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6300A - Knockdown type pollen for landscaping - Google Patents

Knockdown type pollen for landscap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6300A
KR20180106300A KR1020170034417A KR20170034417A KR20180106300A KR 20180106300 A KR20180106300 A KR 20180106300A KR 1020170034417 A KR1020170034417 A KR 1020170034417A KR 20170034417 A KR20170034417 A KR 20170034417A KR 20180106300 A KR20180106300 A KR 20180106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unting
pedestal
fixing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44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07876B1 (en
Inventor
김병섭
Original Assignee
품앗이화훼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품앗이화훼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품앗이화훼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170034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7876B1/en
Publication of KR20180106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3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8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7Pots connected in horizontal ro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06Labels or label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lan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werpot for use in landscape decorations used to decorate surroundings of roads, medians, or various event venues in an environmental-friendly way. A plurality of frames (10) having legs (12) contacting the ground formed on the bottom,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4) formed at left and right sides in the lateral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and mounting grooves (16) formed in upper portions of the legs (12); a plurality of cross bars (20) penetrating horizontally through the through holes (14) formed at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frames (10) and forming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pot frame; a plurality of pedestals (30) horizontally mounted on the mounting grooves (16) of the frames (10); an inner pots (40) positioned above the pedestals (30).

Description

경관 조성용 조립식 화분{Knockdown type pollen for landscaping}{Knockdown type pollen for landscaping}

본 발명은 도로의 인도나 중앙 분리대 또는 각종 행사장의 주변을 환경친화적으로 치장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경관 조성용 조립식 화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tting plant for landscape composition used to decorate environmentally friendly areas such as a road leading, a median wall or various event sites.

일반적으로 도로의 인도나 중앙분리대 등은 화단을 직접 조성하여 초화나 수목을 식재하여 관리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화단 조성을 위한 토목공사비용에 대한 부담이 크고, 공사 기간동안 교통정체도 수반되는 단점이 있다.Generally, roads and medians are managed by planting flower beds and planting trees and trees. In this case, there is a great burden on civil engineering expenses for the formation of flower beds,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raffic congestion is accompanied during the construction period have.

한편, 이와 같이 화단이 없는 도로의 인도나 중앙분리대 또는 각종 행사장이나 공원 등의 삭막한 장소에 경관을 친환경적으로 수려하게 조성하기 위해서 이동 설치가 가능한 경관 조성용 화분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관 조성용 화분은 화분 틀 내부에 여러 개의 중대형 화분을 내부에 설치하고 지속적으로 급수가 가능하도록 하부에 급수조나 물받이 또는 흙받이를 설치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make environmentally friendly landscapes in poor places such as roads without flower beds, mediocre or various events or parks, landscape pots for landscape construction are installed. Several medium- and large-sized pots are installed inside the frame, and a water supply tank, a water tray or a fountain is installed at the bottom to continuously supply water.

이와 같은 경관 조성용 화분에 관련된 기술로는 특허문헌 1 내지 4가 개시되어 있다. 이 중 특허문헌 1은 조립식 화단으로, 화단을 조성하고자 하는 장소에서 직접 조립하여 화단을 조성할 수 있고,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따라 화단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보관시에는 그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건물의 외벽에 지지되도록 설치하여야 하는 한계가 있고, 그 외형도 계단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다양한 장소에서의 활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Patent literatures 1 to 4 disclose technologies related to such a flower pot for landscape composition.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method for fabricating a flower bed by directly assembling a flower bed at a place where a flower bed is to be formed by using a prefabricated flower bed and adjusting the length of a flower bed according to a place where the flower bed is to be installed, However, there is a limit in that it must be installed to be supported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and its external shape is also stepped, which makes it difficult to utilize it in various places.

특허문헌 2는 도로용 화분으로, 행사용 깃발을 꽂을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지자체 등의 행사시 전봇대에 깃발을 꽂지 않고 도로용 화분 중앙에 꽂음으로써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화분의 외관이 통목을 귀틀집 벽면과 같은 형태로 즉, 정(井)자로 조립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디자인상으로 신선한 느낌이 없고 미관이 다소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으며, 공장에서 완전한 조립체로 조립한 후 이를 설치장소까지 운반하여 설치하여야 하므로 부피가 커서 물류비가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Patent Document 2 is a road pollen which is designed to be able to put flags for events,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by inserting flags into the center of the pollen for roads without putting flags on the poles in the event of the local government etc., It has the same shape as the wall of the house, that is, it is assembled with the well, so there is no feeling of freshness in design, and the aesthetic appearance is somewhat deteriorated. It is assembled from the factory into a complete assembly, I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requires a large volume and a large distribution cost.

특허문헌 3은 홍수방어기능을 갖는 간이 화단으로, 평상시에는 조경수의 화분 또는 방재용품(물 등)의 저장고로서의 역할을 하면서도 홍수시에는 차수판을 끼워 넣는 것에 의해 차수벽을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Patent Document 3 is a simplified flowerboard having a flood defending function, and serves as a reservoir for flower pots of landscape water or ordinarily waterproof goods (water, etc.) at ordinary times, and can form a water wall by inserting a water level plate at the time of flood.

특허문헌 4도 특허문헌 2와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각목을 정(井)자로 조립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미관이 다소 떨어진다는 단점과 이의 조립을 일일이 공장에서 처음부터 끝까지 조립한 후 이를 설치장소까지 운반하여 설치하여야 하므로 물류비가 많이 소요된다는 공통적인 단점이 있다.Patent Document 4 is also formed in a similar manner to Patent Document 2. This is a disadvantage in that aesthetics are somewhat deteriorated due to the fact that the respective members are assembled in a well, and each of them is assembled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the factory, So that it takes a lot of logistics costs.

한국등록특허 제10-0619274호(2006.08.25.등록) 조립식 화단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619274 (registered on August 25, 2006) 한국등록특허 제10-1038682호(2011.05.27.등록) 도로용 화분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038682 (Registered May 27, 2011.) Pollen for road use 한국등록특허 제10-1424107호(2014.07.22.등록) 홍수방어용 간이화단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424107 (Registered on July 22, 2014) 한국등록특허 제10-1530433호(2015.06.15.등록) 격자구조로 형성된 화분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530433 (Registered on June 15, 2015) Pollen formed in a grid structur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장시간 외부 환경에 노출되더라도 부식이나 변형이 적고, 보행자의 부주의한 행동이나 자동차 등의 충돌시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 내구성을 갖는 경관 조성용 조립식 화분을 제공하는 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mping material which is less susceptible to corrosion or deformation even when exposed to an external environment for a long period of time, To provide a planting pot for landscape composition.

둘째, 본 발명은 외관이 수려하고, 이의 설치와 해체가 신속 용이하며, 운반시 부피를 적게 차지하여 물류비의 절감이 가능한 경관 조성용 조립식 화분을 제공하는 데 있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anular flowerpot for landscape composition that is easy to install and disassemble quickly, has a small volume during transportation, and can reduce distribution cost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에 지면에 닿는 다리가 형성되고, 좌우측에 측방향으로 복수의 관통공이 상하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리의 내측 상부에는 거치홈이 형성된 복수의 프레임과;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leg which is in contact with a groun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at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at regular intervals; and;

상기 프레임의 좌우측에 형성된 관통공에 수평방향으로 관통 설치되어 전,후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가로대와;A plurality of cross bars extending horizontally through the through holes formed at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frame to form front and rear surfaces;

상기 프레임의 거치홈에 수평방향으로 거치되는 복수의 받침대와;A plurality of pedestals horizontally mounted on the mounting grooves of the frame;

상기 받침대 위에 안치되는 내부 화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관 조성용 조립식 화분을 제공한다.And an inner flowerpot to be placed on the pedestal.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프레임을 이격시킨 상태에서 좌우측에 가로대를 관통시켜 전후면을 형성하고, 내측 하부에 받침대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화분틀이 조립되고, 이 화분틀 내측에 내부 화분을 안치하는 것에 의해 화분의 설치가 완료되므로 각 구성요소를 완전히 넉다운 상태로 해체하여 운반할 수 있어 운반이 편리하고, 현장에서도 위와 같이 가로대와 받침대를 끼움 설치하는 것에 의해 화분틀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으므로 이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며, 그 외관이 단순하지만 그간 한 번도 보지 못했던 신선한 디자인으로 이루어져 있어 새로운 느낌을 주게 되므로 수려한 경관 조성이 가능하고, 내부 화분도 흙받이와 물받이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사용하거나 물받이와 흙받이가 별도로 된 일반 화분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도로의 삭막한 인도나 중앙분리대 또는 공원이나 행사장 등 여러 장소의 경관을 우수하게 조성하는데 일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es are assembled by inserting the crossbars into the left and right sides in a state where the fram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the front and rear faces, and the pedestal is provided on the inner lower portion, Since the installation of pollen is completed, each component can be dismantled and transported in a completely knocked down state, so that it is easy to carry. Also, since the pole frame can be assembled quickly and easily by installing the cross bar and the pedestal as above, It is easy to dismantle and its appearance is simple but fresh design that has never been seen before makes a new impression, so it is possible to create a beautiful landscape. Also, the inside pollen can be used with the fender and water- You can use all of the common pots with separate pots Ryeomhan cost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contribute to creating superior to the views of many places, such as in India and bleak median or the park or the venue of the roa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경관 조성용 조립식 화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경관 조성용 조립식 화분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화분의 일부 분해상태도,
도 4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내부 화분의 분리상태 사시도,
도 6은 메인 프레임의 내부 형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경관 조성용 조립식 화분의 일부 분해상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경관 조성용 조립식 화분의 측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anular pot for a landscape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granular pot for use in landscape composition shown in Fig. 1,
Fig. 3 is a partially decomposed state of the pot shown in Fig. 1,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1,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inner pot shown in Fig. 3,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hape of the main frame,
7 is a partially decomposed state diagram of a granular pot for landscape compos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granular potting composition for landscape composition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경관 조성용 조립식 화분이 도시되어 있다.1 to 6 show a granular flower pot for landscape composi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 예에 의한 경관 조성용 조립식 화분(1)은 하부에 지면에 닿는 다리(12)가 형성되고, 좌우측에 측방향으로 복수의 관통공(14)이 상하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리(12)의 내측 상부에는 거치홈(16)이 형성된 복수의 프레임(10)과;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4 are vertically formed at upper and lower parts in the lateral direction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 legs 12 A plurality of frames 10 having a mounting groove 16 formed on an inner upper portion thereof;

상기 프레임(10)의 좌우측에 형성된 관통공(14)에 수평방향으로 관통 설치되어 화분틀의 전,후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가로대(20)와;A plurality of cross bars (20) penetrating horizontally through the through holes (14) formed at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frame (10) to form front and rear faces of the poles;

상기 프레임(10)의 거치홈(16)에 수평방향으로 거치되는 복수의 받침대(30)와;A plurality of pedestals (30) horizontally mounted on the mounting grooves (16) of the frame (10);

상기 받침대(30) 위에 안치되는 내부 화분(4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And an inner flower pot (40) placed on the pedestal (30).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프레임(10)은 금속 주물로 제작되거나 합성수지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는데, 이는 그 위에 설치되는 가로대(20)와 내부 화분(40) 및 화분 내부의 흙과 수분 및 화초나 수목의 하중을 모두 지지하게 되므로 구조적으로 견고하여야 함은 물론, 프레임(10)의 측면은 그대로 외부로 노출되므로 미관도 고려하여 장식부(11)가 일체로 형성된 알루미늄이나 주철 등과 같은 금속 주물로 제작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n this embodiment, the frame 10 can be made of a metal casting or a synthetic resin injection molding, which includes a cross bar 20 installed thereon, an inner pot flower 40, soil and moisture inside the pot, Since the side surface of the frame 10 is exposed to the outside as it is, the decorative part 11 is made of a metal casting such as aluminum or cast iron which is integrally formed in consideration of aesthetics. It is more preferable to produce the film.

한편, 상기 장식부(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임(10)과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화분의 설치지역이나 설치 장소에 따라서 또는 주문자의 다양한 요구에 따라서 다양한 디자인 패턴을 적용할 수 있도록 끼움조립식으로 제작하여 프레임(10)의 내측에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decorative part 11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rame 10 as described above. However, the decorating part 11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rame 10 so that various design patterns can be appli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area of the flowerpot, It is of course possible to provide the frame 10 in the form of a prefabricated structure.

또,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프레임(10)의 중간부위에는 깃대 등을 꽂을 수 있도록 꽂이 구멍(13)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꽂이 구멍(13)의 하부에는 깃대(P)의 이탈 및 회전방지를 위한 고정나사(15)가 측부에 체결되도록 되어 있으며, 프레임(10)의 하부측에는 상기 깃발(P)의 하단부가 끼움고정되는 고정돌기(13a)가 형성되어 있어 국경일에는 태극기 깃발을 꽂을 수 있고, 각종 행사시에는 행사를 알리는 깃발을 꽂아 행사 분위기를 고조시킬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staple hole 13 is vertically formed at the middle portion of the frame 10 so that a flagpole or the like can be stitched thereon.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taple hole 13, And a fixing screw 15 for preventing rotation are fastened to the side portion of the frame 10. A fixing protrusion 13a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rame 10 to fix the lower end of the flag P to the fixing protrusion 13a, It can be plugged in, and at various events, the flag can be inserted to raise the event atmosphere.

또, 상기 프레임(10)은 상부로 확장되는 사다리꼴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가로대(20)가 연결 설치된 상태에서도 내측에 내부 화분(40)의 삽입과 인출시 여유공간이 확보되어 작업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rame 10 is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extending upward, a space is secured when inserting and pulling out the inner pot 40 in the inner side even when the cross bar 20 is connected.

또, 상기 프레임(10)의 다리(12)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의 움직임이나 넘어짐을 방지함과 아울러 화분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닥에 앵커 또는 스터드를 체결할 수 있는 구멍(12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14)의 측부에는 가로대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나사나 못을 체결하는 고정구멍(14a)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6, the leg 12 of the frame 10 is provided with a hole 12a (see FIG. 6) that can fasten an anchor or a stud to the floor to prevent the pollen from moving or falling, And a fixing hole 14a for fixing a screw or a nail for preventing the flow of the cross bar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through hole 14. [

상기 구멍(12a)은 프레임을 주물로 제작시 용이한 성형을 위하여 측방향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정구멍(14a)은 도면상으로는 관통공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구멍(12a)과 같은 방식으로 측방향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hole 12a is preferably formed in a laterally open form for easy molding of the frame. The fixing hole 14a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hrough hole in the drawing, but the hole 12a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opening in the lateral direction in the same manner as that of FIG.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프레임(10)의 관통공(14)은 2×4규격(38mm×89mm)의 구조목을 가로대(20)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로대(20)로 다양한 규격의 구조목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 가로대(20)는 천연 구조목(방부목이나 일반 구조목)은 물론, 합성 목재나 압출 성형된 비철금속 관재 또는 각재를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rough hole 14 of the frame 10 is designed to use a structural frame of 2 x 4 size (38 mm x 89 mm) as the crosspiece 2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is also possible to use various types of structural members as the structural member 20, and the cross member 20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wood or an extruded non-ferrous metal pipe or grooved member as well as a natural structural member Of course.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프레임(10)은 금속재질이고, 가로대(20)는 목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금속의 차가운 느낌과 목재의 따뜻한 느낌이 조화되어 금속 또는 목재의 단일 소재로만 제작된 화분틀과 비교할 때 질감의 조화로 인한 공간감과 입체감이 부각되는 것은 물론, 지면에 접촉하는 프레임(1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기능적인 면에서도 내수성 및 내오염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고, 목재로만 구성될 경우에 비해 견고한 느낌을 부여하며, 금속재로만 구성된 경우에 비해 자연친화적인 느낌을 준다.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frame 10 is made of a metal and the cross bar 20 is made of wood, the cold feeling of the metal and the warm feeling of the wood are harmonized so that compared with a metal frame made only of a single metal or wood material The space 10 and the frame 10 contacting with the ground are made of a metal material, which is advantageous in terms of water resistance and stain resistance even in terms of function. In addition, Gives a feeling of nature-friendly feeling compared to the case of being made of a metal material.

한편, 본 실시 예에서, 거치홈(16)은 2단으로 형성되어 있어 화분의 크기나 높이 또는 화분에 식재된 초목류의 크기나 종류에 따라서 화분의 안치 높이를 다르게 할 수도 있고, 물받이가 따로 구비된 화분의 경우에는 물받이를 하부의 거치홈에 안치된 받침대 위에 올리고 화분은 상부의 거치홈에 안치된 받침대 위에 올려서 사용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he mounting grooves 16 are formed in two stages, so that the height of the pollen can be mad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ize and height of the pollen or the size or type of the plant flow planted in the pollen, In the case of the pots provided, the water receptacle may be placed on a pedestal resting on the lower pedestal and the pollen may be placed on a pedestal rested in the pedestal of the pedestal.

상기 가로대(20)는 상하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어 자재의 절감이 가능함은 물론, 화분틀의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가로대(10)의 길이를 상부로 갈수록 길게 즉, 좌우로 점차적으로 길게 형성함으로써 우리나라 전통의 선박인 판옥선(板屋船)이나 방주(方舟)와 같은 선박을 연상하게 함으로써 전통적인 모티브이면서도 기존에는 전혀 볼 수 없었던 새로운 디자인의 화분틀을 제공할 수 있다.Since the cross bar 20 is vertically spac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terial and ensure the ventilating ability of the barrel frame. The length of the cross bar 10 is gradually increased toward the upper side By making it long, it is possible to provide a new design potted frame which is a traditional motive but can not be seen at all by making it reminiscent of a vessel such as a traditional ship such as a pan-ship or an ark.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가로대(20의 내측에는 길다란 가로대(20)의 간격을 상하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50)가 설치되는데, 이는 프레임(10)의 이격 간격이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목재 등으로 이루어진 가로대(20)의 중간 부분이 처짐이 발생하거나 목재의 경우 조립 이후 수분함량의 변화 등에 의해 뒤틀림이 발생함으로써 상,하 이격배치된 가로대(20) 사이의 간격이 달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나사구멍(52)과 단턱(54)이 형성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spacer 50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crosspiece 20 so as to keep the gap of the long crosspiece 20 constant up and dow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rames 10 is long, In order to prevent the gap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rosspieces 20 from being changed due to the occurrence of sagging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crosspiece 20 made of wood or the like and the distortion due to the change in moisture content after the assembly in the case of wood, A hole 52 and a step 54 are formed.

또, 상기 스페이서(50)의 하단부에는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짧은 받침대(32)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턱(5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거치턱(56)에 거치된 받침대(32) 위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길다란 받침대(30)가 지지되어 받침대(30)의 중간부가 처지는 것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A mounting step 56 for mounting the short pedestal 32 provid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pacer 50. The pedestal 32 mounted on the mounting step 56 is vertically So that the middle portion of the pedestal 3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agged.

상기 스페이서(50)는 좌우측 프레임(10) 사이를 균분하는 위치에 복수개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he spacers 50 are disposed at positions which balance the left and right frames 10.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내부 화분(40)은 흙받이와 물받이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도 3의 단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내부 화분(40)의 하부에서 소정 높이의 전,후 측면(41)에 배수공(42)이 수평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형성되어 있고, 좌우 측면(43)에는 상기 배수공(42)의 높이에 거치턱(44)이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면(45)에는 상기 거치턱(44)에 상단이 거치된 경사 칸막이(46)의 하단이 끼움고정되는 고정홈(4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경사 칸막이(46)의 경사면에는 흙은 통과되지 않고 물은 통과될 수 있는 크기의 통수공(48)이 형성되어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ner pot 4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ender and the water pan, 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3, in the lower part of the inner pot 40, 41 and a plurality of drain holes 42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43.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43 are formed with mounting holes 44 at the height of the drain hole 42, A fixing groove 47 is formed in the mounting tongue 44 for fixing and fixing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partition 46 with the upper end thereof being fixed to the mounting tongue 44. Water is allowed to pass through the slope of the inclined partition 46 A water supply hole 48 having a size that can be used as a water supply hole is formed.

상기 경사 칸막이(46)의 좌우측단은 내부 화분(40)의 전,후 측면(41)에 밀착되게 안치되며, 내부 화분(40)의 내측에 흙(인공상토 등)을 채우고 식물을 식재한 후 물을 공급하게 되면 흙 속에 충분히 유입되고 난 후 잉여의 물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상기 경사 칸막이(46)의 통수공(48)을 통해 물 저장공간(S)에 저장되게 되며, 시간의 경과에 의해 식재된 초목의 증산작용과 흙 자체의 수분 증발에 의해 흙 내부의 수분이 부족하게 되면 상기 물 저장 공간(S)에 채워져 있던 물이 통수공(48)을 통해 다시 내부 화분(40) 내측의 흙으로 유입되어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게 됨으로써 장시간동안 관수를 하지 않아도 초목류가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은 물론 흙받이와 물받이를 따로 설치하여 관리하지 않아도 된다.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inclined partition 46 are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and rear sides 41 of the inner pots 40. The inner pots 40 are filled with soil (artificial soil, etc.) After the water is sufficiently supplied into the soil, surplus water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but is stor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S through the water hole 48 of the inclined partition 46,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S is returned to the inside of the inner flowerpot 40 through the water supply hole 48. In this case, As the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soil, the water is kept in a healthy condition without watering for a long time, and the fenders and the water tray need not be separately installed and managed.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의한 경관 조성용 조립식 화분이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다.A composite flowerpot for landscape composi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s. 7 and 8. Fig.

본 실시 예도 기본 구성은 상술한 제 1실시 예와 동일하며, 다만, 내부 화분(40)이 물받이(60)와 별도로 이루어져 있고, 프레임(10)의 다리 내측 하부에도 별도의 물받이(60)와 내부 화분(40)을 각각 받쳐주기 위한 받침대(30,30')가 2단으로 형성되어 있는 차이점만 있다.The inner pot 40 is separate from the water receptacle 60 and the lower inner bottom portion of the frame 10 has a separate water receptacle 60 and an inner pot 60. In this embodiment, The pedestals 30 and 30 'for supporting the pots 40 are formed in two stages.

도면 중 부호 32'는 상기 하부의 받침대(30')를 지지하기 위한 짧은 받침대이다.Reference numeral 32 'denotes a short pedestal for supporting the lower pedestal 30'.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물받이(60)와 화분(40) 사이에는 수분의 공급을 위한 심지 또는 수태(도시 생략됨) 등을 연결하여 건조기에 물받이(60)에 고여있던 물을 화분(40)으로 공급함으로써 초목류가 고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wick or impregnation (not shown) for supplying water is connected between the water receptacle 60 and the flowerpot 40 so that the water in the flowerpot 60 is sprayed to the dryer 4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egetation flow from being damaged.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경관 조성용 조립식 화분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 프레임에 목재 등으로 이루어진 가로대가 끼움 결합되는 것에 의해 조립이 되므로 간편한 조립과 해체가 가능하여 이의 운반 및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고, 프레임과 가로대의 결합구조도 견고하고, 프레임은 콘크리트 바닥이나 인도 등의 지면에 스터드 볼트 등으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 이의 움직임이나 넘어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도난사고도 방지할 수 있으며, 화분틀의 외형 또한 기존에는 볼 수 없었던 독특한 판옥선 또는 방주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경관조성에 일조할 수 있고, 내부 화분도 흙받이와 물받이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어 빈번한 관수를 하지 않아도 식물이 건강한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이의 유지관리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granular potting material for landscap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by interposing a cross bar made of wood or the like into a metal or synthetic resin frame so that it can be easi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thereby facilitating its transportation,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And the frame and the frame are firm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rame can be firmly fixed to the ground such as a concrete floor or a ledge with a stud bolt, so tha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movement and fall of the frame, And the outer shape of the pollen frame can be used as a unique form of pampasoon or ark that was not seen before, so that it can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the landscape. Also, since the inner pollen and the fountain and the water pan are integrally formed, Because this healthy state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Management also has advantages such as that can be easily performed.

1 : 경관 조성용 조립식 화분
10 : 프레임
12 : 다리
12a : 구멍
13 : 꽂이 구멍
13a : 고정돌기
14 : 관통공
14a : 고정구멍
15 : 고정나사
16 : 거치홈
20 : 가로대
30,30' : 받침대(종방향)
32.32' : 받침대(횡방향)
40 : 내부 화분
41 : 전,후 측면
42 : 배수공
43 : 좌우 측면
44 : 거치턱
45 : 바닥면
46 : 경사칸막이
47 : 고정홈
48 : 통수공
50 : 스페이서
52 : 나사구멍
54 : 단턱
56 : 거치턱
P : 깃대
S : 물 저장공간
1: Potted plants for landscape composition
10: frame
12: Bridge
12a: hole
13: hole
13a: Fixing projection
14: Through hole
14a: Fixing hole
15: Securing screw
16: Mounting groove
20: Crossbar
30,30 ': Pedestal (longitudinal)
32.32 ': Pedestal (transverse)
40: Inner pollen
41: front and rear side
42: drainage
43: left and right sides
44: Mounting chin
45: bottom surface
46: inclined partition
47: Fixing groove
48: water ball
50: Spacer
52: Screw hole
54: step
56: Mounting chin
P: Flagstaff
S: Water storage space

Claims (7)

하부에 지면에 닿는 다리(12)가 형성되고, 좌우측에 측방향으로 복수의 관통공(14)이 상하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리(12)의 내측 상부에는 거치홈(16)이 형성된 복수의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좌우측에 형성된 관통공(14)에 수평방향으로 관통 설치되어 화분틀의 전,후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가로대(20)와;
상기 프레임(10)의 거치홈(16)에 수평방향으로 거치되는 복수의 받침대(30)와;
상기 받침대(30) 위에 안치되는 내부 화분(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관 조성용 조립식 화분.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4 are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ateral direction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a plurality of mounting grooves 16 ar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legs 12, (10);
A plurality of cross bars (20) penetrating horizontally through the through holes (14) formed at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frame (10) to form front and rear faces of the poles;
A plurality of pedestals (30) horizontally mounted on the mounting grooves (16) of the frame (10);
And an inner flower pot (40) placed on the pedestal (3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에는 깃발을 꽂을 수 있도록 꽂이 구멍(13)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꽂이 구멍(13)의 하부에는 깃대(P)의 이탈 및 회전방지를 위한 고정나사(15)가 측부에 체결되며, 상기 프레임(10)의 하부측에는 상기 깃발(P)의 하단부가 끼움고정되는 고정돌기(13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관 조성용 조립식 화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xing screw 15 for preventing release and rotation of the flagpole P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hole 13 in a side portion of the frame 10, , And a fixing protrusion (13a) for fixing the lower end of the flag (P) is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frame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20)는 구조목이나 합성 목재 또는 압출 성형된 비철금속 관재 또는 각재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관 조성용 조립식 화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 bar (20) is any one of structural wood, synthetic wood, extruded non-ferrous metal pipes or groov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관 조성용 화분은 가로대(20)의 내측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가로대(20)가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스페이서(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관 조성용 조립식 화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wer pot for landscape composition further comprises a spacer (50) vertical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cross bar (20) to maintain the cross bar (2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50)의 하단부에는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짧은 받침대(32)를 거치하기 위한 거치턱(56)이 형성되고, 이 거치턱(56)에 거치된 받침대(32) 위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길다란 받침대(30)가 지지되어 받침대(30)의 중간부가 처지는 것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관 조성용 조립식 화분.
The method of claim 4,
A mounting tongue 56 for mounting a short tongue base 32 provid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spacer 50 and a mounting tongue 56 is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a pedestal 32 mounted on the mounting tongue 56 Wherein the long pedestal (30) is supported so that the middle part of the pedestal (30) can be prevented from sagg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화분(40)은 흙받이와 물받이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관 조성용 조립식 화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pots (40) are integrally formed with a mudguard and a water tray.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내부 화분(40)은 하부에서 소정 높이의 전,후 측면(41)에 배수공(42)이 수평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형성되고, 좌우 측면(43)에는 상기 배수공(42)의 높이에 거치턱(44)이 형성되며, 바닥면(45)에는 상기 거치턱(44)에 상단이 거치된 경사 칸막이(46)의 하단이 끼움고정되는 고정홈(47)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 칸막이(46)의 경사면에는 흙은 통과되지 않고 물은 통과될 수 있는 크기의 통수공(48)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 칸막이(46)의 좌우측단은 내부 화분(40)의 전,후 측면에 밀착되게 안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관 조성용 조립식 화분.
The method of claim 6,
A plurality of drain holes 42 are horizont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front and rear sides 41 of the inner pot 40.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43 have a height And a fixing groove 47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45 for fixing the lower end of the inclined partition 46 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inclined partition 46 is fixed, A water hole 48 is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clined partition 46 so as to allow water to pass therethrough without passing through the soil and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inclined partition 46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inner pot 40 Wherein the planting pots are placed in the form of a pot.
KR1020170034417A 2017-03-20 2017-03-20 Knockdown type pollen for landscaping KR1019078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417A KR101907876B1 (en) 2017-03-20 2017-03-20 Knockdown type pollen for landscap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417A KR101907876B1 (en) 2017-03-20 2017-03-20 Knockdown type pollen for landscap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300A true KR20180106300A (en) 2018-10-01
KR101907876B1 KR101907876B1 (en) 2018-12-10

Family

ID=63877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417A KR101907876B1 (en) 2017-03-20 2017-03-20 Knockdown type pollen for landscap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7876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305B1 (en) * 2018-02-23 2019-05-20 농업회사법인지앤티주식회사 Flowerpot frame for landscaping
KR102264170B1 (en) * 2020-10-05 2021-06-11 (주)신성엔지니어링 Environmental-friendly green soundproof walls
WO2021201544A1 (en) * 2020-03-31 2021-10-07 주식회사 디이엔티 Tray for plant cultiva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8682B1 (en) * 2010-12-03 2011-06-02 김병섭 Road install flowerpot
KR101530433B1 (en) * 2013-10-02 2015-06-19 품앗이화훼영농조합법인 A flowerpot formed the grating structur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305B1 (en) * 2018-02-23 2019-05-20 농업회사법인지앤티주식회사 Flowerpot frame for landscaping
WO2021201544A1 (en) * 2020-03-31 2021-10-07 주식회사 디이엔티 Tray for plant cultivation
KR102264170B1 (en) * 2020-10-05 2021-06-11 (주)신성엔지니어링 Environmental-friendly green soundproof wal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7876B1 (en) 2018-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26891B (en) Structure pour mur vegetalise
KR101907876B1 (en) Knockdown type pollen for landscaping
US20060059838A1 (en) Modular, hollow construction building block and methodology of use
KR101035461B1 (en) Fence For Landscape architecture
KR101275618B1 (en) A Column Type Artificial Rock Mountain For Providing a Natural Beau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0520887B1 (en) Construction structure of fence of appartment house using synthetic panel
KR101996204B1 (en) Mountain garden and its formation method
KR100807771B1 (en) Block for lawn safeguard
KR200381716Y1 (en) Railing with flowerbed and advertisement mean
KR200381559Y1 (en) Hence with flowerbed and advertisement mean
KR100386467B1 (en) Dripping Type Flower Pot for Street Beautification
KR100927957B1 (en) Prefab Flower Bed
KR200420151Y1 (en) Fence For Landscape architecture
JP6882750B1 (en) A concrete pole made of plate material with dovetail grooves.
KR100790958B1 (en) Fence structure for apartment house
KR20060082574A (en) Hence with flowerbed and advertisement mean
KR100609611B1 (en) foundation structure of flower garden facilities for development house a environmentally
CN212641295U (en) Road isolation belt with flower box
CN216627961U (en) Ornamental type gardens embankment drainage bench
CN202276684U (en) Tree pool protective decorative grating
KR101657199B1 (en) Prefabricated flower sculptures for shield
KR101980305B1 (en) Flowerpot frame for landscaping
KR100619274B1 (en) Prefabricate flower bed
KR200295104Y1 (en) Four seasons flower tower system which is consists of flower pot or artificial flower
CN210122847U (en) Reinforced concrete slab column combined assembly type multifunctional landscape enclosure w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