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1345A - Visibility improvement film for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Visibility improvement film for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1345A
KR20180111345A KR1020170042186A KR20170042186A KR20180111345A KR 20180111345 A KR20180111345 A KR 20180111345A KR 1020170042186 A KR1020170042186 A KR 1020170042186A KR 20170042186 A KR20170042186 A KR 20170042186A KR 20180111345 A KR20180111345 A KR 20180111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film
visibility
resin lay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21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00307B1 (en
Inventor
서광석
이한나
장영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042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307B1/en
Publication of KR20180111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34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307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4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8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 G02B6/0061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to provide homogeneous light output int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5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84Scratch re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sibility enhancing film for a display panel,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sibility enhancing film for a display panel which can exhibit excellent physical and opt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metal particles having a certain reflectance for light of a specific wavelength range, in particular, visibility to a laser pointer can be increased,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VISIBILITY IMPROVEMENT FILM FOR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a display panel,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Desc / Clms Page number 1 >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a display panel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보다 상세하게는, 가시광선 영역의 빛에 대해,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금속 입자를 포함하여, 특히 레이저 포인터에 대한 시인성을 높일 수 있으면서도, 휘도와 명암비 등 우수한 광학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a display panel, which can exhibit excellent optical characteristics such as luminance and contrast ratio, while enhancing visibility of a laser pointer, including metal particles having a high reflectance,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the display panel.

강의나, 회의, 발표 등에서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로, 자료 화상을 재생하고, 자료 화상 위에 레이저 포인터를 사용하여, 스크린 등을 가리키면서 프레젠테이션을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When a presentation is performed in a lecture, a meeting, an announcement, etc., it is general that a presentation is performed by using a display device to reproduce a data image and pointing to a screen or the like using a laser pointer on the data image.

종래에는, 빔 프로젝터를 스크린이나 벽에 투영하여 프리젠테이션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프로젝터 방식의 경우, 명암비와 화질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LCD, PDP, OLED 등, 다양한 구동 방식의 대형 디스플레이 패널이 많이 공급되어, 디스플레이 자체에 직접 화상을 표시하고 프리젠테이션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Conventionally, there have been many cases in which a presentation is performed by projecting a beam projector on a screen or a wall. However, in the case of the projector typ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contrast ratio and image quality are poor. In recent years, a large number of large display panels of various driving methods such as LCD, PDP, and OLED have been supplied, and it becomes possible to display images directly on the display itself and to carry out presentations.

그러나, 디스플레이 장치는, 발광 특성이 있고, 특정 각도의 정반사 이외에 레이저 광을 산란시킬 수 있는 인자가 없기 때문에, 레이저 포인터의 시인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However, the display device has a luminescent characteristic and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visibility of the laser pointer is significantly lowered because there is no factor that can scatter the laser light in addition to the specular reflection at a specific angle.

따라서 과도한 추가 공정 없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레이저 포인터의 시인성을 개선하는 방법에 대해 개발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still a need for a method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a laser pointer in a display device without undue additional processing.

본 발명은 LCD, PDF, OLED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저비용으로 레이저 포인터에 대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우수한 물리적, 광학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film for a display panel capable of exhibiting excellent physical and optical characteristics while improving visibility of a laser pointer at low cost in a display panel such as an LCD, a PDF, and an OLED,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do.

본 발명은,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되며, 금속 미립자가 분산된, 수지층을 포함하고;materials; And a resin layer provid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resin layer having metal fine particles dispersed therein;

JIS 7136에 의해 측정된 투과도 값(Tt)이 60 내지 90%이고;The transmittance value (Tt) measured by JIS 7136 is 60 to 90%;

JIS 7316에 의해 측정된 내부 헤이즈 값(Hi) 및 상기 투과도 값(Tt)의 곱이, 200 내지 1500인, Wherein the product of the internal haze value (Hi) and the transmittance value (Tt) measured by JIS 7316 is 200 to 1500,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을 제공한다. And a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a display panel.

또한, 본 발명은,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And a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the display panel.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서 저하된 레이저 포인터의 시인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a display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sibility of a laser pointer deteriorated on a display device can be remarkably improved.

또한, 이러한 효과는 디스플레이 구동 방식이나, 패널 내부의 컬러필터, 적층 구조 등에 대한 변경 없이 디스플레이 패널 외부에 필름의 형태로 적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으므로, 과도한 공정 변경이나 비용 증가를 필요로 하지 않아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Such an effect can be obtained by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rm of a film to the outside of the display panel without changing the display driving method, the color filter inside the panel, the lamination structure, and the like, Can be saved.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은,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되며, 금속 미립자가 분산된, 수지층을 포함하고; JIS 7136에 의해 측정된 투과도 값(Tt)이 60 내지 90%이고; JIS 7316에 의해 측정된 내부 헤이즈 값(Hi) 및 상기 투과도 값(Tt)의 곱이, 200 내지 1500이다. The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a display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bstrate; And a resin layer provid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resin layer having metal fine particles dispersed therein; The transmittance value (Tt) measured by JIS 7136 is 60 to 90%; The product of the internal haze value (Hi) and the transmittance value (Tt) measured by JIS 7316 is 200 to 1500.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패널 상부에 장착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display panel and the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the display panel mounted on the display panel.

본 명세서에서 '상면'이라는 용어는 필름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장착되었을 때 시청자 쪽을 향하도록 배치된 면을 의미하며, '상부'는 시청자 쪽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반대로, '하면' 또는 '하부'는 필름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장착되었을 때, 시청자의 반대쪽을 향하도록 배치된 면 또는 방향을 의미한다.The term 'upper surface' in this specification means a surface arranged to face the viewer when the film is mounted on the display panel, and 'upper' means a direction toward the viewer. Conversely, 'bottom' or 'bottom' refers to a face or orientation that is oriented toward the viewer's opposite side when the film is mounted on the display panel.

본 명세서에서 금속 미립자라 함은, 주기율표 상 금속, 또는 준금속 영역에 있는 원소로 구성된, 작은 입자를 의미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 fine metal particles " means small particles composed of elements in the periodic table or in the metalloid region.

본 명세서에서, 단순히 헤이즈 값, 혹은 전체 헤이즈 값이라 함은, 필름에 다른 처리를 하지 않고, 그 자체에 대해 측정한 헤이즈 값(Ht)을 의미한다. 이러한 전체 헤이즈 값(Ht)은, 필름의 표면 요철로부터 기인하는 헤이즈 값과 필름 내부에 포함된 입자 등으로부터 기인하는 헤이즈 값의 합에 의해 나타나게 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imply the haze value or the total haze value means the haze value (Ht) measured for the film itself without performing any other processing on the film. This total haze value Ht is represented by the sum of the haze value resulting from the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film and the haze value resulting from the particles contained in the film and the like.

본 명세서에서, 내부 헤이즈 값(Hi)이라 함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필름 내부에 포함된 입자 등으로부터 기인하는 헤이즈 값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내부 헤이즈 값은,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필름에 있어서, 표면 요철로부터 기인하는 요인, 즉 표면 헤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필름 표면에 투명한 점착성 이형 필름을 부착하여 표면 요철을 제거한 후, 측정한 헤이즈 값을 의미한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internal haze value (Hi)" means a haze value attributable to particles contained in the film or the like, as described above. Specifically, such an internal haze value is determined by removing a surface irregularity by attaching a transparent adhesive releasing film to the surface of the film in order to remove a factor attributable to surface irregularities, that is, surface haze, Means a haze value.

본 명세서에서, 표면 헤이즈 값(Hs)이라 함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필름 표면 요철로부터 기인하는 헤이즈 값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표면 헤이즈 값은, 상기 전체 헤이즈 값(Ht)에서 내부 헤이즈 값(Hi)을 뺀 값으로 계산될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surface haze value (Hs) means the haze value resulting from the film surface irregularities as described above. Specifically, this surface haze value can be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internal haze value (Hi) from the total haze value (Ht).

이하,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visibility improvement film for a display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필름)(film)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되며, 금속 미립자가 분산된, 수지층을 포함하고; JIS 7136에 의해 측정된 투과도 값(Tt)이 60 내지 90%이고; JIS 7316에 의해 측정된 내부 헤이즈 값(Hi) 및 상기 투과도 값(Tt)의 곱이, 200 내지 1500인,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bstrate; And a resin layer provid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resin layer having metal fine particles dispersed therein; The transmittance value (Tt) measured by JIS 7136 is 60 to 90%; There is provided a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a display panel, wherein the product of the internal haze value (Hi) and the transmittance value (Tt) measured by JIS 7316 is 200 to 1500.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은 가시광선 영역의 빛에 대하여 특징적인 반사 특성을 보일 수 있어, 레이저 포인터의 시인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The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a display panel formed using the coat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hibit characteristic reflection characteristics with respect to light in the visible light region, thereby contributing to enhancement of the visibility of the laser pointer.

그리고 이 때, 상기 금속 미립자는, 수 평균 입경이 약 0.01 내지 약 10㎛이고, 약 530 내지 약 570nm 에서의 평균 반사율 값이 약 60% 이상인 금속의 미립자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ne metal particles are fine particles of metal having a number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about 0.01 to about 10 μm and an average reflectance value of about 60% or more at about 530 to about 570 nm.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필름으로는 유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alate, PET)와 같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EVA)와 같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사이클릭 올레핀 중합체(cyclic olefin polymer, COP), 사이클릭 올레핀 공중합체(cyclic olefin copolymer, COC),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C),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etherketon, PEEK),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 PEN),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이미드(polyimide, PI), MMA(methyl methacrylate), 불소계 수지 또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riacetylcellulose, TAC) 등으로 이루어진 기재를 들 수 있다. Examples of commonly used display panel films include glass, polyester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ethylene such as ethylene vinyl acetate (EVA), and cyclic olefin polymers cyclic olefin polymer (COP), cyclic olefin copolymer (COC), polyacrylate (PAC), polycarbonate (PC), polyethylene (PE),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thylmethacrylate (PMMA), polyetheretherketone (PEEK), polyethylenenaphthalate (PEN), polyetherimide (PEI), polyimide (PI), methyl methacrylate (MMA) Triacetylcellulose (TAC), and the like.

상기 기재 중에서도 특히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필름이 광학적 특성이 우수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Of these materials, triacetylcellulose (TAC) films have been widely used because of their excellent optical properties.

본 발명은 컬러 필터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기본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에 단순히 부착하여, 저비용으로 레이저 포인터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면서도,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학적 특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maintain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an existing display device while improving the visibility of the laser pointer at low cost by simply attaching it to the top of the display panel without changing the basic structure of the color filter or display panel.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지층은 광경화성 바인더 수지층, 및 점착성 바인더 수지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수지층은, 기재의 일면 혹은 양면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수지층이, 기재의 상부, 즉 시청자 방향을 바라보게 되도록 형성되는 경우, 상기 수지층은 코팅층의 역할을 겸하게 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지층이, 기재의 하부, 즉, 기재와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는, 기재와 디스플레이 패널의 접착을 위한, 접착층의 역할을 겸하게 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n 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hotocurable binder resin layer and a tacky binder resin layer. Such a resin layer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r both surfaces of the substrate. Particularly, when the resin layer is formed so as to observe the upper portion of the substrate, that is, the viewer's direction, the resin layer can also serve as a coating layer, and the resin layer can serve as a lower part of the substrate, It may also serve as an adhesive layer for bonding the substrate and the display panel.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상기 수지층이 광경화성 바인더 수지층인 경우, 상기 광경화성 바인더 수지층은 기재 상에 형성되어, 하드코팅층의 역할을 겸할 수 있으며, 상기 수지층이 점착성 바인더 수지층인 경우, 상기 점착성 바인더 수지층은 기재 하면에 형성되어, 기재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접착층의 역할을 겸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when the resin layer is a photo-curable binder resin layer, the photo-curable binder resin layer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to serve also as a hard coating layer, and the resin layer may be a tacky binder resin layer The adhesive binder resin layer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serve also as an adhesive layer of the substrate and the display panel.

(조성물)(Composition)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상기 수지층을 형성하기 위해, 코팅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ating composition may be used to form the resin layer on at least one side of the substrate.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코팅 조성물은, 상기 수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바인더; 상기 바인더 내에 분산되어 있으며, 수 평균 입경이 0.01 내지 10 ㎛인 금속 미립자로, 530 내지 570nm 에서의 평균 반사율 값이 60% 이상인 금속의 미립자; 바인더 성분의 경화를 위한 개시제 혹은 가교제; 및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ating composition for producing the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a display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inder for forming the resin layer; Fine particles of metal having a number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01 to 10 탆 and dispersed in the binder and having an average reflectance value of at least 60% at 530 to 570 nm; An initiator or a crosslinking agent for curing the binder component; And a solvent.

(( 광경화성Photocurable 바인더) bookbinder)

상기 수지층이 광경화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바인더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상기 광경화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바인더는, 자외선에 의해 중합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불포화 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광경화성 관능기로 (메트)아크릴레이트기, 알릴기, 아크릴로일기, 또는 비닐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경화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바인더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및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탄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When the resin layer is formed by a binder containing a photocurable functional group, the binder containing the photocurable functional group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compound containing an unsaturated functional group capable of causing a polymerization reaction by ultraviolet rays, (Meth) acrylate group, an allyl group, an acryloyl group, or a vinyl gro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nder containing the photocurable functional group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olyfunctional acrylate-based monomer, a polyfunctional acrylate-based oligomer, and a polyfunctional acrylate-based elastic polymer have.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아크릴레이트계란, 아크릴레이트 뿐만 아니라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레이트나 메타크릴레이트에 치환기가 도입된 유도체를 모두 의미한다.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crylate eggs mean not only acrylates but also methacrylates, or derivatives having substituents introduced into acrylate or methacrylate.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아크릴레이트계 관능기가 2개 이상으로 포함하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g/mol 미만인 것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HDDA),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TPGDA), 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EGDA),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MPTA), 트리메틸올프로판에톡시 트리아크릴레이트(TMPEOTA), 글리세린 프로폭실화 트리아크릴레이트(GPTA), 펜타에리트리톨 트리(테트라)아크릴레이트(PETA), 또는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DPHA) 등을 들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서로 가교되거나, 후술하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및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탄성 고분자와 가교되어 보호 필름에 일정한 연필 강도와 내마모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The polyfunctional acrylate-based monomer means that it contains two or more acrylate-based functional groups and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less than 1,000 g / mol. More specifically, there can be mentioned, for example, hexanediol diacrylate (HDDA), tripropylene glycol diacrylate (TPGDA), ethylene glycol diacrylate (EGDA),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TMPTA), trimethylolpropane ethoxy tri Acrylate (TMPEOTA), glycerin propoxylated triacrylate (GPTA), pentaerythritol tri (tetra) acrylate (PETA), or 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DPHA) The coating composi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polyfunctional acrylate-based monomer is cross-linked with the polyfunctional acrylate-based oligomer and polyfunctional acrylate-based elastic polymer to impart a constant pencil strength and abrasion resistance to the protective film.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단독으로 또는 서로 다른 종류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polyfunctional acrylate monomer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2개 이상으로 포함하는 올리고머로, 중량 평균 분자량이 약 1,000 내지 약 10,000 g/mol, 또는 약 1,000 내지 약 5,000 g/mol, 또는 약 1,000 내지 약 3,000 g/mol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The polyfunctional acrylate oligomer is an oligomer having two or more acrylate functional groups and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bout 1,000 to about 10,000 g / mol, or about 1,000 to about 5,000 g / mol, or about 1,000 to about 3,000 g / mol. < / RTI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ASTM D638에 의해 측정하였을 때, 약 5 내지 약 200%, 또는 약 5 내지 약 100%, 또는 약 10 내지 약 50%의 신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의 신율이 상기 범위를 가질 때 기계적 물성의 저하 없이 보다 우수한 유연성과 탄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신율 범위를 만족하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유연성과 탄성이 우수하여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및 후술하는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탄성 고분자와 경화 수지를 형성하며, 이를 포함하는 보호 필름에 충분한 가요성, 컬 특성 등을 부여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functional acrylate oligomer has an elongation of from about 5 to about 200%, or from about 5 to about 100%, or from about 10 to about 50%, as measured by ASTM D638 Lt; / RTI > When the elongation of the acrylate oligomer is in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exhibit more flexibility and elasticity without deteriorat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The polyfunctional acrylate oligomer satisfying the above elongation ranges is excellent in flexibility and elasticity to form the polyfunctional acrylate-based monomer and the polyfunctional acrylate-based elastic polymer to be described later and a protective film Sufficient flexibility, curl characteristics, etc. can be imparted to the substrat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우레탄(urethane), 에틸렌 옥사이드(ethylene oxide), 프로필렌 옥사이드(propylene oxide), 또는 카프로락톤(caprolactone) 중 1종 이상으로 변성된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일 수 있다. 상기 변성된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사용할 경우 변성에 의해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에 유연성이 더욱 부여되어 보호 필름의 컬 특성 및 가요성이 증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functional acrylate oligomer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urethane, ethylene oxide, propylene oxide, and caprolactone, Acrylate oligomer. When the modified polyfunctional acrylate oligomer is used, the flexibility of the polyfunctional acrylate oligomer is further increased by the modification, so that the curling property and flexibility of the protective film can be increased.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단독으로 또는 서로 다른 종류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polyfunctional acrylate oligomer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탄성 고분자는 유연성과 탄성이 우수하며, 아크릴레이트 관능기를 2개 이상 포함하는 고분자로, 중량 평균 분자량이 약 100,000 내지 약 800,000g/mol, 또는 약 150,000 내지 약 700,000g/mol, 또는 약 180,000 내지 약 650,000g/mol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The polyfunctional acrylate-based elastic polymer is excellent in flexibility and elasticity, and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bout 100,000 to about 800,000 g / mol, or about 150,000 to about 700,000 g / mol, which is a polymer having two or more acrylate functional groups. , Or from about 180,000 to about 650,000 g / mol.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한 보호 필름은, 기계적 물성을 확보하면서도 높은 탄성 또는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고, 컬(curl) 또는 크랙(crack) 발생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protective film formed by using the coating composition comprising the polyfunctional acrylate-based elastic polymer can ensure high elasticity or flexibility while securing mechanical properties and can minimize curling or cracking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탄성 고분자는 ASTM D638에 의해 측정하였을 때, 약 5 내지 약 200%, 또는 약 5 내지 약 100%, 또는 약 10 내지 약 50%의 신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탄성 고분자의 신율이 상기 범위를 가질 때 기계적 물성의 저하 없이 우수한 유연성과 탄성을 나타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functional acrylate-based elastic polymer has an elongation of from about 5 to about 200%, or from about 5 to about 100%, or from about 10 to about 50%, as measured by ASTM D638 Lt; / RTI > When the elongation of the polyfunctional acrylate-based elastic polymer is in the above range, excellent flexibility and elasticity can be exhibited without deteriorat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탄성 고분자의 한 예로 폴리로타세인을 들 수 있다. An example of the polyfunctional acrylate-based elastic polymer is polyrotaxane.

일반적으로 폴리로타세인(Polyrotaxane)은 덤벨 모양의 분자(dumbbell shaped molecule)과 고리형 화합물(macrocycle)이 구조적으로 끼워져 있는 화합물을 의미하여, 상기 덤벨 모양의 분자는 일정한 선형 분자 및 이러한 선형 분자의 양 말단에 배치된 봉쇄기를 포함하며, 상기 선형 분자가 상기 고리형 화합물의 내부를 관통하며, 상기 고리형 화합물이 상기 선형 분자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봉쇄기에 의하여 이탈이 방지된다. Generally, polyrotaxane refers to a compound in which a dumbbell shaped molecule and a macrocycle are structurally intercalated. The dumbbell-shaped molecule is a linear molecule and a linear molecule of such a linear molecule. Wherein the linear molecule penetrates the interior of the cyclic compound and the cyclic compound can migrate along the linear molecule and is prevented from being released by the sequestering ag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로타세인은 말단에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이 도입된 락톤계 화합물이 결합된 고리형 화합물; 상기 고리형 화합물을 관통하는 선형 분자; 및 상기 선형 분자의 양 말단에 배치되어 상기 고리형 화합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봉쇄기를 포함하는 로타세인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rotaxane is a cyclic compound in which a lactone compound having an acrylate compound introduced at its terminal is bonded; Linear molecules passing through the cyclic compound; And a blocking group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linear molecule to prevent the elimination of the cyclic compound.

상기 고리형 화합물은 상기 선형 분자를 관통 또는 둘러쌀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이면 별 다른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다른 중합체나 화합물과 반응할 수 있는 수산기, 아미노기, 카르복실기, 티올기 또는 알데히드기 등의 작용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고리형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The cyclic compound can be used without any limitations as far as it has a size enough to penetrate or surround the linear molecule. The cyclic compound may be a compound having a hydroxyl group, an amino group, a carboxyl group, a thiol group or an aldehyde group Functional groups. Specific examples of such cyclic compounds include alpha-cyclodextrin, beta-cyclodextrin, gamma-cyclodextrin, and mixtures thereof.

또한, 상기 선형 분자로는 일정 이상의 분자량을 가지면 직쇄 형태를 갖는 화합물은 큰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폴리알킬렌계 화합물 또는 폴리카프로락톤기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8의 옥시알킬렌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옥시알킬렌계 화합물 또는 탄소수 3 내지 10의 락톤계 반복단위를 갖는 폴리카프로락톤기를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linear molecule, a compound having a straight chain form can be used without any limitation if it has a molecular weight of a certain level or higher, but a polyalkylene compound or a polycaprolactone group can be used. Specifically, a polyoxyalkylene compound containing an oxyalkylene repeating unit having 1 to 8 carbon atoms or a polycaprolactone group having a lactone repeating unit having 3 to 10 carbon atoms can be used.

그리고, 이러한 선형 분자는 약 1,000 내지 약 50,000g/mol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선형 분자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너무 작으면 이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보호 필름의 기계적 물성 또는 자기 치유 능력이 충분하지 못할 수 있으며,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이 너무 크면 제조되는 보호 필름의 상용성이 저하되거나 외관 특성이나 재료의 균일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And, such linear molecules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bout 1,000 to about 50,000 g / mol. If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linear molecule is too small, the protective film produced using the linear molecule may have insufficient mechanical properties or self-healing ability. If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too large, The uniformity of properties and materials may be greatly reduced.

한편, 상기 봉쇄기는 제조되는 폴리로타세인의 특성에 따라서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디니트로페닐기, 시클로덱스트린기, 아다만탄기, 트리틸기, 플루오레세인기 및 피렌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locking group can be appropriately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polyrotaxane to be produced, and includes, for example, one ki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dinitrophenyl group, a cyclodextrin group, an adamantane group, a trityl group, Two or more species can be used.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탄성 고분자의 또 다른 예로는 우레탄계 아크릴레이트 고분자를 들 수 있다. 상기 우레탄계 아크릴레이트 고분자는 아크릴 폴리머의 주쇄에 우레탄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가 곁가지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를 가진다.Another example of the polyfunctional acrylate-based elastic polymer is a urethane-based acrylate polymer. The urethane-based acrylate polymer has a form in which urethane-based acrylate oligomers are side-linked to the main chain of the acrylic polymer.

(점착성 바인더)(Adhesive binder)

상기 수지층이 점착성 바인더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기존, 편광판 등에 있어서, 보호 필름과 편광판 등을 접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교성 조성물 성분이 사용될 수 있다.When the resin layer is formed of a tacky binder, a crosslinkable composition component used for bonding a protective film and a polarizing plate or the like in a conventional polarizing plate or the like may be used.

상기 가교성 조성물은, 폴리알킬렌폴리올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성 조성물은, 또한 가교 성분으로서, 아크릴 점착 수지 및 상기 아크릴 점착 수지에 대한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점착 수지와 가교제는 가교성 조성물에서는 서로 가교 반응을 하지 않은 상태로 포함되고, 상기 점착성 바인더 수지층에서는 서로 가교된 상태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교성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 점착 수지와 그 점착 수지에 대한 가교제간의 가교 반응을 주된 가교 반응으로 하여 가교되어 상기 점착성 바인더 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The crosslinkable composition may include a polyalkylene polyol compound. The crosslinkable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as a crosslinking component, an acrylic adhesive resin and a crosslinking agent for the acrylic adhesive resin. 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and the crosslinking agent may be contained in the crosslinkable composition without crosslinking reaction, and may be included in a crosslinked state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binder resin layer. The cross-linkable composition may be crosslinked by using a cross-linking reaction between the acrylic adhesive resin and the cross-linking agent for the adhesive resin as a main cross-linking reaction to form the adhesive binder resin layer.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폴리알킬렌폴리올 화합물은, 폴리알킬렌옥시드 단위를 가지고, 또한 히드록시기를 3개 이상 포함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상기에서 히드록시기는 폴리알킬렌폴리올 화합물의 말단에 존재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polyalkylene polyol compound means a compound having a polyalkylene oxide unit and further containing three or more hydroxy groups. In the above, the hydroxy group may be present at the end of the polyalkylene polyol compound.

가교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아크릴 점착 수지는, 아크릴 단량체를 주성분으로 포함하면서, 가교 전 또는 후에 점착성을 나타낼 수 있는 고분자이다. 상기에서 아크릴 단량체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이나, 상기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유도체, 예를 들면, 아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메타크릴산 에스테르일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주성분으로 포함된다는 것은, 해당 성분의 중량 비율이 55% 이상, 60% 이상, 65% 이상, 70% 이상, 75% 이상, 80% 이상, 85% 이상 또는 90% 이상인 경우를 의미한다. 주성분으로 포함되는 성분의 중량 비율은 다른 예시에서 100% 이하 또는 100% 미만일 수 있다.The acrylic adhesive resin contained in the crosslinkable composition is a polymer that contains an acrylic monomer as a main component and can exhibit adhesiveness before or after crosslinking. The acrylic monomer may be acrylic acid or methacrylic acid, or a derivative of acrylic acid or methacrylic acid, for example, acrylic acid ester or methacrylic acid ester. The inclusion of the main component in the present application means that the weight ratio of the component is at least 55%, at least 60%, at least 65%, at least 70%, at least 75%, at least 80%, at least 85%, or at least 90% it means. The weight ratio of the components contained as the main component may be 100% or less or 100% or less in other examples.

상기 아크릴 점착 수지는 가교성 조성물 내에 주성분으로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아크릴 점착 수지는, 가교성 조성물의 전체 고형분을 기준으로 중량 비율이 55% 이상, 60% 이상, 65% 이상, 70% 이상, 75% 이상, 80% 이상, 85% 이상 또는 9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수지는, 또한 가교성 조성물의 전체 고형분을 기준으로 중량 비율이 다른 예시에서 100% 이하 또는 100% 미만일 수 있다.The acrylic adhesive resin may be contained as a main component in the crosslinkable composition. That is, the acrylic adhesive resin may have a weight percentage of at least 55%, at least 60%, at least 65%, at least 70%, at least 75%, at least 80%, at least 85%, or at least 90%, based on the total solids of the crosslinkable composition. Or more. The resin may also be 100% or less or 100% or less in other examples in weight ratios based on the total solids of the crosslinkable composition.

아크릴 점착 수지로는, 예를 들면, 카복실기를 가지는 아크릴 점착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아크릴 점착 수지는, 가교성 조성물의 내습 및 내습열 조건에서의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고, 후술하는 이온성 화합물이 추가되는 경우에 상기 화합물에 의한 표면 저항의 경시 변화가 적은 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 점착 수지의 사용을 통해 특히 소위 VA(Vertical Aligned) 모드의 LCD에 적용되는 점착형 광학 부재에서 좋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As the acrylic adhesive resin, for example, an acrylic adhesive resin having a carboxyl group can be used. In addition, such an acrylic adhesive resin can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crosslinkable composition under the conditions of moisture resistance and moist heat resistance, and when the ionic compound to be described later is added, a film having little change in surface resistance with time . In addition, through the use of the acrylic adhesive resin, a good effect can be obtained in an adhesive optical member applied to an LCD of a so-called VA (Vertical Aligned) mode.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아크릴 점착 수지는, 산가(acidic value)가 20 이상일 수 있다. 상기에서 산가는 시료 1g 중에 포함되는 유리 지방산이나 수지산 등을 중화하는 것에 요구되는 수산화칼륨의 mg 수를 의미한다. 상기 수지의 산가는 다른 예시에서 약 25 이상 또는 약 30 이상 정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의 산가는 다른 예시에서 약 50 이하, 약 45 이하, 약 40 이하 또는 약 35 이하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산가의 수지의 적용을 통해 카복실기의 포함에 따른 효과가 더욱 개선될 수 있다.In one example, the acrylic adhesive resin may have an acid value of 20 or more. In the above, the acid value means the number of mg of potassium hydroxide required to neutralize the free fatty acid and the hydroxyl acid contained in 1 g of the sample. The acid value of the resin may be about 25 or more or about 30 or more in another example. In addition, the acid value of the resin may be about 50 or less, about 45 or less, about 40 or less, or about 35 or less in other examples. The effect of inclusion of a carboxyl group can be further improv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such an acid value resin.

아크릴 점착 수지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의 중합 단위와 산성 단량체의 중합 단위를 포함하는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중합 단위는 해당 단량체가 중합 반응에 의해 중합체의 골격을 형성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As the acrylic adhesive resin, for example, a polymer containing a polymerization unit of a (meth) acrylic acid ester monomer and a polymerization unit of an acidic monomer can be used. As used herein, the term " polymerized unit " may mean a state in which a corresponding monomer forms a polymer skeleton by a polymerization reaction.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고, 응집력, 유리전이온도 및 점착성의 조절 등을 고려하여, 탄소수가 2 내지 12인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단량체의 예로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중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이 중합체에 포함될 수 있다.As the (meth) acrylic acid ester compound, for example, alkyl (meth) acrylate can be used. In consideration of control of cohesion,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tackiness, alkyl (meth) 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2 to 12 carbon atoms ) Acrylate may be used. Examples of such monomers include methyl (meth) acrylate, ethyl (meth) acrylate, n-propyl (meth) acrylate, isopropyl (meth) acrylate, (Meth) acrylate, n-butyl (meth) acrylate, sec-butyl (meth) acrylate, pentyl (Meth) acrylate, isooctyl (meth) acrylate, isononyl (meth) acrylate and lauryl (meth) acrylate. Of these, one kind or more than two kinds may be included in the polymer.

아크릴 점착 수지는, 또한 중합 단위로서, 예를 들면, 산성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산성 단량체는 산성기를 가지는 공중합성 단량체를 의미하고, 예를 들면, 카복실기를 가지는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카복실기를 가지는 단량체로는, (메타)아크릴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 아세트산, 3-(메타)아크릴로일옥시 프로필산, 4-(메타)아크릴로일옥시 부틸산, 아크릴산 이중체, 이타콘산, 말레산 또는 말레산 무수물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may also contain, for example, an acidic monomer as a polymerization unit. The term acidic monomer means a copolymerizable monomer having an acidic group, for example, a monomer having a carboxyl group can be used. Examples of the monomer having a carboxyl group as mentioned above include (meth) acrylic acid, 2- (meth) acryloyloxyacetic acid, 3- (meth) acryloyloxypropyl acid, 4- (meth) acryloyloxybutyric acid, Dicarboxylic acid, itaconic acid, maleic acid or maleic anhydrid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아크릴 점착 수지는,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화합물 100 중량부 대비 약 5 중량부 이상, 5.5 중량부 이상 또는 6 중량부 이상의 산성 단량체를 중합 단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중량부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성분간의 중량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산성 단량체는 다른 예시에서 약 20 중량부 이하, 약 15 중량부 이하 또는 약 10 중량부 이하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The acrylic adhesive resin may contain at least about 5 parts by weight, at least about 5.5 parts by weight, or at least about 6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eth) acrylic acid ester compound, of an acidic monomer as a polymerization unit. As used herein, the term " weight portion " may mean a ratio of weight between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acidic monomer may be included in a ratio of up to about 20 parts by weight, up to about 15 parts by weight, or up to about 10 parts by weight in another example.

아크릴 점착 수지는 필요에 따라서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8-히드록시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히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 (메타)아크릴아미드, N-부톡시 메틸 (메타)아크릴아미드, N-비닐 피롤리돈 또는 N-비닐 카프로락탐 등과 같은 질소 함유 단량체; 알콕시 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알콕시 디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알콕시 트리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알콕시 테트라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알콕시 폴리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페녹시 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페녹시 디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페녹시 트리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페녹시 테트라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페녹시 폴리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등과 같은 알킬렌옥시드기 함유 단량체; 스티렌 또는 메틸 스티렌과 같은 스티렌계 단량체;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글리시딜기 함유 단량체; 또는 비닐 아세테이트와 같은 카르복실산 비닐 에스테르 등의 추가적인 단량체의 중합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may contain, if necessary, 2-hydroxyethyl (meth) acrylate, 2-hydroxypropyl (meth) acrylate, 4-hydroxybutyl (meth) acrylate, 6-hydroxyhexyl (Meth) acrylate such as 2-hydroxyethyl (meth) acrylate or 2-hydroxypropyl (meth) acrylate, or hydroxyalkyl A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such as an alkylene glycol (meth) acrylate; Containing monomers such as (meth) acrylonitrile, (meth) acrylamide, N-methyl (meth) acrylamide, N-butoxymethyl (meth) acrylamide, N-vinylpyrrolidone or N-vinylcaprolactam ; (Meth) acrylic acid esters, alkoxy alkylene glycol (meth) acrylic acid esters, alkoxy alkylene glycol (meth) acrylic acid esters, alkoxy alkylene glycol (Meth) acrylic acid esters, phenoxy alkylene glycol (meth) acrylic acid esters, phenoxy alkylene glycol (meth) acrylic acid esters, phenoxy trialkylene glycol Alkylene oxide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polyalkylene glycol (meth) acrylic acid esters and the like; Styrene-based monomers such as styrene or methylstyrene; Glycidyl group-containing monomers such as glycidyl (meth) acrylate; Or vinyl acetate esters such as vinyl acetate. ≪ RTI ID = 0.0 > [0040] < / RTI >

아크릴 점착 수지는 통상의 중합 방법을 통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목적하는 단량체 조성에 따라 필요한 단량체를 배합하여 제조되는 단량체 혼합물을 용액 중합(solution polymerization) 방식에 적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필요할 경우, 적합한 중합 개시제 또는 분자량 조절제나 사슬 이동제 등이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The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sin can be produced through a conventional polymerization method. For example, a monomer mixture prepared by compounding the required monomers according to the desired monomer composition can be prepared by solution polymerization. If necessary in this process, suitable polymerization initiators or molecular weight regulators, chain transfer agents and the like may be used together.

가교성 조성물은 가교제, 구체적으로는 상기 아크릴 점착 수지를 가교시킬 수 있는 가교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가교제로는, 예를 들면, 상기 아크릴 점착 수지에 포함되어 있는 카복실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2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교제로는 이 분야의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그 예로는 에폭시계 가교제 또는 아지리딘계 가교제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글리시딜에테르, N,N,N',N'-테트라글리시딜 에틸렌디아민, 글리세린 디글리시딜에테르, N,N'-톨루엔-2,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미드), N,N'-디페닐메탄-4,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미드), 트리에틸렌멜라민, 비스이소프로탈로일-1-(2-메틸아지리딘) 또는 트리-1-아지리디닐포스핀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가교제는 가교성 조성물 내에서 상기 아크릴 점착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0001 내지 15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가교제의 비율은 다른 예시에서 약 0.0005 중량부 이상 또는 약 0.001 중량부 이상일 수 있다. 가교제의 비율은 다른 예시에서 13 중량부 이하, 11 중량부 이하, 9 중량부 이하, 7 중량부 이하, 5 중량부 이하, 3 중량부 이하, 1 중량부 이하, 0.5 중량부 이하, 0.1 중량부 이하, 0.05 중량부 이하 또는 0.05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The crosslinkable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a crosslinking agent, specifically, a crosslinking agent capable of crosslinking the acrylic adhesive resin. As the crosslinking agent, for example, a compound having two or more functional groups capable of reacting with a carboxyl group contained in the acrylic adhesive resin may be used. As such a cross-linking agent, those usual in this field can be us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n epoxy cross-linking agent or an aziridine cross-linking agent. Specific examples include 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triglycidyl ether, trimethylol propane triglycidyl ether, N, N, N ', N'-tetraglycidylethylenediamine, glycerin diglycidyl ether, Bis (1-aziridine carboxamide), N, N'-diphenylmethane-4,4'-bis (1-aziridine carboxamide), triethylene melamine, bis (2-methylaziridine) or tri-1-aziridinylphosphine oxid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cross-linking agent may be included in the crosslinkable composition in an amount of 0.0001 to 1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adhesive resin,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oportion of cross-linking agent may, in another example, be at least about 0.0005 parts by weight, or at least about 0.001 part by weight. In another example, the proportion of the crosslinking agent is 13 parts by weight or less, 11 parts by weight or less, 9 parts by weight or less, 7 parts by weight or less, 5 parts by weight or less, 3 parts by weight or less, 1 part by weight or less, 0.5 parts by weight or less, 0.05 parts by weight or less, or 0.05 parts by weight or less.

(금속 입자)(Metal particles)

다음에,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용 코팅 조성물에 포함되는 금속 미립자는 구체적으로 수 평균 입경이 약 0.01 내지 약 10㎛,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2㎛이고, 약 530 내지 약 570nm 파장의 빛에 대한 평균 반사율 값이 약 60%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60 내지 약 99%, 또는 약 75 내지 약 95%인 금속의 미립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Next, the fine metal particles contained in the coating composition for a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a display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number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about 0.01 to about 10 탆, preferably about 0.1 to about 2 탆,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fine particle of a metal having an average reflectance value for light at a wavelength of 570 nm of not less than about 60%, preferably about 60 to about 99%, or about 75 to about 95%.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는 금속 미립자는 이러한 빛에 대하여 비교적 높은 반사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레이저 포인터의 빛이 조사되는 경우, 필름 내부에서 반사광을 발생시키게 된다. Since the metal fine particles satisfying the above-mentioned conditions have a relatively high reflectance with respect to such light, when light of a laser pointer is irradiated, reflected light is generated inside the film.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 용 필름 등을 제조하는 경우, 코팅 조성물 등에 유기 입자 혹은 산화 금속 등의 무기 미립자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해당 입자들이 높은 투과율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In general, when a film for a display panel or the like is produced, inorganic fine particles such as organic particles or metal oxides are often used in a coating composition because the particles have a high transmittance.

이러한 투과형 입자 등은, 주로 굴절과 회절에 의해 광 산란을 일으키는 반면, 금속 입자는 광을 반사시킨다. 더 구체적으로, 투과형 입자의 경우, 빛이 지나는 가는 경로를 따라 회절과 굴절에 의한 광 산란이 연속적으로 일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빛의 퍼지게 되어, 뿌연 형태의 빛이 나타나게 되지만, 금속 입자의 경우에는, 빛을 투과시키지 않고 반사에 의해 광 산란이 발생하기 때문에, 빛의 경로에 따라 산란이 연속적으로 발생하지는 않으며, 빛의 퍼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These transmissive particles mainly cause light scattering by refraction and diffraction, while metal particles reflect light. 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the transmissive particles, light scattering due to diffraction and refraction occurs continuously along the fine path through which the light travels. As a result, light is scattered and cloudy light appears. In the case of metal particles, Scattering occurs due to reflection without transmitting light, so that scattering does not occur continuously along the path of light, and the spread of light does not occur.

특히, 바인더와의 굴절률 차이가 큰 이산화티타늄(TiO2)입자 등의 금속 산화물계 무기 입자를 이용하는 경우, 높은 광 산란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입자들의 높은 투과율로 인하여, 명암비가 크게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Particularly, when metal oxide based inorganic particles such as titanium dioxide (TiO 2 ) particles having a larg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from the binder are used, a high light scattering effect can be obtained, but a disadvantage that the contrast ratio is greatly lowered due to high transmittance of particles have.

디스플레이 장치의 명암비는,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나오는 화상의 밝기와 필름에 의한 밝기 차이로부터 기인하는 것인데, 투과형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 입자들에 의해 필름 내 밝기가 증가하게 되며, 결국 패널과 필름 간의 밝기 차가 작아지기 때문에, 명암비가 저하되는 것이다. The contrast ratio of the display device is derived from the brightness of the image coming from the display panel and the difference in brightness due to the film. In the case of using the transmission type particles, the brightness of the film is increased by the particles, The contrast ratio is lowered.

따라서, 본원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용 필름은, 금속 미립자를 사용하여, 레이저 포인터 빛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동시에 높은 명암비를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display panel fil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visibility of the laser pointer light by using the metal fine particles, and at the same time, can achieve a high contrast ratio.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금속은, 보다 구체적인 예로, 알루미늄, 금, 은, 마그네슘, 백금, 구리, 티타늄, 지르코늄, 니켈, 주석, 실리콘, 및 크롬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을 들 수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As a more specific example, the metal satisfying these conditions is at least one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uminum, gold, silver, magnesium, platinum, copper, titanium, zirconium, nickel, tin, silicon, and chromium, And the lik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경화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바인더의 총 중량을 100중량부로 할 때, 상기 상기 금속 미립자를, 약 0.5 내지 약 1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15 중량부, 또는, 약 1 내지 약 10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otal weight of the binder containing the photocurable functional group is 100 parts by weight, the metal fine particles may be used in an amount of about 0.5 to about 15 parts by weight, preferably about 1 to about 15 parts by weight, Or from about 1 to about 10 parts by weight.

상기 금속 미립자가 너무 적게 포함되면, 이에 의한 해당 파장에서의 광 반사 효과가 미미하여 레이저 포인터의 시인성 향상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고, 너무 많이 포함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색재현성 및 휘도가 저하되고 코팅 조성물의 다른 물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f the amount of the metal fine particles is too small, the effect of improving the visibility of the laser pointer may be insufficient because the light reflection effect at the wavelength is insignificant. If too much is included, the color reproducibility and brightness of the display device are lowered, It is preferable that the above-mentioned range is included.

(( 개시제Initiator ))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는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 케톤,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1-프로판온, 2-하이드록시-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메틸-1-프로판온, 메틸벤조일포르메이트, ?,?-디메톡시-?-페닐아세토페논, 2-벤조일-2-(디메틸아미노)-1-[4-(4-모포린일)페닐]-1-부타논, 2-메틸-1-[4-(메틸씨오)페닐]-2-(4-몰포린일)-1-프로판온 디페닐(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옥사이드, 또는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현재 시판되고 있는 상품으로는 Irgacure 184, Irgacure 500, Irgacure 651, Irgacure 369, Irgacure 907, Darocur 1173, Darocur MBF, Irgacure 819, Darocur TPO, Irgacure 907, Esacure KIP 100F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광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서로 다른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Examples of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d in the coat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1-hydroxy-cyclohexyl-phenylketone, 2-hydroxy-2-methyl- Methylbenzoylformate,?,? - dimethoxy-p-phenylacetophenone, 2-benzoyl-2- (dimethylamino) -1- [4- (4-morpholinyl) phenyl] -1-butanone, 2- (2,4,6-trimethylbenzoyl) -phosphine oxide, bis (2,4,6-trimethylbenzoyl) -phenylphosphine oxide,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Products currently on the market include Irgacure 184, Irgacure 500, Irgacure 651, Irgacure 369, Irgacure 907, Darocur 1173, Darocur MBF, Irgacure 819, Darocur TPO, Irgacure 907 and Esacure KIP 100F. Thes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중합 개시제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전체 코팅 조성물의 물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효과적인 광중합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광경화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바인더의 총 중량을 100중량부로 할 때, 상기 광중합 개시제를 약 0.1 내지 약 10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However, in order to achieve effective photopolymerization without impair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entire coating composition, the total weight of the binder containing the photo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is preferably 100 wt% The photo 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about 0.1 to about 10 parts by weight.

(용매)(menstruum)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유기 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탄올과 같은 알코올계 용매, 2-메톡시에탄올, 2-에톡시에탄올, 1-메톡시-2-프로판올과 같은 알콕시 알코올계 용매,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메틸프로필케톤, 사이클로헥사논과 같은 케톤계 용매,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디에틸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2-에틸헥실에테르와 같은 에테르계 용매, 벤젠, 톨루엔, 자일렌과 같은 방향족 용매 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Examples of the organic solvent included in the coat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lcohol solvents such as methanol, ethanol, isopropyl alcohol and butanol; organic solvents such as 2-methoxyethanol, 2-ethoxyethanol, 1-methoxy- Ketone solvents such as acetone, methyl ethyl ketone, methyl isobutyl ketone, methyl propyl ketone and cyclohexanone, propylene glycol monopropyl ether,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ethylene glycol monopropyl ether, Ethers such as ethylene glycol monobutyl ether, di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diethyl glycol monoethyl ether, diethyl glycol monopropyl ether, diethyl glycol monobutyl ether and diethylene glycol-2-ethylhexyl ether , Aromatic solvents such as benzene, toluene and xylen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기 용매의 함량은 코팅 조성물의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으나, 상기 광경화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하여 약 50 내지 약 200중량부로, 바람직하게는 약 100 내지 약 200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가 상기 범위에 있을 때 적절한 유동성 및 도포성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the organic solvent may be variously adjust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mpair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ating composition, so that the amount of the organic solvent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binder containing the photocurable functional group 50 to about 200 parts by weight, preferably about 100 to about 200 parts by weight. And may have appropriate fluidity and applicability when the organic solvent is in the above range.

(유무기 미립자)(Organic and inorganic fine particles)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팅 조성물은 유기 또는 무기 미립자를 더 포함하여 눈부심 방지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이 유기 또는 무기 미립자를 포함할 때, 이를 이용하여 경화된 광경화성 수지층은 빛을 산란시키는 특징을 가져 눈부심 방지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ating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n organic or inorganic fine particle to exhibit anti-glare properties. When the coating composition contains organic or inorganic fine particles, the photocurable resin layer cured by using the organic or inorganic fine particles may exhibit anti-glare properties by scattering light.

상기 유기 또는 무기 미립자의 입경은 빛의 산란 효과를 최적화하는 측면에서 약 1㎛ 이상이 될 수 있고, 헤이즈 및 코팅 두께를 적절하게 하기 위한 측면에서 10㎛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 또는 무기 미립자는 입경이 약 1 내지 약 10㎛,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5㎛,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3㎛인 입자일 수 있다. 상기 유기 또는 무기 미립자의 입경이 1㎛ 미만인 경우 빛의 산란으로 인한 눈부심 방지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입경이 10㎛를 초과하는 경우 적정 수준의 헤이즈를 맞추기 위해 코팅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가 있는데, 코팅 두께가 높아지면 크랙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The particle size of the organic or inorganic fine particles may be about 1 탆 or more in terms of optimizing the scattering effect of light and 10 탆 or less in terms of proper haze and coating thickness, May be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of from about 1 to about 10 microns, preferably from about 1 to about 5 microns, and more preferably from about 1 to about 3 microns. When the particle size of the organic or inorganic fine particles is less than 1 탆, the effect of preventing light scattering due to light scattering may be insufficient. When the particle size exceeds 10 탆,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coating in order to adjust the haze to an appropriate level. If the thickness is increased, there is a risk of cracking.

또한, 상기 유기 또는 무기 미립자의 부피 평균 입경은 약 2 내지 약 10㎛,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5㎛,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3㎛가 될 수 있다.The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organic or inorganic fine particles may be about 2 to about 10 占 퐉, preferably about 2 to about 5 占 퐉, and more preferably about 2 to about 3 占 퐉.

상기 유기 또는 무기 미립자는 눈부심 방지 필름의 형성을 위해 사용되는 종류이면, 그 구성의 한정이 없이 사용할 수 있다.The organic or inorganic fine particles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in the constitution as long as they are of a kind used for forming an anti-glare film.

예를 들어, 상기 유기 미립자는 아크릴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에폭시 수지 및 나일론 수지로 이루어진 유기 미립자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rganic fine particles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organic fine particles made of an acrylic resin, a styrene resin, an epoxy resin, and a nylon resin.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 미립자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 p-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 p-에틸스티렌, m-에틸스티렌, p-클로로스티렌, m-클로로스티렌, p-클로로메틸스티렌, m-클로로메틸스티렌, 스티렌설폰산, p-t-부톡시스티렌, m-t-부톡시스티렌,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비닐 부티레이트, 비닐 에테르, 알릴 부틸 에트르, 알릴 글리시틸 에트르, (메타)아크릴산, 말레산, 불포화 카르복시산, 알킬(메타)아크릴아마이드,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ore specifically, the organic fine particles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yl (meth) acrylate, ethyl (meth) acrylate, propyl (meth) acrylate, n-butyl (meth) acrylate, isobutyl Acrylate, stearyl (meth) acrylate, 2-hydroxyethyl (meth) acrylate, n-octyl (meth) acrylate, Acrylates such as polyethylene glycol (meth) acrylate, methoxypolyethylene glycol (meth) acrylate, glycidyl (meth) acrylate, dimethylaminoethyl (meth) acrylate, diethylaminoethyl But are not limited to, methylstyrene, m-methylstyrene, p-ethylstyrene, m-ethylstyrene, p-chlorostyrene, m- chlorostyrene, p- chloromethylstyrene, m- chloromethylstyrene, styrenesulfonic acid, m-butoxystyrene, vinyl acetate (Meth) acrylic acid, maleic acid, unsaturated carboxylic acid, alkyl (meth) acrylamide, (meth) acrylonitrile and the like), vinylidene fluoride, (Meth) acrylat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유기 미립자는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co-스티렌,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co-스티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co-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마이드계, 폴리이미드계, 폴리술폰, 폴리페닐렌옥사이드, 폴리아세탈, 에폭시레진, 페놀레진, 실리콘 수지, 멜라민 수지, 벤조구아민, 폴리디비닐벤젠, 폴리디비닐벤젠-co-스티렌, 폴리디비닐벤젠-co-아크릴레이트, 폴리디알릴프탈레이트 및 트리알릴이소시아눌레이트폴리머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이상의 것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코폴리머(copolymer)인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organic fine particles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styrene,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thyl acrylate, polyacrylate, polyacrylate-co-styrene, polymethyl acrylate-co-styrene, polymethyl methacrylate- Polyvinyl chloride resin, polycarbonate resin, polyvinyl chloride resin,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amide resin, polyimide resin, polysulfone, polyphenylene oxide, polyacetal, epoxy resin, phenol resin, silicone resin, melamine resin, One or more membe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mine, polydivinylbenzene, polydivinylbenzene-co-styrene, polydivinylbenzene-co-acrylate, polydiallyl phthalate and triallyl isocyanurate polymer, A copolymer may be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무기 미립자는 산화규소, 이산화티탄, 산화인듐, 산화주석, 산화지르코늄 및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무기 미립자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inorganic fine particles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organic fine particles of silicon oxide, titanium dioxide, indium oxide, tin oxide, zirconium oxide and zinc oxid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유기 및 무기 미립자의 총 함량은, 상기 광경화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100중량부에 대하여, 약 1 내지 약 2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15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15중량부의 범위일 수 있다. The total content of the organic and inorganic fine particles is about 1 to about 20 parts by weight, preferably about 5 to about 15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about 10 to about 20 parts by weight,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photo- 15 parts by weight.

상기 유기 및 무기 미립자의 총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 내부 산란에 의한 헤이즈값이 충분하게 구현되지 않고, 너무 많은 경우, 코팅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 코팅성이 불량해지고 내부 산란에 의한 헤이즈값이 너무 커져서 명암 대비비(contrast ratio)가 저하될 수 있다.If the total content of the organic and inorganic fine particles is too small, the haze value due to the internal scattering is not sufficiently realized. If the total content of the organic and inorganic fine particles is too large, the viscosity of the coating composition becomes high and the coating property becomes poor and the haze value due to the internal scattering becomes too large The contrast ratio may be lowe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기 또는 무기 미립자는 상기 광경화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바인더의 경화 수지와의 굴절율 차이가 약 0.005 내지 약 0.1,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약 0.07,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015 내지 약 0.05가 될 수 있다. 상기 굴절율의 차이가 0.005 미만이면, 눈부심 방지에 요구되는 적절한 헤이즈값을 얻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굴절율 차이가 0.1을 초과하면, 내부 산란이 증가하여 헤이즈값이 증가하는 반면 명암 대비비가 저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ganic or inorganic fine particles may have a refractive index difference of from about 0.005 to about 0.1, preferably from about 0.01 to about 0.07, more preferably from about 0.01 to about 0.07, About 0.015 to about 0.05. If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is less than 0.005, it may be difficult to obtain an appropriate haze value required for preventing glare. If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exceeds 0.1, the internal scattering increases and the haze value increases, but the contrast ratio may decrease.

(첨가제)(additive)

한편,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전술한 성분들 외에도, 계면활성제, 산화방지제, UV 안정제, 레벨링제, 방오제 등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 함량은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의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전체 코팅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약 0.1 내지 약 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at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dditives commonly used in the art such as surfactants, antioxidants, UV stabilizers, leveling agents, antifouling agents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above-mentioned components. The content can be vari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teriorat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coat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about 0.1 to about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coating composition,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한 광경화성 수지층은 건조 및 경화 후 약 1㎛ 이상으로, 예를 들어 약 1 내지 약 20㎛, 또는 약 2 내지 약 10㎛, 또는 약 2 내지 약 5㎛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두께 범위 내에서 적절한 광학 물성 및 물리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hotocurable resin layer formed using the coating composition has a thickness of about 1 탆 or more, for example, about 1 to about 20 탆, or about 2 to about 10 탆, Or from about 2 to about 5 micrometers, and may exhibit appropriate optical and physical properties within such thickness ranges.

(코팅)(coating)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은 투명 플라스틱 기재에, 광경화성 관능기를 포함하는 바인더, 상기 바인더 내에 분산되어 있으며, 수 평균 입경이 0.01 내지 10㎛인 금속 미립자로, 약 530 내지 약 570nm 에서의 평균 반사율 값이 60% 이상인 금속의 미립자; 광중합 개시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용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고 광경화시켜 형성할 수 있다.The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a display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 transparent plastic substrate, a binder containing a photocurable functional group, metal fine particles dispersed in the binder and having a number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01 to 10 占 퐉, Fine particles of a metal having an average reflectance value at 570 nm of 60% or more;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 solvent, and applying a coating composition for a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a display panel and photo-curing the coating composition.

상기 코팅 조성물 및 이를 구성하는 각 성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예시는, 상술한 바와 같다. Specific descriptions and examples of the above-mentioned coating composition and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coating composition are as described above.

상기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은 본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바코팅 방식, 나이프 코팅방식, 롤 코팅방식, 블레이드 코팅방식, 다이 코팅방식, 마이크로 그라비아 코팅방식, 콤마코팅 방식, 슬롯다이 코팅방식, 립 코팅방식, 또는 솔루션 캐스팅방식 등을 이용할 수 있다.The method of applying the coating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be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technology belongs. For example, a bar coating method, a knife coating method, a roll coating method, a blade coating method, a die coating method, Method, a comma coating method, a slot die coating method, a lip coating method, or a solution casting method.

다음에, 도포된 코팅 조성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경화 반응을 수행함으로써 보호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을 조사하기 전, 코팅 조성물의 도포면을 평탄화하고, 코팅 조성물에 포함된 용매를 휘발시키기 위해 건조하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Next, a protective film can be formed by irradiating the applied coating composition with ultraviolet light to perform a photo-curing reaction. Before applying the ultraviolet ray, the coating surface of the coating composition may be planarized and the solvent contained in the coating composition may be dried to volatilize the coating composition.

상기 자외선의 조사량은, 예를 들면 약 20 내지 약 600 mJ/cm2일 수 있다. 자외선 조사의 광원으로는 본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고압 수은 램프, 메탈 할라이드 램프, 블랙 라이트(black light) 형광 램프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dose of the ultraviolet rays may be, for example, about 20 to about 600 mJ / cm 2 . The light source for ultraviolet irradia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be used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technology belongs. For example, a high pressure mercury lamp, a metal halide lamp, a black light fluorescent lamp and the like can be used.

(물성)(Properties)

상기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은 상술한 바와 같이 530 내지 570nm 파장의 빛에 대한 평균 반사율 값이 60% 이상인 금속의 미립자를 포함하며, 상기와 같은 반사율 특성으로 인하여, 액정 디스플레이에서 레이저 포인터에 의해 입사되는 레이저 광을 효과적으로 반사시킬 수 있어, 레이저 포인터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으면서도, 휘도와 명암비가 높고, 우수한 화질의 화상을 구현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a display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ne particles of metal having an average reflectance value of 60% or more with respect to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530 to 570 nm. Due to the reflectance characteristic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effectively reflecting a laser beam incident thereon and capable of increasing the visibility of the laser pointer and realizing an image of high image quality with high luminance and contrast ratio.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은, JIS 7136에 의해 측정된 투과도 값(Tt)이 60 내지 90%으로, 높은 광 투과도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The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a display panel may have a transmittance value (Tt) of 60 to 90% as measured by JIS 7136 and exhibits high light transmittance.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은, JIS 7316에 의해 측정된 내부 헤이즈 값(Hi) 및 상기 투과도 값(Tt)의 곱이, 200 내지 1500, 바람직하게는, 약 500 내지 1500, 또는 약 800 내지 약 1300일 수 있다. The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a display panel may have a haze value Hi measured by JIS 7316 and a product of the transmittance value Tt of 200 to 1500, preferably about 500 to 1500, Lt; / RTI >

광학 필름 등에 있어서, 필름 내부에 포함되는 도입 입자에 따라 투과율 및 헤이즈 특성이 변화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는 비슷한 광학 특징을 가지는 광 산란 입자가 많이 포함될수록, 투과도가 낮아지며 헤이즈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일 수 있다. In optical films and the like, the transmittance and the haze characteristics vary depending on the introduced particles contained in the film. In general, the more the light scattering particles having similar optical characteristics are included, the lower the transmittance and the tendency to increase the haze have.

그러나, 사용하는 입자의 종류에 따라서는, 투과도와 헤이즈의 특징적인 관계를 가질 수 있다. 특히 금속 미립자는, 수지층에 포함되었을 때, 상술한 바와 같은 반사 특성으로, 빛에 대한 투과율을 낮추면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기 미립자, 또는 무기 산화물 미립자에 비해 낮은 Haze 값을 보일 수 있기 때문에, 특히, 투과형 광 산란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 동일 투과율 값을 보이더라도, 상대적으로 낮은 내부 헤이즈 값을 가질 수 있는 특징이 있다. However, depending on the kind of particles used, it may have a characteristic relationship of transmittance and haze. Particularly, when the metal fine particles are included in the resin layer, the haze value can be lower than that of the organic fine particles or the inorganic oxide fine particles generally used while the transmittance to light is lowered by the reflection characteristic as described above, In particular, when compared with the case of using the transmissive light scattering particles, even if they have the same transmittance value, they can have a relatively low internal haze value.

특히, 광 투과율 값은, 입자 함량에 따라 변화하는데 투과율이 너무 높은 경우, 빛을 산란 또는 반사시키기 위한 입자의 양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적절한 시인성을 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투과율이 너무 낮은 경우, 시인성은 좋지만 명암비 및 휘도 저하 문제가 발생하며 디스플레이로 구현하고자 하는 화상의 화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Particularly, the light transmittance value varies depending on the particle content, and when the transmittance is too high,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mount of particles for scattering or reflecting light is absolutely inadequate so that proper visibility can not be realized, When the display is low, visibility is good, but a contrast ratio and a brightness lowering problem occur, and the image quality of the image to be implemented by the display may be deteriorated.

따라서 상술한 투과율(Tt)의 범위, 금속 미립자를 사용하는 것에서 기인하는, 특징적인 내부 헤이즈 값(Hi), 및 상기 투과율과 내부 헤이즈 값의 곱 범위를 한정하여, 레이저 포인터 사용에 대해 우수한 시인성을 가지면서도, 동시에 우수한 명암비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range of the above-described transmittance (Tt), the characteristic internal haze value (Hi) attributable to the use of the metal fine particles, and the range of the product of the transmittance and the internal haze value are limited and excellent visibility And at the same time an excellent contrast ratio can be realiz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은 하기 식 1로 측정되는 상대 휘도 값이 약 1.5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1.6 이상일 수 있으며, 그 상한에는 큰 의미가 없으나, 약 1.5 내지 약 2.5, 또는 약 1.6 내지 약 2.1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a display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relative luminance value measur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of about 1.5 or more, preferably about 1.6 or more, But can be from about 1.5 to about 2.5, or from about 1.6 to about 2.1.

[식 1][Formula 1]

B1 / A1 B1 / A1

상기 식 1에서, In Equation (1)

A1은 투명 기재 필름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하고, 디스플레이에 백색 화면을 구현한 상태에서 법선의 45° 방향에서 535nm laser를 조사하였을 때 측정되는 휘도 값이고,A1 is a luminance value measured when a transparent base material film is attached to a display panel and a 535 nm laser is irradiated in a 45 占 direction of a normal line in a state where a white screen is implemented on the display,

B1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하고, 디스플레이에 백색 화면을 구현한 상태에서 법선의 45° 방향에서 535nm laser를 조사하였을 때 측정되는 휘도 값이다.B1 is a luminance value measured when a visible light enhancement film for a display panel is attached to a display panel and a 535 nm laser is irradiated in a 45 ° direction of the normal line in a state where a white screen is implemented on the display.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은, 일반적인 UV 경화형 코팅층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 금속 미립자에 의한 반사광으로, 조사 전 휘도 대비, 휘도가 약 50%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60%이상 상승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레이저 포인터의 시인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a display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uminance of about 50% or more, preferably about 50% or more, in terms of luminance before irradiation, compared with a general UV curable coating layer, It is possible to realize an effect of increasing by about 60% or more, and thus the visibility of the laser pointer can be remarkably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은 하기 식 2로 측정되는 명암비가 0.7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0.7 내지 약 1, 또는 약 0.75 내지 약 0.95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a display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trast ratio of 0.7 or more, preferably about 0.7 to about 1, or about 0.75 to about 0.95 .

[식 2][Formula 2]

(B2 / A2)*100(B2 / A2) * 100

상기 식 2에서, In the above formula 2,

A2는 투명 기재 필름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한 후 측정한 암실 명암비 값이고, (0 lx)A2 is a dark room contrast ratio value measured after attaching the transparent base film to the display panel, (0 lx)

B2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을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한 후 측정한 암실 명암비 값이다.And B2 is a darkroom contrast ratio value measured after attaching the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a display panel to the display panel.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은, 레이저 포인터의 시인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도, 동시에 우수한 명암비를 구현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a display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arkably improve the visibility of a laser pointer, and at the same time, can achieve an excellent contrast ratio.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이 형성되는 기재는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용으로 사용되는 유리, 또는, 투명성 플라스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alate, PET)와 같은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EVA)와 같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사이클릭 올레핀 중합체(cyclic olefin polymer, COP), 사이클릭 올레핀 공중합체(cyclic olefin copolymer, COC),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C),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etherketon, PEEK),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 PEN),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이미드(polyimide, PI), MMA(methyl methacrylate), 불소계 수지 또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riacetylcellulose, TAC) 등을 들 수 있다. In the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a display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strate on which the resin layer is formed may be glass or transparent plastic resin which is usually used for a display panel. More specifical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such as a polyester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 polyethylene such as ethylene vinyl acetate (EVA), a cyclic olefin polymer cyclic olefin polymer (COP), cyclic olefin copolymer (COC), polyacrylate (PAC), polycarbonate (PC), polyethylene (PE),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thylmethacrylate (PMMA), polyetheretherketone (PEEK), polyethylenenaphthalate (PEN), polyetherimide (PEI), polyimide (PI), methyl methacrylate (MMA) Triacetylcellulose (TAC), and the like.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재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를 포함하는 필름일 수 있다.Preferably, the substrate may be a film comprising triacetylcellulose (TAC).

상기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필름의 경도 및 다른 물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범위로써, 약 20 내지 약 100㎛, 또는 약 20 내지 약 60㎛의 두께를 갖는 기재를 사용할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ossible to use a substrate having a thickness of about 20 to about 100 占 퐉, or about 20 to about 60 占 퐉, so long as it can satisfy the hardness and other physical properties of the film.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은, 500g 하중에서의 연필 경도가 HB 이상, 또는 1H 이상, 또는 2H 이상일 수 있다.The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a display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pencil hardness of not less than HB, or not less than 1H, or not less than 2H at a load of 500 g.

또한, 마찰시험기에 스틸울(steel wool) #0을 장착한 후 200g의 하중, 또는 300g 하중, 또는 400g 하중으로 10회 왕복시킬 경우에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는 내마모성을 나타낼 수 있다.Further, it is possible to exhibit abrasion resistance which does not cause scratches when a steel wool # 0 is mounted on a friction tester and then reciprocated 10 times under a load of 200 g, or 300 g or 400 g.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은, 기재; 상기 기재의 상부에 구비되는 수지층; 및 상기 수지층 상부에 형성되는, 반사 방지층 및 방현성 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성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a display panel comprises: a substrate; A resin layer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ubstrate; And a functional coating layer formed on the resin layer, the functional coating layer being at least one of an antireflection layer and a light-shielding layer.

반사 방지층은, 기존 디스플레이 패널용 필름에서의 반사 방지 효과에 더불어, 레이저 포인터 사용 시, 정반사를 방지함으로써, 레이저 포인터 빛이 정반사 되어, 화상을 바라보는 관찰자의 눈에 직접 입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아줄 수 있다. 이러한 반사 방지층은, 기존 디스플레이 장치용 필름, 혹은 편광판용 광학 필름 등에서 사용되던, 일반적인 반사 방지층,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굴절율이 다른 다수의 층을 형성시켜 빛의 간섭을 이용하는 반사 방지층이나 반사 방지 코팅(Anti reflection, AR) 등을,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antireflection effect of the conventional display panel film, the antireflection layer prevents the specular reflection when the laser pointer is used, thereby preventing the laser pointer light from being directly reflected and directly entering the eye of the observer looking at the image have. Such an antireflection layer may be a general antireflection layer used in a conventional film for a display device or an optical film for a polarizing plate or the like, specifically, for example, an antireflection layer using an interference of light by forming a plurality of layer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exes, (Anti reflection, AR) can be used without any particular limitation.

또한, 상기 방현성 층은, 표면의 요철로, 레이저 포인터 사용 시, 레이저 포인터 빛을 난반사 시킴으로써, 역시, 화상을 바라보는 관찰자의 눈에 직접 정반사 광이 입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아줄 수 있다. 이러한 방현성 층은, 수지에 무기 미립자 등의 필러를 분산시켜 표면에 요철을 부여하는 방법(Anti-glare, AG) 등을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laser pointer is used, the light-diffusing layer is irregularly formed on the surface, and the laser pointer light is irregularly reflected, so tha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regular reflection light from directly entering the eye of the observer looking at the image. The anti-glare layer may be formed by dispersing a filler such as inorganic fine particles in a resin to impart irregularities to the surface (Anti-glare, AG) without any particular limitation.

상술한 반사 방지층 및 방현성 층 등을 구비하는 경우, 이러한 기능성 코팅층은, 필름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When the antireflection layer, the antireflection layer, and the like are provided, it is preferable that the functional coating layer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film.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술한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play panel and the visibility improvement film for the display panel described above.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구동 방식이나 구조 등에 특별한 제한을 받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LCD 패널, PDP 패널, 혹은, OLED 패널에도 모두 적용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isplay pane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o a driving method, a structure, and the like. Specifically, the display panel can be applied to an LCD panel, a PDP panel, or an OLED panel.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과 디스플레이 패널은 별도의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라미네이션함으로써 접착시킬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접착제로는 당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수계 접착제, 일액형 또는 이액형의 폴리비닐알콜(PVA)계 접착제,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에폭시계 접착제,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계(SBR계) 접착제, 또는 핫멜트형 접착제 등이 있으나, 본 발명이 이들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a display panel and the display panel may be laminated by using a separate adhesive or the like. Usable adhesive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y are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a water-based adhesive, a one-component or two-component polyvinyl alcohol (PVA) adhesive, a polyurethane adhesive, an epoxy adhesive, a styrene butadiene rubber adhesive (SBR adhesive), a hot melt adhesi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또한, 상기 수지층이 점착층의 역할을 겸할 수도 있음은, 상술한 바와 으며, 수지층이 점착층의 역할을 겸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수지층이 형성되지 않은 기재 면이 디스플레이 패널 쪽에 부착되도록 하고, 상기 수지층은 바깥쪽으로 위치하도록 적층하여, 레이저 포인터가 입사되는 쪽을 바로 대면하게 되는 구조가 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The resin layer may also serve a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esin layer does not also serve a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n which the resin layer is not formed, And the resin layer is laminated so as to be positioned outward, so that the structure in which the side where the laser pointer is incident faces directly is preferable.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보다 상술하기로 한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는 발명의 예시로 제시된 것에 불과하며,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정해지는 것은 아니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func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se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실시예><Examples>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용 코팅 조성물 및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의 제조Preparation of a coating composition for a film and a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a display panel

실시예Example 1 One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펜타에리트리톨 트리(테트라)아크릴레이트(PETA) 16중량부;16 parts by weight of pentaerythritol tri (tetra) acrylate (PETA);

6 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상품명: EB-1290) 16중량부;16 parts by weight of hexafunctional urethane acrylate (trade name: EB-1290);

알루미늄 입자 분산액 (고형분 20wt%, 알루미늄 순도 99.8%, 입자의 수 평균 입경: 2㎛, 톨루엔 분산액) 7.3중량부;7.3 parts by weight of an aluminum particle dispersion (solid content 20 wt%, aluminum purity 99.8%, number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particles: 2 mu m, toluene dispersion)

레벨링제로 Megaface F-477 (제조사: 주식회사 DIC) 0.2중량부;Leveling agent 0.2 part by weight Megaface F-477 (manufacturer: DIC Co., Ltd.);

광중합 개시제로 Irgacure 184, 2.5중량부;Irgacure 184 as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2.5 parts by weight;

용매로, 메틸에틸케톤 18중량부 및 2-부탄올 18중량부;As a solvent, 18 parts by weight of methyl ethyl ketone and 18 parts by weight of 2-butanol;

실리카 분산액 (제조사: Tosoh, 수평균 입경이 1 내지 2㎛인 SS50B 및, 수평균 입경이 0.5 내지 1㎛인 SS50F를 1:1로 혼합하여 사용, 고형분 20%, 톨루엔 분산액) 22중량부;22 parts by weight of a silica dispersion (manufacturer: Tosoh, SS50B having a number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 to 2 占 퐉 and SS50F having a number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5 to 1 占 퐉 mixed at 1: 1, solid content 20%, toluene dispersion)

를 혼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용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To prepare a coating composition for a visibility improvement film for a display panel.

상기 조성물을, 60㎛ 두께의 TAC 필름에 코팅하였다. 이를 90에서 2분간 건조한 후, 수은 램프로 200mj/cm2의 UV를 조사하여 평균 건조 두께가 5㎛인 광경화성 수지층을 형성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을 제조하였다. (알루미늄 반사율: 550nm로 측정 시, 0.91)The composition was coated on a 60 탆 thick TAC film. This was dried at 90 ° C. for 2 minutes and irradiated with UV light of 200 mj / cm 2 using a mercury lamp to form a photo-curable resin layer having an average dry thickness of 5 μm to produce a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a display panel. (Aluminum reflectance: 0.91 when measured at 550 nm)

실시예Example 2 2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펜타에리트리톨 트리(테트라)아크릴레이트(PETA) 16중량부;16 parts by weight of pentaerythritol tri (tetra) acrylate (PETA);

6 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16중량부;Hexafunctional urethane acrylate 16 parts by weight;

알루미늄 입자 분산액 10.3중량부;10.3 parts by weight of the aluminum particle dispersion;

레벨링제로 0.2중량부;0.2 part by weight as leveling agent;

광중합 개시제, 2.5중량부;2.5 parts by weight of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용매로, 메틸에틸케톤 16중량부 및 2-부탄올 16중량부;As a solvent, 16 parts by weight of methyl ethyl ketone and 16 parts by weight of 2-butanol;

실리카 분산액 23중량부를 혼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용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And 23 parts by weight of a silica dispersion were mixed to prepare a coating composition for a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a display panel.

상기 조성물을, 60㎛ 두께의 TAC 필름에 코팅하였다. 이를 90에서 2분간 건조한 후, 수은 램프로 200mj/cm2의 UV를 조사하여 평균 건조 두께가 5㎛인 광경화성 수지층을 형성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을 제조하였다.The composition was coated on a 60 탆 thick TAC film. This was dried at 90 ° C. for 2 minutes and irradiated with UV light of 200 mj / cm 2 using a mercury lamp to form a photo-curable resin layer having an average dry thickness of 5 μm to produce a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a display panel.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1 One

실리카 분산액 및 알루미늄 입자 분산액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을 제조하였다.A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a display panel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silica dispersion and the aluminum particle dispersion were not used.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2 2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펜타에리트리톨 트리(테트라)아크릴레이트(PETA) 17.5중량부;17.5 parts by weight of pentaerythritol tri (tetra) acrylate (PETA);

6 관능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17.3중량부;Hexafunctional urethane acrylate 17.3 parts by weight;

이산화티타늄 입자 분산액 (고형분 25wt%, 입경 중간 값: 0.39㎛, 부틸 셀로솔브 분산액) 2.5중량부;2.5 parts by weight of a titanium dioxide particle dispersion (solid content: 25 wt%, median particle diameter: 0.39 mu m, butyl cellosolve dispersion);

레벨링제로 0.2중량부;0.2 part by weight as leveling agent;

광중합 개시제, 2.5중량부;2.5 parts by weight of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용매로, 메틸에틸케톤 20중량부 및 2-부탄올 15중량부;As a solvent, 20 parts by weight of methyl ethyl ketone and 15 parts by weight of 2-butanol;

실리카 분산액 25중량부를 혼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용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And 25 parts by weight of a silica dispersion were mixed to prepare a coating composition for a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a display panel.

상기 조성물을, 60㎛ 두께의 TAC 필름에 코팅하였다. 이를 90에서 2분간 건조한 후, 수은 램프로 200mj/cm2의 UV를 조사하여 평균 건조 두께가 5㎛인 광경화성 수지층을 형성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을 제조하였다.The composition was coated on a 60 탆 thick TAC film. This was dried at 90 ° C. for 2 minutes and irradiated with UV light of 200 mj / cm 2 using a mercury lamp to form a photo-curable resin layer having an average dry thickness of 5 μm to produce a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a display panel.

상기 조성을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The above compositions are summarized in Table 1 below.

조성 성분
(단위: 중량부)
Composition component
(Unit: parts by weight)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광경화성 바인더Photocurable binder 3232 3232 3232 34.834.8 알루미늄 분산액
(고형분: 20wt%)
Aluminum dispersion
(Solid content: 20 wt%)
7.37.3 10.310.3 -- 2.52.5
레벨링 제Leveling agent 0.20.2 0.20.2 0.20.2 0.20.2 광중합 개시제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2.52.5 2.52.5 2.52.5 2.52.5 용매menstruum 3636 3232 3636 3535 실리카 분산액
(고형분: 20wt%)
Silica dispersion
(Solid content: 20 wt%)
2222 2323 -- 2525
총합total 100 중량부 기준100 parts by weight 100 중량부 기준100 parts by weight 70.7중량부 기준70.7 parts by weight 100 중량부 기준100 parts by weight

투과도 값 측정Measurement of permeability value

Murakami사의 HM-150 haze meter를 이용하여, JIS 7136 방법에 의해,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의 투과도 값을 측정하였다. Using the HM-150 haze meter of Murakami Co., the transmittance values of the visibility improving films for display panels prepared in the abov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measured by JIS 7136 method.

헤이즈Hayes 값 측정 Measure value

Murakami사의 HM-150 haze meter를 이용하여, JIS 7136 방법에 의해,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의 헤이즈 값을 측정하였다. Haze values of the visibility improving films for display panels prepared in the abov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measured by the JIS 7136 method using an HM-150 haze meter manufactured by Murakami.

전체 헤이즈(Ht)값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을 그 자체로 직접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The total haze (Ht) values were measured by directly using the visibility improving films for display panels prepared in the abov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내부 헤이즈(Hi) 값은, 표면 요철에 기인하는 값을 배제시키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상부에 이형 필름(LG화학社, S7)을 라미네이팅한 후, 보호 필름을 벗겨, 필름 표면의 요철을 없엔 후 측정하였다. The internal haze values were obtained by laminating a release film (LG Chemical Co., Ltd., S7) on the upper surface of the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display panel prepa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o eliminate the value due to surface unevenness, The protective film was peeled off and measured without any irregularities on the surface of the film.

표면 헤이즈(Hs) 값은, 전체 헤이즈 값에서, 내부 헤이즈 값을 뺀 값(Ht-Hi) 계산하였다. The surface haze (Hs) value was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internal haze value (Ht-Hi) from the total haze value.

정반사 방지:Specular reflection prevention:

45도 각도에서 필름으로 입사한 레이저 포인터 (3M, LP-7000) 빛의 정반사에 의한 상의 퍼짐 정도를 육안으로 판별하였다. 퍼짐 정도가 커서 레이저 포인터의 초점이 보이지 않으면 매우 우수, 초점이 흐릿하게 보이면 우수, 초점이 뚜렷이 시인되나 주변부 퍼짐이 있으면 보통, 주변부 퍼짐 없이 초점이 또렷이 보이면 나쁨으로 평가하였다.The laser pointer (3M, LP-7000) incident on the film at an angle of 45 degrees was visually judged by the degree of spread of the image due to the regular reflection of light. If the focus of the laser pointer is not visible, the laser pointer is very good. If the focus is blurred, the focus is clearly visible. If there is a peripheral spread, the focus is usually poor.

백탁감Whitishness ::

블랙 판넬을 필름 뒷면에 접합한 후에 필름의 백탁감을 육안으로 평가하였다.After bonding the black panel to the back side of the film, the whiteness of the film was visually evaluated.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을 블랙 판넬 접합 전에 육안으로 확인할 때도 뿌옇게 보이는 경우는 나쁨,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을 블랙 판넬 접합 전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경우에 투명해 보이지만 접합 후에 뿌옇게 보이는 경우 보통,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을 블랙 판넬 접합 전에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경우에 투명해 보이며 접합 이후에도 블랙감이 우수하지만, 광산란 입자를 넣지 않은 경우와 백탁감을 비교했을 때 차이가 있을 시에 우수, 차이가 나지 않을 경우에 매우 우수로 평가하였다.Improved Visibility of Laser Pointer Improved visibility of the film even when visually checking the film before black panel bonding Improved visibility of laser pointer Improved visibility of the laser pointer when the film looks transparent after visual observation in front of the black panel, When the film is observed with the naked eye before the black panel bonding, it looks transparent and the black feeling is excellent even after the bonding. However, when the light scattering particles are not added and when the white turbidity is compared, when the difference is good, Respectively.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평가:Laser Pointer Visibility Evaluation: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향상 필름이 부착된 디스플레이 패널 위에 5m떨어진 거리에서, 75도의 각도로 입사한 레이저 포인터 (3M, LP-7000) 불빛에 대해, 패널 정면에서 5m 떨어진 거리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 수준을 평가하였다. Improved visibility of the laser pointer Visibility of the laser pointer visually when viewed from a distance of 5 m from the front of the panel for a laser pointer (3M, LP-7000) incident at an angle of 75 degrees at a distance of 5 m from the display- .

하얀 배경의 패널 위에서 레이저 포인터의 위치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 나쁨, 고정된 불빛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나 움직이는 불빛을 따라가기 어려운 경우 보통, 고정된 불빛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움직이는 불빛도 따라갈 수 있는 경우 우수로 평가하였다. If you can not locate the laser pointer on a panel with a white background, you can see the location of the bad, fixed light, but if it is difficult to follow the moving light, you can usually see the location of the fixed light, The results were evaluated as excellent.

명암비 수준 평가Contrast level evaluation

블랙 픽셀과 화이트 픽셀의 휘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25의 암실 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안정화를 위해 40분 내지 60분간 켜놓은 상태에서 50cm 떨어진 거리에서 패널의 중앙부의 휘도를 측정하고, 하기 식 2에 의해 그 값을 계산하였다. In order to measure the luminance of the black pixel and the white pixel, the luminance of the central part of the panel was measured at a distance of 50 cm from the state of being lit for 40 to 60 minutes in order to stabilize the display panel in the dark room of 25, Values were calculated.

(암실 명암비(CR) = Surface Luminance with all white pixels/ Surface Luminance with all Black pixels)(CR) = Surface Luminance with all white pixels / Surface Luminance with all Black pixels)

[식 2][Formula 2]

B2 / A2B2 / A2

상기 식 2에서, In the above formula 2,

A2는 투명 기재 필름에 대한 암실 명암비 값이고, A2 is a dark room contrast ratio value for a transparent base film,

B2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에 대한 암실 명암비 값이다.B2 is a dark room contrast ratio value for the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상기 측정 및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정리하였다. The measurement and evaluation results are summarized in Table 2 below.

실시예 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투과도 (%)Permeability (%) 84.884.8 82.882.8 93.093.0 84.484.4 헤이즈 (%)Haze (%) 17.817.8 25.725.7 0.30.3 3434 표면 헤이즈 (%)Surface haze (%) 6.16.1 11.711.7 -- 10.710.7 내부 헤이즈 (%)Internal Haze (%) 11.711.7 1414 -- 23.323.3 명암비 수준 (%)Contrast level (%) 0.830.83 0.750.75 1One 0.490.49 정반사 방지Anti-specular 우수Great 우수Great 나쁨Poor 우수Great 백탁감Whitishness 매우 우수Very good 우수Great 매우 우수Very good 나쁨Poor 시인성Visibility 우수Great 우수Great 나쁨Poor 우수Great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비교예의 경우, 표면 요철이 없어서 정반사 방지 기능이 떨어지고, 내부에 광 산란 가능한 입자가 없어서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이 매우 나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eferring to Table 2, in the case of the comparative example, there is no surface irregularity, and the specular reflection preventing function is inferior, and there is no light scattering particles in the inside, so that visibility of the laser pointer is very bad.

특히, 정반사각에 위치한 시인자의 경우, 레이저 포인터에 의해 반사된 빛이 눈으로 바로 입사되어 불쾌한 눈부심을 경험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viewer located at the square of the square, it is confirmed that the light reflected by the laser pointer is directly incident on the eye and can experience unpleasant glare.

또한, 비교예 2에서와 같이, 투과성 입자인 티타니아를 도입한 경우, 레이저 포인터의 시인성 자체는 향상될 수 있으나, 산란되는 필름이 뿌옇게 떠 보여서 백탁감이 크게 저하되는 것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 명암비가 매우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무기 미립자 등을 도입함에 따라, 레이저 포인터 시인성은 크게 개선되지는 않았으나, 표면 요철을 형성하는데 기여하여 레이저 포인터의 정반사에 의한 눈부심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lso, as in Comparative Example 2, when the titania as the transparent particle was introduced, the visibility of the laser pointer itself could be improved, but it was clearly confirmed that the scattered film was floated and the whitishness was greatly lowered. And the contrast ratio was very low. However,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incorporation of the inorganic microparticles improves the visibility of the laser pointer, but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of the surface irregularities, thereby reducing the glare caused by the regular reflection of the laser pointer.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우수한 투과도 값과 레이저 포인터에 대한 우수한 시인성을 보이면서도, 정반사 방지 및 백탁감 등 기존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요구되는 광학적 특성 역시 매우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Howe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been found that optical properties required in conventional display panels, such as anti-reflection and anti-whitening, are also excellent, while exhibiting excellent transparency values and excellent visibility to laser pointers.

또한, 동일 투과도에서 금속가 아닌 다른 입자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였을 때, 명암비 수준이 약 50%포인트 이상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rast ratio level was improved by about 50% or more when compared with the case of using particles other than metal at the same transmittance.

특히, 비교예와 실시예의 투과도 및 헤이즈의 관계를 살펴보면, 비교예 1의 경우, 본 발명에서 정한 투과율의 범위를 벗어나며, 비교예 2의 경우, 투과율은 만족하나 투과율과 내부 헤이즈의 곱이 1967로, 본 발명에서 정한 상한을 벗어나는 것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Particular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mittance and the haze of the comparative example and the example is out of the range of the transmittance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the comparative example 1. In the case of the comparative example 2, the transmittance is satisfactory but the product of the transmittance and the internal haze is 1967, It can clearly be seen that the upper limit set by the present invention is deviated.

Claims (11)

기재; 및 상기 기재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되며, 금속 미립자가 분산된, 수지층을 포함하고;
JIS 7136에 의해 측정된 투과도 값(Tt)이 60 내지 90%이고;
JIS 7316에 의해 측정된 내부 헤이즈 값(Hi) 및 상기 투과도 값(Tt)의 곱이, 200 내지 1500인,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materials; And a resin layer provid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resin layer having metal fine particles dispersed therein;
The transmittance value (Tt) measured by JIS 7136 is 60 to 90%;
Wherein the product of the internal haze value (Hi) and the transmittance value (Tt) measured by JIS 7316 is 200 to 1500,
Visibility improvement film for display pa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은 광경화성 바인더 수지층, 및 점착성 바인더 수지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sin layer comprises at least one of a photocurable binder resin layer and a tacky binder resin lay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미립자는, 수 평균 입경이 0.01 내지 10㎛이고, 530 내지 570nm 에서의 평균 반사율 값이 60% 이상인 금속의 미립자인,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etal fine particles are fine particles of a metal having a number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0.01 to 10 占 퐉 and an average reflectance value at 530 to 570 nm of 60% or mor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알루미늄, 금, 은, 마그네슘, 백금, 구리, 티타늄, 지르코늄, 니켈, 주석, 실리콘, 및 크롬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etal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uminum, gold, silver, magnesium, platinum, copper, titanium, zirconium, nickel, tin, silicon and chromiu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은, 수 평균 입경이 2 내지 10㎛ 인, 유기 미립자 및 무기 산화물 미립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sin layer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f organic fine particles and inorganic oxide fine particles having a number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2 to 10 占 퐉.
제1항에 있어서,
기재; 상기 기재의 상부에 구비되는 수지층; 및 상기 수지층 상부에 형성되는, 반사 방지층 및 방현성 층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기능성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materials; A resin layer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ubstrate; And a functional coating layer formed on the resin layer, the functional coating layer being at least one of an antireflection layer and a light-shielding layer.
제1항에 있어서,
500g 하중에서 HB 이상의 연필 경도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visibility improvement film for a display panel, wherein the pencil hardness is higher than HB at a load of 500 g.
제1항에 있어서,
마찰시험기에 스틸울(steel wool) #0을 장착한 후 200g의 하중으로 10회 왕복시킬 경우에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visibility improvement film for a display panel in which scratches do not occur when a steel wool # 0 is mounted on a friction tester and then reciprocated 10 times by a load of 200 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는 유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alate, PET),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EVA), 사이클릭 올레핀 중합체(cyclic olefin polymer, COP), 사이클릭 올레핀 공중합체(cyclic olefin copolymer, COC),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C),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etherketon, PEEK),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 PEN),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이미드(polyimide, PI), MMA(methyl methacrylate), 불소계 수지, 및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riacetylcellulose, TA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bstrate may be made of glas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ethylene vinyl acetate (EVA), cyclic olefin polymer (COP), cyclic olefin copolymer (COC) (PAC), polycarbonate (PC), polyethylene (PE), polymethylmethacrylate (PMMA), polyetheretherketone (PEEK), polyethylenenaphthalate (PEN), polyetherimide (PEI), polyimide (PI), methyl methacrylate (MMA), fluorocarbon resin, and triacetylcellulose (TAC) A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a display panel.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식 2로 측정되는 명암비가 0.7 이상인,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
[식 2]
B2 / A2
상기 식 2에서,
A2는 투명 기재 필름에 대한 암실 명암비 값이고,
B2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에 대한 암실 명암비 값이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a display panel having a contrast ratio measur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of 0.7 or more:
[Formula 2]
B2 / A2
In the above formula 2,
A2 is a dark room contrast ratio value for a transparent base film,
B2 is a darkroom contrast ratio value for the display panel visibility improving film.
디스플레이 패널 및 제1항의 디스플레이 패널용 시인성 개선 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display panel; and a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claim 1.
KR1020170042186A 2017-03-31 2017-03-31 Visibility improvement film for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2003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186A KR102200307B1 (en) 2017-03-31 2017-03-31 Visibility improvement film for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186A KR102200307B1 (en) 2017-03-31 2017-03-31 Visibility improvement film for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345A true KR20180111345A (en) 2018-10-11
KR102200307B1 KR102200307B1 (en) 2021-01-07

Family

ID=63864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2186A KR102200307B1 (en) 2017-03-31 2017-03-31 Visibility improvement film for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30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502607A (en) * 2017-11-28 2021-01-28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Visibility improvement film for display panels and display devices including them
US20210371695A1 (en) * 2017-11-28 2021-12-02 Lg Chem, Ltd.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8438A (en) * 2006-12-08 2009-08-19 미츠비시 레이온 가부시키가이샤 Lens sheet,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90097807A (en) * 2008-03-11 2009-09-1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Laser pointer visibility improving film, polarizing plate, image display, and laser pointer display method
JP2010085504A (en) * 2008-09-29 2010-04-15 Fujifilm Corp Liquid crystal display
KR20160143670A (en) * 2014-04-14 2016-12-14 고쿠리츠다이가쿠호진 토쿄고교 다이가꾸 Film for transparent screen,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and transparent screen comprising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8438A (en) * 2006-12-08 2009-08-19 미츠비시 레이온 가부시키가이샤 Lens sheet,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90097807A (en) * 2008-03-11 2009-09-16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Laser pointer visibility improving film, polarizing plate, image display, and laser pointer display method
JP2010085504A (en) * 2008-09-29 2010-04-15 Fujifilm Corp Liquid crystal display
KR20160143670A (en) * 2014-04-14 2016-12-14 고쿠리츠다이가쿠호진 토쿄고교 다이가꾸 Film for transparent screen,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and transparent screen comprising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502607A (en) * 2017-11-28 2021-01-28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Visibility improvement film for display panels and display devices including them
US20210371695A1 (en) * 2017-11-28 2021-12-02 Lg Chem, Ltd.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US11639449B2 (en) * 2017-11-28 2023-05-02 Lg Chem, Ltd.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US11833804B2 (en) 2017-11-28 2023-12-05 Lg Chem, Ltd.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0307B1 (en) 202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18782B1 (en) Polarizer protection film,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polarizing plate, and coating composition for polarizer protecting film
KR102200307B1 (en) Visibility improvement film for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JP6869595B2 (en) Visibility improvement film for display panels and display devices including them
KR102097610B1 (en) Visibility improvement film for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CN111386480B (en) Visibility-improving film for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045055B1 (en) Visibility improvement film for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JP7262717B2 (en)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7015618B2 (en) Visibility-improving film for display panels and display devices including them
WO2019066579A1 (en)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WO2019107923A1 (en) Visibility improving film for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WO2019172731A1 (en) Visibility improvement film for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