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3138A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ased on multiple beam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ased on multiple bea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3138A
KR20180113138A KR1020170106004A KR20170106004A KR20180113138A KR 20180113138 A KR20180113138 A KR 20180113138A KR 1020170106004 A KR1020170106004 A KR 1020170106004A KR 20170106004 A KR20170106004 A KR 20170106004A KR 20180113138 A KR20180113138 A KR 20180113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ase station
data
terminal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0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기호
서창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ublication of KR20180113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13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04B7/0639Using selective indices, e.g. of a codebook, e.g. pre-distortion matrix index [PMI] or for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beam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embodiments are relate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ased on a multiple beam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beamforming system. A base station separates and manages an active beam set, a candidate beam set, and an idle beam set based on beam state information received from a terminal. Then, based on the active beam set, a beam to be used for data transmission is selected and beam ind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So, the terminal can receive data using the beam. The terminal can use data reception directly without any procedure for setting a beam of a good state among recently reported beams as the active beam, by transmitting a predefined value as the beam direction information.

Description

다중 빔 기반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ASED ON MULTIPLE BEAM}[0001]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ASED ON MULTIPLE BEAM [0002]

본 실시예들은 빔포밍 시스템에서 다중 빔 기반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embodiments are directed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n a multi-beam basis in a beamforming system.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또는 단말은 데이터나 신호의 송수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빔포밍 기술을 이용하여 데이터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은 여러 빔 중 어느 하나의 빔을 선택하고 선택된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나 신호를 송신한다. 그리고, 단말에게 데이터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이용된 빔에 관한 정보를 알려줌으로써 단말이 해당 빔을 통해 데이터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 base station or a terminal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and signals using a beamforming technique to improv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erformance of data and signals. In one example, the base station selects one of the beams and transmits data or signals using the selected beam. By informing the terminal about the beam used for transmitting the data or the signal, the terminal can receive the data or the signal through the corresponding beam.

특히,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넓은 대역폭 사용이 가능한 초고주파 대역의 이용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며, 초고주파 대역에서는 기존의 셀룰러 주파수에 비해 경로 손실 등이 크기 때문에 커버리지 확보를 위해 빔포밍 기술이 필수적이다.Particularly, discussions are being made on the use of a very high frequency band which can use a wide bandwidth in a next 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 the very high frequency band, since the path loss is larger than a conventional cellular frequency, a beam forming technique is necessary to secure coverage.

그러나, 이러한 빔포밍 기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에도 단일 빔을 이용한 빔포밍 방식에서는 장애물 등에 의해 빔이 차단되어 통신 상태가 끊길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빔이 차단되어 상태가 좋은 다른 빔으로 변경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더라도 빔의 변경 절차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인해 데이터 송수신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However, even in the cas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y using such a beam forming technique, there is a problem that a beam is blocked by an obstacle in a beam forming method using a single beam, and the communication state is cut off. Further, there is a problem that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is delayed due to the time required for the beam changing process even if the beam is blocked and changed to another beam having a good state.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기지국과 단말 간에 다수의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방법과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a base station and a terminal using a plurality of beams.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다중 빔 기반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에 사용되는 다수의 빔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데이터 송수신에 사용되는 빔의 정보를 용이하게 알려줄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managing a plurality of beams used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a multi-beam-base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and easily informing beam information used for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다중 빔 기반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시스템에서 빔 변경 절차로 인한 시간 지연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that can reduce the time delay due to a beam changing procedure in a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n a multi-beam basis.

일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단말이 다중 빔 기반으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빔에 대한 빔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빔 참조 신호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빔의 상태를 측정하고 빔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빔 상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기지국으로부터 빔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빔 지시 정보에 따라 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빔을 이용하여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In one aspect, the present embodiments provide a method for a terminal to receive data on a multi-beam basis,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beam reference signal for one or more beams from a base station; Transmitting beam state information to a base station; receiving beam direction information from the base station and transmitting data using the beam selected based on the beam st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beam direction informatio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기지국이 다중 빔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빔에 대한 빔 참조 신호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빔 참조 신호에 기초하여 측정된 하나 이상의 빔에 대한 빔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활성 빔 세트에 포함되는 빔과 후보 빔 세트에 포함되는 빔을 설정하고 단말로 빔 지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빔 지시 정보에 따라 선택된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embodiments provide a method for a base station to transmit data on a multi-beam basis, the method comprising: transmitting a beam reference signal for one or more beams to a terminal; Setting a beam included in the active beam set and a beam included in the set of candidate beams based on the beam stat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beam direc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based on the beam state information, And then transmitting the data using the selected beam.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다중 빔 기반으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빔에 대한 빔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빔 참조 신호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빔의 상태를 측정하고 빔 상태 정보를 생성하며 빔 상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수신부는, 기지국으로부터 빔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빔 지시 정보에 따라 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빔을 이용하여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embodiments provide a terminal for receiving data on a multi-beam basis, comprising: a receiver for receiving a beam reference signal for one or more beams from a base station; And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beam status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beam status information to the base station, wherein the reception unit receives the beam indication information from the base station and transmits the data transmitted using the beam selected based on the beam statu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beam indica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다중 빔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빔에 대한 빔 참조 신호를 단말로 전송하는 송신부와, 빔 참조 신호에 기초하여 측정된 하나 이상의 빔에 대한 빔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활성 빔 세트에 포함되는 빔과 후보 빔 세트에 포함되는 빔 세트에 포함되는 빔을 설정하며 단말로 빔 지시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빔 지시 정보에 따라 선택된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지국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embodiments provide a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data on a multi-beam basis, the base station comprising: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beam reference signal for one or more beams to a terminal;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beam status information and setting the beam included in the active beam set and the beam included in the beam set included in the candidate beam set based on the beam status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beam indica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And a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data using the beam selected according to the beam indication information.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다중 빔 기반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빔 상태나 주변 환경에 의하여 통신 상태가 끊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on a multi-beam basis, thereby preventing a communication state from being broken due to a beam state or a surrounding environment.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데이터 송수신에 사용되는 다수의 빔을 상태에 따라 그룹 별로 관리하고 각 그룹에 속하는 빔의 종류를 실시간으로 변경해줌으로써, 상태가 좋은 빔을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a plurality of beams used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re managed for each group according to a state, and the kind of beam belonging to each group is changed in real time, thereby enabling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using a beam having a good state.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빔 변경을 위한 빔 설정 절차를 거치지 않고 변경된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함으로써, 빔의 상태에 따라 즉각적인 빔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transmit / receive data by using a changed beam without going through a beam setting procedure for changing the beam, thereby enabling immediate beam change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beam.

도 1은 단일 빔 기반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은 빔포밍 기술의 개요와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단일 빔 기반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주변 상황에 의해 통신 상태가 끊기는 현상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은 다중 빔 기반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다중 빔 기반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빔 설정 절차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과 도 9는 다중 빔 기반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빔을 관리하는 방식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다중 빔 기반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지시 정보에 따라 빔을 변경하는 방식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다중 빔 기반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지시 정보에 따라 빔을 변경하는 방식의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이 다중 빔 기반으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이 다중 빔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의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 is an illustration of an exampl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n a single beam basis.
FIGS. 2 and 3 are diagrams showing an outline and a procedure of the beam forming technique.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henomenon in which a communication state is disconnected due to a surrounding situ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based on a single beam.
5 and 6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n a multi-beam basis.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beam setting procedur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on a multi-beam basis.
8 and 9 are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managing a plurality of beam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on a multi-beam basis.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changing a beam according to beam indication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on a multi-beam basis.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method of changing a beam according to beam indication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on a multi-beam basis.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receiving data on a multi-beam basis by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on a multi-beam basis by a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명세서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의미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As used here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efers to a system for providing various communication services such as voice, packet data, and the like.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es a user equipment (UE) and a base station (BS).

사용자 단말은 무선 통신에서의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LTE, HSPA 및 IMT-2020(5G 또는 New Radio)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user terminal is a comprehensive concept that means a termina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and it is a comprehensive concept which means a mobile station (MS) in GSM, a mobile station (MS) in UT (User Terminal), a Subscriber Station (SS), a wireless device, and the like.

기지국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gNB(gNode-B), LPN(Low Power Node), 섹터(Sector), 싸이트(Site),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포인트(예를 들어, 송신포인트, 수신포인트, 송수신포인트), 릴레이 노드(Relay Node), 메가 셀, 매크로 셀, 마이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스몰 셀(small cell)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A base station or a cell generally refers to a station that communicates with a user terminal and includes a Node-B, an evolved Node-B, a gNode-B, a Low Power Node A sector, a site, various types of antennas, a base transceiver system (BTS), an access point, a point (for example, a transmission point, a reception point, a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RRH), a radio unit (RU), and a small cell, as well as a relay cell, a relay node, a megacell, a macrocell, a microcell, a picocell, a femtocell, an RRH,

앞서 나열된 다양한 셀은 각 셀을 제어하는 기지국이 존재하므로 기지국은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1) 무선 영역과 관련하여 메가 셀, 매크로 셀, 마이크로 셀, 피코 셀, 펨토 셀, 스몰 셀(small cell)을 제공하는 장치 그 자체이거나, 2) 무선 영역 그 자체를 지시할 수 있다. 1)에서 소정의 무선 영역을 제공하는 장치들이 동일한 개체에 의해 제어되거나 무선 영역을 협업으로 구성하도록 상호 작용하는 모든 장치들을 모두 기지국으로 지시한다. 무선 영역의 구성 방식에 따라 포인트, 송수신 포인트,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등은 기지국의 일 실시예가 된다. 2)에서 사용자 단말의 관점 또는 이웃하는 기지국의 입장에서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게 되는 무선 영역 그 자체를 기지국으로 지시할 수 있다.Since the various cells listed above exist in the base station controlling each cell, the base station can be interpreted into two meanings. Macro cell, micro cell, picocell, femtocell, small cell, or 2) the wireless region itself in connection with the wireless region. 1), all of the devices that interact to configure the wireless area to be cooperatively controlled by the same entity are all pointed to the base station. A point, a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a transmission point, a reception point, and the like are examples of the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method of the radio area. 2 may direct the base station to the wireless region itself to receive or transmit signals at the point of view of the user terminal or in the vicinity of the neighboring base station.

본 명세서에서 셀(Cell)은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또는 transmission/reception point)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를 가지는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그 송수신 포인트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 cell refers to a component carrier having a coverage of a signal transmitted from a transmission point or a transmission point or a transmission point or a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of a signal transmitted from a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and a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itself .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Uplink 또는 Downlink)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Herein, the user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are used in a broad sense as two (uplink or downlink) transmitting and receiving subjects used to implement the technology or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limited by a specific term or word Do not.

여기서, 상향링크(Uplink, UL, 또는 업링크)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하향링크(Downlink, DL, 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Here, an uplink (UL, or uplink) means a method of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to / from a base station by a user terminal, and a downlink (DL or downlink) .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 TDD 방식과 FDD 방식의 혼용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The time division duplex (TDD) scheme, which is transmitted using different time periods, can be used for the uplink and downlink transmission, and a 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scheme in which different frequencies are used, a TDD scheme and an FDD scheme A hybrid method can be used.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반송파 또는 반송파 쌍을 기준으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구성하여 규격을 구성한다.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e uplink and the downlink are configured with reference to one carrier or carrier pair to form a standard.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등과 같은 제어 채널을 통하여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과 같은 데이터 채널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전송한다.The uplink and the downlink transmit control information through a control channel such as a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a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and the like. The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the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It is composed of the same data channel and transmits data.

하향링크(downlink)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에서 단말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할 수 있으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에서 다중 송수신 포인트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다.A downlink may refer to a communication or communication path from a multipoint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to a terminal, and an uplink may refer to a communication or communication path from a terminal to a multiple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 At this time, in the downlink, the transmitter may be a part of the multiple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s, and the receiver may be a part of the terminal. Also, in the uplink, the transmitter may be a part of the terminal, and the receiver may be a part of multiple transmission / reception points.

이하에서는 PUCCH, PUSCH, PDCCH 및 PDSCH 등과 같은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상황을 'PUCCH, PUSCH, PDCCH 및 PDSCH를 전송, 수신한다'는 형태로 표기하기도 한다.Hereinafter, a situation in which a signal is transmitted / received through a channel such as PUCCH, PUSCH, PDCCH, and PDSCH is expressed as 'PUCCH, PUSCH, PDCCH and PDSCH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한편, 이하에서 기재하는 상위계층 시그널링(High Layer Signaling)은 RRC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RRC 정보를 전송하는 RRC 시그널링을 포함한다.Meanwhile, the High Layer Signaling described below includes RRC signaling for transmitting RRC information including RRC parameters.

기지국은 단말들로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기지국은 유니캐스트 전송(unicast transmission)을 위한 주 물리 채널인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의 수신에 필요한 스케줄링 등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에서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 되는 것을 해당 채널이 송수신되는 형태로 기재하기로 한다.The base station performs downlink transmission to the UEs. The base station includes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such as scheduling, required for reception of a downlink data channel, which is a primary physical channel for unicast transmission, and physical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for transmitting scheduling grant information for transmission in an uplink data channel. A control channel can be transmitted. Hereinafter, the transmission / reception of a signal through each channel will be described in a form in which the corresponding channel is transmitted / received.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OFDM-TDMA, OFDM-F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NOMA는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와 LDS(Low Density Spreading) 등을 포함한다.There are no restrictions on multiple access schemes applie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T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NOMA) Various multiple access schemes such as OFDM-CDMA can be used. Here, the NOMA includes Sparse Code Multiple Access (SCMA) and Low Density Spreading (LD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LTE-Advanced, IMT-2020으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 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 통신 분야 등의 자원 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synchronous wireless communications that evolve into LTE / LTE-Advanced, IMT-2020 over GSM, WCDMA, HSPA, and synchronous wireless communications such as CDMA, CDMA- Can be applied.

본 명세서에서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를 지원하는 단말 또는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는 단말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및/또는 coverage enhancement를 지원하기 위한 특정 카테고리로 정의된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 terminal may mean a terminal supporting low cost (or low complexity) or a terminal supporting coverage enhancement. Alternatively, the MTC terminal may refer to a terminal defined in a specific category for supporting low cost (or low complexity) and / or coverage enhancement.

다시 말해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LTE 기반의 MTC 관련 동작을 수행하는 새롭게 정의된 3GPP Release-13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UE category/type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명세서에서 MTC 단말은 기존의 LTE coverage 대비 향상된 coverage를 지원하거나, 혹은 저전력 소모를 지원하는 기존의 3GPP Release-12 이하에서 정의된 UE category/type, 혹은 새롭게 정의된 Release-13 low cost(또는 low complexity) UE category/type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Release-14에서 정의된 further Enhanced MTC 단말을 의미할 수도 있다.In other words, the MTC terminal in this specification may mean a newly defined 3GPP Release-13 low cost (or low complexity) UE category / type for performing LTE-based MTC-related operations. Alternatively, the MTC terminal may support enhanced coverage over the existing LTE coverage or a UE category / type defined in the existing 3GPP Release-12 or lower that supports low power consumption, or a newly defined Release-13 low cost low complexity UE category / type. Or a further Enhanced MTC terminal defined in Release-14.

본 명세서에서 NB-IoT(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단말은 셀룰러 IoT를 위한 무선 액세스를 지원하는 단말을 의미한다. NB-IoT 기술의 목적은 향상된 인도어(Indoor) 커버리지, 대규모의 저속 단말에 대한 지원, 저지연민감도, 초저가 단말 비용, 낮은 전력 소모, 그리고 최적화된 네트워크 구조를 포함한다.In this specification, 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NB-IoT) terminal means a terminal supporting wireless access for cellular IoT. The objectives of NB-IoT technology include improved indoor coverage, support for large-scale low-rate terminals, low latency sensitivity, ultra-low cost, low power consumption, and optimized network architecture.

3GPP에서 최근 논의 중인 NR(New Radio)에서 대표적인 사용 시나리오(usage scenario)로서,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가 제기되고 있다.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mMTC), and 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URLLC) have been proposed as typical usage scenarios in NR (New Radio), which is under discussion in 3GPP.

본 명세서에서 NR(New Radio)과 관련한 주파수, 프레임, 서브프레임, 자원, 자원블럭, 영역(region), 밴드, 서브밴드, 제어채널, 데이터채널, 동기신호, 각종 참조신호, 각종 신호, 각종 메시지는 과거 또는 현재 사용되는 의미 또는 장래 사용되는 다양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a frequency, a frame, a subframe, a resource, a resource block, a region, a band, a subband, a control channel, a data channel, a synchronization signal, various reference signals, various signals, May be interpreted as past or presently used meanings or various meanings used in the future.

도 1은 단일 빔 기반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시를 나타낸다.Figure 1 shows an exampl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n a single beam basis.

도 1을 참조하면, 단말은 기지국과 데이터를 송수신함에 있어서 빔포밍 기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은 어느 하나의 빔을 선택하고 선택된 빔을 이용하여 단말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그리고,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 전송에 사용된 빔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한다.Referring to FIG. 1, a mobile station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using a beamforming technique in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 from a base station.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selects one of the beams and transmits data to the terminal using the selected beam. Then, the terminal receives the information on the beam used for data transmission from the base station and receives the data using the corresponding beam.

기지국은 데이터 송신에 사용할 빔을 선택하기 위하여, 여러 빔에 대한 빔 참조 신호를 단말로 전송하고 각각의 빔의 상태를 측정한 빔 상태 정보를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In order to select a beam to be used for data transmission,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a beam reference signal for a plurality of beams to the terminal, and receive beam state information indicating the state of each beam from the terminal.

기지국은 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송신을 위한 빔을 선택하고 해당 빔에 관한 정보를 단말로 알려준다. 그리고, 선택된 빔을 이용하여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한다.The base station selects a beam for data transmission based on the beam state information and informs the terminal of information about the beam. Then, data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using the selected beam.

기지국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 빔포밍을 적용함에 있어서 데이터에 대한 프리코딩을 통한 디지털 빔포밍 방식이나 안테나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방향을 조정하는 아날로그 빔포밍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는, 디지털 빔포밍 방식과 아날로그 빔포밍 방식이 복합된 하이브리드 빔포밍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In applying the beamforming for data transmission, the base station can use a digital beamforming scheme for precoding data or an analog beamforming scheme for adjusting the direction of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ntenna. Alternatively, a hybrid beam forming method in which a digital beam forming method and an analog beam forming method are combined may be used.

도 2와 도 3은 빔포밍 기술의 개요와 절차의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서, 하이브리드 빔포밍 방식을 예로 나타낸 것이다.FIG. 2 and FIG. 3 illustrate an outline and a procedure of the beamforming technique, which is an example of the hybrid beamforming method.

도 2를 참조하면, 아날로그 빔포밍과 디지털 빔포밍을 모두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빔포밍 구조의 예시를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2, there is shown an example of a hybrid beamforming structure using both analog beamforming and digital beamforming.

디지털 프리코더는 빔포밍을 위해 데이터를 프리코딩하고, 프리코딩된 데이터는 안테나에서 아날로그 빔포밍이 적용되어 전송된다. 빔포밍이 적용된 데이터가 해당 채널을 통해 전송되면 아날로그 빔포밍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한다.The digital precoder precodes the data for beamforming and the precoded data is transmitted at the antenna with analog beamforming applied. When data with beamforming is transmitted through the corresponding channel, data is received using analog beamforming.

하이브리드 빔포밍 구조에서는 복잡도를 낮추기 위해서 아날로그 빔포밍을 통해 빔 인덱스(또는 빔 아이디)에 따라 사전에 정의된 특정 방향으로 신호를 내로우 빔(Narrow Beam)을 이용하여 송신한다.In the hybrid beamforming structure, in order to reduce the complexity, a signal is transmitted in a specific direction defined by a beam index (or a beam ID) through analog beamforming using a narrow beam.

즉,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빔 인덱스를 사전에 단말에 알려주고, 해당 빔 인덱스에 따라 특정 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단말이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a beam index used for data transmission is notified to the terminal in advance, and data is transmitted in a specific direction according to the beam index so that the terminal can receive the beam index.

이때, 아날로그 안테나 어레이 간에는 디지털 빔포밍을 통해서 다이버시티(Diversity)나 공간 다중화(Spatial Multiplexing) 방식을 통한 전송 방식도 지원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also possible to support diversity or spatial multiplexing transmission method through digital beamforming between analog antenna arrays.

도 3은 빔포밍 기술을 적용하여 빔을 관리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절차의 예시를 나타낸다.FIG. 3 shows an example of a procedure for managing a beam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y applying a beam forming technique.

일 예로, 아래와 같은 단계로 빔 관리와 데이터 송수신이 수행될 수 있다.For example, beam management and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can be performed in the following steps.

1. 기지국은 빔을 순차적으로 쏘아서 단말들이 다양한 빔을 수신할 수 있게 한다.1. The base station sequentially fires the beams so that the terminals can receive the various beams.

2. 단말은 가장 좋은 신호의 빔 아이디를 기지국으로 보고한다.2. The terminal reports the beam ID of the best signal to the base station.

3. 보고된 빔들을 바탕으로 기지국이 전송하고자 하는 빔을 단말에게 알려준다.3. Based on the reported beams, the base station informs the terminal of the beam to be transmitted.

4. 기지국은 보고된 빔들 중에 가장 좋은 빔에서 데이터를 보낸다.4. The base station sends data from the best beam among the reported beams.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여러 빔에 대한 빔 참조 신호를 주기적으로 단말에게 전송한다(①). 단말은 기지국으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전송하고(②), 기지국으로부터 랜덤 액세스 응답을 수신한다(③).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3, the BS periodically transmits a beam reference signal for a plurality of beams to the MS (1). The terminal transmits a random access preamble to the base station (2), and receives a random access response from the base station (3).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여러 빔에 대한 빔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빔 상태를 측정하고 빔 상태가 가장 좋은 빔을 기지국에 보고한다(④). 일 예로, 5번 빔(BID=5)을 가장 좋은 빔으로 보고할 수 있다. 즉, 상태가 가장 좋은 빔인 5번 빔으로 데이터 전송을 요청한다.The terminal measures the beam status using the beam reference signals for the various beams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and reports the beam with the best beam status to the base station (4). For example, beam 5 (BID = 5) can be reported as the best beam. That is, it requests data transmission with beam # 5 which is the best beam in the state.

단말과 기지국은 무선 자원 제어 연결을 수행하고(⑤), 기지국은 5번 빔으로 빔을 변경하고 빔 변경 정보를 단말에게 알려준다(⑥). 그리고, 기지국은 가장 좋은 빔으로 보고받은 5번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고 단말은 5번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한다(⑦).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perform a 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ion (⑤), the base station changes the beam with the fifth beam and informs the terminal of the beam change information (⑥). Then, the base station transmits the data using the beam 5, which is reported as the best beam, and the terminal receives the data using the beam 5 (7).

이와 같은 절차에 따라 데이터 전송에 사용할 빔을 관리함으로써, 기지국과 단말 간의 데이터 송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By managing the beam to be used for data transmission according to this procedure,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performance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can be improved.

그러나, 이러한 단일 빔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애물 등에 의해 빔이 차단되어 통신 상태가 끊기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Howev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based on a single beam, a beam may be blocked by an obstacle or the like, and a communication state may be interrupted.

도 4는 단일 빔 기반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애물에 의해 빔이 차단되는 상황의 예시를 나타낸다.4 shows an example of a situation where a beam is blocked by an obstacl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on a single beam basis.

도 4는 참조하면, 기지국은 가장 좋은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단말로 전송한다.Referring to FIG. 4, a base station transmits data to a mobile station using a best beam.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경우와 같이, 자동차 등과 같은 장애물에 의해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빔이 차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통신 상태가 끊기게 될 수 있다.However, as in the case shown in Fig. 4, the beam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can be blocked by an obstacle such as an automobile.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state may be cut off.

따라서, 단일 빔 기반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좋은 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더라도 주변 상황에 따라 통신 상태가 끊길 수 있으며, 빔을 변경함에 따른 시간 지연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Therefo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based on a single beam, even if data is transmitted / received using a good beam, the communication state may be interrupted depending on the surrounding situation, and a time delay may occur due to the beam change.

본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빔을 관리하고 빔을 변경하는 구체적인 절차를 제공함으로써, 다중 빔 기반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provides a method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n a multi-beam basis by providing a specific procedure of managing a plurality of beams and changing a beam.

도 5와 도 6은 다중 빔 기반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시를 나타낸다.5 and 6 illustrate an exampl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n a multi-beam basis.

도 5를 참조하면, 단말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a terminal may receive data from one or more base stations using one or more beams.

일 예로, 기지국 A, 기지국 B, 기지국 C로부터 3개의 빔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어느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다수의 빔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base station A, the base station B, and the base station C can receive data transmitted using three beams. Or, it may receive data transmitted from one of the base stations using a plurality of beams.

따라서, 특정 빔이 장애물 등에 의해 차단되더라도 다수의 빔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므로, 다른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어 통신 상태가 끊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even if a specific beam is blocked by an obstacle or the like, data is received through a plurality of beams, so that data can be received through another path, thereby preventing a communication state from being cut off.

이러한 다중 빔 기반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기지국은 데이터 전송에 사용하는 다수의 빔의 리스트를 관리하고, 이를 통해 데이터를 단말로 전송한다.In order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based on the multi-beam, a base station manages a list of a plurality of beams used for data transmission, and transmits data to the terminal through the list.

단말은 다중 빔 설정 과정을 통해 데이터 수신을 위한 빔을 설정하고 데이터를 수신하며, 다중 빔 신호를 조합하여 신호 이득을 극대화할 수 있다.The terminal sets a beam for data reception and receives data through a multi-beam setting process, and can combine multiple beam signals to maximize signal gain.

도 6은 이러한 다중 빔 기반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빔이 변경되는 과정의 예시를 나타낸다.FIG. 6 shows an example of a process of changing a beam used for data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based on this multi-beam.

도 6을 참조하면, 단말은 기지국 A로부터 1번 빔(B1)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고, 기지국 B로부터 2번 빔(B2)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한다.Referring to FIG. 6, a terminal receives data using a first beam B1 from a base station A and receives data from a base station B using a second beam B2.

단말이 이동함에 따라 1번 빔(B1)과 2번 빔(B2)의 상태가 좋지 않게 될 수 있으며, 기지국과 단말은 데이터 송수신에 사용하는 빔을 변경하고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As the terminal moves, the states of the first beam B1 and the second beam B2 may become poor, and the base station and the terminal may change the beam used for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nd perform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이 이동하면 단말은 기지국 B로부터 3번 빔(B3)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고 기지국 C로부터 4번 빔(B4)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6, when a terminal moves, the terminal receives data using the third beam B3 from the base station B and receives data using the fourth beam B4 from the base station C .

단말은 다수의 기지국으로부터 다중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므로 장애물 등에 의해 특정 경로가 차단되어 통신 상태가 끊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이동하면 상태가 좋은 빔으로 변경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단말과 기지국 간의 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Since the terminal receives data using multiple beams from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mmunication state from being disconnected due to a specific path being blocked by an obstacle or the like. Further, when the terminal moves, the communication performanc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can be improved by changing the beam to a beam having a good state and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따라서, 다중 빔 기반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데이터 송수신에 사용되는 빔을 관리하고 단말에게 설정해줄 필요가 있다.Accordingl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based on a multi-beam, a base station manages a beam used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needs to set a beam to the terminal.

본 실시예들에 따른 다중 빔 기반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빔을 관리하고 데이터 전송에 사용하는 빔에 관한 정보를 단말에 전달하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crete method of managing multiple beam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ased on a multi-beam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a beam used for data transmission to the terminal.

도 7은 다중 빔 기반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사용하는 빔을 설정하는 절차의 예시를 나타낸다.FIG. 7 shows an example of a procedure for setting a beam used for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on a multi-beam basis.

도 7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단말도 다수의 빔에 대한 빔 참조 신호를 순차적으로 전송한다(①).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빔 참조 신호에 기초하여 다수의 빔의 상태를 측정하고 빔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기지국으로 보고한다(②).Referring to FIG. 7, the BS also sequentially transmits beam reference signals for a plurality of beams (1). The terminal measures the state of a plurality of beams based on the beam reference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generates beam state information, and reports the state information to the base station (2).

이때, 단말은 다수의 빔에 대한 빔 상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terminal can transmit beam state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beams to the base station.

여기서, 다수의 빔은 어느 하나의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빔일 수도 있고, 여러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빔일 수도 있다.Here, the plurality of beams may be a beam transmitted from one of the base stations or a beam transmitted from various base stations.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한 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송에 사용할 빔을 관리하고 여러 빔 중 하나 이상의 빔을 데이터 전송에 사용할 빔으로 선택한다. 그리고,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선택된 빔에 관한 정보를 단말에게 알려준다(③).The base station manages the beam to be used for data transmission based on the beam statu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and selects one or more of the plurality of beams as a beam to be used for data transmission. Then, it informs the terminal about the beam selected for data transmission (3).

기지국은 선택된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단말은 해당 빔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한다(④).The base station transmits data using the selected beam, and the terminal receives the data through the corresponding beam (4).

여기서, 기지국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하는 빔들을 복수의 그룹으로 구분하고 관리할 수 있다.Here, the base station can divide and manage the beams used for data transmission into a plurality of groups.

도 8은 다중 빔 기반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다수의 빔을 관리하는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FIG. 8 shows an example of a method by which a base station manages a plurality of beam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transmits and receives data on a multi-beam basis.

도 8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데이터 전송에 사용하는 빔을 3개의 세트로 구분하고 관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a base station can divide and manage beams used for data transmission into three sets.

일 예로, 기지국은 데이터 전송에 사용하는 빔을 활성 빔 세트(Active Beam Set), 후보 빔 세트(Candidate Beam Set), 유휴 빔 세트(Idle Beam Set)로 구분하고 관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ase station can classify and manage a beam used for data transmission into an active beam set, a candidate beam set, and an idle beam set.

활성 빔 세트는 실제 전송 단위에서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하는 빔들을 포함하며, 상위 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예, RRC 메시지). 활성 빔 세트에 포함된 빔들은 L1(PDCCH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또는 L2(Mac Control Element)를 이용해서 전송하게 된다.The active beam set includes beams used for data transmission in the actual transmission unit and can be set by higher layer signaling (e.g., RRC message). The beams included in the active beam set are transmitted using L1 (PDCCH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or L2 (Mac Control Element).

후보 빔 세트는 단말의 측정 결과에 따라 신호가 좋을 경우 활성 빔으로 사용될 수 있는 빔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후보 빔 세트에 포함된 빔들은 단말로부터 보고되는 빔 상태 정보에 따라 활성 빔 세트로 변경될 수 있다.The candidate beam set includes beams that can be used as an active beam when the signal is good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terminal. Thus, the beams included in the candidate beam set can be changed to the active beam set according to the beam status information reported from the terminal.

즉,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빔 상태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에 실제 사용하는 활성 빔 세트와 향후 데이터 전송에 사용할 수도 있는 후보 빔 세트에 빔을 추가하거나 삭제하며 데이터 전송에 사용하는 빔들을 관리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beam statu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the base station can add or delete beams to the active beam set actually used for data transmission and a candidate beam set that may be used for data transmission in future, and manage the beams used for data transmission have.

또는, 단말로부터 활성 빔 세트에 추가할 빔의 리스트와 활성 빔 세트에서 삭제할 빔의 리스트를 수신하고, 이를 기반으로 활성 빔 세트를 설정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 list of beams to be added to the active beam set from the terminal and a list of beams to be deleted from the active beam set may be received, and an active beam set may be set based thereon.

유휴 빔 세트는 기지국에 의해서 관리되지 않고 단말이 동기 채널(SS Block)을 통해서 측정하고 필요시 보고할 수 있는 빔들을 포함한다. 유휴 빔 세트에 포함된 빔들은 단말의 보고에 따라 활성 빔 세트나 후보 빔 세트로 변경될 수 있다.The idle beam set is not managed by the base station but includes beams that the terminal can measure through a synchronization channel (SS Block) and report as needed. The beams included in the idle beam set can be changed to the active beam set or the candidate beam set according to the report of the terminal.

도 9는 이러한 빔의 관리 방식에 따라 활성 빔 세트를 설정하는 방식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FIG. 9 shows an example of a method of setting an active beam set according to the management method of such a beam.

도 9를 참조하면, 단말이 빔 상태 정보를 기지국으로 보고하면 기지국은 빔 상태 정보에 따라 빔들의 품질을 확인한다. 또는, 단말로부터 활성 빔 세트에 추가할 빔의 리스트와 삭제할 빔의 리스트를 수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빔의 품질에 따라 활성 빔 세트에 추가할 빔과 삭제할 빔을 선택한다.Referring to FIG. 9, when a terminal reports beam status information to a base station, the base station checks the quality of beams according to the beam status information. Alternatively, a list of beams to be added to the active beam set from the terminal and a list of beams to be deleted may be received. Then, the beam to be added to the active beam set and the beam to be deleted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quality of the beam.

일 예로, 1번 빔, 2번 빔, 3번 빔, 4번 빔이 활성 빔 세트로 설정되어 데이터 전송이 수행되는 경우, 단말이 보고한 빔 상태 정보에 따라 1번 빔의 품질이 저하되고 5번 빔의 품질이 상승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beam, the second beam, the third beam, and the fourth beam are set as the active beam sets and data transmission is performed, the beam quality of the first beam is degraded according to the beam status information reported by the terminal,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quality of the beam is increased.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한 빔 상태 정보에 따라 빔의 상태를 확인하고, 1번 빔을 활성 빔 세트에서 제거하고 5번 빔을 활성 빔 세트에 추가하여 새로운 활성 빔 리스트를 생성한다.The base station checks the state of the beam according to the beam statu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removes the first beam from the active beam set, and adds the fifth beam to the active beam set to generate a new active beam list.

그리고, 활성 빔 세트에 포함된 빔에 관한 정보를 단말로 알려줌으로써, 단말이 활성 빔 세트에 포함된 빔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And informs the terminal about the beam included in the active beam set so that the terminal can receive the data through the beam included in the active beam set.

이러한 활성 빔 세트에 포함된 빔에 관한 정보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단말에게 전달될 수 있다.Information about the beam included in this active beam set can be communicated to the terminal in various manners.

일 예로, 기지국은 활성 빔 세트에 포함된 모든 빔의 리스트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a list of all beams included in the active beam set to the terminal.

즉,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빔 상태 정보를 수신하면 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활성 빔 세트에 추가할 빔과 삭제할 빔을 선택한다. 그리고, 빔 상태 정보에 따라 활성 빔 세트가 설정되면 설정된 활성 빔 세트에 포함된 모든 빔의 리스트를 단말로 제공한다.That is, when the base station receives the beam status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it selects a beam to be added to the active beam set and a beam to be deleted based on the beam status information. When the active beam set is set according to the beam status information, a list of all beams included in the set active beam set is provided to the terminal.

이러한 빔의 리스트는 빔의 아이디를 포함할 수 있으며, 빔의 아이디는 서로 동시에 전송될 수 없는 빔들이 포함된 그룹의 아이디와 해당 그룹에 포함된 빔의 인덱스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list of such beams may include the ID of the beam, and the ID of the beam may be composed of the ID of the group including the beams which can not be transmitted simultaneously with each other and the index of the beam included in the group.

즉, 특정 빔들 간에는 기지국으로부터 동시 지원(전송)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예, 하나의 RFU(Radio Front Unit) 또는 TP(Transmission Point) 내에 속한 복수 빔들의 동시 전송은 어려움) 이를 구분하는 방법이 필요하다.That is,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of distinguishing between specific beams because simultaneous support (transmission) from the base station may be difficult (for example,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multiple beams belonging to one Radio Front Unit (RFU) or TP (Transmission Point) is difficult) Do.

이를 위해서 빔 아이디를 다음과 같이 그룹 아이디(동일 RFU 또는 TP를 갖는 빔들 그룹 아이디)와 그룹 내에서 빔들을 구분할 수 있는 고유의 아이디(또는 빔 인덱스)로 구성된다.For this purpose, the beam ID is composed of a group ID (beam group ID having the same RFU or TP) and a unique ID (or beam index) capable of distinguishing the beams in the group as follows.

- Beam ID = Group ID + Beam 고유 ID- Beam ID = Group ID + Beam Unique ID

이와 같이, 단말이 모든 빔의 리스트를 보고하고 수신하는 경우 단말은 동시에 원하는 빔 수만큼 기지국에 보고가 가능하고 활성 빔 세트에 포함된 모든 빔의 리스트를 확인하여 데이터 수신에 이용할 수 있으나, 모든 빔의 리스트를 전송하므로 메시지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manner, when the terminal reports and receives a list of all beams, the terminal can simultaneously report to the base station the desired number of beams, check the list of all beams included in the active beam set and use it for data recep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ize of the message increases.

따라서, 다른 예로, 기지국은 빔 상태가 좋은 빔들 중에서 데이터 전송에 사용할 빔의 개수를 단말로 전송하여 데이터 전송에 이용되는 빔에 관한 정보를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as another example,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the number of beams to be used for data transmission among the beams having good beam conditions to the terminal, and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beam used for data transmission to the terminal.

도 10은 기지국이 단말에게 활성 빔 세트를 알려주는 다른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서, 데이터 전송에 이용되는 빔의 개수를 알려주는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FIG. 10 shows another example in which a base station informs a mobile station of an active beam set, and shows a method of indicating the number of beams used for data transmission.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빔 참조 신호에 기초하여 빔의 상태를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에 따른 빔 상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Referring to FIG. 10, the UE measures a beam state based on a beam reference signal received from a base station, and transmits beam stat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easured result to a base station.

일 예로, 단말은 1번 빔부터 N번 빔까지 신호 크기에 따라 정렬된 리스트를 기지국으로 보고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E may report the list sorted according to the signal size from the first beam to the Nth beam to the base station.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빔 상태 정보를 수신하면 이 중 데이터 전송에 사용할 빔의 개수를 설정하고,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빔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단말로 전송한다.When the base station receives the beam status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the base station sets the number of beams to be used for data transmission and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beams used for data transmission to the terminal.

예컨대, 기지국이 데이터 전송에 3개의 빔을 사용하는 경우, 기지국은 단말로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빔의 개수 3을 알려준다. 단말은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빔의 개수 3을 수신하면, 단말이 보고한 빔 리스트에서 상태가 좋은 3개의 빔(예, 1번 빔, 2번 빔, 3번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한다.For example, when a base station uses three beams for data transmission, the base station informs the terminal of the number of beams 3 used for data transmission. When the UE receives the number 3 of beams used for data transmission, the UE receives data using three beams (e.g., No. 1 beam, No. 2 beam, No. 3 beam) in the beam list reported by the UE .

즉, 기지국이 데이터 전송에 사용하는 모든 빔의 리스트를 단말로 전송하는 방식에 비하여, 빔의 개수만 단말에게 알려줌으로써 메시지의 크기를 줄이면서 단말에게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빔에 관한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In other words, compared with the method of transmitting the list of all beams used for data transmission by the base station to the terminal, the information about the beam used for data transmission can be informed to the terminal while decreasing the size of the message by informing only the number of beams have.

한편, 이러한 빔 리스트 또는 빔의 개수를 전송하는 방식은 단말이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빔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빔을 데이터 수신을 위해 설정하기 위한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단말이 상태가 좋은 빔으로 보고한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 시간 지연이 발생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method of transmitting the beam list or the number of beams requires time for setting the beam for data reception when the terminal receives the information about the beam used for data transmission. Therefore, a time delay may occur in receiving data using a beam reported by the terminal as a beam having a good state.

본 실시예들은, 기지국이 데이터 전송에 사용하는 빔을 지시함에 있어서 사전에 정의된 값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에 사용할 빔을 지시함으로써 단말이 상태가 좋은 빔을 즉시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The embodiments are directed to a method of enabling a terminal to immediately receive a beam using a stateful beam by indicating a beam to be used for data transmission by using a predefined value in indicating a beam used for data transmission by the base station .

도 11은 기지국이 단말로 전송하는 빔 지시 정보의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서, 빔 지시 정보가 2비트로 구성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11 shows an example of the beam direc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o the mobile station, and shows the case where the beam direction information is composed of two bits.

도 11을 참조하면, 활성 빔 세트에 1번 빔과 2번 빔이 포함된 경우 기지국이 단말로 데이터 전송에 사용할 빔을 지시하는 빔 지시 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빔 지시 정보에 따른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한다.Referring to FIG. 11, when the active beam set includes the first beam and the second beam, the base station transmits beam direc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beam to be used for data transmission to the mobile station. Then, the terminal receives the data using the beam according to the beam instruc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일 예로, 기지국이 "00"의 빔 지시 정보를 전송하면 단말은 1번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한다. 기지국이 "01"의 빔 지시 정보를 전송하면 단말은 2번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기지국이 "10"의 빔 지시 정보를 전송하면 단말은 1번 빔과 2번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한다.For example, if the base station transmits beam indication information of "00 ", the terminal receives the data using the first beam. When the base station transmits beam indication information of "01 ", the terminal receives data using the second beam. When the base station transmits beam direction information of "10 ", the terminal receives data using the first beam and the second beam.

여기서, 기지국은 빔 지시 정보에서 사전에 정의된 값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에 사용할 빔을 지시할 수 있다.Here, the base station may indicate a beam to be used for data transmission using a predefined value in the beam direction information.

예컨대, 기지국은 "11"을 사전에 정의된 값(또는 reserved value)으로 설정하고, 빔 지시 정보로 "11"을 전송하면 단말은 마지막으로 보고한 빔 중 상태가 가장 좋은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base station sets "11" to a predefined value (or a reserved value) and transmits "11" as the beam indication information, the terminal uses the beam of the last reported beam .

즉, 단말이 기지국으로 빔 상태 정보를 보고하고 기지국으로부터 빔 지시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빔을 데이터 수신에 사용할 빔으로 설정하는 데 시간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사전에 정의된 빔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마지막으로 보고한 빔을 그대로 데이터 수신에 이용함으로써, 빔 설정에 발생하는 시간 지연 없이 상태가 좋은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terminal may report the beam status information to the base station, receive the beam direction information from the base station, and set the corresponding beam as a beam to be used for data reception. Therefore, when the terminal receives predefined beam indication information from the base station, the last reported beam is directly used for data reception, so that data is received using a beam having a good condition without a time delay occurring in beam setting .

또한, 사전에 정의된 빔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병렬적으로 해당 빔을 활성 빔으로 설정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a procedure of receiving predefined beam direction information and setting the beam as an active beam in parallel while receiving data using the beam.

따라서, 단말은 상태가 가장 좋은 빔을 즉시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며 해당 빔을 활성 빔으로 설정하여 이후 데이터 수신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the terminal immediately receives the data using the best beam, and sets the beam as an active beam so that it can be used for data reception thereafter.

도 12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이 다중 빔 기반으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FIG. 12 illustrates a method of receiving data on a multi-beam basis by a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도 12를 참조하면,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빔에 대한 빔 참조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한다(S1200).Referring to FIG. 12, the UE sequentially receives a beam reference signal for one or more beams from a base station (S1200).

단말은 수신한 빔의 상태를 측정하고(S1210), 빔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한다(S1220).The terminal measures the state of the received beam (S1210), generates beam state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beam state information to the base station (S1220).

단말로부터 빔 상태 정보를 보고받은 기지국은 빔의 상태에 따라 데이터 전송에 사용할 빔을 활성 빔 세트로 설정한다. 그리고, 활성 빔 세트에 포함된 빔 리스트에 관한 빔 지시 정보를 단말로 전송한다.The base station that has reported the beam status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sets the beam to be used for data transmission to the active beam set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beam. Then, beam indication information on the beam list included in the active beam set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빔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S1230), 빔 지시 정보에 따른 빔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한다(S1240).The terminal receives the beam direction information from the base station (S1230), and receives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using the beam according to the beam direction information (S1240).

여기서, 단말은 활성 빔 세트에 포함된 전체 빔 리스트를 빔 지시 정보로 수신할 수도 있고,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빔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Here, the terminal may receive the entire beam list included in the active beam set as the beam indication information or the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beams used for data transmission.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사전에 정의된 값을 빔 지시 정보로 수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은 마지막으로 기지국에 보고한 빔 중에서 상태가 좋은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한다.Alternatively, a predefined value may be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as beam indication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terminal finally receives the data using the beam having a good status among the beams reported to the base station.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단말이 보고하는 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활성 빔 세트로 설정된 다중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빔 지시 정보에 따라 마지막으로 보고한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활성 빔 설정에 따른 시간 지연 없이 상태가 좋은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receive data using multiple beams set in the active beam set based on the beam status information reported by the terminal, It is possible to receive data using a beam having a good state without a time delay according to the active beam setting.

도 13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이 다중 빔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FIG. 13 illustrates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on a multi-beam basis by a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도 13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빔에 대한 빔 참조 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단말로 전송한다(S1300).Referring to FIG. 13, a base station transmits beam reference signals for one or more beams to a mobile station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S1300).

기지국은 빔 참조 신호에 기초하여 단말이 빔의 상태를 측정한 빔 상태 정보를 단말로부터 수신한다(S1310). 그리고, 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활성 빔 세트에 포함되는 빔 리스트를 설정한다.The base station receives the beam status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which is obtained by measuring the status of the beam on the basis of the beam reference signal (S1310). Then, a beam list included in the active beam set is set based on the beam state information.

기지국은 활성 빔 세트를 기반으로 데이터 전송에 사용할 빔을 지시하는 빔 지시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고(S1320), 해당 빔을 이용하여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한다(S1330).The base station transmits beam ind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beam to be used for data transmission to the mobile station based on the active beam set (S1320), and transmits data to the mobile station using the beam (S1330).

이때, 기지국은 활성 빔 세트로 설정된 빔을 지시하는 빔 지시 정보(제1 빔 지시 정보)를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고, 단말이 마지막으로 보고한 빔 중 상태가 좋은 빔을 지시하는 빔 지시 정보(제2 빔 지시 정보)를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the beam direction information (first beam direc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beam set in the active beam set to the terminal, or may transmit the beam direc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best beam 2 beam direc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즉, 기지국이 제1 빔 지시 정보를 전송하면 단말은 활성 빔 세트로 설정된 빔 중 제1 빔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한다. 그리고, 기지국이 제2 빔 지시 정보를 전송하면 단말은 마지막으로 보고한 빔 중 상태가 좋은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한다.That is, when the base station transmits the first beam direction information, the terminal receives the data using the beam indicated by the first beam direction information among the beams set to the active beam set. Then, when the base station transmits the second beam direction information, the terminal receives the data using the beam of the last good beam.

빔 지시 정보에서 사전에 정의된 값이 단말이 최근 보고한 빔을 지시하도록 함으로써, 활성 빔 세트로 설정하는 절차 없이 상태가 좋은 빔으로 변경하여 단말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defined value in the beam indication information indicates the beam recently reported by the terminal, so that the beam can be changed into a beam having a good state without a procedure for setting it into an active beam set so that the terminal can receive the data.

기지국은 제2 빔 지시 정보를 전송하여 단말이 최근 보고한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하며, 병렬적으로 단말이 최근 보고한 상태가 좋은 빔을 활성 빔으로 설정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The BS may transmit the second beam direction information to the BS to receive the data using the beam recently reported by the MS, and the BS may perform a procedure of setting the beam, which has recently been reported by the MS in parallel, as the active beam.

도 14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14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14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1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1400)은 수신부(1410), 제어부(1420), 및 송신부(1430)를 포함한다.14, the user terminal 14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receiving unit 1410, a control unit 1420, and a transmitting unit 1430.

수신부(1410)는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수신한다.The receiving unit 1410 receives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ata, and messages from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corresponding channel.

제어부(1420)는 전술한 본 실시예들에 따라 다중 빔 기반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수행함에 따른 전반적인 사용자 단말(1400)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42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1400 according to the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n a multi-beam basi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구체적으로, 제어부(1420)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빔 참조 신호를 기반으로 빔 상태를 측정하고 빔 상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1400)은 각각의 빔의 상태를 측정한 정보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도 있고, 빔 상태에 따라 활성 빔 세트에 추가할 리스트와 삭제할 리스트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400)은 상태가 좋은 순서로 모든 빔의 리스트 또는 일정 개수의 빔의 리스트를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ler 1420 measures the beam status based on the beam reference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and transmits the beam status information to the base station. The user terminal 1400 may transmit the measured information of the state of each beam to the base station and may transmit the list to be added to the active beam set and the list to be deleted to the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beam status. Also, the user terminal 1400 may transmit a list of all beams or a list of beams to the base station in a good state order.

사용자 단말(1400)은 기지국으로부터 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빔에 관한 정보를 빔 지시 정보를 통해 수신한다. 사용자 단말(1400)은 빔 지시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 전송에 사용된 빔을 확인하고 해당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한다.The user terminal 1400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beam based on the beam status information from the base station via the beam direction information. The user terminal 1400 identifies the beam used for data transmission based on the beam direction information and receives the data using the beam.

송신부(1430)는 기지국에 상향링크 제어 정보 및 데이터, 메시지를 해당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The transmitter 1430 transmits uplink control information, data, and a message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corresponding channel.

도 15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15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base station 1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1500)은 제어부(1510)와 송신부(1520), 및 수신부(15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5, a base station 1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ntrol unit 1510, a transmission unit 1520, and a reception unit 1530.

제어부(1510)는 전술한 본 실시예들에 따라 다중 빔 기반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수행함에 따른 전반적인 기지국(1500)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51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base station 1500 according to the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n a multi-beam basi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구체적으로, 기지국(1500)은 단말로 빔 참조 신호를 전송하고 빔 참조 신호를 기반으로 측정된 빔의 상태에 관한 빔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활성 빔 세트를 설정하고, 활성 빔 세트를 기반으로 데이터 전송에 사용할 빔을 선택한다.Specifically, the base station 1500 transmits the beam reference signal to the terminal and receives beam state information regarding the measured beam state based on the beam reference signal. Then, the active beam set is set based on the beam state information, and a beam to be used for data transmission is selected based on the active beam set.

기지국(1500)은 데이터 전송에 사용할 빔을 빔 지시 정보를 통해 단말로 알려주고 해당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The base station 1500 informs the terminal of the beam to be used for data transmission through the beam indi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data using the corresponding beam.

이때, 기지국(1500)은 사전에 정의된 값을 빔 지시 정보로 전송하여 단말이 마지막으로 보고한 빔 중 상태가 좋은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빔 설정에 따른 시간 지연 없이 단말이 최근 보고한 빔 중 상태가 좋은 빔을 바로 사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base station 1500 may transmit a predefined value as the beam indication information, and allow the terminal to receive the data using the beam having the best beam status reported last by the terminal. That is, the terminal can immediately receive the data using the beam having the best beam status reported recently by the terminal without a time delay according to the beam setting.

송신부(1520)와 수신부(1530)는 전술한 본 발명을 수행하기에 필요한 신호나 메시지, 데이터를 단말과 송수신하는데 사용된다.The transmitting unit 1520 and the receiving unit 1530 are used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messages, and data necessary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to and from the terminal.

전술한 실시예에서 언급한 표준내용 또는 표준문서들은 명세서의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생략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위 표준내용 및 표준문서들의 일부의 내용을 본 명세서에 추가하거나 청구범위에 기재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tandard content or standard documents referred to 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s constitute a part of this specification, for the sake of simplicity of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ntent of the above standard content and portions of the standard documents are added to or contain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0)

단말이 다중 빔 기반으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빔에 대한 빔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빔 참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빔의 상태를 측정하고 빔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빔 상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빔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빔 지시 정보에 따라 상기 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빔을 이용하여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A method for a terminal to receive data on a multi-beam basis,
Receiving a beam reference signal for one or more beams from a base station;
Measuring a state of the at least one beam based on the beam reference signal and generating beam state information;
Transmitting the beam status information to the base station; And
Receiving beam indication information from the base station and receiving transmitted data using the selected beam based on the beam status information in accordance with the beam indication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 지시 정보가 제1 빔 지시 정보이면 상위 계층 시그널을 통해 설정된 빔을 이용하여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빔 지시 정보가 제2 빔 지시 정보이면 마지막으로 전송된 상기 빔 상태 정보에서 빔의 상태가 가장 좋은 빔을 이용하여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f the beam indicating information is the first beam indicating information, receiving data transmitted using the beam set through the upper layer signal, and if the beam indicating information is the second beam indicating information, A method for receiving transmitted data using a beam having the best st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빔 지시 정보가 상기 제2 빔 지시 정보이면 상위 계층 시그널을 통해 상기 빔 상태 정보에서 빔의 상태가 가장 좋은 빔을 활성 빔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And setting the beam having the best beam state from the beam state information as an active beam through an upper layer signal if the beam direction information is the second beam direction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 지시 정보는 상기 기지국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모든 빔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정보인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eam indicating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cluding a list of all beams used by the base station to transmit dat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 지시 정보는 상기 기지국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빔의 개수 N을 포함하는 정보이고, 상기 단말은 상기 빔 상태 정보에서 빔의 상태가 가장 좋은 N개의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eam direc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cluding the number N of beams used by the base station to transmit data, and the terminal uses the beam state information to receive data using N beams having the best beam state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빔 지시 정보는 복수의 그룹에서 각각의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하의 빔을 지시하는 정보인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eam indicating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dicating one or more beams included in each group in the plurality of group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활성 빔 세트와 후보 빔 세트에 포함되는 빔을 설정하면, 상기 단말은 상위 계층 시그널을 통해 상기 활성 빔 세트에 포함된 빔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f the base station sets a beam included in the active beam set and the candidate beam set based on the beam state information, the terminal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beam included in the active beam set via an upper layer signal.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빔 세트와 상기 후보 빔 세트에 포함되지 않는 빔을 유휴 빔 세트로 구분하고, 상기 단말이 동기화 채널을 통해 상기 유휴 빔 세트에 포함된 빔의 상태를 측정하고 상기 기지국으로 보고하는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Dividing the active beam set and a beam not included in the candidate beam set into an idle beam set and measuring the state of the beam included in the idle beam set through the synchronization channel and reporting to the base station.
기지국이 다중 빔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빔에 대한 빔 참조 신호를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빔 참조 신호에 기초하여 측정된 상기 하나 이상의 빔에 대한 빔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활성 빔 세트에 포함되는 빔과 후보 빔 세트에 포함되는 빔을 설정하고, 상기 단말로 빔 지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빔 지시 정보에 따라 선택된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A method for a base station to transmit data on a multi-beam basis,
Transmitting a beam reference signal for one or more beams to a terminal;
Receiving beam state information for the at least one beam measured based on the beam reference signal;
Setting a beam included in the active beam set and a beam included in the candidate beam set based on the beam stat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beam direction information to the terminal; And
And transmitting the data using the selected beam according to the beam indication informa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빔 지시 정보가 제1 빔 지시 정보이면 상위 계층 시그널을 통해 설정된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빔 지시 정보가 제2 빔 지시 정보이면 마지막으로 전송된 상기 빔 상태 정보에서 빔의 상태가 가장 좋은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If the beam indicating information is the first beam indicating information, data is transmitted using a beam set through an upper layer signal, and if the beam indicating information is the second beam indicating information,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using the best beam.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빔 지시 정보가 상기 제2 빔 지시 정보이면 상위 계층 시그널을 통해 상기 빔 상태 정보에서 빔의 상태가 가장 좋은 빔을 활성 빔으로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selecting the beam having the best beam state from the beam state information as an active beam through an upper layer signal if the beam direction information is the second beam direction informa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빔 지시 정보는 상기 기지국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모든 빔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정보인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beam indicating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cluding a list of all beams used by the base station to transmit data.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빔 지시 정보는 상기 기지국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빔의 개수 N을 포함하는 정보이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빔 상태 정보에서 빔의 상태가 가장 좋은 N개의 빔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beam direction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cluding the number N of beams used by the base station to transmit data, and the base station transmits data using the N beams having the best beam state from the beam state information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빔 지시 정보는 복수의 그룹에서 각각의 그룹에 포함된 하나 이하의 빔을 지시하는 정보인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beam indicating information is information indicating one or more beams included in each group in the plurality of group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활성 빔 세트에 포함되는 빔과 상기 후보 빔 세트에 포함되는 빔을 설정하면, 상위 계층 시그널을 통해 상기 활성 빔 세트에 포함된 빔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setting the beam included in the active beam set and the beam included in the candidate beam set based on the beam state information to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beam included in the active beam set through an upper layer signal.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빔 세트와 상기 후보 빔 세트에 포함되지 않은 빔을 유휴 빔 세트로 구분하고, 상기 단말이 동기화 채널을 통해 상기 유휴 빔 세트에 포함된 빔의 상태를 측정한 결과를 수신하는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Dividing the active beam set and a beam not included in the candidate beam set into an idle beam set and receiving a result of the terminal measuring the state of the beam included in the idle beam set through a synchronization channel.
다중 빔 기반으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빔에 대한 빔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빔 참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빔의 상태를 측정하고 빔 상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빔 상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빔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빔 지시 정보에 따라 마지막으로 전송된 상기 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빔을 이용하여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
In a terminal receiving data on a multi-beam basis,
A receiver for receiving a beam reference signal for one or more beams from a base station; And
And a controller for measuring the state of the at least one beam based on the beam reference signal, generating beam state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beam state information to the base station,
Wherein the receiving unit receives the beam direction information from the base station and receives the transmitted data using the beam selected based on the beam state information transmitted last according to the beam direction information.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빔 지시 정보가 제1 빔 지시 정보이면 상위 계층 시그널을 통해 설정된 빔을 이용하여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빔 지시 정보가 제2 빔 지시 정보이면 상기 빔 상태 정보에서 빔의 상태가 가장 좋은 빔을 이용하여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
18. The method of claim 17,
If the beam direction information is the first beam direction information, the data transmitted using the beam set through the upper layer signal is received, and if the beam direction information is the second beam direction information, A terminal that receives data transmitted using a beam.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빔 지시 정보가 상기 제2 빔 지시 정보이면 상위 계층 시그널을 통해 상기 빔 상태 정보에서 빔의 상태가 가장 좋은 빔을 활성 빔으로 설정하는 단말.
19. The method of claim 18,
And if the beam direction information is the second beam direction information, sets the beam having the best beam state from the beam state information as an active beam through an upper layer signal.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이 상기 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활성 빔 세트와 후보 빔 세트에 포함되는 빔을 설정하면, 상위 계층 시그널을 통해 상기 활성 빔 세트에 포함된 빔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base station sets information about the beam included in the active beam set through an upper layer signal when the base station sets a beam included in the active beam set and the candidate beam set based on the beam state information.
KR1020170106004A 2017-04-03 2017-08-22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ased on multiple beam KR20180113138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42951 2017-04-03
KR1020170042951 2017-04-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138A true KR20180113138A (en) 2018-10-15

Family

ID=63865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004A KR20180113138A (en) 2017-04-03 2017-08-22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ased on multiple bea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3138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2735A1 (en) * 2019-02-08 2020-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transmitting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ame
WO2020204323A1 (en) * 2019-03-29 2020-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ing method of terminal based on power control of uplink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and base station supporting same
WO2020204325A1 (en) * 2019-03-29 2020-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by which terminal performs beam management on basis of power control of uplink data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and base station for supporting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2735A1 (en) * 2019-02-08 2020-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transmitting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ame
WO2020204323A1 (en) * 2019-03-29 2020-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ing method of terminal based on power control of uplink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and base station supporting same
WO2020204325A1 (en) * 2019-03-29 2020-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by which terminal performs beam management on basis of power control of uplink data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and base station for support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92665B1 (en) User equipment, access node and method for control signaling
KR101655699B1 (en) Methods of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of uplink control information in multiple serving cells and apparatuses thereof
US11362712B2 (en) Adaptive numerology for beamforming training
US10334418B2 (en)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 through common region or UE-specific region for MTC UE, and apparatus therefor
KR2012006172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perative transmisstion in multi node system
KR20160091491A (en) Apparatus and method of downlink data channel reception of MTC UEs
KR20180055714A (en) Method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downlink preemption indication for new radio networks and Apparatuses thereof
US11909489B2 (en) System and method for beam management with emissions limitations
CN115299003A (en) Frequency precompensation for high speed train single frequency network
KR20180055724A (en) Method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downlink signal for new radio access network and Apparatuses thereof
WO2017124898A1 (en) Hybrid wave beam training method, station and terminal
US202200953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control data in next generation wireless network
WO2014046399A1 (en) Method and device for enabling limited measurement in frequency domai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8011313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ased on multiple beam
US20190349962A1 (en)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multi-beam-based scheduling request in wireless communication
KR20110040729A (en) Method for transmission of cell-specific information of base station in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base station thereof, terminal thereof, system thereof
KR20160037066A (en) Method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of MTC UEs and Apparatuses thereof
CN106792776B (en) Beam processing method and base station
KR20140106365A (en) Methods of controlling uplink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apparatuses thereof
KR20180133737A (en) Method for beam scheduling coordination among neighbor cells to control interference among cells in radio access system based on beam forming
KR102051874B1 (en) Method for optimizing signal-to-noise ratio and transmit power using location information of terminal
KR102085195B1 (en) Method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usch for coverage enhancement and apparatuses thereof
KR20190000961A (en) Method for transmitting multiple beam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beam-forming
KR101877093B1 (en) Methods of data channel scheduling and apparatuses thereof
KR20190015665A (en) Methods for controlling carrier aggregation configuration in a CU-DU base station separation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