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6504A - 인출형 차단기 - Google Patents

인출형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6504A
KR20180106504A KR1020170034902A KR20170034902A KR20180106504A KR 20180106504 A KR20180106504 A KR 20180106504A KR 1020170034902 A KR1020170034902 A KR 1020170034902A KR 20170034902 A KR20170034902 A KR 20170034902A KR 20180106504 A KR20180106504 A KR 20180106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ircuit breaker
connector
breaker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4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민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4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6504A/ko
Publication of KR20180106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5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01H71/52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comprising a cradle-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ip Switch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인출형 차단기는 기존의 차단기를 연결하는 3단 형식의 컨덕터 베이스 구조를 2단으로 단순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접속에 필요한 공간을 축소시켜 인출형 차단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접속 후 전기적 접속 면적을 증대하여 저항을 줄임으로써 접속부의 발열량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출형 차단기{WITHDRAWABLE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인출형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와 크레들의 전기적 접속부 구조를 개선한 인출형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고전압용 회로차단기는 고정형 회로차단기와 인출형 회로차단기가 있는 바, 고정형은 설치한 위치에서 이동이 곤란한 고정식이다. 그리고, 인출형은 전원 및 부하측의 선로(회로)와 접속되는 주회로 단자를 갖는 크래들(cradle)로 불리는 외부 지지장치는 설치된 위치에서 위치가 고정되지만 개폐접점 및 개폐기구를 내장하는 차단기 본체는 크래들에 상대적으로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인출형 회로차단기는 차단기 본체를 주 전원으로부터 분리하여 차단기 본체를 시험한다든지 차단기 본체를 완전히 인출 위치로 분리하여 차단기 본체의 보수와 교체 등 유지보수 작업에 편리한 특성을 가져서 근래에 고정형 보다 수요가 많아지고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인출형 차단기에 있어, 컨덕터 베이스와 핑거 모듈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종래의 컨덕터 베이스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컨덕터 베이스(10)는, 주연부에 복수의 체결공(15)이 형성된 판상의 체결 플레이트(11)와, 체결 플레이트(11)의 두께 방향을 따라 소정의 높이로 돌출 형성되며, 그 단부 측면에 기중 차단기의 핑거 모듈(40)과 치합되는 굴곡면이 형성된 접속자(1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체결 플레이트(11)는 장방 형상을 갖는 판상체로서 그 주연부에는 나사 결합에 의하여 체결 플레이트(11)를 기중 차단기의 본체에 고정 결합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체결공(15)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접속자(12)는 체결 플레이트(11)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며, 체결 플레이트(11)의 두께 방향을 따라 소정의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속자(12)의 단부에는 접속자(12)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굴곡면(13)이 구비되어 있다.
핑거 모듈(40)이 접속자(12)에 결합된 후, 핑거 모듈(40)이 접속자(12)의 폭방향을 따라 유동하지 않도록 접속자(12)의 상단면에는 접속자(12)의 높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깊이를 갖는 복수의 단차턱(1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기중 차단기의 본체 내측에 체결 플레이트(11)가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고, 접속자(12)에는 핑거 모듈(40) 접촉자의 일측이 삽입되어 결합되며 핑거 모듈(40) 접촉자의 타측에는 차단기 터미널(30)이 선택적으로 삽입 및 인출되게 된다.
종래에는 통전을 위한 접속부가 체결 플레이트(11)와, 핑거 모듈(40) 및 차단기 터미널(30)의 3단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접속에 필요한 공간이 크고 복잡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통전에 필요한 접촉면적이 작아 발열이 상대적으로 크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차단기를 연결하는 3단 형식의 컨덕터 베이스 구조를 2단으로 단순화하여 접속에 필요한 공간을 축소시키도록 한 인출형 차단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후술되는 발명의 구성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설명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형 차단기는 본체 및 상기 본체가 인입출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크래들로 구성되는 인출형 차단기에 있어, 상기 차단기 본체 측에 마련된 접속자와, 상기 크래들 측에 마련되어 상기 접속자 내에 인입출 되며, 다수의 한 쌍의 핑거 접촉자와, 상기 다수의 핑거 접촉자의 외측을 커버하는 한 쌍의 접촉커버 및 상기 다수의 한 쌍의 핑거 접촉자 사이에 개재되는 차단기 터미널로 구성되는 접촉자 및 탄성을 가지며 양측으로 구부러져 상기 차단기 터미널 내에 구비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기 터미널의 판스프링 삽입구에 상기 판스프링이 삽입되고, 판스프링 고정 나사가 상기 판스프링의 중앙에 구비된 판스프링 고정구를 통해 상기 판스프링 삽입구의 내측에 구비된 판스프링 고정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판스프링 대신에 압축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핑거 접촉자는 일단 및 다른 일단에 각각 접촉자 회전중심 및 접촉자 이탈방지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자 회전중심이 상기 접촉커버의 접촉자 삽입구에 삽입되고 상기 접촉자 이탈방지 돌기는 상기 접촉커버의 접촉자 이탈방지 턱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속자의 인입 시, 상기 판스프링의 접촉자 접촉면은 상기 핑거 접촉자의 판스프링 접촉면에 맞닿아 상기 핑거 접촉자에 복귀력을 가하게 되며, 상기 접촉자 이탈방지 돌기와 상기 접촉자 이탈방지 턱에 의해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차단기 터미널은, 주연부에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판상의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두께 방향을 따라 소정의 높이로 돌출 형성되며, 그 측면에 상기 다수의 핑거 접촉자가 치합되는 접속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자의 인입 시, 상기 접속자의 인입 보조턱(접속자)이 상기 접촉커버의 인입 보조턱(접촉 커버)에 맞닿으면서 정렬이 이루어 진 후, 상기 접속자의 접속자 접촉면이 상기 핑거 접촉자의 외측 접촉면과 접촉하면서 상기 핑거 접촉자를 양쪽의 상기 접촉커버 사이 방향으로 눌러줄 수 있다.
이때, 상기 각각의 핑거 접촉자는 상기 접촉자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차단기 터미널의 중심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눌리게 되어 상기 핑거 접촉자의 판스프링 접촉면에 의해 상기 판스프링의 양측이 축쇄될 수 있다.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차단기 터미널 내에 구비되어 상기 접속자의 인입 시 상기 접속자를 고정시키며, 상기 접속자와 상기 접촉자를 통전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출형 차단기는 본체와 크레들의 전기적 접속에 필요한 공간을 축소시킴으로써 인출형 차단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접속 후 전기적 접속 면적을 증대하여 저항을 줄임으로써 접속부의 발열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인출형 차단기에 있어, 컨덕터 베이스와 핑거 모듈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컨덕터 베이스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출형 차단기의 구조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출형 차단기에 있어, 본체의 후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출형 차단기에 있어, 본체와 크레들의 통전을 위한 접속부 구조를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및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커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 터미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부의 인출 상태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사시도 및 평면도.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부의 인입 상태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사시도 및 평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출형 차단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소자(element)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 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출형 차단기의 구조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때, 도 3은 인입 상태의 인출형 차단기를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으며, 도 4는 인출 상태의 인출형 차단기를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출형 차단기에 있어, 본체의 후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출형 차단기(200)는 본체(210) 및 본체(210)가 인입출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크래들(220)로 구성될 수 있다.
크래들(220)은 배전반의 패널 등에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 일면이 개방된 수용부가 형성되어 본체(210)를 수용할 수 있다. 본체(210)는 크래들(220)에 인입된 상태로 작용하며, 필요에 따라 인출될 수 있다.
본체(210)의 외관에는 오프(OFF)/온(ON) 버튼(211, 212) 등이 구비되며, 그 하단에는 본체(210)의 인입출을 위한 인입출 패드 락(pad lock)(214)과 인입출 핸들 삽입구(215)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차단기의 일예로, 기중 차단기(air circuit breaker)는 저압 배전선로에 설치되어 공기를 소호 매질로 하여 송수전과, 절체(switchover) 및 정지 등을 계획적으로 수행하는 외에 과전류와, 단락 및 지락사고 등 이상전류 발생 시 회로를 차단하여 인명 및 부하기기를 보호하는 기기이다. 다만, 본 발명이 기중 차단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기중 차단기는 크게 고정형과 인출형으로 분류된다. 고정형 기중 차단기는 차단기 본체만 있으며 배전반 패널 내에 설치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인출형 기중 차단기(200)는 차단기 본체(210) 외에 차단기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크래들(220)이라는 외함이 있어 크래들(220) 내에 차단기 본체(210)가 수용되며, 필요 시 크래들(220)로부터 본체(210)가 인입출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인출형 기중 차단기(200)는 차단기 본체(210)가 크래들(220)로부터 인입정도에 따라 크게 3가지 위치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차단기(200)의 주회로와 제어회로가 모두 분리된 인출 위치(도 4 참조)와, 주회로는 분리되고 제어회로는 연결되는 시험 위치 및 주회로와 제어회로가 모두 연결되는 인입 위치(도 3 참조)로 구분된다. 이와 같은 차단기(200)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서 위치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위치 스위치는 통상 셀 스위치로 호칭된다.
차단기 본체(210)와 크래들(220)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단자는 차단기 본체(210)와 크래들(220)에 각각 마련되며, 전력회로의 전원 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부 단자와 전력회로의 부하 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하부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전력회로의 전원 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상부 단자에는 조정접점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회로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접점부가 연결되므로, 하부 단자 대비하여 발열이 많고 온도가 높은 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방열면적을 넓혀서 냉각효과를 높이고 통전 용량을 확대하는 측면에서 상부 단자(일 예로, 본체(210)의 상부 접속자(130a))의 접촉면적이 하부 단자(일 예로, 본체(210)의 하부 접속자(130b))의 접촉면적보다 넓게 구성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차단기 본체(210)는 단자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상부 단자로서 상부 접속자(130a)와, 하부 단자로서 하부 접속자(130b) 및 상부 접속자(130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고정접촉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고정접촉자에 접촉하는 위치와 고정접촉자로부터 분리되는 위치로 회동가능한 가동접촉자, 가종접촉자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접속되는 전기적 도체로 이루어진 지지 베이스, 지지 베이스와 하부 접속자(130b)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연결 도체, 가동접촉자를 접촉 위치 또는 분리 위치로 회전구동하는 개폐기구, 가동접촉자가 고정접촉자로부터 분리될 때 접점 간에서 발생하는 아크를 소호하도록 가동접촉자와 고정접촉자의 직 상부인 동시에 차단기 본체(2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소호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출형 차단기(200)의 단자는, 차단기 본체(210) 측에 마련된 본체 측 단자부인 상부 접속자(130a) 및 하부 접속자(130b)와, 크래들(220) 측에 마련되는 크래들 측 단자부인 상부 접촉자 및 하부 접촉자, 즉 상부 핑거 접촉자와 상부 차단기 터미널 및 하부 핑거 접촉자와 하부 차단기 터미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핑거 접촉자와 상부 차단기 터미널 및 하부 핑거 접촉자와 하부 차단기 터미널을 포함하는 상부 접촉자 및 하부 접촉자는 반드시 크래들(220) 측에 마련되어야 하고, 상부 접속자(130a) 및 하부 접속자(130b)는 반드시 차단기 본체(210) 측에 마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 반대로 상부 접촉자 및 하부 접촉자가 차단기 본체(210) 측에 마련되고, 상부 접속자(130a) 및 하부 접속자(130b)가 크래들(220) 측에 마련되는 변형 구성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출형 차단기(200)는 기존의 차단기를 연결하는 3단 형식의 컨덕터 베이스 구조를 2단으로 단순화하여 접속에 필요한 공간을 축소시켜 인출형 차단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접속 후 전기적 접속 면적을 증대하여 저항을 줄임으로써 접속부의 발열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출형 차단기의 접속부 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출형 차단기에 있어, 본체와 크레들의 통전을 위한 접속부 구조를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및 사시도이다. 이때, 도 7a 및 도 7b는 본체 측의 접속자 내에 크래들 측의 접촉자가 인입된 상태의 접속부 구조를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커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때, 도 8a는 내측에서 바라본 접촉커버의 구조를 예로 들어 보여주며, 도 8b는 외측에서 바라본 접촉커버의 구조를 예로 들어 보여주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 터미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출형 차단기의 단자는, 차단기 본체 측에 마련된 본체 측 단자부인 접속자(130)와, 크래들 측에 마련되는 크래들 측 단자부인 접촉자, 즉 핑거 접촉자(125)와 차단기 터미널(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차단기 터미널(110)의 판스프링 삽입구(113)에 판스프링(115)이 삽입되고, 판스프링 고정구(116)를 통해 판스프링 고정 나사(119)가 차단기 터미널(110)의 판스프링 고정부(114)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판스프링(115) 대신 압축 스프링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핑거 접촉자(125)의 접촉자 회전중심(127)이 접촉커버(120)의 접촉자 삽입구(123)에 삽입되고 접촉자 이탈방지 돌기(128)는 접촉커버(120)의 접촉자 이탈방지 턱(124)에 고정될 수 있다. 이후 접촉커버(120)가 차단기 터미널(110)과 접하여 놓여질 수 있다.
접촉자 회전중심(127)은 핑거 접촉자(125)의 일단에 구비되며, 접촉자 이탈방지 돌기(128)는 핑거 접촉자(125)의 다른 일단에 구비될 수 있다.
동일한 방법으로 양쪽 각 5개의 핑거 접촉자(125)가 놓여지고, 접촉 커버 조립 나사(129)에 의해 차단기 터미널(110)의 접촉커버 고정부(117)에 조립될 수 있다. 이때, 판스프링(115)의 접촉자 접촉면은 핑거 접촉자(125)의 판스프링 접촉면에 맞닿아 핑거 접촉자(125)에 복귀력을 가하게 되며, 접촉자 이탈방지 돌기(128)와 접촉자 이탈방지 턱(124)에 의해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차단기 터미널(110)은 주연부에 복수의 체결공(118)이 형성된 판상의 베이스 플레이트(111)와,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두께 방향을 따라 소정의 높이로 돌출 형성되며, 그 측면에 핑거 접촉자(125)가 치합되는 접속 플레이트(1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1)는 장방 형상을 갖는 판상체로서, 그 주연부에는 나사 결합에 의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11)를 크래들에 고정 결합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체결공(118)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접속 플레이트(112)는 베이스 플레이트(111)와 거의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며, 베이스 플레이트(111)의 폭방향을 따라 소정의 높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판스프링 삽입구(113)는 차단기 터미널(110)의 접속 플레이트(112) 내에 구비되며, 판스프링 고정구(116)는 "⊃" 형태의 판스프링(115)의 중앙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판스프링 고정부(114)는 판스프링 삽입구(113) 내면 중 접속자(130) 측의 내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 형태의 접속자(130)의 내측에는 핑거 접촉자(125)의 외측 접촉면과 접촉하는 접속자 접촉면(131)이 구비되며, 그 단부에는 접속자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인입 보조턱(접속자)(132)이 구비될 수 있다.
병렬 회로를 형성하여 전기적인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접속자(130)는 폭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두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출형 차단기의 단자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차단기 본체의 인출 위치로부터 인입 위치로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부의 인출 상태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차단기 인입 시에는 접속자(130)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동 시 처음으로 접속자(130)의 인입 보조턱(접속자)(132)이 접촉커버(120)의 인입 보조턱(접촉 커버)(126)에 맞닿으면서 정렬이 이루어 진 후, 접속자(130)의 접속자 접촉면(131)이 핑거 접촉자(125)의 외측 접촉면과 접촉하면서 핑거 접촉자(125)를 양쪽의 접촉커버(120) 사이 방향으로 눌러주게 된다.
이때, 핑거 접촉자(125)는 접촉자 회전중심(127)을 기준으로 하여 차단기 터미널(110)의 중심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눌리게 되어 핑거 접촉자(125)의 판스프링 접촉면에 의해 판스프링(115)이 축쇄된다.
인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핑거 접촉자(125)의 내측접촉면과 차단기 터미널(110)의 터미널 접촉면이 접촉되고, 핑거 접촉자(125)의 접촉자 회전중심(127)과 접촉 커버(120)의 접촉자 접촉면(124)이 접촉되어 통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전류 통전 시 전자 반발력으로 인해 핑거 접촉자(125)가 접속자(130)의 접속자 접촉면(131)에서 떨어지려고 하는 힘이 발생되는데, 이 힘은 축쇄된 판스프링(115)의 힘에 의해 견딜 수 있게 된다. 도 12a 및 도 12b는 위에서 설명한 인입이 완료되어 차단기 터미널(110)과 접속자(130)가 통전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다.
즉,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부의 인입 상태를 예로 들어 보여주는 사시도 및 평면도로써, 인출은 앞서 설명한 것과 반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110 : 차단기 터미널 111 : 베이스 플레이트
112 : 접속 플레이트 113 : 판스프링 삽입구
114 : 판스프링 고정부 115 : 판스프링
116 : 판스프링 고정구 120 : 접촉커버
123 : 접촉자 삽입구 124 : 접촉자 이탈방지 턱
125 : 핑거 접촉자 126 : 인입 보조턱(접촉 커버)
127 : 접촉자 회전중심 128 : 접촉자 이탈방지 돌기
130 : 접속자 131 : 접속자 접촉면
132 : 인입 보조턱(접속자) 200 : 인출형 차단기
210 : 본체 220 : 크래들

Claims (9)

  1. 본체 및 상기 본체가 인입출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크래들로 구성되는 인출형 차단기에 있어,
    상기 차단기 본체 측에 마련된 접속자;
    상기 크래들 측에 마련되어 상기 접속자 내에 인입출 되며, 다수의 한 쌍의 핑거 접촉자와, 상기 다수의 핑거 접촉자의 외측을 커버하는 한 쌍의 접촉커버 및 상기 다수의 한 쌍의 핑거 접촉자 사이에 개재되는 차단기 터미널로 구성되는 접촉자; 및
    탄성을 가지며 양측으로 구부러져 상기 차단기 터미널 내에 구비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인출형 차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 터미널의 판스프링 삽입구에 상기 판스프링이 삽입되고,
    판스프링 고정 나사가 상기 판스프링의 중앙에 구비된 판스프링 고정구를 통해 상기 판스프링 삽입구의 내측에 구비된 판스프링 고정부에 고정되는 인출형 차단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 대신에 압축 스프링이 사용되는 인출형 차단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핑거 접촉자는 일단 및 다른 일단에 각각 접촉자 회전중심 및 접촉자 이탈방지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자 회전중심이 상기 접촉커버의 접촉자 삽입구에 삽입되고 상기 접촉자 이탈방지 돌기는 상기 접촉커버의 접촉자 이탈방지 턱에 고정되는 인출형 차단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자의 인입 시,
    상기 판스프링의 접촉자 접촉면은 상기 핑거 접촉자의 판스프링 접촉면에 맞닿아 상기 핑거 접촉자에 복귀력을 가하게 되며, 상기 접촉자 이탈방지 돌기와 상기 접촉자 이탈방지 턱에 의해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는 인출형 차단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 터미널은,
    주연부에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판상의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두께 방향을 따라 소정의 높이로 돌출 형성되며, 그 측면에 상기 다수의 핑거 접촉자가 치합되는 접속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출형 차단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자의 인입 시,
    상기 접속자의 인입 보조턱(접속자)이 상기 접촉커버의 인입 보조턱(접촉 커버)에 맞닿으면서 정렬이 이루어 진 후, 상기 접속자의 접속자 접촉면이 상기 핑거 접촉자의 외측 접촉면과 접촉하면서 상기 핑거 접촉자를 양쪽의 상기 접촉커버 사이 방향으로 눌러주는 인출형 차단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핑거 접촉자는 상기 접촉자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차단기 터미널의 중심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눌리게 되어 상기 핑거 접촉자의 판스프링 접촉면에 의해 상기 판스프링의 양측이 축쇄되는 인출형 차단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차단기 터미널 내에 구비되어 상기 접속자의 인입 시 상기 접속자를 고정시키며, 상기 접속자와 상기 접촉자를 통전시키는 인출형 차단기.
KR1020170034902A 2017-03-20 2017-03-20 인출형 차단기 KR201801065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902A KR20180106504A (ko) 2017-03-20 2017-03-20 인출형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902A KR20180106504A (ko) 2017-03-20 2017-03-20 인출형 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504A true KR20180106504A (ko) 2018-10-01

Family

ID=63877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902A KR20180106504A (ko) 2017-03-20 2017-03-20 인출형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650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4174B2 (en) Fused disconnect switch with terminal opening cover
US8333600B2 (en) Electrical system having withdrawable electrical apparatus and shutter assembly
KR20150044298A (ko) 고압배전반 변압기실 도어 인터록 장치
US10580597B2 (en) High current, compact fusible disconnect switch with dual slider bar actuator assembly
US8465305B2 (en) Electrical system having withdrawable electrical apparatus and shutter assembly with ramped engagement surfaces
CN109155211B (zh) 采用机电触点和电力电子装置的混合mccb
US10811209B2 (en) Switching mechanism of circuit breaker
US20120199557A1 (en) Flexible shunt for vacuum circuit breaker
KR100937296B1 (ko) 누전 차단기
US20230343526A1 (en) High current, compact fusible disconnect switch with dual slider assembly and an actuator bias element
KR20180106504A (ko) 인출형 차단기
WO2024000770A1 (zh) 继电器
EP2204826B1 (en) Elastic Pressing Unit and Molded Case Circuit Breaker Having the Same
US20190035568A1 (en) Circuit breaker accessory cover interlock and forced safety tripping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KR101700576B1 (ko) 회로차단기
KR20110131753A (ko) 회로차단기
CN219677177U (zh) 介电测试开关及断路器
US20220384134A1 (en) Trip device
KR101667257B1 (ko) 단락 b 접점구조체
KR102094107B1 (ko) 에너지 저장 장치용 직류 2극 접촉기
CA3027010C (en) Hybrid mccb employing electromechanical contacts and power electronic devices
KR20160134937A (ko) 회로 차단기
KR20120074963A (ko) 전자접촉기의 단자 접속 장치
KR20080022052A (ko) 회로 차단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