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6802A - 효율적인 메모리 사용을 위한 메모리 할당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효율적인 메모리 사용을 위한 메모리 할당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6802A
KR20180106802A KR1020170097123A KR20170097123A KR20180106802A KR 20180106802 A KR20180106802 A KR 20180106802A KR 1020170097123 A KR1020170097123 A KR 1020170097123A KR 20170097123 A KR20170097123 A KR 20170097123A KR 20180106802 A KR20180106802 A KR 20180106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memory
priority
demodulation
carri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7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1770B1 (ko
Inventor
정영석
김민구
김인형
김준성
임세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869,533 priority Critical patent/US10524264B2/en
Priority to CN201810230194.2A priority patent/CN108632012B/zh
Publication of KR20180106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802A/ko
Priority to US16/678,338 priority patent/US1096620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993Noise white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4Rate requirement of the data, e.g. scalable bandwidth, data prior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반송파 묶음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서 따른 반송파 묶음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component carriers)에 대한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상기 요소 반송파들 각각에 메모리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요소 반송파들 각각에 할당된 메모리의 크기 및 상기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 중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요소 반송파들에 대한 복조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조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상기 요소 반송파들을 통해 수신된 수신 신호들을 복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효율적인 메모리 사용을 위한 메모리 할당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A WIRELLESS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 MEMORY DE-ALLOCATOR FOR EFFICENT MEMORY USAG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송파 묶음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처리율(Transmission Throughput) 증대를 위한 반송파 묶음(Carrier Aggregation) 기술이 적용된다. 반송파 묶음에 이용되는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의 수가 증대함에 따라 요소 반송파들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신호(또는 수신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증가가 필수적이다. 특히, LTE(Long Term Evolution)에서는 물리 계층(Physical Layer)에서 자동 반복 요구(ARQ)를 지원하기 위해 특정 시점 이내에 수신 신호(또는 수신 데이터)를 복호해야 하기 때문에 데이터 처리 블록들의 고속화와 함께 수신 데이터 저장 메모리 증가가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메모리의 증가 정도를 줄이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반송파 묶음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효율적인 메모리 사용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 각각을 메모리들에 할당하고 할당된 메모리들을 이용하여 수신 신호들을 처리할 수 있도록 동작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서 따른 반송파 묶음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component carriers)에 대한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상기 요소 반송파들 각각에 메모리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요소 반송파들 각각에 할당된 메모리의 크기 및 상기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 중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요소 반송파들에 대한 복조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조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상기 요소 반송파들을 통해 수신된 수신 신호들을 복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반송파 묶음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에서, 무선 통신 장치는 1 요소 반송파와 동기가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 반송파 및 상기 제1 요소 반송파를 포함하는 제1 반송파 그룹 및 상기 제1 요소 반송파와 동기가 불일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 반송파를 포함하는 제2 반송파 그룹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고, 반송파 그룹간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 및 반송파 그룹 내의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반송파 그룹에 포함된 요소 반송파들 및 상기 제2 반송파 그룹에 포함된 요소 반송파들 각각에 메모리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요소 반송파들 각각에 대한 메모리 할당 결과에 따라 결정된 복조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반송파 그룹에 포함된 요소 반송파들 및 상기 제2 반송파 그룹에 포함된 요소 반송파들을 통해 수신된 신호들을 복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측면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로부터 수신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다수의 수신 안테나들, 상기 요소 반송파들 각각에 할당되며, 적어도 두가지 종류의 크기를 갖는 메모리들 및 상기 요소 반송파들에 각각 할당된 상기 메모리들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 신호들을 처리하는 데이터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프로세서는, 상기 요소 반송파들 각각에 대한 반송파 수신을 위하여 이용되는 수신 안테나의 개수를 이용하여 결정된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상기 요소 반송파들 각각에 상기 메모리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은, 요소 반송파들에 대한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 및 복조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신호 처리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신호 처리를 위해 필요한 메모리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필요로하는 메모리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 및 기지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a는 도 1a의 무선 통신 시스템이 지원하는 반송파 묶음의 예시를 도시하고, 도 2b는 도 1a의 무선 통신 장치와 기지국이 송수신하는 신호의 무선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며, 도 2c는 도 1a의 하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를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하향링크의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메모리 할당기에 포함된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 결정부의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메모리 할당기에 포함된 복조 우선 순위 결정부의 복조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로서 요소 반송파들에 대한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 및 복조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a의 무선 통신 장치의 복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그램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반송파 묶음에서 동기가 불일치하는 요소 반송파들이 존재하는 때에, 도 1a의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도 1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동기가 불일치하는 요소 반송파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환경에서 도 1a의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c는 동기가 서로 다른 제1 및 제2 반송파 그룹에 대한 복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동기가 서로 다르고 TTI가 서로 다른 제1 및 제2 반송파 그룹에 대한 복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사물 인터넷에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 및 기지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a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1a)은 무선 통신 장치(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10a) 및 기지국(Base Station, 20a)을 포함할 수 있고, 무선 통신 장치(10a) 및 기지국(20a)은 하향 링크(Downlink) 채널(2a) 및 상향 링크(Uplink) 채널(4a)을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a)는 복수의 안테나들(200a_1~200a_t), RF 회로(210a), 메모리부(220a) 및 프로세서(110a)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a)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각각은, 아날로그 회로 및/또는 디지털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블록일 수 있고, 프로세서(100a) 등에 의해 실행되는 복수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블록일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a)는 기지국(20a)과 통신하여 데이터 신호 및/또는 제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을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10a)는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 Station), 휴대 장치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기지국(20a)은 무선 통신 장치(10a) 및/또는 다른 기지국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지칭할 수 있고, 무선 통신 장치(10a) 및/또는 다른 기지국과 통신하여 데이터 신호 및/또는 제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20)은 Node B, eNB(evolved-Node B), BTS(Base Transceiver System) 및 AP(Access Point)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a) 및 기지국(20a) 사이의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가용 네트워크 자원들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이 통신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정보가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장치(10a) 및 기지국(20a)은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을 통해 데이터 신호 및/또는 제어 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반송파 묶음(Carrier Aggregation)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RF 회로(210a)는 다수의 안테나들(200a_1~200a_t)을 통해 기지국(20a)으로부터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에 포함된 제어 정보 및/또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각각의 요소 반송파를 수신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수신 안테나의 개수는 상이할 수 있다. RF 회로(210a)는 수신 신호에 대하여 시간-주파수 변환을 하거나 송신 신호에 대하여 주파수-시간 변환을 할 수 있는 FFT/IFFT 블록들(210a_1~210a_t)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RF 회로(210a)는 아날로그 다운 컨버전 믹서(analog down-conversion mixer)를 포함할 수 있고, 수신 신호(또는 데이터 신호)의 주파수를 하향 변환하여 베이스 밴드 신호(baseband signal)를 생성할 수 있다.
메모리부(220a)는 다양한 크기를 갖는 다수의 메모리들(220a_1~220a_n)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메모리부(220a)에 포함된 다수의 메모리들(200a_1~220a_n)은 각각 물리적으로 각각 서로 다른 메모리들일 수 있으며, 하나의 메모리의 영역이 논리적으로 분할되어 서로 다른 크기의 영역을 갖는 메모리들일 수 있다. 다수의 메모리들(220a_1~220a_n)은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즉, 메모리부(220a)는 프로세서(100a)는 수신 신호를 원활하게 처리하기 위한 버퍼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메모리부(220a)의 구성은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한 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메모리부(220a)는 적어도 두개의 동일한 크기를 갖는 메모리들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a)는 메모리 할당기(MEMORY DE-ALLOCATOR, 110a) 및 복조기(120a)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a)는 기지국(20a)으로부터 수신한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메모리부(220a)에 저장된 수신 신호들을 처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 할당기(110a)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에 대한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요소 반송파들 각각에 메모리들(200a_1~200a_n)을 할당할 수 있다. 즉, 각각에 메모리들(200a_1~200a_n)은 메모리 할당기(110a)로부터 할당된 각각의 요소 반송파들을 통해 수신한 신호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 할당기(110a)는 제1 크기(size_1)를 갖는 제1 메모리(220a_1)에 제1 요소 반송파를 할당할 수 있으며, 제1 메모리(220a_1)는 제1 요소 반송파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메모리 할당기(110a)는 우선 순위 결정부(115a)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순위 결정부(115a)는 먼저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으며, 후술될 복조 우선 순위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우선 순위 결정부(115a)는 요소 반송파들 각각에 대한 반송파 수신을 위하여 이용되는 수신 안테나의 개수를 기반으로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요소 반송파 및 제2 요소 반송파를 통해 무선 통신 장치(10a)가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는 때에, 우선 순위 결정부(115a)는 제1 요소 반송파를 수신하기 위해 이용되는 수신 안테나 개수와 제2 요소 반송파를 수신하기 위해 이용되는 수신 안테나의 개수를 비교하여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한 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우선 순위 결정부(115a)는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를 각각의 요소 반송파들로부터 수신한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정보는 기지국(20a)의 하향링크 스케줄링 결과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우선 순위 결정부(115a)는 하향링크 스케줄링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메모리 할당기(110a)는 메모리부(220a)의 다수의 메모리들(220a_1~220a_n)을 크기가 작은 순서대로 나열하여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에 따른 순서대로 요소 반송파들에 할당할 수 있다. 즉, 메모리 할당기(110a)는 가장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가 높은 요소 반송파에 가장 작은 메모리를 할당할 수 있다. 다만, 메모리 할당기(110a)는 요소 반송파들에 메모리들(220a_1~220a_n)을 할당하는 동작을 중심으로 서술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요소 반송파들에 할당된 메모리들(220a_1~220a_n)에 대한 할당 해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 할당기(110a)는 효율적인 메모리 사용을 위하여 실시간으로 메모리 할당 및 해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복조기(120a)는 메모리 할당기(110a)에 의하여 요소 반송파들 각각에 할당되고, 수신 신호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들(220a_1~220a_n)을 이용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복조기(120a)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에 대한 복조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메모리부(220a)에 저장된 수신 신호들을 복조할 수 있다. 우선 순위 결정부(115a)는 요소 반송파들 각각에 할당된 메모리의 크기 및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 중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선 순위 결정부(115a)는 메모리 할당기(110a)에 의해 각각의 요소 반송파들에 실제로 할당된 메모리의 크기를 기반으로 복조 우선 순위를 결정하거나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복조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우선 순위 결정부(115a)는 실제 할당된 메모리의 크기가 작은 요소 반송파일수록 복조 우선 순위를 높게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일부 또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이 동일한 크기의 메모리에 할당되어, 할당된 메모리 크기를 기준으로 복조 우선 순위를 결정하기 곤란할 때에는,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또는, 각각의 요소 반송파들을 수신하기 위해 이용되는 수신 안테나 개수)를 기반으로 복조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우선 순위 결정부(115a)는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가 높은 요소 반송파일수록 복조 우선 순위를 높게 결정할 수 있다. 복조기(120a)는 위와 같은 방식으로 결정된 복조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메모리부(220a)에 저장된 수신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00a)는 반송파 수신을 이용되는 수신 안테나 개수가 많은 요소 반송파에 우선적으로 작은 크기의 메모리를 할당하고, 이렇게 작은 크기의 메모리가 할당된 요소 반송파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우선적으로 복조함으로써 메모리부(220a)에 대한 메모리 사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복조기(120a)는 복조 우선 순위가 동일한 요소 반송파들의 수신 신호들에 대해서는 선입 선처리(First In First Out, FIFO) 방식으로 복조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a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프로세서(100a)는 복조된 수신 신호를 복호(decode)하는 기능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a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을 하나의 프로세서(100a)가 처리하는 무선 통신 장치(10a)의 구성의 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1b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을 다수의 프로세서들(100b_1~100b_2)이 처리하는 무선 통신 장치(10b)의 구성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10b)는 다수의 수신 안테나들(200b_1~200b_t), RF 회로(210b), 다수의 메모리부들(220b_1, 220b_2,...) 및 다수의 프로세서들(100b_1, 100b_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100b_1, 100b_2,...)은 각각 연결된 메모리부들(220b_1, 220b_2,...)을 이용하여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을 통해 수신된 신호의 프로세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다수의 프로세서들(100b_1, 100b_2,...)은 각각 무선 통신 장치(10b)가 수신하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 중 일부의 요소 반송파들을 통해 수신된 신호들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로세서(100b_1)는 제1 내지 제n 요소 반송파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을 처리할 수 있고, 제2 프로세서(100b_2)는 제n+1 내지 제m 요소 반송파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을 처리할 수 있다. 각각의 프로세서들(100b_1, 100b_2)은 도 1a에서 서술된 프로세서(100a)와 같이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 및 복조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한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a는 도 1a의 무선 통신 시스템이 지원하는 반송파 묶음의 예시를 도시하고, 도 2b는 도 1a의 무선 통신 장치와 기지국이 송수신하는 신호의 무선 프레임 구조를 도시하며, 도 2c는 도 1a의 하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를 도시한다.
도 1a 및 도 1b의 무선 통신 시스템(1a, 1b)은 반송파 묶음을 지원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각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는 각각 A MHz의 대역폭(bandwidth)을 갖고, 5개의 연속되는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또는 그 이상의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가 집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1a, 1b)은 5A MHz의 최대 대역폭 또는 그 이상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1a, 1b)은 도 2a에 도시된 것과 달리 비연속되는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들에 대한 반송파 묶음을 지원할 수 있다.
도 2b는 도 1a 및 도 1b에서 무선 통신 장치(10a, 10b)와 기지국(20a, 20b) 사이의 송수신 신호에 대한 무선 프레임(Frame)의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2b를 참조하면, 무선 프레임(Frame)은 10개의 서브 프레임(Sub-frame)들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 프레임(Sub-frame)은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2개의 슬롯(slot)을 포함한다. 하나의 서브 프레임(Sub-frame)을 전송하기 위한 시간은 TTI(Tramsmission Time Interval)로 정의된다. TTI는 데이터 신호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단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무선 프레임(Frame)의 길이는 10ms이고, 하나의 서브 프레임(Sub-frame)의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 일 수 있다. 하나의 슬롯(Slot)은 시간 영역에서 다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을 포함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다수의 부반송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c는 하향링크 슬롯에 대한 자원 그리드(resource grid)를 도시한다. 도 2c를 참조하면, 햐항링크 슬롯(Downlink Slot)은 시간 영역에서 다수의 OFDM 심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하향링크 슬롯(Downlink Slot)이 7개의 OFDM 심벌들을 포함하고, 하나의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가 주파수 영역에서 12개의 부반송파들(Sub-Carrier)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자원 그리드의 각 요소는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 RE)로 지칭된다. 하나의 자원 블록(RB)은 다수의 자원 요소(RE)들(일 예로, 12x7 자원 요소)을 포함할 수 있다. 하향링크 슬롯(Downlink Slot) 내에 포함되는 자원 블록(RB)들의 개수(NRB)는 하향링크 전송 대역폭에 의존한다.
도 3a 및 도 3b는 하향링크의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a를 참조하면, 서브 프레임(Sub-frame) 내의 첫 번째 슬롯(1st Slot)의 앞 부분에 위치되는 최대 3개의 OFDM 심벌들은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제어 채널로 할당되는 제어 영역(Control Region)에 대응한다. 나머지 OFDM 심벌들은 하향링크 공유 채널(Ph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로 할당되는 데이터 영역(Data Region)에 대응한다. 하향링크 제어 채널들의 예들은 물리 제어 포맷 지시자 채널(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CFICH), 물리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지시자 채널(Physical HARQ Indicator Channel, PHICH),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 향상된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PDCCH)등을 포함한다. 도 3a에 도시된 서브 프레임(Sub-frame)에는 EPDCCH가 데이터 영역(Data Region) 중 햐항링크 시스템의 대역폭(Downlink system bandwidth) 일부에 위치한 것을 나타낸다. 도 3b에 도시된 서브 프레임(Sub-frame)에는 EPDCCH 대신에 PDCCH가 제어 영역(Control Region)의 하향링크 시스템의 대역폭(Downlink system bandwidth) 전체에 걸쳐 위치한 것을 나타낸다.
PCFICH는 서브프레임의 첫번째 OFDM 심벌에서 전송되고 상기 서브프레임 내의 제어 채널들의 전송을 위하여 사용되는 OFDM 심벌들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나른다. PHICH는 상향링크 전송의 응답이고 HARQ 승인(ACK)/비-승인 (NACK) 신호를 나른다. PDCCH 또는 E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 정보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DCI)로 지칭된다. DCI는 임의의 무선 통신 장치 그룹들에 대하여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향링크 전송(Tx) 전력 제어 명령을 포함한다. PDCCH 또는 EPDCCH는 DLSCH(downlink-shared channel)의 자원 할당 및 전송 포맷, UL-SCH(uplink shared channel)의 자원 할당 정보, PCH 상의 페이징 정보, DL-SCH 상의 시스템 정보, PDSCH 상으로 전송되는 랜덤 액세스 응답과 같은 상위 계층 제어 메시지의 자원 할당, 임의의 무선 통신 장치 그룹 내 개별 무선 통신 장치들에 대한 전송 파워 제어 명령의 집합 및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의 활성화 등을 나를 수 있다.
PDCCH 또는 EPDCCH는 하나 또는 몇몇 연속적인 CCE(Control Channel Elements)의 집합(aggregation)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CCE는 무선 채널의 상태에 기반하여 부호화율을 PDCCH 또는 EPDCCH에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논리적 할당 단위일 수 있다. CCE는 다수의 자원 요소 그룹(Resource element group)에 대응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a 내지 도 3b에서 서술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서술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에 대한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요소 반송파들 각각에 메모리를 할당할 수 있다(S100). 이후, 무선 통신 장치는 요소 반송파들 각각에 할당된 메모리의 크기 및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요소 반송파들로부터 수신된 수신 신호들에 대한 복조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S120). 무선 통신 장치는 결정된 복조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요소 반송파들을 통해 수신한 수신 신호들을 복조할 수 있다(S140).
도 5는 메모리 할당기에 포함된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 결정부의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
도 5를 참조하면, 메모리 할당기(310)는 메모리 할당(Memory Allocation, MA) 우선 순위 결정부(312)를 포함하며, MA 우선 순위 결정부(312)는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을 통해 각각의 제어 정보(CI)를 수신할 수 있다. MA 우선 순위 결정부(312)는 제어 정보(CI)를 이용하여 각각의 요소 반송파들을 수신하기 위해 이용되는 수신 안테나의 개수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MA 우선 순위 결정부(312)는 수신 안테나의 개수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 정보(MA_PI)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A 우선 순위 결정부(312)는 반송파 수신을 위해 이용되는 수신 안테나의 개수가 많을수록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를 높게 결정할 수 있다.
메모리 할당기(310)는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 정보(MA_PI)를 기반으로 요소 반송파들 각각에 대한 메모리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부(330)는 다양한 크기를 갖는 다수의 메모리들(330_k~330_k+2,...)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할당기(310)는 각각의 메모리들(330_k~330_k+2,...)의 크기를 나타내는 메모리 분할 정보(MDI)를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 할당기(310)는 메모리 분할 정보(MDI)를 이용하여 메모리들(330_k~330_k+2,...)을 크기가 작은 순으로 나열한 후에,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요소 반송파들을 각각의 메모리들(330_k~330_k+2,...)에 할당할 수 있다. 일 예로, 메모리 할당기(310)는 CC_k 요소 반송파를 제k 메모리(330_k)에 할당하고, CC_k+1 요소 반송파를 제k+1 메모리(330_k+1)에 할당하며, CC_k+2 요소 반송파를 제k+2 메모리(330_k+2)에 할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k 메모리(330_k) 는 CC_k 요소 반송파를 통해 수신한 수신 신호(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 있고, 제k+1 메모리(330_k+1)는 CC_k+1 요소 반송파를 통해 수신한 수신 신호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제k+2 메모리(330_k+2)는 CC_k+2 요소 반송파를 통해 수신한 수신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도 6은 메모리 할당기에 포함된 복조 우선 순위 결정부의 복조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
도 6을 참조하면, 메모리 할당기(310)는 복조 우선 순위 결정부(314)를 더 포함하며, 복조 우선 순위 결정부(314)는 메모리들(330_k~330_k+1,...)이 각각의 요소 반송파들과 실제 할당된 정보(이하, 메모리 할당 정보이라 지칭, MA_I) 및 도 5의 MA 우선 순위 결정부(312)로부터 생성된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 정보(MA_PI) 중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복조 우선 순위 정보(DEMOD_PI)를 생성할 수 있다.
먼저, 복조 우선 순위 결정부(314)는 메모리 할당 정보(MA_I)를 이용하여 복조 우선 순위 정보(DEMOD_PI)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조 우선 순위 결정부(314)는 실제 할당된 메모리 크기가 작은 요소 반송파일수록 복조 우선 순위를 높게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적어도 일부의 요소 반송파들에 실제 할당된 메모리의 크기가 동일한 때에는, 복조 우선 순위 결정부(314)는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 정보(MA_PI)를 기반으로 요소 반송파들에 대한 복조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C_k 내지 CC_k+2 요소 반송파들이 모두 같은 크기의 메모리들(330_k~330_k+2)에 할당된 때에, 복조 우선 순위 결정부(314)는 CC_k 내지 CC_k+2 요소 반송파들에 대한 복조 우선 순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 정보(MA_PI)를 참조할 수 있다. 그 결과, 복조 우선 순위 결정부(314)는 CC_k 내지 CC_k+2 요소 반송파들에 대하여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와 동일하게 복조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메모리 할당기(310)는 복조 우선 순위 정보(DEMOD_PI)를 기반으로 복조 제어 신호(DEMOD_CS)를 생성하여 복조기(320)에 제공할 수 있다. 복조기(320)는 복조 제어 신호(DEMDO_CS)를 기반으로 각각의 요소 반송파들에 대한 복조 우선 순위에 부합되도록 메모리부(330)에 저장된 수신 신호들을 이용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로서 요소 반송파들에 대한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 및 복조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 및 도 7a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10a)는 기지국(20a)으로부터 제1 내지 제3 요소 반송파들(CC_1~CC_3)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요소 반송파(CC_1~CC_3)는 서로 동기된 상태(synchronized)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a)는 제1 내지 제3 요소 반송파들(CC_1~CC_3)을 통해 수신한 제어 정보로부터 요소 반송파들(CC_1~CC_3)을 각각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수신 안테나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이하, 수신 안테나 개수 정보로 지칭, AT_1)를 획득할 수 있다. 수신 안테나 개수 정보(AT_1)를 참조하면, 제1 요소 반송파(CC_1)는 다수의 수신 안테나들(210a_1~210a_t) 중 L개의 수신 안테나를 이용하여 수신할 수 있고, 제2 요소 반송파(CC_2)는 다수의 수신 안테나들(210a_1~210a_t) 중 M개의 수신 안테나를 이용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제3 요소 반송파(CC_3)는 다수의 수신 안테나들(210a_1~210a_t) 중 K개의 수신 안테나를 이용하여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M, L, K 는 M>L>K 의 대소 관계를 가지는 것을 가정한다.
도 7b를 참조하면, MA 우선 순위 결정부(312)는 도 7a의 수신 안테나 개수 정보(AT_1)를 이용하여 제1 내지 제3 요소 반송파(CC_1~CC_3)에 대한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를 결정함으로써,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 정보(MA_PI)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a에서와 같이, 반송파 수신을 위해 필요한 수신 안테나의 개수는 제2 요소 반송파가 M개로 제일 많고, 제1 요소 반송파가 L개로 그 다음이며, 제3 요소 반송파가 K개로 제일 적을 수 있다. 이에 따라, MA 우선 순위 결정부(312)는 제2 요소 반송파(CC_2), 제1 요소 반송파(CC_1), 제3 요소 반송파(CC_3) 순으로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메모리 할당기(310)는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 정보(MA_PI)를 기반으로 메모리부(330)의 메모리들(330_1~330_3)을 각각의 요소 반송파들(CC_1~CC_3)에 할당할 수 있다. 메모리부(330)는 제1 크기(size_1)를 갖는 제1 메모리(330_1), 제2 크기(size_2)를 갖는 제2 메모리(330_2) 및 제3 크기(size_3)를 갖는 제3 메모리(330_3)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크기가 작은 순으로 나열하면, 제1 메모리(330_1), 제2 메모리(330_2) 및 제3 메모리(330_3)으로 나열될 수 있다. 메모리 할당기(3100는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에 따라 먼저 제2 요소 반송파(CC_2)를 제1 메모리(330_1)에 할당하고, 그 다음 제1 요소 반송파(CC_1)를 제2 메모리(330_2)에 할당하며, 제3 요소 반송파(CC_3)를 제3 메모리(330_3)에 할당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복조 우선 순위 결정부(314)는 메모리 할당 정보(MA_I)를 이용하여 요소 반송파들(CC_1~CC_3)에 대한 복조 우선 순위를 결정함으로써 복조 우선 순위 정보(DEMOD_PI)를 생성할 수 있다(CASE1). 메모리 할당 정보(MA_I)는 각각의 요소 반송파들(CC_1~CC_3)에 실제 할당된 메모리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복조 우선 순위 결정부(314)는 메모리 할당 정보(MA_I)를 참조하여, 할당된 메모리의 크기가 작은 요소 반송파일수록 높은 복조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조 우선 순위 결정부(314)는 제2 요소 반송파(CC_2), 제1 요소 반송파(CC_1), 제3 요소 반송파(CC_3) 순으로 복조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에 부합하여 요소 반송파들(CC_1~CC_3)에 메모리가 할당되지 않은 때에(예를 들면,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가 다른 요소 반송파들이 동일한 크기의 메모리가 할당된 경우, Case2) 복조 우선 순위 결정부(314)는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 정보(MA_PI)를 이용하여 요소 반송파들(CC_1~CC_3)의 복조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8은 도 1a의 무선 통신 장치의 복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그램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7a 내지 도 7c에서 서술된 내용을 기반으로 도 8을 서술하도록 한다.
도 1a 및 도 8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10a)는 기지국(20a)으로부터 제1 내지 제3 요소 반송파(CC_1~CC_3)로부터 N번째 TTI 수신 신호들을 처음 수신하여 각각에 할당된 메모리들에 저장(또는, 버퍼링)을 A 타이밍에 시작할 수 있다. A 타이밍과 B1 타이밍 사이 구간(INVa) 동안 수신 신호들을 복조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3a에 서술했던 서브 프레임(Sub-frame)에 EPDCCH가 위치한 경우일 때에는 제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구간(INVa)은 하나의 TTI를 초과할 수 있다. 다만, 도 3b에 서술했던 서브 프레임(Sub-frame)에 PDCCH가 위치한 경우에는 제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구간(INVa)이 좀더 줄어들 수 있다.
이후, 복조기(120a)는 도 7c에서 결정된 복조 우선 순위에 따라 제2 요소 반송파(CC_2)의 수신 신호를 가장 먼저 복조하고, 그 후, 제1 요소 반송파(CC_1)의 수신 신호를 복조한 후에, 제3 요소 반송파(CC_3)의 수신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 복조기(120a)는 제2 요소 반송파(CC_2)의 N번째 TTI 수신 신호에 대하여 B1 타이밍에 복조를 시작하여 B2 타이밍에서 복조를 완료할 수 있으며, 제1 간격(INVD1)은 제2 요소 반송파(CC_2)의 수신 신호를 복조하는 데 필요한 최소 메모리 크기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복조기(120a)는 제1 요소 반송파(CC_1)의 N번째 TTI 수신 신호에 대하여 B2 타이밍에 복조를 시작하여 B3 타이밍에서 복조를 완료할 수 있으며, 제2 간격(INVD2)은 제1 요소 반송파(CC_1)의 수신 신호를 복조하기 하는 데 필요한 최소 메모리 크기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복조기(120a)는 제3 요소 반송파(CC_3)의 수신 신호에 대하여 B3 타이밍에 복조를 시작하여 B4 타이밍에서 복조를 완료할 수 있으며, 제3 간격(INVD3)은 제3 요소 반송파(CC_3)의 수신 신호를 복조하기 하는 데 필요한 최소 메모리 크기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10a)는 작은 크기의 메모리가 할당된 요소 반송파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복조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효율적인 메모리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매크로 셀(Macro Cell) 및 스몰 셀(Small Cell)의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매크로 셀을 서빙하는 매크로 셀 eNB는 이중 연결에서 MeNB로 지칭되고, 스몰 셀을 서빙하는 eNB는 이중 연결에서 SeNB로 지칭될 수 있다. MeNB는 이중 연결에서 VoIP, 스트리밍 데이터 또는 시그널링 데이터와 같은 다른 타입들의 트래픽 신호들을 무선 통신 장치(WCD)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SeNB는 무선 통신 장치(WCD)에 대하여 추가적인 무선 자원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최선형(BE: best effort type) 트래픽 신호들을 전송하도록 일반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WCD)가 이중 연결 환경에서 통신하는 경우, MeNB 및 SeNB는 서로의 신호 송수신 타이밍을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상호 동기되지 않는 경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통신 장치(WCD)가 제1 링크(L1)를 통해 MeNB로부터 수신하는 요소 반송파들과 제2 링크(L2)를 통해 SeNB로부터 수신하는 요소 반송파들은 서로 동기가 불일치할 수 있다. 즉, MeNB 및 SeNB 사이의 전송 타이밍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전송 타이밍 차이가 소정의 시간보다 적은 경우에 동기된 경우라고 가정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장치들 사이의 직접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에서도 D2D 요소 반송파들간의 동기가 서로 불일치할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지 않고, 통신 환경에 따라서 요소 반송파들간의 동기가 불일치하는 경우에 부합하여 무선 통신 장치(WCD)는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무선 통신 장치(WCD)는 이와 같이 요소 반송파들간의 동기가 불일치한 때에는, 동기가 일치하는 요소 반송파들을 하나의 반송파 그룹으로 나누어 이를 기반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무선 통신 장치(WCD)는 반송파 그룹간의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으며, 반송파 그룹간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메모리 할당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도 10은 반송파 묶음에서 동기가 불일치하는 요소 반송파들이 존재하는 때에, 도 1a의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
도 10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는 동기가 일치하는 요소 반송파들을 포함하는 반송파 그룹에 대한 반송파 그룹간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 및 반송파 그룹 내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반송파 그룹 각각에 포함된 요소 반송파들에 메모리를 할당할 수 있다(S220). 무선 통신 장치는 요소 반송파들 각각에 대한 메모리 할당 결과에 따라 결정된 복조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각각의 반송파 그룹 내의 요소 반송파들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을 복조할 수 있다(S240).
도 11a 및 도 11b는 도 1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
도 11a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는 동기가 일치하는 요소 반송파들을 하나의 반송파 그룹으로서 분류할 수 있다(S201). 예를 들어, 도 9와 같이, 무선 통신 장치(WCD)는 동기의 일치 여부에 따라 이중 연결의 경우 제1 링크(L1)를 통해 수신하는 요소 반송파들을 제1 반송파 그룹으로 나누고, 제2 링크(L2)를 통해 수신하는 요소 반송파들을 제2 반송파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는 각각의 반송파 그룹들에 포함된 요소 반송파의 TTI가 동일한지 여부를 비교할 수 있다(S203). 즉, 도 9에서의 무선 통신 장치(WCD)는 제1 반송파 그룹의 요소 반송파들의 TTI와 제2 반송파 그룹의 요소 반송파들의 TTI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 결과, TTI가 동일한 때에(S203, YES), 무선 통신 장치는 반송파 그룹간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를 랜덤하게 결정할 수 있다(S205). TTI가 동일하지 않은 때에는(S203, NO), 무선 통신 장치는 TTI 길이를 기반으로 반송파 그룹간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S207). 예를 들어, 무선 통신 장치는 TTI가 짧은 요소 반송파를 포함하는 반송파 그룹에 대한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를 높게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장치는 TTI가 가장 짧은 요소 반송파를 포함하는 반송파 그룹에 우선적으로 메모리 할당할 수 있다. 이후, 무선 통신 장치는 반송파 그룹 내의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S209).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장치는 반송파 수신에 이용되는 수신 안테나 개수를 기반으로 반송파 그룹 내의 요소 반송파들에 대한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S220 단계 이후에 무선 통신 장치는 복조 우선 순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에 부합하여 다양한 크기의 메모리들이 요소 반송파들 각각에 할당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31). 즉, 다양한 통신 환경, 메모리의 상태 등에 따라 무선 통신 장치는 실제로 도 11a에서 결정된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에 부합하도록 메모리 할당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장치는 실제로 반송파 그룹간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 및 반송파 그룹 내의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에 부합하도록 메모리가 할당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실제로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에 부합하게 메모리 할당이 된 때에(S231, YES), 무선 통신 장치는 요소 반송파들 각각에 할당된 메모리 크기를 기반으로 복조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S233). 실제로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에 부합하지 않게 메모리 할당이 된 때(예를 들면, 요소 반송파들에 대한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가 다름에도 동일한 크기의 메모리가 할당된 경우)에는(S231, NO),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또는, 요소 반송파들 각각에 대한 반송파 수신을 위해 이용되는 수신 안테나 개수)를 기반으로 결정할 수 있다(S235).
도 12a 내지 도 12d는 동기가 불일치하는 요소 반송파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환경에서 도 1a의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2a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10a)는 제1 내지 제3 요소 반송파들(CC_1~CC_3)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요소 반송파(CC_1, CC_2)는 서로 동기된 상태(synchronized)이고, 제3 요소 반송파(CC_3)는 제1 및 제2 요소 반송파(CC_1, CC_2)와 동기되지 않은 상태임을 가정한다. 무선 통신 장치(10a)는 이러한 동기 정보를 제1 내지 제3 요소 반송파(CC_1~CC_3)을 통해 수신한 제어 정보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a)는 동기가 일치하는 제1 및 제2 요소 반송파(CC_1, CC_2)를 제1 반송파 그룹(CC_Group1)으로 분류하고, 제3 요소 반송파(CC_3)를 제2 반송파 그룹(CC_Group2)으로 분류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a)는 제1 내지 제3 요소 반송파들(CC_1~CC_3)을 통해 수신한 제어 정보로부터 제1 내지 제3 요소 반송파들(CC_1~CC_3)을 각각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수신 안테나 개수를 나타내는 수신 안테나 개수 정보(AT_1')를 획득할 수 있다. 수신 안테나 개수 정보(AT_1')를 참조하면, 제1 요소 반송파(CC_1)는 다수의 수신 안테나들(210a_1~210a_t) 중 M개의 수신 안테나를 이용하여 수신할 수 있고, 제2 요소 반송파(CC_2)는 다수의 수신 안테나들(210a_1~210a_t) 중 L개의 수신 안테나를 이용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제3 요소 반송파(CC_3)는 다수의 수신 안테나들(210a_1~210a_t) 중 K개의 수신 안테나를 이용하여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M, L, K 는 M>L>K 의 대소 관계를 가지는 것을 가정한다.
도 5 및 도 12b를 더 참조하면, 메모리 할당기(310)의 MA 우선 순위 결정부(312)는 반송파 그룹간의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를 결정하여 반송파 그룹간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 정보(MAG_PI)를 생성할 수 있다. MA 우선 순위 결정부(312)는 각각의 반송파 그룹의 TTI의 길이를 기반으로 반송파 그룹간의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를 결정하거나 랜덤하게 반송파 그룹간의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각각의 반송파 그룹의 TTI 길이는 순시적으로 변할 수 있는 것으로 MA 우선 순위 결정부(312)에서 참고하는 TTI 길이는 해당 요소 반송파에서의 변경 가능한 최대 TTI 길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반송파 그룹(CC_Group2)이 제1 반송파 그룹(CC_Group1)보다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가 높은 것을 가정한다. 다만,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한 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통신 환경에 따라 도 12b보다 더 많은 반송파 그룹들에 대한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가 결정될 수 있다.
MA 우선 순위 결정부(312)는 도 12a의 수신 안테나 개수 정보(AT_1') 및 반송파 그룹간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 정보(MAG_PI)를 이용하여 제1 내지 제3 요소 반송파(CC_1~CC_3)에 대한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 정보(MA_PI)를 생성할 수 있다. 일단, MA 우선 순위 결정부(312)는 반송파 그룹간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 정보(MAG_PI)에 따라 제2 반송파 그룹(CC_Group2)의 제3 요소 반송파(CC_3)에 대한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를 1순위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제1 반송파 그룹(CC_Group1)의 제1 및 제2 요소 반송파(CC_1, CC_2)의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를 결정할 때에는, 수신 안테나 개수 정보(AT_1')를 기반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A 우선 순위 결정부(312)는 반송파 수신을 위해 수신 안테나 개수가 제3 요소 반송파(CC_3)보다 더 많은 제1 요소 반송파(CC_1)에 대한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를 2순위로 결정하고, 제3 요소 반송파(CC_3)를 3순위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2c를 참조하면, 복조 우선 순위 결정부(414a)는 메모리 할당 정보(MA_I)를 이용하여 요소 반송파들(CC_1~CC_3)에 대한 복조 우선 순위를 결정하여, 복조 우선 순위 정보(DEMOD_PI)를 생성할 수 있다. 메모리 할당 정보(MA_I)는 각각의 요소 반송파들(CC_1~CC_3)에 실제 할당된 메모리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도 12c에서는 메모리부(430a)의 메모리들(430a_1~430a_3)은 제1 메모리(430a_1), 제2 메모리(430a_2), 제3 메모리(430a_3) 순의 크기를 가지며, 도 12b의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 정보(MA_PI)에 부합하도록 각각의 요소 반송파들(CC_1~CC_3)에 메모리들(430a_1~430a_3)이 할당된 것을 가정한다. 복조 우선 순위 결정부(414a)는 메모리 할당 정보(MA_I)를 참조하여, 할당된 메모리의 크기가 작은 요소 반송파일수록 높은 복조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조 우선 순위 결정부(414a)는 제3 요소 반송파(CC_3), 제1 요소 반송파(CC_1), 제2 요소 반송파(CC_2) 순으로 복조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2d를 참조하면, 메모리부(430b)에 포함된 메모리들(430b_1~430b_3)은 동일한 크기일 때에,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가 다른 요소 반송파들(CC_1~CC_3)이 각각 동일한 크기의 메모리들(430b_1~430b_3)에 할당될 수 있다. 이 때에는 복조 우선 순위 결정부(414b)는 도 12b의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 정보(MA_PI)를 참조하여, 요소 반송파들(CC_1~CC_3)에 대한 복조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조 우선 순위 결정부(414b)는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 정보(MA_PI)에 따라 제2 요소 반송파(CC_2), 제1 요소 반송파(CC_1), 제3 요소 반송파(CC_3) 순으로 복조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c는 동기가 서로 다른 제1 및 제2 반송파 그룹에 대한 복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그램이다. 이하에서는, 도 12a 내지 도 12d에서 서술된 내용을 기반으로 도 13a 및 도 13b를 서술하도록 한다.
도 1a 및 도 13a를 참조하면, 무선 통신 장치(10a)는 기지국(20a)으로부터 제1 반송파 그룹(CC_Group1)의 제1 및 제3 요소 반송파(CC_1, CC_3)로부터 N번째 TTI 수신 신호들을 처음 수신하여 각각에 할당된 메모리들에 저장(또는, 버퍼링)을 AG1 타이밍에 시작할 수 있다. 이후, 무선 통신 장치(10a)는 기지국(20a)으로부터 제2 반송파 그룹(CC_Group2)의 제2 요소 반송파(CC_2)로부터 N번째 TTI 수신 신호들을 처음 수신하여 제2 요소 반송파(CC_2)에 할당된 메모리에 저장(또는, 버퍼링)을 AG2 타이밍에 시작할 수 있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반송파 그룹(CC_Group1)과 제2 반송파 그룹(CC_Group2)은 서로 동기가 다를 수 있다. AG1 타이밍과 BG1_1 타이밍 사이 구간(INVa) 동안 제1 및 제3 요소 반송파(CC_1, CC_3)의 수신 신호들을 복조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 정보(Control Information_G1)를 획득할 수 있다. AG2 타이밍과 BG2_1 타이밍 사이 구간(INVb) 동안 제2 요소 반송파(CC_2)의 수신 신호들을 복조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 정보(Control Information_G2)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2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조 우선 순위는 제2 요소 반송파(CC_2), 제1 요소 반송파(CC_1), 제3 요소 반송파(CC_3)순이나, 제1 요소 반송파(CC_1)에 대한 복조 가능 타이밍(BG1_1)이 제2 요소 반송파(CC_2)에 대한 복조 가능 타이밍(BG2_1)보다 앞서기 때문에 무선 통신 장치(10a)는 제1 요소 반송파(CC_1)의 N번째 TTI 수신 신호에 대하여 먼저 복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무선 통신 장치(10a)는 제2 요소 반송파(CC_2)에 대한 복조 가능 타이밍(BG2_1)에서 제1 요소 반송파(CC_1)의 N번째 TTI 수신 신호에 대한 복조 동작을 바로 중단하고, 바로 제2 요소 반송파(CC_2)의 N번째 TTI 수신 신호에 대한 복조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a)는 제2 요소 반송파(CC_2)의 수신 신호 복조 동작이 완료되는 BG2_2 타이밍에 제1 요소 반송파(CC_1)의 N번째 TTI 수신 신호에 대한 나머지 복조 동작을 재개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a)는 제2 요소 반송파(CC_2)의 N번째 TTI 수신 신호 복조 동작이 완료되는 BG1_2 타이밍에 제3 요소 반송파(CC_2)의 N번째 TTI 수신 신호에 대한 복조 동작을 수행하여, BG1_3 타이밍에 복조 동작을 완료할 수 있다. 제1 간격(INVD1)은 제2 요소 반송파(CC_2)의 수신 신호를 복조하는 데 필요한 메모리의 최소 크기 정도를 나타내고, 제2 간격(INVD2)은 제1 요소 반송파(CC_1)의 수신 신호를 복조하기 하는 데 필요한 메모리 최소 크기 정도를 나타내며, 제3 간격(INVD3)은 제3 요소 반송파(CC_3)의 수신 신호를 복조하기 하는 데 필요한 메모리 최소 크기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 통신 장치(10a)는 우선적으로 복조 가능한 요소 반송파의 수신 신호에 대한 복조 동작을 수행하지만, 결정된 복조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복조 우선 순위가 낮은 요소 반송파의 수신 신호에 대한 바로 복조 동작을 중단하고, 복조 우선 순위가 높은 요소 반송파의 수신 신호에 대한 복조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도 13b는 도 13a와 다르게 제1 요소 반송파(CC_1)의 N번째 TTI 수신 신호에 대한 복조 동작을 중단하기 전에, 소정의 복조 단위(DEMOD_UNIT)의 복조 동작을 완료 후에 중단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즉, 무선 통신 장치(10a)는 제2 요소 반송파(CC_2)의 N번째 TTI 수신 신호에 대한 복조 동작이 가능한 BG2_1 타이밍에서 바로 제1 요소 반송파(CC_1)의 N번째 TTI 수신 신호 복조 동작을 중단하지 않고, 소정의 복조 단위(DEMOD_UNIT)의 복조 동작을 완료할 때까지의 준비 구간(ST_INV)을 거친 후에, BG2_2a 타이밍에 제2 요소 반송파(CC_2)의 N번째 TTI 수신 신호에 대한 복조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복조 단위(DEMOD_UNIT)는 무선 통신 장치(10a)의 통신 환경 또는 메모리 상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 복조 단위(DEMOD_UNIT)는 코드-워드(code-word) 단위, 코드-블록(code-block) 단위, 자원 엘리먼트 쌍(resource block pair) 단위 및 자원 엘리먼트(resource element) 단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 실시예로 이에 국한되지 않고, 소정의 제어 정보(예를 들면, PDCCH의 제어 신호)가 복조 대상이 되는 때에 CCE(Control Channel Element)에 기반하여 복조 단위가 설정될 수 있다. 도 13a와 비교하여 AG2 타이밍과 BG2_2b 타이밍 간격이 늘어 제2 요소 반송파(CC_2)의 수신 신호를 복조하기 위해 필요한 메모리 최소 크기 정도는 더 늘어나지만, 더욱 안정적인 복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3c에서는 제1 반송파 그룹(CC_Group1)의 수신 신호는 도 1b의 제1 프로세서(100_b1)가 처리하고, 제2 반송파 그룹(CC_Group2)의 수신 신호는 도 1b의 제2 프로세서(100_b2)가 처리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b 및 도 13c를 참조하면, 각각의 프로세서들(100_b1, 100_b2)은 요소 반송파들에 대한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각각의 메모리부들(220b_1, 220b_2)에 포함된 메모리들을 할당하고, 이후, 복조 우선 순위를 결정하여 이를 기반으로 복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동기가 서로 다르고 TTI가 서로 다른 제1 및 제2 반송파 그룹에 대한 복조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그램이다. 이하에서는, 도 12a 내지 도 12d에서 서술된 내용을 기반으로 도 14a 및 도 14b를 서술하도록 한다.
도 1a 및 도 14a를 참조하면, 먼저, 제2 반송파 그룹(CC_Group2)의 제2 요소 반송파(CC_2)의 TTI는 제1 반송파 그룹(CC_Group1)의 제1 및 제3 요소 반송파(CC_1, CC_3)의 TTI보다 짧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요소 반송파 그룹(CC_Group2)은 제1 요소 반송파 그룹(CC_Group1)보다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가 더 높을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a)는 기지국(20a)으로부터 제1 반송파 그룹(CC_Group1)의 제1 및 제3 요소 반송파(CC_1, CC_3)로부터 N번째 TTI 수신 신호들을 처음 수신하여 각각에 할당된 메모리들에 저장(또는, 버퍼링)을 AG1' 타이밍에 시작할 수 있다. 이후, 무선 통신 장치(10a)는 기지국(20a)으로부터 제2 반송파 그룹(CC_Group2)의 제2 요소 반송파(CC_2)로부터 N번째 TTI 수신 신호를 처음 수신하여 제2 요소 반송파(CC_2)에 할당된 메모리에 저장(또는, 버퍼링)을 AG2' 타이밍에 시작할 수 있다. 제1 반송파 그룹(CC_Group1)과 제2 반송파 그룹(CC_Group2)은 서로 동기 및 TTI가 다를 수 있다. AG1' 타이밍과 BG1_1' 타이밍 사이 구간(INVa ') 동안 제1 및 제3 요소 반송파(CC_1, CC_3)의 수신 신호들을 복조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 정보(Control Information_G1)를 획득할 수 있다. AG2' 타이밍과 BG2_1' 타이밍 사이 구간(INVb ') 동안 제2 요소 반송파(CC_2)의 수신 신호들을 복조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 정보(Control Information_G2)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2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조 우선 순위는 제2 요소 반송파(CC_2), 제1 요소 반송파(CC_1), 제3 요소 반송파(CC_3)순이나, 제1 요소 반송파(CC_1)에 대한 복조 가능한 BG1_1' 타이밍 이 제2 요소 반송파(CC_2)의 수신 신호의 복조 가능한 BG2_1' 타이밍보다 앞서기 때문에 무선 통신 장치(10a)는 제1 요소 반송파(CC_1)의 N번째 TTI 수신 신호에 대하여 먼저 복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무선 통신 장치(10a)는 제2 요소 반송파(CC_2)의 수신 신호의 복조 가능한 BG2_1' 타이밍에서 제1 요소 반송파(CC_1)의 N번째 TTI 수신 신호에 대한 복조 동작을 바로 중단하고, 바로 제2 요소 반송파(CC_2)의 N번째 TTI 수신 신호에 대한 복조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a)는 제2 요소 반송파(CC_2)의 N번째 TTI 수신 신호 복조 동작이 완료되는 BG2_2' 타이밍에 제1 요소 반송파(CC_1)의 N번째 TTI 수신 신호에 대한 나머지 복조 동작을 재개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a)는 제2 요소 반송파(CC_2)의 N번째 TTI 수신 신호 복조 동작이 완료되는 BG1_2' 타이밍에 제3 요소 반송파(CC_2)의 N번째 TTI 수신 신호에 대한 복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BG2_3' 타이밍에서 무선 통신 장치(10a)는 N+1 번째 TTI 수신 신호에 대한 복조 동작이 가능하여, 복조 동작을 시작할 수 있으며, 이 때, 제3 요소 반송파(CC_2)의 N번째 TTI 수신 신호에 대한 복조 동작을 바로 중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a)는 제2 요소 반송파(CC_2)의 N+1번째 TTI 수신 신호 복조 동작이 완료되는 BG2_4' 타이밍에 제3 요소 반송파(CC_3)의 N번째 TTI 수신 신호에 대한 나머지 복조 동작을 재개하여, BG1_3' 타이밍에 복조 동작을 완료할 수 있다.
제1 간격(INVD1 ')은 제2 요소 반송파(CC_2)의 수신 신호를 복조하는 데 필요한 메모리의 최소 크기 정도를 나타내고, 제2 간격(INVD2 ')은 제1 요소 반송파(CC_1)의 수신 신호를 복조하기 하는 데 필요한 메모리 최소 크기 정도를 나타내며, 제3 간격(INVD3 ')은 제3 요소 반송파(CC_3)의 수신 신호를 복조하기 하는 데 필요한 메모리 최소 크기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4b는 도 14a와 다르게 제1 요소 반송파(CC_1)의 N번째 TTI 수신 신호에 대한 복조 동작을 중단하기 전에, 소정의 복조 단위(DEMOD_UNIT)의 복조 동작을 완료 후에 중단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즉, 무선 통신 장치(10a)는 제2 요소 반송파(CC_2)의 N번째 TTI 수신 신호에 대한 복조 동작이 가능한 BG2_1' 타이밍에서 바로 제1 요소 반송파(CC_1)의 N번째 TTI 수신 신호에 대한 복조 동작을 중단하지 않고, 복조 단위(DEMOD_UNIT)의 복조 동작을 완료할 때까지의 준비 구간(ST_INV)을 거친 후에, BG2_2a' 타이밍에 제2 요소 반송파(CC_2)의 N번째 TTI 수신 신호에 대한 복조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2 요소 반송파(CC_2)의 N+1번째 TTI 수신 신호에 대한 복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사물 인터넷에 적용된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은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사물 상호 간의 네트워크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사물 인터넷 장치(IoT Device)는 접근 가능한 유선 또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유선/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와 통신하여,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사물 인터넷 장치(IoT Device)는 냉장고, 에이컨, 전화기, 자동차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통신 가능한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물 인터넷(IoT)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전술한 기지국은 사물 인터넷(IoT)에서 액세스 포인트(AP), 게이트웨이 및 서버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단말들은 사물 인터넷 장치(IoT Device)에 해당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사물 인터넷 장치(IoT Device)는 다른 사물 인터넷 장치(IoT Device)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나 게이트웨이 등을 통해 통신하거나, 또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라 장치간 직접 통신(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5을 참조하면, IoT 장치(1000)는 IoT 장치 애플리케이션(1100)과 통신 모듈(120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200)은 펌웨어(1210), 무선 베이스 밴드 칩 셋(1220) 및 보안 모듈(12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oT 장치 애플리케이션(1100)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로서 통신 모듈(1200)을 제어할 수 있고 IoT 장치 내의 CPU(미도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통신 모듈(1200)은 LAN, Wi-Fi와 같은 WLAN, 무선 USB 및 지그비(Zigbee) 또는 이동 통신망과 접속되거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무선 통신 컴포넌트를 의미할 수 있다.
펌웨어(1210)는 IoT 장치 애플리케이션(1100)과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하고, IoT 장치 애플리케이션(1100)의 제어에 따라 무선 베이스 밴드 칩셋(1200)을 제어할 수 있다. 무선 베이스 밴드 칩셋(1220)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connectivity)을 제공할 수 있다. 무선 베이스 밴드 칩셋(1220)은 도 1a 등에 도시된 프로세서(1225)를 포함하고, 프로세서(1225)는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요소 반송파들에 각각 메모리를 할당하는 메모리 할당기(1225a) 및 복조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요소 반송파들의 신호에 대한 복조 동작을 수행하는 복조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 등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로, 메모리 할당기(1225a)는 요소 반송파들을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수신 안테나 개수를 기반으로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이러한 메모리 할당 결과를 기반으로 복조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할당기(1225a)는 요소 반송파들간의 동기가 불일치하는 때에는 동기가 일치하는 요소 반송파들을 하나의 반송파 그룹으로 분류하고, 반송파 그룹간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메모리 할당 및 복조 동작을 수행하여 효율적인 메모리 사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통신 동작에 쓰이는 메모리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보안 모듈(1230)은 보안 프로세서(1232)와 보안 요소(1234)를 포함할 수 있다. 보안 모듈(623)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해 IoT 장치를 인증 (authenticate)하고 무선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를 위해 IoT 장치를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반송파 묶음(Carrier Aggregation)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component carriers)에 대한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상기 요소 반송파들 각각에 메모리를 할당하는 단계;
    상기 요소 반송파들 각각에 할당된 메모리의 크기 및 상기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 중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요소 반송파들에 대한 복조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조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상기 요소 반송파들을 통해 수신된 수신 신호들을 복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는,
    상기 요소 반송파들 각각에 대한 반송파 수신을 위하여 이용되는 수신 안테나의 개수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 반송파들 각각에 메모리를 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가 높은 요소 반송파일수록 작은 크기의 메모리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할당된 메모리의 크기가 작은 요소 반송파일수록 또는 상기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가 높은 요소 반송파일수록 복조 우선 순위를 높게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은 제1 요소 반송파 및 제2 요소 반송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요소 반송파는 상기 제2 요소 반송파보다 상기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가 더 높으며,
    상기 복조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요소 반송파에 할당된 메모리의 크기와 상기 제2 요소 반송파에 할당된 메모리 크기가 상이한 때에, 상기 제1 요소 반송파 및 상기 제2 요소 반송파 각각에 할당된 메모리 크기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요소 반송파 및 상기 제2 요소 반송파로부터 수신된 수신 신호들의 복조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요소 반송파들은 제1 요소 반송파 및 제2 요소 반송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요소 반송파는 상기 제2 요소 반송파보다 상기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가 더 높으며,
    상기 복조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요소 반송파에 할당된 메모리의 크기와 상기 제2 요소 반송파에 할당된 메모리 크기가 동일한 때에, 상기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상기 제1 요소 반송파 및 상기 제2 요소 반송파로부터 수신된 수신 신호들의 복조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7. 반송파 묶음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제1 요소 반송파와 동기가 일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 반송파 및 상기 제1 요소 반송파를 포함하는 제1 반송파 그룹 및 상기 제1 요소 반송파와 동기가 불일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요소 반송파를 포함하는 제2 반송파 그룹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고,
    반송파 그룹간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 및 반송파 그룹 내의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반송파 그룹에 포함된 요소 반송파들 및 상기 제2 반송파 그룹에 포함된 요소 반송파들 각각에 메모리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요소 반송파들 각각에 대한 메모리 할당 결과에 따라 결정된 복조 우선 순위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반송파 그룹에 포함된 요소 반송파들 및 상기 제2 반송파 그룹에 포함된 요소 반송파들을 통해 수신된 신호들을 복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파 그룹에 포함된 요소 반송파의 TTI(Trasmission Time Interval)와 상기 제2 반송파 그룹에 포함된 요소 반송파의 TTI가 동일한 때에,
    상기 반송파 그룹간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는 랜덤하게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파 그룹에 포함된 요소 반송파의 TTI와 상기 제2 반송파 그룹에 포함된 요소 반송파들의 TTI가 상이한 때에,
    상기 반송파 그룹간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는 상기 TTI의 길이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파 그룹 내의 메모리 할당 우선 순위는 반송파 그룹 별로 결정되며, 하나의 반송파 그룹에 포함된 요소 반송파들 각각에 대한 반송파 수신을 위하여 이용되는 수신 안테나의 개수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70097123A 2017-03-20 2017-07-31 효율적인 메모리 사용을 위한 메모리 할당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271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869,533 US10524264B2 (en) 2017-03-20 2018-01-12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memory de-allocator for efficient memory usag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201810230194.2A CN108632012B (zh) 2017-03-20 2018-03-20 包括存储器解除分配器的无线通信设备及其操作方法
US16/678,338 US10966202B2 (en) 2017-03-20 2019-11-08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memory de-allocator for efficient memory usag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926 2017-03-20
KR20170034926 2017-03-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802A true KR20180106802A (ko) 2018-10-01
KR102271770B1 KR102271770B1 (ko) 2021-07-01

Family

ID=63877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7123A KR102271770B1 (ko) 2017-03-20 2017-07-31 효율적인 메모리 사용을 위한 메모리 할당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17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28592A1 (en) * 2010-07-27 2012-02-02 Kobby Pick Shared soft metric buffer for carrier aggregation receivers
US20160278072A1 (en) * 2015-03-18 2016-09-22 Intel IP Corporation Terminal device and mobile radio communication by terminal device
US20170034792A1 (en) * 2014-04-18 2017-02-02 Huawei Technologies Co., Ltd. Power Configuration Metho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28592A1 (en) * 2010-07-27 2012-02-02 Kobby Pick Shared soft metric buffer for carrier aggregation receivers
US20170034792A1 (en) * 2014-04-18 2017-02-02 Huawei Technologies Co., Ltd. Power Configuration Metho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US20160278072A1 (en) * 2015-03-18 2016-09-22 Intel IP Corporation Terminal device and mobile radio communication by termina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1770B1 (ko)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919411B (zh) 支持ss/pbch块的大子载波间隔的方法和装置
CN111742510B (zh) 无线通信系统中发送上行链路控制信息的方法及使用其的装置
CN111587554B (zh) 无线通信系统的信道复用方法和复用的信道传输方法及使用该方法的设备
US10225826B2 (en) Transmission of uplink control information for multiple control channel format lengths
CN109155681B (zh) 无线蜂窝通信系统中发送/接收同步信号的方法和设备
US20180324786A1 (en) Resource determination for uplink control channel for wireless networks
RU2582334C2 (ru) Вставка виртуальной несущей в традиционную основную несущую ofdm в системе связи
RU2595271C2 (ru) Вставка виртуальной несущей в традиционную основную несущую ofdm в системе связи
TWI472251B (zh) 行動通訊系統中之用戶設備、基地台裝置、及安裝於其之積體電路、及其通訊方法
US20160174247A1 (en)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grated circuit
JP7046942B2 (ja) 端末、受信方法及び集積回路
WO2021090924A1 (en) Channel dropping behavior and timing relationships for uplink channel collision with different priorities
CN103891341A (zh) 终端装置、基站装置、发送方法和接收方法
RU2697267C1 (ru) Передача сигнала данных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с уменьшенной сквозной задержкой
WO2020261713A1 (en) MAPPING METHODS FOR URLLC HARQ-ACK MULTIPLEXING ON eMBB PUSCH
US10681623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ell access via anchor carrier
WO2013159304A1 (en) Switching between downlink and uplink
CN113424618B (zh) 一种通信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099540A (zh) 上行链路信道复用和波形选择的方法和装置
JP2024023571A (ja) 基地局、通信方法及び集積回路
US10966202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memory de-allocator for efficient memory usag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O20210929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CN112332965A (zh) 一种无线通信中的方法和装置
WO2017167148A1 (zh) 一种信息发送方法、接收方法和装置
KR102271770B1 (ko) 효율적인 메모리 사용을 위한 메모리 할당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