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8873A - 기준 모드 값의 도출 및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의 인코딩 및 디코딩 - Google Patents

기준 모드 값의 도출 및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의 인코딩 및 디코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8873A
KR20180108873A KR1020187027327A KR20187027327A KR20180108873A KR 20180108873 A KR20180108873 A KR 20180108873A KR 1020187027327 A KR1020187027327 A KR 1020187027327A KR 20187027327 A KR20187027327 A KR 20187027327A KR 20180108873 A KR20180108873 A KR 20180108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ra prediction
mode
prediction mode
modes
curr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7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8921B1 (ko
Inventor
에두아르 프랑수와
기욤 라로슈
빠트리스 오노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08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1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among a plurality of spatial predictive coding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05Selection of the reference unit for prediction within a chosen coding or prediction mode, e.g. adaptive choice of position and number of pixels used for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04N19/159Prediction type, e.g. intra-frame, inter-frame or bidirectional frame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set of transform coeffic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 H04N19/19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being specially adapted for the computation of encoding parameters, e.g. by averaging previously computed encoding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 H04N19/463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by compressing encoding parameters befor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13Processing of motion vectors
    • H04N19/517Processing of motion vectors by encoding
    • H04N19/52Processing of motion vectors by encoding by predictive en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spatial prediction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현재 코딩 유닛과 관련된 예측 모드를 인코딩 또는 디코딩하는데 사용가능한 MPM(most probable mode)라 불리우는 기준 예측 모드 값이 도출된다. 제1 및 제2 기준 예측 모드 값이 현재 코딩 유닛의 적어도 2개의 이웃 코딩 유닛의 각각의 예측 모드로부터 도출된다(S402). 제1 및 제2 기준 예측 모드는 서로 다르다. 제3 기준 예측 모드 값은 제1 및 제2 기준 예측 모드 값으로부터 도출된다(S403). 제3 기준 예측 모드는 상기 제1 및 제2 기준 예측 모드 값의 각각과 다르다. 현재 코딩 블록의 예측 모드와의 비교를 위해 2개 대신 3개의 MPM을 도출함으로써, 코딩 효율이 개선된다. 이것은 현재 코딩 블록의 예측 모드가 도출된 MPM 중의 하나에 대응할 확률의 증가 때문이다.

Description

기준 모드 값의 도출 및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의 인코딩 및 디코딩{DERIVING REFERENCE MODE VALUES AND ENCODING AND DECODING INFORMATION REPRESENTING PREDICTION MODES}
본 발명은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모드 값을 인코딩 또는 디코딩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배타적이지 않지만, 본 발명은 개발 중인 고효율 비디오 코딩(high efficiency video coding) 표준에서의 인트라 모드 코딩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 애플리케이션은 고해상도를 향해 계속 이동하고 있다. 고품질 및 해상도를 향한 계속적인 발전(예를 들어 프레임 당 더 높은 수의 픽셀, 더 높은 프레임 레이트, 더 높은 비트 뎁스(bit-depth) 또는 확장된 색공간(color gamut))으로, 많은 양의 비디오 재료가 방송 채널, 디지털 네트워크 및 패키징 매체를 통해 디지털 형태로 이미 분배되었다. 이 기술의 발전은 최종 사용자(end user)에게 경제적으로 HDTV 해상도 및 데이터 레이트를 전달하는데 있어서 이미 어려움에 직면한 분배 네트워크에 대한 더 높은 부하를 가한다. 그러므로, 임의의 추가의 데이터 레이트 증가는 네트워크에 대한 추가적인 부하를 유발할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ITU-T 및 ISO/MPEG는 2010년 1월 새로운 비디오 코딩 표준 프로젝트, 즉, 고효율 비디오 코딩(HEVC)을 런칭하기로 결정하였다.
HEVC 코덱 설계는 H.263, H.264, MPEG-1, MPEG-2, MPEG-4, SVC 등의 소위 이전의 블록 기반 하이브리드 변환 코덱과 유사하다. 표준화 바디(ITU, ISO 및 SMPTE)에 의해 표준화된 것 등의 비디오 압축 알고리즘은 이들 비디오 시퀀스와 비교하여 감소된 사이즈의 데이터 비트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하여 이미지의 공간 및 시간 리던던시를 이용한다. 이러한 압축은 비디오 시퀀스의 송신 및/또는 저장을 더 효과적이게 한다.
제안된 HEVC 인코더에서의 비디오 압축시, 처리되는 이미지의 각 블록은 "인트라" 예측기(소위 "인트라" 코딩 모드)에 의해 공간적으로 또는 "인터" 예측기(소위 "인터" 코딩 모드)에 의해 시간적으로 예측된다. 각각의 예측기는 차 블록(또는 "레지듀얼(residual)")이 도출되는 동일 또는 다른 이미지로부터 발생된 픽셀의 블록이다. 인트라 코딩 모드에서, 현재 블록에 사용되는 예측기(인트라 예측기)는 현재 이미즈의 이미 인코딩된 정보로부터 구성된 픽셀의 블록이다. 예측기 블록의 식별 및 레지듀얼의 코딩에 의해, 실제로 인코딩될 정보의 품질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인코딩된 프레임은 2개의 타입, 즉, (B 프레임이라 불리우는 2개의 기준 프레임으로부터 예측되거나 P 프레임이라 불리우는 하나의 기준 프레임으로부터 예측된) 시간 예측 프레임 및 (인트라 프레임 또는 I 프레임이라 불리우는) 비시간 예측 프레임이 존재한다. I 프레임에서는, 블록을 코딩하기 위하여 인트라 예측만이 고려된다. P 프레임 및 B 프레임에서는 블록을 코딩하기 위하여 인트라 및 인터 예측이 고려된다.
"인트라" 코딩이 선택되면, 사용되는 "인트라" 예측기를 설명하는 정보의 항목이 해당 디코더로 전송될 비트 스트림에 삽입되기 전에 코딩된다.
MPEG-4 AVC/H.264 등의 이전의 설계에서 뿐만 아니라 현재 HEVC 설계에서, 인트라 코딩은 도 1a 및 1b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인코딩(디코딩)될 블록의 재구성된 이웃 샘플(101)로부터 인트라 예측 블록을 도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수 예측 모드가 방향(directional) 또는 비방향(non-directional)으로 지원된다. HEVC에서, 지원되는 모드의 수는 코딩 유닛(CU)의 사이즈에 의존한다. 본 출원의 제출 날짜에, HEVC 사양이 여전히 변경되지만, 현재, 다음의 지원 모드, 즉, 64×64 CU에 대한 4 모드, 4×4 CU에 대한 18 모드, 다른 사이즈(8×8 내지 32×32)의 CU에 대한 35 모드가 고려된다.
CU가 인트라 코딩될 때, 그 관련 인트라 예측 모드가 코딩되어야 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현재 CU(102)를 코딩할 때, 인트라 모드 코딩은 이미 코딩된 2개의 이웃 CU, 즉, 상부 및 좌측 CU(103 및 104)를 이용한다.
도 2는 HEVC에서 고려되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나타낸다. 인트라 예측 모드는 모드 예측 값(0)에 의해 식별되는 평면 예측 모드, 모드 예측 값(3)을 갖는 DC 모드, 및 상이한 각에 대응한 이미지 내의 방향 구조를 예측하는 모드 예측 값(4 내지 34)에 의해 식별되는 다수의 방향 예측 모드를 포함한다. 또한, 수평 예측 모드(2) 및 수직 예측 모드(1)가 포함된다.
도 3은 현재의 HEVC 설계에서 인트라 모드 코딩이 어떻게 수행되는지를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플로우챠트이다. 제1 단계(S201)에서, 이웃 상부 및 좌측 CU(103 및 104)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된다. 2개의 CU는 동일한 인트라 예측 모드를 공유하거나 상이한 인트라 예측 모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단계(S201)에서, 하나 또는 2개의 상이한 인트라 예측 모드가 식별될 수 있다. 단계(S202)에서, 2개의 MPM(Most Probable Mode)가 식별된 인트라 예측 모드로부터 도출된다. 상부 및 좌측 CU(103 및 104)의 예측 모드가 상이하면, 2개의 MPM(MPM0 및 MPM1)은 각각 상부 및 좌측 CU 예측 모드의 최소 및 최대 값으로 설정된다. 상부 및 좌측 CU(103 및 104)로부터의 예측 모드가 동일하고 평면 예측 모드에 대응하지 않으면, MPM0는 평면 모드와 동일하게 설정되고 MPM1은 상부 또는 좌측 CU 예측 모드의 예측 모드로 설정된다. 상부 및 좌측 CU(103 및 104)의 예측 모드가 평면 모드에 대응하면, MPM0는 평면 모드와 동일하게 설정되고 MPM1은 DC 모드로 설정된다. 따라서, MPM0 및 MPM1은 자신의 예측 모드 값에 따라 정돈되고, 더 작은 모드 값을 갖는 예측 모드는 MPM0이라 하고 더 큰 모드 값을 갖는 예측 모드는 MPM1이라 한다. 단계(S203)에서, 현재 코딩 유닛의 예측 모드가 2개의 MPM과 비교된다. 현재 코딩 유닛의 예측 모드가 MPM0 또는 MPM1이면, 단계(S204)에서, 제1 코딩 프로세스(프로세스 1)가 적용된다.
이 제1 코딩 프로세스는 현재 블록의 모드가 MPM 중의 하나와 동일하다고 시그널링하는 플래그를 코딩하고 관련된 MPM의 인덱스(MPM0이면 0, MPM1이면 1)를 코딩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계(S203)에서 현재 블록의 예측 모드가 2개의 MPM 중의 하나와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하면, 단계(S205)에서 제2 코딩 프로세스(프로세스 2)가 적용된다.
제1 코딩 프로세스와 달리, 제2 코딩 프로세스는 현재 블록의 모드 값을 코딩하는 것을 포함한다.
통계적으로, 프로세스 1은 프로세스 2보다 더 자주 사용된다. 통계적으로,예측 모드는 모든 MPM과 다르기 보다는 MPM 중의 하나와 더 자주 동일하다. 엔트로피 엔진은 프로세스 2에서보다 프로세스 1에서 더 짧은 코드워드를 이용하거나 MPM 중의 하나와 동일할 확률이 더 높은 것을 이용하여 이 특성으로부터 이익을 얻는다 (CABAC에서 사용되는 산술 코딩은, 인코딩을 개선하고 코딩 비용을 감소시킬 확률을 효율적으로 이용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우려 및 소망 중의 하나를 다루기 위하여 고안되었다. 예측 모드 정보를 인코딩하는 방법의 코딩 효율을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따르면, 인트라 모드 코딩 프로세스에 의해 현재 코딩 유닛과 관련된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모드 정보를 인코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현재 코딩 유닛의 적어도 2개의 이웃 코딩 유닛의 각각의 예측 모드로부터 제1 및 제2 기준 예측 모드 값을 도출하는 단계 - 상기 제1 및 제2 기준 예측 모드는 서로 다름 -; 상기 인코딩될 예측 모드 값을 상기 기준 예측 모드 값 중의 하나 이상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에 기초하여, 적어도 제1 및 제2 인코딩 프로세스 중에서 상기 인코딩될 모드 값에 적용될 인코딩 프로세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및 제2 기준 예측 모드 값으로부터 제3 기준 예측 모드 값을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기준 예측 모드는 상기 제1 및 제2 기준 예측 모드 값의 각각과 다르고,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인코딩될 예측 모드 값을 상기 제1, 제2 및 제3 기준 예측 모드 값 중의 적어도 하나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현재의 코딩 블록의 예측 모드와 비교하기 위하여 2개 대신 3개의 MPM을 도출함으로써, 코딩 효율이 개선된다. 이것은 현재 코딩 블록의 예측 모드가 도출된 MPM 모드 중의 하나에 대응할 확률의 증가 때문이다. 이것은 더 경제적인 인코딩 프로세스가 현재 코딩 블록의 예측 모드를 인코딩하는데 사용되도록 하기 때문에, 전체 코딩 비용이 감소한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따르면, 인코딩될 현재 코딩 유닛과 연관된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모드 정보를 인코딩하는 장치로서, 상기 현재 코딩 유닛의 적어도 2개의 이웃 코딩 유닛의 각각의 예측 모드로부터 제1 및 제2 기준 예측 모드 값을 도출하는 도출 수단 - 상기 제1 및 제2 기준 예측 모드는 서로 다름 -; 상기 인코딩될 예측 모드 값을 상기 기준 예측 모드 값 중의 하나 이상과 비교하는 비교 수단; 및 상기 비교에 기초하여, 적어도 제1 및 제2 인코딩 프로세스 중에서 상기 인코딩될 모드 값에 적용될 인코딩 프로세스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도출 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기준 예측 모드 값으로부터 제3 기준 예측 모드 값을 도출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제3 기준 예측 모드는 상기 제1 및 제2 기준 예측 모드 값의 각각과 다르고, 상기 비교 수단은 상기 인코딩될 예측 모드 값을 상기 제1, 제2 및 제3 기준 예측 모드 값 중의 적어도 하나와 비교하도록 동작가능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 형태에 따르면, 디코딩될 현재 코딩 유닛과 연관된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모드 값을 디코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현재 코딩 유닛의 적어도 2개의 이웃 디코딩 유닛의 각각의 예측 모드로부터 제1 및 제2 기준 예측 모드 값을 도출하는 단계 - 상기 제1 및 제2 기준 예측 모드는 서로 다름 -; 상기 디코딩될 예측 모드 값을 상기 기준 예측 모드 값 중의 하나 이상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에 기초하여, 적어도 제1 및 제2 인코딩 프로세스 중에서 상기 디코딩될 모드 값에 적용될 디코딩 프로세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및 제2 기준 예측 모드 값으로부터 제3 기준 예측 모드 값을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기준 예측 모드는 상기 제1 및 제2 기준 예측 모드 값의 각각과 다르고,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디코딩될 예측 모드 값을 상기 제1, 제2 및 제3 기준 예측 모드 값 중의 적어도 하나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4 형태에 따르면, 디코딩될 현재 코딩 유닛과 연관된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모드 값을 디코딩하는 장치로서, 상기 현재 코딩 유닛의 적어도 2개의 이웃 디코딩 유닛의 각각의 예측 모드로부터 제1 및 제2 기준 예측 모드 값을 도출하는 도출 수단 - 상기 제1 및 제2 기준 예측 모드는 서로 다름 -; 상기 디코딩될 예측 모드 값을 상기 기준 예측 모드 값 중의 하나 이상과 비교하는 비교 수단; 및 상기 비교에 기초하여, 적어도 제1 및 제2 인코딩 프로세스 중에서 상기 디코딩될 모드 값에 적용될 디코딩 프로세스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기준 예측 모드 값으로부터 제3 기준 예측 모드 값을 도출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상기 제3 기준 예측 모드는 상기 제1 및 제2 기준 예측 모드 값의 각각과 다르고, 상기 비교 수단은 상기 디코딩될 예측 모드 값을 상기 제1, 제2 및 제3 기준 예측 모드 값 중의 적어도 하나와 비교하도록 동작가능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있어서, 현재 코딩 유닛과 관련된 예측 모드의 인코딩 또는 디코딩을 위한 기준 예측 모드 값을 도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현재 코딩 유닛의 적어도 2개의 이웃 코딩 유닛의 각각의 예측 모드로부터 제1 및 제2 기준 예측 모드 값을 도출하는 단계 - 상기 제1 및 제2 기준 예측 모드는 서로 다름 -; 및 상기 제1 및 제2 기준 예측 모드 값으로부터 제3 기준 예측 모드 값을 도출하는 단계 - 상기 제3 기준 예측 모드는 상기 제1 및 제2 기준 예측 모드 값의 각각과 다름 -, 상기 제1, 제2 및 제3 기준 예측 모드 값은 인코딩 또는 디코딩될 예측 모드 값의 인코딩 또는 디코딩에 이용가능한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기준 예측 모드 값 중의 어느 것도 평면(planar) 예측 모드에 대응하지 않으면, 상기 제3 기준 예측 모드 값은 상기 평면 예측 모드에 대응하는 모드 값으로 설정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기준 예측 모드 값 중의 하나가 DC 예측 모드에 대응하고 상기 제1 및 제2 기준 예측 모드 값 중의 다른 하나가 평면 예측 모드에 대응하면, 상기 추가의 예측 모드 값이 미리 정의된 예측 모드 값으로 설정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미리 정의된 예측 모드 값은 슬라이스 또는 픽쳐 헤드에서 시그널링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미리 정의된 예측 모드 값은 예를 들어 5보다 작은 예측 모드 값 등의 작은 예측 모드 값을 갖는다.
실시예에서, 상기 미리 정의된 예측 모드 값은 수평 예측 모드 또는 수직 예측 모드에 대응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미리 정의된 예측 모드 값은 인코딩되는 이미지의 콘텐츠에 의존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미리 정의된 예측 모드 값은 각각의 예측 모드의 발생 확률을 나타내는 모드 확률에 기초하여 적응적으로 도출되고, 상기 모드 확률은 규칙적으로 계산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기준 예측 모드 값 중의 하나가 방향 예측 모드에 대응하고 상기 제1 및 제2 기준 예측 모드 값 중의 다른 하나가 평면 예측 모드에 대응하면, 제3 예측 모드 값은 관련된 기준 예측 모드 값의 방향보다 우위의 다음의 각 방향을 갖는 예측 모드에 대응하는 예측 모드 값에 설정된다.
실시예에서, 적어도 2개의 이웃 인코딩 또는 디코딩 유닛은 현재 인코딩 또는 디코딩 유닛의 좌측 이웃 인코딩 또는 디코딩 유닛 및 상부 이웃 인코딩 또는 디코딩 유닛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인코딩 또는 디코딩 프로세스는 인코딩될 또는 디코딩될 모드 값 및 상기 제1, 제2 및 제3 기준 예측 모드 값 중의 적어도 하나 간의 소정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1 정보를 인코딩 또는 디코딩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인코딩 프로세스는 상기 인코딩될 또는 디코딩될 모드 값을 나타내는 제2 정보를 인코딩 또는 디코딩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인코딩 프로세스는 상기 인코딩될 또는 디코딩될 모드 값이 상기 3개의 기준 예측 모드 값 중의 적어도 하나와 동일할 때 선택되고, 상기 제2 인코딩 프로세스는 상기 인코딩될 또는 디코딩될 모드 값이 상기 3개의 기준 예측 모드 값의 각각과 다를 때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적어도 일부는 컴퓨터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완전히 하드웨어 실시예, 완전히 소프트웨어 실시예(펌웨어, 상주 소프트웨어, 마이크로코드 등을 포함) 또는 일반적으로 "회로", "모듈" 또는 "시스템"이라 지칭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형태를 조합한 실시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매체에서 구현되는 컴퓨터 사용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임의의 유형(tangible) 매체에서 구현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임의의 적절한 캐리어 매체 상의 프로그램가능 장치에 제공될 컴퓨터 판독가능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형의 캐리어 매체는 플로피 디스크, CD-ROM,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테이프 장치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 장치 등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시적인 캐리어 매체는 전기 신호, 전자 신호, 광 신호, 음향 신호, 자기 신호 또는 전자기 신호, 예를 들어, 마이크로웨이브 또는 RF 신호 등의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예로서 설명한다.
도 1a 및 1b는 현재 HEVC 설계에서 인트라 예측 블록이 도출되는 방법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현재 HEVC 설계에서 인트라 예측 모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현재 HEVC 설계에서 인트라 모드 코딩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플로우챠트.
도 4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 모드 코딩의 원리를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플로우챠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 예측 모드 값을 도출하는 방법의 단계의 플로우챠트.
도 6은 도 5의 방법에 관련된 단계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7은 일련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코더를 구현하는데 적합한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인코더의 일부의 블록도.
도 10은 디코더의 일부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현하는 인트라 모드 코딩 방법의 원리를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플로우챠트이다. 본 플로우챠트에 따른 인트라 모드 코딩 방법은 CABAC 또는 CAVLC 등의 임의의 엔트로피 코딩 엔진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에서, 단계(S401 및 S402)는 각각 도 3의 단계(S201 및 S202)와 동일하고, 이들 단계의 설명은 여기서 반복되지 않는다.
단계(S403)에서, 제3 MPM(MPM2)은 단계(S402)에서 이웃 상부 및 좌측 CU의 예측 모드로부터 도출된 제1 및 제2 MPM(MPM0 및 MPM1)로부터 도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3 MPM(MPM2)를 도출하는 단계를 상세히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단계(S501)에서, 단계(S402)에서 도출된 제1 및 제2 MPM 값(MPM0 및 MPM1)이 식별된다. 단계(S502)에서, MPM값(MPM0 및 MPM1) 중의 하나가 평면 예측 모드에 대응하는지를 체크한다. 이 단계는 양 MPM 값을 체크하여 이들 MPM 값이 평면 예측 모드에 대응하는지를 체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MPM 값(MPM0 및 MPM1)이 자신의 예측 모드 값에 따라 정돈될 때, MPM0가 더 낮은 순위의 예측 모드에 대응하므로, MPM0가 평면 모드에 대응하는지를 체크할 필요가 있다. MPM0 또는 MPM1 중 어느 것도 평면 예측 모드에 대응하지 않으면, 단계(S506)에서 추가의 MPM(MPM2)이 평면 모드에 대응하는 모드 값에 설정된다. 평면 모드는 통계적으로 더 빈번히 사용되는 예측 모드이므로, 현재 블록의 예측 모드에 대응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후속의 비교 단계를 위해 MPM의 세트에 삽입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단계(S502)에서 제1 및 제2 MPM(MPM0 또는 MPM1) 중의 하나가 평면 모드에 대응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단계(S503)에서 다른 MPM0 또는 MPM1이 DC 예측 모드에 대응하는지를 체크한다. 제1 및 제2 MPM(MPM0 또는 MPM1) 중의 하나가 평면 예측 모드에 대응하고 제1 및 제2 MPM(MPM0 또는 MPM1) 중의 다른 하나가 DC 예측 모드에 대응하는 것으로 결정하면, 제3 MPM(MPM2)가 미리 정의된 모드 값에 설정된다.
사실상, 작은 예측 모드 값을 갖는 예측 모드는 현재 블록의 예측 모드에 대응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용된다.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MPM2는 수직 예측 모드에 대응하는 예측 모드 값(2)에 설정된다.
수평 방향 예측에 대응하는 예측 모드 값(2)이 또한 선택될 수 있지만, 수직 방향은 통계적으로 수평 구조보다는 자연스러운 이미지에 더 많이 존재하고, 따라서, 현재 블록의 예측 모드에 대응할 가능성이 높다.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에서, 미리 정의된 예측 모드는 픽쳐 콘텐츠에 의존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이미지 내의 모드 분포 통계에 따라, 슬라이스 또는 픽쳐 헤드에서 시그널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미리 정의된 예측 모드는 규칙적으로 계산되는 각각의 예측 모드의 발생 확률을 나타내는 모드 확률에 기초하여 적응적으로 도출될 수 있다. 이 경우, 확률 테이블이 정의된다. 모드가 코딩될 때마다, 그 확률이 업데이트된다. MPM0 및 MPM1이 평면 및 DC일 때, MPM2는 가장 높은 확률 값을 갖는 평면 및 DC와 다른 모드로서 계산된다. 그러므로, 2개의 제1 MPM으로서 평면 및 DC의 특정 케이스에서, MPM2는 이미지 콘텐츠에 따라 적응적으로 계산된다.
그러나, 단계(S503)에서 제1 MPM(MPM0) 및 제2 MPM(MPM1) 중의 어느 것도 DC 예측 모드에 대응하지 않고 따라서 제1 및 제2 MPM(MPM0 또는 MPM1) 중의 어느 하나가 방향 예측 모드(MPM_dir)에 대응하면, 단계(S505)에서 제3 MPM(MPM2)는 MPM_dir의 방향보다 우위의 가장 가깝고 허가된 각 방향(authorized superior angular direction)을 갖는 방향 예측 모드로 설정된다. 이 프로세스를 더 상세히 나타내는 도 6을 참조하면, 단계(S601)에서, 평면 모드가 아닌 이웃 코딩 유닛의 예측 모드가 식별된다. 단계(S602)에서, 식별된 예측 모드가 DC인지를 결정한다. 그러면, MPM2는 수직 예측 모드에 설정되고, 그렇지 않고, 식별된 예측 모드가 DC가 아니면, 단계(S604)에서 MPM2는 모드(m)의 방향(MPM_dir)보다 우위의 가장 가깝고 허가된 각 방향에 설정된다.
예를 들어, MPM_dir이 13과 동일하면, 도 2를 참조하여, 현재 코딩 유닛이 8×8 또는 32×32의 사이즈를 가지면 MPM2이 24로 설정되고 현재 코딩 유닛이 4×4 사이즈를 가지면 6으로 설정된다(현재 HEVC 설계에서, 4×4 CU에서, 17보다 큰 값을 갖는 모드는 금지된다). 가장 가까운 우위의 각 방향을 이용하는 것은 가장 많은 수행 솔루션이 되는 것을 실험적으로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에서, 최대 확률 예측 모드(MPM0 및 MPM1)의 순서는 제3 최대 확률 예측 모드(MPM2)가 도출되기 전에 그 예측 값에 따라 정돈(ordered)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S402)는 자신의 예측 모드 값에 따라 MPM0 및 MPM1을 재정돈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그 후, MPM0, MPM1 및 MPM2는 MPM2가 도출된 후에 그 예측 모드 값에 따라 정돈될 수 있다.
도 4로 되돌아가서, 단계(S404)에서, 현재 코딩 블록에 관련된 예측 모드가 제1 MPM(MPM0)와 동일하면, 인코딩 프로세스 1인지 또는 인코딩 프로세스 2인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단계(S402 및 S403)에서 도출된 제2 MPM(MPM1) 또는 제3 MPM(MPM2)가 적용되어 현재 코딩 블록의 예측 모드 값을 인코딩한다. 현재 블록의 모드가 세개의 MPM(MPM0, MPM1 또는 MPM2) 중의 하나와 동일할 때 수행되는 프로세스 1가 단계(S405)에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에서, 단계(S405)는 도 3의 단계(S204)와 동일할 수 있고, 여기에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현재 블록의 모드가 제1 MPM(MPM0), 제2 MPM(MPM1) 및 제3 MPM(MPM2)의 각각과 다를 때 수행되는 프로세스(2)가 단계(S406)에서 구현된다. 단계(S406)는 도 3의 해당 단계(S205)와 동일하고 여기에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현재 코딩 블록의 예측 모드가 도출된 MPM 중의 하나에 대응할 확률이 증가하기 때문에, 현재 코딩 블록의 예측 모드와 비교하기 위하여 2개 대신 3개의 MPM을 이용하는 것은 코딩 효율을 개선한다. 이것은 현재 코딩 블록의 예측 모드를 시그널링하는데 더 적은 비트를 필요로 하는 더 경제적인 인코딩 프로세스 1가 현재 코딩 블록의 예측 모드를 인코딩하는데 사용될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결과적으로, 전체의 코딩 비용이 감소한다. 동시에, 전체 프로세스의 복잡성은 다수의 MPM을 도출함으로써 과도하게 증가하지 않는다.
도 7은 HEVC에 사용되는 이미지 코딩 구조(100)를 나타낸다. HEVC 및 그 이전의 전임자(predecessor) 중의 하나에 따라, 본래의 비디오 시퀀스(1001)가 일련의 디지털 이미지 "이미지 i"이다. 그 자체로 알려진 바와 같이, 디지털 이미지는 계수가 픽셀을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매트릭스로 나타낸다.
이미지(1002)는 슬라이스(1003)로 분리된다. 슬라이스는 이미지의 일부 또는 전체 이미지이다. HEVC에서, 이들 슬라이스는 비중첩 LCU(largest coding unit)(1004), 일반적으로, 64픽셀×64픽셀의 사이즈를 갖는 블록으로 분리된다. 각각의 LCU는 쿼드트리(quadtree) 분해를 이용하여 더 작은 가변 사이즈 코딩 유닛(CU)(1005)으로 반복적으로 분리된다. 각각의 CU는 최대 2개의 대칭 사각 분할 유닛(1006)으로 더 분할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코더를 구현하거나 디코더를 구현하는 장치(1000)의 다이어그램이다. 장치(1000)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 워크스테이션 또는 가벼운 포터블 장치이다.
장치(1000)는,
CPU로 표시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의 중앙 처리 장치(1111);
본 발명을 구현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리드 온리 메모리(ROM)(1107);
본 발명의 방법의 실행가능한 코드를 저장하고 일련의 디지털 이미지를 인코딩하는 방법 및/또는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방법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변수 및 파라미터를 기록하는 레지스터를 제공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112); 및
처리될 디지털 데이터가 송신되는 통신 네트워크(1103)에 접속된 통신 인터페이스(1102)
가 바람직하게 접속된 통신 버스(1113)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장치(1000)는 다음의 컴포넌트:
본 발명을 구현하는 프로그램 및 본 발명의 구현시 사용 또는 생성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하드 디스크 등의 데이터 저장 수단(1104);
디스크(1106)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하거나 그 디스크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디스크(1106)를 위한 디스크 드라이브(1105);
키보드(1110) 또는 임의의 다른 포인팅 수단에 의해 사용자와의 그래픽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하고 및/또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스크린(1109)
을 가질 수 있다.
장치(1000)는, 예를 들어, 장치(1000)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공급하도록 입출력 카드(미도시)에 각각 접속된 디지털 카메라(1100) 또는 마이크로폰(1108) 등의 다양한 주변 장치에 접속될 수 있다.
통신 버스는 장치(1000)에 포함되거나 그에 접속된 다양한 엘리먼트 간의 통신 및 상호 운용성을 제공한다. 버스의 표시는 제한되지 않지만, 특히, 중앙 처리 장치는 장치(1000)의 다른 엘리먼트에 의해 또는 직접 장치(1000)의 임의의 엘리먼트에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디스크(1106)는, 예를 들어 재입가능하거나 하지 않는 컴팩트 디스크(CD-ROM), ZIP 디스크 또는 메모리 카드 등의 임의의 정보 매체 및, 일반적인 용어로, 장치에 통합되거나 통합되지 않고 제거가능하며 일련의 디지털 이미지를 인코딩하는 방법 및/또는 본 발명에 따라 비트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방법이 구현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마이크로컴퓨터 또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장치로 판독될 수 있는 정보 저장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실행가능한 코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리드 온리 메모리(1107), 하드 디스크(1104) 또는 디스크(1106) 등의 제거가능 디지털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변형에 따르면, 프로그램의 실행가능 코드는, 실행 전에 장치(1000)의 저장 수단 중의 하나,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1104)에 저장되도록, 인터페이스(1102)를 통해 통신 네트워크(110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중앙 처리 장치(1111)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의 소프트웨어 코드의 일부 또는 명령, 즉, 상술한 저장 수단 중의 하나에 저장된 명령의 실행을 제어 및 지시한다. 파워업시, 비휘발성 메모리,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1104) 및 리드 온리 메모리(1107)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이 본 발명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변수 및 파라미터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의 실행가능 코드를 포함하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1112)로 전송된다.
본 실시예에서, 장치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구현하는 프로그래머블 장치이다. 그러나, 대안으로, 본 발명은 하드웨어로(예를 들어,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코더(1200)의 블록도이다. 인코더는 접속된 모듈로 표현되고, 각 모듈은 예를 들어 장치(1000)의 CPU(1111)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래밍 명령의 형태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방법의 해당 단계를 구현한다.
본래의 일련의 디지털 이미지(i0 내지 in)(1001)가 인코더(1200)의 입력으로서 수신된다. 각각의 디지털 이미지는 픽셀로서 알려진 샘플 세트로 표현된다.
비트스트림(1210)이 인코더(1200)에 의해 출력된다.
다음의 설명에서, HEVC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CU 및 PU) 대신 "블록"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CU 또는 PU는 픽셀의 블록이다.
입력 디지털 이미지(i)는 모듈(1202)에 의해 블록으로 분리된다. 이들 블록은 이미지 부분이고 가변 사이즈(예를 들어, 4×4, 8×8, 16×16, 32×32, 64×64)를 가질 수 있다.
비디오 압축시, 처리될 이미지의 각 블록은 "인트라" 예측기 모듈(1203)에 의해 공간적으로, 움직임 추정 모듈(1204) 및 움직임 보상 모듈(1205)을 포함하는 "인터" 예측기 모듈에 의해 시간적으로 예측된다. 각각의 예측기는 차 블록(또는 레지듀얼)이 도출되는 동일이미지 또는 다른 이미지로부터 발생된 픽셀의 블록이다. 예측기 블록의 식별 및 레지듀얼의 코딩에 의해, 실제로 인코딩될 정보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인코딩된 프레임은 2개의 타입, 즉, (B 프레임이라 불리우는 2개의 기준 프레임으로부터 예측되거나 P 프레임이라 불리우는 하나의 기준 프레임으로부터 예측된) 시간 예측 프레임 및 (인트라 프레임 또는 I 프레임이라 불리우는) 비시간 예측 프레임이 존재한다. I 프레임에서는, CU/PU를 코딩하기 위하여 인트라 예측만이 고려된다. P 프레임 및 B 프레임에서는 CU/PU를 코딩하기 위하여 인트라 및 인터 예측이 고려된다.
"인트라" 예측 모듈(1203)에서, 현재 블록은 "인트라 예측기", 즉, 현재 이미지의 이미 인코딩된 정보로부터 구성된 픽셀의 블록에 의해 예측된다.
"인터" 코딩에 대하여, 2개의 예측 타입이 가능하다. 모노 예측(P 타입)은 하나의 기준 픽쳐로부터 하나의 기준 블록을 참조함으로써 블록을 예측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중 예측(biprediction)(B 타입)은 하나 또는 2개의 기준 픽쳐로부터 2개의 기준 블록을 참조함으로써 블록을 예측하는 것을 포함한다. 움직임 추정은 현재 CU 또는 PU 및 기준 이미지(1216) 간의 모듈(1204)에 의해 수행된다. 이 움직임 추정은, 이들 기준 이미지 중의 하나 또는 몇 개에서, 현재 블록의 예측기로서 사용할 하나 (P 타입) 또는 몇 개의 (B 타입) 블록을 식별하기 위하여 수행된다. 몇 개의 블록 예측기가 사용되는 경우(B 타입), 이들 블록 예측기는 병합되어 하나의 단일 예측 블록을 생성한다. 사용되는 기준 이미지는 이미 코딩되어 (디코딩에 의해) 재구성된 비디오 시퀀스 내의 이미지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모듈(1204)에 의해 수행되는 움직임 추정은 블록 매칭 알고리즘(BMA: block matching algorithm)이다.
알고리즘에 의해 얻어진 예측기는 처리될 현재 데이터 블록으로부터 감산되어 차 블록(블록 레지듀얼)을 얻는다. 이 프로세싱은 "움직임 보상"이라 하고 모듈(1205)에 의해 수행된다.
따라서, 이한 2개의 타입의 코딩은 몇 개의 텍스쳐 레지듀얼(현재 블록 및 예측기 블록 간의 차)를 공급하고, 이 레지듀얼은 최상의 코딩 모드를 선택하는 모듈(1206)에서 비교된다.
"인트라" 코딩이 선택되면, 사용되는 "인트라" 예측기를 설명하는 정보의 항목은 비트 스트림(1210)에 삽입되기 전에 엔트로피 인코딩 모듈(1209)에 의해 코딩된다. 따라서, 도 4 내지 6을 참조하여 상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9의 엔트로피 인코딩 모듈(1209)에 적용가능하다.
최상의 코딩 모드를 선택하는 모듈(1206)이 "인터" 코딩을 선택하면, 움직임 정보는 엔트로피 인코딩 모듈(1209)에 의해 코딩되고 비트 스트림(1210)에 삽입된다. 이 움직임 정보는 특히 (예측될 블록의 위치에 대한 기준 이미지 내의 예측기 블록의 위치를 나타내는) 하나 또는 몇 개의 움직임 벡터 및 기준 이미지 간의 이미지 인덱스로 구성된다.
모듈(1206)에 의해 선택된 코딩 모드에 따라 얻어진 레지듀얼은 모듈(1207)에 의해 변환된다. 변환은 CU에 포함되는 변환 유닛(TU)에 적용된다. TU는 또한 소위 RQT(residual quadtree) 분해를 이용하여 더 작은 TU(1006)로 분리될 수 있다. HEVC에서, 일반적으로 2 또는 3 레벨의 분해가 사용되고 허가 변환 사이즈는 32×32, 16×16, 8×8, 4×4이다. 변환 기준은 이산 코사인 변환(DCT)으로부터 도출된다.
그 후 레지듀얼의 변환 계수는 양자화 모듈(1208)에 의해 양자화된다. 그 후, 양자화된 변환 레지듀얼의 계수는 엔트로피 코딩 모듈(1209)에 의해 코딩되고, 그 후, 압축된 비트 스트림(1210)에 삽입된다.
"인트라" 예측기를 산출하거나 "인터" 예측기에 대한 움직임을 추정하기 위하여, 인코더는 소위 "디코딩" 루프(1211 내지 1215)에 의해 이미 인코딩된 블록의 디코딩을 수행한다. 이 디코딩 루프는 양자화된 변환 레지듀얼로부터 블록 및 이미지를 재구성할 수 있다.
양자화된 변환 레지듀얼은 모듈(1208)에 의해 제공된 것을 역양자화함으로써 모듈(1211)에서 역양자화되고 모듈(1207)에 의해 제공된 것을 역변환하여 모듈(1212)에서 재구성된다.
레지듀얼이 "인트라" 코딩으로부터 기인하면, 손실을 갖는 변환, 여기서는 양자화 동작으로부터 기인하는 손실에 의해 변경된 본래의 블록에 대응하는 재구성 블록을 회복하기 위하여, 모듈(1213)에서, 사용되는 "인트라" 예측기는 이 레지듀얼에 가해진다.
반면에, 레지듀얼이 "인터" 코딩으로부터 기인하면, 현재 움직임 벡터에 의해 지시된 블록(이들 블록은 현재 이미지 인덱스에 의해 참조되는 기준 이미지(1216)에 속한다)은 모듈(1214)에서 디코딩된 레지듀얼에 병합 및 추가된다. 이 방법으로, 양자화 동작에 의해 기인하는 손실에 의해 변경된 본래의 블록이 얻어진다.
최종 루프 필터(1215)는 얻어진 레지듀얼의 심한 양자화(heavy quantization)에 의해 생성된 효과를 감소시키고 신호 품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재구성된 신호에 적용된다. 루프 필터는 2단계, 즉, "디블록킹(deblocking)" 필터 및 선형 필터링을 포함한다. 디블록킹 필터링은 코딩에 의해 생성된 높은 주파수를 시각적으로 감쇠하기 위하여 블록 간의 경계를 매끄럽게 한다. 선형 필터링은 또한 인코더에서 적응적으로 결정된 필터 계수를 이용하여 신호를 개선한다. 모듈(1215)에 의한 필터링은, 이 이미지의 픽셀의 모든 블록이 디코딩되었을 때, 이미지에 적용된다.
재구성 이미지라 불리우는 필터링 이미지는 현재 비디오 시퀀스의 다음 이미지의 압축시 후속의 "인터" 예측이 발생하도록 하기 위하여 기준 이미지(1216)로서 저장된다.
HEVC의 컨텍스트에서, 현재 이미지의 추정 및 움직임 보상을 위해 몇 개의 기준 이미지(1216)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움직임 추정은 N개의 이미지에 대하여 수행된다. 따라서, 현재 블록의 최상의 "인터" 예측기는 움직임 보상을 위해 다수의 기준 이미지 중의 일부에서 선택된다. 결과적으로, 2개의 인접한 블록은 2개의 개별 기준 이미지로부터 기인하는 2개의 예측기 블록을 가질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압축된 비트 스트림에서 (움직임 벡터에 더하여) 예측기 블록에 사용되는 기준 이미지의 인덱스가 지시되는 이유이다.
다수의 기준 이미지의 사용은 압축 효율을 개선하는 툴 및 에러를 견디는 툴이다. VCEG 그룹은 기준 이미지의 수를 4로 제한할 것을 추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코더(1300)의 블록도이다. 디코더는 접속된 모듈로 표현되고, 각각의 모듈은 장치(1000)의 CPU(1111)에 의해 실행될 프로그래밍 명령의 형태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방법의 해당 단계를 구현한다.
디코더(1300)는 도 9에 도시된 것 등의 HEVC 타입의 인코더에 의해 압축된 비디오 시퀀스(1210)에 대응하는 비트 스트림(1301)을 입력으로서 수신한다.
디코딩 프로세스 동안, 비트 스트림(1301)은 먼저 모듈(1302)에 의해 엔트로피 디코딩된다.
그 후, 현재 블록의 레지듀얼은 역양자화 모듈(1303)에 의해 역양자화된다. 이것은 인코더(1200)에서의 양자화 모듈(1208)에 의해 수행되는 양자화와 반대이다. 역양자화된 데이터는 그 후 인코더(1200) 내의 변환 모듈(1207)에 의해 수행되는 것의 역변환을 수행하는 역변환 모듈(1304)에 의해 재구성된다.
비디오 시퀀스 내의 데이터의 디코딩은 그 후 이미지별로 및 이미지 내에서 블록별로 수행된다.
현재 블록에 대한 "인터" 또는 "인트라" 코딩 모드가 비트 스트림(1301)으로부터 추출되고 엔트로피 디코딩된다.
현재 블록의 코딩이 "인트라" 타입이면, 예측기의 수는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되고 엔트로피 디코딩된다. 이 인덱스와 연관된 인트라 예측기 블록은 현재 이미지의 이미 디코딩된 데이터로부터 회복된다.
현재 블록과 연관된 레지듀얼이 비트 스트림(1301)으로부터 회복되고 그 후 엔트로피 디코딩된다. 마지막으로, 회복된 인트라 예측기 블록은 디코딩된 블록을 얻기 위하여 역 인트라 예측 모듈(1305)에서 역양자화 및 재구성된 레지듀얼에 추가된다.
현재 블록의 코딩 모드가 이 블록이 "인터" 타입이라는 것을 지시하면, 움직임 정보는 엔트로피 디코딩 모듈(1302)에 의해 비트 스트림(1301)으로부터 추출되고 디코딩된다.
이 움직임 정보는 디코더(1300)의 기준 이미지(1308)에 포함된 "인터" 예측기 블록을 결정하기 위하여 역 움직임 보상 모듈(206)에 이용된다. 인코더와 유사한 방식으로, 이들 기준 이미지(1308)는, 현재 디코딩된 이미지를 선행(precede)하고 비스 스트림으로부터 재구성된(및 따라서 이전에 디코딩된) 이미지로 구성된다.
여기서, 현재 블록과 연관된 레지듀얼은 비트 스트림(1301)으로부터 회복되고 그 후 모듈(1302)에 의해 엔트로피 디코딩된다. 결정된 인터 예측기 블록은 그 후 디코딩된 블록을 얻기 위하여 역 움직임 보상 모듈(1306)에서 재구성된 역양자화 레지듀얼에 추가된다.
현재 블록의 모든 블록의 디코딩의 끝에, 인코더에서 제공된 필터(1215)와 동일한 루프 필터(1307)가, 기준 이미지(1308)를 얻기 위하여, 블록 효과를 제거하고 신호 품질을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이렇게 디코딩된 이미지는 디코더의 출력 비디오 신호(1309)를 구성하고, 그 후, 디스플레이 또는 사용된다.
상술한 실시예는 입력 이미지의 블록 분할에 기초하지만, 더 일반적으로, 인코딩 또는 디코딩되는 임의의 타입의 5개의 이미지 부분이 특히 사각형 부분 또는 더 일반적으로 기하학적 부분으로 고려될 수 있다.
더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 내의 변형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닌 단지 예로서 제시된 상술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 많은 변형 및 변경을 당업자에게 제안할 것이다. 특히, 상이한 실시예로부터의 상이한 특징은 적절하다면 교환될 수 있다.
청구범위에서, "포함하는"이라는 단어는 다른 엘리먼트 또는 단계를 배제하지 않고, 부정관사 "a" 또는 "an"은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 상이한 특징이 서로 다른 종속항에서 인용된다는 것은 이들 특징의 조합이 유리하게 될 수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Claims (15)

  1. 인코딩될 현재 유닛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를 특정하는 데 사용가능한 복수의 예측 모드를 도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현재 유닛의 2개 이상의 이웃 유닛의 각각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부터, 상기 현재 유닛에 대한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를 인코딩하기 위한 제1 인트라 예측 모드, 제2 인트라 예측 모드, 제3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하는 단계로서, 상기 현재 유닛에 대한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를 인코딩하기 위한 인트라 예측 모드의 개수는 3인,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제3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2개 이상의 이웃 유닛의 각각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동일한지 또는 상이한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상이하면, 상기 제1 인트라 예측 모드를 상기 각각의 인트라 예측 모드 중 하나로 설정하고, 상기 제2 인트라 예측 모드를 상기 각각의 인트라 예측 모드 중 다른 하나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인트라 예측 모드 중 어느 것도 평면 모드에 대응하지 않으면, 상기 제3 인트라 예측 모드를 상기 평면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동일하고 해당 모드가 DC 모드이면, 상기 제1, 제2, 제3 인트라 예측 모드를 상기 평면 모드, 상기 DC 모드, 수직 모드로 각각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유닛에 대한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를 상기 제1, 제2, 제3 인트라 예측 모드 중 1개 이상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유닛에 대한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를 특정하기 위한 인코딩 정보를 적용하는 프로세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는 적어도 제1 프로세스와 제2프로세스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제1 프로세스는, 상기 현재 유닛에 대한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가 상기 제1, 제2, 제3 인트라 예측 모드 중 하나와 동일한 경우의 프로세스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세스는, 상기 현재 유닛에 대한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와 상기 제1, 제2, 제3 인트라 예측 모드 중 적어도 하나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1 정보를 인코딩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로세스는 상기 현재 유닛에 대한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제2 정보를 인코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로세스는, 상기 현재 유닛에 대한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가 상기 제1, 제2, 제3 인트라 예측 모드의 각각과 다른 경우의 프로세스인,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세스는, 또한, 상기 현재 유닛에 대한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가 상기 제1, 제2, 제3 인트라 예측 모드 중 하나와 동일한지 여부를 시그널링하는 플래그를 인코딩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6. 디코딩될 현재 유닛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현재 유닛의 2개 이상의 이웃 유닛의 각각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부터, 상기 현재 유닛에 대한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하기 위한 제1 인트라 예측 모드, 제2 인트라 예측 모드, 제3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하는 단계로서, 상기 현재 유닛에 대한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하기 위한 인트라 예측 모드의 개수는 3인,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제3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2개 이상의 이웃 유닛의 각각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동일한지 또는 상이한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상이하면, 상기 제1 인트라 예측 모드를 상기 각각의 인트라 예측 모드 중 하나로 설정하고, 상기 제2 인트라 예측 모드를 상기 각각의 인트라 예측 모드 중 다른 하나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인트라 예측 모드 중 어느 것도 평면 모드에 대응하지 않으면, 상기 제3 인트라 예측 모드를 상기 평면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동일하고 해당 모드가 DC 모드이면, 상기 제1, 제2, 제3 인트라 예측 모드를 상기 평면 모드, 상기 DC 모드, 수직 모드로 각각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유닛에 대한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하도록 적용할 디코딩 프로세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코딩 프로세스는 적어도 제1 디코딩 프로세스와 제2 디코딩 프로세스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제1 디코딩 프로세스는, 상기 현재 유닛에 대한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가 상기 제1, 제2, 제3 인트라 예측 모드 중 하나와 동일한 경우의 프로세스인,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코딩 프로세스는, 상기 현재 유닛에 대한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와 상기 제1, 제2, 제3 인트라 예측 모드 중 적어도 하나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제1 정보를 디코딩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디코딩 프로세스는 상기 현재 유닛에 대한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제2 정보를 디코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디코딩 프로세스는, 상기 현재 유닛에 대한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가 상기 제1, 제2, 제3 인트라 예측 모드의 각각과 다른 경우의 프로세스인,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유닛에 대한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가 상기 제1, 제2, 제3 인트라 예측 모드 중 하나와 동일한지 여부를 시그널링하는 플래그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유닛에 대한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하도록 적용할 프로세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는 적어도 제1 디코딩 프로세스와 제2 디코딩 프로세스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제1 디코딩 프로세스는, 상기 현재 유닛에 대한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가 상기 제1, 제2, 제3 인트라 예측 모드 중 하나와 동일한 경우의 프로세스인,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코딩 프로세스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1, 제2, 또는 제3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유닛에 대한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2. 인코딩될 현재 유닛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를 특정하는 데 사용가능한 복수의 예측 모드를 도출하는 장치로서,
    상기 현재 유닛의 2개 이상의 이웃 유닛의 각각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부터, 상기 현재 유닛에 대한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를 인코딩하기 위한 제1 인트라 예측 모드, 제2 인트라 예측 모드, 제3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현재 유닛에 대한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를 인코딩하기 위한 인트라 예측 모드의 개수는 3인,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제3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하는 것은, 상기 2개 이상의 이웃 유닛의 각각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동일한지 또는 상이한지를 체크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도출하는 수단은,
    상기 각각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상이하면, 상기 제1 인트라 예측 모드를 상기 각각의 인트라 예측 모드 중 하나로 설정하고, 상기 제2 인트라 예측 모드를 상기 각각의 인트라 예측 모드 중 다른 하나로 설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인트라 예측 모드 중 어느 것도 평면 모드에 대응하지 않으면, 상기 제3 인트라 예측 모드를 상기 평면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각각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동일하고 해당 모드가 DC 모드이면, 상기 제1, 제2, 제3 인트라 예측 모드를 상기 평면 모드, 상기 DC 모드, 수직 모드로 각각 설정하도록 구성된, 장치.
  13. 디코딩될 현재 유닛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하는 장치로서,
    상기 현재 유닛의 2개 이상의 이웃 유닛의 각각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부터, 상기 현재 유닛에 대한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하기 위한 제1 인트라 예측 모드, 제2 인트라 예측 모드, 제3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현재 유닛에 대한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하기 위한 인트라 예측 모드의 개수는 3인,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제3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하는 것은, 상기 2개 이상의 이웃 유닛의 각각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동일한지 또는 상이한지를 체크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도출하는 수단은,
    상기 각각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상이하면, 상기 제1 인트라 예측 모드를 상기 각각의 인트라 예측 모드 중 하나로 설정하고, 상기 제2 인트라 예측 모드를 상기 각각의 인트라 예측 모드 중 다른 하나로 설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인트라 예측 모드 중 어느 것도 평면 모드에 대응하지 않으면, 상기 제3 인트라 예측 모드를 상기 평면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각각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동일하고 해당 모드가 DC 모드이면, 상기 제1, 제2, 제3 인트라 예측 모드를 상기 평면 모드, 상기 DC 모드, 수직 모드로 각각 설정하도록 구성된, 장치.
  14. 프로그래밍가능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그래밍가능 장치가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5. 프로그래밍가능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그래밍가능 장치가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87027327A 2011-09-12 2012-09-12 기준 모드 값의 도출 및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의 인코딩 및 디코딩 KR1020689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115739.3A GB2494468B (en) 2011-09-12 2011-09-12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 or decoding information representing prediction modes
GB1115739.3 2011-09-12
PCT/EP2012/003829 WO2013037489A1 (en) 2011-09-12 2012-09-12 Deriving reference mode values and encoding and decoding information representing prediction mode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5146A Division KR101903101B1 (ko) 2011-09-12 2012-09-12 기준 모드 값의 도출 및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의 인코딩 및 디코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873A true KR20180108873A (ko) 2018-10-04
KR102068921B1 KR102068921B1 (ko) 2020-01-21

Family

ID=44908429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7326A KR102052292B1 (ko) 2011-09-12 2012-09-12 기준 모드 값의 도출 및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의 인코딩 및 디코딩
KR1020147009016A KR20140062509A (ko) 2011-09-12 2012-09-12 기준 모드 값의 도출 및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의 인코딩 및 디코딩
KR1020187027327A KR102068921B1 (ko) 2011-09-12 2012-09-12 기준 모드 값의 도출 및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의 인코딩 및 디코딩
KR1020187027325A KR102052291B1 (ko) 2011-09-12 2012-09-12 기준 모드 값의 도출 및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의 인코딩 및 디코딩
KR1020167005146A KR101903101B1 (ko) 2011-09-12 2012-09-12 기준 모드 값의 도출 및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의 인코딩 및 디코딩
KR1020187027324A KR102052290B1 (ko) 2011-09-12 2012-09-12 기준 모드 값의 도출 및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의 인코딩 및 디코딩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7326A KR102052292B1 (ko) 2011-09-12 2012-09-12 기준 모드 값의 도출 및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의 인코딩 및 디코딩
KR1020147009016A KR20140062509A (ko) 2011-09-12 2012-09-12 기준 모드 값의 도출 및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의 인코딩 및 디코딩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7325A KR102052291B1 (ko) 2011-09-12 2012-09-12 기준 모드 값의 도출 및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의 인코딩 및 디코딩
KR1020167005146A KR101903101B1 (ko) 2011-09-12 2012-09-12 기준 모드 값의 도출 및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의 인코딩 및 디코딩
KR1020187027324A KR102052290B1 (ko) 2011-09-12 2012-09-12 기준 모드 값의 도출 및 예측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의 인코딩 및 디코딩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5) US9930332B2 (ko)
EP (6) EP4228259A1 (ko)
JP (5) JP6129178B2 (ko)
KR (6) KR102052292B1 (ko)
CN (6) CN108632628B (ko)
BR (5) BR122020002125B1 (ko)
ES (1) ES2963368T3 (ko)
GB (1) GB2494468B (ko)
HR (1) HRP20240151T1 (ko)
HU (1) HUE065000T2 (ko)
IN (1) IN2014CN02461A (ko)
PL (1) PL3518540T3 (ko)
PT (1) PT3518540T (ko)
RS (1) RS65122B1 (ko)
RU (7) RU2575992C2 (ko)
WO (1) WO20130374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5604A1 (ko) * 2019-01-08 2020-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Mpm 리스트를 사용하는 인트라 예측 기반 영상 코딩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94468B (en) * 2011-09-12 2014-01-15 Canon Kk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 or decoding information representing prediction modes
US9363511B2 (en) 2011-09-13 2016-06-07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ra mode coding in HEVC
CN107181956B (zh) 2011-10-07 2020-02-21 英迪股份有限公司 对视频信号进行解码的方法
HUE051689T2 (hu) * 2011-10-24 2021-03-29 Innotive Ltd Képdekódoló készülék
MX338988B (es) 2011-10-24 2016-05-09 Infobridge Pte Ltd Aparato para la decodificacion de imagenes.
CN104935943B (zh) 2011-10-24 2018-05-25 英孚布瑞智有限私人贸易公司 对帧内预测模式进行解码的方法
CN105306933B (zh) 2011-10-24 2018-11-13 英孚布瑞智有限私人贸易公司 用于图像解码的方法和装置
KR20130049523A (ko) * 2011-11-04 2013-05-14 오수미 인트라 예측 블록 생성 장치
KR20130049524A (ko) 2011-11-04 2013-05-14 오수미 인트라 예측 블록 생성 방법
KR20130049525A (ko) 2011-11-04 2013-05-14 오수미 잔차 블록 복원을 위한 역변환 방법
KR20130049526A (ko) * 2011-11-04 2013-05-14 오수미 복원 블록 생성 방법
KR20130049522A (ko) * 2011-11-04 2013-05-14 오수미 인트라 예측 블록 생성 방법
US10390016B2 (en) 2011-11-04 2019-08-20 Infobridge Pte. Ltd. Apparatus of encoding an image
US9154796B2 (en) * 2011-11-04 2015-10-06 Qualcomm Incorporated Intra-mode video coding
KR20130058524A (ko) 2011-11-25 2013-06-04 오수미 색차 인트라 예측 블록 생성 방법
CN103220506B (zh) 2012-01-19 2015-11-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编解码方法和设备
US9210438B2 (en) 2012-01-20 2015-12-08 Sony Corporation Logical intra mode naming in HEVC video coding
LT3512197T (lt) * 2012-01-20 2020-10-12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Vidinio prognozavimo režimo žymėjimo būdas
CN105338363B (zh) * 2014-07-30 2018-12-1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视频帧的编码及解码方法和装置
EP3442232A4 (en) * 2016-04-06 2019-12-04 K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VIDEO SIGNAL
WO2017204427A1 (ko) * 2016-05-23 2017-11-30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그를 이용한 영상 복호화 및 부호화 방법
KR20180040319A (ko) * 2016-10-12 2018-04-20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그를 이용한 영상 복호화 및 부호화 방법
CN117119184A (zh) * 2017-01-02 2023-11-24 Lx 半导体科技有限公司 图像编码/解码方法、图像数据的发送方法以及存储介质
CN112106360A (zh) 2018-05-10 2020-12-18 三星电子株式会社 视频编码方法和设备以及视频解码方法和设备
WO2019245650A1 (en) * 2018-06-18 2019-12-26 Interdigital Vc Holdings, Inc. Boundary filtering for planar and dc modes in intra prediction
WO2020050697A1 (ko) * 2018-09-06 2020-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트라 예측 모드 기반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20055159A1 (ko) * 2018-09-11 2020-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트라 예측 모드 기반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2840661A (zh) 2019-01-02 2021-05-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帧内预测方法及装置、视频编码设备、存储介质
WO2020209671A1 (ko) * 2019-04-10 2020-10-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화면 내 예측에서 예측 모드 관련 신호를 시그널링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105070A1 (en) 2002-06-01 2003-12-18 Nokia Corporation Spatial prediction based intra coding
RU2314656C2 (ru) 2002-06-11 2008-01-10 Нокиа Корпорейшн Внутреннее кодирование, основанное на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м прогнозировании
EP1547381A4 (en) 2002-10-01 2010-11-03 Thomson Licensing IMPLIED WEIGHTING OF REFERENCE IMAGES IN A VIDEO PROCESSOR
JP4127818B2 (ja) * 2003-12-24 2008-07-30 株式会社東芝 動画像符号化方法及びその装置
US9055298B2 (en) * 2005-07-15 2015-06-09 Qualcomm Incorporated Video encoding method enabling highly efficient partial decoding of H.264 and other transform coded information
JP2007243391A (ja) * 2006-03-07 2007-09-20 Victor Co Of Japan Ltd 動画像符号化装置
KR101365569B1 (ko) * 2007-01-18 2014-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트라 예측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365575B1 (ko) * 2007-02-05 2014-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 예측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8428133B2 (en) 2007-06-15 2013-04-23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coding of video block prediction mode
TWI364222B (en) * 2007-09-05 2012-05-11 Via Tech Inc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prediction mode parameter
JP5306358B2 (ja) * 2007-09-28 2013-10-02 ドルビー ラボラトリーズ ライセンシング コーポレイション 追加情報能力を持つマルチメディア符号化及び復号
JP2009218742A (ja) * 2008-03-07 2009-09-24 Canon Inc 画像符号化装置
US20090274213A1 (en) 2008-04-30 2009-11-05 Omnivision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utationally efficient intra prediction in a video coder
US8897359B2 (en) * 2008-06-03 2014-11-25 Microsoft Corporation Adaptive quantization for enhancement layer video coding
CN101330617B (zh) * 2008-07-31 2010-11-17 上海交通大学 基于模式映射的多标准帧内预测器的硬件实现方法及装置
KR20100027384A (ko) * 2008-09-02 2010-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예측 모드 결정 방법 및 장치
KR101590500B1 (ko) * 2008-10-23 2016-02-0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동영상 부호화/복호화 장치, 이를 위한 인트라 예측 방향에기반한 디블록킹 필터링 장치 및 필터링 방법, 및 기록 매체
BRPI1008081A2 (pt) 2009-02-06 2017-10-17 Thomson Licensing metodos e aparelho para sinalizacao intra-modal implicita e semi-implicita para codificadores e desodificadores de video
JP2010258738A (ja) * 2009-04-24 2010-11-11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1605263B (zh) * 2009-07-09 2012-06-27 杭州士兰微电子股份有限公司 帧内预测的方法和装置
WO2011126277A2 (en) * 2010-04-05 2011-10-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Low complexity entropy-encoding/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US8902978B2 (en) * 2010-05-30 2014-12-02 Lg Electronics Inc. Enhanced intra prediction mode signaling
RS57166B1 (sr) 2010-08-17 2018-07-31 M&K Holdings Inc Postupak za kodiranje intra prediktivnog moda
US9654785B2 (en) 2011-06-09 2017-05-16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intra-prediction mode signaling for video coding using neighboring mode
RS55400B1 (sr) * 2011-06-28 2017-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od kodiranja video zapisa korišćenjem intra predikcije
GB2494468B (en) 2011-09-12 2014-01-15 Canon Kk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 or decoding information representing prediction mod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zu-Der Chuang ET AL, Joint Collaborative Team on Video Coding (JCT-VC) of ITU-T SG16 WP3 and ISO/IEC JTC1/SC29/WG11 6th Meeting: Torino, IT, JCTVC-F062, 14-22 July, 2011*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45604A1 (ko) * 2019-01-08 2020-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Mpm 리스트를 사용하는 인트라 예측 기반 영상 코딩 방법 및 장치
US11405642B2 (en) 2019-01-08 2022-08-02 Lg Electronics Inc. Intra prediction-based video coding method and device using MPM li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32627A (zh) 2018-10-09
EP2756675B1 (en) 2019-04-03
RU2722536C1 (ru) 2020-06-01
GB201115739D0 (en) 2011-10-26
KR20180110168A (ko) 2018-10-08
KR102052292B1 (ko) 2019-12-04
BR122020002125B1 (pt) 2022-12-27
JP2019106717A (ja) 2019-06-27
RU2732673C1 (ru) 2020-09-25
KR20180107326A (ko) 2018-10-01
PL3518540T3 (pl) 2024-04-08
WO2013037489A1 (en) 2013-03-21
JP6129178B2 (ja) 2017-05-17
RU2759319C1 (ru) 2021-11-11
PT3518540T (pt) 2023-11-23
US20150010054A1 (en) 2015-01-08
KR20140062509A (ko) 2014-05-23
BR112014005323B1 (pt) 2022-05-03
EP4228260A1 (en) 2023-08-16
JP6766210B2 (ja) 2020-10-07
RU2738256C1 (ru) 2020-12-11
RU2014114449A (ru) 2015-10-20
RS65122B1 (sr) 2024-02-29
RU2016102177A (ru) 2017-08-02
US20190208193A1 (en) 2019-07-04
ES2963368T3 (es) 2024-03-26
US20190208194A1 (en) 2019-07-04
CN108848387A (zh) 2018-11-20
US20180167611A1 (en) 2018-06-14
CN108632626B (zh) 2022-06-21
GB2494468A (en) 2013-03-13
BR122020002126B1 (pt) 2022-12-27
IN2014CN02461A (ko) 2015-08-07
KR102052291B1 (ko) 2020-01-08
US9930332B2 (en) 2018-03-27
US10264253B2 (en) 2019-04-16
BR122020002124B1 (pt) 2022-12-27
JP6766211B2 (ja) 2020-10-07
JP2014529250A (ja) 2014-10-30
EP3518540B1 (en) 2023-11-08
JP2019146216A (ja) 2019-08-29
KR20160030323A (ko) 2016-03-16
KR102052290B1 (ko) 2019-12-04
CN108632628A (zh) 2018-10-09
RU2575992C2 (ru) 2016-02-27
EP2756675A1 (en) 2014-07-23
RU2696252C1 (ru) 2019-08-01
CN103797800B (zh) 2018-06-19
US10687057B2 (en) 2020-06-16
CN108632617B (zh) 2022-06-10
CN108848387B (zh) 2022-06-07
KR20180107327A (ko) 2018-10-01
KR101903101B1 (ko) 2018-10-01
CN103797800A (zh) 2014-05-14
JP6513120B2 (ja) 2019-05-15
BR122020002127B1 (pt) 2022-12-27
US10666938B2 (en) 2020-05-26
US10687056B2 (en) 2020-06-16
EP4228259A1 (en) 2023-08-16
BR112014005323A2 (pt) 2017-03-28
GB2494468B (en) 2014-01-15
HRP20240151T1 (hr) 2024-04-12
JP2019126086A (ja) 2019-07-25
EP4224857A1 (en) 2023-08-09
KR102068921B1 (ko) 2020-01-21
US20190208192A1 (en) 2019-07-04
JP2017143570A (ja) 2017-08-17
HUE065000T2 (hu) 2024-04-28
CN108632626A (zh) 2018-10-09
EP3518540A1 (en) 2019-07-31
CN108632628B (zh) 2022-06-21
EP4228261A1 (en) 2023-08-16
CN108632617A (zh) 2018-10-09
JP6766195B2 (ja) 2020-10-07
CN108632627B (zh) 202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6211B2 (ja) 符号化装置、復号装置、符号化方法、復号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