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6215A - A set of markers for the lower body marking and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for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and a training method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using the set - Google Patents

A set of markers for the lower body marking and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for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and a training method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using the s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6215A
KR20180106215A KR1020170034009A KR20170034009A KR20180106215A KR 20180106215 A KR20180106215 A KR 20180106215A KR 1020170034009 A KR1020170034009 A KR 1020170034009A KR 20170034009 A KR20170034009 A KR 20170034009A KR 20180106215 A KR20180106215 A KR 20180106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yer
musical instrument
mark
keyboard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40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53967B1 (en
Inventor
송지혜
이지연
Original Assignee
송지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지혜 filed Critical 송지혜
Priority to KR1020170034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967B1/en
Priority to CN202211695527.1A priority patent/CN116071981A/en
Priority to CN201810218056.2A priority patent/CN108630174A/en
Publication of KR20180106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2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9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2Boards or like mean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not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2Boards or like mean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notes
    • G09B15/026Non-electrically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rk for playing a musical instrum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rk for playing a keyboard instrument, a string instrument, a wind instrument, or a percussion instrument, and more specifically, to a visual mark or a tactile sensation mark for playing a musical instrument, configured to provide information on manipulation of a player′s hand, torso, foot, mouth, or other body part, an anatomical posture of a specific body part associated with the manipulations, or the overall posture of the player, which is related to the anatomical posture, the information of which may have a great impact on the quality of performance, such as musical technique, musical expression, and others when the player plays the musical instrument. Als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sical note including one or more of the marks. Specifically, the mark is prepared to reflect the manipulation of the player′s body part or the anatomical posture of the body part to play a particular note or to implement a musical technique necessary to play the particular note or to implement a specific musical expression. The mark is also prepared to enable the player to recall the manipulation of the player′s body part and the anatomical posture for the same from the marks or annotations. Accordingly, the mark has the effect of enhancing the learning efficiency of the player.

Description

건반악기 연주용 하반신표식 및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 세트 및 이를 이용한 건반악기 연주 교육 방법{A set of markers for the lower body marking and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for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and a training method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using the set}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t of marks for playing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nd a method for teaching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us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teaching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using the same. instrument performance using the set}

본 명세서는 악기 연주용 표식에 관한 것으로, 건반악기 (일예로 피아노, 올갠 등과 같이 연주자가 건반을 손으로 조작하거나 페달을 발로 조작하여 음을 발생하는 악기), 현악기 (일예로 바이올린, 첼로, 기타 등과 같이 연주자가 현을 직접 손 또는 활로 조작하여 음을 발생하는 악기), 관악기 (일예로 플룻, 오보, 클라리넷 등과 같이 연주자가 입으로 공기를 진동시키며 키(key), 링 또는 홀 등을 조작하여 음을 발생하는 악기), 타악기 (일예로 북이나 드럼 등과 같이 연주자가 물체를 손, 스틱, 또는 발로 조작하여 음을 발생하는 악기) 등의 연주용 표식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명세서는 연주자가 상기 악기를 연주할 때 음악적 기교나 음악적 표현 등과 같은 연주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1] 연주자의 손 조작, 몸통 조작, 발 조작, 입 조작, 또는 기타 신체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2] 상기 조작과 관련된 특정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또는 [3] 상기 해부학적 자세와 관련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연주용 시각표식이나 연주용 촉각표식에 관한 것이며, 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악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markings for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and includes keyboard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such as a piano, a musical instrument, etc., in which a player manipulates the keyboard by hand or generates a sound by operating the pedal by foot), a string instrument (such as a violin, a cello, (For example, a musical instrument in which a player manipulates a string by hand or bow to produce a sound), a wind instrument (such as a flute, an oboe, or a clarinet, And a percussion instrument (e.g., a musical instrument such as a drum or a drum, in which a player generates a sound by manipulating an object with a hand, a stick or a foot)).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 musical instrument such as a musical instrument, musical expression, and the like which greatly influences the performance of the musical instrument when the player performs the musical instrument [1] Information on manipulation of the anatomical posture or information on the anatomical posture of the specific body part related to the manipulation, or [3] information on the overall attitude of the performer related to the anatomical posture, or the like Relates to a tactile mark for performance, or to a score comprising one or more of the markings.

특히 본 명세서의 다양한 표식은 [1] 특정 음을 연주하거나 이에 필요한 기교를 실행하기 위한 연주자의 손, 몸통, 발, 입 등 다양한 신체 부위의 조작 또는 해부학적 자세를 반영하거나, [2] 특정 음악적 표현을 구현하기 위한 연주자의 손, 몸통, 발, 입 등의 다양한 신체 부위의 조작 또는 해부학적 자세를 반영하거나, 또는 [3] 연주자가 상기 표식으로부터 또는 주석부로부터 상기 신체 부위의 조작 또는 이를 위한 해부학적 자세를 연상할 수 있도록 제작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악기 연주용 표식 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악보는 상기 표식에 따라 연주자가 상기 악기를 보다 용이하게 연주할 수 있도록 도모하는 방법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다양한 표식, 상기 표식에 포함되는 다양한 세부표식 또는 보조표식, 상기 표식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악보, 또는 상기 표식이나 악보를 제작하거나 또는 이를 이용하는 방법은 연주자가 상기 표식이나 악보를 이용하여 더욱 균일한 학습을 수행하거나, 이를 이용하여 더욱 다양한 기교를 실행하거나 음악적 표현을 구현하며 상기 악기를 연주할 수 있도록 도모한다.In particular, various indicia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to [1] reflect the manipulation or anatomical posture of various body parts, such as a player's hand, torso, foot, mouth, to play a particular note or perform the necessary skill, [2] Reflect the manipulation or anatomical posture of various body parts, such as the player's hand, torso, feet, mouth, etc., to implement the expression, or [3] to allow the player to manipulate or manipulate the body part Make an anatomical posture reminiscent. In addition, the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markings or the musical scores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mark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 a way to allow the player to play the musical instrument more easily according to the markings. Therefore, various marking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various detailed markings or auxiliary markings included in the markings, a score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markings, or a method for producing or using the mark or score may be determined by a player using the mark or score More uniform learning can be performed, or more various techniques can be performed or a musical expression can be realized and the musical instrument can be played.

악기는 건반악기, 현악기, 타악기, 관악기 등으로 구분되며, 연주자는 악보에 적혀진 음표나 기호에 따라 자신의 손이나 발을 이용하여 상기 악기를 조작함으로써 소리를 발생한다. 일예로 연주자는 양손으로는 건반을 조작하고 발로는 페달을 조작함으로써 피아노나 올갠 등과 같은 건반악기를 연주하거나, 한 손으로는 현을 조작하고 다른 손으로는 활을 조작함으로써 바이올린이나 첼로 등과 같은 현악기를 연주한다. 또한 연주자는 입으로 마우스피스를 불며 양손으로 키(key), 링 또는 홀 등을 조작함으로써 플룻, 오보, 클라리넷, 색소폰, 트럼본 등의 관악기를 연주하거나, 손이나 발로 물체를 조작하여 북이나 드럼 등의 타악기를 연주한다.The musical instrument is divided into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 string instrument, a percussion instrument, and a wind instrument. The player generates a sound by operating the musical instrument using his / her hands or feet according to notes or symbols written on the musical score. For example, a player can play a keyboard instrument such as a piano or an olgan by manipulating a keyboard with both hands and a pedal with a foot, or manipulating a string with one hand, and a string instrument such as a violin or cello . In addition, a player can play a musical instrument such as a flute, an oboe, a clarinet, a saxophone, a trombone, etc. by manipulating a key, a ring or a hole with both hands by blowing a mouthpiece with a mouth, Of percussion.

이와 같이 학습자가 상기 악기를 연주하려면 손이나 발의 조작을 습득해야 하지만, 이는 용이한 일이 아니다. 또한 손이나 발의 단순 조작만으로는 음악적 기교를 실행하거나, 음악적 효과를 표현할 수도 없다. 일예로 연주자가 피아노와 같은 건반악기의 건반을 손가락으로 타격하면 일정한 음이 연주된다. 하지만 상기 음의 특징은 손가락 타격의 다양한 동적 특성이나 정적 특징에 따라 상이해진다. 즉 손가락의 타격 속도, 타격 강도는 물론 타격 각도나 타격 시간에 따라 음의 강약은 물론 음의 울림, 음색 등이 상이해질 수 있다. 또한 연주자가 건반의 상부 또는 하부를 타격함에 따라서도 음색이 상이해질 수 있으며, 손가락 타격과 함께 또는 손가락 타격을 전후하여 발로 특정 페달을 밟음에 따라 음의 울림, 길이 등의 음색이 상이해짐은 물론 음을 제거하거나 음량을 일정한 정도로 줄일 수도 있다.In this way, the learner has to learn the operation of the hand or foot in order to play the musical instrument, but this is not easy. Also, it is not possible to perform musical technique or express musical effects by simply manipulating hands or feet. For example, when a player hits the keyboard of a keyboard instrument such as a piano, a certain note is played. However, the negative characteristic differs depending on various dynamic characteristics or 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finger strike. That is, depending on the batting speed and the batting strength of the finger as well as the batting angle and the batting time, not only the strength of the sound but also the sound of the sound and the tone may be different. Also, as the player hits the upper or lower part of the keyboard, the tone color can be different. In addition, as the pedal is depressed with the foot with the finger striking or before or after the finger striking, the tone of the sound, The sound can be removed or the volume can be reduced to a certain level.

이러한 특징은 현악기에서도 쉽게 나타난다. 일예로 연주자가 바이올린과 같은 현악기의 특정 현을 왼손의 특정 손가락으로 누른 후 오른손으로 활을 조작하면, 일정한 음이 연주된다. 하지만 상기 음의 특징 역시 왼손가락의 위치나 왼손가락으로 누르는 강도, vibrato 등에 따라 상이해지며, 활을 오른손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조작함에 따라 음의 강약, 길이는 물론 음의 울림이나 음색이 상이해진다. 이러한 특징은 입과 손을 사용하는 관악기는 물론 손발을 각각 또는 동시에 사용하는 타악기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This feature is easily seen in strings. For example, when a player presses a certain string of a stringed instrument such as a violin with a certain finger of his left hand and then manipulates the bow with his right hand, a certain note is played. However, the above-mentioned negative characteristics are also different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left hand, the strength of the left hand, the vibrato, etc., and the sound is varied in the manner of the right hand. This is true for percussion instruments that use both hands and feet as well as wind instruments that use mouth and hands.

이와 같이 대부분의 악기는 손 또는 손과 발을 악보에 따라 자유자재로 조작하는 기법을 습득하여야한다는 진입장벽이 존재한다. 일예로 바이올린이나 첼로와 같은 현악기를 연주하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수많은 음에 해당하는 음의 위치 및 화음을 익히고, 이를 위한 손가락의 위치 및 운지법을 익히는데 최소 6개월 이상이 소요된다. 이에 반하여 학습자가 피아노와 같은 건반악기를 연주하기 위해서는 특정 건반만 타격하면 되므로, 피아노의 진입장벽은 상대적으로 낮다고 간주할 수도 있다. 하지만 학습자가 손이나 발로 피아노 현을 울림으로써 발생하는 음의 크기나 공명을 조작하거나, 음의 강약이나 진동 또는 울림을 자유자재로 활용하여 음악을 예술적으로 표현하려면 이 역시 상당한 기간이 소요된다. 왜냐하면 동일한 음이라 하더라도 그 음색은 학습자의 건반 타격 강도(즉 타격하는 힘의 강도)나 타격 각도와 속도는 물론 발을 이용한 페달 조작 등에 의하여 달라지기 때문에, 동일한 악보를 연주하여도 전공자와 학습자의 차이점이 뚜렷하게 드러날 수밖에 없다.Thus, there is an entry barriers that most musical instruments must learn to manipulate hands, hands, and feet freely according to musical notation. For example, in order to play a stringed instrument such as a violin or a cello, It takes at least six months to learn chords, learn the fingers' position and fingering. On the other hand, since the learner must strike a specific key to play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such as a piano, the barriers to entry of the piano may be regarded as relatively low. However, it also tak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for the learner to manipulate the size or resonance of the sound generated by playing the piano string with his / her hands or feet, or articulate the music by freely using the intensity of the sound, vibration or sound. This is because even if the same tone is used, the tone of the tone depends on the strength of the learner's strike (ie, the strength of the strike force), the strike angle and speed as well as the pedal operation using the foot, This is evident.

또한 연주자가 건반악기, 현악기 또는 타악기를 이용하여 동시에 다수의 음을 연주할 때에는 전공자와 학습자의 차이점이 더욱 뚜렷이 드러난다. 일예로 연주자가 피아노나 올갠의 다수의 건반을 한꺼번에 타격하여 화음을 연주할 때 연주자는 다양한 연주 기법으로 다양한 음악적 표현을 구사할 수 있다. 작곡가 역시 이를 위하여 건반악기 악보에 양손을 이용한 타격의 크기 조절은 물론 음악적 표현을 달리하는 장단, 감증 화음의 다양한 조합, 양팔을 벌려 넓은 영역의 건반을 타격하는 아르페지오(arpeggio, 즉 단일 화음에 속하는 다수의 음들을 동시에 연주하지 않고 고음이나 저음부터 한 음씩 차례로 연속적으로 연주하는 주법) 및 발로 페달을 동시에 조작하도록 요구하는 경우가 흔하기 때문에, 건반악기로 소리를 내는 학습자가 전공자 수준으로 음을 연주하기는 쉬운 일이 아니다.Also, when a player plays a large number of notes at the same time using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 stringed instrument, or a percussion instrument,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jor and the learner becomes more apparent. For example, when a player plays a chord by striking a large number of piano or olgan keys at once, the player can use various musical expressions with various playing techniques. To this end, the composer also uses arpeggio (ie, a large number of single chords) to strike a wide range of keys with various combinations of musical expressions, And the foot pedal are often required to be operated at the same time), it is difficult for a learner who plays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to play a note at the level of a major It is not easy.

또 다른 예로서 연주자가 바이올린과 같은 현악기의 다수의 현을 동시에 연주할 때에도 왼손의 위치는 물론 오른손으로 활을 조작하는 강약이나 순서는 물론 오른손을 움직이는 속도나 폭 등에 의해서도 다양한 음악적 표현을 구사할 수 있다. 따라서 학습자가 전공자 수준으로 바이올린을 연주하려면 왼손가락으로는 현을 조작하며, 동시에 오른손으로는 활을 조작하는 다양한 음악적 기교는 물론 이에 의한 음악적 표현을 숙지하는 데 많은 노력이 필요할 수밖에 없다.As another example, when a player plays a string of strings at the same time, various musical expressions can be made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left hand as well as the intensity and order of manipulating the bow with the right hand, as well as the speed and width of moving the right hand . Therefore, in order for the learner to play the violin at the level of major, it is inevitable that a lot of effort is needed to understand the musical expression as well as various musical techniques to manipulate the strings with the left hand and manipulate the bow with the right hand.

따라서 악기를 배우는 학습자는 손이나 발로 악기의 다양한 부분을 조작하는 방법을 습득할 수밖에 없다. 일예로 피아노 학습자는 피아노 건반을 타격함에 따르는 음의 발생 및 소멸을 확인하는 방법, 손가락이나 손목 또는 손의 바람직한 위치나 각도 및 기타 타격 방법, 손가락이나 손목 또는 손과 연결된 팔이나 어깨뼈(견갑골)의 자세 및 기타 조절 방법, 페달을 이용한 음의 울림이나 소멸 등을 습득해야 한다. 이는 현악기나 관악기의 경우에도 발 조작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또는 유사하게 요구된다. 한편 현악기의 경우, 연주자는 손이나 발의 조작 외에도 추가적으로 오른팔로 움직이는 활의 원활한 조작을 습득해야하며, 관악기의 경우에는 양손 조작은 물론 호흡기를 이용한 들숨과 날숨은 물론, 날숨의 양, 시간, 속도 등과 같이 다양한 호흡 조작도 추가적으로 습득해야한다.Therefore, learners who learn musical instruments have to learn how to manipulate various parts of musical instruments with their hands or feet. For example, a piano learner may learn how to confirm the occurrence and disappearance of a note as a result of hitting the piano key, a desired position or angle of the finger or wrist or hand and other hitting methods, an arm or shoulder bone (shoulder blade) The attitude and other control methods of the pedal, the sound of the sound or annihilation must be learned. This is equally or similarly required for stringed instruments and wind instruments except for foot manipul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string instrument, the player has to learn the smooth manipulation of the bow which moves with the right arm in addition to the manipulation of the hand or foot. In the case of wind musical instrument, both hands, as well as breathing and breathing, You also need to learn a variety of breathing operations as well.

하지만 대부분의 악보는 기존의 기보법에 따라 음악의 조, 음표, 음표의 강약이나 슬러 등과 같은 기본적 음악 기호, 또는 가사만을 포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악보에 포함되지 않은 음악적 기교나 음악적 표현이 익숙해지도록 연습하는 학습자는 이러한 기교나 표현을 말이나 기호를 이용하여 악보에 기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악보의 제한된 공간에 상세한 설명을 기입하는 데에는 한계가 존재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학습자는 동일한 악보를 연주하더라도 자신의 학습 능력 및 강사의 강의 능력에 따라 상기 기교나 표현을 학습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은 물론 습득할 수 있는 기교나 표현력 역시 상이할 수밖에 없다.However, most of the musical scores include basic musical symbols such as music, notes, musical notes, slurs, or lyrics only in accordance with existing notation methods. Therefore, a learner practicing to become accustomed to musical technique or musical expression which is not included in the musical score often describes such technique or expression in a musical score using a word or a symbol, and there is a limit in writing a detailed explanation in a limited space of the musical score There is no other way. Accordingly, the learner can not only learn the skill and the expression skill as well as the time to learn the skill or expression according to his / her ability of learning and lecturer's ability even if he plays the same scor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9-0063548은 건반악기를 효과적으로 교습하기 위한 교구 세트를 제공하되 상이한 복수의 표지를 제공하여 학습자가 연주 시 문제가 되는 부분의 해결책 또는 문제가 되는 부분에서 주의해야할 점 등을 표지를 통해서 확인하며 필요한 경우 표지를 악보에 붙일 수 있도록 공개하였다. 하지만 상기 교구 세트는 건반악기에 국한되며, 특히 건반악기를 연주하는 데 필요한 손가락 조작이나 손 조작의 일부에만 국한된다는 단점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9-0063548 provides a teaching set for teaching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effectively, but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plurality of different covers so that a learner can learn a solution or a problem And notes to be taken care of in the part of the cover, if necessary, can be attached to the score sheet was released. However, the above-mentioned diagonal set is limited to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nd is disadvantageous in that it is limited to a part of a finger manipulation or a hand manipulation required for playing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9-0063548호(2009.06.18., 공개)0001. Korean Published Patent No. 10-2009-0063548 (Published Jun. 18, 2009)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 상기 표식에 포함되는 세부표식, 또는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악보는 건반악기, 타악기, 관악기, 또는 현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가 기존의 악보에는 포함되어있지 않는, 또는 기존의 음악 기호로는 자세히 설명할 수 없는 신체 부위의 조작, 또는 상기 조작에 수반되는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인지하고, 이에 따라 특정 음악적 기교를 용이하게 실행하거나, 특정 음악적 표현을 용이하게 구현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표식은 가능한 한 적은 수의 문자나 숫자를 포함하거나, 아예 문자나 숫자를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연주자가 상기 조작이나 자세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various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marks, a detailed mark included in the markings, or a musical score including the mark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existing musical scores such as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 percussion instrument, a wind instrument, Or information of the posture associated with the manipulation, so as to facilitate the execution of specific musical techniques, or to facilitate the use of specific musical expressions . In addition, various marker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s few letters or numbers as possible, or to allow the performer to easily recognize information about the manipulation or attitude without including any letters or numbers.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은 시각표식 또는 촉각표식으로 구성하되, 상기 표식은 [1] 상기 악보에 인쇄되거나, [2] 기존의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악보에 고정되거나, 또는 [3] 상기 악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연주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시각표식 또는 촉각표식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various instrument musical instrument marking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constituted by visual markings or tactile markings, the markings being printed on the musical score, [2] fixed to the musical score by various existing methods, or [3] The musical note is detachably attached. Therefore, the player can appropriately utilize the visual marking or tactile marking as needed.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 상기 표식에 포함되는 세부표식, 또는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악보는 연주자가 건반악기,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를 특정 음악적 기교로 연주하거나 상기 악기로 특정 음악적 표현을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표식에 따라 또는 상기 표식을 참고하여 용이하게 특정 신체 부위를 조작하고 특정 해부학적 자세를 취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상기 표식, 상기 세부표식, 또는 상기 악보는 건반악기,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가 상기 악기의 특정 부분을 상기 표식에 따라 또는 상기 표식을 참고하여 조작하여 용이하게 특정 음악적 기교를 실행하거나 특정 음악적 표현을 구현하도록 구성한다.The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markings, detailed markers included in the markers, or musical notes including the mark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a player to play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string instrument, wind musical instrument, or percussion instrument with specific musical skill, The user can easily manipulate a specific body part and take a specific anatomical posture according to the marking or referring to the marking. Further, the markers, the detailed markings, or the musical notes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easily reproduced by a player playing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 stringed instrument, a wind musical instrument, or a percussion instrument by operating a specific part of the musical instrument, It is configured to perform finesse or to implement a specific musical expression.

본 명세서의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 상기 표식에 포함되는 세부표식, 또는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악보의 첫 번째 목적은 건반악기 또는 타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에게 [1] 기존의 악보에는 포함되어있지 않는, 또는 기존의 음악 기호로는 자세히 설명할 수 없는 신체 부위(즉 손, 발, 몸통, 폐, 또는 기타 신체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정보, [2] 상기 조작과 관련된 상기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3] 상기 조작 및 자세에 의한 악기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4] 상기 해부학적 자세와 관련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건반악기나 타악기 연주자의 음악적 기교나 음악적 표현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한 연주자가 자주 발을 사용하지 않는 현악기나 관악기의 경우, 상기 표식, 상기 표식에 포함되는 세부표식, 또는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악보는 [1] 기존의 악보에는 포함되어있지 않는, 또는 기존의 음악 기호로는 자세히 설명할 수 없는 상기 신체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정보, [2] 상기 조작과 관련된 상기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3] 상기 조작 및 자세에 의한 악기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4] 상기 해부학적 자세와 관련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현악기나 관악기 연주자의 음악적 기교나 음악적 표현을 향상시킴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상기 첫 번째 목적은 상기 표식, 상기 세부표식, 또는 상기 악보를 구성하는 방법은 물론 이를 사용하는 방법도 포함한다.The first purpose of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markings, detailed markings contained in the markings, or musical notes including such markings in this specification is to notify musicians playing keyboard or percussion instruments [1] not included in the existing musical score, or Information about manipulation of a body part (i.e., a hand, foot, torso, lung, or other body part) that can not be explained in detail by a conventional music symbol, [2] information about the anatomical posture of the body part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of the musical instrument by the above manipulation and attitude, or [4] information on the overall attitude of the musical instrument related to the above anatomical attitude, so that the musical skill or musical expression . Further, in the case of a string or wind instrument in which the player often does not use his or her foot, the mark, the detailed mark included in the mark, or the score including the mark may be [1] [2] information on the anatomical posture of the body part related to the manipulation, [3] information on manipulation of the musical instrument by the manipulation and posture , Or [4] information on the overall attitude of the performer related to the anatomical posture, thereby improving the musical skill and musical expression of the string or wind instrument player.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the marking, the detailed marking, or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score as well as a method of using the marking.

본 명세서의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 상기 표식에 포함되는 세부표식, 또는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악보의 두 번째 목적은 건반악기,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가 상기 악기를 특정 음악적 기교로 연주하거나 상기 악기로 특정 음악적 표현을 표현할 때 이에 필요한 상기 신체 부위의 조작, 상기 조작과 관련된 상기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상기 조작 및 자세에 의한 악기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수많은 문자나 숫자로 이루어진 문장(즉 구 또는 절)을 읽는 대신, 상기 표식이 전달하는 정보의 상당한 부분을 시각적 또는 촉각적으로 인지함에 따라 상기 정보도 용이하게 인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표식이나 세부표식은 상기 문장보다 가능한 한 적은 수의 문자나 숫자만을 포함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아예 문자나 숫자를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상기 조작, 해부학적 자세, 또는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It is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marker, a detailed marker included in the marking, or a score including the marking, in which a player playing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string instrument, wind instrument, percussion instrument plays the musical instrument with a specific musical skill Information on an anatomical posture of the body part related to the manipulation, information on manipulation of the musical instrument by the manipulation and posture, or information on the manipulation of the musical instrument based on the manipulation and posture, The information is easily recognized by visually or tactually recognizing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information conveyed by the mark instead of reading the text (phrase or phrase) consisting of numerous letters or numbers. For this purpose, the markers or the detailed markers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s fewer letters or numbers as possible than the sentence, or information about the manipulation, anatomical posture, or overall posture may be transmitted without including any letters or numbers .

이를 위하여 상기 표식은 [1] 상기 정보를 직접적으로 묘사하는 인간의 신체 부위에 대한 해부학적 그림, 상기 그림을 단순화한 아이콘, 또는 상기 그림을 의미하는 기타 기호, [2] 상기 정보를 직접적으로 묘사하되 상기 인간의 신체 부위 대신 동식물의 일반적 또는 특정 자세나 행동과 관련된 부위에 대한 해부학적 그림, 상기 그림을 단순화한 아이콘, 또는 상기 그림을 의미하는 기타 기호, 또는 [3] 상기 정보를 간접적으로 묘사하되 연주자의 신체 부위나 동물의 신체 부위에 해당하지 않는 그림, 상기 그림을 단순화한 아이콘, 또는 상기 그림을 의미하는 기타 기호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가 어린이인 경우, 상기 표식은 어린이가 선호하거나, 어린이가 이해하기 용이하거나, 어린이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상기 [1], [2], 또는 [3]의 그림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가 성인일 경우에도, 상기 표식은 학습자가 상기 악기를 특정 음악적 기교로 연주하거나 상기 악기로 특정 음악적 표현을 표현하는 데 필요한 설명을 긴 문장을 읽고 인지하는 대신 상기 표식의 시각적 또는 촉각적 특징으로부터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학습자의 집중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도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indicia may include [1] anatomical illustration of a human body part directly depicting the information, an icon simplifying the illustration, or other symbols meaning the figure, [2] An anatomical illustration of a site related to a general or specific posture or behavior of a plant or animal, a icon simplifying the picture, or other symbols representing the picture, or [3] an indirect re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A picture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body part of the player or the body part of the animal, an icon that simplifies the picture, or other symbols meaning the picture. Also, if the learner is a child, the marking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the pictures of [1], [2], or [3] above to be preferred by the child, easy for the child to understand, have. In addition, even if the learner is an adult, the marking can be used as a visual or tactile characteristic of the mark instead of reading the long sentence and recognizing that the learner plays the musical instrument with a specific musical technique or expresses a specific musical expression with the musical instrument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learn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lowered.

본 명세서의 상기 두 번째 목적은 상기 표식이나 상기 악보를 연주자가 이용하기 용이하도록 구성하는 방법은 물론 이를 사용하는 방법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두 번째 목적은 상기 다양한 그림, 이들과 관련된 다양한 아이콘이나 다양한 기호를 다양한 형태, 색, 또는 배열에 따라 구성하는 방법은 물론 이를 사용하는 방법도 포함한다.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mark or the musical note so as to be easy for the performer to use, and a method of using the mark. The second object also includes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various pictures, various icons and various symbols related to the various pictures according to various shapes, colors, or arrangements as well as a method of using them.

본 명세서의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의 세 번째 목적은 건반악기, 현악기, 관악기, 또는 타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을 [1] 악보에 인쇄하거나, [2] 이 외의 다른 방법으로 악보에 고정시키거나, 또는 [3] 악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단 편의를 위하여 상기 표식은 연주자가 자신의 시각 또는 촉각을 이용하여 기존의 악보에는 포함되어있지 않는 손 조작, 발 조작, 몸통 조작, 호흡기 조작, 또는 기타 신체 부위의 조작, 상기 조작과 관련된 상반신 부위, 하반신 부위, 몸통 부위, 호흡기 부위, 또는 기타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나 이와 관련된 전체적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인지함으로써, 연주자의 음악적 기교나 음악적 표현을 향상시킴을 목적으로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악기 연주용 표식은 시각표식 또는 촉각표식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는 동일한 목적을 위하여 상기 악기 연주용 표식 여러 개를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단일의 표식을 상기 시각표식은 물론 촉각표식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third purpose of the various musical instrument markings in this specification is to print various musical instrument markings [1] on musical notation so that a player who plays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string instrument, wind instrument, or percussion instrument can easily recognize them, or [2] To be fixed to the score by another method, or [3] to be detachable to the score.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marking may be performed by a player using his or her own visual or tactile sense to manipulate the hand, foot, torso, respiratory, or other body parts that are not included in the existing score, , The lower body part, the trunk part, the respiratory part, or other parts of the body, as well as the overall posture related to the anatomical posture, thereby improving the musical skill and musical expression of the player. For this purpose, the marker for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visual mark or a tactile mark. Or a plurality of markings for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can be used together for the same purpose. Alternatively, a single marking can be configured to be used as a tactile mark as well as the time marking.

본 명세서의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을 위 문장의 [3]과 같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제작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시각표식 또는 하나 이상의 촉각표식을 포함하는 표식 세트를 제공함으로써 연주자가 상기 표식을 인지하기 편리하도록 도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1] 다수의 상기 표식이 포함된 하나 이상의 표식 세트를 악보의 첫 부분이나 끝 부분에 포함시키거나, [2] 다수의 표식 세트를 상기 악보의 두 곳 이상의 부분에 포함시키거나, 또는 [3] 상기 표식 세트를 상기 악보와는 별개의 물건 또는 독립적 물건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악보에 일부 표식을 인쇄하거나 고정시키는 한편, 나머지 표식은 상기 표식 세트에 포함시켜 연주자가 탈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악보의 특정 부분에 다수의 표식을 일정 순서나 배열로 부착하여 다수의 신체 부위 조작에 대한 정보, 다수의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특정 악기의 다수의 부분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연주자 신체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각각의 표식을 구성할 수도 있다.In the case where the various musical instrument indications of this specification are made detachable as in [3]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t of indications that include one or more time stamps or one or more tactile indicia, . To this end, [1] one or more sets of markers containing a plurality of said markings are included at the beginning or end of the score, [2] a plurality of markers are included in more than one part of the score, or [3] The mark set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item or independent item from the musical score. In addition, some markers may be printed or fixed on the musical score, and the remaining markings may be included in the marking set so that the performer can attach and detach. In addition, a plurality of markings may be attached in a predetermined order or arrangement to a specific part of the score to provide information on manipulation of a plurality of body parts, information on anatomical postures of a plurality of body parts, information on manipulation of a plurality of parts of a specific instrument, Or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overall attitude of the player's body.

또한 상기 표식 세트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시각표식 또는 하나 이상의 촉각표식은 악보 이외의 다른 물건에도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식은 자석 또는 자석에 붙는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자석에 붙는 칠판 또는 자석을 포함하는 칠판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표식에 벨크로를 부착하여 상기 표식이 벨크로가 부착된 판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기타 단추, 요철 등 공지의 방법으로도 상기 표식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lso, one or more time stamps or one or more tactile indicia included in the set of markings can be configured to be attached to objects other than sheet music. Therefore, the marking can be configured to be attachable / detachable to / from a black board including a magnet or a magnet attached to the magnet by including a substance attached to the magnet or the magnet. Alternatively, the label may be attached to the label, and the label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plate to which the Velcro is attached. Alternatively, the label may be detachably attached by a known method such as a button, a protrusion, or the like.

본 명세서의 상기 세 번째 목적은 다양한 상기 시각표식이나 촉각표식을 구성하는 방법은 물론 이를 사용하는 방법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세 번째 목적은 상기 표식 세트를 구성하는 방법은 물론 이를 사용하는 방법도 포함한다.The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thod of constructing various visual or tactile indicia as well as a method of using the same. Similarly, the third object includes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mark set as well as a method of using the mark set.

본 명세서의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 또는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악보의 네 번째 목적은 건반악기,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 연주자가 상기 악기를 특정 음악적 기교로 연주하거나 상기 악기로 특정 음악적 표현을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표식에 따라 또는 상기 표식을 참고하여 특정 신체 부위를 조작하고 특정 해부학적 자세를 취하도록 도모하도록 하는 것이다.The four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 string instrument, a wind musical instrument, and a percussion instrument musical instrument capable of playing the musical instrument with a specific musical skill or expressing a specific musical expression with the musical instrument, Or by referring to the markings to manipulate a specific body part and to take a specific anatomical posture.

이를 위하여 건반악기의 경우, 상기 시각표식 또는 촉각표식은 특정 기교나 특정 음악적 표현을 위한 [1] 손이나 팔 등의 상반신에 위치한 상반신 부위와 관련된 상반신표식, [2] 어깨나 등, 배 등의 몸통에 위치한 몸통 부위와 관련된 몸통표식, [3] 발 등의 하반신에 위치한 하반신 부위와 관련된 하반신표식, 또는 [4] 입, 폐, 기도 등의 흉부에 위치한 호흡 부위와 관련된 호흡표식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타악기의 경우 상기 표식은 전반적으로 건반악기의 상기 표식들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반면, 발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 현악기나 관악기의 경우 상기 표식은 건반악기의 상기 상반신표식, 몸통표식, 또는 호흡표식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현악기와 관악기 연주자의 하반신에 위치한 하반신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나 상기 부위의 자세의 조작이 특정 음악적 기교를 실행하거나 특정 음악적 표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건반악기나 타악기의 상기 하반신 표식을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건반악기,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의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악기 연주용 표식은 상기 몸통표식 또는 본 문단에서 열거한 두 개 이상의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해당하는 두 개 이상의 상기 표식을 이용하여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에 대한 표식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the visual marking or the tactile marking may be used for a specific technique or for a specific musical expression [1] an upper half sign associated with the upper half of the upper part of the hand or arm, [2] a shoulder, Body markings associated with the body part located on the torso, [3] lower body markings relating to the lower part of the body, such as the lower body of the foot, or [4] respiratory markings associated with the respiratory site located on the thorax of the mouth, lungs, . In the case of a percussion instrument, the marking is generally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markings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whereas in the case of a string or wind instrument with little foot use, the marking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upper half marker, torso marker, . ≪ / RTI > Also, if the anatomical posture of the lower body part of the lower body of the string or wind instrument player or the manipulation of the posture of the part is necessary for a specific musical skill or for a specific musical expression, the lower body marking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or percussion instrument may be utilized. In the case of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 string instrument, a wind musical instrument, and a percussion instrument, as described above, the musical instrument marking may be performed using two or more markings corresponding to an anatomical attitude of the body markers or two or more body parts listed in this paragraph It can also be used as a marker for the player's overall attitude.

단 건반악기 연주자를 위하여 구성한 상반신표식, 몸통표식, 하반신표식, 또는 호흡표식을 현악기, 관악기, 또는 타악기에 응용할 경우, 건반악기 연주자가 사용하는 신체 부위는 다른 악기 연주자가 사용하는 신체 부위와 상이할 수 있으며, 건반악기 연주자가 취하는 신체 부위 조작과 다른 악기 연주자가 취하는 신체 부위 조작이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건반악기가 아닌 다른 악기 연주용 표식은 상기 연주에 필요한 신체 부위의 특성이나 상기 부위 조작의 특성에 따라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과 상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아래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주석부를 이용하면 연주자에게 특정 악기의 조작 및 이를 위한 특정 신체 부위의 조작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When applied to a string instrument, a wind instrument, or a percussion instrument, the body part used by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layer is different from the body part used by other musical instrument players in the case of application of an upper body mark, a body mark, a lower half mark, And the manipulation of the body part taken by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layer and the manipulation of the body part taken by other musical instrument players may be different. Therefore, the marker for playing the musical instrument other than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can be configured differently from the mark for playing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dy part required for the performance 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manipulation. In this case, the various annotations described below can be used to convey to the player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manipulation of a particular instrument and the manipulation of a particular body part for this purpose.

본 명세서의 상기 네 번째 목적은 상기 상반신표식, 몸통표식, 하반신표식 또는 호흡표식을 구성하는 방법, 상기 표식에 다양한 세부표식을 포함하는 방법은 물론 이를 사용하는 방법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네 번째 목적은 상기 다양한 표식이나 하나 이상의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상기 악보를 구성하는 방법은 물론 이를 사용하는 방법도 포함한다.The four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upper body marker, a torso marker, a lower body marker or a respiratory marker, and a method of using various markers in the marker as well as a method of using the marker. The fourth object also includes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heet music including the various markers or one or more of the markers as well as a method of using the sheet music.

본 명세서의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 또는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악보의 다섯 번째 목적은 건반악기,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 연주자가 상기 악기를 특정 음악적 기교로 연주하거나 상기 악기로 특정 음악적 표현을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악기의 특정 부분을 상기 표식에 따라 또는 상기 표식을 참고하여 조작하도록 도모하는 것이다.A fif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 string instrument, a wind instrument, and a percussion instrument player, which can play the musical instrument with a specific musical skill or express a specific musical expression with the musical instrument, In accordance with the marking or by referring to the marking.

이를 위하여 건반악기의 경우, 상기 상반신표식, 몸통표식, 또는 하반신표식은 연주자가 상기 신체 부위로 건반악기의 건반이나 페달을 조작하되 [1] 상기 조작의 동적 특성이나 정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2] 상기 건반이나 페달의 특정 부분을 조작하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3] 상기 조작을 수행하는 연주자의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식은 연주가가 건반을 조작하는 하나 이상의 손가락의 타격 속도, 타격 강도, 타격 각도, 타격 기간, 이에 의한 음의 강약, 음의 울림, 음의 지속, 음의 소거, 음색, 화음 등 다양한 동적 또는 정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표식은 연주자가 하나 이상의 손가락으로 건반이나 페달의 상부나 중부 또는 하부만을 타격하는지, 또는 건반이나 페달 전체를 타격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표식은 연주자가 한 손이나 한 발, 또는 양손이나 양발로 건반이나 페달을 타격할 때의 손가락이나 발의 모양, 상하 방향으로의 각도나 회전, 좌우 방향으로의 각도나 회전, 손등이나 발등의 모양, 손가락이나 발의 움직임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연주자가 두 손이나 두 발을 사용할 경우, 상기 표식은 각각의 손이나 발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양손이나 양발의 정적 또는 동적 특성의 유사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각각의 손이나 발의 정적 또는 정적 특성의 차이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in the case of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the upper body marking, the trunk marking, or the lower body marking is performed by a player operating the keyboard or pedal of the keyboard instrument as the body part [1], providing information on dynamic characteristics or 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operation , [2] provide information for manipul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keyboard or pedal, or [3]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anatomical posture or overall posture of the body part of the performer performing the manipulation . Therefore, the marking can be applied to a wide variety of dynamic characteristics such as a strike speed, a batting strength, a batting angle, a strike period, a strength of a sound caused by the player's one or more fingers manipulating the keyboard, Or information about the static characteristics. Alternatively, the indicia may provide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player hits only the top or center or bottom of the keyboard or pedal with one or more fingers, or hits the entire keyboard or pedal. Alternatively, the marking may be a shape of a finger or a foot when the player hits the keyboard or the pedal with one hand or one foot, or both hands or both feet, an angle or rot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 angle or rota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Shape, motion of the finger or foot, and the like. Also, when a player uses two hands or two feet, the indicia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about each hand or foot,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similarity of static or dynamic characteristics of both hands or feet, It can provide information on differences in static or static characteristics.

한편 현악기의 경우, 상기 상반신표식 또는 몸통표식은 연주자가 상기 신체 부위로 현악기의 현이나 활을 조작하되 [1] 상기 조작의 동적 특성이나 정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2] 상기 현이나 활의 특정 부위를 조작하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3] 상기 조작을 수행하는 연주자의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식은 연주가가 현을 조작하는 하나 이상의 손가락의 누름 강도, 누름 각도, 누름 기간, 떨림, 떼는 시간, 또는 회전은 물론, 이에 의한 음의 강약, 음의 울림, 음의 지속, 음의 소거, 음색, 화음 등 다양한 동적 또는 정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표식은 연주자가 활을 조작하는 오른손의 누름 강도, 누름 각도, 누름 기간, 누름 방향, 누름 방향 전환, 회전, 활을 움직이는 길이나 기간, 또는 회전은 물론, 이에 의한 음의 강약, 음의 지속, 음의 소거, 음색 등 다양한 동적 또는 정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표식은 연주자가 하나 이상의 손가락 끝이나 손가락 중앙으로 현을 누르는지, 또는 활의 앞이나 중앙 또는 뒤로 현을 누르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표식은 연주자가 하나 이상의 손가락으로 현을 누를 때의 손가락이나 손등 또는 손목의 모양, 상하 방향으로의 각도나 회전, 좌우 방향으로의 각도나 회전 등에 대한 정보나, 활을 누를 때의 손목이나 팔목 또는 어깨의 모양, 손목이나 팔목 또는 어깨의 각도나 회전, 또는 손목이나 팔목 또는 어깨의 움직임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연주자는 두 손으로 현악기를 연주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연주자는 각각의 손에 대한 상기 표식을 인지할 수 있으며, 특정 표식은 양손의 정적 또는 동적 특성의 유사성이나 차이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string instrument, the above-mentioned upper body marking or trunk marking is performed by a player operating the string or bow of the stringed instrument with the body part, [1] providing information on dynamic characteristics or 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operation, or [2] Information on manipulating a specific part of the bow, or [3] information on the anatomical posture of the body part of the performer performing the above operation or information on the overall posture. Thus, the marking can be used to indicate whether or not the player has pressed the strength of one or more fingers to manipulate the strings, the pushing angle, the pressing period, the tremble, the releasing time or the rotation as well as the strength of the sound, , Tones, chords, and other dynamic or static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above markings can be used to indicate the strength of the right hand, the pressing angle, the pressing period, the pressing direction, the pressing direction switching, the rotation, the length or period of movement of the bow, It may also provide information about various dynamic or static characteristics, such as duration, erasure, tone, and so on. Alternatively, the indicia may provide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player presses the string with one or more fingers or the center of the fingers, or whether the string is pressed in front of, in front of, center of, or back of the bow. Alternatively, the marking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finger, a shape of a hand or a wrist when the string is pressed with one or more fingers, an angle or rotation in a vertical direction, an angle or rota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Shape of cuff or shoulder, angle or rotation of wrist, cuff or shoulder, or movement of wrist, cuff or shoulder. Also, since the player is often playing a stringed instrument with two hands, the player can recognize the markings on each hand, and certain markings can also provide information on similarities or differences in the static or dynamic characteristics of both hands have.

한편 관악기의 경우, 상기 상반신 표식 또는 호흡표식은 연주자가 상기 신체 부위로 관악기의 마우스피스, 키(key), 링, 또는 홀 등과 같은 특정 부분을 조작하되, [1] 상기 조작의 동적 특성이나 정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2] 상기 마우스피스, 키, 링, 또는 홀 등의 특정 부위를 조작하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3] 상기 조작을 수행하는 연주자의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특히 관악기 연주자를 위한 상반신 표식은 연주자가 한 손 또는 양손으로 키, 링 또는 홀 등과 같이 관악기의 특정 부위를 다루는 조작 및 이를 위한 해부학적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관악기 연주자를 위한 상반신표식은 그 속성이 건반악기 연주자를 위한 상반신표식과 유사한 부분이 많다. 하지만 건반악기의 경우 크기가 일정한 건반들이 일정하게 또는 대칭적으로 배열되는 반면, 관악기의 키, 링, 홀 등은 그 크기가 상이하기도 하며, 그 배열조차 대칭이 아닌 경우가 많다. 따라서 관악기 연주자를 위한 상반신표식은 이러한 구조 및 작동 상의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기 때문에 건반악기의 상반신표식과 상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wind instrument, the above-mentioned upper body marking or respiration marking means that the player manipulates a specific part such as a mouthpiece, a key, a ring, or a hole of a wind instrument with the body part [1] [2] providing information for manipulating a specific part of the mouthpiece, key, ring, or hole, or [3] providing an anatomical posture of the body part of the player performing the manipulation And information on the overall attitude. Particularly, the upper half mark for a wind instrument player provides information on manipulation and anatomic attitude for manipulating a specific part of a wind instrument such as a key, a ring or a hole with one hand or both hands. Therefore, in general, the upper half marker for a wind instrument player has many features similar to the upper half marker for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layer. However, in the case of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the keys of constant size or symmetry are arranged in a regular or symmetrical manner, while the keys, the rings and the holes of the wind instruments are different in size, and the arrangement is not even symmetrical. Thus, the upper half marker for a wind instrument player may be different from the upper half marker of a keyboard instrument because it conveys information about these structural and operational characteristics.

한편 호흡표식은 연주자가 마우스피스를 통하여 관악기에 주입하여 음을 발생하는 바람의 생성, 공급, 조절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관악기 연주자는 입, 기도, 또는 폐 등의 호흡 부위를 이용하는 들숨, 날숨은 물론, 입, 입술, 잇몸, 혀, 또는 치아 등의 호흡 부위를 이용하여 바람의 공급 유무, 공급량, 공급 시점 등을 조작하며, 이에 따라 관악기 호흡표식 역시 이에 대한 정보를 전달한다. 따라서 관악기 연주자를 위한 호흡표식은 일반적으로 견반악기 또는 현악기 연주자를 위한 호흡표식보다 더 다양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더 다양하게 구성된다. 일예로 관악기 호흡표식은 텅잉(tonguing)을 이용하여 혀를 잇몸 또는 마우스피스에 붙였다 떼었다하며 음의 발생, 음의 소거 등을 조작함은 물론 비브라토, 더블 텅잉, 트리플 텅잉, 꾸밈음 등의 음악적 표현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며, 이를 위한 호흡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reathing sign provides information on the generation, supply, and control of the wind that the player injects into the wind musical instrument through the mouthpiece to generate sound. Particularly, a wind instrument player uses the respiration site such as mouth, lips, gums, tongue, or teeth as well as inhale, expiration using respiration site such as mouth, airway or lung, And the wind musical breath sign also transmits information about it. Thus, respiratory markings for wind musicians are generally more diverse to convey more information than respiratory markers for musical instruments or string players. For example, the wind musical breathing sign uses tonguing to attach the tongue to the gum or mouthpiece and to separate it from the musical expression such as vibrato, double tonguing, triple tonguing, ornaments as well as manipulating the generation of sound, And information about the breathing method can be transmitted.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은 악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신체 부위의 조작이나 이를 위한 해부학적 자세 등에 대한 다양하면서도 상이한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건반악기,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 등에 대한 표식은 서로 유사한 점도 있지만 상이한 점도 존재한다. 하지만 본 명세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건반악기, 특히 피아노 연주에 사용되는 다양한 표식에 초점을 맞추었음을 알린다. 하지만 상기 피아노와 같은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현악기, 관악기, 또는 타악기 연주에도 활용될 수 있으며, 현악기, 관악기, 또는 타악기 특유의 표식 역시 구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various musical instrument markings are configured to convey various and different information about manipulation of various body parts and anatomical attitude according to kinds of musical instruments. Therefore, markings for keyboard musical instruments, stringed instruments, wind instruments, and percussion instruments are similar to each other, but also have a difference. However,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resent specification discloses that it has focused on various markers used in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articularly a piano. However, the marker for playing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such as the piano can also be used for playing a string, a wind instrument, or a percussion instrument as described below, and can also constitute a marker specific to a string instrument, wind instrument, or percussion instrument.

본 명세서의 상기 다섯 번째 목적은 연주자가 상기 표식이나 상기 악보를 이용하여 상기 악기의 특정 부분을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식이나 악보를 구성하는 방법은 물론 이를 사용하는 방법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다섯 번째 목적은 상기 표식이나 상기 악보를 이용하여 악기의 특정 부분을 조작하는 방법도 포함한다.The fif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mark or score so that the player can operate the specific part of the musical instrument using the mark or the score, as well as a method of using the mark. The fifth object also includes a method of operating a specific part of the musical instrument using the mark or the musical score.

본 명세서의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 또는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악보의 여섯 번째 목적은 건반악기, 현악기, 관악기, 또는 타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가 상기 표식에 따라 [1] 특정 신체 부위를 균일하거나 일관성 있게 조작하거나, 상기 부위를 균일하거나 일관성 있는 해부학적 자세로 연습할 수 있도록, [2] 상기 조작이나 상기 해부학적 자세로 연습을 반복할 수 있도록, 또는 [3] 학습자가 최소한의 강사의 도움만으로도 연습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연주자가 상기 악기를 특정 음악적 기교로 연주하거나 상기 악기로 특정 음악적 표현을 표현하도록 도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표식은 [1] 상기 음악적 기교나 음악적 표현에 필요한 신체 부위의 조작, 또는 [2] 상기 음악적 기교나 표현과 관련된 해부학적 자세 등에 필요한 정보를 연주자가 용이하게, 그리고 일관성 있게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는 상기 표식은 상기 악보 중 [1] 연주자의 기교나 표현이 서투른 부분, 또는 [2] 상기 기교나 표현에 중요한 부분에 부착하여 연주자가 상기 정보를 용이하게, 그리고 일관성 있게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The sixth purpose of the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markings or musical scores comprising such markings in this specification is that a player playing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string instrument, wind instrument, or percussion instrument is required to [1] uniformly or consistently manipulate a specific body part , [2] so that the exercises can be repeated with the above manipulation or in the anatomical posture, or [3] so that the learner has a minimal By arranging to practice with the help of a lecturer, the performer can play the musical instrument with a specific musical technique or express a specific musical expression with the musical instrument. To this end, the indicia can easily and consistently recognize the necessary information, such as manipulation of the body parts necessary for the musical finesse or musical expression, or [2] the anatomical posture associated with the musical technique or expression . Alternatively, the mark may be attached to a part of the musical score [1] which is a frivolous part of the player's skill or expression, or [2] an important part of the finesse or expression so that the player can easily and consistently recognize the information .

본 명세서의 상기 여섯 번째 목적은 상기 표식이나 악보를 구성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여섯 번째 목적은 연주자가 상기 표식이나 악보를 이용하여 일관성 있는 연습을 하는 방법, 연습을 반복하는 방법은 물론 연주자가 상기 정보를 용이하게, 그리고 일관성 있게 인지하도록 상가 표식이나 악보를 구성하는 방법도 포함한다.The sixth obj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mark or sheet. The six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performing a consistent practice using a mark or a musical score, a method of repeating practice,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shop mark or a musical score so that a player can easily and consistently recognize the information .

본 명세서의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 또는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악보의 일곱 번째 목적은 건반악기, 현악기, 관악기, 또는 타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가 특정 신체 부위를 부적절하게 조작하거나 연주자가 부적절한 해부학적 자세를 취함으로써 발생하는 상기 부위의 부상이나 잘못된 자세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표식은 연주자의 손목 근육이나 인대 등 염증이나 파열로 인하여 쉽게 발생하는 이기간증, 건초염, 건염, 인대 파열, 또는 기타 신체적 부위의 조작 또는 상기 부위에 대한 바람직한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상기 염증이나 파열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한다.The seven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marker or a musical score that includes the markings in such a manner that a player playing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string instrument, wind instrument, or percussion instrument improperly manipulates a specific body part or an improper anatomical posture Thereby preventing or minimizing the injured or erroneous posture of the site. To this end, the indicia provides information on the desired anatomical posture of the biceps, tendonitis, ligament rupture, ligament rupture, or other bodily parts that are easily caused by inflammation or tear of the player's wrist muscles or ligaments, Thereby preventing or minimizing the inflammation or rupture.

본 명세서의 상기 일곱 번째 목적은 염증이나 파열이 일어나기 쉬운 신체적 부위의 조작이나 상기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와 관련된 표식을 구성하는 방법은 물론 이를 사용하는 방법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여섯 번째 목적은 상기 표식을 이용하여 상기 신체적 부위의 염증이나 파열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는 방법도 포함한다.The seventh obj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method of constructing an indicator related to manipulation of a physical part likely to cause inflammation or rupture or anatomical posture of the part, as well as a method of using the same. The sixth object also includes a method of preventing or minimizing the inflammation or rupture of the physical part using the markings.

본 명세서의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의 여덟 번째 목적은 건반악기, 현악기, 관악기, 또는 타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을 사용하되, 상기 표식을 주석부와 함께 일관적(consistency)으로 사용함으로써, 상기 주석부를 이용하여 상기 표식이 전달하는 정보를 연주자가 확실하게 인지하도록 도모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로 표시되는 표식 및 상기 표식에 포함되는 세부표식은 연주자에 따라 다른 의미로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표식이나 세부표식이라도 이를 상이한 악기에 적용할 경우, 연주자는 이를 다른 의미로 인지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따라서 악보의 앞부분이나 뒷부분, 또는 악보의 기타 특정 부분에 상기 악보에서 사용되는 각종 표식 또는 세부표식을 상세히 설명하는 주석부를 배치하거나, 또는 특정 표식이나 세부표식이 악보에서 처음 사용될 때 그 부분에 상기 주석부를 배치함으로써, 연주자는 특정 표식 또는 세부표식이 전달하는 정보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위하여 특정 악기에 대하여, 또는 특정 악보에 한하여 특정 표식은 일관적으로 동일한 정보를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연주자가 상기 표식을 용이하게 인지하고, 또한 암기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eigh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various markings for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to be easily recognized by a player playing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string instrument, wind instrument, or percussion instrument, consistency, so that the player can reliably recognize th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mark using the annotation unit. As described above, the markers displayed in various pictures, icons, or symbols and the detailed markers included in the markers can be recognized in different meanings depending on the performer. Also, if the same or similar markings or detailed markings are applied to different instruments, there is also a possibility that the performer perceives them in a different sens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rrange annotations detailing various markings or detailed markings used in the musical score on the front or rear portion of the musical score, or on other specific portions of the musical score, or when a particular mark or detail mark is first used in the musical score, By arranging the part, the player can precisely understand the information conveyed by a particular mark or detail mark. In order to achieve this, it is possible to consistently transmit the same information to a specific musical instrument or to a specific musical score, so that the player can easily recognize and memorize the mark.

본 명세서의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의 아홉 번째 목적은 건반악기, 현악기, 관악기, 또는 타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을 사용하되, 표준화된 표식 또는 규격화(standardization)된 표식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표식이 전달하는 정보를 연주자가 확실하게 인지하도록 도모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표식은 독립적으로 또는 앞서 설명한 주석부와 함께 연주자가 상기 정보를 용이하게 인지하도록 다양한 신체 부위를 표준화 또는 규격화하거나, 상기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를 표준화 또는 규격화하거나, 또는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를 표준화 또는 규격화하도록 구성한다. 이에 따라 연주자는 상기 표식 또는 세부표식이 의미하는 특정 신체 부위, 또는 특정 자세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The nin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various markings for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so that a player who plays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 string instrument, a wind instrument, or a percussion instrument can easily recognize the standard instrument, So that the player can reliably recognize th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markers. Therefore, the markers can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njunction with the annotations described above to standardize or standardize various body parts so that the player can easily recognize the information, standardize or standardize the anatomical postures of the body parts, Standardized or standardized. Accordingly, the player can easily recognize a specific body part, or a specific posture, which is represented by the mark or the detailed mark.

따라서 본 명세서의 건반악기 연주용 하반신표식은 건반악기 연주자의 특정 음악적 기교 실행과 특정 음악적 표현 구현 중 하나 이상에 대한 도움을 주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하여 상기 표식은 건반악기 연주에 대한 기보법에 의한 기호와는 상이하며, 연주자의 하반신 부위의 자세, 상기 하반신 부위의 조작과, 상기 건반악기의 페달의 조작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상기 연주자에게 그림과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달함으로써, 상기 건반악기 연주자의 특정 음악적 기교 실행과 특정 음악적 표현 구현 중 하나 이상에 대한 도움을 주도록 구성된다. 단 상기 하반신 부위는 발가락, 발가락뼈, 발등, 발허리뼈, 발목, 발목뼈, 아래발, 아래발뼈, 윗발, 윗발뼈, 무릎, 무릎뼈 중 하나이며, 상기 페달은 우측페달, 중간페달, 좌측페달 중 하나이다. 상기 하반신표식은 음표가 인쇄된 종이에 상기 음표와 함께 인쇄될 수 있으며, 종이, 플라스틱, 금속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반신표식은 전면과 후면을 가지며, 상기 전면은 상기 그림과 아이콘 중 상기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반면, 상기 후면은 접착제를 포함하는 부착부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상기 후면의 상기 부착부는 종이에 부착되며, 이에 따라 상기 하반신표식 역시 상기 종이에 부착될 수 있다. 단 상기 접착제는 상기 종이에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상기 하반신표식 역시 상기 종이에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할 수 있다.Therefore, the lower half marking for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ssist one or more of the specific musical skill implementation and the specific musical expression implementation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layer. For this purpose, the marking is a symbol notation And transmits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the posture of the lower part of the player, the operation of the lower half part, and the operation of the pedal of the keyboard instrument to the player using at least one of a picture and an icon, And to provide assistance for one or more of the specific musical skill implementation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layer and the implementation of a particular musical expression. Wherein the lower half of the body is one of a toe, a toe bone, a foot, a foot bone, an ankle, an ankle bone, a lower foot, a lower foot bone, an upper foot, an upper foot bone, a knee, Lt; / RTI > The lower half marking may be printed on the paper on which the notes are printed together with the notes, and may include one or more of paper, plastic, and metal. Wherein the bottom half marking has a front and a back face, the front face includes the at least one of the figure and the icon, while the back face includes an attachment comprising an adhesive, whereby the attachment of the back face is attached to the paper So that the lower half mark can also be attached to the paper. However, the adhesive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paper, so that the lower half mark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paper.

또한 본 명세서의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 세트는 하나 이상의 하반신표식과 하나 이상의 상반신표식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하반신표식은 건반악기 연주에 대한 기보법에 의한 기호와는 상이하며, 연주자의 하반신 부위의 자세, 상기 하반신 부위의 조작과, 상기 건반악기의 페달의 조작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상기 연주자에게 첫 번째 그림과 첫 번째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달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상반신표식은 상기 연주자의 상반신 부위의 자세, 상기 상반신 부위의 조작과, 상기 건반악기의 건반의 조작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상기 연주자에게 두 번째 그림과 두 번째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달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표식 중 하나 이상은 종이, 플라스틱, 금속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반신 부위는 발가락, 발가락뼈, 발등, 발허리뼈, 발목, 발목뼈, 아래발, 아래발뼈, 윗발, 윗발뼈, 무릎, 무릎뼈 중 하나이고, 반면 상기 하반신 부위는 손가락, 손가락뼈, 손등, 손허리뼈, 손목, 손목뼈, 아래팔, 아래팔뼈, 위팔, 위팔뼈, 어깨, 어깨뼈 중 하나이며, 상기 페달은 우측페달, 중간페달, 좌측페달 중 하나이다. 상기 표식은 전면과 후면을 가지며, 상기 전면은 상기 그림과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반면, 상기 후면은 접착제를 포함하는 부착부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후면의 상기 부착부는 종이에 부착되어 상기 표식 역시 상기 종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상기 종이에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하여, 상기 표식 역시 상기 종이에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하다. 또는 상기 표식은 전면과 후면을 가지고, 상기 표식 세트는 밑판을 가지며, 상기 전면은 상기 그림과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반면, 상기 후면은 접착제를 포함하는 부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후면의 상기 부착부는 밑판에 부착되지만 상기 밑판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abel set for a keyboard instru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lower half marker and at least one upper half marker. Particularly, the lower half body marking is different from a notation by notation method for playing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nd information about at least one of a posture of a lower body part of the player, an operation of the lower half body part, and an operation of a pedal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It is configured to deliver using one or more of the first picture and the first icon. Further, the upper body marking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the posture of the upper part of the player, the operation of the upper body part, and the operation of the keyboard instrument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second picture and the second icon . One or more of the markings may comprise one or more of paper, plastic, metal. The lower body part is one of a toe, a toe bone, a foot, a foot bone, an ankle, an ankle bone, a lower foot, a lower foot bone, an upper foot, an upper foot bone, a knee and a knee bone, The lower arm, the upper arm, the lower back, the lower back, the lower back, the lower back, the upper back, the lower back, the lower back, the lower back, the lower back, Said indicia having a front side and a rear side, said front side comprising at least one of said figure and an icon, said back side comprising an attachment section comprising an adhesive, whereby said attachment section of said rear side is attached to paper, Can also be attached to the paper. The adhesive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paper, so that the mark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paper. Or the indicia comprises a front and a back, the indicia set having a bottom, the front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figure and the icon, the back comprising an adhesive comprising an adhesive, The part is attached to the base plate but can be detached from the base plate.

본 명세서의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 세트는 다수의 표식을 포함하되, 상기 표식은 건반악기 연주에 대한 기보법에 의한 기호와는 상이하며, 연주자의 하반신 부위의 자세, 상기 하반신 부위의 조작과, 상기 건반악기의 페달의 조작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상기 연주자에게 첫 번째 그림과 첫 번째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하반신표식과, 상기 연주자의 호흡 부위의 자세, 상기 호흡 부위의 조작과, 상기 건반악기의 건반과 상기 페달 중 하나 이상의 조작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상기 연주자에게 두 번째 그림과 두 번째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호흡표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식 중 하나 이상은 종이, 플라스틱, 금속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하반신 부위는 발가락, 발가락뼈, 발등, 발허리뼈, 발목, 발목뼈, 아래발, 아래발뼈, 윗발, 윗발뼈, 무릎, 무릎뼈 중 하나이고, 상기 호흡 부위는 입술, 이, 잇몸, 혀, 기도, 폐 중 하나이며, 상기 페달은 우측페달, 중간페달, 좌측페달 중 하나이다. 하나 이상의 상기 표식은 전면과 후면을 가지며, 상기 전면은 상기 그림과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반면, 상기 후면은 접착제를 포함하는 부착부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후면의 상기 부착부는 종이에 부착되어 상기 표식 역시 상기 종이에 부착된다. 상기 접착제는 상기 종이에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하여, 상기 표식 역시 상기 종이에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하다. 또는 상기 표식은 전면과 후면을 가지고, 상기 표식 세트는 밑판을 가지며, 상기 전면은 상기 그림과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반면, 상기 후면은 접착제를 포함하는 부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후면의 상기 부착부는 밑판에 부착되지만 상기 밑판으로부터 분리된다.The label set for performance of a keyboard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indicia, the mark being different from a notation according to notation for playing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nd the position of the lower body part of the performer, the operation of the lower body par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sture of the respiratory region of the player, the operation of the respiration region, the operation of the respiration region, and the operation of the respiration region of the player by us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picture and the first icon, And one or more respiratory markings for deliver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 keyboard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nd at least one operation of the pedal to the player using at least one of a second picture and a second icon. At least one of the markings comprises at least one of paper, plastic, metal. Wherein the lower body part is one of a toe, a toe bone, a foot, a foot bone, an ankle, an ankle bone, a lower foot, a lower foot bone, an upper foot, an upper foot bone, a knee and a knee bone, Airway, or lung, and the pedal is one of a right pedal, a middle pedal, and a left pedal. Wherein at least one of said indicia has a front and a back surface, said front surface comprising at least one of said figure and icon, while said back surface comprises an attachment comprising an adhesive, whereby said attachment of said back surface is attached to paper The mark is also attached to the paper. The adhesive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paper, so that the mark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paper. Or the indicia comprises a front and a back, the indicia set having a bottom, the front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figure and the icon, the back comprising an adhesive comprising an adhesive, The part is attached to the base plate but is separated from the base plate.

본 명세서의 건반악기 연주용 하반신 표식은 건반악기 연주자의 하반신 부위의 자세, 상기 하반신 부위의 조작과, 상기 건반악기의 페달의 조작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상기 연주자에게 전달한다. 단 상기 표식은 상기 하반신 부위의 해부학적 구조와 상기 하반신 부위의 조작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제1종 그림, 상기 제1종 그림을 단순화한 제1종 아이콘, 상기 하반신 부위의 상기 구조와 상기 하반신 부위의 상기 조작을 의미하는 동물의 부위와 상기 동물의 부위의 조작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제2종 그림, 상기 페달의 조작에 대한 동물의 부위와 상기 동물의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제2종 그림, 상기 제2종 그림을 단순화한 제2종 아이콘, 상기 하반신 구조의 상기 구조와 상기 하반신 부위의 조작을 의미하는 무생물에 대한 제3종 그림, 상기 제3종 그림을 단순화한 제3종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반신 부위는 발가락, 발가락뼈, 발등, 발허리뼈, 발목, 발목뼈, 아래발, 아래발뼈, 윗발, 윗발뼈, 무릎, 무릎뼈 중 하나이며, 상기 페달은 우측페달, 중간페달, 좌측페달 중 하나이다. 상기 하반신표식은 음표가 인쇄된 종이에 상기 음표와 함께 인쇄될 수 있고, 상기 하반신표식은 종이, 플라스틱, 금속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반신표식은 전면과 후면을 가지며, 상기 전면은 상기 그림과 아이콘 중 상기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반면, 상기 후면은 접착제를 포함하는 부착부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상기 후면의 상기 부착부는 종이에 부착되며, 이에 따라 상기 하반신표식 역시 상기 종이에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접착제는 상기 종이에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상기 하반신표식 역시 상기 종이에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할 수 있다.The lower half mark for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in this specification conveys to the player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the posture of the lower body part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layer, the operation of the lower half body part, and the operation of the pedal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Wherein the marking includes a first species image for at least one of an anatomical structure of the lower half body region and an operation of the lower half body region, a first type icon that simplifies the first species image, a second type icon that simplifies the structure of the lower half body region, A second species picture for at least one of an animal's location signifying the above operation and an operation of the animal's location, a second species picture for the operation of the animal's site and the animal's site for the operation of the pedal, A second type icon that simplifies the second type picture, a third type picture for the inanimate object which means the above structure of the lower body structure and the operation of the lower half body part, and a third type icon for simplifying the third type picture And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using the information. The lower half of the body is one of a toe, a toe bone, a foot, a foot bone, an ankle, an ankle bone, a lower foot, a lower foot bone, an upper foot, an upper foot bone, a knee and a knee bone. The pedal is a right pedal, It is one. The lower half marking may be printed on the paper on which the notes are printed, and the lower half marking may include one or more of paper, plastic, and metal. Wherein the bottom half marking has a front and a back face, the front face includes the at least one of the figure and the icon, while the back face includes an attachment comprising an adhesive, whereby the attachment of the back face is attached to the paper So that the lower half marker can also be attached to the paper, and the adhesive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paper, so that the lower half marker can also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paper.

본 명세서의 건반악기 연주용 호흡표식은 건반악기 연주자의 호흡 부위의 자세와 상기 호흡 부위의 조작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상기 연주자에게 전달하되, 상기 호흡 부위의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제1종 그림, 상기 제1종 그림을 단순화한 제1종 아이콘, 상기 호흡 부위를 의미하는 동물의 부위에 대한 제2종 그림, 상기 호흡 부위의 조작을 의미하는 동물의 부위에 대한 제2종 그림, 상기 제2종 그림을 단순화한 제2종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단 상기 호흡 부위는 입술, 이, 잇몸, 혀, 기도, 폐 중 하나이며, 상기 호흡표식은 음표가 인쇄된 종이에 상기 음표와 함께 인쇄될 수 있으며, 상기 호흡표식은 종이, 플라스틱, 금속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흡표식은 전면과 후면을 가지며, 상기 전면은 상기 그림과 아이콘 중 상기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반면, 상기 후면은 접착제를 포함하는 부착부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상기 후면의 상기 부착부는 종이에 부착되며, 이에 따라 상기 호흡표식 역시 상기 종이에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접착제는 상기 종이에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상기 호흡표식 역시 상기 종이에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할 수 있다.The respiratory marker for playing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 posture of a breathing part of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layer and an operation of the breathing part to the player, A first species icon that simplifies the first species image, a second species image corresponding to an animal region representing the respiration site, a second species image for an animal region representing the operation of the respiration region,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information using one or more of the second type icons that simplify the bell drawing. Wherein the respiratory region is one of a lip, a tooth, a gum, a tongue, a lung, a lung, and the respiratory marker may be printed on a paper on which a musical note is printed together with the musical note, Or more. Wherein the respiratory marking has a front and a back, the front face includes the at least one of the figure and the icon, while the back face includes an attachment comprising an adhesive, whereby the attachment of the back face is attached to the paper So that the respiratory markings can also be attached to the paper, and the adhesive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paper, so that the respiratory markings can also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paper.

본 명세서의 악기 연주용 호흡표식은 건반악기, 현악기 및 관악기 중 하나의 악기의 연주에 대한 기보법에 의한 기호와는 상이하며, 연주자의 호흡 부위의 자세와 상기 악기의 하나 이상의 특정 부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연주자에게 그림과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달함으로써, 상기 악기 연주자의 음악적 기교의 실행과 음악적 표현의 구현 중 하나 이상에 대한 도움을 주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호흡 부위는 입술, 이, 잇몸, 혀, 기도, 폐 중 하나이다.The respiration mark for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in this specification is different from a notation by a notation for performance of a musical instrument such as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and a wind instrument,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nformation about the posture of the respiratory part of the performer and one or more specific parts of the musical instrument And delivering the musical instrument to the performer using one or more of a picture and an icon, thereby providing assistance to one or more of the musical instrument performer's musical skill implementation and musical expression implementation. Particularly, the respiration site is one of lips, teeth, gums, tongue, airways and lungs.

또는 본 명세서의 악기 연주용 하반신표식은 건반악기, 현악기 및 관악기 중 하나의 악기의 연주에 대한 기보법에 의한 기호와는 상이하며, 연주자의 하반신 부위의 자세와 상기 악기의 하나 이상의 특정 부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연주자에게 그림과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달함으로써, 상기 악기 연주자의 음악적 기교의 실행과 음악적 표현의 구현 중 하나 이상에 대한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상기 하반신 부위는 발가락, 발가락뼈, 발등, 발허리뼈, 발목, 발목뼈, 아래발, 아래발뼈, 윗발, 윗발뼈, 무릎, 무릎뼈 중 하나이다.Alternatively, the lower half body mark for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in this specification is different from the notation by musical notation for performance of one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string musical instrument and wind musical instrument, and includes information on the posture of the lower body part of the player and one or more specific parts of the musical instrument By providing the player with at least one of a picture and an icon, the user can be provided with assistance for one or more of the musical instrument performer's musical skill and the implementation of musical expression. Particularly, the lower half of the body is one of toe, toe bone, foot, lower back bone, ankle, ankle bone, lower foot, lower foot bone, upper foot, upper foot bone, knee, and knee bone.

본 명세서의 건반악기 연주 교육 방법은 특정 음악적 기교의 실행과 특정 음악적 표현의 구현 중 하나 이상을 위한 건반악기 연주자의 하반신 부위와 호흡 부위 중 하나 이상의 자세, 상기 부위의 조작과 상기 건반악기의 페달의 조작 중 하나 이상을 확인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자세와 조작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그림과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표식을 구성하는 구성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연주자가 상기 표식을 인지하면 상기 자세와 조작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상기 정보를 인지하여 용이하게 상기 음악적 기교를 실행하거나 상기 음악적 표현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성단계는 상기 자세와 상기 조작을 단순화화는 단계, 상기 자세와 상기 조작을 만화화하는 단계 및 상기 자세와 상기 조작을 구체화하는 단계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상기 구성단계는 상기 자세와 상기 조작을 단순화화는 단계, 상기 자세와 상기 조작을 만화화하는 단계 및 상기 자세와 상기 조작을 구체화하는 단계 중 하나일 수 있다.The method of playing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teaching the performance of a musical instrument such as a pose of at least one of a lower body part and a breathing part of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layer for performing at least one of performing a specific musical technique and implementing a specific musical expression, A confirmation step of confirming at least one of the operations; And a constituent step of constructing a marker including at least one of a figure and an icon convey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the attitude and the operation, if the player recognizes the mark,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information and easily perform the musical technique or to implement the musical expression. The configuration step may be one of simplifying the posture and the operation, com- bining the posture and the operation, and embodying the posture and the operation, , Simplifying the posture, com- miting the posture and the operation, and specifying the posture and the operation.

본 명세서에서 “악보”는 음악을 기존의 음악 기호, 음악 문자, 또는 음악 숫자 등으로 기보법에 따라 표시한 물건을 의미한다. 따라서 악보는 일반적으로 자리표(즉 높은 음 자리표나 낮은 음 자리표 등), 음악의 조, 음표, 음표의 강약, 샤프, 플랫, 슬러 등과 같은 기본적 음악 기호, 또는 가사를 포함한다. 일예로 기존의 기보법에 따라 사용되는 기존의 음악 기호는 다양한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일예로 Harvard University Press Reference Library가 2003년 11월 출판한 「The Harvard Dictionary of Music (4th ed.)」 (ISBN 0-674-01163-5) 등이 이러한 문헌이다. 또한 도 1은 기존 기보법에 따라 자주 사용되는 다양한 음악 기호를 도시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 music sheet " means a musical piece that is displayed in accordance with a notation, such as an existing music symbol, music text, music number, or the like. Thus, the score generally includes basic musical symbols such as an ordinate (i.e., a high-order digit or a low-note digit), a musical tune, a note, a strength of a note, sharpness, flat, For example, existing musical symbols used in accordance with existing notations are disclosed in various documents. For example, The Harvard Dictionary of Music (4th ed.) (ISBN 0-674-01163-5), published November 2003 by the Harvard University Press Reference Library. Figure 1 also shows various music symbols that are frequently used in accordance with existing notation methods.

본 명세서에서 “악기”라 함은 일반적으로 건반악기, 현악기, 관악기, 또는 타악기를 포괄적으로 의미한다. 특히 “건반악기”란 타격을 하면 소리를 발생하는 건반을 지닌 악기를 총칭하며, 상기 건반악기의 예로는 피아노, 올갠, 파이프 올갠, 챔발로, 클라비코드, 아코디언 등이 있다. 피아노의 경우 건반을 타격하면 상기 건반이 피아노 내부의 현을 타격하여 음을 발생하지만, 연주자가 직접 타격하는 부분은 건반에 해당한다. 이러한 속성 상 피아노는 타악기 또는 현악기의 특성을 가지지만, 연주자가 직접 타격하는 부위가 건반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이를 건반악기로 분류한다. 또한 “현악기”란 조작하면 소리를 발생하는 다수의 현을 지닌 악기를 총칭하며, 상기 현악기의 예로는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더블베이스, 하프, 기타는 물론 각 국가의 민속 현악기 등이 있다. 한편 “관악기”란 연주자가 입으로 공급하는 공기의 진동에 의하여 음을 발생하는 악기로서 금관악기와 목관악기를 총칭하며, 상기 관악기의 예로는 피콜로, 오보, 플룻, 클라리넷, 바순, 혼, 튜바, 색소폰, 트럼펫, 트롬본, 뷰글, 코넷 등은 물론 각 국가의 민속 관악기 등이 있다. 또한 “타악기”란 손이나 채로 타격하면 음을 발생하는 악기를 총칭하며, 상기 타악기의 예로는 밸 세트, 시스트럼, 심벌즈, 탬버린, 봉고, 북, 드럼 세트 등이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 musical instrument " generally refers to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 string instrument, a wind instrument, or a percussion instrument. In particular, the term " keyboard musical instrument " refers to a musical instrument having a key that generates a sound when hit, and examples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include a piano, an olgan, a pipe olgan, a chamburo, a clavicode, and an accordion. In the case of a piano, when the keyboard is hammered, the keyboard hits the strings inside the piano to produce notes, but the portion directly hit by the player corresponds to the keyboard. On the basis of these properties, the piano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percussion instrument or a stringed instrument, but since the part directly hit by the player is a keyboard, the keyboard is classified as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 stringed instrument " is a general term for a musical instrument having a plurality of strings that generate sound when operated. Examples of the stringed instrument include a violin, a viola, a cello, a double bass, a harp, On the other hand, the term "wind instrument" refers to a musical instrument that generates a sound by the vibration of air supplied by a player's mouth, and collectively refers to a brass wind instrument and a wood wind instrument. Examples of the wind instruments include a piccolo, an oboe, a flute, a clarinet, Saxophone, trumpet, trombone, bugle, cornet, as well as folk wind instruments in each country. The term " percussion instrument " is a generic term for a musical instrument that generates a sound when hit by a hand or a hand. Examples of the percussion instrument include a ball set, a system, a cymbal, a tambourine, a bongo, a drum and a drum set.

본 명세서의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 또는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악보는 상기 악보를 연주하는 연주자가 용이하게 인지하고 활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연주자는 악기를 배우는 초보 연주자, 학습자는 물론 이들에게 음악적 기교나 음악적 표현을 가르치는 강사 및 상당한 음악적 기교를 구현하는 전문 연주자를 모두 포함한다. 하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표식이나 악보를 필요로 하는 초보 연주자, 학습자, 강사 및 전문 연주자를 총칭하여 각각 “연주자”로 칭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초보 연주자를 지도하는 강사가 상기 표식을 상기 악보에 부착할 경우에도, 이를 연주자가 상기 표식을 상기 악보에 부착한다고 표현하기로 한다.The various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marks or musical notes including the mark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figured to be easily recognized and utilized by a player who plays the musical score, and the performer can be a novice performer learning a musical instrument, a learner, And a professional musician who embodies significant musical skill. Howev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beginner, learner, lecturer, and professional performer who need the mark or the score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 performer ". Therefor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even if the lecturer instructing the novice music player attaches the mark to the musical score, it is assumed that the musical note is attached to the musical score by the player.

본 명세서에서 “상반신표식”은 손이나 팔 등 신체의 상반신에 위치한 신체 부위인 상반신 부위에 대한 표식을 지칭하며, 상기 상반신표식은 특정 음악적 기교를 실행하거나 특정 음악적 표현을 구현하기 위한 [1] 손가락이나 손가락뼈(지절골), 손등이나 손허리뼈(중수골), 손목이나 손목뼈(수근골), 아래팔이나 아래팔뼈(요골 및 척골), 위팔이나 위팔뼈(상완골), 어깨나 어깨뼈(견갑골) 등 연주자의 상반신에 위치한 다양한 상반신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와 관련된 표식,[2] 상기 부위의 조작과 관련된 표식, 또는 [3] 상기 자세 또는 조작을 통한 특정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과 관련된 표식 등을 포함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 upper body marking " refers to a mark on a part of the upper body which is a body part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body such as the hand or an arm. The upper body marking is a finger [1] for performing a specific musical technique, (Upper arm), upper arm (shoulder), shoulder or shoulder bones (upper arm), lower arm (lower extremity) A mark associated with the anatomical posture of the various upper body regions located on the upper body of the player, such as the scapula, [2] a mark associated with the manipulation of the region, or [3] a mark associated with manipulation of a particular portion of a particular musical instrument through the posture or manipulation And the like.

본 명세서의 “몸통표식”은 어깨나 등, 배 등 신체의 몸통에 위치한 신체 부위인 몸통 부위에 대한 표식을 지칭하며, 상기 몸통표식은 특정 음악적 기교를 실행하거나 특정 음악적 표현을 구현하기 위한 [1] 등이나 등뼈(척추), 가슴이나 갈비뼈(늑골), 엉덩이나 엉치뼈(천골) 등 연주자의 몸통에 위치한 다양한 몸통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와 관련된 표식, [2] 상기 부위의 조작과 관련된 표식, 또는 [3] 상기 자세 또는 조작을 통한 특정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과 관련된 표식 등을 포함한다.The term " torso marking " refers to a marking on a body part, such as a shoulder, a back, or a stomach, located on the torso of a body, and the torso marking may be used to perform a specific musical technique or to implement a specific musical expression [ Markings associated with the anatomical posture of various body parts located on the torso of the player, such as the back or spine, the chest or ribs, the buttocks, or the sacrum bone, [2] Or [3] a marking related to the manipulation of a specific part of the specific musical instrument through the above posture or manipulation.

또한 본 명세서의 “하반신표식”은 발 등 신체의 하반신에 위치한 신체 부위인 하반신 부위에 대한 표식을 지칭하며, 상기 하반신표식은 특정 음악적 기교를 실행하거나 특정 음악적 표현을 구현하기 위한 [1] 발가락이나 발가락뼈(지절골), 발등이나 발허리뼈(중족골), 발목이나 발목뼈(족근골), 아래발이나 아래발뼈(경골 및 비골), 윗발이나 윗발뼈(상완골), 무릎이나 무릎뼈(슬개골) 등 연주자의 하반신에 위치한 다양한 하반신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와 관련된 표식, [2] 상기 부위의 조작과 관련된 표식, 또는 [3] 상기 자세 또는 조작을 통한 특정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과 관련된 표식 등을 포함한다.The term " lower body marking " in this specification refers to a marking on a lower body part, which is a body part located in the lower body of a body such as a foot, and the lower body marking is a toe [1] for performing a specific musical technique or implementing a specific musical expression The lower and upper footbone (tibia and fibula), the upper or upper footbone (humerus), the knee or knee bone (patella), etc. Markings associated with the anatomical postures of the various lower body parts located in the lower body of the performer, [2] markings associated with manipulation of such regions, or [3] markings associated with manipulation of particular parts of a particular musical instrument through such posture or manipulation do.

한편 본 명세서의 “호흡표식”은 주로 호흡과 관련된 신체 부위인 호흡 부위에 대한 표식을 지칭하며, 상기 호흡표식은 주로 관악기를 이용하여 특정 음악적 기교를 실행하거나 특정 음악적 표현을 구현하기 위하여 [1] 상기 관악기에 공기를 공급하는 데 사용되는 입술, 이, 잇몸, 혀, 기도, 또는 폐 등 연주자의 호흡과 관련된 다양한 호흡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와 관련된 표식, [2] 상기 부위의 조작과 관련된 표식, 또는 [3] 상기 자세 또는 조작을 통한 관악가의 특정 부분의 조작과 관련된 표식 등을 포함한다. 하지만 상기 호흡표식은 관악기는 물론 다른 악기에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건반악기, 현악기, 또는 타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는 입술, 이, 잇몸, 혀, 또는 기도를 이용하여 상기 악기를 연주하지는 않지만, 연주자가 상기 악기를 연주할 때 폐를 이용한 호흡과 연주가 일치하지 않으면 연주에 불편을 느낌은 물론, 연주자가 호흡을 잘 조절하면 상기 악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음악적 기교를 실행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악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음악적 표현을 구현할 수도 있다. 따라서 관악기를 제외한 다른 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를 위해서도 다양한 상기 호흡표식을 구성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 breathing sign " refers mainly to a breathing region, which is a body region related to breathing. The breathing pattern is mainly used to perform a specific musical technique using a wind instrument or to implement a specific musical expression [1] An indicator associated with the anatomical posture of the various respiratory sites associated with the respiration of the player, such as the lips, teeth, gums, tongue, airways or lungs used to supply air to the wind instrument, [2] Or [3] a marking associated with the manipulation of a specific part of the wind music through the attitude or manipulation. However, the breathing mark can be used for other musical instruments as well as wind instruments. Particularly, a performer playing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string instrument, or percussion instrument does not play the musical instrument using the lips, teeth, gums, tongue, or airway, but when the performer plays the instrument, In addition to feeling inconveniences in playing music, various musical techniques can be performed using the musical instrument as well as various musical expressions can be implemented using the musical instrument, if the player controls breathing well. Therefore, various respiratory markers can be formed for a player who plays a musical instrument other than wind instruments.

본 발명은, 건반악기 (일예로 피아노, 올갠 등과 같이 연주자가 건반을 손으로 조작하거나 페달을 발로 조작하여 음을 발생하는 악기), 현악기 (일예로 바이올린, 첼로, 기타 등과 같이 연주자가 현을 직접 손 또는 활로 조작하여 음을 발생하는 악기), 관악기 (일예로 플룻, 오보, 클라리넷 등과 같이 연주자가 입으로 공기를 진동시키며 키(key), 링 또는 홀 등을 조작하여 음을 발생하는 악기), 타악기 (일예로 북이나 드럼 등과 같이 연주자가 물체를 손, 스틱, 또는 발로 조작하여 음을 발생하는 악기) 등의 연주용 표식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명세서는 연주자가 상기 악기를 연주할 때 음악적 기교나 음악적 표현 등과 같은 연주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1] 연주자의 손 조작, 몸통 조작, 발 조작, 입 조작, 또는 기타 신체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2] 상기 조작과 관련된 특정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또는 [3] 상기 해부학적 자세와 관련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연주용 시각표식이나 연주용 촉각표식에 관한 것이며, 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연주자의 학습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for example, a musical instrument such as a piano or a musical instrument, such as a musical instrument in which a player manipulates the keyboard by hand or generates a sound by operating the pedal by foot), a string instrument (e.g. a violin, a cello, A musical instrument that generates a sound by operating a key, a ring, or a hole while vibrating the air with a mouth, such as a flute, an oboe, or a clarinet), a wind instrument And a percussion instrument (for example, a musical instrument such as a drum or a drum, in which a player generates a sound by manipulating an object with a hand, a stick or a foot).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 musical instrument such as a musical instrument, musical expression, and the like which greatly influences the performance of the musical instrument when the player performs the musical instrument [1] Information on manipulation of the anatomical posture or information on the anatomical posture of the specific body part related to the manipulation, or [3] information on the overall attitude of the performer related to the anatomical posture, or the lik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ctile mark for a performance, or includes one or more of the markings, thereby enhancing the learning efficiency of the performer.

도 1은 기존 기보법에 따라 자주 사용되는 다양한 음악 기호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 및 다수의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표식 세트의 개략도이다.
도 3a 및 도 3b의 (가)는 다수의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악보의 개략도이며, 도 3의 (나)는 표식의 탈부착이 가능한 표식 세트의 개략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의 (가) 내지 (차)는 다양한 상반신표식의 개략도이다.
도 5의 (가) 및 (나)는 다양한 몸통표식의 개략도이다.
도 6의 (가) 내지 (라)는 다양한 하반신표식의 개략도이다.
도 7의 (가) 및 (나)는 다양한 호흡표식의 개략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의 (가) 내지 (사)는 다양한 음악적 표현을 위한 다양한 표식의 개략도이다.
도 9의 (가) 내지 (라)는 다양한 음악적 표현의 구현을 증진하는 다양한 표식의 개략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various music symbols frequently used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notation.
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et of indicia containing a variety of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indicia and a plurality of such indicia.
3A and 3B are schematic views of a nota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the markings, and FIG. 3 (B) is a schematic view of a set of marks capable of detachable markings.
Figs. 4A to 4E are (a) to (g) schematic diagrams of various upper body markings.
Figures 5 (a) and 5 (b) are schematic diagrams of various body markings.
Figures 6 (a) to 6 (d) are schematic diagrams of various bottom half markings.
Figures 7 (a) and 7 (b) are schematic diagrams of various respiratory markers.
Figures 8A through 8C are schematic diagrams of various indicia for various musical expressions.
Figures 9 (a) through 9 (d) are schematic diagrams of various indicia enhancing the implementation of various musical expressions.

본 명세서의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 상기 표식에 포함되는 세부표식, 또는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악보는 다양한 구성, 제작, 배열 등에 대한 다양한 측면들, 상기 측면 각각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 상기 실시예를 구현하는 다양한 상세예 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 상세표식, 또는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악보는 상기 표식이나 상기 악보의 다양한 제작 방법 또는 사용 방법에 대한 다양한 측면들, 상기 측면 각각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 상기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상세예 등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상기 악기 연주용 표식, 상세표식, 또는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악보에 대한 다양한 측면, 실시예, 상세예들의 다양한 구성 및 방법들에 대한 상술의 설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markings, the detailed markings included in the markings, or the musical scores including the mark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embodied in various aspects, such as various configurations, fabrication, arrangement, etc., And the like. In addition, various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marks, detailed markings, or musical scores including the mark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various aspects of the markings or various methods of making or using the musical notes, various embodiments of the respective aspects, And the like. In the following, various descriptions of various aspects, embodiments, and details of various aspects and embodiments of the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mark, detailed mark, or score including the mark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단 본 명세서의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 상세표식, 또는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악보에 대한 상술 및 하술의 다양한 구성 및 다양한 방법에 대한 측면, 실시예, 또는 상세예 각각은 본 명세서의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 세부표식, 또는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악보를 실시하기 위한 구성 및 방법에 대한 예시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예시하는 상기 표식, 세부표식, 또는 상기 악보는 [1] 상술 및 하술의 다양한 구성에 따라 제작하고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악기 연주용 표식, 구성 방법 및 사용 방법, [2] 상술 및 하술의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악기 연주용 표식, 또는 다양한 악보는 물론 [3] 관련 분야의 통상적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본 명세서가 예시하는 다양한 상기 측면들, 실시예들, 또는 상세예들을 용이하게 변형하여 얻을 수 있는 다양한 구성, 다양한 제작 방법 및 다양한 사용 방법들을 모두 포함한다.However, each of aspects, embodiments, or details of the various configurations and various methods of the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markings, the detailed markings, or the musical notes including the marking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marks, The detailed markings, or the composition and method for performing the sheet music including the markers. Accordingly, the markings, detailed markings, or the musical notes exemplified in this specification can be used in [1] markings for all musical instruments to be produced and used in accordance with various configurations of the above and below, a method of constructing and using them, [2]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knowledge of all musical instrument markings or various musical notes that can be produced or used in various ways, as well as a variety of musical notes, can readily make various aspects, embodiments, Various manufacturing methods, and various methods of use, all of which can be obtained by modification.

본 명세서의 악기 연주용 표식에 대한 첫 번째 측면은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 및 다수의 상기 표식들을 포함하는 표식 세트로서, 도 2는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 및 다수의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표식 세트(30)의 개략도이며, 일반적으로 상기 표식 세트(30)은 밑판 위에 다양한 표식(10)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부착하도록 구성한다. 특히 상기 표식(10)은 특정 음악적 기교를 실행하거나 특정 음악적 표현을 구현하기 위하여 필요하지만, 기존의 악보에는 포함되어있지 않거나, 또는 기존의 음악 기호, 음악 문자, 또는 음악 숫자 등을 사용하는 기보법만으로는 자세히 설명할 수 없는 [1] 신체 부위(즉 상반신 부위, 하반신 부위, 몸통 부위, 또는 호흡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2] 상기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정보, [3] 상기 자세 또는 조작을 통한 특정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과 관련 정보, 또는 [4] 상기 자세 또는 조작들과 관련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한다.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et of markers 30 comprising a number of markings for performance of a musical instrument and a number of such markings, In general, the indicia set 30 is configured to attach various indicia 10 on the base plate in a variety of ways. In particular, the marking (10) is required to perform a specific musical technique or to implement a specific musical expression, but is not included in the existing musical score, or is not included in the musical notation by using existing musical symbols, music characters, [2] information on manipulation of the site, [3] information about the anatomy of the body, such as the posture or the anatomy of the body, Information relating to manipulation of a specific part of a specific musical instrument through manipulation, or [4] information about the overall attitude of a player related to the attitude or manipulations.

일반적으로 상기 표식(10)은 상기 기교나 표현을 구현하는 데 연주자가 사용하여야하는 상기 신체 부위의 조작, 상기 조작과 관련된 상기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상기 자세 또는 조작을 통한 특정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과 관련 정보, 또는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수많은 문자로 이루어진 문장(즉 구 또는 절)을 읽는 대신, 연주자가 상기 표식이 전달하는 정보의 상당 부분을 시각적 또는 촉각적으로 인지함에 따라 상기 정보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표식은 상기 문장보다 가능한 한 짧은 문장을 포함하도록 또는 아예 문장을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상기 자세들이나 조작들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In general, the marking 10 includes information on manipulation of the body part to be used by a player in implementing the technique or expression, information on the anatomical attitude of the body part related to the manipulation, Instead of reading a sentence (phrase or phrase) consisting of a lot of letters, information about the manipulation and related information of a specific part of the player, or the overall attitude of the performer, the player can visually or tactually So that the information can be easily recognized. For this purpose, the markers are configured so as to include the sentences as short as possible or to convey information about the poses or operations without including any sentences.

단 연주자는 연주하는 악기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신체 부위를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일예로 건반악기나 타악기 연주자는 손, 팔 등 상반신에 위치한 “상반신 부위”나 발가락, 발, 종아리 등 하반신에 위치한 “하반신 부위”는 물론 어깨나 등, 배 등 몸통에 위치한 “몸통 부위”를 주로 사용하는 반면 입술, 이, 잇몸, 혀, 또는 폐 등 호흡과 관련된 “호흡 부위”를 자주 사용하지는 않는다. 한편 현악기 연주자는 상기 상반신 부위나 몸통 부위는 주로 사용하지만 하반신 부위나 호흡 부위를 자주 사용하지는 않는다. 반면 관악기 연주자는 입술, 이, 잇몸, 혀, 또는 폐 등 호흡과 관련된 “호흡 부위”와 상반신 부위를 주로 사용하고, 간혹 몸통 부위를 사용하는 반면 하반신 부위는 자주 사용하지 않는다.Singers often use different body parts depending on the type of instruments they play. For example,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or a percussion player may have a "lower body part" loc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body such as a hand or an arm, or a lower body part such as a toe, a foot or a calf, While the "breathing area" associated with breathing, such as the lips, teeth, gums, tongue, or lungs, is often not used. On the other hand, the string player mainly uses the upper body part and the torso part but does not use the lower part part or the respiratory part frequently. On the other hand, the wind instrument player mainly uses the "respiration site" and the upper body part related to respiration such as the lips, teeth, gums, tongue, or lungs, and occasionally uses the body part while the lower part is not used frequently.

따라서 악기를 연주하기 위하여 연주자가 상기 “상반신 부위”를 조작해야할 경우, 상기 표식(10)은 [1] 상기 “상반신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와 관련된 표식, [2] 상기 부위의 조작과 관련된 표식, [3] 상기 자세나 조작을 통한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 또는 [4] 상기 자세나 조작들을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와 관련된 표식 등을 포함하는 “상반신표식”에 해당한다.Therefore, when the player has to operate the above-mentioned " upper body part " in order to play the musical instrument, the marking 10 is a mark related to the anatomical posture of the above- , [3] manipulation of a specific part of the musical instrument through the above posture or manipulation, or [4] marking related to the overall posture of the player for the above posture or manipulation.

한편 악기를 연주하기 위하여 연주자가 상기 “하반신 부위”를 조작해야할 경우, 상기 표식(10)은 [1] 상기 “하반신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와 관련된 표식, [2] 상기 부위의 조작과 관련된 표식, [3] 상기 자세나 조작을 통한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 또는 [4] 상기 자세나 조작들을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와 관련된 표식 등을 포함하는 “하반신표식”에 해당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player has to manipulate the " lower body part " in order to play the musical instrument, the marking 10 is a marking related to the anatomical posture of the lower half part, , [3] manipulation of a specific part of the musical instrument through the above posture or manipulation, or [4] marking related to the overall attitude of the performer for the above posture or manipulation.

한편 악기를 연주하기 위하여 연주자가 상기 “몸통 부위”를 조작해야할 경우, 상기 표식(10)은 [1] 상기 “몸통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와 관련된 표식, [2] 상기 부위의 조작과 관련된 표식, [3] 상기 자세나 조작을 통한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 또는 [4] 상기 자세나 조작들을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와 관련된 표식 등을 포함하는 “몸통표식”에 해당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player has to manipulate the "body part" in order to play the instrument, the marking (10) may include [1] a mark associated with the anatomical posture of the "torso", [2] , [3] manipulation of a specific part of the musical instrument through the above posture or manipulation, or [4] marking related to the overall posture of the player for the above posture or manipulation.

반면 악기를 연주하기 위하여 연주자가 상기 “호흡 부위”를 조작해야할 경우, 상기 표식(10)은 [1] 상기 “호흡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와 관련된 표식, [2] 상기 부위의 조작과 관련된 표식, [3] 상기 자세나 조작을 통한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과 관련된 표식, 또는 [4] 상기 자세나 조작들을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와 관련된 표식 등을 포함하는 “호흡표식”에 해당한다. 상기 다양한 표식에 대한 상세 구성 및 방법은 하술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player has to manipulate the "breathing zone" in order to play the musical instrument, the marking (10) may include [1] a mark associated with the anatomical posture of the "breathing zone", [2] , [3] a mark associated with the manipulation of a specific part of the musical instrument through the attitude or manipulation, or [4] a mark associated with the musical player's overall attitude for the attitude or manipulation. Details of the various markers and methods are described below.

일반적으로 연주자가 연주하는 음악이 길어질수록, 연주자가 음악적 기교나 음악적 표현을 향상시켜야하는 부분 역시 증가한다. 따라서 연주자는 다수의 다양한 상기 표식(10)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도 2에서와 같이 악기 연주용 표식은 다수의 다양한 표식(10)들을 포함하는 표식 세트(30)의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Generally, the longer the music the player is playing, the greater the portion of the music that the player has to improve musical skill or musical expression. Therefore, the player often needs a large number of various markings (10). Accordingly, as shown in FIG. 2, it is preferable that the marker for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et of markers 30 including a plurality of various marks 10.

일반적으로 상기 표식 세트(30)는 다양한 크기나 두께를 가지도록, 그리고 다양한 모양으로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표식 세트(30)의 크기나 모양은 상기 세트(30)에 포함하여야할 표식(10)의 종류나 수효는 물론 표식(10) 각각의 크기나 모양에 의하여 결정된다. 또한 상기 세트(30)가 건반악기,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 등의 악보에 삽입될 경우, 상기 세트(30)의 크기나 모양은 악보의 크기나 모양에 의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식(10)은 상기 세트(30)의 전면의 일부 또는 전보, 또는 상기 세트(30)의 전면과 후면의 일부나 전부에 배치될 수 있다.In general, the indicia set 30 can be configured to have various sizes and thicknesses and various shapes. In particular, the size and shape of the mark set 30 are determined by the size and shape of each mark 10 as well as the number and type of markings 10 to be included in the set 30. Also, when the set 30 is inserted into a score of a keyboard instrument, a string instrument, a wind instrument, a percussion instrument, etc., the size or shape of the set 30 may be determined by the size and shape of the score. The indicia 10 may also be disposed on a part or the whole of the front of the set 30 or on some or all of the front and back of the set 30.

이 외에도 상기 표식 세트(30)는 이를 구성하는 밑판과 상기 밑판에 부착되는 다수의 표식(10)들의 크기나 모양은 물론 상기 표식(10)들 사이의 빈 공간의 크기나 모양에 의해서 그 크기가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특히 아래에서 설명하겠지만, 다수의 표식(10)들이 탈착되도록 구성된 표식 세트(30)의 경우, 상기 빈 공간은 연주자가 상기 표식(10)을 밑판으로 탈착하는 데 필요하기 때문에, 특정 표식(10)들을 얼마나 많이, 어떠한 배열로, 어떤 방법으로 밑판에 부착함에 따라 표식 세트(30)의 크기나 모양은 물론 그 두께도 상이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mark set 30 has a size and a shape of a plurality of markers 10 attached to the base plate and the base plate, as well as size and shape of the empty space between the markers 10, Increase or decrease.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set of markings 30 in which a plurality of markings 10 are configured to be detached as will be described below, The size and shape of the marking set 30 as well as the thickness of the marking set 30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how many, how many, and how the marking is attached to the base plate.

연주자는 상기 표식(10)을 다양한 구성이나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3의 (가)는 다수의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악보의 예시로서, 도에서와 같이 악보(20)는 자리표(즉 높은 음 자리표나 낮은 음 자리표 등), 음악의 조, 음표, 음표의 강약, 샤프, 플랫, 슬러 등과 같은 기보법 상의 음악 기호를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 가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악보(20)는 다수의 표식(10)을 포함함으로써, 기존의 기보법으로는 자세히 설명할 수 없는 신체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정보, 상기 조작과 관련된 상기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해부학적 자세와 관련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The player can use the marking (10) in various configurations or methods. 3 (a) is an example of a musical note including a plurality of the markings. As shown in the figure, the musical note 2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musical notes (such as a high note mark or a low note mark) , Sharps, flats, slurries, and the like, and may include lyrics in some cases. Further, the score 20 includes a plurality of markers 10, so that information on the manipulation of the body part that can not be explained by the conventional notation method, information on the anatomical posture of the body part related to the manipulation, Or the overall attitude of the performer related to the anatomical posture.

연주자가 상기 표식(10)을 적절히,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식(10)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된다. 이에 대한 본 명세서의 첫 번째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로서, 상기 표식(10)은 악보(20)에 인쇄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고정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경우, 상기 표식(10)은 해당하는 음표의 상단, 하단 또는 기타 적절한 부분에 인쇄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식(10)의 크기는 그 중요성에 따라 음표나 기호보다 크게, 작게, 또는 음표나 기호와 유사한 크기로 인쇄한다. 또한 연주자가 상기 표식(10)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식(10)의 모양, 색상, 또는 크기를 음표나 기호의 모양, 색상, 또는 크기와 상이하게 인쇄할 수 있다.The indicia 10 can be configured in a variety of ways so that the player can use the indicia 10 appropriately and easily. As a first embodiment of the first aspect of this disclosure, the indicia 10 may be printed on the score 20 or otherwise configured in a fixed manner. In the case of the above embodiment, the indicia 10 may be printed on the top, bottom or other appropriate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note, and the size of the indicia 10 may be larger or smaller than the note or symbol, Print in a size similar to the I mark. Also, the shape, color, or size of the marking 10 may be printed differently from the shape, color, or size of a note or symbol so that the player can easily recognize the marking 10.

도 3의 (가)에서와 같이 상기 표식(10)은 적은 수효의 문자들로 구성된 주석부(12)를 포함하여 상기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상기 신체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정보, 특정 악기의 특정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이에 필요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보다 명확하게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주석부(12)의 모양, 색상, 또는 크기 또한 적절히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주석부(12)는 상기 표식(10)과 또는 상기 표식(10)에 포함되는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와 같은 세부표식과 서로 상응하는 크기를 가지거나, 상이한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석부(12)는 상기 표식(10)과 또는 상기 표식(10)에 포함되는 세부표식의 상부, 하부, 또는 측부에 배치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표식(10) 또는 세부표식의 둘레에 배치할 수 있다.As shown in (a) of FIG. 3, the landmark 10 includes an annotation unit 12 composed of a small number of characters, information on the anatomical posture of the body region, information on manipulation of the body region, Information about the manipulation of a specific part of a specific musical instrument, or the overall attitude of the performer necessary for the musical instrument, and the like can be more clearly provided. Of course, the shape, color, or size of the tin section 12 can also be appropriately selected. Also, the annotation unit 12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markers 10 or the detailed markers such as pictures, icons, or symbols included in the markers 10, or to have different sizes. The tin section 12 may be disposed at the upper, lower, or side of the landmark 10 and / or the landmark 10 included in the landmark 10, Can be arranged around the periphery.

또한 색상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주석부의 색상은 상기 표식이나 세부표식의 색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으며, 이와는 반대로 상기 주석부의 색상을 상기 표식이나 세부표식의 색상과 대비시킴으로써, 상기 주석부 또는 상기 세부표식을 상대적으로 강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석부를 표식과는 별개의 물건으로 구성함으로써, 연주자가 상기 표식과 주석부를 함께 악보에 부착하거나, 상기 표식 또는 주석부 중 하나만을 상기 악보에 부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다양한 표식(또는 주석부)은 악보에 인쇄하고, 하나 이상의 주석부(또는 표식)는 별개의 물건으로 구성하여 연주자가 선택적으로 악보에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lso, in order to maintain color consistency, the color of the annotation portion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color of the mark or detail mark, and on the contrary, the color of the annotation portion may be compared with the color of the mark or detail mark, The detail markers can be relatively emphasized. In addition, the annotation unit may be formed of a separate item from the mark, so that the player can attach the mark and annotation together on the score, or only one of the mark or annotation can be attached to the score. Alternatively, the various markers (or annotations) may be printed on the sheet of music, and one or more annotations (or markers) may be composed of separate objects so that the player can selectively attach the sheet music.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표식(10)은 상기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상기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정보, 상기 자세나 조작을 통한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이를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다수의 표식을 악보의 특정 부분에 일정 순서나 일정 배열로 부착함으로써, 다수의 신체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정보, 상기 조작과 관련된 다수의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악기의 다수의 부분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이를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arking 10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anatomical posture of the body part, information on the manipulation of the part, information on manipulation of a specific part of the musical instrument through the posture or manipulation, And overall posture. However, by attaching a plurality of indicia to a particular part of the score in a predetermined order or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information on manipulation of a plurality of body parts, information on the anatomical attitude of a plurality of body parts related to the manipulation,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of the player, or the overall attitude of the performer for this purpose.

본 명세서의 첫 번째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로서, 상기 표식(10)은 악보(20)와는 별도로 구성함으로써, 연주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표식(10)을 악보(20)에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도 3의 (나)는 이의 예시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의 (나)의 좌측 페널은 상기 표식 세트(30)를 위에서 보았을 때의 정면도이고, 도 3의 (나)의 우측 페널은 상기 표식 세트(30)을 좌측 페널의 AA 방향으로 수직으로 잘랐을 때의 단면도이며, 특히 상기 우측 페널은 AA 방향을 따라 위로부터 네 번째 내지 일곱 번째 표식(10)들을 표식 세트(30)로부터 탈착한 경우를 도시한다. 도에서와 같이 상기 표식 세트(30)는 전면(36)과 후면(37)을 가진 밑판(31)과, 상기 밑판(31)의 전면(36)에 부착된 다수의 표식(10)으로 구성되며, 상기 표식(10) 역시 전면(16)과 후면(17)을 가진다.As a second embodiment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rker 10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score 20 so that the player can attach the marker 10 to the score 20 as necessary And FIG. 3 (B) shows an example thereof. More specifically, the left panel of FIG. 3 (B) is a front view when the mark set 30 is viewed from above, and the right panel of FIG. 3 (B) In particular, the right panel shows a case where the markings 10 from the top to the fourth along the AA direction are detached from the marking set 30. The marking set 30 comprises a base plate 31 having a front surface 36 and a rear surface 37 and a plurality of markers 10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36 of the base plate 31, , The marking 10 also has a front face 16 and a rear face 17.

이에 따라 연주자는 상기 표식 세트(30) 중 적절한 표식(10)을 선정한 후, 이를 악보(20)에 인쇄된 음표 또는 기타 기호의 상단, 하단 또는 기타 적절한 부분에 부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표식(10)의 후면(17)에 부착부(13)를 구성하며, 상기 부착부(13)에 기존의 다양한 접착제를 부가하여 상기 표식(10)이 상기 밑판(31)에 부착함은 물론, 연주자가 이를 탈착하여 악보에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식 세트(30)의 밑판(31)의 전면(36)은 상기 표식(10)의 부착부(13)가 용이하게 부착 및 탈착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표식(10)의 부착부(13)가 악보(20)에 부착됨은 물론 악보(20)로부터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경우, 연주자는 이미 악보(20)에 부착된 표식(10)을 악보(20)로부터 제거하거나, 이를 탈착하여 악보(20)의 다른 부분으로 이동하거나, 이를 탈착한 후 재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player can select an appropriate mark 10 from the mark set 30 and attach it to the top, bottom or other appropriate portion of the note or other mark printed on the mark 20. To this end, the mounting portion 13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17 of the marking 10 and the marking 10 is attached to the bottom plate 31 by adding various conventional adhesives to the mounting portion 13 It is preferable that the player can attach and detach it to the music score. The front surface 36 of the bottom plate 31 of the marking set 30 is configured so that the attachment portion 13 of the marking 10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Further, in the case where the attachment portion 13 of the marking 10 is attached to the score 20 as well as to be detachable from the score 20, the player can mark the mark 10 already attached to the score 20 as score It may be removed from the music sheet 20, or may be detached and moved to another part of the music sheet 20, or may be detached and reused.

상기 표식(10)은 종이, 플라스틱, 금속 등 다양한 물질로 구성할 수 있으며, 표식(10)의 전면(16)에는 다양한 세부표식을 인쇄한 후, 그 위에 코팅을 입혀 상기 세부표식을 보호하거나, 상기 표식(16)을 방수 표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식(10)의 후면(17)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부착부(13)를 구성하여 연주자가 상기 표식(10)을 악보(2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식(10)의 두께를 얇게 하거나, 또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제작함으로써, 상기 표식(10)을 악보(20)애 부착하더라도 악보(20)가 최소한 부분적으로 보일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표식(10)을 두껍게 만들거나 또는 불투명한 재질로 제작함으로써, 상기 표식(10)을 악보(20)에 부착할 경우, 상기 표식(10) 아래의 악보(20)가 보이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The mark 1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paper, plastic, metal, etc., and various detailed markings may be printed on the front face 16 of the marking 10, The mark (16) may be formed of a waterproof mark. In addition, the rear surface 17 of the marking 10 may be formed with the attachment portion 13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player can attach the marking 10 to the scoreboard 20 in a detachable manner. It is also possible to make the mark 20 at least partly visible even if the mark 10 is made thin or made of transparent or translucent plastic and the mark 10 is attached to the mark 20 . Alternatively, when the mark 10 is attached to the mark 20 by making the mark 10 thick or opaque, the mark 20 under the mark 10 may not be visible have.

마찬가지로 상기 표식 세트(30)의 밑판(31) 역시 종이, 플라스틱, 금속 등으로 만들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밑판(31)의 전면(36)은 상기 표식(10)의 후면(17)과 용이하게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밑판(31)의 전면(36)에는 상기 표식(10)의 부착부(13)와 탈착이 용이한 물질을 코팅할 수 있다.The front face 36 of the bottom plate 31 can be easily detached and attached to the rear face 17 of the marking 10, Can be configured. To this end, the front surface 36 of the bottom plate 31 may be coated with a material easily attachable and detachable to the attachment portion 13 of the marking 10. [

본 명세서의 첫 번째 측면의 세 번째 실시예로서, 상기 표식(10)의 일부는 상기 첫 번째 실시예와 같이 악보(20)에 인쇄되거나 또는 다른 형태로 고정된 형태로 연주자에게 제공하는 한편, 상기 표식(10)의 나머지는 상기 두 번째 실시예와 같이 악보(20)와는 별도의 물건으로, 또는 상기 표식 세트(30)의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주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표식 세트(30)로부터 특정 표식(10)을 탈착하여 악보(20)에 부착하거나, 악보(20)에 인쇄된 표식(10) 위에 탈착한 표식(10)을 부착하여 인쇄된 표식(10)을 부착한 표식(10)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As a third embodiment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rt of the mark 10 is printed or otherwise fixed to the score 20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remainder of the landmark 10 may be configured as a separate item from the score 20 or in the form of the landmark set 30, as in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ly, the player removes the specific marking 10 from the marking set 30 and attaches the marker 10 to the marking 20 if necessary, or attaches the marking 10 to the marking 10 printed on the marking 20 The printed mark 10 can be replaced with the attached mark 10.

상기 세 번째 실시예는 상기 주석부(12)에 적용될 수 있다. 즉 특정 표식(10)에 이와 관련된 주석부(12)를 포함시키는 대신, 상기 주석부(12)는 악보(20)의 특정 부분에서만 한 번, 또는 다수의 부분에서만 특정 횟수에 걸쳐 인쇄하여 연주자가 이를 인지하도록 하는 반면, 표식(10)에서는 상기 주석부(12)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표식(10)의 크기를 최소화하며, 상기 표식(10)을 단순화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표식 세트(30)에 특정 수효의 주석부(12)를 포함시키거나 특정 수효의 표식(10)만이 상기 주석부(12)를 포함하는 반면 다른 표식(10)들은 주석부(12)를 포함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연주자가 상기 주석부(12)에 기재된 정보나 상기 주석부(12)가 제공하는 정보를 용이하게 인지하는 한편 상기 표식(10)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도 있다.The third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the tin section 12. That is, instead of including the annotation portion 12 associated with the specific marker 10, the annotation portion 12 prints only once at a specific portion of the score 20 or a certain number of times at a plurality of portions, While the marking 10 minimizes the size of the marking 10 by removing the tin 12 and simplifies the marking 10. [ Or only a certain number of indicia 10 may be included in the set of indicia 30 or only a certain number of indicia 10 may include the annotation 12 while the other indicia 10 may include the annotation 12 The player can easily recognize the information described in the annotation unit 12 and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annotation unit 12 while minimizing the size of the marking 10. [

본 명세서의 첫 번째 측면의 상기 표식(10)은 악보의 다양한 부분에 인쇄하거나 부착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표식(10)은 이에 해당하는 음표나 기호의 바로 위나 아래에 인쇄하거나 부착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표식(10)과 관련된 각종 다양한 정보가 특정 음표나 기호에 해당함을 연주자에게 정확히 전달할 수 있다. 즉 이를 통하여 연주자는 특정 음표를 연주하거나 또는 특정 기호 등을 연주할 때 손이나 손가락의 위치나 자세, 어깨로부터 팔을 거쳐 손가락에 이르는 부위의 위치나 자세, 건반악기의 건반을 누르거나 현악기의 현을 조작하는 주법, 건반악기의 건반을 누르거나 현악기의 현을 조작하여 연주되는 음색 등을 조작할 수 있다.The indicia 10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printed or attached to various portions of the score. For example, the indicia 10 may be printed or affixed directly above or below the corresponding note or symbol.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convey to the player that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marking (10) corresponds to a specific note or symbol. In other words, when the player performs a particular note or plays a specific symbol, the position or posture of the hand or the finger, the position or the posture of the part from the shoulder to the arm through the finger, the key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 key to operate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or a tone to be played by manipulating strings of a string instrument.

이와는 달리 연주자가 특정 음표를 연주하기 위하여 손의 위치를 일정 거리 이상 바꾸어야한다거나 새로운 화음을 연주해야하는 등의 경우, 상기 표식(10)은 이에 해당하는 음표보다 조금 앞에 인쇄하거나 부착함으로써 연주자가 미리 이에 필요한 상반신 부위, 하반신 부위, 몸통 부위, 또는 호흡 부위의 조작을 준비하도록 도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연주자가 자신이 연주한 소리의 여운을 듣고 다음 음표까지 연결하거나, 또는 특정 음표를 연주하기 전 미리 그 음표를 마음속으로 준비하고 연주하는 자세 등을 스스로 대비하거나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동일한 음표를 반복적으로 실수하며 연주할 때 왜 실수를 하는 지에 대한 이유를 확인할 수도 있다.On the contrary, when the player has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hand over a certain distance to play a specific note, or to play a new chord, etc., the marking 10 may be printed or attached before the corresponding note, The upper body part, the lower body part, the torso part, or the breathing part can be prepared for operation. This allows the player to listen to the loudness of his or her own sound and connect to the next note, or to prepare and confirm his or her own mind in advance before playing a particular note, You can make a mistake repeatedly and find out why you make mistakes when playing.

본 명세서의 악기 연주용 표식에 대한 두 번째 측면은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 중 하나인 “상반신표식”으로서, 상기 상반신표식은 상반신 부위, 즉 손가락, 손, 팔 등과 같이 연주자의 신체 상반신에 위치한 다양한 상반신 부위와 관련된 표식을 지칭한다. 따라서 상기 상반신표식은 [1] 손가락이나 손가락뼈(지절골), 손등이나 손허리뼈(중수골), 손목이나 손목뼈(수근골), 아래팔이나 아래팔뼈(요골 및 척골), 위팔이나 위팔뼈(상완골), 어깨나 어깨뼈(견갑골) 등 상반신에 위치한 다양한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와 관련된 표식, [2] 상기 부위의 조작과 관련된 표식, [3] 상기 자세나 조작을 통한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과 관련된 표식, 또는 [4] 상기 자세 또는 조작들과 관련된 표식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반신표식은 앞서 설명한 표식 세트에 포함되어 제작하나, 별도의 표식으로서 제작할 수 있다.The second aspect of the marking for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he "upper body marking", which is one of the markings for various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and the upper body marking is a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upper body, that is, various upper body parts located on the player's upper body, Refer to the relevant mark. Therefore, the above-mentioned upper body marking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1] a finger or a finger bone (a point bone), a back or a back bone of a hand (a metacarpal bone), a wrist or a wrist bone (2) a mark associated with manipulation of the region; (3) a specific portion of the musical instrument through the posture or manipulation; (4) Or [4] a mark associated with the posture or operations, and the like. The upper half body marking may be included in the marking set described above, but may be produced as a separate marking.

특히 상기 상반신표식은 건반악기,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가 상기 악기로 특정 음악적 기교를 실행하거나 상기 악기로 특정 음악적 표현을 구현할 때 이에 필요한 상기 상반신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 상기 자세를 위한 상기 상반신 부위의 조작, 상기 자세나 조작을 통한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 또는 상기 자세나 조작들과 관련된 전체적 자세 등과 관련된 정보 등을 수많은 문자로 이루어진 문장(즉 글자 또는 숫자)을 읽는 대신, 상기 표식이 전달하는 정보의 상당한 부분을 시각적 또는 촉각적으로 인지함에 따라 상기 정보도 용이하게 인지하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표식은 필요에 따라 주석부를 포함하되 상기 문장보다 가능한 한 적은 수의 문자만을 포함하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아예 주석부를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상기 자세나 조작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는 상기 주석부와 글자나 숫자를 포함하지 않는 표식을 혼용하여 상기 자세나 조작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Particularly, the upper body marking can be applied to an anatomical posture of the upper body part required when a player performing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string instrument, wind instrument, percussion instrument performs a specific musical technique with the musical instrument or implements a specific musical expression with the musical instrument, Instead of reading a sentence (i.e., letters or numbers) made up of a large number of letters, such as manipulation of the upper half of the body, manipulation of a specific part of the musical instrument through the posture or manipulation, or information related to the posture or the overall attitude related to the manipulations, The information is also easily recognized as it visually or tactually recognizes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information delivered by the indicia. To this end, the marking may be configured so as to include only a small number of characters as much as possible, including annotations as necessary, or to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posture or operation without including annotations at all. Alternatively, the information on the posture or the operation may be transmitted by using a combination of the annotation part and a landmark not including letters or numbers.

이를 위하여 상기 상반신표식은 [1] 상기 정보를 직접 묘사하는 인체 부위(즉 상반신 부위 또는 상기 상반신 부위와 해부학적으로 또는 의미 상 관련된 비상반신 인체 부위)에 대한 해부학적 그림인 제1종 그림, 상기 제1종 그림을 단순화한 제1종 아이콘, 또는 상기 제1종 그림 또는 제1종 아이콘을 의미하는 기타 제1종 기호, [2] 상기 정보를 직접 묘사하되 [1]의 인체 부위 대신 이에 해당하거나 이와 관련된 동물의 부위에 대한 해부학적 그림인 제2종 그림, 상기 제2종 그림을 단순화한 제2종 아이콘, 또는 상기 제2종 그림 또는 제2종 아이콘을 의미하는 기타 제2종 기호, 또는 [3] 상기 정보를 간접적으로 묘사하되 [1]의 인체 부위나 [2]의 동물의 부위에 해당하지 않는 제3종 그림, 상기 제3종 그림을 단순화한 제3종 아이콘, 또는 상기 제3종 그림 또는 제3종 아이콘을 의미하는 기타 제3종 기호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upper half marker is defined as [1] an anatomical image of a first type picture of a human body region (i.e., an upper body region or an upper body region that is anatomically or semantically related to the upper body region) A first type icon which simplifies the first kind picture or other first type symbols which mean the first kind picture or the first type icon, [2] a description of the above information directly, but it is applicable to the body part of [1] A second type icon which is an anatomical image of an animal part related to the first type picture or a second type icon which simplifies the second type picture or other second type symbol which means the second type picture or the second type icon, Or [3] a third type picture indirectly depicting the information but not corresponding to a human body part of [1] or an animal part of [2], a third type icon that simplifies the third type picture, Three species or third species And a third type symbol indicating an icon.

따라서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 중 상기 제1종 및 제2종 그림, 제1종 및 제2종 아이콘, 또는 제1종 및 제2종 기호는 일반적으로 상기 악기를 특정 음악적 기교로 연주하기 위한 “연주자의 자세”에 관련되는 반면, 상기 제3종 그림, 제3종 아이콘, 또는 제3종 기호는 일반적으로 상기 자세는 물론 상기 악기로 구현할 수 있는 특정 “음악적 표현”과 관련될 수 있다. 물론 이와는 반대로 연주자의 자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3종 그림, 제3종 아이콘, 또는 제3종 기호로 전달하거나, 음악적 표현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1종 및 제2종 그림, 제1종 및 제2종 아이콘, 또는 제1종 및 제2종 기호로 전달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pictographs, the first and second pictographs, or the first and second type symbols of the various musical instrument markings are generally referred to as " musicians " Posture ", while the third type symbol, the third type icon, or the third type symbol generally relates to the specific" musical expression "that can be implemented with the musical instrument as well as the attitude. As a matter of course, conversely, information on the attitude of the performer may be transmitted to the third type picture, the third type icon, or the third type symbol, or information on the musical express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and second type pictures, A second type icon, or first and second type symbols.

또한 학습자가 어린이인 경우, 상기 표식은 어린이가 선호하거나, 어린이가 이해하기 용이하거나, 어린이의 흥미를 유발하거나, 또는 어린이가 집중력을 잃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가 성인일 경우에도, 상기 표식은 학습자가 상기 악기를 특정 음악적 기교로 연주하거나 상기 악기로 특정 음악적 표현을 표현하는 데 필요한 설명을 긴 문장을 읽은 후 인지하는 대신, 표식의 시각적 또는 촉각적 특징으로부터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학습자의 집중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 중 상기 제1종 내지 제3종의 그림이나 아이콘, 또는 기호를 구성할 수 있다.Also, if the learner is a child, the marking can be configured to be preferred by the child, easy for the child to understand, interesting to the child, or not to lose the concentration of the child. In addition, even if the learner is an adult, the marking can be used not only for the learner to play the musical instrument with a specific musical skill or to read a long sentence after reading a description necessary for expressing a specific musical expression with the musical instrument,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first to third types of pictures, icons, or symbols among various markings for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so as not to deteriorate the learner's concentration.

본 명세서의 악기 연주용 표식에 대한 세 번째 측면은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 중 하나인 “상반신표식”으로서, 상기 상반신표식은 건반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에게 [1] 기존의 악보에는 포함되어있지 않는, 또는 기존의 음악 기호로는 자세히 설명할 수 없는 상반신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2] 상기 부위의 조작과 관련된 정보, [3] 상기 자세 또는 조작을 통한 건반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4] 상기 자세 또는 조작들을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제동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다양한 상반신표식은 연주자가 특정 음악적 기교를 실행하거나 또는 특정 음악적 표현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The third aspect of the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marking in this specification is the "upper body marking" which is one of the markings for playing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nd the upper body marking is to be given to the player playing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1] Information about the anatomical posture of the upper body part which can not be explained in detail by the music symbol of the musical instru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nformation related to the manipulation of the part, [3] information about manipulation of a specific part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through the posture or manipulation , Or [4] the information on the overall posture of the player for the posture or operations. Thus, various upper body markings can convey various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performer to perform a specific musical skill or to implement a specific musical expression.

많은 건반악기 중 피아노는 연주자가 건반을 타격함으로써 직접 소리를 발생하기 보다는 해머와 현을 이용하여 소리를 발생하는 타악기적 특징을 지닌다. 즉 연주자가 건반을 손가락으로 타격하면 건반이 해머를 작동시키고, 상기 해머는 현을 타격하며, 상기 타격에 의하여 상기 현이 진동함으로써 소리가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건반을 아주 약하게 타격하면, 건반을 끝까지 눌러도 소리가 나지 않는 지점, 즉 toning point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연주자가 약한 힘으로 건반을 타격하면, 약한 힘으로 움직이는 해머 역시 현을 타격할 수 있는 속도에 미치지 못하게 되는 경우이다. 이와 같이 연주자는 건반을 특정 힘이나 속도 이상으로 타격해야만 음이 발생하기 때문에, 연주자는 건반을 타격하는 힘, 속도, 시간 등을 적절히 조작해야만 한다. 또한 상기 힘, 속도, 시간 등은 건반악기가 발생하는 음의 크기, 시간 등은 물론 상기 음의 음색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상반신 부위의 적절한 자세, 상기 부위의 조작 및 이를 통한 건반의 조작 등에 대한 상반신표식은 건반악기 연주자가 특정 음악적 기교를 실행하거나 또는 특정 음악적 표현을 구현하는 데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Among many keyboard instruments, the piano has percussive features that generate sounds using hammers and strings rather than direct sound by the player hitting the keyboard. That is, when the player hits the keyboard with his or her finger, the keyboard actuates the hammer, the hammer strikes the string, and the strings are vibrated by the strike to generate sound. However, if you strike the keyboard very weakly, you can see the point where you can not hear the tone, that is, the toning point, even if you push the key all the way down. That is, when a player hits the keyboard with a weak force, the hammer, which moves with a weak force, may not reach the speed at which the string can be struck. In this way, the player must strike the keyboard with a certain force or speed to generate a sound, so the player must appropriately manipulate the force, speed, and time to strike the keyboard. In addition, the force, speed, time, and the like affect not only the size and time of the sound generated by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but also the tone of the sound. Therefore, the upper body markings on the proper posture of the upper body part, manipulation of the above-mentioned parts and manipulation of the key through this, provide information that is very important for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layer to perform a specific musical skill or to implement a specific musical expression.

하술의 도 4는 다양한 상반신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나 상기 부위의 조작에 대한 다양한 표식의 예시로서, 특히 피아노 연주와 관련된 각종 시각적 상반신표식의 예시이다. 따라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향후 양손의 1번 손가락은 엄지손가락을 지칭하고, 이하 검지를 2번 손가락, 중지를 3번 손가락, 약지를 4번 손가락, 소지를 5번 손가락이라 지칭하기로 한다.FIG. 4 is an illustration of various markings on various anatomical postures and manipulations of the above-mentioned regions, and in particular, examples of various visual upper-body markers related to piano performance. Therefor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irst finger of the both hands refers to the thumb, and the finger i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econd finger, the third finger as the stop, the fourth finger as the finger, and the fifth finger as the finger.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는 손 근육, 뼈, 및 힘줄의 해부학적 구조에 근거한 손가락 운지법에 대한 다양한 표식이며, 특히 오른손 및 왼손의 4번 손가락을 이용한 건반 타격에 대한 다양한 표식으로서, 도 4의 (가-1) 및 (가-2)의 표식들이 이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일예로 도 4의 (가-1)의 표식(10A)은 손의 근육 및 힘줄의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제1종 그림의 예시이며, 상기 그림은 연주자가 자신의 1번 손가락, 2번 손가락, 3번 손가락 및 5번 손가락은 각각의 근육과 힘줄로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각각 조작하기가 용이한 반면, 4번 손가락의 힘줄은 3번과 5번 손가락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4번 손가락을 다른 손가락처럼 독립적으로 조작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표식(10A)은 3번과 5번 손가락은 방치한 채 4번 손가락을 무리하게 단독으로 들어 올리며 건반을 타격하는 방법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정보를 전달하며, 이에 근거하여 상기 표식(10A)은 연주자가 4번 손가락을 움직일 때에는 3번 또는 5번 손가락과 함께 움직임이 바람직하다는 정보를 전달한다.The first embodiment of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 variety of markings on finger fingering based on the anatomical structures of the hand muscles, bones, and tendons, and in particular as a variety of markings for key strikes using the fourth finger of the right and left hands , (I-1) and (I-2) in Fig. 4 schematically illustrate this. For example, the mark (10A) in Fig. 4 (a-1) is an example of the first kind picture for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muscles and tendons of the hand, The third finger and the fifth fing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ir respective muscles and tendons, respectively, while the fourth finger is connected to the third and fifth fingers. Therefore, the fourth finger is independent of the other fingers It is not easy to operate. Therefore, the marker 10A informs that the method of hitting the key by lifting the fourth finger alone by forcefully holding the finger 3 and the finger 5 is not preferable, When the player moves the fourth finger, he or she notifies the third or fifth finger that the movement is desirable.

도 4의 (가-2)의 표식(10B) 역시 손의 근육 및 힘줄의 해부학적 구조에 근거한 제1종 그림의 예시로서, 오른손의 경우, 음이 낮아지는 선율에서는 연주자가 4번 손가락을 3번 손가락과 함께 움직임이 바람직한 반면, 음이 높아지는 선율에서는 연주자가 4번 손가락을 5번 손가락과 함께 움직임이 바람직함을 도시한다. 왼손의 경우에는 이와 반대로 음이 낮아지는 선율에서는 연주자가 4번 손가락을 5번 손가락과 함께 움직임이 바람직하나, 음이 높아지는 선율에서는 연주자가 4번 손가락을 3번 손가락과 함께 움직임이 바람직함을 도시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표식(10B)에 다양한 주석부(12)를 포함하여 이러한 내용을 자세히 설명할 수 있다. 상기 표식(10A) 또는 표식(10B)는 본 명세서의 첫 번째 측면의 세 번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구조 및 방법으로 인쇄되거나 부착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10B) of FIG. 4 is an example of the first kind picture based on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muscles and tendons of the hand, and in the case of the right hand, While movement with the first finger is desirable, in the melody having a higher sound, it is preferable that the player moves the fourth finger with the fifth finger. In the case of the left hand, on the contrary, in the melody where the sound is lowered, it is preferable that the player moves the fourth finger with the fifth finger, but in the melody where the sound is higher, the player should move the fourth finger with the third finger do. For this purpose, the marking 10B may include various annotations 12 to explain this in detail. Since the mark 10A or mark 10B is printed or attached in various structures and methods as described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는 팔의 위치에 대한 표식이며, 도 4의 (나)의 표식이 이를 예시한다. 일예로 표식(10A)은 대략 제3종 그림 또는 제3종 아이콘에 해당하는 각도기로서, 상기 표식(10A)은 앞 팔의 바람직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연주자가 건반을 타격할 때 손가락, 특히 4번째 손가락, 손목 및 팔의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손가락 또는 팔의 각도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표식(10A)의 각도기는 원주를 따라 눈금은 새겨져있지만 각도는 기입되어 있지 않는 형태이다. 따라서 연주자가 상기 표식(10A)을 인지하면 자신의 팔의 위치 및 이와 관련된 각도를 바람직한 위치나 각도와 비교하고, 필요할 경우 이를 수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 marker for the position of the arm, and the marker of Figure 4 (b) illustrates it. For example, the indicia 10A is a protractor corresponding to a third type or third icon, and the indicia 10A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desired position of the forearm so that when the player hits the keyboard, It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angle or position of a finger or arm that can minimize fatigue, especially on the fourth finger, wrist, and arm. The protractor of the marking (10A) is in the form that the scale is engraved along the circumference but the angle is not written. Accordingly, when the player recognizes the mark 10A, the position of his / her arm and the related angle are compared with a desired position or angle, and if necessary, the position can be corrected.

이와는 달리 상기 표식(10A)의 각도기는 원주를 따라 눈금을 포함하며, 특히 바람직한 각도에 해당하는 눈금을 표시하여 연주자가 바람직한 각도 및 이에 따르는 팔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표식(10A)의 각도기에 연주자가 자신이 원하는 각도에 해당하는 부분을 연필이나 펜으로 표시하거나, 상기 각도에 해당하는 숫자를 기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protractor of the marking 10A may include a scale along the circumference, and a scale corresponding to a particularly preferable angle may be displayed so that the player can confirm the desired angle and the position of the following arm. Alternatively, the player can display a portion corresponding to an angle desired by the player with a pencil or pen on the protractor of the marker 10A, or provide a space for writing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angle.

위의 본 명세서 세 번째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1번, 2번, 3번 손가락은 서로 각각 분리되어 있으므로, 연주자는 상기 손가락들을 서로 독립적으로 조작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연주자가 손 모습대로 손을 건반에 얹게 되면 2번 및 3번 손가락은 물론 1번 손가락도 일반적으로 건반과 수직 방향으로 평행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손가락들로 건반을 타격하기도 용이하다. 이에 반하여 4번 손가락은 해부학적으로 3번 손가락 및 5번 손가락의 인대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연주자가 4번 손가락만을 독립적으로 들어올리기가 불편한 편이며, 따라서 4번 손가락만으로 건반을 타격하기도 불편하다. 또한 연주자가 손 모습대로 손을 건반에 얹은 후 4번 또는 5번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하게 되면 상기 손가락이 건반과 평행하지 않고 약간의 각도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4번(또는 5번) 손가락이 이러한 각도를 이룬 채 건반을 타격하게 되면, 상기 손가락과 연결된 앞 팔의 뼈인 척골이 이탈하게 되어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어 연주가 불편해짐은 물론 이를 무리하게 계속하면 팔의 근육이 피로해지며, 최악의 경우 부상을 당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second, and third finger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player can easily operate the fingers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n addition, when the player puts his / her hand on the keyboard in the manner of his / her hands, the first and second fingers of the second and third fingers as well as the first finger are generally parallel to the keybo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other hand, since the fourth finger is anatomically connected to the ligaments of the third finger and the fifth finger, it is inconvenient for the player to independently lift the fourth finger independently, so it is inconvenient to hit the keyboard by only the fourth finger . In addition, when the player puts his / her hand on the keyboard in the shape of a hand and then hits the keyboard with the fourth or fifth finger, the finger is not parallel to the keyboard and has a slight angle. Therefore, if the fourth finger (or fifth finger) hits the keyboard with such an angle, the ulnar bone, which is the bone of the front arm connected to the finger, is disengaged and can not perform its function, If you do, your muscles become tired, and in the worst case you may get injured.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표식(10A)은 연주자가 4번(또는 5번) 손가락을 사용하는 음표 상부나 하부 또는 기타 인지하기 쉬운 위치에 인쇄하거나 부착하며, 이에 따라 연주자는 의식적으로 4번(또는 5번)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할 때 상기 손가락이 건반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도록, 또는 건반의 수직 방향으로 직각이 되도록 손목이나 팔의 자세를 취하게 된다. 따라서 연주자는 손목, 팔 등의 근육의 피로를 최소화하며, 특히 4번(또는 5번) 손가락과 같이 단독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할 때 손목이나 팔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바람직한 타격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 번째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는 손 근육, 힘줄 등의 해부학적 구조에 근거한 동일한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와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is, the marking 10A prints or attaches to the top or bottom of the note using the finger 4 (or 5) finger, or other easy-to-perceivable position, so that the player consciously presses 4 When the finger is hitting the keyboard with the finger, the finger is placed in a posture such that the finger i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keyboard or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keyboard. Therefore, the player minimizes the fatigue of the muscles of the wrists, arms, etc., and changes the position of the wrist or arm when hitting the keyboard with a finger that is difficult to use alone, such as the 4th (or 5th) . Therefore,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third aspect can be u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same aspect based on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hand muscles, tendons, and the like.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의 세 번째 실시예는 손가락 자세에 대한 표식이다. 일예로 도 4의 (다)의 표식(10B)은 연주자가 건반을 타격하기 전의 손가락의 자세에 대한 제2종 그림 또는 제2종 아이콘의 예시로서, 개구리가 점프하기 전 앉아있는 자세를 예시한다. 단 본 실시예의 상기 표식(10B)은 일반적으로 하술의 다섯 번째 실시예와 병행하여 사용한다.The third embodiment of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indicative of a finger posture. For example, the mark 10B in FIG. 4B is an example of a second type icon or a second type icon with respect to the posture of the finger before the player strikes the keyboard, and illustrates a sitting posture before the frog jumps . However, the landmark 10B of this embodiment is generally used in parallel with the fifth embodiment described below.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의 네 번째 실시예는 손바닥과 손가락의 자세에 대한 표식이며, 도 4의 (라-1) 내지 (라-4)에서와 같이 손가락의 자세에 대한 다양한 표식들은 연주자가 건반을 타격하는 바람직한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일예로 도 4의 (라-1)의 표식(10A)은 손의 근육 및 힘줄의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제2종 그림 또는 제2종 아이콘의 예시로서, 거북이의 등과 목, 다리, 꼬리 등을 묘사한다. 특히 거북이의 등은 연주자의 손등을, 거북이 목은 연주자의 손목을, 그리고 거북이 다리 및 꼬리는 연주자의 손가락을 의미한다. 특히 상기 표식(10A)의 거북이의 목은 연주자가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할 때 손목의 유연성을 유지하고 활용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The fourth embodiment of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rk for the posture of the palm and the finger. Various marks for the posture of the finger as shown in (l-1) to (l-4) And provides information on a desired posture to strike. For example, the marker (10A) in FIG. 4 (LA-1) is an example of a second type or second type icon for the anatomy of the muscles and tendons of the hand, including the back, neck, legs and tails of a turtle Describe. In particular, the back of a turtle means the hand of a player, the turtle neck means the wrist of a player, and the turtle leg and tail means the finger of a player. In particular, the tortoise neck of mark (10A) conveys information that the player is required to maintain and utilize the flexibility of the wrist when hitting the keys with his or her fingers.

도 4의 (라-2)의 표식(10B) 역시 제2종 그림 또는 제2종 아이콘의 예시로서 (라-1)의 표식(10A)과 유사하지만, 표식(10B)은 거북이의 목의 움직임을 묘사하는 아이콘 등의 추가 세부표식(11)을 포함하는 경우이다. 따라서 상기 표식(10B)은 손목의 유연성을 유지하고 활용하라는 정보를 연주자에게 더 확실히 전달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주석부를 상기 표식(10A), (10B)과 함께, 또는 악보의 첫 부분 등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정보를 연주자에게 더 정확하게 전달하거나, 건반 타격 시의 손목의 유연성 및 조작에 대하여 더 자세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10B) of FIG. 4 is also similar to the mark (10A) of (La-1) as an example of the icon of the second kind or icon of the second kind, but the marking (10B) (11), such as an icon, depicting the user. Thus, the marking 10B can more reliably convey information to the player to maintain and utilize the flexibility of the wrist. Of course, by providing the above-described annotations with the marks 10A and 10B, or the first portion of the score, etc.,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player more accurately, or to provide mor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flexibility and operation of the wrist .

한편 도 4의 (라-3)의 표식(10C)은 제1종 그림으로서, 연주자의 손등과 상기 (라-1) 또는 (라-2)의 표식(10A)이나 표식(10B)이 합쳐진 혼합 표식이며, 연주자가 특정 음표를 연주하기 위하여 건반을 타격할 때의 손과 손등을 상기 거북이 등과 같이 단단히 유지함으로써, 연주자의 어깨로부터 팔을 통해 전달된 힘이 손가락에 전달되고, 단단하게 건반과 직각을 이루는 상기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또한 도 4의 (라-4)의 표식(10D)은 연주자가 직접 응용할 수 있는 제1종 그림으로서, 상기 표식(10D)에 다양한 주석부(12)를 포함하여 관련된 내용을 자세히 설명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rk (10C) in FIG. 4 (1-4) is a first kind picture, and the mark of the player's hand is mixed with the mark (10A) or mark (10B) The force transmitted from the shoulder of the player through the arm is transmitted to the finger, and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finger from the player's shoulder is hardly perpendicular to the keyboard Quot ;,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hat the finger to hit the key with the finger. In addition, the mark 10D in FIG. 4 (4) is a first type picture which can be directly applied by the player, and the mark 10D includes various annotations 12 to explain the related contents in detail .

다양한 주석부(12)를 포함하는 (가-2)의 제1종 그림 표식(10B) 및 (라-4)의 제1종 그림 표식(10D) 등은 연주자에게 특정 신체 부위의 자세, 상기 부위의 조작, 또는 전체적 자세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문장으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주석부(12)를 포함하는 표식은 여러 번 반복하여 인쇄되거나 부착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상기 표식이 처음 인쇄되거나 처음 부착되는 부분에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라-1) 내지 (라-4)의 상기 표식(10A) 내지 표식(10D)은 본 명세서의 첫 번째 측면의 세 번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구조 및 방법으로 인쇄되거나 부착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first type picture mark 10D and the first type picture mark 10D of the first type picture markings 10B and (LA-4) including the various tin pieces 12 can be used to give the player the posture of a specific body part, Or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overall attitude is sent to the sentence. As such, the marking including the tin section 12 can be printed or attached repeatedly many times, but if necessary, the marking may be used for the first printed or first printed area. Since the markers (10A) to (10D) of (La-1) to (La-4) are printed or attached in various structures and methods as described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의 다섯 번째 실시예는 건반 타격 전후의 손목과 팔의 각도에 대한 표식이며, 도 4의 (마-1) 내지 (마-5)에서와 같이 손목과 팔의 각도에 대한 다양한 표식들은 연주자가 건반을 타격하기 전후의 바람직한 손목 사용 방법과 팔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일예로 도 4의 (마-1)의 표식(10A)은 연주자가 건반을 타격하는 순간 또는 타격한 직후의 손목과 팔의 각도 및 자세에 대한 제2종 그림 또는 제2종 아이콘의 예시로서, 개구리의 점프 자세를 나타낸다. 즉 상기 표식(10A)은 개구리가 점프하듯 연주자가 건반을 신속히 타격하고 손목을 재빨리 올림으로써, 손목의 탄력을 이용하여 건반을 재빨리 타격함으로써, 건반 내부의 해머 역시 현을 타격하는 시간을 최소화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The fifth embodiment of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dication of the angles of the wrist and arm before and after the strike of the key, and is an indication of the angles of the wrist and arm as shown in Figs. The various markings provide information on how to use the wrist and the position of the arm before and after the player strikes the keyboard. For example, the mark (10A) in FIG. 4 (E-1) is an example of a second type icon or a second type icon for the angle and posture of the wrist and arm immediately after the player hits or hits the keyboard, It represents the jumping attitude of the frog. That is, the marking 10A indicates that the hammer in the key also hits the key quickly by hitting the keyboard quickly and raising the wrist so that the player can quickly hit the key using the elasticity of the wrist as if the frog jumps, .

도 4의 (마-2)의 표식(10B)은 연주자가 건반을 타격하는 순간의 손목과 팔의 각도에 대한 표식으로서, 건반 타격을 나타내는 제1종 그림과 (마-1)의 표식(10A)인 점프하는 개구리의 그림 또는 아이콘을 혼용한 표식이다. 즉 연주자가 건반을 타격하는 순간, 상기 (마-1)의 표식(10A)과 같이 연주자의 손목에 움츠려 앉아있던 개구리가 점프하여 날아가고, 이에 따라 가벼워진 손목이 위쪽으로 이동하며 손가락 역시 건반으로부터 분리되는 동작을 의미한다. 그 결과 연주자의 손가락은 건반을 튕기듯 타격한 후 상부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건반에 연결된 피아노 내부의 해머가 현을 타격하고 이탈함으로써 음이 울리며 공명이 일어나도록 연주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The mark (10B) of FIG. 4 (E-2) is an index of the angles of the wrist and the arm at the moment the player strikes the keyboard. The marks of the first kind and the mark (10A ) Is a marker that combines a figure or icon of a jumping frog. That is, at the moment the player hits the keyboard, the frog sitting on the player's wrist jumps and flies as indicated by the mark (10A) in the above (e-1), so that the lightened wrist moves upward and the fingers are separated from the keyboard Operation. As a result, the player's finger hits the keyboard as if it were bouncing and then moves to the top, so that the hammer inside the piano connected to the keyboard strikes the string, releasing it,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hat the tone sounds and resonance occurs.

또한 도 4의 (마-3)의 표식(10C)과 (마-4)의 표식(10D)은 상기 (마-1)의 표식(10A) 또는 (마-2)의 표식(10B)와 일반적으로 유사하지만, 연주자가 건반을 타격하는 속도 또는 시간의 차이점이 있다는 정보를 전달한다. 일예로 (마-1) 및 (마-2)의 표식(10A)과 표식(10B)은 일반적으로 짧은 타격으로 공명을 일으키는 음악적 효과를 의미하지만, (마-3) 및 (마-4)의 표식(10C)과 표식(10D)은 손바닥의 손가락 자세에 대한 상기 네 번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손등과 손아귀를 거북이 등과 같은 모양으로 단단히 유지하며 손가락을 튕겨주는 해부학적 자세 및 이를 통하여 구현하는 음악적 효과를 의미한다. 바꾸어 말하자면 상기 표식(10C)이나 표식(10D)는 연주자가 손등 자체를 튕기듯, 손등과 손가락에 힘을 준 상태에서 건반을 통통 치는 느낌으로 타격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In addition, the markers 10C and 10D in FIG. 4 (e-3) and the markers 10D in Fig. 4 are similar to the markers 10B and 10B in the markers 10A and 10B, But convey information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speed or time at which the player strikes the keyboard. For example, the markings (10A) and (10B) of (Ma-1) and (Ma-2) generally signify a musical effect that resonates with a short strike, The markers (10C) and the markers (10D) hold an anatomical posture which keeps the back of the hand and the hand in a shape like a tortoise and repels the fingers as described in the fourth embodiment with respect to the finger posture of the palm, Effect. In other words, the marking (10C) or marking (10D) conveys information that the player should strike with a feeling of plumpness in the state where the player is pressing the back of his or her hand,

상술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4의 (마-5)의 표식(10A)와 표식(10E)와 같이, 개구리를 포함하는 표식을 사용할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앉아있는 개구리 표식(10E)과 점프하는 개구리 표식(10A)을 한 쌍으로 함께 사용한다. 특히 연주자는 상기 표식에 따라 건반을 탄력적으로 타격하기 전, 손가락과 손목을 개구리가 움츠린 자세로 조작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악보에는 통상적으로 앉아있는 개구리 표식(10E)이 먼저 인쇄되거나 부착되고, 그 이후 점프하는 개구리 표식(10A)이 사용된다.As described above and in the case of using the marker including the frog, as in the markers 10A and 10E in FIG. 4 (E), the generally used frog marker 10E and the jumping frog The markers 10A are used together in pairs.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player manipulates the fingers and the wrist in a relaxed posture of the frog before the keyboard is flexibly hit. Thus, in the score, the normally sitting frog tag 10E is printed or attached first, and then the frog tag 10A which jumps thereafter is used.

일반적으로 손바닥, 손가락, 또는 손등의 자세 및 상기 부위의 조작과 관련된 상기 표식들은 손등이나 손아귀를 견고하게 잡도록 요구하기에, 연주자는 건반을 타격하기 전 손가락을 건반 위에 직각으로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표식은 일반적으로 악보의 해당 부분의 첫 마디에 인쇄하거나 부착한다. 하지만 상기 표식은 반드시 첫 마디가 아닌 다른 마디, 또는 마디의 중간에 인쇄하거나 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타격 시 손가락에 따라 타격 각도에 주의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도 4의 (나)에서 예시한 각도기와 같은 표식을 혼용할 수도 있다.In general, the posture of the palm, fingers, or the back of the hand and the indications associated with manipulation of the area require that the back of the hand be held firmly, so that the player preferably keeps the fingers perpendicular to the keyboard before hitting the keys. Therefore, the marking is usually printed or affixed to the first bar of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score. However, the marking may be printed or affixed in the middle of a node or node other than the first node. In addition, when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batting angle according to the fingers in such a hitting, it is possible to use the same marker as the protractor shown in Fig. 4 (B).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의 여섯 번째 실시예는 손가락 자세, 특히 손의 양끝에 위치한 1번 및 5번 손가락 자세에 대한 표식이며, 도 4의 (바-1) 내지 (바-4)의 다양한 표식들은 연주자가 상기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하는 바람직한 자세 또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일예로 도 4의 (바-1)의 표식(10A) 또는 (바-2)의 표식(10B) 및 표식(10C)은 연주자가 1번 또는 5번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할 때 사용하여야하는, 또는 사용할 수 있는 각종 근육에 대한 제1종 그림의 예시이다. 특히 표식(10A)은 손을 위 또는 옆에서 보았을 때의 손의 근육을 도시하는 반면, 표식(10B) 및 표식(10C)은 손을 밑에서 보았을 때의 손의 근육을 도시한다.The sixth embodiment of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nger posture, in particular, a finger posture for the first and fifth finger postures located at both ends of the hand, and the various markers of (bar-1) to (bar-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desired posture or method by which the player strikes the keyboard with the fingers. For example, the markings 10B and 10C of the mark (10A) or (bar-2) of FIG. 4 (bar-1) are used when the player hits the keys with the first or fifth finger, Or an example of a first type picture for various muscles that can be used. Particularly, the marker 10A shows the muscles of the hand when viewed from above the hand, while the marks 10B and 10C show the muscles of the hands when viewed from below the hand.

또한 표식(10A)에는 주석부(12)를 첨부하여 상기 근육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제공하며, 특히 상기 주석부(12)를 이용하여 1번 또는 5번 손가락은 물론 다른 손가락들로 건반을 타격할 때, 손가락 사이의 새끼굽힘근(flexor digiti minimi manus, FDMN)을 근육처럼 기르고 활용하여야 타격에 힘이 생기며 음색도 향상된다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표식(10B)와 표식(10C)에도 주석부(12A) 및 주석부(12B)를 포함하여 손가락 사이 근육의 종류 및 사용 방법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tongue 12 is attached to the mark 10A to provid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uscles. In particular, the tongue 12 is used to strike the key with the finger 1 or 5, (FDMN) between the fingers as a muscle, it is possible to transmit information that strength is improved and tone is improved. Also, the markers 10B and 10C can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the kind of the muscles between the fingers and how to use them, including the tin part 12A and the tin part 12B.

도 4의 (바-3)의 표식(10D)은 연주자가 1번이나 5번 손가락으로 연주할 때 상기 손가락으로 적절한 힘을 가하는 자세에 대한 제1종 그림 또는 제1종 아이콘의 예시로서, 상기 표식(10D)은 힘을 주어 수축된 상태의 이두박근을 묘사한다. 즉 상기 표식(10D)은 연주자가 1번 손가락 또는 특히 힘이 약한 5번 손가락으로 연주할 때에는, 팔에 힘을 주어 이두박근을 수축시키듯 상기 새끼굽힘근에 힘을 주는 자세로 건반을 타격하여야한다는 의미이다.The mark (10D) of FIG. 4 (bar-3) is an example of a first type icon or a first type icon for a posture in which a player applies an appropriate force with the finger when playing with a finger 1 or 5, The marker (10D) depicts the biceps in a contracted state with a force. That is, when the player plays with the first finger or the fifth finger with a particularly weak force, the mark (10D) should strike the keyboard in such a manner as to give a force to the bicep flexor muscle so as to shrink the bicep muscle It means.

물론 이두박근은 1번 손가락이나 5번 손가락과는 상이한 해부학적 부위이지만, 상기 이두박근은 1번이나 5번 손가락의 조작과는 의미 상 관련이 있으므로 제1종 그림 또는 제1종 아이콘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표식(10D)을 사용하되 이두박근의 크기, 색, 또는 위치 등을 상이하게 조작함으로써 연주자가 손가락에 가하는 힘의 크기, 방향, 기간 등에 대한 정보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Of course, biceps tend to be different anatomic sites from finger 1 or finger 5, but the biceps are semantically related to the manipulation of finger 1 or 5, so they correspond to the first type or first type icon. Further, by using the mark 10D, by manipulating the size, color, or position of the biceps differently, information on the size, direction, and duration of the force applied to the finger by the player can be additionally provided.

한편 도 4의 (바-4)의 표식(10E)은 도 4의 (바-3)의 표식(10D)과 도 4의 (나)의 표식(10A)을 혼합한 형태로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식(10E)은 연주자가 5번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할 때에는 표식(10D)와 같이 적절한 힘을 가함은 물론 이와 공시에 팔의 각도 역시 조작하여야한다는 정보를 전달한다. 따라서 연주자가 상기 표식(10E)을 인지하게 되면 5번 손가락에 적절한 힘을 가하는 한편 손목 또는 팔목 역시 적절한 각도로 회전하는 조작을 통하여 적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rk 10E of FIG. 4B-4 can be regarded as a mixture of the mark 10D of FIG. 4B and the mark 10A of FIG. 4B. Therefore, when the player hits the keyboard with the fifth finger, the marker 10E transmit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not only the proper force as the mark 10D but also the angle of the arm should be manipulated in the announcement. Accordingly, when the player recognizes the mark 10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proper posture by operating the wrist or the cuff at an appropriate angle while applying appropriate force to the fifth finger.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의 일곱 번째 실시예는 손가락 자세, 특히 손의 안쪽 끝에 위치한 1번 손가락 자세에 대한 표식이며, 도 4의 (사-1) 내지 (사-4)의 다양한 표식들은 연주자가 1번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하는 바람직한 자세 또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일예로 도 4의 (사-1)의 표식(10A)는 1번 손가락으로 다양한 건반을 타격할 때 사용되는 1번 손가락 아래에 위치한 단무지 벌름(외전)근의 해부학적 위치 및 구조를 도시하는 제1종 그림이며, 연주자는 상기 표식(10A)을 참고하여 상기 근육의 위치를 확인함은 물론 상기 표식(10A)과 같이 1번 손가락을 펼친 상태로, 상기 근육을 세운 상태로 건반을 타격하다는 정보를 전달한다.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nger posture, particularly a finger 1 posture positioned at the inner end of the hand, and the various markings of (S-1) through (S-4) It is intended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desired posture or method of hitting the keyboard with the first finger. For example, the mark (10A) in FIG. 4 (S-1) indicates the anatomical position and structure of the radial roots (abduction) muscle located below the first finger used for hitting various keys with the first finger The player confirms the position of the muscle with reference to the marking 10A and also display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player is hitting the keyboar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finger is extended as shown in the marking 10A, .

도 4의 (사-2)의 표식(10B)은 상기 근육과 유사한 형상을 가진 물고기 모양의 제2종 그림 또는 제2종 아이콘이다. 따라서 연주자는 이를 통하여 악보에서 상기 표식(10B)을 확인할 때마다 상기 근육을 조작하여 1번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할 수 있다.A mark (10B) in FIG. 4 (S-2) is a fish type second type picture or a second type icon having a shape similar to the muscle. Accordingly, the player can strike the keyboard with his / her first finger by operating the muscle every time he / she checks the marking 10B on the score.

한편 도 4의 (사-3)의 표식(10C)은 상기 표식(10A)에 근거하여 연주자가 1번 손가락을 조작하는 데 필요한 상기 단무지 벌름(외전)근의 힘을 기르는 연습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제1종 그림이며, 상기 표식(10C)은 상기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주석부(12)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4의 (사-2)의 표식(10B)은 이와 관련된 손가락의 자세나 이를 위한 조작이 필요한 부분마다 인쇄하거나 부착함이 바람직하지만, 주석부(12)를 포함하는 상기 표식(10C)은 악보의 첫 부분이나 특정 부분, 상기 표식(10C)이 처음 사용되는 부분 등과 같이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일곱 번째 실시예에서 예시한 다양한 표식은 본 명세서의 첫 번째 측면의 세 번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구조나 방법으로 인쇄되거나 부착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the marking 10C of FIG. 4 (S-3) shows the information about the practice method of raising the strength of the radial roots (abductor) muscle necessary for the player to operate the first finger based on the marking 10A (10C) includes an annotation part (12)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mark 10B of FIG. 4 (S-2) be printed or attached to each part of the finger or the part required for the operation, 10C) can be used in a limited manner such as a first part or a specific part of the score, a part where the marking (10C) is first used, and the like. The various markers exemplified in the seventh embodiment are printed or attached in various structures or methods as described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4의 (사-4)의 표식(10D) 내지 표식(10G)는 (사-2)의 물고기 형상의 표식(10B)과 화살표를 혼합한 제2종 아이콘들이다. 특히 상기 표식(10D) 내지 표식(10G)은 연주자가 단무지 벌름(외전)근을 세우고 1번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할 때, 연주하는 음들이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방향에 따라 1번 손가락 역시 화살표 방향으로 즉 우측 또는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The markings (10D) to (10G) in FIG. 4 (S-4) are the second type icons which are obtained by mixing the arrow mark 10B with the fish shape mark (S-2) Particularly, in the markings 10D to 10G, when the player hits the keyboard with the first finger and sets up the roots of the rosette, the first finger is also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notes to be played go up or down To the right or to the left.

또한 우회전을 나타내는 표식(10D) 및 표식(10F)은 일반적으로 오른손 1번 손가락 조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표식인 반면, 한편 좌회전을 나타내는 표식(10E) 및 표식(10G)는 일반적으로 왼손 1번 손가락 조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표식이다. 이에 따라 연주자는 양손의 1번 손가락을 바람직한 자세로 조작할 수 있다.The signs 10D and 10F indicating the right turn are generally indicia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of the first finger of the right hand while the signs 10E and 10G indicating the left turn are generally the left hand No. 1 It is a marker that contains information about finger manipulation. Thus, the player can operate the first finger of both hands in a desired posture.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의 여덟 번째 실시예는 손가락 자세, 특히 손 안쪽 끝에 위치한 손허리 관절에 대한 표식이며, 도 4의 (아-1) 및 (아-2)의 표식들은 연주자가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하기 위한 손가락 및 손목의 관절의 자세 및 이러한 다양한 상반신 부위들을 효율적으로 조작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일예로 도 4의 (아-1)의 표식(10A)은 손가락을 팔로 연결하는 뼈 및 관절에 대한 제1종 그림으로서, 손가락이 어디서부터 시작되는 지, 그리고 각각의 손가락이 손등의 뼈나 손목의 관절 등과 어떤 구조로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전달한다.The eighth embodiment of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nger posture, in particular, a mark for the back of the hand located at the inner end of the hand, and the markings of (A-1) and (A- And information on how to manipulate these various upper body parts efficiently. For example, the mark (10A) of FIG. 4 (A-1) is a first kind of bones and joints connecting the fingers with arms, from which the fingers start and when each finger is placed on the bones or wrists Joints, and so on.

특히 상기 표식(10A)은 손 및 손목의 상기 해부학적 구조에 근거하여 손가락을 적절히 조작하는 한편, 손가락의 피로를 최소화하는 연주 자세 및 방법을 도시한다. 즉 연주자가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하면 연주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손가락이 피로해지기 마련이며, 이와 같은 피로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려면 연주자는 자신의 손가락만을 움직일 것이 아니라 손목부터 사용하여야한다는, 즉 손허리 관절(CMC Joint)부터 조작하여야한다는 정보를 전달한다.Particularly, the marking 10A shows a playing posture and a method for appropriately operating the fingers based on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hand and wrist while minimizing the fatigue of the fingers. In other words, if a player hits the keyboard with his or her fingers, the fingers become fatigued as the playing time becomes longer. To prevent or minimize such fatigue, the player must use his or her wrist only, (CMC Joint).

도 4의 (아-2)의 표식(10B)은 야구 글러브에 손의 뼈 및 손허리 관절 등을 혼합한 제3종 그림, 또는 제3종 아이콘으로 간주할 수 있다. 즉 연주자가 야구 글러브 속으로 손을 집어넣고 공을 잡으려면, 연주자는 자신의 손가락만 움직일 것이 아니라 손허리 관절부터 조작하여야한다는 사실을 의미함으로써, 연주자로 하여금 건반을 타격하려면 손허리 관절부터 조작하여야한다는 정보를 전달한다. 또한 그림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표식(10B)은 물론 이보다 간단한 그림이나 아이콘만을 포함하도록 상기 표식(10B)을 단순화할 수도 있다. 일예로 상기 표식(10B)에 포함된 공을 제거하여 단순화하거나. 상기 표식(10B)에서 공은 물론 글러브 안의 뼈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표식(10B)을 더욱 단순화할 수도 있다.The marker (10B) in FIG. 4 (A-2) can be regarded as a third kind of a picture in which a baseball glove is mixed with a bone of a hand and a hip joint of a hand, or a third type icon. In other words, if a player puts his / her hand into a baseball glove and catches the ball, it means that the player has to manipulate the back of the hand rather than moving his / her finger only. Information. Also,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mark 10B may be simplified to include only a simpler picture or icon as well as the mark 10B. For example, the ball included in the marking (10B) may be removed and simplified. By removing the bones in the glove as well as the ball in the marking 10B, the marking 10B can be further simplified.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의 아홉 번째 실시예는 손가락 자세, 특히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할 때의 힘과 시간에 대한 표식이며, 도 4의 (자-1) 및 (자-2)의 표식들은 연주자가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할 때 손가락에 효율적으로 힘을 가하는 방법 및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일예로 도 4의 (자-1)의 표식(10A)은 독수리의 부리를 나타내는 제2종 그림으로서, 건반을 타격할 때에는 독수리 부리처럼 단단한 느낌으로 손가락에 힘을 주어 건반을 타격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또한 도 4의 (자-2)의 표식(10B)은 (자-1)의 표식(10A)을 건반과 혼합한 제2종 그림으로서, 연주자는 손가락을 독수리 부리처럼 딱딱하게 세운 채 건반을 타격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The ninth embodiment of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nger posture, in particular, a mark for the force and time when hitting the keyboard with the finger, and the markings of (1) and (2) Provides information on how and when to apply force to the finger when hitting the keyboard with the finger. For example, the marker (10A) in FIG. 4 (A) is a second type picture indicating the eagle's beak, and when the key is hit, it gives the finger a strong feeling like a eagle beak, do. In addition, the marker 10B of FIG. 4 (character-2) is a second type of mark (10A) of the character (10A) mixed with the keyboard, and the player holds the keyboard while holding his or her finger firmly as an eagle- Tell the information to ask.

또한 상기 독수리 부리 표식들은 연주자에게 손가락의 적절한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일예로 유사하게 보이는 독수리 부리들이지만 부리의 크기, 각도 등을 조작함으로써 연주자에게 손가락의 관절들, 특히 세 번째 관절을 아치형으로 조작하여 건반을 타격하라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The eagle beak markings may also provide the player with information about the proper anatomic orientation of the finger. The eagle beaks are similar to each other, but by manipulating the size and angle of the beak, it is possible to convey information to the player to manipulate the joints of the finger, especially the third joint, to strike the keyboard.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의 열 번째 실시예 역시 손가락 자세, 특히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할 때의 힘과 시간에 대한 표식이며, 도 4의 (차-1) 및 (차-2)의 다양한 표식들은 연주자가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할 때 손가락에 효율적으로 힘을 가하는 방법 및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일예로 도 4의 (차-1)의 표식(10A)은 독수리의 발톱을 나타내는 제2종 그림으로서, 건반을 타격할 때 손가락을 독수리 발톱처럼 힘을 주어 새운 후, 사냥감을 발톱으로 잡듯 건반을 타격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따라서 연주자는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반을 긁듯, 또는 건반을 타격한 손가락을 당기듯 타격함으로써, 건반이 빠른 속도로 눌려지며, 이에 따라 해머가 현을 빠른 속도로 타격한다. 이에 따라 연주자가 연주하는 음 역시 이에 상응하는 음색을 가진다. 또한 도 4의 (차-2)의 표식(10B)은 (차-1)의 표식(10A)을 건반과 혼합한 제2종 그림으로서, 연주자는 손가락을 독수리 부리처럼 딱딱하게 세운 채 건반을 타격한 후 빠른 속도로 손가락을 끌어당기며 건반을 타격함으로써, 더 확실하고 선명하게 음을 진동시키라는 정보를 전달한다.The tenth embodiment of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n indicator for the finger posture, in particular, the force and the time when hitting the keyboard with the finger, and the various markers of (cha-1) and (cha-2) It provides information on how and when to apply force efficiently to the finger when the player hits the keyboard with the finger. For example, the mark (10A) of FIG. 4 (car-1) is a second type of figure representing the eagle's claw. When the key is hit, the finger is earmarked like an eagle's claw, Deliver information to strike. Thus, rather than just hitting the keys with the fingers, the player hits the keys as if scratching the keys, or by pulling the fingers of the keys, so that the keys are pressed at high speed, and the hammer hits the strings at high speed. Accordingly, the tone played by the player also has a corresponding tone color. The mark (10B) of FIG. 4 (second-second) is a second kind of the mark (10A) of the (car-1) mixed with the keys and the player is hitting the keyboard while holding his or her finger firmly as an eagle- After that, he quickly pulls his fingers and strikes the keyboard, conveying information that vibrates the sound more clearly and vividly.

상기 아홉 번째 실시예의 독수리 부리 모양의 표식과 상기 열 번째 실시예의 독수리 발톱 모양의 표식은 손가락에 힘을 주어 건반을 타격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하지만 독수리 부리는 손가락을 독수리 부리 모양으로 구부리고 독수리가 먹이를 쪼아 먹듯이 건반을 타격하는 자세 및 방법을 의미하는 표식인 반면, 독수리 발톱은 건반을 긁듯 건반을 타격하라는 자세 및 방법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두 종류의 표식은 각각 다른 정도의 힘으로 건반을 타격함은 물론 건반을 누르는 깊이 및 시간도 상이하게 조작한다는 차이점이 있다.The eagle-beaked markers of the ninth embodiment and the eagle-claw markings of the tenth embodiment are similar in that they transmit information that the keys are to be hammered by applying a force to the fingers. Eagle claws, however, mean attitudes and methods to strike the keyboard as if scratching the keys, while eagle-bending fingers bend in the shape of eagles and the eagle is an indication of the attitude and manner of striking the keyboard as if pecking the food. Therefore,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two types of markings are different in that the depth and time of depressing the key are differently manipulated as well as hitting the key with different degrees of force.

상술한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의 다양한 건반악기 연주용 상반신표식은 상기 도 4에서 예시한 다양한 실시예 및 이와 관련하여 예시한 다양한 상세예 외에도, 아래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변형 또는 개량도 포함한다.The various aspects of the various aspects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in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or improve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o the various embodiments illustrated in FIG. 4 and the various detailed examples illustrated in FIG.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의 첫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적절한 주석부의 작성 및 활용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상반신표식은 연주자가 건반악기를 조작하기 위한 다양한 상반신 부위의 자세 및 조작, 다양한 건반악기 부위의 조작 및 이를 위한 자세, 이를 위한 손가락, 손목, 손 등의 조작이나 건반을 타격하는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상반신표식은 다양한 상반신 부위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며, 일예로 손가락이 건반을 타격하기 직전, 타격하는 순간, 또는 타격한 직후의 손끝 자세, 손가락 자세, 손등 자세, 팔목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모두 포함하며, 이를 위한 상반신 부위의 자세 및 조작에 대한 정보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상반신표식은 손가락이 건반을 타격하는 힘, 시간, 또는 각도, 이를 위한 손가락 근육의 자세 및 조작 등을 모두 포함한다. 특히 필요할 경우 상기 상반신표식은 상기 상반신에 위치한 다양한 뼈, 근육, 또는 관절 등 다양한 상반신 부위에 대한 정적 또는 동적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연주자는 실제로 자신의 해부학적 구조 및 특징을 연구한 후 이를 최적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주자는 더 좋은 음색의 음을 더 좋은 자세로 연주하되, 이에 따르는 피로도 최소화할 수 있다.The first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third aspect of this specification is the creation and use of appropriate annotations. As described above, the various upper body markings can be used in various manners such as the posture and manipulation of various upper body parts for manipulating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the manipulation of various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arts and the attitude thereof, the manipulation of the finger, wrist, Posture, and so on. Therefore, the upper body marking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related to various upper body parts. For example, information on the fingertip, finger posture, cuff posture, and the like of the fingertip just before the finger hits the keyboard, And includes information on the posture and manipulation of the upper body part for this purpose. Therefore, the upper body marking includes all the force, time, or angle at which the finger strikes the keyboard, and the posture and manipulation of the finger muscle for the finger. In particular, if necessary, the upper body marking can provide static or dynamic information about various upper body parts such as various bones, muscles, or joints located in the upper body, so that the player can actually study his / her anatomy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and optimize have. As a result, the player can play a better tone of tone in a better posture while minimizing fatigue.

상기 상반신표식은 주석부를 포함하지 않은 채, 그림이나 아이콘, 또는 기호만으로 구성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상반신표식은 하나 이상의 주석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주석부는 다양한 구성을 가지며,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주석부는 특정 표식을 처음 사용할 때, 상기 표식이 전달하는 정보를 확실히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표식을 반복적으로 사용할 때에는, 상기 표식에 상기 주석부를 또는 단순화된 주석부만을 포함하거나, 상기 표식에서 주석부를 생략할 수도 있다.The upper half marker may be composed of only a picture, an icon, or a symbol without including an annotation part. On the other hand, the upper half marker may include one or more annotations, and the annotations have various configurations and can be us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annotation can be used to ensure that the information conveyed by the markers is used when a particular mark is first used. Therefore, when the same mark is repeatedly used, the marking may include only the annotation part or the simplified annotation part, or the annotation part may be omitted from the mark.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의 두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상반신표식의 단순화, 만화화, 또는 구체화를 통한 변형 또는 개량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상반신표식은 건반악기 연주자에게 [1] 기존 악보에는 포함되지 않거나 기존 기보법으로는 자세히 설명할 수 없는 상반신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2] 상기 자세와 관련된 상반신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정보, [3] 상기 자세 또는 조작을 통한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4] 상기 자세 또는 조작과 관련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연주자는 특정 음악적 기교를 실행하거나 특정 음악적 표현을 구현함은 물론, 이에 따르는 상반신 부위의 피로나 부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반신표식은 상술한 제1종 그림, 제1종 아이콘, 또는 제1종 기호, 상술한 제2종 그림, 제2종 아이콘, 또는 제2종 기호, 상술한 제3종 그림, 제3종 아이콘, 또는 제3종 기호 등을 포함한다.The second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modification or improvement through simplification, cartoonization, or embodying of the upper body marking. As described above, the above-mentioned upper body marking indicates to the player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1] information on the anatomical posture of the upper body part which is not included in the existing musical score or can not be explained in detail by the conventional notation method, [2] [3] information on manipulation of a specific part of the musical instrument through the attitude or manipulation, or [4] information on the overall attitude of the musical player related to the attitude or manipulation. As a result, the performer can implement specific musical techniques or implement specific musical expressions, and minimize the fatigue or injury of the upper body region. For this purpose, the upper body marking may be classified into the first type picture, the first type icon, or the first type symbol, the second type picture, the second type icon, or the second type symbol, the third type picture, A three-kind icon, or a third type symbol.

따라서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다양한 실시예의 건반악기 연주용 상반신표식은 다양하게 변형되거나 개량될 수 있다. 우선 연주자의 상반신 부위를 의미하는 특정 종의 그림은 단순화 또는 만화화를 통하여 용이하게 동일한 종의 아이콘 또는 동일한 종의 기호로 변형 또는 개량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종, 제2종, 또는 제3종 그림은 용이하게 동일한 종의 아이콘 또는 기호로 변형 또는 개량될 수 있다. 일예로 손가락 근육을 도시하는 제1종 그림인 도 4의 (바-2)의 표식(10B) 또는 표식(10C)은 단순화 작업을 통하여 동일한 정보를 전달하는 제1종의 아이콘으로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적절한 주석부를 이용하여 제1종의 기호로도 변형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특정 종의 기호는 해부학적 구조 등을 구체화함으로써 용이하게 동일한 종의 아이콘으로 변환될 수 있으며, 특정 종의 아이콘 역시 해부학적 구조 등을 상세히 부가함으로써 용이하게 동일한 종의 그림으로 변환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단순화, 만화화, 또는 구체화를 통하여, 제1종, 제2종, 또는 제3종 기호는 같은 종의 아이콘이나 그림으로 변환될 수 있으며, 제1종, 제2종, 또는 제3종 아이콘 역시 같은 종의 기호나 그림으로 변환될 수 있다.Thus, the upper body markings for playing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in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third aspect described above can be variously modified or improved. First, a picture of a particular species, which represents the upper part of the player, can be easily transformed or improved into an icon of the same species or a symbol of the same species through simplification or cartoonization, and thus the first, second or third Species can easily be transformed or modified into icons or symbols of the same species. For example, the marking 10B or marking 10C of FIG. 4 (bar-2), which is a first type picture showing the finger muscles, is easily transformed into a first type icon that conveys the same information through a simplification operation And can also be transformed into a symbol of the first kind using an appropriate annotation. Conversely, the symbol of a particular species can easily be converted to an icon of the same species by embodying an anatomical structure or the like, and an icon of a specific species can be easily converted into a picture of the same species by adding an anatomical structure in detail . Thus, through simplification, cartoonization, or elabo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second, or third type symbols may be converted into icons or pictures of the same species, and the first, second, or third A species icon can also be converted to a symbol or figure of the same species.

또 다른 예로 연주자의 상반신 부위를 의미하는 특정 종의 그림은 그림의 대상을 동물 또는 무생물로 변환함으로써, 다른 종의 그림으로 변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종 그림은 제2종 또는 제3종 그림으로 용이하게 변형 또는 개량될 수 있다. 일예로 이두박근을 의미하는 제1종 그림 또는 아이콘인 도 4의 (바-3)의 표식(10C)는 힘을 준 동물의 뒷다리와 같은 제2종 그림이나 아이콘으로, 또는 튼튼한 쇳덩어리와 같은 제3종 그림이나 아이콘으로 변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종 아이콘이나 제1종 기호 역시 대상을 인체로부터 동물로 또는 무생물로 변환함으로써 다른 종의 아이콘이나 기호로 변환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a picture of a particular species, which represents the upper part of a player, can be transformed into a picture of another species by converting the object of the picture into an animal or inanimate object. Therefore, the first type picture can easily be modified or improved to the second type or third type picture. For example, the first species picture or icon (10C) of FIG. 4 (bar-3), which refers to biceps, is a second type picture or icon, such as the hind leg of a powered animal, or a third It can be converted to bell or icon. Likewise, a first-type icon or a first-type symbol may also be converted to another species icon or symbol by converting the object from human to animal or inanimate.

이와는 반대로 특정 종의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는 대상을 무생물로부터 동물로 동물화하거나 인간으로 인간화함으로써, 또는 대상을 동물로부터 인간화함으로써 다른 종의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로 변환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 종의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의 대상은 인간화, 동물화, 또는 무생물화 등을 통하여, 제3종 또는 제2종 아이콘은 다른 종의 그림으로 변환될 수 있으며, 제3종 또는 제2종의 기호 역시 다른 종의 그림이나 아이콘으로도 변환될 수 있다. 물론 연주자가 상기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를 다른 의미로 해석할 여지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표식이 악보에 처음 사용될 때 상기 표식을 자세히 설명하는 적절한 주석부를 상기 표식에 부가하여 이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Conversely, a picture, icon, or symbol of a particular species can be converted into a picture, icon, or symbol of another species by animalizing the animal from inanimate objects or humanizing it into a human, or by humanizing the object from an animal. Thu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a picture, icon, or symbol of a particular species can be transformed into a picture of a different species, such as through humanization, animalization, or inanimateization, Or the symbol of the second kind may also be converted into a picture or icon of another species. Of course, if the player has room for interpreting the figure, icon, or symbol in a different meaning, he or she can add an appropriate annotation detailing the marking to the marking when the marking is first used on the sheet of music, .

또 다른 예로 연주자의 상반신 부위를 의미하는 특정 종의 특정 표식은 대상의 단순화, 만화화, 또는 구체화는 물론 대상의 인간화, 동물화, 또는 무생물화를 통하여 상이한 종의 상이한 표식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일예로 도 4의 (자-1)의 표식(10A)인 독수리 부리는 인간화를 통하여 음식을 세게 물고 있는 인간의 입과 턱으로 변환될 수 있으며, 이 표식 역시 단순화 또는 만화화를 통하여 더 간단한 모양으로 변환될 수 있다.In another example, a particular marker of a particular species, which represents the upper part of a player, can be converted to a different marker of a different species through humanization, animalization, or inanimateization of the subject as well as simplification, cartoonization, or embodiment of the subject. As an example, the eagle beak, which is the marker (10A) of FIG. 4 (A-1), can be converted into a human mouth and jaw that is hitting the food through humanization, and this mark is also simplified Can be converted.

단 상술한 두 번째 변형 또는 개량에서 중요한 점은 상기 표식의 일관성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아무리 명약관화한 그림 표식이나 아이콘 표식도 연주자에 따라 다른 의미로 인지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표식을 상이한 악기에 사용할 경우, 연주자는 이를 다른 의미로 인지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악보의 앞부분이나 뒷부분, 또는 기타 특정 부분에 상기 악보에서 사용되는 각종 표식을 상세히 설명하는 주석부를 배치하거나, 또는 특정 표식이 악보에서 처음 사용될 때 그 부분에 상기 주석부를 배치하여 연주자가 특정 표식이 전달하는 정보를 확실히 이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또한 특정 표식을 특정 악보에서 일관적으로 사용함으로써 특정 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는 특정 표식으로부터 항상 동일한 정보를 일관성 있게 전달받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바꾸어 말하면 대부분의 제1종, 제2종, 또는 제3종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는 연주자에게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므로, 특정 악기 연주자에게 특정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상기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등의 표식을 일관적으로 사용함이 중요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표식을 자세히 설명하는 주석부를 활용함이 바람직하다.However, an important point in the second modification or improvement described above is the consistency of the markings. As described above, no matter how obvious the picture mark or icon mark can be perceived in different meaning depending on the performer. Also, if the same or similar markings are used on different instruments, the performer may also perceive this in a different sens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rrange annotations detailing various markings used in the musical score at the front or back of the musical score, or when the particular mark is used for the first time on the musical score, It is desirable to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information to be conveyed, and it is also desirable that a player who plays a particular instrument consistently receives the same information from a particular marker at all times by using a particular marking consistently in a particular score. In other words, most of the first, second, or third kind pictures, icons, or symbols can be configured to convey one or more pieces of information to the player, so that in order to efficiently transmit specific information to a particular musical instrument player, It is important to consistently use markings such as pictures, icons, or symbols, and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o use annotations that describe the markings in detail.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의 세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상반신표식을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표식을 악보에 인쇄하는 경우, 연주자가 악보를 읽을 수 있도록 상기 표식은 적당한 모양이나 크기로 악보의 상단, 하단, 또는 측단에 인쇄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표식을 악보에 부착 또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제작하는 경우, 악보의 특정 부분에 다른 부분에 비하여 더 많은 음표나 음악 기호가 인쇄되어 있으면 상기 표식을 부착할 공간이 부족한 경우도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좁은 공간에 불투명한 표식을 부착할 경우, 연주자는 상기 표식이 가리는 음표나 음악 기호를 인지하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식을 투명 재질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할 경우, 연주자는 음표나 음악 기호에 가까이 상기 표식을 부착하면서도 상기 표식이 가린 음표나 음악 기호를 읽을 수 있다.The third modification or modification of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make the upper body marking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When various marking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printed on the score, the mark may be printed on the top, bottom, or side of the score in a suitable shape or size so that the score can be read by the player. 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marking is made to be attachable to or detachable from the sheet of music, a space for attaching the marking may be insufficient if more notes or musical symbols are printed on a specific portion of the sheet of music than other portions. In addition, when an opaque marker is attached to such a narrow space, the player may not be able to recognize a musical note or a note covered by the marker. Therefore, when the markers ar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or a translucent material, the player can read the notes or music symbols covered with the markings while attaching the markings to the marks or music symbols.

투명 재질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된 상기 상반신표식은 음의 강약을 조절하는 표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일예로 특정 투과도를 지닌 반투명 표식을 악보의 특정 부분에 부착할 경우, 상기 부분의 악보는 다른 부분에 비하여 희미하게 비춰지며, 이를 통하여 상기 표식은 연주자에게 상기 표식이 부착된 부분을 작게 연주하라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는 특정 색상을 지닌 투명 표식은 연주자에게 상기 표식이 부착된 음악의 특정 부분을 특정 크기로 연주하라는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일예로 음악의 특정 부분에 노란 색 배경을 가진 표식을 부착함으로써, 연주자로 하여금 상기 부분을 다른 부분보다 크게 연주하라는 정보를 전달하거나, 주황 색 배경을 가진 표식을 부착함으로써, 연주자가 상기 부분을 노란 색 배경의 표식을 부착한 부분보다 더 크게 연주하라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재질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된 표식은 상술한 세 번째 변형 또는 개량에서 예시한 바와는 상이한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단 이러한 정보를 연주자에게 정확히 전달하기 위하여 상술의 주석부를 활용함이 바람직하다.The upper half body marking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or a semi-transparent material can also be used as a marker for controlling the strength of a sound. For example, when a translucent marker having a specific transmittance is attached to a specific portion of a musical score, the musical score of the portion is faintly displayed compared to other portions, whereby the mark indicates to the player that the portion with the mark is played small . Or a transparent marker with a particular color may convey information to the player to play a particular portion of the music with the marker at a particular size. For example, by attaching a mark with a yellow color background to a specific part of music, it is possible to convey information to the player to play the part larger than the other part, or by attaching a marker having an orange background, You can convey information that you want to play louder than the part of the color background. Further, the mark made of the transparent material or the translucent material can be configured to transmit different information as illustrated in the third modification or improvement. However, it is preferable to use the above-described annotation portion in order to accurately convey such information to the player.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의 네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반신표식의 테누리나 배경의 모양이나 색상을 조작함으로써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반신표식은 포함된 세부표식의 모양 및 종류에 따라 제1종, 제2종, 또는 제3종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로 구분된다. 여기에 각 표식의 테두리나 배경의 모양이나 색상을 조작함으로써 특정 종의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도 상이한 추가 정보를 제공하도록 상기 표식을 구성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도 4의 (차-1)의 독수리 발톱 표식에 테두리를 인쇄한 후, 상기 테두리의 굵기가 두껍거나 색상이 진할수록 연주자가 더 빠른 속도로 건반을 긁듯 타격하라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는 도 4의 (마-1)의 뛰는 개구리 표식의 배경의 색상이 진할수록, 또는 상기 배경에 사선을 가한 후 상기 사선이 많을수록 연주자가 더 빠른 속도로 건반을 튕기라는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정보를 연주자에게 정확히 전달하기 위하여 상술의 주석부를 활용할 수 있다.The fourth modification or refinement of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convey more information by manipulating the shape or color of the terrain or the background of the upper body marker.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half body markers are classified into first, second, or third kind pictures, icons, or symbols depending on the shape and type of the detailed markers included. The markers can be configured to provide additional information, such as pictures, icons, or symbols of a particular species, by manipulating the shape or color of the border or background of each marker. For example, after an edge is printed on the eagle's claw mark of FIG. 4 (car-1), the thicker or hue of the edge can convey information that the player is hitting the key as if scratching the key at a faster speed. Alternatively, as the color of the background of the beeping frog markers of FIG. 4 (e-1) increases, or after the oblique line is added to the background, the more the oblique line, the more the player may bounce the key at a faster speed. Of course, the annotations described above can be utilized to accurately convey such information to the player.

이와 같이 상기 테두리 또는 배경을 세부표식으로서 특정 표식에 혼합함으로써 [1] 테두리나 배경이 다른 다수의 표식을 제공하거나, [2] 테두리나 배경이 없거나 일정한 표식을 제공하거나, 또는 [3] 테두리 또는 배경에 해당하는 표식을 별개의 표식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연주자는 악보의 특정 부분에 상기 도 4의 (차-1)의 독수리 발톱 표식을 부착한 후, 그 상부 또는 측부에 특정 테두리 표식이나 특정 배경 표식을 부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테두리 표식은 테두리만을 표시하는 형태로, 또는 독수리 발톱 표식과 유사한 크기 또는 모양을 가지되 내부는 투명하고 테두리만 특정 색상과 굵기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배경 표식도 마찬가지로 독수리 발톱 표식과 유사한 크기 또는 모양을 가지되 내부는 투명하지만 특정 색상을 가지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 또는 배경을 포함하는 표식은 상술한 네 번째 변형 또는 개량에서 예시한 바와는 상이한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단 이러한 정보를 연주자에게 정확히 전달하기 위하여 상술의 주석부를 활용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Thus, by combining the border or background with a specific mark as a detail mark, [1] providing a number of markers with different rims or backgrounds, [2] providing a border or background free mark, or [3]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marker corresponding to the background as a separate marker. In this case, the player can affix a specific edge mark or a specific background mark to the upper or side portion after attaching the eagle claw mark of FIG. 4 (car-1)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score. In this case, the border markers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only a border or have a size or shape similar to that of an eagle claw mark, and the inside thereof may be transparent and only the border may have a specific color and thickness. The background mark may likewise have a size or shape similar to that of an eagle claw mark, but the inside is transparent but has a specific color. Further, the mark including the border or the background may be configured to convey different information as illustrated in the four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described above. However, it may be desirable to use the annotations described above to accurately convey this information to the player.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의 다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상반신표식을 신축성 있는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반신표식은 건반악기 연주자에게 음의 강약이나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반신표식을 신축성 있는 재질로 제작한 후, 이를 가로방향, 세로방향, 또는 사선방향으로 늘려 부착함으로써, 연주자가 동일하지만 늘려지지 않는 표식이 부착된 부분보다 늘려진 표식이 부착된 부분을 더 크게 연주하거나 더 오래 연주하라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는 도 4의 (마-1)의 뛰는 개구리 표식을 상하방향으로 늘려 부착함으로써, 연주자가 늘려지지 않은 개구리 표식이 부착된 부분에 비하여 늘려진 개구리 표식이 부착된 부분에서 더 높이 건반을 튕기라는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The fif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make the upper body marking from a stretchable material.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body marking can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intensity of the sound, the time, and the like to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layer. For this purpose, the upper half of the body is made of stretchable material and then stretch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or oblique direction so that the portion with the mark attached with the markers which are the same but not stretched, You can communicate information to play louder or play longer. Or the frog markers of Figure 4 (e-1) are attached in the up-and-down direction so that the player is more likely to knock the keyboard at a higher level than the portion where the frog markers are attached .

이와는 반대로 연주자는 상기 표식의 일부분이 가로방향, 세로방향, 또는 사선방향으로 겹치도록 부착함으로써, 연주자가 동일하지만 겹쳐지지 않는 표식이 부착된 부분보다 겹쳐진 표식이 부착된 부분을 더 작게 연주하거나 더 짧게 연주하라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표식은 가로방향, 세로방향, 또는 사선방향으로 용이하게 접을 수 있도록 미리 홈을 파거나 접는 선을 구성하여 연주자가 상기 표식의 일부분을 용이하게 겹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축성 있는 재질로 구성한 표식은 상술한 다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에서 예시한 바와는 상이한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단 이러한 정보를 연주자에게 정확히 전달하기 위하여 상술의 주석부를 활용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by attaching a part of the marking to overlap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oblique direction, the player can play the part with the overlapped marking lesser than the part with the same but not overlapping marking, You can communicate information to play.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markers may be formed by pre-grooving or folding lines so that the markers can easily be folded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diagonal direction so that the player can easily overlap a part of the markings. Further, the mark composed of the elastic material can be configured to transmit different information as illustrated in the fif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described above. However, it may be desirable to use the annotations described above to accurately convey this information to the player.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의 여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술한 다양한 상반신표식을 연주자의 주문화(customization) 또는 개인화(personalization) 등이 가능하도록 제작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반신표식은 건반악기 연주자에게 [1] 다양한 상반신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2] 상기 상반신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정보, [3] 상기 자세 또는 조작을 통한 악기의 특절 부분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4] 상기 자세 또는 조작을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연주자의 음악적 기교나 음악적 표현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연주자에 따라 상반신 부위의 해부학적 특징, 또는 연주 습관 등이 상이하기 때문에, 규격화된 표식만으로는 연주자에게 상기 정보를 충분히 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표식은 이러한 경우 연주자는 상기 표식을 간단히 조작하여 세부표식을 추가하거나 기타 세부 정보를 추가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The six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make the above-mentioned various upper body markings so that the player can customize or personalize the player. As described above, the above-mentioned upper body marking can be applied to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layer [1] information on an anatomical posture of various upper body parts, [2] information on manipulation of the upper body part, [3] Information on manipulation of the special portion, or [4] information on the overall posture of the player for the posture or manipulation, thereby improving musical skill and musical expression of the player. However, since the anatomical characteristics, the playing habits, and the like of the upper half region differ depending on the player, the standardized mark may not sufficiently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player. Therefore, in this case, the marker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figured so that the player can easily manipulate the markers to add detailed markers or to transmit other detailed information.

일예로 상기 표식은 그 주위 또는 중앙에 일정 크기의 빈 공간을 포함함으로써, 연주자가 상기 빈 공간에 연필이나 펜으로 상기 세부표식 또는 세부 정보를 용이하게 기입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의 (사-4)의 표식(10D) 주위에 빈 공간을 구성하면, 연주자는 상기 공간에 왼손 1번 손가락을 얼마나 빨리 움직이는 지에 대한 세부표식이나 세부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식을 특정 재질로 제작하거나 상기 표식에 특정 코팅을 부가하여 연주자가 연필이나 팬으로 기입한 내용을 쉽게 지울 수 있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marking may include a certain amount of empty space around or in the center thereof so that the player can easily fill in the empty space with a pencil or pen to easily fill in the detailed marking or detailed information. Therefore, if a blank space is formed around the mark 10D in FIG. 4 (-4), the player can write detailed markings or detailed information on how fast the first finger of the left hand is moved to the space. In addition, the markers may be made of a specific material or a specific coating may be added to the markers so that the player can easily erase the contents written by the pencil or fan.

또 다른 예로 상기 표식은 그 주위 또는 중앙에 ①, ②, ③ 등의 숫자나 기호를 인쇄한 후, 연주자가 이 중 하나 이상을 체크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연주자가 상기 세부 정보를 직접 기입하지 않은 채 용이하게 기입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예로 도 4의 (마-3)의 표식(10C)의 주위나 중앙에 상기 숫자나 기호를 인쇄하면, ①, ②, ③ 등으로 체크하는 순서에 따라 연주자가 건반을 타격하는 속도 역시 빨라야한다는 등의 세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숫자나 기호는 동일한 크기나 색상으로 인쇄할 수 있지만, 상이한 크기나 색상으로 인쇄함으로써 상기 숫자나 기호가 전달하려는 세부 정보를 간접적으로 전달하거나 이를 강조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mark may be formed by printing numbers or symbols such as (1), (2), (3) or the like in the periphery or the center thereof so that the player can check one or more of them, It can be configured to easily write. For example, if the number or symbol is printed on the periphery or the center of the mark (10C) in FIG. 4 (e-3), it is necessary to speed up the player's hitting And so on. In this case, the numbers or symbols can be printed in the same size or color, but by printing in different sizes or colors, the numeric or symbol can indirectly convey or intensify the detailed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또 다른 예로 상기 표식은 그 주위의 일부를 용이하게 접거나 자를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연주자가 상기 세부 정보를 직접 기입하지 않더라도 연주자에게 용이하게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연주자가 상기 표식을 음악의 특정 부분에 부착하기 전 상기 표식의 일부를 접거나 잘라내어 상기 제1종, 제2종, 또는 제3종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가 추가 세부표식이나 세부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표식은 가로방향, 세로방향, 또는 사선방향으로 용이하게 접거나 자를 수 있도록 미리 홈을 파거나 접는 선, 또는 자르는 선을 구성하여 연주자가 상기 표식의 일부분을 용이하게 접거나 자를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marking can be configured so that a part of the periphery thereof can be easily folded or cut so that the player can easily transmit the detailed information to the performer even if the detail information is not directly written. Thus, before the player attaches the mark to a particular part of the music, the marking may be folded or cut off so that the first, second, or third type picture, icon, or symbol provides additional detail markings or details . For this purpose, the marking may be formed by pre-grooving or folding lines or cutting lines so that they can be easily folded or cu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oblique direction so that the player can easily fold or cut a part of the marking Can be configured.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세부표식을 추가하거나 다양한 세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상기 여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의 다양한 표식 중 숫자나 기호를 인쇄한 표식 또는 접거나 자르는 표식은 상술한 바와는 상이한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단 이러한 정보를 연주자에게 정확히 전달하기 위하여 상술의 주석부를 활용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 mark or a folded or cut mark that prints a number or a symbol among various markings of the six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to provide various detailed markers or provide various detailed information is configured to transmit different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can do. However, it may be desirable to use the annotations described above to accurately convey this information to the player.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의 일곱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술한 상반신표식을 다수 포함하는 표식 세트의 구성 및 상기 표식 세트의 배치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건반악기 연주자에게 상술한 다양한 자세 및 조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통하여 연주자의 음악적 기교나 음악적 표현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상반신표식들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표식을 포함하는 표식 세트의 형태로 제공한다. 또한 한 장 또는 여러 장의 상기 표식 세트를 악보의 전반부, 후반부 또는 중앙에 별도의 쪽으로 배치하거나, 한 장 또는 여러 장으로 구성된 표식 세트를 악보의 다수의 부분에 배치할 수도 있다.The seven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he construction of a set of markings comprising a plurality of the above-mentioned upper half markings and the arrangement of the set of markings.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provide the player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with the above-described various postures and information on the manipulation and thus improve the musical skill and musical expression of the performer, the upper half signs are generally formed as a set of markers including a plurality of markers . It is also possible to dispose one set or a plurality of such sets of marks as separate sets in the first half, the second half, or the center of the musical score, or to arrange a set of one or more sets of marks on a plurality of musical scores.

악보에 다수의 표식 세트들을 포함시키는 경우, 각 표식 세트는 규격화된 종류와 수효의 표식들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하지만 악보에 포함된 곡들의 특성이 상이할 경우, 악보의 상이한 부분에 포함된 표식 세트들은 각각 상이한 종류나 수효의 표식들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한 표식 세트는 대부분 상반신표식으로 구성되지만, 다른 표식 세트는 대등한 수효의 상반신표식과 하반신표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If the score includes a plurality of sets of indicia, each set of indicia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standardized types and number of indicia. However, i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ngs included in the score are different, the set of markers contained in different parts of the scor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different kinds or markers of the same number. Thus, one set of markers consists mostly of the upper half marker, but the other set of markers may consist of an equal number of upper half marker and lower half marker.

악보가 다수의 곡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악보는 각각의 곡, 또는 2~3곡마다 표식 세트를 포함함으로써, 연주자가 악보를 앞뒤로 뒤척이지 않고도 상기 표식을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표식 세트는 상술한 규격화된 표식 세트이거나, 각각의 곡이나 2~3곡에 필요한 종류와 분량의 특정 표식들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If the score includes a plurality of pieces of music, the score may include a set of marks for each piece of music, or two or three pieces of music, so that the player can easily attach the markings without having to turn back and forth the piece of music . In this case, the landmark set may be the standardized landmark set described above, o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specific types and amounts of specific landmarks required for each song or two or three tunes.

대부분의 경우 특정 곡을 연주하는 데 필요한 음악적 기교나 음악적 표현은 연주자의 수준이나 기호에 따라 상이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특정 곡마다 필수적 음악적 기교나 음악적 표현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기교나 표현과 관련된 다양한 표식은 악보와 함께 인쇄하여 연주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연주자 역시 인쇄된 표식이 상기 곡에 필수적인 음악적 기교나 표현이라면 이를 구현하면 된다. 이와 같이 일정 표식을 악보에 미리 인쇄하여 연주자에게 제공하는 구성은 탈부착 가능하도록 상기 악보에 포함시키는 표식의 종류 및 수효를 감소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표식을 포함하는 표식 세트 역시 더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In most cases, the musical finesse or musical expression required to play a particular piece of music often depends on the level or taste of the player. Nonetheless, there may be essential musical finesse or musical expression for each particular song. In this case, various markings related to the finesse or expression may be printed together with the score sheet to provide to the performer, and the performer may also implement it if the printed markings are musical skill or expression necessary for the piece of music. 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schedule mark is printed in advance on the score to be provided to the performer is reduced in the number and the number of the markers to be included in the score so that the mark can be removably attached, Provides advantages.

하지만 상기 연주자가 미리 악보에 인쇄된 상기 표식의 기교나 표현을 기피한다면, 상기 연주자는 이를 연주하지 않으면 된다. 또한 상기 연주자는 상기 인쇄된 표식 위에 탈부착이 가능한 표식을 부착함으로써 미리 인쇄된 상기 표식을 가릴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연주자가 인쇄된 표식을 기피하고 싶으나 이를 대체하는 다른 표식을 그 상부에 부착할 의사가 없는 경우, 상기 연주자는 반투명 또는 불투명 재질로 만들어졌으며, 아무런 정보도 전달하지 않는 공백표식을 상기 부위에 부착할 수도 있다.However, if the player avoids the finesse or expression of the mark printed in advance on the score, the player does not have to play it. In addition, the player can hide the mark printed in advance by attaching a detachable marking on the printed marking. Alternatively, if the player wishes to avoid the printed mark but is not willing to attach another mark replacing the mark, the player is made of translucent or opaque material, and a blank mark, which does not convey any information, As shown in Fig.

단 상기 공백표식은 상술한 다양한 표식의 모양이나 형태를 가지되, 상기 표식 내부나 주위에 아무런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를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아무런 정보도 제공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공백표식을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하되, 그 내부나 주위에 공백(blank) 등의 문자를 포함함으로써, 연주자에게 상기 공백 표식 아래로 비치는 인쇄된 표식을 무시하라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표식이 투명 또는 반투명하므로 연주자는 인쇄된 표식을 인지할 수 있으며, 그 후 자신의 선택에 따라 인쇄된 표식을 연주하거나 하지 않을 수 있다.However, the blank markers may have a shape or a shape of the various markers described above, and may not include any pictures, icons, or symbols inside or around the markers, so that no information is provided. Alternatively, the blank markers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and information such as blank or the like may be included in or around the blank markers to inform the player to ignore printed markings below the blank markings. Of course, since the mark is transparent or translucent, the player can recognize the printed mark and then play or not print the mark according to his / her choic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의 다양한 표식들은 모두 시각표식에 해당한다. 즉 연주자는 상기 표식을 시각을 이용하여 확인한 후, 상기 표식이 전달하는 정보를 인지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의 여덟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연주자가 시각이 아닌 촉각을 이용하여 인지할 수 있는 촉각표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술 또는 하술의 다양한 제1종 내지 제3종의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등의 시각표식은, 상기 표식에 요철 또는 엠보싱 등을 가하여 동일한 또는 유사한 정보를 전달하는 촉각표식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각표식과 함께 주석부가 사용될 경우, 상기 주석부의 문자 역시 점자법을 이용하여 촉각 주석부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적절한 주석부를 이용함으로써, 상술의 다양한 시각표식을 단순화하는 촉각표식을 구성할 수도 있다.As noted above, the various indicia of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all correspond to the visual indicia. That is, the player confirms the mark using time, and then recognizes th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mark. On the contrary, the eigh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provide a tactile indicia that a player can perceive using a tactile angle rather than a visual sense. In general, the time markers such as pictures, icons, or symbols of the first to third types described above or below can be converted into tactile markings that convey the same or similar information by applying unevenness or embossing to the markers . Also, when the annotation portion is used together with the time stamp, the characters of the annotation portion can also be switched to the tactile annotation portion using the braille method. Further, by using appropriate annotations, a tactile indicia that simplifies the various time stamps described above can be constructed.

시각표식 대신 촉각표식만을 사용할 경우, 단순화된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의 수효가 다양하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 촉각표식으로 전달할 수 있는 정보의 종류 및 수효는 감소할 수 있다. 하지만 시각표식을 활용할 수 없는 시각 장애자의 입장에서 보면, 비록 표식의 수효는 적더라도, 이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면, 상기 촉각표식은 나름대로의 장점을 발휘할 수 있다.If only the tactile indicia is used instead of the visual indicia, the number and type of information that can be conveyed to the tactile indicia can be reduced because the number of simplified pictures, icons, or symbols does not vary. However, from the standpoint of a visually impaired person who can not utilize the visual marking, the tactile mark can exhibit its own advantages, if the number of the markings is small, if they can be easily recognized.

또한 상기 촉각표식은 시각 장애자가 아닌 일반 연주자도 활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예로 평면의 시각표식만으로는 특정 음악적 기교나 음악적 표현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전달하기 어려울 경우, 별도의 촉각표식을 시각표식 부근에 부착하거나, 아예 시각표식과 촉각표식을 혼용하는 표식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표식은 시각표식의 일부 또는 전부에 요철을 가하거나 엠보싱 등을 가하여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의 (아-2)의 표식(10B)을 이용하여 연주자로 하여금 손허리 관절을 움직이며 건반을 타격하라는 정보를 전달할 경우, 상기 표식(10B)의 일부 또는 전부에 요철을 가함으로써 요철의 차이가 증가할수록 연주자 역시 손허리 관절을 더 많이 움직이라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actile indicia can be configured to utilize a general player other than a blind person. For example, if it is difficult to convey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musical technique or musical expression with only the visual marking of the plane, a separate tactile mark may be attached to the vicinity of the visual marking, or a mark may be formed that uses both the visual marking and the tactile marking . Such a marking can be easily configured by embossing or embossing a part or all of the visual marking. Therefore, when the player uses the mark (10B) of FIG. 4 (A-2) to inform the player of the movement of the back of the hand and hitting the keyboard, the marking 10B may be partially or entirely recessed As the difference increases, the performer can also convey information that the hip joint joint moves more.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의 아홉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술한 다양한 상반신표식을 이용하여 연주자에게 건반의 특정 부분을 타격하는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주자가 건반을 타격할 때에는 건반의 중앙 부분을 타격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건반의 상부 또는 하부를 타격함으로써 상이한 음색을 내거나, 건반을 조작하기에 유리하거나, 또는 다음 음을 연주하는 데 미리 대비할 수 있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술의 상반신표식은 연주자로 하여금 건반의 특정 부분을 타격하라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The nin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onveys to the player the information that strikes a specific part of the keyboard using the above various upper half markings. Generally, when a player strikes the keyboard, he strikes the center portion of the keyboard, but in some cases, he or she may strike the top or bottom of the keyboard to produce a different tone, or to manipulate the keyboard, There is a case that can be prepared.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above-mentioned upper half marker can transmit information to the player to strike a specific part of the key.

상술의 상반신표식은 건반의 특정 부분을 타격하는 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변형 또는 개량될 수 있다. 일예로 표 4의 (라-3), (자-2), 또는 (차-2) 등의 표식에 타격할 건반 부분을 문자로 명시하거나, 그림 또는 아이콘으로 상기 부분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건반의 특정 부분을 의미하는 제1종, 제2종, 또는 제3종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를 별도로 구성하고, 이를 주석부를 통하여 자세히 설명함으로써 상기 표식을 구성할 수도 있다.The above-mentioned upper body markings can be modified or improved to convey information striking a specific part of the keyboard. For example, the key part to be hit may be indicated by a letter in a mark such as (La -3), (character -2), or (Cha -2) in Table 4, or the part may be indicated by a picture or an icon. On the contrary, the mark may be formed by separately forming a first type, a second type, or a third type picture, icon, or symbol, which means a specific part of the keyboard, and further explaining it through an annotation part.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의 열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다양한 상반신표식을 이용하여 상술한 상반신 부위의 자세, 상기 상반신 부위의 조작, 상기 자세나 조작을 통한 건반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 또는 상기 자세나 조작을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전달함은 물론 이와 관련된, 또는 이에는 포함되지 않은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반신표식은 연주자가 상기 상반신 부위로 건반악기의 건반을 조작하되 [1] 상기 조작의 동적 특성이나 정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2] 상기 건반의 특정 부분을 조작하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3] 상기 조작을 수행하는 연주자의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The tenth modification or modification of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based on the above-described posture of the upper body part, manipulation of the upper body part, manipulation of a specific part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through the posture or manipulation, Conveying information about the player's overall attitude for manipulation, as well as conveying a variety of information related to, or not involved in. For this purpose, the upper body marking requires the player to operate the keys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with the upper half of the body, [1]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dynamic or 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operation, [2] to manipulate specific parts of the keyboard Or [3] provide information on the anatomical posture of the body part of the player performing the above operation or information on the overall posture.

따라서 상기 표식은 연주가가 건반을 조작하는 하나 이상의 손가락의 타격 속도, 타격 강도, 타격 각도, 타격 기간, 이에 의한 음의 강약, 음의 울림, 음의 지속, 음의 소거, 음색, 화음 등 다양한 동적 또는 정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표식은 연주자가 하나 이상의 손가락으로 건반의 상부나 중부 또는 하부만을 타격하는지, 또는 건반 전체를 타격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표식은 연주자가 한 손이나 양손으로 건반을 타격할 때의 손가락의 모양, 상하 방향으로의 각도나 회전, 좌우 방향으로의 각도나 회전, 손등의 모양, 손가락의 움직임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연주자가 두 손을 사용할 경우, 상기 표식은 각각의 손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양손의 정적 또는 동적 특성의 유사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각각의 손의 정적 또는 정적 특성의 차이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the marking can be applied to a wide variety of dynamic characteristics such as a strike speed, a batting strength, a batting angle, a strike period, a strength of a sound caused by the player's one or more fingers manipulating the keyboard, Or information about the static characteristics. Alternatively, the indicia may provide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player strikes only the top, middle, or bottom of the keyboard with one or more fingers, or strikes the entire key. Alternatively, the marking may provide information on the shape of the finger when the player strikes the keyboard with one hand or both hands, the angle or rotation in the up-down direction, the angle or rotation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shape of the back of the hand, It is possible. In addition, when a player uses two hands, the indicia may provide various information about each hand,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similarity of the static or dynamic characteristics of both hands, or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difference in the static or static characteristics of each hand Information can be provided.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의 열한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술한 다양한 상반신표식을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학습자가 상반신 부위를 올바르게 조작하지 못할 경우, 강사는 상기 표식을 이용하여 학습자의 자세를 교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식은 강사가 학습자에게 전달하려는 많은 양의 정보를 함축하여 전달하게 되므로, 학습자는 용이하게 자신이 교정해야할 자세나 조작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같은 지시를 반복해야 하는 강사 역시 시간의 절약은 물론 피로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학습자가 어린이일 경우, 강사의 설명을 인지하고 이를 실제 적용하는 과정에서 쉽게 흥미를 잃어버리거나 자신감을 잃게 되기 쉽다. 따라서 상기 표식을 학습자의 나이나 성별, 또는 상기 학습자가 실행할 수 있는 음악적 기교의 수준에 알맞도록 구성함으로써, 어린이 학습자 또는 성인 학습자는 자신이 자주 실수하는 위치에 인쇄되거나 부착된 표식을 인지함으로써, 상기 실수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연주의 집중도를 유지하거나 자신감을 상실하지 않을 수 있다.The eleven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use the above various upper body markings for various purposes. If the learner can not correctly manipulate the upper body part, the learner can correct the learner's posture using the mark. Therefore, the learner has an advantage that the learner can easily grasp the posture or the operation to be corrected by himself, and the lecturer who has to repeat the same instruction It has the advantage of saving time and minimizing fatigue. Especially when the learner is a child, it is easy to lose interest or to lose confidence in recognizing the instructor's explanation and applying it. Thus, by constituting the mark so as to be suitable for the learner's or gender, or the level of musical skill that the learner can perform, the child learner or the adult learner recognizes the mark printed or attached at the position frequently mistaken by him or her, You can minimize mistakes while keeping your performance intact or you will not lose confidenc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규격화된 상반신표식을 사용함에 따라, 대부분의 강사는 어린이 또는 초보 학습자에게도 건반악기를 연주하는 데 필요한 음악적 기교나 음악적 표현을 일관성 있게 교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린이나 초보 학습자들도 강사 개개인의 교육 능력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연주에 필요한 다양한 상반신 부위의 자세, 상기 부위의 조작, 상기 자세나 조작을 통한 전체적인 자세 등에 대하여 규격화된 교육을 받을 수 있다. 강사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규격화된 상반신표식을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상기 조작, 자세 등에 대한 교육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Also, by using the standardized upper half marker as described above, most instructors can consistently teach musical skill and musical expression necessary for playing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to a child or novice learners. Accordingly, the child or beginners can receive the standardized education about the postures of the various upper body parts required for playing, the manipulation of the above-mentioned parts, and the overall attitude through the above posture or manipulation in spite of the differences in the educational abilities of individual instructors. The lecturer can also teach the learner about the manipulation, posture, etc. using the standardized upper half marker as described above.

본 명세서의 악기 연주용 표식에 대한 네 번째 측면은 건반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에게 [1] 기존의 악보에는 포함되어있지 않는, 또는 기존의 음악 기호로는 자세히 설명할 수 없는 다양한 몸통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2] 상기 자세와 관련된 상기 몸통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정보, [3] 상기 자세 또는 조작을 통한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4] 상기 자세나 조작을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다양한 몸통표식이다. 하술의 도 5는 다양한 몸통 부위의 자세나 조작에 대한 다양한 표식의 예시로서, 주로 피아노 연주와 관련된 각종 몸통 시각표식에 대한 예시이다.The fourth aspect of the musical instrument mark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player playing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1] has an anatomical posture in various body parts which are not included in the existing musical score, [2] information on the manipulation of the body part related to the posture, [3] information on manipulation of a specific part of the musical instrument through the posture or manipulation, or [4] And the overall posture of the body. FIG. 5 is an example of various markings on the posture and operation of various body parts, and is an example of various body-time markings mainly related to piano performance.

본 명세서의 네 번째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는 몸통 부위인 어깨(또는 등)의 근육이나 힘줄의 해부학적 구조에 근거한 어깨 또는 등)의 자세 또는 조작에 대한 표식으로서, 도 5의 (가-1) 내지 (가-3)의 표식들이 이의 예시이다. 일예로 도 5의 (가-1)의 표식(10A)은 어깨와 등의 뼈 및 근육과, 이와 연결된 팔의 뼈 및 근육의 해부학적 구조를 단순화한 제1종 아이콘의 예시이며, 상기 표식(10A)은 연주자의 손가락은 팔에 연결되며, 팔은 다시 어깨나 등에 연결되기 때문에, 연주자가 자신의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할 때에는 자신의 손가락은 물론 팔, 어깨 또는 등의 조작이 필요하다는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표식(10A)은 어깨나 등은 방치한 채 손가락만으로 건반을 타격함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정보를 전달한다. 도 5의 (가-2)의 표식(10B) 역시 (가-1)의 표식(10A)에 근거하되, 이를 단순화한 제1종 아이콘의 예시로서, 상기 표식(10B)을 수반하는 주석부(12)는 건반 타격 시 독수리가 날개를 펼치듯 양쪽 날개 뼈(견갑골)가 벌어지는 느낌으로 어깨와 등의 자세를 취하며 건반을 타격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The first embodiment of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dicator for the posture or operation of the shoulder (or back) based on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muscle or tendon, ) To (A-3) are examples thereof. For example, the mark (10A) of FIG. 5 (A-1) is an example of a first-type icon that simplifies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shoulder and back bones and muscles and the bones and muscles of the arms connected thereto, 10A), the player's finger is connected to the arm, and the arm is connected back to the shoulder or back. Thus, when the player hits the keyboard with his or her finger, information indicating that manipulation of his or her fingers as well as arms, shoulders or the like is necessary to provide. Therefore, the marker 10A transmit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it is not preferable to strike the keyboard with only the finger while leaving the shoulders or the like left. The mark (10B) of FIG. 5 (A-2) is also based on the mark (10A) of (A-1), and as an example of the simplified icon of the first kind, an annotation 12) informs that the eagle spreads its wings when the keyboard is hit, and both wing bones (scapula) are opened, taking the shoulder and back postures and hitting the keys.

또한 도 5의 (가-3)의 표식(10C)은 (가-1) 및 (가-2)의 표식(10A)이나 표식(10B)을 단순화한 제1종 아이콘의 예시로서, 연주자는 어깨나 등은 자연스럽게 내리면서, 동시에 등에 있는 양쪽 견갑골은 날개를 펴듯 바깥쪽으로 조작함으로써, 양팔이 자유로워지는 해부학적 자세를 취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날개 모양의 표식(10C)은 (가-1) 및 (가-2)의 상기 표식(10A) 및 표식(10B)의 단순화로 간주할 수 있다.The mark (10C) of FIG. 5 (A-3) is an example of a first-type icon that simplifies the markings (10A) and (10B) of (-1) My back is naturally lowered, and at the same time, both scapulae on the back communicate information to take an anatomical posture where both arms are free by manipulating the wings outward. Therefore, the wing-like marking 10C can be regarded as a simplification of the marks 10A and 10B of (-1) and (-2).

본 명세서의 네 번째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는 몸통 부위인 어깨 또는 등의 자세에 대한 표식으로서, 도 5의 (나)의 표식이 이를 개략적으로 예시한다. 일예로 도 5의 (나)의 표식(10A)은 어깨와 등의 전체적 자세를 단순화한 제1종 아이콘의 예시로서, 상기 표식(10A)은 어깨가 올라간 연주자의 그림에 적색의 금지 표시를 덧붙임으로써, 연주자가 피아노 앞에 앉은 자세에서 어깨를 자연스럽게 내리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이를 통하여 연주 전 또는 도중 연주자가 긴장하여 저절로 어깨가 올라갈 수밖에 없는 경우, 연주자는 상기 표식(10A)을 인지한 후 어깨를 내리도록 유도할 수 있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dicator for a posture such as a shoulder or back which is the body part, and the marking of (B) in Fig. 5 schematically illustrates this. For example, the marker 10A in FIG. 5B is an example of a first-type icon that simplifies the overall attitude of the shoulders and the like, and the marker 10A adds a red prohibition mark to the artist's shoulder So that the player is informed that the shoulder should be released naturally in the sitting position in front of the piano. In this case, if the player is nervous before the performance or when the player is forced to climb the shoulder by itself, the player can guide the player to lower the shoulder after recognizing the mark 10A.

상술한 등 또는 어깨와 같은 몸통 부위의 자세와 관련된 도 5의 (가-1) 내지 (가-3) 및 도 5의 (나)의 표식들은 연주자가 건반악기를 연주하기 전 또는 연주하는 과정에서 가장 기초적이며 중요한 등 또는 어깨의 조작 및 자세와 관련된다. 따라서 상기 몸통표식은 악보의 첫 부분 또는 악보에 포함된 곡의 제목의 하부 등 악보를 연주하는 시작단계에 주로 배치할 수 있다. 하지만 음이 복잡하거나 연주 시간이 긴 곡의 경우, 상기 몸통표식은 연주자가 힘든 부분을 연주한 후, 또는 일정 시간 이상 상기 악기를 연주하여 피로가 누적될 수 있는 부분 등에 추가로 배치할 수도 있다.5 (A-1) to (A-3) and FIG. 5 (B) in relation to the attitude of the torso portion such as the back or shoulder described above are obtained before or after the performance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It is associated with the most basic and important back or shoulder manipulation and posture. Thus, the torso marker can be placed at the beginning of the performance of the score, such as the first part of the score or the lower part of the title of the song included in the score. However, in the case of a tune having a complicated tone or a long playing time, the body marking may be additionally arranged after the player has played a hard part, or a part where fatigue can be accumulated by playing the musical instrument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본 명세서의 네 번째 측면의 세 번째 실시예는 등이나 어깨 등의 다양한 몸통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자세를 위한 상기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정보를 도 5의 (가-1) 내지 (가-3)의 표식(10A) 내지 표식(10C), 또는 도 5의 (나)의 표식(10A) 이외의 다른 표식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술한 표식보다 구체화된 해부학적 정보를 포함하는 제1종 내지 제3종 그림을 구성하여 몸통표식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상술한 표식보다 단순화된 정보만을 포함하는 제1종 내지 제3종 기호를 구성하여 몸통표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통표식은 어깨나 등 이외의 몸통 부위를 의미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몸통표식은 척추나 갈비뼈 등에 대한 해부학적 조작이나 자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third embodiment of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information on the anatomical posture of various body parts such as the back or shoulder or information on the manipulation of the part for the posture, (10A) to (10C) or (10A) of Figure 5 (B). For this purpose, the first to third types of pictures including the anatomical information embodied in the marking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as the body markers. Alternatively, the first to third types of pictures including the simplified information It can be used as a trunk sign by constructing a sign. Further, the body tag may be configured to mean a body portion other than a shoulder or a back. Therefore, the body marking may include information on anatomical manipulation or posture of the spine or ribs.

상술한 본 명세서의 네 번째 측면의 다양한 건반악기 연주용 몸통표식은 상기 도 5에서 예시한 다양한 실시예 및 이와 관련하여 예시한 다양한 상세예 외에도, 아래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변형 또는 개량도 포함한다.The various keyboard instrument performance markings of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or improve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o the various embodiments illustrated in FIG. 5 and the various detailed examples illustrated in FIG.

본 명세서의 네 번째 측면의 첫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적절한 주석부의 작성 및 활용이며, 이는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다양한 상반신표식에 대한 첫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을 상기 몸통 부위와 관련된 몸통표식에 적용하는 변형 또는 개량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first modification or amendment of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he creation and utilization of appropriate annotations, which is a modification that applies the first modification or modification to the various upper half markings of the third aspect described above to the torso- Or improvement. Therefore, further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의 네 번째 측면의 두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몸통표식의 변형 또는 개량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몸통표식은 건반악기 연주자에게 [1] 기존 악보에는 포함되지 않거나 기존 기보법으로는 자세히 설명할 수 없는 몸통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2] 상기 몸통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정보, [3] 상기 자세 또는 조작을 통한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4] 상기 자세 또는 조작을 달성하기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이를 위하여 제1종, 제2종, 제3종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몸통 부위와 관련된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등과 같은 몸통표식 및 이에 포함되는 다양한 세부표식 역시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다양한 상반신표식에 대한 두 번째 변형 또는 개량과 유사하게 단순화, 만화화 또는 구체화를 통하여 동일한 종 또는 상이한 종의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형태의 몸통표식으로 변형 또는 개량될 수 있으며, 상기 변형 또는 개량된 몸통표식 역시 주석부를 활용하여 일관성 있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econd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body marking. As described above, the torso marking is used to inform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layer [1] about the anatomical posture of the body part which is not included in the existing music score or can not be explained in detail by the conventional notation method, [2] [3] information on the manipulation of a specific part of the musical instrument through the attitude or manipulation, or [4] information on the overall attitude of the musical player for attaining the attitude or manipulation, You can use a second, a third, picture, icon, or symbol. Accordingly, the body tag such as a figure, an icon, or a symbol relating to the body portion and various detailed tags included therein may be simplified, com- municated, or embodied similar to the second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various upper body tags of the third aspect And can be transformed or modified into a body mark of the same type or a different kind of figure, icon, or symbol type, and the modified or modified body mark can be used consistently by using the annotation part. Therefore, further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의 네 번째 측면의 세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다양한 몸통표식을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며, 상기 네 번째 측면의 네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다양한 몸통표식의 테두리나 배경의 모양이나 색상을 조작함으로써, 특정 수효의 몸통표식으로 더 다양한 또는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며, 상기 네 번째 측면의 다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신축성 있는 재질로 상기 다양한 몸통표식을 제작하는 것이다. 상기 세 번째, 네 번째, 또는 다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에 의한 다양한 몸통표식들은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세 번째, 네 번째, 또는 다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에 의한 상반신표식들과 의미하는 신체 부위가 상이할 뿐, 기타 특성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third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the various body markings from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and the four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fourth side is to change the shape or color of the border or background of the various body markers, Thereby transferring more or more information to a certain number of body markings, and the fif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fourth aspect is to manufacture the various body markers with a stretchable material. The various trunk markers by the third, fourth, or fifth modification or modification are different from the body regions that are meant by the third, fourth, fifth, or fif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third aspect above But other characteristics are the same or similar. Therefore, further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의 네 번째 측면의 여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술한 다양한 몸통표식을 연주자의 주문화 (customization) 또는 개인화 (personalization) 등이 가능하도록 제작하는 것이며, 상기 네 번째 측면의 일곱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술한 몸통표식을 다수 포함하는 표식 세트의 구성 및 상기 표식 세트의 배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네 번째 측면의 여덟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연주자가 상기 다양한 몸통표식을 시각이 아닌 촉각을 이용하여 인지할 수 있는 촉각 몸통표식을 제작하는 것이다. 상기 네 번째 측면의 여섯 번째 내지 여덟 번째 변형 또는 개량에 의한 다양한 몸통표식들은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여섯 번째 내지 여덟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의 상반신표식들과 의미하는 신체 부위가 상이할 뿐, 기타 특성 역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ix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the various body markings described above possible to customize or personalize the player and the seven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fourth aspect And the eigh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fourth aspect allows the player to perceive the various body markings using the tactile angle rather than the visual angle To produce a tactile torso. The various body markers according to the sixth to eigh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fourth aspect are different from the sixth to eighth modified or improved upper body markers of the third aspect and the meaning body parts, The same or similar. Therefore, further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의 네 번째 측면의 열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다양한 몸통표식을 이용하여 상술한 몸통 부위의 자세, 상기 부위의 조작, 상기 자세나 부위를 이용한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 또는 상기 자세나 조작을 통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전달함은 물론, 이와 관련된, 또는 이에는 포함되지 않은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몸통표식은 연주자가 상기 몸통 부위로 건반악기의 건반을 조작하되 [1] 상기 조작의 동적 특성이나 정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2] 상기 건반의 특정 부분을 조작하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3] 상기 조작을 수행하는 연주자의 몸통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정적 또는 동적 정보는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열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의 상반신표식들과 의미하는 신체 부위가 상이할 뿐, 기타 특성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ten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using various body markers to control the posture of the body part, the manipulation of the part, the manipulation of a specific part of the musical instrument using the posture or the part, To convey information about the overall attitude of the player through the game, as well as to convey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it or not included in it. For this purpose, the body marking system requires the player to operate the keyboard of the keyboard instrument with the body part, [1]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r 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operation, or [2] to manipulate specific parts of the keyboard Or [3] information on the anatomical posture of the body part of the performer performing the above operation or information on the overall posture. The static or dynamic information is the same or similar to that of the above-mentioned third aspect only in that the body part is different from the tenth modification or the improved upper half markings of the third aspect. Therefore, further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의 네 번째 측면의 열한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술한 다양한 몸통표식을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강사는 각각의 표식이 전달하는 정보에 따라 학습자 개개인이 부족하거나 잘못된 몸통 부위의 조작이나 상기 부위의 자세를 상기 몸통표식을 이용하여 함축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며 교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규격화된 다양한 몸통표식을 사용함에 따라, 대부분의 강사는 어린이 또는 초보 학습자에게도 건반악기를 연주하는 데 필요한 음악적 기교나 음악적 표현을 일관성 있게 교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린이나 초보 학습자들도 강사 개개인의 교육 능력의 차이에도 불구하도 연주에 필요한 몸통 부위의 조작, 상기 조작을 통한 자세 등에 대하여 규격화된 교육을 받을 수 있다. 강사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규격화된 몸통표식을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상기 자세나 조작 등에 대한 교육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The eleven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the various body markers described above for various purposes. Therefore, the lecturer can transmit and correct information implicitly by manipulating the body part of the learner or erroneous body parts or the posture of the part by using the body markers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delivered by the respective markers. Also, by using various standardized body markers as described above, most instructors can teach children or novice learners consistently the musical skill and musical expression necessary for playing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ccordingly, even in the case of the young or beginner learners, it is possible to receive a standardized education on the manipulation of the body part necessary for the performance and the attitude through the manipulation, in spite of the difference in the educational ability of the individual instructor. The lecturer can also educate the learner about the posture, operation, and the like by using the standardized body marking as described above.

본 명세서의 악기 연주용 표식에 대한 다섯 번째 측면은 건반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에게 [1] 기존의 악보에는 포함되어있지 않는, 또는 기존의 음악 기호로는 자세히 설명할 수 없는 하반신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정보, [2] 상기 조작과 관련된 상기 하반신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3] 상기 조작 및 자세를 통한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4] 상기 자세나 조작 등을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다양한 하반신표식이다. 건반악기는 연주자가 하반신 부위로 조작할 수 있는 일정 수효의 페달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연주자가 하반신 부위로 조작하는 상기 페달의 수효는 연주자가 상반신 부위로 조작하는 건반의 수효의 수십 분의 1에 불과하다. 하지만 상기 페달은 건반악기로 특정 음악적 표현을 구현할 때, 건반에 못지않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특정 음악을 연주하거나, 특정 음악적 기교를 실행하거나, 또는 특정 음악적 표현을 구현함에 있어서, 상기 하반신 부위의 자세와 조작 및 이를 통한 상기 페달의 다양한 조작은 상반신 부위의 자세 및 이를 통한 건반 조작만큼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도 있다.The fifth aspect of the musical instrument markings in this specification is that the player playing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1] is informed of manipulation of the lower body part which is not included in the existing musical score, , [2] information on the anatomical posture of the lower body part related to the operation, [3] information on manipulation of a specific part of the musical instrument through the manipulation and posture, or [4] And the overall posture of the lower body.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includes a certain number of pedals that the player can operate on the lower half of the body. In general, the number of pedals operated by the player in the lower half of the body is only a tenth of the number of keys operated by the player in the upper half of the body. However, the pedal plays an important role in playing a musical expression with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s well as a keyboard. Therefore, in playing a specific music, performing a specific musical technique, or implementing a specific musical expression, the posture and manipulation of the lower body part and various manipulations of the pedal through it are as important as the posture of the upper body part and the keyboard operation It can also play a role.

우선 상술한 바와 같이 건반악기, 특히 피아노는 타악기와 유사한 특성을 지닌다. 즉 연주자가 건반을 타격하면 연주자가 가한 힘은 해머로 전달되며, 이와 동시에 건반에 연결된 댐퍼스푼이 액션을 상부로 이동하며 현을 해머에 노출시킨다. 그 후 해머는 상기 힘을 이용하여 상기 건반에 할당된 다수의 현들, 특히 2개 또는 3개의 현들을 타격하며, 이에 상기 현들은 진동하며 소리를 발생한다. 하지만 상기 현들을 이 상태로 방치하면 계속된 진동으로 소리를 발생하며, 연주자가 다른 건반을 타격하면 이 때 발생하는 소리와 이전에 타격하여 발생하는 소리가 합쳐져 올바른 연주가 어려워진다.First, as mentioned above,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articularly a piano, has characteristics similar to those of a percussion instrument. That is, when a player hits the keyboard, the force applied by the player is transmitted to the hammer, and at the same time, the damper spoon connected to the keyboard moves the action upward and exposes the string to the hammer. The hammer then uses the force to strike a plurality of strings, particularly two or three strings, assigned to the keyboard, and the strings are vibrated to produce a sound. However, when the strings are left in this state, the sound is generated by the continuous vibration, and when the player hits the other key, the sound generated at this time and the sound generated by the previous hitting are combined,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건반악기, 특히 피아노는 약음장치(damper)를 이용하여 이전에 타격된 현들의 계속적인 진동을 감소시키거나 정지시킴으로써 이전에 발생한 음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며, 이에 따라 연주자는 이전의 음과 혼합되지 않는 새로운 음을 연주할 수 있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연주자는 상기 약음장치를 역으로 이용하여 특정 음을 더 오래 발생시키거나, 이전에 타격하여 발생한 음과 새로 타격하여 발생한 음을 연결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건반악기는 상기 약음장치나 역약음장치는 다수의 페달 형태로 건반 하부에 포함하며, 연주자는 한 발이나 양발을 이용하여 상기 페달을 조작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페달의 수효는 건반악기에 따라 상이하며, 일반적으로 2개 내지 13개의 페달을 포함할 수 있다.To prevent this,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articularly a piano, uses a damper to reduce or eliminate previously generated notes by reducing or stopping the continuous vibration of previously struck strings, You will be able to play a new note that does not mix with the note. On the other hand, the player can use the mute device to reverse the generation of a specific note, or to connect a note generated by hitting a note with a note generated by a new hit. In general,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includes the above-mentioned mute or reverse mute device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pedals in the lower part of the keyboard, and the player operates the pedal using one foot or both feet. Generally, the number of pedals varies depending on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nd may generally include 2 to 13 pedals.

일반적으로 피아노는 일렬로 배치된 우측페달, 중간페달 및 좌측페달 등 3개의 페달을 포함하며, 특히 그랜드 피아노의 경우 우측페달은 울림페달 또는 댐퍼(damper) 페달, 중간페달은 소스테뉴토(sostenuto) 페달, 좌측페달은 소프트 페달이라고 지칭한다. 우측페달은 울림페달로서, 연주자가 상기 우측페달을 밟으면 상기 약음장치가 비활성화되어 현의 울림이 풍성해지거나, 또는 손가락 타격만으로는 연결하지 못하는 다수의 음이 연결되는 레가토(legato) 효과를 낼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감안하면, 상기 우측페달은 음량을 증가시키는 페달이 아니라 상기 현들이 지속적으로 진동하도록 도모하는 페달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연주자가 특정 건반을 타격하여 이에 할당된 현들을 타격한 후 중간페달을 밟으면, 상기 중간페달은 연주자가 상기 중간페달에서 발을 뗄 때까지 상기 현들이 계속 진동하도록 한다. 좌측페달은 소프트 페달로서, 연주자가 좌측페달을 밟으면 건반이 약간 이동하며, 이에 따라 해머는 다수(즉 2개 또는 3개)의 현들 중 일부(즉 1개 또는 2개)만을 타격하게 되며, 음량이 약화된다.In general, the piano includes three pedals, one for the right pedal, one for the middle pedal, and one for the left pedal. In the case of a grand piano, the right pedal is an echo pedal or a damper pedal, the middle pedal is a sostenuto, The pedal and the left pedal are referred to as soft pedals. The right pedal is an echo pedal. When the player depresses the right pedal, the mute device is inactivated to enrich the strings, or a legato effect in which a plurality of notes that can not be connected only by finger striking can be connected. In view of this characteristic, the right pedal may be regarded as a pedal that is designed to continuously vibrate the strings, rather than a pedal that increases the volume. Further, when the player hits the intermediate pedal after striking a predetermined key and hits the assigned strings, the middle pedal causes the strings to vibrate continuously until the player takes a step off the middle pedal. The left pedal is a soft pedal, and when the player depresses the left pedal, the keyboard moves slightly, so that the hammer strikes only a part (i.e., one or two) of a plurality of (i.e. two or three) strings, Lt; / RTI >

하지만 연주자가 상기 페달을 조작하는 방법 역시 단순하지만은 않다. 바꾸어 말하면, 연주자가 건반을 손가락으로 타격하더라도 어떤 상반신 부위를 어떠한 자세로 얼마만한 힘을 가하며 어떻게 타격하느냐에 따라 발생되는 음의 강도, 길이, 울림, 음색 등이 상이해지듯이, 연주자가 상기 페달을 어떤 하반신 부위를 어떠한 자세로 얼마만한 힘을 가하며 어떻게 조작하느냐에 따라 발생되는 음의 강도, 길이, 울림, 음색 등이 상이해진다. 이는 마치 운전자가 자동차의 브레이크나 악셀을 밟는다고 무조건 차가 정지하거나 발진하는 것이 아니라, 브레이크도 급히 밟거나 서서히 밟아야할 때가 있으며, 악셀 역시 급히 밟거나 서서히 밟음으로써 급정거, 급발진, 점진적 정거나 발진이 가능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좋은 자동차일수록 브레이크나 악셀이 민감하며, 따라서 상기 브레이크나 악셀의 적절한 조작에 따라 운전자는 더 안전하며 쾌적한 운전을 즐길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기보법 및 기존의 음악 기호는 특정 페달을 발로 누르고 떼는 정도만의 정보를 제공할 뿐, 이보다 자세한 정보를 전달하지 않는다.However, the manner in which the player operates the pedal is also not simple. In other words, even if the player strikes the keyboard with his finger, as the strength, length, echo, tone, etc. of the sound generated by how much force is applied to a certain upper body in what position and how the player hits the upper body becomes different, The intensity, length, echo, tone, etc. of the sound generated by how much force is applied to the lower body part in what position and how it is manipulated are different. This is because the driver does not stop or rush the car by braking or accelerating the car, but the brakes must be stepped on or stepped on slowly, and the accelerator can be stepped on or pushed slowly so that sudden, rapid, And so on. In addition, the better the car, the more sensitive is the brake or accelerator, so that the driver can enjoy more safe and comfortable driving according to the appropriate operation of the brake or accelerator. Nevertheless, conventional notation and traditional musical symbols do not convey more information than just pressing and releasing a particular pedal.

상술의 본 명세서의 세 번째 측면에서는, 다양한 음악적 기교를 구현하거나 다양한 음악적 표현을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상반신 부위의 조작, 상기 조작을 통한 상반신 부위의 자세 또는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다양한 상반신표식들을 예시하였다. 이에 대응하여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측면은 다양한 음악적 기교를 실행하거나 다양한 음악적 표현을 구현하기 위하여 필요한 다양한 하반신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 상기 하반신 부위의 조작, 상기 자세나 조작을 통한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 또는 상기 자세나 조작들을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다양한 하반신표식을 예시한다.In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 variety of upper-body markers for conveying information on the manipulation of various upper body parts to implement various musical techniques or various musical expressions, information on the upper body part attitude or overall attitude through the manipulation . In response to this,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sical instrument, which is capable of performing various musical techniques, various anatomical postures of lower body parts necessary for implementing various musical expressions, manipulation of the lower body part, manipulation of a specific part , Or a variety of lower body markings that convey information about the player's overall posture for the posture or manipulations.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는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다양한 상반신표식을 다양한 하반신표식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주자가 건반악기의 페달을 연주하는 데 사용하는 다양한 하반신 부위 각각은 연주자가 건반악기의 건반을 타격하는 데 사용하는 다양한 상반신 부위 각각에 대응한다고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건반을 타격하기 위한 연주자의 상반신 부위의 자세, 상기 자세를 위한 상기 상반신 부위의 조작, 상기 자세나 조작을 통한 건반악기 특정 부분의 조작, 또는 이를 구현하기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세 번째 측면의 상반신표식의 대부분은, 페달을 타격하는 데 사용되는 연주자의 하반신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 상기 자세를 위한 상기 하반신 부위의 조작, 상기 자세나 조작을 통한 건반악기 특정 부분의 조작, 또는 이를 구현하기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하반신표식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first embodiment of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the various upper half markers of the third aspect as the various lower half markers. In general, each of the various lower body parts that the player uses to play the pedal of the keyboard instrument can be considered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various upper body parts that the player uses to strike the keyboard of the keyboard instrument. Therefore, the information on the posture of the upper part of the player to strike the keyboard, the manipulation of the upper body part for the posture, the manipulation of the specific part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through the posture or manipulation, or the overall posture of the performer Most of the upper side half markings on the third side include an anatomical posture of the lower part of the player's body used for hitting the pedal, manipulation of the lower half part for the posture, manipulation of the specific part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through the posture or manipulation, Or a lower half body indicia that conveys information about the overall attitude of the performer to implement it.

일예로 상기 세 번째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의 예시인 도 4의 (나)의 팔의 위치와 관련된 각도기 등의 상반신표식은, 발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하반신표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연주자가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하기 전 손가락이나 손목 자세와 관련하여 예시한 상기 세 번째 측면의 세 번째 실시예인 도 4의 (다)의 앉아있는 개구리 모양의 상반신표식은, 연주자가 발로 페달을 타격하기 전의 발가락 및 발목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하반신표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손바닥 또는 손가락 자세와 관련하여 예시한 상기 세 번째 측면의 네 번째 실시예인 도 4의 (라-1) 내지 (라-4)의 거북이 모양의 상반신표식은, 연주자가 발로 페달을 타격할 때의 발가락, 발등 등의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하반신표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손목과 팔의 각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세 번째 측면의 다섯 번째 실시예인 도 4의 (마-1) 내지 (마-5)의 앉아있는 (또는 점프하는) 개구리 모양의 상반신표식은, 발로 페달을 타격하기 직전 또는 직후의 발목과 발의 각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하반신표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건반을 타격할 때 손가락, 손등, 또는 손목에 가하는 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세 번째 측면의 여섯 번째 실시예인 도 4의 (바-1) 내지 (바-4)의 이두박근 모양의 상반신표식은, 발로 페달을 밟을 때 발가락, 발등, 또는 발목에 가하는 힘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하반신표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pper half body markers such as the protractor and the like related to the position of the arm in FIG. 4 (B), which is an exampl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third aspect, can also be used as a lower half marker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foot position. Similarly,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third side illustrated in relation to the finger or wrist posture before the player strikes the keyboard with the fingers, the sitting frog-shaped upper half marker in Fig. 4 (C) It can also be used as a lower body marker that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toe and ankle postures before. In addition, the turtle-shaped upper half marker of FIGS. 4 (a-1) to (4), which is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third aspect illustrated with respect to the palm or finger posture, It can also be used as a lower body marker to provide information on postures such as toes and feet. Similarly, the sitting-up (or jumping) frog-shaped upper half markings of the fifth embodiment of the third aspect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angle of the wrist and arm, as shown in Figs. 4-1 to 5-7, It can also be used as a lower body marker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angle of the ankle and foot just before or after striking the foot pedal. The biceps-shaped upper half marker (bar-1) to (bar-4) of FIG. 4, which is the sixth embodiment of the third aspec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force applied to the finger, Can also be used as a lower body marker to convey information about the force applied to the toe, foot, or ankle when the foot is stepped on.

또한 1번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할 때 가해야하는 힘 및 이를 위한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세 번째 측면의 일곱 번째 실시예인 도 4의 (사-1) 내지 (사-4)의 물고기 모양의 상반신표식은, 엄지발가락으로 페달을 밟을 때, 또는 약간 발목을 틀어서 페달을 밟을 때 페달에 가해야하는 힘 및 상기 힘을 가하는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하반신표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하기 위한 손가락 및 손목 관절의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세 번째 측면의 여덟 번째 실시예인 도 4의 (아-1) 및 (아-2)의 야구 글러브 모양의 상반신표식은, 발로 페달을 밟을 때의 발가락 또는 발목 관절의 자세 및 이의 조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하반신표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할 때의 힘과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세 번째 측면의 아홉 번째 실시예인 도 4의 (자-1) 및 (2ㅏ-2)의 독수리 부리 모양의 상반신표식은, 발로 페달을 밟을 때의 힘과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하반신표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할 때 손가락에 효율적으로 힘을 가하는 방법 및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열 번째 실시예인 도 4의 (차-1) 및 (차-2)의 독수리 발톱 모양의 상반신표식은 발로 페달을 밟을 때 발가락 또는 발등에 효율적으로 힘을 가하는 방법 및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하반신표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Als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third aspect, which provides information on the force to be exerted when hitting the keyboard with the first finger, and the attitude thereof, is shown in Fig. 4 (S-1) to The upper body marking can also be used as a lower body marking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force to be applied to the pedal and the attitude to apply the force when the pedal is touched with the big toe or slightly twisted and the pedal is depressed.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third aspect, which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fingers and wrist joint posture for hitting the keyboard with the fingers, is the baseball glove-shaped upper half marker of (A-1) and (A- , A lower half body mark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posture of the toe or ankle joint when pressing the foot pedal and its operation. The eagle-beaked upper body markings of (n-1) and (2-2) of Fig. 4, which is also the ninth embodiment of the third aspect,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force and time of hitting the keys with the fingers It can also be used as a lower body marker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force and time when the foot is pedaled. Also, the eagle of (car-1) and (car-2) of FIG. 4, which is the tenth embodiment of the third aspect described above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method and time for efficiently applying the force to the finger when hitting the keyboard with the finger, The claw-like upper body marking can be used as a bottom half marker to provide information on how to effectively apply force to the toe or foot when depressing the foot, and time.

단 상기 세 번째 측면의 다양한 상반신표식을 다섯 번째 측면의 다양한 하반신표식으로 사용할 경우, 연주자는 특정 표식이 상반신표식인지 하반신표식인지 구별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기 쉽다. 이러한 혼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반신표식과 하반신표식은 [1] 서로 상이한 모양이나 색상을 가지도록 구성하거나, [2] 서로 상이한 모양이나 색상의 배경이나 테두리를 가지도록 구성하거나, [3] 서로 상이한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등의 세부표식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다양한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중에서 제1종, 제2종, 또는 제3종의 특정 종은 항상 상반신표식으로 사용하는 한편, 나머지 종은 항상 하반신표식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제1종, 제2종, 또는 제3종의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중 특정 그림이나 아이콘 또는 기호는 항상 상반신표식으로 사용하는 한편, 나머지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는 항상 하반신표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various upper half markers of the third aspect are used as the various lower half markers of the fifth aspect, it is likely that the player may find it difficult to distinguish whether the specific marker is the upper half marker or the lower half marker. In order to prevent such confusion, the upper half marker and the lower half marker are configured so as to have different shapes or colors from each other, [2] to have different backgrounds or colors of different shapes, or [3] , Icons, symbols, and the like. On the other hand, among the various pictures, icons, or symbols, the first, second, or third specific species are always used as the upper half marker, while the remaining species can always be used as the lower half marker. A particular picture, icon, or symbol of a Type 2, or Type 3 picture, icon, or symbol is always used as an upper body marker, while the remaining picture, icon, or symbol is always available as a lower body marker.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는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상반신표식을 단순화, 만화화, 또는 구체화하여 상기 하반신표식을 구성하는 것이다. 우선 상기 세 번째 측면의 다양한 상반신표식들을 본 다섯 번째 측면의 다양한 하반신표식들로 사용할 경우, 상기 하반신표식들은 반드시 이에 상응하는 상반신표식들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필요는 없다. 즉 손가락이나 손목의 관절의 자세를 예시하는 야구 글러브 모양의 상반신표식을 반드시 발로 페달을 밟을 때의 발가락 또는 발목의 관절의 자세 및 이의 조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표식으로만 사용할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양한 상기 상반신표식을 단순화, 만화화, 또는 구체화함으로써 상기 하반신표식을 구성할 수 있다. 일예로 연주자의 상반신 부위를 의미하는 제1종, 제2종, 또는 제3종의 그림을 단순화 또는 만화화하여 용이하게 동일한 종의 아이콘 또는 동일한 종의 기호와 같은 하반신표식을 구성할 수 있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the lower half body marking by simplifying, cartoonizing, or embodying the upper half body marking of the third aspect. When the various upper half markers of the third aspect are used as the various lower half markers of the fifth aspect, the lower half markers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the same or similar to the corresponding upper half markers. That is, it is not necessary to use only the marker of the upper half of the baseball glove, which exemplifies the posture of the finger or the wrist, as a marker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posture of the toe or ankle joint and its operation when the foot is stepped on . Accordingly, the lower half body markers can be constructed by simplifying, com- municating, or specifying various upper-half body markings. For example, the first, second, or third kind of picture, which represents the upper part of the player, may be simplified or comic to easily form a lower half body mark such as an icon of the same species or a symbol of the same species.

또 다른 예로 연주자의 상반신 부위를 의미하는 제1종, 제2종, 또는 제3종의 그림은 그림의 대상을 동물 또는 무생물로 (또는 반대로) 변환함으로써, 다른 종의 그림 등과 같은 하반신표식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종 그림과 같은 상반신표식은 제2종 또는 제3종 그림과 같은 하반신표식으로 용이하게 변형 또는 개량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특정 종의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등과 같은 상반신표식의 대상을 무생물로부터 동물로 동물화하거나 인간으로 인간화함으로써, 또는 대상을 동물로부터 인간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다른 종의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형태의 하반신표식을 구성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연주자의 상반신 부위를 의미하는 제1종, 제2종, 또는 제3종의 다양한 표식은 상기 표식의 대상을 단순화, 만화화, 또는 구체화함으로써, 또는 상기 표식의 대상을 인간화, 동물화, 또는 무생물화함으로써 상이한 종의 상이한 하반신표식으로 변환할 수도 있다.Another example is that a first, second, or third kind of picture, which means the upper part of the player, converts the object of the picture to an animal or inanimate object (or vice versa) to form a lower body marker such as a picture of another species can do. Therefore, the upper half marker such as the first kind picture can easily be transformed or improved by the lower half marker such as the second kind or the third kind picture. On the contrary, by altering the object of an upper body marker such as a picture, icon, or symbol of a particular species from an inanimate object to an animal or by humanizing it into a human, or by changing an object from an animal to a human, You can also construct a lower body marker. As another example, various kinds of markings of the first, second, or third kind, which represent the upper part of the player, can be obtained by simplifying, com- municating, or embodying the marking object, Lt; RTI ID = 0.0 > and / or < / RTI >

단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 상반신표식을 동일한 종 또는 상이한 종의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등으로 변환하여 하반신표식으로 사용할 때의 중요한 점은 상기 표식의 일관성이다. 왜냐하면 아무리 명약관화한 그림이나 아이콘 등의 하반신표식도 연주자에 따라 다른 의미로 인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악보의 앞부분이나 뒷부분, 또는 기타 특정 부분에 상기 악보에서 사용되는 각종 하반신표식을 상세히 설명하는 주석부를 배치하거나, 또는 특정 하반신표식이 악보에서 처음 사용될 때 그 부분에 상기 주석부를 배치하여 연주자가 상기 표식이 전달하는 정보를 확실히 이해하도록 상기 하반신표식을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특정 하반신표식을 특정 악보에서 일관적으로 사용함으로써 특정 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는 상기 하반신표식이 항상 동일한 정보를 일관성 있게 전달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pecific upper half marker is converted into a figure, icon, or symbol of the same species or a different species and is used as a lower half marker, the consistency of the mark is important. This is because the sign of the lower body, such as a picture or an icon, which is made into a certain standard, can be perceived in a different meaning depending on the perform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rrange an annotation section detailing the various lower half markings used in the sheet music at the front part or rear part of the sheet of music, or when the specific lower body part marking is used for the sheet music for the first time, The lower half body mark can be constituted so as to clearly understand the information conveyed by the mark and the player who plays the specific musical instrument by using the specific lower body marking consistently in the specific musical score can make the lower half body mark always consistently convey the same information .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측면의 세 번째 실시예는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상반신표식과 본 다섯 번째 측면의 하반신표식을 다양한 구성 또는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일예로 상기 하반신표식은 상기 상반신표식과 상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단 제1종 또는 제2종 그림을 하반신표식으로 사용할 경우, 상반신 부위와 하반신 부위는 다르기 때문에 연주자는 상기 하반신표식과 상술한 상반신표식을 혼동할 이유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한편 제1종 또는 제2종 아이콘이나 기호를 사용할 경우, 상기 하반신표식은 상반신표식과 상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제3종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를 사용할 경우, 상기 하반신표식은 상반신표식과 상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The third embodiment of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the upper half marker in the third aspect and the lower half marker in the fifth aspect in various configurations or methods. For example, the lower half body marking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from the upper body half marking. However, when the first or second picture is used as a lower half marker, the upper part and lower part of the body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o the player often has no reason to confuse the above half marking with the above half marking. On the other hand, when using the first type or second type icon or symbol, the lower half body marking can be configured differently from the upper half body marking. Or a third type picture, icon, or symbol, the lower half body marking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from the upper body marking.

또 다른 예로서, 표식이 제1종이건 제2종이건, 제3종이건, 상기 하반신표식과 상반신표식을 동일한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하반신표식은 연주자가 이를 상기 상반신표식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하반신표식은 상기 상반신표식과는 상이한 모양이나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하반신표식의 배경이나 테두리의 색상이나 패턴이 상기 상반신표식의 배경이나 테두리 색상이나 패턴과 상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반신표식에 포함된 물체나 문자 등과 같은 세부표식의 모양, 크기, 또는 색상을 상기 상반신표식에 포함된 물체나 문자 등과 같은 세부표식의 모양, 크기, 또는 색상과 상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하반신표식의 테두리의 모양, 색상, 또는 패턴을 상기 하반신표식의 테두리의 모양, 색상, 또는 패턴과 상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연주자는 특정 표식에 포함된 물체나 문자가 동일하거나 유사하더라도, 상기 표식이 하반신표식인지 아니면 상반신표식인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markers may be composed of the first paper, the second paper, the third paper, and the lower half marker and the upper half marker in the same picture, icon, or symbol. In this case, the player can easily distinguish the lower half marker from the upper half marker. For example, the lower half body marking may be configured to have a different shape or size from the upper half body marking, and the background or border color or pattern of the lower half body marking may be different from the background or border color or pattern of the upper body marking It is possible. In addition, the shape, size, or color of the detailed markers such as an object, a character, and the like included in the lower half marker may be configured to be different from the shape, size, or color of the detailed markers such as objects or characters included in the upper half marker. Or the shape, color, or pattern of the rim of the lower half marking may be different from the shape, color, or pattern of the rim of the lower half marking. Through this, the player can easily recognize whether the object or the character included in the specific mark is the same or similar, whether the mark is the lower half mark or the upper half mark.

또 다른 예로서, 상기 하반신표식과 상기 상반신표식이 동일하건 상이하건 각각 악보의 특정 위치에 각각의 표식을 인쇄하거나 부착함으로써 연주자가 이들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일예로 상기 하반신표식은 항상 악보의 특정 음표의 하단(또는 상단)에 인쇄하거나 부착하는 반면, 상기 상반신표식은 항상 악보의 특정 음표의 상단(또는 하단)에 인쇄하거나 부착할 수 있다. 또한 건반악기 악보, 특히 피아노 악보에서는, 손가락 등과 같은 상반신 부위로 건반을 타격하며 연주하는 음표 및 기호는 악절의 상부에 위치하는 반면, 발 등의 하반신 부위로 페달을 조작하며 연주하는 음표 및 기호는 악절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하반신표식과 상기 상반신표식이 동일하거나 유사하더라도 이들 표식이 인쇄되거나 부착되는 부분이 상이하기 때문에, 연주자는 이를 혼동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연주자가 각각의 표식을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상기 하반신표식은 상기 상반신표식과 동일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markers may be printed or affixed to specific positions of the musical score, respectively, so that the player can recognize them easily, whether the lower half mark and the upper half mark are the same or different. For example, the lower half marking is always printed or affixed to the bottom (or top) of a particular note of the score, while the upper half mark can always be printed or attached to the top (or bottom) of a particular note of the score. Also, in the keyboard musical score, especially the piano score, the note and the symbol which are played by hitting the key to the upper body part such as a finger are located at the upper part of the section, while the musical note and the symbol Most of them ar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passage. Therefore, even if the lower half body mark and the upper body mark are the same or similar, the player may not be confused with each other because the markings are printed or adhered to each other. However, in order that the player can easily distinguish the respective markers, the lower half marking may be configured not to be the same as the upper half marking.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측면의 네 번째 실시예는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상반신표식이 전달하지 않는 상이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반신표식을 구성하는 것이다. 일예로 상기 상반신표식은 일반적으로 연주자가 타격하는 건반 하나하나, 음표 하나하나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에 따라 연주자는 다양한 상반신 부위를 조작하거나, 상기 상반신 부위를 특정한 자세로 유지하거나, 또는 전체적 자세를 유지하며 상기 상반신 부위로 건반을 타격한다. 이에 반하여 상기 하반신표식은 연주자가 상기 상반신 부위를 조작하며 타격한 건반이 발생하는 음의 음색을 다양한 하반신 부위로 페달을 이용하여 조작하거나, 이를 위하여 상기 하반신 부위를 특정한 자세로 유지하거나, 또는 전체적 자세를 유지한다.The fourth embodiment of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a bottom half marker so as to transmit different information that is not transmitted by the upper half marker of the third aspect. For example, in general, the upper body mark usually transmits information about each key and each note to be played by the player. Thus, the player can manipulate various upper body parts, maintain the upper body part in a specific posture , Or hits the keyboard to the upper half of the body while maintaining the overall posture. On the other hand, in the lower half body marking, a player manipulates the upper half of the body and manipulates the tone of the tone generated by the hitting key to various lower half bodies using a pedal, or maintains the lower half part in a specific posture, Lt; / RTI >

따라서 상기 하반신표식은 단일의 표식만으로 다수의 음표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는 반대로 단일의 표식만으로 단일 음표의 일부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반신표식은 음의 울림, 지속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연주자가 손가락으로 단일의 건반을 타격할 때에나 다수의 건반을 타격하여 화음을 연주할 때에도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다섯 번째 측면의 네 번째 실시예의 자세한 특성은 아래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자세히 설명하며, 이를 위한 하술의 도 6은 다양한 하반신 부위의 자세나 조작에 대한 다양한 하반신표식의 개략도로서, 주로 피아노 연주와 관련된 각종 하반신 시각표식에 대한 개략도이다.Accordingly, the lower half body marking can provide various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notes with only a single marking, and conversely, information on a part of a single note can be provided with only a single marking. In addition, since the lower half marking can have a direct influence on the sounding and continuing of the sound, the player can be effectively used when hitting a single key with a finger or by playing a plurality of keys to play a chord. The detailed characteristics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fifth aspec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various embodiments below. FIG. 6 is a schematic diagram of various lower body markings for various postures and operations of lower body parts. It is a schematic diagram of various lower body visual markings.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측면의 다섯 번째 실시예는 발 근육, 뼈 및 힘줄의 해부학적 구조에 근거한 하반신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 또는 상기 하반신 부위의 조작에 대한 다양한 표식으로서, 도 6의 (가)는 상기 하반신 부위의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예시이다. 일예로 도 6의 (가)의 표식(10A)은 발의 근육, 발 뼈 및 힘줄의 해부학적 구조에 대한 제1종 그림의 예시이며, 상기 그림은 연주자의 발가락은 각각의 발 근육과 발 힘줄 등을 통하여 발 뼈와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페달을 조작하려면 발가락은 물론 발등, 또는 발목 등의 하반신 부위를 같이 유기적으로 조작함이 바람직하다는 정보를 연주자에게 전달한다. 또한 상기 하반신 부위의 상세한 설명 및 조작 방법 등은 주석부(12)를 삽입하여 전달할 수 있다.The fifth embodiment of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ariety of markers for the anatomical posture of the lower body part or the operation of the lower body part based on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foot muscle, bone and tendon, An example of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lower part of the body. For example, the mark (10A) in FIG. 6 (a) is an illustration of a first type picture of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foot muscle, foot bone, and tendon, and the figure shows the toe of each player's foot muscle and foot tendon So that the pedal can be manipulated to inform the player that it is desirable to organically manipulate the lower part of the ankle or the like as well as the toe, as well as the toe. Further, a detailed description and an operation method of the lower half of the body can be transmitted by inserting the tin section 12.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측면의 여섯 번째 실시예는 연주자가 하반신 부위로 우측페달을 조작하는 레가토(legato) 조작에 대한 다양한 표식으로서, 다양한 세부표식을 포함하는 도 6의 (나)가 이의 예시이다. 일예로 도 (나)의 표식(10A)은 페달(11A)위에 얹혀있는 발, 발의 움직임(11B) 및 발 뒷부분에 부가된 귀(11C) 등의 다수의 세부표식들을 포함하는 제1종 기호 또는 제1종 아이콘의 예시이다. 즉 상기 레가토 표식(10A)의 세부표식 발은 연주자에게 페달(11A)을 밟으라는 정보를 전달하고, 발의 움직임에 대한 세부표식(11B)은 도에서와 같이 페달(11A)을 발로 눌렀다 떼었다하는 발의 조작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며, 또 다른 세부표식 귀(11C)는 연주자에게 음의 진동을 들으며 페달(11A)을 조작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따라서 레가토 조작 표식(10A)은 연주자가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하는 동시에 또는 타격 직후 우측페달을 누르는 정보를 전달하며, 이에 따라 연주자가 건반을 타격하여 발생한 음은 지속적으로 울리게 되며, 이를 통하여 연주자가 타격하는 다음 음은 이전의 음과 끊이지 않으며 연결되는 음악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sixth embodiment of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ample of such a variety of markings for legato manipulation in which the player manipulates the right pedal to the lower body region, as shown in Figure 6 (b), which includes various detailed indicia. For example, the indicia 10A of FIG. 2B may include a first type symbol including a plurality of detailed indicia, such as the foot 11B on the pedal 11A and the ear 11C add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foot, An example of a Type 1 icon. That is, the foot mark of the legato mark 10A informs the player to press the pedal 11A, and the detailed mark 11B of the foot mark moves the foot 11A to the foot as shown in FIG. And the other detailed indicator ear 11C transmits information to the player to operate the pedal 11A while listening to the negative vibration. Thus, the legato operation indicator (10A) transmits information that the player hits the keyboard with his or her fingers at the same time or immediately after the batting, so that the sound generated by the player hitting the keyboard continues to be sounded, The next note to be played is a continuous musical effect connected to the previous note.

올바른 우측페달 조작에 대하여 쇼팽은 연주자들에게 발의 동작이 늦지 않도록 언제나 미리 발을 페달 위에 대기시키라고 한 바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레가토 표식(10A)은 연주자가 발을 이미 페달 위에 올리고 페달 조작을 준비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이에 따라 연주자가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하는 동시에 또는 타격하자마자 우측페달을 밟으면, 건반악기의 약음장치가 비활성화되어 현의 울림이 풍성해지게 되며, 이에 따라 강하고 분명한 음이 지속되며, 그 후 연주자가 다른 건반을 타격하여 새로운 음이 발생하며 이전의 음과 연결된다. 단 레가토는 발의 조작에 따라 음색이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적절한 음의 울림을 위해서는 연주자가 손으로 건반을 타격하고 발로 페달을 조작하면서, 지속적으로 음을 들으며 음의 울림을 살펴야 한다. 이러한 의미애서 보면 상기 레가토 표식(10A)은 연주자로 하여금 건반을 타격하는 동시에 또는 타격 직후 상기 우측페달을 조작하도록, 또는 우측페달을 밟으며 음의 진동을 지속적으로 파악하며 우측페달을 조작하라는 정보에 해당한다.For correct right pedal manipulation, Chopin has always instructed players to put their feet on the pedals in advance, so that their movements are not delayed. Thus, the legato marking 10A informs the player that the foot is already on the pedal and that the pedal is ready for operation. Accordingly, if the player hits the keyboard with his or her fingers, or depresses the right pedal as soon as he / she hits it,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is deactivated and the sound of the string becomes enriched, so that a strong and clear sound is sustained, And a new note is generated and connected to the previous note. Dan Legato, because the tone is greatly affected by the operation of the foot, for proper sounding, the player must strike the keyboard with his hand and operate the pedal with his foot. In this sense, the legato marking (10A) corresponds to the information that the player is required to operate the right pedal at the same time as striking the keyboard or immediately after the stroke, or to continuously grasp the vibration of the sound by pressing the right pedal and to operate the right pedal do.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측면의 일곱 번째 실시예는 연주자가 하반신 부위로 우측페달을 조작하는 싱코페이션(syncopation) 조작 또는 당김음 조작에 대한 다양한 표식으로서, 싱코페이션은 건반을 타격하여 첫 번째 음을 발생하고 다시 건반을 타격하여 두 번째 음을 발생하되, 두 번째 음을 길게 울리도록 함으로써 첫 번째 음과 두 번째 음의 강약을 바꾸는 조작을 의미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보면, 싱코페이션 조작은 상술한 레가토 조작을 두 번째 음에 대하여 적용하는 조작에 해당한다. 따라서 싱코페이션 조작에 대한 표식 역시 상술한 도 6의 (나)의 표식(10A)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며, 연주자는 상기 표식(10A)에 따라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하는 동시에 또는 타격 직후 우측페달을 누르는 정보를 전달한다.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ariety of indications of a syncopation operation or a swinging operation in which a player operates the right pedal to the lower half of the body. The syncoperator hits the keyboard to generate a first note, Which means that the second tone is generated by striking the second tone, thereby changing the intensity of the first and second tones. In this sense, the operation of the syncopation corresponds to the operation of applying the above-mentioned legato operation to the second note. Therefore, the mark for the operation of the syncopation is also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mark 10A in FIG. 6 (B), and the player can perform the marking operation by hitting the key with the finger according to the marking 10A, .

싱코페이션 표식 역시 상기 레가토 표식과 같이 연주자가 발을 이미 페달 위에 올리고 페달 조작을 준비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이에 따라 연주자가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하여 두 번째 음을 발생하는 동시에 또는 타격하자마자 우측페달을 밟으면, 건반악기의 약음장치가 비활성화되어 현의 울림이 풍성해지게 되며, 이에 따라 두 번째 음이 당겨지며 첫 번째 음과 두 번째 음의 강약에 영향을 주게 된다. 싱코페이션 역시 음의 울림이므로 발의 조작에 따르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적절한 음의 울림을 위해서는 연주자가 손으로 건반을 타격하고 발로 페달을 조작하며 음의 울림을 살펴야 한다.The synchromesh markings also convey the information that the player has already put his feet on the pedals and ready to operate the pedals, just like the legato markings above. Accordingly, when the player hits the keyboard with his / her finger to generate a second note, or when the player depresses the right pedal as soon as he / she hits the keyboard, the keyboard instrument is deactivated and the sound of the string is enriched, This affects the intensity of the first and second notes. Since the syncopation is also a negative sound, it has a large effect on the manipulation of the foot. For proper sounding, the player must strike the keyboard with his or her hand, manipulate the pedal with the foot, and watch the sound.

필요에 따라 상기 싱코페이션 표식은 상술한 레가토 표식과 상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싱코페이션 표식은 레가토 표식과 완전히 상이하도록 구성하거나, 상기 레가토 표식과 유사하되 특정 부분만 상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일예로 싱코페이션 표식은 도 (나)의 레가토 표식(10A)의 발의 각도 또는 발가락 모양 등과 같은 세부표식을 상이하도록 구성하거나, 상기 레가토 표식(10A)의 발의 움직임(11B) 등과 같은 세부표식을 상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주석부를 이용하여 싱코페이션 표식과 레가토 표식의 공통점 및 차이점 등을 설명하여 연주자가 상기 표식들을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If necessary, the signature markers may be configured to be different from the legato marker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the sync markers may be configured to b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legato markers, or may be configured to be similar to the legato markers but only to specific portions. For example, the signature markers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detailed markings such as the foot angle or the toe shape of the legato mark 10A of the figure (B) are different, or the detailed markings such as the foot 11B of the legato mark 10A are different Can be configured. In addition, by using the annotations as described above,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syncopation markers and the legato markers can be described, so that the player can easily distinguish the markers.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측면의 여덟 번째 실시예는 연주자가 하반신 부위로 우측페달을 조작하는 반약음(half-damping) 조작에 대한 다양한 표식으로서, 도 6의 (다)가 이의 예시이다. 일예로 도 (다)의 표식(10A)은 페달(11A)위에 얹혀있는 발, 발의 움직임(11B), 및 페달(11A) 뒷부분에 부가된 귀(11C) 등의 다양한 세부표식들을 포함하는 제1종 기호 또는 제1종 아이콘의 예시이다. 즉 상기 표식(10A)의 발은 연주자에게 페달(11A)을 발로 밟으라는 정보를 전달하고, 발의 움직임에 대한 세부표식(11B)은 그림에서와 같이 페달(11A)을 발로 눌렀다 떼었다하는 발의 조작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며, 페달(11A) 하부에 위치한 달걀(11C)과 같은 세부표식은 연주자에게 페달(11A)을 조작하되, 페달(11A) 밑의 달걀이 깨지지 않을 정도의 힘 또는 거리로 페달(11A)을 조심스럽게 또는 약하게 조작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따라서 연주자는 손으로 타격한 건반의 음이 계속 메아리로 울리도록 하는 우측페달을 서서히 조작하되, 약음장치가 현으로부터 격리되는 지점을 포착하여 상기 지점 또는 그 근처까지만 우측페달을 누름으로써 현이 섬세히 진동하는 음악적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The eighth embodiment of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ariety of markings for a half-damping operation in which the player manipulates the right pedal to the lower half of the body, and Fig. 6 (c) is an example thereof. For example, the mark 10A in FIG. 3C shows a first portion 11A including various detailed markings such as a foot 11B motion on the pedal 11A and an ear 11C attach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pedal 11A, An example of a species symbol or a type 1 icon. That is, the foot of the marking 10A transmits information that the player depresses the pedal 11A, and the detailed marking 11B for the movement of the foot pushes the pedal 11A with the foot as shown in Fig. And a detailed marker such as an egg 11C located under the pedal 11A is used to operate the pedal 11A to allow the player to operate the pedal 11A with a force or distance such that the egg under the pedal 11A is not broken RTI ID = 0.0 > 11A) < / RTI > Therefore, the player gradually manipulates the right pedal to cause the sound of the key hammered by the hand to continue to be echoed gradually, while the mute device captures the point isolated from the string and presses the right pedal only to the point or the vicinity thereof, It is possible to obtain a musical effect.

연주자가 자신의 하반신 부위 주변에 위치한 페달을 누를 때, 연주자는 상기 부위의 움직임은 물론 페달의 움직임을 직접 눈으로 관찰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연주자가 상기 레가토 조작, 싱코페이션 조작, 반약음 조작은 물론 하술의 플러터링 조작, 트레드 조작, 반페달 조작 등을 위하여 발로 페달을 밟거나 페달로부터 발을 뗄 때에는 자신의 청각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한다면 상기 싱코페이션 조작이나 반약음 조작 및 하술의 다양한 하반신표식은 모두 도 6의 (나)의 레가토 조작의 표식(10A)에 포함된 귀(11C) 모양을 포함할 수 있다. 단 하반신 부위를 이용한 다양한 표식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귀의 각도나 위치를 상이하도록 구성하거나, 귀의 크기를 다르게 하는 등 상이한 세부표식을 사용할 수 있다.When the player presses the pedal located near the lower half of his / her body, the player can not directly observe the movement of the pedal as well as the movement of the part. Accordingly, when the player depresses the foot pedal or lifts the foot from the pedal for the above-mentioned legato operation, the operation of the syncopation, the operation of the semi-loudness, the fluttering operation of the lurch, the operation of the tread, and the operation of the half pedal, . Given this point, the various lower half markings of the syncopation operation, the semi-soft operation and the hairstyle may include the shape of the ear 11C included in the legato operation mark 10A of FIG. 6 (B). However, in order to distinguish the various markers using the lower part of the body, different angles and positions of the ears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or different detailed markings may be used such as different sizes of the ears.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측면의 아홉 번째 실시예는 연주자가 하반신 부위로 우측페달을 조작하는 플러터링(fluttering) 조작 또는 페달 비브라토(pedal vibrato) 조작에 대한 다양한 표식으로서, 플러터링은 일반적으로 현악기의 비브라토 조작에 해당하는 조작을 의미하며, 도 6의 (라)가 이의 예시이다. 일예로 표식(10A)은 페달(11A)위에 얹혀있는 발, 발의 움직임(11B), 및 페달(11A) 하부에 부가된 스프링(11C) 등의 다양한 세부표식들을 포함하는 제1종 기호 또는 제1종 아이콘으로서, 연주자에게 페달(11A)을 발로 밟으라는 정보를 전달하고, 그림에서와 같이 페달(11A)을 발로 눌렀다 떼었다하며 발을 움직이되(11B), 페달(11A) 하부에 위치한 스프링(11C)이 움직이듯 연주자도 페달(11A)을 밟았다 떼었다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즉 연주자는 페달(11A)을 밟더라도 끝까지 밟지 않은 채 페달(11A)을 빨리 밟았다 떼었다하는 동작을 되풀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다리를 떠는 하반신 부위의 조작에 따라 연주자는 손가락으로 타격한 건반에 의하여 발생하는 음에 페달을 이용하여 음의 고저를 변화시킴으로써 비브라토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The ninth embodiment of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ariety of markings for a fluttering operation or a pedal vibrato operation in which a player operates the right pedal to the lower half region. The fluttering is generally performed using a vibrato Means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and FIG. 6 (D) shows an example thereof. For example, the indicia 10A includes a first type symbol or a first type symbol including various detailed indicia such as a foot 11B motion on the pedal 11A and a spring 11C added to the bottom of the pedal 11A, As the bell icon, the player is informed that the pedal 11A should be stepped on, and the pedal 11A is pushed and released with the foot, the foot is moved (11B), the spring (11B) 11C) moves, the player informs him that he has stepped on the pedal 11A. That is, even if the player steps on the pedal 11A, the player repeats the operation of stepping on and off the pedal 11A without stepping on the pedal 11A. In this way,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lower half of the leg, the player can obtain the vibrato effect by changing the pitch of the sound by using the pedal to the sound generated by the keyboard hit by the finger.

일반적으로 상기 플러터링 조작은 연주자가 한 음을 일정 기간 이상 연주할 때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법이다. 자세히 말하면, 연주자는 상기 플러터링 조작을 이용하여 특정 음을 더 오랫동안 연주함은 물론 다른 현의 진동을 통하여 약한 화음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상기 도 6의 (라)의 표식(10A) 역시 앞서 설명한 귀 모양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11C)의 크기, 높이, 두께 등을 조작하여 연주자에게 다양한 강도의 플러터링 조작을 어느 정도의 기간 동안 계속할 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general, the fluttering operation is a technique used by a player to avoid a monotony when a note is played over a certain period of time. More specifically, the player may use the fluttering operation to not only play a specific note for a longer time but also generate a weak chord through the vibration of another string. The mark 10A in FIG. 6 (D) may also include the above-described ear shape. By manipulating the size, height, thickness, etc. of the spring 11C, You can provide information about whether to continue for a period of time.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측면의 열 번째 실시예는 연주자가 하반신 부위로 우측페달을 조작하는 트레드 조작(tread pedaling)에 대한 다양한 표식이다. 즉 상기 트레드 조작에 대한 표식은 연주자가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하여 음을 발생한 후 우측페달을 누르되, 페달을 반 쯤 누른 후 다시 누름으로써 특정 음을 연결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이를 통하여 연주자가 타격한 음 또는 화음을 이음새가 드러나지 않게 연결되는 음악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tenth embodiment of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 variety of indicia for tread pedaling in which the player manipulates the right pedal to the lower body region. In other words, the mark for the tread manipulation is transmitted to the player by hitting the keyboard with his / her fingers to generate a sound, then pressing the right pedal, pressing the pedal halfway down, and then pushing again. Thus, the musical effect can be obtained that the concerted sound or chord sound is not exposed to the seam.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측면의 열한 번째 실시예는 연주자가 하반신 부위로 우측페달을 조작하는 반페달 조작(half-pedaling)에 대한 다양한 표식이다. 즉 연주자가 우측페달을 조작하면 약음장치가 현을 짧게 접촉하며, 이를 통하여 연주자는 길이가 짧은 현으로부터 발생되는 고음을 제거하지만 길이가 긴 현으로부터 발생하는 저음은 지속시킴으로써, 현의 불필요한 진동에 의한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반페달 조작은 페달을 예민하게 조작해야하므로 연주자는 고도의 집중력으로 음의 진동을 들으며 상기 진동에 대응하여 발을 민감하게 조작해야 한다.The eleventh embodiment of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 variety of markings for half-pedaling in which the player operates the right pedal to the lower half of the body. That is, when the player operates the right pedal, the mute device makes a short contact with the string, thereby allowing the player to remove the treble caused by the string having a short length, but by continuing the bass generated from the string having a long length, Noise can be removed. Since the pedal must be sensitive to pedal operation, the player must listen to the vibration of the sound with high concentration of power and operate the pedal sensitively in response to the vibration.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측면의 열두 번째 실시예는 연주자가 하반신 부위로 좌측페달을 조작하는 감음 조작(una corda pedaling)에 대한 다양한 표식이다. 즉 상기 감음 조작에 대한 표식은 연주자로 하여금 좌측페달 조작을 통하여 음량을 작게 조작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일예로 피아노의 경우, 연주자가 손가락으로 건반을 타격하면, 해머는 상기 건반에 대응하는 두 개(또는 세 개)의 현을 타격하여 음을 발생한다. 하지만 연주자가 좌측페달을 눌러 감음 조작을 하며 건반을 타격하면, 해머가 이동하며 상기 건반에 대응하는 두 개(또는 세 개)의 현 중 한 개(또는 두 개)의 현만 타격하게 되어 음량을 감소시킨다.The twelfth embodiment of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 variety of markings for una corda pedaling in which the player manipulates the left pedal to the lower body region. That is, the marking for the sounding operation conveys information that the player is required to manipulate the volume by operating the left pedal.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piano, when a player hits a key with a finger, the hammer strikes two (or three) strings corresponding to the key to generate a sound. However, when the player hits the keyboard with the left pedal depressed by the left pedal, the hammer moves and only one of the two (or three) strings corresponding to the keyboard is struck to reduce the volume .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측면의 열세 번째 실시예는 연주자가 하반신 부위로 중간페달을 조작하는 소스테뉴토 조작(sostenuto pedaling)에 대한 다양한 표식이다. 즉 연주자는 손으로 건반을 타격하여 발생된 음을 중간페달을 조작하여 계속 울리게 함으로써, 그 후 다른 음역의 건반을 타격할 때에도 중간페달로 조작한 상기 음의 울림을 지속할 수 있다.The thirteenth embodiment of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ariety of indicia for sostenuto pedaling in which a player manipulates the middle pedal to the lower half region. That is, the player can continue to play the tone generated by striking the keyboard with his or her hand by continuously manipulating the middle pedal, and then continuing the tone played with the intermediate pedal even when hitting the keyboard of the other tone range.

상기 열 번째 실시예의 트레드 조작, 열한 번째 실시예의 반페달 조작, 열두 번째 실시예의 감음 조작, 또는 열세 번째 실시예의 소스테뉴토 조작에 대한 표식은 각 조작의 정성적 또는 정량적 특성에 따라 상술한 레가토 조작, 싱코페이션 조작, 반약음 조작, 플러터링 조작에 대한 표식과 유사하게 또는 이들 표식을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예로 반페달 조작에 대한 표식은 반약음 조작에 대한 표식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중간페달을 이용하는 싱코페이션 조작 또는 좌측페달을 이용하는 감음 조작에 대한 표식 역시 레가토 조작 또는 반약음 표식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트레드 조작, 반페달 조작, 감음 조작, 또는 소스테뉴토 조작에 대한 표식은 상술한 레가토 조작, 싱코페이션 조작, 반약음 조작, 플러터링 조작에 대한 표식과 상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주석부를 활용하여 각각의 표식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The tread manipulation of the tenth embodiment, the half-pedal manipulation of the eleventh embodiment, the sounding manipulation of the twelfth embodiment, or the marking of the source tone manipulation of the thirteenth embodiment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or quantitative characteristics of each manipulation, , Similar to or similar to the markings for the sync operation, the anti-aliasing operation, and the fluttering operation. For example, the indicator for the half-pedal operation may be configured to be the same or similar to the indicator for the semi-manual operation, and the indicator for the manual operation using the middle pedal or the left-handed pedal may be the same as the legato operation or semi-weak indication Or similar. Alternatively, the markings for the tread manipulation, the half pedal manipulation, the sounding manipulation, or the source manipulation manipulation may be configured to be different from the marking for the legato manipulation, the synch operation manipulation, the semi-manipulation manipulation, and the fluttering manipulation described above. If necessary, detailed information on each landmark can be transmitted using the annotation unit.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측면의 열네 번째 실시예는 상술한 우측페달, 중간페달 및 좌측페달 등의 조작에 대한 표식을 각 페달에 따라 상이하게 구성하는 것이다. 이의 첫 번째 상세예는 하반신표식의 종이 제1종, 제2종, 또는 제3종이건 상관없이 상이한 페달에 대하여 상이한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를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연주자는 상기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를 인지함에 따라 상기 표식이 어떠한 페달에 대한 표식인지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일예로 우측페달에 대한 표식은 발 모양으로, 중간페달에 대한 표식은 모두 상이한 모양으로, 또는 좌측페달에 대한 이와 상이한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로 구성할 수 있다. 두 번째 상세예는 상기 페달 각각에 대하여 다양한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등의 표식을 사용하되, 상기 표식의 배경이나 테두리를 상이하게 하여 연주자가 상기 표식이 어떤 페달에 대한 표식인지 용이하게 알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일예로 우측페달에 대한 표식은 원형으로 만들거나 배경 색을 청색으로 하는 반면, 중간페달에 대한 표식은 삼각형으로 또는 배경 색을 적색으로, 좌측페달에 대한 표식은 모두 사각형으로 또는 배경 색을 녹색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또 다른 상세예로서, 상기 페달 각각에 대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표식을 사용하되, 상기 표식에 문자나 숫자 등의 세부표식, 또는 모양이나 색상이 상이한 배경이나 테두리 등의 세부표식을 사용하여, 상기 페달 각각에 대한 표식들을 구분할 수도 있다.The fourteenth embodiment of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markings for the operation of the right pedal, the middle pedal, the left pedal, and the like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respective pedals. The first detail of this is to use different pictures, icons, or symbols for the different pedals, regardless of whether the paper is of the first, second, or third paper type of the bottom half marker. Accordingly, the player can easily recognize which pedal is used as a mark for the pedal by recognizing the figure, icon, or symbol. For example, the mark for the right pedal may be a foot shape, the mark for the middle pedal may be a different shape, or may be a different picture, icon, or symbol for the left pedal. In the second detailed example, a marker such as a variety of pictures, icons, or symbols is used for each of the pedals, and the background and the frame of the mark are different, so that the player can easily recognize the mark for a pedal . For example, the marker for the right pedal may be circular or the background color may be blue, while the marker for the middle pedal is triangular or the background color is red, the marker for the left pedal is all square, or the background color is green . As anothe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same or similar markings for each of the pedals, using a detailed mark such as a letter or number, or a detailed mark such as a background or a border having a different shape or color, May be distinguished.

상술한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측면의 다양한 건반악기 연주용 하반신표식은 상기 도 6에서 예시한 다양한 실시예 및 이와 관련하여 예시한 다양한 상세예 외에도, 아래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변형 또는 개량도 포함한다.The bottom body markings for various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s in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or improve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o the various embodiments illustrated in FIG. 6 and the various detailed examples described hereinabove.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측면의 첫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적절한 주석부의 작성 및 활용이며, 이는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다양한 상반신표식 및 건반 조작에 대한 첫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을 상기 하반신 부위와 관련된 하반신표식 또는 이를 이용한 페달 조작에 적용하는 변형 또는 개량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first modification or amendment of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he creation and use of appropriate annotations, which may be achieved by modifying the first variant of the above-described third aspect with various upper half markings and key operations, It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modification or improvement applied to pedal operation using it. Therefore, further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측면의 두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하반신표식의 변형 또는 개량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하반신표식은 건반악기 연주자에게 [1] 기존 악보에는 포함되지 않거나 기존 기보법으로는 자세히 설명할 수 없는 하반신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2] 상기 조작과 관련된 페달 조작에 대한 정보, [3] 상기 자세 또는 조작을 통한 페달 전체 또는 페달의 특정 부분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4] 상기 자세 또는 조작을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이를 위하여 제1종, 제2종, 제3종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반신 부위와 관련된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등과 같은 하반신표식 및 이에 포함되는 다양한 세부표식 역시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다양한 상반신표식에 대한 두 번째 변형 또는 개량과 유사하게 단순화, 만화화, 또는 구체화를 통하여 동일한 종 또는 상이한 종의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형태의 하반신표식으로 변형 또는 개량될 수 있으며, 상기 변형 또는 개량된 하반신표식 역시 주석부를 활용하여 일관성 있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econd variation or improvement of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lower half marking.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half marking indicates to the player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1] information on the anatomical posture of the lower half part which is not included in the existing score or can not be explained in detail by the existing notation, [2] [3]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of the entire pedal or a specific part of the pedal through the attitude or operation, or [4] information on the overall attitude of the player for the attitude or operation, One, two, or three kinds of pictures, icons, or symbols can be used. Accordingly, the lower half body markings such as pictures, icons, or symbols related to the lower half body region and the various detailed markers included therein may also be simplified, cartoonized, or embodied similar to the second modification or improvement to the various upper body markings of the above- Or lower body markings in the form of a figure, an icon, or a symbol of the same species or different species, and the modified or improved lower half body markings can also be used consistently using annotations. Therefore, further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측면의 세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다양한 하반신표식을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며, 상기 다섯 번째 측면의 네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다양한 하반신표식의 테두리나 배경의 모양 또는 색상을 조작함으로써, 특정 수효의 하반신표식으로 더 다양한 또는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며, 상기 다섯 번째 측면의 다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신축성 있는 재질로 상기 다양한 하반신표식을 제작하는 것이다. 상기 다섯 번째 측면의 세 번째 내지 다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에 의한 다양한 하반신표식들은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세 번째 내지 다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에 의한 상반신표식들과 의미하는 신체 부위 및 이를 이용하여 조작하는 건반악기의 부위(즉 건반 또는 페달)가 상이할 뿐, 기타 특성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third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the various lower body markings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and the four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fifth aspect is to change the shape or color of the border or background of the various lower body markers To deliver a greater variety or more of information to the lower number half of the number of tags by manipulating the lower half of the tag, and the fifth variation or improvement of the fifth aspect is to produce the various lower half tags with an elastic material. The various lower body markers according to the third to fif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fifth aspect are the upper body markers by the third to fif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third aspect and the meaning body parts and the keyboard Other parts of the instrument (ie, keyboard or pedal) are different, and the other features are the same or similar. Therefore, further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측면의 여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술한 다양한 하반신표식을 연주자의 주문화 (customization) 또는 개인화 (personalization) 등이 가능하도록 제작하는 것이고, 상기 다섯 번째 측면의 일곱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술한 하반신표식을 다수 포함하는 표식 세트의 구성 및 상기 표식 세트의 배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다섯 번째 측면의 여덟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연주자가 상기 다양한 하반신표식을 시각이 아닌 촉각을 이용하여 인지할 수 있는 촉각 하반신표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다섯 번째 측면의 여섯 번째 내지 여덟 번째 변형 또는 개량에 의한 다양한 하반신표식들은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여섯 번째 내지 여덟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의 상반신표식들과 의미하는 신체 부위 및 이를 이용하여 조작하는 건반악기의 부위가 상이할 뿐, 기타 특성 역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ix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the various lower half markings described above possible to allow for customization or personalization of the player, and the seven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fifth aspect And the eigh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fifth aspect is that the player can perceive the various lower body markings using a tactile angle rather than a visual angle To provide a tactile lower half marker. The various lower half markers according to the sixth to eigh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fifth aspect are the sixth to eighth modified or improved upper half markings of the third aspect and the meaning body parts and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nd other characteristics are the same or similar. Therefore, further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측면의 아홉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술한 다양한 하반신표식을 이용하여 연주자에게 페달의 특정 부분을 조작하라는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주자가 페달을 조작할 때에는 페달의 끝 부분을 조작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페달의 상부 또는 중간 부분을 조작함으로써 상이한 음색을 내거나, 페달을 조작하기에 유리하거나, 또는 다음 음을 연주하는 데 용이한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다양한 하반신표식은 연주자로 하여금 페달의 특정 부위를 조작하라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The nin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convey information to the player to manipulate a particular part of the pedal using the various lower half markings described above. Generally, when the player operates the pedal, the end of the pedal is manipulated. However, in some cases, the upper or middle portion of the pedal can be manipulated to produce different voices, to manipulate the pedal, or to play the next note It is easy to occur.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various lower body markings can transmit information to the player to manipulate a specific part of the pedal.

페달의 특정 부위를 조작하는 상기 하반신표식은 상술의 하반신표식을 변형 또는 개량하여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일예로 표 6의 (나-1), (다-1), 또는 (라) 등의 하반신표식에 타격할 페달의 특정 부분을 문자로 명시하거나 그림 또는 아이콘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페달의 특정 부분을 의미하는 제1종, 제2종, 또는 제3종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또는 세부표식을 별도로 구성하고, 이를 주석부를 통하여 자세히 설명함으로써 상기 표식을 구성할 수도 있다.The lower half body marking for manipulating a specific part of the pedal can be easily configured by modifying or modifying the lower half body marking described above. For example, a specific part of the pedal to be hit may be indicated by a letter or a picture or an icon in the lower body markings of (b-1), (d-1), or (d) in Table 6. On the contrary, the mark may be constituted by separately configuring a first type, second type, or third type picture, icon, or symbol or detailed mark, which means a specific part of the pedal, and detailing it through an annotation part.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측면의 열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다양한 하반신표식을 이용하여 상술한 하반신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 상기 자세를 위한 상기 하반신 부위의 조작, 상기 자세나 조작을 통한 페달의 특정 부분의 조작, 또는 상기 자세나 조작들을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전달함은 물론, 이와 관련된 또는 이에는 포함되지 않은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하반신표식은 연주자가 상기 하반신 부위로 건반악기의 페달을 조작하되 [1] 상기 조작의 동적 특성이나 정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2] 상기 페달의 특정 부분을 조작하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3] 상기 조작을 수행하는 연주자의 하반신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정적 또는 동적 정보는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열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의 상반신표식들과 의미하는 신체 부위 및 이를 이용하여 조작하는 건반악기의 부위가 상이할 뿐, 기타 특성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ten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anatomical posture of the lower body part described above, the manipulation of the lower body part for the posture, the manipulation of a specific part of the pedal through the posture or manipulation , Or information about the player's overall attitude for the posture or operations, as well as conveying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hereto or not included. To this end, the lower half marking indicates that the player operates the pedal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to the lower half of the body, [1] provides information on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r the 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operation, or [2] Or [3] provide information on the anatomical posture or the overall posture of the lower body part of the player performing the above operation. The static or dynamic information is the same or similar to the above-mentioned tenth modification of the third aspect or the improved upper half markings and the body parts that are meant to be used and the parts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to be manipulated using the same. Therefore, further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의 다섯 번째 측면의 열한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술한 다양한 하반신표식을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강사는 각각의 표식이 전달하는 정보에 따라 연주자 개개인이 부족하거나 잘못된 하반신 부위의 조작, 페달 조작이나 상기 부위의 자세를 상기 하반신표식을 이용하여 함축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며 교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규격화된 다양한 하반신표식을 사용함에 따라, 대부분의 강사는 어린이 또는 연주 초보자에게도 건반악기를 연주할 때 페달을 하반신 부위를 이용하여 조작하는 데 필요한 음악적 기교나 이를 통하여 구현할 수 있는 음악적 표현을 일관성 있게 교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린이나 연주 초보자들도 강사 개개인의 교육 능력의 차이에도 불구하도 연주에 필요한 하반신 부위의 조작, 상기 조작을 통한 자세 등에 대하여 규격화된 교육을 받을 수 있다. 강사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규격화된 하반신표식을 이용하여 연주자에게 상기 조작, 자세 등에 대한 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The eleven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use the various lower body markings described above for various purposes. Therefore, the lecturer can transmit and correct information by manipulating pedal operation or the posture of the part implicitly by using the lower half marker, depending o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respective markers. In addition, by using various standardized bottom half markings as described above, most instructors have a musical skill required to operate the pedal by using the lower half body part when playing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to a child or a beginner, I can teach expression consistently. As a result, children and beginners can receive a standardized education on the manipulation of the lower body parts necessary for playing, and the attitude through the manipulation, in spite of the difference in the educational ability of each individual instructor. The instructor can also perform training on the manipulation, posture, and the like to the player using the standardized lower half marker as described above.

본 명세서의 악기 연주용 표식에 대한 여섯 번째 측면은 건반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에게 [1] 기존의 악보에는 포함되어있지 않는, 또는 기존의 음악 기호로는 자세히 설명할 수 없는 호흡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2] 이를 위한 상기 호흡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정보, [3] 상기 자세 또는 조작을 통한 건반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4] 상기 자세 또는 조작들을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다양한 호흡표식을 이용하여 전달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호흡표식은 연주자가 호흡 부위를 이용하여 실행하는 들숨, 날숨은 물론, 들이쉰 공기를 저장하는 방법에 따라 복식호흡이나 폐호흡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The sixth aspect of the musical instrument markings in this specification is that the player playing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1] has an anatomical posture of the breathing region which is not included in the existing musical score, Information about manipulation of the respiratory region for this purpose, information on manipulation of a specific part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through the above posture or manipulation, or [4] Posture, etc., using various respiratory markings. Therefore, the respiration markers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abdominal breathing or the breathing respiration according to the method of storing the breathing air as well as the inhalation and exhalation performed by the player using the breathing region.

일반적으로 호흡표식은 연주자가 입술, 이, 잇몸, 혀, 또는 폐 등의 호흡 부위를 이용하여 관악기에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소리를 발생하는 데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표식이지만, 상기 호흡표식은 관악기 외의 악기를 연주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친다. 일예로 건반악기나 현악기의 경우, 연주자는 악기를 연주하며 악절과 악절 사이에 호흡을 조절함으로써 각각의 악절을 구분할 수 있으며, 호흡 조절은 특정 음악적 기교를 실행하거나 특정 음악적 표현을 구현하는 데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여섯 번째 측면에서는 [1] 건반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의 폐호흡 시점 및 호흡 속도 등에 대한 호흡법, 또는 [2] 들숨과 날숨 자세 및 시점 등에 대한 정보 등을 호흡표식을 통하여 연주자에게 전달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건반악기 연주에 사용되는 호흡표식은 [1] 건반악기 연주 중 폐호흡과 관련된 다양한 호흡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와 관련된 표식, [2] 상기 부위의 조작과 관련된 표식, [3] 상기 자세 또는 조작을 통한 건반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4] 상기 자세나 조작들을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와 관련된 정보를 전달하는 다양한 표식들을 포함한다.Generally, the breathing mark is a mark directly related to the sound by generating air by supplying air to the wind musical instrument using the respiration area of the lips, teeth, gums, tongue, or lungs, but the breathing marking is a musical instrument other than a wind instrument It also affects playing.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keyboard instrument or a string instrument, a player can play a musical instrument and distinguish each passage by controlling the breath between the passage and the passage, and the breath control can be used to perform specific musical techniques or to implement specific musical expressions It can have an impact. Therefore, in the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 a breathing method for a breathing point and a breathing speed of a player playing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or [2] information about the breathing and exhaling attitude and viewpoint is transmitted to the player through a breathing sign . In this respect, the respiratory markings used in the playing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include [1] markings related to the anatomical postures of various respiratory sites related to lung breathing during the playing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2] Information about manipulation of a specific part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through the attitude or manipulation, or [4] various markings for convey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overall attitude of the player for the attitude or manipulations.

본 명세서의 여섯 번째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는 연주자가 악기 연주 중 입 또는 코를 이용하여 숨을 빨리 들이쉬는 빠른 들숨에 대한 다양한 표식으로서, 도 7의 (가)가 이의 예시이다. 일예로 도 7의 (가)의 표식(10A)은 연주자의 얼굴 및 들이쉬는 숨을 나타내는 제1종 기호의 예시이며, 세부표식인 화살표(11)는 호흡 부위를 조작하여 숨을 들이쉬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또한 상기 화살표(11)의 굵기 또는 길이 등을 조절하여 연주자에게 얼마나 빨리, 얼마나 깊은 들숨을 쉬어야하는 지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The first embodiment of the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ample of a variety of markings for a fast breath that a player can quickly breathe through a mouth or nose while playing a musical instrument, as shown in Fig. 7 (a). For example, the mark 10A in FIG. 7A is an example of a first type symbol indicating breathing of the player's face and a breathing sound, and the arrow mark 11 as a detailed marking indicates information to manipulate the breathing region to breathe . Also, the thickness or the length of the arrow 11 can be adjusted to convey information on how fast and how deep the user should be inhaled.

문자나 숫자로 이루어진 문장과 같이, 많은 곡들은 일반적으로 각각의 단위로 묶여진 다수의 악절로 구성된다. 특히 각각의 악절은 2/4, 4/4 박자 등의 경우에는 두 마디, 네 마디, 또는 여덟 마디별로 묶여지며, 3/4 또는 6/8 박자 등의 경우에는 세 마디, 여섯 마디별로 묶여지는 경우가 많다. 이 때 각각의 악절 사이, 특정 악절이 시작되기 전, 또는 특정 악절이 끝나는 부분에 상기 호흡표식을 인쇄 또는 부착함으로써, 연주자가 빠른 들숨을 들이쉬며 이전의 악절과 다음 악절을 구분하거나, 다음 악절의 연주를 준비하도록 할 수 있다.Like a letter or number sentence, many songs usually consist of a number of passages that are grouped into individual units. In particular, each passage is divided into two, four, or eight bars in the case of 2/4, 4/4, etc., and three or six bars in the case of 3/4 or 6/8 beats There are many cases. At this time, by printing or attaching the respiratory markings between each of the sections, before the beginning of the particular section, or at the end of the particular section, the player can take a quick breath and distinguish the previous section from the next section, You can prepare to play.

상기 도면에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호흡표식은 보통 속도의 들숨 또는 느린 들숨을 쉬라는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를 전달하는 호흡표식은 상기 (가)의 표식(10A)을 변형하여, 또는 이와는 상이한 그림, 아이콘, 기호, 또는 세부표식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할 경우, 상기 들숨을 시작하는 시점을 나타내는 상기 표식(10A)은 물론 상기 들숨을 멈추는 시점을 표시하는 호흡표식을 구성할 수도 있다.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respiratory sign may also convey information that it will normally inhale or slow inhalation. The breathing indicia for conveying such information can be constructed by modifying the marking 10A or by using different pictures, icons, symbols, or detailed markings. Also, if necessary, a breathing sign indicating the time point of stopping the inspiration as well as the marking 10A indicating the time of starting the inspiration may be configured.

본 명세서의 여섯 번째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는 연주자가 악기 연주 중 입, 코, 또는 폐를 이용하여 숨을 천천히 들이쉬는 날숨에 대한 다양한 표식으로서, 도 7의 (나)가 이의 예시이다. 일예로 도 7의 (나)의 표식(10A)은 연주자의 얼굴 및 내쉬는 날숨을 나타내는 제1종 기호의 예시이며, 세부표식인 화살표(11)는 호흡 부위를 이용하여 숨을 내쉬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또한 상기 화살표(11)의 굵기 또는 길이 등을 조절하여 연주자에게 얼마나 빨리, 얼마나 많은 양의 날숨을 악절의 위치나 길이에 따라 내쉬어야하는 지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ample of such a variety of markers for the exhalation of the player slowly breathing through the mouth, nose, or lung during performance of a musical instrument. For example, the marker 10A in FIG. 7 (B) is an example of the first type symbol representing the player's face and the exhalation of Nash, and the arrow 11, which is a detailed marker, do. In addition, by controlling the thickness or the length of the arrow 11, it is possible to transmit information on how fast and how much the exhalation should be given to the player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length of the passage.

상기 도면에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호흡표식은 보통 속도의 날숨 또는 빨리 내쉬는 날숨을 쉬라는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를 전달하는 호흡표식은 상기 (나)의 표식(10A)을 변형하여, 또는 이와는 상이한 그림, 아이콘, 기호, 또는 세부표식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할 경우, 상기 날숨을 시작하는 시점을 나타내는 상기 표식(10A)은 물론 상기 날숨을 멈추는 시점을 표시하는 호흡표식을 구성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breathing sign may also convey information that the breathing air should normally be exhaled or exhaled quickly. The breathing indicia for conveying such information may be constructed by modifying the marking (10A) of (B) or by using different pictures, icons, symbols, or detailed markings. Also, if necessary, a breathing sign indicating the time point of stopping the breathing as well as the marking 10A indicating the time of starting the breathing may be formed.

상술한 본 명세서의 여섯 번째의 다양한 건반악기 연주용 호흡표식은 상기 도 7에서 예시한 다양한 실시예 및 이와 관련하여 예시한 다양한 상세예 외에도, 아래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변형 또는 개량도 포함한다.The sixth various respiration markings for keyboard musical instruments described above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or improve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o the various embodiments illustrated in FIG. 7 and the various detailed examples illustrated in FIG.

본 명세서의 여섯 번째 측면의 첫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적절한 주석부의 작성 및 활용이며, 이는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다양한 상반신표식 및 건반 조작에 대한 첫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을 상기 호흡 부위와 관련된 호흡표식 및 호흡법에 적용하는 변형 또는 개량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first modification or enhancement of the sixth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he creation and use of appropriate annotations, which are the first modification or improvement to the various upper body markings and key operations of the third aspect described above, It is the same or similar to the modification or improvement applied to the breathing method. Therefore, further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의 여섯 번째 측면의 두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호흡표식의 변형 또는 개량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호흡표식은 건반악기 연주자에게 [1] 기존 악보에는 포함되지 않거나 기존 기보법으로는 자세히 설명할 수 없는 호흡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2] 이를 위한 상기 호흡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정보, [3] 상기 자세 또는 조작을 통한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4] 상기 자세니 조작들과 관련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하며, 이를 위하여 제1종, 제2종, 제3종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호흡 부위와 관련된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등과 같은 호흡표식 역시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다양한 상반신표식에 대한 두 번째 변형 또는 개량과 유사하게 단순화, 만화화, 또는 구체화를 통하여 동일한 종 또는 상이한 종의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형태의 하반신표식으로 변형 또는 개량될 수 있으며, 상기 변형 또는 개량된 호흡표식 역시 주석부를 활용하여 일관성 있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econd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sixth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respiratory mark. As described above, the respiratory marking is used to inform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layer [1] about the anatomical attitude of the respiratory region that is not included in the existing score sheet or can not be described in detail by the conventional notation method, [2] [3] information on the manipulation of a specific part of the musical instrument through the attitude or manipulation, or [4] information on the overall attitude of the musical instrument related to the manipulation of the attitude manipulation, One, two, or three kinds of pictures, icons, or symbols can be used. Thus, respiratory markings such as pictures, icons, or symbols relating to the respiratory region may also be displayed on the same or different species through simplification, com- munication, or embody- ment similar to the second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various upper- Or a lower half of the symbol in the form of a figure, an icon, or a symbol. The modified or improved breathing mark can also be used consistently by using an annotation. Therefore, further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의 여섯 번째 측면의 세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다양한 호흡표식을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며, 상기 여섯 번째 측면의 네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다양한 호흡표식의 테두리나 배경의 모양 또는 색상을 조작함으로써, 특정 수효의 호흡표식으로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며, 상기 여섯 번째 측면의 다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신축성 있는 재질로 상기 다양한 호흡표식을 제작하는 것이다. 상기 여섯 번째 측면의 세 번째 내지 다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에 의한 다양한 호흡표식들은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세 번째 내지 다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에 의한 상반신표식들과 의미하는 신체 부위가 상이할 뿐, 기타 특성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third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sixth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make the various respiratory markers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and the four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sixth aspect may be performed on the border or the shape of the respiratory markers, To deliver more information to a certain number of respiratory markers, and the fif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sixth aspect is to produce the various respiratory markers with a stretchable material. The various respiratory markers according to the third to fif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sixth aspect are different from the body parts of the upper body by the third to fif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third aspect, Are the same or similar. Therefore, further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의 여섯 번째 측면의 여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술한 다양한 호흡표식을 연주자의 주문화 (customization) 또는 개인화 (personalization) 등이 가능하도록 제작하는 것이며, 상기 여섯 번째 측면의 일곱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술한 호흡표식을 다수 포함하는 표식 세트의 구성 및 상기 표식 세트의 배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여섯 번째 측면의 여덟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연주자가 상기 다양한 호흡표식을 시각이 아닌 촉각을 이용하여 인지할 수 있도록 호흡 부위에 대한 촉각표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여섯 번째 측면의 여섯 번째 내지 여덟 번째 변형 또는 개량에 의한 다양한 호흡표식들은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여섯 번째 내지 여덟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의 상반신표식들과 의미하는 신체 부위가 상이할 뿐, 기타 특성 역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ix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the various respiratory markings described above allow for customization or personalization of the performer and the seven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sixth aspect Wherein the eighth variation or modification of the sixth aspect relates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et of markings including a plurality of the respiratory markings described above and the arrangement of the markers set, and the eigh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sixth aspect allows the player to perceive the various respiratory markers To provide a tactile sign for the respiratory area. The various respiratory markers according to the sixth to eigh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sixth aspect are different from the sixth to eighth modified or improved upper half markings of the third aspect and the meaning of the body parts, The same or similar. Therefore, further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의 여섯 번째 측면의 열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다양한 호흡표식을 이용하여 상술한 호흡 부위를 이용한 건반 또는 페달의 조작, 상기 조작을 위한 하반신 부위의 자세, 또는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호흡표식을 이용하여 상술한 정보는 물론 이와 관련된, 또는 이에는 포함되지 않은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호흡표식은 연주자가 상기 호흡 부위로 건반악기의 건반이나 페달을 조작하되 [1] 상기 조작의 동적 특성이나 정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2] 상기 페달의 특정 부분을 조작하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3] 상기 조작을 수행하는 연주자의 호흡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정적 또는 동적 정보는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열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의 상반신표식들과 의미하는 신체 부위가 상이할 뿐, 기타 특성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ten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use of the various respiratory markers to perform breathing that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of the keyboard or pedal using the breathing region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markings, it is possible to convey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not only to the above mentioned information but also to the related information. To this end, the respiratory marking requires the player to operate the keyboard or pedal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s the respiration site, [1]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dynamic or 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manipulation, or [2] manipulate a specific part of the pedal Or [3] provide information on the anatomical posture of the respiratory region of the player performing the above manipulation or information on the overall posture. The static or dynamic information is the same or similar to that of the above-mentioned third aspect only in that the body part is different from the tenth modification or the improved upper half markings of the third aspect. Therefore, further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의 여섯 번째 측면의 열한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술한 다양한 호흡표식을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강사는 각각의 표식이 전달하는 정보에 따라 학습자 개개인이 부족하거나 잘못된 호흡 부위의 조작, 페달 조작이나 상기 부위의 자세를 상기 호흡표식을 이용하여 함축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며 교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규격화된 다양한 호흡표식을 사용함에 따라, 대부분의 강사는 어린이 또는 초보 학습자에게도 건반악기를 연주할 때 페달을 호흡 부위를 이용하여 조작하는 데 필요한 음악적 기교나 이를 통하여 구현할 수 있는 음악적 표현을 일관성 있게 교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린이나 초보 학습자들도 강사 개개인의 교육 능력의 차이에도 불구하도 연주에 필요한 호흡 부위의 조작, 상기 조작을 통한 자세 등에 대하여 규격화된 교육을 받을 수 있다. 강사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규격화된 호흡표식을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상기 조작, 자세 등에 대한 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The eleventh variation or improvement of the sixth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use the various respiratory markings described above for various purposes. Therefore, the lecturer can transmit and correct the impairment of the individual learner, the operation of the wrong breathing area, the manipulation of the pedal, or the posture of the part implicitly by using the respiration markers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delivered by the respective markers. In addition, by using various standardized respiration markers as described above, most instructors have a musical skill required for a child or a novice learner to operate a pedal using a respiratory part when playing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I can teach expression consistently. Therefore, even young children and beginners can receive a standardized education about the manipulation of the respiratory part necessary for playing, the attitude through the manipulation, and the like, despite the difference in the educational ability of each individual instructor. The lecturer can also provide the learner with training on the manipulation, posture, etc. using the standardized respiration markers as described above.

본 명세서의 악기 연주용 표식에 대한 일곱 번째 측면은 건반악기, 현악기, 관악기, 또는 타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가 [1] 기존의 악보에는 포함되어있지 않거나, 또는 기존의 음악 기호로는 자세히 설명할 수 없지만 상기 악기로 특정 음악적 표현을 구현하기 위한 상반신 부위, 하반신 부위, 몸통 부위, 호흡 부위 등 다양한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2] 상기 자세로 상기 표현을 구현하기 위한 상기 신체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정보, [3] 상기 자세 또는 조작을 통한 상기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4] 상기 자세나 조작들을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표식이다. 상기 음악적 표현을 위한 다양한 표식은 연주자가 건반악기의 건반을 누르거나, 현악기의 현을 진동시키거나, 관악기에 숨을 내쉬며 음을 발생하는 상태는 물론 음을 발생하지 않는 상태의 신체 부위의 조작은 물론 이를 위한 상기 부위의 자세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하술의 도 8은 특정 음악적 표현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표식의 예시이다.The seventh aspect of the musical instrument marker in this specification is that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string instrument, wind instrument, or player who plays the percussion instrument is not included in the existing musical score [1] or can not be described in detail by the existing musical symbol Information on anatomical attitudes of various body parts such as an upper body part, a lower body part, a body part, and a breathing part for implementing a specific musical expression with the musical instrument, [2] manipulation of the body part [3] information on manipulation of a specific part of the musical instrument through the attitude or manipulation, or [4] various markings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overall attitude of the player for the attitude or manipulations. The various markings for the musical expression include not only the state where the player presses the key of the keyboard instrument, the stringed string is vibrated, the wind musical instrument breathes out, the sound is generated, Of course, it is possible to transmit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posture of the part for this purpose. Figure 8 is an illustration of various indicia for implementing a particular musical expression.

본 명세서의 일곱 번째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는 연주자가 악기를 연주하며 특정 음표(note)나 쉼표(rest)를 약 1.5배 내지 2배 정도 길게 연주하는 연장 또는 늘임표에 대한 다양한 표식으로서, 도 8의 (가)는 이의 예시이다. 일예로 도 8의 (가)의 표식(10A)은 모래시계를 나타내는 제3종 아이콘의 예시이며, 모래시계 상부(11A)나 하부(11B)의 모래 등과 같은 세부표식은 연주자에게 상기 음표를 연주하거나 쉼표에 따라 쉴 때 악보에 표기되어 있는 길이보다 더 길게 유지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표식(10A)은 붙임줄, 쉼표, 페르메타(fermata)와 유사한 의미를 가진다고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연주자는 상기 표식(10A)이 있는 음표나 쉼표를 길게 연주하여 연주 시 음이 끊어지지 않도록 연주할 수 있다.The first embodiment of the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ariety of markings for an extension or a slap that a player plays a musical instrument and plays a specific note or rest about 1.5 to 2 times longer, (A) is an example of this. For example, the mark 10A in FIG. 8A is an example of a third-type icon indicating an hourglass, and the detailed markings such as the sand on the hourglass upper 11A or the bottom 11B indicate the player Or keep it longer than the length indicated on the sheet of paper when resting according to the comma. Therefore, the mark 10A can be regarded as having a meaning similar to a dash, a comma, and a fermata. Therefore, the player can play a long note or comma with the mark 10A to prevent the note from being cut off when playing.

상기 모래시계 표식(10A) 또는 여기에 포함된 세부표식을 다양한 방업으로 변환하면 음표나 쉼표의 연장 또는 늘임에 대한 다양한 또는 자세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표식(10A)의 크기나 색상을 달리하여 상기 연장이나 늘임의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또는 상기 표식(10A) 상부의 모래(11A)나 하부의 모래(11B)의 양, 색상 등을 조절하여 연주자에게 얼마나 오랫동안 상기 음표나 쉼표를 연장하여야하는 지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Converting the hourglass marker 10A or the detailed indicia contained therein to various manners can convey various or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extension or stretching of notes or commas. For example, the size or color of the mark 10A may be varied to indicate the degree of extension or stretching. Or information on how long the note or comma should be extended to the player by adjusting the amount or color of the sand 11A on the mark 10A or the sand 11B on the mark 10A.

본 명세서의 일곱 번째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는 연주자가 악기를 연주하며 특정 음을 연주한 후 서서히 이를 제거하는 연장 또는 끈끈함에 대한 다양한 표식으로서, 도 8의 (나)가 이의 예시이다. 일예로 도 8의 (나)의 표식(10A)은 신발을 나타내는 제3종 아이콘의 예시이며, 신발(11A) 하부에 위치한 세부표식인 껌(11B)이 붙어 신발(11A)이 쉽게 떼어지지 않듯, 연주자에게 음을 연주한 후 손가락을 건반악기의 건반에서 바로 떼지 않거나, 활로 현악기의 현을 연주한 후 손가락을 현에서 바로 떼지 않거나, 활을 현악기의 현에서 바로 멈추지 말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표식(10A)은 인접한 각 음의 음정이 모두 반음으로 되어있는 반음계에서 자주 사용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보면, 상기 표식(10A)은 음을 충분한 길이로 지속하여 연주하라는 테누토(tenuto) 등과 유사한 의미를 가진다고 간주할 수 있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ample of such a variety of markings for extension or stickiness that a player plays a musical instrument and plays a particular note and gradually removes it. For example, the mark 10A in FIG. 8B is an example of a third type icon representing a shoe, and the gum 11B, which is a detailed mark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hoe 11A, is attached so that the shoe 11A is not easily peeled off , The player notices that his finger is not removed from the key of the keyboard instrument after playing the note, or that he does not immediately release his finger from the string after playing the string string on the bow, or that the bow should not stop immediately on the string string. Therefore, the marking 10A is often used in a chromatic system in which the pitches of adjacent adjacent notes are all in semitones. In this sense, the marking 10A can be regarded as having a similar meaning to tenuto or the like in which a note must be played continuously in a sufficient length.

상기 신발 표식(10A) 또는 이에 포함된 세부표식을 다양한 방법으로 변환하면 음표의 연장 또는 끈끈함에 대한 다양한 또는 자세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신발(11A)의 크기나 각도 등을 조절하여 상기 연장이나 끈끈함의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또는 상기 껌(11B)의 두께, 길이나 색상, 또는 상기 신발(11A)과 껌(11B) 사이의 거리 등을 조절하여 연주자가 얼마나 끈끈하게 상기 음표를 지속하여야하는 지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By converting the shoe mark 10A or the detailed markers included therein in various ways, it is possible to convey various or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extension or stickiness of the note. For example, the size or angle of the shoe 11A may be adjusted to indicate the degree of extension or stickiness. Or the thickness of the gum 11B or the length or color of the gum 11B or the distance between the shoe 11A and the gum 11B may be adjusted so that the player can transmit information about how much the note should be persisted.

상기 도 8의 (나)의 연장 표식(10A)은 음을 연장하여 연주하라는 정보를 전달하며, 따라서 상술한 도 8의 (가)의 연장 표식(10A)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 하지만 도 8의 (나)의 연장 표식(10A)은 주로 음표에 적용되는 반면, 도 8의 (가)의 연장 표식(10A)은 음표는 물론 쉼표에도 모두 적용된다는 차이점이 있다.The extension mark 10A of FIG. 8B transmits information that the sound is to be extended, so that there is a similar aspect to the extension mark 10A of FIG. 8A described above. However, the extended marker 10A in FIG. 8 (B) is mainly applied to notes, while the extended marker 10A in FIG. 8 (A) is applied to not only the notes but also the comma.

본 명세서의 일곱 번째 측면의 세 번째 실시예는 연주자가 악기를 연주하며 속도를 조절하는 고난도 기술인 점진적 속도 변화에 대한 다양한 표식으로서, 도 8의 (다)가 이의 예시이다. 일예로 도 8의 (다)의 표식(10A)은 세부표식인 유턴(11)을 포함하는 제3종 기호의 예시이며, 운전자가 유턴을 할 때에는 점진적 감속이 필수 조건이듯, 연주자도 음을 연주하며 연주 속도를 점진적으로 줄여야한다는 정보를 전달한다. 따라서 연주자는 음표들이 오르락내리락하는 악절에서 상기 유턴 표식(10A)을 발견하면, 건반악기 연주자는 운전자와 마찬가지로 건반을 타격하는 속도를 줄이고, 현악기 연주자는 활을 조작하며 현을 진동시키는 속도를 줄일 수 있다.The third embodiment of the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 variety of indicia for the gradual velocity change, which is a harsh technique for the player to play and control the speed of the musical instrument, and FIG. 8 (c) is an example thereof. For example, the mark (10A) in FIG. 8 (C) is an example of a third kind symbol including a U-turn 11 as a detailed mark. When a driver makes a U-turn, a gradual deceleration is a necessary condition. And transmit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speed of the performance should be gradually reduced. Therefore, if the player finds the U-turn mark 10A in a section where the notes go up and down,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layer can reduce the speed at which the keyboard player hits the keyboard, and the string player can operate the bow, have.

일반적으로 특정 악절의 음표들이 올라가는 선율에서는 연주자는 음을 점점 약하게 연주하며, 이를 데크레센도, decresc,, 또는 기호 “”로 표시한다. 이에 반하여 음표들이 내려오는 선율에서는 연주자는 음을 점점 강하게 연주하며, 이를 크레센도, cresc., 또는 기호 “”로 표시한다. 따라서 상기 유턴 표식(10A)은 특히 악절(period)의 상부에 인쇄하거나 부착하여, 연주자가 올라가는 선율이 끝나는 부분에서 속도를 줄이도록 한다. 따라서 연주자는 상기 유턴 표식(10A)을 이용하여 연주 속도를 점진적으로 줄여야하는 위치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특정 선율을 연주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Normally, at a melody where the notes of a particular passage are raised, the player plays the notes weakly and gradually, and displays them as decrescendo, decresc, or the symbol "". On the other hand, in melodious melodies, the player plays the notes more strongly and displays them as crescendo, cresc., Or the symbol "". Thus, the U-turn marking 10A is printed or af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period, so that the player can reduce the speed at the end of the melancholy. Accordingly, the player can use the U-turn marking 10A to determine the position where the performance speed should be gradually reduced, and thereby adjust the speed at which the specific melody is played.

또한 상기 유턴 표식(10A) 또는 이에 포함되는 세부표식 역시 다양한 방법으로 변환하여 연주 속도에 대한 다양한 또는 자세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표식(10A)의 U자(11)의 크기나 색상을 이용하여 속도 변화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또는 상기 U자(11)의 각도를 조절하여 속도 변화의 정도를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U자(11) 사이의 각도를 180o 이하로 하여 속도 변화의 폭이 좁음을 알리거나, 상기 각도를 180o 이상으로 하여 U자의 끝 부분들이 겹치도록 210o 정도로 하여 속도 변화의 폭이 넓음을 알릴 수도 있다.Also, the U-turn mark 10A or the detailed markers included therein may be converted in various ways to convey various or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performance speed. For example, the degree of speed change can be expressed using the size or color of the U-shaped portion 11 of the mark 10A. Alternatively, the angle of the U-shaped member 11 may be adjusted to indicate the degree of the speed change. The angle between the U-shaped members 11 may be 180 ° or less to notify that the width of the speed change is narrow, o or more so that the end portions of the U are superimposed on each other by about 210 ° .

일반적으로 초보 학습자가 연주 속도를 변화시키며 음악적 표현을 하기는 용이한 일이 아니며, 이를 가르치는 강사 역시 연주 속도 변화와 관련된 뉘앙스나 인토네이션 등을 말로만 설명하거나 악보에 글로 적어 가르치기도 어렵다. 따라서 상기 유턴 표식(10A) 및 이를 변형한 표식들을 사용할 경우, 강사는 자신이 의미하는 음악적 표현에 대한 정보를 학습자에게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필요할 경우 상기 주석부를 이용하여 이를 더욱 상세히 전달할 수도 있다.In general, it is not easy for a novice learner to change the speed of performance and to make a musical expression. It is also difficult for a lecturer who teaches it to explain the nuance or intonation related to the change in the speed of play, Therefore, when the U-turn mark 10A and the modified markings are used, the instructor can easily transmit the information about the musical expression to the learner, and if necessary, can transmit the musical expression to the learner by using the annotation unit.

또한 도면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점진적 감속에 대한 표식 외에도 점진적 가속에 대한 표식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예로 상기 도 8의 (다)의 유턴 표식(10A) 대신 운전자가 언덕을 오르는 그림이나 아이콘을 포함하는 표식을 이용하여 점진적 감속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한편, 운전자가 언덕을 내려오는 그림이나 아이콘을 포함하는 표식을 이용하여 연주자에게 점진적 가속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유턴 표식과 유사한 교통 표지판 표식에 바람직한 연주 속도에 해당하는 숫자로 기입하여 연주자에게 감속 또는 가속에 대한 더욱 상세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또는 유턴과 같은 표식 대신 감속 또는 가속을 의미하며 다양한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를 포함하는 상이한 교통 표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표식(10A)은 교통 표식 이외의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를 이용하여 점진적 감속 또는 가속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주석부를 이용하여 각각의 표식이 전달하려는 정보를 상세히 설명할 수도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marker for gradual acceleration in addition to the marker for gradual deceleration, which is not included in the figure. For example, instead of the U-turn mark 10A shown in FIG. 8C, the driver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gradual deceleration using a marker including a figure or icon climbing a hill, To inform the player of the progressive acceleration. Or a numerical value corresponding to a desired performance speed in a traffic sign mark similar to the U-turn mark, so as to transmit mor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deceleration or acceleration to the player. Or a U-turn, instead of a landmark, and may use different traffic signs including various pictures, icons, or symbols. Alternatively, the landmark 10A may be configured to convey information about a gradual deceleration or acceleration using a figure, icon, or symbol other than a traffic sign. Also, th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by each landmark may be described in detail by using the annotation unit described above.

본 명세서의 일곱 번째 측면의 네 번째 실시예는 연주자가 건반을 타격하는 방법 중 손목 이완에 대한 다양한 표식으로서, 도 8의 (라-1) 및 (라-2)가 이의 예시이다. 일예로 도 8의 (라-1)의 표식(10A)은 연주자의 손(11A) 및 손목 아래에 위치한 스프링(11B) 등의 다양한 세부표식들을 포함하는 제1종 아이콘 또는 제3종 아이콘의 예시이며, 연주자가 건반을 타격할 때 손목에 힘을 주어 경직시키는 대신 손목을 유연하게 상하로 이동시키며 탄력을 주어 연주하라는 정보 또는 지속적으로 건반을 가벼우면서도 튀어 오르는 동작으로 가볍게 연주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이에 따라 연주자는 상기 표식이 인쇄되거나 부착된 부분의 건반을 타격할 때 손목을 스프링(11B) 튀듯 탄력적으로 유연하게 조작하게 된다.The fourth embodiment of the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ample of various marks for wrist relaxation among the methods by which the player strikes the keyboard, with (LA-1) and (LA-2) of FIG. For example, the marker 10A in FIG. 8 (LA-1) is an example of a first type icon or a third type icon including various detailed markings such as a player's hand 11A and a spring 11B located under the wrist , And when the player strikes the keyboard, it flexibly moves the wrist up and down instead of stiffening it with the force of the wrist, or transmits information informing that the player should play with the bass gesture. As a result, the player can flexibly and flexibly operate the wrists as the spring 11B bounces when the mark is printed or hits the key of the attached portion.

다른 관절들과 달리 손목은 360o 회전이 가능한 관절을 포함하기 때문에 연주자는 자신의 손목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특히 연주자가 손목에 힘을 주어 손목의 자세를 고정시킨 채 연주를 계속하게 되면, 손목과 팔은 물론 전반적인 자세가 굳어지게 되어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된다. 또한 경직된 자세로 연주하는 연주자는 유연한 자세로 연주하는 연주자에 비하여 풍부한 음색의 음을 연주할 수도 없다. 따라서 연주자가 피로를 느낄만한 부분 또는 가볍고 튀는 음악적 표현이 필요한 부분에 상기 표식(10A)을 인쇄하거나 부착함으로써, 연주자는 손목을 끊임없이 상하좌우로 탄력적으로 움직이거나, 또는 상기 도 4의 (마-2)의 점프하는 개구리 표식(10B)과 같이 가볍고 튀듯 손목을 조작하게 되어 더욱 탄력적으로 음악적 표현을 구사할 수 있다.Unlike other joints, the wrist includes 360 o rotatable joints, so the player can easily manipulate his or her wrist. Particularly, when the player continues to play with the wrist fixed with the force of the wrist, the overall posture as well as the wrist and the arm becomes hardened, so that the user easily feels fatigued. In addition, a player playing in a rigid posture can not play a richer tone than a player in a flexible posture. Therefore, by printing or attaching the marking 10A to a part where the player feels fatigue or a part where light and bouncing musical expression is required, the player can flexibly move the wrists flexibly vertically, horizontally, or vertically, (10B), it is possible to manipulate the wrist in a light and flicker manner, thus allowing more flexible musical expression.

또한 도 8의 (라-2)의 표식(10B)은 상기 도 (라-1)의 표식(10A)과 건반을 포함하는 제1종 아이콘 및 제3종 아이콘의 예시로서, 위의 문단에서 설명한 손목 이완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전달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표식(10B)에 다양한 주석부(12)를 포함하여 이러한 내용을 자세히 설명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표식(10B) 외에도 손목의 근육 및 힘줄의 해부학적 구조에 근거한 제1종 그림을 부가하여 상기 손목 이완에 대한 자세한 상반신 부위의 조작 및 이를 위한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rker 10B in FIG. 8 (D-2) is an example of the icon of the first kind and the icon of the third kind including the marker 10A and the keyboard in the above (D-1)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on wrist relaxation. For this purpose, the marking 10B may include various annotations 12 to explain this in detail. In addition, if necessary, a first type picture based on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muscles and tendons of the wrist, in addition to the marking (10B), may be added to transmit detailed information on the manipulation of the upper body part and the anatomical attitude for the wrist relaxation .

또한 상기 손목 이완 표식(10A) 또는 이에 대한 세부표식 역시 다양한 방법으로 변환하여 손목 조작에 대한 다양한 또는 자세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표식(10A)의 스프링(11B)의 크기나 높이, 또는 색상을 조절하여 손목의 유연도 또는 튀는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또는 상기 스프링(11B)에 화살표 또는 상술한 뛰는 개구리 등을 혼합하여 손목의 유연도 또는 튀는 정도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Also, the wrist rest sign 10A or its detailed indicia can be transformed in various ways to convey various or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wrist manipulation. For example, the size, height, or hue of the spring 11B of the marker 10A may be adjusted to indicate the degree of flexibility or degree of splashing of the wrist. Alternatively, an arrow or the above-mentioned beeping frog or the like may be mixed with the spring 11B to convey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degree of flexibility or the degree of splashing of the wrist.

본 명세서의 일곱 번째 측면의 다섯 번째 실시예는 연주자가 건반을 타격하는 방법 중 부드러운 타격에 대한 다양한 표식으로서, 도 8의 (마)가 이의 예시이다. 일예로 도 8의 (마)의 표식(10A)은 천천히 떨어지는 새의 깃털을 나타내는 제2종 아이콘의 예시이며, 연주자가 건반을 타격할 때 내성부는 부드럽게 연주하며, 프레이즈(phrase)의 끝부분에서는 손가락을 건반으로부터 천천히 떼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즉 뉴턴의 제2법칙인 “”와 같이 연주자가 건반을 타격하여 발생하는 음의 크기는 건반을 누르는 손가락의 질량과 가속도에 비례한다. 따라서 연주자는 상기 표식이 인쇄되거나 부착된 부분의 건반을 타격할 때 가벼운 깃털이 천천히 내려오듯 손가락으로 건반을 살살 타격하고, 또한 타격 후 건반으로부터 손가락을 살살 떼게 된다.The fifth embodiment of the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ariety of markings for a soft hit in the manner in which the player strikes the keyboard, and FIG. 8 (e) is an example thereof. For example, the mark (10A) in FIG. 8 (E) is an example of a second type icon representing a feather of a bird falling slowly. When the player strikes the keyboard, the resistant part plays softly. At the end of the phrase It conveys information that the finger should be slowly released from the key. In other words, as in Newton's second law, "", the amount of sound generated by the player striking the keyboard is proportional to the mass and acceleration of the finger pressing the key. Therefore, when the player hits the key of the printed or attached part of the mark, the player hits the key with his / her fingertip as if the light feather is slowly descending, and gently releases the finger from the keyboard after the batting.

특히 상기 깃털 표식(10A)에 따라 연주자가 화성의 빈 곳을 채워주는 역할을 담당하는 음악의 내성부를 떨어지는 깃털과 같이 부드럽게 연주하면, 이로부터 발생하는 음은 외성부 또는 베이스 성부의 화성을 방해하지 않거나 압도하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연주자는 여러 성부의 역할이 각각 뚜렷해지도록 연주하는 동시에 각 성부의 소리도 조절하여야하는 고난도의 음악적 표현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feather marking 10A, when a player plays softly the resistance portion of the music, which plays a role of filling the empty space of the harmony, like a falling feather, the resulting sound does not interfere with the harmony of the exoskeleton or the bass part Or will not overwhelm. As a result, the performer can easily realize a high-level musical expression in which the roles of the various members of the Father are made clear, and the sound of each Father and the Son is also controlled.

본 명세서의 일곱 번째 측면의 여섯 번째 실시예는 연주자가 건반을 타격하는 방법 중 강약 조절에 대한 다양한 표식으로서, 도 8의 (바)가 이의 예시이다. 일예로 도 8의 (바)의 표식(10A)은 날아가는 나비를 나타내는 제2종 아이콘의 예시이며, 나비가 날개를 펄럭이며 날아가듯 강약을 넣어가며 건반을 타격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따라서 연주자는 나비가 상이한 크기의 힘과 상이한 속도로 반복적으로 날개를 펼치고 접듯, 연주자도 힘과 속도를 지속적으로 변화하며 강약을 넣어가며 건반을 타격하게 된다.The sixth embodiment of the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ample of such a variety of indicators for the strength and weakness control in the manner in which the player strikes the keyboard. For example, the marker (10A) in FIG. 8 (B) is an example of a second type icon indicating a flying butterfly, and the butterfly flaps its wings and transmit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player should strike the keyboard while flying. As a result, the player repeatedly wings the wings at different speeds and at different speeds, and the performer constantly changes his / her strength and speed.

또한 상술한 도 8의 (마)의 깃털 표식 또는 도 8의 (바)의 나비 표식 역시 다양한 구성으로 변환하여 손가락 또는 손목 조작에 대한 다양한 또는 자세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깃털 표식의 깃털의 크기나 풍성함, 또는 색상을 조절하여 건반을 타격하는 힘의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또는 상기 나비의 날개의 크기 또는 색상을 조절하거나 상기 날개에 화살표 등을 혼합하여 강약 조절 정도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The feather markers of FIG. 8 (e) or the butterfly markers of FIG. 8 (b) may also be converted into various configurations to convey various or detailed information about finger or wrist manipulation. For example, the size, richness, or color of the plume feathers can be adjusted to indicate the magnitude of the force hitting the keyboard. Alternatively, the size or color of the wings of the butterfly can be adjusted, or the wings can be mixed with arrows to convey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degree of intensity control.

본 명세서의 일곱 번째 측면의 일곱 번째 실시예는 연주자가 건반을 타격하는 방법 중 양손 조작에 대한 다양한 표식으로서, 도 8의 (사)가 이의 예시이다. 일예로 도 8의 (사)의 표식(10A)은 목에 세부표식인 방울(11)을 단 고양이를 나타내는 제2종 아이콘의 예시이며, 고양이가 방울(11)이 울리지 않을 만큼 사뿐사뿐 걷듯 건반을 타격하여 음을 작게 연주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ample of such a variety of markings for the two-hand operation in the manner in which the player strikes the keyboard, as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marker 10A of FIG. 8 (a) is an example of a second type icon representing a cat with a drop 11, which is a detailed marker on the neck, such that the cat does not bounce the bullet 11, And transmits information to play a small note.

특히 상기 고양이 표식(10A)은 양손으로 연주하는 건반악기 연주자에게 특정 손으로 타격하는 건반이 발생하는 음의 크기를 달리하여 멜로디를 더 선명하게 하는 효과를 구현하도록 한다. 일예로 악보 중 왼손으로 연주하는 반주 부분에 상기 표식(10A)을 인쇄하거나 부착하면, 연주자는 오른손으로 연주하는 멜로디는 특정 크기로 연주하는 한편 왼손으로 연주하는 반주는 고양이가 조심스럽게 걷듯 부드럽게, 작은 크기로 연주할 수 있다.Particularly, the cat marking 10A allows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layer playing with both hands to realize the effect of sharpening the melody by changing the size of a sound generated by a particular hand. For example, if the marking (10A) is printed or affixed to the accompaniment part played with the left hand of the score, the player can play the melody playing with the right hand at a certain size while the accompaniment playing with the left hand is smooth You can play in size.

상술한 본 명세서의 일곱 번째 측면의 다양한 음악적 표현에 대한 표식은 상기 도 8에서 예시한 다양한 실시예 및 이와 관련하여 예시한 다양한 상세예 외에도, 아래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변형 또는 개량도 포함한다.The indicia for the various musical expressions of the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or improve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o the various embodiments illustrated in FIG. 8 and the various detailed examples described hereinabove.

본 명세서의 일곱 번째 측면의 첫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적절한 주석부의 작성 및 활용이며, 이는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다양한 상반신표식 및 건반 조작에 대한 첫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을 상기 음악적 표현과 관련된 표식에 적용하는 변형이나 개량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first modification or amendment of the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he creation and use of appropriate annotation portions which apply the first modification or improvement to the various upper half markings and key manipulations of the third aspect described above to the markings associated with the musical expression The same or similar to the modification or improvement. Therefore, further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의 일곱 번째 측면의 두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음악적 표현에 대한 표식의 변형 또는 개량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음악적 표현에 대한 표식은 건반악기 연주자에게 기존 악보에는 포함되지 않거나 기존 기보법으로는 자세히 설명할 수 없지만 [1] 상기 악기로 특정 음악적 표현을 구현하기 위한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2] 상기 표현이나 자세를 위한 신체 부위의 조작과 관련된 정보, [3] 상기 자세나 조작을 통한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4] 상기 자세나 조작들을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이를 위하여 제1종, 제2종, 제3종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음악적 표현과 관련된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등과 같은 표식 역시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다양한 상반신표식에 대한 두 번째 변형 또는 개량과 유사하게 단순화, 만화화, 또는 구체화를 통하여 동일한 종 또는 상이한 종의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형태의 하반신표식으로 변형 또는 개량될 수 있으며, 상기 변형 또는 개량된 음악적 표현과 관련된 표식 역시 주석부를 활용하여 일관성 있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econd variation or improvement of the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mark for the musical expression. As described above, the mark for the musical expression is not included in the existing score or can not be explained in detail by the existing notation method to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layer. [1] The anatomical posture of the body part for realizing a specific musical expression with the musical instrument [2] information relating to manipulation of the body part for the expression or attitude, [3] information about manipulation of a specific part of the instrument through the posture or manipulation, or [4] And the overall attitude of the performer. For this purpose, a first type, a second type, a third type picture, an icon, or a symbol can be used. Thus, markings such as pictures, icons, or symbols associated with the musical expression may also be displayed on the same or different species through simplification, com- munication, or embody- ment, similar to a second modification or enhancement to the various upper- The icon may be transformed or modified into a lower half mark in the form of an icon, an icon, or a symbol, and the mark associated with the modified or improved musical expression may be used consistently using an annotation. Therefore, further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의 일곱 번째 측면의 세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음악적 표현과 관련된 다양한 표식을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며, 상기 일곱 번째 측면의 네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음악적 표현과 관련된 다양한 표식의 테두리나 배경의 모양 또는 색상을 조작함으로써, 특정 수효의 음악적 표현 관련 표식으로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며, 상기 일곱 번째 측면의 다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신축성 있는 재질로 음악적 표현과 관련된 다양한 표식을 제작하는 것이다. 상기 일곱 번째 측면의 세 번째 내지 다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에 의한 음악적 표현과 관련된 다양한 표식들은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세 번째 내지 다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에 의한 상반신표식들과 의미하는 신체 부위가 상이할 뿐, 기타 특성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third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various markings related to the musical expression as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and the four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seventh aspect is to make a border of various markings related to the musical expression Or the color of the background or the background, thereby conveying more information to a specific number of musical expression related markings, and the fif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seventh aspect is to produce various markings related to musical expression with an elastic material will be. The various markings related to the musical expression by the third to fif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seventh aspect are different from the body parts which are the meaning of the upper body markings by the third to fif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third aspect , And other characteristics are the same or similar. Therefore, further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의 일곱 번째 측면의 여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음악적 표현과 관련된 상술의 다양한 표식을 연주자의 주문화(customization) 또는 개인화(personalization) 등이 가능하도록 제작하는 것이며, 상기 일곱 번째 측면의 일곱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음악적 표현과 관련된 상술한 표식을 다수 포함하는 표식 세트의 구성 및 배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일곱 번째 측면의 여덟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연주자가 음악적 표현과 관련된 다양한 표식을 시각이 아닌 촉각을 이용하여 인지할 수 있는 촉각표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일곱 번째 측면의 여섯 번째 내지 여덟 번째 변형 또는 개량에 의한 다양한 표식들은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여섯 번째 내지 여덟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의 상반신표식들과 의미하는 신체 부위가 상이할 뿐, 기타 특성 역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ix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make various markings of the above-mentioned musical expression related to the customization or personalization of the performer, and the seventh modification of the seventh aspect Or modification refers to the construction and arrangement of a set of markings comprising a plurality of the markings associated with the musical expression and wherein the eighth modification or modification of the seventh aspect allows the player to use various tactile indicia associated with the musical expression, To provide a tactile indicia that can be perceived. The sixth to eighth modifications or improvements of the seventh aspect are different from the sixth to eighth modifications of the third aspect or the modified upper body markings and the meaning of the body parts, Or similar. Therefore, further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의 일곱 번째 측면의 열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음악적 표현과 관련된 다양한 표식을 이용하여 [1] 상술한 다양한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 [2] 상기 자세를 위한 또는 상기 자세를 통한 상기 신체 부위의 조작, [3] 상기 자세나 조작을 통한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 또는 [4] 상기 자세나 조작들을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되, 상기 표식을 이용하여 음악적 표현과 관련된 상술의 정보는 물론 이와 관련된, 또는 이에는 포함되지 않은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음악적 표현과 관련된 다양한 표식은 연주자가 건반악기, 현악기, 관악기, 또는 타악기의 특정 부분을 조작하되 [1] 상기 조작의 동적 특성이나 정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2] 특정 악기의 특정 부분을 조작하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3] 상기 조작을 수행하는 연주자의 다양한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정적 또는 동적 정보는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열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의 상반신표식들과 의미하는 신체 부위가 상이할 뿐, 기타 특성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tenth modification or amendment of the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uses various markings related to musical expression to [1] anatomical posture of the various body parts described above, [2] , [3] manipulation of a specific part of the musical instrument through the attitude or manipulation, or [4] information on the overall attitude of the musical player for the attitude or manipulations, , As well as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hereto or not included therein. To this end, various indicia associated with the musical expression may be obtained by a player manipulating a particular part of a keyboard instrument, string instrument, wind instrument, or percussion instrument, [1]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dynamic or 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manipulation, or [2] To provide information for manipulating a specific part, or [3] to provide information on an anatomical posture or overall posture of various body parts of a player performing the manipulation. The static or dynamic information is the same or similar to that of the above-mentioned third aspect only in that the body part is different from the tenth modification or the improved upper half markings of the third aspect. Therefore, further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의 일곱 번째 측면의 열한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음악적 표현과 관련된 다양한 표식을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강사는 각각의 표식이 전달하는 정보에 따라 연주자 개개인의 부족한 음악적 기교나 잘못된 음악적 표현을 개선하도록 특정 신체 부위의 조작,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 또는 상기 부위의 자세를 상기 표식을 이용하여 함축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며 교정할 수 있다.The eleven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use various markings related to musical expression for various purposes. Therefore, the lecturer is required to manipulate a specific body part, manipulate a specific part of the musical instrument, or manipulate the attitude of the part so as to improve the deficient musical skill or erroneous musical expression of each individual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transmitted by each mark,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and corrected.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음악적 표현에 대한 정보를 규격화된 다양한 표식으로 전달함에 따라, 대부분의 강사는 어린이 또는 초보 학습자에게도 악기를 연주할 때 다양한 신체 부위를 조작하여 다양한 음악적 표현을 구현하도록 일관성 있게 교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린이나 초보 학습자들도 강사 개개인의 교육 능력의 차이에도 불구하도 특정 음악적 표현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신체 부위의 조작, 상기 조작을 통한 자세 등에 대하여 규격화된 교육을 받을 수 있다. 강사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음악적 표현과 관련된 규격화된 표식을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상기 조작, 자세 등에 대한 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by transmitting information on musical expression to various standardized marks, most instructors teach children or novice learners to consistently teach various musical expressions by manipulating various body parts when playing musical instruments . Accordingly, children and novice learners can receive a standardized education on manipulation of various body parts necessary for realizing specific musical expressions, attitude through manipulation, etc., despite the difference of education ability of individual instructors. The lecturer can also provide the learner with the above manipulation, posture, etc. using the standardized markings related to the musical expression as described above.

본 명세서의 악기 연주용 표식에 대한 여덟 번째 측면은 건반악기, 현악기, 관악기, 또는 타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가 기존의 악보에는 포함되어있지 않거나, 또는 기존의 음악 기호로는 자세히 설명할 수 없지만 상기 악기로 특정 음악적 표현을 구현하기 위한 산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에 다양한 표식이다. 상기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과 관련된 다양한 표식은 연주자가 건반을 누르거나, 현을 진동시키거나, 관악기에 숨을 내쉬며 음을 발생하거나, 타악기를 타격하여 음을 발생하는 순간은 물론 음을 발생하기 이전의 순간, 또는 음을 발생한 이후의 순간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eighth aspect of the musical instrument marker in this specification is that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string instrument, wind instrument, or percussionist is not included in the existing musical score, or can not be described in detail by the existing musical notation, It is a variety of markers for prenatal preparation or postmortem responses to specific musical expressions. The various markings related to the pre-contrast or post-response include a moment when a player presses a key, vibrates a string, breathes out a breath in a wind instrument, makes a sound by hitting a percussion instrument, , Or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moment after the sound is generated.

특히 연주자는 앞으로 연주하여야할 음을 지금 연주하는 음과 사전에 비교함으로써 또는 지금 연주한 음을 이전에 연주한 음과 사후 비교함으로써, 다수의 음을 끊어짐 없이 서로 연결하거나, 다수의 음을 특정 음악적 표현을 구현하며 자연스럽게 연주할 수 있다. 또한 연주자는 화음을 연주할 때 상기 화음의 특성을 사전에 대비하거나 사후에 대응하여 특정 음악적 표현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도 있다. 하술의 도 9의 (가) 내지 (라)는 특정 음악적 표현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사전 대응 표식 또는 사후 대응 표식의 예시이다.In particular, the player can connect multiple notes to each other without interruption by comparing the notes to be played in the future with previously played notes, or by comparing the currently played notes with the previously played notes, It implements the expression and can play naturally. In addition, the player can easily prepare specific musical expressions by pre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ord in advance or by responding to them after playing the chord. 9 (a) to 9 (d) are examples of various pre-correspondence or post-correspondence marks for implementing a specific musical expression.

본 명세서의 여덟 번째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는 연주자가 아직 연주하지는 않았지만 곧 연주해야할 음을 사전 대비하는 방법에 대한 다양한 표식으로서, 도 9의 (가)가 이의 예시이다. 일예로 도 9의 (가)의 사전 대비 표식(10A)은 연주자의 얼굴 및 상기 표식(10A)의 우측 방향에 위치한 확대된 귀(11)와 같은 세부표식을 포함하는 제1종 아이콘의 예시이다. 특히 상기 표식(10A)과 이에 포함되어 있는 세부표식(11)은 연주자에게 악보의 우측의 음, 즉 연주자가 아직 연주하지 않았지만 곧 연주하게 될 음을 어떤 크기로 어떻게 연주할지, 그리고 이를 위하여 어떤 자세를 취할지 등을 미리 생각하고 이에 대비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이에 따라 연주자는 자신의 신체 부위의 자세를 미리 대비하거나 상기 부위를 적절히 조작할 준비를 취함으로써, 실수를 방지함은 물론 곧 연주할 음이 현재 연주하는 음과 더 자연스럽게 연결할 수 있다.The first embodiment of the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 variety of indicia for a method of proactively preparing sounds that the performer has not yet played, but which are to be played immediately, and FIG. 9 (a) is an example thereof. For example, the pre-contrast indicator 10A of FIG. 9 (a) is an example of a first-type icon that includes a detail marker such as the player's face and an enlarged ear 11 positioned to the right of the indicator 10A . Particularly, the marking 10A and the detailed marking 11 included in the marking indicate to the player the sound of the right side of the score, that is, how to play the sound that the player has not yet played but will soon play, If you do not know what to do, Accordingly, the player can prepare the posture of his / her body part in advance or prepare to appropriately operate the part so as to prevent mistakes, and soon, the sound to be played can be more naturally connected to the sound currently played.

연주자는 상기 사전 대비 표식(10A)을 통하여 단순히 음을 연주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음을 연주할 때 다음 음까지 상상하면서 이에 대비하여 현재 음을 연주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연주자는 다음 음과 현재 음 사이의 쉬는 간격, 현재 음을 지속해야할 기간은 물론 현재 음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다음 음의 특성을 미리 준비하거나, 이와는 반대로 다음 음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현재 음을 연주할 수 있게 된다.The player does not simply play the note through the dictionary contrast mark 10A but can play the current note in anticipation of the next note when playing the current note. Therefore, the player should prepare the interval between the next note and the current note, the duration of the current note, and the next note that can be harmonized with the current note. In contrast, the current note .

본 명세서의 여덟 번째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 역시 연주자가 아직 연주하지는 않았지만 곧 연주해야할 음을 사전 대비하는 또 다른 방법에 대한 다양한 표식으로서, 도 9의 (나)가 이의 예시이다. 일예로 도 9의 (나)의 사전 인지 표식(10A)은 도면의 우측 방향을 쳐다보는 한 쌍의 눈동자(11)를 포함하는 눈의 모습을 나타내는 제1종 아이콘의 예시이며, 상기 표식(10A) 및 보조표식(11)은 연주자에게 악보의 우측의 음, 즉 아직 연주하지 않았지만 곧 연주하게 될 음을 눈으로 확인한 후, 이를 어떤 크기로 어떻게 연주할지, 그리고 이를 위하여 어떤 자세를 취할지 등을 미리 생각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이에 따라 연주자는 자신의 신체 부위를 적절히 조작할 준비를 취하거나 이를 위한 신체 부위의 자세를 준비함으로써, 실수를 방지함은 물론 곧 연주할 음이 현재 연주하는 음과 조화되도록 도모할 수 있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n example of this, as shown in Fig. 9 (b), as a variety of markers for another method of preparing a sound to be played soon, which the player has not yet played. For example, the dictionary recognition mark 10A in FIG. 9 (B) is an example of a first type icon showing a shape of an eye including a pair of eyes 11 that look in the right direction of the drawing, and the mark 10A ) And the auxiliary marker 11 indicate to the player the sound of the right side of the score, that is, the sound that is not yet played but will soon be played, Communicate information to think about. As a result, the player can prepare for the proper manipulation of his / her body part or prepare the posture of the body part for this purpose, so as to prevent the mistake and to match the sound to be played soon with the sound to be played at present.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도 9의 (나)의 사전 대비를 나타내는 눈동자 표식(10A)은 도 9의 (가)의 사전 대비를 나타내는 얼굴 및 귀를 포함하는 표식(10A)과 유사하다고 간주할 수 있다. 하지만 사전 대비에 대한 눈동자 표식(10A)이 연주자로 하여금 곧 연주할 음에 대한 악보를 눈으로 미리 확인하라는 정보를 전달하는 반면, 사전 대비에 대한 얼굴과 귀 표식(10A)은 연주자로 하여금 곧 연주할 음을 눈으로 확인하거나, 또는 곧 연주할 음을 외울 경우에는 이를 눈으로 확인하지는 않더라도 머리로 미리 상상하여 이에 대비하라는, 더 포괄적인 정보를 전달한다고 간주할 수 있다.From this point of view,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pupil marker 10A representing the preliminary contrast in FIG. 9 is similar to the marker 10A including the face and ear representing the preliminary contrast in FIG. 9 (A). However, while the pre-contrast pupil mark (10A) conveys information to the player to visually preview the score for the upcoming note, the face and ear mark (10A) for the pre- If you check the sound with your eyes, or if you memorize the sound to be played soon, you can regard it as conveying more comprehensive information to imagine and prepare in advance, even if you do not check it with your eyes.

본 명세서의 여덟 번째 측면의 세 번째 실시예는 연주자가 자신이 연주한 음을 사후 대응하는 방법에 대한 다양한 표식으로서, 도 9의 (다)가 이의 예시이다. 일예로 도 9의 (다)의 사후 대응 표식(10A)은 연주자의 얼굴 및 도면 좌측의 확대된 귀(11)와 같은 세부표식을 포함하는 제1종 아이콘의 예시이며, 이는 상술한 도 9의 (가)의 사전 대비 표식의 반대 표식으로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식(10A)은 연주자에게 방금 연주한 음의 여운을 들으며 다음 음을 연주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따라서 연주자는 갑자기 다음 음을 크게 연주하거나 또는 방금 연주한 음과 음악적 표현이 어울리지 않도록 다음 음을 연주하지 않도록 피할 수 있다.The third embodiment of the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n example of a variety of markings on how the performer reacts to the notes he plays, as shown in Fig. 9 (c). For example, the postcounter correspondence mark 10A in FIG. 9 (C) is an example of a first type icon including a detail mark such as the player's face and enlarged ear 11 on the left side of the figure, Can be regarded as the opposite sign of the pre-contrast mark of (A). Therefore, the marking 10A informs the player that the user should listen to the note played just before and play the next note. Therefore, the player can suddenly play the next note louder or avoid playing the next note so that the musical expression does not match the note just played.

상기 사후 대응 표식(10A)은 연주자가 방금 연주한 음과 다음 음 사이의 음악적 표현에 대한 다양한 조작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일예로 상기 표식(10A)에 따라 연주자는 자신이 방금 연주한 음을 다음 음과 겹치도록 연주하거나, 이를 다음 음에 이어주는 레가토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연주자는 방금 연주한 음과 다음 음 사이의 강약을 조작하는 싱코페이션 조작 등에도 상기 사후 대응 표식(10A)을 사용할 수 있다.The post-correspondence mark 10A may be used for various operations on the musical expression between the note just played by the player and the next note.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marking 10A, the player can perform a legato operation in which the note that he has just played overlaps with the next note or connects it to the next note. Alternatively, the player can use the post-correspondence mark 10A for a synchro- nization operation for manipulating the strength between the note just played and the next note.

또한 상술한 도 9의 (가) 내지 (다)의 다양한 표식은 다양한 방법으로 변환하여 사전 대비, 사전 인지, 또는 사후 대응 등에 대한 다양한 또는 자세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일예로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에 대한 상기 얼굴 및 귀 표식은 얼굴 또는 귀의 크기, 위치, 색상을 조절하여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하여야할 기간의 길이를 나타낼 수 있다. 또는 상기 눈동자 표식의 크기, 위치, 또는 색상을 조절하여 사전 대비나 사후 대응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특정 사건의 전후를 나타내는 통상적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를 이용하여 상술의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에 대한 표식을 구성할 수도 있으며, 여기에 숫자나 문자 등을 혼합하여 상기 표식을 구성할 수도 있다.The various markers of FIGS. 9A through 9C may be converted in various ways to convey various or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dictionary contrast, dictionary, or post-correspondence. For example, the face and ear markings for pre-contrast or post-exposure may indicate the length of time to be pre-contrasted or post-treated by adjusting the size, position, and color of the face or ear. Alternatively, the size, position, or color of the pupil marker may be adjusted to convey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pre-contrast or post-response. In addition to this, a conventional picture, an icon, or a symbol indicating a before or after a specific event may be used to form a marker for the above-mentioned preliminary contrast or post-response, and the marker may be formed by mixing numbers, letters, .

본 명세서의 여덟 번째 측면의 네 번째 실시예는 연주자가 화음을 연주하는 방법에 대한 다양한 표식으로서, 도 9의 (라-1) 내지 (라-3)이 이의 예시이다. 특히 화음은 선율 및 박자와 함께 음악의 3요소로 꼽히는 만큼, 화음에 대한 표식은 음악적 표현에도 필수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화음 연주에 대해서도 다양한 표식을 구성하여 활용할 수 있다. 일예로 도 9의 (라-1)의 표식(10A)은 조화되지 않은 선율에 찡그리는 얼굴을 나타내는 제1종 아이콘의 예시이며, 상기 표식(10A)은 연주자에게 불협화음을 연주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The fourth embodiment of the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variety of markings on how a player plays a chord, examples of which are (LA-1) to (LA-3) in FIG. Especially chords are considered as the three elements of music together with melody and rhythm, so the markings for chords are also essential elements for musical expression. Therefore, various markings can also be used for chord performance. For example, the mark (10A) in FIG. 9 (LA-1) is an example of a first-type icon showing a face that frowns on an unharmonized tone, and the mark (10A) conveys information to the player to play a dissonance.

참고로 으뜸화음이란 으뜸음을 기준으로 3도 위의 음과 5도 위의 음을 함께 연주하는 화음을 의미하며, 이는 장조에서는 도, 미, 솔에 해당하는 한편, 단조에서는 라, 도, 미에 해당한다. 일반적 조성 체계에서 특정 조의 음들과 화음들은 으뜸음 또는 으뜸화음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또는 상이해질수록 긴장도가 증가한다. 따라서 연주자가 상기 불협화음 표식(10A)에 따라 불협화음을 연주하면 음악은 물론 듣는 이의 긴장도도 증가하게 된다. 또한 연주자가 으뜸조에서 다른 조로 바꾸며 연주하면 긴장도가 증가하며, 반대로 다시 으뜸조로 돌아오게 되면 상기 긴장이 해소된다.For reference, master chord refers to a chord that plays the notes of 3 degrees above and 5 degrees above the chord, which corresponds to degrees, mi and sole in the major, do. In a general composition system, the tones and harmonies of a particular group increase as the distance from the treble or the main chord increases or the tensions increase. Therefore, when the player plays the dissonance according to the dissonance indicator 10A, the tension of the music as well as the hearer increases. In addition, when the player changes from one to the other, the tension increases. On the other hand, when the player returns to the trumpet, the tension is relieved.

현대음악에서는 불협화음을 특정 음악적 표현을 구현하기 위하여 종종 사용한다. 특히 그 중애서도 7화음(dominant seventh, 즉 도, 미, 솔, 시)과 딸림 단7화음(솔, 시, 레, 파)은 선율을 으뜸 3화음과 딸림 3화음으로 진행하게 하는 특성이 있으며, 이에 따라 음률이나 화음 자체가 불안정해진다. 이 때 불협화음을 사용하게 되면 선율은 안정되며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에 상기 불협화음 표식(10A)을 인쇄하거나 부착하면, 연주자는 특정 불협화음을 연주함은 물론, 다음에 연주할 화음을 대비할 수 있게 된다.In modern music, dissonance is often used to create specific musical expressions. Especially, the seven dominant seventh (solo, poetry, solo, poetry) and metaphysical seventh (sol, poetry, reef) , So that the tone or chord itself becomes unstable. If you use dissonant sounds at this time, the melody can be stabilized and proceeded. Therefore, by printing or attaching the dissonance indicator 10A to such a portion, the player can play a specific discordant tone and prepare for the next chord to be played.

한편 도 9의 (라-1)의 표식(10B) 역시 완전히 조화되지 않은 중간 상태의 화음을 듣고 멋쩍게 웃는 얼굴을 나타내는 제1종 아이콘의 예시이며, 상기 표식(10B)은 연주자에게 부3부화음 등을 연주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일예로 부3부화음은 온음계적 화음에서 ‘’‘’또는 ‘’등과 같은 주요 3화음 이외의 화음을 의미한다. 특히 장조의 ‘’은 1도화음 또는 으뜸화음으로서 계이름으로는 도, 미, 솔에 해당하고, 장조의 ‘’는 4도화음 또는 버금딸림화음으로서 계이름으로는 파, 라, 도에 해당하며, 장조의 ‘’는 5도화음 또는 딸림화음으로서 계이름으로는 솔, 시, 레에 해당한다. 한편 단조의 ‘’은 1도화음으로서 계이름으로는 라, 도, 미에 해당하고, 단조의 ‘’는 4도화음으로서 계이름으로는 레, 파, 라에 해당하며, 단조의 ‘’는 5도화음으로서 계이름으로는 미, 솔#, 시에 해당한다. 상기 부3부화음 역시 주요 3화음과 같이 장음계 또는 단음계에서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2, 3, 6, 7번째 음을 근음으로 사용한다. 따라서 연주자는 인쇄된 또는 부착된 상기 부3부화음 표식(10B)에 따라 부3부화음을 연주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rk (10B) in FIG. 9 (D-1) is also an example of the icon of the first type indicating a face that smiles softly while listening to a completely harmonized intermediate chord, And tells them to play their back. For example, the third part of a chord means a chord other than the main three chords such as '' '' or '' in a diatonic chord. In particular, '' in the major corresponds to the first harmonic or the first harmonic, and also corresponds to the meaning of '', '', '', '', '' in the major, '' The major of '' 'is a five-figureed or accompanied chord, and corresponds to a sword, a poem, or a lyre. In the meantime, 'forged' corresponds to '1', 'for', 'for', 'for', 'for', 'for,' and 'forged' , And it corresponds to the beauty, the sol #, and the poem. The sub-triad chords are also used in the tonic or monophonic system as in the case of the main triad, and usually the second, third, sixth and seventh notes are used as the root. Therefore, the player can play the sub-triad chord according to the printed or attached sub-triad chord 10B.

상기 도 9의 (라-1)의 불협화음 표식 및 부3부화음 표식과 달리, 도 9의 (라-2)의 표식(10C)은 완전히 조화되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 조화된 선율에 따라 마음이 편안해져 미소를 띤 얼굴을 나타내는 제1종 아이콘의 예시이며, 상기 표식(10C)은 연주자에게 5도권화음 등을 연주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상기 5도권화음은 일반적으로 특정 음에서 위나 아래로 5도씩 세면 12음 전체를 완전히 순환하도록 배열된 음의 관계를 나타내며, 특정 근음이나 코드 다음에 이어지는 자연스러운 음을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즉 5도권화음은 특정 음부터 시작하여 아래로 5도씩 세어가며, 가장 잘 조화되는 코드를 확인하거나 또는 악보 없이 곡을 쉽게 외우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연주자는 현재 연주하는 음의 다음 음이 어떤 음이 가장 적절한지 미리 생각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음악적 표현을 한 단계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In contrast to the dissonance and sub-triad markings of FIG. 9 (D-1), the mark (10C) of FIG. 9 (D-2) is not completely harmonized, The symbol (10C) is an example of a first type icon indicating a smiley face, and the symbol (10C) conveys information to the player to play a fifth-degree harmony tone or the like. The 5-degree chord generally represents a negative relationship arranged to completely cycle through the entire twelve notes, five degrees up or down from a particular note, and is used to identify a natural note following a particular root note or chord. A 5-degree chord is counted from the beginning of a note to 5 degrees down, and is used to identify the best harmonized chord or to easily memorize a song without a score. Therefore, the player can think in advance which sound is most appropriate for the next note to be played, and thus the musical expression can be raised by one step.

한편 도 9의 (라-2)의 표식(10D)는 선율이 조화되어 얼굴에 웃음이 가득한 얼굴을 나타내는 제1종 아이콘의 예시이며, 상기 표식(10D)은 연주자에게 으뜸화음을 연주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따라서 연주자는 상기 불협화음, 7화음, 부3부화음, 5도권화음 등의 다양한 중간화음을 거쳐 완전히 조화되는 으뜸화음을 연주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으뜸화음이란 으뜸음을 기준으로 3도 위의 음과 5도 위의 음을 함께 연주하는 화음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조성 체계에서 특정 조의 음들과 화음들은 으뜸음 또는 으뜸화음에 가까울수록 또는 동일해질수록 긴장도가 감소한다. 또한 연주자가 으뜸조에서 다른 조로 조바꿈을 할수록, 긴장도가 증가하며, 다시 으뜸조로 회귀함에 따라 상기 긴장이 해소된다. 따라서 연주자가 상기 불협화음 표식에 따라 불협화음을 연주하면 음악의 긴장도는 물론 듣는 이의 긴장도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연주자는 상기 불협화음 또는 중간화음에 의하여 조성된 긴장감을 으뜸화음을 연주함으로써 해소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mark (10D) in FIG. 9 (D-2) is an example of a first type icon showing a face in which the melody is harmonized and a face is full of smiles, and the mark (10D) . Therefore, the player can play master chords harmonized perfectly through various mid-tones such as the above-mentioned dissonance, 7-chord, 3-part chord, and 5-th degree chord. As described above, the term "master chord" refers to a chord that plays a note of 3 degrees above and 5 degrees above a chord, and in general, in a composition system, notes and chords of a particular set are closer to a string or a chord The tighter the same, the lower the tension. Also, the more the player transposes from the main trumpet to the other trumpet, the more the tension increases, and the tension is relieved as he returns to the trumpet trumpet. Therefore, when a player plays a discordant tone according to the discordant sign, the tension of the music grows as well as the tension of the music. Therefore, the player can eliminate the tension created by the dissonance or the middle tone by playing the master chord.

상기 도 9의 (라-3)의 표식(10E)은 선율에 감동하여 눈물을 흘리는 얼굴을 나타내는 제1종 아이콘의 예시이며, 상기 표식(10E)은 특히 연주자에게 무겁거나, 어둡거나, 슬픈 분위기의 단조화음을 연주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따라서 연주자는 상기 단조 표식(10E)이 인쇄되거나 부착된 부분에서는 단조화음을 연주함은 물론 음을 길게 연주하며 연주 속도 역시 줄임으로써 어둡거나 슬픈 분위기를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연주자는 이와 같이 느린 속도로 연주하는 데 적합하도록 상반신 부위, 몸통 부위, 또는 호흡 부위의 자세를 조작할 수도 있다.The mark (10E) in FIG. 9 (a-3) is an example of a first-type icon indicating a face tearing the melody and flowing tears, and the mark 10E indicates a heavy, dark, To play a forged chord. Therefore, the player can express the dark or sad atmosphere by playing the forged chords, playing the notes for a long time, and reducing the speed of play, in the printed or attached part of the forged mark 10E. The player may also manipulate the upper body, trunk, or respiratory postures to be suitable for playing at such slow speeds.

한편 도 9의 (라-3)의 표식(10F)은 강조된 음을 듣고 놀라는 얼굴을 나타내는 제1종 아이콘의 예시이며, 상기 표식(10D)은 스포르잔도(sforzando) 또는 악센트(accent)와 같이 특정 음을 강조하여 연주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일반적으로 스포르잔도나 악센트는 모두 특정 음을 강하게 연주하라는 정보를 전달한다. 하지만 스포르잔도는 단일 음표 또는 화음을 점진적이 아니라 돌연히 강조하여 연주하라는 의미이며, 리듬적인 요소로 음을 강조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스포르잔도는 반드시 소리가 크지 않더라도 힘을 느낄 수 있도록 연주하며, 강박에 사용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 만일 스포르잔도를 강박에 사용할 경우에는, 이는 거짓 강박이 되는 특성이 있다. 반면 악센트는 특정 음을 앞뒤의 음들보다 세게 연주하라는 의미이며, 통상적으로 작은 단위의 선율의 다이나믹을 통하여 억양의 중심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악센트는 일반적으로 소리가 크다는 특성을 가진다.On the other hand, the marker 10F in FIG. 9 (La-3) is an example of a first-type icon indicating a surprising face when the emphasized sound is heard, and the marker 10D indicates a sforzando or an accent Likewise, it conveys information to emphasize a particular note. Generally speaking, sporthands and accents all convey information about playing a particular note strongly. Sporazo is meant to emphasize a single note or chord, rather than a gradual one, but to emphasize the note with a rhythmic element. Therefore, Spaurando is played to feel power even if it is not loud, and it is rarely used for obsession. If sporthy is used for obsession, this is a false obsession. On the other hand, an accent means to play a certain note harder than the preceding and following notes, and is usually used to indicate the center of the intonation through the dynamics of a small unit of melody. The accent therefore has the characteristic of being generally loud.

상술한 본 명세서의 여덟 번째 측면의 다양한 음악적 표현을 위한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과 관련된 표식은 상기 도 9에서 예시한 다양한 실시예 및 이와 관련하여 예시한 다양한 상세예 외에도, 아래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변형 또는 개량도 포함한다.In addition to the various embodiments illustrated in FIG. 9 and the various illustrative examples illustrated in FIG. 9, the markings associated with the pre-contrast or post-correspondence for the various musical expressions of the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also include various variations It also includes improvements.

본 명세서의 여덟 번째 측면의 첫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적절한 주석부의 작성 및 활용이며, 이는 상술한 첫 번째 내지 일곱 번째 측면들의 다양한 표식들에 대한 첫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을 상기 음악적 표현과 관련된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 표식에 적용하는 변형이나 개량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first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he creation and use of an appropriate annotation, which means that a first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various markings of the first to seventh aspects described above is made in the context of the pre- It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modification or improvement applied to the postmarketing mark. Therefore, further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의 여덟 번째 측면의 두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에 대한 표식의 변형 또는 개량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에 대한 표식은 건반악기 연주자에게 기존 악보에는 포함되지 않거나 기존 기보법으로는 자세히 설명할 수 없지만 [1] 상기 악기로 사전에 대비하거나 사후 대응하기 위한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2] 상기 사전 대비나 사후 대응을 위한 신체 부위의 조작과 관련된 정보, [3] 상기 자세나 조작을 통하여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할 수 있는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4] 상기 자세나 조작들을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이를 위하여 제1종, 제2종, 제3종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과 관련된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등과 같은 표식 역시 상술한 첫 번째 내지 일곱 번째 측면들의 다양한 표식들에 대한 두 번째 변형 또는 개량과 유사하게 단순화, 만화화, 또는 구체화를 통하여 동일한 종 또는 상이한 종의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형태의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 표식으로 변형 또는 개량될 수 있으며, 상기 변형 또는 개량된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 표식 역시 주석부를 활용하여 일관성 있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econd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marking to the pre-contrast or post-correspondence. As described above, the markings for the preliminary preparation or the postmodern response are not included in the existing musical score for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layer or can not be described in detail by the conventional notation method. [1] The body parts for preparing the musical instrument in advance or for post- , [2] information relat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body part for the pre-contrast or post-event response, [3] manipulation of specific parts of the instrument that can be pre- Or [4] information on the overall attitude of the performer for the posture or operations, and for this purpose, a first, second, third type picture, icon, or symbol may be used. Thus, markings, such as pictures, icons, or symbols, associated with the pre-contrast or post-response, may also be simplified, com- municated, or embodied similar to a second modification or enhancement to the various markings of the first through seventh aspects It can be modified or improved to a pre-contrast or post-correspondence mark in the form of a picture, icon, or symbol of the same or different species, and the modified or improved pre-contrast or post-correspondence mark can also be used consistently using annotations. Therefore, further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의 여덟 번째 측면의 세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과 관련된 다양한 표식을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며, 상기 여덟 번째 측면의 네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과 관련된 다양한 표식의 테두리나 배경의 모양 또는 색상을 조작함으로써, 특정 수효의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 관련 표식으로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며, 상기 여덟 번째 측면의 다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신축성 있는 재질로 상기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과 관련된 다양한 표식을 제작하는 것이다. 상기 여덟 번째 측면의 세 번째 내지 다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에 의한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 관련 다양한 표식들은 상술한 첫 번째 내지 일곱 번째 측면들의 세 번째 내지 다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에 의한 다양한 표식들과 적용되는 시점이 상이할 뿐, 기타 특성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third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various markings related to the pre-contrast or post-correspondence with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and the four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eighth aspect is to make the pre- By manipulating the shape or color of the border or background of the various indicia associated with a particular number, such that the fifth variant or modification of the eighth aspect is a stretchable material To produce various indicia associated with the pre-contrast or post-response. The various markings related to the pre-contrast or post-correspondence by the third to fif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eighth aspect may be applied to various markers by the third to fif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above first to seventh aspects, The other characteristics are the same or similar. Therefore, further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의 여덟 번째 측면의 여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과 관련된 상술의 다양한 표식을 연주자의 주문화(customization) 또는 개인화(personalization) 등이 가능하도록 제작하는 것이며, 상기 여덟 번째 측면의 일곱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과 관련된 상술한 표식을 다수 포함하는 표식 세트의 구성 및 배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여덟 번째 측면의 여덟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연주자가 상기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과 관련된 다양한 표식을 시각이 아닌 촉각을 이용하여 인지할 수 있는 촉각표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여덟 번째 측면의 여섯 번째 내지 여덟 번째 변형 또는 개량에 의한 다양한 표식들은 상술한 첫 번째 내지 일곱 번째 측면들의 여섯 번째 내지 여덟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의 다양한 표식들과 적용되는 시점이 상이할 뿐, 기타 특성 역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ix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the various markings mentioned above related to the pre-contrast or post-response possible to enable the player's customization or personalization, Wherein the seven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eighth aspect relates to the construction and arrangement of a set of indicia comprising a plurality of said indicia associated with said pre-contrast or post-match, And to provide tactile indicia that can recognize various markings related to the correspondence by using a tactile angle rather than a vision. The various markings by the sixth to eigh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eighth aspect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sixth to eigh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above first to seventh aspects, Are the same or similar. Therefore, further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의 여덟 번째 측면의 열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과 관련된 다양한 표식을 이용하여 [1] 상술한 다양한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 [2] 상기 자세를 위한 또는 상기 자세를 통한 상기 신체 부위의 조작, [3] 상기 자세나 조작을 통한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 또는 [4] 상기 자세나 조작들을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되, 상기 표식을 이용하여 음악적 표현과 관련된 상술의 정보는 물론 이와 관련된, 또는 이에는 포함되지 않은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과 관련된 다양한 표식은 연주자가 건반악기, 현악기, 관악기, 또는 타악기의 특정 부분을 조작하되 [1] 상기 조작의 동적 특성이나 정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2] 특정 악기의 특정 부분을 조작하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3] 상기 조작을 수행하는 연주자의 다양한 신체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정적 또는 동적 정보는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열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의 상반신표식들과 의미하는 신체 부위가 상이할 뿐, 기타 특성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tenth modification or refinement of the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made using various markings related to the pre-contrast or post-correspondence [1] the anatomical posture of the various body parts described above, [2] , [3] manipulation of a specific part of the musical instrument through the posture or manipulation, or [4] information on the overall attitude of the musical player for the posture or manipulations, Quot; is to convey a variety of information related to, or not included in, the above-mention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expression. To this end, the various indicia associated with the pre-contrast or post-correspondence may be obtained by a player manipulating a particular part of a keyboard, string, wind or percussion instrument, [1]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dynamic or 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operation, ] To provide information for manipulating a specific part of a specific musical instrument, or [3] to provide information on an anatomical posture or overall posture of various body parts of a player performing the above operation. The static or dynamic information is the same or similar to that of the above-mentioned third aspect only in that the body part is different from the tenth modification or the improved upper half markings of the third aspect. Therefore, further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의 여덟 번째 측면의 열한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과 관련된 다양한 표식들을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강사는 각각의 표식이 전달하는 정보에 따라 연주자 개개인의 부족한 음악적 기교나 잘못된 음악적 표현을 개선하도록 특정 신체 부위의 조작, 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 또는 상기 부위의 자세를 상기 표식을 이용하여 함축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며 교정할 수 있다.The eleven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use various indicia associated with the pre-contrast or post-response for various purposes. Therefore, the lecturer is required to manipulate a specific body part, manipulate a specific part of the musical instrument, or manipulate the attitude of the part so as to improve the deficient musical skill or erroneous musical expression of each individual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transmitted by each mark,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and corrected.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에 대한 정보를 규격화된 다양한 표식으로 전달함에 따라, 대부분의 강사는 어린이 또는 초보 학습자에게도 악기를 연주할 때 다양한 신체 부위를 조작하여 다양한 음악적 표현을 대비하거나 구현하도록 일관성 있게 교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린이나 초보 학습자들도 강사 개개인의 교육 능력의 차이에도 불구하도 상기 사전 대비 또는 사후 대응을 실시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신체 부위의 조작, 상기 조작을 통한 자세 등에 대하여 규격화된 교육을 받을 수 있다. 강사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음악적 표현과 관련된 규격화된 표식을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상기 조작, 자세 등에 대한 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by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pre-contrast or post-response to various standardized markings, most instructors can also prepare various musical expressions by manipulating various body parts when playing musical instruments to children or novice learners It is possible to train consistently to implement. Accordingly, the child or the novice learners can receive the standardized education regarding the manipulation of the various body parts necessary for performing the preliminary preparation or the post-response, and the attitude through the manipulation, in spite of the difference of the education ability of the individual instructor. The lecturer can also provide the learner with the above manipulation, posture, etc. using the standardized markings related to the musical expression as described above.

본 명세서의 악기 연주용 표식에 대한 아홉 번째 측면은 현악기, 관악기 및 타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가 [1] 기존의 악보에는 포함되어있지 않는, 또는 기존의 음악 기호로는 자세히 설명할 수 없는 상반신 부위, 하반신 부위, 몸통 부위, 또는 호흡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정보, [2] 상기 조작과 관련된 상기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3] 상기 조작 또는 자세를 총한 현악기, 관악기, 또는 타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4] 상기 자세나 상기 조작들을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다양한 표식 및 이들을 포함하는 표식 세트이다. 특히 연주자가 상반신 부위로 건반을 타격하거나 하반신 부위로 페달을 조작하며 음을 발생하는 건반악기와는 달리, 본 아홉 번째 측면의 다양한 표식은 [1] 연주자가 한 상반신 부위로는 활로 현을 진동시키는 동시에 다른 상반신 부위로는 상기 현을 조작함으로써 현이 발생하는 음의 진동수를 변화시키며 음을 발생하는 현악기, [2] 연주자가 호흡 부위로는 마우스피스에 바람을 내보내며 상반신 부위로는 상기 바람이 지나가는 경로의 길이나 두께 등을 조작함으로써 음을 발생하는 관악기, 또는 [3] 연주자가 상반신 부위 또는 하반신 부위로 악기의 일부를 타격하며 탸격음을 발생하는 타악기 등의 연주용 표식이라는 점이 상이하다.The ninth aspect of the marking for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hat the musicians playing strings, wind instruments and percussive musical instruments [1] are not included in the existing musical score, or the upper half of the body, [2] information on the anatomical posture of the part related to the operation, [3]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of the string, wind, or percussion part Information about the manipulation, or [4] a set of markers containing various indications that convey information about the attitude or the overall attitude of the player for the manipulations. Unlike keyboard musical instruments, in which the player hits the keyboard with the upper half of the body or manipulates the pedal to the lower half of the body, the various markings on the ninth side [1] At the same time, the upper part of the upper body changes the frequency of the sound generated by manipulating the strings, thereby generating a sound. [2] The player sends wind to the mouthpiece as the respiration site, A wind instrument that generates sound by manipulating the path or thickness of the path, or [3] a marker for a performance such as a percussion instrument that causes a player to strike a part of an upper body or lower part of a musical instrument and generate a trembling sound.

이와 같이 연주자가 현악기, 관악기, 또는 타악기를 연주하기 위하여 조작하는 신체 부위, 이를 위한 상기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 또는 상기 부위의 조작은 상술의 다양한 측면들에서 상세히 설명한 건반악기 연주를 위한 신체 부위, 상기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 또는 상기 부위의 조작과는 일반적으로 상이하다. 따라서 현악기, 관악기, 또는 타악기 연주용 표식들은 일반적으로 상술한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들과는 상이하게 구성되며, 또한 상술한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들과는 일반적으로 상이한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As such, the body part, the anatomical posture, or manipulation of the part for the player to manipulate to play a string, wind, or percussion instrument may include a body part for playing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s detailed in various aspects above, The anatomical posture of the region, or the manipulation of the region. Accordingly, markings for string, wind, or percussion instrument performance are generally configured differently from those of the aforementioned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marks, and are also configured to convey generally different information from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markings described above.

연주자가 건반악기의 건반을 타격할 때 사용하는 상반신 부위, 상기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나 조작 등은 현악기의 현이나 활을 조작하는 상반신 부위나 상기 부위의 자세 또는 조작들과 유사한 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아홉 번째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는 상술한 다양한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을 참고하여 현악기 연주용 표식을 구성하는 것이다. 특히 다양한 현악기 연주용 표식 역시 상술한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 상술한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과 동일하게 또는 유사하게 변형 또는 개량하여 다양한 현악기 연주용 표식을 구성할 수 있다.An upper body part used when a player hits a keyboard of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nd an anatomical posture or manipulation of the above part are similar to an upper body part or a posture or manipulation of a string or a bow. Therefore, the first embodiment of the ni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the marker for playing various keyboard musical instruments described above to construct a mark for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In particular, a variety of string instrument performance markings can be configured to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keyboard instrument performance markings described above, and can be modified or modified to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keyboard instrument performance markings described above.

일예로 오른손으로는 활을 조작하며 왼손으로 현을 조작하는 오른손잡이 연주자의 경우, 현악기의 특정 현을 누르며 진동하는 현의 길이를 조작하여 음을 발생하는 왼손가락이나 왼쪽 손목 등의 상반신 부위는 건반악기에 대한 상기 세 번째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에서 설명한 올바른 손가락 운지법과 유사한 현악기 손가락 운지법에 따라 조작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right-handed musicians who manipulate the bow with the right hand while manipulating the string with the left hand, the upper part of the left hand cadence or the left wrist, which generates a tone by manipulating the length of the vibrating string by pressing a string, It may be desirable to operate in accordance with a string finger fingering method similar to the correct finger fingering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third aspect of the musical instrument.

또한 현악기의 경우 힘이 강한 왼손 1번 손가락은 현의 길이를 조작하는 데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건반악기에 대한 상기 세 번째 측면의 두 번째, 세 번째, 여섯 번째, 또는 여덟 번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현악기를 연주하는 연주자도 왼손가락으로 현의 길이를 조작하는 한편 왼쪽 손목 및 왼팔의 피로를 최소화하도록 손가락이나 손허리 관절의 자세, 또는 팔의 각도나 위치를 유사하게 조작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Also, in the case of a string instrument, the first strong finger of the left hand is often not used to manipulate the length of the string, but the second, third, sixth, or eighth embodiment , A player playing a stringed instrument can similarly manipulate the position of the fingers or the hip joint or the angle or position of the arm to minimize the fatigue of the left wrist and the left arm while manipulating the string length with the left hand May be preferable.

또한 건반악기의 상기 세 번째 측면의 네 번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현악기 연주자도 힘이 약한 왼손 4번 손가락이나 5번 손가락으로 현의 길이를 조작하려면 손가락과 손등의 자세는 물론 손목의 유연성을 유지하고 활용할 수 있는 자세 및 이를 위한 조작이 필요할 수 있다.Similarly, as described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third aspect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 string player may be able to manipulate the length of a string by using the fourth finger or the fifth finger of the weak left hand, as well as the posture of the finger and the back of the hand, A posture that can be maintained and utilized and manipulation thereof may be required.

또는 건반악기의 상기 세 번째 측면의 다섯 번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현악기 연주자는 활을 조작하는 손목과 팔의 자세 또는 각도를 조작할 필요가 있으며, 경우에 따라 개구리가 점프하듯 활로 현을 조작함으로써 현을 진동시키는 힘이나 시간을 조작할 수 있다.Or similar to that described in the fifth embodiment of the third aspect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the string instrument player needs to manipulate the posture or angle of the wrist and arm to manipulate the bow and, in some cases, By manipulating, the force and time for vibrating the strings can be manipulated.

또한 건반악기의 상기 세 번째 측면의 여섯 번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5번 손가락으로 현의 길이를 변화하여 음의 진동수를 조작할 경우, 현악기 연주자는 손가락 사이의 새끼굽힘근(FDMN)을 근육처럼 기르고 활용하여야 음에 힘이 생기며 음색도 향상될 수 있다.Similarly, as described in the sixth embodiment of the third aspect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when manipulating the negative frequency by varying the length of the string with the fifth finger, the string player may play the FDMN between the fingers Muscle like to grow and utilize the strength of the sound can be improved and tone.

아울러 건반악기의 상기 세 번째 측면의 아홉 번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연주자가 활로 현을 조작할 때에는 독수리 부리처럼 단단한 느낌으로 손가락에 힘을 주어 활로 현을 조작하거나, 상기 세 번째 측면의 열 번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손가락을 독수리 발톱처럼 힘을 주어 새운 후 사냥감을 발톱으로 잡듯 활로 현을 조작할 수도 있다.In addition, similar to the case described in the ninth embodiment of the third aspect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when the player operates the bow string by bow, the bow string is manipulated by applying a force to the fingers in a firm feeling like an eagle beak, Similarly to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it is also possible to operate the string with the bow as the claws catch the game after the finger is earmarked like an eagle's claw.

이와 같이 상술한 아홉 번째 측면의 첫 번째 실시예의 다양한 신체 부위의 다양한 자세나 조작, 또는 이를 위한 현악기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에 대한 다양한 표식들은 상술한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들과 동일하게 또는 유사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현악기 연주용 표식들은 상술한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의 변형 또는 개량과 동일한 또는 유사한 구성이나 방법을 통하여 변형 또는 개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various postures or operations of various body part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ninth aspect described above, or various indications of the overall posture of the string musical player for the same, can be configured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as the above- have. Further, the above-described string instrument performance markings may be modified or improved through the same or similar construction or method as the above-described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keyboard instrument performance mark.

하지만 현악기 연주자는, 일예로 오른손잡이 연주자는, 왼손으로는 다양한 현을 지판의 다양한 위치에서 조작하는 동시에 오른손으로는 활을 조작하며 상기 현과 접촉하여 소리를 발생하며, 상기 조작 중 왼손의 자세나 조작과 오른손의 자세나 조작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아홉 번째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는 상술한 다양한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이 전달하지 않거나 전달할 수 없는 다양한 현악기 연주용 표식 중, 특히 활 또는 현의 조작, 상기 조작에 필요한 다양한 신체 부위의 자세 등에 대한 현악기 연주용 표식을 구성하는 것이다. 특히 바이올린, 비올라, 또는 첼로의 활을 오른손으로 조작하는 오른손잡이 연주자의 경우, 본 실시예의 현악기 연주용 표식은 주로 [1] 건반악기 연주자는 조작할 필요가 없으나 현악기 연주자는 반드시 오른손으로 조작해야하는 활의 조작, 또는 상기 조작을 위한 다양한 신체 부위의 자세와 관련되거나, [2] 건반악기와는 달리 오른손으로는 활을 조작하며 왼손으로는 현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활과 현의 특정 부분을 서로 접촉하여 음을 발생하기 위한 다양한 신체 부위의 조작, 또는 상기 조작을 위한 다양한 신체 부위의 자세와 관련되거나, [3] 상기 [1] 또는 [2]의 조작이나 자세를 통한 특정 음악적 기교의 실행이나 특정 음악적 표현의 구현과 관련되거나, [4] 촘촘하게 평행으로 배열된 다수의 현 중 특정 현을 특정 신체 부위로 조작하며 다양한 높이의 음을 연주하는 데 필요한 운지법 등의 왼손가락 조작, 또는 상기 조작을 위한 왼손 자세 등과 관련되거나, [5] 건반악기와는 달리 다양한 현의 특정 부분을 조작하여 특정 음을 발생하는 왼손가락 조작이나 이를 위한 자세 등과 관련되거나, 또는 [6] 상기 [4]나 [5]의 조작이나 자세를 통한 특정 음악적 기교의 실행이나 특정 음악적 표현의 구현과 관련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However, a string player, for example, a right-handed performer, operates the various strings at various positions of the fingerboard with the left hand, and operates the bow with the right hand to generate a sound in contact with the string, And the posture or the manipulation of the right hand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Therefore,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ni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string instrument performance markings that are not conveyed or conveyed by the various keyboard musical instrument markings described above, in particular, operations of bow or strings, And to construct a marker for playing a string instrumen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right-handed musicians who operate the bow of a violin, viola, or cello with a right hand, the markings of the string musical instrument of this embodiment are mainly [1], whil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layers do not need to be manipulated, [2] Unlike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the bow is manipulated by the right hand, and the bow is manipulated by the left hand to contact a specific part of the bow and the string, [3] the execution of a specific musical technique through the manipulation or attitude of the above [1] or [2], or the execution of a specific musical expression Or [4] manipulate a particular string of a plurality of strings arranged in closely spaced parallel to a specific body region, [5] Unlike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it is not limited to a left-handed rhythm operation that generates a specific sound by manipulating a specific portion of various strings, [6] Mostly, it is related to the execution of specific musical technique through the manipulation or posture of [4] or [5] or the implementation of specific musical expression.

따라서 상기 두 번째 실시예의 첫 번째 상세예의 현악기용 표식은 현악기의 현과 접촉하여 음을 발생하는 활의 조작 또는 이를 위한 신체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연주자는 활을 이용하여 현의 하부 (일예로 지판의 끝 부분), 현의 상부 (일예로 브릿지 부분), 또는 중부 (지판의 끝 부분과 브릿지 부분의 중간)를 접촉하여 음을 발생할 수 있으며, 연주자는 활의 상부 (즉 활에 부착된 털의 성부), 중부, 또는 하부를 현과 접촉시켜 음을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오른손잡이 연주자의 경우, 상기 표식은 오른손이나 오른팔을 이용하여 활로 현을 접촉하는 강도 또는 시간, 현을 접촉하는 활의 다양한 부분 (활의 상부, 중부, 또는 하부, 활의 반대편인 활대의 상부, 중부, 또는 하부 등), 활로 접촉하는 현의 부분 (현의 상부, 중부, 또는 하부), 활의 장축 방향에서의 활과 현의 각도, 상기 장축과 직각이 되는 방향에서의 활과 현의 각도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Therefore, the marking for the string instrument in the first detailed example of the second embodiment can be configured to transmit information on the operation of the bow which generates sound by contacting the strings of the stringed instrument, or the manipulation of the body part for this purpose. That is, a player can use a bow to make a sound by touching the lower portion of the string (for example, the end portion of the fingerboard), the upper portion of the strings (for example, the bridge portion) or the middle portion (middle portion of the fingerboard and the bridge portion) , The player can make a sound by touching the upper part of the bow (that is, the part of the hair attached to the bow), the middle, or the lower part of the bow string.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right-handed player, the marking may include the strength or time of contact with the bow string using the right hand or the right arm, the various portions of the bow that contact the string (top, middle, or bottom of the bow, (The upper, middle, or lower portion of the string), the angle of the bow and string in the major axis direction of the bow, the angle of the bow and string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 axis, Angle, and so forth.

따라서 상기 표식은 [1] 활의 상부, 중부, 또는 하부로 현의 상부 중부, 또는 하부를 접촉하는 일반적 보잉(bowing) 기법, [2] 활로 현의 하부(즉 지판의 끝 근처)를 연주하여 음을 작고 어렴풋이 연주하는 설테스토(sul tasto) 기법, [3] 활로 브릿지 근처의 현의 상부 또는 브릿지 위의 현을 연주하여 금속성의 고음을 발생하는 설폰티첼로(sul ponticello) 기법, [4] 활의 털이 아닌 활대로 현의 상부, 중부, 또는 하부를 연주하는 콜레그노트라토(col legno tratto) 기법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Therefore, the marking is [1] a general bowing technique in which the top, middle, or bottom of the bow touches the middle or bottom of the string, [2] the bottom of the bow string (ie near the end of the fingerboard) A sul tasto technique that plays a small, dimly-toned tone; [3] a sul ponticello technique that produces metallic treble by playing strings on the bridge's top or bridge's top near the bridge; [4] ] It is also possible to convey information about the col legno tratto technique of playing the top, middle, or bottom of a string with a non-hairy bows of the bow.

상기 두 번째 실시예의 두 번째 상세예의 현악기용 표식은 활의 장축 방향으로 위나 아래로 움직이는 활의 수평 이동 방향, 상기 장축과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위나 아래로 움직이는 활의 수직 이동 방향, 특정 음표나 악절을 연주하는데 사용하는 활의 길이나 부분, 이를 위한 오름활(up bow) 또는 내림활(down bow) 등의 활의 이동 방향이나 그 속도, 동일한 음표 또는 상이한 음표 연주 중 활의 이동 방향의 전환 또는 유지, 상기 방향을 유지하거나 전환하며 활로 상기 현을 누르는 강도나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In the second detailed example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marking for a string instrument includes a horizontal movement direction of the bow moving upward or down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w, a vertical movement direction of the bow moving upward or downwar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 axis, The direction or speed of movement of the bow, such as the up bow or down bow for the bow used to play the key, the switching of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bow during the performance of the same note or different notes, or Maintain or change the direction, and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strength or time of pressing the string with the bow.

따라서 상기 표식은 오른손으로 활을 현에 밀착시키며 연주하되, [1] 각각의 음마다 오른손으로 활의 방향을 바꾸며 연주하는 데타세(detache) 기법, [2] 다수의 음을 단일의 오름활 또는 내림활 등의 한 활로 이어 연주하는 레가토(legato) 기법, [3] 음을 짧게 끊도록 오른손으로 활을 조작하며 연주하는 스타카토(stacato) 기법, [4] 다수의 음을 약간씩 끊기되 한 활로 연주하도록 오른손을 조작하는 포르타토(portato) 기법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식은 오른손으로 활을 현에 밀착하며 연주하되, [1] 두 개의 높이가 다른 음을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활로 연주하도록 오른손을 조작하는 글리산도(glissando) 기법, [2] 활이 다수의 현을 함께 접촉하도록 오른손을 조작하며 연주하여 화음을 연주하는 중음주법(double stop) 기법, 또는 [3] 오른손으로 빠른 오름활과 내림활을 반복하며 한 음을 연주하는 트레몰로(tremolo) 기법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1] The detach technique, in which each bow changes its bow direction with its right hand. [2] When a plurality of notes is played in a single ascending or descending order, (3) a stacato technique to manipulate the bow by manipulating the bow with the right hand to shorten the note in a short way; (4) a bow with a small number of notes; And the portato technique of manipulating the right hand to play. [2] The glissando technique, which manipulates the right hand to play a single bow without distinguishing the two heights from each other, [2] A double stop technique for playing chords by manipulating the right hand to touch the strings together, or [3] a tremolo technique for playing a note by repeating fast ascending and descending bows with the right hand It may also convey information.

이와는 달리 상기 표식은 오른손으로 활을 현에서 간헐적으로 떼며 연주하는 다양한 표식도 포함한다. 일예로 상기 표식은 [1] 오른손으로 활을 현 위 5~10 cm 정도까지 뗀 후, 거의 수직으로 활을 현에 내리며 연주하는 살타토(saltato) 기법, [2] 상기 살타토 기법과 유사하지만 활을 붓으로 칠하는 느낌으로 연주하는 스피카토(spicato) 기법, [3] 오른손으로 활을 현에 접촉하되, 단일의 접촉에 대한 활대의 자연적 탄력만으로 활을 여러 번 튕기며 연주하는 리코세(ricochet) 기법, [4] 분산화음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음을 활의 수직 운동을 이용하여 오른손으로 각각 차례대로 연주하는 아르페지안도(arpeggiando) 기법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On the contrary, the marking also includes various markings that play with the right hand intermittently releasing the bow from the string. For example, the sign [1] is a salato technique, in which the bow is released by the right hand to a distance of 5 to 10 cm, and then the bow is played almost vertically. [2] A spicato technique that plays with the feeling of being painted by a brush; [3] a ricochet technique in which the bow is bounced and played with the natural elasticity of the bow to a single contact, , And [4] arpeggiando technique, in which a plurality of notes composed of distributed chords are played successively in succession us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bow.

상기 아홉 번째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의 첫 번째 및 두 번째 상세예의 다양한 현악기 연주용 표식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오른손을 이용한 활의 다양한 조작을 통한 음의 강약, 음의 지속, 음의 소거 또는 음색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상기 표식은 본 실시예의 다양한 조작이나 자세를 위한 오른손의 1번 손가락의 자세나 조작, 오른 팔목이나 오른팔의 자세나 조작, 오른쪽 어깨의 자세나 조작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arkings for various string musical performances in the first and second detailed examples of the ninth aspect of the ninth aspect include the intensity of the sound through various manipulations of the bow using the right hand, the sustain of the sound, the erasure of the sound, . In addition, the markings may convey information about the posture or operation of the first finger of the right hand, the posture or the operation of the right cuff or the right arm, or the posture or the operation of the right shoulder for various operations or postures of the present embodiment.

물론 상기 아홉 번째 측면의 두 번째 실시예의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상세예의 다양한 현악기 연주 기법들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다양한 표식은, 기보법의 기존의 표식과는 상이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술한 건반악기의 제1종, 제2종, 또는 제3종의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등이 건반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이나 이를 위한 연주자의 신체적 부위 조작 또는 자세를 의미하듯, 상기 첫 번째 및 두 번째 상세예의 다양한 현악기 연주용 표식 역시 활의 다양한 부분의 조작 및 이를 위한 현악기 연주자의 신체 부위의 자세 또는 이의 조작을 의미하는 제1종, 제2종, 또는 제3종의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등을 이용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It is, of course, preferable that the various indicia conveying information on the various string playing techniques of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ninth aspect are configured to differ from the existing indicia of the notation. In particular, as the first, second, or third type picture, icon, or symbol of the above-mentioned keyboard musical instrument refers to manipulation of a specific part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or physical position manipulation or posture of the performer for this purpose, The second and third detailed markings for playing string instruments may also include a first, second, or third type of picture, icon, or icon that represents the manipulation of various parts of the bow and the manipulation of the posture or manipulation of the body part of the string player, Or symbols or the like.

또한 현악기의 활의 조작에 대한 표식은 상기 첫 번째 상세예의 표식 또는 두 번째 상세예의 표식과 관련하여 설명한 활의 조작 외에도, 이와 상이한 활의 조작, 활의 특정 부분의 조작, 이를 위한 상반신 부위의 조작, 이를 통한 특정 음악적 기교의 실행, 이를 통한 특정 음악적 표현의 구현 등을 포함한다. 단 본 문장의 상기 상이한 조작, 상이한 자세, 상이한 기교, 또는 상이한 표현은 현악기를 연주하거나 이해하는 통상 지식인의 통상 지식에 해당한다. 따라서 통상 지식인은 상기 상이한 조작, 상이한 자세, 상이한 기교, 또는 상이한 표현을 본 명세서에서 상술한 다양한 건반악기용 제1종, 제2종, 또는 제3종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를 참고하여 현악기의 활과 관련된 다양한 제1종, 제2종, 또는 제3종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를 구성할 수 있다.Moreover, in addition to the operation of the bow described in relation to the mark of the first detailed example or the mark of the second detailed example, the mark for the operation of the bow of the string instrument may be different from the operation of the bow, the operation of the specific part of the bow, , Execution of specific musical skill through it, and implementation of specific musical expression through it. However, the different manipulations, different postures, different techniques, or different expressions of the sentence correspond to the conventional knowledge of a traditional intellectual who plays or understands a stringed instrument. Thus, in general,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different manipulations, different postures, different techniques, or different expressions may be used to refer to the first, second, or third type picture, icon, or symbol for a variety of keyboard instruments described herein, A variety of first, second, or third type pictures, icons, or symbols related to the bow can be constructed.

상기 두 번째 실시예의 세 번째 상세예의 현악기용 표식은 현악기의 현을 조작하는 손가락의 조작이나 이를 위한 자세, 상기 조작을 위한 손목이나 팔 등의 조작이나 이를 위한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오른손잡이 연주자의 경우, 상기 표식은 왼손가락으로 조작하는 현이나 상기 현의 특정 부분, 상기 현을 누르는 왼손가락의 강도나 시간, 상기 현을 누르는 각도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한다. 또한 상기 상반신표식은 특정 음을 연주하기 위하여 왼손으로 어떤 현을 누르는지, 특정 음을 어떤 왼손가락으로 어떻게 조작하며 연주하는 지에 대한 정보도 전달할 수 있다.The marking for the string instrument in the third detailed example of the second embodiment can be configured to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manipulation of the fingers manipulating the strings of the strings, the manipulation of the wrist or arm for the manipulation, have.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right-handed player, the marker transmits information about a string manipulated by a left-handed melody, a specific portion of the string, the strength and time of the left-hand melody pressing the string, and the angle at which the string is pressed. In addition, the upper body marking can also convey information about how to press a string with the left hand to play a particular note, and how to manipulate and play a specific note with a left handed melody.

따라서 상기 표식은 지판 위에서 손가락으로 현을 누르는 기본 기법 외에도 [1] 동일한 손가락으로 특정 음과 장2도 아래의 음을 번갈아 교차시키며 누름으로써 특정 음이 떨리는 효과 또는 음의 진폭을 증가시켜 음량을 증가시키는 비브라토(vibrato) 기법, [2] 상기 비브라토 중 손목 관절을 주로 이용하는 넥비브라토(neck vibrato) 기법, [3] 상기 비브라토 중 팔 전체를 주로 이용하는 팔비브라토(arm vibrato) 기법, [4] 손가락으로 한 음을 지속적으로 누르며 다른 손가락으로 바로 위의 장식음을 반복하여 눌렀다 띄었다 하며 연주하는 트릴(trill) 기법, [5] 손가락으로 현을 가볍게 누른 채 연주하여 높은 음역의 투명한 음 연주하는 하모닉스(harmonics) 기법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basic technique of pressing the string with finger on the fingerboard, the marking alternately crosses a certain note and a note below 2 degrees with the same finger, thereby increasing the volume by increasing the amplitude or amplitude of a certain note [2] a neck vibrato technique using mainly the wrist joints of the vibrato, [3] an arm vibrato technique using mainly the entire arm of the vibrato, [4] a finger vibrato technique using fingers A trill technique that repeatedly presses and shuffles one or more fingers repeatedly by pressing one note continuously, [5] harmonics that play a transparent note with a high range by pressing the string slightly with fingers, Techniques, and so on.

또한 상기 표식은 지판 위에서 단일 또는 다수의 손가락을 조작하며 단일 또는 다수의 현을 누름으로써 다수의 음을 동시에 연주하거나 또는 거의 동시에 순차적으로 연주하는 다양한 기법도 포함한다. 일예로 상기 표식은 [1] 다수의 현을 단일 또는 다수의 손가락으로 누르며 함께 연주하여 화음을 연주하는 중음주법(double stop) 기법, [2] 다수의 음을 단일의 한 활로 연주할 수 있도록 다수의 손가락을 조작하는 레가토(legato) 기법, [3] 다수의 음을 약간씩 끊으며 한 활로 연주하도록 다수의 손가락을 조작하는 포르타토(portato) 기법, [4] 두 개의 높이가 다른 음을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활로 연주하도록 다수의 손가락을 조작하는 글리산도(glissando) 기법, [5] 분산화음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음을 단일 또는 다수의 현을 동시에 또는 거의 동시에 누르며 각각 차례대로 연주하는 아르페지안도(arpeggiando) 기법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The marking also includes various techniques of playing a plurality of notes simultaneously or almost simultaneously and sequentially by manipulating a single or multiple fingers on a fingerboard and pressing a single or multiple strings. For example, the mark [1] is a double stop technique in which a plurality of strings are played with a single or multiple fingers and played together to play a chord, [2] a plurality of notes [3] a portato technique that manipulates a large number of fingers to play a single bow by breaking a few notes a little; [4] distinguishes two notes with different heights A glissando technique in which multiple fingers are manipulated to play a single bow, [5] arpeggios, in which a plurality of notes composed of distributed chords are played simultaneously or almost simultaneously at the same time, arpeggiando technique, and the like.

이와는 달리 상기 표식은 지판을 따라 왼손을 위아래로 이동하며 현악기의 스크롤에 가까운 제1포지션에서 높은 포지션으로 이동하거나 반대로 스크롤에 가까운 낮은 포지션으로 이동하는 포지션 이동(position shift) 기법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식은 활을 이용하지 않은 채 왼손가락으로 현을 뜯어 음을 발생하는 피치카토(pizzicato) 기법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indicia can convey information about a position shift technique that moves up and down the left hand along the fingerboard and moves from a first position close to the scroll of the string to a high position or vice versa. have. The marking may also convey information about a pizzicato technique that produces notes by pulling strings with the left hand rhythm without using the bow.

상기 세 번째 상세예의 다양한 현악기 연주용 표식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왼손을 이용한 현의 다양한 조작을 통한 음의 강약, 음의 지속, 음의 소거 또는 음색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상기 표식은 본 실시예의 다양한 조작이나 자세를 위한 왼손의 1번 손가락의 자세나 조작, 왼손의 2번 내지 5번 손가락의 자세나 조작, 왼팔목이나 왼팔의 자세나 조작, 왼쪽 어깨의 자세나 조작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arkings for various string musical instruments in the third detailed example may transmit information on intensity of the sound, duration of the sound, erasure of the sound, or tone color through various operations of the string using the left hand. In addition to the above, the marking may be applied to the posture or operation of the first finger of the left hand for various operations or postures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sture or operation of the second to fifth fingers of the left hand, the posture or operation of the left arm or left arm, Or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물론 상기 세 번째 상세예의 다양한 현악기 연주 기법들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다양한 표식은, 기보법의 기존의 표식과는 상이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술한 건반악기의 제1종, 제2종, 또는 제3종의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등이 건반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이나 이를 위한 연주자의 신체적 부위 조작 또는 자세를 의미하듯, 상기 첫 번째 및 두 번째 상세예의 다양한 현악기 연주용 표식 역시 현의 다양한 부분의 조작 및 이를 위한 현악기 연주자의 신체 부위의 자세 또는 이의 조작을 의미하는 제1종, 제2종, 또는 제3종의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등을 이용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Of course, it is preferable that the various markings conveying information on various string playing techniques of the third embodiment are different from existing markings of the notation. In particular, as the first, second, or third type picture, icon, or symbol of the above-mentioned keyboard musical instrument refers to manipulation of a specific part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or physical position manipulation or posture of the performer for this purpose, The second and third detailed markings for playing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may also be used for manipulating various parts of the string and for manipulating and manipulating the position of the body part of the stringed musical player or manipulating the body part of the string, Or symbols or the like.

또한 현악기의 현의 조작에 대한 표식은 상기 세 번째 상세예의 표식과 관련하여 설명한 현의 조작 외에도, 이와 상이한 현의 조작, 현의 특정 부분의 조작, 이를 위한 상반신 부위의 조작, 이를 통한 특정 음악적 기교의 실행, 이를 통한 특정 음악적 표현의 구현 등을 포함한다. 단 본 문장의 상기 상이한 조작, 상이한 자세, 상이한 기교, 또는 상이한 표현은 현악기를 연주하거나 이해하는 통상 지식인의 통상 지식에 해당한다. 따라서 통상 지식인은 상기 상이한 조작, 상이한 자세, 상이한 기교, 또는 상이한 표현을 본 명세서에서 상술한 다양한 건반악기용 제1종, 제2종, 또는 제3종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를 참고하여 현악기의 현과 관련된 다양한 제1종, 제2종, 또는 제3종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를 구성할 수 있다.Moreover, in addition to the manipulation of the prefecture described in relation to the markings of the third detailed example, the markings on the manipulation of the strings of the stringed musical instrument may be performed by manipulating different strings, manipulating specific portions of the strings, manipulating the upper half of the strings, And implementation of specific musical expressions through it. However, the different manipulations, different postures, different techniques, or different expressions of the sentence correspond to the conventional knowledge of a traditional intellectual who plays or understands a stringed instrument. Thus, in general,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different manipulations, different postures, different techniques, or different expressions may be used to refer to the first, second, or third type picture, icon, or symbol for a variety of keyboard instruments described herein, It may constitute a variety of first, second, or third kind pictures, icons, or symbols related to the prefecture.

한편 관악기의 경우, 연주자가 건반악기의 건반을 타격할 때 사용하는 상반신 부위, 상기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나 조작 등은 관악기의 키(key), 링, 또는 홀 등을 조작하는 상반신 부위나 상기 부위의 자세 또는 조작들과 유사한 점이 존재한다. 하지만 관악기 연주자가 관악기에 공기를 공급하는 호흡 부위, 상기 부위의 조작, 또는 마우스피스 등과 같이 상기 공기를 공급받는 관악기의 특정 부분은 건반악기와는 상이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아홉 번째 측면의 세 번째 실시예는 상술한 다양한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을 참고하여 관악기 연주용 표식을 구성하는 것이다. 특히 다양한 관악기 연주용 표식 역시 상술한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 상술한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과 동일하게 또는 유사하게 변형 또는 개량하여 다양한 현악기 연주용 표식을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wind instrument, an upper body part used when a player hits a keyboard of a keyboard instrument, an anatomical posture or an operation of the above part is an upper body part for operating a key, a ring, There are similarities with the posture or operations of However, the specific part of the wind instrument to which the air is supplied, such as the breathing area where the wind instrument player supplies air to the wind instrument, the manipulation of the part, or the mouthpiece, is different from the keyboard instrument. Therefore, the third embodiment of the ni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the markings for performance of the various keyboard musical instruments described above, and constitutes markers for wind instrument performance. In particular, various markings for wind instrument performance can be configured to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markings for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as well as various markings for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can be constructed or modified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as the markings for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상기 세 번째 실시예의 첫 번째 상세예의 관악기용 표식은 다양한 상반신 부위와 관련된 표식이다. 일예로 관악기 연주용 상반신 표식은 연주자가 상반신 부위로 관악기의 몸통에 설치된 다양한 키, 링, 또는 홀 등과 같은 특정 부분을 조작하되, [1] 상기 조작의 동적 특성이나 정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2] 상기 키, 링, 또는 홀 등의 특정 부분의 조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3] 상기 조작을 수행하는 연주자의 상반신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4] 이를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The wind instrument markings in the first detailed example of the third embodiment are indicia associated with various upper body parts. For example, the upper body marking for win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is operated by a player operating a specific part such as various keys, rings, or holes provided on the body of the wind instrument as an upper body part, [1] providing information on dynamic characteristics or 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operation, [2] provide information on manipulation of a specific part of the key, ring, or hole, [3]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anatomical posture of the player's upper body performing the manipulation, or [4]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overall attitude of the player for this purpose.

특히 관악기 연주자를 위한 상반신 표식은 연주자가 한 손 또는 양손으로 키, 링 또는 홀 등과 같이 관악기의 특정 부위를 다루는 조작 및 이를 위한 해부학적 자세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관악기 연주자를 위한 상반신표식은 그 속성이 건반악기 연주자를 위한 상반신표식과 유사한 부분이 많다.Particularly, the upper half mark for a wind instrument player provides information on manipulation and anatomic attitude for manipulating a specific part of a wind instrument such as a key, a ring or a hole with one hand or both hands. Therefore, in general, the upper half marker for a wind instrument player has many features similar to the upper half marker for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layer.

하지만 건반악기의 경우 크기가 일정한 건반들이 일정하게 또는 대칭적으로 배열되는 반면, 관악기의 키, 링, 홀 등은 그 크기가 상이하기도 하며, 그 배열조차 대칭이 아닌 경우가 많다. 또한 건반악기의 다수의 건반이 배열된 방향은 건반악기 연주자가 양팔을 벌리는 방향과 일치하지만, 관악기의 키, 링, 홀 등이 배열된 방향은 악기에 따라 관악기 연주자가 양팔을 벌리는 방향과 일치하기도 하지만 (일예로 플룻의 경우), 이와 수직일 수도 있다 (일예로 오보나 트럼펫의 경우). 따라서 관악기 연주용 상반신표식은 각각의 관악기의 구조 및 작동 상의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기 때문에 건반악기의 상반신표식과 상이할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the keys of constant size or symmetry are arranged in a regular or symmetrical manner, while the keys, the rings and the holes of the wind instruments are different in size, and the arrangement is not even symmetrical. Also, the direction in which the keyboard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is arranged corresponds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layer opens the arms, but the direction in which the keys, the ring, and the holes of the wind instrument are arranged corresponds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nd instrument player opens the arms However, it may be vertical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flute) or vertical (in the case of an oboe or trumpet, for example). Therefore, the upper body marking for wind instrument performance may be different from the upper body marking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because it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structure and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each wind instrument.

상기 세 번째 실시예의 두 번째 상세예의 관악기용 표식은 다양한 호흡 부위와 관련된 표식이다. 일예로 관악기 연주용 호흡 표식은 연주자가 입, 입술, 잇몸, 혀, 또는 치아 등 다양한 호흡 부위를 조작하여 관악기에 바람을 공급하되, [1] 상기 조작의 동적 특성이나 정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2] 이를 위하여 마우스피스 등 관악기의 특정 부분의 조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3] 상기 조작을 수행하는 연주자의 호흡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4] 이를 위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The wind instrument markings in the second detailed example of the third embodiment are indicia associated with various respiratory sites. For example, a respiratory sign for wind instrument performance may be provided by a player manipulating various breathing areas such as mouth, lips, gums, tongue, or teeth to provide wind to the wind instrument, [1]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dynamic or 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operation , [2] provide information on manipulation of a specific part of a wind instrument such as a mouthpiece, [3] provide information on an anatomical posture of a respiratory part performing the manipulation, or [4] And may provide information on the overall attitude of the performer.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관악기용 호흡표식은 연주자가 마우스피스를 통하여 관악기에 주입하여 음을 발생하는 바람의 생성, 공급, 조절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관악기 연주자는 입, 기도, 또는 폐 등의 호흡 부위를 이용하는 들숨, 날숨은 물론, 입, 입술, 잇몸, 혀, 또는 치아 등의 호흡 부위를 이용하여 바람의 공급 유무, 공급량, 공급 시점 등을 조작하며, 이에 따라 관악기 호흡표식 역시 이에 대한 정보를 전달한다. 따라서 관악기 연주자를 위한 호흡표식은 일반적으로 견반악기 또는 현악기 연주자를 위한 호흡표식보다 더 다양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관악기 호흡표식은 텅잉(tonguing)을 이용하여 혀를 잇몸 또는 마우스피스에 붙였다 떼었다하며 음의 발생, 음의 소거 등을 조작함은 물론 비브라토, 더블 텅잉, 트리플 텅잉, 꾸밈음 등의 음악적 표현 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며, 이를 위한 호흡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그 결과 관악기 연주자를 위한 다양한 호흡표식은 관악기의 이러한 구조 및 작동 상의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기 때문에 건반악기의 호흡표식과 상이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respiratory marker for a wind instrument can provide information on the generation, supply, and control of wind generated by the player by injecting the wind instrument through the mouthpiece. Particularly, a wind instrument player uses the respiration site such as mouth, lips, gums, tongue, or teeth as well as inhale, expiration using respiration site such as mouth, airway or lung, And the wind musical breath sign also transmits information about it. Thus, respiratory markers for wind instrument players can generally be configured in a variety of ways to convey more information than respiratory markers for musical instrument or string instrument players. Therefore, the wind musical breathing sign uses tonguing to attach the tongue to the gum or mouthpiece and to separate it from the musical expression such as vibrato, double tonguing, triple tonguing, ornaments as well as manipulating the generation of sound and the elimination of sound. Information can be conveyed, and information about the breathing method can be transmitted. As a result, various respiratory markers for wind instrument players may differ from the respiratory markings of keyboard musical instruments because they convey information about these structural and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wind instrument.

상술한 본 명세서의 아홉 번째 측면의 다양한 현악기, 관악기, 또는 타악기 연주용 호흡표식은 상기 첫 번째 내지 세 번째 실시예에서 예시한 다양한 실시예 또는 상세예 외에도, 아래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변형 또는 개량도 포함한다.The respiration markings for various strings, wind instruments, or percussive musical instruments of the ni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or improve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o the various embodiments or detailed examples illustrated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

본 명세서의 아홉 번째 측면의 첫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적절한 주석부의 작성 및 활용이며, 이는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건반악기용 상반신표식들 및 건반 조작에 대한 첫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을 다양한 현악기용, 관악기용, 또는 타악기용 상반신표식, 몸통표식, 또는 호흡표식에 적용하는 변형 또는 개량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first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ninth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he creation and utilization of appropriate annotations, which are the first aspect of the above-mentioned third aspect of the upper instrument markings for the keyboard instrument and the first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keyboard operation for various string instruments, The same or similar to a modification or improvement applied to an upper body marker, a torso marker, or a breathing marker for a percussion instrument or a percussion instrument. Therefore, further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의 아홉 번째 측면의 두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현악기용 표식의 변형 또는 개량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현악기용 표식은 현악기 연주자에게 [1] 기존 악보에는 포함되지 않거나 기존 기보법으로는 자세히 설명할 수 없는 상반신 부위, 몸통 부위, 또는 호흡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 [2] 이를 위한 상기 다양한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정보, [3] 상기 자세 또는 조작을 통한 현악기의 활의 특정 부분 또는 현의 특정 부분의 조작에 대한 정보, 또는 [4] 상기 자세니 조작들과 관련된 연주자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하며, 이를 위하여 제1종, 제2종, 제3종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현악기 연주용 표식과 관련된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등의 다양한 표식 역시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다양한 상반신표식에 대한 두 번째 변형 또는 개량과 유사하게 단순화, 만화화, 또는 구체화를 통하여 동일한 종 또는 상이한 종의 그림, 아이콘, 또는 기호 형태의 현악기 연주용 표식으로 변형 또는 개량될 수 있으며, 상기 변형 또는 개량된 현악기 연주용 표식 역시 주석부를 활용하여 일관성 있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두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관악기 연주용 표식 또는 타악기 연주용 표식을 구성하기 위해서도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다.The second variation or improvement of the ninth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marking for the stringed instrument. As described above, the marking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includes [1] information on the anatomical attitude of the upper body part, trunk part, or respiratory part which is not included in the existing musical score or can not be explained in detail by the conventional notation, [3] information on the manipulation of a specific part or a specific part of the bow of the string instrument through the above posture or manipulation, or [4] information on manipulation of the various parts of the musical instrument And information on the overall attitude of the user. For this purpose, a first type, a second type, a third type picture, an icon, or a symbol may be used. Thus, various markings, such as pictures, icons, or symbols, associated with the markings for stringed musical performance may also be applied to the same or different types of characters by simplifying, com- municating, or embodying similar to the second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various upper- And can be transformed or improved into a mark for playing a string in the form of a figure, an icon, or a symbol, and the mark for the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string instrument can also be used consistently using an annotation. Therefore, further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The second modification or improvement can be similarly applied to constitute markings for wind instrument performance or percussion instrument performance.

본 명세서의 아홉 번째 측면의 세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현악기 연주용 표식을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며, 상기 아홉 번째 측면의 네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기 현악기 연주용 표식의 테두리나 배경의 모양 또는 색상을 조작함으로써, 특정 수효의 현악기 연주용 표식으로 더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며, 상기 아홉 번째 측면의 다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신축성 있는 재질로 상기 현악기 연주용 표식을 제작하는 것이다. 상기 아홉 번째 측면의 세 번째 내지 다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에 의한 다양한 현악기 연주용 표식들은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세 번째 내지 다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에 의한 상반신표식들과 비교하면, 연주하는 악기 및 조작하는 악기의 부분들이 상이할 뿐, 기타 특성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세 번째 내지 다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관악기 연주용 표식 또는 타악기 연주용 표식을 구성하기 위해서도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다.The third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ni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the marker for training the string instrument as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material, and the four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ninth side is to change the shape or color of the border or background of the stringed instrument marker To transmit a greater number of pieces of information to a string of playing instruments for a certain number of pieces, and the fif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ninth aspect is to produce the markings for playing the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a stretchable material. As compared with the upper half markings by the third to fif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third aspect described above, the markings for various string musical instruments by the third to fif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ninth aspect are compared with the musical instruments to be played and musical instruments to be operated The other features are the same or similar. Therefore, further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The third to fifth modifications or improvements may be similarly applied to construct markings for wind instrument performance or percussion instrument performance.

본 명세서의 아홉 번째 측면의 여섯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술한 현악기 연주용 표식을 연주자의 주문화(customization) 또는 개인화(personalization) 등이 가능하도록 제작하는 것이며, 상기 아홉 번째 측면의 일곱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술한 현악기 연주용 표식을 다수 포함하는 표식 세트의 구성 및 상기 표식 세트의 배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아홉 번째 측면의 여덟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연주자가 상기 표식을 시각이 아닌 촉각을 이용하여 인지할 수 있도록 현악기 연주에 대한 촉각표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아홉 번째 측면의 여섯 번째 내지 여덟 번째 변형 또는 개량에 의한 다양한 현악기 연주용 표식들은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여섯 번째 내지 여덟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의 상반신표식들과 비교하면, 연주하는 악기 및 조작하는 악기의 부분들이 상이할 뿐, 기타 특성 역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여섯 번째 내지 여덟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관악기 연주용 표식 또는 타악기 연주용 표식을 구성하기 위해서도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다.The six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ni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duce the above-described string instrument performance mark so as to enable customization or personalization of the player, and the seven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ninth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figuration of a set of markers including a plurality of markings for string musical instruments and an arrangement of the markers, and an eigh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ninth aspect is performed so that a player can recognize the markers To provide tactile indicia for stringed instrument performance. As compared with the sixth to eighth modified or improved upper half markings of the third aspect described above, the markings for various string musical instruments by the sixth to eigh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ninth aspect a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playing musical instrument and the manipulating musical instrument The other parts are the same, and the other characteristics are the same or similar. Therefore, further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The sixth through eighth modifications or improvements may be similarly applied to constitute marks for wind instrument performance or percussion instrument performance.

본 명세서의 아홉 번째 측면의 열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다양한 현악기 연주용 표식들을 이용하여 상반신 부위, 몸통 부위, 또는 호흡 부위를 이용한 현악기의 활 또는 현의 조작, 상기 조작을 위한 상기 부위의 자세, 또는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다양한 표식을 이용하여 상술한 정보는 물론 이와 관련된, 또는 이에는 포함되지 않은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현악기 연주용 표식들은 연주자가 상기 다양한 부위로 현악기의 활이나 현을 조작하되 [1] 상기 조작의 동적 특성이나 정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2] 활 또는 현의 특정 부분을 조작하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또는 [3] 상기 조작을 수행하는 연주자의 다양한 부위의 해부학적 자세에 대한 정보나 전체적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정적 또는 동적 정보는 상술한 세 번째 측면의 열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의 상반신표식들과 비교하면, 연주하는 악기 및 조작하는 악기의 부분들이 상이할 뿐, 기타 특성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열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관악기 연주용 표식 또는 타악기 연주용 표식을 구성하기 위해서도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다.The tenth modification or amendment of the ninth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based on the manipulation of bow or strings of a stringed instrument using the upper body part, the torso part, or the breathing part, the attitude of the part for the above manipulation, Using a variety of indicia that convey information about the attitude, to convey a variety of information, including, or not related to, the above information. For this purpose, the markings for playing the string instrument are designed to allow the player to manipulate the bow or string of the string instrument to the various parts, [1]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dynamic or static characteristics of the operation, [2] Or [3] provide information on the anatomical posture or overall posture of the various parts of the player performing the operation. The static or dynamic information is the same or similar to those of the tenth or modified upper half markings of the third aspect, except that the parts of the musical instrument to be played and the musical instrument to be operated are different. Therefore, further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The ten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may be similarly applied to constitute markings for wind instrument performance or percussion instrument performance.

본 명세서의 아홉 번째 측면의 열한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술한 다양한 현악기 연주용 표식들을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강사는 각각의 표식이 전달하는 정보에 따라 학습자 개개인이 부족하거나 잘못된 신체 부위의 조작, 활 조작, 또는 현 조작이나, 상기 부위의 자세 등을 상기 현악기 연주용 표식들을 이용하여 함축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며 교정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규격화된 다양한 현악기 연주용 표식을 사용함에 따라, 대부분의 강사는 어린이 또는 초보 학습자에게도 현악기를 연주할 때 활이나 현을 다양한 신체 부위를 이용하여 조작하는 데 필요한 음악적 기교나 이를 통하여 구현할 수 있는 음악적 표현을 일관성 있게 교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린이나 초보 학습자들도 강사 개개인의 교육 능력의 차이에도 불구하도 연주에 필요한 다양한 신체 부위의 조작, 상기 조작을 통한 자세 등에 대하여 규격화된 교육을 받을 수 있다. 강사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규격화된 현악기 연주용 표식을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상기 조작, 자세 등에 대한 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열한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관악기 연주용 표식 또는 타악기 연주용 표식을 구성하기 위해서도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다.The eleventh variation or improvement of the ninth asp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use the various string musical instrument markings described above for various purposes. Therefore, the lecturer may transmit the information implicitly to the lecturer using the markings of the string instrument, such as the lack of individual learners, the manipulation of the wrong body part, the bow operation or the present manipulation, or the posture of the part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delivered by the respective markers Can be calibrated. In addition, by using various standardized string instrument performance markings as described above, most instructors can teach musical skill required for children or novice learners to manipulate bows or strings with various body parts when playing strings, It is possible to train the musical expression which can be consistently. Therefore, children and novice learners can receive a standardized education on manipulation of various parts of the body required for playing, attitude through manipulation, etc., despite differences in the educational ability of individual instructors. The lecturer can also teach the learner about the manipulation, posture, etc. using the standardized string instrument performance mark as described above. The eleven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may be similarly applied to constitute markings for wind instrument performance or percussion instrument performance.

앞서 설명하였듯이 상술한 다양한 현악기 연주용 표식들은 오른손잡이 연주자, 즉 왼손으로 현을 조작하며 오른손으로 활을 조작하는 연주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아홉 번째 측면의 열두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상술한 다양한 현악기 연주용 표식들을 왼손잡이 연주자를 위하여 변형 또는 개량하는 것이다. 특히 왼손잡이 연주자를 위한 상기 현악기 연주용 표식들은 상술한 다양한 현악기 연주용 표식에서 왼손과 오른손, 왼손가락과 오른손가락을 교체함으로써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열두 번째 변형 또는 개량은 관악기 연주용 표식 또는 타악기 연주용 표식을 구성하기 위해서도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bove-mentioned markings for various string instrument performances were targeted to a right-handed player, that is, a player who manipulates a string with his left hand and operates his bow with his right hand. Thus, the twelf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of the ni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dify or improve the various string musical instrument markings described above for the left-handed performer. Particularly, the markings for playing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for a left-handed player can be easily configured by replacing the left and right hands, left-handed and right-handed fingers in the above-described various string instrument performance markings. The twelfth modification or improvement may be similarly applied to constitute markings for wind instrument performance or percussion instrument performance.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에서는 건반악기, 현악기, 관악기 및 타악기 등의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에 대한 다양한 측면, 각 측면의 다양한 실시예 또는 상세예를 관련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였다. 하지만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에 대한 상술의 실시예 및 상세예는 전반적인 이해를 위하여 제공되었을 뿐이며, 하술의 청구항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함은 아니다. 또한 상술한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은 상기 악기들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악기 제작자, 악기 연주자들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또는 개량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악기 연주용 표식에는 상술한 다양한 악기 연주용 표식과 균등하거나 상기 연주용 표식의 등가적 변형 또는 등가적 개량도 포함된다.As described above, various aspects and aspects of various aspects and aspects of various musical instrument markings such as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 string instrument, a wind instrument, and a percussion instrument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detailed examples of the marker for performing various musical instruments have been provided for an overall understanding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marker for playing various musical instruments can be variously modified or improved by musical instrument makers and musical instrument musicians having common knowledge in the fields to which the musical instruments belong. Thus, the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markings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 equivalents of the above-described various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marks or an equivalent modification or equivalent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markings.

10: 표식 11: 세부표식
12: 주석부 13: 부착부
16: 표식의 전면 17: 표식의 후면
20: 악보 30: 표식 세트
31: 표식 세트의 밑판 36: 밑판의 전면
37: 밑판의 후면
10: Mark 11: Detail Mark
12: Tin section 13: Attachment section
16: Front of the marking 17: Rear of the marking
20: Sheet music 30: Marker set
31: base plate of the mark set 36: front face of the base plate
37: Rear of the base plate

Claims (33)

건반악기 연주에 대한 기보법에 의한 기호와는 상이하며,
연주자의 하반신 부위의 자세, 상기 하반신 부위의 조작과, 상기 건반악기의 페달의 조작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상기 연주자에게 그림과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달함으로써,
상기 건반악기 연주자의 특정 음악적 기교 실행과 특정 음악적 표현 구현 중 하나 이상에 대한 도움을 주도록 구성된 건반악기 연주용 하반신표식.
It is different from the notation by notation method for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n attitude of a lower part of a player's body, an operation of a lower half part of the player, and an operation of a pedal of the keyboard instrument is transmitted to the player using at least one of a picture and an icon,
A lower half body marker for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instrument that is configured to provide assistance for one or more of the specific musical skill implementations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layer and a particular musical expression implement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반신 부위는 발가락, 발가락뼈, 발등, 발허리뼈, 발목, 발목뼈, 아래발, 아래발뼈, 윗발, 윗발뼈, 무릎, 무릎뼈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연주용 하반신표식.
2. The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body part is one of a toe, a toe bone, a foot, a foot bone, an ankle, an ankle bone, a lower foot, a lower foot bone, an upper foot, Lower body mark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은 우측페달, 중간페달, 좌측페달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연주용 하반신표식.
The lower half body marker for playing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edal is one of a right pedal, a middle pedal, and a left ped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반신표식이 음표가 인쇄된 종이에 상기 음표와 함께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연주용 하반신표식.
The lower half marker for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half marker is printed on a paper on which notes are printed together with the not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반신표식은 종이, 플라스틱, 금속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연주용 하반신표식.
The lower half body marker for playing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half body marking includes at least one of paper, plastic, and met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반신표식은 전면과 후면을 가지며, 상기 전면은 상기 그림과 아이콘 중 상기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반면, 상기 후면은 접착제를 포함하는 부착부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상기 후면의 상기 부착부는 종이에 부착되며, 이에 따라 상기 하반신표식 역시 상기 종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연주용 하반신표식.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lower half marker has a front surface and a rear surface, the front surface includes one or more of the images and icons, and the rear surface includes an attachment portion including an adhesive, Wherein the attaching portion is attached to the paper so that the lower half mark is also attached to the pap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종이에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상기 하반신표식 역시 상기 종이에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연주용 하반신표식.
[7] The label of claim 6, wherein the adhesive is attachable to and detachable from the paper so that the lower half mark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paper.
건반악기 연주에 대한 기보법에 의한 기호와는 상이하며,
연주자의 하반신 부위의 자세, 상기 하반신 부위의 조작과, 상기 건반악기의 페달의 조작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상기 연주자에게 첫 번째 그림과 첫 번째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하반신표식과
상기 연주자의 상반신 부위의 자세, 상기 상반신 부위의 조작과, 상기 건반악기의 건반의 조작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상기 연주자에게 두 번째 그림과 두 번째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상반신표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 세트.
It is different from the notation by notation method for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One or more lower body markers for deliver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n attitude of a lower body part of a performer, an operation of the lower half body part, and an operation of a pedal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to the player using at least one of a first picture and a first icon, and
Wherein the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the posture of the upper part of the player, the operation of the upper body part, and the operation of the keyboard instrument of the keyboard instrument is transmitted to the player using one or more of the second picture and the second icon, Wherein the marking includes a mark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 중 하나 이상은 종이, 플라스틱, 금속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연주용 하반신표식 세트.
9. The set of claim 8, wherein at least one of the markings comprises at least one of paper, plastic, and meta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반신 부위는 발가락, 발가락뼈, 발등, 발허리뼈, 발목, 발목뼈, 아래발, 아래발뼈, 윗발, 윗발뼈, 무릎, 무릎뼈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 세트.
10. The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lower body part is one of a toe, a toe bone, a foot, a foot bone, an ankle, an ankle bone, a lower foot, a lower foot bone, an upper foot, Set of marker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반신 부위는 손가락, 손가락뼈, 손등, 손허리뼈, 손목, 손목뼈, 아래팔, 아래팔뼈, 위팔, 위팔뼈, 어깨, 어깨뼈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 세트.
9.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s set forth in claim 8, wherein the lower body part is one of a finger, a finger bone, a back of a hand, a waist bone of a hand, a wrist, a biceps of a lower arm, a lower arm, a upper arm, A set of markers for performan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은 우측페달, 중간페달, 좌측페달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 세트.
The marker set for playing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pedal is one of a right pedal, a middle pedal, and a left pedal.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은 전면과 후면을 가지며, 상기 전면은 상기 그림과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반면, 상기 후면은 접착제를 포함하는 부착부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후면의 상기 부착부는 종이에 부착되어 상기 표식 역시 상기 종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 세트.
9. The apparatus of claim 8, wherein the indicia has a front and a back surface, wherein the front surface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figure and the icon, while the back surface includes an attachment comprising an adhesive, Wherein the label is attached to the paper so that the mark is also attached to the pap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종이에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하여, 상기 표식 역시 상기 종이에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 세트.
14. The set of markers for playing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adhesive is attachable to and detachable from the paper so that the mark is also attachable to and detachable from the pap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은 전면과 후면을 가지고, 상기 표식 세트는 밑판을 가지며, 상기 전면은 상기 그림과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반면, 상기 후면은 접착제를 포함하는 부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후면의 상기 부착부는 밑판에 부착되지만 상기 밑판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 세트.
9. The apparatus of claim 8, wherein the indicia comprises a front and a back, the indicia set having a base, the front comprises at least one of the figure and the icon, while the back comprises an adhesive comprising an adhesive,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of the rear surface is attached to the base plate but can be detached from the base plate.
건반악기 연주에 대한 기보법에 의한 기호와는 상이하며,
연주자의 하반신 부위의 자세, 상기 하반신 부위의 조작과, 상기 건반악기의 페달의 조작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상기 연주자에게 첫 번째 그림과 첫 번째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하반신표식과
상기 연주자의 호흡 부위의 자세, 상기 호흡 부위의 조작과, 상기 건반악기의 건반과 상기 페달 중 하나 이상의 조작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상기 연주자에게 두 번째 그림과 두 번째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호흡표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 세트.
It is different from the notation by notation method for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One or more lower body markers for deliver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n attitude of a lower body part of a performer, an operation of the lower half body part, and an operation of a pedal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to the player using at least one of a first picture and a first icon, and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the posture of the respiratory part of the player, the operation of the respiration part, and the operation of one or more of the keyboard and the pedal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to the player using one or more of the second picture and the second icon Wherein the at least one respiratory marker comprises at least one breathing indicia for delivering the at least one respiratory marke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 중 하나 이상은 종이, 플라스틱, 금속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 세트.
17. The set of markers for playing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at least one of the markings comprises at least one of paper, plastic, and metal.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반신 부위는 발가락, 발가락뼈, 발등, 발허리뼈, 발목, 발목뼈, 아래발, 아래발뼈, 윗발, 윗발뼈, 무릎, 무릎뼈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 세트.
18. The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lower half of the body is one of a toe, a toe bone, a foot, a foot bone, an ankle, an ankle bone, a lower foot, a lower foot bone, an upper foot, Set of markers.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 부위는 입술, 이, 잇몸, 혀, 기도, 폐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 세트.
17. The set of markers for playing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respiratory region is one of a lip, a tooth, a gum, a tongue, a prayer, and a lung.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은 우측페달, 중간페달, 좌측페달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 세트.
The marker set for playing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pedal is one of a right pedal, a middle pedal, and a left pedal.
제16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표식은 전면과 후면을 가지며, 상기 전면은 상기 그림과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반면, 상기 후면은 접착제를 포함하는 부착부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후면의 상기 부착부는 종이에 부착되어 상기 표식 역시 상기 종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 세트.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at least one marking has a front and a back, the front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figure and the icon, while the back comprises an attachment comprising an adhesive, Wherein the attachment portion is attached to the paper so that the mark is also attached to the paper.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종이에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하여, 상기 표식 역시 상기 종이에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 세트.
22. The set of markers for playing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claim 21, wherein the adhesive is attachable to and detachable from the paper so that the mark is also attachable to and detachable from the pape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식은 전면과 후면을 가지고, 상기 표식 세트는 밑판을 가지며, 상기 전면은 상기 그림과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반면, 상기 후면은 접착제를 포함하는 부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후면의 상기 부착부는 밑판에 부착되지만 상기 밑판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연주용 표식 세트.
17. The article of claim 16, wherein the indicia comprises a front and a back, the indicia set having a base, the front comprises at least one of the figure and the icon, while the back comprises an adhesive comprising an adhesive, Wherein the mounting portion of the rear surface is attached to the base plate but can be detached from the base plate.
건반악기 연주자의 하반신 부위의 자세, 상기 하반신 부위의 조작과, 상기 건반악기의 페달의 조작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상기 연주자에게 전달하되,
상기 하반신 부위의 해부학적 구조와 상기 하반신 부위의 조작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제1종 그림, 상기 제1종 그림을 단순화한 제1종 아이콘, 상기 하반신 부위의 상기 구조와 상기 하반신 부위의 상기 조작을 의미하는 동물의 부위와 상기 동물의 부위의 조작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제2종 그림, 상기 페달의 조작에 대한 동물의 부위와 상기 동물의 부위의 조작에 대한 제2종 그림, 상기 제2종 그림을 단순화한 제2종 아이콘, 상기 하반신 구조의 상기 구조와 상기 하반신 부위의 조작을 의미하는 무생물에 대한 제3종 그림, 상기 제3종 그림을 단순화한 제3종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연주용 하반신표식.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n attitude of a lower body part of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layer, an operation of a lower half body part and an operation of a pedal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 first type icon for at least one of an anatomical structure of the lower half body part and an operation of the lower half body part, a first type icon that simplifies the first type image, a second type icon for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the lower half body part, A second species picture for at least one of the meaning of an animal part and the operation of the animal part, a second kind picture for the operation of the animal part and the animal part for the operation of the pedal, , A third type icon for the inanimate object representing the structure of the lower half body structure and the manipulation of the lower half body part, and a third type icon for simplifying the third type picture, And th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lower half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하반신 부위는 발가락, 발가락뼈, 발등, 발허리뼈, 발목, 발목뼈, 아래발, 아래발뼈, 윗발, 윗발뼈, 무릎, 무릎뼈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연주용 하반신표식.
25. The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claim 24, wherein the lower body part is one of a toe, a toe bone, a foot, a foot bone, an ankle, an ankle bone, a lower foot, a lower foot bone, an upper foot, Lower body marker.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은 우측페달, 중간페달, 좌측페달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연주용 하반신표식.
25. The bottom half marker for playing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ccording to claim 24, wherein the pedal is one of a right pedal, a middle pedal, and a left pedal.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하반신표식이 음표가 인쇄된 종이에 상기 음표와 함께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연주용 하반신표식.
25. The lower body half marker for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according to claim 24, wherein the lower half marker is printed on a paper on which notes are printed together with the notes.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하반신표식은 종이, 플라스틱, 금속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연주용 하반신표식.
26. The lower body half marker for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according to claim 24, wherein the lower half marking includes at least one of paper, plastic, and metal.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하반신표식은 전면과 후면을 가지며, 상기 전면은 상기 그림과 아이콘 중 상기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반면, 상기 후면은 접착제를 포함하는 부착부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상기 후면의 상기 부착부는 종이에 부착되며, 이에 따라 상기 하반신표식 역시 상기 종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연주용 하반신표식.
26. The method of claim 24, wherein the bottom half mark has a front side and a rear side, wherein the front side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figure and the icon, while the back side includes an attachment section including an adhesive, Wherein the attaching portion is attached to the paper so that the lower half mark is also attached to the paper.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종이에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상기 하반신표식 역시 상기 종이에 부착 및 탈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연주용 하반신표식.
25. The lower body half marker for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according to claim 24, wherein the adhesive is attachable to and detachable from the paper so that the lower half mark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paper.
특정 음악적 기교의 실행과 특정 음악적 표현의 구현 중 하나 이상을 위한 건반악기 연주자의 하반신 부위의 자세, 상기 부위의 조작과 상기 건반악기의 페달의 조작 중 하나 이상을 확인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자세와 조작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그림과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표식을 구성하는 구성단계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연주자가 상기 표식을 인지하면 상기 자세와 조작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상기 정보를 인지하여 용이하게 상기 음악적 기교를 실행하거나 상기 음악적 표현을 구현하도록 하는 건반악기 연주 교육 방법.
A confirmation step of confirming at least one of a posture of a lower part of a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layer for at least one of execution of a specific musical technique and implementation of a specific musical expression, operation of the part, and operation of a pedal of the keyboard instrument; And
And a configuration step of configuring a landmark including at least one of a figure and an icon conveying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the attitude and the operation,
And when the player recognizes the mark, recognizes the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the posture and the operation so as to easily perform the musical technique or to implement the musical expression.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단계는 상기 자세와 상기 조작을 단순화화는 단계, 상기 자세와 상기 조작을 만화화하는 단계 및 상기 자세와 상기 조작을 구체화하는 단계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연주 교육 방법.
32.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s set forth in claim 31, wherein said constituting step is one of a step of simplifying said posture and said operation, a step of comicting said posture and said operation, and a step of embodying said posture and said operation How to train your performance.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단계는
상기 자세와 상기 조작을 단순화화는 단계, 상기 자세와 상기 조작을 만화화하는 단계 및 상기 자세와 상기 조작을 구체화하는 단계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 연주 교육 방법.
32.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the configuring step comprises:
A step of simplifying the posture and the operation, a step of comicting the posture and the operation, and a step of embodying the posture and the operation.
KR1020170034009A 2017-03-17 2017-03-17 A set of markers for the lower body marking and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for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and a training method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using the set KR1019539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009A KR101953967B1 (en) 2017-03-17 2017-03-17 A set of markers for the lower body marking and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for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and a training method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using the set
CN202211695527.1A CN116071981A (en) 2017-03-17 2018-03-16 Lower body sign for playing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nd sign including the same
CN201810218056.2A CN108630174A (en) 2017-03-17 2018-03-16 Include the mark of the mark for the lower part of the body mark of player keyboard musical instru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009A KR101953967B1 (en) 2017-03-17 2017-03-17 A set of markers for the lower body marking and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for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and a training method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using the s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215A true KR20180106215A (en) 2018-10-01
KR101953967B1 KR101953967B1 (en) 2019-03-04

Family

ID=63706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009A KR101953967B1 (en) 2017-03-17 2017-03-17 A set of markers for the lower body marking and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for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and a training method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using the set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53967B1 (en)
CN (2) CN108630174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5903A (en) * 2004-03-16 2005-09-29 Yamaha Corp Keyed instrument
KR20090063548A (en) 2007-12-14 2009-06-18 송지혜 Teaching material set for teaching keyboard instrument playing
JP2009244828A (en) * 2008-06-26 2009-10-22 Jurin Kk Musical score for musical instrument with embouch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5903A (en) * 2004-03-16 2005-09-29 Yamaha Corp Keyed instrument
KR20090063548A (en) 2007-12-14 2009-06-18 송지혜 Teaching material set for teaching keyboard instrument playing
JP2009244828A (en) * 2008-06-26 2009-10-22 Jurin Kk Musical score for musical instrument with embouch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071981A (en) 2023-05-05
KR101953967B1 (en) 2019-03-04
CN108630174A (en) 2018-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rman Notes from the Pianist's Bench
Lhevinne Basic principles in pianoforte playing
Garcia Hints on singing
Brée The groundwork of the Leschetizky method
Fischer The violin lesson
Campos Trumpet technique
Parkening et al. The Christopher Parkening Guitar Method-Volume 1: The Art and Technique of the Classical Guitar
Benedetti Cello, bow and you: putting it all Together
Gingras Clarinet secrets: 52 performance strategies for the advanced clarinetist
Schuring Oboe art and method
KR101953967B1 (en) A set of markers for the lower body marking and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for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and a training method of the keyboard musical instrument performance using the set
Okeke On The Theory Of ‘Adaptive Musicology’
Benfield et al. The art of double bass playing
Taylor Easy Steps to the Band: Conductor's Score
Alderson et al. A new handbook for singers and teachers
Woof Technique and Interpretation in Violin-playing
Gingras Clarinet Secrets: 100 Performance Strategies for the Advanced Clarinetist
Chase Natural laws in piano technic
Adams et al. Playing & Teaching the Saxophone: A Modern Approach
Stokes et al. Illustrated method for flute
CHUNG Fundamentals of piano practice
Carlson A guide to American fiddling
Ito Impulse structure in tonal music: A theory of the metrical coordination of motor behavior in performers
Okeke THE PRAXIS OF MUSICAL INSTRUMENTS PEDAGOGY
Thistleton Modern violin technique: how to acquire it, how to teach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