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6131A - Base st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base station - Google Patents

Base st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base s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6131A
KR20180106131A KR1020170033780A KR20170033780A KR20180106131A KR 20180106131 A KR20180106131 A KR 20180106131A KR 1020170033780 A KR1020170033780 A KR 1020170033780A KR 20170033780 A KR20170033780 A KR 20170033780A KR 20180106131 A KR20180106131 A KR 20180106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resource
beams
base station
metric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37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민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33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6131A/en
Publication of KR20180106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13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04W72/1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base station capable of mitigating interference at boundaries of beams and providing a good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The operation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obtaining, for each terminal, a scheduling metric for each of radio resources of each of a plurality of beams; correcting the scheduling metric by using a correction metric that is dependent on a beam index and a radio resource index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eams; and determining a radio resource to be allocated to each of terminals in a beam coverag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eams based on the corrected scheduling metric.

Description

기지국 및 기지국의 동작 방법{BASE ST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BASE STATION}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se station and a base station,

본 발명은 기지국 및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빔을 운용하는 기지국이 빔들의 경계에서 간섭을 완화하고, 양질의 통신환경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se station and a base station operat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in which a base station operating a plurality of beams mitigates interference at the boundaries of beams and provides a high-quality communication environment.

모바일 통신 기기의 보급이 확산되면서, 모바일 기기의 인터넷 접속횟수가 PC의 인터넷 접속횟수를 능가하였고, 현재 전체 인터넷 접속횟수의 대부분이 모바일 기기에서 발생하고 있다. 무선 통신 환경이 활성화 됨에 따라 스마트폰의 트래픽 발생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As the spread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spreads, the number of Internet accesses of mobile devices surpasses the number of Internet accesses of PCs, and most of the total number of Internet accesses now occur in mobile devices. As the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is activated, the traffic volume of smart phones is steadily increasing.

밀리미터파 대역은 30GHz~300GHz의 넓은 주파수 대역을 커버할 수 있어 최근 5G 후보 주파수 대역으로 전세계적으로 주목 받고 있다. 밀리미터파 기반 이동통신 시스템은 넓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는 반면에, 직진성이 매우 강한 주파수 특성으로 인해 데이터가 전달되는 과정에서의 경로 손실이 크고, 이로 인해 전파 감쇄가 큰 경향이 있다. 밀리미터파 대역의 사용으로 인한 경로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셀 내 각 영역을 빔을 통해 구분하는 빔 형성(beam forming) 기술이 아주 중요한 기술적인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빔형성은 특정 방향의 신호 세기를 키울 뿐만 아니라 원하지 않는 방향에 대한 신호 전송을 줄이는 효과도 있다.The millimeter-wave band covers a wide frequency band from 30GHz to 300GHz, and has recently attracted worldwide attention as a 5G candidate frequency band. The millimeter wave 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n use a wide frequency band, however, the path loss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data due to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having a very strong directivity tends to be large and the propagation attenuation tends to be large. In order to minimize the path loss due to the use of the millimeter-wave band, a beam forming technique of dividing each region in the cell by a beam is regarded as a very important technical factor. Beamforming not only increases signal strength in a specific direction, but also reduces signal transmission to undesired directions.

기지국이 복수의 빔을 운용할 경우, 빔 수에 비례하여 데이터 전송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하지만, 서로 인접한 빔간 간섭으로 인하여 성능 감쇄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빔 커버리지(Beam coverage)의 중심에 있는 단말들은 빔의 수신이 용이한 반면, 빔 커버리지의 가장자리에 있는 단말들은 빔의 수신이 어려워 통신 품질이 불균등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When the base station operates a plurality of beams, the data transmission capacity can be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beams. However, performance degradation may occur due to adjacent beam interference. Also, terminals located at the center of beam coverage are easy to receive beams, while terminals located at the edge of beam coverage are difficult to receive beams, which may result in uneven communication quality.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빔을 운용하는 기지국이 빔들의 경계에서 간섭을 완화하고 양질의 통신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by which a base station operating a plurality of beams can mitigate interference at the boundaries of beams and provide a high quality communication environmen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빔을 운용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peration method of a base station operating a plurality of bea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각각의 단말에 대하여, 복수의 빔들 각각의 무선 자원들 각각에 대한 스케쥴링 메트릭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빔들 각각의 빔 인덱스 및 무선 자원 인덱스에 의존하는 보정 메트릭을 이용하여, 상기 스케쥴링 메트릭을 보정하는 단계; 및 보정된 스케쥴링 메트릭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빔들 각각의 빔 커버리지 안에 있는 단말들 각각에 할당되는 무선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Obtaining, for each terminal, a scheduling metric for each of the radio resourc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eams; Correcting the scheduling metric using a correction metric that is dependent on a beam index and a radio resource index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eams; And determining a radio resource to be allocated to each of the terminals in the beam coverag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eams based on the corrected scheduling metric.

여기서, 상기 무선 자원 인덱스는, 무선 자원의 주파수 성분에 대한 인덱스일 수 있다.Here, the radio resource index may be an index of a frequency component of a radio resource.

제1 빔의 빔 커버리지와 제2 빔의 빔 커버리지가 서로 인접한 경우,If the beam coverage of the first beam and the beam coverage of the second beam are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제1 빔에 대한 보정 메트릭은, 무선 자원 인덱스에 대한 제1 함수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2 빔에 대한 보정 메트릭은, 상기 제1 함수와 다른 제2 함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The correction metric for the first beam may be determined by a first function for the radio resource index and the correction metric for the second beam may be determined by a second fun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function.

상기 제1 함수의 출력 값은 무선 자원 인덱스가 증가할수록 증가하고, 상기 제2 함수의 출력 값은 상기 무선 자원 인덱스가 증가할수록 감소할 수 있다.The output value of the first function increases as the radio resource index increases, and the output value of the second function decreases as the radio resource index increases.

여기서, 상기 스케쥴링 메트릭을 획득하는 단계는, Wherein the obtaining the scheduling metric comprises:

기지국이 참조 신호를 전송하고, 단말들 각각으로부터 단말들 각각이 수신한 기지국 내 빔들 각각의 참조 신호 세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참조 신호 세기에 대한 정보로부터 상기 스케쥴링 메트릭을 계산할 수 있다.The base station transmits a reference signal, acquires information on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of each of the in-base-station beams received by each of the terminals from the terminals, and calculates the scheduling metric from information on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여기서, 상기 스케쥴링 메트릭을 보정하는 단계는,Wherein the correcting the scheduling metric comprises:

상기 복수의 빔 각각의 빔 인덱스에 의존하는 보정 메트릭을 상기 복수의 빔 각각의 스케쥴링 메트릭에 더함으로써, 상기 스케쥴링 메트릭을 보정할 수 있다.A correction metric that depends on the beam index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eams may be added to the scheduling metric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eams to correct the scheduling metric.

여기서, 상기 단말들 각각에 할당되는 무선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는, The step of determining a radio resource to be allocated to each of the UEs comprises:

상기 복수의 빔들 각각의 무선 자원들 각각을 우선적으로 할당 받는 단말을 결정하고, 상기 단말에게 할당될 수 있는 빔의 무선 자원들 중 스케쥴링 메트릭이 양호한 값을 가지는 무선 자원을 상기 단말에게 우선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A terminal that is preferentially allocated to each of the wireless resourc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eams is determined and a wireless resource having a good scheduling metric among the wireless resources of the beam that can be allocated to the terminal is preferentially allocated to the terminal .

여기서, 제1 빔의 빔 커버리지와 제2 빔의 빔 커버리지가 서로 인접하는 경우, 상기 제2 빔의 유휴 자원들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빔과의 협력 통신에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rein if the beam coverage of the first beam and the beam coverage of the second beam are adjacent to each other, allocating at least some of the idle resources of the second beam to cooperative communications with the first beam have.

여기서, 상기 제1 빔의 빔 커버리지 안에 있는 단말들 중 제1 빔의 수신 세기가 약한 단말에 할당된 k번째 무선 자원을 제2 빔이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빔의 상기 k번째 무선 자원을 통해 제 1빔의 k번째 무선 자원으로 전송하는 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Here, if the second beam does not use the kth radio resource allocated to the UE having a weak reception intensity of the first beam among the UEs in the beam coverage of the first beam, the kth radio resource To the k th wireless resource of the first beam through the first beam.

상기 기지국의 동작 방법은, 상기 복수의 빔들 각각의 커버리지 안에 있는 단말들에게 할당된 무선 자원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들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of operating the base station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information on radio resources allocated to the terminals within the coverag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eams to the terminal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은,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세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빔들 각각의 빔 인덱스 및 무선 자원 인덱스에 의존하는 보정 메트릭에 의해 보정된 스케쥴링 메트릭에 기초하여 설정된 무선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자원 할당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에게 할당된 무선 자원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Receiving a reference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reference signal to the base station; Receiving radio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set based on a scheduling metric corrected by a correction metric that is dependent on a beam index and a radio resource index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eams; And demodulating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adio resource allocated to the UE according to the radio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to identify downlink data.

여기서, 상기 무선 자원 인덱스는, 무선 자원의 주파수 성분에 대한 인덱스일 수 있다.Here, the radio resource index may be an index of a frequency component of a radio resource.

여기서, 제1 빔의 빔 커버리지와 제2 빔의 빔 커버리지가 서로 인접한 경우,Here, when the beam coverage of the first beam and the beam coverage of the second beam are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제1 빔에 대한 보정 메트릭은, 무선 자원 인덱스에 대한 제1 함수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2 빔에 대한 보정 메트릭은, 상기 제1 함수와 다른 제2 함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The correction metric for the first beam may be determined by a first function for the radio resource index and the correction metric for the second beam may be determined by a second fun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function.

여기서, 상기 제1 함수의 출력 값은 무선 자원 인덱스가 증가할수록 증가하고, 상기 제2 함수의 출력 값은 상기 무선 자원 인덱스가 증가할수록 감소할 수 있다.Here, the output value of the first function increases as the radio resource index increases, and the output value of the second function decreases as the radio resource index increas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빔을 운용하는 기지국은,A base station operating a plurality of bea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memory)를 포함하고,A processor; And a memory in which at least one instruction executed via the processor is stored,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Wherein the at least one instruction comprises:

각각의 단말에 대하여, 복수의 빔들 각각의 무선 자원들 각각에 대한 스케쥴링 메트릭을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빔들 각각의 빔 인덱스 및 무선 자원 인덱스에 의존하는 보정 메트릭을 이용하여, 상기 스케쥴링 메트릭을 보정하고, 보정된 스케쥴링 메트릭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빔들 각각의 빔 커버리지 안에 있는 단말들 각각에 할당되는 무선 자원을 결정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For each terminal, a scheduling metric is obtain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beams of radio resources, and the calibration metric is corrected using a correction metric that depends on the beam index and radio resource index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eams And to determine a radio resource to be allocated to each of the terminals in the beam coverag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eams based on the corrected scheduling metric.

여기서, 제1 빔의 빔 커버리지와 제2 빔의 빔 커버리지가 서로 인접한 경우,Here, when the beam coverage of the first beam and the beam coverage of the second beam are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제1 빔에 대한 보정 메트릭은, 무선 자원 인덱스에 대한 제1 함수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2 빔에 대한 보정 메트릭은, 상기 제1 함수와 다른 제2 함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The correction metric for the first beam may be determined by a first function for the radio resource index and the correction metric for the second beam may be determined by a second fun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function.

여기서, 상기 제1 함수의 출력 값은 무선 자원 인덱스가 증가할수록 증가하고, 상기 제2 함수의 출력 값은 상기 무선 자원 인덱스가 증가할수록 감소할 수 있다.Here, the output value of the first function increases as the radio resource index increases, and the output value of the second function decreases as the radio resource index increases.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Wherein the at least one command comprises:

기지국이 참조 신호를 전송하고, 단말들 각각으로부터 단말들 각각이 수신한 기지국에 빔들 각각의 참조 신호 세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참조 신호 세기에 대한 정보로부터 상기 스케쥴링 메트릭을 계산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a reference signal, obtain information on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of each of the beams from the respective terminals from the terminals, and calculate the scheduling metric from information on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have.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Wherein the at least one command comprises:

제1 빔의 빔 커버리지와 제2 빔의 빔 커버리지가 서로 인접하는 경우, 상기 제2 빔의 유휴 자원들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빔과의 협력 통신에 할당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And to allocate at least some of the idle resources of the second beam to the collaborative communications with the first beam if the beam coverage of the first beam and the beam coverage of the second beam are adjacent to each other.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Wherein the at least one command comprises:

상기 제1 빔의 빔 커버리지 안에 있는 단말들 중 제1 빔의 수신 세기가 약한 단말에 할당된 k번째 무선 자원을 제2 빔이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빔의 상기 k번째 무선 자원을 통해 제 1빔의 k번째 무선 자원으로 전송하는 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If the second beam does not use the kth radio resource allocated to the terminal having a weak reception intensity of the first beam among the terminals in the beam coverage of the first beam, The same information as th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kth radio resource of the first beam can be transmitted.

본 발명에 의하면, 기지국의 복수의 빔들을 운용할 때, 빔들 사이의 간섭으로 인한 통신 품질 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빔들 각각의 주파수 자원 분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인접한 빔들이 협력 통신을 함으로서, 통신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beams of a base station are operated, degradation of communication quality due to interference between beams can be reduced. Also, frequency resource distribution of each of the beams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And, by performing cooperative communication with adjacent beams, the communication quality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에서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는 통신 노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나타낸 기지국을 z축 방향으로 위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나타낸 S110 단계가 수행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4의 S120 단계가 수행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무선 자원 인덱스 k에 따른 보정 메트릭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빔들의 자원이 단말들에게 할당되는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는 빔들의 자원이 단말들에게 할당되는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S140 단계과 수행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는 빔들의 자원이 단말들에게 할당되는 제3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3은 빔들 각각의 무선 자원이 할당된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node performing a method of operating a communication node in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base station shown in FIG. 2 viewed from above in the z-axis direc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step S110 shown in FIG.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step S120 of FIG.
7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the correction metric according to the radio resource index k.
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in which resources of beams are allocated to terminals.
9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in which resources of beams are allocated to terminals.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steps S140 and steps performed in FIG.
1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third embodiment in which resources of beams are allocated to terminals.
1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radio resources of respective beams are allocated.
FIG.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omitted.

명세서 전체에서 망(network)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와 같은 무선인터넷,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또는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와 같은 휴대인터넷,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또는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 같은 2G 이동통신망,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CDMA2000과 같은 3G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와 같은 3.5G 이동통신망, LTE(long term evolution)망 또는 LTE-Advanced망과 같은 4G 이동통신망, 5G 이동통신망, 및 C-RAN(Cloud Radio Access Networ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network can be, for example, a wireless Internet such as WiFi (wireless fidelity), a 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or a portable internet such as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A 3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or CDMA2000, 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or 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A 3.5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 4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n LTE (Long Term Evolution) network or an LTE-Advanced network, a 5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C-RAN (Cloud Radio Access Network).

명세서 전체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국(mobile station),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종단-디바이스(end-device)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단말, 이동국, 이동 단말, 가입자국, 휴대 가입자 국, 사용자 장치, 접근 단말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 terminal is referred to as a mobile station, a mobile terminal, a subscriber station, a portable subscriber station, a user equipment, an access terminal, A terminal, a mobile station, a mobile station, a subscriber station, a mobile subscriber station, a user equipment, an access terminal, and the like.

여기서, 단말은 사물에 부착되어 통신 가능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사물에 부착된 센서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구현에 이용될 수 있다. 단말은 통신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tablet) PC, 무선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영상 녹화기(digital picture recorder), 디지털 영상 재생기(digital picture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등을 일 수 있다.Here, the terminal may include a sensor that is attached to the object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object. Sensors attached to objects can be used to implement Internet Of Things (IOT). The terminal may be a desktop computer, a laptop computer, a tablet PC, a wireless phon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smart watch, ), Smart glass, an e-book reader,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portable game machine, a navigation device, a digital camera,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player, a digital voice recorder an audio recorder, a digital audio player, a digital picture recorder, a digital picture player, a digital video recorder, a digital video player, Lt; / RTI >

명세서 전체에서 기지국(base station)은 접근점(access point),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MMR(mobile multihop relay)-BS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기지국, 접근점, 무선 접근국, 노드B, eNodeB, 송수신 기지국, MMR-BS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 base station is referred to as an access point, a radio access station, a node B, an evolved node B, a base transceiver station, an MMR mobile multihop relay) -BS, and may include all or some of the functions of a base station, an access point, a radio access station, a Node B, an eNodeB, a base transceiver station, and a MMR-BS.

명세서 전체에서 분산형 기지국은 기지국의 기능이 디지털 유닛 및 무선 유닛에 분할된 형태의 기지국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 decentralized base station means a base station in which the function of the base station is divided into a digital unit and a wireless uni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에서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통신 노드가 설명될 수 있다. Hereinafter, a method of operating a communication node in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mmunication node perform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에서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는 통신 노드를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node performing a method of operating a communication node in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노드(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100)은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50), 저장 장치(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노드(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communication node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110, a memory 120, and a network interface device 130 for communicating with a network. The communication node 100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interface device 140, an output interface device 150, a storage device 160, and the like.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node 100 may be connected by a bus 170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 및/또는 저장 장치(160)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120)와 저장 장치(160)는 휘발성 저장 매체 및/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310)를 통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는 복수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or 110 may execute a program command stored in the memory 120 and / or the storage device 160. The processor 110 may refer to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or a dedicated processor on which the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erformed. The memory 120 and the storage device 160 may be composed of a volatile storage medium and / or a non-volatile storage medium. For example, the memory 120 may be comprised of read only memory (ROM) and / or random access memory (RAM). Here, a program instruction executed through the processor 3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eps for performing a method of operating a communication node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200)을 나타낸 개념도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base station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기지국(200)은 복수의 빔을 운영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기지국(200)은 3면 각각에 설치된 복수의 안테나들(210, 220, 23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안테나들(210, 220, 230) 각각은 개별적으로 빔을 형성하여 방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가로행에 존재하는 안테나들은 동일한 하지향(down-tilt) 각도로 조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상단 열의 안테나들(210)은 작은 각도로 하지향 되어 기지국(200)으로부터 먼 쪽을 향해 빔을 방사할 수 있다. 중간 열의 안테나들(220)은 상단 열의 안테나들(210)보다는 큰 각도로 하지향 되어 빔을 방사할 수 있다. 하단 열의 안테나들(230)은 중간 열의 안테나들(220)보다는 큰 각도로 하지향되어 기지국(200)으로부터 가까운 쪽을 향해 빔을 방사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base station 200 may operate a plurality of beams. Illustratively, the base station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antennas 210, 220, and 230 disposed on each of the three sides. Each of the plurality of antennas 210, 220, 230 may individually form and emit a beam. For example, antennas in the same horizontal row may be tuned to the same down-tilt angle. For example, the antennas 210 in the uppermost row may emit a beam toward the far side from the base station 200 with a small angle. The middle row antennas 220 may emit beams at a larger angle than the antennas 210 in the upper row. The antennas 230 in the bottom row may emit beams toward the base station 200 toward the near side with a larger angle than the antennas 220 in the middle row.

도 3은 도 2에서 나타낸 기지국(200)을 z축 방향으로 위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FIG.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base station 200 shown in FIG. 2 viewed from above in the z-axis direction.

도 3에서는 상단 열의 안테나들만 나타내었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지국(200)의 3면에 각각 안테나들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기지국(100)의 3면들 각각은 120도 각도 범위를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들(210)은 C1 내지 C6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 하지만, 안테나들(210)의 빔 방사 범위가 상술한 영역으로 제한된다는 것은 아니다. Only the antennas in the upper row are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3, antennas may be provided on three sides of the base station 200, respectively. Each of the three sides of the base station 100 may cover a 120 degree angular range. For example, the antennas 210 may cover the C1 to C6 region. However, the beam emission range of the antennas 21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area.

단말들은 안테나들 각각이 전송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들이 어느 빔 커버리지에 위치하는 지에 따라 어느 안테나의 신호를 우선하여 사용하는 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1 영역에 있는 단말은 제1 안테나(211)의 빔을 가장 강하게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C1 영역이 제1 안테나(211)의 빔 커버리지가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안테나(212)의 빔 커버리지는 C2 영역이 되고, 제3 안테나(213)의 빔 커버리지는 C3 영역이 되고, 제4 안테나(214)의 빔 커버리지는 C4 영역이 되고, 제5 안테나(212)의 빔 커버리지는 C5 영역이 되고, 제6 안테나(216)의 빔 커버리지는 C6 영역이 될 수 있다. The terminals can receive the signals transmitted by the antennas. Depending on which beam coverage the terminals are located in, which antenna signal to use first can be determined. For example, the terminal in the C1 region can receive the beam of the first antenna 211 most strongly. Therefore, the C1 region can be the beam coverage of the first antenna 211. [ Similarly, the beam coverage of the second antenna 212 becomes the C2 region, the beam coverage of the third antenna 213 becomes the C3 region, the beam coverage of the fourth antenna 214 becomes the C4 region, The beam coverage of the second antenna 212 may be the C5 region, and the beam coverage of the sixth antenna 216 may be the C6 region.

빔 커버리지는 해당 빔의 수신 세기가 다른 빔의 수신 세기에 비해 강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하지만, 빔의 방사 범위가 해당 빔 커버리지 안으로 제한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e beam coverage may refer to an area where the receiving intensity of the beam is stronger than the receiving intensity of the other beam.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the radiation range of the beam is limited within the corresponding beam coverage.

이상에서 예시적으로, 복수의 빔을 운용하는 기지국(200) 및 빔들의 빔 커버리지를 설명하였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기지국(200)에 설치된 안테나의 개수 및 배열 모양은 다르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안테나들 각각의 빔 커버리지의 크기는 서로 다르거나 같을 수도 있다. In the above example, the beam coverage of the base station 200 and beams operating a plurality of beams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antennas provided in the base station 200 may be changed differently. Further, the sizes of the beam coverage of each of the antennas may be different or the same.

각각의 빔 커버리지 안에 있는 단말들의 위치에 따라 빔의 수신 세기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에 가까이 위치하거나, 빔 커버리지의 중앙에 위치하는 단말들은 강한 세기로 빔을 수신할 수 있다. 반면, 안테나에서 멀리 위치하거나, 빔 커버리지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단말들은 약한 세기로 빔을 수신할 수 있다. The reception intensity of the beam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terminals in each beam coverage. For example, terminals located close to the antenna or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beam coverage can receive the beam with strong intensity. On the other hand, terminals located far from the antenna or located at the edge of the beam coverage can receive the beam with weak intensity.

또한, 각각의 빔 커버리지 안에 있는 단말들의 위치에 따라 빔들 간의 간섭의 영향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빔 커버리지의 중앙에 위치하는 단말들은 빔들 간의 간섭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인접한 두 빔의 경계에 가깝게 위치하는 단말들은 인접한 두 빔의 간섭 영향을 많이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빔들 간의 간섭 영향을 줄이고, 단말의 위치에 따라 통신 품질이 변하는 것을 보상해줄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Also, the influence of interference between beams may vary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terminals within each beam coverage. For example, terminal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beam coverage may receive little interference from the beams. On the other hand, terminals located close to the boundary between two adjacent beams may be affected by interference of two adjacent beam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hat can reduce the influence of interference between beams and compensate for the change in communication quality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200)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the base station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110 단계에서, 기지국(200)은 각각의 단말에 대하여, 복수의 빔들 각각의 무선 자원들 각각에 대한 스케쥴링 메트릭을 획득할 수 있다. 스케쥴링 메트릭은 단말이 빔의 무선 자원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세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i에 대해, 빔 b의 무선 자원 k에 대한 스케쥴링 메트릭은

Figure pat00001
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빔 인덱스를 고정하고 스케쥴링 메트릭을 고려할 경우, 스케쥴링 메트릭은
Figure pat00002
로 나타낼 수 있다.In step S110, the base station 200 may obtain, for each terminal, a scheduling metric for each of the radio resourc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eams. The scheduling metric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strength with which the terminal receives a signal carried over the radio resource of the beam. For example, for terminal i, the scheduling metric for radio resource k of beam b is
Figure pat00001
. Here, when fixing the beam index and considering the scheduling metric, the scheduling metric is
Figure pat00002
.

스케쥴링 메트릭은 자원 할당에 대한 기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케쥴링 메트릭 값이 높을수록, 해당 단말이 해당 빔의 해당 무선 자원 신호 수신 상태가 좋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 스케쥴링 메트릭 값이 작을 때, 신호 수신 상태가 좋도록 스케쥴링 메트릭의 값을 설정할 수도 있다.The scheduling metric may provide information that is the basis for resource allocation. For example, the higher the value of the scheduling metric, the better the reception of the corresponding radio resource signal by the corresponding terminal. However,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When the scheduling metric value is small, the value of the scheduling metric may be set so that the signal reception state is good.

도 5는 도 4에서 나타낸 S110 단계가 수행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step S110 shown in FIG.

도 5를 참조하면, S112 단계에서, 기지국(200)은 참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200)은 매 서브프레임(subframe) 마다 각각의 무선 자원에 참조 신호를 삽입하여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200)이 운용하는 빔들의 무선 자원 마다 참조 신호가 삽입될 수 있다. 기지국(200)의 셀 안에 있는 단말들은 기지국(200)으로부터 참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들은 각각의 무선 자원을 통해 전송된 참조 신호의 수신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기지국(200)은 빔 인덱스 및 무선 자원 인덱스에 따라 참조 신호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단말들은 참조 신호의 종류 별로, 참조 신호의 수신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in step S112, the base station 200 may transmit a reference signal.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200 may insert a reference signal into each radio resource for each subframe and transmit the same. A reference signal may be inserted for each radio resource of the beams operated by the base station 200. The terminals in the cell of the base station 200 can receive the reference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200. [ The UEs can measure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through each radio resource. The base station 200 may set the reference signal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beam index and the radio resource index. The UEs can measure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reference signal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reference signal.

S114 단계에서, 기지국(200)은 단말들로부터 참조 신호의 수신 세기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들은 빔들 각각의 무선 자원들 각각을 통해 전송된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참조 신호 별로 수신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즉, 단말들은 각각의 빔의 각각의 무선 자원을 통해 전송되는 참조 신호의 수신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단말들은 참조 신호에 대한 수신 세기에 대한 정보를 채널 품질 지시자(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채널 품질 지시자는 신호 수신 세기에 따라 0 내지 15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위 수치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할 뿐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말이 채널 품질 지시자의 형태로 참조 신호별 수신 세기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면, 기지국(200)이 참조 신호별 수신 세기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In step S114, the base station 200 may acquir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reference signal from the terminals. For example, the UEs can receive the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through each of the radio resources of each of the beams, and measure the reception intensity for each reference signal. That is, the UEs can measure the reception strength of a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through each radio resource of each beam. The UEs can convert information on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reference signal into a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format. The channel quality indicator may have a value of 0 to 15 depending on the signal reception strength. The above numerical values are merely illustrative, and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hereto. When the UE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reception strength for each reference signal in the form of a channel quality indicator, the base station 200 can receive information on the reception strength for each reference signal.

S116 단계에서, 기지국(200)은 단말들로부터 수신한 참조 신호의 수신 세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스케쥴링 메트릭을 계산할 수 있다. 기지국(200)은 각각의 단말에 대해, 각각의 빔의 각각의 무선 자원 별로 스케쥴링 메트릭을 계산할 수 있다. 기지국(200)은 다양한 방식으로 스케쥴링 메트릭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200)은 단말로부터 수신한 참조 신호 세기에 대한 정보(ex. 채널 품질 지시자)에 기초해서 스케쥴링 메트릭을 계산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기지국(200)은 단말들 간 통신 품질의 균등을 고려하여, 채널 품질 지시자를 단위 시간당 해당 단말의 데이터 처리량(Throughput)으로 나눔으로써, 스케쥴링 메트릭을 계산할 수도 있다.In step S116, the base station 200 may calculate a scheduling metric based on information on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reference signal received from the UEs. For each terminal, the base station 200 may calculate a scheduling metric for each radio resource of each beam. The base station 200 may calculate the scheduling metrics in various manners.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200 may calculate a scheduling metric based on information (e.g., a channel quality indicator) about the strength of a reference signal received from a terminal. In another example, the base station 200 may calculate the scheduling metric by dividing the channel quality indicator by the data throughput of the corresponding terminal per unit time, taking into account the uniformity of communication quality between the terminals.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S120 단계에서, 기지국(200)은 스케쥴링 메트릭을 보정할 수 있다. 기지국(200)은 스케쥴링 메트릭을 보정함으로써, 빔들 간의 간섭에 의한 통신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200)은 빔 커버리지가 서로 인접한 빔들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보정 메트릭을 이용하여 스케쥴링 메트릭을 보정함으로써, 서로 인접한 빔들의 간섭 효과를 줄일 수 있다. 보정 메트릭은 빔들의 빔 인덱스 및 무선 자원 인덱스에 의존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자원 인덱스는 무선 자원의 주파수 성분에 대한 인덱스일 수 있다. 무선 자원 인덱스는 자원 블록의 주파수 성분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무선 자원 인덱스는 OFDM 심볼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Referring back to FIG. 4, in step S120, the base station 200 may correct the scheduling metric. By correcting the scheduling metric, the base station 200 can prevent communication quality degradation due to interference between beams.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200 may reduce the interference effects of adjacent beams by correcting the scheduling metric using different correction metrics for each of the beams that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e correction metric may depend on the beam index and the radio resource index of the beams. In addition, the radio resource index may be an index of a frequency component of a radio resource. The radio resource index can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frequency component of the resource block. As another example, the radio resource index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OFDM symbol.

도 6은 도 4의 S120 단계가 수행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erforming step S120 of FIG.

도 6을 참조하면, S122 단계에서, 기지국(200)은 빔 인덱스 및 무선 자원 인덱스에 의존하는 보정 메트릭을 계산할 수 있다. 보정 메트릭은 채널 상태와는 관계 없이 빔 인덱스 및 지원 블록 인덱스에 의존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자원 인덱스는 무선 자원의 주파수 성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200)은 인접한 제1 빔에 대한 보정 메트릭과 제2 빔에 대한 보정 메트릭을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제1 빔과 제2 빔 사이의 간섭에 의한 영향을 줄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in step S122, the base station 200 may calculate a correction metric that is dependent on the beam index and the radio resource index. The correction metric may depend on the beam index and the supported block index regardless of the channel state. In addition, the radio resource index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component of the radio resource.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200 may reduce the influence of interference between the first beam and the second beam by making the correction metric for the adjacent first beam different from the correction metric for the second beam.

예를 들어, 기지국(200)은 수학식 1에 따라 보정 메트릭을 계산할 수 있다.For example, base station 200 may calculate a correction metric according to equation (1).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수학식 1에서 b는 빔의 인덱스를 의미하고, n은 임의의 자연수를 의미하며, K는 무선 자원 인덱스의 최대 값을 의미하고, k는 무선 자원 인덱스를 의미한다. 또한, Lb(k)는 빔 b의 무선 자원 k에 대한 보정 메트릭을 의미한다.In Equation (1), b denotes an index of a beam, n denotes an arbitrary natural number, K denotes a maximum value of a radio resource index, and k denotes a radio resource index. Further, L b (k) means a correction metric for the radio resource k of the beam b.

수학식 1에서, 빔 인덱스는 빔 커버리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빔 인덱스 값이 서로 인접한 경우, 빔 커버리지가 서로 인접할 수 있다. 수학식 1을 참조하면, 제1 빔 및 제2 빔의 빔 커버리지가 서로 인접한 경우, 제1 빔에 대한 보정 메트릭은 제1 함수에 의해 결정되고, 제2 빔에 대한 보정 메트릭은 제2 함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빔 인덱스가 짝수인 빔에 대한 보정 메트릭은 제1 함수에 의해 결정되고, 빔 인덱스가 홀수인 빔에 대한 보정 메트릭은 제2 함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In Equation (1), it is assumed that the beam index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beam coverage. If the beam index values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e beam coverage may be adjacent to each other. Referring to Equation (1), if the beam coverage of the first beam and the second beam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e correction metric for the first beam is determined by the first function and the correction metric for the second beam is determined by the second function Lt; / RTI > For example, a correction metric for a beam with an even beam index is determined by a first function, and a correction metric for a beam index with an odd beam index may be determined by a second function.

제1 함수는 무선 자원 인덱스 k가 증가할수록 증가할 수 있다. 반면, 제2 함수는 무선 자원 인덱스 k가 증가할수록 감소할 수 있다. 짝수번째 빔에 대한 보정 메트릭은 무선 자원 인덱스 k가 증가할수록 증가할 수 있다. 홀수 번째 빔에 대한 보정 메트릭은 무선 자원 인덱스 k가 증가할수록 감소할 수 있다. The first function may increase as the radio resource index k increases.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function may decrease as the radio resource index k increases. The correction metric for the even-numbered beam may increase as the radio resource index k increases. The correction metric for the odd-numbered beams may decrease as the radio resource index k increases.

도 7은 무선 자원 인덱스 k에 따른 보정 메트릭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7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the correction metric according to the radio resource index k.

도 7을 참조하면, 빔 인덱스 b가 짝수인 경우, 보정 메트릭은 무선 자원 인덱스 k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반면, 빔 인덱스 b가 홀수인 경우, 보정 메트릭은 무선 자원 인덱스 k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할 수 있다.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보정 메트릭을 결정함으로써, 빔 커버리지가 인접한 두 빔의 보정 메트릭들 중 어느 하나는 무선 자원 인덱스 k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고, 다른 하나는 무선 자원 인덱스 k가 감소함에 따라 감소하도록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if the beam index b is an even number, the correction metric may increase as the radio resource index k increases. On the other hand, if the beam index b is odd, the correction metric may decrease as the radio resource index k increases. By determining the correction metric as shown in Figure 7, one of the correction metrics of the two beams with beam coverage is increased as the radio resource index k is increased, and the other is decreasing as the radio resource index k decreases can do.

도 7에서 나타낸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할 뿐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빔 인덱스 b가 짝수인 경우, 보정 메트릭은 무선 자원 인덱스 k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고, 빔 인덱스 b가 홀수인 경우, 보정 메트릭은 무선 자원 인덱스 k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수학식 6에서는 제1 함수와 제2 함수가 모두 무선 자원 인덱스 k에 대한 선형 함수인 예를 나타냈지만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함수와 제2 함수는 무선 자원 인덱스 k에 대한 비선형 함수일 수도 있다.The example shown in Fig. 7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f the beam index b is an even number, the correction metric decreases as the radio resource index k increases, and if the beam index b is odd, the correction metric may decrease as the radio resource index k increases. In Equation (6), both the first function and the second function are linear functions for the radio resource index k, but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first function and the second function may be non-linear functions for the radio resource index k.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S124 단계에서, 기지국(200)은 도 4의 S110 단계에서 획득한 스케쥴링 메트릭을 보정할 수 있다. 기지국(200)은 스케쥴링 메트릭에 보정 메트릭을 더함으로써, 스케쥴링 메트릭을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200)은 수학식 2에 따라 스케쥴링 메트릭을 보정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6, in step S124, the base station 200 may correct the scheduling metric obtained in step S110 of FIG. The base station 200 may correct the scheduling metric by adding a correction metric to the scheduling metric.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200 may correct the scheduling metric according to Equation (2).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수학식 2에서 b는 빔 인덱스를 의미하고, i는 단말 인덱스를 의미하고, k는 무선 자원 인덱스를 의미한다. Mb,i,k는 단말 i에 대해서 빔 b의 무선 자원 k에 대한 보정된 스케쥴링 메트릭을 의미한다. mb,i , k는 S110 단계에서 획득한 단말 i에 대해서 빔 b의 무선 자원 k에 대한 스케쥴링 메트릭을 의미한다. Lb(k)는 빔 b의 무선 자원 k에 대한 보정 메트릭을 의미한다. 또한, W는 보정 메트릭의 가중치를 의미한다. 기지국(200)은 스케쥴링 메트릭 mb,i , k의 크기를 고려하여, 가중치 W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200)은 스케쥴링 메트릭 mb,i , k의 크기가 크면, 가중치 W를 크게 설정하고, 스케쥴링 메트릭 mb,i , k의 크기가 작으면, 가중치 W를 작게 설정할 수 있다. 기지국(200)은 간섭 완화에 대한 요구 품질을 고려하여 가중치 W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간섭 완화에 대한 요구 품질이 높을 경우, 기지국(200)은 가중치 W를 크게 설정하고, 간섭 완화에 대한 요구 품질이 낮을 경우, 기지국(200)은 가중치 W를 작게 설정할 수 있다.In Equation (2), b denotes a beam index, i denotes a terminal index, and k denotes a radio resource index. M b, i, k means a corrected scheduling metric for radio resource k of beam b for terminal i. m b, i , k denotes a scheduling metric for the radio resource k of the beam b for the terminal i acquired in step S110. L b (k) means a correction metric for radio resource k of beam b. In addition, W denotes a weight of the correction metric. The base station 200 may determine the weight W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scheduling metric m b, i , k . For example, if the size of the scheduling metric m b, i , k is large, the base station 200 may set the weight W to be large, and if the size of the scheduling metric m b, i , k is small, . The base station 200 may determine the weight W considering the required quality for interference mitigation. For example, when the required quality for interference mitigation is high, the base station 200 sets the weight W to a large value, and when the required quality for interference mitigation is low, the base station 200 can set the weight W to be small.

수학식 2를 참조하면, 스케쥴링 메트릭 mb,i,k에 보정 메트릭 Lb(k)을 더함으로써, 스케쥴링 메트릭이 보정될 수 있다. 보정된 스케쥴링 메트릭 Mb,i,k는 보정 메트릭 Lb(k)에 의해 인접한 빔의 자원 할당이 서로 다른 무선 자원에 편향되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Equation (2), by adding the correction metric L b (k) to the scheduling metric m b, i, k , the scheduling metric can be corrected. The scheduling metric M b, i, k is the correction of the beam adjacent to the resource allocation by the correction metric L b (k) can be deflected to different radio resources.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S130 단계에서, 기지국(200)은 보정된 스케쥴링 메트릭에 기초하여 단말에 할당되는 무선 자원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S150 단계에서, 기지국(200)은 단말들 각각에 할당된 무선 자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들은 기지국(200)으로부터 할당된 무선 자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4, in step S130, the base station 200 may determine a radio resource to be allocated to the UE based on the corrected scheduling metric. In step S150, the base station 200 can transmit information on the radio resources allocated to each of the terminals. The UEs can receive information on the allocated radio resources from the Node B 200. [

이하에서는 S130 단계에서 기지국(200)이 단말에 할당되는 무선 자원을 결정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ocess of determining a radio resource to be allocated to a mobile station 200 by the base station 200 will be described.

기지국(200)은 보정된 스케쥴링 메트릭에 기초하여, 단말들 각각에 할당되는 빔의 무선 자원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200)은 각 빔의 빔 커버리지 안에 어떤 단말들의 인덱스를 안다고 가정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200)은 단말들이 빔들의 참조 신호 중 어느 빔의 참조 신호를 가장 강하게 수신 했는지를 판단함으로써 각 단말이 어느 빔 커버리지에 있는 지를 알아낼 수 있다.The base station 200 may determine the radio resource of the beam allocated to each of the terminals based on the corrected scheduling metric. It is assumed that the base station 200 knows the index of certain terminals in the beam coverage of each beam.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200 can determine which beam coverage each terminal is in by determining which of the reference signals of the beams received the strongest reference signal of the beams.

기지국(200)은 1번 빔의 자원 할당을 위해 예시적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200)은 1번 빔의 무선 자원 별로, 각 무선 자원을 우선적으로 할당 받는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200)은 1번 빔의 각 무선 자원을 우선적으로 할당 받는 단말을 1번 빔의 빔 커버리지 안에 있는 단말들 가운데서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200)은 수학식 3을 이용하여 단말들 가운데서 1번 빔의 k번째 무선 자원을 우선적으로 할당 받는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The base station 200 may perform the following procedure for resource allocation of the first beam,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200 can determine a terminal to which each radio resource is preferentially allocated for each radio resource of the first beam. The base station 200 can determine a terminal that is preferentially allocated to each radio resource of the first beam among the terminals in the beam coverage of the first beam. The base station 200 can determine a terminal that is preferentially allocated the kth radio resource of the first beam among the terminals using Equation (3).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수학식 3에서 i는 단말 인덱스를 의미하고, I(1)은 1번 빔의 빔 커버리지 안에 있는 단말들의 인덱스들의 집합을 의미하고, k는 무선 자원 인덱스를 의미한다. 또한, Mi,k는 i번째 단말에 대해, 1번 빔의 k번째 무선 자원에 대한 보정된 스케쥴링 메트릭을 의미한다. 빔 인덱스를 1로 고정한 것을 전제로 했으므로, 스케쥴링 메트릭에서 빔 인덱스는 생략되었다. 또한, j는 단말 인덱스

Figure pat00006
가운데, 보정된 스케쥴링 메트릭 Mi,k가 최대가 되도록 하는 무선 자원 인덱스를 의미한다.In Equation (3), i denotes a terminal index, I (1) denotes a set of indices of UEs in the beam coverage of the first beam, and k denotes a radio resource index. Also, M i, k denotes a corrected scheduling metric for the k-th radio resource of the first beam for the i-th UE. Since the beam index is assumed to be fixed at 1, the beam index is omitted in the scheduling metric. J is the terminal index
Figure pat00006
Means a radio resource index for maximizing the corrected scheduling metric M i, k .

수학식 3을 참조하면, 기지국(200)은 1번 빔의 k번째 무선 자원을 우선적으로 할당 받을 수 있는 j 번째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200)은 단말들 중, 보정된 스케쥴링 메트릭 Mi,k를 최대로 하는 j번째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200)은 수학식 3을 이용하여, 1번 빔의 k번째 무선 자원을 우선적으로 할당 받는 단말을 j번째 단말로 결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기지국(200)은 1번 빔의 나머지 무선 자원들 각각을 우선적으로 할당 받을 수 있는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200)은 다른 빔들 각각의 나머지 무선 자원들 각각을 우선적으로 할당 받는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기지국(200)은 빔들 각각의 무선 자원들 각각을 우선적으로 할당 받을 수 있는 단말을 결정하면, 빔들 각각의 무선 자원들 별로 하나의 단말이 매칭될 수 있다. 무선 자원들 별로는 하나의 단말이 매칭되지만, 단말 별로는 복수의 무선 자원이 매칭될 수도 있다. 따라서, 기지국(200)은 단말 별로 할당될 수 있는 무선 자원들 가운데, 어느 무선 자원을 우선적으로 단말에게 할당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Equation (3), the base station 200 can determine a j-th UE that can preferentially receive the k-th radio resource of the first beam. The base station 200 can determine the jth UE that maximizes the corrected scheduling metric M i, k among the UEs. The base station 200 can determine the terminal that is preferentially allocated to the kth radio resource of the first beam to be the jth terminal using Equation (3). Similarly, the base station 200 can determine a terminal that can be preferentially allocated to each of the remaining radio resources of the first beam. In addition, the base station 200 may determine a terminal that is preferentially allocated to each of the remaining radio resources of the other beams. When the base station 200 determines a terminal capable of preferentially allocating each of the radio resources of the beams , And one terminal may be matched for each of the radio resources of the beams. One terminal is matched for each wireless resource, but a plurality of wireless resources may be matched for each terminal. Accordingly, the base station 200 can determine which radio resource to allocate to the terminal, among the radio resources that can be allocated to each terminal.

기지국(200)은 단말에 전송할 데이터 양을 고려하여, 단말에 할당될 무선 자원의 개수를 정할 수 있다. 기지국(200)은 각각의 단말이 우선적으로 할당 받을 수 있는 빔의 무선 자원들 중 스케쥴링 메트릭이 양호한 값을 가지는 무선 자원을 단말에게 우선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200)은 수학식 4를 이용하여, 단말에게 우선적으로 할당되는 빔의 무선 자원을 결정할 수 있다.The BS 200 may determine the number of radio resources to be allocated to the MS, considering the amount of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MS. The base station 200 may preferentially allocate a radio resource having a good scheduling metric among the radio resources of the beam that can be preferentially allocated to each mobile station to the mobile station.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200 may determine the radio resource of the beam preferentially allocated to the terminal using Equation (4).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7

수학식 4에서 i는 단말 인덱스를 의미하고, k는 무선 자원 인덱스를 의미한다. K(1,i)는 1번 빔의 무선 자원들 가운데 i번째 단말에 우선적으로 할당될 수 있는 무선 자원들의 인덱스 집합을 의미한다. K(1,i)는 수학식 3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Mi,k는 i번째 단말에 대해, 1번 빔의 k번째 무선 자원에 대한 보정된 스케쥴링 메트릭을 의미한다. 빔 인덱스를 1로 고정한 것을 전제로 했으므로, 스케쥴링 메트릭에서 빔 인덱스는 생략되었다. 또한, l은 무선 자원 인덱스

Figure pat00008
가운데, 보정된 스케쥴링 메트릭 Mi,k가 최대가 되도록 하는 무선 자원 인덱스를 의미한다.In Equation (4), i denotes a terminal index and k denotes a radio resource index. K (1, i) denotes an index set of radio resources that can be preferentially allocated to the i-th UE among the radio resources of the first beam. K (1, i) can be determined by Equation (3). Also, M i, k denotes a corrected scheduling metric for the k-th radio resource of the first beam for the i-th UE. Since the beam index is assumed to be fixed at 1, the beam index is omitted in the scheduling metric. Also, l denotes a radio resource index
Figure pat00008
Means a radio resource index for maximizing the corrected scheduling metric M i, k .

수학식 4를 참조하면, 기지국(200)은 i번째 단말이 다른 단말에 비해 우선적으로 할당 받을 수 있는 무선 자원들 중, 어느 무선 자원을 i번째 단말에게 우선적으로 할당할 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200)은 i번째 단말에게 l번째 무선 자원을 가장 우선적으로 할당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200)은 각각의 단말이 우선적으로 할당 받을 수 있는 무선 자원들 가운데, 보정된 스케쥴링 메트릭 값이 큰 무선 자원부터 단말에게 할당할 수 있다. Referring to Equation (4), the Node B 200 can determine which radio resource to assign to the i-th UE preferentially among the radio resources that the i-th UE can preferentially allocate to the other UEs.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200 may determine to allocate the first radio resource to the i-th UE most preferentially. The BS 200 can allocate to the MS a radio resource having a corrected scheduling metric value among the radio resources to which each MS can be preferentially allocated.

도 8은 빔들의 자원이 단말들에게 할당되는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in which resources of beams are allocated to terminals.

도 8을 참조하면, 제1 단말(UE1) 및 제2 단말(UE2)이 제1 빔의 빔 커버리지(C1) 안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제3 단말(UE3), 제4 단말(UE4) 및 제5 단말(UE5)이 제2 빔의 빔 커버리지(C2) 안에 있을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a first terminal UE1 and a second terminal UE2 may be in beam coverage C1 of the first beam. Also, the third terminal UE3, the fourth terminal UE4 and the fifth terminal UE5 may be in the beam coverage C2 of the second beam.

제1 빔에 대한 보정 메트릭은 무선 자원 인덱스가 증가할수록 감소할 수 있다. 반면, 제2 빔에 대한 보정 메트릭은 무선 자원 인덱스가 증가할수록 증가할 수 있다. 무선 자원 인덱스는 주파수 성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보정된 메트릭을 이용하여 스케쥴링을 할 경우, 보정 메트릭의 영향에 의해 제1 빔은 무선 자원 인덱스가 작은 자원들을 단말들에게 할당하고, 제2 빔은 무선 자원 인덱스가 큰 자원들을 단말들에게 할당할 수 있다.The correction metric for the first beam may decrease as the radio resource index increases. On the other hand, the correction metric for the second beam may increase as the radio resource index increases. The radio resource index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component. In the case of performing the scheduling using the corrected metric, the first beam allocates resources with small radio resource indexes to the UE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correction metric, and the second beam allocates resources with large radio resource indexes to the UEs .

예를 들어, 제1 빔의 무선 자원 RS1-1은 제2 단말(UE2)에 할당되고, 제1 빔의 무선 자원 RS1-2는 제1 단말(UE1)에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제2 빔의 무선 자원 RS2-5는 제4 단말(UE4)에 할당되고, 제2 빔의 무선 자원 RS2-6은 제5 단말(UE5)에 할당되고, 제3 빔의 무선 자원 RS2-7은 제3 단말(UE3)에 할당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radio resource RS1-1 of the first beam may be allocated to the second terminal UE2, and the radio resource RS1-2 of the first beam may be allocated to the first terminal UE1. In addition, the radio resource RS2-5 of the second beam is allocated to the fourth terminal UE4, the radio resource RS2-6 of the second beam is allocated to the fifth terminal UE5, and the radio resource RS2- 7 may be assigned to the third terminal UE3.

도 8에서는 제1 빔과 제2 빔이 각각 양 끝단의 무선 자원을 사용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Although FIG. 8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first beam and the second beam use radio resources at both ends,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도 9는 빔들의 자원이 단말들에게 할당되는 제2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9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in which resources of beams are allocated to terminals.

도 9를 참조하면, 1번 빔의 무선 자원 RS1-1이 제2 단말(UE2)에게 할당되고, 1번 빔의 무선 자원 RS1-2가 제1 단말(UE1)에게 할당될 수 있다. 수학식 2를 참조하면, 제1 빔의 보정 메트릭 Lb(k)는 무선 자원 인덱스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지만, 보정전 메트릭 mb,i,k의 영향으로 무선 자원 인덱스가 큰 무선 자원이 단말에게 할당될 수도 있다. 무선 자원 RS1-2가 제1 단말(UE1)에게 할당되지 않고, 무선 자원 인덱스가 상대적으로 큰 무선 자원 RS1-3이 제1 단말(UE1)에게 할당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radio resource RS1-1 of the first beam is allocated to the second terminal UE2, and the radio resource RS1-2 of the first beam is allocated to the first terminal UE1. Referring to Equation (2), the correction metric L b (k) of the first beam decreases as the radio resource index increases. However, due to the influence of the pre-correction metric m b, i, k , . A radio resource RS1-3 having a relatively large radio resource index may be allocated to the first terminal UE1 without allocating the radio resource RS1-2 to the first terminal UE1.

도 8 및 도 9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빔 커버리지가 인접한 두 빔이 서로 다른 방식으로 자원을 할당하면, 단말이 받는 빔들 사이의 간섭 효과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단말이 빔을 수신할 때, 신호 대 잡음비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정 전 스케쥴링 메트릭을 이용할 경우, 신호 대 잡음비는 수학식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As shown in FIGS. 8 and 9, if the beam coverage allocates resources in two different ways, the interference effect between the beams received by the terminal can be reduced. In addition, when the terminal receives the beam, the signal-to-noise ratio performance can be improved. For example, when using the pre-correction scheduling metric, the signal-to-noise ratio can be expressed as: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09

수학식 5에서 SINRib 는 i번째 단말이 빔 b를 수신할 때의 신호 대 잡음비를 의미한다. Pib는 i번째 단말이 빔 b를 수신하는 세기를 의미한다. Pij는 i번째 단말이 빔 j를 수신하는 세기를 의미한다. 또한, N은 백색 노이즈을 의미한다. 수학식 5를 참조하면, 빔 b를 제외한 나머지 빔들이 모두 단말 i에게 노이즈로 작용할 수 있다.In Equation (5), SINR ib denotes a signal-to-noise ratio when the i-th terminal receives the beam b. P ib denotes an intensity at which the i-th terminal receives the beam b. P ij denotes the intensity at which the i th UE receives the beam j. In addition, N means white noise. Referring to Equation (5), all remaining beams except beam b may act as noise to terminal i.

보정된 스케쥴링 메트릭을 이용하는 경우, 신호 대 잡음비는 수학식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In case of using the corrected scheduling metric, the signal-to-noise ratio can be expressed as Equation (6).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0

수학식 6에서 SINRib 는 i번째 단말이 빔 b를 수신할 때의 신호 대 잡음비를 의미한다. Pib는 i번째 단말이 빔 b를 수신하는 세기를 의미한다. Pij는 i번째 단말이 빔 j를 수신하는 세기를 의미한다. N은 백색 노이즈을 의미한다. K는 i번째 단말에게 할당된 무선자원을 다른 단말에게 할당하지 않은 빔들의 인덱스 집합을 의미한다.In Equation (6), SINR ib denotes a signal-to-noise ratio when the i-th terminal receives the beam b. P ib denotes an intensity at which the i-th terminal receives the beam b. P ij denotes the intensity at which the i th UE receives the beam j. N means white noise. K denotes an index set of beams that do not allocate radio resources allocated to the i-th UE to other UEs.

수학식 6을 참조하면, 빔 인덱스에 따라 보정 메트릭을 다르게 적용하여, 빔들이 서로 다른 무선 자원 인덱스에 편향되어 무선 자원을 할당함으로써, 신호 대 잡음비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Referring to Equation (6), the correction metrics may be appli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beam index, and the beams may be deflected to different radio resource indices to allocate radio resources, thereby improving the signal-to-noise ratio performance.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빔과 제2 빔 각각에서 단말들에게 할당되지 않은 유휴 자원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유휴 자원은 인접한 빔들 간의 협력 통신으로 활용될 수 있다. 8 and 9, there may be idle resources that are not allocated to the terminals in the first beam and the second beam, respectively. Such idle resources can be utilized for cooperative communication between adjacent beams.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200)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4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the base station 200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of FIG. 10, the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FIG. 4 is omitted.

도 10을 참조하면, S140 단계에서, 기지국(200)은 복수의 빔들 각각의 유휴 자원 중 적어도 일부를 인접한 빔과의 협력 통신을 위해 할당할 수 있다. 기지국(200)은 제1 빔의 빔 커버리지와 제2 빔의 빔 커버리지가 서로 인접한 경우, 제1 빔의 유휴 자원들 중 일부를 제2 빔과 협력 통신을 위해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200)은, 제1 빔의 빔 커버리지 안에 있는 단말들 중 제1 빔의 수신 세기가 약한 단말에 할당된 k번째 무선 자원을 제2 빔이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제2 빔의 상기 k번째 무선 자원을 상기 제1 빔의 수신 세기가 약한 단말에게 할당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in step S140, the base station 200 may allocate at least some of the idle resourc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eams for cooperative communication with an adjacent beam. The base station 200 may allocate some of the idle resources of the first beam for cooperative communications with the second beam if the beam coverage of the first beam and the beam coverage of the second beam are adjacent to each other. For example, if the second beam does not use the kth radio resource allocated to the terminal having a weak reception intensity of the first beam among the terminals in the beam coverage of the first beam, To the terminal having the weak reception intensity of the first beam.

도 11은 도 10의 S140 단계과 수행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에서, 빔 인덱스는 빔 커버리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빔 인덱스 값이 서로 인접한 경우, 빔 커버리지가 서로 인접할 수 있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steps S140 and steps performed in FIG. In FIG. 11, it is assumed that the beam index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beam coverage. If the beam index values are adjacent to each other, the beam coverage may be adjacent to each other.

도 11을 참조하면, S141 단계에서 기지국(200)은 빔 인덱스 b를 1로 설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base station 200 may set the beam index b to 1 in step S141.

S142 단계에서, 기지국(200)은 b 빔과 빔 커버리지가 서로 인접한 b-1빔과 b+1 빔의 빔 커버리지 안에 있는 단말을 검색할 수 있다. In step S142, the base station 200 can search for a terminal within the beam coverage of the b-1 beam and the b + 1 beam adjacent to each other with the b-beam and the beam coverage.

S143 단계에서, 기지국(200)은 무선 자원 인덱스 k를 1로 설정할 수 있다. 무선 자원 인덱스 k는 무선 자원의 주파수 성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In step S143, the base station 200 may set the radio resource index k to 1. The radio resource index k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component of the radio resource.

S145 단계에서, 기지국(200)은 b 빔의 k번째 무선 자원이 b 빔의 빔 커버리지 안에 있는 단말에게 할당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b 빔의 k번째 무선 자원이 단말에게 할당된 경우, 빔 인덱스 k를 1만큼 증가시키고 S145 단계를 다시 진행할 수 있다. b 빔의 k번째 무선 자원이 단말에게 할당되지 않은 경우, 기지국(200)은 S146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In step S145, the base station 200 may determine whether the kth radio resource of the b beam is allocated to the UE within the beam coverage of the b beam. If the kth wireless resource of the b-beam is allocated to the UE, the beam index k may be increased by 1 and the process may proceed to step S145 again. If the kth wireless resource of the b beam is not allocated to the terminal, the base station 200 may proceed to step S146.

S146 단계에서, 기지국(200)은 b-1 빔, b+1 빔의 k번째 무선 자원을 할당받은 단말에 협력 통신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기지국(200)은 단말이 b-1 빔의 k번째 무선 자원 신호 또는 b+1 빔의 k번째 무선 자원 신호를 수신하는 세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협력 통신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빔 커버리지의 중심에 위치한 경우, 단말의 신호 수신 세기가 강하기 때문에, 기지국(200)은 협력 통신이 불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반면, 단말이 빔 커버리지 경계에 가깝게 위치한 경우, 단말의 신호 수신 세기가 약하기 때문에, 기지국(200)은 협력 통신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S146 단계에서, 기지국(200)이 협력 통신이 불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기지국(200)은 무선 자원 인덱스 k를 1만큼 증가시키고 S145 단계를 다시 진행할 수 있다. S146 단계에서, 기지국(200)이 협력 통신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기지국(200)은 S147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In step S146, the base station 200 can determine whether cooperative communication is required for the terminal allocated with the kth radio resource of the b-1 beam and the b + 1 beam. The base station 200 can determine whether cooperative communication is necessary based on information on the strength of the terminal receiving the k th radio resource signal of the b-1 beam or the k th radio resource signal of the b + 1 beam. For example, when the terminal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beam coverage, since the signal reception intensity of the terminal is strong, the base station 200 can determine that cooperative communication is unnecessary. On the other hand, when the UE is located close to the beam coverage boundary, since the signal reception intensity of the UE is weak, the base station 200 may determine that cooperative communication is necessary.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46 that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is unnecessary, the base station 200 increases the radio resource index k by 1 and proceeds to step S145 again.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46 that the base station 200 requires cooperative communication, the base station 200 may proceed to step S147.

S147 단계에서, 기지국(200)은 빔 b의 유휴 자원인 k번째 무선 자원을, 빔 b-1 또는 빔 b+1과의 협력 통신을 위해 할당할 수 있다. 기지국(200)은 S146 단계에서 협력 통신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단말에게 빔 b의 k번째 무선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In step S147, the base station 200 may allocate the kth radio resource, which is the idle resource of the beam b, for cooperative communication with the beam b-1 or the beam b + 1. The base station 200 can allocate the kth radio resource of the beam b to the terminal determined to require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in step S146.

S148 단계에서, 기지국(200)은 무선 자원 인덱스 k가 무선 자원 인덱스의 최대 값 Kmax보다 작은지 판단할 수 있다. 무선 자원 인덱스 k가 무선 자원 인덱스의 최대 값 Kmax보다 작은 경우, 기지국(200)은 무선 자원 인덱스 k를 1만큼 증가 시키고 S145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무선 자원 인덱스 k가 무선 자원 인덱스의 최대 값 Kmax보다 작지 않은 경우, 기지국(200)은 S149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In step S148, the base station 200 has a radio resource index k can be determined smaller than the maximum value K max of the radio resource index. If the radio resource index k is smaller than the maximum value K max of the radio resource index, the base station 200 increases the radio resource index k by 1 and proceeds to step S145. If the radio resource index k is not smaller than the maximum value K max of the radio resource index, the base station 200 can proceed to step S149.

S149 단계에서, 기지국(200)은 빔 인덱스 b가 빔 인덱스의 최대 값 Bmax 보다 작은지 판단할 수 있다. 빔 인덱스 b가 빔 인덱스의 최대 값 Bmax 보다 작은 경우, 기지국(200)은 빔 인덱스 b를 1만큼 증가시키고 S142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빔 인덱스 b가 빔 인덱스의 최대 값 Bmax 보다 작지 않은 경우, 기지국(200)은 협력 통신을 위한 자원 할당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In step S149, the base station 200 may determine that the beam index b is smaller than the maximum value B max of a beam index. If the beam index b is smaller than the maximum value Bmax of the beam index, the base station 200 may increment the beam index b by one and proceed to step S142. If the beam index b is not less than the maximum value B max of the beam index, the base station 200 may terminate the resource allocation procedure for cooperative communication.

도 12는 빔들의 자원이 단말들에게 할당되는 제3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2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8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1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third embodiment in which resources of beams are allocated to terminal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of FIG. 12, the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FIG. 8 is omitted.

도 12를 참조하면, 제1 빔의 유휴자원인 무선 자원 RS1-5, RS1-6, RS1-7이 제2 빔과의 협력 통신을 위해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제2 빔의 유휴자원인 무선 자원 RS2-1, RS2-2가 제1 빔과의 협력 통신을 위해 할당될 수 있다. 12, radio resources RS1-5, RS1-6, and RS1-7, which are idle resources of the first beam, may be allocated for cooperative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beam. In addition, the radio resources RS2-1 and RS2-2, which are idle resources of the second beam, can be allocated for cooperative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beam.

예를 들어, 제1 빔의 자원블록 RS1-5는 제2 빔의 빔 커버리지에 있는 제4 단말(UE4)에 대한 협력 통신을 위해 할당될 수 있다. 제1 빔의 자원블록 RS1-6은 제2 빔의 빔 커버리지에 있는 제5 단말(UE5)에 대한 협력 통신을 위해 할당될 수 있다. 제1 빔의 자원블록 RS1-5는 제2 빔의 빔 커버리지에 있는 제3 단말(UE3)에 대한 협력 통신을 위해 할당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source blocks RS1-5 of the first beam may be allocated for cooperative communication to a fourth terminal UE4 in the beam coverage of the second beam. The resource blocks RS1-6 of the first beam may be allocated for cooperative communication to the fifth terminal UE5 in the beam coverage of the second beam. The resource blocks RS1-5 of the first beam may be allocated for cooperative communication to a third terminal UE3 in the beam coverage of the second beam.

제2 빔의 자원블록 RS2-1은 제1 빔의 빔 커버리지에 있는 제2 단말(UE2)에 대한 협력 통신을 위해 할당될 수 있다. 제2 빔의 자원블록 RS2-2은 제1 빔의 빔 커버리지에 있는 제1 단말(UE1)에 대한 협력 통신을 위해 할당될 수 있다.The resource block RS2-1 of the second beam may be allocated for cooperative communication to the second terminal UE2 in the beam coverage of the first beam. The resource block RS2-2 of the second beam may be allocated for cooperative communication to the first terminal UE1 in the beam coverage of the first beam.

도 13은 빔들 각각의 무선 자원이 할당된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1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radio resources of respective beams are allocated.

도 13을 참조하면, 기지국(200)은 b 빔의 무선 자원 인덱스가 작은 무선 자원들을, b 빔의 빔 커버리지 안에 있는 단말들에게 할당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200)은 b-1 빔 및 b+1 빔은 무선 자원 인덱스가 큰 무선 자원들을, 각각의 빔 커버리지 안에 있는 단말들에게 할당할 수 있다. 기지국(200)은 b 빔의 유휴자원들 중 적어도 일부를 b -1 빔 또는 b+1 빔과의 협력 통신에 할당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the base station 200 may allocate radio resources having small radio resource indexes of b-bands to terminals located within the beam coverage of the b-beam. In addition, the base station 200 may allocate radio resources having a large radio resource index to terminals within the respective beam coverage, for the b-1 beam and the b + 1 beam. The base station 200 may allocate at least some of the idle resources of the b beam to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with the b -1 beam or the b + 1 beam.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기지국(200)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빔 커버리지 경계에 있는 단말들에 대해 빔들 간의 협력 통신이 이루어짐으로써, 통신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신호 대 잡음비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협력 통신이 이루어질 경우, 신호 대 잡음비는 수학식 7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According to the operation method of the base station 2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3, cooperative communication between beams is performed for terminals located at a beam coverage boundary, so that communication quality can be improved. In addition, the signal-to-noise ratio performance can be improved. When cooperative communication is performed, the signal-to-noise ratio can be expressed by Equation (7).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1

수학식 7에서 SINRib 는 i번째 단말이 빔 b를 수신할 때의 신호 대 잡음비를 의미한다. Pib는 i번째 단말이 빔 b를 수신하는 세기를 의미한다. Pij는 i번째 단말이 빔 j를 수신하는 세기를 의미한다. N은 백색 노이즈을 의미한다. K는 i번째 단말에게 할당된 무선자원을 다른 단말에게 할당하지 않은 빔들의 인덱스 집합을 의미한다. 또한, Pim은 빔 b에 인접한 빔들이 빔 b와의 협력 통신으로 제공하는 신호를 i번째 단말이 수신하는 세기를 의미한다.In Equation (7), SINR ib denotes a signal-to-noise ratio when the i-th terminal receives the beam b. P ib denotes an intensity at which the i-th terminal receives the beam b. P ij denotes the intensity at which the i th UE receives the beam j. N means white noise. K denotes an index set of beams that do not allocate radio resources allocated to the i-th UE to other UEs. P im denotes the intensity at which the ith terminal receives a signal provided by the beam adjacent to the beam b in cooperation with the beam b.

수학식 7을 참조하면, 협력 통신에 의해 수학식 6에 비해 우변의 분모에 Pim이 추가되어 신호 대 잡음비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Referring to Equation (7), P im may be added to the denominator of the right side of Equation (6) by cooperative communication, thereby improving the signal-to-noise ratio performanc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200)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기지국(200)과 통신하는 단말에 관하여 설명한다. The base station 2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Hereinafter, a terminal communicating with the base station 200 will be described.

도 1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FIG.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S210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200)으로부터 참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서브 프레임마다 각각의 무선 자원에 삽입된 참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참조 신호는 기지국(200)이 운용하는 빔들의 무선 자원 마다 삽입될 수 있다. 단말은 각각의 무선 자원을 통해 전송된 참조 신호의 수신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빔 인덱스 및 무선 자원 인덱스에 따라 참조 신호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단말은 참조 신호의 종류 별로, 참조 신호의 수신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in step S210, the terminal can receive a reference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200. FIG. The UE can receive the reference signals embedded in the respective radio resources for each subframe. The reference signal may be inserted for each radio resource of the beams operated by the base station 200. The UE can measure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through each radio resource. The reference signal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beam index and the wireless resource index. The terminal can measure the reception intensity of the reference signal for each type of reference signal.

S220 단계에서, 단말은 참조 신호의 수신 세기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빔들 각각의 무선 자원들 각각을 통해 전송된 참조 신호를 수신하고, 참조 신호 별로 수신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단말은 참조 신호에 대한 수신 세기에 대한 정보를 채널 품질 지시자(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단말은 참조 신호 세기에 대한 정보를 채널 품질 지시자의 형식으로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In step S220, the UE can transmit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reference signal. For example, the UE may receive the reference signal transmitted through each of the radio resources of each of the beams, and measure the reception intensity for each reference signal. The UE can convert information on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reference signal into a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format. The UE can generate and transmit information on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in the form of a channel quality indicator.

S230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200)으로부터 무선 자원의 할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이 할당 받는 무선 자원은 상술한 보정된 스케쥴링 메트릭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In step S230, the UE can receive radio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Node B 200. [ The radio resources to which the UE is allocated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above-described corrected scheduling metric.

S240 단계에서, 단말은 기지국(200)으로부터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수신한 하향링크 신호 중, 자원 할당 정보에 따라 자신에게 할당된 무선 자원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 단말은 자신에게 할당된 무선 자원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복조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자신이 속한 빔 커버리지의 빔 뿐만 아니라 협력 통신을 제공하는 빔의 무선 자원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도 함께 복조할 수 있다.In step S240, the UE can receive the downlink signal from the Node B 200. [ The UE can demodulate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radio resource allocated to the UE according to the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among the received downlink signals. The UE can demodulate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radio resource allocated to the UE and confirm the downlink data. In addition, the UE may demodulate not only the beam of the beam coverage to which it belongs but also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radio resource of the beam providing cooperative communication.

이상에서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 단말, 기지국의 동작 방법 및 단말의 동작 방법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지국의 복수의 빔들을 운용할 때, 빔들 사이의 간섭으로 인한 통신 품질 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빔들 각각의 주파수 자원 분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인접한 빔들이 협력 통신을 함으로서, 통신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The operation method of the base statio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terminal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through FIG.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hen operating the plurality of beams of the base sta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communication quality degradation due to interference between beams. Also, frequency resource distribution of each of the beams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And, by performing cooperative communication with adjacent beams, the communication quality can be improved.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The meth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 readabl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 램,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1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xamples of computer readable media include hardware devices that are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the compiler 1,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with at least one software module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Claims (20)

복수의 빔을 운용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단말에 대하여, 복수의 빔들 각각의 무선 자원들 각각에 대한 스케쥴링 메트릭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빔들 각각의 빔 인덱스 및 무선 자원 인덱스에 의존하는 보정 메트릭을 이용하여, 상기 스케쥴링 메트릭을 보정하는 단계;
보정된 스케쥴링 메트릭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빔들 각각의 빔 커버리지 안에 있는 단말들 각각에 할당되는 무선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A method of operating a base station operating a plurality of beams,
Obtaining, for each terminal, a scheduling metric for each of the radio resourc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eams;
Correcting the scheduling metric using a correction metric that is dependent on a beam index and a radio resource index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eams;
And determining a radio resource to be allocated to each of the terminals in the beam coverag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eams based on the corrected scheduling metric.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자원 인덱스는, 무선 자원의 주파수 성분에 대한 인덱스인 기지국의 동작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dio resource index is an index of a frequency component of a radio resource.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빔의 빔 커버리지와 제2 빔의 빔 커버리지가 서로 인접한 경우,
상기 제1 빔에 대한 보정 메트릭은, 무선 자원 인덱스에 대한 제1 함수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2 빔에 대한 보정 메트릭은, 상기 제1 함수와 다른 제2 함수에 의해 결정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f the beam coverage of the first beam and the beam coverage of the second beam are adjacent to each other,
Wherein the correction metric for the first beam is determined by a first function for a radio resource index and the correction metric for the second beam is determined by a second fun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function,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함수의 출력 값은 무선 자원 인덱스가 증가할수록 증가하고, 상기 제2 함수의 출력 값은 상기 무선 자원 인덱스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output value of the first function increases as the radio resource index increases and the output value of the second function decreases as the radio resource index increas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링 메트릭을 획득하는 단계는,
참조 신호를 전송하고, 단말들 각각으로부터 단말들 각각이 수신한 빔들 각각의 참조 신호 세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참조 신호 세기에 대한 정보로부터 상기 스케쥴링 메트릭을 계산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btaining the scheduling metric comprises:
A method of operating a base station that transmits a reference signal, obtains information on a reference signal strength of each of the beams received by the terminals from each of the terminals, and calculates the scheduling metric from information on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케쥴링 메트릭을 보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빔 각각의 빔 인덱스에 의존하는 보정 메트릭을 상기 복수의 빔 각각의 스케쥴링 메트릭에 더함으로써, 상기 스케쥴링 메트릭을 보정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rrecting the scheduling metric comprises:
And adding a correction metric that is dependent on a beam index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eams to a scheduling metric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eams to correct the scheduling metric.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들 각각에 할당되는 무선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빔들 각각의 무선 자원들 각각을 우선적으로 할당 받는 단말을 결정하고, 상기 단말에게 할당될 수 있는 빔의 무선 자원들 중 스케쥴링 메트릭이 양호한 값을 가지는 무선 자원을 상기 단말에게 우선적으로 할당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a radio resource allocated to each of the terminals comprises:
A terminal that is preferentially allocated to each radio resour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eams is determined and a radio resource having a good scheduling metric among the radio resources of the beam that can be allocated to the terminal is preferentially allocated to the terminal A method of operating a base st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빔의 빔 커버리지와 제2 빔의 빔 커버리지가 서로 인접하는 경우, 상기 제2 빔의 유휴 자원들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빔과의 협력 통신에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ssigning at least some of the idle resources of the second beam to cooperative communications with the first beam if the beam coverage of the first beam and the beam coverage of the second beam are adjacent to each other, Way.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빔의 빔 커버리지 안에 있는 단말들 중 제1 빔의 수신 세기가 약한 단말에 할당된 k번째 무선 자원을 제2 빔이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빔의 상기 k번째 무선 자원을 통해 상기 제1 빔의 k번째 무선 자원으로 전송하는 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The method of claim 8,
If the second beam does not use the kth radio resource allocated to the terminal having a weak reception intensity of the first beam among the terminals in the beam coverage of the first beam, And may transmit the same information as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kth radio resource of the first bea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빔들 각각의 커버리지 안에 있는 단말들에게 할당된 무선 자원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들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지국의 동작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on radio resources allocated to the UEs in the coverag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eams to the UEs.
복수의 빔을 운용하는 기지국에 접속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참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참조 신호의 수신 세기에 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빔들 각각의 빔 인덱스 및 무선 자원 인덱스에 의존하는 보정 메트릭에 의해 보정된 스케쥴링 메트릭에 기초하여 설정된 무선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자원 할당 정보에 따라 상기 단말에게 할당된 무선 자원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connected to a base station operating a plurality of beams,
Receiving a reference signal from the base station;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reception strength of the reference signal to the base station;
Receiving radio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set based on a scheduling metric corrected by a correction metric that is dependent on a beam index and a radio resource index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eams; And
And demodulating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adio resource allocated to the UE according to the radio resource allocation information to identify downlink data.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자원 인덱스는, 무선 자원의 주파수 성분에 대한 인덱스인 단말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radio resource index is an index of a frequency component of a radio resource.
청구항 11에 있어서,
제1 빔의 빔 커버리지와 제2 빔의 빔 커버리지가 서로 인접한 경우,
상기 제1 빔에 대한 보정 메트릭은, 무선 자원 인덱스에 대한 제1 함수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2 빔에 대한 보정 메트릭은, 상기 제1 함수와 다른 제2 함수에 의해 결정되는 단말의 동작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If the beam coverage of the first beam and the beam coverage of the second beam are adjacent to each other,
Wherein the correction metric for the first beam is determined by a first function for a radio resource index and the correction metric for the second beam is determined by a second fun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function,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함수의 출력 값은 무선 자원 인덱스가 증가할수록 증가하고, 상기 제2 함수의 출력 값은 상기 무선 자원 인덱스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output value of the first function increases as the radio resource index increases and the output value of the second function decreases as the radio resource index increases.
복수의 빔을 운용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memory)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각각의 단말에 대하여, 복수의 빔들 각각의 무선 자원들 각각에 대한 스케쥴링 메트릭을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빔들 각각의 빔 인덱스 및 무선 자원 인덱스에 의존하는 보정 메트릭을 이용하여, 상기 스케쥴링 메트릭을 보정하고, 보정된 스케쥴링 메트릭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빔들 각각의 빔 커버리지 안에 있는 단말들 각각에 할당되는 무선 자원을 결정하도록 수행되는 기지국.
In a base station operating a plurality of beams,
A processor; And
Wherein at least one instruction executed through the processor includes a memory,
Wherein the at least one instruction comprises:
For each terminal, a scheduling metric is obtain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beams of radio resources, and the calibration metric is corrected using a correction metric that depends on the beam index and radio resource index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eams And to determine radio resources allocated to each of the terminals in the beam coverag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eams based on the corrected scheduling metric.
청구항 15에 있어서,
제1 빔의 빔 커버리지와 제2 빔의 빔 커버리지가 서로 인접한 경우,
상기 제1 빔에 대한 보정 메트릭은, 무선 자원 인덱스에 대한 제1 함수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제2 빔에 대한 보정 메트릭은, 상기 제1 함수와 다른 제2 함수에 의해 결정되는 기지국.
16. The method of claim 15,
If the beam coverage of the first beam and the beam coverage of the second beam are adjacent to each other,
Wherein the correction metric for the first beam is determined by a first function for a radio resource index and the correction metric for the second beam is determined by a second fun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function.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 함수의 출력 값은 무선 자원 인덱스가 증가할수록 증가하고, 상기 제2 함수의 출력 값은 상기 무선 자원 인덱스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기지국.
18.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output value of the first function increases as the radio resource index increases and the output value of the second function decreases as the radio resource index increases.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참조 신호를 전송하고, 단말들 각각으로부터 단말들 각각이 수신한 빔들 각각의 참조 신호 세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참조 신호 세기에 대한 정보로부터 상기 스케쥴링 메트릭을 계산하도록 수행되는 기지국.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at least one instruction comprises:
Wherein the base station is configured to transmit a reference signal, obtain information on a reference signal strength of each of the beams received by the terminals from each of the terminals, and calculate the scheduling metric from information on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제1 빔의 빔 커버리지와 제2 빔의 빔 커버리지가 서로 인접하는 경우, 상기 제2 빔의 유휴 자원들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빔과의 협력 통신에 할당하도록 수행되는 기지국.
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at least one instruction comprises:
Wherein at least some of the idle resources of the second beam are assigned to cooperative communications with the first beam when the beam coverage of the first beam and the beam coverage of the second beam are adjacent to each other.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제1 빔의 빔 커버리지 안에 있는 단말들 중 제1 빔의 수신 세기가 약한 단말에 할당된 k번째 무선 자원을 제2 빔이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빔의 상기 k번째 무선 자원을 통해 상기 제1 빔의 k번째 무선 자원으로 전송하는 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the at least one instruction comprises:
If the second beam does not use the kth radio resource allocated to the terminal having a weak reception intensity of the first beam among the terminals in the beam coverage of the first beam, And may transmit the same information as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kth radio resource of the first beam.
KR1020170033780A 2017-03-17 2017-03-17 Base st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base station KR2018010613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780A KR20180106131A (en) 2017-03-17 2017-03-17 Base st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base 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780A KR20180106131A (en) 2017-03-17 2017-03-17 Base st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base st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131A true KR20180106131A (en) 2018-10-01

Family

ID=63877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780A KR20180106131A (en) 2017-03-17 2017-03-17 Base st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base s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613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13199B (en) Sounding reference signal power control for mimo wireless systems
US917857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power distribution
US10069556B2 (en)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base station
CN108540166B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Time Division Duplex (TDD) uplink-downlink (UL-DL) configuration management
US9258785B2 (en) Uplink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thod and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8202215A1 (en) Uplink signal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uplink signal deter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WO2012114704A1 (en) Radio resource range setting device, radio resource range sett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WO2017167503A1 (en) Dynamic time division duplex interference mitigation in a wireless network
US101786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 for control channel in multi-beam environmen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ntrol channel in multi-beam environment
CN109156030B (en) PUCCH resource allocation
WO2012008593A1 (en) Wireless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s control method
KR2019006749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s using beam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426814B2 (en) Radio base station and a method therein for scheduling radio resources based on a path loss fraction
CN113796022A (en) Method, wireless device and network node for realizing beam reference signaling
CN110662235B (en) Data processing method, host unit, base station system, and storage medium
US11197305B2 (en) Wireless base station and scheduling method
JP2019503121A (en) Multi-antenna transmission method and base station in common cell network
WO2020069740A1 (en) Beam selection for communications on uplink shared channel
WO2021087768A1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for communication
KR10246614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hannel frequency hopping, computer storage medium
US9949213B2 (en)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ower coordination
KR20180106131A (en) Base st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base station
CN109511138B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resource alloca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WO2022193252A1 (en) Communication methods, terminal device, network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JP5553701B2 (en) Base station and base station communication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