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9149A - 강황잎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제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강황잎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제 - Google Patents

강황잎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제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강황잎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9149A
KR20180109149A KR1020170038288A KR20170038288A KR20180109149A KR 20180109149 A KR20180109149 A KR 20180109149A KR 1020170038288 A KR1020170038288 A KR 1020170038288A KR 20170038288 A KR20170038288 A KR 20170038288A KR 20180109149 A KR20180109149 A KR 20180109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turmeric
cosmetic
improving skin
leaf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8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남준
송민호
김정은
Original Assignee
(주) 한불화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불화농 filed Critical (주) 한불화농
Priority to KR1020170038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9149A/ko
Publication of KR20180109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91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황잎으로부터 비용제추출방식으로 강황잎오일을 획득하는 강황잎 오일 획득 단계; 및 상기 강황잎 오일과 지용성 기재를 혼합하여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제를 제조하는 화장제 제조 단계를 포함하는, 강황잎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제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강황잎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질환 개선용 화장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강황잎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제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강황잎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질환 개선용 화장제{METHOD FOR MANUFACTURING COSMETIC MATERIAL FOR IMPROVING SKIN CONDITION BY HAVING TUMERIC LEAF OIL AS ACTIVE COMPONENT, AND COSMETIC MATERIAL FOR IMPROVING SKIN CONDITION BY HAVING TUMERIC LEAF OIL AS ACTIVE COMPONENT THEREBY}
본 발명은, 강황잎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제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강황잎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질환 개선용 화장제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 피부염은 흔히 태열이라는 만성 피부질환으로서 피부 건조증 및 가려움증이 주증상이다. 면역학적 특성은 다른 알레르기 질환인 두드러기, 중추 알레르기, 천식이나 알레르기성 비염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으며 가족적 경향이 있다.
이러한 아토피성 피부염은 심한 소양증을 가지는 만성 피부염으로, 가려움증이 계속 악화되어, 더 지속되면 피부가 두꺼워지고 주름이 뚜렷해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대부분의 임상 양상은 긁거나 문지른 결과에 의해 발생하며, 밤에는 소양증이 더욱 심해져 수면장애를 일으킨다. 근래에는 전 세계적으로 아토피 피부염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주거 환경의 변화로 항원에 대한 노출 증가, 모유 수유의 감소, 소아기 감염 질환 감소 등을 그 원인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한, 환경오염 등에 의한 공기 매개성 알러지(allergy)에 대한 원인 물질(allergen)의 증가와 건조성 피부를 형성시키는 조건 등이 증가하고 있어 최근 수십년 동안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한 발병율이 계속 상승하고 있고 우리나라도 그 환자수가 늘고 있는 현실이다.
그런데, 이러한 아토피 피부염은 특히 어린이들이 고통을 받고 있다. 아토피피부염의 증상이 나타나는 시기는 대체로 2-6개월이며, 특히 1세 미만에서 가장 많이 나고, 85%가 만 5살 전에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보통 어릴 적 잠시 앓는 병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환자의 50%는 3세 이내에 없어지나 25% 정도는 청소년기까지 가며, 나머지 25% 정도는 성인이 되어도 없어지지 않고 계속 된다.
아토피 피부를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아토피 피부염의 개선 또는 치료방법으로는 피부 장벽을 복구하는 세라마이드 필수지방산 콜레스테롤의 지질복합체를 도포하는 방법(한국 특허공개 제2001-0044622호), 가려움을 예방하기 위한 항히스타민제의 경구복용, 항염증 등을 위한 스테로이드제제의 적용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 물질들은 그 원재료가 천연물질이 아니므로 특히 어린이들에게는 다른 부작용의 우려가 있다.
한편, 강황은 아강황 (Curcuma longa Linne)은 잎 뒷면에 작은 가시 솜털 같은 꽃이 봄에 핑크색을 띄우고 자라며 열대 아시아가 원산으로서 국내에서는 강황 속 식물이 자생하지 않으며 열대 각 지방 및 중국의 남부지방에 자생하거나 재배되는 생강과의 다년생 초본이다. 본초학에서는 강황을 생약으로 사용 시 성질이 따뜻해서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통증을 제거하는 효과가 탁월하다고 하였다. 또한 몇몇 나라에서는 전통적으로 염증을 치료하는데 사용해 왔다. 또한, 강황에 함유된 생리활성물질인 터메론(tumerone)은 항산화, 항염증, 항바이러스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바 있다.
이러한 강황잎을 물속에서 초음파 방식으로 추출하여 얻어진 수용성 추출물을 활용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치료 제조하는 기술로서, 한국 공개 특허 2016-0012676호(강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강황잎의 수용성 추출물을 활용한 제품의 경우, 강황잎에서 항균작용을 하는 물질 및 그 유도 물질들이 지용성 물질이기 때문에, 충분한 유효 성분을 가지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른 화장품도 피부질환에 대한 효과가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강황잎으로 아토피성 피부 질환을 개선할 수 있는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함으로써, 피부 질환 개선에 탁월한 효과를 가진 강황잎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제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강황잎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질환 개선용 화장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강황잎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제 제조 방법은, 강황잎으로부터 비용제추출방식으로 강황잎오일을 획득하는 강황잎 오일 획득 단계; 및 상기 강황잎 오일과 지용성 기재를 혼합하여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제를 제조하는 화장제 제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장제 제조 단계는, 올리브잎 추출물을 용제 추출 방식으로 획득하는 올리브 추출물 획득 단계; 및 캐리어 오일을 상기 올리브 추출물과 상기 강황잎 오일을 혼합하여 상기 피부질환용 개선용 화장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강황잎 오일 획득단계는, 강황잎을 자연 건조한 후 챔버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챔버에 대하여 수증기를 주잎하여 강황잎 추출액을 증류 추출하는 단계; 및 증류 추출된 강황잎 추출액을 냉각기에서 냉각시킨 후, 층분리현상을 이용하여 강황잎 오일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챔버에 대하여 수증기를 주입하여 강황잎 추출액을 증류 추출하는 단계는, 스팀기를 통해 1~2kg/cm2 압력과 100℃의 수증기를 상기 챔버에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수증기가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강황잎을 3~5시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강황잎 오일은, 터피놀렌 및 터메론, BHT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장제 제조 단계는, 캐리어 오일에 상기 강황잎 오일을 1~15 중량%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장제 제조 단계는, 연고 베이스 제제에 상기 강황잎 오일을 1~15중량%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고 베이스 제제에 상기 강황잎 오일을 1~15중량% 혼합하는 단계는, 상기 연고 베이스 제제에 대하여 가열 용융시키는 단계; 용융된 연고 베이스를 1차 냉각시킨 후, 상기 강황잎 오일을 혼합하여 화장제 원재료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화장제 원재료를 2차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은, 상술한 방법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조된 강황잎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질환 개선용 화장제일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강황잎에 많이 포함된 지용성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하여 화장제를 제조함으로써, 아토피 관련 피부질환에 대한 개선 효과가 탁월하게 된다.
또한, 지용성 오일 또는 지용성 연고 베이스 제제에 강황잎 오일을 혼합시켜 화장품 제제를 제조함으로써, 강황잎 오일에 포함된 지용성 유효 성분이 보다 더 오랜시간 동안 피부에 남게 되어, 피부 질환 개선에 대한 효과가 더욱더 커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강황잎 오일 제조 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강황잎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제 제조 방법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도 2에서 생산된 강황잎 오일에 대한 가스 크로마토그라피 분석 결과 이미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강황잎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제 중 제 1 실시예의 피부질환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이미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강황잎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제 중 제 2 실시예의 피부질환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이미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강황잎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제 중 제 3 실시예의 피부질환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이미지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강황잎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제 중 제 4 실시예의 피부질환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이미지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황잎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제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강황잎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질환 개선용 화장제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강황잎 오일 제조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강황잎 오일 제조 장치는, 크게 챔버(A), 스팀기(B), 그리고 냉각기(C)로 구성될 수 있다.
챔버(A)는 강황잎의 오일 추출이 이루어지는 장치이다. 일측은 스팀기(B)와 연결되며 타측은 냉각기(C)와 연결되며, 내부에는 추출 공간이 형성된다. 이 추출 공간에는 수분함량이 20~40% 정도로 건조된 강황잎이 공급된다. 수분 함량이 40% 보다 높은 경우에는 추출물에 수분함량이 많아 비효율적이며, 수분 함량이 20% 보다 적은 경우, 추출물 자체가 적어져서 지용성 유효 성분을 충분히 추출할 수 없게 된다.
챔버(A) 일측에 설치된 스팀기(B)는 챔버(A) 내에 수증기를 공급하여 챔버(A)의 추출공간이 1~2kg/cm2 의 압력을 갖도록 한다.
냉각기(C)는 상기 챔버에서 나오는 기체상태의 수증기와 오일을 냉각시켜 액체(추출물, 또는 추출 액체)로 만드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추출액체에서 층분리현상을 보이는 오일과 물중 오일을 취하여 아토피 피부 질환 개선용 화장제로 활용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가진 강황잎 오일 제조 장치를 활용한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제 제조 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강황잎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제 제조 방법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농촌에서 수확된 강황잎을 준비한다(S11). 그리고 강황잎을 깨끗이 씻고, 건조하여 잎의 수분함량을 20~40%로 맞춘다. 이 때 건조 방식은 자연 건조 또는 열풍 건조기를 활용한다. 건조된 강황잎에 대하여 수증기 증류 방식으로 강황잎 추출물을 획득한다(S13). 즉,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챔버에 대하여 스팀기를 통해 1~2kg/cm2 압력으로 100℃의 수증기(예컨대, 건조된 강황잎 100 g에 12㎏ 정도의 스팀압(1-2 kg/cm㎠)을 가하여 스팀과 오일이 냉각기를 거쳐 물과 오일로 분리되도록 한다. 이 때)를 상기 챔버에 공급하고, 상기 수증기가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강황잎을 3~5시간 유지시켜서 기체상태의 강황잎 추출물이 생성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기체 상태의 강황잎 추출물을 냉각시키면(S14), 오일 부분과 물 부분이 층분리가 발생하게 되고, 이 중 오일 부분을 추출하여 강황잎 오일의 추출을 완성한다(S15). 그리고, 이 강황잎 오일을 올리브 추출물과 혼합하거나 단독으로 캐리어 오일 또는 연고 베이스 기재와 혼합되어서 화장제가 완성이 된다(S16, S25).
캐리어 오일은 다른 첨가물이 들어가지 않은 천연 상태의 진한 농축액인 에센셜 오일을 희석시켜 직접 바를 수 있게 해주는 기초가 되는 오일로서, 여러 가지 오일 중 피부 보습과 피부 재생에 효과적인 호호바 오일, 스위트 아몬드 오일, 헤이즐 넛 오일, 이브닝 프라임 오일, 파라핀 등으로 이루어진 캐리어 오일을 이용하여 연고 또는 크림 베이스를 만든다
다음으로 올리브 추출물의 획득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올리브 추출물은 우선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건조된 올리브 잎을 준비한다(S21). 그 다음 용제에 침지시킨다(S22). 용제로는 지용성 물질인 에탄올이 사용되며, 20% 에탄올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40~50℃ 조건에서 약 3일간 침지시킨후 이를 여과하고, 농축시켜서 올리프입 추출물을 획득하게 된다(S23, S24).
올리프잎 추출물은 전술한 강황잎 오일과 함께 캐리어 오일(호호바 오일)과 혼합되거나, 또는 연고 베이스제와 혼합하게 되어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질환 개선용 화장제의 제조가 완료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에서 생산된 강황잎 오일의 성분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2에서 생산된 강황잎 오일에 대한 가스 크로마토그라피 분석 결과 이미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크로마토그라피에서는 알파-터피놀렌(1), 트랜스-베타- 파메센( trans-B-farmesene), BHT, 및 튜머렌(10,11:ar-튜머렌) 성분이 다수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터피놀렌성분과 트랜스-베타- 파메센은 항균효과를 가지는 유효성분이고, BHT는 방부제 역할(항-곰팡이 효과)를 가지며, 터메런은 강황잎 성분으로서 가스 크로마토 그라피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강황잎 오일은 강황잎의 "피부질환 개선 효과"를 가진 다수의 유효 성분이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강황잎 오일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질환 개선용 화장제 제제는 다음의 4가지 실시예에 대하여 실험을 하였다.
실시예
제 1 및 제 2 실시예 : 오일 형태 타입 제조
제 1 실시예 : 강황잎 오일만으로 제조된 경우
제 1 실시예는 상술한 증류 추출 방식에 의해 제조된 강황잎 오일을 10%, 캐리어 오일 중 하나를 택하여 90%로 내에서 혼합 제조한다(표 1 참조).
강황잎 오일 10g
캐리어 오일
(호호바 오일)
90 g
100g
제 2 실시예 : 강황잎 오일과 올리브 잎 오일을 동시에 사용하여 제조된 경우
오일 제조 방법 1번에서 기술한 방법으로 제조 된 강황잎 오일 8%와, 올리브 잎 오일을 3% 사용하며, 제조 방법 2번에 따라 제조된 캐리어 오일 중 하나를 택하여 89% 로 혼합 제조한다(표 2 참조).
강황잎 오일 8g
올리브 오일 3g
캐리어 오일
(호호바 오일)
89g
100g
제 3 및 제 4 실시예 : 연고 형태의 제품 제조
제 3 실시예 : 강황잎 오일만으로 제조된 경우
상술한 방식으로 획득된 강황잎 오일10%에 연고 base PEG 1000과 PEG 600을 사용한 혼합 연고 base를 90% 사용하여 제조한다(표 3 참조).
강황잎 오일 10g
연고 base 제재
(PEG 1000, PEG 600 혼합)
90 g
100g
제 4 실시예 : 강황잎 오일과 올리브 잎 오일로 제조된 경우
강황잎 오일 8%과 올리브 잎 추출물 4%을 사용하여 연고 base (PEG 1000, PEG 600) 88%에 혼합하여 제조한다. 먼저 연고 base를 60℃에서 혼합 용해시킨 후, 서서히 냉각시켜 40℃ 부근에서 오일을 넣어 냉각하여 제품화한다(표 4 참조).
강황잎 오일 8g
올리브 잎 오일 4g
연고 base 제재
(PEG 1000, PEG 600 혼합)
88g
100g
상기와 같이 제조된 천연 아토피성 피부 질환 치료제등(실시예1 내지 4)를 기존의 아토피성 피부 질환 치료제(비교예 1 및 2)와 비교하였다(표 5참조).
비교예 1 주요 성분 비교예 2 주요 성분 실시예 1
하수오 추출물 외 7종 천연 추출물, 정제수, 부틸렌글라이콜 외 13종 화학물질 혼합유산균, 정제수, 향료, 페녹시에탄올 외 7종 화학물질 강황잎 오일, 호호바 오일
비교예 1 및 2와 실시예 1을 피부 보습 효과, 피부 가려움증 완화, 재발을 평가하여 5점 척도법 (1: 매우 나쁘다, 2: 나쁘다, 3: 보통이다, 4: 좋다, 5: 매우 좋다)으로 표시를 아토피 환자 10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6 참조 : 실험 기간: 1 주일).
구 분 보습효과 가려움증 완화 회복 속도 재발율
비교예 1 3 3 3 70 %
비교예 2 3 3 2 65 %
실시예 1 4 5 5 30 %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을 환자의 손등에 도포하여 테스트한 바, 손등에 생겻던 염증이나 붉은 반점등의 피부질환이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표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은 보습효과, 가려움증 완화 정도, 회복 속도 정도에서 비교예1 및 2 대비 월등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재발율에 있어서 30%에 불과하여 비교예 1 및 2의 70%, 65%에 비해 상당히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구 분 보습효과 가려움증 완화 회복 속도 재발율
비교예 1 3 3 3 70 %
비교예 2 3 3 2 65 %
실시예 2 5 5 5 30 %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2를 환자의 목에 도포하여 테스트한 바, 목에 생겼던 염증이나 붉은 반점등의 피부질환이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2는 보습효과, 가려움증 완화 정도, 회복 속도 정도에서 비교예1 및 2 대비 월등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보습효과의 경우, 실시예 1에 비해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재발율에 있어서 30%에 불과하여 비교예 1 및 2의 70%, 65% 에 비해 상당히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구 분 보습효과 가려움증 완화 회복 속도 재발율
비교예 1 3 3 3 70 %
비교예 2 3 3 2 60 %
실시예 3 4 5 5 30 %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3을 환자의 얼굴(볼)에 도포하여 테스트한 바, 볼에 생겼던 염증이나 붉은 반점등의 피부질환이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3은 보습효과, 가려움증 완화 정도, 회복 속도 정도에서 비교예1 및 2 대비 월등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재발율에 있어서 30%에 불과하여 비교예 1 및 2의 70%, 65% 에 비해 상당히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구 분 보습효과 가려움증 완화 회복 속도 재발율
비교예 1 3 3 3 70 %
비교예 2 3 3 2 65 %
실시예 4 5 5 5 27 %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4를 환자의 다리에 도포하여 테스트한 바, 다리에 생겼던 염증이나 붉은 반점등의 피부질환이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은 보습효과, 가려움증 완화 정도, 회복 속도 정도에서 비교예1 및 2 대비 월등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재발율에 있어서 27%에 불과하여 비교예 1 및 2의 70%, 65%에 비해 상당히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강황잎 오일을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질환 치료제는 다른 치료제에 비하여 피부 보습효과와 가려움증을 완화하는데 탁월한 효과를 보이며, 비교적 단기간 내에 아토피를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치료제를 사용하면 다시 재발하는 것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었다.
강황잎 오일을 적은 양 사용하고, 비교적 저렴한 올리브 잎 추출물을 가하여 혼합 제제로 했을 때에도 동일 효과 내지는 그 이상의 효과(보습효과에 있어서 더 우수해짐을 확인할 수 있다)를 얻을 수 있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강황잎에 많이 포함된 지용성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하여 화장제를 제조함으로써, 아토피 관련 피부질환에 대한 개선 효과가 탁월하게 된다.
또한, 지용성 오일 또는 지용성 연고 베이스 제제에 강황잎 오일을 혼합시켜 화장품 제제를 제조함으로써, 강황잎 오일에 포함된 지용성 유효 성분이 보다 더 오랜시간 동안 피부에 남게 되어, 피부 질환 개선에 대한 효과가 더욱더 커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강황잎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제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강황잎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질환 개선용 화장제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9)

  1. 강황잎으로부터 비용제추출방식으로 강황잎오일을 획득하는 강황잎 오일 획득 단계; 및
    상기 강황잎 오일과 지용성 기재를 혼합하여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제를 제조하는 화장제 제조 단계를 포함하는, 강황잎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제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제 제조 단계는,
    올리브잎 추출물을 용제 추출 방식으로 획득하는 올리브 추출물 획득 단계; 및
    캐리어 오일을 상기 올리브 추출물과 상기 강황잎 오일을 혼합하여 상기 피부질환용 개선용 화장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강황잎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제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황잎 오일 획득단계는,
    강황잎을 자연 건조한 후 챔버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챔버에 대하여 수증기를 주잎하여 강황잎 추출액을 증류 추출하는 단계; 및
    증류 추출된 강황잎 추출액을 냉각기에서 냉각시킨 후, 층분리현상을 이용하여 강황잎 오일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강황잎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제 제조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에 대하여 수증기를 주입하여 강황잎 추출액을 증류 추출하는 단계는,
    스팀기를 통해 1~2kg/cm2 압력과 100℃의 수증기를 상기 챔버에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수증기가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강황잎을 3~5시간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강황잎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제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황잎 오일은, 터피놀렌 및 터메론, BHT 성분을 포함하는, 강황잎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제 제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제 제조 단계는,
    캐리어 오일에 상기 강황잎 오일을 1~15 중량%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강황잎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제 제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제 제조 단계는,
    연고 베이스 제제에 상기 강황잎 오일을 1~15중량%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강황잎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제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고 베이스 제제에 상기 강황잎 오일을 1~15중량% 혼합하는 단계는,
    상기 연고 베이스 제제에 대하여 가열 용융시키는 단계;
    용융된 연고 베이스를 1차 냉각시킨 후, 상기 강황잎 오일을 혼합하여 화장제 원재료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화장제 원재료를 2차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강황잎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질환 개선용 화장제 제조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강황잎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질환 개선용 화장제.
KR1020170038288A 2017-03-27 2017-03-27 강황잎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제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강황잎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제 KR201801091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288A KR20180109149A (ko) 2017-03-27 2017-03-27 강황잎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제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강황잎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288A KR20180109149A (ko) 2017-03-27 2017-03-27 강황잎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제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강황잎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149A true KR20180109149A (ko) 2018-10-08

Family

ID=63864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8288A KR20180109149A (ko) 2017-03-27 2017-03-27 강황잎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제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강황잎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914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2879B2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lant extracts for treating skin disorders and enhancing healing of wounds
KR101146206B1 (ko)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HU202743B (en) Active ingredient composition comprising medicinal herb extracts, cosmetics comprising such active ingredient and process for producing medicinal and veterinary compositions
US10350256B2 (en)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dermatological conditions, disorders or diseases
US8247004B2 (en) Plant extracts for treating skin disorders and enhancing healing of wounds for diabetic patients
TWI773676B (zh) 新穎之水飛薊(silybum marianum)瘦果萃取物以及其於皮膚科及皮膚化妝品的用途
US6964786B1 (en) Oil from Momordica charantia L., its method of preparation and uses
KR101257435B1 (ko) 세이지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99870B1 (ko) 어성초 및 느릅나무 혼합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EP1925310B1 (en) Plant extracts from Plectranthus and Centella for treating skin disorders and accelerating wound healing in diabetic patients
TW201927294A (zh) 類視色素及水飛薊(silybum marianum (l.) gaertn.)萃取物的締合物
KR102166300B1 (ko) 다기능성 미용비누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다기능성 미용비누의 제조방법
JP5756676B2 (ja) 皮膚外用剤
KR100991399B1 (ko) 어성초, 금전초, 차전초, 느릅나무 및 상엽 혼합추출물을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80109149A (ko) 강황잎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제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강황잎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제
KR20200092724A (ko) 항염 진정효과가 우수한 병풀추출물 함유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공정
KR102472639B1 (ko) 피부온도 저감, 붓기 완화 효과를 갖는 스포츠 마사지용 화장료 조성물
JP4105498B2 (ja) アトピー性疾患の症状の予防・緩和に有効な組成物
KR20180092256A (ko) 민감성 피부용 보습 화장료 조성물
KR20210059517A (ko) 모링가오일, 시어버터, 병풀추출물, 감초추출물의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및 예방효능을 극대화 시킨 4중 컴플렉스와 그 배합비
KR20060074038A (ko)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
EP3607959A1 (en) Formulations containing lipophilic extracts of spicy edible plants useful in controlling pain and inflammation
KR102289346B1 (ko) 피부진정과 아토피 개선용 인퓨즈드 오일의 제조방법
KR102652806B1 (ko) 헴프씨드오일을 함유한 아토피 개선 효능을 갖는 화장품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헴프씨드오일을 함유한 아토피 개선 효능을 갖는 화장품 조성물
KR102533237B1 (ko) 한방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두피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