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0830A - 지압용 볼을 구비한 안마기 - Google Patents

지압용 볼을 구비한 안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0830A
KR20180110830A KR1020170040647A KR20170040647A KR20180110830A KR 20180110830 A KR20180110830 A KR 20180110830A KR 1020170040647 A KR1020170040647 A KR 1020170040647A KR 20170040647 A KR20170040647 A KR 20170040647A KR 20180110830 A KR20180110830 A KR 20180110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age
connector
acupressure
shap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0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7681B1 (ko
Inventor
김재호
Original Assignee
김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호 filed Critical 김재호
Priority to KR1020170040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681B1/ko
Publication of KR20180110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0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078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2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 A61H7/004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power-driven, e.g.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7Knea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며, 모터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접촉하는 신체부위를 지압하는 제1 및 제2 안마부들로 구성된 안마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안마부들 각각은, 상부면이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구형 돌출부가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안마구, 상기 안마구 하부에서 상부 및 측면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신체부위를 지압하는 지압부, 일면이 반구형으로 돌출되어 상기 안마구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신체부위를 지압하는 안마부재 및 상기 지압부와 상기 안마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지압부와 상기 안마부재 및 상기 안마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압용 볼을 구비한 안마기{MASSAGER WITH ACUPRESSURE BALLS}
본 발명은 안마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지압용 볼을 이용하여 신체의 다양한 부위에 연속적인 지압이 가능하도록 한 안마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근로자들이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피로를 풀고 휴일에 여가를 즐기기 위해 안마를 받거나 안마기를 사용하고 있다. 안마는 근육, 관절 또는 내장의 기능을 향상시키거나 신경의 흥분을 진정시키기 때문에 일상의 피로를 풀고 편안함을 느끼게 하므로 안마기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한편, 안마기의 종류는 안마의자뿐만 아니라 휴대할 수 있고 기존의 의자나 침대에 부착하여 사용될 수 있는 휴대형 안마기로 나누어지며, 안마의자는 안락하고 한번에 모든 신체부위를 안마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공간상의 제약이 있고 휴대형 안마기는 휴대가 가능하여 공간상의 제약이 없고 가격이 저렴하며 수납성이 좋기 때문에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 제10-2013-0061785호는 열과 함께 지압 또는 진동 등을 포함한 안마기능을 제공하는 발명을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 제10-1265892호는 방열효과가 우수한 안마기의 타격기구 구조를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개시된 기술들은 휴대성은 우수하지만 다양한 모양의 볼들과 회전을 통해 안마하는 기술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안마기술의 발달과 함께 이를 편안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더 나아가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을 필요로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7293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16064호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압용 볼을 형성하여 상시 적당한 지압강도를 유지하도록 하며, 지압용 볼을 두 개 이상 구비하여 지압의 강도를 리듬감 있게 변화를 줌으로써 지루하지 않으면서 손으로 직접 마사지하는 듯한 안마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안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안마기는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며, 모터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접촉하는 신체부위를 지압하는 제1 및 제2 안마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안마부들 각각은, 상부면이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구형 돌출부가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안마구, 상기 안마구 하부에서 상부 및 측면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신체부위를 지압하는 지압부, 일면이 반구형으로 돌출되어 상기 안마구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신체부위를 지압하는 안마부재 및 상기 지압부와 상기 안마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지압부와 상기 안마부재 및 상기 안마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압부는 3개의 방향으로 돌출된 육각형상을 가지며,각 방향마다 동일한 형상의 복수의 지압볼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마구는 상기 상부면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안마 부위를 확장하는 돌출부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기.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마구의 상부면은 왕복직선운동으로 사용자를 안마하며, 상기 안마구의 돌출부는 회전운동으로 사용자를 안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는 제1 연결구,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제2 연결구 및 일측은 상기 제2 연결구에 고정되어 회전되며, 타측은 상기 제1 연결구에 의해 가이드되어 왕복직선운동하는 제3 연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마구의 돌출부는 상기 제3 연결구의 일측에 실장되며, 상기 안마구의 상부면은 상기 제3 연결구의 타측에 실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는 하부는 상기 제2 연결구와 결합하고, 상부는 상기 안마부재 및 상기 안마구와 결합하는 제4 연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연결구는 환형 형상으로 상기 제2 연결구가 회전가능하도록 관통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가이드 부재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하측의 베이스와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U자 형상을 가지며 하측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을 통해 상기 지압부가 통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면에 제1 결합돌기가 고정되고,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결합돌기에는 상기 제3 연결구의 개구부를 관통하는 제3 결합돌기가 고정되어 상기 제3 연결구의 직선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를 밀폐시면서 통풍슬릿이 형성된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압용 볼을 구비한 안마기는 한 쌍의 지압부가 회전하면서 지압부의 지압 볼이 근육을 문지르며 당기기 때문에 손으로 안마하는 느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안마부재 및 돌출부가 신체부위를 누르고 회전하면서 1차적으로 접촉하는 상기 신체부위의 근육을 문지르며 이완시켜주고, 지압부에 형성된 지압볼들은 2차적으로 상기 근육을 문지르며, 안마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안마구에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됨으로써 뒷목이 제1 및 제2 안마부들 사이에 위치하면, 상기 안마구에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부들을 통해 두 손으로 상기 뒷목을 지압하는 안마효과를 발생하는 동시에 어깨부위를 문지르며 안마할 수 있다. 이는 복수의 손가락들을 사용하여 상기근육들을 왕복회전하며 안마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특히, 안마구의 돌출부 및 안마부재의 돌출된 부분은 제3 연결구의 일측의 상부에서 회전운동을 수행하며 사용자를 안마하며 이는 사용자의 근육에 접촉하여 회전 문지름의 안마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동시에, 안마구의 상부면은 제3 연결구의 타측의 상부에서 왕복운동을 수행하며 사용자를 안마하며 이는 사용자의 근육을 끌어당기거나 미는 안마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회전운동과 왕복운동은 서로 연동되어 복합운동으로 구현되며, 이에 따라 근육의 문지름 기능 및 끌어당기거나 미는 기능이 동시에 구현되어, 복합 안마 기능이 수행되어 안마의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안마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안마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안마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안마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한쌍의 지압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1의 한쌍의 제1 연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1의 한쌍의 제2 연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1의 한쌍의 제3 연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도 1의 한쌍의 제4 연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1의 한쌍의 안마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1의 한쌍의 안마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의 안마기를 통한 안마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안마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도 13의 한쌍의 안마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안마기를 통한 안마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마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안마기(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안마기(10)는 제1 안마부(100), 제2 안마부(200) 및 케이스(1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기(10)는 목 부위를 중심으로 양쪽 어깨 부위의 지압 또는 안마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안마기(10)는 목에 걸쳐지고 한 쌍의 안마부가 각각 어깨 부위에 위치하여 지압 또는 안마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안마기(10)는 어깨를 비롯하여, 등, 허리, 다리 또는 종아리와 같은 다양한 부위의 안마에 적용될 수 있고 안마 부위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필요에 따라 상기 안마기(10)에 예를 들어 저주파 발생 유닛, 적외선발생 유닛 또는 열 발생 유닛과 같은 다양한 인체에 유익한 작용을 하는 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겠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기(10)에서 지압 또는 안마는 반구, 구형, 원추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는 상기 제1 및 제2 안마부들(100, 200)의 지압볼 또는 돌출부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150)는 내부가 밀폐된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수용 공간에 모터(미도시)를 수용할 수 있으며, 상기 모터가 고정될 수 있는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50)의 외부 표면에 상기 모터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돌출 표면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돌출 표면에 통풍 슬릿(15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풍 슬릿(151)은 상기 안마기(10)의 작동 과정에서 밀폐된 수용 공간에서 작동되는 상기 모터와 같은 유닛으로 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출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안마부들(100, 200)은 해당 사용자의 목, 어깨, 등 또는 다른 신체부위에 접촉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신체부위를 안마한다. 상기 안마부들(100, 200)은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어 나란히 상기 신체부위에 접촉하여 근육을 안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안마부들(100, 200)은 사이에 상기 신체부위를 위치시켜 압박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제1 안마부(100) 및 상기 제2 안마부(20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다양한 압력으로 상기 신체부위를 안마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및 제2 안마부들(100, 200)은 상기 모터의 구동전환을 통해 회전방향을 일정한 주기로 바꾸어 가면서 회전할 수 있고, 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근육을 안마할 수 있다.
아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안마기에 적용되는 상기 안마부들(100, 2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상기 제1 및 제2 안마부들(100, 200)은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제1 안마부(100)에 대하여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안마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안마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안마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도 1의 안마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안마부(100)는 지압부(110), 안마구(120), 안마부재(130) 및 연결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지압부(100)는 상기 케이스(150) 상에 고정된 베이스(140)와 축 결합되며,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40)는 상기 케이스(150)에 견고히 고정되기 위해 다수의 고정공을 형성하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고정구를 이용하여 흔들림 없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압부(110)의 내측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이 관통된 형상을 이루며, 상기 내측 표면에는 상부 및 측면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된 지압볼들(111, 112, 113, 114)이 구비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지압부(110)는 전체적으로 3개의 방향으로 돌출된 육각 형상을 가진다. 이 때 각각의 방향마다, 일측에는 반구형상으로 돌출된 제1 지압볼(11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압볼(111)과 마주보는 타측에는 반구형상으로 돌출된 제2 지압볼(112), 제3 지압볼(113) 및 제4 지압볼(114)이 형성된다.
상기 지압부(110)는 상기 제1 내지 제4 지압볼들(111, 112, 113, 114)을 통해 신체부위를 압박하여 상기 신체부위의 측면과 전면을 동시에 지압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지압볼(111)은 상기 제2 및 제4 지압볼들(112, 113, 114) 보다 높게 돌출되며, 복수개의 상기 지압볼들(111, 112, 113, 114)을 구비함에 따라 입체적인 형상의 돌출 구조를 형성하여 지압의 효과를 향상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 및 제4 지압볼들(112, 113, 114)은 상기 신체부위에 각각 접촉하고, 상기 제1 지압볼(110)과 상기 제2 내지 제4 지압볼들(112, 113, 114)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상기 신체부위의 근육들을 당기고 풀어줄 수 있어 효과적인 안마가 가능하다.
한편, 안마부재(130)는 상기 지압부(110) 상에서 연결부(300)를 통해 상기 지압부(110)와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300)는 제1 연결구(310), 제2 연결구(320), 제3 연결구(330) 및 제4 연결구(340)를 포함한다.
도 6a 및 도 6b는 도 1의 한쌍의 제1 연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1의 한쌍의 제2 연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a 및 도 8b는 도 1의 한쌍의 제3 연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a 및 도 9b는 도 1의 한쌍의 제4 연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제1 연결구(310)는 가이드부재(311) 및 고정부재(313)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313)는 U자형으로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며 형성되며 연장된 일단은 상기 베이스(140)의 일측에 결합 고정되고, 상면에는 제1 결합돌기(315)가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재(313)가 상부방향으로 돌출된 U자형 형상을 가지므로, 하측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하측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전술한 상기 지압부(110)의 복수의 지압볼들(111, 112, 113, 114)이 회전하면서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재(311)는 상기 지압부(110)의 원형의 내측 상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연결구(320)가 관통할 수 있도록 내측이 중공된 환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연결구(320)는 다수의 고정공(321)을 포함하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연결구(310)의 상기 가이드 부재(311)를 관통하여 상기 지압부(110)에 고정되어 상기 지압부(110)와 함께 회전한다.
한편, 상기 제2 연결구(320)는 회전 중심을 둘러싸며 외측에 위치한 상기 고정공(321) 중 어느 하나에 제2 결합돌기(322)가 연결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2 연결구(32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 결합돌기(322)는 상기 제2 연결구(320)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회전한다.
상기 제3 연결구(330)의 일측은 상기 제2 연결구(320)의 상기 제2 결합돌기(322)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332)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3 연결구(330)의 일측은 상기 제2 연결구(32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 연결구와 함께 상기 제2 연결구(320)의 회전 중심축 주위를 회전한다.
상기 제3 연결구(330)의 타측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관통된 개구부(331)를 포함하여, 상기 개구부(331)에 상기 제1 연결구(310)의 제1 결합돌기(315)가 관통하여 끼워짐으로써 상기 제1 연결구(310)에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제3 연결구(330)는 제3 결합돌기(333)를 포함하며, 상기 제3 결합돌기(333)는 상기 개구부(331)를 관통하여 상기 제1 결합돌기(315)에 결합된다.
이 때, 상기 제1 결합부(332)가 상기 제2 결합돌기(322)에 결합되므로, 상기 제3 연결구(330)의 일측은 상기 제2 연결구(32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 연결구(320)의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연결구(310)는 상기 베이스(140)의 일측에 결합 고정되어 이동되지 않으므로, 상기 제3 연결구(330)의 타측은 상기 제3 결합돌기(333)와 상기 제1 결합돌기(315)의 고정부에 의해 구속되며 상기 제3 연결구(330)의 타측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331)의 길이 방향의 형상에 따라 왕복 직선운동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3 연결구(330)는 일측은 회전운동을 하지만, 타측은 직선 방향으로의 왕복 운동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러한 양측의 운동 방향의 차이가 결합되어 회전과 왕복 운동이 복합적으로 수행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3 연결구(320)에 최종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안마구(120)가 회전 및 왕복의 복합 운동이 수행되며 다양한 안마 모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4 연결구(340)는 상기 제3 연결구(330) 및 상기 안마부재(130) 사이에 위치하며, 하부는 상기 제3 연결부(330)와 결합하고, 상부는 상기 안마구(120)가 결합되어 있는 상기 안마부재(130)의 결합링(도 10a의 131)과 결합한다.
이 경우, 상기 제4 연결구(340)는 일 끝단에 개구된 링 형상으로 형성된 실장부(341)가 구비되어, 상기 안마부재(130)의 반구형 돌출부(133)와의 실장 및 결합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4 연결구(340)는 제2 결합부(342)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결합부(342)는 상기 제1 결합부(332)와 함께 상기 제2 결합돌기(322)에 결합 및 고정되고, 상기 제2 결합부(342)의 상부에 상기 결합링(131)이 실장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2 연결구(32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 결합돌기(322)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기 안마부재(130)의 반구형 돌출부(133)도 회전하며 안마가 수행된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마구(120)는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면(126)을 포함하며, 측면으로 하나의 반구형 돌출부(121)가 연장되며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21) 및 상기 안마부재(130)의 반구형으로 돌출된 부분(도 10a의 133)은 서로 대칭을 이루는 집게 형상으로 형성되어 신체부위의 근육을 문지를 수 있다.
상기 안마구(120)는 제3 결합부(127)에서 상기 상부면(126)과 상기 반구형 돌출부(121)가 서로 결합되며, 앞서 설명한 상기 제2 결합부(342) 및 상기 결합링(131)은 상기 제3 결합부(127)를 통해 결합되어, 상기 제2 결합돌기(322)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상부면(126)은 상기 제3 결합부(127)로부터 일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데, 상기 상부면(126)의 연장방향은 상기 제3 연결구(330)의 상기 개구부(331)의 연장방향과 동일하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면(126)은 상기 제3 연결구(330)의 개구부(331) 상에 실장되며, 상기 제3 연결구(330)의 타측의 움직임과 동일한 움직임을 수행한다.
이상과 같이, 상기 안마구(120)의 상기 돌출부(121) 및 상기 안마부재(130)의 돌출된 부분(133)은 상기 제3 연결구(330)의 일측의 상부에서 회전운동을 수행하며 사용자를 안마하며 이는 사용자의 근육에 접촉하여 회전 문지름의 안마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안마구(120)의 상부면(126)은 상기 제3 연결구(330)의 타측의 상부에서 왕복운동을 수행하며 사용자를 안마하며 이는 사용자의 근육을 끌어당기거나 미는 안마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회전운동과 왕복운동은 서로 연동되어 복합운동으로 구현되며, 이에 따라 근육의 문지름 기능 및 끌어당기거나 미는 기능이 동시에 구현되어, 복합 안마 기능이 수행되어 안마의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즉, 상기 기능은 양쪽의 손가락들로 안마하는 부위의 근육들을 풀어주는 느낌과 비슷한 효과를 상기 신체부위에 전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안마구(120)의 돌출부(121) 및 상기 안마부재(130)는 회전하면서 상기 신체부위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지압하고, 상기 상부면(126)은 왕복운동하면서 근육을 이완시키며, 상기 안마부재(130)의 하부에 위치한 상기 지압부(110)는 회전하면서 접촉하는 상기 신체부위의 주변을 함께 지압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복합적인 안마 기능이 구현되어, 사용자에 대한 안마 효과는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마구(120)는 실리콘 등의 연성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안마부(100) 및 상기 제2 안마부(200)는 상기 케이스(150)의 양 끝단에 형성되어 해당 사용자의 등이나 다른 신체부위에 접촉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신체부위를 안마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안마부들(100. 200)은 서로 대칭적으로 움직이거나 동일하게 움직이는 등 선택적인 움직임이 가능하여 사용자에 대한 안마 기능을 배가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안마부(100) 및 상기 제2 안마부(200)는 측면에 돌출되는 상기 지압부(110)의 지압볼들 사이에 상기 신체부위를 위치하여 압박하며 안마가 가능하여 목이나 다리 및 팔 등의 다양한 부위를 안마하는데 장점이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마부재(130) 및 상기 돌출부(121)는 함께 회전하며 사용자의 목 부위 근육에 대한 안마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안마기(10)는 사용자가 목에서 분리하지 않고도 안마의 강도나 패턴을 조절하면서 중단 없이 마시지를 지속해서 받을 수 있게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안마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a 및 도 14b는 도 13의 한쌍의 안마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5는 도 13의 안마기를 통한 안마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안마기(20)는 안마구(122)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안마기(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안마기(20)에서 안마구(122)는 일단 밑 타단에 형성된 복수개의 반구형 돌출부들(123, 124, 125)을 포함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마구(20)는 일단에 제1 돌출부(123), 타단에 제2 돌출부(124) 및 제3 돌출부(125)가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안마부재(130) 및 상기 제1 돌출부(123)는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안마부재(130) 및 상기 돌출부(121)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제2 및 제3 돌출부들(124, 125)의 경우, 상기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안마구(120)의 상기 상부면(126)을 대체하여 돌출된 돌출부들로서, 상기 상부면(120)의 동작과는 동일하게 동작된다.
다만, 상기 제2 및 제3 돌출부들(124, 125)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추가로 연장되며 상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안마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보다 넓은 범위에서 보다 확장되어 사용자의 근육에 대한 안마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안마구(122)의 복합 동작은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안마구(120)의 복합 동작과 동일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압용 볼을 구비한 안마기는 한 쌍의 지압부가 회전하면서 지압부의 지압 볼이 근육을 문지르며 당기기 때문에 손으로 안마하는 느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안마부재 및 돌출부가 신체부위를 누르고 회전하면서 1차적으로 접촉하는 상기 신체부위의 근육을 문지르며 이완시켜주고, 지압부에 형성된 지압볼들은 2차적으로 상기 근육을 문지르며, 안마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안마구에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됨으로써 뒷목이 제1 및 제2 안마부들 사이에 위치하면, 상기 안마구에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부들을 통해 두 손으로 상기 뒷목을 지압하는 안마효과를 발생하는 동시에 어깨부위를 문지르며 안마할 수 있다. 이는 복수의 손가락들을 사용하여 상기근육들을 왕복회전하며 안마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특히, 안마구의 돌출부 및 안마부재의 돌출된 부분은 제3 연결구의 일측의 상부에서 회전운동을 수행하며 사용자를 안마하며 이는 사용자의 근육에 접촉하여 회전 문지름의 안마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동시에, 안마구의 상부면은 제3 연결구의 타측의 상부에서 왕복운동을 수행하며 사용자를 안마하며 이는 사용자의 근육을 끌어당기거나 미는 안마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회전운동과 왕복운동은 서로 연동되어 복합운동으로 구현되며, 이에 따라 근육의 문지름 기능 및 끌어당기거나 미는 기능이 동시에 구현되어, 복합 안마 기능이 수행되어 안마의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안마기 20 : 안마기
100 : 제1 안마부 200 : 제2 안마부
110 : 지압부 111 : 제1 지압볼
112 : 제2 지압볼 113 : 제3 지압볼
114 : 제4 지압볼 120 : 안마구
121 : 돌출부 130 : 안마부재
140 : 베이스 150 : 케이스
151 : 통풍슬릿 123 : 제1 돌출부
124 : 제2 돌출부 125 : 제3 돌출부
315 : 제1 결합돌기 322 : 제2 결합돌기
332 : 제1 껼합부 333 : 제3 결합돌기
341 : 실장부 342 : 제2 결합부
126 : 상부면 127 : 제3 결합부

Claims (11)

  1.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며, 모터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접촉하는 신체부위를 지압하는 제1 및 제2 안마부들로 구성된 안마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안마부들 각각은,
    상부면이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구형 돌출부가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안마구;
    상기 안마구 하부에서 상부 및 측면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신체부위를 지압하는 지압부;
    일면이 반구형으로 돌출되어 상기 안마구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신체부위를 지압하는 안마부재; 및
    상기 지압부와 상기 안마부재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지압부와 상기 안마부재 및 상기 안마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부는,
    3개의 방향으로 돌출된 육각형상을 가지며,
    각 방향마다 동일한 형상의 복수의 지압볼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마구는,
    상기 상부면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안마 부위를 확장하는 돌출부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마구의 상부면은 왕복직선운동으로 사용자를 안마하며, 상기 안마구의 돌출부는 회전운동으로 사용자를 안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제1 연결구;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제2 연결구; 및
    일측은 상기 제2 연결구에 고정되어 회전되며, 타측은 상기 제1 연결구에 의해 가이드되어 왕복직선운동하는 제3 연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안마구의 돌출부는 상기 제3 연결구의 일측에 실장되며, 상기 안마구의 상부면은 상기 제3 연결구의 타측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기.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하부는 상기 제2 연결구와 결합하고, 상부는 상기 안마부재 및 상기 안마구와 결합하는 제4 연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기.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구는,
    환형 형상으로 상기 제2 연결구가 회전가능하도록 관통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가이드 부재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하측의 베이스와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U자 형상을 가지며 하측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을 통해 상기 지압부가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기.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면에 제1 결합돌기가 고정되고,
    상기 제1 결합돌기에는 상기 제3 연결구의 개구부를 관통하는 제3 결합돌기가 고정되어 상기 제3 연결구의 직선운동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기.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를 밀폐시면서 통풍슬릿이 형성된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기.
KR1020170040647A 2017-03-30 2017-03-30 지압용 볼을 구비한 안마기 KR102017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647A KR102017681B1 (ko) 2017-03-30 2017-03-30 지압용 볼을 구비한 안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647A KR102017681B1 (ko) 2017-03-30 2017-03-30 지압용 볼을 구비한 안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830A true KR20180110830A (ko) 2018-10-11
KR102017681B1 KR102017681B1 (ko) 2019-09-03

Family

ID=63865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0647A KR102017681B1 (ko) 2017-03-30 2017-03-30 지압용 볼을 구비한 안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768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2930A (ko) 2011-12-22 2013-07-02 주식회사 해피룸 다단 지압 볼을 갖는 견착 안마기
KR20130078553A (ko) * 2011-12-30 2013-07-10 주식회사 해피룸 단일 구동부로 넓은 면적의 안마가 가능한 안마장치
KR20130116064A (ko) 2013-10-01 2013-10-22 복정제형 주식회사 복수 개의 회전 볼을 가진 전신 안마기
KR101473615B1 (ko) * 2014-07-10 2014-12-24 에스티 라이프 컴퍼니 리미티드 비대칭 캔틸레버를 겸비한 중앙축형 마사지 헤드 세트
KR101516124B1 (ko) * 2014-07-10 2015-05-04 에스티 라이프 컴퍼니 리미티드 회전 및 연장 스윙하는 마사지 헤드 세트
KR20160000708A (ko) * 2014-06-25 2016-01-05 (주)메디칼드림 회전 지압용 볼을 구비한 안마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2930A (ko) 2011-12-22 2013-07-02 주식회사 해피룸 다단 지압 볼을 갖는 견착 안마기
KR20130078553A (ko) * 2011-12-30 2013-07-10 주식회사 해피룸 단일 구동부로 넓은 면적의 안마가 가능한 안마장치
KR20130116064A (ko) 2013-10-01 2013-10-22 복정제형 주식회사 복수 개의 회전 볼을 가진 전신 안마기
KR20160000708A (ko) * 2014-06-25 2016-01-05 (주)메디칼드림 회전 지압용 볼을 구비한 안마기
KR101473615B1 (ko) * 2014-07-10 2014-12-24 에스티 라이프 컴퍼니 리미티드 비대칭 캔틸레버를 겸비한 중앙축형 마사지 헤드 세트
KR101516124B1 (ko) * 2014-07-10 2015-05-04 에스티 라이프 컴퍼니 리미티드 회전 및 연장 스윙하는 마사지 헤드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7681B1 (ko) 2019-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5263B1 (ko) 어깨 견착형 마사지기
KR101346032B1 (ko) 다단 지압 볼을 갖는 견착 안마기
JP5683615B2 (ja) 携帯式揺動健康器具
KR20160000708A (ko) 회전 지압용 볼을 구비한 안마기
KR20090044983A (ko) 귀마사지기
JP2005288079A (ja) 性感帯開発鍛練具
KR20180110830A (ko) 지압용 볼을 구비한 안마기
KR20220167754A (ko) 손 마사지 장치
CN209645412U (zh) 一种头戴式音乐治疗仪
CN105769533A (zh) 一种头部按摩保健机器人专用按摩头罩
KR200491056Y1 (ko) 어깨 견착형 마사지기
KR20040042977A (ko) 귀맛사지기
CN105030522A (zh) 一种保护肺功能装置
KR102021670B1 (ko) 안마장치
KR20190126589A (ko) 관절봉 마사지기
CN204840234U (zh) 一种深度保护肺功能装置
CN219332430U (zh) 一种口袋揉捏按摩器
CN208611606U (zh) 一种手机实时控制的红外理疗按摩智能服装
CN213432853U (zh) 一种康复球
KR200265400Y1 (ko) 다목적 맛사지구
KR20020079191A (ko) 지압용구
CN214968949U (zh) 一种促进血液循环的穴位按摩帽
KR200373125Y1 (ko) 회전식 지압용구
WO2017197597A1 (en) A handheld fitness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101683540B1 (ko) 눈 마사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