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9302A - 모빌리티퍼스트 환경에서 서비스 체이닝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모빌리티퍼스트 환경에서 서비스 체이닝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9302A
KR20180109302A KR1020170038687A KR20170038687A KR20180109302A KR 20180109302 A KR20180109302 A KR 20180109302A KR 1020170038687 A KR1020170038687 A KR 1020170038687A KR 20170038687 A KR20170038687 A KR 20170038687A KR 20180109302 A KR20180109302 A KR 20180109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network
network domain
service chaining
mo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8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38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9302A/ko
Publication of KR20180109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93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41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relying on flow classification, e.g. using integrated services [IntSer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50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8End to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모빌리티퍼스트 네트워크 환경에서 서비스 체이닝을 수행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서비스 체이닝의 제공이 가능한 모빌리티퍼스트 네트워크는, 서비스 체이닝 정책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도메인 간 경로 제어를 위하여 GNRS를 제어하고, 네트워크 도메인 내의 경로 제어를 위하여 LSC를 제어하는 GSC; 서비스 체이닝 정책에 기초하여 통신 개체에 전달될 트래픽이 거쳐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도메인의 목록으로서, 통신 개체에 대한 네트워크 바인딩 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는 GNRS; 및 각자가 담당하는 네트워크 도메인 내에 유입된 트래픽이 서비스 체이닝 정책에 기초하여 거쳐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로 구성된 경로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LS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모빌리티퍼스트 환경에서 서비스 체이닝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service chaining in a mobility first environment}
본 발명은 정보 중심 네트워킹(ICN, Information Centric Networking) 환경에서의 서비스 체이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보 중심 네트워킹 기술 중 하나인 모빌리티퍼스트(Mobility First) 네트워크 환경에서 트래픽의 경로를 동적으로 제어하는 서비스 체이닝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 중심 네트워킹(Information Centric Networking, ICN)은 종단간 단말의 IP 주소를 중심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현재의 인터넷 패러다임을 정보 중심으로 재편하려는 미래 인터넷 기술 중 하나이다. 단말의 IP 주소가 단말의 위치(location) 정보에 종속적인 특성상 다양한 제약사항 초래하기 때문에, 위치에 종속적인 IP 주소가 아닌 위치 정보와 무관한 단말이나 컨텐츠 등의 식별자(Identification, ID)를 중심으로 또는 식별자와 위치 지정자(locator)를 분리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정보 중심 네트워킹 기술로는 다양한 기술들이 제안된 바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CCN(Content Centric Networking), NDN(Named Data Networking), MobilityFirst, DONA(Data Oriented Network Architecture), PURSUIT(Publish Subscribe Internet Routing Paradigm), SAIL(Scalable and Adaptive Internet Solutions), COMET(Content Mediator Architecture for Content-Aware Networks), CONVERGENCE 등이 있으며, 현재 NDN과 모빌리티퍼스트(MobilityFirst)에 대한 연구가 가장 활발하다. 현재 정보 중심 네트워킹이 IP 중심의 기존 인터넷 환경을 대체하지는 않았으나, 부분적으로 응용환경이나 또는 연구망을 중심으로 기술 개발이 지속되고 있다.
서비스 체이닝 기술은 정적인 네트워크 인프라를 프로그램할 수 있는(programmability) SDN(Software Defined Networking) 기술에 있어서 대표적인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송신측 단말에서 수신측 단말로 전달되는 트래픽에 대해 L2/L3 등의 네트워크 장치에서 패킷 헤더 정보(예, 5-tuple 정보)를 바탕으로 특정 트래픽 플로우(flow)를 분류하여 정책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특정 서비스 노드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다음, 종전의 목적지로 전달하는 동적 트래픽 경로 제어(steering) 기술이다.
앞으로 정보 중심 네트워킹 기술이 다양한 응용 환경이나 사설망 등의 로컬 네트워크 환경에서 그 가치를 발휘하고 확산되기 위해서는 일부 기술적 특징들이 더 개선될 필요도 있으나, 이에 못지 않게 서비스 체이닝 기술의 적용을 통한 서비스 유연성 및 동적 트래픽 제어 기능을 보장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 정보 중심 네트워킹 기술 특히, 대표적인 정보 중심 네트워킹 기술 중 하나인 모빌리티퍼스트 기술에서는 현재 서비스 체이닝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정보 중심 네트워킹 환경인 모빌리티퍼스트 네트워크 환경에서 서비스 체이닝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보 중심 네트워킹 환경인 모빌리티퍼스트 네트워크 환경에서 서비스 체이닝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상에 동작하는 글로벌 서비스 컨트롤러(GSC, Global Service Controller)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보 중심 네트워킹 환경인 모빌리티퍼스트 네트워크 환경에서 서비스 체이닝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상에 동작하는, 상기 글로벌 서비스 컨트롤러와 연동하는 로컬 서비스 컨트롤러(LSC, Local Service Controller)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서비스 체이닝의 제공이 가능한 모빌리티퍼스트 네트워크로서, 서비스 체이닝 정책을 수신하고, 수신된 서비스 체이닝 정책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도메인간 경로 제어를 위하여 GNRS(Global Name Resolution Service)를 제어하며, 네트워크 도메인 내의 경로 제어를 위하여 로컬 서비스 컨트롤러(LSC, Local Service Controller)를 제어하는 글로벌 서비스 컨트롤러(GSC, Global Service Controller); 상기 GSC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체이닝 정책에 기초하여 통신개체에 전달될 트래픽이 거쳐야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도메인의 목록으로서, 상기 통신 개체에 대한 네트워크 바인딩 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는 GNRS; 및 상기 GSC의 제어에 따라, 각자가 담당하는 네트워크 도메인 내에 유입된 트래픽이 상기 서비스 체이닝 정책에 기초하여 거쳐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로 구성된 경로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LS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GSC는 상기 모빌리티퍼스트 네트워크를 위한NCS(Name Certification Service)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GNRS에서 관리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도메인의 목록은 상기 서비스 체이닝 정책이 적용되는 트래픽이 경유하여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도메인을 순서대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GSC는 상기 GSC에 의해서 관리되는 모든 네트워크 도메인들에 대해 전역적으로 정의되는 글로벌 서비스 체이닝 정보를 생성하여, 네트워크 도메인 간 패킷 전달에 이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글로벌 서비스 체이닝 정보는, 상기 모든 네트워크 도메인들에 대해 전역적으로 정의되는, 서비스 체이닝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도메인들 간의 경로를 정의하는 글로벌 서비스 경로 식별자(global service path identifier)와, 상기 네트워크 도메인들간의 경로 상에서 하나의 네트워크 도메인을 경유할 때마다 차감되는 글로벌 서비스 인덱스(global service index)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LSC는 각자가 담당하는 네트워크 도메인 내에서 정의되는 로컬 서비스 체이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각자가 담당하는 네트워크 도메인 내에서 서비스 노드들 간 패킷 전달에 이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로컬 서비스 체이닝 정보는, 상기 각자가 담당하는 네트워크 도메인 내에서 정의되는, 서비스 체이닝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들 간의 경로를 정의하는 로컬 서비스 경로 식별자(local service path identifier)와, 상기 서비스 노드들 간의 경로 상에서 하나의 서비스 노드를 경유할 때마다 차감되는 로컬 서비스 인덱스(local service index)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LSC는 각자가 담당하는 네트워크 도메인에 대한 게이트웨이(gateway)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LSC는, 상기 GSC의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체이닝 정책에 따라 각자가 담당하는 네트워크 도메인 내에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를 생성 또는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빌리티퍼스트 네트워크 환경에서, 서비스 체이닝을 제공하기 위한 글로벌 서비스 컨트롤러(GSC, Global Service Controller)의 동작 방법으로서, 서비스 체이닝 정책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서비스 체이닝 정책에 기초한 네트워크 도메인 간 경로 제어를 위하여, 통신개체에 전달될 트래픽이 거쳐야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도메인의 목록으로서, 상기 통신 개체에 대한 네트워크 바인딩 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도록 GNRS(Global Name Resolution Service)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서비스 체이닝 정책에 기초한 네트워크 도메인 내의 경로 제어를 위하여, 각자가 담당하는 네트워크 도메인 내에 유입된 트래픽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로 구성된 경로를 제어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로컬 서비스 컨트롤러(LSC, Local Service Controller)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GSC는 상기 모빌리티퍼스트 네트워크의 NCS(Name Certification Service)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GNRS에서 관리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도메인의 목록은 상기 서비스 체이닝 정책이 적용되는 트래픽이 경유하여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도메인을 순서대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GSC는 상기 GSC에 의해서 관리되는 모든 네트워크 도메인들에 대해 전역적으로 정의되는 글로벌 서비스 체이닝 정보를 생성하여, 네트워크 도메인 간 패킷 전달에 이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글로벌 서비스 체이닝 정보는, 상기 모든 네트워크 도메인들에 대해 전역적으로 정의되는, 서비스 체이닝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도메인들 간의 경로를 정의하는 글로벌 서비스 경로 식별자(global service path identifier)와, 상기 네트워크 도메인들간의 경로 상에서 하나의 네트워크 도메인을 경유할 때마다 차감되는 글로벌 서비스 인덱스(global service index)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빌리티퍼스트 네트워크 환경에서, 서비스 체이닝을 제공하기 위한 로컬 서비스 컨트롤러(LSC, Local Service Controller)의 동작 방법으로서, 글로벌 서비스 컨트롤러(GSC, Global Service Controller)로부터 상기 LSC가 담당하는 네트워크 도메인에 유입되는 트래픽에 적용될 로컬 서비스 체이닝에 대한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체이닝에 대한 설정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로컬 서비스 체이닝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로컬 서비스 체이닝이 적용될 상기 트래픽에 대한 분류 규칙을 상기 네트워크 도메인의 게이트웨이에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SC는 상기 네트워크 도메인 내에서 정의되는 로컬 서비스 체이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 도메인 내에서 상기 로컬 서비스 체이닝을 구성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 간 패킷 전달에 이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로컬 서비스 체이닝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도메인 내에서 정의되는, 상기 로컬 서비스 체이닝을 구성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 간의 경로를 정의하는 로컬 서비스 경로 식별자(local service path identifier)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 간의 경로 상에서 하나의 서비스 노드를 경유할 때마다 차감되는 로컬 서비스 인덱스(local service index)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GSC는 서비스 체이닝 정책에 기초한 네트워크 도메인 간 경로 제어를 위하여, 통신개체에 전달될 트래픽이 거쳐야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도메인의 목록으로서, 상기 통신 개체에 대한 네트워크 바인딩 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도록 GNRS(Global Name Resolution Service)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GNRS에서 관리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도메인의 목록은 상기 서비스 체이닝 정책이 적용되는 트래픽이 경유하여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도메인을 순서대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LSC의 동작 방법은, 상기 GSC의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로컬 서비스 체이닝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의 처리가 완료된 트래픽을, 글로벌 서비스 체이닝을 구성하는 다음 네트워크 도메인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게이트웨이를 설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종단간 단말의 IP 주소를 중심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현재의 인터넷 패러다임을 정보 중심으로 재편하려는 미래 인터넷 기술 중 하나인 모빌리티퍼스트 네트워크 구조 상에서 서비스 체이닝을 제공함으로써 정보 중심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동적 트래픽 제어 기능을 보장하고 네트워크 서비스의 유연성을 제고할 수 있다.
모빌리티퍼스트 환경에서의 서비스 체이닝 제공은 현재 인터넷 환경에서 서비스 체이닝 기술의 적용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모든 이점을 그대로 얻을 수 있으며, 더욱이 SDN을 중심으로 한 네트워크 프로그래머빌리티를 미래 인터넷 환경에서도 보장함으로써, 새로운 미래 인터넷 기술의 도입 및 확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모빌리티퍼스트 환경에서 종단간 트래픽을 전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퍼스트 환경에서 서비스 체이닝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a는 일반적인 모빌리티퍼스트 네트워크 패킷 구조를 예시한 블록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체이닝 방법에 적용 가능한 모빌리티퍼스트 네트워크 패킷 구조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서비스 체이닝이 수신 단말이 속한 목적지 네트워크 도메인에서 일어나는 경우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퍼스트 환경에서의 서비스 체이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서비스 체이닝이 수신 단말이 속하지 않은 중간 네트워크 도메인에서 일어나는 경우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퍼스트 환경에서의 서비스 체이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서비스 체이닝이 둘 이상의 네트워크 도메인에 걸쳐서 일어나는 경우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퍼스트 환경에서의 서비스 체이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모빌리티퍼스트 환경에서 종단간 트래픽을 전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빌리티퍼스트 환경을 구성하는 중요한 2가지 구성요소는 명칭 인증 서비스(NCS: Name Certification Services, 110)와 전역 명칭 변환 서비스(GNRS: Global Name Resolution Service, 120) 이다.
도 1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NCS(110)과 GNRS(120)는 단일 서버로 구성될 수도 있고, 분산되어 존재하는 다수의 서버(예를 들면, GNRS(120)는 복수개의 서버(120-1, 120-2, 120-3)으로 분산)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먼저, NCS(110)는 사용자, 사용자 단말 또는 컨텐츠 등의 식별 정보를 입력 받아, 자가 인증(Self-Certifying)이 가능한 글로벌 식별자(GUID, Global Unique Identification)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한편, GNRS(120)는 사용자, 사용자 단말 또는 컨텐츠 등 GUID를 가진 개체가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 도메인 정보를 등록/관리하는 서비스로서, GNRS를 통해 특정 GUID를 가진 개체가 어느 네트워크 도메인에 현재 위치하고 있는지를 조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빌리티퍼스트 환경에서, NCS(110), GNRS(120)의 두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예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먼저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 사용자 단말 또는 컨텐츠 등의 통신 개체는 정해진 규약에 따라 NCS(110)에 등록하고, 모빌리티퍼스트 통신 환경에서 고유한 글로벌 식별자인 GUID를 할당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영희의 노트북'이란 통신 개체(예컨대, 단말(410))는 NCS(110)에 등록한 후, GUID로써 101111110010을 할당 받을 수 있다(S110). GUID를 할당 받은 단말(130)은 현재 L2 링크 계위에서 자신이 네트워크 도메인(NA43)에 연결(binding)되어 있다는 정보를 GNRS(120)에 등록할 수 있다(즉, 바인딩(binding) 업데이트 절차(S120)). 따라서, 상기 절차(S120)가 완료되면, 다른 통신 개체들은 GUID 101111110010이 부여된 단말(130)이 현재 네트워크 도메인(NA43)에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GNRS(120)를 통해 조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고유의 GUID(100011110000)가 이미 부여된 '철수의 데스크탑'이란 통신 개체(예컨대, 단말(310))가 앞서 언급된 단말(410)과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 단말(410)에 대한 유효한 GUID 값을 알아야만 한다. 이를 위해, 단말(310)은 NCS(110)에 단말(410)에 부여된 GUID를 질의하고, NCS(110)는 앞서 단계(S120)을 통하여 이미 등록되어 있는 단말(410)의 GUID인 '101111110010'를 반환한다(S130).
상대방 단말(410)의 GUID를 확보한 단말(310)은 송신지(sender) GUID는 자신의 GUID인 100011110000로 설정되고 목적지(destination) GUID는 단말(410)의 GUID인 101111110010를 설정된 패킷을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목적지 GUID가 현재 송신 통신 단말(310)이 속한 네트워크 도메인(NA25)에 속해 있지 않으므로, 단말(310)에 의해서 전송된 패킷은 네트워크 도메인(NA25)의 게이트웨이 (340)까지 전달될 수 있다. 네트워크 도메인(NA25)의 게이트웨이(340)에서는 수신된 패킷에 목적지 네트워크 도메인이 지정된 경우, 모빌리티퍼스트 구조에 따라 지정된 네트워크 도메인이 매핑되어 있는 게이트웨이로 트래픽을 전달하게 된다. 다만, 도 1에서 예시된 예에서는, 목적지 네트워크 도메인이 패킷에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를 상정하고 있으므로, 게이트웨이(340)는 GNRS(120)에 목적지 GUID 101111110010이 부여된 단말(410)이 속한 네트워크 도메인 값을 질의하고, 네트워크 도메인(NA43)에 대응되는 값을 반환 받는다(S140).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게이트웨이(340)는 목적지 단말(410)의 GUID 뿐만 아니라, 단말(410)이 속한 네트워크 도메인(NA43)을 알고 있으므로, 게이트웨이(340)에서는 GUID가 아닌 네트워크 도메인 값을 이용하여 목적지 네트워크 도메인(NA43)까지 패킷을 전달하게 되며, 이때 전달되는 패킷의 헤더에는 송신지/목적지 네트워크 도메인, 서비스(Service) ID, 송신지/목적지 GUID 값 등이 포함된다. 목적지인 네트워크 도메인(N43)에 패킷이 도착하면, 목적지 단말(410)의 GUID 값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도메인(NA43) 내에서 트래픽이 전달된다.
한편, 단말(410)이 네트워크 도메인(NA43)에 바인딩되어 있음을 GNRS(120)에 등록한 이후, 단말(410)에게 패킷이 전달되기 전 또는 전달되는 과정에서 단말(410)이 다시 이동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S150). 예를 들어, 단말(410)이 새로운 네트워크 도메인(NA79)에 바인딩되면, 단말(410)은 자신이 네트워크 도메인(NA79)에 바인딩되어 있음을 다시 GNRS(120)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단말(410)이 네트워크 도메인(NA43)에 위치한 것으로 알고 네트워크 도메인(NA43)을 목적지 네트워크 도메인으로 설정된 패킷이 네트워크 도메인(NA43)의 게이트웨이(440)에 도착하면, 게이트웨이(440)는 네트워크 도메인(NA43)에 GUID 101111110010인 통신 개체(즉, 단말(410))가 더 이상 바인딩되어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하고, 즉시 GNRS(120)에 GUID 101111110010에 대한 네트워크 도메인 정보를 재질의하여 단말(410)의 새로운 네트워크 도메인(NA79)를 확인한다(S160).
이에 따라, 네트워크 도메인(NA43)에 도착한 패킷은 목적지 네트워크 도메인을 다시 네트워크 도메인(NA79)로 변경된 후, 네트워크 도메인(NA79)의 게이트웨이(540)로 전달되며, 네트워크 도메인(NA79)의 게이트웨이(540)에 도착한 패킷은 목적지 GUID 값을 이용하여 단말(410)에게 전달될 수 있다. 참고로 GNRS(120)에 GUID 101111110010의 단말(410)이 네트워크 도메인(NA79)에 등록되어 있음을 업데이트 한 이후에 네트워크 도메인(NA25)에서 네트워크 도메인 질의(S140)을 실행하는 트래픽은 모두 목적지 네트워크 도메인을 네트워크 도메인(NA79)로 설정하여 전송될 것이므로, 네트워크 도메인(NA43)을 경유하지 않고 네트워크 도메인(NA79)로 직접 전달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퍼스트 환경에서 서비스 체이닝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퍼스트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두 가지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모빌리티퍼스트 환경에 글로벌 서비스 컨트롤러(GSC: Global Service Controller, 210)와 로컬 서비스 컨트롤러(LSC: Local Service Controller, 220-1, 220-2, 및 220-3)가 추가될 수 있다. 또한, 구성요소 측면에서는 상기 GSC와 LSC가 추가된다.
또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종래 GNRS에 대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체이닝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GNRS의 역할(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 도메인 바인딩 정보의 생성/관리 방법)이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된다.
한편, 도 1에서 예시된 NCS(110)가 도 2에서는 생략되어 있으나, NCS는 여전히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SC(210)가 NCS(110)의 기능을 포함하거나, NCS(110)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SC(210)의 기능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각 LSC는 대응되는 네트워크 도메인의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포함하거나, 각 네트워크 도메인의 게이트웨이가 LSC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GSC(210)는 도 2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단일 서버로 구성될 수도 있고, 분산되어 존재하는 다수의 서버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LSC는 도 2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도메인 별로 적어도 하나가 존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네트워크 도메인(NA25)에는 LSC(220-1), 네트워크 도메인(NA43)에는 LSC(220-2), 네트워크 도메인(NA79)에는 LSC(220-3)이 위치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GSC(210)와 LSC(220-1, 220-2, 및 220-3)는 사용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관리자가 설정한 서비스 체이닝 정책 정보를 전달받아 네트워크 도메인들 전체 또는 대응되는 각각의 네트워크 도메인을 관리하여 서비스 체이닝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GSC(210)는 사용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관리자가 설정한 서비스 체이닝 정책을 수신하고, 수신된 서비스 체이닝 정책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도메인간 경로 제어를 위하여 GNRS(120)를 제어하며, 네트워크 도메인 내의 경로 제어를 위하여 LSC를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LSC(220-1, 220-2, 220-3)는 대응되는 각자의 네트워크 도메인 별로 네트워크 도메인 내에서의 서비스 체이닝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네트워크 도메인의 게이트웨이부터 사용자의 통신 개체까지의 서비스 체이닝 정책의 적용 및 제어를 담당한다. 즉, LSC(220-1, 220-2, 220-3)는 각자가 담당하는 네트워크 도메인 내에 유입된 트래픽이 상기 서비스 체이닝 정책에 기초하여 거쳐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로 구성된 경로를 제어한다. 예컨대, LSC(220-1)는 네트워크 도메인(NA25)의 게이트웨이(340)로부터 네트워크 도메인(NA25)에 속한 통신 개체들까지의 서비스 체이닝을 제어할 수 있다. LSC(220-2) 및 LSC(220-3)의 역할 또한 동일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퍼스트 네트워크 환경에서, GNRS(120)는, 통신 개체에 대한 네트워크 바인딩 정보를 서비스 체이닝 정책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개체에 전달될 트래픽이 거쳐야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도메인의 목록으로서 생성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GSC(210)는 전체 모빌리티퍼스트 환경에 대한 서비스 체이닝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서비스 체이닝이 복수의 네트워크 도메인에 걸쳐 있는 경우 네트워크 도메인의 순서(NA Forwarding Sequence)에 따른 서비스 체이닝 정책의 적용 및 제어를 담당하며, 이를 위해 GNRS(120)와 LSC들(220-1, 220-2, 220-3)과의 협력을 통해 종단간 서비스 체이닝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GUID가 101111110010인 단말(410)에 접속하는 모든 트래픽 또는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트래픽에 대해 네트워크 도메인(NA55)과 네트워크 도메인(NA43)에 생성되어 있는 서비스 노드들을 거친 다음, 단말(410)으로 전달되도록 서비스 체이닝을 적용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비스 체이닝 정책 정보는 사용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관리자를 통해 GSC(210)에 등록될 수 있다.
먼저,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단계(S120)를 통해서, 단말(410)의 GUID 101111110010은 GNRS(120)를 통해 네트워크 도메인(NA43)에 바인딩되어 있음을 등록하였으므로, 통상적인 모빌리티퍼스트 환경에서는 GNRS(120)를 통해 GUID 101111110010에 대한 목적지 네트워크 도메인은 네트워크 도메인(NA43)으로 조회되기 때문에, 이 경우 네트워크 도메인(NA55)에 위치한 서비스 노드를 경유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모빌리티퍼스트 환경에서는, GSC(210)는 앞서 설명된 서비스 체이닝 정책 정보가 등록된 경우, GNRS(120)에 GUID 101111110010에 대한 네트워크 도메인을 단일 네트워크 도메인(NA43)으로 바인딩 정보를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서비스 체이닝 정책이 적용되는 트래픽이 경유하여야 하는 서비스 노드들이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도메인들(NA55, NA43)와 같이 순서를 가지는 네트워크 도메인 정보 목록으로 바인딩 정보를 변경하여 등록하고, 서비스 체이닝 정보의 식별값(서비스 경로 식별자와 서비스 인덱스; 후술됨)을 함께 GNRS(120)에 등록한다.
즉, GNRS(120)에서는 목적지 단말이 위치하고 있는 네트워크 도메인에 대한 바인딩 정보만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GSC(210)로부터 제공된 서비스 체이닝 정보에 따라서 목적지 단말로 전달되는 트래픽이 경유해야 하는 네트워크 도메인들을 순서대로 포함한 목록 정보를 바인딩 정보로서 가지고 있게 된다.
한편, 앞서 도 1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GUID 101111110010을 갖는 단말(410)이 다른 네트워크 도메인(예, NA79)으로 이동하면서 GNRS(120)에 바인딩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GNRS(120)는 네트워크 도메인(NA43)에 서비스 체이닝 상의 서비스 노드(즉, 단말(410)에 전달되기 전에 트래픽이 경유해야 하는 서버, 단말, 또는 장치 등)가 정의된 경우에는 (NA55, NA43)의 바인딩 정보를 (NA55, NA43, NA79)로 변경(목록의 마지막 네트워크 도메인 다음에 새롭게 바인딩된 네트워크 도메인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반면, 네트워크 도메인(NA43)에 단말(410)에 전달되기 전에 트래픽이 경유해야 하는 서비스 노드가 정의되지 않은 경우에는 (NA55, NA43)의 바인딩 정보를 (NA55, NA79)로 변경(목록의 마지막 네트워크 도메인을 새롭게 바인딩된 네트워크 도메인으로 대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GSC(210)는 사용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관리자가 설정한 서비스 체이닝 정책 정보에 기초하여, GNRS(120)의 GUID와 네트워크 도메인 바인딩 정보를 설정하고, 단말의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해 단말의 이동시 단말과 GNRS 사이의 바인딩 업데이트에 따른 서비스 체이닝 정보가 지속적으로 유효하도록 GNRS의 바인딩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상술된 바와 같이, GSC(210)가 네트워크 도메인간 트래픽의 전달 경로를 GNRS(120)와 연동하여 제어한다면, LSC(220-1, 220-2, 220-3)는 각자가 담당한 네트워크 도메인 내에서의 트래픽 전달 경로 즉, 서비스 체이닝에 대한 제어를 담당한다.
앞서 설명된 예를 다시 참조하면, 먼저 GSC(210)가 전술한 바와 같이 GNRS(120)를 통해 GUID 101111110010에 대한 목적지 네트워크 도메인 정보를 (NA55, NA43)으로 변경한 다음, GSC(210)는 각각의 네트워크 도메인(NA55와 NA43)에서 트래픽의 경로 제어를 위한 설정을 각 네트워크 도메인의 게이트웨이들(640, 440)과 각 네트워크 도메인의 내부 트래픽 전달 장치(예, L2/L3 스위칭 장비 등)에 적용하도록 각 네트워크 도메인을 담당하는LSC(220-4 및 220-2)에 요청하고, LSC(220-4 및 220-2)는 각자가 담당하는 네트워크 도메인 별 장치들에 서비스 체이닝 정책을 적용한다.
앞서 예시한 바와 같이, 통신 단말(410)의 이동에 따라 목적지 네트워크 도메인 목록이 변경된 경우, 해당 네트워크 도메인에 대한 서비스 체이닝 정보의 변경 적용은 GNRS(120)로부터 변경 정보를 전달받은 GSC(210)가 다시 관련된 LSC에 요청하여 변경사항을 적용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다른 방법으로서, GNRS(120)가 직접 바인딩 업데이트 정보에 따라 LSC에 서비스 체이닝 정보의 변경 적용을 요청 또는 알림(notify)을 전달할 수도 있다.
정리하면, GSC(210)는 수신된 서비스 체이닝 정책에 따라서 네트워크 도메인 간 경로 제어를 위해서, GNRS(120)의 네트워크 도메인 바인딩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GNRS(120)를 제어할 수 있고, 개별 네트워크 도메인 내에서 트래픽이 거쳐야 하는 서비스 노드들에 대한 정보를 LSC(220-4, 220-2)에 제공할 수 있다. GNRS(120)는 네트워크 도메인 간 경로 제어를 위해서 GSC(210)로부터 전달된 서비스 체이닝 정보 또는 GSC(210)의 제어에 의해서 목적지 단말의 네트워크 도메인 바인딩 정보를 서비스 체이닝을 위해서 경유하여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도메인들의 목록으로서 관리하고, 단말의 이동에 따른 바인딩 업데이트 요청에 따라서 바인딩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LSC는 GSC(210)의 제어에 기초하여, 각자의 네트워크 도메인 내로 유입된 트래픽의 네트워크 도메인 내에서 경로 제어(서비스 체이닝)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a는 일반적인 모빌리티퍼스트 네트워크 패킷 구조를 예시한 블록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체이닝 방법에 적용 가능한 모빌리티퍼스트 네트워크 패킷 구조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모빌리티퍼스트 네트워크 패킷에서 헤더(310)는 송신지와 목적지의 통신 개체를 각각 나타내는 글로벌 식별자인 GUID 필드(311), 패킷 전달의 서비스 유형(예, anycast, multicast, multi-homing 등)을 구분하기 위한 Service ID 필드(312), 및 송신지와 목적지의 통신 개체가 속한 네트워크 도메인 주소에 대한 식별자인 NA 필드(313)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패킷 헤더에 포함된 구체적인 필드는 모빌리티퍼스트 네트워크의 구체적인 구현 방법이나 적용 대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일반적인 모빌리티퍼스트 네트워크의 패킷 헤더는 모빌리티퍼스트 프로젝트에서 제시하는 패킷의 전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특징적인 필드에만 집중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만일 서비스 체이닝이 목적지 통신 단말이 속한 단일 네트워크 도메인 내에서만 정의되는 경우에는 구현 방식에 따라 굳이 새로운 패킷 헤더 구조를 이용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즉, 전술한 일반적인 모빌리티퍼스트 패킷 헤더의 구조와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서비스 체이닝이 중간 경유지의 네트워크 도메인에 위치한 서비스 노드를 체이닝을 통해 경유하도록 정의되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도메인 상에 체이닝되는 서비스 노드가 위치하는 경우(예컨대, 목적지 통신 단말이 이동함에도 불구하고 서비스 체이닝되는 서비스 노드들이 함께 이동하지 않는 경우 등)에는 종전의 모빌리티퍼스트 헤더 구조로는 서비스 체이닝을 지원하기에 제약이 따른다.
도 3b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모빌리티퍼스트 네트워크 패킷에서 변경된 서비스 체이닝을 고려한 패킷 헤더(320)로서, SP(Service Path)라는 새로운 필드(314)를 추가하여 정의한다.
SP 필드(314)는 서비스 체이닝을 위해서 추가되는 정보로서, SP 필드(314)에는 서비스 체이닝의 대상, 즉 서비스 체인(service chain)을 식별하는 서비스 경로 식별자(Service Path ID)와 동일 서비스 체이닝 내에서의 순서를 나타내는 서비스 인덱스(Service Index)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경로 식별자와 서비스 인덱스 값으로 구성된 체이닝 정보의 식별체계는 기존의 IETS NSH(Network Service Header) 프로토콜이나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프로토콜을 이용한 서비스 체이닝의 식별체계와 유사하며, 이를 준용하거나 복합적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한편, SP 필드에 포함된 서비스 체이닝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는 GSC(210)에 의해서 관리되는 전체 네트워크 도메인들 내에서 고유하게 정의되고, GSC에 의해서 부여되는 글로벌(global) 서비스 체이닝 정보와, 각 LSC에 의해서 관리되는 단일 네트워크 도메인을 위해서만 정의되는 로컬(local) 서비스 체이닝 정보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에서, 글로벌 서비스 체이닝 정보로서 정의된 SP 필드의 서비스 경로 식별자는 글로벌 서비스 경로 식별자(global service path ID)로 지칭될 수 있고, 서비스 인덱스는 글로벌 서비스 인덱스(global service index)로 지칭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로컬 서비스 체이닝 정보로서 정의된 SP 필드의 서비스 경로 식별자는 로컬 서비스 경로 식별자(local service path ID)로 지칭될 수 있고, 서비스 인덱스는 로컬 서비스 인덱스(local service index)로 지칭될 수 있다.
글로벌 서비스 경로 식별자는 네트워크 도메인들간의 경로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로 이해될 수 있고, 글로벌 서비스 인덱스는 경로 상의 네트워크 도메인을 하나 거칠 때마다 차감되는 값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글로벌 서비스 경로 식별자와 글로벌 서비스 인덱스는 네트워크 도메인들 간의 패킷 전달에 이용될 수 있다.
반면, 로컬 서비스 경로 식별자는 하나의 네트워크 도메인 내에서 서비스 체이닝을 구성하는 서비스 노드들의 경로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로 이해될 수 있고, 로컬 서비스 인덱스는 네트워크 도메인 내에서 경로 상의 서비스 노드를 하나 거칠 때마다 차감되는 값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상기 로컬 서비스 경로 식별자와 로컬서비스 인덱스는 네트워크 도메인 내에 구성된 서비스 노드들 간의 패킷 전달에 이용될 수 있다.
글로벌 서비스 체이닝 정보는 두 개 이상의 네트워크 도메인에 걸쳐서 서비스 체이닝이 수행될 경우에 필요하고, 로컬 서비스 체이닝 정보는 단위 네트워크 도메인에서 서비스 체이닝이 수행될 경우에 필요하다. 다만, 단위 네트워크 도메인에서 서비스 체이닝이 수행될 경우에도 글로벌 서비스 체이닝 정보를 이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또한, 단위 네트워크 도메인 내에서만 서비스 체이닝이 이루어질 경우,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구현에 따라서는 로컬 서비스 체이닝 정보나 글로벌 서비스 체이닝 정보가 없이도 서비스 체이닝의 수행이 가능하다.
또한, SP 필드(314)의 유무 또는 헤더 값의 정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기존 모빌리티퍼스트 패킷 헤더의 SID 필드(312)를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nycasting, Multicasting, Multi-homing 등을 식별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SID 필드의 특정 값은 서비스 체이닝 서비스가 제공됨을 뜻하며, 동시에 SP 필드가 정의되어 있음을 알리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SID 필드의 특정 값을 하기와 같이 정의하는 것에 의하여 기존의 서비스와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01=Anycasting,
02=Multicasting,
03=Multi-homing,
...,
21=Anycasting with Service Chaining,
22=Multicasting with Service Chaining,
23=Mulit-homing with Service Chaining,
...
이하에서는, 도 2에서 설명된 모빌리티퍼스트 환경에서 서비스 체이닝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구조에 기초하여, 서비스 체이닝이 수행되는 위치에 따른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서비스 체이닝이 수신 단말이 속한 목적지 네트워크 도메인에서 일어나는 경우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퍼스트 환경에서의 서비스 체이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즉, 도 4에서 예시되는 상황은 수신 단말(130)이 위치한 목적지 네트워크 도메인 NA43 내에서 서비스 체이닝이 수행되는 상황을 의미한다. 한편, 도 4에서는, 도 4에서 목적하는 실시예의 설명에 집중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일부 구성요소들이 생략된 채로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관리자는 단말(410)으로 향하는 모든 트래픽 또는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트래픽은 네트워크 도메인(NA43)내에서 사전에 정의된 세 개의 서비스 노드들(401, 402, 403)을 경유한 다음에 단말(410)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서비스 체이닝 정책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체이닝 정책의 설정은, GUID 101111110010를 가지는 단말(410)이 네트워크 도메인(NA43)에 바인딩되어 있음을 GNRS(120)에 등록하기 전이나 등록한 이후 어느 경우에나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체이닝 정책을 사용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관리자로부터 수신한 GSC(210)는 세 개의 서비스 노드들(401, 402, 403)을 통해 서비스 체이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네트워크 도메인(NA43)의 LSC(220-2)에게 서비스 노드들(401, 402, 403)의 생성을 포함한 서비스 체이닝 설정을 요청한다.
LSC(220-2)는 서비스 노드들이 클라우드 상의 가상머신이나 가상 컨테이너 등으로 운용되는 경우에 한하여, 기존에 서비스 노드들이 존재하지 않으면 클라우드 컨트롤러를 통해 서비스 노드들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LSC(220-2)는 서비스 노드들이 물리적인 장치/서버이거나 클라우드 내의 가상머신 또는 가상 컨테이너인 것과 상관없이, 서비스 노드의 가용 여부를 확인한 다음 서비스 체이닝을 위한 데이터 플레인 제어 정책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단말(410)이 바인딩되어 있는 네트워크 도메인(NA43)의 게이트웨이(440)의 인터페이스에 서비스 체이닝이 적용될 트래픽 분류 규칙(예, 목적지 GUID가 101111110010인 모든 트래픽)을 설정하고, 트래픽에 속한 패킷의 헤더에 네트워크 도메인(NA43)내에서 유효한 로컬 서비스 체이닝을 식별하기 위한 SP 필드(도 3b 참조)를 추가한다.
이때, SP 필드에 설정되는 서비스 경로 식별자와 인덱스 값은 네트워크 도메인(NA43) 내에서만 유효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 SP 필드의 서비스 경로 식별자(Service Path ID)와 서비스 인덱스는 앞서 언급된 로컬 서비스 체이닝 정보에 해당되는 로컬 서비스 경로 식별자 및 로컬 서비스 인덱스에 해당된다. 네트워크 도메인(NA43) 내에서의 서비스 체이닝을 위해 패킷 헤더는 추가로 서비스 노드들(401, 402, 403)의 GUID를 목적지 GUID로 갖는 패킷 헤더를 오버레이(overlay) 형식으로 추가하여, 서비스 체이닝 단계별로 적용되며, 이러한 모든 설정이 LSC(220-2)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과정들은 다음과 같이 구체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GUID가 100011110000인 단말(310)에서 GUID가 101111110010인 단말(410)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단말(310)에서는 송신지의 GUID가 100011110000(즉, 단말(310)의 GUID)이며, 목적지의 GUID가 10111110010(즉, 단말(410)의 GUID)인 패킷을 전송한다(S410).
첫 번째 게이트웨이인 네트워크 도메인(NA25)의 게이트웨이(340)에서는 GUID 101111110010이 바인딩된 네트워크 도메인을 GNRS(120)에서 조회하며(S420), GNRS(120)로부터 수신한 네트워크 도메인 값을 이용하여 송신지의 네트워크 도메인이 네트워크 도메인(NA25)이며, 목적지의 네트워크 도메인이 네트워크 도메인(NA43)을 지정하는 패킷헤더를 구성하여 네트워크 도메인(NA43)의 게이트웨이(440)으로 전달하게 된다(S430).
네트워크 도메인(NA43)의 게이트웨이(440)에 도착한 패킷은, 전술된 바와 같이 GSC(210)과 LSC(220-2)에 의해서 설정된 서비스 체이닝 규칙에 따라, 기존 패킷 헤더에 오버레이 형식으로 송신지의 GUID는 게이트웨이(440)의 GUID로 설정하고, 목적지의 GUID는 첫 번째 서비스 노드(401)의 GUID로 설정하고, SP 필드에는 서비스 경로 식별자를 3으로, 서비스 인덱스를 255로 설정한 다음, 첫 번째 서비스 노드(401)로 패킷을 전달한다(S440).
첫 번째 서비스 노드(401)에서 처리된 패킷은, 송신지의 GUID는 서비스 노드(401)의 GUID로 설정하고, 목적지의 GUID는 두 번째 서비스 노드(402)의 GUID로 설정하고, SP 필드의 서비스 경로 식별자는 그대로 유지하되, 서비스 인덱스 값을 하나 차감한 254로 설정하여 두 번째 서비스 노드(402)로 전달된다(S450). 두 번째 서비스 노드(402)에서 세 번째 서비스 노드(403)로의 패킷 전달도 유사한 과정으로 수행될 수 있다(S460).
이러한 순서로 전달된 패킷은 마지막 서비스 노드(403)에서 단말(410)으로 전달되며(S470), 단말(410)에 전달되기 전에는 서비스 체이닝을 위해 부여된 오버레이 헤더 필드를 삭제한 다음, 원래 단말(310)에서 전송된 패킷 헤더로 구성된 패킷으로 전달된다.
한편,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단말(410)이 바인딩되어 있는 네트워크 도메인인 네트워크 도메인(NA43) 내에서만 서비스 체이닝을 위한 서비스 노드들(401, 402, 403)이 구성되는 경우에 서비스 체이닝을 제공하는 방법을 기술하였다. 이때, GNRS(120)의 네트워크 바인딩 정보는 종래 모빌리티퍼스트 환경에서와 마찬가지로 목적지 단말(410)이 속한 단일 네트워크 도메인(NA43)을 지시하기만 하면 된다.
그러나, 단말(410)이 다른 네트워크 도메인(예컨대, 네트워크 도메인(NA79))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서비스 체이닝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GSC(210)가 GNRS(220)에 서비스 체이닝과 관련된 정보를 함께 업데이트 하는 방법도 다른 일 실시예로서 고려할 수 있다.
즉, GUID 101111110010인 단말에 대한 네트워크 도메인 바인딩 정보로서 단순히 네트워크 도메인(NA43)을 지시하는 것과 달리, GUID 101111110010인 경우 서비스 체이닝 조건을 만족하는 트래픽 특성인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구분하여 네트워크 도메인 매핑 테이블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적지 GUID가 101111110010이면서 서비스 체이닝 대상인 트래픽 조건에 만족하는 경우에는 목적지 네트워크 도메인을 네트워크 도메인(NA43)으로 매핑하고, 추가로 모든 네트워크 도메인들에 대해서 전역적으로 정의되는 글로벌 서비스 체이닝 정보로서 SP 필드의 값을 함께 매핑하는 것이다.
이 경우, 전술한 절차에서 변경되는 부분은 네트워크 도메인(NA25)에서 GNRS(120)로 바인딩 정보를 조회시(즉, S420 절차), GNRS(120)는 네트워크 도메인(NA43)과 글로벌 서비스 체이닝 정보로서의 SP 필드의 서비스 경로 식별자 28과 서비스 인덱스 255 값을 할당하고, 네트워크 도메인(NA43)의 게이트웨이(440)까지 도 3b와 같은 패킷 헤더를 가지고 전달된다. 네트워크 도메인(NA43)에 전달된 패킷은 이미 GNRS(120)와 LSC(220-2)에 의해 글로벌 서비스 체이닝 정보로서의 SP 필드가 서비스 경로 식별자가 28이고 서비스 인덱스가 255인 패킷이 어떤 로컬 서비스 체이닝 규칙으로 매핑되는지 확인한 다음, 글로벌 서비스 체이닝 정보로서의 SP 필드값을 제거하고, 전술한 것과 같이 네트워크 도메인(NA43)에서의 로컬 서비스 체이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서비스 체이닝이 수신 단말이 속하지 않은 중간 네트워크 도메인에서 일어나는 경우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퍼스트 환경에서의 서비스 체이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에서 예시되는 상황은, 도 4에서 예시된 경우와 같이 서비스 노드가 최종 목적지 단말(예컨대, 단말(410)))이 속한 네트워크 도메인(예컨대, 네트워크 도메인(NA43))에 함께 구성 또는 운용되는 상황에서 단말(예컨대, 단말(410))이 이동하여 다른 네트워크 도메인(예컨대, 네트워크 도메인(NA79))에 바인딩되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즉, 단말(410)에 대한 트래픽에 대해 정의된 서비스 체이닝에 따른 서비스 노드들(401, 402, 403)은 네트워크 도메인(NA43)에 여전히 위치하지만, 단말(410)은 네트워크 도메인(N79)로 이동되어, 목적지 단말(410)이 속한 네트워크 도메인과 서비스 노드들이 속하는 네트워크 도메인이 달라지게 되는 경우이다.
이외에도, 서비스 노드가 물리적인 장비의 속성상 네트워크 도메인을 넘어서 이동되거나 생성될 수 없는 경우로서, 불가피하게 최종 목적지 통신 단말이 속하지 않은 다른 네트워크 도메인에서 운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따라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예는, 최종 통신 단말(목적지 단말)이 다른 네트워크 도메인으로 이동하거나, 목적지 단말이 속하지 않은 다른 네트워크 도메인의 서비스 노드를 통해 서비스 체이닝이 수행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하여 기술된다.
GUID가 101111110010인 단말(410)이 네트워크 도메인(NA43)에 바인딩되어 서비스 받고 있는 도중 이동하여 다른 네트워크 도메인(NA79)에 바인딩하고, GNRS(120)에 바인딩 업데이트를 요청한다고 가정한다. 이 때, 바인딩 업데이트 정보를 수신한 GNRS(120)는 GUID 101111110010에 대한 서비스 체이닝 설정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GSC(210)에게 GUID 101111110010인 단말(410)의 네트워크 도메인이 변경되었음(즉, 네트워크 도메인(NA79)로 이동되었음)을 통지한다.
이를 수신한 GSC(210)는 서비스 체이닝 정책의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GNRS(120)에 목적지의 GUID가 101111110010이면서 서비스 체이닝 조건을 만족하는 트래픽에 대해서는 네트워크 도메인(NA43)를 지시하는 네트워크 도메인 매핑 정보를 네트워크 도메인(NA43)을 경유하여 네트워크 도메인(NA79)에 도달하도록 네트워크 도메인의 목록(NA43, NA79)으로 변경하도록 하고, 글로벌 서비스 체이닝 정보로서의SP 필드값(즉, 글로벌 서비스 경로 식별자(예컨대, 28) 및 글로벌 서비스 인덱스(예컨대, 255))도 함께 매핑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서비스 체이닝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트래픽(즉, 서비스 체이닝의 적용 대상이 아닌 트래픽)은 네트워크 도메인(NA43)을 단순히 네트워크 도메인(NA79)로 변경한다. 이와 동시에 네트워크 도메인(NA43)을 관할하는 LSC(220-2)에는 기존의 서비스 체이닝 정보는 유지하되, 마지막 서비스 노드(403)에서 출력되는 트래픽은 다시 네트워크 도메인(NA43)의 게이트웨이(440)로 트래픽이 전달되도록 로컬 서비스 체이닝 규칙을 변경하고, 마지막 서비스 노드(403)로부터 게이트웨이(440)에 전달된 트래픽에 대해서는 로컬 서비스 체이닝을 위한 헤더를 제거한 다음, 글로벌 SP 필드의 Index 값을 254로 하나 차감하도록 설정한다.
이상과 같이 단말(410)이 GNRS(120)에 네트워크 바인딩 업데이트를 요청한 이후, GSC(210), LSC(220-2), GNRS(120)에 변경된 정보를 업데이트한 이후, 트래픽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단말(310)에서 전송된 트래픽은 네트워크 도메인(NA25)의 게이트웨이(340)에서 목적지 GUID 101111110010에 대한 네트워크 도메인 정보와 글로벌 서비스 경로 정보를 제공받아, 네트워크 도메인(NA43)의 게이트웨이(440)까지 전달된다. 네트워크 도메인(NA43)의 게이트웨이(440)에서는 글로벌 서비스 체이닝 정보인 SP 필드의 서비스 경로 식별자 28 및 서비스 인덱스 255를 확인하고, 로컬 서비스 체이닝 규칙을 매핑하여 오버레이 헤더를 구성한 다음, 로컬 서비스 체이닝 규칙 및 절차에 따라 패킷을 서비스 노드(401)에 전달한다. 이후, 서비스 노드(401)로부터 서비스 노드(402), 서비스 노드(402)로부터 서비스 노드(403)으로의 패킷 전달은 도 4를 통하여 이미 설명된 절차와 동일하다.
마지막 서비스 노드(403)에서 처리된 패킷은 다시 네트워크 도메인(NA43)의 게이트웨이(440)에 전달되며, 이때 글로벌 서비스 체이닝 정보가 포함된 SP 필드의 서비스 인덱스 값이 254로 변경되므로, 이 값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도메인(NA43)의 게이트웨이(440)는 GNRS(120)에 GUID 101111110010에 대해 SP 필드의 서비스 경로 식별자가 28이며, 서비스 인덱스가 254일 때, 해당 패킷을 전달하여야 하는 네트워크 도메인을 질의한다. GNRS(120)는 GUID 101111110010의 매핑 테이블에서 2번째 네트워크 도메인 값이 네트워크 도메인(NA79)인 것으로 확인하고, 확인된 네트워크 도메인(NA79)를 지시하는 정보를 네트워크 도메인(NA43)의 게이트웨이(440)에 전달하면, 게이트웨이(440)는 해당 패킷의 목적지 네트워크 도메인 값을 네트워크 도메인(NA79)로 변경하여 네트워크 도에인(NA79)의 게이트웨이(540)로 전달한다.
네트워크 도메인(NA79)의 게이트웨이(540)는 도착한 패킷에서 글로벌 서비스 체이닝 정보인SP 필드의 값과 네트워크 도메인(NA79)에 매핑된 로컬 서비스 체이닝 정보를 바탕으로 더 이상의 글로벌 서비스 체이닝 및 로컬 서비스 체이닝 규칙이 적용되지 않았음을 확인한 다음, 글로벌 SP 필드를 제거한 다음 네트워크 도메인 (NA79)에 바인딩되어 있는 단말(410)로 패킷을 전달한다.
전술한 목적지 통신 단말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경우에서의 서비스 체이닝 방법은 단말의 이동성과 무관하게 중간 경유 네트워크 도메인에서 서비스 체이닝을 제공받는 경우에도 동일한 절차를 통해 서비스 체이닝을 보장할 수 있다. 다만 차이가 나는 부분은 통신 단말의 이동에 따른 GNRS 바인딩 업데이트로 시작되는 GSC, LSC, GNRS의 연동 작업이 없을 뿐이며, 이 경우 이러한 연동작업은 처음 서비스 체이닝 정책 적용 시에 발생하며, 그 이후의 트래픽 전달과정은 동일하다.
도 6은 서비스 체이닝이 둘 이상의 네트워크 도메인에 걸쳐서 일어나는 경우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빌리티퍼스트 환경에서의 서비스 체이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에서 예시되는 상황은, 도 5에서 예시된 중간 경유 네트워크 도메인에서 서비스 체이닝이 수행되는 경우와는 달리, 둘 이상의 중간 경유 네트워크 도메인에서 서비스 체이닝이 수행되는 경우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단말의 이동성은 고려하지 않으며, 통신 단말의 이동성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절차를 통해 서비스 체이닝의 유효성을 지속적으로 보장이 가능하다.
사용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관리자에 의해서 GSC(210)에 요청된 서비스 체이닝 정책에 따라 둘 이상의 네트워크 도메인에 위치한 서비스 노드를 통해 서비스 체이닝이 제공되어야 하는 경우, GSC(210)는 목적지 통신 단말(410)의 GUID와 글로벌 서비스 체이닝 정보로서의 서비스 경로 식별자 값을 정의하여 GNRS(120)와 각각의 서비스 노드가 포함된 네트워크 도메인(예컨대, 네트워크 도메인(NA55)와 네트워크 도메인(NA43)을 관할하는 LSC들(220-4, 220-2)에게 서비스 제어를 요청한다.
도 6에서 예시된 바와 같은 경우, GUID가 101111110010인 단말(410)을 목적지로 하는 모든 트래픽은 네트워크 도메인들 NA55, NA43 및 NA79의 서비스 노드들(601, 602, 401, 402, 403, 501, 502)을 경유하도록 설정하는 경우, GSC(210)는 GNRS(120)에 GUID 101111110010에 매핑되는 네트워크 도메인 목록을 (NA55, NA43, NA79)로 설정하고, 글로벌 서비스 경로 식별자는 예컨대, 312로 설정한다. 그런 다음, 네트워크 도메인(NA55)의 LSC(220-4)를 통해 네트워크 도메인(NA55)의 게이트웨이(640)로 유입되는 트래픽 중에서 글로벌 서비스 경로 식별자가 312이며, 글로벌 서비스 인덱스가 255인 트래픽은 네트워크 도메인(NA55) 내에서의 로컬 서비스 체이닝을 적용하도록 한다(로컬 서비스 체이닝의 적용은 도 4에서 예시된 방법을 참조). 로컬 서비스 체이닝이 완료된 다음, 서비스 노드(620)로부터 게이트웨이(640)로 전달된 패킷에 대해서는 글로벌 서비스 경로 식별자는 312로 유지되며, 글로벌 서비스 인덱스는 하나 차감된 254로 설정된다. 다시 게이트웨이(640)는 글로벌 서비스 경로 식별자가 312이며, 글로벌 서비스 인덱스가 254인 트래픽이 전달되어야 할 네트워크 도메인을 GNRS(120)에 질의하도록 한다. GNRS(120)으로부터 글로벌 서비스 경로 식별자 312에 대하여 정의된 다음 네트워크 도메인인 네트워크 도메인(NA43)을 지시 받은, 게이트웨이(640)는 게이트웨이(440)으로 패킷을 전달한다.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도메인(NA43)을 관할하는 LSC(220-2)는 네트워크 도메인(NA43)의 게이트웨이(440)로 유입되는 트래픽 중에서 글로벌 서비스 경로 식별자가 312이며, 글로벌 서비스 인덱스가 254인 트래픽은 네트워크 도메인(NA43) 내에서의 로컬 서비스 체이닝을 적용하도록 설정한다. 로컬 서비스 체이닝이 완료된 다음, 서비스 노드(403)로부터 게이트웨이(440)로 다시 전달된 패킷에 대해서는 글로벌 서비스 경로 식별자는 312로 유지되며, 글로벌 서비스 인덱스는 하나 차감된 253으로 설정된다. 다시 게이트웨이(440)는 글로벌 서비스 경로 식별자가 312이며, 글로벌 서비스 인덱스가 253인 트래픽이 전달되어야 할 네트워크 도메인을 GNRS(120)에 질의하도록 한다. GNRS(120)으로부터 글로벌 서비스 경로 식별자 312에 대하여 정의된 다음 네트워크 도메인인 네트워크 도메인(NA79)을 지시 받은, 게이트웨이(440)는 게이트웨이(540)으로 패킷을 전달한다.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도메인(NA79)을 관할하는 LSC(220-3)는 네트워크 도메인(NA79)의 게이트웨이(540)로 유입되는 트래픽 중에서 글로벌 서비스 경로 식별자가 312이며, 글로벌 서비스 인덱스가 253인 트래픽은 네트워크 도메인(NA79) 내에서의 로컬 서비스 체이닝을 적용하도록 설정한다.
이상과 같이 설정된 서비스 체이닝 규칙에 따라 '철수의 데스크탑'(즉, 단말(310))에서 '영희의 노트북'(즉, 단말(410))으로 전송되는 트래픽은 전술한 패킷 헤더 처리 방법과 마찬가지로 단말(410) → 네트워크 도메인(NA25) → 네트워크 도메인(NA55) → 네트워크 도메인(NA43) → 네트워크 도메인(NA79) → 단말(410)의 경로로 차례로 전달된다.
상기 GSC, LSC, GNRS, 게이트웨이들이 수행하는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GSC, LSC, GNRS, 게이트웨이들은 상기 프로그램 명령이 저장된 컴퓨터 가능 매체와 상기 프로그램 명령을 실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20: 글로벌(전역) 명칭 변환 서비스(GNRS)
210: 글로벌 서비스 컨트롤러(GSC)
220-1, 220-2, 220-3, 220-4: 로컬 서비스 컨트롤러(LSC)
310, 410: 단말
340, 440, 540, 640: 게이트웨이

Claims (20)

  1. 서비스 체이닝의 제공이 가능한 모빌리티퍼스트 네트워크로서,
    서비스 체이닝 정책을 수신하고, 수신된 서비스 체이닝 정책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도메인 간 경로 제어를 위하여 GNRS(Global Name Resolution Service)를 제어하며, 네트워크 도메인 내의 경로 제어를 위하여 로컬 서비스 컨트롤러(LSC, Local Service Controller)를 제어하는 글로벌 서비스 컨트롤러(GSC, Global Service Controller);
    상기 GSC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체이닝 정책에 기초하여 통신 개체에 전달될 트래픽이 거쳐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도메인의 목록으로서, 상기 통신 개체에 대한 네트워크 바인딩 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는 GNRS; 및
    상기 GSC의 제어에 따라, 각자가 담당하는 네트워크 도메인 내에 유입된 트래픽이 상기 서비스 체이닝 정책에 기초하여 거쳐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로 구성된 경로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LSC를 포함하는,
    서비스 체이닝이 가능한 모빌리티퍼스트 네트워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GSC는 상기 모빌리티퍼스트 네트워크를 위한 NCS(Name Certification Service)의 기능을 포함하는,
    서비스 체이닝이 가능한 모빌리티퍼스트 네트워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GNRS에서 관리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도메인의 목록은 상기 서비스 체이닝 정책이 적용되는 트래픽이 경유하여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도메인을 순서대로 정의하는,
    서비스 체이닝이 가능한 모빌리티퍼스트 네트워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GSC는 상기 GSC에 의해서 관리되는 모든 네트워크 도메인들에 대해 전역적으로 정의되는 글로벌 서비스 체이닝 정보를 생성하여, 네트워크 도메인 간 패킷 전달에 이용되도록 하는,
    서비스 체이닝이 가능한 모빌리티퍼스트 네트워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글로벌 서비스 체이닝 정보는, 상기 모든 네트워크 도메인들에 대해 전역적으로 정의되는, 서비스 체이닝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도메인들 간의 경로를 정의하는 글로벌 서비스 경로 식별자(global service path identifier)와, 상기 네트워크 도메인들 간의 경로 상에서 하나의 네트워크 도메인을 경유할 때마다 차감되는 글로벌 서비스 인덱스(global service index)를 포함하는,
    서비스 체이닝이 가능한 모빌리티퍼스트 네트워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LSC는 각자가 담당하는 네트워크 도메인 내에서 정의되는 로컬 서비스 체이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각자가 담당하는 네트워크 도메인 내에서 서비스 노드들 간 패킷 전달에 이용되도록 하는,
    서비스 체이닝이 가능한 모빌리티퍼스트 네트워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로컬 서비스 체이닝 정보는, 상기 각자가 담당하는 네트워크 도메인 내에서 정의되는, 서비스 체이닝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들 간의 경로를 정의하는 로컬 서비스 경로 식별자(local service path identifier)와, 상기 서비스 노드들 간의 경로 상에서 하나의 서비스 노드를 경유할 때마다 차감되는 로컬 서비스 인덱스(local service index)를 포함하는,
    서비스 체이닝이 가능한 모빌리티퍼스트 네트워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LSC는 각자가 담당하는 네트워크 도메인에 대한 게이트웨이(gateway) 기능을 포함하는,
    서비스 체이닝이 가능한 모빌리티퍼스트 네트워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LSC는, 상기 GSC의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체이닝 정책에 따라 각자가 담당하는 네트워크 도메인 내에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를 생성 또는 관리하는,
    서비스 체이닝이 가능한 모빌리티퍼스트 네트워크.
  10. 모빌리티퍼스트 네트워크 환경에서, 서비스 체이닝을 제공하기 위한 글로벌 서비스 컨트롤러(GSC, Global Service Controller)의 동작 방법으로서,
    서비스 체이닝 정책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서비스 체이닝 정책에 기초한 네트워크 도메인 간 경로 제어를 위하여, 통신 개체에 전달될 트래픽이 거쳐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도메인의 목록으로서, 상기 통신 개체에 대한 네트워크 바인딩 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도록 GNRS(Global Name Resolution Service)를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서비스 체이닝 정책에 기초한 네트워크 도메인 내의 경로 제어를 위하여, 각자가 담당하는 네트워크 도메인 내에 유입된 트래픽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로 구성된 경로를 제어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로컬 서비스 컨트롤러(LSC, Local Service Controller)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빌리티퍼스트 네트워크의 글로벌 서비스 컨트롤러의 동작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GSC는 상기 모빌리티퍼스트 네트워크의 NCS(Name Certification Service)의 기능을 포함하는,
    모빌리티퍼스트 네트워크의 글로벌 서비스 컨트롤러의 동작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GNRS에서 관리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도메인의 목록은 상기 서비스 체이닝 정책이 적용되는 트래픽이 경유하여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도메인을 순서대로 정의하는,
    모빌리티퍼스트 네트워크의 글로벌 서비스 컨트롤러의 동작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GSC는 상기 GSC에 의해서 관리되는 모든 네트워크 도메인들에 대해 전역적으로 정의되는 글로벌 서비스 체이닝 정보를 생성하여, 네트워크 도메인 간 패킷 전달에 이용되도록 하는,
    모빌리티퍼스트 네트워크의 글로벌 서비스 컨트롤러의 동작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글로벌 서비스 체이닝 정보는, 상기 모든 네트워크 도메인들에 대해 전역적으로 정의되는, 서비스 체이닝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도메인들 간의 경로를 정의하는 글로벌 서비스 경로 식별자(global service path identifier)와, 상기 네트워크 도메인들 간의 경로 상에서 하나의 네트워크 도메인을 경유할 때마다 차감되는 글로벌 서비스 인덱스(global service index)를 포함하는,
    모빌리티퍼스트 네트워크의 글로벌 서비스 컨트롤러의 동작 방법.
  15. 모빌리티퍼스트 네트워크 환경에서, 서비스 체이닝을 제공하기 위한 로컬 서비스 컨트롤러(LSC, Local Service Controller)의 동작 방법으로서,
    글로벌 서비스 컨트롤러(GSC, Global Service Controller)로부터 상기 LSC가 담당하는 네트워크 도메인에 유입되는 트래픽에 적용될 로컬 서비스 체이닝에 대한 설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체이닝에 대한 설정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로컬 서비스 체이닝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로컬 서비스 체이닝이 적용될 상기 트래픽에 대한 분류 규칙을 상기 네트워크 도메인의 게이트웨이에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빌리티퍼스트 네트워크의 로컬 서비스 컨트롤러의 동작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LSC는 상기 네트워크 도메인 내에서 정의되는 로컬 서비스 체이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네트워크 도메인 내에서 상기 로컬 서비스 체이닝을 구성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 간 패킷 전달에 이용되도록 하는,
    모빌리티퍼스트 네트워크의 로컬 서비스 컨트롤러의 동작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로컬 서비스 체이닝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도메인 내에서 정의되는, 상기 로컬 서비스 체이닝을 구성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 간의 경로를 정의하는 로컬 서비스 경로 식별자(local service path identifier)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 간의 경로 상에서 하나의 서비스 노드를 경유할 때마다 차감되는 로컬 서비스 인덱스(local service index)를 포함하는,
    모빌리티퍼스트 네트워크의 로컬 서비스 컨트롤러의 동작 방법.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GSC는 서비스 체이닝 정책에 기초한 네트워크 도메인 간 경로 제어를 위하여, 통신 개체에 전달될 트래픽이 거쳐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도메인의 목록으로서, 상기 통신 개체에 대한 네트워크 바인딩 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도록 GNRS(Global Name Resolution Service)를 제어하는,
    모빌리티퍼스트 네트워크의 로컬 서비스 컨트롤러의 동작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GNRS에서 관리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도메인의 목록은 상기 서비스 체이닝 정책이 적용되는 트래픽이 경유하여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도메인을 순서대로 정의하는,
    모빌리티퍼스트 네트워크의 로컬 서비스 컨트롤러의 동작 방법.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LSC가 상기 GSC의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로컬 서비스 체이닝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노드의 처리가 완료된 트래픽을, 글로벌 서비스 체이닝을 구성하는 다음 네트워크 도메인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게이트웨이를 설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모빌리티퍼스트 네트워크의 로컬 서비스 컨트롤러의 동작 방법.
KR1020170038687A 2017-03-27 2017-03-27 모빌리티퍼스트 환경에서 서비스 체이닝 제공 방법 KR201801093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687A KR20180109302A (ko) 2017-03-27 2017-03-27 모빌리티퍼스트 환경에서 서비스 체이닝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687A KR20180109302A (ko) 2017-03-27 2017-03-27 모빌리티퍼스트 환경에서 서비스 체이닝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302A true KR20180109302A (ko) 2018-10-08

Family

ID=63864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8687A KR20180109302A (ko) 2017-03-27 2017-03-27 모빌리티퍼스트 환경에서 서비스 체이닝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930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90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alable content routing and mobility in named data networks
CN109565472B (zh) 虚拟网络中基于切片/服务的路由方法和设备
JP5855817B2 (ja) 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階層構造可変長識別子を備えたパケットを転送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実施方法
CN105264493B (zh) 信息中心网络上的动态虚拟机迁移
US10298712B2 (en) Proxy interception
JP4583455B2 (ja) マルチキャストメッセージを処理する方法とノード
US20130332619A1 (en) Method of Seamless Integration and Independent Evolution of Information-Centric Networking via Software Defined Networking
Rodriguez-Natal et al. LISP: a southbound SDN protocol?
WO2022007503A1 (zh) 一种业务流量处理方法及装置
CN105340244A (zh) 基于来自暂态准则的上下文的动态内容分发网络选择
EP3230885B1 (en) Method for content retrieval from remote network regions
US20140098819A1 (en) Convergence network based on identifier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US98828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domain routing based on as architecture
JP5526015B2 (ja) ゲートウェイシステム、ゲートウェイ装置、負荷分散方法
JP2011055236A (ja) 通信システム、マッピング情報通知装置、マッピング情報通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80109302A (ko) 모빌리티퍼스트 환경에서 서비스 체이닝 제공 방법
Yi et al. SDN and NFV enabled service function multicast mechanisms over hybrid infrastructure
JP2015231212A (ja) データ転送システム、データ転送サーバ、データ転送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763135B1 (en) Load balancing with mobile resources
Silvestro et al. MISE: MIddleboxes SElection for multi-domain service function chains
Kafle et al. ID-based communication framework in future networks
JP6179141B2 (ja) データ転送システムおよびネットワーク負荷軽減方法
Kondo et al. ZINK: An efficient information centric networking utilizing layered network architecture
JP5810047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パケット通信方法
Aiash et al. Supporting communication in information centric networks using the location/ID split protocol and time released cac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