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0358A - 관정 열취득 시스템 및 상기 관정 열취득 시스템을 이용한 이중 수막 하우스 시설 - Google Patents

관정 열취득 시스템 및 상기 관정 열취득 시스템을 이용한 이중 수막 하우스 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0358A
KR20180110358A KR1020170039746A KR20170039746A KR20180110358A KR 20180110358 A KR20180110358 A KR 20180110358A KR 1020170039746 A KR1020170039746 A KR 1020170039746A KR 20170039746 A KR20170039746 A KR 20170039746A KR 20180110358 A KR20180110358 A KR 201801103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geothermal
exchange water
extraction
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9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7226B1 (ko
Inventor
박찬호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주) 앤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앤씨티 filed Critical (주) 앤씨티
Priority to KR1020170039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226B1/ko
Publication of KR20180110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0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TGEOTHERMAL COLLECTORS; GEOTHERMAL SYSTEMS
    • F24T10/00Geothermal collectors
    • F24T10/20Geothermal collectors using underground water as working fluid; using working fluid injected directly into the ground, e.g. using injection wells and recovery w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TGEOTHERMAL COLLECTORS; GEOTHERMAL SYSTEMS
    • F24T10/00Geothermal collectors
    • F24T10/30Geothermal collectors using underground reservoirs for accumulating working fluids or intermediate flui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69Greenhouses with double or multiple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2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11Geothermal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11Geothermal energy
    • F24D2200/115Involving mains 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TGEOTHERMAL COLLECTORS; GEOTHERMAL SYSTEMS
    • F24T10/00Geothermal collectors
    • F24T2010/5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F24T2010/53Methods for instal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TGEOTHERMAL COLLECTORS; GEOTHERMAL SYSTEMS
    • F24T10/00Geothermal collectors
    • F24T2010/5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F24T2010/56Control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10Geothermal energy
    • Y02E10/1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관정 열취득 시스템 및 상기 관정 열취득 시스템을 이용한 이중 수막 하우스 시설이 개시된다.
개시되는 관정 열취득 시스템은 지표로부터 지중에 관통 형성되어, 지표 상으로 취출될 수 있는 지열 교환수가 모여 있는 취출 관정; 상기 취출 관정과 수요처를 연결하여, 상기 취출 관정에 모인 지열 교환수를 상기 수요처로 공급하는 배관인 취출관; 상기 취출 관정과 별도로 이격된 위치에 지표로부터 지중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수요처를 경유한 지열 교환수가 지중으로 함양될 수 있는 함양 관정; 상기 함양 관정과 상기 수요처를 연결하여, 상기 수요처를 경유한 지열 교환수를 지중으로 함양하는 배관인 함양관; 상기 함양관에서 분지되어, 상기 함양관을 따라 상기 수요처로부터 상기 함양 관정으로 향하던 지열 교환수가 분지될 수 있는 분지관; 상기 분지관과 상기 취출관을 연결하여, 상기 분지관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를 상기 취출관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와 합지되도록 하는 합지관; 및 상기 분지관과 상기 합지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분지관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가 상기 합지관으로 유동되는 양을 조절하는 삼방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수요처에서 상기 지열 교환수에 대한 수요량이 증대되는 경우, 상기 삼방밸브가 상기 분지관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를 상기 합지관으로 유동시켜 주어, 상기 합지관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가 상기 취출관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와 합해져서 상기 수요처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되는 관정 열취득 시스템 및 상기 관정 열취득 시스템을 이용한 이중 수막 하우스 시설에 의하면, 관정 열취득 시스템이 취출 관정, 취출관, 함양 관정, 함양관, 분지관, 합지관 및 삼방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수요처에서 상기 지열 교환수에 대한 수요량이 증대되는 경우, 상기 삼방밸브가 상기 분지관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를 상기 합지관으로 유동시켜 주어, 상기 합지관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가 상기 취출관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와 합해져서 상기 수요처로 공급됨으로써, 큰 추가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수요처의 수요량이 증대되는 경우 그 증대된 수요량에 신속하게 대응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관정 열취득 시스템 및 상기 관정 열취득 시스템을 이용한 이중 수막 하우스 시설{Tube well heat getting system and double water-film house facilities using thereof}
본 발명은 관정 열취득 시스템 및 상기 관정 열취득 시스템을 이용한 이중 수막 하우스 시설에 관한 것이다.
관정 열취득 시스템은 지중의 일정 깊이까지 관정을 형성하여 지중의 지열 교환수를 외부로 인출하는 방식으로 지열을 수요처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을 말하고, 이러한 관정 열취득 시스템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들이다.
그러나, 종래의 관정 열취득 시스템에 의하면, 취출공에서 취출된 지열 교환수가 수요처를 경유한 다음 함양공에 그대로 버려지는 형태로 함양되고 있어, 취출공에서 취출되어 수요처로 공급되는 지열 교환수의 공급량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수요처의 수요량이 증대되는 경우(예를 들어, 수요처에 추가적인 히트 펌프가 더 설치되거나, 추가적인 비닐 하우스가 더 설치되는 경우 등)에는, 고정적인 공급량으로 공급되는 지열 교환수가 증대된 수요량만큼 나누어지게 되고(예를 들어, 수요처에 추가적인 히트 펌프가 더 설치된 경우, 지열 교환수가 반분되어 각 히트 펌프로 그 반분된 양만큼씩만 공급), 그에 따라 수요처에서의 제대로 된 냉난방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취출공 및 함양공을 추가적으로 시공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취출공 및 함양공의 추가적 시공을 위한 고가의 추가 비용 및 추가적인 시공 시간으로 인해, 그러한 추가 시공 방식의 적용은 쉽지 않다.
한편, 아래 제시된 등록실용신안처럼, 종래에는 외부 비닐하우스와 내부 비닐하우스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진 이중 구조의 비닐하우스가 있었는데, 새벽 등에 외부 비닐하우스 내면에 성에가 형성되어, 그 성에로 인해 내부 비닐하우스로 태양광 흡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고, 그에 따라 그 성에가 녹는데 소요되는 시간만큼 태양광 흡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작물 생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제 10-1297986호, 등록일자: 2013.08.13., 발명의 명칭: 우물 관정형 지열 교환 시스템 등록특허 제 10-1032545호, 등록일자: 2011.04.25., 발명의 명칭: 개방형 및 폐쇄형 겸용 지열관정 및 이를 이용한 냉난방시스템 등록실용신안 제 20-0236967호, 등록일자: 2001.06.25., 고안의 명칭: 이중구조의 조립식 비닐하우스
본 발명은 수요처의 수요량이 증대되는 경우 그 증대된 수요량에 신속하게 대응될 수 있는 관정 열취득 시스템 및 상기 관정 열취득 시스템을 이용한 이중 수막 하우스 시설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 하우스 내면에 형성된 성에가 신속히 제거되어 태양광 흡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관정 열취득 시스템 및 상기 관정 열취득 시스템을 이용한 이중 수막 하우스 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취출 관정 주변의 지하수 활용이 가능한 관정 열취득 시스템 및 상기 관정 열취득 시스템을 이용한 이중 수막 하우스 시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관정 열취득 시스템은 지표로부터 지중에 관통 형성되어, 지표 상으로 취출될 수 있는 지열 교환수가 모여 있는 취출 관정; 상기 취출 관정과 수요처를 연결하여, 상기 취출 관정에 모인 지열 교환수를 상기 수요처로 공급하는 배관인 취출관; 상기 취출 관정과 별도로 이격된 위치에 지표로부터 지중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수요처를 경유한 지열 교환수가 지중으로 함양될 수 있는 함양 관정; 상기 함양 관정과 상기 수요처를 연결하여, 상기 수요처를 경유한 지열 교환수를 지중으로 함양하는 배관인 함양관; 상기 함양관에서 분지되어, 상기 함양관을 따라 상기 수요처로부터 상기 함양 관정으로 향하던 지열 교환수가 분지될 수 있는 분지관; 상기 분지관과 상기 취출관을 연결하여, 상기 분지관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를 상기 취출관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와 합지되도록 하는 합지관; 및 상기 분지관과 상기 합지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분지관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가 상기 합지관으로 유동되는 양을 조절하는 삼방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수요처에서 상기 지열 교환수에 대한 수요량이 증대되는 경우, 상기 삼방밸브가 상기 분지관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를 상기 합지관으로 유동시켜 주어, 상기 합지관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가 상기 취출관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와 합해져서 상기 수요처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관정 열취득 시스템을 이용한 이중 수막 하우스 시설은 투명 비닐로 이루어지는 외부 하우스; 상기 외부 하우스 내부에 상기 외부 하우스 내면과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투명 비닐로 이루어져서, 내부에 작물이 생육될 수 있는 내부 하우스; 지표로부터 지중에 관통 형성되어, 지표 상으로 취출될 수 있는 지열 교환수가 모여 있는 취출 관정; 상기 내부 하우스 외면에 지열 교환수를 분사해줄 수 있는 분사 노즐 부재; 상기 취출 관정과 상기 분사 노즐 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취출 관정에 모인 지열 교환수를 상기 분사 노즐 부재로 공급하는 배관인 취출관; 상기 분사 노즐 부재에 의해 상기 내부 하우스 외면에 분사되었다가 상기 내부 하우스 외면을 따라 흘러내린 지열 교환수가 수집되는 집수 부재; 상기 집수 부재에 수집된 지열 교환수가 유동되는 배관인 집수 유동관; 상기 취출 관정과 별도로 이격된 위치에 지표로부터 지중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분사 노즐 부재를 통해 분사되어 상기 내부 하우스 외면을 경유한 지열 교환수가 지중으로 함양될 수 있는 함양 관정; 상기 집수 유동관과 상기 함양 관정을 연결하여, 상기 집수 유동관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를 지중으로 함양하는 배관인 함양관; 상기 함양관에서 분지되어, 상기 함양관을 따라 상기 집수 유동관으로부터 상기 함양 관정으로 향하던 지열 교환수가 분지될 수 있는 분지관; 상기 분지관과 상기 취출관을 연결하여, 상기 분지관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를 상기 취출관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와 합지되도록 하는 합지관; 및 상기 분지관과 상기 합지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분지관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가 상기 합지관으로 유동되는 양을 조절하는 삼방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 노즐 부재에서 상기 지열 교환수에 대한 수요량이 증대되는 경우, 상기 삼방밸브가 상기 분지관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를 상기 합지관으로 유동시켜 주어, 상기 합지관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가 상기 취출관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와 합해져서 상기 분사 노즐 부재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관정 열취득 시스템 및 상기 관정 열취득 시스템을 이용한 이중 수막 하우스 시설에 의하면, 관정 열취득 시스템이 취출 관정, 취출관, 함양 관정, 함양관, 분지관, 합지관 및 삼방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수요처에서 상기 지열 교환수에 대한 수요량이 증대되는 경우, 상기 삼방밸브가 상기 분지관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를 상기 합지관으로 유동시켜 주어, 상기 합지관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가 상기 취출관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와 합해져서 상기 수요처로 공급됨으로써, 큰 추가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수요처의 수요량이 증대되는 경우 그 증대된 수요량에 신속하게 대응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관정 열취득 시스템 및 상기 관정 열취득 시스템을 이용한 이중 수막 하우스 시설에 의하면, 온풍 공급 부재가 더 적용됨에 따라, 상기 외부 하우스 내면에 형성된 성에가 신속히 제거되어 태양광 흡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내부 하우스 내부의 작물의 생장이 그만큼 더 촉진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관정 열취득 시스템 및 상기 관정 열취득 시스템을 이용한 이중 수막 하우스 시설에 의하면, 관정 열취득 시스템이 취출 관정; 취출관; 함양 관정; 함양관; 연결관; 저장측 유입관; 저장 탱크; 및 저장측 유출관;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관정 열취득 시스템의 운전 중에는, 상기 취출 관정 주변의 지하수 활용이 가능해지고, 상기 관정 열취득 시스템의 운전 휴지기 중에는, 상기 함양 관정 내로 부족한 지열 교환수를 보충해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관정 열취득 시스템이 적용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관정 열취득 시스템이 적용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관정 열취득 시스템을 이용한 이중 수막 하우스 시설을 보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관정 열취득 시스템을 이용한 이중 수막 하우스 시설을 구성하는 성에 제거용 배관 부재가 부풀어오른 상태를 보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관정 열취득 시스템을 이용한 이중 수막 하우스 시설을 구성하는 성에 제거용 배관 부재가 수축된 상태를 보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관정 열취득 시스템을 구성하는 관정 부재를 보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관정 열취득 시스템이 적용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관정 열취득 시스템이 적용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관정 열취득 시스템을 이용한 이중 수막 하우스 시설을 구성하는 성에 제거용 배관 부재가 부풀어오른 상태를 보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관정 열취득 시스템을 이용한 이중 수막 하우스 시설을 구성하는 성에 제거용 배관 부재가 수축된 상태를 보이는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관정 열취득 시스템 및 상기 관정 열취득 시스템을 이용한 이중 수막 하우스 시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관정 열취득 시스템이 적용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정 열취득 시스템(100)은 취출 관정(110)과, 취출관(120)과, 함양 관정(115)과, 함양관(121)과, 분지관(122)과, 합지관(124)과, 삼방밸브(105)를 포함한다.
상기 취출 관정(110)은 토양(10)의 지표로부터 지중에 일정 깊이로 관통 형성되어, 지표 상으로 취출될 수 있는 지하수 등의 지열 교환수가 모여 있는 것이다.
상기 취출관(120)은 상기 취출 관정(110)과 수요처(130)를 연결하여, 상기 취출 관정(110)에 모인 지열 교환수를 상기 수요처(130)로 공급하는 배관으로, 상기 취출관(120)의 일 측은 상기 취출 관정(110)에 일정 깊이 삽입되고 상기 취출관(120)의 타 측은 상기 수요처(130)에 연결된다.
상기 취출관(120) 상에는 취출 펌프(101)가 설치되어, 상기 취출 관정(110) 내의 지열 교환수가 상기 취출관(120)을 통해 유출될 수 있다.
상기 함양 관정(115)은 상기 취출 관정(110)과 별도로 이격된 위치에 지표로부터 지중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수요처(130)를 경유한 지열 교환수가 지중으로 함양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함양관(121)은 상기 함양 관정(115)과 상기 수요처(130)를 연결하여, 상기 수요처(130)를 경유한 지열 교환수를 지중으로 함양하는 배관으로, 상기 함양관(121)의 일 측은 상기 함양 관정(115)에 일정 깊이 삽입되고 상기 함양관(121)의 타 측은 상기 수요처(130)에 연결된다.
상기 분지관(122)은 상기 함양관(121)에서 분지되어, 상기 함양관(121)을 따라 상기 수요처(130)로부터 상기 함양 관정(115)으로 향하던 지열 교환수가 분지될 수 있는 것이다.
도면 번호 102는 상기 분지관(122) 상에 설치되어 유동을 발생시키는 펌프이다.
상기 합지관(124)은 상기 분지관(122)과 상기 취출관(120)을 연결하여, 상기 분지관(122)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를 상기 취출관(120)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와 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삼방밸브(105)는 상기 분지관(122)과 상기 합지관(124)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분지관(122)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가 상기 합지관(124)으로 유동되는 양을 조절하는 것이다.
도면 번호 123은 상기 삼방밸브(105)에 그 일 측이 연결되고 그 타 측이 상기 취출 관정(110)에 일정 깊이 삽입된 역류관이다.
상기 삼방밸브(105)가 닫히면, 상기 수요처(130)에서 상기 함양관(121)을 따라 유동되는 지열 교환수는 상기 분지관(122)으로 유동되지 아니하고 전량 상기 함양 관정(115)으로 함양된다.
상기 삼방밸브(105)가 열리면, 상기 수요처(130)에서 상기 함양관(121)을 따라 유동되는 지열 교환수 중 적어도 일부 또는 모두가 상기 분지관(122)을 통해 유동된 다음,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합지관(124)을 통해 상기 취출관(120)을 통해 유동되던 지열 교환수와 합쳐지게 된다.
상기 삼방밸브(105)의 열린 정도, 즉 개도에 따라, 상기 분지관(122)을 통해 유동된 지열 교환수 중 상기 합지관(124)을 통해 유동되는 양이 결정될 수 있고, 상기 분지관(122)을 통해 유동된 지열 교환수 중 상기 합지관(124)을 통해 유동되지 아니하는 지열 교환수는 상기 역류관(123)을 통해 상기 취출 관정(110)으로 다시 함양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요처(130)에서 상기 지열 교환수에 대한 수요량이 증대되는 경우, 상기 삼방밸브(105)가 상기 분지관(122)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를 상기 합지관(124)으로 유동시켜 주어, 상기 합지관(124)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가 상기 취출관(120)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와 합해져서 상기 수요처(130)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요처(130)가 적어도 하나의 히트 펌프로 제시된다. 상기 히트 펌프는 일반적인 것이므로, 그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정 열취득 시스템(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취출 펌프(101)가 작동되면, 상기 취출 관정(110) 내의 지열 교환수가 상기 취출관(120)을 통해 유동되어 상기 수요처(130)로 공급되어 상기 수요처(130)에서 열교환된 후 상기 함양관(121)을 통해 유동된다.
상기 수요처(130)가 증대되지 아니한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삼방밸브(105)가 닫혀 있게 되어, 상기 수요처(130)를 경유한 지열 교환수가 상기 함양관(121)을 통해 전량 상기 함양 관정(115)으로 유입되어 함양된다.
이러한 작동 중, 상기 히트 펌프가 증설되는 경우 등 상기 수요처(130)에서 상기 지열 교환수에 대한 수요량이 증대되는 경우, 상기 삼방 밸브가 열리게 된다. 그러면, 상기 함양관(121)을 통해 유동되던 지열 교환수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분지관(122)을 통해 유동된 다음 상기 합지관(124)을 통해 상기 취출관(120) 쪽으로 유동되고, 그에 따라 상기 취출관(120)을 통해 상기 수요처(130)로 공급되는 지열 교환수의 유량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관정 열취득 시스템(100)이 취출 관정(110), 취출관(120), 함양 관정(115), 함양관(121), 분지관(122), 합지관(124) 및 삼방밸브(105)를 포함하고, 상기 수요처(130)에서 상기 지열 교환수에 대한 수요량이 증대되는 경우, 상기 삼방밸브(105)가 상기 분지관(122)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를 상기 합지관(124)으로 유동시켜 주어, 상기 합지관(124)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가 상기 취출관(120)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와 합해져서 상기 수요처(130)로 공급됨으로써, 큰 추가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수요처(130)의 수요량이 증대되는 경우 그 증대된 수요량에 신속하게 대응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관정 열취득 시스템 및 상기 관정 열취득 시스템을 이용한 이중 수막 하우스 시설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관정 열취득 시스템이 적용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정 열취득 시스템(200)이 적용된 이중 수막 하우스 시설(230)은 외부 하우스(231)와, 내부 하우스(232)와, 취출 관정(210)과, 분사 노즐 부재(233)와, 취출관(220)과, 집수 부재(234)와, 집수 유동관(235)과, 함양 관정(215)과, 함양관(221)과, 분지관(222)과, 합지관(224)과, 삼방밸브(205)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하우스(231)는 투명 비닐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내부 하우스(232)는 상기 외부 하우스(231) 내부에 상기 외부 하우스(231) 내면과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투명 비닐로 이루어져서, 내부에 작물이 생육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외부 하우스(231)와 상기 내부 하우스(232)에 의해 이중 하우스 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취출 관정(210)은 지표로부터 지중에 관통 형성되어, 지표 상으로 취출될 수 있는 지열 교환수가 모여 있는 것이다.
상기 분사 노즐 부재(233)는 상기 내부 하우스(232) 외면에 지열 교환수를 분사해줄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외부 하우스(231) 내면에 매달리도록 설치되어, 상기 내부 하우스(232) 외면을 향해 지열 교환수를 분사해준다.
상기 분사 노즐 부재(233)는 복수 개가 서로 이격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취출관(220)은 상기 취출 관정(210)과 상기 분사 노즐 부재(233)를 연결하여, 상기 취출 관정(210)에 모인 지열 교환수를 상기 분사 노즐 부재(233)로 공급하는 배관이다.
상기 집수 부재(234)는 상기 분사 노즐 부재(233)에 의해 상기 내부 하우스(232) 외면에 분사되었다가 상기 내부 하우스(232) 외면을 따라 흘러내린 지열 교환수가 수집되는 것으로, 상기 내부 하우스(232)의 하부 외면과 접하고 상기 내부 하우스(232)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수로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내부 하우스(232) 외면을 따라 흘러내린 지열 교환수가 상기 집수 유동관(235) 쪽으로 모이게 한다.
상기 집수 유동관(235)은 상기 집수 부재(234)에 수집된 지열 교환수가 유동되는 배관으로, 상기 함양관(221)과 연결된다.
상기 함양 관정(215)은 상기 취출 관정(210)과 별도로 이격된 위치에 지표로부터 지중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분사 노즐 부재(233)를 통해 분사되어 상기 내부 하우스(232) 외면을 경유한 지열 교환수가 지중으로 함양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함양관(221)은 상기 집수 유동관(235)과 상기 함양 관정(215)을 연결하여, 상기 집수 유동관(235)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를 지중으로 함양하는 배관이다.
상기 분지관(222)은 상기 함양관(221)에서 분지되어, 상기 함양관(221)을 따라 상기 집수 유동관(235)으로부터 상기 함양 관정(215)으로 향하던 지열 교환수가 분지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합지관(224)은 상기 분지관(222)과 상기 취출관(220)을 연결하여, 상기 분지관(222)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를 상기 취출관(220)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와 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삼방밸브(205)는 상기 분지관(222)과 상기 합지관(224)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분지관(222)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가 상기 합지관(224)으로 유동되는 양을 조절하는 것이다.
물론, 도면 번호 223은 역류관이고, 도면 번호 201은 취출 펌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분사 노즐 부재(233)에서 상기 지열 교환수에 대한 수요량이 증대되는 경우, 예를 들어 상기 외부 하우스(231), 상기 내부 하우스(232), 상기 분사 노즐 부재(233) 및 상기 집수 부재(234)로 이루어진 이중 하우스가 추가로 더 설치되는 경우, 상기 삼방밸브(205)가 열려 상기 분지관(222)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를 상기 합지관(224)으로 유동시켜 주어, 상기 합지관(224)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가 상기 취출관(220)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와 합해져서 상기 분사 노즐 부재(233)로 공급된다. 그러면, 추가 설치까지 된 각 이중 하우스 구조에서 수막 형성을 위한 충분한 분사량 확보가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관정 열취득 시스템을 이용한 이중 수막 하우스 시설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관정 열취득 시스템을 이용한 이중 수막 하우스 시설을 구성하는 성에 제거용 배관 부재가 부풀어오른 상태를 보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관정 열취득 시스템을 이용한 이중 수막 하우스 시설을 구성하는 성에 제거용 배관 부재가 수축된 상태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중 수막 하우스 시설(330)은 아래 설명되는 사항을 제외하고는 상기된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중 수막 하우스 시설(200)과 동일하다.
도시 및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3 내지 도 5에는, 취출 관정, 취출관, 집수 유동관, 함양 관정, 함양관, 분지관, 합지관, 삼방밸브 등이 도시되지 아니하였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당연히 본 실시예에 따른 이중 수막 하우스 시설(330)에 적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중 수막 하우스 시설(330)은 외부 하우스(331) 내면에 형성된 성에가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하우스(331)와 내부 하우스(33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외부 하우스(331)와 상기 내부 하우스(332) 사이 공간에 온풍을 공급할 수 있는 온풍 공급 부재(340)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온풍 공급 부재(340)는 온풍 공급 몸체(341)와, 지지체(343)와, 무게추(344)를 포함한다.
상기 온풍 공급 몸체(341)는 외부에서 공급된 온풍이 내부를 따라 유동되다가 상기 외부 하우스(331)와 상기 내부 하우스(332) 사이 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온풍 토출홀(342)이 형성된 것이다.
태양광 투과가 가능하도록 상기 온풍 공급 몸체(341)는 원통형의 투명 비닐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 하우스(331)와 상기 내부 하우스(332) 사이를 따라 길게 배치된다.
상기 지지체(343)는 상기 온풍 공급 몸체(341)를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온풍 공급 몸체(341)의 하부에 상기 온풍 공급 몸체(341)를 따라 길게 연결되며, 상기 내부 하우스(332), 지면 등에 연결되어 세워지는 것이다.
상기 무게추(344)는 상기 지지체(343)와 이격되도록 상기 온풍 공급 몸체(341)에 연결된 것으로, 상기 온풍 공급 몸체(341)의 각 측면에 상기 온풍 공급 몸체(341)를 따라 길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온풍 공급 부재(340)에 공급되어지는 온풍은 외부의 온풍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이중 수막 하우스 시설(330) 부근의 저온 저장고 등에 설치되고 압축기(351), 응축기(352), 팽창밸브(353), 증발기(354)를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350) 중 상기 응축기(352)에서 방열되는 응축 방열이 상기 응축기(352)를 구성하는 응축 팬(미도시)에 의해 불어져서 연결 배관(345)을 통해 상기 온풍 공급 부재(340)로 공급되어질 수 있다.
상기 온풍 공급 몸체(341)를 따라 온풍이 유동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풍 공급 몸체(341)를 따라 유동되는 온풍의 압력에 의해 상기 온풍 공급 몸체(341)가 부풀어오르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무게추(344)는 상기 온풍 공급 몸체(341)에 매달린 상태로 허공에 부상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온풍 공급 몸체(341)를 따라 유동된 온풍은 상기 온풍 토출홀(342)을 통해 토출되어, 상기 외부 하우스(331) 내면에 형성된 성에를 신속하게 제거한다.
상기 온풍 공급 몸체(341)를 따른 온풍 유동이 중지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게추(344)의 하중에 의해 상기 온풍 공급 몸체(341)가 아래로 쳐지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지지체(343)를 기준으로 반분되어 상기 온풍 공급 몸체(341)가 접히게 된다. 그러면, 상기 온풍 공급 몸체(341)에 의해 태양광이 가려지는 면적이 더욱 감소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온풍 공급 부재(340)가 더 적용됨에 따라, 상기 외부 하우스(331) 내면에 형성된 성에가 신속히 제거되어 태양광 흡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내부 하우스(332) 내부의 작물의 생장이 그만큼 더 촉진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관정 열취득 시스템을 구성하는 관정 부재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정 열취득 시스템은 수팽창 지수 부재(41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수팽창 지수 부재(414)는 함양 관정(415)에 설치되는 관정 케이스(411) 하단에 설치되어, 지중의 수분에 의해 상기 관정 케이스(411) 하단으로부터 일정 깊이까지 부풀어오름으로써, 상기 함양 관정(415)을 통해 함양된 지열 교환수의 상기 관정 케이스(411) 하단을 통한 역류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면 번호 10은 토양이고, 도면 번호 11, 12, 13은 각각 상기 토양(10)을 그 깊이별로 구성하는 표토층, 연암반층, 경암반층이다.
상기 관정 케이스(411)는 상기 표토층(11) 하단까지 박히는 것이고, 상기 관정 케이스(411) 내부에는 상기 연암반층(12) 중간부까지 박힐 수 있고 주변 토양(10)과 수교환이 가능하도록 연통홀이 복수 개 뚫려 있는 내부 관(412)이 설치되며, 상기 내부 관(412)의 상단에는 내부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관정 케이스(411)의 상단의 플랜지를 덮으면서 덮개(413)를 받쳐준다. 상기 덮개(413)는 상기 내부 플랜지와 결합되어 상기 내부 관(412)과 상기 관정 케이스(411)의 각 상단을 함께 덮게 된다.
상기 덮개(413)를 관통한 함양관을 통해 상기 함양 관정(415) 내에 강제로 함양이 이루어지면, 상기 함양 관정(415) 내부의 지열 교환수가 상기 관정 케이스(411) 하단의 제일 조직이 약한 상기 표토층(11)을 통해 상승되어 상기 관정 케이스(411) 주변의 토양을 적시는 누수 현상이 발생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팽창 지수 부재(414)가 상기 내부 관(412)에 둘러진 상태로 상기 관정 케이스(411) 하단까지 삽입되어 그 주변 토양(10) 내의 수분을 빨아들여 부풀어올라 상기 관정 케이스(411) 하단이 상기 연암반층(12)까지 연장된 효과를 내도록 함으로써, 위와 같은 누수 현상이 차단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관정 열취득 시스템이 적용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정 열취득 시스템(500)은 취출 관정(510)과, 취출관(520)과, 함양 관정(515)과, 함양관(521)과, 연결관(563)과, 저장측 유입관(567)과, 저장 탱크(560)와, 저장측 유출관(561)을 포함한다.
상기 취출 관정(510)은 지표로부터 지중에 관통 형성되어, 지표 상으로 취출될 수 있는 지열 교환수가 모여 있는 것이고, 상기 취출관(520)은 상기 취출 관정(510)에 모인 지열 교환수를 수요처 쪽으로 공급하는 배관이다.
상기 함양 관정(515)은 상기 취출 관정(510)과 별도로 이격된 위치에 지표로부터 지중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수요처 쪽으로 공급되었던 지열 교환수가 지중으로 함양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함양관(521)은 상기 수요처 쪽으로 공급되었던 지열 교환수를 지중으로 함양하는 배관이다.
상기 연결관(563)은 상기 취출관(520)과 상기 함양관(521)을 연결해주는 것이다.
상기 연결관(563) 상에는 열교환기(570)가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기(570)에는 상기 열교환기(570)와 수요처를 연결하여 물 등의 수요처 순환 매체가 상기 열교환기(570)와 상기 수요처 사이를 순환하도록 하는 수요처 순환 배관(571)이 연결된다. 그러면, 상기 연결관(563)을 따라 상기 취출관(520)으로부터 상기 함양관(521) 쪽으로 유동되던 지열 교환수와 상기 수요처 순환 배관(571)을 따라 순환되던 수요처 순환 매체가 열교환되어, 지열이 상기 수요처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도면 번호 572는 상기 수요처 순환 배관(571) 상에 설치되어, 상기 수요처 순환 배관(571)을 따라 상기 수요처 순환 매체가 순환되도록 하는 수요처 순환 펌프이다.
상기 저장측 유입관(567)은 상기 연결관(563)에서 분지되어, 상기 연결관(563)을 따라 상기 수요처 쪽으로부터 상기 함양 관정(515)으로 향하던 지열 교환수 중 일부가 분지되어 유동될 수 있는 관이고, 상기 저장 탱크(560)는 상기 저장측 유입관(567)을 통해 유동되는 지열 교환수가 저장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저장측 유출관(561)은 상기 저장 탱크(560)와 상기 함양관(521)을 연결하여, 상기 함양 관정(515) 내로의 추가적인 함양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저장 탱크(560)에 저장된 지열 교환수를 상기 함양관(521)을 통해 상기 함양 관정(515)으로 공급해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저장측 유출관(561) 상에는 저장측 펌프(562)가 설치되어, 상기 저장 탱크(560) 내의 지열 교환수가 상기 저장측 유출관(561)을 통해 상기 함양관(521) 쪽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측 펌프(562)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저장 탱크(560) 내의 지열 교환수가 상기 함양관(521) 쪽으로 공급되는 것으로 제시되나, 이 외에도, 상기 저장 탱크(560) 하부와 상기 함양관(521)을 자연 배수관(미도시)으로 연결하고, 상기 저장 탱크(560) 내부의 지열 교환수의 자중에 의해 상기 자연 배수관을 통해 상기 함양관(521)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함양 관정(515)에는 상기 함양관(521)과 별도로 함양측 토출관(516)이 설치된다.
상기 함양측 토출관(516)은 상기 함양 관정(515)과 상기 연결관(563)을 연결하여, 상기 함양 관정(515)의 지열 교환수를 상기 연결관(563)으로 유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함양관(521) 토출관 상에는 함양측 토출 펌프(517)가 설치되어, 상기 함양측 토출 펌프(517)의 작동에 따라 상기 함양 관정(515) 내의 지열 교환수가 상기 연결관(563)으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도면 번호 518은 상기 함양측 토출관(516)을 개폐시킬 수 있는 토출측 개폐 밸브이고, 도면 번호 519는 상기 취출관(520)을 개폐시킬 수 있는 취출측 개폐 밸브이다. 상기 토출측 개폐 밸브(518)가 열리고 상기 취출측 개폐 밸브(519)가 닫히면, 상기 함양측 토출관(516)을 통해 유동되는 지열 교환수가 상기 열교환기(570) 쪽으로 유동되고, 상기 토출측 개폐 밸브(518)가 닫히고 상기 취출측 개폐 밸브(519)가 열리면, 상기 취출관(520)을 통해 유동되는 지열 교환수가 상기 열교환기(570) 쪽으로 유동될 수 있게 된다.
도면 번호 566은 역류관(523)을 개폐시키는 역류측 개폐 밸브이고, 도면 번호 565는 상기 연결관(563)에서 상기 함양관(521)과 상기 저장측 유입관(567)이 분지되기 전의 부분을 개폐시키는 열교환측 개폐 밸브이고, 도면 번호 564는 상기 저장측 유입관(567)을 개폐시키는 저장측 개폐 밸브이다.
상기 저장측 유출관(561)을 통해 상기 저장 탱크(560) 내의 지열 교환수가 상기 함양관(521) 내로 유입될 때에는, 상기 열교환측 개폐 밸브(565)와 상기 저장측 개폐 밸브(564)가 모두 닫혀, 상기 지열 교환수가 상기 함양관(521) 쪽으로 유동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관정 열취득 시스템(500)의 운전 중에는, 상기 취출관(520)을 통해 상기 수요처 쪽으로, 상세히는 상기 열교환기(570)를 경유하도록 유동된 지열 교환수 중의 일부(예를 들어 20%)가 상기 저장측 유입관(567)을 통해 상기 저장 탱크(560) 내로 유입되어 상기 저장 탱크(560) 내에 저장된다. 그러면, 상기 취출 관정(510)에서 취출되는 지열 교환수의 양에 비해 상기 함양 관정(515)으로 함양되는 지열 교환수의 양이 적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함양 관정(515)에서 대수층을 통해 상기 취출 관정(510)으로 환원되는 지열 교환수의 양도 그만큼 부족해지게 되어, 그 부족해지는 지열 교환수의 양만큼 상기 취출 관정(510) 주변의 지하수가 상기 취출 관정(510)으로 추가 유입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관정 열취득 시스템(500)의 운전 휴지기 중에는, 상기 저장 탱크(560) 내에 저장된 지열 교환수가 상기 저장측 유출관(561) 및 상기 함양관(521)을 통해 상기 함양 관정(515) 내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관정 열취득 시스템(500)이 취출 관정(510); 취출관(520); 함양 관정(515); 함양관(521); 연결관(563); 저장측 유입관(567); 저장 탱크(560); 및 저장측 유출관(561);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관정 열취득 시스템(500)의 운전 중에는, 상기 취출 관정(510) 주변의 지하수 활용이 가능해지고, 상기 관정 열취득 시스템(500)의 운전 휴지기 중에는, 상기 함양 관정(515) 내로 부족한 지열 교환수를 보충해줄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관정 열취득 시스템이 적용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관정 열취득 시스템(600)은 제 1 취출 함양 관정(610)과, 제 1 취출관(620)과, 제 2 취출 함양 관정(615)과, 제 2 취출관(616)과, 제 1 취출 연장관(682)과, 제 2 취출 연장관(683)과, 열교환 합지관(681)과, 필터 부재(680)와, 열교환기(670)와, 수요처측 히트 펌프(630)와, 유동량 증가관(690)과, 제 1 합지 취출 연결관(684)과, 제 2 합지 취출 연결관(686)과, 제 1 함양관(623)과, 제 1 함양 삼방 밸브(697)와, 제 2 함양관(621)과, 제 2 함양 삼방 밸브(696)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취출 함양 관정(610)은 지표로부터 지중에 관통 형성되어, 지열 교환수를 취출하거나 상기 지열 교환수가 함양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1 취출관(620)은 상기 제 1 취출 함양 관정(610)에 모인 상기 지열 교환수를 취출하는 배관이다. 도면 번호 601은 상기 제 1 취출관(620)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취출 함양 관정(610) 내의 지열 교환수를 상기 제 1 취출관(620)을 통해 외부로 취출시키는 제 1 취출 펌프이다.
상기 제 2 취출 함양 관정(615)은 상기 제 1 취출 함양 관정(610)과 이격되도록 지표로부터 지중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지열 교환수를 취출하거나 상기 지열 교환수가 함양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2 취출관(616)은 상기 제 2 취출 함양 관정(615)에 모인 상기 지열 교환수를 취출하는 배관이다. 도면 번호 617은 상기 제 2 취출관(616)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취출 함양 관정(615) 내의 지열 교환수를 상기 제 2 취출관(616)을 통해 외부로 취출시키는 제 2 취출 펌프이다.
상기 제 1 취출 연장관(682)은 상기 제 1 취출관(620)에서 상기 열교환 합지관(681) 쪽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도면 번호 682a는 상기 제 1 취출 연장관(682)을 개폐시킬 수 있는 제 1 취출 연장 개폐 밸브이다.
상기 제 2 취출 연장관(683)은 상기 제 2 취출관(616)에서 상기 열교환 합지관(681) 쪽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도면 번호 683a는 상기 제 2 취출 연장관(683)을 개폐시킬 수 있는 제 2 취출 연장 개폐 밸브이다.
상기 열교환 합지관(681)은 상기 제 1 취출 연장관(682)과 상기 제 2 취출 연장관(683)이 합지되는 것이다.
상기 필터 부재(680)는 상기 열교환 합지관(681) 상에 배치되어, 상기 열교환 합지관(681)을 따라 유동되는 상기 지열 교환수를 필터링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필터 부재(680)가 상기 열교환 합지관(681)을 따라 유동되는 지열 교환수를 필터링함에 따라, 상기 제 1 취출 함양 관정(610)과 상기 제 2 취출 함양 관정(615) 내의 벽면에 미생물 등이 번식하여 함양공의 미세공을 막는 코르깅 레이어 형성이 최호화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열교환기(670)는 상기 필터 부재(680)를 경유한 상기 지열 교환수가 경유되며 열교환되는 것이다.
상기 수요처측 히트 펌프(630)는 상기 열교환기(670)에서 상기 지열 교환수와 열교환된 순환 냉매가 유동되는 것으로, 상기 수요처측 히트 펌프(630)에서 수요처로 향하는 배관(605)과 상기 수요처에서 인입되는 배관(606)을 따라 상기 수요처측 히트 펌프(630)의 열기가 상기 수요처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도면 번호 607은 상기 수요처측 히트 펌프(630)와 상기 수요처 사이의 냉매 순환을 이루는 수요처측 펌프이다.
상기 열교환기(670)와 상기 수요처측 히트 펌프(630) 사이에는 순환 냉매가 순환되는 폐루프(671)가 형성되고, 상기 폐루프(671) 상에는 순환 펌프(672)가 설치된다.
상기 유동량 증가관(690)은 상기 제 1 취출관(620)과 상기 제 2 취출관(616)을 서로 연결해주는 것이다.
상기 제 1 합지 취출 연결관(684)은 상기 열교환 합지관(681)과 상기 제 1 취출관(620)을 연결해주는 것이다. 도면 번호 684a는 상기 제 1 합지 취출 연결관(684)을 개폐시킬 수 있는 제 1 합지 취출 연결 개폐 밸브이다.
상기 제 2 합지 취출 연결관(686)은 상기 열교환 합지관(681)과 상기 제 2 취출관(616)을 연결해주는 것이다. 도면 번호 686a는 상기 제 2 합지 취출 연결관(686)을 개폐시킬 수 있는 제 2 합지 취출 연결 개폐 밸브이다.
상기 제 1 함양관(623)은 상기 유동량 증가관(690)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1 취출 함양 관정(610)으로 상기 지열 교환수를 함양하는 배관이다.
상기 제 1 함양 삼방 밸브(697)는 상기 유동량 증가관(690)과 상기 제 1 함양관(623)을 서로 연결해주어, 상기 유동량 증가관(690)을 통해 유동된 지열 교환수가 요구되는 비율로 상기 제 1 함양관(623)과 상기 제 1 취출관(620) 쪽으로 분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2 함양관(621)은 상기 유동량 증가관(690)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2 취출 함양 관정(615)으로 상기 지열 교환수를 함양하는 배관이다.
상기 제 2 함양 삼방 밸브(696)는 상기 유동량 증가관(690)과 상기 제 2 함양관(621)을 서로 연결해주어, 상기 유동량 증가관(690)을 통해 유동된 지열 교환수가 요구되는 비율로 상기 제 2 함양관(621)과 상기 제 2 취출관(616) 쪽으로 분배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취출 함양 관정(610)에서 상기 지열 교환수가 취출되면, 상기 제 1 취출 함양 관정(610)에서 취출된 상기 지열 교환수는 상기 제 1 취출관(620), 상기 제 1 취출 연장관(682) 및 상기 열교환 합지관(681)을 통해 유동되면서 상기 필터 부재(680)와 상기 열교환기(670)를 경유한 다음 상기 제 2 합지 취출 연결관(686)과 상기 제 2 함양관(621)을 따라 유동되어 상기 제 2 취출 함양 관정(615)으로 함양된다.
이 때, 상기 제 1 취출 연장 개폐 밸브(682a)와 상기 제 2 합지 취출 연결 개폐 밸브(686a)는 열리고, 상기 제 2 취출 연장 개폐 밸브(683a)와 상기 제 1 합지 취출 연결 개폐 밸브(684a)는 닫힌다.
여기서, 상기 제 2 함양관(621)을 향해 유동되던 상기 지열 교환수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유동량 증가관(690)을 따라 유동되면, 상기 유동량 증가관(690)을 따라 유동된 상기 지열 교환수가 상기 제 1 취출관(620)으로 유입됨으로써, 상기 제 1 취출관(620)을 통해 유동되는 상기 지열 교환수의 유동량이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취출 함양 관정(615)에서 상기 지열 교환수가 취출되면, 상기 제 2 취출 함양 관정(615)에서 취출된 상기 지열 교환수는 상기 제 2 취출관(616), 상기 제 2 취출 연장관(683) 및 상기 열교환 합지관(681)을 통해 유동되면서 상기 필터 부재(680)와 상기 열교환기(670)를 경유한 다음 상기 제 1 합지 취출 연결관(684)과 상기 제 1 함양관(623)을 따라 유동되어 상기 제 1 취출 함양 관정(610)으로 함양된다.
이 때, 상기 제 2 취출 연장 개폐 밸브(683a)와 상기 제 1 합지 취출 연결 개폐 밸브(684a)는 열리고, 상기 제 1 취출 연장 개폐 밸브(682a)와 상기 제 2 합지 취출 연결 개폐 밸브(686a)는 닫힌다.
여기서, 상기 제 1 함양관(623)을 향해 유동되던 상기 지열 교환수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유동량 증가관(690)을 따라 유동되면, 상기 유동량 증가관(690)을 따라 유동된 상기 지열 교환수가 상기 제 2 취출관(616)으로 유입됨으로써, 상기 제 2 취출관(616)을 통해 유동되는 상기 지열 교환수의 유동량이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취출 함양 관정(610)에서의 상기 지열 교환수가 취출 과정과 상기 제 2 취출 함양 관정(615)에서의 상기 지열 교환수가 취출 과정이 서로 교대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취출 함양 관정(610)에서의 상기 지열 교환수가 취출 과정과 상기 제 2 취출 함양 관정(615)에서의 상기 지열 교환수가 취출 과정은 하루에 1번씩 교번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취출 함양 관정(610)을 통해 유동되는 상기 지열 교환수의 유동량 증가 과정과, 상기 제 2 취출 함양 관정(615)을 통해 유동되는 상기 지열 교환수의 유동량 증가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관정 열취득 시스템(600)은 함양 분지 펌프(691)와, 제 1 바이패스관(692)과, 제 2 바이패스관(693)을 더 포함한다.
상기 함양 분지 펌프(691)는 상기 유동량 증가관(690) 상에 설치되어, 상기 유동량 증가관(690)을 통해 일 방향, 예를 들어 상기 제 2 함양관(621) 쪽에서 상기 제 1 함양관(623) 쪽으로 상기 지열 교환수를 유동시킨다.
상기 제 1 바이패스관(692)은 상기 함양 분지 펌프(691)를 우회하여, 상기 함양 분지 펌프(691)의 양 측에서 상기 유동량 증가관(690)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유동량 증가관(690)을 따라 유동되는 상기 지열 교환수가 상기 함양 분지 펌프(691)를 우회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2 바이패스관(693)은 상기 함양 분지 펌프(691)를 우회하여, 상기 유동량 증가관(690)에서 상기 제 2 함양 삼방 밸브(696) 쪽으로 상기 제 1 바이패스관(692)이 연결된 지점과 상기 함양 분지 펌프(691) 사이 부분 및 상기 유동량 증가관(690)에서 상기 제 1 함양 삼방 밸브(697) 쪽으로 상기 제 1 바이패스관(692)이 연결된 지점과 상기 제 1 함양 삼방 밸브(697) 사이 부분을 연결함으로써, 상기 유동량 증가관(690)을 따라 유동되는 상기 지열 교환수가 상기 함양 분지 펌프(691)를 우회할 수 있도록 한다.
도면 번호 695는 상기 유동량 증가관(690)에서 상기 제 1 함양 삼방 밸브(697) 쪽으로 상기 제 1 바이패스관(692)과 상기 제 2 바이패스관(693)이 연결된 지점 사이를 개폐시킬 수 있는 제 1 바이패스 개폐 밸브이다.
도면 번호 694는 상기 유동량 증가관(690)에서 상기 제 2 함양 삼방 밸브(696) 쪽으로 상기 제 1 바이패스관(692)과 상기 제 2 바이패스관(693)이 연결된 지점 사이를 개폐시킬 수 있는 제 2 바이패스 개폐 밸브이다.
상기 제 1 취출 함양 관정(610)에서 취출된 상기 지열 교환수가 상기 열교환기(670)를 경유한 다음 상기 제 2 합지 취출 연결관(686)과 상기 제 2 함양관(621)을 따라 유동되어 상기 제 2 취출 함양 관정(615)으로 함양될 때, 상기 제 2 함양 삼방 밸브(696)를 경유하여 상기 제 2 함양관(621)으로 유동되는 상기 지열 교환수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함양 분지 펌프(691)의 작동에 따라 상기 유동량 증가관(690)을 통해 상기 제 1 함양 삼방 밸브(697)를 경유한 다음 상기 제 1 취출관(620)으로 유동되어, 상기 제 1 취출 함양 관정(610)으로부터 상기 제 1 취출관(620)을 통해 유동되는 상기 지열 교환수와 합류됨으로써, 상기 제 1 취출관(620)을 통한 상기 지열 교환수의 유동량이 증대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바이패스 개폐 밸브(695)와 상기 제 2 바이패스 개폐 밸브(694)는 모두 열린다.
한편, 상기 제 2 취출 함양 관정(615)에서 취출된 상기 지열 교환수가 상기 열교환기(670)를 경유한 다음 상기 제 1 합지 취출 연결관(684)과 상기 제 1 함양관(623)을 따라 유동되어 상기 제 1 취출 함양 관정(610)으로 함양될 때, 상기 제 1 함양 삼방 밸브(697)를 경유하여 상기 제 1 함양관(623)으로 유동되는 상기 지열 교환수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함양 분지 펌프(691)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 2 바이패스관(693), 상기 함양 분지 펌프(691), 상기 제 1 바이패스관(692) 및 상기 유동량 증가관(690)을 통해 상기 제 2 함양 삼방 밸브(696)를 경유한 다음 상기 제 2 취출관(616)으로 유동되어, 상기 제 2 취출 함양 관정(615)으로부터 상기 제 2 취출관(616)을 통해 유동되는 상기 지열 교환수와 합류됨으로써, 상기 제 2 취출관(616)을 통한 상기 지열 교환수의 유동량이 증대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바이패스 개폐 밸브(695)와 상기 제 2 바이패스 개폐 밸브(694)는 모두 닫힌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상기 제 1 취출 함양 관정(610)을 통해 유동되는 상기 지열 교환수의 유동량 증가 과정과, 상기 제 2 취출 함양 관정(615)을 통해 유동되는 상기 지열 교환수의 유동량 증가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정 열취득 시스템(600)이 저장측 유입관(664)과, 저장 탱크(660)와, 저장측 유출관(662)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저장측 유입관(664)은 상기 열교환 합지관(681)에서 분지되어, 상기 열교환 합지관(681)을 따라 유동되던 상기 지열 교환수 중 일부가 분지되어 유동될 수 있는 배관이다.
상기 저장 탱크(660)는 상기 저장측 유입관(664)을 통해 유동되는 지열 교환수가 저장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저장측 유출관(662)은 상기 열교환 합지관(681)에 합지되어, 상기 열교환 합지관(681)에 대한 상기 지열 교환수의 추가적인 함양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저장 탱크(660)에 저장된 지열 교환수를 상기 열교환 합지관(681)으로 공급해줄 수 있는 배관이다.
여기서, 상기 저장측 유입관(664)과 상기 저장측 유출관(662)은 저장측 원관(685)에서 분지 및 합지되고, 상기 저장측 원관(685)이 상기 열교환 합지관(681)에 연결된 것으로 제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상기 저장측 유입관(664)과 상기 저장측 유출관(662)이 상기 열교환 합지관(681)에 개별적으로 분지 및 합지될 수도 있다.
도면 번호 665는 상기 저장측 유입관(664)을 개폐시킬 수 있는 저장측 유입 개폐 밸브이고, 도면 번호 663은 상기 저장측 유출관(662)을 개폐시킬 수 있는 저장측 유출 개폐 밸브이고, 도면 번호 661은 상기 저장 탱크(660)에서 지열 교환수가 유출되어 상기 저장측 유출관(662)을 통해 유동되도록 하는 저장 유출 펌프이고, 도면 번호 666은 상기 저장측 유출관(662)을 통해 유동되는 지열 교환수를 필터링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취출 함양 관정(610)에서의 상기 지열 교환수가 취출 과정과 상기 제 2 취출 함양 관정(615)에서의 상기 지열 교환수가 취출 과정 중 상기 저장측 유입 개폐 밸브(665)가 열리면, 상기 열교환 합지관(681)을 통해 유동되던 지열 교환수 중 일부가 상기 저장측 유입관(664)을 통해 상기 저장 탱크(660)에 유입되어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저장 탱크(660)에 저장되어 있던 지열 교환수는 상기 저장측 유출 개폐 밸브(663)가 열리고, 상기 저장 유출 펌프(661)가 작동됨으로써, 상기 저장 탱크(660)에서 유출되어 상기 열교환 합지관(681)으로 유동되고, 그에 따라 상기 열교환 합지관(681)을 따라 유동되는 지열 교환수의 유동량을 증가시켜, 상기 제 1 취출 함양 관정(610)에서의 상기 지열 교환수가 취출 과정과 상기 제 2 취출 함양 관정(615)에서의 상기 지열 교환수가 취출 과정에서의 지열 교환수의 유동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관정 열취득 시스템을 이용한 이중 수막 하우스 시설을 구성하는 성에 제거용 배관 부재가 부풀어오른 상태를 보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관정 열취득 시스템을 이용한 이중 수막 하우스 시설을 구성하는 성에 제거용 배관 부재가 수축된 상태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 하우스 내면에 형성된 성에가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하우스와 내부 하우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외부 하우스와 상기 내부 하우스 사이 공간에 온풍을 공급할 수 있는 온풍 공급 부재(740)를 포함하고, 상기 온풍 공급 부재(740)는 온풍 공급 몸체(741)와, 지지체(743)를 포함한다.
상기 온풍 공급 몸체(741)는 외부에서 공급된 온풍이 내부를 따라 유동되다가 상기 외부 하우스와 상기 내부 하우스 사이 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온풍 토출홀(742)이 형성된 것이다.
태양광 투과가 가능하도록 상기 온풍 공급 몸체(741)는 원통형의 투명 비닐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 하우스와 상기 내부 하우스 사이를 따라 길게 배치된다.
상기 지지체(743)는 상기 온풍 공급 몸체(741)를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온풍 공급 몸체(741)의 내측 상부를 따라 길게 연결되며, 상기 내부 하우스, 지면 등에 연결되어 세워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풍 공급 몸체(741)가 온풍에 의해 부풀어있다가, 온풍 공급이 중단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체(743)에 상기 온풍 공급 몸체(741) 내측 상단면이 걸쳐지면서 상기 온풍 공급 몸체(741)의 자중에 의해 늘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관정 열취득 시스템 및 상기 관정 열취득 시스템을 이용한 이중 수막 하우스 시설에 의하면, 수요처의 수요량이 증대되는 경우 그 증대된 수요량에 신속하게 대응될 수 있고, 외부 하우스 내면에 형성된 성에가 신속히 제거되어 태양광 흡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열취득 시스템
105 : 삼방밸브
110 : 취출 관정
115 : 함양 관정
120 : 취출관
121 : 함양관
122 : 분지관
124 : 합지관

Claims (10)

  1. 지표로부터 지중에 관통 형성되어, 지표 상으로 취출될 수 있는 지열 교환수가 모여 있는 취출 관정;
    상기 취출 관정과 수요처를 연결하여, 상기 취출 관정에 모인 지열 교환수를 상기 수요처로 공급하는 배관인 취출관;
    상기 취출 관정과 별도로 이격된 위치에 지표로부터 지중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수요처를 경유한 지열 교환수가 지중으로 함양될 수 있는 함양 관정;
    상기 함양 관정과 상기 수요처를 연결하여, 상기 수요처를 경유한 지열 교환수를 지중으로 함양하는 배관인 함양관;
    상기 함양관에서 분지되어, 상기 함양관을 따라 상기 수요처로부터 상기 함양 관정으로 향하던 지열 교환수가 분지될 수 있는 분지관;
    상기 분지관과 상기 취출관을 연결하여, 상기 분지관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를 상기 취출관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와 합지되도록 하는 합지관; 및
    상기 분지관과 상기 합지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분지관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가 상기 합지관으로 유동되는 양을 조절하는 삼방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수요처에서 상기 지열 교환수에 대한 수요량이 증대되는 경우, 상기 삼방밸브가 상기 분지관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를 상기 합지관으로 유동시켜 주어, 상기 합지관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가 상기 취출관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와 합해져서 상기 수요처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정 열취득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정 열취득 시스템은
    상기 함양 관정에 설치되는 관정 케이스 하단에 설치되어, 지중의 수분에 의해 상기 관정 케이스 하단으로부터 일정 깊이까지 부풀어오름으로써, 상기 함양 관정을 통해 함양된 지열 교환수의 상기 관정 케이스 하단을 통한 역류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수팽창 지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정 열취득 시스템.
  3. 투명 비닐로 이루어지는 외부 하우스;
    상기 외부 하우스 내부에 상기 외부 하우스 내면과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투명 비닐로 이루어져서, 내부에 작물이 생육될 수 있는 내부 하우스;
    지표로부터 지중에 관통 형성되어, 지표 상으로 취출될 수 있는 지열 교환수가 모여 있는 취출 관정;
    상기 내부 하우스 외면에 지열 교환수를 분사해줄 수 있는 분사 노즐 부재;
    상기 취출 관정과 상기 분사 노즐 부재를 연결하여, 상기 취출 관정에 모인 지열 교환수를 상기 분사 노즐 부재로 공급하는 배관인 취출관;
    상기 분사 노즐 부재에 의해 상기 내부 하우스 외면에 분사되었다가 상기 내부 하우스 외면을 따라 흘러내린 지열 교환수가 수집되는 집수 부재;
    상기 집수 부재에 수집된 지열 교환수가 유동되는 배관인 집수 유동관;
    상기 취출 관정과 별도로 이격된 위치에 지표로부터 지중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분사 노즐 부재를 통해 분사되어 상기 내부 하우스 외면을 경유한 지열 교환수가 지중으로 함양될 수 있는 함양 관정;
    상기 집수 유동관과 상기 함양 관정을 연결하여, 상기 집수 유동관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를 지중으로 함양하는 배관인 함양관;
    상기 함양관에서 분지되어, 상기 함양관을 따라 상기 집수 유동관으로부터 상기 함양 관정으로 향하던 지열 교환수가 분지될 수 있는 분지관;
    상기 분지관과 상기 취출관을 연결하여, 상기 분지관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를 상기 취출관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와 합지되도록 하는 합지관; 및
    상기 분지관과 상기 합지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분지관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가 상기 합지관으로 유동되는 양을 조절하는 삼방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 노즐 부재에서 상기 지열 교환수에 대한 수요량이 증대되는 경우, 상기 삼방밸브가 상기 분지관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를 상기 합지관으로 유동시켜 주어, 상기 합지관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가 상기 취출관을 따라 유동된 지열 교환수와 합해져서 상기 분사 노즐 부재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수막 하우스 시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수막 하우스 시설은
    상기 외부 하우스 내면에 형성된 성에가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하우스와 상기 내부 하우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외부 하우스와 상기 내부 하우스 사이 공간에 온풍을 공급할 수 있는 온풍 공급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수막 하우스 시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온풍 공급 부재는
    외부에서 공급된 온풍이 내부를 따라 유동되다가 상기 외부 하우스와 상기 내부 하우스 사이 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온풍 토출홀이 형성된 온풍 공급 몸체와,
    상기 온풍 공급 몸체를 지지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와 이격되도록 상기 온풍 공급 몸체에 연결된 무게추를 포함하고,
    태양광 투과가 가능하도록 상기 온풍 공급 몸체는 투명 비닐로 이루어지며,
    상기 온풍 공급 몸체를 따라 온풍이 유동되면, 상기 온풍 공급 몸체를 따라 유동되는 온풍의 압력에 의해 상기 온풍 공급 몸체가 부풀어오르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무게추는 상기 온풍 공급 몸체에 매달린 상태로 허공에 부상하게 되고,
    상기 온풍 공급 몸체를 따른 온풍 유동이 중지되면, 상기 무게추의 하중에 의해 상기 온풍 공급 몸체가 접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수막 하우스 시설.
  6. 지표로부터 지중에 관통 형성되어, 지표 상으로 취출될 수 있는 지열 교환수가 모여 있는 취출 관정;
    상기 취출 관정에 모인 지열 교환수를 수요처 쪽으로 공급하는 배관인 취출관;
    상기 취출 관정과 별도로 이격된 위치에 지표로부터 지중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수요처 쪽으로 공급되었던 지열 교환수가 지중으로 함양될 수 있는 함양 관정;
    상기 수요처 쪽으로 공급되었던 지열 교환수를 지중으로 함양하는 배관인 함양관;
    상기 취출관과 상기 함양관을 연결해주는 연결관;
    상기 연결관에서 분지되어, 상기 연결관을 따라 상기 수요처 쪽으로부터 상기 함양 관정으로 향하던 지열 교환수 중 일부가 분지되어 유동될 수 있는 저장측 유입관;
    상기 저장측 유입관을 통해 유동되는 지열 교환수가 저장될 수 있는 저장 탱크; 및
    상기 함양관과 연결되어, 상기 함양 관정 내로의 추가적인 함양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저장 탱크에 저장된 지열 교환수를 상기 함양관을 통해 상기 함양 관정으로 공급해줄 수 있는 저장측 유출관;을 포함하는 관정 열취득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정 열취득 시스템의 운전 중에는, 상기 취출 관정에서 취출되는 지열 교환수의 양에 비해 상기 함양 관정으로 함양되는 지열 교환수의 양이 적어지도록 하여 상기 취출 관정 주변의 지하수가 상기 취출 관정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취출 관정을 통해 상기 수요처 쪽으로 유동된 지열 교환수 중의 일부가 상기 저장측 유입관을 통해 상기 저장 탱크 내로 유입되어 상기 저장 탱크 내에 저장되고,
    상기 관정 열취득 시스템의 운전 휴지기 중에는, 상기 저장 탱크 내에 저장된 지열 교환수가 상기 저장측 유출관 및 상기 함양관을 통해 상기 함양 관정 내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정 열취득 시스템.
  8. 지표로부터 지중에 관통 형성되어, 지열 교환수를 취출하거나 상기 지열 교환수가 함양될 수 있는 제 1 취출 함양 관정;
    상기 제 1 취출 함양 관정에 모인 상기 지열 교환수를 취출하는 배관인 제 1 취출관;
    상기 제 1 취출 함양 관정과 이격되도록 지표로부터 지중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지열 교환수를 취출하거나 상기 지열 교환수가 함양될 수 있는 제 2 취출 함양 관정;
    상기 제 2 취출 함양 관정에 모인 상기 지열 교환수를 취출하는 배관인 제 2 취출관;
    상기 제 1 취출관에서 연장되는 제 1 취출 연장관;
    상기 제 2 취출관에서 연장되는 제 2 취출 연장관;
    상기 제 1 취출 연장관과 상기 제 2 취출 연장관이 합지되는 열교환 합지관;
    상기 열교환 합지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열교환 합지관을 따라 유동되는 상기 지열 교환수를 필터링하는 필터 부재;
    상기 필터 부재를 경유한 상기 지열 교환수가 경유되며 열교환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에서 상기 지열 교환수와 열교환된 순환 냉매가 유동되는 수요처측 히트 펌프;
    상기 제 1 취출관과 상기 제 2 취출관을 서로 연결해주는 유동량 증가관;
    상기 열교환 합지관과 상기 제 1 취출관을 연결해주는 제 1 합지 취출 연결관;
    상기 열교환 합지관과 상기 제 2 취출관을 연결해주는 제 2 합지 취출 연결관;
    상기 유동량 증가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1 취출 함양 관정으로 상기 지열 교환수를 함양하는 배관인 제 1 함양관;
    상기 유동량 증가관과 상기 제 1 함양관을 서로 연결해주는 제 1 함양 삼방 밸브;
    상기 유동량 증가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 2 취출 함양 관정으로 상기 지열 교환수를 함양하는 배관인 제 2 함양관; 및
    상기 유동량 증가관과 상기 제 2 함양관을 서로 연결해주는 제 2 함양 삼방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취출 함양 관정에서 상기 지열 교환수가 취출되면, 상기 제 1 취출 함양 관정에서 취출된 상기 지열 교환수는 상기 제 1 취출관, 상기 제 1 취출 연장관 및 상기 열교환 합지관을 통해 유동되면서 상기 필터 부재와 상기 열교환기를 경유한 다음 상기 제 2 합지 취출 연결관과 상기 제 2 함양관을 따라 유동되어 상기 제 2 취출 함양 관정으로 함양되고,
    상기 제 2 함양관을 향해 유동되던 상기 지열 교환수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유동량 증가관을 따라 유동되면, 상기 유동량 증가관을 따라 유동된 상기 지열 교환수가 상기 제 1 취출관으로 유입됨으로써, 상기 제 1 취출관을 통해 유동되는 상기 지열 교환수의 유동량이 증가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제 2 취출 함양 관정에서 상기 지열 교환수가 취출되면, 상기 제 2 취출 함양 관정에서 취출된 상기 지열 교환수는 상기 제 2 취출관, 상기 제 2 취출 연장관 및 상기 열교환 합지관을 통해 유동되면서 상기 필터 부재와 상기 열교환기를 경유한 다음 상기 제 1 합지 취출 연결관과 상기 제 1 함양관을 따라 유동되어 상기 제 1 취출 함양 관정으로 함양되고,
    상기 제 1 함양관을 향해 유동되던 상기 지열 교환수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유동량 증가관을 따라 유동되면, 상기 유동량 증가관을 따라 유동된 상기 지열 교환수가 상기 제 2 취출관으로 유입됨으로써, 상기 제 2 취출관을 통해 유동되는 상기 지열 교환수의 유동량이 증가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제 1 취출 함양 관정에서의 상기 지열 교환수가 취출 과정과 상기 제 2 취출 함양 관정에서의 상기 지열 교환수가 취출 과정이 서로 교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정 열취득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정 열취득 시스템은
    상기 유동량 증가관을 통해 일 방향으로 상기 지열 교환수를 유동시키는 함양 분지 펌프;
    상기 함양 분지 펌프를 우회하여, 상기 함양 분지 펌프의 양 측에서 상기 유동량 증가관을 연결하는 제 1 바이패스관; 및
    상기 함양 분지 펌프를 우회하여, 상기 유동량 증가관에서 상기 제 2 함양 삼방 밸브 쪽으로 상기 제 1 바이패스관이 연결된 지점과 상기 함양 분지 펌프 사이 부분 및 상기 유동량 증가관에서 상기 제 1 함양 삼방 밸브 쪽으로 상기 제 1 바이패스관이 연결된 지점과 상기 제 1 함양 삼방 밸브 사이 부분을 연결하는 제 2 바이패스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취출 함양 관정에서 취출된 상기 지열 교환수가 상기 열교환기를 경유한 다음 상기 제 2 합지 취출 연장관과 상기 제 2 함양관을 따라 유동되어 상기 제 2 취출 함양 관정으로 함양될 때, 상기 제 2 함양 삼방 밸브를 경유하여 상기 제 2 함양관으로 유동되는 상기 지열 교환수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함양 분지 펌프의 작동에 따라 상기 유동량 증가관을 통해 상기 제 1 함양 삼방 밸브를 경유한 다음 상기 제 1 취출관으로 유동되어, 상기 제 1 취출 함양 관정으로부터 상기 제 1 취출관을 통해 유동되는 상기 지열 교환수와 합류됨으로써, 상기 제 1 취출관을 통한 상기 지열 교환수의 유동량이 증대될 수 있고,
    상기 제 2 취출 함양 관정에서 취출된 상기 지열 교환수가 상기 열교환기를 경유한 다음 상기 제 1 합지 취출 연장관과 상기 제 1 함양관을 따라 유동되어 상기 제 1 취출 함양 관정으로 함양될 때, 상기 제 1 함양 삼방 밸브를 경유하여 상기 제 1 함양관으로 유동되는 상기 지열 교환수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함양 분지 펌프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 2 바이패스관, 상기 함양 분지 펌프, 상기 제 1 바이패스관 및 상기 유동량 증가관을 통해 상기 제 2 함양 삼방 밸브를 경유한 다음 상기 제 2 취출관으로 유동되어, 상기 제 2 취출 함양 관정으로부터 상기 제 2 취출관을 통해 유동되는 상기 지열 교환수와 합류됨으로써, 상기 제 2 취출관을 통한 상기 지열 교환수의 유동량이 증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정 열취득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정 열취득 시스템은
    상기 열교환 합지관에서 분지되어, 상기 열교환 합지관을 따라 유동되던 상기 지열 교환수 중 일부가 분지되어 유동될 수 있는 저장측 유입관;
    상기 저장측 유입관을 통해 유동되는 지열 교환수가 저장될 수 있는 저장 탱크; 및
    상기 열교환 합지관에 합지되어, 상기 열교환 합지관에 대한 상기 지열 교환수의 추가적인 함양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저장 탱크에 저장된 지열 교환수를 상기 열교환 합지관으로 공급해줄 수 있는 저장측 유출관;을 포함하는 관정 열취득 시스템.
KR1020170039746A 2017-03-29 2017-03-29 관정 열취득 시스템 및 상기 관정 열취득 시스템을 이용한 이중 수막 하우스 시설 KR101957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746A KR101957226B1 (ko) 2017-03-29 2017-03-29 관정 열취득 시스템 및 상기 관정 열취득 시스템을 이용한 이중 수막 하우스 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746A KR101957226B1 (ko) 2017-03-29 2017-03-29 관정 열취득 시스템 및 상기 관정 열취득 시스템을 이용한 이중 수막 하우스 시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358A true KR20180110358A (ko) 2018-10-10
KR101957226B1 KR101957226B1 (ko) 2019-03-12

Family

ID=63875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9746A KR101957226B1 (ko) 2017-03-29 2017-03-29 관정 열취득 시스템 및 상기 관정 열취득 시스템을 이용한 이중 수막 하우스 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722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4566A (zh) * 2019-01-17 2019-05-17 北京泰利新能源科技发展有限公司 地埋管换热器温度场强化平衡方法
KR20200100428A (ko) * 2019-02-18 2020-08-26 (주) 앤씨티 밸런싱 탱크를 이용한 지열 냉난방 시스템
KR20200102702A (ko) * 2019-02-22 2020-09-01 (주) 지명 직렬 연결이 가능한 지열 순환 시스템
KR20200104507A (ko) * 2019-02-27 2020-09-04 (주) 앤씨티 대수층 막힘에 대한 대응이 가능한 지열 교환 시스템
KR20210005822A (ko) * 2019-02-22 2021-01-15 (주) 지명 직렬 연결이 가능한 지열 순환 시스템
CN117267967A (zh) * 2023-10-09 2023-12-22 河南省地质研究院 地热抽采系统和地热尾水回灌系统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967Y1 (ko) 2001-03-24 2001-10-10 박성훈 이중구조의 조립식 비닐하우스
KR101032545B1 (ko) 2010-11-10 2011-05-06 한국수자원공사 개방형 및 폐쇄형 겸용 지열관정 및 이를 이용한 냉난방시스템
KR20120080063A (ko) * 2011-01-06 2012-07-16 (주) 앤씨티 지열 냉난방 장치
KR20120089058A (ko) * 2011-02-01 2012-08-09 최권식 난방 및 제설 기능을 향상시킨 다중구조의 비닐하우스
KR101297986B1 (ko) 2012-12-05 2013-08-26 (주) 신성이에스 우물 관정형 지열 교환 시스템
KR20130129722A (ko) * 2012-05-21 2013-11-29 주식회사 한국대체에너지 수팽창부재가 도포된 인케이싱을 이용한 개방형 지중열교환기의 시공방법
KR20150061264A (ko) * 2013-11-27 2015-06-04 한국농어촌공사 지하수 열을 이용한 수막재배 시설하우스용 수막용수 재활용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6967Y1 (ko) 2001-03-24 2001-10-10 박성훈 이중구조의 조립식 비닐하우스
KR101032545B1 (ko) 2010-11-10 2011-05-06 한국수자원공사 개방형 및 폐쇄형 겸용 지열관정 및 이를 이용한 냉난방시스템
KR20120080063A (ko) * 2011-01-06 2012-07-16 (주) 앤씨티 지열 냉난방 장치
KR20120089058A (ko) * 2011-02-01 2012-08-09 최권식 난방 및 제설 기능을 향상시킨 다중구조의 비닐하우스
KR20130129722A (ko) * 2012-05-21 2013-11-29 주식회사 한국대체에너지 수팽창부재가 도포된 인케이싱을 이용한 개방형 지중열교환기의 시공방법
KR101297986B1 (ko) 2012-12-05 2013-08-26 (주) 신성이에스 우물 관정형 지열 교환 시스템
KR20150061264A (ko) * 2013-11-27 2015-06-04 한국농어촌공사 지하수 열을 이용한 수막재배 시설하우스용 수막용수 재활용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4566A (zh) * 2019-01-17 2019-05-17 北京泰利新能源科技发展有限公司 地埋管换热器温度场强化平衡方法
KR20200100428A (ko) * 2019-02-18 2020-08-26 (주) 앤씨티 밸런싱 탱크를 이용한 지열 냉난방 시스템
KR20200102702A (ko) * 2019-02-22 2020-09-01 (주) 지명 직렬 연결이 가능한 지열 순환 시스템
KR20210005822A (ko) * 2019-02-22 2021-01-15 (주) 지명 직렬 연결이 가능한 지열 순환 시스템
KR20200104507A (ko) * 2019-02-27 2020-09-04 (주) 앤씨티 대수층 막힘에 대한 대응이 가능한 지열 교환 시스템
CN117267967A (zh) * 2023-10-09 2023-12-22 河南省地质研究院 地热抽采系统和地热尾水回灌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7226B1 (ko) 2019-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7226B1 (ko) 관정 열취득 시스템 및 상기 관정 열취득 시스템을 이용한 이중 수막 하우스 시설
KR101209092B1 (ko) 태양열과 지열을 이용한 무동력 비닐하우스의 난방장치
JP5991632B2 (ja) 地中蓄熱式暖冷房装置
CN101576324A (zh) 液体自驱动泵,流体加热和储藏装置及使用它们的流体加热系统
KR102187769B1 (ko) 공기열을 부가한 지열 하이브리드 냉난방 시스템
CN208095513U (zh) 一种空气凝水装置
KR20150084103A (ko) 온실하우스의 하이브리드 냉난방시스템
JP2010068748A (ja) 地中熱交換式温度管理装置
KR101057472B1 (ko) 순환식 수막난방장치
KR102092127B1 (ko) 다층재배용 점적강우관수 벙커식 비닐하우스 장치
CN102715040A (zh) 屋架太阳能集热式日光温室
KR101818574B1 (ko) 비닐하우스 또는 건축물의 시설작물의 재배지역에 지열이 공급되는 휀코일 냉,난방장치
CN107535241A (zh) 一种智能化温室大棚
CN106069380B (zh) 一种大棚降温系统及方法
CN109537674A (zh) 屋顶雨水集蓄利用系统
CN205922229U (zh) 一种太阳能供暖保温温室大棚
CN201766905U (zh) 大棚能量调控和循环系统
KR20170137677A (ko) 지열수에 의한 비닐하우스의 설치방법 및 시스템
CN206452873U (zh) 一种用于温室大棚夜间保温的储水装置
KR101289208B1 (ko) 축열자갈을 이용한 비닐하우스의 냉난방장치
CN105265239A (zh) 再次提高塑料大棚地下地上温度促进作物增产的太阳能热库
CN109539374A (zh) 太阳能-热泵耦合供热系统及运行方法
CN101893312A (zh) 利用冷凝水的空调器绿化降温装置
CN104488601A (zh) 一种具有蓄热作用的农业大棚骨架
CN106225320A (zh) 防洪大堤邻近区域的地热利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