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8087A - Horizontal Keeping Type Self-location Informing Device and Positioning System Using The Same for Trap Fishery - Google Patents

Horizontal Keeping Type Self-location Informing Device and Positioning System Using The Same for Trap Fish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8087A
KR20180108087A KR1020170037403A KR20170037403A KR20180108087A KR 20180108087 A KR20180108087 A KR 20180108087A KR 1020170037403 A KR1020170037403 A KR 1020170037403A KR 20170037403 A KR20170037403 A KR 20170037403A KR 20180108087 A KR20180108087 A KR 20180108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buoy
self
type self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74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희욱
서형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버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버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버맥스
Priority to KR1020170037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8087A/en
Publication of KR20180108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08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01K69/08Rigid traps, e.g. lobster p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18Buoys having means to control attitude or position, e.g. reaction surfaces or tether
    • B63B22/20Ballas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022/00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or watch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ocation checking system for trap fishery comprises: a plurality of traps arranged underwater to trap marine animals; a buoy connected to the trap to be floated on the surface of the sea; a self-level maintaining self-location informing device connected to the buoy with a string, and transmitting a self-location signal while being floated on the surface of the sea; and a user terminal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self-location signal. Therefore, the location checking system for trap fishery can easily and quickly identify the buoy through the self-level maintaining self-location informing device autonomously performing level maintenance on the surface of the sea, thereby preliminarily preventing various problems which can occur due to a buoy identification error during a process of pulling out the trap through the buoy.

Description

자율수평유지형 자기위치발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통발어업용 위치확인 시스템 {Horizontal Keeping Type Self-location Informing Device and Positioning System Using The Same for Trap Fishery}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nomous horizontal holding type self-position transmitting apparatus and a position checking system for a self-

본 발명은 특히 연안에서 통발어업을 위해 사용되는 부표의 위치 파악을 위한 것으로, GPS 수단과 안테나를 포함하여 자기위치신호를 발생시키되, 신호 통달 거리를 최대로 확보하기 위하여 해수면에 띄워진 상태로 항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자율수평유지형 자기위치발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locating a buoy used for fishing boats in a coastal area, comprising the steps of generating a magnetic position signal including a GPS means and an antenna, floating in the sea surface at all times And is capable of maintaining a horizontal position.

일반적으로 연안통발어업은 통발을 사용하여 수산동물을 포획하는 어업을 뜻한다. 상기 연안통발어업은 보통 50 내지 200여개의 통발을 해저에 배치하고 이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연결된 부표를 해수면에 띄운 후 통발어선의 선원이 육안으로 부표 위치를 확인하여 통발을 건져 올리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때 해류에 의해 순간적으로 부표가 수면 아래로 잠기거나 또는 부표가 망실되는 경우, 타인 소유의 부표와 착각하여 잘못 건져 올리는 경우 등 다양한 문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In general, coastal catch fishery refers to fishing that catches fish animals using catches. The coastal piercing fishery usually consists of 50 to 200 pailers placed on the sea floor, and a connected buoy is placed on the sea surface to locate the pail. , When the buoy is momentarily submerged by the currents, or if the buoy is lost, it can be mistaken for a buoy owned by another person and mistakenly raised.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부표에 직접 위치발생기 등을 부착하는 방법을 고안할 수 있을 것인바, 한국등록특허 제 10-1025931호 '해양 관측용 표류부이'에서는 상반구와 하반구의 결합으로 몸체를 형성하는 표류형 부이에 있어서, 상기 하반구 내부 중심에 위치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 상부에 위치하는 통신장치; 시스템 및 통신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 장치(MCU); 상기 중앙제어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상반구 최상부 중앙에 돌출 연장되는 돌출관에 삽입되어 노출되는 접속 제어부; 및 상기 접속 제어부를 덮고, 개폐가 가능 돔형 커버를 포함하는 표류 부이를 개시하였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method of attaching a position generator directly to the buoy can be devised. Korean Patent No. 10-1025931 entitled " Buoying buoy for ocean observation " A battery that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hemisphere and supplies power; A communication device located above the battery; A central control unit (MCU) for controlling the system and communication; A connection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central control unit and exposed through a protruding tube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half of the upper half; And a dome-shaped cover covering the connection control portion and capable of being opened and closed.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1559491호 '표류 부이'에서는 소형 경량화되고, 대형 부이에 용이하게 장착하여 대형 부이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통신용 안테나가 상면으로 노출된 캡과, 상기 캡의 저면에 다층으로 구비된 설치부재에 각각 설치되는 배터리 및 통신모듈과, 상기 배터리 및 통신모듈이 장착된 설치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부품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캡과 결합되어 상기 부품 수용부를 밀폐하기 위한 관측기 몸체; 상기 관측기 몸체의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상향으로 개구된 몸체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단의 가장자리에는 환형의 플랜지가 형성되며, 저면에는 수중 유동체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구를 구비하여,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관측기 몸체와 결합되는 보호 하우징; 및 부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보호 하우징에 끼움 결합되는 부력체를 포함한 표류 부이를 개시하였다. Korean Patent No. 10-1559491 entitled " Drifting buoys " is a small-sized, lightweight, and easily mounted to a large portion so as to be used for preventing loss of a large buoy, And a component accommodat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mounting member on which the battery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are mounted, wherein the battery and communication module are mounted on the mounting member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cap, An observer body for sealing the receptacle; And an annular flange is formed at an edge of an upper end of the body accommodating portion, and a connecting hole for connecting the underwater fluid to the observer body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accommodating portion. A protective housing coupled thereto; And a buoyant body which is fitted to the protective housing to generate buoyancy.

그러나 상기 선행 기술은 해류 관측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상기한 문제 상황을 해소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특히 각 선행 기술의 부표는 구형 또는 지름이 큰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바람 및 파도에 의한 저항을 크게 받는 구조로서 수직으로 해수면에 떠 있는 상태를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수직 상태 유지 여부에 따라 신호 전송 효율이 달라지는 막대형 안테나를 적용할 경우 안테나의 성능이 매우 저하되어 그 효율이 기대 수준 이하로 떨어질 수 밖에 없다는 기초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력 조절을 위한 수단이 마련되지 않아 부력의 임의 조절이 불가하여 다양한 수요에 부응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However, the prior art is not suitable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due to the purpose of observing the currents. Particularly, each prior art buoy is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large diameter or a large diameter, It is difficult to maintain floating state on the sea surface vertically. Therefore, when a rod antenna having a different signal transmission efficiency depending on whether it is kept in a vertical state is used, the performance of the antenna is very low, There is a problem. 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arbitrarily adjust the buoyancy because there is no means for controlling the buoyancy so that it can not meet various demands.

따라서, 종래 기 부표를 육안으로 식별하여 통발을 건져 올리던 방식, 또는 위치식별 수단을 장착한 부표를 적용하는 방식 등에서 탈피하여 저가형의 컴팩트한 자기위치발신장치를 부표와 끈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장치 독립성, 비용 경제성 등을 모두 만족할 수 있도록 하는 통발어업용 위치확인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상기 자기위치발신장치는 해수면 상에서의 수평 유지를 보장함으로써 간단하고 저렴한 막대형 안테나 적용 시 최대의 전송 효율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적용될 안테나의 종류에 따라 부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Therefore, a conventional system in which a conventional base table is visually distinguished from a system of picking up a catch or a method of applying a buoy with a position identification means is used to connect a low-priced compact self-position transmitter to a buoy with a co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osition checking system for fishing boats so as to satisfy both device independence and cost efficiency. Particularly, the self-position transmitting device is able to exhibit maximum transmission efficiency when a simple and inexpensive rod antenna is applied by ensuring the horizontal position on the sea surface, an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arbitrarily adjust the buoyancy according to the type of antenna to be applied Lt; / RTI >

한국등록특허 제 10-1025931호 '해양 관측용 표류부이'Korean Patent No. 10-1025931 " Drift Buoy for Ocean Observation " 한국등록특허 제10-1559491호 '표류 부이'Korean Patent No. 10-1559491 entitled "

본 발명은 종래 기 부표를 육안으로 식별하여 통발을 건져올리던 방식, 또는 위치식별 수단을 장착한 부표를 적용하는 방식 등에서 탈피하여 저가형의 컴팩트한 자율수평유지형 자기위치발신장치를 부표와 끈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장치 독립성, 비용 경제성 등을 모두 만족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iffers from the conventional method in which a naked eye table is visually identified and a method of picking up a catch or a method of applying a buoy attached with a position identifying means is used to connect an inexpensive compact autonomous horizontal holding type self- The main objective is to provide a system to be used so that it can satisfy both device independence and cost-effectivenes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자율수평유지형 자기위치발신장치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가해지는 풍압 및 유압을 조절하고 외력에 의한 요동을 일정 수준 감소시키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rol the wind pressure and the hydraulic pressure appli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autonomous horizontal holding type magnetic position transmitting device and to reduce the fluctuation due to the external force to a certain leve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용될 안테나의 종류에 따라 부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llow the buoyancy to be arbitrar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type of antenna to be appli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통발어업용 위치확인시스템은, 해저에 배치되어 수산동물을 포획하는 복수의 통발; 상기 통발과 연결되어 해수면에 띄워지는 부표; 상기 부표와 끈을 매개로 연결되어 해수면에 띄워진 상태로 자기위치신호를 발신하는 자율수평유지형 자기위치발신장치; 자기 자기위치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sitioning system for a vulture fishery, comprising: a plurality of vortexes arranged in the sea bed to capture fishes; A buoy connected with the catch and floating on the sea surface; An autonomous horizontal holding type self position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self position signal while being floated on the sea surface by being connected to the buoy through a string; And a user terminal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magnetic field position signal.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자기위치신호의 GPS 좌표를 중심으로 하고 상기 끈의 길이를 지름으로 하는 원형의 영역인 부표 위치 범위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user terminal is characterized by displaying the buoy position range information which is a circular area having the length of the string as the diameter, centered on the GPS coordinates of the magnetic position signal.

더불어, 상기 자율수평유지형 자기위치발신장치는, 무지향성 안테나와, 상기 무지향성 안테나의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것으로 내부에 자기위치신호를 생성하는 GPS 수단과 상기 자기위치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통신제어수단 및 상기 GPS 수단과 상기 통신제어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자기 위치 발생 파트;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되 내부에 저비중 물질을 수용하여 양성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 제공 파트; 상기 부력 제공 파트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되 내부에 고비중 물질을 수용하여 음성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 조절 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utonomous horizontal holding type position transmi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mnidirectional antenna; GPS means extending downward from a lower portion of the omnidirectional antenna to generate a magnetic position signal therein; And a support portion including pow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power to the GPS means and the communication control means; A buoyancy providing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and containing a low specific gravity material to provide positive buoyancy; And a buoyancy regulating part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uoyancy providing part, the buoyancy regulating part receiving the high-boiling substance and providing voice buoyancy.

추가적으로, 상기 부력 조절 파트는, 상기 부력 제공 파트와 나사산 결합 방식으로 조립 및 분리되어 상기 고비중 물질의 양이 작업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uoyancy control part may be assembled and separated in a threaded manner with the buoyancy-providing part so that the amount of high-cost material can be selectively controlled by the operator.

또한, 상기 자율수평유지형 자기위치발신장치는, 상기 부력 제공 파트와 상기 부력 조절 파트의 연결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부표와 끈을 매개로 연결되는 부표 연결 고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utonomous horizontal holding type self-position transmitt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buoy connecting link formed at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buoyancy providing part and the buoyancy adjusting part and connected to the buoy through a strap.

더불어, 상기 부력 조절 파트는, 측벽 하부 일 측에 관통 형성된 제1 통공과 연통하여 수면 상부까지 연장된 고비중 물질 출입부와, 측벽 상부 일 측에 관통 형성된 제2 통공과 연통하여 수면 상부까지 연장된 공기 출입부를 포함하여, 상기 고비중 물질 출입부를 매개로 상기 부력 조절 파트 내부로 상기 고비중 물질을 주입 또는 배출함에 따라 상기 부력 조절 파트 내부에 잔류하고 있는 공기가 상기 고비중 물질의 주입 또는 배출량에 대응하여 상기 공기 출입부를 통해 자동 배출 및 유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uoyancy control part may include a high-boiling material inlet portion exte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urfac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hole formed i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ide wall, and a second through- Wherein the air remaining in the buoyancy regulating part is injected or discharged into the buoyancy regulating part through the high-boiling material inlet part, So that the air is automatically discharged and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and outlet.

마지막으로, 상기 자율수평유지형 자기위치발신장치는, 상기 지지부 외주면과의 마찰 없이 상기 지지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바람에 의해 자율 회전되는 제1 회전부와, 상기 부력 제공 파트 및 상기 부력 조절 파트를 회전축으로 하여 해류에 의해 자율 회전되는 제2 회전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utonomous horizontal holding type magnetic position transmitting device includes a first rotating part that is rotated by the wind with the supporting part as a rotating shaft without friction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ing part, And a second rotating part that is autonomously rotated by the current flow.

본 발명에 따른 자율수평유지형 자기위치발신장치는,The autonomous horizontal holding type self-position transmi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1) 상기 부표를 종래보다 쉽고 빠르게 식별할 수 있어 부표를 통해 통발을 건져 올리는 작업 중 부표 식별 오류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1)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above-mentioned buoys more easily and quickly than befor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various problems that may occur due to the buoy identification error during the operation of raising the boots through the buoys,

2) 상기 자율수평유지형 자기위치발신장치는 해수면 상에서의 수평 유지를 보장함으로써 간단하고 저렴한 막대형 안테나 적용 시 최대의 전송 효율을 발휘할 수 있으며, 2) The autonomous horizontal holding type self-position transmitting device can maintain the horizontal holding on the sea surface, thereby maximizing the transmission efficiency when a simple and inexpensive rod antenna is applied,

3) 적용될 안테나의 종류에 따라 부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장치 호환성을 극대화시켜 다양한 수요처에 더욱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3) The buoyancy can be arbitrarily adjusted according to the type of antenna to be applied, maximizing device compatibility, and thus being utilized more efficiently and economically in various customers.

도 1은 본 발명의 자율수평유지형 자기위치발신장치를 이용한 통발어업용 위치확인시스템의 전체적인 작용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자율수평유지형 자기위치발신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자율수평유지형 자기위치발신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부력 조절 파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부력 조절 파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를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부력 조절 파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1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overall operation of a positional confirmation system for a turf fishing using the autonomous horizontal holding type magnetic position transmit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overall view of an autonomous horizontal holding type self-position transmitting device.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nomous horizontal holding type self-position transmitting device.
4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a buoyancy control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B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uoyancy control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first rotating part and a second rotat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yet another embodiment of a buoyancy control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자율수평유지형 자기위치발신장치를 이용한 통발어업용 위치확인시스템의 전체적인 작용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overall operation of a positional confirmation system for a trawl fishery using the autonomous horizontal holding type magnetic location transmit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통발어업용 위치확인시스템은, 복수의 통발(10)에 연결된 통발위치확인용 부표(20)와 끈으로 연결되어 부표(2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자율수평유지형 자기위치발신장치(100)를 핵심 구성으로 하는 시스템이다. 즉, 종래의 부표(20)에 별도의 장치를 추가적으로 장착하거나 또는 위치식별수단이 적용된 새로운 부표(20)로 대체하여 사용하는 등의 방식을 활용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경제적 부담, 부표(20) 사이즈의 대형화, 수평 유지 성능 저하 등의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통달 거리의 확보를 위해 자율적으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구현된 소형, 저가의 자율수평유지형 자기위치발신장치(100)를 상기 부표(20)와 끈으로 연결하여 부표(20) 인근 부위에서 독립적으로 해수면 상에 띄워져 있도록 한 것이다. As can be seen from FIG. 1, the positional confirmation system for vulture fis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voyage location confirmation buoy 20 connected to a plurality of voyages 10 so as to check the position of the buoys 20 And a self-centering type self-position transmitter 100 is a core system. That is, an economical burden to be incurred when a separate device is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conventional buoy 20 or a new buoy 20 to which the location identification means is applied is used, A small and inexpensive autonomous horizontal holding type self-position transmitter 100 implemented in a structure capable of autonomously maintaining a horizontal distance in order to secure a long distance, Is connected to the buoy (20) by a cord so that it floats independently on the sea surface near the buoy (20).

각 구성을 설명하면, 상기 통발어업용 위치확인시스템은 해저에 배치된 복수의 통발(10)과, 상기 통발(10)과 연결되어 해수면에 띄워지는 부표(20), 부표(20)와 가까운 지점에서 상기 부표(20)와 얇고 강한 끈으로 연결되어 해수면에 띄워진 상태로 자기위치신호를 발신하는 자기위치발신장치(100) 및, 자기위치발신장치(100)로부터 상기 자기위치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30)로 이루어진다. The positional confirmation system for a navigation system for fishing and boating includes a plurality of turrets 10 disposed on the sea bed, a buoy table 20 connected to the turret 10 and floated on the sea surface, A self-position transmitter 100 which is connected to the buoy 20 by a thin and strong string and emits a self-position signal while being floated on the sea surface, and a self-position transmitter 100 which receives and displays the self- And a user terminal 30.

이 때 상기 자기위치발신장치(100)에 적용되는 안테나(111)는 가격적정성을 위해 막대형 무지향성 안테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며, 상기 사용자 단말(30)은 상기 자기위치신호를 수집하여 지도상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자기위치신호 발신 위치와 상기 사용자 단말(30)의 거리, 방향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등이 내장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표(20)와 상기 자기위치발신장치(100)를 연결하는 끈의 길이와, 상기 자기위치신호의 GPS 좌표를 기반으로 상기 부표(2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인 부표 위치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30)의 화면 내 지도상에 디스플레이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부표 위치 정보는, 상기 자기위치신호의 GPS 좌표를 중심으로 상기 끈의 길이를 지름으로 하는 원형의 영역이며, 이를 상기 사용자 단말(30) 상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선원으로부터 상기 부표(20)가 위치할 수 있는 영역을 가시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At this time,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antenna 111 applied to the self-position transmitting apparatus 100 is a rod-shaped omnidirectional antenna for cost-effectiveness, and the user terminal 30 collects the self- Or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in which a separate application for displaying the distance and direction of the self-location signal origination position and the user terminal 30 is built-in. In addition, based on the length of a cord connecting the buoy 20 and the self-position transmitter 100 and the GPS coordinates of the self-position signal, buoy position information, which is an area where the buoy 20 can be located, And display it on the in-screen map of the user terminal 30. That is, the buoy position information is a circular area having the length of the cord as a diameter centered on the GPS coordinates of the magnetic position signal, and displaying the buoy position information on the user terminal 30, It is possible to visually provide an area that can be positioned.

본 발명의 통발어업용 위치확인시스템이 적용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30)을 소지한 통발어선의 선원은 상기 사용자 단말(30)에 수신된 자기위치신호를 통해 상기 자기위치발신장치(100)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상기 부표(20)를 종래보다 쉽고 빠르게 식별할 수 있어 부표(20)를 통해 통발(10)을 건져 올리는 작업 중 부표 식별 오류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source of the fishing boat having the user terminal 30 is positioned at the position of the self position transmitter 100 through the magnetic position signal received by the user terminal 30,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buoy 20 more easily and quickly than the conventional buoy 20. Therefore, various problems that may occur due to the buoy identification error during the operation of raising the voyage 10 through the buoy 20 It can be prevented.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통발어업용 위치확인시스템의 효율적인 작용을 위하여 가장 필수적인 요건은 상기 자기위치발신장치(100)에 적용된 무지향성 안테나(111)의 신호 통달 거리 확보, 즉 송신 효율일 것인데, 이를 위해서는 상기 자기위치발신장치(100)에 적용된 막대형 무지향성 안테나(111)는 수직으로 배치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바, 본 발명의 자기위치발신장치(100)는 자율수평유지형으로 구현된다. The most essential requirement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navigation system for navigational fish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mentioned structure is to secure the signal traveling distance of the omni-directional antenna 111 applied to the self-position transmitting device 100, that is, To this end, the rod-shaped omnidirectional antenna 111 applied to the self-position transmitting apparatus 100 must be vertically disposed, and the self-position transmitt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s an autonomous horizontal holding type.

도 2는 본 발명의 자율수평유지형 자기위치발신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개념도이다.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autonomous horizontal holding type self-position transmit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자율수평유지형 자기위치발신장치(100)는 기본적으로 세로로 길게 배치된 막대형으로 형성되며, 해수면을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자기 위치 발생 파트(110)와, 해수면 하부에 잠기도록 배치되는 부력 제공 파트(120) 및 부력 조절 파트(130), 그리고 부표 연결 고리(100a)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autonomous horizontal holding type self-position transmitting apparatus 100 is basically composed of a self-positioning unit 110, which is formed in a longitudinally long rod- A buoyancy providing part 120 and a buoyancy adjusting part 130 disposed so as to be submerged in the lower part of the sea surface, and a buoy connecting hook 100a.

자기 위치 발생 파트(110)는 상기 자기위치발신장치(100)의 GPS 좌표를 수신하여 상기 자기위치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사용자 단말(30)로 송신하기 위한 필수적인 구성으로, 막대형 무지향성 안테나(111)와, 상기 무지향성 안테나(111)의 하부에서 하방을 향해 배치되어 상기 무지향성 안테나(111)의 하단을 고정함과 동시에 GPS 수단과 통신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제어수단(112a) 및 전원공급수단(112b)을 수용하는 케이스인 지지부(112)를 포함한다.The magnetic location generating part 110 is an essential structure for receiving the GPS coordinates of the self location transmitter 100 to generate the self location signal and transmitting it to the user terminal 30, A control means 112a disposed below the omnidirectional antenna 111 for downwardly fixing the lower end of the omnidirectional antenna 111 and including GPS means and communication control means, And a support 112 which is a case for housing the means 112b.

상기 지지부(112) 내부에 수용되는 전장품인 GPS 수단은 GPS 위성에서 송신하는 주파수에 동조된 안테나, 정밀한 시계,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고 좌표와 속도 벡터 등을 계산하는 처리장치, 계산된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하여, 최종적으로 자기위치신호를 생성한다. 통신제어수단은 상기 자기위치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30)에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전원공급수단(112b)은 상기 GPS 수단 및 통신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제어수단(112a)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쉽게 교체가 가능한 형태의 1차전지 또는 별도로 구비될 수 있는 발전수단-태양발전, 풍력발전 등-과 연동된 2차전지 등이 적용될 수 있다. The GPS means, which is an electrical component contained within the support 112, includes an antenna tuned to the frequency transmitted by the GPS satellite, a precision clock, a processing device for processing the received signal and calculating coordinates and velocity vectors, And finally generates a magnetic position signal. The communication control means serves to transmit the magnetic posi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30 and the power supply means 112b supplies power to the control means 112a including the GPS means and the communication control means A secondary battery that is interlocked with a primary battery of a readily replaceable type or a separately-provided power generation means such as solar power generation, wind power generation, etc. may be applied.

부력 제공 파트(120)는, 상기 자기 위치 발생 파트(110)의 상기 지지부(112)의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막대 형상을 형성한 것으로, 내부에 물보다 비중이 작은 저비중 물질, 즉 부력체 또는 공기를 수용하여 상기 자기위치발신장치(100)에 양성 부력(positive buoyancy)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자기 위치 발생 파트(110)가 해수면 위로 띄워질 수 있도록 한다.The buoyancy providing part 120 extends downward from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part 112 of the magnetic location generating part 110 to form a rod shape. The buoyancy providing part 120 has a low specific gravity material having a specific gravity smaller than that of water, Or air to provide positive buoyancy to the self-localization device 100 such that the self-positioning portion 110 can float above sea level.

부력 조절 파트(130)는, 상기 부력 제공 파트(120)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해수면 아래에 잠기도록 배치되며, 내부에 고비중 물질을 수용하여 상기 부력 제공 파트(120)에 의해 형성된 양성 부력을 조절할 수 있는 음성 부력(negative buoyancy)을 제공하여 상기 자율수평유지형 자기위치발신장치(100)의 상기 자기 위치 발생 파트(110)는 해수면 상부로 노출되고 상기 부력 제공 파트(120) 및 부력 조절 파트(130)는 해수면 하부에 잠기도록 배치된 상태로 전체적으로 중성 부력(neutral buoyancy)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고비중 물질은 물과 비교하여 비중이 같거나 높은 물질로, 물이나 기타 비중이 높은 액상 물질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상기 고비중 물질의 종류는 상기 저비중 물질의 비중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The buoyancy regulating part 130 extends downward from the lower part of the buoyancy providing part 120 and is disposed to be submerged below the sea level. The buoyancy regulating part 130 receives the high- The self position generating part 110 of the autonomous horizontal holding type self-position transmitting device 100 is exposed above the sea level and the buoyancy providing part 120 and the buoyancy adjusting part 110 (130) is arranged to be submerged in the lower part of the sea surface so as to maintain neutral buoyancy as a whole. In this case, the high boiling substance is preferably a substance having the same specific gravity or higher than that of water, and is most preferably a liquid substance having a high specific gravity such as water, and the kind of the high boiling substanc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pecific gravity of the low specific gravity substance have.

부표 연결 고리(100a)는, 상기 부력 제공 파트(120)와 상기 부력 조절 파트(130)의 연결 부위에 형성된 고리 구조로, 본 발명의 자율수평유지형 자기위치발신장치(100)가 상기 부표(20)에 형성된 고리와 끈을 매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부표 연결 고리(100a)가 해수면 아래에 잠기는 부분의 중심점에 배치됨에 따라 바람 및 해류의 영향으로 부표(20)가 유동됨에 의해 상기 자율수평유지형 자기위치발신장치(100)에 전달되는 힘이 일정 수준 분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무지향성 안테나(111)가 쓰러지지 않고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된다. The buoy linking ring 100a has a ring structure formed at a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buoyancy providing part 120 and the buoyancy adjusting part 130 so that the autonomous horizontal holding type self- So that they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string. The buoy connection link 100a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area that is submerged below the sea level, and thus the buoy 20 flow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wind and current, so that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autonomous, So that the non-directional antenna 111 can be maintained in a vertical state without collapsing.

도 3은 자율수평유지형 자기위치발신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nomous horizontal holding type magnetic position transmitting device.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자율수평유지형 자기위치발신장치(100)는, 각 파트 간 연결부위가 서로 나사산 결합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autonomous horizontal holding type self-center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signed such that connecting parts between the parts are threadedly coupled to each other.

먼저, 상기 자기 위치 발생 파트(110)와 상기 부력 제공 파트(120)가 나사산 결합 방식으로 조립 결합 및 해체될 수 있음에 따라 상기 자기 위치 발생 파트(110) 내부에 수용된 전원공급수단(112b)이 교체될 수 있는 오픈된 공간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유지 관리가 용이해진다. First, since the magnetic location generating part 110 and the buoyancy providing part 120 can be assembled and disassembled in a threaded coupling manner, the power supply unit 112b housed in the magnetic location generating part 110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provide an open space that can be replaced, thereby facilitating maintenance.

또한, 상기 부력 제공 파트(120)와 상기 부력 조절 파트(130) 또한 동일한 나사산 결합 방식으로 조립되도록 하는데, 이로써 상기 부력 조절 파트(130) 내 수용된 고비중 물질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오픈된 통로가 마련될 수 있다.Also, the buoyancy-providing part 120 and the buoyancy-adjusting part 130 are assembled in the same thread-joining manner, whereby an open passage capable of controlling the amount of high-boiling substance contained in the buoyancy-adjusting part 130 .

도 4a는 본 발명의 부력 조절 파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부력 조절 파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FIG. 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buoyancy control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B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uoyancy control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상기 부력 조절 파트(130) 내부에 수용된 고비중 물질의 양의 임의 조절을 위한 구성 및 실시예를 차례로 설명하면,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력 조절 파트(130)는 상기 부력 제공 파트(120)와 나사산 방식으로 조립 및 분리되는바, 분리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개방된 상부를 통해 고비중 물질을 임의의 양만큼 주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S. 4A and 4B, a configuration and an embodiment for arbitrarily adjusting the amount of the high-boiling substance stored in the buoyancy-adjusting part 130 will be described. First, as shown in FIG. 4A, (130) is assembled and separated in a threaded manner with the buoyancy providing part (120). In the separated state, it is possible for the operator to inject an arbitrary amount of high-boiling substance through the opened upper part.

이는 상기 자기 위치 발생 파트(110)의 안테나(111), 통신제어수단, 전원공급수단(112b)의 종류에 따라 상기 자기 위치 발생 파트(110)의 무게가 달라질 수 있는데 반해 상기 부력 제공 파트(120)는 일정한 무게를 유지하며 동일한 양성 부력을 제공하는바, 상기 부력 조절 파트(130) 내 수용되는 고비중 물질의 양을 임의로 조절함으로써 중성 부력 유지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통해 자기 위치 발생 파트(110)의 무지향성 안테나(111)와 기타 전장품들을 수용한 지지부(112)가 해수면 상부에 노출되도록 위치를 알맞게 조절할 수 있다. This is because the weight of the magnetic position generating part 110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antenna 111, the communication control unit and the power supply unit 112b of the magnetic position generating part 110, Maintains a constant weight and provides the same positive buoyancy so that the maintenance of neutral buoyancy can be controlled by arbitrarily adjusting the amount of high boiling substance contained in the buoyancy control part 130. [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non-directional antenna 111 of the magnetic location generating part 110 and the supporting part 112 accommodating the other electric components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to be exposed above the sea surface.

도 4b는 본 발명의 부력 조절 파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4B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uoyancy control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b에 도시된 고비중 물질 출입부(130-1)와 공기 출입부(130-2)는 상기 부력 제공 파트(120)와 상기 부력 조절 파트(130)를 분리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고비중 물질의 양에 따른 실제 부력 상태를 확인하며 진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고비중 물질 출입부(130-1)는 상기 부력 조절 파트(130)의 측벽 하부 일 측에 관통 형성된 제1 통공(130a)으로부터 수면 상부까지 연장된 관이고, 상기 공기 출입부(130-2)는 상기 부력 조절 파트(130)의 측벽 상부 일 측에 관통 형성된 제2 통공(130b)으로부터 수면 상부까지 연장된 관이다. The high boiled material inlet 130-1 and the air inlet 130-2 shown in FIG. 4B may be separated from the high boiled material 130-1 without separating the buoyancy providing part 120 and the buoyancy adjusting part 130 from each other. The buoyant material inlet 130-1 may be provided with a buoyancy control part 130 which is disposed at a lower side of the side wall of the buoyancy control part 130, The air inlet 130-2 extends from the through hole 130a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urface. The air inlet 130-2 extends from the second through hole 130b, which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side wall of the buoyancy adjusting part 130, It is a pipe.

즉, 상기 고비중 물질 출입부(130-1)를 매개로 상기 부력 조절 파트(130) 내부로 상기 고비중 물질을 주입 또는 배출함에 따라 상기 부력 조절 파트(130) 내부에 잔류하고 있는 공기가 상기 고비중 물질의 주입 또는 배출량에 대응하여 상기 공기 출입부(130-2)를 통해 자동 배출 및 유입되도록 한 것으로, 상기 고비중 물질 출입부(130-1)에 액상 고비중 물질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는 실린더나 펌프 등을 연결하여 상기 고비중 물질을 주입 및 배출시키도록 함으로써 활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 출입부(130-2)에 일정 압력 이상의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상기 부력 조절 파트(130) 내부에 수용된 고비중 물질이 상기 고비중 물질 출입부(130-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That is, as the high-boiling substance is injected or discharged into the buoyancy regulating part 130 via the high-boiling material inlet 130-1, the air remaining in the buoyancy regulating part 130 (130-1) through the air inlet (130-2) in response to the injection or discharge amount of the high-boiling material, and controls the flow of the liquid high boiling substance to the high boiling material inlet (130-1) It is most preferable to connect a cylinder or a pump or the like to inject and discharge the high-boiling substance. In addition, by injecting air having a predetermined pressure or more into the air inlet 130-2, the high-boiling substance stored in the buoyancy-adjusting part 13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high-boiler interior 130-1 Of course it is possible.

상술한 구성을 포함한 본 발명의 자율수평유지형 자기위치발신장치(100)는 상기 부력 제공 파트(120) 및 부력 조절 파트(130)에 의해 부력의 양이 조절되어 상기 자기 위치 발생 파트(110)가 해수면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부력 제공 파트(120) 및 부력 조절 파트(130)가 해수면 하부에 배치된 상태로 중성 부력을 유지하며 일반적으로 자율적으로 수평을 유지하는 것을 수차례의 실증시험을 통해 확인되었다. 그러나 해수면 상부에서 가해지는 바람의 영향 및 해수면 하부에서 발생하는 해류에 의한 영향이 일순간 급격하게 가해지는 경우 약간의 기울어짐이 발생한바,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자율수평유지형 자기위치발신장치(100)에 제 1,2 회전부 및/또는 앵커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The autonomous horizontal holding type magnetic position transmitt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buoyancy providing part 120 and the buoyancy adjusting part 130 regulate the buoyancy so that the magnetic position generating part 110 It has been confirmed through several empirical tests that the buoyancy-providing part 120 and the buoyancy-adjusting part 130, which are disposed on the sea surface, are maintained at a level of autonomy while maintaining neutral buoyancy with the buoyancy adjusting part 130 disposed below the sea level . 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influence of the wind applied to the upper part of the sea level and the influence due to the sea current gener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sea surface are suddenly applied suddenly, slight tilting occurs. To solve this problem, The first and second rotating parts and / or the anchor parts may be further included.

도 5는 본 발명의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5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first rotating part and a second rotat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자율수평유지형 자기위치발신장치(100)는 바람 및 해류에 의해 가해지는 순간적인 압력을 각기 분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112) 외주면과의 마찰 없이 상기 지지부(112)를 회전축으로 하여 바람에 의해 자율 회전되는 제1 회전부(112-1)와, 상기 부력 제공 파트(120) 및 상기 부력 조절 파트(130)를 회전축으로 하여 해류에 의해 자율 회전되는 제2 회전부(120-1)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5, the autonomous horizontal holding type self-position transmitting device 100 includes a supporting portion 112 and a supporting portion 112 so as to disperse instantaneous pressure applied by the wind and the current, And a buoyancy adjusting part 130. The buoyancy adjusting part 120 and the buoyancy adjusting part 130 are provided with a buoyancy adjusting part 120 and a buoyancy adjusting part 130, -1). ≪ / RTI >

즉, 상기 제1 회전부(112-1)는 상기 자기 위치 발생 파트(110)의 상기 지지부(112) 측벽 외주면과 소폭 이격되어 상기 지지부(112)를 전체적으로 커버링하는 원통형으로, 상기 측벽과의 마찰 없이 단독 회전이 가능토록 형성된 제1 회전 커버(112-1a)와, 상기 제1 회전커버(112-1a)의 외주면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1 회전 날개(112-1b)를 포함하는 제1 회전부(112-1)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부력 제공 파트(120)와 상기 부력 조절 파트(130)의 측벽 전체 또는 일부 외주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된 제2 회전 커버(120-1a)와, 상기 제2 회전커버(120-1a)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의 제2 회전 날개(120-1b)를 포함하는 제2 회전부(120-1)를 구비한다. 이를 통해 제1 회전부(112-1)는 바람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풍압을 감쇠시키고 제2 회전부(120-1)는 해류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유압을 감쇠시켜 해수면을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가해질 수 있는 두 종류의 외부 압력에 각각 대응함으로써 상기 자율수평유지형 자기위치발신장치(100)의 수평유지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the first rotation part 112-1 is cylindrical, which is slightly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 wall of the support part 112 of the magnetic position generating part 110 to cover the support part 112 as a whole, A first rotation cover 112-1a formed so as to be capable of independent rotation and a plurality of first rotation blades 112-1b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rotation cover 112-1a The first rotating portion 112-1 is formed of a first rotating portion 112-1. The second rotation cover 120-1a is formed to cover the buoyancy providing part 120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wall of the buoyancy adjusting part 130, And a second rotating part 120-1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rotating blades 120-1b formed along the first rotating part 120-1. The first rotary part 112-1 is rotated by the wind to attenuate the wind pressure and the second rotary part 120-1 is rotated by the sea current to attenuate the hydraulic pressure so that the second rotary part 120-1 can be applied to the upper and lower parts, It is possible to further enhance the horizontal holding efficiency of the autonomous horizontal holding type self-position transmitting apparatus 100 by corresponding to two types of external pressures.

도 6은 본 발명의 부력 조절 파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uoyancy control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력 조절 파트(130)는 기본 실시예의 수직형 원통형에서 변형되어 앵커 형상으로 구현됨으로써 외력에 의한 요동을 일정 수준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buoyancy control part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ormed in the vertical cylindrical shape of the basic embodiment and is realized in an anchor shape, thereby reducing the shaking motion due to external force at a certain level.

앵커 형상으로 구현된 부력 조절 파트(13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부력 조절 파트(130)는 상기 부력 제공 파트(120)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직선 연장된 원통인 수직 연장부(131)와, 상기 수직 연장부(131)의 하단에서 전방(180도)을 향해 절곡 연장되어 원반형을 형성한 수평 연장부(132) 및, 상기 수평 연장부(132)의 둘레단에서 상방으로 절곡 연장된 사선 연장부(133)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사선 연장부(133)의 절곡 각도는 20 내지 50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uoyancy control part 130 includes a vertical extension part 131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extending downward from a lower part of the buoyancy providing part 120, A horizontal extending portion 132 having a disk shape bent and extending forward (180 degrees) from a lower end of the vertical extending portion 131; (133). At this time, the angle of bending of the oblique line extending portion 133 is preferably 20 to 50 degrees.

상기 부력 조절 파트(130)가 상기 수직 연장부(131)와 수평 연장부(132) 및 사선 연장부(133)를 포함하여 앵커 형상으로 구현됨에 따라 하부 무게 중심이 더욱 안정적으로 마련되어 외압에 의한 요동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Since the buoyancy control part 130 is realized as an anchor shape including the vertical extension part 131, the horizontal extension part 132 and the slanted extension part 133, the lower center of gravity is more stably provided, Can help to reduce.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율수평유지형 자기위치발신장치의 구성 및 작용, 이를 이용한 통발 어업용 위치확인시스템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autonomous horizontal holding type self-position transmit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osition checking system for baring fishing using the same, have been described above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통발
20: 부표
30: 사용자 단말
100: 자율수평유지형 자기위치발신장치
100a: 부표 연결 고리
110: 자기 위치 발생 파트
111: 안테나
112: 지지부
112-1: 제1 회전부
112-1a: 제1 회전 커버
112-1b: 제1 회전날개
112a: 제어수단
112b: 전원공급수단
120: 부력 제공 파트
120-1: 제2 회전부
120-1a: 제2 회전 커버
120-1b: 제2 회전 날개
130: 부력 조절 파트
130a: 제1 통공
130b: 제2 통공
130-1: 고비중 물질 출입부
130-2: 공기 출입부
131: 수직 연장부
132: 수평 연장부
133: 사선 연장부
10: Trick
20: Buoy
30: User terminal
100: Self-leveling type self position transmitter
100a: Buoy link
110: magnetic position generating part
111: Antenna
112: Support
112-1:
112-1a: first rotation cover
112-1b: a first rotary blade
112a:
112b: power supply means
120: Buoyancy providing part
120-1: a second rotating part
120-1a: second rotation cover
120-1b: a second rotary blade
130: Buoyancy control part
130a: first through hole
130b: second through hole
130-1: Fugitive material entry and exit
130-2: Air inlet
131: vertical extension
132: horizontal extension part
133: diagonal extension

Claims (7)

해저에 배치되어 수산동물을 포획하는 복수의 통발;
상기 통발과 연결되어 해수면에 띄워지는 부표;
상기 부표와 끈을 매개로 연결되어 해수면에 띄워진 상태로 자기위치신호를 발신하는 자율수평유지형 자기위치발신장치;
상기 자기위치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어업용 위치확인시스템.
A plurality of catches arranged on the seabed to capture fishes;
A buoy connected with the catch and floating on the sea surface;
An autonomous horizontal holding type self position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self position signal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buoy through a string and floated on the sea surface;
And a user terminal for receiving and displaying the magnetic location sig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자기위치신호의 GPS 좌표를 중심으로 하고 상기 끈의 길이를 지름으로 하는 원형의 영역인 부표 위치 범위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발어업용 위치확인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ser terminal comprises:
Wherein the map display means displays the map position range information, which is a circular area around the GPS coordinates of the magnetic position signal and having the length of the string as a diameter.
무지향성 안테나와, 상기 무지향성 안테나의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것으로 내부에 자기위치신호를 생성하는 GPS 수단과 상기 자기위치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통신제어수단 및 상기 GPS 수단과 상기 통신제어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자기 위치 발생 파트;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되 내부에 저비중 물질을 수용하여 양성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 제공 파트;
상기 부력 제공 파트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되 내부에 고비중 물질을 수용하여 음성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 조절 파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수평유지형 자기위치발신장치.
An omni-directional antenna; GPS means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underside of the omnidirectional antenna to generate a magnetic position signal therein; communication control means for transmitting the magnetic position signal to the user terminal; A magnetic location generating part including a support including pow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power to the means;
A buoyancy providing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and containing a low specific gravity material to provide positive buoyancy;
And a buoyancy regulating part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uoyancy providing part, the buoyancy regulating part receiving a high-boiling substance inside and providing voice buoyanc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조절 파트는,
상기 부력 제공 파트와 나사산 결합 방식으로 조립 및 분리되어 상기 고비중 물질의 양이 작업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수평유지형 자기위치발신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buoyancy adjusting part comprises:
Wherein the buoyancy providing part is assembled and separated in a threaded connection manner so that the amount of the high-boiling substance can be selectively controlled by the operato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수평유지형 자기위치발신장치는,
상기 부력 제공 파트와 상기 부력 조절 파트의 연결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부표와 끈을 매개로 연결되는 부표 연결 고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수평유지형 자기위치발신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autonomous horizontal holding type self-
And a buoy connection link form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buoyancy providing part and the buoyancy adjusting part and connected to the buoy through a strap.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조절 파트는,
측벽 하부 일측에 관통 형성된 제1 통공과 연통하여 수면 상부까지 연장된 고비중 물질 출입부와, 측벽 상부 일 측에 관통 형성된 제2 통공과 연통하여 수면 상부까지 연장된 공기 출입부를 포함하여,
상기 고비중 물질 출입부를 매개로 상기 부력 조절 파트 내부로 상기 고비중 물질을 주입 또는 배출함에 따라 상기 부력 조절 파트 내부에 잔류하고 있는 공기가 상기 고비중 물질의 주입 또는 배출량에 대응하여 상기 공기 출입부를 통해 자동 배출 및 유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수평유지형 자기위치발신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buoyancy adjusting part comprises:
A high boiling material inlet portion extending to an upper portion of the water surface in communication with a first through hole formed in one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side wall and an air inlet portion extending to an upper portion of the water surface in communication with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in a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side wall,
As the high boiling substance is injected or discharged into the buoyancy regulating part through the high boiling substance entry / exit part, the air remaining in the buoyancy regulating part is discharged to the air inlet / Wherein the self-centering-type self-position transmitting device is adapted to automatically discharge and flow in the self-sustaining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율수평유지형 자기위치발신장치는,
상기 지지부 외주면과의 마찰없이 상기 지지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바람에 의해 자율 회전되는 제1 회전부와,
상기 부력 제공 파트 및 상기 부력 조절 파트를 회전축으로 하여 해류에 의해 자율 회전되는 제2 회전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수평유지형 자기위치발신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autonomous horizontal holding type self-
A first rotating portion that is rotated by the wind with the supporting portion as a rotating shaft without friction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ing portion,
Wherein the buoyancy adjusting part further comprises a second rotating part that is autonomously rotated by a current flow with the buoyancy providing part and the buoyancy adjusting part as rotation axes.
KR1020170037403A 2017-03-24 2017-03-24 Horizontal Keeping Type Self-location Informing Device and Positioning System Using The Same for Trap Fishery KR2018010808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403A KR20180108087A (en) 2017-03-24 2017-03-24 Horizontal Keeping Type Self-location Informing Device and Positioning System Using The Same for Trap Fish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403A KR20180108087A (en) 2017-03-24 2017-03-24 Horizontal Keeping Type Self-location Informing Device and Positioning System Using The Same for Trap Fishe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087A true KR20180108087A (en) 2018-10-04

Family

ID=63863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7403A KR20180108087A (en) 2017-03-24 2017-03-24 Horizontal Keeping Type Self-location Informing Device and Positioning System Using The Same for Trap Fishe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808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58571B2 (en) 2020-11-25 2024-04-16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Maritim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58571B2 (en) 2020-11-25 2024-04-16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Maritim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7942A (en) Station keeping buoy system
US11008081B2 (en) Underwater drone with capacity of fishing, rapidly moving and wireless remote control
CN106628026B (en) Unmanned ship and unmanned ship system
US4896620A (en) Marine buoy
JP3854984B1 (en) Buoy and marine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using this buoy
CA2814843C (en) Sonar data collection system
US11128183B2 (en) Electric power transmission device
US20160090160A1 (en) Underwater mobile body
KR101835107B1 (en) A Fish Detecting Drone
US10099759B1 (en) Autonomous submersible structure
US20220090992A1 (en) Sampler Apparatus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WO2021136357A1 (en) Fish finder, fish finding system, and fish finding method
UA120946C2 (en) Underwater harvesting system
US10322782B1 (en) Combined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and buoy device
US20220185436A1 (en) Autonomous navigation type marine buoy and marine information system using the same
US9162740B2 (en) Undersea free vehicle and components
Von Alt et al. Hunting for mines with REMUS: A high performance, affordable, free swimming underwater robot
CN107128445B (en) Unmanned ship
JP2012245944A (en) Seabed exploration apparatus
EP4063253A1 (en) A buoy for checking condition of a person or an object tied to the said buoy
EP2863257A1 (en) Underwater images acquisition and processing system
KR20180108087A (en) Horizontal Keeping Type Self-location Informing Device and Positioning System Using The Same for Trap Fishery
US20090262600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urveillance sonar systems
Langebrake et al. Design and initial results of a bottom stationing ocean profiler
RU2492508C1 (en) Hydroacoustic det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