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2483A - 점적식 및 분수식 급수가 가능하고 직진성이 유지되는 관수호스 - Google Patents

점적식 및 분수식 급수가 가능하고 직진성이 유지되는 관수호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2483A
KR20180112483A KR1020170043615A KR20170043615A KR20180112483A KR 20180112483 A KR20180112483 A KR 20180112483A KR 1020170043615 A KR1020170043615 A KR 1020170043615A KR 20170043615 A KR20170043615 A KR 20170043615A KR 20180112483 A KR20180112483 A KR 20180112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se
outlet
flow path
irri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3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준
한영애
Original Assignee
김범준
한영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준, 한영애 filed Critical 김범준
Priority to KR1020170043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2483A/ko
Publication of KR20180112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4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A01G25/023Dispensing fittings for drip irrigation, e.g. d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2Spou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구로 공급되는 물이 점적 및 분수 형태로 공급될 수 있게 하여 멀칭비닐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분수 및 점적으로 동시에 물이 공급되고, 멀칭비닐이 설치된 상태에서는 멀칭비닐에 의해 분수구가 막혀 점적으로만 물이 공급되게 하여 식물 재배 전 과정에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수구가 호스의 위에 설치되는 멀칭비닐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관수호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점적식 및 분수식 급수가 가능한 관수호스{water providing hose for growing plant with drip and fountain function}
본 발명은 관수호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입구로 공급되는 물이 점적 및 분수 형태로 공급될 수 있게 하여 멀칭비닐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분수 및 점적으로 동시에 물이 공급되고, 멀칭비닐이 설치된 상태에서는 멀칭비닐에 의해 분수구가 막혀 점적으로만 물이 공급되게 하여 식물 재배 전 과정에 사용할 수 있는 관수호스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점적출수구가 호스의 위에 설치되는 멀칭비닐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점적호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물을 재배할 때에는 물을 분사하거나 관수호스를 통해 물을 공급하고 있으며, 작물의 성장 시기에 따라 물을 공급하는 방법을 달리하고 있다.
예컨대 딸기와 같은 작물을 재배할 때 모종을 이식한 다음 모종된 작물의 뿌리가 활착할 때 까지는 스프링쿨러나 분사호스를 이용하여 인접작물에 물을 분사하고, 작물의 뿌리가 활착되고 멀칭비닐이 설치된 후에는 점적호스를 이용하여 물을 떨어뜨려 공급하고 있다.
이러한 점적호스와 관련된 기술의 예로 특허문헌 1내지 3이 있고, 분수호스와 관련된 기술로는 특허문헌 4 내지 5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점적호스들은 긴 비닐필름의 길이 방향의 양 가장자리를 서로 겹치게 한 후 융착시켜 물이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되 접착된 부분의 일부에 물이 분사되는 점적출수구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닐필름을 접어 길이 방향의 단부가 안쪽 면이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융착하여 접착부(110)를 형성하되 접척부 중 일부에 유로(120)를 형성하여 유로가 호스의 일측에 치우진 형태로 형성하거나, 길이 방향의 단부가 안쪽 면과 바깥 면이 서로 겹쳐지게 한 후 겹쳐진 부분을 접착하여 접착부를 형성하고, 접착부의 일부에 유로를 형성하여 호스의 중간 부분에 유로를 형성한 것이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유로(120)의 안쪽에는 입수구(120i)가 형성되고, 바깥쪽에는 출수구(120o)가 형성되어 입수구로 유입된 물이 유로를 따라 이동한 후 출수구를 통해 외부로 공급되게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점적호스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구수 및 출수구를 갖는 유로패턴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점적호스는 식물 재배과정 중 점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단계에서만 사용할 수 있고, 분수호스는 작물의 모종을 식재한 후 일정기간에만 사용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즉, 통상의 식물 재배 과정 특히, 딸기의 경우 모종을 두둑에 식재한 초기에는 두둑에 멀칭비닐을 설치하지 않고, 딸기 모종의 뿌리가 충분히 자리를 잡은 후에는 멀칭비닐을 덮어 보온 효과를 높이고 있다.
이러한 식물 재배 과정에서 뿌리가 두둑에 자리를 잡게 하기 위해서는 두둑에만 물을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식물의 잎에도 물을 공급하고 있으며, 이렇게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분수 형태로 물을 공급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모종을 식재한 후 일정 기간 동안은 분수호스를 사용한다.
또한, 식물의 뿌리가 자리를 잡은 후 멀칭비닐을 덮은 상태에서 분수호스로 물을 공급하면 식물의 화분이 물에 의해 씻겨나가 열매가 맺히지 않거나 열매의 품질이 떨어져 분수방식이 아닌 점적방식으로 식물의 뿌리 부분에만 물을 공급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분수호스를 제거하고 다시 점적호스를 설치하여야 함에 따라 식물재배에 과정에서 이중으로 호스를 설치하게 되어 농가에 자재비에 대한 부담을 줄 뿐만 아니라, 작업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점적호스는 출수구가 호스 본체에 접착된 유로패턴의 바깥쪽 단부에 겹쳐져 있음으로 그 위에 멀칭(mulching)비닐을 덮을 경우, 멀칭비닐이 점적호스의 출수구에 밀착됨에 따라 출수구를 밀폐시켜 유로의 물이 출수구로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1-0089485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2-0064283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20555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6249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893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식물의 재배 전 과정에 걸쳐 사용될 수 있는 관수호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딸기 등과 같이 열매를 수확하는 식물을 모종한 상태에서는 분수 및 점적으로 물을 공급하고, 멀칭비닐을 설치한 후에는 점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게 하여 하나의 호스로 식물 재배 전 과정 동안 물을 공급할 수 있게 한 관수호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출수구가 호스의 위에 설치되는 멀칭비닐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관수호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관수호스는 작물에 점적으로 물을 배출하는 관수유로가 형성된 관수호스에 있어서, 상기 관수유로의 일측에 형성된 점적출수구의 반대측에 관수유로와 연결된 메인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메인유로의 호스 바깥쪽에는 호스 내부의 물이 분수되는 분수구를 형성하고, 호스의 안쪽에는 입구수를 형성하여 식물이 식재된 두둑에 멀칭비닐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점적출수구와 분수구를 통해 물이 배출되게 하고, 멀칭비닐이 설치된 상태에서는 멀칭비닐에 의해 분수구가 막혀 접적출수구로만 물이 배출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 양상의 관수호스는 작물에 점적으로 물을 배출하는 관수유로가 형성된 유로접착부를 구비한 관수호스에 있어서, 상기 유로접착부의 출수구를 향한 단부는 접착되지 않고 호스 표면으로부터 분리된 막힘방지날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관수유로는 메인유로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어 호스의 양측으로 출수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수호스는 점적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관수유로의 일측에 메인유로를 설치하고 분수구를 형성하여 식물 모종 식재 후 일정기간 동안은 점적 및 분수식으로 물을 공급하고, 멀칭비닐이 설치된 후에는 분수구가 멀칭비닐에 의해 막힌 상태에서 점적출수구만을 통해 점적으로 물이 공급되게 함에 의해, 하나의 호스로 식물재배 전 과정에 물을 공급할 수 있어 호스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호스 교체에 따른 불필요한 작업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출수구 측에 막힘방지날개를 형성하여 호스의 위에 설치되는 멀칭비닐을 지지함에 의해 멀칭비닐에 의해 출수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수호스의 일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에서 도시한 관수유로 형성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관수호스의 일예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관수호스의 다른 일예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수호스의 서로 다른 일예들의 평면도
도 6은 종래의 관수호스의 일예의 평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식물재배 과정에 따라 분수식과 점적식의 물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에 따라 하나의 호스로 식물재배 전 과정 동안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호스 내부의 물이 점적으로 배출되게 하는 관수유로(11r)의 일측에 물이 분수식으로 배출되는 분수구(11b)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관수호스(10)는 도 1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점적호스와 동일하게 관수유로(11r)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관수유로(11r)는 도시한 바와 같이 구불구불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수유로(11r)의 일측에 형성된 분수구(11b)는 관수유로와 연결된 메인유로(11s)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유로의 호스 안쪽에는 메인유로로 물이 유입되는 입수구(11i)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수유로(11r)와 메인유로(11s)를 형성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할 수 있으며, 일예로 하나의 필름의 길이 방향 양단부를 겹친 상태에서 유로를 제외한 부분만을 융착시켜 제작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렇게 제작할 경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적출수구(11p)를 양방향으로 형성할 수 없으므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스 본체의 바깥쪽에 별도의 필름을 겹쳐 접착하되, 관수유로와 메인유로를 포함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부분을 제외한 유로접착부(11)를 접착함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즉, 호스 본체를 이루는 필름의 바깥쪽에 관수유로와 메인유로 및 분수구가 형성된 필름을 접착하여 유로접착부(11)를 형성하는 것이다.
물론, 도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스 본체를 하나의 필름의 길이 방향 양단을 서로 융착하여 봉합접착부(12)를 형성하고, 이 봉합접착부(12)의 반대측에 상기 유로접착부(1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봉합접착부(12)를 도 1에는 호스의 길이 방향으로 1줄로 형성한 것을 일예로 도시하였으나 2줄 이상 형성할 수도 있고, 2줄 사이의 내벽에 구멍을 뚫어 2줄 사이가 유로 역할을 하게 할 수도 있다.
즉, 2줄로 형성된 봉합접착부(12)는 2줄 사이의 안팎 필름에 의해 유로가 형성될 수 있고, 이렇게 형성된 유로의 안쪽 필름에 구멍을 뚫으면 이 구멍을 통해 물의 일부가 유로 속으로 공급되어 유로가 호스가 직선을 이루게 하는 지지대 역할을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메인유로(11s)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수유로(11r)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관수유로(11r)의 호스 바깥쪽을 향한 가장자리에는 점적으로 물을 배출하는 점적출수구(11p)가 연통되어 있으며, 메인유로(11s)의 호스 내부를 향한 부분에는 입수구(11i)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유로(11s)는 입수구(11i)로 유입된 물을 관수유로(11r)와 분수구(11b)로 유도하는 유로로 도 1, 도 3 내지 도 5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형으로 형성되거나, 도 5(b)와 (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불구불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메인유로(11s)를 도 5(b)와 (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불구불하게 형성할 경우에는 이 메인유로가 관수유로로 유입되는 물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유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관수호스(10)는 도 1,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방향으로 점적 관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관수유로(11r)를 상기 메인유로(11s)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하여 호스의 양측으로 점적출수구(11p)가 형성되게 함에 따라 호스의 양측으로 점적 관수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관수호스는 호스 내부로 물이 유입되면 메인유로(11s)를 통해 관수유로(11r)로 물이 흘러감과 동시에 메인유로 상에 형성된 분수구(11b)로 물이 분수 배출된다.
물론, 관수유로로 유입된 물은 관수유로의 단부에 형성된 점적출수구(11p)를 통해 점적으로 흘러 작물이 식재된 두둑으로 공급된다.
작물이 식재된 두둑에 멀칭비닐을 설치하면 도 2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멀칭비닐(100)이 분수구(11b)의 상부에 밀착된 상태가 되어 분수구로 물이 분수되지 않게 하고, 호스 내부로 공급된 물은 관수유로를 따라 점적출수구(11p)측으로 배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관수호스(10)는 식물이 재배되는 두둑의 정상 부분에 설치되고, 식물이 식재된 상태에서는 멀칭비닐을 두둑에 설치한다.
이렇게 두둑에 덮힌 멀칭비닐은 수분에 의해 관수호스의 상부면에 밀착된 상태가 되고, 이 상태를 지속할 경우 멀칭비닐이 관수호스 상부면과 접착되어 분수구(11b)를 막으며, 이때 관수유로 단부에 형성된 점적출수구(11o)에도 멀칭비닐이 융착되어 점적출수구가 막힐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막힘방지날개(10f)를 형성하여 막힘방지날개(10f)가 멀칭비닐이 출수구에 밀착되지 않게 지지하게 함에 따라 출수구가 멀칭비닐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한 것이다.
10: 관수호스
10f: 막힘방지날개
11: 유로접착부
11a: 접착패턴 11i: 입수구
11p: 점적출수구 11r: 관수유로
11s: 메인유로 11b: 분수구
12: 봉합접착부
100: 멀칭비닐

Claims (4)

  1. 작물에 점적으로 물을 배출하는 관수유로(11r)가 형성된 유로접착부(11)를 구비한 관수호스(10)에 있어서,
    상기 관수유로(11r)의 일측에 형성된 점적출수구(11p)의 반대측에 관수유로와 연결된 메인유로(11s)를 형성하고, 상기 메인유로의 호스 바깥쪽에는 호스 내부의 물이 분수되는 분수구(11b)를 형성하고, 호스의 안쪽에는 입구수(11i)를 형성하여 식물이 식재된 두둑에 멀칭비닐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점적출수구와 분수구를 통해 물이 배출되게 하고, 멀칭비닐이 설치된 상태에서는 멀칭비닐에 의해 분수구가 막혀 접적출수구로만 물이 배출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호스.
  2. 작물에 점적으로 물을 배출하는 관수유로(11r)가 형성된 유로접착부(11)를 구비한 관수호스(100)에 있어서,
    상기 유로접착부(11)의 출수구(11o)를 향한 단부는 접착되지 않고 호스 표면으로부터 분리된 막힘방지날개(10f)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호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수유로(11r)의 일측에 형성된 점적출수구(11p)의 반대측에 관수유로와 연결된 메인유로(11s)를 형성하고, 상기 메인유로의 호스 바깥쪽에는 호스 내부의 물이 분수되는 분수구(11b)를 형성하고, 호스의 안쪽에는 입구수(11i)를 형성하여 식물이 식재된 두둑에 멀칭비닐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점적출수구와 분수구를 통해 물이 배출되게 하고, 멀칭비닐이 설치된 상태에서는 멀칭비닐에 의해 분수구가 막혀 접적출수구로만 물이 배출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호스.
  4.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수유로(11r)는 상기 메인유로(11s)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어 호스의 양측으로 출수구(11o)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수호스.

KR1020170043615A 2017-04-04 2017-04-04 점적식 및 분수식 급수가 가능하고 직진성이 유지되는 관수호스 KR201801124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615A KR20180112483A (ko) 2017-04-04 2017-04-04 점적식 및 분수식 급수가 가능하고 직진성이 유지되는 관수호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615A KR20180112483A (ko) 2017-04-04 2017-04-04 점적식 및 분수식 급수가 가능하고 직진성이 유지되는 관수호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483A true KR20180112483A (ko) 2018-10-12

Family

ID=63876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615A KR20180112483A (ko) 2017-04-04 2017-04-04 점적식 및 분수식 급수가 가능하고 직진성이 유지되는 관수호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248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10566A (zh) * 2023-03-15 2023-06-06 山东长江节水灌溉科技有限公司 具有层压复合紊流道的补偿式地埋渗灌管带及其加工方法
CN116569726A (zh) * 2023-04-18 2023-08-11 山东长江节水灌溉科技有限公司 一种双向两侧膜下出水复合补偿式地埋滴渗管带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10566A (zh) * 2023-03-15 2023-06-06 山东长江节水灌溉科技有限公司 具有层压复合紊流道的补偿式地埋渗灌管带及其加工方法
CN116569726A (zh) * 2023-04-18 2023-08-11 山东长江节水灌溉科技有限公司 一种双向两侧膜下出水复合补偿式地埋滴渗管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70751B2 (ja) 植物灌水デバイス
WO2011104722A2 (en) A non pressure compensated drip irrigation emitter with multiflow facility
US10517239B2 (en) Upright irrigation bag
CN103250618A (zh) 自动水渗灌装置
KR20180112483A (ko) 점적식 및 분수식 급수가 가능하고 직진성이 유지되는 관수호스
US20080196303A1 (en) Drip Irrigation System
CN203152182U (zh) 自动水灌溉装置
KR101883098B1 (ko) 물의 공급이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점적호스
JP4960196B2 (ja) 潅水チューブ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39668B1 (ko) 분배기 결합형 다기능 관수스틱
KR102285559B1 (ko) 농작물 재배용 점적 조절장치
US10406538B2 (en) Micro stream emitter for use in irrigation systems
CN102668951A (zh) 自动水灌溉装置
KR101464685B1 (ko) 식물재배용 관수호스
KR102216180B1 (ko) 매설형 용수 공급호스용 드립
CN107836194A (zh) 一种用于果园的滴灌装置
KR102106899B1 (ko) 관수 호수를 이용한 관수 확산형 드립
KR102363341B1 (ko) 관비 공급장치
KR101991901B1 (ko) 압력조절 겸 여과 기능의 유로를 구비한 점적호스
KR101685250B1 (ko) 유로형성이 용이한 작물 재배용 점적호스
KR20180125714A (ko) 다단유로를 구비한 압력조절호스
KR200172991Y1 (ko) 농작물 재배용 필름호스
KR101541759B1 (ko) 음각 형성된 유로를 갖는 점적호스
CN218389133U (zh) 一种草莓种植用滴灌装置
KR102182832B1 (ko) 식물 재배환경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