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7625A - Virtual Contents Joint Participation Service System - Google Patents

Virtual Contents Joint Participation Servic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7625A
KR20180107625A KR1020170036211A KR20170036211A KR20180107625A KR 20180107625 A KR20180107625 A KR 20180107625A KR 1020170036211 A KR1020170036211 A KR 1020170036211A KR 20170036211 A KR20170036211 A KR 20170036211A KR 20180107625 A KR20180107625 A KR 20180107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vatar
content
unit
image
servic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2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규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투윈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투윈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투윈글로벌
Priority to KR1020170036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7625A/en
Publication of KR20180107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62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Bio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rtual content joint participation service system. The virtual content joint participation service system provides a community entertainment culture service of a consumer by providing content such as sport games, various games, etc. to users in a virtual space. The virtual content joint participation service system comprises a communication module, a content image playback part, an avatar assignment part, an avatar graphic generation part, an avatar control module, an image synthesis module, and a content transmission part.

Description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 Virtual Contents Joint Participation Service System}{Virtual Contents Joint Participation Service System}

본 발명은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가상 컨텐츠를 함께 즐기는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rtual content co-participation service technology field,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rtual content cooperative participation service system for enjoying virtual content together.

인터넷이 발달하고 개별로 가상의 공간에서 여가 생활을 즐기는 시간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 As the Internet develops and individuals enjoy leisure time in a virtual space, more and more are getting more and more.

이에 따라 가상의 공간에서 공동체 생활을 함으로써 개인화에 따른 소외감을 해소하고자 하는 가상 공간에서의 공동 놀이 문화 서비스에 대한 니즈가 증가하고 있다. Therefore,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a joint play culture service in a virtual space, which aims to solve the alienation due to personalization by living a community in a virtual space.

또한 오프라인상의 판매는 줄고 온라인상의 판매는 증가하지만, 그에 따라 온라인 상의 마케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 지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In addition, offline sales decrease and online sales increase, but online marketing is not effective.

일본특허제6070544호 10-2013-0051374Japanese Patent No. 6070544 10-2013-0051374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들에게 가상의 공간에서 운동 경기, 각종 게임 등의 컨텐츠를 제공하여 소비자의 공동체 놀이 문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munity play culture service for a consumer by providing contents such as sports games and various games in a virtual space to users.

또한 가상의 공간에서 또 다른 나의 생활을 체험해볼 수 있도록 하여 대리만족을 통해 실생활에서 쌓여 있는 스트레스를 경감시켜 주고자 하는 데 있다.In addition, I try to reduce the stress accumulated in real life through surrogate satisfaction by allowing me to experience another life in a virtual space.

나아가 공동체 놀이 문화 서비스의 컨텐츠를 누구나 제공하거나 제공받을 수 있는 컨텐츠 거래자가 되도록 하여 문화를 육성하고 경제를 활성화 하는 데 있다. Furthermore, it is to cultivate culture and revitalize economy by making contents of community play culture service become contents trader that anyone can provide or receive.

또한 사용자의 행태별로 선호도를 파악하여 마케팅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는데 있다. Also, it is aimed to increase the marketing efficiency by grasping the preference by user 's behavior.

일 양상에 따르면, 서버(server)와 그 서버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들로 구현되며, 다수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가상 공간에서의 소모임을 지원하는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이 제안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rtual content collaborative service system is proposed, which is implemented as a server and program modules executed in the server, and supports a small user in a virtual space for a plurality of users.

제안된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은 소모임을 데이터베이스에 정의하고, 그 소모임에 속한 사용자들에게 네트워크 상에서의 의사소통(communication) 도구를 제공하는 의사소통 모듈과, 컨텐츠 영상을 재생하는 컨텐츠 영상 재생부, 아바타(avatar)를 소모임에 속한 사용자 중 적어도 일부에 할당하는 아바타 할당부, 아바타 할당부에서 할당한 아바타 그래픽 정보를 생성하는 아바타 그래픽 생성부, 아바타 그래픽 생성부의 아바타의 동작과 표시상태를 해당 사용자 또는 서버의 지시 입력에 따라 제어하는 아바타 제어 모듈, 그리고 컨텐츠 영상 재생부에서 재생되는 영상과, 아바타 그래픽 생성부에서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바타에 대응되는 아바타 그래픽 정보를 합성하여 놀이 공간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합성 모듈, 생성된 놀이 공간 영상을 상기 소모임에 속한 사용자들 중 적어도 일부에게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부를 포함한다. The proposed virtual content collaborative service system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for defining a small group in a database and providing communication tools on a network to users belonging to the group, a content image playback unit for playing the content video, An avatar graphic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vatar graphic information assigned by the avatar assigning unit, an operation unit for displaying the operation and display state of the avatar in the avatar graphic generating unit to the user or the user An avatar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according to an instruction input of a server, and an avatar graphic information synthesizing unit for synthesizing avatar graph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r more avatars generated by the avatar graphic generating unit, Composite module, created play space The phase comprises the small group of users, at least parts of the content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part that belongs to.

또다른 양상에 따르면, 제안된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의 아바타 제어 모듈은 사용자 지시에 따라 아바타의 화면상 위치 및 크기를 조작하는 아바타 위치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avatar control module of the proposed virtual content cooperative participation service system may include an avatar position manipulation unit for manipulating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avatar on the screen in accordance with a user instruction.

또다른 양상에 따르면, 제안된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의 영상합성 모듈은 컨텐츠 영상 재생부에서 재생되는 영상에서 소정의 객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객체의 크기 및 화면상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아바타 배치 구역을 결정하고 개별 아바타의 크기 및 화면상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아바타 배치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ideo synthesis module of a proposed virtual content collaborative service system recognizes a predetermined object in an image reproduced by a content image playback unit, and arranges an avatar based on the size of the recognized object and position information on the screen And an avatar placement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the area and determines the size of the individual avatar and the placement position on the screen.

또한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의 아바타 그래픽 생성부는 아바타 제어 모듈에 따라 결정된 아바타 특성의 아바타를 표준 크기로 생성하는 표준크기 아바타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영상합성 모듈은 표준크기 아바타 생성부에서 생성한 표준크기의 아바타에 대하여 아바타 배치 결정부에서 결정된 개별 아바타의 크기 및 화면상 배치 위치에 따라 그래픽 정보를 생성하는 아바타 그래픽 조정부 및 아바타 그래픽 조정부에서 생성한 아바타 그래픽 정보와 컨텐츠 영상 재생부에서 재생하는 영상을 합성하여 놀이 공간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합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vatar graphic generation unit of the virtual content joint participation service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standard size avatar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the avatar of the avatar characteristic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avatar control module at a standard size, The avatar graphic control unit for generating graphic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individual avatar determined by the avatar placement unit and the position on the screen and the avatar graphic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avatar graphic control unit, And an image synthesizing unit for synthesizing and generating a play space image.

한편, 제안된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의 컨텐츠 영상 재생부가 재생하는 컨텐츠 영상은 게임 프로그램일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ent video played by the content video playing unit of the proposed virtual content cooperative participation service system may be a game program.

나아가,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은 소모임 회원들을 대상으로 아바타를 장식하는 장식 아이템 또는 동작 아이템을 포함하는 가상 상품이나 실물 상품을 소모임 회원들을 대상으로 AI(Artificial Intelligence)기반의 광고를 하는 AI 기반 광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virtual contents joint participation service system is a system in which a virtual commodity or a real commodity including decorative items or action items for decorating an avatar for members of a small group is used for AI-based advertisements based on AI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 / RTI >

또한,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의 아바타 할당부는 소모임에 속한 사용자별 행태에 따라 선호하는 상품을 추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 아바타를 광고업체에 할당하는 광고 아바타 할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vatar assigning unit of the virtual content joint participation service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advertisement avatar assigning unit that assigns at least one or more advertisement avatars recommending a preferred commodity to an advertisement company according to behaviors of users belonging to a small group.

또한,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의 광고 아바타는 상기 AI 기반 광고 모듈의 AI 기반 광고에 따라 표시상태 또는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vertisement avatar of the virtual content joint participation service system may be controlled in display state or operation according to the AI-based advertisement of the AI-based advertisement module.

또한,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은 아바타 행태에 기초하여 아바타가 선호하는 상품을 결정하여 추천하는 추천 상품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irtual content joint participation service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recommendation product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and recommends a product preferred by the avatar based on the avatar behavior.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의 추천 상품 결정부는 아바타 행태 변수에 대한 아바타 행태 데이터(data)를 수집 및 저장하는 아바타 행태 데이터 수집부 및 아바타 행태 변수를 입력으로 하고, 아바타별 추천 상품을 출력으로 하는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포함하되, 아바타 행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아바타의 구매 확률이 높도록 학습시켜 아바타별 추천 상품을 결정하는 맞춤형 상품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recommendation merchandise determination unit of the virtual content collaborative service system may include an avatar behavior data collection unit and an avatar behavior data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and storing avatar behavior data for the avatar behavior variable,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ustomized product determination unit that includes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for outputting a product, and determines a recommended product for each individual by learning the avatar purchase probability to be high using the avatar behavior data.

나아가,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영상을 저장하는 컨텐츠 영상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virtual content collaborative service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content image storage unit for storing at least one content image.

또한,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은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컨텐츠 영상을 입력 받아 컨텐츠 영상 저장부로 전송하는 컨텐츠 영상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irtual content collective participation service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content image input unit for receiving the content image from the content provider and transmitting the content image to the content image storage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들에게 가상의 공간에서 운동 경기, 각종 게임 등의 컨텐츠를 제공하여 소비자의 공동체 놀이 문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tents of sports games, various games, and the like in a virtual space to users, thereby providing a community play culture service of a consumer.

또한 가상의 공간에서 또 다른 나의 생활을 체험해볼 수 있도록 하여 대리만족을 통해 실생활에서 쌓여 있는 스트레스를 경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xperience another life in a virtual space, thereby reducing the stress accumulated in real life through surrogate satisfaction.

나아가 공동체 놀이 문화 서비스의 컨텐츠를 누구나 제공하거나 제공받을 수 있는 컨텐츠 거래자가 되도록 하여 문화를 육성하고 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다.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cultivate culture and revitalize the economy by making contents of community play culture service become contents trader that can be provided or provided to anyone.

또한 사용자의 행태별로 선호도를 파악하여 사용자 맞춤형 상품을 추천함으로써 마케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marketing by recommending user-customized products by grasping the preference by user's behavior.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의 아바타 배치 결정부의 일양상에 따른 아바타 배치 구역의 일예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의 아바타 그래픽 생성부 및 영상합성 모듈의 일 양상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의 컨텐츠 영상 재생부의 일 양상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의 컨텐츠 영상 재생부의 일 양상에 따라 사용자가 제공받는 출력 화면의 일예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의 광고 아바타 할당부의 일 양상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의 추천 상품 결정부의 일 양상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의 컨텐츠 영상 저장부의 일 양상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의 컨텐츠 영상 입력부의 일예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virtual content collaborativ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ample of an avatar placement area according to an aspect of an avatar placement determining unit of a virtual content cooperative participation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3 is a block diagram of an avatar graphic creation unit and a video composition module of a virtual content collaborativ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n aspect of a content image playback unit of a virtual content collaboration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ample of an output screen provided by a user according to an aspect of a content image playback unit of a virtual content joint participation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 6 is a block diagram of an advertisement avatar allocator of a virtual content collaborativ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7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recommending go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block diagram of an aspect of a content image storage unit of a virtual content collaborativ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9 is an example of a content image input unit of the virtual content collaborativ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100)의 구성 블록도이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virtual content collaborative service system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repeated descriptions and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s and sizes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the like can be exaggerated for clarity. 1 is a block diagram of a virtual content collaborative servic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안된 발명에 따른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100)은 서버(server)와 그 서버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들로 구현되며, 다수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가상 공간에서의 소모임을 지원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100)은 의사소통 모듈(001), 컨텐츠 영상 재생부(002), 아바타 할당부(003), 아바타 그래픽 생성부(004), 아바타 제어 모듈(005), 영상합성 모듈(006), 및 컨텐츠 전송부(007)를 포함한다. The virtual content cooperative participation service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oposed invention is implemented as a server and program modules executed in the server, and supports a small space in a virtual space for a plurality of users. The virtual content collaborative service system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001, a content image reproducing unit 002, an avatar assigning unit 003, an avatar graphic generating unit 004, an avatar controlling module 005 ), A video synthesis module (006), and a content transmission unit (007).

의사소통 모듈(001)은 소모임을 데이터베이스에 정의하고, 그 소모임에 속한 사용자들에게 네트워크 상에서의 의사 소통(communication) 도구를 제공한다. The communication module (001) defines a small group in the database, and provides communication tools on the network to users belonging to the small group.

의사소통 모듈(001)에서 정의하는 소모임은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를 같이 제공받는 가상 공간의 그룹을 의미할 수 있다. The small group defined by the communication module (001) may mean a group of virtual spaces that are simultaneously provided with a virtual content co-participation servic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소모임은 가상 공간에서의 소셜 네트워크일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의사 소통 모듈(001)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Social Network Service System)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ubscriber may be a social network in a virtual space. In this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module 001 may be a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이 예에서의사소통 모듈(001)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의 회원가입 절차를 통해 회원 등록을 받아 의사소통 모듈(001)의 소모임 DB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의사소통 모듈(001)은 소모임 DB에 저장된 회원들로부터 소모임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의사 소통 모듈(001)은 외부의 다른 제휴 주체가 운영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으로의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는 SNS 연동부일 수 있다. In this example, the communication module 001 can receive the member registration through the online or offline member registration procedure and store it in the small DB of the communication module 001. The communication module (001) according to one aspect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 small group from the members stored in the small group DB. In another example, the communication module 001 may be an SNS interface unit including an interface module to a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operated by another external affiliate.

이러한 SNS 연동부은 예를 들어 기존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일예로 트위터(Twitter), 페이스북(Facebook) 등의 개방형 SNS, 또는 미니홈피, 밴드, 카카오스토리 등의 폐쇄형 SNS와 연동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의사소통 모듈(001)은SNS 연동부에 연동된 기존의 SNS 회원들의 해당 SNS의 사용자 계정을 이용하여 소정의 소모임을 생성할 수 있다. Such an SNS interworking part may include, for example, an open SNS such as an existing social network service, for example, Twitter or Facebook, or a closed SNS such as a mini homepage, a band, or a cacao story . The communication module (001) according to one aspect can generate a predetermined size using the user account of the corresponding SNS of the existing SNS members linked to the SNS interworking unit.

한편, 소모임은 패스워드(password)를 가진 사람 또는 초대된 사람만 입장이 가능한 비공개(PRIVATE)한 소모임일 수도 있다. 또한 소모임은, 방 검색이나 주제 검색 등을 통해 그룹이 형성될 수 있는 공개(OPEN)된 소모임일 수 있다.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100)의 관리자 또는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소모임을 생성하고 소모임 생성 속성을 설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mall group may be a private group that can be entered only by a person having a password or an invited person. Also, the small group may be an open group in which a group can be formed through a room search or a topic search. An administrator or a user of the virtual content collaborative service system 100 can create a small group and set a small group creation attribute through a user interface.

한편, 의사소통 모듈(001)은 생성한 소모임 사용자 또는 회원들을 대상으로 의사 소통 도구를 제공할 수 있다. 의사소통 모듈(001)은 일양상에 따라 소모임 사용자들에게 의사소통 도구를 소정의 대화창과 같은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영상합성 모듈(006)은 일양상에 따라 의사 소통을 위해 생성된 의사소통 그래픽을 아바타 그래픽 생성부(004)에서 생성되는 아바타 그래픽 정보 및 컨텐츠 영상을 합성하여 놀이 공간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컨텐츠 전송부(007)는 영상합성 모듈(006)이 생성한 놀이공간 영상을 사용자에 전송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mmunication module (001) can provide a communication tool for the generated small user or members. The communication module (001) may provide communication tools to small users in the form of a predetermined dialog window according to an aspect. In addition, the image synthesizing module 006 may generate a play space image by synthesizing the communication graphics generated for communication according to an aspect by combining the avatar graphic information and the content image generated in the avatar graphic generating unit 004. [ The content transmission unit 007 may transmit the play space image generated by the image synthesis module 006 to the user.

의사소통 모듈(001)은 다른 양상에 따라 하고자 하는 대화 내용을 후술할 개별 아바타의 이미지에 할당되는 대화 말풍선을 통해 구현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귓속말, 보다 구체적으로 특정 사용자에게만 대화 또는 동작 상태를 표현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001) may implement the conversation content desired to be performe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rough a conversation speech balloon assigned to an individual avatar image to be described later. As another exampl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whisper, more specifically, to express a conversation or an operation state only to a specific user.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의사소통 모듈(001)은 소모임 사용자 또는 회원들을 대상으로 음성의 형태로 의사 소통 도구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일예로 사용자들은 HMD(Head Mounted Display; HMD)와 같은 VR 기기를 이용하여 음성의 형태로 소모임 사용자들과 놀이 공간 영상을 즐기면서 대화를 나눌 수 있다.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100)은 이와 같은 음성 형태의 의사 소통 도구를 상기 서술한 타 의사 소통 도구와 동시에 제공할 수도 있고, 음성 형태의 의사 소통 도구 단독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음성 형태의 의사 소통 도구 단독으로 소모임 사용자에 의사 소통 도구를 제공할 때 사용자가 얻는 이점은, 놀이 공간 영상에 집중할 수 있는 동시에, 실제로 주변에 있는 사람들과 함께 놀이 공간 영상을 즐기는 듯한 체험치를 최대로 끌어올릴 수 있다. 이미 알려진 그룹 콜의 통신 기술을 적용하여 이러한 음성 소통 도구가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communication module (001) may provide a communication tool in the form of voice to a small user or members. For example, a user may use a VR device such as an HMD (Head Mounted Display) to talk to a small user in the form of voice while enjoying a play space image. The virtual content collaborative service system 100 may simultaneously provide the voice communication tool with the voice communication tool described above, or may provide the voice communication tool alone with the voice communication tool. Voice-based communication tools The advantages of providing communication tools to small-user users on their own are that they can concentrate on the play space image, while at the same time maximizing the experiential value You can raise it. Such a voice communication tool can be implemented by applying a communication technique of a known group call.

컨텐츠 영상 재생부(002)는 컨텐츠 영상을 재생한다. 컨텐츠 영상은 사전에 촬영 또는 제작된 영상일 수 있다. 컨텐츠 영상은 일양상에 따라 사전에 촬영된 현실 공간의 영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놀이 공원의 영상을 통해 실제로 함께 놀고 싶은 친구와 함께 사용자가 선택한 놀이 기구의 선택한 자리에 앉아 놀이 기구를 타는 체험을 가상의 공간에서 즐길 수 있다. 이 밖에도 컨텐츠 영상은 컨텐츠 제공자의 의도에 따라 제작되는 것이므로 일상생활에서 할 수 있는 현실 공간의 영상 자체일 수도 있고 이에 소정의 프로그램 모듈이 결합된 복합 공간의 영상일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즐기는 놀이는 현실공간에서 할 수 있는 놀이, 또는 현실 공간에서 불가능한 놀이일 수도 있다. 현실공간에서 할 수 있는 놀이로는 소모임의 회원들과 함께하는 뜨개질, 마작 등의 게임, 운동 경기 관람, 콘서트장 및 여행 공간의 체험 등이 있다. 현실 공간에서 불가능한 놀이로는 우주 공간에서 화성 체험하기 등이 있다. 아바타 할당부(003)는 아바타(avatar)를 소모임에 속한 사용자 중 적어도 일부에 할당한다. 먼저, 아바타란 사용자가 자신의 역할을 대신하는 존재로 가상 공간에서 내세우는 가상 객체일 수 있다. The content video playback unit 002 plays back the content video. The content image may be a previously photographed or produced image. The content image may be an image of a real space previously photographed according to an aspect. For example, through the video of the amusement park, you can enjoy a ride in a virtual space with a friend who actually wants to play with you, sitting in a selected place of the rides chosen by the user. In addition, since the content image is produced in accordance with the intention of the content provider, the content image may be the image of the real space that can be used in daily life, or may be a composite space image in which a predetermined program module is combined. Thus, the play enjoyed by the user may be play that can be done in the real space, or play which is impossible in the real space. Among the activities that can be done in the real space are knitting, games such as mahjong with members of the small group, watching sports games, concert venues and experience of a travel space. The impossible play in real space is to experience Mars in outer space. The avatar assigning unit (003) assigns an avatar to at least a part of users belonging to the small group. First, an avatar may be a virtual object that a user presents in a virtual space as a substitute for his or her role.

아바타 할당부(003)는 일양상에 따라 소모임 DB에 정의된 소모임에 속한 사용자 모두 또는 일부에게 기 설정된 프로그램 모듈에 따라 또는 랜덤으로 아바타를 할당할 수 있다. The avatar assigning unit 003 may assign an avatar to all or a part of the users defined in the small-sized DB according to an aspect, or randomly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gram module.

아바타 할당부(003)는 다른 양상에 따라 소모임에 속한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아바타 할당 요청을 입력함에 따라 아바타를 할당할 수도 있다. The avatar assigning unit 003 may assign an avata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as a user belonging to the small group inputs an avatar assignment request through the user interface.

후자의 경우, 사용자가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가상의 공간에 같이 모일 친구를 초대함으로써 아바타 할당부(003)가 해당 사용자에게 아바타를 할당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의사소통 모듈(001)의 소모임 DB로부터 친구를 선택하여 초대함으로써 아바타 할당부(003)가 해당 친구에게 아바타를 할당할 수 있다.In the latter case, the user may be invited to the virtual space in which the virtual content co-participation service is provided, so that the avatar assigning unit 003 may assign the avatar to the user. For example, the avatar assigning unit 003 can assign an avatar to a friend by selecting and inviting a friend from a small-sized DB of the communication module 001 through a user interface.

일시예에 따른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100)의 아바타 할당부(003)는 일양상에 따라 사용자에 아바타를 할당할 때, 기 설정된 기본형의 아바타의 외모, 동작, 표시 상태 정보를 후술할 아바타 그래픽 생성부(004)에 입력신호로 전송하는 것을 디폴트(Default)로 설정할 수 있다. 아바타 할당부(003)는 다른 양상에 따라 사용자의 아바타 할당 요청 입력에 의한 아바타 할당의 경우, 사용자가 사용자의 아바타의 외모, 동작, 표시 상태 정보를 설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The avatar assigning unit 003 of the virtual content cooperative participation service system 100 according to the instant embodiment, when assigning an avatar to a user according to an aspect, displays appearance, operation, and display status information of a predetermined basic type avatar to an avatar It is possible to set the transmission to the graphic generation unit 004 as an input signal as a default. The avatar assigning unit 003 may allow the user to set the appearance, operation, and display state information of the avatar of the user in the case of the avatar allocation by the user's request for the avatar alloca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한편, 아바타 그래픽 생성부(004)는 아바타 할당부(003)에서 할당한 아바타 그래픽 정보를 생성한다. 아바타 그래픽 생성부(004)는 일양상에 따라 그래픽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처리 장치는 공지된 기술로써, 메모리를 처리하고 바꾸어 화면으로 출력할 영상 생성 하도록 설계된 전자회로이다. 이 밖에도 아바타 그래픽 생성부(004)는 3차원의 그래픽의 생성을 구현할 수 있는 소정의 집적회로를 이용하여 아바타 그래픽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Meanwhile, the avatar graphic generation unit 004 generates the avatar graphic information allocated by the avatar allocation unit 003. [ The avatar graphic generation unit 004 may include a graphic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A graphics processing device is an electronic circuit, which is a known technology, designed to process an image of a memory and generate an image to be output to a screen. In addition, the avatar graphic generation unit 004 may generate avatar graphic information using a predetermined integrated circuit capable of generating three-dimensional graphics.

아바타 제어 모듈(005)은 아바타 그래픽 생성부(004)의 아바타의 동작과 표시상태를 해당 사용자 또는 서버의 지시 입력에 따라 제어한다. The avatar control module 005 controls the operation and display state of the avatar of the avatar graphic generation unit 004 according to an instruction input of the user or server.

아바타 제어 모듈(005)은 일양상에 따라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100)의 서버의 기 설정된 또는 프로그래밍의 편집을 적용한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제어하고자 하는 아바타의 동작과 표시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The avatar control module 005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vatar and the display state of the avatar to be controlled according to an execution of a program to which predetermined editing or programming of a server of the virtual content collaborative servic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pplied. Can be controlled.

일예로,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받는 가상 컨텐츠 서비스로써 특정 영화관 관람을 선택한다면,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100)의 서버에 또는 아바타 제어 모듈(005)에 사용자의 해당 아바타가 영화관 관람 시작 전, 영화관 입구에서 아바타의 영화관 해당 좌석에 착석하는 과정을 표현하는 그래픽 영상을 생성하도록 프로그래밍해 놓을 수 있다. For example, if a user selects a specific movie theater as a virtual content service provided through a user interface, the user's avatar is displayed on the server of the virtual content community participation service system 100 or in the avatar control module 005 It can be programmed to create a graphic image representing the process of sitting in the seat of the avatar movie theater at the entrance of the movie theater.

아바타 제어 모듈(005)은 다른 양상에 따라 사용자의 지시 입력에 따라 아바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는,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아바타를 제어하는 지시 입력을 할 수 있다. 통신 장치라 함은, 일예로 인터넷 TV, 휴대용 모바일 기기, 또는 데스크 탑, 노트북 등 통신이 가능하고 증강 현실 모듈 플랫폼과 호환이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The avatar control module 005 can control the avatar according to an instruction input of the us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For example, a user can input an instruction to control an avatar through a user interface using a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user interface. The communication device may be, for example, an Internet TV, a portable mobile device, a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 desk top, a notebook, or the like, and compatible with the augmented reality module platform.

아바타의 동작은 일예로, 아바타가 제자리에서의 동작 또는 화면상의 소정의 거리 만큼을 움직이면서 하는 행동, 일예로 걷기, 달리기, 손들기, 폴짝폴짝 뛰기, 순간 이동하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단위 동작들은 개별적으로 프로그램 모듈화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The action of the avatar is, for example, an action in which the avatar moves in place or a predetermined distance on the screen, for example, walking, running, hand raising, falling back, and moving instantaneously. These unit operations are individually programmed and can be selectively executed according to user operations.

또한 아바타의 표시상태라 함은, 아바타의 외관일 수 있다. 즉, 얼굴 또는 몸의 형태, 희로애락을 표현하는 얼굴 표정, 및 기본 의복 내지 장신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아바타의 입체적, 혹은 표면의 형태나 이미지를 변화시키며, 렌더링 과정 혹은 렌더링 후 표면 처리에 반영될 수 있다. The display state of the avatar may be the appearance of the avatar. That is, it may include a shape of a face or a body, a facial expression expressing a melancholy, and basic clothes or ornaments. This information changes the shape or the image of the avatar's three-dimensional or surface, and can be reflected in the rendering process or the rendering process.

아바타 제어 모듈(005)은, 제어부 또는 사용자가 상기와 같은 아바타의 동작 내지 표시상태를 제어부의 제어 입력 또는 사용자의 사용자인터페이스의 입력을 통해 프로그램이 디폴트로 제공하는 프로그램 변수들에 한해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The avatar control module 005 allows the control unit or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r display state of the avatar as described above only on the program variables provided by the program by default through the control input of the control unit or the input of the user's user interface have.

아바타 제어 모듈(005)은 일예로, 아바타의 얼굴은 계란형, 둥근형, 각진형 중에서 선택, 표정은 울상, 웃는 상, 찡그린 상 등 중 선택, 순간 이동은 화면상 보이는 끝점에서 끝점 범위 내에서 선택 등을 디폴트 세팅으로 프로그램 모듈 상에 기 설정해 놓을 수 있다. For example, the avatar control module 005 may be selected from an egg shape, a round shape, an angled shape, a face image, a smile image, a frown image, and the like. Can be pre-set on the program module with default settings.

아바타 제어 모듈(005)은 또 다른 양상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지시 입력으로 업로드한 아바타의 외관, 즉 체형 또는 얼굴을 입력 받아 사용자의 아바타에 적용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avatar control module 005, the appearance of the avatar uploaded by the user as an instruction input through the user interface, that is, the body shape or the face, may be input and applied to the user's avatar.

일예로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본인의 아바타에 적용할 아바타의 외관으로써 본인 또는 다른 사람이나 캐릭터의 얼굴 또는 체형이 드러나는 사진을 업로드할 수도 있고, 개인이 소지한 소정의 3D 이미징 센서 카메라를 통해 본인 내지 적용하고자 하는 사람 내지 캐릭터의 얼굴 또는 체형을 스캔한 3D 정보를 업로드할 수도 있다. 아바타 제어 모듈(005)은 이와 같이 사용자가 업로드한 얼굴 내지 체형 등의 외관을 2D형태의 가면 또는 3D 그래픽 영상으로 생성하고 사용자 아바타에 이를 적용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a user may upload a photograph of a face or a body of a person or another person or a character as an external appearance of an avatar to be applied to the avatar of the us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Or 3D information obtained by scanning the face or body shape of the person or character to be applied. The avatar control module 005 may generate a 2D facial image or a 3D graphic image of a facial, body, or the like uploaded by the user, and apply it to the user avatar.

영상합성 모듈(006)은 컨텐츠 영상 재생부(002)에서 재생되는 영상과, 아바타 그래픽 생성부(004)에서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바타에 대응되는 아바타 그래픽 정보를 합성하여 놀이 공간 영상을 생성한다. The image synthesizing module 006 generates a play space image by combining the image reproduced by the content image reproducing unit 002 and the avatar graph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r more avatars generated by the avatar graphic generating unit 004. [

영상합성 모듈(006)은 일양상에 따라 컨텐츠 영상 재생부(002)에서 재생되는 영상의 레이어(LAYER)와 아바타 그래픽 생성부(004)(060)에서 생성하는 아바타 그래픽 정보 레이어(LAYER)를 얼라인(ALIGN)하여 겹침으로 두 레이어를 합성하여 놀이 공간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The image synthesizing module 006 synthesizes the layer LAYER of the image reproduced in the content image reproducer 002 and the avatar graphic information layer LAYER generated in the avatar graphic generator 004 and 060 according to an aspect (ALIGN) to create a play space image by overlapping two layers.

컨텐츠 전송부(007)는 생성된 놀이 공간 영상을 상기 소모임에 속한 사용자들 중 적어도 일부에게 전송한다. 컨텐츠 전송부(007)는 소정의 통신 수단을 포함하여 놀이 공간 영상을 소모임 회원의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100)의 아바타 제어 모듈(005)은 아바타 위치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바타 위치 조작부는 사용자 지시에 따라 아바타의 화면상 위치 및 크기를 조작한다. 사용자는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는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아바타가 화면상에 위치할 곳 및 크기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아바타 위치 조작부에서 설정한 아바타의 화면상 위치 및 크기 정보는 해당 아바타의 다른 특성 정보와 함께 아바타 그래픽 생성부(004)로 전송될 수 있다. The content transmission unit 007 transmits the generated play space image to at least a part of users belonging to the small group. The content transmitting unit 007 may include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means to transmit the play space image to the terminal of the user of the small member so as to provide the virtual content co-participation service. The avatar control module 005 of the virtual content collaborative service system 100 may further include an avatar position manipulation unit. The avatar position control unit manipulates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avatar on the screen in accordance with a user instruction. A user can select a location and size of an avatar on a screen through a user interface using a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user interface. In this way, the on-screen position and size information of the avatar set by the avatar position control unit can be transmitted to the avatar graphic generation unit 004 together with oth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the avatar.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100)의 아바타 배치 결정부(009)의 일양상에 따른 아바타 배치 구역의 일예이다.FIG. 2 is an example of an avatar placement area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avatar placement determination unit 009 of the virtual content community participation servic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제안된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100)의 영상합성 모듈(006)은 일양상에 따라 아바타 배치 결정부(009)를 포함할 수 있다. 아바타 배치 결정부(009)는 컨텐츠 영상 재생부(002)에서 재생되는 영상에서 소정의 객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객체의 크기 및 화면상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아바타 배치 구역을 결정하고 개별 아바타의 크기 및 화면상 배치 위치를 결정한다.The image synthesis module 006 of the proposed virtual content collaborative service system 100 may include an avatar placement determination unit 009 according to an aspect. The avatar placement determination unit 009 recognizes a predetermined object in an image reproduced by the content image playback unit 002 and determines an avatar placement area based on the size of the recognized object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n the screen, And the position on the screen.

아바타 배치 결정부(009)는 일양상에 따라 영상 인식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인식 처리부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영상 인식 또는 처리 기능을 하는 구성으로 영상에서 소정의 객체를 인식하고 인식한 정보 신호를 소정의 다른 프로그램 모듈에 전송함으로써 영상 인식을 통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avatar placement determination unit 009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recognition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an aspect. The image recognition processing unit recognizes a predetermined object in the image with a known image recognizing or processing function and transmits the recognized information signal to a predetermined other program module so as to perform other functions through image recognition have.

이와 같은 영상 인식 처리부가 아바타 배치 결정부(009)에서 필요한 이유는 사용자가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를 즐길 때 영상에 포함되는 객체가 아바타 또는 광고창 등에 가려져서는 안되는 중요한 객체인가를 판단하기 위해서이다.The reason why such an image recognition processing unit is needed in the avatar placement determination unit 009 is to determine whether an object included in the image when the user enjoys the virtual content co-participation service is an important object that should not be covered by an avatar or an advertisement window.

아바타 배치 결정부(009)는 다른 양상에 따라 아바타 배치 결정부(009) 내의 DB에 컨텐츠 영상별로 기 설정해 놓은 주요 객체의 영상 정보를 저장해 놓을 수 있다. 또는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100)의 DB에 컨텐츠 영상별로 기 설정해 놓은 주요 객체의 영상 정보를 저장해 놓을 수도 있다. 주요 객체는 일예로 애니매이션, 영화의 경우라면 등장 인물 내지, 경기장의 경우라면 운동선수 내지 주요 배경 등이 될 수 있다.The avatar placement determination unit 009 may store image information of a main object previously set for each content image in the DB in the avatar placement determination unit 009 according to another aspect. Alternatively, video information of a main object previously set for each content image may be stored in the DB of the virtual content collaborative servic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he main object may be, for example, an animated character in the case of a movie, or an athlete or a main background in the case of a stadium.

영상에서 인식한 객체가 중요한 객체인가의 유무는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100)이 일양상에 따라 아바타 배치 결정부(009)의 영상 인식 처리부를 통해 인식한 영상의 객체의 영상 정보와 DB에 저장된 컨텐츠 영상별로 기 설정해 놓은 주요 객체의 영상 정보를 비교 판단한 결과 가능할 수 있다.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recognized in the image is an important object in that the virtual content collaborative servic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the object of the image recognized through the image recognition processing unit of the avatar placement determination unit 009 It is possible to compare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main object previously set for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content image stored in the DB.

한편, 영상 정보는 각 객체의 형상 및 크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영상 인식 처리부는 영상에서 각 객체의 형상 및 크기에 관한 정보에 근거해서 각 객체를 식별하고 식별한 객체가 아바타 배치 결정부(009)의 DB에 기 저장된 주요 객체의 영상 정보와 비교하여 같은 대상인가를 파악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mage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shape and size of each object. That is, the image recognition processing unit identifies each object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shape and size of each object in the image, and compares the identified object with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main object previously stored in the DB of the avatar placement unit (009)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whether the same object.

한편, 아바타 배치 결정부(009)는 주요 객체인지 유무를 판단하기 위해 영상 정보를 비교할 때 객체의 크기는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으므로, 형상 정보를 기초로 축소 및 확대한 결과를 감안하여 비교하도록 프로그래밍해 놓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size of the object can be enlarged or reduced when the image information is compared to determine whether the object is a main object, the avatar placement unit (009) You can do it.

한편, 주요 객체는 아바타 배치 결정부(009)의 DB에 저장된 기 설정된 대상일 수도 있고, 또는 영상 처리부가 인식할 수 있는 모든 객체일 수도 있다.The main object may be a predetermined object stored in the DB of the avatar placement determination unit 009, or may be any object that the image processing unit recognizes.

아바타 배치 결정부(009)는 일양상에 따라 인식한 화면상 주요 객체가 없는 영역을 아바타의 배치가 가능한 아바타 배치 구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예로 도 2에서 빗금친 부분이 아바타 배치 구역일 수 있다. 아바타 배치 결정부(009)의 아바타 배치 구역은 일양상에 따라 소정의 구획으로 나누어 질 수 있다. 아바타 배치 결정부(009)는 소정의 구획에 개별 아바타가 화면상에 배치될 위치 또는 아바타의 크기를 배치하도록 할 수 있다. The avatar placement determination unit (009) can set an area in which there is no main object on the screen recognized according to an aspect as an avatar placement area in which an avatar can be arranged. For example, the hatched portion in FIG. 2 may be an avatar placement area. The avatar placement area of the avatar placement determination unit 009 may be divided into predetermined sections according to an aspect. The avatar placement determination unit (009) can arrange a position where an individual avatar is placed on a screen or a size of an avatar in a predetermined section.

아바타 배치 구역은 일예로 m x n 개의 구역으로 나뉠 수 있고 각각의 구역은 행렬 정보로써 아바타 배치 결정부(009)의 DB에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구역은 소정의 픽셀로 구성되어 화면상 소정의 면적을 차지하게 된다. 일예로 y축을 7개로 나누고, x축을 9개로 나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상 가장 왼쪽 위의 구역은 (b1,a1)의 위치 정보와 전체 화면의 1/63을 차지하게 된다. 아바타 배치 구역은 이와 같은 아바타 배치 가능 구역 내에서 각각의 아바타를 소정의 위치에 소정의 크기로 배치할 수 있다. The avatar placement area may be divided into m x n areas, for example, and each zone may be stored in the DB of the avatar placement decision unit 009 as matrix information. Accordingly, each of the regions is composed of predetermined pixels and occupies a predetermined area on the screen. For example, if the y-axis is divided into 7 and the x-axis is divided into 9, the uppermost region on the screen occupies 1/63 of the entire screen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b1, a1) as shown in Fig. In the avatar placement area, the respective avatars can be arrang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in a predetermined size within such avatable placement area.

아바타 배치 결정부(009)는 개별 아바타를 배치할 위치와 아바타의 크기를 기 설정된 알고리즘을 반영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결정할 수도 있고, 다른 양상에 따라 사용자 지시 입력을 받아 아바타 배치 구역에 아바타를 배치할 수도 있다. The avatar placement determination unit (009) may determine the location where the individual avatar is to be placed and the size of the avatar by executing a program reflecting the predetermined algorithm, or may receive the user instruction input 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to place the avatar in the avatar placement area have.

아바타 배치 결정부(009)는 또 다른 양상에 따라 영상 전체의 화면을 아바타 배치 구역으로 설정해놓을 수도 있다. 즉, 아바타 배치 결정부(009)가 컨텐츠 영상에서 객체를 인식하더라도 인식한 객체와 개별 아바타를 오버랩(overlap)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아바타 배치 결정부(009)는 오버랩 시에는 기 설정한 조건에 따라 화면상에 오버랩 되는 영역에 있어 표시할 객체를 아바타로 할 수도 있고 인식한 객체로 할 수도 있다.The avatar placement determination unit (009) may set a screen of the whole image as an avatar placement area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at is, even if the avatar placement determination unit 009 recognizes the object in the content image, it may overlap the recognized object and the individual avatar. In the case of overlapping, the avatar placement unit (009) may make an object to be displayed in an area overlapping on the scree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dition as an avatar or a recognized object.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100)의 아바타 그래픽 생성부(004) 및 영상합성 모듈(006)의 일 양상에 따른 블록도이다.FIG. 3 is a block diagram of an avatar graphic generation unit 004 and an image synthesis module 006 of the virtual content collaborative servic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100)의 아바타 그래픽 생성부(004)는 일양상에 따라 표준크기 아바타 생성부(010)를 더 포함하고, 영상합성 모듈(006)은 다른 양상에 따라 아바타 그래픽 조정부(011) 및 영상합성부(0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vatar graphic generation unit 004 of the virtual content collaborative service system 100 may further include a standard size avatar generation unit 010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further include an avatar graphic adjusting unit 011 and an image synthesizing unit 012.

표준크기 아바타 생성부(010)는 아바타 제어 모듈(005)에 따라 결정된 아바타 특성의 아바타를 표준 크기로 생성할 수 있다. 표준 크기는 일양상에 따라 표준크기 아바타 생성부(010)가 기 설정해 놓은 화면상의 면적, 즉 소정 수의 픽셀일 수 있다. The standard size avatar generation unit 010 can generate avatars of the avatar characteristics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avatar control module 005 as standard sizes. The standard size may be an area on the screen preset by the standard size avatar generation unit 010, that is, a predetermined number of pixels, according to one aspect.

아바타 그래픽 조정부(011)는 표준크기 아바타 생성부(010)에서 생성한 표준크기의 아바타에 대하여 아바타 배치 결정부(009)에서 결정된 개별 아바타의 크기 및 화면상 배치 위치에 따라 확대 혹은 축소하여 그래픽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예로 아바타 그래픽 조정부(011)는 아바타 배치 결정부(009)에서 결정한 도 2의 (b7, a2)구역에 아바타 A를 배치하고자 한다면, 표준크기의 아바타를 축소 또는 확대하여 (b7, a2)구역 내로 아바타가 배치되도록 아바타 그래픽을 조정할 수 있다. 아바타 그래픽 조정부(011)는 일양상에 따라 수평 방향 혹은 수직 방향 인접한 두 픽셀 사이에 연결이 자연스럽도록 보간에 의해 생성된 새로운 픽셀들을 삽입하여 영상을 확대할 수 있다. 아바타 그래픽 조정부(011)는 다른 양상에 따라 수평 방향 혹은 수직 방향 픽셀들 중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영상을 축소할 수 있다.  The avatar graphic adjustment unit 011 enlarges or reduces the standard size avatar generated by the standard size avatar generation unit 010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individual avatar determined by the avatar placement determination unit 009 and the position on the screen, Lt; / RTI > For example, if the avatar graphic adjustment unit 011 desires to place the avatar A in the area (b7, a2) of FIG. 2 determined by the avatar placement determination unit 009, The avatar graphic can be adjusted so that the avatar is placed inside the avatar. The avatar graphic adjustment unit 011 may enlarge the image by inserting new pixels generated by interpolation so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two adjacent pixe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the vertical direction is natural according to an aspect. The avatar graphic adjustment unit 011 can reduce the image by removing some of horizontal or vertical pixel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이에 따라 영상합성부(012)는 아바타 그래픽 조정부(011)에서 생성한 아바타 그래픽 정보와 컨텐츠 영상 재생부(002)에서 재생하는 영상을 합성하여 놀이 공간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100)의 컨텐츠 영상 재생부(002)의 일 양상에 따른 블록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100)의 컨텐츠 영상 재생부(002)의 일 양상에 따라 사용자가 제공받는 출력 화면의 일예이다. Accordingly, the image composition unit 012 can generate a play space image by combining the avatar graphic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avatar graphic adjustment unit 011 and the image reproduced by the content image playback unit 002. [ FIG. 4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 aspect of a content image playback unit 002 of a virtual content joint participation servic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virtual content joint participation service system 100 Is an example of an output screen provided by the user in accordance with an aspect of the content image playback unit 002 of FIG.

제안된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100)의 컨텐츠 영상 재생부(002)가 재생하는 컨텐츠 영상은 일양상에 따라 게임 프로그램일 수 있다. The content image reproduced by the content image playback unit 002 of the proposed virtual content cooperative participation service system 100 may be a game program according to an aspect.

게임 프로그램은 일예로 마작, 바둑, 또는 보드 게임 등일 수 있다. 이들 게임은 일양상에 따라 현실 공간의 영상을 배경 영상으로 진행될 수도 있고, 소정의 테마를 적용한 가상 영상을 배경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A game program may be, for example, a mahjong, a baduk, or a board game. These games may be performed in the form of a background image in the real space according to an aspect, or may be performed in the background of a virtual image using a predetermined theme.

게임 프로그램을 컨텐츠 영상으로 하여 제공하는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의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한 출력 화면의 일예로 도 5의 마작 게임을 들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들을 대변하는 각각의 아바타는 화면상의 테이블에 각자의 위치에 앉아서 게임을 즐기고 있다. 도 5에서는 의사소통 모듈(001)을 통해 사용자가 하고자 하는 말이 화면상에 각자의 아바타 머리 위 말풍선을 통해 표시되는 예를 보여준다. 한편, 대화의 표시 형태는 말풍선에 국한된 것이 아니고 상술한 바와 같이 대화창, 또는 음성 등의 다른 형태로도 표시가 가능하다. 제안된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100)은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반 광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I 기반 광고 모듈은 소모임 회원들을 대상으로 아바타를 장식하는 장식 아이템 또는 동작 아이템을 포함하는 가상 상품이나 실물 상품을 소모임 회원들을 대상으로 AI(Artificial Intelligence)기반의 광고를 할 수 있다. An example of an output screen in which a game program of a virtual content co-participation service providing a game program as a content video is executed is the mah-jong game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5, each of the avatars representing the users enjoys the game by sitting at their respective positions on the table on the screen. FIG. 5 shows an example in which words that the user wants to speak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001 are displayed on the avatar head-on speech bubble on the screen. On the other hand, the display form of the conversa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ech balloon, but can be displayed in other forms such as a chat window or voice as described above. The proposed virtual content co-participation service system 100 may further include an AI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advertisement module. The AI-based advertisement module can perform artificial intelligence (AI) -based advertisements for a small group of virtual goods or real goods including decorative items or action items for decorating avatars to members of small groups.

AI 기반 광고 모듈은 소정의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한 광고 모듈일 수 있다.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공지된 기술로써 그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생략할 것이며, 본발명에의 소정의 인공지능 알고리즘의 적용은 후술할 맞춤형 상품 결정부(017)를 설명할 때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The AI-based advertisement module may be an advertisement module using a predetermined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is a known art and its details will be omitted, and the application of the predetermined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hen describing the customized goods determiner 017 described later.

한편, AI 기반 기반 광고 모듈은 일양상에 따라 광고주가 요청한 광고 내용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AI 기반 광고 모듈은 해당 광고 프로그램 모듈을 실행하고 그 결과 생성하는 광고 그래픽 정보를 일 양상에 따라 영상합성 모듈(006)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합성 모듈(006)은 컨텐츠 영상 재생부(002)에서 재생되는 영상과 아바타 그래픽 정보와 함께 광고 그래픽 정보를 합성하여 놀이 공간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Meanwhile, the AI-based based advertisement module may include a program module according to an advertisement content requested by an advertiser according to an aspect. The AI-based advertisement module may execute the corresponding advertisement program module and transmit the generated advertisement graphic information to the image synthesis module 006 according to an aspect. The image synthesis module 006 may generate a play space image by synthesizing the advertisement graphic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image reproduced in the content image playback unit 002 and the avatar graphic information.

AI 기반 광고 모듈은 또 다른 양상에 따라 광고 그래픽 정보가 움직이는 광고 형태로 소정의 위치에 구현되도록 또는 고정된 광고 형태로 소정의 위치에 구현되도록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I-based advertisement module may include a program that is programmed to be impleme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form of an advertisement in which the advertisement graphic information is move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r to be impleme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a fixed advertisement form.

또한 AI 기반 광고 모듈은 영상 처리부가 놀이 공간 영상에서 인식한 객체를 기초로 하여 광고용 그래픽 영상을 소정의 사물에 매칭시켜 놀이공간 영상에 구현되도록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AI-based advertisement module may include a program programmed to be embodied in a play space image by matching an advertisement graphic image with a predetermined object on the basis of an object recognized in the play space image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한편, 장식 아이템은, 위인, 연예인, 내지 만화 캐릭터등의 아바타 캐릭터일 수도 있고, 아바타가 사용할 수 있는 의복, 장신구, 헤어스타일 등이 다양한 양상으로 구현 가능하다. 또한 동작 아이템은 환호성, 아이돌 댄스, 악수 등 다양한 동작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ecoration item may be an avatar character such as a great person, an entertainer, a cartoon character, or the like, and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aspects such as clothing, jewelry, hair style, and the like. Also, the action items may be various actions such as cheering, idol dancing, and handshake.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100)의 광고 아바타 할당부(014)의 일 양상에 따른 블록도이다.FIG. 6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 aspect of an advertisement avatar assigning unit 014 of the virtual content collaborative servic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제안된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100)의 아바타 할당부(003)는 광고 아바타 할당부(014)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고 아바타 할당부(014)는 소모임에 속한 사용자별 행태에 따라 선호하는 상품을 추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 아바타를 광고업체에 할당할 수 있다.The avatar assigning unit 003 of the proposed virtual content collaborative service system 100 may further include an advertisement avatar assigning unit 014. [ The advertisement avatar assigning unit 014 can assign at least one or more advertisement avatars to the advertisement company that recommend a preferred product according to the behavior of each user belonging to the small group.

사용자 행태란 사용자가 이용하는 가상 콘텐츠의 종류, 방문한 website, 찜한 상품의 상세 정보, 구매한 상품, 찜한 상품 이나 구매한 상품의 카테고리, 사용 쿠폰, 구매 수단, 최근 본 상품/코너, 상기 변수들을 사용하는 사용자 시간 정보 일 수 있고, 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복합된 형태일 수도 있다. The user behavior refers to the type of virtual content used by the user, the visited website,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commodity, the purchased commodity, the category of the commodity or purchased commodity, the use coupon, the purchasing means, the recent commodity / User time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of them may be a combined form.

광고 아바타는 일양상에 따라 인공지능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여, 개인맞춤형 광고를 서비스 사용자에 제공하는 아바타일 수 있다.The advertisement avatar may be an avatar that provides a personalized advertisement to a service user ba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platform according to a work aspect.

아바타 제어모듈은 일양상에 따라 광고 아바타를 광고업체의 입력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 아바타 제어모듈은 다른 양상에 따라 광고 아바타를 광고업체의 요청에 따라 기 저장된 광고 모듈을 실행시킴으로써 제어할 수도 있다.The avatar control module can control an advertisement avatar according to an input of an advertisement company according to an aspect. The avatar control module may control the advertisement avata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by executing the pre-stored advertisement module at the request of the advertisement company.

한편,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100)은 하나의 양상에 따라 광고업체 리스트가 정의되어 있는 광고업체 DB를 포함할 수 있다. 광고 아바타 할당부(014)는 광고업체 DB에 정의된 광고업체에게 광고 아바타를 할당할 수 있다. AI 기반 광고 모듈은 일양상에 따라 AI 엔진 기반의 행태 정보 수집 및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행태 정보 수집 및 분석부는 소정의 AI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소모임에 속한 사용자별로 상품을 추천하는 광고 모듈을 생성할 수 있다. Meanwhile, the virtual content joint participation service system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n advertisement company DB in which an advertisement company list is defined according to one aspect. The advertisement avatar assignment unit 014 can assign an advertisement avatar to an advertisement company defined in the advertisement business DB. The AI-based advertisement module may further include an AI-based behavior information collection and analysis unit according to an aspect. The behavior information collection and analysis unit may generate an advertisement module that recommends a product for each user belonging to the small group using a predetermined AI algorithm.

행태 정보 수집 및 분석부는 일양상에 따라 온라인 상에서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100)을 이용하면서 찾아본 상품 또는 구매한 내역을 학습 데이터로 이용하여 사용자별 행태에 따라 선호하는 상품을 출력하도록 학습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behavior information collecting and analyzing unit uses a product or purchase history that the user searches online while using the virtual content cooperative participation service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learning data, It is possible to learn to output the goods.

행태 정보 수집 및 분석부는 다른 양상에 따라 사용자가 온라인상의 타 서비스를 이용 및 구매하면서 축적한 행태 기초적 개인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학습데이터로 이용할 수 있다. 행태 정보 수집 및 분석부는 학습데이터를 이용하여 소비자 행태를 입력으로 하고 행태 별로 소비자가 가장 선호하는 상품의 카테고리 내지 상품을 얻도록 소비자 행태별 소비자의 선호상품을 출력으로 함으로써 소비자에 맞춤형 상품을 제안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behavior information collection and analysis unit may collect basic personal information of behavior accumulated by the user while using and purchasing other services on the Internet and use the collected personal information as learning data. The behavior information collecting and analyzing unit uses the learning data to input the consumer behavior and outputs a preference item of the consumer according to the consumer behavior so as to obtain the category or commodity of the most preferred commodity for each behavior, .

이에 따라 아바타 제어모듈은 AI 기반 광고 모듈의 행태 정보 수집 및 분석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의 실행에 결과에 따라 아바타를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avatar control module can control the avatar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ecution of the program stored in the analysis and analysis module of the behavior information of the AI-based advertisement module.

일예로, AI 아바타 A는 행태 정보 수집 및 분석부의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에 따라 저녁 6시에서 8시 사이 컨텐츠 영상으로써 마작 게임 컨텐츠를 이용할 때마다 아바타 A가 초콜렛이나 커피를 자주 구매한다는 점을 이용하여 사용자 A가 해당 시간안에 마작 게임을 즐길 때 행태 정보 수집 및 분석부가 출력한 시점에 사용자 A의 아바타에 접근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콜릿, 커피 드실분”이라는 대화의 시도를 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AI avatar A uses the fact that the avatar A often purchases chocolate or coffee every time the user uses the mah-jong game content as a content image between 6 pm and 8 pm according to the execution result of the program of the behavior information collection and analysis section When the user A enjoys the mah-jong game within the time, the behavioral information collecting and analyzing unit accesses the avatar of the user A at the time of outputting and attempts to make a conversation of " .

이밖에도 AI 기반 광고 모듈은 상기 행태 정보 수집 및 분석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사용자 행태에 따라 사용자별 맞춤형 광고, 일예로 사용자가 선호하는 자동차, 요트, 의류세일 등에 대한 광고를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I-based advertisement module can use the behavior information collecting and analyzing unit to advertise customized advertisements for each user, for example, a car, a yacht, a clothes sale, and the like preferred by the user according to user behavior.

또한 사용자가 대화를 시도한 AI 기반 광고 또는 광고 아바타를 클릭하면 사용자가 광고 아바타가 추천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해당 판매 모듈 주소를 연동시켜 놓을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user clicks on the AI-based advertisement or the advertisement avatar that the user has tried to communicate, the user can link the sales module address so that the user can access the site where the advertisement avatar can purchase the recommended product.

한편, 광고 아바타는 일양상에 따라 소모임에 속한 사용자별 행태에 따라 사용자 선호 상품을 추천할 수도 있고, 다른 양상에 따라 소모임에 속한 사용자의 아바타의 행태에 따라 사용자 선호 상품을 추천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자의 경우, 행태 정보 수집 및 분석부는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100)을 이용시에 수집한 사용자의 구매 행태 데이터 또는 타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할 때 수집한 사용자의 구매 행태 데이터를 수집 및 이용하여 광고 아바타를 학습시킬 수 있다. 그리고 후자의 경우, 광고 아바타는 아바타 학습부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100)을 이용시에 수집한 아바타의 행태별 사용자 구매 행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광고 아바타를 학습시키도록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dvertisement avatar may recommend user preference products according to behaviors of users belonging to a small group according to one aspect or may recommend user preference products according to behaviors of avatars of users belonging to a small group according to another aspect. More specifically, in the former case, the behavior information collecting and analyzing unit acquires the purchase behavior data of the user collected when the user uses the virtual contents cooperative participation service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dvertisement avatar can be learned by collecting and using the purchase behavior data. In the latter case, the advertisement avatar can allow the avatar learning part to learn the advertisement avatar using the user purchase behavior data for each behavior of the avatar collected at the time of using the virtual content cooperative participation service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제안된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100)의 광고 아바타는 AI 기반 광고 모듈의 AI 기반 광고에 따라 표시상태 또는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AI 기반 광고 프로그램은 상기 서술하였듯이 소정의 AI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별 행태에 따라 선호하는 상품을 사용자에 광고하도록 해당 광고 내용을 광고 아바타의 동작 또는 표시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 해당 상품을 광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dvertisement avatar of the proposed virtual content joint participation service system 100 can be controlled in the display state or operation according to the AI-based advertisement of the AI-based advertisement module. As described above, the AI-based advertisement program can advertise the corresponding product to the user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r display state of the advertisement avatar so that the user can advertise the preferred product according to the behavior of each user by using a predetermined AI algorithm have.

제안된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100)은 또 다른 양상에 따라 추천 상품 결정부(0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천 상품 결정부(015)는 아바타 행태에 기초하여 아바타가 선호하는 상품을 결정하여 추천한다. The proposed virtual contents cooperative participation service system 100 may further include a recommendation product determination unit 015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recommended product determination unit (015) determines and recommends a product preferred by the avatar based on the avatar behavior.

사용자는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아바타 제어 모듈(005)을 통해 아바타를 지시입력을 통해 아바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천 상품 결정부(015) 또는 아바타 제어 모듈(005)은 아바타의 가상공간에서의 활동내역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추천 상품 결정부(015)는 아바타의 가상공간에서의 활동내역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아바타의 소비패턴의 행태를 분석함으로써 아바타가 선호하는 상품을 결정하고 추천할 수 있다. 아바타 행태는 사용자가 아바타를 통해 참여한 가상 콘텐츠의 종류, 찜한 상품의 가격등의 상세 정보, 구매한 상품의 상세 정보, 찜한 상품 이나 구매한 상품의 카테고리, 사용 쿠폰, 구매 수단, 최근 본 상품/코너, 상기 변수들을 사용한 사용자 시간 등이 될 수 있다.The user can control the avatar through the avatar control module 005 by using the virtual content co-participa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ccordingly, the recommendation product determination unit (015) or the avatar control module (005) can collect activity history data in the virtual space of the avatar. The recommended product determination unit (015) can determine and recommend a product preferred by the avatar by analyzing the behavior pattern of the avatar based on the activity history data in the virtual space of the avatar. The avatar behavior can b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such as a type of virtual content that the user participated through the avatar, detailed information of the price of the sought product, detailed information of the purchased product, a category of the sought product or purchased product, , User time using the above variables, and the like.

추천 상품 결정부(015)는 일양상에 따라 아바타의 소비패턴을 분석하는 도구로써 상기 수집한 아바타의 활동내역 데이터를 이용하여 추세를 분석하는 추세분석 툴이나 행태를 분석하는 인공지능 엔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추천 상품 결정부(015)는 다른 양상에 따라 아바타의 소비패턴을 분석하는 도구로써 상기 수집한 아바타의 활동내역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정의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 소정의 프로그램은 일 양상에 따라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프로그래밍 된 프로그램일 수 있다. 소정의 알고리즘은 인공 지능 알고리즘일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100)의 추천 상품 결정부(015)의 일 양상에 따른 블록도이다. The recommended product determination unit (015) is a tool for analyzing the consumption pattern of the avatar according to one aspect, and uses a trend analysis tool for analyzing the trend using the collected activity data of the avatar or an artificial intelligence engine for analyzing the behavior . The recommended product determination unit (015) is a tool for analyzing the consumption pattern of the avata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and can use a predetermined program using the collected activity history data of the avatar. The predetermined program may be a program programm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algorithm according to an aspect. The predetermined algorithm may be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FIG. 7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 aspect of a recommendation product determination unit 015 of the virtual content collaborative servic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100)의 추천 상품 결정부(015)는 아바타 행태 데이터 수집부(016) 및 맞춤형 상품 결정부(0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recommendation product determination unit 015 of the virtual content collaborative service system 100 may further include an avatar behavior data collection unit 016 and a customized product determination unit 017. [

아바타 행태 데이터 수집부(016)는 아바타 행태 변수에 대한 아바타 행태 데이터(data)를 수집 및 저장할 수 있다. 맞춤형 상품 결정부(017)는 아바타 행태 변수를 입력으로 하고, 아바타별 추천 상품을 출력으로 하는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포함하되, 아바타 행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아바타의 구매 확률이 높도록 학습시켜 아바타별 추천 상품을 결정할 수 있다. The avatar behavior data collection unit 016 may collect and store avatar behavior data (data) for the avatar behavior variable. The customized product determination unit (017) includes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for inputting an avatar behavior variable and outputting a product for each avatar as an output, and learns the avatar's purchase probability to be high using the avatar behavior data, Can be determined.

아바타 행태 변수는 사용자가 아바타를 통해 참여한 가상 콘텐츠의 종류, 찜한 상품의 가격등의 상세 정보, 구매한 상품의 상세 정보, 찜한 상품 이나 구매한 상품의 카테고리, 사용 쿠폰, 구매 수단, 최근 본 상품/코너, 상기 변수들을 사용한 사용자 시간 등이 될 수 있다. 카테고리는 일예로 식품, 의류, 뷰티 잡화, 유아용품, 생활용품/가구/건강, 전자제품, 스포츠 레져, 자동차, 도서/문구/취미, 티켓, 여행 등일 수 있다. 아바타 행태 데이터 수집부(016)는 이와 같은 아바타 행태 변수에 대한 아바타 행태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할 수 있다.The avatar behavioral variable includes details of the type of virtual content the user participated in through the avatar, the price of the sought product,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purchased product, the category of the sought product or the purchased product, the usage coupon, Corners, user time using the above variables, and the like. Categories can be, for example, food, clothing, beauty goods, infant supplies, household goods / furniture / health, electronics, sports leisure, automobiles, books / stationary / hobbies, tickets, The avatar behavior data collection unit 016 can collect and store the avatar behavior data for the avatar behavior variable.

맞춤형 상품 결정부(017)는 일양상에 따라 인공지능 알고리즘, 일예로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아바타별 추천 상품을 결정할 수 있다. 맞춤형 상품 결정부(017)에서 사용할 기계학습 알고리즘은, 맞춤형 상품 결정부(017)의 입력으로 선택한 아바타 행태 변수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서 적합한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선택할 수 있다. The customized merchandise determination unit 017 may determine an avatar's recommended merchandise by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for example,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according to an aspect.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to be used in the customized product determination unit 017 can select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suitable for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the avatar behavior variable selected as the input of the customized product determination unit 017. [

한편, 기계학습 알고리즘이란 기계학습을 적용하여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동작들의 모임을 말한다. 기계학습은 공지된 기술로써 데이터의 집합을 기계에 학습시킴에 따라, 얻은 규칙이나 패턴을 이용하여 추후 입력되는 데이터로부터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술이다. 기계학습은 크게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 자율방법(unsupervised learning), 강화학습 (reinforcement learning )으로 나뉘고, 기계학습 알고리즘은 신경망(neural network),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 의사 결정 트리(decision tree), 패턴 인식(pattern recognition)등이 있다. On the other hand, machine learning algorithm is a group of various actions for solving any problems by applying machine learning. Machine learning is a technique known in the art as learning a set of data on a machine and then extracting useful information from data that is input later using the obtained rules or patterns. Machine learning is divided into supervised learning, unsupervised learning and reinforcement learn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s are divided into neural network, data mining, decision tree, ), And pattern recognition.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100)은 상술한 기계학습 알고리즘 중에 정확도, 학습시간, 선형성, 매개 변수의 숫자에 따라 적당한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일예로 아바타가 찜한 상품 이나 구매한 상품의 카테고리, 사용 쿠폰, 구매 수단, 최근 본 상품, 최근 본 코너의 6개의 변수를 입력으로 하고 해당 아바타의 구매 확률이 높도록 학습시켜 아바타별 추천 상품 내지 카테고리를 출력으로 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매개변수는 6개 이고, 비교적 높은 정확도와 적은 학습시간을 요구하고 매개변수간 선형성은 높지 않으므로 의사 결정 트리, 지원 백터 컴퓨터, 고차원 신경망 등의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사용하는 아바타 행태 변수의 종류와 개수에 따라 적당한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아바타별 추천 상품 내지 카테고리를 결정할 수 있다. The virtual content collaborative servic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use an appropriate algorithm according to the accuracy, the learning time, the linearity, and the number of parameters in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described above. For example, six variables such as a product of an avatar, a category of a purchased product, a use coupon, a purchasing means, a recent product, and a recently viewed corner are inputted and learned such that the probability of purchasing the avatar is high, As an output. In this case, there are six parameters, which require relatively high accuracy and less learning time, and the linearity between parameters is not high, so that machine learning algorithms such as decision trees, support vector computers, and high-order neural networks can be us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 recommended product or category for each avatar using an appropriate machine learning algorithm according to the type and number of avatar behavior variables to be used.

맞춤형 상품 결정부(017)는 적당한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아바타 행태 변수를 입력으로 하고 아바타 행태 데이터 수집부(016)에서 수집한 아바타 행태 데이터를 학습 데이터로 하여 아바타의 구매 확률이 높도록 학습시켜 아바타별로 추천할 상품을 결정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100)의 컨텐츠 영상 저장부(018)의 일 양상에 따른 블록도이다. The customized product determination unit 017 inputs the avatar behavior variable using an appropriate machine learning algorithm and learns that the avatar purchase probability is high using the avatar behavior data collected by the avatar behavior data collection unit 016 as learning data You can decide which products to recommend for each avatar. FIG. 8 is a block diagram of an aspect of a content image storage unit 018 of a virtual content collaborative servic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제안된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100)은 일양상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영상 저장부(0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영상 저장부(018)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The proposed virtual content collaborative service system 100 may further include a content image storage unit 018 as shown in FIG. 8 according to an aspect. The content image storage unit 018 may store at least one content image.

컨텐츠 영상 저장부(018)는 일양상에 따라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100)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서버에 올린 컨텐츠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컨텐츠 영상 저장부(018)는 다른 양상에 따라 다른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업체 또는 개인들이 서버에 올린 컨텐츠 영상을 저장할 수도 있다. The content image storage unit 018 may store content images uploaded to the server by an administrator managing the virtual content collaborative servic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ent image storage unit 018 may store a content image uploaded to a server by a company or individuals providing other content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컨텐츠 영상 저장부(018)는 저장된 컨텐츠 영상을 컨텐츠 영상 재생부(002)로 전송하면 컨텐츠 영상 재생부(002)가 해당 컨텐츠 영상을 재생하고 영상합성 모듈(006)이 컨텐츠 영상과 아바타 그래픽 생성부(004)에서 생성한 아바타 그래픽 정보를 합성하여 놀이 공간 영상을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100)의 컨텐츠 영상 입력부(019)의 일예이다. When the content image storage unit 018 transmits the stored content image to the content image reproduction unit 002, the content image reproduction unit 002 reproduces the content image, and the image synthesis module 006 generates the content image and the avatar graphic image, And the avatar graphic information generated in step (004) may be synthesized to generate a play space image. FIG. 9 is an example of a content image input unit 019 of the virtual content collaborative servic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제안된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100)은 또 다른 양상에 따라 컨텐츠 영상 입력부(0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영상 입력부(019)는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컨텐츠 영상을 입력 받아 컨텐츠 영상 저장부(018)로 전송할 수 있다. The proposed virtual content collaborative service system 100 may further include a content image input unit 019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content video input unit 019 may receive the content video from the content provider and transmit the content video to the content video storage unit 018.

컨텐츠 영상 입력부(019)는 컨텐츠 제공자가 제작 또는 입수한 컨텐츠 영상을 소정의 통신기능을 갖는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받고 입력받은 컨텐츠 영상을 컨텐츠 영상 저장부(018)에 전송하여 컨텐츠 영상 저장부(018)가 해당 영상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content video input unit 019 receives a content video produced or obtained by a content provider through a user interface of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function and transmits the received content video to a content video storage unit 018, It is possible for the unit 018 to store the image content.

컨텐츠 영상 입력부(019)는 일양상에 따라 컨텐츠 제작자 계정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제작자 계정을 통해 컨텐츠 제작자별 제공하는 컨텐츠 영상 정보, 해당 컨텐츠 영상이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100)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소비된 횟수 및 그에 따른 매출 정보 등의 컨텐츠 제작자별 관리 정보를 컨텐츠 제작자별로 관리할 수 있다. The content video input unit 019 may include a content creator account according to an aspect. Management information for each content creator such as the content imag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ontent creator through the content creator account, the number of times the corresponding content image is consumed by the users using the virtual content co-participative service system 100, You can manage it separately.

컨텐츠 영상 입력부(019)는 다른 양상에 따라 컨텐츠 제작자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제작자 관리부는 컨텐츠 제작자 계정의 컨텐츠 제작자별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제작자별 또는 컨텐츠 제작자가 제공한 컨텐츠 영상과 관련된 분야의 광고업체들에게 적합한 맞춤형 광고 아바타를 제작 또는 기존의 광고 아바타 또는 광고 모듈을 추천하여 제 2의 수익을 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The content video input unit 019 may further include a content creator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content creator management unit may use the content creator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content creator account to create a customized advertisement avatar suitable for the content creator or the advertisement companies in the field related to the content video provided by the content creator,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make a second profit by recommendation.

제안된 발명은 컨텐츠 영상 입력부(019)의 구성을 통해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컨텐츠 제공자로써의 기회를 제공하고 컨텐츠 제작자 관리부를 통해 컨텐츠 제작자 또는 광고를 필요로 하는 업체들에 이익 창출의 기회를 다양한 양상으로 제공하므로 문화 컨텐츠 개발을 촉진하고 경제를 육성하는 효과를 갖는다. The proposed invention provides an opportunity for a larger number of people as a content provider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ent video input unit (019), and provides the opportunity for profit creation opportunities to the content creator or the companies requiring advertisement through the content creator management unit in various aspects It has the effect of promoting cultural contents development and fostering economy.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100)은 다른 양상에 따라 판매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판매 모듈은 일양상에 따라 광고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The virtual content collaborative servic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ales modu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sales module may include an advertising program module according to an aspect.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100)은 광고 프로그램 모듈을 실행함으로써 영상합성 모듈(006)을 통해 컨텐츠 영상 및 아바타 그래픽 영상과 함께 광고 영상을 합성하여 컨텐츠 전송부(007)를 통해 이를 사용자가 이용하는 전자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출력화면에 표시되도록 전송할 수 있다. The virtual content collaborative servic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ecutes an advertisement program module to synthesize an advertisement image together with a content image and an avatar graphic image through a video composition module 006, And transmit it to be displayed on the output screen of the user inte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used by the user.

보다 구체적으로, 광고 프로그램 모듈 실행 결과 생성된 그래픽 레이어(Layer)는 일양상에 따라 영상합성 모듈(006)의 입력으로 들어가고 타 영상들과 합성됨으로써 최종적으로 놀이 공간 영상으로 생성되어 사용자에 또는 방송상에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는 놀이 공간 영상에서 광고하는 상품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구매 요청, 일예로 해당 광고를 선택 또는 검색하여 선택을 하면 광고 프로그램 모듈은 사용자에 결재 요청 창을 띄워 결재 요청을 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graphic layer generated as a result of the execution of the advertisement program module enters the input of the image synthesis module 006 according to an aspect and is synthesized with other images to finally generate a play space image, Lt; / RTI > When the user selects a desired advertisement through the user interface, for example, by selecting or searching for the advertisement through the user interface, the advertisement program module can display a payment request window to the user and make a payment request.

또한 판매 모듈은 또한 온라인으로 결재가 가능한 결재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판매 모듈은 다른 양상에 따라 종래 온라인 결재 시스템, 일예로 삼성페이, 카카오페이 등과 연동되어 사용자가 결재를 진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판매 모듈은 결재 모듈 또는 종래 온라인 결재를 통해 사용자 결재 여부를 확인하여 결재를 승인할 수 있다. 나아가, 판매 모듈은 해당 상품에 대한 판매 내역 정보를 판매 내역 DB에 저장할 수 있다. The sales module may also include a payment module that can be paid online. Alternatively, the sales module may be linked to a conventional online settlement system, for example, Samsung Pay, Cacao Pay, etc., according to another aspect, so that the user can proceed with the settlement. The sales module can approve the approval by confirming whether the user is approved through the approval module or the conventional online approval. Furthermore, the sales module can store the sales history information for the product in the sales history DB.

광고 프로그램 모듈은 일양상에 따라 아바타를 장식하는 장식 아이템 또는 동작 아이템을 포함하는 가상 상품을 소모임 회원들을 대상으로 판매하는 가상 상품 판매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식 아이템은, 위인, 연예인, 내지 만화 캐릭터등의 아바타 캐릭터일 수도 있고, 아바타가 사용할 수 있는 의복, 장신구, 헤어스타일 등이 다양한 양상으로 구현 가능하다. 또한 동작 아이템은 환호성, 아이돌 댄스, 악수 등 다양한 동작일 수 있다.The advertisement program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virtual merchandising module for selling the virtual merchandise including the decorative item or the operation item for decorating the avatar according to an aspect to the small-sized members. The decorative item may be an avatar character such as a great person, an entertainer, a cartoon character, or the like, or various forms of clothes, accessories, hairstyle, etc. that an avatar can use. Also, the action items may be various actions such as cheering, idol dancing, and handshake.

광고 프로그램 모듈은 다른 양상에 따라 소모임 이용권 판매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소모임 이용권 판매모듈은 소모임 참여 시 소모임 회원들을 대상으로 해당 소모임에 참여하는 소모임 참여권을 판매할 수 있다. The advertisement program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small ticket sales modu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Small-Sized Ticket Sales Module can sell small-club participation tickets to small-sized members participating in the small-sized group when participating in small groups.

광고 프로그램 모듈은 또 다른 양상에 따라 실물 상품 판매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물 상품 판매 모듈은 소모임 회원들을 대상으로 실물 상품을 판매하고 배송 처리할 수 있다. The advertisement program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physical commodity sales modu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physical commodity sales module can sell and process the physical commodities to the small committee members.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similarities.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it is intende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ncompasses not only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equivalents thereto.

본 발명은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기술 분야, 보다 구체적으로 가상 컨텐츠를 함께 즐기는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제공 분야에서 산업상으로 이용 가능하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is industrially applicable in the field of virtual content co-participation service technology, more specifically, in the field of providing virtual content co-participation service for enjoying virtual content together.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 100
의사소통 모듈: 001
컨텐츠 영상 재생부: 002
아바타 할당부: 003
아바타 그래픽 생성부: 004
아바타 제어 모듈: 005
영상합성 모듈: 006
컨텐츠 전송부: 007
아바타 배치 결정부: 009
표준크기 아바타 생성부: 010
아바타 그래픽 조정부: 011
영상합성부: 012
광고 아바타 할당부: 014
추천 상품 결정부: 015
아바타 행태 데이터 수집부: 016
맞춤형 상품 결정부: 017
컨텐츠 영상 저장부: 018
컨텐츠 영상 입력부: 019
Virtual content joint participation service system: 100
Communication module: 001
Content video playback unit: 002
Avatar Assignment: 003
Avatar graphic creation part: 004
Avatar control module: 005
Image synthesis module: 006
Content transmission unit: 007
Avatar placement decision part: 009
Standard size avatar generation part: 010
Avatar graphic control unit: 011
Image synthesis section: 012
Ad avatar assignment part: 014
Recommended product decision part: 015
Avatar behavior data collection part: 016
Customized product decision part: 017
Contents image storage section: 018
Contents video input section: 019

Claims (12)

서버(server)와 그 서버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들로 구현되며, 다수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가상 공간에서의 소모임을 지원하는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소모임을 데이터베이스에 정의하고, 그 소모임에 속한 사용자들에게 네트워크 상에서의 의사소통(communication) 도구를 제공하는 의사소통 모듈;
컨텐츠 영상을 재생하는 컨텐츠 영상 재생부;
아바타(avatar)를 소모임에 속한 사용자 중 적어도 일부에 할당하는 아바타 할당부;
아바타 할당부에서 할당한 아바타 그래픽 정보를 생성하는 아바타 그래픽 생성부;
아바타 그래픽 생성부의 아바타의 동작과 표시상태를 해당 사용자 또는 서버의 지시 입력에 따라 제어하는 아바타 제어 모듈;
상기 컨텐츠 영상 재생부에서 재생되는 영상과, 아바타 그래픽 생성부에서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바타에 대응되는 아바타 그래픽 정보를 합성하여 놀이 공간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합성 모듈;
생성된 놀이 공간 영상을 상기 소모임에 속한 사용자들 중 적어도 일부에게 전송하는 컨텐츠 전송부;를 포함하는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
1. A virtual content collaborative service system implemented as a server and program modules running on the server, the virtual content collaborative service system supporting a plurality of users in a virtual space,
A communication module that defines a small group in a database and provides communication tools on the network to users belonging to the group;
A content image reproducing unit for reproducing the content image;
An avatar assigning unit for assigning an avatar to at least a part of users belonging to a small group;
An avatar graphic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vatar graphic information allocated by the avatar assigning unit;
An avatar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and the display state of the avatar of the avatar graphic generation unit according to an instruction input of the user or the server;
An image synthesis module for synthesizing an image reproduced by the content image reproducer and avatar graph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r more avatars generated by the avatar graphic generator to generate a play space image;
And a content transmitt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play space image to at least a part of users belonging to the small group
Virtual content joint participation service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아바타 제어 모듈은:
사용자 지시에 따라 아바타의 화면상 위치 및 크기를 조작하는 아바타 위치 조작부;를 포함하는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vatar control module comprises:
And an avatar position manipulation unit for manipulating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avatar on the screen in accordance with a user instruction
Virtual content joint participation service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영상합성 모듈은:
컨텐츠 영상 재생부에서 재생되는 영상에서 소정의 객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객체의 크기 및 화면상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아바타 배치 구역을 결정하고 개별 아바타의 크기 및 화면상 배치 위치를 결정하는 아바타 배치 결정부;를 포함하는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image synthesis module comprises:
Determining an avatar placement area based on the recognized object size and on-screen location information, determining an avatar size and an on-screen placement position, recognizing a predetermined object in an image reproduced by the content image playback unit, Containing
Virtual content joint participation service system.
제 3항에 있어서,
아바타 그래픽 생성부는:
아바타 제어 모듈에 따라 결정된 아바타 특성의 아바타를 표준 크기로 생성하는 표준크기 아바타 생성부; 를 더 포함하고,
영상합성 모듈은:
표준크기 아바타 생성부에서 생성한 표준크기의 아바타에 대하여 아바타 배치 결정부에서 결정된 개별 아바타의 크기 및 화면상 배치 위치에 따라 그래픽 정보를 생성하는 아바타 그래픽 조정부;및
아바타 그래픽 조정부에서 생성한 아바타 그래픽 정보와 컨텐츠 영상 재생부에서 재생하는 영상을 합성하여 놀이 공간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합성부;를 포함하는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avatar graphic creation section includes:
A standard size avatar generation unit for generating an avatar of the avatar characteristic determined according to the avatar control module in a standard size; Further comprising:
The image synthesis module is:
An avatar graphic adjustment unit for generating graphic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individual avatar determined by the avatar placement determination unit and the position on the screen determined for the avatar of the standard size generated by the standard size avatar generation unit;
And an image synthesizing unit for synthesizing the avatar graphic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avatar graphic adjusting unit and the image reproduced by the content image reproducing unit to generate a play space image
Virtual content joint participation service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영상 재생부가 재생하는 컨텐츠 영상은 게임 프로그램인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content video reproduced by the content video reproducer is a game program.
제 1항에 있어서,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은:
소모임 회원들을 대상으로 아바타를 장식하는 장식 아이템 또는 동작 아이템을 포함하는 가상 상품이나 실물 상품을 소모임 회원들을 대상으로 AI(Artificial Intelligence)기반의 광고를 하는 AI 기반 광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
2. The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virtual content collaboration service system comprises:
An AI-based advertisement module for AI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advertisements targeting small-sized members of virtual goods or real goods including decorative items or action items for decorating avatars to small group members;
And further comprising a virtual content collaborative service system.
제 6항에 있어서, 아바타 할당부는:
소모임에 속한 사용자별 행태에 따라 선호하는 상품을 추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 아바타를 광고업체에 할당하는 광고 아바타 할당부;를 더 포함하는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
7. The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the avatar assigning unit comprises:
And an advertisement avatar allocator for allocating at least one or more advertisement avatars to the advertisement company for recommending a preferred product according to a behavior of each user belonging to the small group
Virtual content joint participation service system.
제 7항에 있어서, 광고 아바타는 상기 AI 기반 광고 모듈의 AI 기반 광고에 따라 표시상태 또는동작이 제어되는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
The system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advertisement avatar is controlled in display state or operation according to the AI-based advertisement of the AI-based advertisement module.
제 7항에 있어서,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은:
아바타 행태에 기초하여 아바타가 선호하는 상품을 결정하여 추천하는 추천 상품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
8. The system of claim 7, wherein the virtual content collaboration service system comprises:
And a recommended product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and recommending a product preferred by the avatar based on the avatar behavior.
제 9항에 있어서, 추천 상품 결정부는:
아바타 행태 변수에 대한 아바타 행태 데이터(data)를 수집 및 저장하는 아바타 행태 데이터 수집부;및
아바타 행태 변수를 입력으로 하고, 아바타별 추천 상품을 출력으로 하는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포함하되, 아바타 행태 데이터를 이용하여 아바타의 구매 확률이 높도록 학습시켜 아바타별 추천 상품을 결정하는 맞춤형 상품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
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An avatar behavior data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and storing avatar behavior data for avatar behavior variables;
A customized product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recommended product for each of the avatars by learning the avatar's behavior probability by using the avatar behavior data including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for inputting the avatar behavior variable and outputting the recommended product for each avatar as an output. Further comprising
Virtual content joint participation service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영상을 저장하는 컨텐츠 영상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
2. The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virtual content collaboration service system comprises:
And a content image storage unit for storing at least one content image
Virtual content joint participation service system.
제 11항에 있어서,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은: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컨텐츠 영상을 입력 받아 컨텐츠 영상 저장부로 전송하는 컨텐츠 영상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가상 컨텐츠 공동 참여 서비스 시스템.

12. The system of claim 11, wherein the virtual content collaboration service system comprises:
And a content image input unit for receiving the content image from the content provider and transmitting the content image to the content image storage unit
Virtual content joint participation service system.

KR1020170036211A 2017-03-22 2017-03-22 Virtual Contents Joint Participation Service System KR2018010762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211A KR20180107625A (en) 2017-03-22 2017-03-22 Virtual Contents Joint Participation Servic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211A KR20180107625A (en) 2017-03-22 2017-03-22 Virtual Contents Joint Participation Servic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625A true KR20180107625A (en) 2018-10-02

Family

ID=63863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211A KR20180107625A (en) 2017-03-22 2017-03-22 Virtual Contents Joint Participation Servic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7625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878B1 (en) * 2019-02-07 2020-02-24 류경희 Character creation and learning system for service provision in virtual reality spa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878B1 (en) * 2019-02-07 2020-02-24 류경희 Character creation and learning system for service provision in virtual reality spa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oo et al. The merchants of meta: A research agenda to understand the future of retailing in the metaverse
Cowan et al. A dual model of product involvement for effective virtual reality: The roles of imagination, co-creation, telepresence, and interactivity
US20220266132A1 (en) Virtual environment for computer game
US8963926B2 (en) User customized animated video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Colombi et al. Fashion retailing “tech-gagement”: engagement fueled by new technology
US20130325647A1 (en) Virtual marketplace accessible to widgetized avatars
US20100066746A1 (en) Widgetized avatar and a method and system of creating and using same
US20220245716A1 (en)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virtual store management program and virtual store management system
CN113613742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mputer-generated environment
KR101856940B1 (en)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and Social Network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Park et al. Catch me if you can: effects of AR-enhanced presence on the mobile game experience
JP738866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KR100993801B1 (en) Avatar presen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processing the method
KR100957858B1 (en) Avatar present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processing the method
Iannilli et al. Exploring disrupting scenarios in the fashion retail and communication paradigms
Hashem et al. Employing metaverse marketing through gaming and its impact on customer experience: evidence from multiple online gaming platforms
KR20180107625A (en) Virtual Contents Joint Participation Service System
US20240004456A1 (en) Automated configuration of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avatars for user specific behaviors
KR20210020197A (en) Virtual Content Joint Participation Service System for Users
Ricci Immersive media and branding: how being a brand will change and expand in the age of true immersion
Wanick et al. Digital interactions and brand experience design: A future perspective
KR20070109524A (en) Internet community portal site
CN117611299B (en) Customization method and system for personalized school uniform,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7389513B1 (en) Advertising system, advertising method, advertising program
Cleland Face to Face: Avatars and mobile ident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