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6595A -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 - Google Patents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6595A
KR20180106595A KR1020170035172A KR20170035172A KR20180106595A KR 20180106595 A KR20180106595 A KR 20180106595A KR 1020170035172 A KR1020170035172 A KR 1020170035172A KR 20170035172 A KR20170035172 A KR 20170035172A KR 20180106595 A KR20180106595 A KR 20180106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late
top side
fixing
deck
plu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5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4988B1 (ko
Inventor
박어진
김남균
송명관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5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4988B1/ko
Publication of KR20180106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oundation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은 발전기능을 포함하는 플랜트 설비가 실리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데크에 배치된 레일을 따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이동바퀴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상기 데크에 대하여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탑 사이드 유닛이 수평 방향으로 복수 개 연결되어 모듈화 됨으로써 형성된다.

Description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Movable Top Side Module}
본 발명은 탑 사이드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육상에서 플랜트 설비를 결합한 후 선체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추선, 가스 운반선, 발전선 등은 대형 선박으로, 해상에서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고도의 제작 기술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대형 선박에는 각종 설비의 적재 및 운용을 위한 탑 사이드 모듈(topside module)이 설치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탑 사이드 모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탑 사이드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탑 사이드 모듈(10)은 베이스 플레이트(12)와 지지부(14)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2)는 상부에 각종 설비가 실리는 부분이며, 지지부(14)는 선체(20)에 대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2)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탑 사이드 모듈(10)은 이동이 불가능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선체(20)에 각종 설비를 탑재 시, 해안에 정박되어 있는 선체(20)에 먼저 탑 사이드 모듈(10)을 설치하고, 여기에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설비 및 자재들을 운반한 후, 작업자가 조립 및 용접을 통해 탑 사이드 모듈(10) 위에 발전설비 등을 구축한다.
따라서, 크레인을 설치하고 운용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며, 운반되는 자제에 의한 작업자의 충돌이나 선체 파손, 운반 도중 자재 낙하 등 안전에 있어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육상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자재를 운반 및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매우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육상에서 플랜트 설비를 결합한 후 선체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본 발명은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본 발명은 전기 공급이 필요한 지역에 분리되어 독립된 육상 발전소로 운영될 수 있는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은 탑 사이드 유닛이 수평 방향으로 복수 개 연결되어 모듈화 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탑 사이드 유닛은 베이스 플레이트, 이동바퀴 및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발전기능을 포함하는 플랜트 설비가 실린다.
상기 이동바퀴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데크에 배치된 레일을 따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이동시킨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상기 데크에 대하여 지지한다.
상기 이동바퀴의 외주면에는 상기 레일의 상부가 수용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바퀴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로는 유압실린더 및 플런저를 포함하는 유압장치가 적용되며, 상기 탑 사이드 유닛이 설치 위치에 도착하면 상기 플런저가 상기 유압실린더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데크와 맞닿아 상기 데크에 대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데크에는 상기 플런저가 상기 유압실린더의 외측으로 돌출 시 상기 플런저의 하부가 수용되어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에는 상기 고정홈의 반지름 외측 방향으로부터 상기 고정홈의 반지름 내측 방향으로 내입되며 상기 플런저를 조여 상기 플런저를 고정하는 제 1 고정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플런저의 하부에는 상기 데크와 접하는 지지면을 확장시켜 안정적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플런저보다 직경이 큰 지지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 1 고정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하는 제 2 고정부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은 육상에서 건조된 상기 플랜트 설비를 상기 탑 사이드 유닛에 조립한 후, 상기 이동바퀴를 이용하여 선체로 이동시키고, 상기 지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선박에 고정하여 모듈화 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부에는 트러스 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트러스 구조 사이에는 상기 플랜트 설비에 필요한 부자재 설비가 실릴 수 있다.
또한, 상기 탑 사이드 유닛은 선체로부터 분리되어, 전기 공급이 필요한 육상 지역으로 이동한 후 다시 모듈화 되어 독립된 육상형 발전소로 운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은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바퀴가 구비되어 육상에서 플랜트 설비를 결합한 후 선체로 이동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에 의하면 설치 위치에 도달하면 작동하여 데크에 대하여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되어 이동 후 원하는 위치에 탑 사이드 모듈을 설치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에 의하면 고정홈에 지지부를 조여 고정하는 고정부가 구비됨으로써 탑 사이드 모듈을 단단하게 고정하여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은 복수의 탑 사이드 유닛이 평면적으로 서로 결합되어 모듈화 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 유지 및 보수가 필요한 탑 사이드 유닛만 분리가 가능하여 탑 사이드 모듈 전체를 이동할 필요가 없으므로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해지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에 의하면 하나의 탑 사이드 유닛에 플랜트 설비 및 부자재 설비가 결합되어 유닛화 됨으로써 별도의 배관 및 배선 설비를 구성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또한, 필요에 따라 배치를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기 때문에 레이아웃의 재설계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에 의하면 선체에 고정되어 있는 탑 사이드 모듈을 다시 유닛으로 분리하여 전기 공급이 필요한 지역에 전기가 필요한 지역에 공급함으로써 독립된 육상 발전소로 운영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탑 사이드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이 설치되는 선체의 데크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의 지지부가 고정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의 지지부를 조여 고정하는 고정부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이 선체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의 탑 사이드 유닛이 플랜트 설비와 부자재 설비와 결합되어 유닛화 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이 선체에서 분리되어 독립된 육살 발전소로 운영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이 설치되는 선체의 데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의 지지부가 고정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의 지지부를 조여 고정하는 고정부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200)은 LNG FPSO(LNG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Oil FPSO(Oil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LNG FSRU(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 FPP(Floating Power Plant) 등의 모든 선박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복수 개의 탑 사이드 유닛(210)이 수평 방향으로 복수 개 연결되어 모듈화 됨으로써 형성된다.
여기서,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탑 사이드 유닛(210)은 베이스 플레이트(212), 이동바퀴(214) 및 지지부(216)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212)는 플랜트 설비(300)가 실리는 구성요소로서, 트러스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200)이 부유식 발전 플랜트(FPP)에 설치되는 경우, 플랜트 설비(300)는 발전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부유식 화력 발전 플랜트(BMPP)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플랜트 설비(300)가 화력 발전 장치일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12)에는 플랜드트 설비 이외에도 플랜트 설비(300)에 필요한 파이프, 케이블 등 각종 부자재 설비(400) 또한 함께 결합되어 유닛화될 수 있다.
이동바퀴(214)는 베이스 플레이트(212)의 하부에 배치되어 베이스 플레이트(212) 및 베이스 플레이트(212)에 결합된 플랜트 설비(300) 및 각동 부자재 설비(4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탑 사이드 유닛(21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선체(100)의 데크에는 레일(11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레일(110)이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만 예로 도시하였으나, 레일(110)은 격자형으로 배치되어 탑 사이드 유닛(210)이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동바퀴(214)는 데크에 설치된 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며, 이를 위하여 이동바퀴(214)의 외주면에는 레일(110)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가이드홈(214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이동바퀴(214)가 레일(11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216)는 베이스 플레이트(212)의 하부에 설치되어 베이스 플레이트(212)를 데크에 대하여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부(216)로는 유압실린더(216a) 및 플런저(216b)를 포함하는 유압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탑 사이드 유닛(210)이 설치 위치에 도달하면 플런저(216b)가 유압실린더(216a)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데크와 맞닿아 데크에 대하여 베이스 플레이트(212)를 들어올릴 수 있다. 이로써, 이동바퀴(214)가 레일(110)에서 상승하고, 베이스 플레이트(212)는 지지부(21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플런저(216b)의 하부에는 지지부재(216c)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재(216c)는 플런저(216b)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데크와 접하는 지지면을 확장시킴으로써 안정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212)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16)의 고정을 위하여 선체(100)의 데크에는 플런저(216b)가 유압실린더(216a)의 외측으로 돌출 시 플런저(216b)의 하부가 수용되어 고정되는 고정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120)은 데크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탑 사이드 유닛(210)은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홈(120)에는, 고정홈(120)의 반지름 외측 방향으로부터 반지름 내측 방향으로 내입되며 지지부(216)를 조이는 제 1 고정부(124) 및 제 2 고정부가 설치될 수 있다.
제 2 고정부는 제 1 고정부(124)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 1 고정부(124)는 플런저(216b)를 조여 고정하고, 제 2 고정부는 지지부재(216c)를 조여 고정할 수 있다.
제 1 고정부(124) 및 제 2 고정부는 유압장치로서, 조리개 방식으로 회전하며 열리고 닫히며 플런저(216b) 및 지지부재(216c)를 선택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제 1 고정부(124) 및 제 2 고정부가 플런저(216b) 및 지지부재(216c)를 각각 고정함으로써 이동 방지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이 선체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200)에 의하면, 육상에서 건조된 플랜트 설비(300)를 본 실시예의 이동식 탑 사이드 유닛(210)에 조립한 후, 이동바퀴(214)를 이용하여 선체(100)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탑 사이드 유닛(210)이 선체(100)의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고정홈(120)에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부(216)를 작동시켜 베이스 플레이트(212)를 데크에 지지하여 들어 올리고, 제 1 고정부(124) 및 제 2 고정부를 작동시켜 지지부(216)가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
종래에는 선체에 플랜트 설비를 탑재 시, 해안에 정박되어 있는 선체에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설비 및 자재들을 운반하고, 작업자가 조립 및 용접을 통해 탑 사이드 모듈 위에 발전설비 등을 구축한다.
따라서, 크레인을 설치하고 운용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며, 운반되는 자제에 의한 작업자의 충돌이나 선체 파손, 운반 도중 자재 낙하 등 안전에 있어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육상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자재를 운반 및 공급해야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매우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200)에 의하면 육상에서 건조된 플랜트 설비(300)를 육상에서 탑 사이드 유닛(210)에 조립하여 유닛화한 후, 이를 선체(100)로 이동시켜 선체(100)에 고정하기 때문에 크레인을 설치 및 운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필요 없이 조립, 운반, 탑재, 고정의 과정을 통해 해상 구조물을 건조할 수 있다. 따라서, 공간 활용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육상에서 건조, 적재, 용접을 통한 결합 등이 모두 이루어진 후 선체(100)로 운반되기 때문에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의 탑 사이드 유닛이 플랜트 설비와 부자재 설비와 결합되어 유닛화 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200)에 의하면 베이스 플레이트(212)에 트러스 구조물(212a)이 포함되는 경우, 트러스 구조물(212a) 사이에 플랜트 설비(300)에 필요로 하는 파이프, 케이블 등의 각종 부자재 설비(400)를 결합 설치할 수 있다.
즉, 탑 사이드 유닛(210)에 플랜트 설비(300) 및 각종 부자재 설비(400)가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유닛화 됨으로써, 플랜트 설비(300) 및 각종 부자재 설비(400)가 결합되어 유닛화된 탑 사이드 유닛(210)을 선체(100)로 이동시켜 고정한 후, 각 탑 사이드 유닛(210)을 결합하는 과정만으로 탑 사이드 모듈(200)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선체(100)에 설치 후 별도의 배관 설비를 구성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으며, 교환이 가능하여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며, 필요에 따라 배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레이아웃의 재설계가 용이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이 선체에서 분리되어 독립된 육살상 발전소로 운영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200)은 육상에서 건조 후 선체(100)로의 이동도 용이하지만, 선체(100)로부터의 분리 또한 용이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탑 사이드 모듈(200)이 부유식 발전 플랜트(FPP), 특히 부유식 화력 발전 플랜트(BMPP)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본 실시예의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200)이 설치된 선체(100)를 전력이 필요한 육상 지역, 예를 들면 자연재해에 의한 고립, 테러 등으로 인하여 전력 공급이 중단된 지역으로 이동 후, 탑 사이드 유닛(210)을 선체(100)에서 분리하여 상술한 지역으로 이동시켜 모듈화 하여 간이형 육상형 발전소로 운영할 수도 있다.
부유식 발전 플랜트(FPP), 특히 부유식 화력 발전 플랜트(BMPP)에 실리는 플랜트 설비(300)는 자체적인 발전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선체(100)가 지속적으로 해상에 계류되어 있을 필요가 없으며, 선체(100)는 단순히 본 실시예의 탑 사이드 모듈(200)을 이동시키기 위한 역할만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선체 110: 레일
120: 고정홈 122: 제 1 고정부
124: 제 2 고정부 200: 탑 사이드 모듈
210: 탑 사이드 유닛 212: 베이스 플레이트
212a: 트러스 구조물 214: 이동바퀴
214a: 가이드홈 216: 지지부
216a: 유압실린더 216b: 플런저
216c: 지지부재 300: 플랜트 설비
400: 부자재 설비

Claims (9)

  1. 발전기능을 포함하는 플랜트 설비가 실리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데크에 배치된 레일을 따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이동바퀴;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상기 데크에 대하여 지지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는 탑 사이드 유닛이 수평 방향으로 복수 개 연결되어 모듈화 됨으로써 형성되는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바퀴의 외주면에는,
    상기 레일의 상부가 수용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바퀴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로는 유압실린더 및 플런저를 포함하는 유압장치가 적용되며, 상기 탑 사이드 유닛이 설치 위치에 도착하면 상기 플런저가 상기 유압실린더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데크와 맞닿아 상기 데크에 대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에는,
    상기 플런저가 상기 유압실린더의 외측으로 돌출 시 상기 플런저의 하부가 수용되어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에는,
    상기 고정홈의 반지름 외측 방향으로부터 상기 고정홈의 반지름 내측 방향으로 내입되며 상기 플런저를 조여 상기 플런저를 고정하는 제 1 고정부가 설치되는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하부에는 상기 데크와 접하는 지지면을 확장시켜 안정적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플런저보다 직경이 큰 지지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 1 고정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하는 제 2 고정부가 더 마련되는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
  7. 제 1항에 있어서,
    육상에서 건조된 상기 플랜트 설비를 상기 탑 사이드 유닛에 조립한 후, 상기 이동바퀴를 이용하여 선체로 이동시키고, 상기 지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선박에 고정하여 모듈화 하는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부에는 트러스 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트러스 구조 사이에는 상기 플랜트 설비에 필요한 부자재 설비가 실리는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탑 사이드 유닛은 선체로부터 분리되어, 전기 공급이 필요한 육상 지역으로 이동한 후 다시 모듈화 되어 독립된 육상형 발전소로 운영 가능한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
KR1020170035172A 2017-03-21 2017-03-21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 KR101914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172A KR101914988B1 (ko) 2017-03-21 2017-03-21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172A KR101914988B1 (ko) 2017-03-21 2017-03-21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595A true KR20180106595A (ko) 2018-10-01
KR101914988B1 KR101914988B1 (ko) 2019-01-07

Family

ID=63877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5172A KR101914988B1 (ko) 2017-03-21 2017-03-21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4988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6034B2 (ja) * 2001-10-02 2009-11-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タービン発電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4988B1 (ko) 2019-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10376B1 (en) Means for transferring electric power in a turret-moored vessel and method of assembly
US20040141812A1 (en) Minimum floating offshore platform
CN101903235A (zh) 安装离岸风轮机的方法与驳船系统
KR102239542B1 (ko)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 방법
US7669541B2 (en) Configurable multi-function vessel
US8087369B2 (en) Modular ship and floatable modules intended to be part of the ship
US20110247290A1 (en) Drilling Rig and Mounting Method Therefor
KR101914988B1 (ko) 이동식 탑 사이드 모듈
US6467545B1 (en) Monolithic isolation stress joint
KR101461146B1 (ko) 신축 가능한 타워가 구비된 해상 풍력 발전기 및 이의 설치 방법
KR20120051486A (ko) 유조선의 액화 가스연료 탱크용 플랫폼
KR101619246B1 (ko) 타워, 나셀 및 로터 결합체의 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상 풍력 발전기 설치 방법
KR101599386B1 (ko) 데크 평탄화 구조를 갖는 부유 저장 발전플랜트
RU2673757C2 (ru) Плавучая платформа с поворачивающейся юбкой килевой части
KR20130023879A (ko) 상부모듈의 설치유도설비가 마련된 부유식 원유 생산저장설비
KR101348621B1 (ko) 풍력 발전기 적재용 구조물
KR20190114559A (ko) 탑사이드 모듈 탑재 가이드 장치
KR20150069055A (ko) 해양 구조물용 모노레일 트롤리 호이스트의 설치 모듈 및 그 운용 방법
US20240002023A1 (en) Offshore lng processing facility
KR101412477B1 (ko) 터렛 무어링 시스템
KR101358136B1 (ko) 터렛 무어링 시스템
KR20140088353A (ko) 해양 구조물의 케이슨 탑재 공법
Dimbour et al. Offshore LNG Mega-Module Solution
Corbetta et al. A new approach to capex and opex reduction: an integrated system for remote tie-ins and pipeline repair
KR20140028448A (ko) 용접 연결용 가결합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