를 마주보는 영역(R3, 이하 제3영역이라 칭함)과, 수평방향으로 연결부(53)을 마주보는 영역(R4, 이하, 제4영역이라 칭함)을 포함할 수 있다. The lower curved face R3 and the lower curved face R4 have a region R3 facing the one side 70A of the outer cover 7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region facing the connecting portion 53 in the horizontal direction R4,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ourth region).

제3영역(R3)과 아우터 커버(70)의 일면(70A) 사이는 다각형 입구(21)(22)(23)(24)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는 영역일 수 있다. The third region R3 and the one side 70A of the outer cover 70 may be regions where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polygonal openings 21, 22, 23, and 24 is introduced.

그리고, 제4영역(R4)과 연결부(53)의 사이는 서로 인접한 다각형 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혼합될 수 있는 공간일 수 있다. The space between the fourth region R4 and the connecting portion 53 may be a space in which the air sucked through the adjacent polygonal openings can be mixed.

제3영역(R3)과 제4영역(R4)은 곡률이 서로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The third region R3 and the fourth region R4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ir curvatur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3영역(R3)은 평면에 가까운 곡면일 수 있고, 제3영역(R3)의 곡률은 제4영역(R4)의 곡률 보다 작을 수 있다. The third region R3 may be a curved surface close to the plane and the curvature of the third region R3 may be smaller than the curvature of the fourth region R4.

제4영역(R4)은 제3영역(R3) 보다 더 굽은 형상일 수 있다. The fourth region R4 may be more curved than the third region R3.

어퍼 바디부(51)의 로어 곡면(R3)(R4)과 아우터 커버(70)의 일면(70A) 사이에는 토출패널(2)의 반경방향으로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빈 공간의 수평방향 폭은 토출패널(2)의 원주방향으로 증가와 감소를 반복할 수 있다. An empty space can be form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discharge panel 2 between the lower curved surface R3 of the upper body portion 51 and one surface 70A of the outer cover 70, The direction width can be repeatedly increased and decreas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ischarge panel 2.

<아우터 바디부><Outer body part>

메인 유로바디(50)는 이너 가이드(64)와 이격되는 아우터 가이드(54)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가이드(54)는 이너 가이드(64)를 향해 볼록한 아우터 곡면(55)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가이드(54)는 아우터 바디부(52)의 일부일 수 있다. The main channel body 50 may include an outer guide 54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guide 64. The outer guide 54 may include an outer curved surface 55 which is convex toward the inner guide 64. The outer guide 54 may be a part of the outer body 52.

아우터 바디부(52)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장착부(56)과, 장착부(56)의 내둘레에 형성된 아우터 가이드(54)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er body portion 52 may include a ring-shaped mounting portion 56 and an outer guide 54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mounting portion 56.

<아우터 바디부의 장착부><Mounting portion of outer body portion>

장착부(56)는 고리형 판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56)에는 아우터 커버(70)와 데코 커버(90)와 승강가이드(110)가 장착될 수 있다.The mounting portion 56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n annular plate. The outer cover 70, the decor cover 90, and the elevation guide 110 may be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56. [

<아우터 바디부의 아우터 가이드><Outer guide of outer body part>

아우터 가이드(54)는 이너 유로바디(60)의 외둘레면을 마주볼 수 있다. 아우터 가이드(54)에는 이너 유로바디(60)을 향해 볼록한 아우터 곡면(55)이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guide 54 can fac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passage body 60. The outer guide 54 may be formed with an outer curved surface 55 which is convex toward the inner passage body 60.

아우터 가이드(54)는 이너 유로바디(60)를 향해 볼록한 아우터 곡면(55)이 형성된 제1가이드(54A)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가이드(54)는 후술하는 사이드 연결부(53B)와 연결된 제2가이드(54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outer guide 54 may include a first guide 54A having an outer curved surface 55 which is convex toward the inner channel body 60. [ The outer guide 54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guide 54B connected to a side connection portion 53B described later.

제1가이드(54A)와 제2가이드(54B)는 아우터 가이드(54)를 따라 교대로 위치될 수 있다. The first guide 54A and the second guide 54B may be alternately disposed along the outer guide 54. [

제1가이드(54A)는 하부로 갈수록 크기가 점차 확장되는 확장부일 수 있다. The first guide 54A may be an enlarged portion that gradually expands in size.

아우터 곡면(55)은 제1가이드(54A) 중 이너 유로바디(60)의 외둘레면을 마주보는 면일 수 있다.The outer curved surface 55 may be a surface of the first guide 54A fac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flow body 60.

제2가이드(54B)는 상하방향으로 크기가 일정한 비확장부일 수 있다. The second guide 54B may be a non-expanding portion whose size is constant in the vertical direction.

<연결부><Connection>

연결부(53)는 상부가 어퍼 바디부(51)에 연결될 수 있고, 하부가 아우터 바디부(52)에 연결될 수 있다.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53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body portion 51, and the lower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outer body portion 52.

연결부(53)는 상부가 어퍼 바디부(51)의 외둘레에 연결될 수 있고, 하부가 아우터 바디부(52)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53)는 하부가 아우터 가이드(54)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53 may be connect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body portion 51 and the lower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outer body portion 52.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53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outer guide 54.

연결부(53)는 어퍼 연결부(53A)와 사이드 연결부(53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necting portion 53 may include an upper connecting portion 53A and a side connecting portion 53B.

어퍼 연결부(53A)는 어퍼 바디부(51)의 상단 외둘레에서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어퍼 연결부(53A)는 사이드 연결부(53B)와 직교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connecting portion 53A may extend horizontally at the upper end periphery of the upper body portion 51. [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53A may be formed orthogonal to the side connecting portion 53B.

어퍼 연결부(53A)는 상하방향으로 이너 유로바디(60)의 외둘레면을 마주볼 수 있다.The upper connecting portion 53A can fac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flow body 60 in the vertical direction.

어퍼 연결부(53A)는 어퍼 평면(F2)과 직교한 측단(53C)을 갖을 수 있고, 다각형 입구(21)(22)(23)(24)는 어퍼 바디부(51)의 어퍼 평면(F2)과, 어퍼 연결부(53A)의 측단(53C)과 아우터 커버(70)의 일면(70A)에 의해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53A may have a side end 53C perpendicular to the upper plane F2 and the polygonal openings 21, 22, 23 and 24 may be formed on the upper plane F2 of the upper body portion 51, And a side surface 53C of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53A and a side surface 70A of the outer cover 70. As shown in Fig.

사이드 연결부(53B)는 어퍼 연결부(53A)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아우터 바디부(52)에 연결될 수 있다. 사이드 연결부(53B)는 아우터 바디부(52)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The side connection portion 53B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upper connection portion 53A and may be connected to the outer body portion 52. [ The side connection portion 53B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body portion 52. [

사이드 연결부(53B)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어퍼 바디부(51)의 외둘레면(51B)에 형성된 제4영역(R4)을 수평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다.  The side connection portion 53B may be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face the fourth region R4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51B of the upper body portion 5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연결부의 개수 및 위치><Number and position of connection parts>

연결부(53)는 어퍼 바디부(51)와 아우터 바디부(52) 사이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부(53)는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53)의 개수는 입구(21)(22)(23)(24)의 개수와 같을 수 있다. 토출패널(2)은 인접한 한 쌍의 연결부(53) 사이에 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connection portions 53 may be formed between the upper body portion 51 and the outer body portion 52.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ortions 53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number of the connection portions 53 may be equal to the number of the inlets 21, 22, 23, The discharge panel 2 may have an inlet formed between a pair of adjacent connection portions 53.

<메인 유로바디의 내부 공간><Internal space of main main body>

메인 유로바디(50)는 내부에 저면이 개방된 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유로바디(50)는 아우터 가이드(54)의 내측에 저면이 개방된 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유로바디(50)의 공간(S2)은 어퍼 중공부(20)의 외둘레 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유로바디(50)의 공간(S2)는 연결부(53) 및 아우터 가이드(54)에 의해 둘러싸이는 빈 공간일 수 있다. The main flow path body 50 may have a space S2 in which a bottom surface is opened. The main flow path body 50 may have a space S2 opened at the bottom thereof on the inner side of the outer guide 54. [ The space S2 of the main flow path body 50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hollow portion 20. [ The space S2 of the main flow path body 50 may be an empty space surrounded by the connecting portion 53 and the outer guide 54. [

토출패널(2)은 에어가이드(100)가 통과하는 슬릿(57)이 형성될 수 있다. 슬릿(57)은 출구(25)의 옆 위에 형성될 수 있다. The discharge panel 2 may be provided with a slit 57 through which the air guide 100 passes. The slit 57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outlet 25.

<메인 유로바디의 슬릿><Slit of Main Euro Body>

메인 유로바디(50)에는 에어가이드(100)가 통과하는 슬릿(57)이 상하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슬릿(57)은 아우터 바디부(52)에 형성될 수 있다. 슬릿(57)은 아우터 바디부(52) 중 장착부(56)에 형성될 수 있다. 슬릿(57)은 에어가이드(100)와 형상이 동일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100)의 형상이 호 형상일 경우, 슬릿(57)은 호 형상일 수 있다. 슬릿(57)은 에어가이드(100) 보다 조금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슬릿(57)의 개수는 에어가이드(100)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The slit 57 through which the air guide 100 passes may be opened in the main flow path body 50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 slit 57 may be formed in the outer body portion 52. The slit 57 may be formed in the mounting portion 56 of the outer body portion 52. The slit 57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air guide 100. When the shape of the air guide 100 is arc-shaped, the slit 57 may be arc-shaped. The slit 57 may be formed slightly larger than the air guide 100. The number of the slits 57 may be the same as the number of the air guides 100.

메인 유로바디(50)에는 한 쌍의 리브(58)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의 리브(58) 사이에 슬릿(57))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100)는 슬릿(57)을 통과하면서 한 쌍의 리브(58)에 의해 승강 안내될 수 있고, 에어가이드(100)는 한 쌍의 리브(58)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다. A pair of ribs 58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main flow path body 50 and a slit 57 may be formed between the pair of ribs 58 in a vertical direction. The air guide 100 can be guided up and down by the pair of ribs 58 while passing through the slit 57 and the air guide 100 can be raised and lowered more stably by the pair of ribs 58 .

아우터 바디부(52)는 이너 유로바디(60)와 연결유로(26)의 하부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The outer body 52 may form the lower flow path of the inner flow path body 60 and the connecting flow path 26.

아우터 바디부(52)의 하단은 이너 유로바디(60)의 외둘레면 하단과 출구(25)를 형성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outer body portion 52 may form the lower end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flow body 60 and the outlet 25.

<이너 유로바디><Inner Euro Body>

이너 유로바디(60)는 어퍼 바디부(5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inner passage body 60 may be disposed below the upper body portion 51.

이너 유로바디(60)는 어퍼 중공부(20)의 주변에 결합되어 메인 유로바디(50)와 연결유로(26) 및 출구(25)를 형성할 수 있다. 출구(25) 및 연결유로(26)는 이너 유로바디(60)와 아우터 바디부(5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The inner channel body 60 may be coupled to the periphery of the upper hollow portion 20 to form the main channel body 50, the connection channel 26 and the outlet 25. The outlet 25 and the connecting passage 26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passage body 60 and the outer body portion 52.

이너 유로바디(60)는 그 상면(69)이 어퍼 중공부(20)의 주변에 결합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69 of the inner oil body 60 can be coupled to the periphery of the upper hollow portion 20. [

이너 유로바디(60)의 상면(69)은 어퍼 바디부(51)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69 of the inner passage body 60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ody portion 51.

이너 유로바디(60)는 하부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passage body 60 may be gradually expanded toward the lower portion.

이너 유로바디(60)는 공기가 통과하는 로어 중공부(68)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로어 중공부(68)는 흡입패널(3)을 통과한 공기가 실내기(1)로 흡입되기 위해 통과하는 흡입유로(16)로 기능할 수 있다.The inner channel body 60 may be formed with a lower hollow portion 68 through which the air pass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ower hollow portion 68 can function as a suction passage 16 through which the air having passed through the suction panel 3 is sucked into the indoor unit 1. [

송풍기(4)의 구동시, 이너 유로바디(60)의 로어 중공부(68)를 통과한 공기는 메인 유로바디(50)의 어퍼 중공부(20)를 통과하여 실내기(1)로 흡인될 수 있다.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lower hollow portion 68 of the inner flow body 60 can be sucked into the indoor unit 1 through the upper hollow portion 20 of the main flow path body 50 when the blower 4 is driven have.

아우터 커버(70)는 메인 유로바디(50)과 결합될 수 있고, 메인 유로바디(50)와 함께 입구(21)(22)(23)(24)를 형성할 수 있다. The outer cover 70 may be coupled to the main flow body 50 and may form an inlet 21, 22, 23, 24 together with the main flow body 50.

이너 유로바디(60)의 외둘레면은 상하방향으로 다각형 입구(21)(22)(23)(24)를 마주보는 입구 대향면(65A)과, 상하방향으로 연결부(53)를 마주보는 연결부 대향면(65B)을 포함할 수 있다.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channel body 60 has an inlet facing surface 65A facing the polygonal openings 21, 22, 23 and 24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may include an opposite surface 65B.

입구 대향면(65A)과 연결부 대향면(65B)은 이너 유로바디(60)의 외둘레면을 따라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The inlet facing surface 65A and the connecting portion facing surface 65B may be formed alternately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flow body 60. [

입구 대향면(65A)은 연결부 대향면(65A) 보다 더 완만할 수 있다.The inlet facing surface 65A may be more gentle than the connecting portion facing surface 65A.

이너 유로바디(60)의 상면(69)은 전체적으로 사각형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꼭지점 부분은 굽은 형상일 수 있다. The upper surface 69 of the inner passage body 60 is formed in a rectangular ring shape as a whole, and the vertex portion thereof may be curved.

이너 유로바디(60)의 상면(69) 외둘레는 제3영역(R3)와 곡률이 같은 제5영역(R5)와, 제4영역(R4)와 곡률이 같은 제6영역(R6)을 포함할 수 있다. 제5영역(R5)와 제6영역(R6)는 이너 유로바디(60)의 외둘레를 따라 교대로 위치될 수 있다.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surface 69 of the inner flow body 60 includes a fifth region R5 having the same curvature as the third region R3 and a sixth region R6 having the same curvature as the fourth region R4 can do. The fifth region R5 and the sixth region R6 may be alternately dispos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passage body 60. [

이너 유로바디(60)의 하단(67)은 원형 형상일 수 있다. The lower end 67 of the inner passage body 60 may have a circular shape.

이너 유로바디(60)의 외둘레면(65)은 이너 유로바디(60)의 상면 외둘레 형상과 이너 유로바디(60)의 하단(67) 형상에 대응되기 위해 이너 유로바디(60)의 상면 외둘레에서 이너 유로바디(60)의 하단(67)으로 갈수록 사각형 고리 형상에서 점차 원형에 가까워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65 of the inner passage body 6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passage body 60 so as to correspon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hap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passage body 60 and the lower end 67 shape of the inner passage body 60. [ And may have a shape gradually becoming round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to the lower end (67) of the inner flow body (60).

<이너 유로바디의 위치 및 형상>&Lt; Position and shape of inner flow body >

이너 유로바디(60)는 상부가 메인 유로바디(50)의 공간(S2)에 삽입되어 수용되고 하단이 메인 유로바디(50) 보다 낮을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inner flow body 60 may be inserted into the space S2 of the main flow body 50 and the lower end of the inner flow body 60 may be lower than the main flow body 50. [

이너 유로바디(60)는 하부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64)의 상단은 아우터 가이드(54)를 수평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다. 그리고, 이너 가이드(64)의 하단은 아우터 가이드(54)를 상하 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다. The inner passage body 60 may be gradually expanded toward the lower portion. The upper end of the inner guide 64 can face the outer guide 54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lower end of the inner guide 64 can face the outer guide 54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너 유로바디(60)는 외둘레면에 이너 가이드(6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너 유로바디(60)의 외둘레에는 이너 곡면(6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64)는 이너 곡면(6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 가이드(64)의 외둘레면은 이너 곡면(65)일 수 있고, 이하 이너 가이드(64)의 외둘레면과 이너 곡면에 대해서는 동일 도면부호 '6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The inner passage body 60 may have an inner guide 64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 inner curved surface 65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flow body 60. The inner guide 64 may include an inner curved surface 65.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guide 64 may be the inner curved surface 65.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inner curved surface of the inner guide 64 will be described by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 65 '.

이너 가이드(64)는 오목하게 함몰된 이너 곡면(6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 곡면(65)은 상단(66)이 아우터 곡면(55)을 수평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다. 이너 곡면(65)의 상단(66)은 이너 유로바디(60)의 상면(69) 외둘레일 수 있다. 이너 곡면(65)은 하단(67)이 아우터 곡면(55)을 상하 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다. The inner guide 64 may include an inner curved surface 65 recessed and recessed. The inner curved surface 65 can face the outer curved surface 55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upper end 66 of the inner curved surface 65 may be outside the upper surface 69 of the inner flow body 60. The lower end 67 of the inner curved surface 65 can face the outer curved surface 55 in the vertical direction.

연결유로(26) 중 하부유로는 이너 가이드(64)와 아우터 가이드(5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A lower flow path of the connecting flow path 26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guide 64 and the outer guide 54. [

출구(25)는 이너 가이드(64)의 하부 외둘레와 아우터 가이드(5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The outlet 25 may be formed between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ner guide 64 and the outer guide 54.

이너 유로바디(60)는 아우터 가이드(54)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는 출구단(67)을 포함할 수 있다. 출구단(67)은 이너 곡면(65)의 하단(67)과 동일할 수 있고, 이하, 이너 곡면(65)의 하단과 출구단은 동일 도면부호 '6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The inner flow body 60 may include an outer guide 67 and an outlet end 67 spaced apart from the outer guide. The outlet end 67 may be the same as the lower end 67 of the inner curved surface 65 and the lower end and the outlet end of the inner curved surface 65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 67. [

<이너 유로바디의 출구단 및 아우터 가이드>&Lt; Outlet end of inner body and outer guide &

출구단(67)은 아우터 가이드(54)와 출구(25)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출구(25)는 출구단(67)과 아우터 가이드(54)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The outlet end 67 can form an outer guide 54 and an outlet 25. That is, the outlet 25 may be formed between the outlet end 67 and the outer guide 54.

이너 유로바디(60)의 출구단(67)은 이너 가이드(64)의 하부 외둘레일 수 있다. 이너 가이드(64)의 하단은 이너 가이드(64)의 하부 외둘레일 수 있고, 이너 유로바디(60)의 출구단(67)은 이너 가이드(64)의 하단일 수 있다. The outlet end 67 of the inner flow body 60 may be the lower outer periphery of the inner guide 64. The lower end of the inner guide 64 may be the lower outer edge of the inner guide 64 and the outlet end 67 of the inner flow path body 60 may be the lower end of the inner guide 64. [

이너 유로바디(60)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The inner passage body 60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members.

이너 유로바디(60)는 외둘레면의 적어도 일부가 메인 유로바디(50)를 마주보게 배치되어 메인 유로바디(50)와 출구(25) 및 연결유로(26)를 형성하는 유로형성바디(61)와, 유로형성바디(61)와 결합된 강도보강바디(62)를 포함할 수 있다.At least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oil body 60 faces the main flow body 50 to form a flow path forming body 61 for forming the main flow body 50 and the outlet 25 and the connecting flow path 26 And an intensity-strengthening body 62 coupled with the flow-path forming body 61.

<유로형성바디><Flow forming body>

유로형성바디(61)는 상단이 어퍼 바디부(51)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유로형성바디(61)는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유로형성바디(61) 중 외둘레는 이너 가이드(64)일 수 있다. The upper portion of the flow path forming body 61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body portion 51. The flow path forming body 61 may have a hollow portion open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nside there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low path forming body 61 may be the inner guide 64. [

<강도보강바디><Strength reinforcement body>

강도보강바디(62)는 유로형성바디(61)의 하면에 결합되는 로어보강바디(62A)와, 로어보강바디(62A)의 내둘레에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유로형성바디(61)의 중공부로 내삽된 상부보강바디(62B)를 포함할 수 있다. 강도보강바디(62)는 상부보강바디(62B)에 돌출된 강도보강리브(62C)를 포함할 수 있다. 강도보강리브(62C)는 유로형성바디(61)의 내둘레면에 형성된 끼움슬롯에 삽입될 수 있고, 유로형성바디(61)와 결합될 수 있다. The strength reinforcing body 62 includes a lower reinforcing body 62A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flow path forming body 61 and a lower reinforcing body 62B formed to protrude upwar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lower reinforcing body 62A, And an upper reinforcing body 62B interpolated into the hollow portion. The strength reinforcing body 62 may include a strength reinforcing rib 62C protruding from the upper reinforcing body 62B. The strength reinforcing rib 62C can be inserted into the fitting slot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ow path forming body 61 and can be engaged with the flow path forming body 61. [

<아우터 커버> <Outer cover>

아우터 커버(70)는 어퍼 바디부(51)와 이격되게 장착될 수 있다. 아우터 커버(70)는 승강가이드(110)와 아우터 바디부(52)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The outer cover 70 may be mount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body portion 51. The outer cover 70 may b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the elevation guide 110 and the outer body 52.

아우터 커버(70)는 아우터 바디부(52)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 배치될 수 있다.At least one outer cover 7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body portion 52.

아우터 커버(70)는 승강기구(120)를 덮을 수 있다. 아우터 커버(70)는 승강기구(120)를 보호하는 승강기구 커버일 수 있다. 아우터 커버(70)는 승강기구(120)와 승강가이드(110)를 함께 덮을 수 있다. The outer cover 70 may cover the lifting mechanism 120. The outer cover 70 may be an elevator cover for protecting the elevator mechanism 120. The outer cover 70 may cover the elevating mechanism 120 and the elevating guide 110 together.

아우터 커버(70)에는 승강가이드(110)가 수용되는 승강가이드 수용공간(S4)이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cover 70 may be provided with a lift guide receiving space S4 in which the lift guide 110 is received.

승강가이드 수용공간(S4)에는 승강가이드(110)와 승강기구(120)가 수용될 수 있다.The elevating guide 110 and the elevating mechanism 120 can be accommodated in the elevating guide accommodating space S4.

아우터 커버(70)는 제1가이드(54A)에 안착될 수 있고, 다각형 입구(21)(22)(23)(23)로 유입된 공기를 제1가이드(54A)로 안내할 수 있고, 다각형 입구로 유입된 공기는 아우터 커버(70)의 일면(70A)을 따라 제1가이드(54A)로 안내될 수 있고, 이러한 공기는 제1가이드(54A)의 아우터 곡면(55)을 따라 출구(25)로 유동될 수 있다. The outer cover 70 can be seated on the first guide 54A and guid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polygonal openings 21, 22, 23 and 23 to the first guide 54A,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let can be guided to the first guide 54A along one side 70A of the outer cover 70 and this air flows along the outer curved surface 55 of the first guide 54A to the outlet 25 ). &Lt; / RTI &gt;

<아우터 커버의 상세 구조><Detailed structure of outer cover>

아우터 커버(70)의 일면(70A)은 상부가 입구를 형성하고, 이러한 일면(70A) 중 상부는 곡면이 아닌 평면일 수 있다. One surface 70A of the outer cover 70 forms an entran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one surface 70A may be a flat surface, not a curved surface.

아우터 커버(70)는 승강가이드(110)의 상면 및 승강기구(120)를 덮는 어퍼 커버부(71)와, 어퍼 커버부(71)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된 유로바디부(72)와, 어퍼 커버부(71)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승강가이드(110)의 외둘레면 전부 또는 일부를 덮는 사이드 커버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uter cover 70 includes an upper cover portion 71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on guide 110 and the elevation mechanism 120, a flow path body portion 7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cover portion 71, And a side cover portion 73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over portion 71 and covering the whole or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evation guide 110.

<아우터 커버의 유로바디부>&Lt; Flow body of outer cover >

유로바디부(72)는 메인 유로바디(50)와 입구(21)(22)(23)(24)를 형성할 수 있다. 유로바디부(72)는 어퍼 바디부(51)와 이격되게 아우터 가이드(54)에 배치될 수 있다. 유로바디부(72)는 어퍼 바디부(51)의 외면을 마주볼 수 있고, 어퍼 바디부(51)의 외면과 유로바디부(72) 사이에 입구(21)(22)(23)(24)가 형성될 수 있다. The channel body 72 may form the main channel body 50 and the inlets 21, 22, 23 and 24. The channel body 72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guide 54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body portion 51. The channel body 72 may face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body part 51 and may be provided with an inlet 21, 22, 23, 24 May be formed.

아우터 커버(70)의 개수는 입구(21)(22)(23)(24)의 개수와 같을 수 있다. The number of the outer covers 70 may be equal to the number of the openings 21, 22, 23,

유로바디부(72)는 어퍼 바디부(51) 및 연결부(53)와 함께 연결유로(26)의 상부유로를 구성할 수 있다. 유로바디부(72)는 하단이 아우터 가이드(54)의 상단에 접촉될 수 있다. 유로바디부(72)의 하단은 아우터 가이드(54)의 상단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연결유로(26) 중 상부유로는 어퍼 바디부(51)와 유로바디부(7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유로바디부(72)는 어퍼 바디부(51)의 외둘레면(51B)에 형성된 제2영역(F)을 마주볼 수 있다. 유로바디부(72)는 이러한 제2영역(F)을 마주보는 면이 평평한 판형일 수 있다. The channel body 72 may constitute an upper channel of the connection channel 26 together with the upper body part 51 and the connection part 53. The lower end of the channel body 72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outer guide 54. The lower end of the channel body 72 may be seated and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 outer guide 54. [ The upper flow path of the connection flow path 26 may be formed between the upper body portion 51 and the flow path body portion 72. The flow path body 72 may face the second region F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51B of the upper body portion 51. [ The channel body 72 may be a plate having a flat surface facing the second region F. [

아우터 커버(70)는 유로바디부(72)와 사이드 커버부(73) 사이에 승강가이드(110)의 일부 및 승강기구(12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커버(70)의 수용공간은 저면이 개방될 수 있다. The outer cover 70 may be formed with a space for accommodating a part of the elevation guide 110 and the elevating mechanism 120 between the flow path body 72 and the side cover portion 73. The receiving space of the outer cover 70 can be opened at the bottom surface.

사이드 커버부(73)는 하단이 승강가이드(110) 또는 장착부(56)에 접촉될 수 있다. 사이드 커버부(73)의 하단은 승강가이드(110) 또는 장착부(56)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The lower end of the side cover portion 73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levation guide 110 or the mounting portion 56. The lower end of the side cover portion 73 may be seated and supported on the elevation guide 110 or the mounting portion 56.

아우터 커버(70)의 수용공간은 유로바디부(72)와 사이드 커버부(73)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그 상면이 어퍼 커버부(71)에 막히고, 저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receiving space of the outer cover 70 may be formed between the flow path body 72 and the side cover portion 73 and the upper surface thereof may be clogged with the upper cover portion 71, have.

<데코 커버><Deco cover>

데코 커버(90)는 장착부(56)의 하면을 덮는 하판(91)과, 하판(91)의 외둘레에서 돌출된 중공 통부(92)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공 통부(92)는 아우터 바디부(52)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중공 통부(92)는 아우터 바디부(52)의 외둘레면(52A)을 둘러싸서 보호할 수 있다.The decorative cover 90 may include a lower plate 91 covering the lower surface of the mounting portion 56 and a hollow cylindrical portion 92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plate 91. [ The hollow cylinder portion 92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outer body portion 52. The hollow cylindrical portion 92 can surround and protec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52A of the outer body portion 52. [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수평 기류를 형성할 때의 단면도이고, 도 19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수직 기류를 형성할 때의 단면도이고, 도 20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아우터 커버와, 에어가이드와, 승강가이드가 함께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아우터 커버를 승강가이드에서 분리하였을 때의 사시도이다.FIG. 1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eiling-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horizontal airflow is formed, FIG. 19 is a sectional view of a ceiling-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er cover, an air guide, and an elevation guid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2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uter cover shown in FIG. 20 separated from the elevation guid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출구(25)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 방향을 안내하는 에어가이드(1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ir guide 100 for guiding the air flow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25.

<에어가이드><Air guide>

에어가이드(100)는 메인 유로바디(50)에 승강되게 배치되어 출구(25)로 토출된 공기의 기류를 가변할 수 있다. The air guide 100 is disposed on the main flow body 50 so as to be elevated and lowered, and can change the air flow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outlet 25.

에어가이드(100)는 굽은 형상일 수 있다. 에어가이드(100)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ir guide 100 may have a curved shape. The air guide 10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or in an arc shape.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원형 형상인 하나의 에어가이드가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호 형상인 다수의 에어가이드(100)가 서로 독립적으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can be configured such that a circular air guide having a circular shape can be raised and lowered, and a plurality of arc-shaped air guides 100 can be independently elevably arranged.

에어가이드(100)는 승강되면서 공기의 유로를 전환할 수 있는 유로가이드일 수 있다. 에어가이드(100)는 출구(25)에서 토출된 공기의 기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The air guide 100 may be a flow guide capable of switching the flow path of air while being lifted and lowered. The air guide 100 can change the air flow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outlet 25. [

<단수개의 에어가이드><Single Air Guid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단수개의 에어가이드(100)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may include a single air guide 100.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하나의 에어가이드(100)를 포함하는 경우 원형 형상인 하나의 에어가이드(100)가 메인 유로바디(50)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원형 에어가이드(100)가 상승되었을 때 수평기류를 형성할 수 있고, 하나의 원형 에어가이드(100)가 하강되었을 때 수직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원형 에어가이드(100)의 승강에 따라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수평기류만을 형성하거나 하나의 수직기류만을 형성할 수 있다.When the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includes one air guide 100, one air guide 100 having a circular shape may be disposed in the main flow path body 50. In this case,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can form a horizontal airflow when one circular air guide 100 is lifted, and can form a vertical air flow when one circular air guide 100 is lowered. That is, according to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f the circular air guide 100,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can form only one horizontal air flow or only one vertical air flow.

<복수개의 에어가이드><Multiple air guides>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복수개의 에어가이드(100)를 포함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복수개의 에어가이드(100)를 포함하는 경우 호 형상인 다수의 에어가이드(100)가 독립적으로 메인 유로바디(50)에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air guides 100. When the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includes a plurality of air guides 100, a plurality of arc-shaped air guides 100 may be independently disposed in the main flow path body 50.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다수의 호 형상 에어가이드(100)를 포함할 수 있고, 다수의 호 형상 에어가이드(100)가 서로 독립적으로 승강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에어가이드 중 일부는 상승되어 수평기류를 형성할 수 있고, 나머지 에어가이드는 하강되어 수직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다수의 호 형상 에어가이드(100)가 서로 독립적으로 승강될 경우,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수평기류와 수직기류가 혼합된 입체적 기류를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입체적 기류는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arcuate air guides 100, and a plurality of arcuate air guides 100 may be raised and lower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n this case, a part of the plurality of air guides may be raised to form a horizontal air flow, and the remaining air guides may be lowered to form a vertical air flow. That is, when a plurality of arcuate air guides 100 are independently raised and lowered, the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can form a three-dimensional air flow in which a horizontal air stream and a vertical air stream are mixed, and these three- have.

<출구 위치와, 아우터 가이드의 하단 위치 및 에어가이드의 하단 위치>&Lt; the exit position, the lower end position of the outer guide, and the lower end position of the air guide &

출구(25)는 이너 유로바디(60)의 출구단(67)과 아우터 가이드(54)의 하단(54C) 사이일 수 있다. The outlet 25 may be between the outlet end 67 of the inner flow body 60 and the lower end 54C of the outer guide 54. [

이너 유로바디(60)의 중심축부터 아우터 가이드(54)의 하단(54C)까지의 거리(D5)는 이너 유로바디(60)의 중심축부터 출구단(67)까지의 거리(D6) 보다 길 수 있다. The distance D5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inner passage body 60 to the lower end 54C of the outer guide 54 is longer than the distance D6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inner passage body 60 to the outlet end 67 .

메인 유로바디(50)의 중심축부터 에어 가이드(100)의 하단(103)까지 거리(D7)는 이너 유로바디(60)의 중심축부터 출구단(67)까지의 거리(D5) 보다 길 수 있다. The distance D7 from the center axis of the main flow body 50 to the lower end 103 of the air guide 100 is longer than the distance D5 from the center axis of the inner flow body 60 to the outlet end 67 have.

<실내기 내부의 공기 유동>&Lt; Air flow inside the indoor unit >

송풍기(4)의 구동시, 실내의 공기는 흡입그릴(3)를 통과한 후 토출패널(2)의 어퍼 중공부(20)를 통과하여 실내기(1) 내부로 상승될 수 있다.When the blower 4 is driven, the air in the room can pass through the suction grille 3 and then pass through the upper hollow portion 20 of the discharge panel 2 and can be raised into the indoor unit 1.

실내기(1)의 내부로 상승된 공기는 송풍기(4)에 의해 열교환기(5)로 유동될 수 있고, 열교환기(5)를 통과하면서 열교환기(5)와 열교환될 수 있다. 열교환기(5)와 열교환된 공기는 복수의 송풍통로(7)(8)(9)(10)을 통과해 실내기(1)를 빠져나올 수 있다. 실내기(1)에서는 복수의 토출기류가 하측 방향으로 송풍될 수 있다. The air that has risen into the interior of the indoor unit 1 can be flowed to the heat exchanger 5 by the blower 4 and can be exchanged with the heat exchanger 5 while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 5. [ The heat-exchanged air with the heat exchanger 5 can exit the indoor unit 1 through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passages 7, 8, 9 and 10. In the indoor unit 1, a plurality of discharge air flows can be blown downward.

<토출패널의 공기 유동>&Lt; Air flow of discharge panel >

복수의 송풍통로(7)(8)(9)(10)를 통과한 공기는 토출패널(2)의 입구(21)(22)(23)(24)로 분산되어 토출패널(2)의 연결유로(26)로 유입될 수 있다. 토출패널(2)의 연결유로(26)로 유입된 공기는 아우터 가이드(54)와 이너 가이드(64)의 안내를 받으면서 그 유동방향이 수평에 가까운 유로로 전환될 수 있고, 출구(25)를 통해 출구(25)의 주변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lurality of air passages 7, 8, 9 and 10 is dispersed into the inlets 21, 22, 23 and 24 of the discharge panel 2, And may flow into the flow path 26.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onnection passage 26 of the discharge panel 2 can be converted into a flow path whose flow direction is nearly horizontal while being guided by the outer guide 54 and the inner guide 64,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let (25).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승강기구(120)에 의해 에어가이드(100)를 승강시키는 것에 의해 출구(25)로 토출된 공기의 기류를 가변할 수 있다.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can vary the air flow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outlet 25 by raising and lowering the air guide 100 by the elevating mechanism 120. [

<에어가이드 상승시 기류><Air flow when air guide ascends>

먼저, 승강기구(120)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가이드(100)를 상승시키면, 에어가이드(100)는 하단(103)이 아우터 가이드(54)의 하단(54C)과 접하는 높이로 상승될 수 있다. 18, when the elevating mechanism 120 raises the air guide 100, the air guide 100 has a height at which the lower end 103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54C of the outer guide 54 Can be increased.

에어가이드(100)는 슬릿(57) 내부로 깊숙히 상승되었을 때, 슬릿(57)의 아래에 위치하는 부분이 없거나 최소화될 수 있다. When the air guide 100 is raised deeply into the slit 57, the portion located under the slit 57 can be absent or minimized.

이 경우, 아우터 가이드(54)의 아우터 곡면(55)에 안내되는 공기는 에어가이드(100)의 하단(103)을 따라 데코 커버(90)로 안내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air guided to the outer curved surface 55 of the outer guide 54 can be guided to the decor cover 90 along the lower end 103 of the air guide 100.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연결유로(26)를 통과하는 공기 중 일부는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에 의해 아우터 가이드(54)의 아우터 곡면(55)에 붙어 유동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some of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onnecting passage 26 may flow on the outer curved surface 55 of the outer guide 54 by a Coanda effect.

아우터 가이드(54)의 아우터 곡면(55)을 따라 유동되는 공기는 에어가이드(100)의 하단(103)을 따라 코안다 효과가 유지되면서 데코 커버(90)의 저면으로 유동될 수 있다.The air flowing along the outer curved surface 55 of the outer guide 54 can flow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decor cover 90 while maintaining the coanda effect along the lower end 103 of the air guide 100. [

이 경우, 출구(25)를 통과한 공기는 에어가이드(100)의 하단 및 데코 커버(90)의 저면를 따라 안내되면서, 수평에 가까운 기류로 토출될 수 있고, 출구(25)로 토출된 공기는 실내로 넓게 퍼지면서 분산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outlet 25 is guided along the lower end of the air guide 10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decor cover 90, It can be dispersed widely in the room.

<에어가이드 하강시 기류><Air flow when air guide descends>

한편, 승강기구(110)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가이드(100)를 하강시키면, 에어가이드(100)는 하단(103)을 포함하는 일부가 슬릿(57) 아래로 하강될 수 있고, 이때, 에어가이드(100)는 아우터 가이드(54)와 데코 커버(90) 사이에서 하측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19, when the air guide 100 is lowered, a part including the lower end 103 of the air guide 100 can be lowered below the slit 57 At this time, the air guide 100 may be arranged to protrude downward between the outer guide 54 and the decor cover 90.

상기와 같은 에어가이드(100)의 하강시, 에어가이드(100)의 이너 안내면(101)은 이너 가이드(64)의 이너 곡면(65)를 수평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다.The inner guide surface 101 of the air guide 100 can face the inner curved surface 65 of the inner guide 64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air guide 100 is lowered as described above.

출구(25)를 통과한 공기는 그 일부가 에어가이드(100)의 이너 안내면(101)에 부딪힌 후 그 유동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A part of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outlet 25 can be switched in its flow direction after hitting the inner guide surface 101 of the air guide 100. [

에어가이드(100)의 이너 안내면(101)에 부딪힌 공기는 에어가이드(100)에 막혀 수평방향으로 유동되지 못하고, 에어가이드(100)의 이너 안내면(101)이 안내하는 방향인 하측 방향으로 그 유동방향이 꺾일 수 있다.  Air striking the inner guide surface 101 of the air guide 100 is clogged by the air guide 100 and can not flow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flows in the downward direct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ner guide surface 101 of the air guide 100 guides The direction can be broken.

특히, 아우터 가이드(54)의 아우터 곡면(55)을 따라 유동되는 공기는 에어가이드(100)의 이너 안내면(101)에 부딪힌 후 그 유동방향이 하측 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다.Particularly, the air flowing along the outer curved surface 55 of the outer guide 54 hits the inner guide surface 101 of the air guide 100, and then the flow direction thereof can be switched to the downward direction.

출구(25)로 토출된 공기는 에어가이드(100)에 안내되면서 수직에 가까운 기류로 토출 안내될 수 있고, 이 경우 출구(25)로 토출된 공기는 이너 곡면(65)은 하단(67) 주변을 지나 하측 방향으로 집중 토출될 수 있다.The air discharged to the outlet 25 can be discharged and guided to an air stream close to vertical while being guided by the air guide 100. In this case, the air curved surface 65 is discharged to the vicinity of the lower end 67 And can be concentratedly discharged in the downward direction.

<에어가이드 높이와 기류의 관계>&Lt; Relation between air guide height and airflow >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에어가이드(100)의 높이가 높을수록 수평에 가까운 기류를 형성할 수 있고, 에어가이드(100)의 높이가 낮을수록 수직에 가까운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The ceiling-type air conditioner can form a near-horizontal airflow as the height of the air guide 100 increases, and the airflow closer to vertical can be formed as the height of the air guide 100 becomes lower.

<기류 조절 셋트><Air flow regulation se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 커버(70)와 에어가이드(100)와, 승강가이드(110)와, 적어도 하나의 승강기구(120)가 기류 조절 셋트(A)(B)(C)(D)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기류 조절 셋트(A)(B)(C)(D)는 복수개가 원형의 가상선(O)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20 and 21, an outer cover 70, an air guide 100, an elevation guide 110, and at least one elevating mechanism 120 are installed in an airflow regulating set (not shown) A) (B) (C) (D). A plurality of the airflow regulating sets A, B, C, and D may be arranged along a virtual line O of a circular shape.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4개의 에어가이드(100)가 원형 가상원(O)을 따라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승강기구(120)는 4개의 에어가이드(100) 중 제1 에어가이드에 연결된 제1승강기구와, 4개의 에어가이드(100) 중 제2 에어가이드에 연결된 제2승강기구와, 4개의 에어가이드(100) 중 제3 에어가이드에 연결된 제3승강기구와, 4개의 에어가이드(100) 중 제4 에어가이드에 연결된 제4승강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four air guides 100 may be disposed along the circular virtual circle O. In this case, the elevator mechanism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air guides 100 connected to the first air guide 100, A second elevator mechanism connected to the second air guide among the four air guides 100 and a third elevator mechanism connected to the third air guide among the four air guides 100, And a fourth lift mechanism connected to the fourth air guide.

제1승강기구 내지 제4승강기구 각각은 모터(122)를 포함할 수 있고, 제1승강기구 내지 제4승강기구 각각의 모터(122)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부(미도시)에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elevator gear through the fourth elevator gear may include a motor 122. The motors 122 of the first elevator gear through the fourth elevator gear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ceiling- Can be independently controlled.

도 22는 에어가이드와 승강가이드와 승강기구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에어가이드 및 승강가이드를 A 방향에서 바라봤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24는 도 22에 도시된 에어가이드 및 승강가이드를 B 방향에서 바라봤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25는 도 22에 도시된 승강가이드를 에어가이드에서 분리했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26은 발광기구와 연결된 하네스가 고정부에 고정된 모습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7은 발광기구와 연결된 하네스 및 제어부에 연결된 하네스가 고정부에 고정된 모습이 도시된 사시도이다.2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ir guide and the elevation guide shown in Fig. 22 when viewed in the direction A, Fig. 2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ir guide, elevation guide, and elevation mechanism shown in Fig. 22 Fig. 25 i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air guide and the elevation guide are viewed from the direction B, Fig. 25 i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elevation guide shown in Fig. 22 is separated from the air guide, 2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arness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a harnes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fixed to the fixing unit.

<에어가이드의 상세구조><Detailed Structure of Air Guide>

에어가이드(100)는 출구(25) 외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출구(25)를 빠져 나온 공기를 안내할 수 있고, 아우터 에어가이드이거나 아우터 풍향조절부재이거나 아우터 유로가이드일 수 있다. 에어가이드(100)는 토출패널(2)에 출구(25)의 옆으로 하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출구(25)로 토출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The air guide 100 can guide air escaping from the outlet 25 while being positioned outside the outlet 25. The air guide 100 can be an outer air guide, an outer wind direction adjusting member, or an outer flow guide. The air guide 100 can be disposed on the discharge panel 2 so as to be able to descend to the side of the outlet 25 to guide the air discharged to the outlet 25. [

에어가이드(100)는 출구(25)로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104)와, 가이드부재(104)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기구(108)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guide 100 may include a guide member 104 for guiding the air flow direction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outlet 25 and a light emitting mechanism 108 for irradiating the guide member 104 with light.

에어가이드(100)에는 승강기구(120)와 연결되는 랙(106)이 구비될 수 있다. 랙(106)은 에어가이드(100)의 상부에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The air guide 100 may be provided with a rack 106 connected to the elevating mechanism 120. The rack 106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ir guide 100 so as to protrude upward.

<에어가이드의 가이드부재>&Lt; Guide member of air guide &

에어가이드(100)는 토출 공기의 유로를 전환하는 가이드부재(10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guide 100 may include a guide member 104 for switching the flow path of the discharged air.

가이드부재(104)는 단면 형상이 호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e member 104 has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가이드부재(104)에는 에어가이드(100)의 하강시 출구(25)를 마주보는 이너 안내면(101)이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member 104 may be formed with an inner guide surface 101 facing the outlet 25 when the air guide 100 descends.

이너 안내면(101)은 에어가이드(100)의 하강시 출구(25)를 수평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 이너 안내면(101)은 출구(25)를 수평방향으로 마주보는 오목한 면일 수 있다. The inner guide surface 101 can orient the outlet 25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air guide 100 is lowered. The inner guide surface 101 may be a concave surface facing the outlet 25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이너 안내면(101)은 에어가이드(100)의 하강시, 출구(25)를 통과한 공기를 직접 안내하는 유로 가이드면일 수 있다. 이너 안내면(101)은 출구(25)를 통과한 공기를 하측 방향으로 기류 전환하는 수직 가이드면일 수 있다. The inner guide surface 101 may be a guide surface for directly guiding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outlet 25 when the air guide 100 is lowered. The inner guide surface 101 may be a vertical guide surface for switching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outlet 25 to flow downward.

이너 안내면(101)은 수평방향으로 곡면일 수 있고, 수직방향으로 평면일 수 있다.The inner guide surface 101 may be a curved surfa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plane in the vertical direction.

에어가이드(100)의 상승시, 출구(25)로 토출된 공기는 에어가이드(100)의 하단(103)을 지날 수 있다.When the air guide 100 is lifted up, the air discharged to the outlet 25 can pass through the lower end 103 of the air guide 100.

에어가이드(100)의 하강시, 출구(25)로 토출된 공기는 에어가이드(100)의 가이드부재(104)에 부딪힌 후, 가이드부재(104)가 안내하는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The air discharged to the outlet 25 at the time of lowering of the air guide 100 can be guid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guide member 104 guides the air after hitting the guide member 104 of the air guide 100. [

출구(25)로 토출된 공기는 에어가이드(100)의 높이에 따라 에어가이드(100)의 하단(103)을 따라 유동되거나 에어가이드(100)의 가이드부재(104)에 부딪힌 후 그 유동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The air discharged to the outlet 25 flows along the lower end 103 of the air guide 100 or hits the guide member 104 of the air guide 100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air guide 100, Can be switched.

에어가이드(100)는 가이드부재(104)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발광기구(108, 도 25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ir guide 100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device 108 (see Fig. 25) for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guide member 104. Fig.

<발광기구><Light emitting device>

발광기구(108)는 에어가이드(100)의 일단을 향해 광을 조사하게 설치될 수 있다. 발광기구(108)는 에어가이드(100)에 설치된 피시비(108a)와, 피시비(108a) 중 에어가이드(100)의 일단을 향하는 면에 설치된 엘이디 등의 발광원(108b)을 포함할 수 있다. The light emitting device 108 may be installed to irradiate light toward one end of the air guide 100. The light emitting mechanism 108 may include a light source 108b such as an LED provided on a face of the package body 108a facing the one end of the air guide 100 and a package body 108a provided in the air guide 100. [

에어가이드(100)는 한 쌍의 발광기구(108)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발광기구(108) 중 어느 하나는 가이드부재(104)의 일측단을 마주보고, 한 쌍의 발광기구(108) 중 다른 하나는 가이드부재(104)의 타측단을 마주볼 수 있다.The air guide 100 may include a pair of light emitting devices 108. One of the pair of light emitting devices 108 faces one end of the guide member 104 and the other of the pair of light emitting devices 108 faces the other end of the guide member 104. [

발광기구(108)는 가이드부재(104)를 향해 광을 조사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device 108 can irradiate light toward the guide member 104. [

발광기구(108)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동작 상태에 따라 가이드부재(104)에 광을 조사할 수 있고, 사용자는 가이드부재(104)에 조사된 광을 통해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동작 상태를 알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mechanism 108 can irradiate the guide member 104 with light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nd the user can operate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through the light irradiated to the guide member 104 .

예를 들어, 발광기구(108)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전원 온/오프 상태, 동작 중인 운전모드의 종류 또는 기류제어신호 등에 따라 가이드부재(104)에 조사하는 광의 색상, 광량 등을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발광기구(108)는 기류제어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적어도 1회 디밍하는 등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광을 조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ight emitting mechanism 108 may control the color, light amount, and the like of the light irradiated to the guide member 104 according to the power on / off state of the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the type of operation mode in operation, .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108 can illuminate the light in various ways that can inform the user of the operation state of the ceiling-type air conditioner, such as dimming at least once upon receiving the airflow control signal have.

발광기구(108)는 제어부(17)로부터 광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광 제어신호에 따라 가이드부재(104)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device 108 can receive the light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7 and can irradiate the light to the guide member 104 in accordance with the received light control signal.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발광기구(108)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제어부(17)로부터 광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device 108 may receive a light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7 via wireless communication.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발광기구(108)는 유선 통신을 통해 제어부(17)로부터 광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발광기구(108)가 유선으로 광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하네스와 같은 신호 전송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device 108 can receive the light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7 via wired communication. The light emitting device 108 may include a signal transmission medium such as a harness to receive the light control signal by wire.

<발광기구 하네스 및 제어부 하네스><Light Emitting Mechanism Harness and Control Harness>

발광기구(108)는 제어부(17)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1 하네스(116)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기구(108)는 제어부(17)로부터 광 제어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1 하네스(116)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device 108 may include a first harness 116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the control unit 17. [ The light emitting device 108 may include a first harness 116 for receiving a light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7.

제1 하네스(116)는 발광기구(108)에 연결된 제1 와이어(116a)와, 제1 와이어(116a)에 연결된 제1 커넥터(11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터(116b)는 후술하는 제2 커넥터(117b)와 착탈 가능하다.The first harness 116 may include a first wire 116a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108 and a first connector 116b connected to the first wire 116a. The first connector 116b is detachable from the second connector 117b described later.

한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제어부(17)가 발광기구(108)로 광 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2 하네스(117)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하네스(117)는 제어부(17)와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may include a second harness 117 for the control unit 17 to transmit the light control signal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108, and the second harness 117 may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7 .

제2 하네스(117)는 제어부(17)에 연결된 제2 와이어(117a)와, 제2 와이어(117a)에 연결된 제2 커넥터(117b)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harness 117 may include a second wire 117a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7 and a second connector 117b connected to the second wire 117a.

제1 하네스(116)와 제2 하네스(117)는 연결될 수 있다. 제1 하네스(116)와 제2 하네스(117)는 제1 커넥터(116b)와 제2 커넥터(117b)의 착탈 상태에 따라 연결되거나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커넥터(116b)와 제2 커넥터(117b)가 결합되면 제1 하네스(116)와 제2 하네스(117)는 연결되고, 제1 커넥터(116b)와 제2 커넥터(117b)가 결합되지 않으면 제1 하네스(116)와 제2 하네스(117)는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The first harness 116 and the second harness 117 may be connected. The first harness 116 and the second harness 117 may be connected or disconnected depending on the detachment state of the first connector 116b and the second connector 117b. When the first connector 116b and the second connector 117b are engaged, the first harness 116 and the second harness 117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f the first connector 116b and the second connector 117b are not coupled The first harness 116 and the second harness 117 may not be connected.

제1 하네스(116)와 제2 하네스(117)가 연결되면 발광기구(108)와 제어부(17)는 상호간에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제1 하네스(116)와 제2 하네스(117)가 연결되면 제어부(17)는 발광기구(108)로 광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발광기구(108)는 제어부(17)로부터 광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광 제어신호에 따라 광을 조사할 수 있다.When the first harness 116 and the second harness 117 are connected, the light emitting device 108 and the control unit 17 can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o each other. That is, when the first harness 116 and the second harness 117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ontroller 17 can transmit the light control signal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108. The light emitting device 108 can receive the light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7 and can irradiate light according to the received light control signal.

에어가이드(100)는 발광기구(108)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발광기구 수용부(109)를 포함할 수 이다.The air guide 100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mechanism accommodating portion 109 in which the light emitting mechanism 108 is inserted and accommodated.

<발광기구 수용부>&Lt; Light emitting device accommodating part &

에어가이드(100)의 양 측단에는 발광기구(108)가 수용되는 발광기구 수용부(109)가 형성될 수 있다. At both ends of the air guide 100, a light emitting mechanism accommodating portion 109 accommodating the light emitting mechanism 108 may be formed.

발광기구(108)는 발광기구 수용부(109)에 수용되고, 승강가이드(110)는 발광기구(108) 및 발광기구 수용부(109)를 포함하는 에어가이드(100)를 수용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mechanism 108 is accommodated in the light emitting mechanism accommodating portion 109 and the elevation guide 110 can accommodate the air guide 100 including the light emitting mechanism 108 and the light emitting mechanism accommodating portion 109.

발광기구 수용부(109)는 발광기구(108)가 가이드부재(104)를 마주하도록 관통된 발광기구 개구부(109a)가 형성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mechanism accommodating portion 109 may be formed with a light emitting mechanism opening 109a through which the light emitting mechanism 108 faces the guide member 104. [

발광기구 수용부(109)에는 발광기구(108)에 연결된 제1 하네스(116)를 고정하는 제1 고정부(105)가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fixing part 105 for fixing the first harness 116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108 may be formed in the light emitting mechanism accommodating part 109. [

<하네스 고정부- 제1 고정부><Harness Higher Government - No. 1 Government>

에어가이드(100)에는 발광기구(108)에 연결된 제1 하네스(116)를 고정하는 제1 고정부(105)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부(105)는 발광기구 수용부(109)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air guide 100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fixing part 105 for fixing the first harness 116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108. The first fixing part 105 may be formed inside the light emitting mechanism accommodating part 109.

제1 고정부(105)는 제1 하네스(116)를 구성하는 제1 와이어(116a)를 고정시킬 수 있다.The first fixing part 105 can fix the first wire 116a constituting the first harness 116. [

제1 고정부(105)는 한 쌍의 리브일 수 있으며, 제1 와이어(116a)는 한 쌍의 리브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fixing portion 105 may be a pair of ribs, and the first wire 116a may be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pair of ribs.

에어가이드(100)는 제1 하네스(116)를 고정시킬 수 있는 제2 고정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ir guide 1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fixing part 115 to which the first harness 116 can be fixed.

<하네스 고정부- 제2 고정부><Harness Higher Government - Second Higher Government>

에어가이드(100)는 제1 고정부(105)와 제2 고정부(11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air guide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first fixing part 105 and the second fixing part 115.

제2 고정부(115)는 제1 하네스(116) 및 제2 하네스(117)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정시킬 수 있다.The second fixing part 115 may fix at least one of the first harness 116 and the second harness 117. [

제2 고정부(115)는 제1 하네스(116)의 제1 커넥터(116b)와 제2 하네스(117)의 제2 커넥터(117b)를 함께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고정부(115)는 결합된 상태의 제1 커넥터(116b)와 제2 커넥터(117b)를 고정시킬 수 있다.The second fixing part 115 can fix the first connector 116b of the first harness 116 and the second connector 117b of the second harness 117 together. The second fixing part 115 can fix the first connector 116b and the second connector 117b in the coupled state.

제2 고정부(115)는 제1 커넥터(116b)와 제2 커넥터(117b)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과 접촉되는 한 쌍의 리브(115a)와, 한 쌍의 리브(115a)의 일단과 이격되며 제1 커넥터(116b)가 걸리는 한 쌍의 제1 돌기(115b)와, 한 쌍의 리브(115a)의 타단과 이격되며 제2 커넥터(117b)가 걸리는 한 쌍의 제2 돌기(115c)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fixing portion 115 is provided with a pair of ribs 115a that are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connector 116b and the second connector 117b and a pair of ribs 115a spaced apart from one end of the pair of ribs 115a A pair of first protrusions 115b to which the first connector 116b is caught and a pair of second protrusions 115c that are spaced apart from the other ends of the pair of ribs 115a and to which the second connector 117b is caught can do.

한 쌍의 리브(115a)와, 한 쌍의 제1 돌기(115b) 및 한 쌍의 제2 돌기(115c) 사이에 결합된 제1 커넥터(116b)와 제2 커넥터(117b)가 수용되어 고정될 수 있다.A pair of ribs 115a and a first connector 116b and a second connector 117b coupled between the pair of first projections 115b and the pair of second projections 115c are accommodated and fixed .

제2 고정부(115)는 승강가이드(110)의 상판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고정부(115)는 한 쌍의 리브(115a), 한 쌍의 제1 돌기(115b), 한 쌍의 제2 돌기(115c) 및 결합된 제1 커넥터(116b)와 제2 커넥터(117b)가 위치하는 승강가이드(110)의 상판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fixing part 115 may include a part of the upper plate of the elevation guide 110. Specifically, the second fixing portion 115 includes a pair of ribs 115a, a pair of first projections 115b, a pair of second projections 115c, and a combined first connector 116b and a second And a part of the upper plate of the elevation guide 110 where the connector 117b is located.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부(115)의 수평 방향 단면적 크기(S1)는 제1 커넥터(116b)의 수평 방향 단면적 크기(S3)와 제2 커넥터(117b)의 수평 방향 단면적 크기(S2)의 합 보다 클 수 있다.27,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S1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115 is equal to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S3 of the first connector 116b and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connector 117b (S2).

이에 따라, 제1 커넥터(116b)와 제2 커넥터(117b)는 에어가이드(100)의 승강 동작에도 움직이지 않고 제2 고정부(115)에 고정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connector 116b and the second connector 117b can be fixed to the second fixing part 115 without moving even when the air guide 100 is lifted or lowered.

제2 고정부(115)는 승강가이드(110)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고정부(115)는 승강가이드(110)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fixing part 115 may be formed on the elevation guide 110.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fixing portion 115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levation guide 110.

제2 고정부(115)는 승강가이드(110)의 상면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발광기구(108)는 가이드부재(104)의 양 측단에 결합되고, 승강가이드(110)의 양 측단에는 발광기구(108)에 연결된 제1 하네스(116)가 관통하는 하네스 관통공(113)이 형성되고, 하네스 관통공(113)을 통과한 제1 하네스(116)는 승강가이드(110)의 상면 양측에 형성된 제2 고정부(115)에 고정될 수 있다.The second fixing part 115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on guide 110. A pair of light emitting mechanisms 108 ar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guide member 104 and a harness through hole And the first harness 116 passing through the harness through hole 113 can be fixed to the second fixing part 115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on guide 110. [

제어부(17)에 연결된 제2 하네스(117)는 승강가이드(110)에 형성된 와이어 고정부(118)에 고정되고, 제2 고정부(115)에 고정될 수 있다.The second harness 117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7 is fixed to the wire fixing unit 118 formed on the elevation guide 110 and fixed to the second fixing unit 115.

<하네스 고정부- 와이어 고정부><Harness Go Government - Wire Go Government>

승강가이드(110)는 제2 하네스(117)를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부(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levation guide 110 may further include a wire fixing portion 118 for fixing the second harness 117.

와이어 고정부(118)는 제2 고정부(115)와 이격되어 승강가이드(1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고정부(118)는 제2 하네스(117)의 제2 와이어(117a)를 고정시킬 수 있다.The wire fixing portion 118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on guide 110,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fixing portion 115. The wire fixing portion 118 can fix the second wire 117a of the second harness 117. [

와이어 고정부(118)는 제2 와이어(117a)가 토출패널(2)을 통과하여 승강가이드(110)에 위치하는 경우 제2 와이어(117a)를 승강가이드(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The wire fixing portion 118 can fix the second wire 117a to the elevation guide 110 when the second wire 117a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panel 2 and is located in the elevation guide 110. [

제어부(17)에 연결된 제2 하네스(117)는 토출패널(2)에 형성된 하네스 가이드(119)와, 승강가이드(110)에 형성된 와이어 고정부(118)와 제2 고정부(115)에 고정될 수 있다.The second harness 117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7 is fixed to the wire fixing part 118 formed on the elevation guide 110 and the second fixing part 115 formed on the discharge panel 2, .

<하네스 가이드><Harness guide>

제2 하네스(117)는 토출패널(2)에 형성된 하네스 가이드(119)에 수용될 수 있다.The second harness 117 can be received in the harness guide 119 formed in the discharge panel 2.

토출패널(2)에는 외부 공기가 흡입되기 위해 통과하는 흡입유로(16)와, 제2 하네스(117)가 수용되는 하네스 가이드(119)가 형성될 수 있다. 하네스 가이드(119)는 흡입유로(16)의 외측 둘레 보다 큰 가상의 사각형에 가까운 형상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The discharge panel 2 may be provided with a suction passage 16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sucked and a harness guide 119 in which the second harness 117 is received. The harness guide 119 may be formed along a shape that is closer to an imaginary quadrangle that is larger tha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uction passage 16. [

하네스 가이드(119)는 제2 하네스(117)가 수용되는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네스(117)의 제2 와이어(117a)는 한 쌍의 측벽 사이에 수용되어 위치할 수 있고, 승강가이드(110)까지 안내될 수 있다.The harness guide 119 may include a pair of side walls in which the second harness 117 is received. The second wire 117a of the second harness 117 can be received and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side walls and can be guided to the elevation guide 110. [

<승강가이드><Lift guide>

승강가이드(110)는 메인 유로 바디(50)에 배치될 수 있다. The elevation guide 110 may be disposed in the main flow path body 50.

승강가이드(110)는 에어가이드(100)가 상승되어 수용되는 수용공간(S3)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공간(S3)은 승강가이드(110)에 하단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승강가이드(110)는 전체적인 형상이 에어가이드(100)와 동일할 수 있고, 에어가이드(100)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The elevation guide 110 may include an accommodation space S3 in which the air guide 100 is lifted and accommodated. The accommodation space S3 may be formed in a shape such that the lower end thereof is open to the elevation guide 110. [ The elevation guide 110 may have an overall shape identical to that of the air guide 100 and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air guide 100.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승강가이드에 복수의 에어가이드(100)가 함께 승강되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개 에어가이드(100) 별로 각각의 승강가이드(110)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can be arranged such that a plurality of air guides 100 are elevated and lowered together in one elevation guide and each elevation guide 110 can be provid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guides 100. [

하나의 승강가이드에 복수의 에어가이드(100)가 승강 가능하게 배치될 경우, 하나의 승강가이드는 전체적인 형상이 원형일 수 있다. When a plurality of air guides 100 are arrang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in one elevation guide, one elevation guide may have a circular shape as a whole.

반면에, 복수의 에어가이드(100) 별로 각각의 승강가이드(110)가 구비될 경우, 승강가이드(110)는 에어가이드(100)와 같이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each elevator guide 110 is provid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guides 100, the elevator guide 110 may be formed like a curved shape like the air guide 100.

본 실시 예는 에어가이드(100)와, 승강가이드(110) 각각의 형상이 각각이 호 형상일 수 있고, 이 경우, 승강가이드(110)의 복수개는 원형의 가상선(O)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each of the air guide 100 and the elevation guide 110 may be in the shape of a circle. In this case, a plurality of the elevation guides 110 are arranged along the circular imaginary line O .

승강가이드(110)에는 인접한 타 승강가이드(110)를 마주보는 면이 형성될 수 있다. The elevating guide 110 may have a surface facing the adjacent elevating guide 110.

인접한 타 승강가이드(110)를 마주보는 승강가이드(110)의 양 측면에는 제1 하네스(116)가 관통되는 하네스 관통공(113)이 형성될 수 있다.Through holes 113 through which the first harness 116 passes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elevation guide 110 facing the adjacent second elevation guide 110.

하네스 관통공(113)은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각각 개방될 수 있다.The harness through holes 113 can be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respectively.

하네스 관통공(113)과 인접한 승강가이드(110)의 상면 양측에는 제2 고정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fixing part 115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on guide 110 adjacent to the harness through hole 113.

<하네스 고정 방법><How to fix harness>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기구(108)와 연결된 제1 하네스(116)는 에어가이드(100)에 형성된 제1 고정부(105)에 1차적으로 고정되고, 하네스 관통공(113)을 통과하여 제2 고정부(115)에 2차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26, the first harness 116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108 is primarily fixed to the first fixing part 105 formed on the air guide 100, and the harness through hole 113 And can be secondarily fixed to the second fixing portion 115. [

제1 하네스(116)의 제1 와이어(116a)는 제1 고정부(105)에 고정되고, 제1 하네스(116)의 제1 커넥터(116b)는 제2 고정부(115)에 고정될 수 있다.The first wire 116a of the first harness 116 is fixed to the first fixing portion 105 and the first connector 116b of the first harness 116 is fixed to the second fixing portion 115 have.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와 연결된 제2 하네스(117)는 하네스 가이드(119)에 수용되어 안내되고, 와이어 고정부(118)에 1차적으로 고정되고, 제2 고정부(115)에 2차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27, the second harness 117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7 is received and guided by the harness guide 119, is primarily fixed to the wire fixing portion 118,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115). &Lt; / RTI &gt;

제2 하네스(117)의 제2 와이어(117a)는 하네스 가이드(119)에 수용되고, 와이어 고정부(118)에 고정되며, 제2 하네스(117)의 제2 커넥터(117b)는 제2 고정부(115)에 고정될 수 있다.The second wire 117a of the second harness 117 is received in the harness guide 119 and fixed to the wire fixing portion 118 and the second connector 117b of the second harness 117 is fixed to the second And may be fixed to the housing 115.

이와 같이, 제어부(17)와 발광기구(108)를 연결하는 하네스는 제1 하네스(116)와 제2 하네스(117)로 분리되고, 하네스 각각은 제1 고정부(105), 제2 고정부(115) 또는 와이어 고정부(118)에 고정될 수 있다.The harness connecting the control unit 17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108 is separated into the first harness 116 and the second harness 117 and each of the harnesses includes a first fixing unit 105, Or may be fixed to the wire fixing portion 115 or the wire fixing portion 118.

이에 따라, 제어부(17)와 발광기구(108)를 연결하는 하네스는 에어가이드(100)의 승강에 관계없이 고정될 수 있어, 마찰 등의 사유로 파손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ly, the harness that connects the control unit 17 and the light emitting device 108 can be fixed regardless of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air guide 100, so tha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harnes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due to friction or the like.

제1 하네스(116) 및 제2 하네스(117)는 에어가이드(100) 또는 승강가이드(110)에 고정되고, 제1 하네스(116) 및 제2 하네스(117)는 아우터 커버(70)에 수용될 수 있다.The first harness 116 and the second harness 117 are fixed to the air guide 100 or the elevation guide 110 and the first harness 116 and the second harness 117 are fixed to the outer cover 70 .

아우터 커버(70)는 제1 하네스(116) 및 제2 하네스(117)를 덮을 수 있다.The outer cover 70 may cover the first harness 116 and the second harness 117. [

아우터 커버(70)는 승강가이드(110) 및 승강기구(120)를 덮을 수 있다.The outer cover 70 may cover the elevation guide 110 and the elevation mechanism 120.

<승강기구><Lift mechanism>

승강기구(120)는 메인 유로바디(50)와 아우터 커버(70)와 승강가이드(11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The elevating mechanism 120 may be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main flow body 50, the outer cover 70, and the elevation guide 110.

승강기구(120)는 모터(122)와, 모터(122)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랙(106)에 치합된 피니언(12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lift mechanism 120 may include a motor 122 and a pinion 124 connected to the rotational axis of the motor 122 and engaged with the rack 106.

승강기구(120)는 하강 모드시 에어가이드(100)를 출구(25) 옆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승강기구(120)는 하강 모드시 에어가이드(100)의 하단(103)이 출구단(67)과 이격되게 에어가이드(100)를 하강시킬 수 있다. The elevating mechanism 120 can lower the air guide 100 to the side of the outlet 25 in the lowering mode. The elevating mechanism 120 can lower the air guide 100 so that the lower end 103 of the air guide 100 is separated from the outlet end 67 in the lowering mode.

승강기구(120)는 상승 모드시 에어가이드(100)를 출구(25) 옆 위로 상승시킬 수 있다. The elevating mechanism 120 can elevate the air guide 100 to the side of the outlet 25 in the elevation mode.

승강기구(120)는 상승모드시, 에어가이드(100)의 하단(103)이 수평방향으로 아우터 가이드(54)의 하단(54C)과 일치되도록 에어가이드(100)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아우터 가이드(54)의 아우터 곡면(55)에 안내되는 공기는 에어가이드(100)의 하단(103)을 따라 데코 커버(90)의 저면으로 안내될 수 있다. The elevating mechanism 120 can raise the air guide 100 so that the lower end 103 of the air guide 100 is aligned with the lower end 54C of the outer guide 54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air guided by the outer curved surface 55 of the outer guide 54 may be guid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decor cover 90 along the lower end 103 of the air guide 100.

승강기구(120)는 에어가이드(100)와 같이 복수개 구비될 수 있고, 에어가이드(100)의 각각은 서로 상이한 승강기구(120)에 의해 독립적으로 승강될 수 있다. The elevating mechanism 12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such as the air guide 100, and each of the air guides 100 may be independently raised and lowered by the elevating mechanism 120, which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에어가이드(100)가 2개일 경우, 승강기구(120)는 최소 2개 일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호 형상인 에어가이드(100)를 복수의 승강기구(120)가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복수의 승강기구(120)는 호 형상인 에어가이드(100)를 보다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When there are two air guides 100, the number of the elevating mechanism 120 may be at least two. The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can raise and lower the air guide 100 having the arc shape by a plurality of elevator mechanisms 120. In this case, the elevator mechanisms 120 can move the air guide 100 having the arc shape more stably .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 토출패널 17: 제어부
100: 에어가이드 105: 제1 고정부
108: 발광기구 110: 승강가이드
115: 제2 고정부 116: 제1 하네스
116a: 제1 와이어 116b: 제1 커넥터
117: 제2 하네스 117a: 제2 와이어
117b: 제2 커넥터 118: 와이어 고정부
119: 하네스 가이드 120: 승강기구
2: Discharge panel 17:
100: air guide 105: first fixing part
108: light emitting mechanism 110: elevation guide
115: second fixing portion 116: first harness
116a: first wire 116b: first connector
117: second harness 117a: second wire
117b: second connector 118: wire fixing portion
119: Harness guide 120: Lift mechanism

Claims (10)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출구가 형성된 토출패널과;
상기 토출 공기의 기류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기구를 갖는 에어가이드와;
상기 에어가이드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와;
상기 에어가이드가 상승되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승강가이드와;
상기 발광기구와 연결된 제1 하네스와;
상기 토출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하네스와 착탈되는 제2 하네스가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가이드에는 상기 제1 하네스를 고정하는 제1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가이드에는 상기 제1 하네스 및 제2 하네스를 고정하는 제2 고정부가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A discharge panel having an outle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 air guide having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air flow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and a light emitting mechanism for irradiating the guide member with light;
An elevating mechanism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air guide;
A lifting guide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in which the air guide is lifted and accommodated;
A first harness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a controller connected to the discharge panel and to which a second harness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rst harness,
Wherein the air guide has a first fixing part for fixing the first harness,
Wherein the lifting guide includes a second fixing part for fixing the first harness and the second harn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발광기구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발광기구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발광기구 수용부 내부에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guide includes a light emitting mechanism accommodating portion in which the light emitting mechanism is inserted and accommodated,
Wherein the first fixing portion is formed inside the light emitting device accommodating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승강가이드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승강가이드에는 상기 제1 하네스가 관통하는 하네스 관통공이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fixing portion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elevation guide,
Wherein the lifting guide includes a harness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harness penetrat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네스는
상기 발광기구에 연결된 제1 와이어와, 상기 제1 와이어에 연결된 제1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네스는
상기 제어부에 연결된 제2 와이어와, 상기 제2 와이어가 연결되고 제1 커넥터와 착탈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를 함께 고정시키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harness
A first wire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device, and a first connector connected to the first wire,
The second harness
A second wir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a second connector to which the second wire is connected and detached from and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or,
The second fixing portion
And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fixed togeth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과 접촉되는 한 쌍의 리브와,
상기 한 쌍의 리브의 일단과 이격되고 상기 제1 커넥터가 걸리는 한 쌍의 제1 돌기와;
상기 한 쌍의 리브의 타단과 이격되고 상기 제2 커넥터가 걸리는 한 쌍의 제2 돌기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fixing portion
A pair of ribs that come into contact with at least one side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 pair of first projections spaced from one ends of the pair of ribs and engaged with the first connector;
And a pair of second projections spaced apart from the other ends of the pair of ribs and engaged with the second connecto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의 수평 방향 단면적 크기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수평 방향 단면적 크기와 상기 제2 커넥터의 수평 방향 단면적 크기의 합 보다 큰 천장형 공기조화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size of the second fixing portion is
Sectional area of the first connector and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connecto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가이드는
상기 제2 고정부와 이격되고 상기 제2 와이어를 고정시키는 와이어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elevation guide
Further comprising a wire fixing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fixing portion and fixing the second wi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패널에는 상기 제2 하네스가 수용되는 하네스 가이드가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charge panel is provided with a harness guide for receiving the second harn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기구는 한 쌍이 상기 가이드부재의 양 측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승강가이드의 상면 양측에 각각 형성된 천장형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ir of light emitting mechanisms are coupled to both ends of the guide member,
And the second fixing portion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on gu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가이드가 수용되는 승강가이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하네스 및 상기 제2 하네스를 덮는 아우터 커버를 더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outer cover having an elevation guide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elevation guide and covering the first harness and the second harness.
KR1020170045175A 2017-04-07 2017-04-07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1022786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175A KR102278637B1 (en) 2017-04-07 2017-04-07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175A KR102278637B1 (en) 2017-04-07 2017-04-07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734A true KR20180113734A (en) 2018-10-17
KR102278637B1 KR102278637B1 (en) 2021-07-16

Family

ID=64099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5175A KR102278637B1 (en) 2017-04-07 2017-04-07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863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23946A4 (en) * 2019-10-31 2022-10-26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Panel assembly of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and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provided with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1206Y1 (en) * 1994-12-08 1998-04-06 김광호 Apparatus connecting airconditioner
KR20060017553A (en) * 2006-01-19 2006-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conditioner
KR20140089068A (en) * 2013-01-03 2014-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WO2016129079A1 (en) * 2015-02-12 2016-08-18 三菱電機株式会社 Air condition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1206Y1 (en) * 1994-12-08 1998-04-06 김광호 Apparatus connecting airconditioner
KR20060017553A (en) * 2006-01-19 2006-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conditioner
KR20140089068A (en) * 2013-01-03 2014-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WO2016129079A1 (en) * 2015-02-12 2016-08-18 三菱電機株式会社 Air conditio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23946A4 (en) * 2019-10-31 2022-10-26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Panel assembly of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and ceiling-mounted air conditioner provided with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8637B1 (en) 2021-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0037B1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EP3633275B1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102282432B1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102285819B1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20180113734A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102643399B1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102643397B1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102629023B1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CN113330257B (en) Suspended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102643403B1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102278640B1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102279011B1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102282436B1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102275594B1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20180093440A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102285853B1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102282476B1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102278985B1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102633180B1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20180097204A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20180116606A (en)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KR20110019218A (en) Air conditioner
KR20180089787A (en)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