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0903A - Vehicle controll system and method,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 Google Patents

Vehicle controll system and method,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0903A
KR20180110903A KR1020170040815A KR20170040815A KR20180110903A KR 20180110903 A KR20180110903 A KR 20180110903A KR 1020170040815 A KR1020170040815 A KR 1020170040815A KR 20170040815 A KR20170040815 A KR 20170040815A KR 20180110903 A KR20180110903 A KR 20180110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handle
vehicle
steering wheel
vehicl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08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60912B1 (en
Inventor
서영선
이동희
Original Assignee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0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0912B1/en
Publication of KR20180110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090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9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doors or doors locks, e.g. open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2Selecting between different operative modes, e.g. comfort and performance m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46Adaptations on rotatable parts of the steering wheel for accommodation of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 B62D1/065Steering wheels with heating and ventil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18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 B60W2040/0827Inactivity or incapacity of driver due to sleepi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62Adapting control system settings
    • B60W2050/0063Manual parameter input, manual setting means, manual initialising or calibrating means
    • B60W2050/0064Manual parameter input, manual setting means, manual initialising or calibrating means using a remote, e.g. cordless, transmitter or receiver unit, e.g. remote keypad or mobile ph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4Cruis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2Temperatur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0Driver alarm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control system comprises: a steering wheel having a grip sensor detecting whether a driver grips the steering wheel and a hot wire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steering handle; and a vehicle control device controlling a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or a vehicle function in accordance with a grip on the steering wheel by the driver.

Description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VEHICLE CONTROLL SYSTEM AND METHOD,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0001] VEHICLE CONTROLL SYSTEM AND METHOD,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0002] 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3]

본 발명은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티어링 휠에 포함되는 센서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핸들 감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차량의 운행 상태 및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ontrol system and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control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And a vehicl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s of a vehicle, and a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same.

스티어링 휠은 자동차에 설치되어 조향을 결정하는 것으로, 운전자의 손과 직접 접촉된다. 이때, 상기 스티어링 휠은 온도가 너무 낮을 경우 사용자에게 불편감을 줄 수 있고, 이에 따라 자동차의 조향을 불안정하게 하여 사고가 유발될 수 있다.The steering wheel is installed in the vehicle to determine steering, and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driver's hand. At this time, if the temperature of the steering wheel is too low, the user may feel uncomfortable, thereby making the steering of the vehicle unstable and causing an accident.

이에 따라 스티어링 휠의 온도가 낮아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티어링 휠에 열선을 삽입하고, 상기 열선이 발열됨에 따라 스티어링 휠의 온도를 높일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장치는 운전자가 스위치 전원을 수동으로 온/오프(on/off)하여 상기 열선을 동작시킴으로써, 차량의 운행중에는 운전자의 시선을 분산시켜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운전자가 스위치를 온(on)시킨 후, 차량에서 하차한 경우 스티어링 휠의 온도가 계속적으로 높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temperature of the steering wheel is low, a device has been developed which inserts a heat ray into the steering wheel and increases the temperature of the steering wheel as the heat ray is heated. However, such a device has a problem that the risk of accidents is increased by dispersing the driver's line of sight dur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by operating the hot line by manually turning on / off the switch power source. Further, when the driver gets off the vehicle after turning on the switch, the temperature of the steering wheel may continuously rise.

그리고, 차량을 운행 중에 운전자에게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예컨대, 졸음 운전 또는 신체 이상으로 인한 의식불명 등)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데, 운전자가 파지하는 스티어링 휠(운전대)을 이용하여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driver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for example, in case of drowsy driving or a person is unconscious due to an abnormality in the body), an accident may occur. However, an accident is not generated by using the steering wheel This is a problem that needs to be researched.

한국등록특허 제10-1689092호(2017.01.02 공고)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689092 (published on Mar. 1, 201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스티어링 휠에 포함되는 센서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핸들 감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차량의 운행 상태 및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eering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A control system and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may be realized and attain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particularly pointed out in the appended claim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 제어 시스템은, 운전자의 핸들 파지 여부를 감지하는 파지 센서 및 핸들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열선을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 및 상기 운전자의 핸들 파지 여부에 따라 차량의 운행 상태를 제어하거나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control system including: a steering wheel including a grip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a driver grasps a handle and a hot line for raising a temperature of the handle; And a vehicl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driver grasps the steering wheel.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미리 설정된 제 1 임계시간 이내에 상기 핸들 파지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운전자에게 사고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기 위한 경고를 송출하며, 상기 차량 제어 장치가 상기 경고를 송출한 후, 미리 설정된 제 2 임계시간 이내에 핸들 파지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의 주행 모드를 자율 주행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Wherein the vehicle control device sends a warning to the driver to alert a driver of an accident when the handle grip is not detected within a predetermined first threshold time,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can change the running mode of the vehicle to the autonomous running mode if the handle gripping is not detected within the set second threshold time.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운전자의 의해 자율 주행 모드가 선택되어 차량이 주행 중에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운전자의 핸들 파지 여부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운전자에게 경고를 송출한 후, 차량의 주행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can change the traveling mode of the vehicle after issuing a warning to the driver when the autonomous mode is selected by the driver and the driver does not sense whether or not the driver grasps the handle within a preset time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핸들 파지가 감지되면, 상기 열선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핸들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may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handle by activating the operation of the hot wire when the handle grip is detected.

상기 파지 센서 및 열선은 상기 운전자가 파지할 수 있는 일정 영역에 다수 개의 블록 형태로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스티어링 휠의 전체 핸들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설치된 파지 센서로부터 핸들 파지 여부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핸들 파지 여부가 감지된 영역의 열선만 활성화시켜 핸들의 온도를 부분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The grip sensor and the hot wire may be separately installed in a plurality of blocks in a predetermined area that the driver can grasp, and the vehicle control device may include a grip sensor installed in any one of the entire handle areas of the steering wheel, It is possible to partially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handle by activating only the hot line of the area in which the handle grip is detected.

상기 파지 센서 및 열선은 상기 운전자가 파지할 수 있는 일정 영역에 다수 개의 블록 형태로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운전자의 파지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에 의해 파지되는 빈도수가 높은 핸들의 일정 영역에 포함되는 열선만을 활성화시켜 미리 설정된 온도까지 핸들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상기 운전자에 의해 파지되는 빈도수가 높은 핸들의 일정 영역을 제외한 핸들의 영역은 열선을 비활성화하거나 열선을 활성화하되 운전자가 미열만 감지할 수 있도록 핸들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The gripping sensor and the hot wire may be separately installed in a plurality of blocks in a predetermined area that the driver can grasp. The vehicle control device may further include: The temperature of the handle is rais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y activating only the hot line included in a certain region of the handle having a high frequency to be gripped and the area of the handle excluding the certain region of the handle held by the driver is deactivated It is possible to activate the hot line but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handle so that the driver can only detect the low heat.

상기 스티어링 휠의 일측에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해 활성화되는 차량의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리모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모컨부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이내에 연속으로 터치하거나 또는 위, 아래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에 의해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다. The steering wheel may further include a remote control unit for operating a function of a vehicle activated by a touch operation of a user, wherein the remot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continuously touch or drag the steering wheel in up and down direction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function can be activated by operation.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졸음방지 모드가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졸음방지 모드가 수행되는 경우, 주기적으로 핸들의 파지 여부 및 특정영역의 터치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핸들의 파지 여부 및 특정영역의 터치가 감지되지 않으면, 경고를 송출할 수 있다. When the drowsiness prevention mode is performed, the vehicle control device monitors whether the handle is grasped periodically and whether or not the specific area is touched, and determines whether the handle is grasped or not within a predetermined time, If a touch of the area is not detected, a warning can be issu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운전자의 핸들 파지 여부를 감지하는 파지 센서 및 핸들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열선을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에서의 차량 제어 방법은, 차량 제어 장치가, 상기 운전자의 핸들 파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차량 제어 장치가, 상기 운전자의 핸들 파지 여부에 따라 차량의 운행 상태를 제어하거나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control method in a vehicle control system including a gripping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a driver grasps a handle and a steering wheel including a heat line for raising a temperature of the handle, A step in which the vehicle control device detects whether or not the driver grasps the handle; And controlling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or the functio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driver grasps the handle.

상기 상기 운전자의 핸들 파지 여부에 따라 차량의 운행 상태를 제어하거나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미리 설정된 제 1 임계시간 이내에 상기 핸들 파지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운전자에게 사고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기 위한 경고를 송출하며, 상기 차량 제어 장치가 상기 경고를 송출한 후, 미리 설정된 제 2 임계시간 이내에 핸들 파지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의 주행 모드를 자율 주행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In the step of controlling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driver grasps the steering wheel, the vehicle control device may cause the driver to recognize the steering angle of the driver when the steering wheel is not detected within the first threshold time When the vehicle control device fails to sense the steering wheel grip within a second predetermined threshold time after the warning is issued, the vehicle control device determines that the vehicle is in a traveling mode of the vehicle To the self-running mode.

상기 상기 운전자의 핸들 파지 여부에 따라 차량의 운행 상태를 제어하거나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핸들 파지가 감지되면, 상기 열선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핸들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whether the driver grasps the steering wheel or controls the function of the vehicle when the driver grasps the steering wheel, .

상기 파지 센서 및 열선은 상기 운전자가 파지할 수 있는 일정 영역에 다수 개의 블록 형태로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상기 운전자의 핸들 파지 여부에 따라 차량의 운행 상태를 제어하거나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스티어링 휠의 전체 핸들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설치된 파지 센서에 의해 핸들 파지 여부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핸들 파지 여부가 감지된 영역의 열선만 활성화시켜 핸들의 온도를 부분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The grip sensor and the hot wire may be separately installed in a plurality of blocks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driver's grip and may control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or the function of the vehicle depending on whether the driver grasps the handle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activates only the hot line of the area in which the steering wheel is grasped or not when the steering wheel is grasped by the grasping sensor provided in any one of the entire steering wheel steering wheel areas, The temperature can be partially increased.

상기 파지 센서 및 열선은 상기 운전자가 파지할 수 있는 일정 영역에 다수 개의 블록 형태로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상기 운전자의 핸들 파지 여부에 따라 차량의 운행 상태를 제어하거나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운전자의 파지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에 의해 파지되는 빈도수가 높은 핸들의 일정 영역에 포함되는 열선만을 활성화시켜 미리 설정된 온도까지 핸들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상기 운전자에 의해 파지되는 빈도수가 높은 핸들의 일정 영역을 제외한 핸들의 영역은 열선을 비활성화하거나 열선을 활성화하되 운전자가 미열만 감지할 수 있도록 핸들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The grip sensor and the hot wire may be separately installed in a plurality of blocks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driver's grip and may control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or the function of the vehicle depending on whether the driver grasps the handle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activates only a hot line included in a certain region of the steering wheel held by the driver using the driver's grip area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in the database to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steering wheel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handle region except for a certain region of the handle gripped by the driver may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handle so that the driver can deactivate the hot line or activate the hot line but the driver can only detect the low hea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기록 매체는, 차량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for perform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스티어링 휠의 파지 여부를 감지하고, 운전자에 의해 스티어링 휠이 파지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차량의 기능 중 하나인 열선을 제어하여 운전자가 수동으로 스위치를 켜고 끄는 수고로움을 덜어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운전에만 집중할 수 있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steering wheel is grasped, and when the driver senses that the steering wheel is grasped, the driver controls the heat line, which is one of the functions of the vehicle, . Accordingly, the driver can concentrate on driving only, thereby preventing an accident from occurring.

또한, 운전자에 의해 스티어링 휠이 파지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운전자의 상태에 따라 경고를 송출하거나 또는 주행모드를 자율 주행 모드로 변경함으로써 운전자의 이상에 따른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steering wheel is not grasped by the driver, a warning is sent according to the driver's state, or the driving mode is changed to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hereby preventing an accident caused by the driver's abnormality have.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들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 센서 및 열선이 설치된 스티어링 휠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지 센서 및 열선이 설치된 스티어링 휠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부가 포함된 스티어링 휠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And shall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matters described.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hicl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eering wheel equipped with a gripping sensor and a heat w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teering wheel equipped with a gripping sensor and a heat wi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teering wheel including a remot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ehicl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showing a vehicl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ehicl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There will b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ddition, the term "Quot; and " part "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 센서 및 열선이 설치된 스티어링 휠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지 센서 및 열선이 설치된 스티어링 휠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부가 포함된 스티어링 휠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vehicl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teering wheel equipped with a grip sensor and a heat w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teering wheel including a remot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teering wheel including a remot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시스템은 스티어링 휠(110) 및 차량 제어 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차량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vehicl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steering wheel 110 and a vehicle control device 130, and may be provided inside the vehicle.

스티어링 휠(110)은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바퀴의 방향을 조정하여 차량의 운행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핸들을 포함하는 운전대일 수 있다. The steering wheel 110 can adjust the direction of the wheels by the operation of the driver to set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may be a driving unit including a steering wheel.

상기 스티어링 휠(110)은 파지 센서(111) 및 열선(1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파지 센서(111)는 운전자의 핸들 파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파지 센서(111)는, 스티어링 휠(110)에 포함된 핸들을 운전자의 손이 감싸 접촉되는 경우 운전자가 핸들을 파지한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파지 센서(111)는 운전자의 핸들 파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 압력 센서, 압전 센서 및 촉각 센서(접촉 센서) 등일 수 있다. 한편, 열선(113)은 핸들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열선(113)은, 겨울철과 같이 온도가 낮은 경우 운전자가 핸들을 파지하였을 때, 운전자가 온도 저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불쾌감을 방지하기 위해, 핸들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선(113)은, 겨울철과 같이 온도가 낮은 경우, 핸들의 온도를 상승시켜 운전자가 핸들을 파지하지 않거나, 잘못된 핸들의 파지에 따라 조향을 불안정하게 하여 발생할 수 있는 차량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열선(113)은 후술하는 차량 제어 장치(130)에 의해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의 온도까지 핸들의 온도가 상승되도록 발열량이 제어될 수 있다. The steering wheel 110 may include a grip sensor 111 and a heat wire 113. At this time, the grip sensor 111 can detect whether or not the driver grasps the handle. The grip sensor 111 may recognize that the driver grips the handle when the driver's hand is wrapped around the handle included in the steering wheel 110. [ The grip sensor 111 is a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driver grasps the handle, and may be a pressure sensor, a piezoelectric sensor, a tactile sensor (contact sensor), or the like. On the other hand, the heat line 113 may be configured to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handle. When the driver grasps the handle when the temperature is low as in the winter, the heat ray 113 can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handle in order to prevent the driver from feeling uncomfortable due to the temperature drop. In addition, when the temperature is low as in winter, the heat line 113 raises the temperature of the steering wheel so that the driver does not grip the steering wheel, or the steering is unstable due to the grip of the wrong steering wheel, . The heating value can be controlled by the vehicle control device 13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steering wheel 113 is raised to a temperatur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한편, 상기 파지 센서(111) 및 열선(113)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의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3을 설명함에 있어서, 그 구분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파지 센서(111)는 점선으로 표시하고, 열선(113)은 실선으로 표시하였다.Meanwhile, the grip sensor 111 and the heat wire 113 may be included inside the handle as shown in FIGS. 2 to 3, the grip sensor 111 is indicated by a dotted line and the heat line 113 is indicated by a solid line in order to clarify the distinction.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파지 센서(111) 및 열선(113)은 스티어링 휠(110)의 핸들 내부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으면, 파지 센서(111) 및 열선(11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110)의 핸들 내부에 전체적으로 형성되되, 일부 영역별로 구분되어 다수 개의 블록(E)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파지 센서(111) 및 열선(113)은 운전자가 파지할 수 있는 일정 영역에 다수 개의 블록(E) 형태로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일부 영역별로 구분되어 다수 개의 블록 형태로 설치되는 파지 센서(111) 및 열선(113)은 이에 한하지 않으며, 사용자에 의해 임의적인 개수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지 센서(111) 및 열선(113)은 운전자가 파지할 수 있는 일정 영역에 다수 개의 블록(E) 형태로 분리되어 설치되는 경우, 같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파지 센서(111)가 특정 영역에서 운전자의 핸들 파지를 감지하는 경우, 파지된 영역의 열선(113)만을 동작시켜 해당 부위의 핸들만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즉, 파지 센서(111)가 특정 영역에서 운전자의 핸들 파지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특정 영역의 핸들만 온도가 상승할 수 있도록, 열선(113)은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grip sensor 111 and the heat wire 113 may be formed entirely inside the handle of the steering wheel 110. 3, the grip sensor 111 and the heat wire 113 are integrally formed in the handle of the steering wheel 110. The grip sensor 111 and the heat wire 113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blocks E, . ≪ / RTI > In other words, the grip sensor 111 and the heat wire 113 may be separately installed in a plurality of blocks E in a predetermined region that the driver can grasp. Meanwhile, the grip sensor 111 and the hot wire 113, which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blocks and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are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set to any arbitrary number by the user.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grip sensor 111 and the heat ray 113 are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when they are separately installed in a plurality of blocks E in a predetermined area that the driver can grasp. Accordingly, when the grip sensor 111 senses the handle grip of the driver in a specific area, only the hot line 113 of the grip area can be operated to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handle only. That is, when the gripping sensor 111 senses the handle grip of the driver in a specific area, the heat line 113 can be individually controlled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handle of the specific area can be raised.

차량 제어 장치(130)는 운전자의 핸들 파지 여부에 따라 차량의 운행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차량 제어 장치(130)는 운전자의 핸들 파지 여부에 따라 차량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운전자의 핸들 파지 여부는, 상기 스티어링 휠(110)의 내부에 설치된 파지 센서(111)로부터 수신되는 입력 신호를 통해 판단할 수 있다. 차량 제어 장치(130)는 미리 설정된 임계시간 이내에 핸들 파지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운전자에게 사고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기 위해 경고를 송출할 수 있다. 이때, 경고는 경고음, 진동 등과 같이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는 것이면 관계없다. 경고음은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송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고음은 "핸들을 파지하십시오"와 같은 메시지 및/또는 싸이렌과 같은 알람음일 수 있다. 예컨대, 차량 제어 장치(130)는 사전에 제 1 임계시간(예컨대, 5초)을 설정해두고, 상기 제 1 임계시간(예컨대, 5초)이 초과하였음에도 운전자의 핸들 파지 여부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운전자에게 이상이 있다고 판단(예컨대, 졸음운전 등)하고, 경각심을 일깨우기 위해 경고를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제어 장치(130)는 상기 경고를 송출함과 동시에 주변 차량에게도 차량의 운전자가 이상이 있음을 알려 방어운전을 할 수 있도록, 헤드라이트의 깜빡임 등과 같은 경고 신호를 송출할 수도 있다. The vehicle control device 130 can control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driver grasps the handle. The vehicle control device 130 can control the functio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driver grasps the handle.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whether or not the driver grasps the steering wheel can be determined based on an input signal received from the grasping sensor 111 installed inside the steering wheel 110. [ The vehicle control device 130 may send a warning to the driver to alert the driver of an accident when the handle grip is not detected within a preset threshold time. At this time, the warning may be anything that the driver can recognize such as a warning sound or vibration. The warning sound can be transmitted through a speaker (not shown)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At this time, the warning sound may be a message such as "Hold handle" and / or an alarm sound such as a siren. For example, if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30 has previously set the first threshold time (e.g., 5 seconds) and fails to detect whether the driver has grasped the steering wheel even though the first threshold time (e.g., 5 seconds) The driver may be judged to have an abnormality (for example, sleeping driving, etc.), and a warning may be issued to awaken the alert. In addition, the vehicle control device 130 may send a warning signal, such as flickering of a headlight, to the surrounding vehicle so that the driver of the vehicle may know that there is an abnormality and perform a defense operation.

상기 차량 제어 장치(130)는 상기 경고를 송출한 후, 미리 설정된 임계시간 이내에 핸들 파지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 제어 장치(130)는 사전에 제 2 임계시간(예컨대, 3초)을 설정해두고, 상기 제 2 임계시간(예컨대, 3초)이 초과하였음에도 운전자의 핸들 파지 여부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운전자에게 이상이 있다고 판단(예컨대, 의식 불명 등)하고,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량 제어 장치(130)는 차량의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제어 장치(130)는 차량의 속도를 감속시킴과 동시에 차량의 주행 모드를 자율 주행 모드로 변경하여 차량이 자동으로 주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차량 제어 장치(130)는 상기 자율 주행 모드로 변경되어 차량이 주행 중에 운전자의 핸들 파지 여부를 감지하는 경우, 사용자 주행 모드로 변경할 수도 있다.The vehicle control device 130 can control the vehicle when the steering wheel is not detected within a preset threshold time after the warning is transmitted. For example, if the vehicle control device 130 has previously set a second threshold time (e.g., 3 seconds) and fails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driver has grasped the handle even though the second threshold time (e.g., 3 seconds) The driver is judged to be abnormal (for example, unconscious), and the vehicle can be controlled. At this time, the vehicle control device 130 may decelerate the vehicle speed. Also, the vehicle control device 130 may reduce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change the running mode of the vehicle to the autonomous running mode so that the vehicle automatically runs. On the other hand, whe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30 is changed to the autonomous mode and detects whether the driver grasps the steering wheel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30 may change to the user running mode.

또한, 차량 제어 장치(130)는 운전자에 의해 자율 주행 모드가 선택되고 자율 주행 모드로 차량이 주행 중,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운전자의 핸들 파지 여부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운전자에게 경고를 송출할 수도 있다. 차량 제어 장치(130)는 상기 경고를 송출 후, 차량의 주행 모드를 변경하거나, 자율 주행 모드를 오프(OFF)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변경된 차량의 주행 모드는 크루즈 모드일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차량 제어 장치(130)는 상기 자율 주행 모드로 변경되어 차량이 주행 중에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핸들 파지가 감지 되지 않을 경우, 운전자의 상태를 환기시키기 위해 경고를 송출 후, 차량의 주행 모드를 변경하거나, 자율 주행 모드를 오프(OFF)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처럼 차량 제어 장치(130)는, 자율 주행 모드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운전자에게 경고를 송출하고 주행 모드를 변경하는 이유는, 운전자는 차량이 자율 주행 중에 있더라도 도로의 주행 상태를 상시 인지하여 사고나 차량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이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In addition, the vehicle control device 130 may send a warning to the driver when the driver is not able to sense whether or not the driver grasps the steering wheel within a preset time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in the autonomous driving mode selected by the driver . The vehicle control device 130 can change the running mode of the vehicle or switch the autonomous running mode to OFF after sending the warning. At this time, the traveling mode of the changed vehicle may be a cruise mode. More specifically, whe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30 is changed to the autonomous running mode and the grip of the steering wheel is not detected within a preset time while the vehicle is traveling,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30 sends an alarm to ventilate the driver's condition, Or to switch the autonomous drive mode to the OFF state. The reason why the vehicle control device 130 transmits a warning to the driver and changes the traveling mode as described above in the autonomous traveling mode state is that the driver constantly recognizes the traveling state of the road even when the vehicle is in autonomous traveling, If a problem occurs in the vehicle, it must be able to cope with it.

한편, 차량 제어 장치(130)는 핸들 파지가 감지되면, 열선(113)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핸들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차량 제어 장치(130)는 미리 설정된 온도까지만 핸들의 온도가 상승하도록 열선(113)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제어 장치(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파지가 감지되는 경우, 열선(113)을 동작시켜 핸들 전체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 센서(111) 및 열선(113)이 운전자가 파지할 수 있는 일정 영역에 다수 개의 블록(E) 형태로 분리되어 설치되는 경우, 운전자가 파지하는 핸들의 일정 영역에만 열선(113)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즉, 차량 제어 장치(130)는, 스티어링 휠(110)의 전체 핸들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설치된 파지 센서(111)로부터 핸들 파지 여부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핸들 파지 여부가 감지된 영역의 열선(113)만 활성화시켜 해당하는 핸들 영역의 온도만을 부분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teering wheel is grasped, the vehicle control device 130 can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steering wheel by activating the operation of the heat ray 113. The vehicle control device 130 can control the heating wire 113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steering wheel rises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nly.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2, when the handle grip is detected, the vehicle control device 130 can operate the heat line 113 to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entire handle. On the other hand, when the grip sensor 111 and the heat wire 113 are separately installed in a plurality of blocks E in a certain region that the driver can grasp as shown in FIG. 3,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temperature by activating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line 113 only in the region. That is, in the case where the vehicle control device 130 detects whether or not the steering wheel 110 is grasped by the grasping sensor 111 provided in any one of the entire steering wheel 110, Only the temperature of the corresponding handle region can be partially raised by activating only the handle region 113.

또한, 차량 제어 장치(130)는 사전에 데이터베이스에 운전자의 파지 영역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제어 장치(130)는, 주기적으로 운전자의 파지 영역을 분석하고, 분석된 파지 영역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파지 영역 정보는 사용자의 파지 빈도수가 높은 영역 및 그 이외의 영역으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차량 제어 장치(130)는 상기 운전자의 파지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에 의해 파지되는 빈도수가 높은 핸들의 일정 영역에 포함되는 열선(113)만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때, 차량 제어 장치(130)는 미리 설정된 온도까지만 핸들의 온도가 상승하도록 열선(113)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차량 제어 장치(130)는 상기 운전자에 의해 파지되는 빈도수가 높은 핸들의 일정 영역을 제외한 핸들의 영역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제어 장치(130)는 상기 운전자에 의해 파지되는 빈도수가 높은 핸들의 일정 영역을 제외한 핸들의 영역에는 운전자가 미열만 감지할 수 있도록 핸들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때, 핸들의 온도를 상승시키거나 운전자가 미열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차량 제어 장치(130)가 해당 영역의 열선(113)의 발열량을 부분적으로 제어함에 따라 가능할 수 있다. Further, the vehicle control device 130 may store the driver's grip area information in advance in the database. The vehicle control device 130 may periodically analyze the driver's grip area and store the analyzed grip area information in a database. At this time, the fingerprint area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can be classified and stored in a region where the user has a high number of fingerprints and other regions. At this time, the vehicle control device 130 can activate only the hot line 113 included in a certain region of the steering wheel held by the driver using the driver's grip area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vehicle control device 130 can control the heat line 113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steering wheel rises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nly. On the other hand, the vehicle control device 130 may deactivate the area of the handle except for a certain area of the handle that is frequently held by the driver. In addition, the vehicle control device 130 may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handle so that the driver can only detect a slight heat in the area of the handle except for a certain area of the handle, which is frequently held by the driver. At this time,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handle or allowing the driver to detect only the low heat may be possible by the vehicle controller 130 partially controlling the heating value of the heat ray 113 in the corresponding area.

또한, 차량 제어 장치(130)는 운전자의 입력에 따라 졸음방지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졸음방지 모드는 운전자가 별도의 버튼(졸음방지 버튼)을 누르는 경우 활성화되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졸음방지 모드는, 상술한 버튼 이외에 미리구비된 센서를 통해 운전자로부터 미리 설정된 동작(예컨대, 문지름 및/또는 특정 터치입력 등)을 입력받는 경우 활성화되어 수행될 수도 있다. 차량 제어 장치(130)는 졸음방지 모드가 수행되는 경우, 주기적으로 핸들의 파지 여부 및 졸음방지를 위해 설정된 특정영역의 터치 여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때, 특정영역은 사전에 미리 설정되어 지정될 수 있다. 또한, 특정영역은 운전자가 핸들을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 또는 검지로 터치 가능한 영역일 수 있다. 차량 제어 장치(130)는 주기적으로 핸들의 파지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핸들의 파지 여부가 감지되지 않으면, 경고를 송출하여 운전자의 졸음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차량 제어 장치(130)는 주기적으로 핸들의 파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특정영역에 터치가 감지되지 않으면, 경고를 송출할 수 있다. 반면, 차량 제어 장치(130)는 주기적으로 핸들 파지 여부 및/또는 졸음방지를 위해 설정된 특정영역의 터치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핸들 파지 여부 및/또는 특정영역의 터치가 감지되면, 운전자가 정상적인 상태(졸음 운전 상태가 아님)로 차량을 운전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제어 장치(130)는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핸들의 파지 여부가 감지되더라도, 특정영역의 터치가 감지되지 않으면, 운전자가 졸음 상태에 있다고 판단하여 경고를 송출할 수도 있다. 이때, 차량 제어 장치(130)는 상기 핸들의 파지 여부가 감지된 시점 및/또는 특정영역의 터치가 감지된 시점으로부터 다시 재카운트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핸들 파지 여부 및/또는 특정영역의 터치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Also, the vehicle control device 130 may perform the sleepiness prevention mode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driver. The drowsiness prevention mode can be activated and activated when the driver presses another button (drowsiness prevention button). In addition, the sleepiness prevention mode may be activated and activated when a preset operation (e.g., rubbing and / or specific touch input) is input from a driver through a sensor provided in advanc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button. When the drowsiness prevention mode is performed, the vehicle control device 130 may monitor whether or not the specific area set for preventing gripping of the handle and drowsiness is periodically checked. At this time, the specific area can be preset and designated in advance. In addition, the specific area may be an area which can be touched with the thumb or index finger while the driver grasps the handle. The vehicle control device 130 periodically monitors whether or not the steering wheel is grasped, and if the grasping of the steering wheel is not detec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vehicle control device 130 can send an alarm to prevent an accident caused by the driver's sleepiness. More specifically, the vehicle control device 130 periodically monitors whether or not the handle is grasped, and can issue a warning if a touch is not detected in the specific area. On the other hand, the vehicle control device 130 periodically monitors whether or not the specific area set for the handle grip and / or drowsiness prevention is monitored, and if the handle grip and / or the touch of the specific area is detected within a preset time, (Not in the drowsy driving state) in the normal driving state. In addition, the vehicle controller 130 may determine that the driver is in a drowsy state and transmit a warning if the touch of the specific area is not detected even if the grip of the handle is detected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t this time, the vehicle controller 130 re-counts from the time when the grip of the handle is sensed and / or the time when the touch of the specific area is sensed, and whether or not the handle is grasped and / Can be monitored.

한편, 상기 스티어링 휠(110)은 차량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리모컨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리모컨부는, 볼륨의 크기 조절 버튼, 블루투스 연결된 핸드폰의 통화 연결 및 종료 버튼, 라디오 주파수 설정 버튼 등과 같이 차량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편의와 관련한 다양한 기능들을 조작할 수 있는 터치 형상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리모컨부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의 형태로 스티어링 휠(11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모컨부는 스티어링 휠(110)의 일측에 설치되되, 운전자가 핸들을 파지하였을 경우, 핸들이 파지된 상태에서 터치될 수 있는 영역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리모컨부는 운전자가 핸들을 파지하였을 경우, 핸들이 파지된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에 의해 터치될 수 있는 영역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모컨부는, 도 4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핸들을 파지하였을 경우, 핸들이 파지된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에 의해 터치될 수 있는 다양한 영역(A, B, C)에 설치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으며, 도 4에 도시된 영역 이외에도, 운전자가 핸들을 파지하였을 경우, 핸들이 파지된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에 의해 터치될 수 있는 영역이라면 어느 곳이든 관계없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핸들을 파지한 상태에서 안전하게 주행하면서, 엄지 손가락을 통해 리모컨부를 터치하여 차량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리모컨부는 초기에는 비활성화되어 있다가, 운전자의 특정 동작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리모컨부는 운전자가 리모컨부의 터치 패널을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이내에 두번 연속으로 터치하는 동작 및/또는 리모컨부를 상부에서 하부 또는 좌에서 우로 드래그하는 동작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하지만, 리모컨부를 활성화하기 위한 운전자의 특정 동작은 이에 한하지 않으며,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다양한 동작 방법이 선택되어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부는, 운전자가 핸들을 파지하였을 경우, 엄지 손가락만 움직여 만질 수 있는 영역에 설치됨에 따라, 운전자의 시야 이동 및 버튼 조작 등에 따른 사고 발생의 위험 요소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부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로 형성하여 미리 정의된 사용자 동작을 입력하는 경우에만 활성화되므로, 운전자가 핸들을 조작함에 있어서 실수로 돌출된 리모컨 버튼을 누름에 따라 발생하는 기능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예컨대, 종래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차량의 일부 기능을 차량 핸들의 일측에 돌출된 형식의 버튼으로 구비하였음).The steering wheel 110 may further include a remote control unit (not shown) that can control the function of the vehicle. For example, the remote control unit may include a touch-type button that can operate various functions related to the user's convenience provided by the vehicle, such as a volume adjustment button, a call connection and termination button of a Bluetooth-connected mobile phone, a radio frequency setting button, . At this time, the remot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teering wheel 110 in the form of a touch panel including a touch sensor. The remote control unit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teering wheel 110, and may be installed in an area where the steering wheel 110 can be touched when the driver grasps the steering wheel. More specifically, the remote control unit is preferably installed in an area where the handle can be touched by the thumb when the driver grasps the handle. 4A to 4C, when the driver grasps the handle, the remote control unit displays various areas A, B, and C that can be touched by the thumb in a gripped state of the handle,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n addition to the area shown in Fig. 4, it is irrelevant if the driver grips the handle and the handle can be touched by the thumb in the grip state. Accordingly, the driver can safely run while gripping the handle, and can control the function of the vehicle by touching the remote control unit through the thumb. At this time, the remote control unit is initially inactivated and can be activated by a specific operation of the driver. For example, the remote control unit may be activated by an operator touching the touch panel of the remote control unit twic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and / or by dragging the remote control unit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or from left to right. However, the specific operation of the driver for activating the remote control un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operation methods can be selected and used depending on the setting of the user. When the driver grasps the handle, the remot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in an area where only the thumb can be moved and touched, thereby reducing the risk factor of the accident due to the driver's visual field movement, . In addition, since the remote controll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of a touch panel including a touch sensor and is activated only when a predefined user action is input, when the driver accidentally presses the remote control button protruded (For example, conventionally, some functions of the vehicle are provided as buttons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handle for convenience of the user).

또한, 상기 스티어링 휠(110)은 손 온도 감지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손 온도 감지 센서는, 운전자가 핸들을 파지하는 경우 상기 운전자의 손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차량 제어 장치(130)는, 상기 온도 감지 센서가 측정한 운전자의 손 온도에 따라 열선(113)의 발열량을 제어하여 핸들의 온도를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에서 상승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상승시킬 수 있는 미리 설정된 범위는 온도 감지 센서가 측정한 운전자의 손 온도에서 3도 이내일 수 있다. 예컨대, 차량 제어 장치(130)는, 상기 손 온도 감지 센서가 측정한 운전자의 손 온도가 25도인 경우, 열선(113)의 발열량을 제어하여 핸들의 온도가 28도까지만 상승되도록 열선(113)의 발열량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eering wheel 110 may further include a hand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At this time, the hand temperature sensor can measure the hand temperature of the driver when the driver grasps the handle. At this time, the vehicle control device 130 may control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y the heat ray 113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driver's hand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thereby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handl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range that can be raised may be within 3 degrees of the temperature of the driver's hand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For example, when the driver's hand temperature measured by the hand temperature sensor is 25 degrees, the vehicle control device 130 controls the heating amount of the heating wire 113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heating wire 113 is raised to 28 degrees The calorific value can be controlled.

이하, 도 5 및 도 6을 통해 상술한 차량 제어 시스템에서의 차량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vehicle control method in the vehicle control system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ehicl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스티어링 휠(110)에 포함되는 파지 센서(111) 및 열선(11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110)의 핸들 내부에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2, it is assumed that the grip sensor 111 and the heat wire 113 included in the steering wheel 110 are formed entirely inside the handle of the steering wheel 110 do.

도 5를 참조하면, 차량 제어 장치(130)는 운전자의 핸들 파지 여부를 감지한다(S510).Referring to FIG. 5, the vehicle control device 130 detects whether the driver grasps a handle (S510).

차량 제어 장치(130)는 상기 운전자의 핸들 파지 여부에 따라 차량의 운행 상태를 제어하거나 차량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S530).The vehicle control device 130 may control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or the functio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whether the driver grasps the handle (S530).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ehicl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스티어링 휠(110)에 포함되는 파지 센서(111) 및 열선(11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110)의 핸들 내부에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2, it is assumed that the grip sensor 111 and the heat wire 113 included in the steering wheel 110 are formed entirely inside the handle of the steering wheel 110 do.

도 6을 참조하면, 차량 제어 장치(130)는 운전자의 핸들 파지 여부를 감지한다(S610).Referring to FIG. 6, the vehicle control device 130 detects whether the driver grasps the handle (S610).

차량 제어 장치(130)는 상기 운전자의 핸들 파지 여부 감지 결과, 미리 설정된 제 1 임계시간 이내에 핸들 파지가 감지되는 경우, 열선(113)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핸들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S620)(S630).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grasps the handle within a predetermined first threshold time as a result of the driver's grasping of the handle,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130 may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handle by activating the operation of the heat ray 113 (S620) (S630).

차량 제어 장치(130)는 상기 운전자의 핸들 파지 여부 감지 결과, 미리 설정된 제 1 임계시간 이내에 핸들 파지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운전자에게 사고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기 위한 경고를 송출할 수 있다(S620)(S640).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teering wheel is not grasped within a predetermined first threshold time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of the steering wheel grasp by the driver, the vehicle control device 130 may send a warning to the driver to alert the driver of an accident (S620) (S640).

차량 제어 장치(130)는 상기 경고를 송출한 후, 미리 설정된 제 2 임계시간 이내에 핸들 파지를 감지하는 경우, 열선(113)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핸들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으며 반면, 상기 미리 설정된 제 2 임계시간 이내에 핸들 파지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차량의 속도를 감속시키고, 차량의 주행 모드를 자율 주행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S650)(S660).When the vehicle control device 130 senses the steering wheel grip within a second predetermined threshold time after sending the warning, the vehicle control device 130 can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steering wheel by activating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line 113, If the steering wheel is not detected within the second threshold time, the vehicle speed may be reduced and the driving mode of the vehicle may be changed to the autonomous driving mode (S650) (S660).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ehicl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스티어링 휠(110)에 포함되는 파지 센서(111) 및 열선(11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110)의 핸들 내부에 전체적으로 형성되되, 일부 영역별로 구분되어 다수 개의 블록 형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다시 말해, 상기 파지 센서(111) 및 열선(113)은 운전자가 파지할 수 있는 일정 영역에 다수 개의 블록 형태로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지 센서(111) 및 열선(113)은 운전자가 파지할 수 있는 일정 영역에 다수 개의 블록 형태로 분리되어 설치되는 경우, 같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3, the grip sensor 111 and the heat wire 113 included in the steering wheel 110 are formed entirely inside the handle of the steering wheel 110, And i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blocks. In other words, the grip sensor 111 and the heat ray 113 may be separately installed in a plurality of blocks in a predetermined area that the driver can grasp. At this time, the grip sensor 111 and the heat ray 113 are preferably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when they are separately provided in a plurality of blocks in a predetermined region that the driver can grasp.

도 7을 참조하면, 차량 제어 장치(130)는 운전자의 핸들 파지 여부를 감지한다(S710).Referring to FIG. 7, the vehicle control device 130 detects whether or not the driver grasps the handle (S710).

차량 제어 장치(130)는 상기 운전자의 핸들 파지 여부 감지 결과, 스티어링 휠(110)의 전체 핸들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설치된 파지 센서(111)에 의해 핸들 파지 여부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핸들 파지 여부가 감지된 영역의 열선(113)만 활성화시켜 핸들의 온도를 부분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S720)(S730). 다시 말해, 차량 제어 장치(130)는 상기 운전자의 핸들 파지 여부 감지 결과, 미리 설정된 제 1 임계시간 이내에 부분적인 핸들 파지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부분적으로 핸들 파지가 감지된 영역에 포함되는 열선(113)만 활성화시켜 핸들의 온도를 부분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When it is detected by the grip sensor 111 installed in any one of the entire handle areas of the steering wheel 110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of whether or not the driver grips the handle, It is possible to partially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handle by activating only the hot line 113 of the sensed area (S720) (S730). In other words, when the partial control of the steering wheel is detected within the first threshold time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of whether or not the driver grasps the steering wheel, the vehicle control device 130 detects the partial steering wheel 113 ) Can be activated to partially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handle.

차량 제어 장치(130)는 상기 운전자의 핸들 파지 여부 감지 결과, 스티어링 휠(110)의 전체 핸들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설치된 파지 센서(111)에 의해 핸들 파지 여부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운전자에게 사고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기 위한 경고를 송출할 수 있다(S720)(S74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teering wheel is not grasped by the grasping sensor 111 installed in any one of the entire handle regions of the steering wheel 110 as a result of the driver's grasping of the handle, A warning can be sent to awaken the awareness about the accident (S720) (S740).

차량 제어 장치(130)는 상기 경고를 송출한 후, 미리 설정된 제 2 임계시간 이내에 핸들 파지를 감지하는 경우, 열선(113)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핸들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으며 반면, 상기 미리 설정된 제 2 임계시간 이내에 핸들 파지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차량의 속도를 감속시키고, 차량의 주행 모드를 자율 주행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S750)(S760). 다시 말해, 차량 제어 장치(130)는 상기 경고를 송출한 후, 미리 설정된 제 2 임계시간 이내에 핸들 파지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감지된 핸들 파지 영역이 스티어링 휠(110)의 전체 핸들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설치된 파지 센서(111)에 의해 감지된 경우, 핸들 파지 여부가 감지된 영역의 열선(113)만 활성화시켜 핸들의 온도를 부분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When the vehicle control device 130 senses the steering wheel grip within a second predetermined threshold time after sending the warning, the vehicle control device 130 can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steering wheel by activating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line 113, If the steering wheel is not detected within the second threshold time, the vehicle speed may be decreased and the driving mode of the vehicle may be changed to the autonomous driving mode (S750) (S760). In other words, when the vehicle control device 130 detects the handle grip within a predetermined second threshold time after sending the warning, the detected handle grip area is moved to any one of the entire handle regions of the steering wheel 110 It is possible to partially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handle by activating only the hot line 113 of the area in which the handle grip is detected.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스티어링 휠(110)의 파지 여부를 감지하고, 운전자에 의해 스티어링 휠(110)이 파지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차량의 기능 중 하나인 열선(113)을 제어하여 운전자가 수동으로 스위치를 켜고 끄는 수고로움을 덜어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운전에만 집중할 수 있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운전자에 의해 스티어링 휠(110)이 파지되지 않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운전자의 상태에 따라 경고를 송출하거나 또는 주행모드를 자율 주행 모드로 변경함으로써 운전자의 이상에 따른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teering wheel 110 is grasped by the driver and the driver senses that the steering wheel 110 is grasped, the user controls the heat line 113, which is one of the functions of the vehicle The operator can relieve the trouble of turning the switch on and off manually. Accordingly, the driver can concentrate on driving only, thereby preventing an accident from occurring. Further, when it is detected by the driver that the steering wheel 110 is not grasped, an alarm is sent according to the driver's state, or the driving mode is changed to the autonomous driving mode to prevent an accident There is an effe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한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n application or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may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command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ones that ar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for performing the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의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While the specification contains many features, such feature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or the scope of the claims. In addition, the features described in the individual embodiments herein may be combined and implemented in a single embodiment. On the contrary, the various features described in the singular embodiments may be individually implemented in various embodiments or properly combined.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앱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Although the operations are described in a particular order in the fig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operations are performed in a particular order as shown, or that all described operations are performed in a series of sequential orders, or to obtain the desired result. In certain circumstance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may be advantageous.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the division of various system components in the above embodiments does not require such distinction in all embodiments. The above-described application components and systems can generally be packaged into a single software product or multiple software products.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110 : 스티어링 휠
111 : 파지 센서
113 : 열선
130 : 차량 제어 장치
110: Steering wheel
111: Phaser sensor
113: Heat line
130: vehicle control device

Claims (14)

운전자의 핸들 파지 여부를 감지하는 파지 센서 및 핸들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열선을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 및
상기 운전자의 핸들 파지 여부에 따라 차량의 운행 상태를 제어하거나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A steering wheel including a gripping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driver grasps the handle and a heating line for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handle; And
And a vehicle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running state of the vehicle 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driver grasps the hand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미리 설정된 제 1 임계시간 이내에 상기 핸들 파지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운전자에게 사고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기 위한 경고를 송출하며,
상기 차량 제어 장치가 상기 경고를 송출한 후, 미리 설정된 제 2 임계시간 이내에 핸들 파지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의 주행 모드를 자율 주행 모드로 변경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ehicle control device comprises:
When the handle grip is not detected within a predetermined first threshold time, a warning is sent to the driver to alert the driver to an accident,
Whe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fails to detect the handle grip within a second predetermined threshold time after sending the warning,
Wherein the vehicle control device comprises:
And changes the running mode of the vehicle to the autonomous running mo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운전자의 의해 자율 주행 모드가 선택되고 차량이 주행 중에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운전자의 핸들 파지 여부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운전자에게 경고를 송출한 후, 차량의 주행 모드를 변경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ehicle control device comprises:
Wherein the self-running mode is selected by the driver and the driver's gripping of the steering wheel is not detected within a preset time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the vehicle control system changes the driving mode of the vehicle after issuing a warning to the dri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핸들 파지가 감지되면,
상기 열선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핸들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차량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ehicle control device comprises:
When the handle grip is detected,
And activates the operation of the hot wire to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hand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센서 및 열선은 상기 운전자가 파지할 수 있는 일정 영역에 다수 개의 블록 형태로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스티어링 휠의 전체 핸들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설치된 파지 센서로부터 핸들 파지 여부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핸들 파지 여부가 감지된 영역의 열선만 활성화시켜 핸들의 온도를 부분적으로 상승시키는 차량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ripping sensor and the hot wire may be separately installed in a plurality of blocks in a predetermined area that the driver can grasp,
Wherein the vehicle control device comprises:
When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steering wheel is gripped by a grip sensor installed in any one of the entire handle regions of the steering wheel,
Wherein only the hot line of the area where the handle grip is detected is activated to partially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hand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센서 및 열선은 상기 운전자가 파지할 수 있는 일정 영역에 다수 개의 블록 형태로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운전자의 파지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에 의해 파지되는 빈도수가 높은 핸들의 일정 영역에 포함되는 열선만을 활성화시켜 미리 설정된 온도까지 핸들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상기 운전자에 의해 파지되는 빈도수가 높은 핸들의 일정 영역을 제외한 핸들의 영역은 열선을 비활성화하거나 열선을 활성화하되 운전자가 미열만 감지할 수 있도록 핸들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차량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ripping sensor and the hot wire may be separately installed in a plurality of blocks in a predetermined area that the driver can grasp,
Wherein the vehicle control device comprises:
By using only the hot line included in a certain region of the steering wheel held by the driver, by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steering wheel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y using the driver's grip area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in the database, The steering wheel control system increases the temperature of the steering wheel so that the driver can detect only the low heat by deactivating the heating wire or activating the heating wi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휠의 일측에는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해 활성화되는 차량의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리모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모컨부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이내에 연속으로 터치하거나 또는 위, 아래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에 의해 기능이 활성화되는 차량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mote control unit for operating a function of a vehicle activated by a touch operation of a user at one side of the steering wheel,
The remote-
Wherein the function is activated by an operation of continuously touching or dragging in a up or down direction withi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졸음방지 모드가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졸음방지 모드가 수행되는 경우, 주기적으로 핸들의 파지 여부 또는 특정영역의 터치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핸들의 파지 여부 또는 특정영역의 터치가 감지되지 않으면, 경고를 송출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ehicle control device comprises:
When the sleepiness prevention mode is performed, it is periodically monitored whether the user grasps the handle or whether a specific area is touched. If the user grasps the handle or touches the specific area within a preset time A vehicle control system that sends out a warning.
운전자의 핸들 파지 여부를 감지하는 파지 센서 및 핸들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열선을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 시스템에서의 차량 제어 방법에 있어서,
차량 제어 장치가, 상기 운전자의 핸들 파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차량 제어 장치가, 상기 운전자의 핸들 파지 여부에 따라 차량의 운행 상태를 제어하거나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A vehicle control method in a vehicle control system including a steering wheel including a gripping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driver grasps a handle, and a hot line for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handle,
The vehicle control device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driver grasps the handle; And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vehicle 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driver grasps the handle of the vehicle control devic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운전자의 핸들 파지 여부에 따라 차량의 운행 상태를 제어하거나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미리 설정된 제 1 임계시간 이내에 상기 핸들 파지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운전자에게 사고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기 위한 경고를 송출하며,
상기 차량 제어 장치가 상기 경고를 송출한 후, 미리 설정된 제 2 임계시간 이내에 핸들 파지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의 주행 모드를 자율 주행 모드로 변경하는 차량 제어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step of controlling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driver grasps the handle,
Wherein the vehicle control device sends a warning to the driver to alert the driver of an accident when the handle grip is not detected within a predetermined first threshold time,
When the vehicle control apparatus fails to detect the handle grip within a second predetermined threshold time after sending the warning,
Wherein the vehicle control device comprises:
And changing the running mode of the vehicle to the autonomous running mod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운전자의 핸들 파지 여부에 따라 차량의 운행 상태를 제어하거나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핸들 파지가 감지되면,
상기 열선의 동작을 활성화시켜 핸들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차량 제어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step of controlling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driver grasps the handle,
Wherein the vehicle control device comprises:
When the handle grip is detected,
And activating the operation of the hot wire to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handl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센서 및 열선은 상기 운전자가 파지할 수 있는 일정 영역에 다수 개의 블록 형태로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상기 운전자의 핸들 파지 여부에 따라 차량의 운행 상태를 제어하거나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스티어링 휠의 전체 핸들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설치된 파지 센서에 의해 핸들 파지 여부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핸들 파지 여부가 감지된 영역의 열선만 활성화시켜 핸들의 온도를 부분적으로 상승시키는 차량 제어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gripping sensor and the hot wire may be separately installed in a plurality of blocks in a predetermined area that the driver can grasp,
In the step of controlling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driver grasps the handle,
Wherein the vehicle control device comprises:
When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steering wheel is grasped by the grasping sensor installed in any one of the entire handle regions of the steering wheel,
Wherein only the hot line of the area where the handle grip is detected is activated to partially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handl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센서 및 열선은 상기 운전자가 파지할 수 있는 일정 영역에 다수 개의 블록 형태로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상기 운전자의 핸들 파지 여부에 따라 차량의 운행 상태를 제어하거나 차량의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에서,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된 운전자의 파지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에 의해 파지되는 빈도수가 높은 핸들의 일정 영역에 포함되는 열선만을 활성화시켜 미리 설정된 온도까지 핸들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상기 운전자에 의해 파지되는 빈도수가 높은 핸들의 일정 영역을 제외한 핸들의 영역은 열선을 비활성화하거나 열선을 활성화하되 운전자가 미열만 감지할 수 있도록 핸들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차량 제어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gripping sensor and the hot wire may be separately installed in a plurality of blocks in a predetermined area that the driver can grasp,
In the step of controlling the driving state of the vehicle 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driver grasps the handle,
Wherein the vehicle control device comprises:
By using only the hot line included in a certain region of the steering wheel held by the driver, by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steering wheel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y using the driver's grip area information stored in advance in the database, Wherein the steering wheel is deactivated or the hot line is activated but the temperature of the handle is raised so that the driver can only detect the low heat.
제 9 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computer program is recorded, for carrying out the vehicl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3.
KR1020170040815A 2017-03-30 2017-03-30 Vehicle controll system and method,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19609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815A KR101960912B1 (en) 2017-03-30 2017-03-30 Vehicle controll system and method,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815A KR101960912B1 (en) 2017-03-30 2017-03-30 Vehicle controll system and method,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903A true KR20180110903A (en) 2018-10-11
KR101960912B1 KR101960912B1 (en) 2019-03-21

Family

ID=63865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0815A KR101960912B1 (en) 2017-03-30 2017-03-30 Vehicle controll system and method,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0912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17112A (en) * 2019-07-18 2021-02-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Drive support apparatus
KR20220047037A (en) * 2020-10-08 2022-04-15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A system for detecting grip and gestures on steering wheels using capacitive sensors and how to detect them
WO2022227326A1 (en) * 2021-04-30 2022-11-03 深圳市沃特沃德信息有限公司 Warmth reten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vehicle handlebar, and computer device
KR20230033263A (en) * 2021-08-31 2023-03-08 주식회사 코모스 Cooled steering whee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5097B1 (en) * 2019-06-20 2019-12-12 장희 Drowsy driving preventive robot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52886A (en) * 2010-04-02 2016-04-14 ティーケー 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Steering wheel for sensing hand pressure
JP2016058090A (en) * 2014-09-04 2016-04-21 トヨタ モーター エンジニアリ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ノース アメリカ,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Management of driver and vehicle modes for semi-autonomous driving systems
KR20160079594A (en) * 2014-12-28 2016-07-06 박현수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using steering wheel
KR101689092B1 (en) 2015-11-23 2017-01-02 현대다이모스(주)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at-Steering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52886A (en) * 2010-04-02 2016-04-14 ティーケー 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Steering wheel for sensing hand pressure
JP2016058090A (en) * 2014-09-04 2016-04-21 トヨタ モーター エンジニアリ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 ノース アメリカ,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Management of driver and vehicle modes for semi-autonomous driving systems
KR20160079594A (en) * 2014-12-28 2016-07-06 박현수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using steering wheel
KR101689092B1 (en) 2015-11-23 2017-01-02 현대다이모스(주)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at-Steering for Vehicl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17112A (en) * 2019-07-18 2021-02-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Drive support apparatus
KR20220047037A (en) * 2020-10-08 2022-04-15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A system for detecting grip and gestures on steering wheels using capacitive sensors and how to detect them
WO2022227326A1 (en) * 2021-04-30 2022-11-03 深圳市沃特沃德信息有限公司 Warmth reten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vehicle handlebar, and computer device
KR20230033263A (en) * 2021-08-31 2023-03-08 주식회사 코모스 Cooled steering whe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0912B1 (en) 2019-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0912B1 (en) Vehicle controll system and method,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EP301533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continuous awareness in vehicles using haptic feedback
JP4676408B2 (en) Information input device
CN109478354B (en) Haptic guidance system
KR10228731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based on degree of fatigue
US9944307B2 (en) Steering assembly and method of monitoring a space within vehicle
JP5200008B2 (en) Dynami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manual steering of a device
US6218947B1 (en) Driver sleep alarm
JP5288045B2 (en) Emergency vehicle evacuation device
US20110163863A1 (en) Driver's Alert System
US10029568B2 (en) System for warning of drowsiness of driver and method thereof
KR20160060743A (en) Operator alertness monitor
JP5997410B1 (en) Driver abnormality occurrence detector and safety device using the same
JP2015113109A (en) Method for determining driver's carelessness and determination device therefor
JP2011238130A (en) Driving support apparatus
KR20150001091A (en) Apparatus for preventing passive task-related fatigue of driver and method thereof
CN113147969A (en) Electric vehicle,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WO2017107005A1 (en) Safe driving control system for vehicle
KR20180117961A (en) Physiological information sensing safety belt and autonomous driving system using the same
KR10242826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isting vehicle steering
KR20140148207A (en) Vehicle driving operation device and operation methd thereof
KR101922454B1 (en) System and method for gesture recognition using transition of quantity of electric charge
KR20220063952A (en) System for preventing drowsy driving based on brain engineering
CN112277796A (en) Steering wheel, trigger signal generating device and vehicle
KR101500413B1 (en) Gesture recognize apparatus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