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3678A - 반려동물의 비상구조요청 방법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의 비상구조요청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3678A
KR20180113678A KR1020170045038A KR20170045038A KR20180113678A KR 20180113678 A KR20180113678 A KR 20180113678A KR 1020170045038 A KR1020170045038 A KR 1020170045038A KR 20170045038 A KR20170045038 A KR 20170045038A KR 20180113678 A KR20180113678 A KR 20180113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nion animal
emergency
emergency rescue
signal
rescue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5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팝
Priority to KR1020170045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3678A/ko
Publication of KR20180113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6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6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telephon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 동물에게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반려동물의 착용장치를 착용시키고, 모바일 단말기에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중계하는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앱을 설치하여 반려동물의 비상구조요청을 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반려동물 착용장치에 센서를 설치하여 반려동물의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된 반려동물 상태가 비상구조요청 상황인지를 판단하여 주인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비상구조요청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송출하는 비상구조요청 단계와, 임의의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앱이, 상기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비상구조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비상구조요청신호로부터 추출된 해당 반려동물 주인의 전화번호로, 비상구조요청 메시지를 모바일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비상구조요청 메시지 중계단계를 수행함으로써, 반려동물 주인에게 메시징 서비스로 반려동물 구조요청 메시지가 전송되어 구조요청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반려동물의 비상구조요청 방법{Method for emergency request help of companion animal}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비상구조요청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려동물을 잃어버리거나 위험 상황이 발생하면 반려동물에 착용한 반려동물 표시장치가 자동으로 구조요청신호를 송출하고, 그 구조요청신호를 주변의 모바일 단말기가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앱에서 수신하여 해당 반려동물 주인의 모바일 단말기로 해당 반려동물의 구조요청 메시지를 SNS나 SMS 메시지로 전송하도록 한 반려동물의 비상구조요청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족의 구성원이 줄어듦에 따라 일상생활의 단조로움을 탈피하기 위해 인간과 함께 거주하면서 생활하는 애완동물(이하, '반려동물' 이라 칭함)이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그 종류도 다양해지는 추세이다. 이처럼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생활하는 가정 수가 늘어남에 따라 잃어버리는 개체 수도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반려동물을 잃어버리지 않기 위해 또는 잃어버린 반려동물을 찾기 위해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되고 구현되어 실시되고 있다. 기본적으로는 반려동물 몸속에 해당 반려동물과 그 주인의 연락정보를 저장한 RFID태그를 삽입하여 두고, 유기된 반려동물이 발견되면 RFID태그를 읽어서 주인을 찾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의 활용이 일반화되면서 스마트폰과 근거리 통신하는 착용장치를 반려동물에게 착용시키고, 착용장치와 스마트폰 간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멀어지면 분실 경보음이 울리게 하여 분실방지를 위한 장치들이 많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반려동물의 분실 예방을 위한 수단으로 반려동물과 주인과의 거리가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떨어지면 주인의 스마트폰으로 분실 경보 하는 장치는, 주인과 반려동물이 근거리에 함께 있을 때에는 유용하나, 분실 경보음이 발생 된 이후에 반려동물이 먼 거리로 이동해버리면 쉽게 찾을 수 없다.
또한, 반려동물을 집에 두고 출근 또는 외출할 때는 거리 뷰에 따른 경보 발생기능을 오프시키게 된다. 경보 발생기능이 오프된 상태에서 반려동물이 멀리 이동하여 길을 잃거나, 반려동물이 어떤 임의 공간에 갇히거나, 다른 누군가가 강제로 데려가거나, 사고가 발생되어 이동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근거리 통신 수단만을 구비한 착용장치로는 직접 반려동물 주인의 단말기로 구조요청을 할 수 없다.
또한, 반려동물 착용장치로부터 주인의 스마트폰으로 위치정보를 직접 송신하기 위해서는, 위치 좌표를 추출하기 위한 GPS모듈과, 스마트폰으로의 송신을 위한 스마트폰 통신모듈이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착용장치가 고가이고, 스마트폰 통신모듈을 사용하기 위한 사용료가 발생 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한국공개특허 10-2016-0092349호(2016. 08. 04)에는 애완동물 추적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애완동물 추적 시스템은, 모바일에 애완동물 추적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애완동물 정보와 식별번호를 송신하는 블루투스 혹은 비콘 태그가 애완동물에 부착되며, 애완동물 분실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애완동물 분실시 분실신고를 서버에 등록하면, 서버가 분실정보를 다수의 모바일로 송신하고, 분실정보를 수신받은 모바일의 애완동물 추적 어플리케이션이 애완동물의 태그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분실신고 여부를 확인한 후, 위치정보와 함께 애완동물 정보를 서버로 올리고, 서버가 애완동물 주인의 모바일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애완동물 추적 시스템은, 서버가 구축되어야만 하고, 애완동물 분실자가 애완동물 분실 상태를 인지하여 서버에 등록해야만 애완동물 추적이 시작된다는 단점이 있다. 결국 반려동물 주인이 반려동물 분실 상태를 인식하여 등록해야만 작동되는 것이므로, 반려동물과 원거리로 떨어져 있을때에는 반려동물 분실 또는 사고 상태를 알수 없어서 분실등록을 하지 못하므로, 반려동물 추적시스템이 작동되지 못한다.
한국공개특허 10-2016-0092349호(2016. 08. 04)
본 발명의 목적은, 서버 구축 없이 애완동물 착용장치와 모바일의 앱 만으로 분실된 반려동물과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주변의 다른 사람의 모바일에 설치된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앱이 자동으로 주인의 모바일로 위치정보와 반려동물 구조요청 정보를 자동 전송하는 반려동물 비상구조 요청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인이 분실상태를 인지하지 못한 상황에서도 반려동물의 분실 또는 위험 상황을 자동 판별하여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주인의 모바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반려동물 비상구조 요청 시스템은,
반려 동물에게 착용되고, 비상구조요청 여부를 센서들의 센싱정보에 의해 판단하여 비상구조요청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미리 저장해둔 반려동물 주인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비상구조요청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송출하는 반려동물의 착용장치와;
모바일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이하, '앱' 이라 칭함)으로 설치되고, 임의의 반려동물의 착용장치로부터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정보와 상기 비상구조요청신호로부터 추출된 반려동물 구조요청 정보를 포함하는 비상구조요청 메시지를 생성해 상기 비상구조요청신호로부터 추출된 상기 반려동물 주인의 전화번호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앱으로 구성됨에 특징이 있다.
상기 반려동물 착용장치는,
상기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앱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통신모듈과, 반려동물의 상태를 추출하기 위한 센서모듈과; 반려동물의 상태표시와 전달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오디오 출력 모듈과; 반려동물의 정보와 주인의 모바일 전화번호 및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와; 상기 센서모듈의 센싱정보를 미리 정해진 툴에 따라 분석하여 비상구조요청 상태를 판단하고, 비상구조요청 상태가 발생되면,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송출하는 착용장치 제어모듈과; 착용장치의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 모듈; 이 포함되어 반려동물 착용장치 착용 부재 내에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앱은,
상기 반려동물 착용장치로부터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수신함과 아울러 반려동물 착용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제어부와, 반려동물 착용장치로부터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위치정보 추출부와, 상기 추출된 위치정보와 상기 반려동물 착용장치로부터 수신받은 반려동물 정보를 매칭시켜 비상구조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비상구조요청 메시지 생성부와, 상기 비상구조요청 메시지를 모바일의 무선통신망을 통해서 반려동물 주인의 전화번호로 송신하는 비상구조요청 메시지 송신부와, 상기 근거리 통신 제어부를 통해 반려동물 착용장치의 비상구조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반려동물 착용장치와 통신하여 반려동물 정보와 주인의 전화번호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위치정보 추출부, 상기 비상구조요청 메시지 생성부 및 상기 비상구조요청 메시지 송신부를 제어하여, 비상구조요청신호 메시지를 반려동물 주인의 전화번호로 메시지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앱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앱은,
상기 근거리 통신제어부를 통해서 페어링되어 있는 반려동물 착용장치와 주기적으로 위치확인 통신을 하고, 그 통신세기에 따라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멀어지면 분실경보를 하는 분실경보부와,
모바일 단말기의 수신되는 메시지를 체크하여 다른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반려동물의 비상구조요청메시지를 수신받아 해당 위치정보와 반려동물 정보를 복원하여 팝업창으로 출력하는 비상구조요청 메시지 수신부와,
상기 착용장치의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될 문자 메시지와 음성출력을 실시간 입력하여 출력을 제어하거나, 미리 착용장치에 저장된 문자 메시지나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착용장치 디스플레이 및 오디오 출력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려동물 착용장치의 센서모듈은,
반려동물의 울음소리 및 주변 소리를 입력받는 마이크와;
반려동물의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한 자이로센서와 가속도센서를 포함하는 움직임 센서 모듈과;
시간 체크를 위한 타이머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필요에 따라 주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와,
반려동물의 맥박과 체온 등의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생체신호 검출센서를 더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 자체의 위치정보를 측정하는 GPS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착용장치 제어모듈은,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110)로부터 수신되는 주인의 모바일 단말기와의 거리 측정을 위한 위치확인 신호를 체크하는 위치 확인신호 체크부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메모리에 미리 저장해둔 소리 패턴중에서 어떤 소리 패턴인지를 추출하는 마이크 신호 분석부와;
상기 움직임 센서 모듈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메모리에 미리 저장해둔 움직임 패턴중에서 어떤 움직임 패턴인지를 추출하는 움직임 분석부와;
상기 메모리에 미리 저장해둔 소리패턴과 움직임 패턴 및 위치확인신호 수신 상태와 시간에 따른 반려동물 상태 판단 조건에 의거하여, 상기 추출된 위치확인신호 수신 상태와, 소리 패턴과, 움직임 패턴을 대응시켜 현재 반려동물의 상태를 판단하는 반려동물 상태판단부와;
상기 반려동물 상태판단부의 상태 판단에 따라 비상구조요청이 필요한 상태인 경우, 상기 메모리로부터 반려동물 정보와 주인의 전화번호를 입력받아 주인의 전화번호와 반려동물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생성하는 비상구조요청신호 생성부와;
상기 위치확인 체크부와, 마이크 신호 분석부와, 움직임 분석부와 반려동물 상태 판단부와, 상기 비상구조요청신호 생성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비상구조요청신호의 송출과 해제를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와,
상기 메인 제어부의 제어에 의거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한 비상구조요청신호의 송출 및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수신한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 연결하여 반려동물 정보와 주인의 전화번호를 전송하는 송수신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제어부는,
비상구조요청 상태로 판단한 경우, 비상구조요청 신호임을 알리는 비상구조요청 코드정보만을 송신하고, 비상구조요청 코드정보를 수신한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 연결이 이루어진 후, 정보요청에 응답하여 반려동물 정보 및 상태정보와 해당 반려동물 주인의 전화번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제어부는,
반려동물의 상태에 대응된 비상구조요청을 알리는 문자 및 오디오를 상기 디스플레이 및 오디오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및 오디오 출력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려동물에게 반려동물 착용장치를 착용시키고, 모바일 단말기에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앱을 설치하여 반려동물의 비상구조를 요청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반려동물 착용장치와 해당 반려동물 주인의 모바일 단말기 사이에 위치확인신호를 주기적으로 주고받아 수신신호세기에 의해 분실경보를 제어하고, 분실경보 상태가 미리 정해둔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반려동물 주인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생성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로 송출하는 비상구조요청단계와;
상기 반려동물 착용장치에서 송출된 비상구조요청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수신받는 임의의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반려동물 주인의 전화번호를 추출함과 아울러 해당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위치정보가 포함되는 비상구조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추출된 주인의 전화번호로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메시지 중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반려동물 착용장치와 주인의 모바일 단말기 간에 분실경보 기능이 있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비상구조요청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수단들이 추가적으로 착용장치에 설치되지 않아도 분실경보 지속시간만 판단하여 비상구조요청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분실경보 기능은 반려동물 착용장치와 주인의 모바일 단말기가 근거리에 있을때 사용되는 기능으로서, 분실경보기능을 정지시켜둔 상태에서는 비상구조요청 상태를 판단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착용장치에 반려동물 상태판단을 위한 복수의 센서들을 설치하여 반려동물 상태를 판단하여 비상구조요청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반려동물 비상구조 요청 방법은,
반려 동물에게 반려동물 착용장치를 착용시키고, 모바일 단말기에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앱을 설치하여 반려동물의 비상구조를 요청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반려동물 착용장치에 반려동물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를 설치하여 반려동물의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된 반려동물 상태가 비상구조요청 상황인지를 판단하여 주인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비상구조요청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송출하는 비상구조요청 단계와;
상기 비상구조요청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수신받을 수 있는 임의의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앱이, 상기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비상구조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비상구조요청신호로부터 추출된 해당 반려동물 주인의 전화번호로, 비상구조요청 메시지를 모바일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비상구조요청 메시지 중계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반려동물 비상구조 요청 방법은, 구조요청이 필요한 반려동물 근처의 모바일 단말기가 반려동물의 착용장치로부터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위치정보와 함께 비상구조요청 메시지를 작성해 해당 반려동물 주인의 모바일 단말기로 메시징 서비스로 통해 메시지로 중계함에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서버 운영 없이 착용장치와 단말기에 설치된 앱 만으로 비상구조요청 방법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비상구조요청 메시지 중계 단계는,
위치정보와 해당 반려동물 정보와 주인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비상구조요청 메시지를 생성해 미리 메시지 수신전화번호가 설정된 동물구조센터로도 송신하는 것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주인의 모바일 단말기와 동물구조센터에 이중으로 전송하여 신속하게 구조작업이 이루어지게 함과 아울러 주인의 방치에도 구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반려동물 착용장치의 비상구조요청 단계는,
착용장치에 설치된 센서들을 통해 검출된 신호들을 신호처리 및 분석하여 반려동물의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태가 비상구조요청 상황인지를 판단하는 비상구조요청 판단단계와;
비상구조요청 상황으로 판단된 경우, 미리 정해진 툴에 의해 비상구조요청 식별코드와 주인의 전화번호와 반려동물 정보를 포함하는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송출하는 비상구조요청신호 송출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반려동물 주인이 분실이나 위험 상태를 인지해 추적 등록하지 않아도, 반려동물 착용장치가 자체적으로 상황을 판단해 비상구조요청을 할 수 있다.
상기 비상구조요청 판단단계는,
착용장치에 설치된 마이크로부터 마이크 신호를 입력받아 신호처리 및 분석하여 메모리에 미리 저장해둔 소리 패턴 중 가장 유사한 소리 패턴을 추출하는 소리 패턴 추출단계와;
착용장치에 설치된 움직임센서모듈로부터 움직임 신호를 입력받아 신호처리 및 분석하여 메모리에 미리 저장해둔 움직임 패턴 중 가장 유사한 움직임 패턴을 추출하는 움직임 패턴 추출단계와;
상기 소리 패턴 추출단계 및 상기 움직임 패턴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소리 패턴과 상기 움직임 패턴에 대응된 반려동물 상태정보를 메모리에 미리 저장해둔 패턴-상태 테이블에서 추출하는 상태정보 추출단계와;
상기 상태정보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반려동물 상태정보가 미리 설정해둔 비상구조요청 조건에 해당되는지 판단하는 상태 판단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모리에 저장해둔 소리 패턴과, 움직임 패턴은,
소리패턴은, 소리 신호의 주파수, 진폭, 연속 시간, 반복 주기를 고려하고, 움직임 패턴은, 움직임 신호의 움직임 크기, 반경, 속도, 반복 주기를 고려하여 각 신호의 특성을 추출해서 패턴으로 분류하며, 각 패턴에 대해서는 해당 신호 패턴일 때 반려동물의 상태가 어떤 상태인지를 매칭시켜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턴-상태 테이블은,
상기 소리 패턴과 움직임 패턴에 각각 대응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응되는 반려동물 상태를 미리 추출하여 패턴-상태 테이블로 저장하되,
각 반려동물의 종류나, 품종, 나이, 크기, 성격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하여 패턴 판단 기준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상구조요청 판단단계는,
반려동물 착용장치와 반려동물 주인의 모바일 단말기 간에 위치확인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수신하면서 수신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수신 세기 이하 또는 수신불가 상태가 미리 정해진 설정시간이상 지속 되는 경우, 반려동물의 비상구조요청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비상구조요청 상태 판단을 마이크 신호에 의한 소리패턴과, 움직임 센서의 움직임 패턴에 대해 다양한 조건을 부여하여 해당 조건들의 조합에 의해 패턴을 인식하고, 소리 및 움직임 패턴의 조합과, 분실된 상태가 설정시간 이상 지속된 경우에 반려동물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므로, 주인과 멀어져 당황하는 경우나, 어디에 갇히거나, 누군가에게 강제로 끌려가거나, 부상을 당하거나 등등의 다양한 위험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비상구조요청신호 송출 단계는,
상기 비상구조요청 상태 판단단계에서 비상구조요청 상황으로 판단되면, 미리 저장해둔 반려동물 주인의 전화번호와, 반려동물 상태 정보와, 비상구조요청임을 알리는 식별정보를 포함시켜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생성하는 비상구조요청신호 생성단계와,
상기 비상구조요청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로 송출하는 비상구조요청신호 송신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상구조 요청신호에 반려동물 정보와 주인의 전화번호를 포함시켜 송출하되,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고, 해당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주인의 전화번호로 중계하게 함으로써, 착용장치에 무선통신망에 직접 접속가능한 통신수단을 설치하지 않아도 저가의 근거리 통시 모듈만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비상구조요청신호 송신단계는,
비상구조요청 식별신호만을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송출하는 비상구조요청 식별신호 송출단계와;
상기 비상구조요청 식별신호를 수신한 모바일 단말기의 통신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통신 연결하는 통신 연결단계와;
상기 통신 연결이 이루어지면 상기 반려동물 주인의 전화번호와, 반려동물 정보 및 상태 정보를 통신 연결된 해당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상구조요청 식별신호를 분리하여 식별신호만 송출하고, 모바일 단말기에서 수신하여 통신요청을 연결한 경우에 통신연결하여 반려동물 상태정보와 주인의 전화번호를 전송함으로써, 전력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방법은,
반려 동물에게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반려동물의 착용장치를 착용시키고, 모바일 단말기에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중계하는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앱을 설치하여 반려동물의 비상구조요청을 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반려동물 착용장치가,
착용장치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를 통해 반려동물의 상태를 검출하여 비상구조요청 상황인지를 판단하는 비상구조요청 판단단계와;
비상구조요청 상황으로 판단되면, 해당 반려동물 주인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생성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송출하는 비상구조신호 송출단계와;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수신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비상구조요청신호 수신 확인 신호를 응답할 때까지 상기 비상구조요청신호 송출을 반복하는 비상구조요청신호 수신확인단계와;
비상구조요청신호 수신완료 확인을 응답받으면, 미리 정해진 일정시간이 경과 될 때까지 상기 비상구조요청신호 송출단계를 중지하고,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비상구조신호 송출단계로 리턴하는 설정시간 대기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앱은,
상기 반려동물 착용장치에서 송출하는 구조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구조요청신호 수신단계와;
상기 구조요청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반려동물의 정보와 주인의 전화번호를 추출하는 전화번호 추출단계와;
해당 모바일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위치 추출하고, 추출된 해당 모바일 위치정보와, 상기 반려동물 정보를 포함하는 구조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구조요청 메시지 생성단계와;
상기 구조요청메시지를 상기 주인의 전화번호로 송신하는 구조요청메시지 송신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상구조요청 판단단계는,
반려동물 착용장치와 반려동물 주인의 모바일 단말기 간에 위치확인 신호의 수신 신호 세기가 미리 정해진 신호세기 이하기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착용장치에 설치된 마이크를 통해 검출된 소리 신호의 소리 패턴과, 착용장치에 설치된 움직임 센서의 움직임 신호의 움직임 패턴을 추출하여, 패턴에 대응된 반려동물 상태를 검출하여 비상구조요청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앱은,
비상구조요청 신호에 의해 비상구조요청 메시지를 생성해 전송하고 나면 동일한 반려동물 착용장치로부터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수신하지 않도록 수신 제한이 설정되고, 미리 정해진 설정시간이 경과 되면 수신 제한 설정이 리세트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신호 수신단계는,
상기 반려동물 착용장치에서 송신한 비상구조요청 신호의 비상구조요청 식별코드를 수신받는 단계와;
비상구조요청 식별코드가 수신되면 해당 반려동물 착용장치로 통신연결을 요청하여 통신연결을 하는 통신연결단계와;
통신 연결이 되면, 반려동물 착용장치로부터 반려동물 정보 및 구조요청 상태정보와 반려동물 주인의 전화번호를 수신받는 정보수신단계와;
정보수신이 완료되면 정보수신 완료 확인 신호를 송신한 후, 통신 연결을 종료하는 수신완료 확인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려동물 착용장치는,
반려동물의 상태 판단에 의거하여 비상구조요청이 필요한 상태로 판단되면, 미리 저장해둔 비상구조요청에 대응된 문자 메시지와 오디오를 디스플레이 및 오디오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하여 비상구조요청 상태임을 자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반려동물이 분실되거나 구조요청이 필요한 상태가 되면 자동으로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송출하고, 주변의 모바일 단말기가 이를 메시지로 주인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한다. 따라서 반려동물 주인은 모바일 단말기로 수신된 비상구조요청 메시지를 통해 반려동물 위치를 확인하여 신속하게 찾아갈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려동물 근처의 모바일 단말기가 반려동물의 비상구조요청신호를 감지하여 SNS나 SMS등의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해 주인의 단말기로 메시지를 전송하기 때문에 독립된 서버를 운영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려동물 착용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반경 내에 있는 임의의 모바일 단말기라도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앱만 설치되어 있으면,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중계할 수 있어서, 비상구조요청 상태가 발생한 후 신속하게 구조요청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고,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가 왕래하는 근처에 있으면 즉시 구조요청을 할 수 있어서 신속한 반려동물 위치확인 및 구조요청 상태를 인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 비상구조 요청 시스템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시스템의 다른 실시 예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 착용장치의 센서모듈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 착용장치의 메모리 데이터 저장 블록도.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 착용장치의 제어 모듈 기능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방법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판단 흐름도.
도 9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단계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 비상구조 요청 시스템의 개요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시스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송출할 수 있는 반려동물 착용장치(100)와, 모바일 단말기(201)의 어플리케이션(이하, '앱' 이라 칭함)으로 설치되는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앱(2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앱(200)은, 상기 반려동물 착용장치(100)의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수신받아 비상구조요청 메시지를 생성해 주인의 모바일 단말기 및/또는 동물구조센터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기(201)로부터 전송된 비상구조요청 메시지를 수신받는 해당 반려동물 주인의 모바일 단말기(202)와, 동물구조센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동물구조센터는, 통상의 동물구조를 지원하는 관공서나 동물보호소 및 동물보호센터의 메시지 수신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인의 모바일 단말기(202)에는,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앱(200)이 설치되지 않아도, 일반 SNS 또는 SMS 메시징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면 가능하다. 물론 본 발명의 반려동물 착용장치(100)와 주인의 모바일 단말기(202) 간에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평소에 분실경보나 문자 또는 음성 출력 등을 제어하기 위하여 앱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려동물 착용장치(100)는, 반려동물에게 착용하기 위한 착용 부재(101)와, 착용부재(101)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131)를 포함하고, 비상구조요청 여부를 센서들의 센싱정보에 의해 판단하고, 비상구조요청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미리 저장해둔 반려동물 주인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비상구조요청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송출하도록 이루어진다. 미설명 도면부호 102는, 착용장치에 목줄을 연결하는 목줄 연결부를 나타내며 착용장치는 목 밴드를 예시적으로 나타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어떠한 형태도 가능하나 반려동물에 착용할 수 있는 구성이면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반려동물 착용장치(100)에서 비상구조요청 상황인지를 판단한다. 비상 구조요청 상황 판단은,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하여 반려동물의 분실 및 위험상황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 조건을 설정하여 비상구조요청 상황 판단 툴에 의해 자동판단한다.
비상구조요청상황으로 판단되면, 미리 정해진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송출한다. 이러한 비상구조요청신호는 주변의 모바일 단말기(201)에서 수신하여 비상구조요청 메시지로 중계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앱(200)을 설치한 모바일 단말기(201)가 상기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자동으로 수신하고, 비상구조요청신호에 따라 반려동물 착용장치(100)에서 반려동물 정보와 주인의 전화번호를 수신받아 미리 정해진 메시지 툴에 따라 비상구조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그 비상구조요청 메시지를 주인의 전화번호로 송신하게 한다.
따라서 반려동물의 착용장치(100)는, 주인으로부터 멀어져 비상상황이 발생 되면,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송신하고, 주변의 모바일 단말기(201)가 이를 중계하여 주인의 모바일 단말기(202)로 비상구조요청 메시지를 전송해준다. 그러므로 독립된 서버 운영 없이도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앱(200)을 설치한 모바일 단말기(201)들이 중계하여 주인에게 반려동물의 비상상황과 위치정보를 알려주기 때문에 분실시 쉽게 추적하여 찾을 수 있고, 비상상황에서도 긴급 조치를 취함과 아울러 주인이 현장에 빠르게 도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시스템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려동물 착용장치(100)는,
근거리 통신모듈(110)과, 센서모듈(120)과, 메모리(150)와, 착용장치 제어모듈(160)과, 밧데리모듈(140)이 반려동물 착용장치의 착용 부재(101) 내에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상태표시와 전달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오디오 출력 모듈(13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110)은, 근거리 무선통신 예컨데, 블루투스 통신, 와이파이 통신, 지그비 통신 등등의 일반적으로 알려진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면 되나, 통상의 모바일 단말기에 구비된 근거리 무선통신 수단과 통신 가능한 무선통신이어야 모바일 단말기가 비상구조신호를 수신받아 메시지를 중계할 수 있다.
센서모듈(120)은, 반려동물의 상태를 검출할 수 있도록 복수 종류의 센서를 이용한다. 도 4를 참조해 그 실시 예를 아래에서 설명한다.
메모리(150)는, 착용장치의 동작 제어프로그램과, 제어프로그램의 각종 라이브러리 정보와, 반려동물의 정보, 주인의 모바일 전화번호와, 동물구조센터의 메시지 수신 전화번호를 포함하여 저장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주인의 전화번호와, 반려동물의 상태 추출을 위한 소리 패턴, 움직임 패턴, 소리 패턴과 움직임 패턴 및 위치확인신호의 수신상태에 따라 반려동물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툴 및 판단조건과 그 실행정보들이 저장되며, 이는 미리 실험적으로 패턴정보를 구하여 저장해두고, 입력 신호분석에 의해 패턴을 찾고, 패턴에 대응된 상태 정보를 추출해서 비상구조요청 상황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착용장치 제어모듈(160)은, 상기 센서모듈(120)의 센싱정보를 미리 정해진 툴에 따라 분석하여 비상구조요청 상황을 판단하고, 비상구조요청 상황이 발생되면,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생성해 송출한다. 착용장치 제어모듈(160)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해 그 실시 예를 아래에서 설명한다.
밧데리 모듈(140)은, 착용장치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회로와, 충전 밧데리 충전 회로, 외부전원 입력포트, 전원 잔량 검출수단 및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일반적인 이동 단말기의 충전 전원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및 오디오 출력모듈(130)은, 비상구조요청에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비상구조요청의 보조수단으로 비상구조요청 상태를 알리는 문자나 음성 출력을 한다. 또한, 평상시 주인의 모바일 단말기와의 거리 측정에 따른 분실 경보나, 주인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메시지나 음성출력 및 비상구조요청 상태가 아니더라도 반려동물 상태 판단에 따라 미리 정해둔 문자나 음성을 자동으로 출력하여 반려동물의 상태를 알리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 착용장치의 센서모듈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려동물 착용장치(100)의 센서모듈(120)은,
반려동물의 울음소리 및 주변 소리를 입력받는 마이크(121)와;
반려동물의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한 자이로센서와 가속도센서를 포함하는 움직임 센서 모듈(122)과;
시간 체크를 위한 타이머(123)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기본적으로 반려동물의 울음소리를 입력받아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마이크(121)가 설치되고, 반려동물의 움직임에 의해 상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움직임 센서모듈(122)이 설치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주변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124)와, 반려동물의 맥박과 체온 등의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생체신호 검출센서(125)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반려동물 자체의 위치정보를 측정하는 GPS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착용장치 제어모듈(160)에서 영상 및 생체정보를 비상구조신호를 수신한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해당 모바일 단말기에서 영상 및 생체정보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메시지를 생성해 전송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 착용장치의 메모리 데이터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려동물의 울음소리에 대응된 반려동물 상태를 추출하기 위하여 미리 울음 소리에 따른 상태를 매칭시켜 울음소리 신호패턴을 분류 저장해둔 소리 패턴(151)과,
반려동물의 움직임에 대응된 반려동물 상태를 추출하기 위하여 미리 움직임 신호에 따른 상태를 매칭시켜 움직임 신호패턴을 분류 저장해둔 움직임 패턴(152)과,
상기 소리 패턴(151) 및 상기 움직임 패턴(152)의 소리 패턴과 상기 움직임 패턴, 각 패턴의 지속시간, 반복주기, 복합 패턴을 포함하는 상태 판단 조건에 반려동물 상태정보를 저장해둔 패턴-상태 테이블(153)과,
상기 패턴-상태 테이블(153)에서의 추출된 상태정보와, 상태들의 조합 및 지속 시간 조건을 포함하여 상태 정보에 따라 비상구조요청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저장해둔 비상구조요청 조건 정보(154)와, 반려동물 정보와 반려동물 주인의 전화번호(155) 및
착용장치의 디스플레이 및 오디오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오디오 출력 정보(156)를 포함하여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앱(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으로 설치되고, 근거리 통신 제어부(210)와, 위치정보 추출부(220)와, 앱 제어모듈(230)과, 비상구조요청 메시지 생성부(240)와, 비상구조요청 메시지 송신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근거리 통신 제어부(210)는, 상기 반려동물 착용장치(100)로부터 송신되는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수신받는 모바일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모듈을 제어하여 비상구조요청신호는 통신 페어링 없이 수신하여 비상구조요청신호인지를 판별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반려동물 착용장치(100)에서 송신하는 비상구조요청신호는 비상구조요청신호인지를 판별할 수 있는 미리 정해둔 식별신호를 포함시켜 전송케 한다. 이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의 비상구조요청 앱(200)의 근거리 통신제어부(210)는, 수신되는 근거리 통신신호중 비상구조요청신호에 대한 식별코드가 있는 경우, 비상구조요청신호로 인지한 후 통신 연결을 시도하여 반려동물 착용장치(100)로부터 반려동물 상태정보와 주인의 전화번호를 수신받을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 추출부(200)는, 반려동물 착용장치(100)로부터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 해당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추출한다.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정보는 기본적으로 단말기 내의 GPS모듈을 이용해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비상구조요청 메시지 생성부(240)는, 상기 추출된 위치정보와 상기 반려동물 착용장치(100)로부터 수신받은 반려동물 정보를 매칭시켜 비상구조요청 메시지로 생성한다. 이는 미리 정해진 툴에 의해 위치정보와 반려동물 상태정보 및 비상구조요청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매칭시켜 메시지로 자동 생성한다.
상기 비상구조요청 메시지 송신부(250)는, 상기 비상구조요청 메시지 생성부(240)에서 생성된 비상구조요청 메시지를 해당 반려동물의 주인 전화번호로 메시지 송신한다.
상기 앱 제어모듈(230)은, 상기 근거리 통신 제어부(210)를 통해 반려동물 착용장치(100)의 비상구조요청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반려동물 착용장치(100)와 통신하여 반려동물 정보와 주인의 전화번호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위치정보 추출부(220), 상기 비상구조요청 메시지 생성부(240) 및 상기 비상구조요청 메시지 송신부(250)를 제어하여, 비상구조요청신호 메시지를 반려동물 주인의 전화번호로 메시지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앱(200)은, 반려동물 착용장치(100)에서 송출된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미리 정해진 비상구조요청신호 식별코드를 판단하여 비상구조요청신호로 인지한다. 비상구조요청신호로 인지하면, 통신 연결을 한다. 통신연결에 의해 반려동물 착용장치(100)로부터 반려동물 정보와 상태정보 및 주인의 전화번호를 수신받고, 수신완료 신호를 보내 통신을 종료한다. 이에 따라 반려동물 착용장치(100)는 일정시간 동안 비상구조요청신호의 송신을 중지하고 대기한다. 이는 연속해서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송출하였을 때, 다수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연속해서 다수의 비상구조요청 메시지가 주인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비상구조요청신호 수신 및 통신연결에 의해 반려동물 정보와 주인의 전화번호를 수신받으면,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추출하여 그 단말기 위치정보와 반려동물 정보를 매칭하여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메시지를 해당 반려동물 주인의 전화번호로 전송한다. 메시지 전송은 모바일 단말기의 SNS 또는 SMS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여 전송하므로 거리와 상관없이 무선통신망을 통해 전송된다.
따라서, 반려동물을 분실하여 미리 정해진 장시간이 경과되거나, 반려동물의 상태가 구조요청 상황으로 판단되면,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송출하고, 그 반려동물 근처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비상구조요청 앱이 해당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수신해 반려동물 주인의 모바일로 비상구조요청 메시지를 전달해줄 수 있다. 해당 반려동물의 주인은 비상구조요청 메시지를 보고 즉각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동물구조센터에도 메시지로 전달해 줄수 있다. 이때 동물구조센터에 메시지를 전송할때는 해당 반려동물 주인의 전화번호도 함께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하게 함으로써, 동물구조센터에서 해당 반려동물 주인에게 전화확인이 가능해진다. 주인이 긴급 대응하기 어렵거나, 주인이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주인이 방치하는 반려동물에 대해서도 동물구조센터의 즉각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2의 구조에 분실 경보부(260)와, 메시지수신 제어부(270)와, 디스플레이 및 오디오 출력부(2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앱(200)은,
상기 근거리 통신제어부(210)를 통해서 페어링되어 있는 반려동물 착용장치(100)와 주기적으로 위치확인 통신을 하고, 그 통신 세기에 따라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멀어지면 분실경보를 하는 분실경보부(260)와,
모바일 단말기의 수신되는 메시지를 체크하여 다른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반려동물의 비상구조요청메시지를 수신받아 해당 위치정보와 반려동물 정보를 복원하여 팝업창으로 출력하는 비상구조요청 메시지 수신부(270)와,
상기 착용장치의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될 문자 메시지와 음성출력을 실시간 입력하여 출력을 제어하거나, 미리 착용장치에 저장된 문자 메시지나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착용장치 디스플레이 및 오디오 출력제어부(2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의 구성만으로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신호에 대응하여 비상구조요청 메시지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나, 평상시 일정거리 이상 멀어질 때 분실경보를 하는 기능과, 디스플레이 및 음성출력을 제어하는 기능이 더 추가되고, 비상구조요청 메시지 수신시 해당 메시지가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메시지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팝업시키거나 알림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좀 더 빠르게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 착용장치 제어모듈의 기능 블록도이다.
상기 착용장치 제어모듈(160)은,
반려동물의 상태를 분석하기 위한 수단으로, 위치확인신호 체크부(161), 마이크 신호 분석부(162), 움직임 분석부(163)와 반려동물 상태 판단부(164)가 구비되고, 비상구조요청신호 생성부(165)와, 송수신 제어부(168) 및 상기 각부를 제어하는 메인제어부(16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위치확인신호 체크부(161)는,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110)로부터 수신되는 주인의 모바일 단말기와의 거리 측정을 위한 위치확인 신호가 주기적으로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며, 위치확인 신호가 수신되면 메인 제어부(167)는 이에 대한 응답 신호를 송수신 제어부(168)를 통해서 전송한다.
위치확인신호는 모바일 단말기의 분실경보부의 제어에 의해 주기적으로 모바일 단말기와 반려동물 착용장치 간에 위치확인신호를 주고받는다. 이때 수신신호의 세기에 의해 거리를 판별하고 판별된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상으로 멀어지면 분실경보 상태로 판단하여 분실경보를 한다. 이는 모바일 측에서도 분실 경보를 하고, 아울러 반려동물 착용장치에서도 분실 경보를 할 수 있다. 반려동물 착용장치에서는 미리 저장해둔 주인의 음성을 출력하여 반려동물이 주인에게 돌아오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반려동물 착용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주인과 떨어져 분실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나 음성 출력으로 주변 도움을 요청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분실경보기능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된 한국등록특허 10-1561429호 애완동물표시장치에 상세하게 설명된 내용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마이크 신호 분석부(162)는, 상기 마이크(121)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메모리(150)에 미리 저장해둔 소리 패턴 중에서 어떤 소리 패턴인지를 추출한다.
상기 움직임 분석부(163)는, 상기 움직임 센서 모듈(122)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메모리(150)에 미리 저장해둔 움직임 패턴 중에서 어떤 움직임 패턴인지를 추출한다.
상기 반려동물 상태 판단부(164)는, 상기 메모리(150)에 미리 저장해둔 소리패턴과 움직임 패턴 및 위치확인신호 수신 상태와 시간에 따른 반려동물 상태 판단 조건에 의거하여, 상기 추출된 위치확인신호 수신 상태와, 소리 패턴과, 움직임 패턴을 대응시켜 현재 반려동물의 상태를 판단한다.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상태판단을 위한 방법으로, 동물의 울음소리 패턴과, 움직임 패턴의 조합에 의해 상태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서 미리 실험적으로 동물의 울음소리 신호를 샘플링 등의 신호처리를 하여 울음소리의 종류를 분류하기 위한 소리 패턴을 생성하고, 각 소리 패턴에 대응된 상태정보를 매칭시켜둔다. 마찬가지로 동물의 행동양식에 따라 움직임 신호를 신호처리하여 패턴을 생성하고, 패턴별 동물의 상태 정보를 매칭시킨다. 그리고 소리와 움직임 둘 다를 고려한 조합 조건에서의 상태 정보를 매칭시켜둔다. 쉽게는 패턴-상태 테이블로 작성하여두고, 입력신호의 신호처리에 따라 패턴을 추출하고, 추출된 패턴을 기 저장된 패턴-상태 테이블에 매칭시켜 상태 정보를 추출한다.
예를 들어, 울음소리 패턴은, 주파수나 소리 크기 및 진폭, 연속시간, 반복 주기 등등을 고려하여 소리 패턴을 만들고, 움직임 패턴도 움직임 크기, 반경, 움직임 속도, 반복주기를 움직임 패턴으로 만들고, 움직임과 소리의 연관관계 등을 고려하여 패턴-상태 테이블을 작성하고, 검출된 소리와 움직임 신호를 분석해 상태정보를 추출한다.
본 발명에서는 비상구조요청신호 발생을 위한 상태 판단을 하는 것으로서, 마이크신호와 움직임 신호를 분석해 비상구조요청 상황인지를 판단한다. 하수구나 맨홀 또는 좁은 공간 속에 갇힌 경우에서의 울음소리와 움직임 패턴과, 올무나 덫에 걸리거나 부상을 당한 경우의 울음소리와 움직임 패턴과, 길을 잃고 배회하는 경우의 울음소리와 움직임 패턴 및 다른 사람을 피해서 숨어버리는 경우 등등을 고려하여 소리패턴과 움직임패턴을 추출하여 상태 판단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주인의 모바일 단말기의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앱(200)과 반려동물 착용장치(100) 간에 주기적인 위치확인 신호를 주고받는 경우에는, 위치확인신호 체크부(161)가 위치확인 신호의 수신상태를 체크 한다. 설정된 거리이상으로 벗어나 분실 경보상태에 있는 경우, 분실 경보상태의 지속시간을 체크하여 비상구조요청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에서는 소리패턴과, 움직임패턴의 조합에 의해 상태 판단하여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분실 경보상태가 미리 정해진 시간(예; 30분 이상, 또는 1시간 이상,..) 이상이 되면,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생성해 송신하게 할 수 있다. 또는, 분실 경보상태가 미리 정해진 시간 이상이 된 경우에만, 울음소리 패턴과, 움직임 패턴에서 검출된 상태에 따라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송신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은, 반려동물의 종류, 크기, 성격, 반려동물의 행동양식 또는 지역적 지리적 특성 등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비상구조요청신호 생성부(165)는, 상기 반려동물 상태 판단부(164)의 상태 판단에 따라 비상구조요청이 필요한 상태인 경우, 상기 메모리(150)로부터 반려동물 정보와 주인의 전화번호를 입력받아 주인의 전화번호와 반려동물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메인 제어부(167)는, 상기 위치확인 체크부(161)와, 마이크 신호 분석부(162)와, 움직임 분석부(163)와, 반려동물 상태 판단부(164)와, 상기 비상구조요청신호 생성부(165)의 동작을 제어하고, 비상구조요청신호의 송출과 해제를 제어한다. 즉, 메인 제어부(167)는 착용장치(100) 전체의 동작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비상구조요청 상태판단과 비상구조요청신호 송출을 제어하며, 디스플레이 및 오디오 출력모듈(130)을 제어하여 비상구조요청상태나, 반려동물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와 오디오 출력을 제어한다.
상기 송수신제어부(168)는, 상기 메인 제어부(167)의 제어에 의거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110)을 통한 비상구조요청신호의 송출 및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수신한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 연결하여 반려동물 정보와 주인의 전화번호를 전송하고, 정보수신 확인 신호를 응답한다.
비상구조요청신호 송신 방법으로, 상기 메인 제어부(167)는, 비상구조요청 상태로 판단한 경우, 비상구조요청 신호임을 알리는 비상구조요청 코드정보만을 송신하고, 비상구조요청 코드정보를 수신한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 연결이 이루어진 후, 정보요청에 응답하여 반려동물 정보 및 상태정보와 해당 반려동물 주인의 전화번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비상구조요청신호에 반려동물 정보와 주인의 전화번호등의 데이터를 실어서 전송하는 경우 밧데리 전원의 소모가 커지므로,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비상구조요청 코드신호만을 전송하고, 이 비상구조요청 코드신호에 응답한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연결하여 정보를 제공한다. 단말기측에서도 페어링 되지 않은 착용장치로부터 송출된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수신할 때 비상구조요청코드가 확인되면 통신연결하여 정보를 수신받아 메시지를 생성해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착용장치의 전력소모를 줄이고, 다수의 단말기가 동시에 메시지를 중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제어부(167)는, 평상시 반려동물의 상태에 대응된 문자 및 오디오를 미리 정해진 툴에 의해 매칭시켜 상기 디스플레이 및 오디오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하거나, 주인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문자나 오디오를 출력시킬 수 있다. 그리고 비상구조요청 상황에 대응해서도 대응된 문자나 오디오를 출력한다.
상기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앱(200)은, 무선통신망에 접속되어 SMS/SNS 메시징 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근거리 통신모듈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로서 스마트 폰을 예로 하며,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테블릿 PC, PDF,..등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방법 흐름도이다.
반려동물에게 반려동물 착용장치를 착용시키고, 모바일 단말기에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앱을 설치하여 반려동물의 비상구조를 요청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반려동물 착용장치(100)와 해당 반려동물 주인의 모바일 단말기(202) 사이에 위치확인신호를 주기적으로 주고받아 수신신호 세기에 의해 분실경보를 제어하고, 분실경보 상태가 미리 정해둔 일정시간 이상 지속 되는 경우, 반려동물 주인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생성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로 송출하는 비상구조요청단계(S10)와;
상기 반려동물 착용장치(100)에서 송출된 비상구조요청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수신받는 임의의 모바일 단말기(201)가, 상기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반려동물 주인의 전화번호를 추출함과 아울러 해당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위치정보가 포함되는 비상구조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추출된 주인의 전화번호로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메시지 중계단계(S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반려동물 착용장치(100)와 주인의 모바일 단말기(201) 간에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로서 위치확인 신호를 주고받고, 수신 신호 세기에 의해 이격거리를 판단하며, 미리 정해진 이격 거리 이상으로 멀어지면, 분실경보를 한다. 분실경보가 미리 정해진 설정시간 이상으로 지속되면, 착용장치(100)가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생성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로 송출하고, 주변의 모바일 단말기가 이를 수신해 주인의 모바일 단말기로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해 비상구조요청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이다.
이와 같은 분실경보 기능이 있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비상구조요청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수단들이 추가적으로 착용장치에 설치되지 않아도 분실경보 지속시간만 판단하여 비상구조요청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분실경보 기능은 반려동물 착용장치와 주인의 모바일 단말기가 근거리에 있을 때 사용되는 기능으로서, 분실경보기능을 정지시켜둔 상태에서는 비상구조요청 상태를 판단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착용장치에 반려동물 상태판단을 위한 복수의 센서들을 설치하여 반려동물 상태를 판단하여 비상구조요청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려 동물에게 반려동물의 착용장치(100)를 착용시키고, 모바일에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중계하는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앱(200)을 설치하여 반려동물의 비상구조요청을 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반려동물 착용장치(100)에 반려동물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를 설치하여 반려동물의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된 반려동물 상태가 비상구조요청 상황인지를 판단하여 주인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비상구조요청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송출하는 비상구조요청 단계(S10)와;
상기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수신받는 임의의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앱(200)이, 상기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비상구조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비상구조요청신호로부터 추출된 해당 반려동물 주인의 전화번호로 비상구조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비상구조요청 메시지 중계단계(S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비상구조요청 메시지를 메시징 서비스를 통해 수신받은 주인의 모바일 단말기는, 수신되는 메시지를 체크하여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메시지인지를 체크하고,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메시지 수신을 알림과 아울러 해당 메시지를 팝업시키는 비상구조요청 메시지 수신단계(S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비상구조요청 메시지 중계 단계(S20)에서, 위치정보와 해당 반려동물 정보와 주인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비상구조요청 메시지를 생성해 미리 설정된 동물구조센터로도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반려동물 착용장치(100)에서 반려동물의 상태를 파악하여 비상구조요청 신호를 송출하고, 해당 반려동물의 주변에 있는 임의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상기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반려동물 주인의 모바일 단말기로 위치정보와 반려동물 정보를 포함하는 비상구조요청 메시지를 생성해, SNS 또는 SMS 메시지로 전송한다.
이때 비상구조요청 메시지를 미리 메시지수신 전화번호가 설정된 동물구조센터로도 함께 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물구조센터로 보내는 비상구조요청메시지에는 주인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의 정보와 위치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려동물 착용장치(100)의 비상구조요청 단계(S10)는,
착용장치에 설치된 센서들을 통해 검출된 신호들을 신호처리 및 분석하여 반려동물의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태가 비상구조요청 상황인지를 판단하는 비상구조요청 판단단계(S11)와;
비상구조요청 상황으로 판단된 경우, 미리 정해진 툴에 의해 비상구조요청 식별코드와 주인의 전화번호와 반려동물 정보를 포함하는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송출하는 비상구조요청신호 송출단계(S12)를 수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비상구조요청 판단단계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상구조요청 판단단계(S11)는,
착용장치에 설치된 마이크(121)로부터 마이크 신호를 입력받아 신호처리 및 분석하여 메모리(150)에 미리 저장해둔 소리 패턴(151) 중 가장 유사한 소리 패턴을 추출하는 소리 패턴 추출단계(S111)와,
착용장치에 설치된 움직임센서모듈(122)로부터 움직임 신호를 입력받아 신호처리 및 분석하여 메모리(150)에 미리 저장해둔 움직임 패턴(152) 중 가장 유사한 움직임 패턴을 추출하는 움직임 패턴 추출단계(S112)와,
상기 소리 패턴 추출단계(111) 및 상기 움직임 패턴 추출단계(112)에서 추출된 소리 패턴과 상기 움직임 패턴에 대응된 반려동물 상태정보를 메모리(150)에 미리 저장해둔 패턴-상태 테이블(153)에서 추출하는 상태정보 추출단계(S113)와,
상기 상태정보 추출단계(S113)에서 추출된 반려동물 상태정보가 미리 설정해둔 비상구조요청 조건(154)에 해당되는지 판단하는 비상구조요청 상태판단 단계(S114)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소리 패턴은, 소리 신호의 주파수, 진폭, 연속 시간, 반복 주기를 고려하고, 움직임 패턴은, 움직임 신호의 움직임 크기, 반경, 속도, 반복 주기를 고려하여 각 신호의 특성을 패턴으로 분류한다. 각 패턴에 대해서는 해당 신호 패턴일 때 반려동물의 상태가 어떤 상태인지를 매칭시켜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소리 패턴과 움직임 패턴에 각각 대응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응되는 반려동물 상태를 미리 규격화하여 패턴-상태 테이블로 저장한다. 이는 각 반려동물의 종류나, 품종, 나이, 크기, 성격 등등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패턴 판단 기준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비상구조요청신호 송출 단계(S1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구조요청 상태 판단단계(S11)에서 비상구조요청 상황으로 판단되면, 미리 저장해둔 반려동물 주인의 전화번호와, 반려동물 상태 정보와, 비상구조요청임을 알리는 식별정보를 포함시켜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생성하는 비상구조요청신호 생성단계(S121)와,
상기 비상구조요청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로 송출하는 비상구조요청신호 송신단계(S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주인의 전화번호와 반려동물의 상태 및 정보를 포함하는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생성하여 바로 송출할 수도 있으나, 전송하는 데이터량이 많아 전력 소모가 커질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비상구조요청신호 송신단계(S12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구조요청 식별신호만을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송출하는 비상구조요청 식별신호 송출단계(S122a)와,
상기 비상구조요청 식별신호를 수신한 모바일 단말기의 통신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통신 연결하는 통신 연결단계(S122b)와,
상기 통신 연결이 이루어지면 상기 반려동물 주인의 전화번호와, 반려동물 정보 및 상태 정보를 통신 연결된 해당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단계(S122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비상구조요청 상황이 발생 되면, 비상구조요청 식별신호만을 무선신호로 송신하고, 응답한 모바일 단말기가 통신연결을 요청하면 이에 따라 통신연결하여 반려동물 주인의 전화번호, 반려동물 정보,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렇게 하면 비상구조요청 메시지를 중계하는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연결이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비상구조요청 식별신호만을 전송하기 때문에 전력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어서, 비상구조요청 유지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비상구조요청단계(S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상구조요청 상태 판단단계(S11)와, 상기 비상구조요청신호 송출단계(S12)를 수행하면서,
상기 비상구조요청신호 송출단계(S12)에서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수신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비상구조요청신호 수신 확인 신호를 응답할 때까지 상기 비상구조요청신호 송출단계(S12)를 반복하는 비상구조요청신호 수신확인단계(S13)와,
비상구조요청신호 수신 확인을 응답받으면, 미리 정해진 일정시간이 경과될때까지 상기 비상구조요청신호 송출단계(S13)를 중지하고 대기하는 대기단계(S14)와,
상기 대기단계(S14)에서 주인 단말기의 위치확인신호를 수신하거나, 비상구조요청 해제신호를 수신하기 전까지 일정시간 동안 대기하고, 일정시간이 경과 되면 상기 비상구조요청신호 송출단계(S12)부터 다시 일정시간 단위로 반복하는 비상구조요청 해제 판단단계(S15)와,
상기 비상구조요청 해제 판단단계(S15)에서 주인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확인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비상구조요청 해제신호를 수신하면, 비상구조요청신호를 해제하고, 상기 비상구조요청 판단단계(S11)로 복귀하는 비상구조요청신호 해제 단계(S16)를 포함하여 수행한다.
비상구조요청신호 송출단계(S12)에서 연속해서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송출하게 되면,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중계한 모바일 단말기가 다시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중계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앱(200)에서 한번 비상구조요청 신호에 의해 비상구조요청 메시지를 생성해 전송하고 나면 동일한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수신하지 않도록 프로그램을 설정하면 된다.
그런데 상기 한번 중계한 모바일 단말기 이외의 또 다른 모바일 단말기들이 주변에 존재하면, 동일하게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수신하여 비상구조요청메시지를 생성해 전송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동일내용으로 많은 수의 비상구조요청메시지가 연속해서 송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한번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정보전송이 완료되면 일정한 시간동안 대기하였다가, 다시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송출하게 한 것이다.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송출하고, 비상구조요청신호 수신확인이 되기 전까지는 비상구조요청신호 송출단계(S12)를 반복 수행한다. 임의의 모바일 단말기가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수신확인 응답을 하게 되면(S13), 한 번의 비상구조요청 메시지가 생성되어 전송되었으므로, 일정시간이 경과 되는 지를 체크 한다(S14). 일정시간이 경과 되면 다시 상기 비상구조요청신호 송출단계(S12)부터 반복 수행한다.
따라서 한 번의 비상구조요청메시지가 송신된 이후, 일정시간마다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송출하여 다시 비상구조요청메시지를 송신하게 한 것이다. 그러므로 주인의 모바일 단말기 또는 동물구조센터에서는 적어도 상기한 일정시간 이상의 시간이 경과 되면 비상구조요청메시지를 수신받을 수 있다.
이는 비상구조요청 메시지 수신측의 입장에서 보면, 일정시간 단위로 중복해서 비상구조요청 메시지를 수신받을 수도 있는 것이므로, 빠르게 비상구조신호 메시지를 확인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고, 불필요하게 연속해서 너무 많은 동일한 비상구조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비상구조요청신호 해제는, 주인의 모바일 단말기가 접근하여 주기적으로 송수신하는 위치확인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주인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비상구조요청 해제를 명령을 입력하여 출력되는 비상구조요청 해제신호를 수신받아 비상구조요청신호를 해제한다. 즉, 주인의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해서 비상구조요청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앱(200)에서 수행되는 비상구조요청 메시지 중계 단계(S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려동물 착용장치(100)에서 송출하는 구조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구조요청신호 수신단계(S21)와;
상기 구조요청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반려동물의 정보와 주인의 전호번호를 추출하는 전화번호 추출단계(S23)와;
해당 모바일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위치 추출하고, 추출된 해당 모바일 위치정보와, 상기 반려동물 정보를 포함하는 구조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구조요청 메시지 생성단계(S24)와;
상기 구조요청메시지를 상기 주인의 전화번호로 송신하는 구조요청메시지 송신단계(S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모바일 단말기가 동일한 반려동물 착용장치의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수신받아 비상구조요청 메시지를 중계하는 비상구조요청메시지 중계단계를 설정된 시간이 경과 되면 다시 반복할 수 있도록 상기 구조요청 메시지 송신단계(S25) 이후에 미리 정해둔 설정시간이 경과 되는지를 체크 하고, 설정시간이 경과 되면, 상기 비상구조요청신호 수신단계(S21)로 리턴하는 설정시간 대기단계(S26)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신호 수신단계(S21)는,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구조요청 식별코드를 수신단계(S211)와, 통신연결 요청단계(S222)와, 정보수신단계(S223) 및 비상구조요청신호 수신완료 확인단계(S22)를 수행한다.
무작위 수신자를 위하여 송출된 비상구조요청신호에서 비상구조요청 식별코드를 수신받은 모바일 단말기는, 해당 신호가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신호임을 인지하고, 통신 연결하여 비상구조요청신호 전체를 수신받아 반려동물 정보를 추출한 후, 수신 완료 확인 응답을 하고 통신을 종료한다.
그런데 반려동물 착용장치(100)에서 반려동물 구조요청 식별코드만을 전송하는 경우는, 구조요청 식별코드를 수신받으면, 해당 반려동물 착용장치(100)로 통신 연결을 요청하고, 반려동물 착용장치(100)가 통신 연결요청에 응하면 통신 페어링에 의해 통신을 연결한다. 통신이 연결된 상태에서 반려동물 착용장치(100)는 반려동물 정보와 주인의 전화번호와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상태 정보를 전송하고, 이를 모바일 단말기에서 수신받는다(S123). 이후 비상구조요청신호 수신완료 확인신호를 전송(S22)하고 통신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상기 비상구조요청신호 수신단계(S21)에서 반려동물 착용장치(100)로부터 전송된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수신받고, 전화번호 추출단계(S23)에서 수신된 비상구조요청신호에서 반려동물 정보와 해당 반려동물 주인의 전화번호를 추출한다. 여기서 반려동물 정보는 반려동물의 상태정보 즉, 비상구조요청 원인이 되는 상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반려동물 주인의 전화번호를 추출함과 아울러 현재 해당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추출한다.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정보는 모바일 단말기 자체의 GPS모듈로부터 획득한다.
이어서, 상기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비상구조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S24)를 수행하는데, 위치정보와, 반려동물 정보 및 비상구조요청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포함시켜 메시지를 생성한다.
비상구조요청메시지가 생성되면, 상기 추출된 주인의 전화번호로 반려동물 구조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단계(S25)를 수행한다. 반려동물 메시지 전송단계(S25)는 해당 반려동물 주인의 전화번호와, 동물구조센터로 함께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앱(200)에서 반려동물 착용장치(100)에서 송출한 비상구조요청신호를 모바일 메시징 서비스를 통해 SNS 또는 SMS 메시지로 중계하여 해당 반려동물 주인의 모바일 단말기와, 동물 구조센터로 비상구조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비상구조요청 메시지를 수신받는 반려동물 주인의 모바일 단말기에도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앱(200)이 설치되는 것이 당연한 것이지만, 반드시 설치될 필요는 없고, 단지 SNS 또는 SMS 메시지 수신기능만 있어도 본 발명의 구현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해당 반려동물 주인의 모바일 단말기에도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앱(200)이 설치된 것을 예로하고, 그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앱(200)에서는 비상구조요청 메시지 수신단계(S31), 비상구조요청 메시지 팝업 단계(S32)를 수행하여 비상구조요청 메시지 수신을 알린다.
비상구조요청 신호를 송출한 반려동물을 구조한 경우, 반려동물 구조요청 해제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해제입력 버튼 메뉴를 제공하고, 비상구조요청 해제입력 버튼이 입력되면, 비상구조요청 해제신호를 해당 반려동물의 착용장치(100)로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로 출력하여 비상구조요청신호를 해제한다. 이는 반려동물 착용장치(100)와, 해당 반려동물 주인의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앱(200)은 서로 통신 페어링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페어링 설정 없이 바로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반려동물 착용장치(100)와 해당 반려동물 주인의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앱(200은, 평소에 주기적으로 위치확인 신호를 주고받고, 그 신호 세기에 의해 설정거리 이상으로 멀어지면 자동으로 양측에서 다 분실 경보를 하게 하고,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해 반려동물 착용장치(100)의 디스플레이 메시지와 오디오 출력을 실시간 제어할 수도 있으며, 미리 설정된 문자나 오디오 출력을 설정하여 착용장치에 저장해두고, 반려동물 상태 판단에 따라 해당 문자를 출력하게 할 수 있다. 즉, 비상구조요청 상태가 아닌 경우에도, 본 발명의 반려동물 착용장치(100)는, 자체적으로 반려동물 상태 판단에 따라 미리 설정된 문자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대응된 오디오나 음성을 함께 출력하여 반려동물의 상태를 알릴 수도 있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반려동물 착용장치 101 : 착용장치 하우징부재
102 : 목줄 결합홈 131 : 디스플레이
110 : 근거리 통신모듈 120 : 센서모듈
121 : 마이크 122 : 움직임 센서모듈
123 : 타이머 124 : 카메라
125 : 생체신호 검출센서 130 : 디스플레이 및 오디오 출력모듈
140 : 밧데리 모듈 150 : 메모리
160 : 착용장치 제어모듈 161 : 위치확인신호 체크부
162 : 마이크신호 분석부 163 : 움직임 분석부
164 : 반려동물 상태 판단부 165 : 비상구조요청신호 생성부
167 : 메인 제어부 168 : 송수신제어부
200 : 모바일 단말기 201 : 임의의 모바일 단말기
202 : 주인의 모바일 단말기 210 : 근거리 통신 제어부
220 : 위치정보 추출부 230 : 앱 제어모듈
240 : 비상구조요청 메시지생성부 250 : 비상구조요청 메시지 송신부
260 : 분실 경보부 270 : 메시지 수신 제어부
280 : 디스플레이 및 오디오 출력부

Claims (15)

  1. 반려 동물에게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반려동물의 착용장치를 착용시키고, 모바일 단말기에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중계하는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앱을 설치하여 반려동물의 비상구조요청을 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반려동물 착용장치에 반려동물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를 설치하여 반려동물의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된 반려동물 상태가 비상구조요청 상황인지를 판단하여 주인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비상구조요청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송출하는 비상구조요청 단계와;
    상기 비상구조요청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수신받을 수 있는 임의의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앱이, 상기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비상구조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비상구조요청신호로부터 추출된 해당 반려동물 주인의 전화번호로, 비상구조요청 메시지를 모바일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비상구조요청 메시지 중계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구조요청 메시지 중계 단계는,
    위치정보와 해당 반려동물 정보와 주인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비상구조요청 메시지를 생성해 미리 메시지 수신전화번호가 설정된 동물구조센터로도 송신하는 것을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 착용장치의 비상구조요청 단계는,
    착용장치에 설치된 센서들을 통해 검출된 신호들을 신호처리 및 분석하여 반려동물의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태가 비상구조요청 상황인지를 판단하는 비상구조요청 판단단계와;
    비상구조요청 상황으로 판단된 경우, 미리 정해진 툴에 의해 비상구조요청 식별코드와 주인의 전화번호와 반려동물 정보를 포함하는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송출하는 비상구조요청신호 송출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구조요청 판단단계는,
    착용장치에 설치된 마이크로부터 마이크 신호를 입력받아 신호처리 및 분석하여 메모리에 미리 저장해둔 소리 패턴 중 가장 유사한 소리 패턴을 추출하는 소리 패턴 추출단계와;
    착용장치에 설치된 움직임센서모듈로부터 움직임 신호를 입력받아 신호처리 및 분석하여 메모리에 미리 저장해둔 움직임 패턴 중 가장 유사한 움직임 패턴을 추출하는 움직임 패턴 추출단계와;
    상기 소리 패턴 추출단계 및 상기 움직임 패턴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소리 패턴과 상기 움직임 패턴에 대응된 반려동물 상태정보를 메모리에 미리 저장해둔 패턴-상태 테이블에서 추출하는 상태정보 추출단계와;
    상기 상태정보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반려동물 상태정보가 미리 설정해둔 비상구조요청 조건에 해당되는지 판단하는 상태 판단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해둔 소리 패턴과, 움직임 패턴은,
    소리패턴은, 소리 신호의 주파수, 진폭, 연속 시간, 반복 주기를 고려하고, 움직임 패턴은, 움직임 신호의 움직임 크기, 반경, 속도, 반복 주기를 고려하여 각 신호의 특성을 추출해서 패턴으로 분류하며, 각 패턴에 대해서는 해당 신호 패턴일 때 반려동물의 상태가 어떤 상태인지를 매칭시켜 저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상태 테이블은,
    상기 소리 패턴과 움직임 패턴에 각각 대응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대응되는 반려동물 상태를 미리 추출하여 패턴-상태 테이블로 저장하되,
    각 반려동물의 종류나, 품종, 나이, 크기, 성격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하여 패턴 판단 기준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구조요청 판단단계는,
    반려동물 착용장치와 반려동물 주인의 모바일 단말기 간에 위치확인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수신하면서 수신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수신 세기 이하 또는 수신불가 상태가 미리 정해진 설정시간이상 지속 되는 경우, 반려동물의 비상구조요청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방법.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구조요청신호 송출 단계는,
    상기 비상구조요청 상태 판단단계에서 비상구조요청 상황으로 판단되면, 미리 저장해둔 반려동물 주인의 전화번호와, 반려동물 상태 정보와, 비상구조요청임을 알리는 식별정보를 포함시켜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생성하는 비상구조요청신호 생성단계와,
    상기 비상구조요청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로 송출하는 비상구조요청신호 송신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방법.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구조요청신호 송신단계는,
    비상구조요청 식별신호만을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송출하는 비상구조요청 식별신호 송출단계와;
    상기 비상구조요청 식별신호를 수신한 모바일 단말기의 통신 연결 요청에 응답하여 통신 연결하는 통신 연결단계와;
    상기 통신 연결이 이루어지면 상기 반려동물 주인의 전화번호와, 반려동물 정보 및 상태 정보를 통신 연결된 해당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방법.
  10. 반려 동물에게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반려동물의 착용장치를 착용시키고, 모바일 단말기에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중계하는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앱을 설치하여 반려동물의 비상구조요청을 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반려동물 착용장치가,
    착용장치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를 통해 반려동물의 상태를 검출하여 비상구조요청 상황인지를 판단하는 비상구조요청 판단단계와;
    비상구조요청 상황으로 판단되면, 해당 반려동물 주인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생성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송출하는 비상구조신호 송출단계와;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수신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비상구조요청신호 수신 확인 신호를 응답할 때까지 상기 비상구조요청신호 송출을 반복하는 비상구조요청신호 수신확인단계와;
    비상구조요청신호 수신완료 확인을 응답받으면, 미리 정해진 일정시간이 경과 될 때까지 상기 비상구조요청신호 송출단계를 중지하고,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비상구조신호 송출단계로 리턴하는 설정시간 대기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앱은,
    상기 반려동물 착용장치에서 송출하는 구조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구조요청신호 수신단계와;
    상기 구조요청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반려동물의 정보와 주인의 전화번호를 추출하는 전화번호 추출단계와;
    해당 모바일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위치 추출하고, 추출된 해당 모바일 위치정보와, 상기 반려동물 정보를 포함하는 구조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는 구조요청 메시지 생성단계와;
    상기 구조요청메시지를 상기 주인의 전화번호로 송신하는 구조요청메시지 송신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구조요청 판단단계는,
    반려동물 착용장치와 반려동물 주인의 모바일 단말기 간에 위치확인 신호의 수신 신호 세기가 미리 정해진 신호세기 이하기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착용장치에 설치된 마이크를 통해 검출된 소리 신호의 소리 패턴과, 착용장치에 설치된 움직임 센서의 움직임 신호의 움직임 패턴을 추출하여, 패턴에 대응된 반려동물 상태를 검출하여 비상구조요청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앱은,
    비상구조요청 신호에 의해 비상구조요청 메시지를 생성해 전송하고 나면 동일한 반려동물 착용장치로부터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수신하지 않도록 수신 제한이 설정되고, 미리 정해진 설정시간이 경과 되면 수신 제한 설정이 리세트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신호 수신단계는,
    상기 반려동물 착용장치에서 송신한 비상구조요청 신호의 비상구조요청 식별코드를 수신받는 단계와;
    비상구조요청 식별코드가 수신되면 해당 반려동물 착용장치로 통신연결을 요청하여 통신연결을 하는 통신연결단계와;
    통신 연결이 되면, 반려동물 착용장치로부터 반려동물 정보 및 구조요청 상태정보와 반려동물 주인의 전화번호를 수신받는 정보수신단계와;
    정보수신이 완료되면 정보수신 완료 확인 신호를 송신한 후, 통신 연결을 종료하는 수신완료 확인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방법.
  14. 제 1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반려동물 착용장치는,
    반려동물의 상태 판단에 의거하여 비상구조요청이 필요한 상태로 판단되면, 미리 저장해둔 비상구조요청에 대응된 문자 메시지와 오디오를 디스플레이 및 오디오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하여 비상구조요청 상태임을 자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방법.
  15. 반려동물에게 반려동물 착용장치를 착용시키고, 모바일 단말기에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앱을 설치하여 반려동물의 비상구조를 요청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반려동물 착용장치와 해당 반려동물 주인의 모바일 단말기 사이에 위치확인신호를 주기적으로 주고받아 수신신호 세기에 의해 분실경보를 제어하고, 분실경보 상태가 미리 정해둔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반려동물 주인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생성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로 송출하는 비상구조요청단계와;
    상기 반려동물 착용장치에서 송출된 비상구조요청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수신받는 임의의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비상구조요청신호를 수신받아 해당 반려동물 주인의 전화번호를 추출함과 아울러 해당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위치정보가 포함되는 비상구조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추출된 주인의 전화번호로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메시지 중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비상구조요청 방법.
KR1020170045038A 2017-04-07 2017-04-07 반려동물의 비상구조요청 방법 KR201801136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038A KR20180113678A (ko) 2017-04-07 2017-04-07 반려동물의 비상구조요청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038A KR20180113678A (ko) 2017-04-07 2017-04-07 반려동물의 비상구조요청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678A true KR20180113678A (ko) 2018-10-17

Family

ID=64099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5038A KR20180113678A (ko) 2017-04-07 2017-04-07 반려동물의 비상구조요청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36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412B1 (ko) * 2021-05-31 2022-02-23 한양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애완동물 위험상황 지원 장치 및 그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412B1 (ko) * 2021-05-31 2022-02-23 한양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애완동물 위험상황 지원 장치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4043B2 (en) Automated firearm security measures to contact assistance
US20170049075A1 (en) Pet monitoring devices
EP1629449B1 (en) A portable communications device
KR100966892B1 (ko) Rfid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안전관리장치
CN108718431B (zh) 一种无线耳机及其报警方法
US10588295B1 (en) Variable power source attachment for correctional animal collar
US20050073420A1 (en) Child containment, communication and locating system
US20130157628A1 (en) Smart phone based electronic fence system
CN111186331A (zh) 具有对接管理的电动充电站及其使用方法
JP2015194943A (ja) 監視システム
EP3488431A1 (en) Securit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s
US2018014162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handling a man overboard situation
US20200027329A1 (en) Interfacing peripheral devices used in a hazardous environment
KR20180113678A (ko) 반려동물의 비상구조요청 방법
KR20180113677A (ko) 반려동물의 비상구조요청 시스템
KR101487208B1 (ko) 푸시 방식을 이용한 긴급 메시지 제공 방법과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
US2021011827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terminal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terminal device, and control program
US20190156657A1 (en) Method for the remote monitoring of persons through smart mobile terminals and web services
WO2018042235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triggering of a trap for small animals
KR20100028993A (ko) 낙상폰과 낙상폰을 이용한 구조시스템
KR20110025427A (ko) 소형무선단말기의 분실 경보장치
KR20180100351A (ko) 전자 추락 이벤트 통신 시스템
CN110807896A (zh) 安全监护方法、装置及系统
US10249159B2 (en) Surveillance method and system
KR20150120189A (ko) 휴대 단말을 이용한 위치 추적 방법 및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