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5526A - The editorial structure of brand map - Google Patents

The editorial structure of brand ma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5526A
KR20180105526A KR1020170032696A KR20170032696A KR20180105526A KR 20180105526 A KR20180105526 A KR 20180105526A KR 1020170032696 A KR1020170032696 A KR 1020170032696A KR 20170032696 A KR20170032696 A KR 20170032696A KR 20180105526 A KR20180105526 A KR 20180105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d
trend
displayed
concept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26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53200B1 (en
Inventor
오재진
강경찬
변창규
Original Assignee
오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재진 filed Critical 오재진
Priority to KR1020170032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200B1/en
Publication of KR20180105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55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2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diting structure of a brand analysis map, which enables a map consumer to finally confirm a brand to be u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ncept trend analysis diagram (100) is formed on a first inner paper (101) of a map, and a second concept trend analysis diagram (200) is formed on a second inner paper (201) of the map.

Description

브랜드 분석맵의 편집 구조{The editorial structure of brand map}The editorial structure of the brand analysis map is shown in FIG.

본 발명은, 수요자가 사용할 브랜드를 결정함에 있어서 기존 브랜드의 트랜드를 분석하여 제공하고, 브랜드 확정을 위한 최종 결정단계에서 최종 브랜드 확정 그룹에 제시되는 다수 개의 제안된 브랜드들 중에서 노이즈를 정리하고 최종 제시되는 수 개의 후보브랜드(대체로 2 ~ 4개로 압축하여 제시됨)에 대해 트렌드, 등록 가능성, 소비자 선호도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결정할 수 있도록 한, 브랜드 분석맵 편집 구조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and provides a trend of an existing brand in determining a brand to be used by a consumer, arranges noise among a plurality of proposed brands presented in a final brand definite group at a final decision stage for finalizing the brand, The possibility of registration, the preference of the consumer, and the like for a plurality of candidate brands (generally, compressed to 2 to 4).

이하의 설명에서 '상표'라 함은 '브랜드'와 같은 의미를 갖는 것으로 이해된다 하겠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rademark' is understood to have the same meaning as 'brand'.

통상적으로 상표의 개발은 사내 주관 부서가 중심이 되어 선정하는 경우, 사외에서 모집 선정하는 경우 또는 타인의 상표를 활용하는 경우가 있다.Traditionally, the development of a trademark may be selected by the in-house management department as a center, when recruiting or selecting from outside, or using a trademark of another person.

사내 주관부서가 중심이 되어 선정하는 경우 새로운 상품에 어울리는 상표(브랜드)를 그 상품의 특성이나 효능, 마케팅 전략 등을 잘 아는 사내에서 선정하게 되는데, 이 경우 주로 상품기획이나 마케팅부서가 주관이 되어 상표 아이디어를 내게 되거나 사내 공모를 통해 이루어지기도 하며 경영자의 아이디어를 반영하기도 한다.When a company is selected as the center, the company selects a brand (brand) suitable for a new product in a company that knows the characteristics, efficacy, and marketing strategy of the product. In this case, the product planning or marketing department is mainly responsible They may come up with branding ideas, through in-house public offerings, or they may reflect managerial ideas.

사외에서 모집 선정하는 경우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상표를 공모하여 상품 특성보다는 소비자에 대한 친밀도를 높이는 방법과 상표 작명 전문회사(네이밍 전문회사)에 의뢰하는 경우가 있다.In case of selecting and selecting from outside, there are cases in which a general trademark is offered to a general consumer and a method of increasing familiarity with a consumer rather than a product characteristic and a trademark naming specializing company (naming specializing company) are used.

보다 구체적으로 브랜드 네임의 개발은 통상 키워드 수집, 후보안 개발, 등록 가능성 검토의 순으로 이루어지며, 개발된 브랜드에 대해 디자인 컨셉 연구, 모티프 수집, 후보안 개발 순으로 이루어지며, 이 후 상표 출원 등을 통한 브랜드 권리화를 이루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development of a brand name is usually performed in the order of keyword collection, security development, and registration possibility review. Design concept research, motif collection, and post security development are performed for the developed brand in this order. Which will be used to create brand equity.

도 1에는 이러한 브랜드 개발에서 최종확정까지의 통상적인 흐름을 나타나 있다.FIG. 1 shows a typical flow from the development of the brand to the final confirmation.

본 발명은 주로 도 1에서의 최종 후보브랜드 제시를 위한 보고서(A) 단계에서 적용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applied to the report (A) for presenting the final candidate brand in Fig.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브랜드 수요업체의 의뢰 후 수요 내용 협의, 현황 조사, 수요업체의 요구를 청취한 후 브랜드 네이밍을 개발하여 제시안을 제공한 후 수요업체의 가,부에 따라 2, 3, 4차 지속적으로 반복된 후 최종후보 브랜드를 2 내지 4개 제시한 다음 마지막으로 수요업체에서 최종적으로 확정하게 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after consulting the demand contents of the brand demanding companies, investigating the current situation, listening to the requests of the demanding companies, and developing the brand naming, After the car is repeated continuously, 2 to 4 final candidate brands are presented and finally finalized by the demanding company.

여기서 말하는 최종 브랜드 확정 그룹(맵 수요자)은 브랜드 의뢰 업체별 의사 결정 구조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여러 형태가 있을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nal brand definite group (map consumer) may have various forms because the decision making structure of each brand is different.

즉, 1) CEO에 의한 독단적 결정, 2) CEO를 포함하는 임원진에 의한 협의 결정, 3) CEO를 포함하는 별도의 브랜드 확정 그룹에 의한 협의 결정, 4) 별도의 테스크 포스 조직에 의한 협의 결정 등 다양한 형태가 있을 수 있다.2) decision by the executive team including the CEO; 3) decision by the brand decision group including the CEO; and 4) decision by the separate task force organization. There can be various forms.

특히, 새로이 창업을 하는 업체이거나 중소업체의 경우 브랜드 개발 비용에 대한 부담, 전담 인력 부족 등으로 인해 제대로 된 브랜드 개발과 관련한 서비스를 받기 어렵기 때문에 직원들에 의한 공모에 의하거나 CEO의 선호도에 따른 일방적 브랜드 확정을 하기도 하며 인쇄업체, 간판 제작 업체 또는 작명가에 의하여 추천된 것이 최종 브랜드로 확정되기도 한다.In particular, since it is difficult to receive services related to brand development due to the burden on brand development costs and the lack of dedicated personnel due to new start-up companies or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One-sided branding may be confirmed, and a recommendation by a printing company, a sign maker, or a nominee may be finalized.

전기한 자들은 상표 분야의 비전문가들인 관계로 확정 후 상표 출원시 등록이 불허되거나 타인의 상표권을 침해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며, 소비자의 선호도가 반영되지 않은 질 낮은 브랜드로 확정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사후에 새로운 브랜드 개발을 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As a result, the registered trademark is not accepted at the time of trademark application, the trademark right of the other person is infringed, the quality of the brand is not reflected in the consumer's preference, There is also a problem of developing a new brand in the market.

또한, 비용을 들여 브랜드 개발 회사에 의뢰한다 해도 디자인 요소에 치중하거나 산만하게 후보브랜드들에 대한 의견을 제시함으로 최종 브랜드 확정 그룹에서 진정으로 판단에 필요한 요소들이 간과됨으로 최선의 브랜드를 최종 확정함에 있어 혼란을 주는 일이 빈번한 실정이다.In addition, even if it is costly to refer to a brand development company, it is important to decide the best brand because the factors necessary for genuine judgment in the final brand definite group are neglected by focusing on design elements or suggesting candid opinions on the candidate brands. Confusion is a frequent phenomenon.

이러한 문제로 인해 최근에 들어 특허맵 외에 브랜드 분석맵의 활용이 권장되고 있다.Due to these problems, it is recommended to use the brand analysis map in addition to the patent map in recent years.

이러한 브랜드 분석맵을 포함한 산업재산권 분석 맵에 관한 기술로는 "산업재산권 분석맵의 편집구조"(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59252호, 특허문헌 1)가 공개되어 있다.As a technique related to the industrial property right analysis map including such a brand analysis map, "edit structure of industrial property right analysis map"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59252, patent document 1) is disclosed.

그런데, 브랜드(상표와 같은 개념)는 특허, 실용신안, 디자인과는 근원적으로 큰 차이가 있어 상기 편집구조로써는 충족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a brand (a concept such as a trademark)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a patent, a utility model, and a design, and thus can not be satisfied with the editing structure.

보다 구체적으로, 브랜드의 경우 1) 주지 또는 저명한 상표가 아니라면, 소멸되었거나 공지·공용된 상표라도 선택에 의해 자신 또는 타인이 사용하거나 출원·등록할 수 있는 점, 2) 브랜드 개발 및 확정시 고려되어야 할 요소들(상표등록 지수, 좋은 상표 지수, 소비자 선호 지수 등)이 반영된 편집구조와 특허문헌 1에서 제시되어 있는 편집구조가 크게 차이가 있는 점, 3) 브랜드(상표)의 개발 방식과 특허, 실용신안, 디자인의 개발 방식이 서로 다른 점, 4) 브랜드(상표)의 개발인력과 특허, 실용신안, 디자인의 개발 인력이 서로 다른 점 등에서 많은 차이가 있다.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a brand, 1) a trademark which has been annulled or publicly known or used may be used, registered or registered by itself or another person by choice, 2) (3) the method of development of brand (trademark), patent, trademark, and so on; (3) the structure of the trademark; (4) 4)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development manpower of brand (trademark), development manpower of patent, utility model, and design.

더불어, 최종 브랜드 확정 그룹은 통상적으로 브랜드에 대한 전문가가 아닌 관계로 최종 후보 브랜드가 제시되었을 때 다수의 페이지로 이루어진 분석맵 상에서의 핵심 포인트의 파악이 어려워 최종적인 브랜드의 선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nal brand definite group is not an expert on the brand,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key points on the analysis map composed of a plurality of pages when the final candidate brand is presented, making it difficult to select the final brand.

KR 20-0459252 (2012.03.07)KR 20-0459252 (Mar 07, 2012)

본 발명의 브랜드 분석맵의 편집 구조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브랜드 최종 확정 그룹에서 일목 요연하게 당해 거래업계의 주요브랜드들에 대한 컨셉 트랜드는 물론 주요브랜드들이 어떻게 상표 등록을 했는지 그 브랜드의 상표 등록 현황을 용이하게 알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The editing structure of the brand analysis ma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overcome the problems caused by the conventional technology as described above. The brand final definitive group has a clear idea about the major brands of the trade industry, So that the trademark registration status of the brand or the trademark registration status of the brand can be easily known.

또, 최종 후보브랜드 각각이 어떤 컨셉 구역에 해당하는 지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주요브랜드에 대비한 후보브랜드의 컨셉을 용이하게 파악하여 최종 후보브랜드 각각이 당해 거래 업계의 주요브랜드들의 컨셉 트랜드와 어떤 차이가 있는 지 파악함으로써 최종 브랜드 확정을 위한 논의나 판단에 큰 도움이 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easy to know which conceptual zone each of the final candidate brands corresponds to,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concept of the candidate brand in preparation for the major brand, so that each of the final candidate brands is different from the concept trend of the major brands To make sure that it is a great help to debate and judge the final brand.

더불어, 후보브랜드 하단의 표기를 활용하여 좋은 상표 지수, 상표 등록 가능 지수, 소비자 선호 지수를 한 눈에 볼 수 있어, 후보안별로 대비하여 검토 및 판단함으로써 최선의 최종안 선정에 도움을 줄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In addition, by using the notation of the candidate brand, we can see the good brand index, the trademark registration index, and the consumer preference index at a glance. will be.

이를 통해, 기존 브랜드 개발 회사에서 최종 확정안을 납품하기 전에 제공되는 브리핑 또는 제안 보고서에 산만하게 나열되거나 주요 판단 요소들이 누락됨에 의하여 최종 확정 후 다시 브랜드를 교체하거나 실제 상표 등록이 되지 않아 애먹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existing brand development company before the delivery of the final determination of the briefing or proposal reports are listed in the distracted or missing key elements, such as final confirmation after the brand again, So that it can be minimized.

본 발명의 브랜드 분석맵의 편집 구조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맵 수요자가 요청한 상품 분류의 주요브랜드의 트랜드가 분석되어 제공되고, 추천 브랜드가 제공되어 맵 수요자로 하여금 사용할 브랜드를 최종 확정할 수 있도록 하는, 브랜드 분석 맵의 편집 구조에 있어서, 상기 맵의 일측 제1내지(101)에는 분석 대상이 되는 당해 업종의 주요브랜드의 컨셉 트랜드가 표시되는 제1컨셉트랜드분석도(10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맵의 다른 제2내지(201)에는 맵 수요자로 하여금 사용할 브랜드 확정을 위한 후보브랜드의 컨셉 트랜드가 표시되는 제2컨셉트랜드분석도(200)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제2내지(201)는 투명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백지 상태의 보조내지(202)의 상,하,좌,우 중 어느 일측에 연결된 채 절곡되도록 이루어져 있어, 보조내지(202) 표면 위에 위치하거나, 보조내지(202) 표면 위로 제1내지(101)가 끼워진 상태에서 절곡되어 제1내지(101)의 표면 위로 위치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선택적으로 제1컨셉트랜드분석도(100) 위로 제2컨셉트랜드분석도(200)가 겹쳐져 육안으로 주요브랜드에 대비한 후보브랜드의 컨셉 트랜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editing structure of the brand analysis ma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rends of major brands of the product classification requested by the map consumer are analyzed and provided, and a recommended brand is provided, The first concept trend analysis diagram 100 in which the concept trends of major brands of the industry to be analyzed are displayed in the first to the first 101 of the map, And a second concept trend diagram 200 in which the concept consumer of the candidate brand for brand determination to be used is displayed is displayed in second to 201 of the map, (201) is formed to be transparent and bent to be connected to either one of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ssistant in the blank state (202) (101) is folded and positioned above the surface of the first to (101) so that the first concept trend diagram The second concept trend analysis chart 200 is superimposed on each other, so that the concept trend of a candidate brand prepared for a major brand can be confirmed visually.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컨셉트랜드분석도(100) 및 제2컨셉트랜드분석도(200)는 사각형의 도형(11)으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도형(11) 내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격자형을 이루는 제1기준선(11a)이 형성되어 제1기준선(11a)에 의해 다수 개의 분리된 제1구역(1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내지(101) 및 제2내지(201)는 상기 도형(11)의 외부에 해당 브랜드의 트랜드를 특정짓는 문장이 표시된 트랜드정의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내지(101) 및 제2내지(201)는 상기 도형(11)의 둘레에 상기 트랜드정의부(12)에서 특정된 트랜드의 정도가 수치화되어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표시된 지수표시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컨셉트랜드분석도(100)의 제1구역(11b) 내부에는 분석 대상이 되는 주요브랜드의 표장(20)이 지수표시부(13)의 수치에 대응되어 위치하고, 상기 제2컨셉트랜드분석도(200)의 제1구역(11b) 내부에는 후보브랜드의 표장(30)이 지수표시부(13)의 수치에 대응되어 위치하며, 상기 제1컨셉트랜드분석도(100)에는 도형(11) 내부에 다수의 인접한 주요브랜드 표장(20)이 내부 영역에 위치하는 그룹도형(110)이 표시되어 있고, 상기 도형(11) 내부에 그룹도형(110)을 제외한 부분에 그룹도형(110)과 다른 색상의 비그룹도형(120)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first concept trend analysis diagram 100 and the second concept trend diagram 200 are formed of a quadrangle figure 11, and a grid shape is formed in the figure 11 at regular intervals A first reference line 11a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separated first regions 11b are formed by a first reference line 11a and the first to 101st and second to 201th regions are formed by the first reference line 11a, (101) and (2) to (201) are formed on the periphery of the figure (11), and the trend definition section (12) The degree of trend specified in the trend defining section 12 is numerically expressed and the exponent display section 13 sequentially display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s formed and the first section 11b of the first concept trend diagram 100 ), The mark 20 of the major brand to be analyzed corresponds to the numerical value of the exponent display section 13 A mark 30 of a candidate brand is loc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numerical value of the exponential display section 13 in the first zone 11b of the second concept trend analysis chart 200, A group figure 110 in which a plurality of adjacent major brand marks 20 are located in an inner area is displayed in the figure 11 and a part figure 110 excluding the group figure 110 is displayed inside the figure 11, And a non-group graphic form 120 of a different color from the group graphic form 110 is displayed.

또, 상기 제1컨셉트랜드분석도(100)에는 주요브랜드의 표장(20)이 위치하는 제1구역(11b) 내부에는 숫자가 표시된 제1숫자도형(130)이 위치하고, 상기 맵의 다른 내지들에는 상기 제1숫자도형(130)의 숫자와 일치하는 숫자가 각각 일측에 표시되어 있으며, 제1숫자도형(130)의 숫자와 매칭되는 주요브랜드의 상표등록현황이 표시된 등록현황표시부(30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컨셉트랜드분석도(200)에는 후보브랜드의 표장(30)이 위치하는 제1구역(11b) 내부에는 숫자가 표시된 제2숫자도형(210)이 위치하고, 상기 맵의 다른 내지들에는 상기 제2숫자도형(210)의 숫자와 일치하는 숫자가 각각 일측에 표시되어 있으며, 제2숫자도형(210)의 숫자와 매칭되는 후보브랜드의 소비자 선호 정도, 상표 등록 가능성, 좋은 상표 여부를 알 수 있는 지수에 의해 방사형 챠트로 표시되는 후보브랜드분석도(40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first concept trend diagram 100, a first numeric figure 130 is located in a first area 11b where a mark 20 of a major brand is located,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first numeric figure 130 is displayed on one side and a registration status display unit 300 displaying a trademark registration status of a major brand matching the number of the first numeric figure 130 And a second numeric figure 210 in which a number is displayed is located in the first zone 11b where the mark 30 of the candidate brand is located in the second concept trend diagram 200, The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numbers of the second numeric figure 210 are displayed on one side and the degree of consumer preference of the candidate brand matching the numbers of the second numeric figure 210, Table by radial chart by index to know whether or not Candidate brand analysis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the 400 is formed.

본 발명에 의해, 브랜드 최종 확정 그룹에서 일목 요연하게 당해 거래업계의 주요브랜드들에 대한 컨셉 트랜드는 물론 브랜드들이 어떻게 상표 등록을 했는 지 그 브랜드의 상표 등록 현황을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concept trend of major brands in the trading industry, but also the brand registration status of the brand can be easily recognized as well as the brand registration finalization group.

또, 최종 후보브랜드 각각이 어떤 컨셉 구역에 해당하는 지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주요브랜드에 대비한 후보브랜드의 컨셉을 용이하게 파악하여 최종 후보브랜드 각각이 당해 거래 업계의 주요브랜드들의 컨셉 트랜드와 어떤 차이가 있는 지 파악함으로써 최종 브랜드 확정을 위한 논의나 판단에 큰 도움이 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easy to know which conceptual zone each of the final candidate brands corresponds to,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grasp the concept of the candidate brand in preparation for the major brand, so that each of the final candidate brands is different from the concept trend of the major brands It is very helpful to discuss and determine the final brand.

또한, 후보브랜드 하단의 표기를 활용하여 좋은 상표 지수, 상표 등록 가능 지수, 소비자 선호 지수를 한 눈에 볼 수 있어, 후보안 별로 대비하여 검토 및 판단함으로써 최선의 최종안 선정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using the notation of the candidate brand, it is possible to see a good brand index, a trademark registration index, and a consumer preference index at a glance. .

이를 통해, 기존 브랜드 개발 회사에서 최종 확정안을 납품하기 전에 제공되는 브리핑 또는 제안 보고서에 산만하게 나열되거나 주요 판단 요소들이 누락됨에 의하여 최종 확정 후 다시 브랜드를 교체하거나 실제 상표 등록이 되지 않아 애먹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existing brand development company before the delivery of the final determination of the briefing or proposal reports are listed in the distracted or missing key elements, such as final confirmation after the brand again, So that it can be minimized.

도 1은 브랜드 개발에서 최종확정까지의 통상적인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브랜드 분석맵의 편집 구조에서 제1내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브랜드 분석맵의 편집 구조에서 제2내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브랜드 분석맵의 편집 구조에서 제2내지가 제1내지 위로 절곡되어 겹쳐지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브랜드 분석맵의 편집 구조에서 제1내지 위로 제2내지가 겹쳐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6 내지 10은 본 발명에서 제3내지 제7내지의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1 is a flow chart showing a typical flow from brand development to final confirma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editing structure of the brand analysis map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econd to the eighth embodiments of the editing structure of the brand analysis map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to the first to the upper portions are folded and overlapped in the editing structure of the brand analysis map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to the upper second to the upper in the editing structure of the brand analysis map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6 to 10 are conceptual views showing the third to seventh embodiments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은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브랜드 개발에서 최종확정까지의 통상적인 흐름서 최종브랜드확정그룹(수요업체, 맵 수요자 등으로 지칭)에 2 ~ 4개 정도의 최종 후보 브랜드를 제시하는 시점에 작성, 제공되는 것으로 최종브랜드확정그룹에서 사용(등록)할 브랜드를 선정하는 데 용이하게 핵심 내용을 전달하여 브랜드 선정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As described in the Background Art,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 typical flow from the development of the brand to the finalization, and is prepared at the time of presenting 2 to 4 final candidate brands to the final brand definite group (referred to as the demand consumer, the map consumer, etc.) In order to facilitate the selection of the brand, it is easy to select the brand to be used (registered) in the final brand definite group.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맵 수요자가 요청한 상품 분류의 주요브랜드의 트랜드가 분석되어 제공되고, 추천 브랜드가 제공되어 맵 수요자로 하여금 사용할 브랜드를 최종 확정할 수 있도록 하는, 브랜드 분석 맵의 편집 구조에 관한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diting structure of a brand analysis map, in which a trend of a major brand of a product category requested by a map consumer is analyzed and a recommended brand is provided, and a map consumer can finally finalize a brand to be used will be.

이하, 본 발명의 브랜드 분석맵의 편집 구조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editing structure of the brand analysis map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서술되는 실시예에서는 치킨체인점에 대한 브랜드(상표) 개발을 의뢰한 업체를 맵 수요자로 가정하여 작성된 것이다.In the embodiment described below, it is assumed that a company that requested the development of a brand (trademark) for a chicken chain store is a map consumer.

본 발명의 브랜드맵은 크게 제1컨셉트랜드분석도(100)가 형성된 제1내지(101), 제2컨셉트랜드분석도(200)가 형성된 제2내지(20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brand map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to a first concept trend analysis chart 100 formed first to 101 and a second to a second concept trend analysis chart 200 formed.

또 더 나아가 주요브랜드의 상표등록현황이 표시된 등록현황표시부(300)가 형성된 내지, 후보브랜드의 소비자 선호 정도, 상표 등록 가능성, 좋은 상표 여부를 알 수 있는 지수에 의해 챠트로 표시되는 후보브랜드분석도(400)가 형성된 내지, 후보브랜드분석도(400)의 근거가 되는 소비자 선호 정도가 평가된 선호도평가표(600), 상표 등록 가능성 정도가 평가된 등록가능성평가표(700), 좋은 상표 여부가 평가된 좋은상표평가표(500)가 표시된 내지들이 추가적으로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analysis of the candidate brand displayed on the chart by the index indicating the degree of consumer preference of the candidate brand, possibility of trademark registration, (600) in which the degree of consumer preference is evaluated based on the candidate brand analysis chart (400), a registration possibility table (700) in which the degree of possibility of trademark registration is evaluated (700) And a good trademark evaluation table 500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도 2에는 제1내지(101)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FIG. 2 shows one embodiment of the first to (101).

도면의 제1내지(101)에는 분석 대상이 되는 상품 분류의 주요브랜드의 컨셉 트랜드가 표시되는 제1컨셉트랜드분석도(100)가 형성되어 있다.In the first to 101st figures, a first concept trend analysis diagram 100 in which concept trends of major brands of the product classification to be analyzed are displayed is formed.

여기서 상품 분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치킨 체인점에 해당한다.Here, the commodity classification corresponds to the chicken chain store as described above.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내지(100)에는 타이틀로써 '치킨체인점 거래업계 주요브랜드 10개의 컨셉 분석도'라고 표시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 제1컨셉트랜드분석도(100)가 표시되어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first to the (100) are labeled 'concept analysis charts of ten major brands of chicken chain store trading industry' as a title, and a first concept trend analysis chart 100 is displayed below the first concept analysis chart.

제1컨셉트랜드분석도(100)는 도시된 것처럼 사각형의 도형(11)으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도형(11) 내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격자형을 이루는 제1기준선(11a)이 형성되어 제1기준선(11a)에 의해 다수 개의 분리된 제1구역(11b)이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concept trend analysis diagram 100 is composed of a figure 11 having a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the figure and a first reference line 11a having a lattice shape at regular intervals is formed in the figure 11, A plurality of separated first regions 11b are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11a and 11a.

더불어, 제1내지(101)에는 상기 제1컨셉트랜드분석도(100) 하부에 주요브랜드의 트랜드를 특정짓는 문장이 표시된 트랜드정의부(12)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first to 101st parts, a trend defining part 12 is formed below the first concept trend analysis diagram 100 and a sentence for specifying a trend of a major brand is displayed.

도면에서 트랜드정의부(12)에는 외래어로 표기되며 현대감각에 맞는 브랜드를 현대적인 브랜드로 특정짓고, 기호 'M'이 부여되고, 한국어로 표기되며 시골적이고 고전적인 브랜드를 고전적인 브랜드로 특정짓고, 기호 'C'가 부여되며, 소비자들이 쉽게 인식하고 친근하게 접근할 수 있는 브랜드를 친근함으로 특정짓고 기호 'I'가 부여되고, 다소 독특함으로 소비자들이 용이하게 어필하게 하는 브랜드를 독특함으로 특정짓고 기호 'U'가 부여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In the drawing, the trend definition part 12 is marked with foreign words, and the brand that matches the modern sense is specified as a modern brand, the symbol 'M' is given, and it is written in Korean, and the rural and classical brand is specified as a classic brand , And the symbol 'C' are assigned to each brand, and a brand that is easily recognizable and accessible to consumers is identified with friendliness, a symbol 'I' is given, and a brand that is somewhat unique, An example in which the symbol " U " is given is shown.

한편, 제1내지(101)에는 상기 도형(11)의 둘레에 상기 트랜드정의부(12)에서 특정된 트랜드의 정도가 수치화되어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표시된 지수표시부(13)가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first to 101st cases, the degree of the trend specified by the trend defining portion 12 is numerically expressed on the periphery of the figure 11, and the exponent display portion 13 sequentially display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left-right direction is formed .

도 2에는 수직 방향의 축에 상단은 기호 'M', 하단은 기호 'C'로 이루어지고, 아래에서 위로 '0'부터 '100'의 숫자가 표시되어 있다.In FIG. 2, the upper axis of the axis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represented by symbol 'M' and the lower axis by symbol 'C', and numbers from '0' to '100' are displayed from the bottom to the top.

여기서 'M'과 'C'는 서로 반대되는 개념으로 활용되었다.Here, 'M' and 'C' are used as opposite concepts.

또, 수평 방향의 축에는 우측은 기호 'U', 좌측은 기호 'I'로 이루어지고 좌에서 우로 '0'부터 '100'의 숫자가 표시되어 있다.In the horizontal axis, the symbol "U" on the right side and the symbol "I" on the left side indicate the numbers from 0 to 100 from left to right.

즉, 수직 방향의 축은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고전적 이미지에서 현대적 이미지로, 수평 방향의 축은 좌에서 우로 갈수록 친근함에서부터 독특함으로 나타나게 된다.In other words, as the vertical axis goes from the bottom to the top, the image becomes a modern image, while the horizontal axis becomes more distinct from the closer to the left.

아울러, 제1컨셉트랜드분석도(100)의 제1구역(11b) 내부에는 분석 대상이 되는 상품 분류의 주요브랜드의 표장(20)이 지수표시부(13)의 수치에 대응되어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rk 20 of the major brand of the product classification to be analyzed is located in the first zone 11b of the first concept trend analysis chart 100 in correspondence with the numerical value of the exponent display unit 13 .

즉, 도 2의 예에서는 브랜드 가치 평가 기관이나 설문조사 기관 등으로부터 선정된 상위 10개 치킨 브랜드가 단순히 서열로 1부터 10까지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설문조사나 브랜드 가치 분석 기관의 분석, 브랜드맵의 작성 기관의 분석 등 에 의해 지수표시부(13)의 지수에 의해 평가된 해당 위치에 표시되게 되는 것이다.That is, in the example of FIG. 2, the top ten chicken brands selected from the brand value evaluation institute and the surveying institution are not simply displayed in the order of 1 to 10, but the analysis of the survey or the brand value analysis agency, It is displayed at the position evaluated by the index of the exponent display unit 13 by analysis or the like of the authoring agency.

일예로 도 2의 경우 '교촌치킨' 브랜드의 경우 친근하면서 고전적인 트랜드로 표시되며, 반대로 'BBQ' 브랜드의 경우 현대적이면서 독특한 트랜드로 표시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FIG. 2, the 'village' chicken brand is displayed as a familiar and classical trend whereas the 'BBQ' brand is displayed as a modern and unique trend.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컨셉트랜드분석도(100)의 제1구역(11b)에 위치하는 주요브랜드의 표장(20)들은 조사기관의 조사에 의한 시장지배력의 차이에 따라 순차별로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도록 하여 표장(20)의 크기에 따라 어떤 브랜드가 시장지배력이 큰지 육안으로 직관적으로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2, the marks 20 of the major brands located in the first region 11b of the first concept trend analysis chart 100 are displayed in order by the difference of market dominance It is possible to visually intuitively identify which brand has a stronger market dominanc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ark 20 so that the size of the mark 20 can be differently formed.

여기서 표장(20) 크기의 기준은 전술한 시장지배력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브랜드맵이 제공하는 다양한 기준에 맞춰 소비자 선호도, 맛, 매출액 등 다양한 기준으로 치환되어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Here, the size of the mark 20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market power, but may be replaced with various criteria such as consumer preference, taste, and sales according to various criteria provided by the brand map.

한편, 이러한 제1컨셉트랜드분석도(100)에는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형(11) 내부에 다수의 인접한 주요브랜드 표장(20)이 내부 영역에 위치하는 그룹도형(110)이 표시되어 있고, 상기 도형(11) 내부에 그룹도형(110)을 제외한 부분에 비그룹도형(120)이 표시될 수 있다.In the first concept trend analysis chart 100, as shown in the figure, a group figure 110 in which a plurality of adjacent major brand marks 20 are located in an inner area is displayed in the figure 11, The non-group figure 120 can be displayed in the figure 11 except for the group figure 110. [

여기서 그룹도형(110)과 비그룹도형(120)은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되어 육안으로 직관적으로 파악될 수 있다.Here, the group figure 110 and the non-group figure 120 are displayed in different colors and can be intuitively grasped visually.

도면에서 그룹도형(110)은 세 개의 사각형 형태의 세 개로 표시되어 있는데, 그룹도형(110)을 형성하는 방법은 맵의 작성 기관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원, 타원형, 선형 등 다양하게 표시될 수 있으며, 그 영역 역시 마찬가지로 도시될 수 있다.In the drawing, the group figure 110 is displayed in three of three rectangular shapes, and the method of forming the group figure 110 can be variously displayed in various ways such as circle, oval, , The area can also be similarly displayed.

이러한 그룹도형(110)과 비그룹도형(120)이 표시되게 되면 현재 주요브랜드의 트랜드를 분석할 수 있게 되며, 후보브랜드를 선정함에 있어서 기존의 주요브랜드의 트랜드를 따라가는 선택을 할 것인지, 아닌면 반대로 기존의 주요브랜드와 다른 트랜드의 상표를 사용할 것인지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If the group figure 110 and the non-group figure 120 are displayed,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current trend of the major brand. In selecting the candidate brand, it is necessary to select whether to follow the trend of the main brand, On the contrary, it will help to decide whether to use the trademark of another major brand and other existing trends.

도 3에는 제2내지(201)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FIG. 3 shows an embodiment of the second to the (201).

도면의 제2내지(201)에는 도 1의 브랜드 개발 흐름도에서 수요업체의 최종 결정 직전에 전해지는 최종후보브랜드의 컨셉 트랜드가 표시되는 제2컨셈트랜드분석도(200)가 형성되어 있다.In a second to 201 of the drawing, a second sum curve analysis diagram 200 is displayed in which a concept trend of a final candidate brand transmitted immediately before a final decision of a demand company in the brand development flowchart of FIG. 1 is displayed.

여기서 상품 분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치킨 체인점에 해당한다.Here, the commodity classification corresponds to the chicken chain store as described above.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내지(200)에는 타이틀로써 '최종후보브랜드들의 컨셉 트랜드 분석도'라고 표시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 제2컨셉트랜드분석도(200)가 표시되어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a concept trend analysis chart of the final candidate brands is indicated as a title in the second to the (200), and a second concept trend analysis chart 200 is displayed at the lower part thereof.

제2컨셉트랜드분석도(200)는 전술한 제1컨셉트랜드분석도(100)와 마찬가지로 사각형의 도형(11)으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도형(11) 내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격자형을 이루는 제1기준선(11a)이 형성되어 제1기준선(11a)에 의해 다수 개의 분리된 제1구역(11b)이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concept trend analysis chart 200 is composed of a figure 11 having a rectangular shape similar to the first concept trend diagram 100 described above and includes a first reference line And a plurality of separated first regions 11b are formed by the first reference lines 11a.

또, 제2내지(201)는 상기 도형(11)의 외부에 해당 브랜드의 트랜드를 특정짓는 문장이 표시된 트랜드정의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형(11)의 둘레에 상기 트랜드정의부(12)에서 특정된 트랜드의 정도가 수치화되어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표시된 지수표시부(13)가 형성되어 있다.In the second to the twentieth aspects, a trend defining section 12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graphic figure 11 and a sentence for specifying the trend of the brand is displayed. The trend defining section 12 12 is numerically expressed and the index display portion 13 sequentially display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horizontal direction is formed.

또한, 도 3의 지수표시부(13)는 도 2의 제1컨셉트랜드분석도(100)의 제1구역(11b) 내부에 후보브랜드의 표장(30)이 지수표시부(13)의 수치에 대응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dex display unit 13 of Fig. 3 corresponds to the numerical value of the exponent display unit 13 within the first zone 11b of the first concept trend analysis chart 100 of Fig. 2 .

즉, 후보브랜드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트랜드를 분석하여 현대적인지 고전적인지, 친근한지 독특한지의 정도가 평가되어 해당되는 제1구역(11b) 상에 2 ~4개의 후보브랜드의 표장(30)이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trend of the candidate brand is analyzed to evaluate the degree of the modern, the classical, the familiar, and the unique, and the mark 30 of 2 to 4 candidate brands is positioned on the corresponding first zone 11b It will be done.

이러한 구성을 통해 최종 후보브랜드별로 컨셉 트렌드가 어떠한 상태인지 용이하게 알 수 있게 된다.This configuration makes it easy to know what the concept trend is for each final candidate brand.

구체적으로 도 3,5를 통해 최종 후보브랜드 중 1안 브랜드는 매우 현대적이(M)이며, 대체로 독특함(U)이 있는 트렌드에 속함을 알 수 있고, 2안 브랜드는 매우 고전적(M)이면서 매우 친근한(I) 트렌드에 속함을 알 수 있다.Specifically, through Figures 3 and 5, it can be seen that the one-eye brand among the final candidate brands is very modern (M), and generally belongs to the trend with the uniqueness (U), and the two-eye brand is very classical It belongs to the familiar (I) trend.

이러한 구성에서, 제2내지(201)는 투명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아무런 인쇄가 이루어져 있지 아니한 백지 상태의 보조내지(202)의 상,하,좌,우 중 어느 일측에 연결된 채 절곡되도록 이루어져 있다.In this configuration, the second to the 201 are formed in a transparent state, and the upper side, the lower side,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assist 202 in the blank state in which no printing is performed on the surface as shown in FIG. 4 And is bent to be connected to one side.

즉, 제2내지(201)가 도 4의 (A)에 도시된 것처럼 보조내지(202) 위로 절곡될 경우 보조내지(202) 표면 위에 위치하여 도 3과 같이 아무런 인쇄가 이루어져 있지 아니한 보조내지(202) 위로 투명한 제2내지(201) 표면의 제2컨셉트랜드분석도(200)가 시각적으로 노출되게 된다.In other words, when the second 201 is folded over the auxiliary 202 as shown in FIG. 4A, it is positioned on the surface of the auxiliary 202 so that no auxiliary printing is performed as shown in FIG. The second conceptual trend diagram 200 of the transparent second to (201) surfaces is visually exposed.

또한, 도 4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보조내지(202) 표면 위로 제1내지(101)가 끼워진 상태에서 절곡되어 제1내지(101)의 표면 위로 위치할 수 있게 된다.Also, as shown in FIG. 4 (B), the first through the (101) can be folded over the surface of the assistant or (202) to be positioned above the surface of the first through (101).

이 경우는 도 5에 나타난 것처럼 제1컨셉트랜드분석도(100) 위로 제2컨셉트랜드분석도(200)가 겹쳐져 육안으로 주요브랜드에 대비한 후보브랜드의 컨셉 트랜드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5, the second concept trend analysis chart 200 is superimposed on the first concept trend analysis chart 100, so that the concept trend of the candidate brand prepared for the major brands can be visually confirmed.

상기한 구성은 제2내지(201)가 그 표면의 제2컨셉트랜드분석도(200)를 사용자에게 그대로 노출되도록 함과 더불어, 선택에 따라 제1컨셉트랜드분석도(100)와 겹쳐 함께 노출되어 사용자가 이 둘을 시각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실시예로 변형될 수 있다 할 것이다.The above configuration allows the second to 201 to expose the second concept trend diagram 200 of the surface as it is to the user as well as exposing the first concept trend diagram 100 toge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embodiments by allowing the user to visually utilize the two.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분석 대상이 된 주요브랜드의 트랜드는 물론 최종 후보브랜드가 주요브랜드의 트랜드를 기준으로 어떠한 트랜드를 갖는 지 확인할 수 있어 맵 수용자의 브랜드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trend of the major brand which is analyzed and the trend of the final candidate brand based on the trend of the major brand, thereby helping to select the brand of the audience.

또, 제1내지(101)와 제2내지(201)가 겹쳐진 상태에서 주요브랜드의 표장(20) 크기가 상이하게 표시되고, 그룹도형(110)과 비그룹도형(120)이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후보브랜드의 표장(30)이 주요브랜드 대비 트랜드의 귀속 여부를 보다 확연히 알 수 있게 되어 브랜드 선정에 큰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Since the sizes of the marks 20 of the major brands are differently displayed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to (101) and the second to (201) are overlapped, and the group figure 110 and the non-group figure 120 are displayed Candidate brand markings (30) will be able to know more clearly about trends of major brands, which will help brand selection.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컨셉트랜드분석도(100)에는 주요브랜드의 표장(20)이 위치하는 제1구역(11b) 내부에는 숫자가 표시된 제1숫자도형(130)이 위치하도록 함과 더불어,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맵의 다른 내지들에는 상기 제1숫자도형(130)의 숫자와 일치하는 숫자가 각각 일측에 표시되어 있으며, 제1숫자도형(130)의 숫자와 매칭되는 주요브랜드의 상표등록현황이 표시된 등록현황표시부(300)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2, in the first concept trend analysis chart 100, a first number 11b, in which a number is displayed, is displayed in a first area 11b where a mark 20 of a major brand is located, The figure 130 is positioned so that the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numbers of the first numerical figure 130 are displayed on one side in the other numerals of the map as shown in FIG. 6, The registration status display unit 300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a trademark registration status of a major brand that matches the number of the graphic 130.

구체적으로 도 2의 우측 상부에는 주요브랜드 중 하나인 'BBQ' 표장 하부에 '1-2'라는 제1숫자도형(130)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 6의 제3내지(301)에는 '1-2'라는 숫자가 제목 부분에 표시되어 있어 일련번호를 통한 확인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Specifically, a first numerical figure 130 of '1-2' is formed in the lower right portion of FIG. 2 under the 'BBQ' mark, which is one of the major brands. In the third to (301) 2 'is displayed in the title part, so that it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serial number.

또, 제3내지(301)의 등록현황표시부(300)는 도표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BBQ' 상표에 대한 상표 표장, '등록번호', '출원/등록일', '권리자', '지정상품', '관련상표' 등과 같은 상표등록현황이 표시되어 있다.The registration status display unit 300 of the third to the (301) is in the form of a chart. The registration status display unit 300 of the third to the 301 displays a trademark mark, a registration number, an application / registration date, , 'Related trademark', and so on.

즉, 등록현황표시부(300)는 제1숫자도형(130)에 표시된 숫자와 일치하는 숫자를 제3내지(301)에서 찾아 해당 주요브랜드의 상표등록현황을 알기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registration status display unit 300 finds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displayed in the first numeric figure 130 in the third to the (301) and can easily grasp the trademark registration status of the corresponding major brand.

또, 제2내지(201)의 제2컨셉트랜드분석도(200)에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후보브랜드의 표장(30)이 위치하는 제1구역(11b) 내부에는 숫자가 표시된 제2숫자도형(210)이 위치하고, 상기 맵의 다른 내지들에는 상기 제2숫자도형(210)의 숫자와 일치하는 숫자가 각각 일측에 표시되어 있으며, 제2숫자도형(210)의 숫자와 매칭되는 후보브랜드의 소비자 선호 정도, 상표 등록 가능성, 좋은 상표 여부를 알 수 있는 지수에 의해 방사형 챠트로 표시되는 후보브랜드분석도(400)가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in the second concept trend diagram 200 of the second to the twenty (201), the first region 11b in which the mark 30 of the candidate brand is located is provided with a second Numerical figures 210 are located on one side of the map,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numbers of the second numeric figure 210 are displayed on one side, and candidates matching the numbers of the second numeric figure 210 A candidate brand analysis diagram 400 displayed by a radial chart can be formed by an index of the degree of consumer's preference of the brand, the possibility of trademark registration, and the index of the good brand.

도 3의 제2내지(201)를 살펴보면 우측 상부에 후보브랜드 표장(30) 하부에 '2-1'이라는 숫자가 형성된 제2숫자도형(210)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 7의 제4내지(401)에는 방사형 챠트로 표시되는 후보브랜드분석도(40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3, a second numeric figure 210 having a number of '2-1' is formed at the lower right of the candidate brand mark 30 in the upper right part thereof. 401, a candidate brand analysis diagram 401 indicated by a radial chart is formed.

도 7의 후보브랜드분석도(401)는 보다 구체적으로 'X','Y', 'Z'의 세 개 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축은 중심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0'에서부터 '100'까지의 숫자가 표시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andidate brand analysis diagram 401 in FIG. 7 is composed of three axes of 'X', 'Y', and 'Z', and each axis is a number from '0' to '100' Is displayed.

또한, 후보브랜드분석도(401)의 하부에는 지수평가부(410)가 형성되어 있는데, 지수평가부(410)는 각 축에 표시된 'X','Y', 'Z'의 값 및 이에 대한 측정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이루어져 있다.An exponent evaluating unit 410 is formed below the candidate brand analysis chart 401. The exponent evaluating unit 410 evaluates the values of 'X', 'Y', and 'Z' And a description of the measurement standard.

도 7의 '2-1' 후보 브랜드의 지수값은 좋은상표지수(Z)가 '80', 소비자선호지수(X)가 '65', 상표등록가능지수(Y)가 '70'인 것을 나타낸다.The index value of the candidate brand '2-1' in FIG. 7 indicates that the good brand index (Z) is '80', the consumer preference index (X) is '65', and the trademark registerable index (Y) is '70' .

도 7에서는 후보브랜드분석도(400)가 소비자 선호도, 상표 등록 가능성, 좋은 상표 여부의 세 가지 기준으로 도시되어 잇는데, 이는 브랜드 선정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기본적으로 정해지는 기준이며, 추가적으로 다양한 지수가 더 포함될 수 있다.In FIG. 7, the candidate brand analysis chart 400 is shown as three criteria of consumer preference, trademark registration possibility, and good brand name. This is a standard that is basically determined in selecting a brand, and further includes various indexes .

이에 따라 지수의 기준이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후보브랜드분석도(401)는 모서리의 수가 많은 다각형의 도형이 된다 하겠다.Therefore, as the index standard increases, the candidate brand analysis (401) becomes a polygonal figure with a large number of corners.

한편, 도 7의 지수평가부(410)에는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설명 말미에 '세분기준표 2-1-1', '2-1-2', '2-1-3'과 같은 식별번호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에 대한 평가 기준이 되는 도표가 도 8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the figure, in the exponent evaluation unit 410 of FIG. 7, identification numbers such as 'segment reference chart 2-1-1', '2-1-2', and '2-1-3' And a chart serving as an evaluation criterion for this may be formed as shown in Figs.

먼저 도 8을 살펴보면 제5내지(501)에는 좋은상표평가표(500)가 표시되어 있으며, 타이틀 부분에는 '2-1-1'이라는 식별번호가 작성되어 있어 손쉽게 매칭하여 파악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a good trademark evaluation table 500 is displayed in steps 5 to 501, and an identification number '2-1-1' is created in the title part, so that it can be easily matched and grasped.

해당 내용을 살펴보면 소비자의 기억 정도, 상품 및 기업 이미지에 부합 정도, 수요자 기호 적합성, 지속 가능성, 창작성, 시대 감각에의 부응성, 광고 및 선전의 적합성, 발음의 용이 및 독립성, 부정적인 느낌 여부, 외국 상표와의 동일 유사성 등을 토대로 평가한 항목이 나타나게 된다.As a result, consumers' memories, degree of conformity with product and corporate image, suitability of consumer preference, sustainability, creativity, correspondence with age sense, suitability of advertising and propaganda, ease of pronunciation and independence, And the same similarity with the trademark.

또, 도 9에는 제6내지(601)에는 선호도평가표(600)가 표시되어 있으며, 타이틀 부분에는 '2-1-2'라는 식별번호가 작성되어 지수평가부(410)와 손쉽게 식별번호를 매칭할 수 있게 된다.In FIG. 9, a preference evaluation table 600 is displayed in the sixth to 601th columns. An identification number "2-1-2" is created in the title portion, and the identification number is easily matched with the exponent evaluation unit 410 .

해당 내용을 살펴보면, 선호도 설문자사 대상, 설문 인원, 회수율, 담당기관 및 선호도 지수가 표시된다.If you look at the contents, the preference questionnaire subjects, the questionnaire number, the recovery rate, the agency and the preference index are displayed.

또, 도 10에는 제7내지(701)에 등록가능성평가표(700)가 표시되어 있으며, 타이틀 부분에는 '2-1-3'이라는 식별번호가 표시되어 지수평가부(410)의 식별번호와 매칭된다.In Fig. 10, the registration possibility table 700 is displayed in seventh to 701, and an identification number " 2-1-3 " is displayed in the title part and is matched with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exponent evaluation unit 410 do.

해당 내용으로는 상표법 제33조 제1항 제1호 내지 7호, 상표법 제34조 제1항 제1호 내지 13호 등에 대한 각각 나뉘어 항목에 따라 도형 모양에 따라 직접적인 저촉 여부, 극복 가능성 여부 등을 표시하고, 전체적인 등록지수를 수치화화여 표시됨으로써 전문가의 평가에 따른 등록 가능성 여부 및 관련 법령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나타나 있다.The contents include the cases of direct violation and possible overcoming according to the shapes of figures in accordance with the items of Article 33 (1) Nos. 1 to 7 of the Trademark Act and Article 34 (1) 1 to 13 of the Trademark Act , And the overall registration index is displayed in numerical form, thereby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registration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expert's evaluation and the related laws.

도 10의 실시예는 상표법 33조 및 34조의 다른 규정에는 전혀 저촉되지 않지만 34조 제1항 제5호에 있어서 관련성이 일부 있으나 충분히 극복 가능함을 나타냈고, 이에 따라 전문가는 등록지수를 '90'으로 표시한 예이다.10 shows tha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conflict with the other provisions of the Trademark Acts 33 and 34, but it is possible to cope with some of the relevant matters in Article 34 (1) 5, As shown in FIG.

상술한 8 내지 10은 맵의 다른 내지들에 상기 후보브랜드분석도(400)의 각 기준선에 체크되는 근거가 되는 소비자 선호 정도가 평가된 선호도평가표(600), 상표 등록 가능성 정도가 평가된 등록가능성평가표(700), 좋은 상표 여부가 평가된 좋은상표평가표(500)의 일 예가 표시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하겠다.In the above-described items 8 to 10, a preference degree table 600 in which the degree of consumer preference that is a basis for checking each baseline of the candidate brand analysis chart 400 is evaluated, An example of the evaluation table 700 and a good trademark evaluation table 500 in which a good trademark is evaluated are show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xamples.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통해 브랜드 개발 회사에서 브랜드 의뢰 업체에 브랜드 최종 결정시 가장 중요한 요소들인 최종 후보브랜드별로 "좋은 상표지수", "상표등록 가능 지수", "소비자 선호 지수"를 간과하지 않고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일목요연하게 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당해 거래 업계의 주요브랜드와 대비한 최종 후보브랜드의 컨셉 트랜드 분석도"를 한 눈에 볼 수 있어 최종 후보브랜드 확정 그룹에서 효율적이고 최선의 결정을 하는 데 있어 큰 도움이 될 수 있다.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overlook the "good trademark index", "trademark registration index", and "consumer preference index" for the final candidate brands,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focus on analyzing and presenting at a glance, it also provides an overview of the "concept trend analysis of final candidate brands versus major brands in the trading industry." It can be a great help in making decisions.

즉, 도 5와 같이 제2내지(201)가 제1내지(101) 위에 위치하여 겹쳐 볼 경우 최종 후보브랜드별로 현재 당해 업종의 컨셉트랜드와 대비해 볼 수 있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5, when the second to the (201) are located above the first to the (101) and overlapped, it can be compared with the concept trend of the current industry for each final candidate brand.

예를 들어 최종 후보브랜드 중 3안 브랜드는 현재 당해업종의 주요브랜드의 컨셉 트렌드와 차별화되는 컨셉임을 알 수 있고, 블루오션 컨셉(즉, 타사들에 의해 진입되지 않은 컨셉)임을 알 수 있으며, 2안 브랜드는 현재 당해업종의 주요브랜드의 컨셉 트렌드와 중복되는 컨셉임을 알 수 있고, 이는 레드오션 컨셉(즉, 타사들이 밀집해서 시도한 바 있는 컨셉)임을 알 수 있다.For example, it can be seen that the three-way brand among the final candidate brands is different from the concept trend of the main brands of the current business type, and it can be seen that the blue ocean concept (that is, a concept not entered by other companies) It can be seen that the An Brand is a concept overlapping with the concept trend of major brands of the current industry, and this is a Red Ocean concept (ie, a concept that has been tried by other companies).

이처럼 본 발명은 도표 1 ~2개와 부속 자료로 된 편집구조를 통해 후보브랜드와 주요브랜드의 트랜드 비교, 상표 등록 가능성, 소비자 선호 정도, 좋은 상표 여부 등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최종 브랜드 확정 그룹(맵 수요자)의 인원이 적거나 영세한 개인이나 기업인 경우에도 용이하게 맵의 내용을 파악하여 손쉽게 최종적인 브랜드 확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grasp trends of candidate brands and major brands, possibility of trademark registration, degree of consumer preference, good trademark, etc. through the editing structure of one or two tables and the attached data, The map consumer can easily grasp the contents of the map and easily finalize the final brand even if the person is a small or very small person or a company.

11 : 도형 11a : 제1기준선
11b : 제1구역 12 : 트랜드정의부
13 : 지수표시부 20 : 주요브랜드의 표장
30 : 후보브랜드의 표장 100 : 제1컨셉트랜드분석도
101 : 제1내지 110 : 그룹도형
120 : 비그룹도형 130 : 제1숫자도형
200 : 제2컨셉트랜드분석도 201 : 제2내지
202 : 보조내지
210 : 제2숫자도형 300 : 등록현황표시부
301 : 제3내지 400 : 후보브랜드분석도
401 : 제4내지 500 : 좋은상표평가표
501 : 제5내지 600 : 선호도평가표
601 : 제6내지 700 : 등록가능성평가표
701 : 제7내지
11: figure 11a: first reference line
11b: first zone 12: trend defining section
13: Index display section 20: Mark of the main brand
30: Candidate Brand Mark 100: First Concept Trend Analysis
101: first to 110: group figures
120: non-group figure 130: first number figure
200: Second Concept Trend Analysis Diagram 201:
202:
210: second numeral figure 300: registration status indicator
301: 3rd to 400th: Candidate brand analysis chart
401: fourth to 500: good trademark evaluation table
501: fifth to 600: preference evaluation table
601: sixth to 700: registration possibility evaluation table
701:

Claims (3)

맵 수요자가 요청한 상품 분류의 주요브랜드의 트랜드가 분석되어 제공되고, 추천 브랜드가 제공되어 맵 수요자로 하여금 사용할 브랜드를 최종 확정할 수 있도록 하는, 브랜드 분석 맵의 편집 구조에 있어서,
상기 맵의 일측 제1내지(101)에는 분석 대상이 되는 당해 업종의 주요브랜드의 컨셉 트랜드가 표시되는 제1컨셉트랜드분석도(10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맵의 다른 제2내지(201)에는 맵 수요자로 하여금 사용할 브랜드 확정을 위한 후보브랜드의 컨셉 트랜드가 표시되는 제2컨셉트랜드분석도(200)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제2내지(201)는 투명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백지 상태의 보조내지(202)의 상,하,좌,우 중 어느 일측에 연결된 채 절곡되도록 이루어져 있어,
보조내지(202) 표면 위에 위치하거나, 보조내지(202) 표면 위로 제1내지(101)가 끼워진 상태에서 절곡되어 제1내지(101)의 표면 위로 위치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선택적으로 제1컨셉트랜드분석도(100) 위로 제2컨셉트랜드분석도(200)가 겹쳐져 육안으로 주요브랜드에 대비한 후보브랜드의 컨셉 트랜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랜드 분석맵의 편집 구조.
A map analysis map editing structure that provides a trend of a major brand of a product category requested by a map consumer and is provided with a recommended brand so that a map consumer can finally finalize a brand to be used,
A first concept trend analysis chart 100 is formed in one of the first to the tenth sides of the map, in which concept trends of major brands of the industry to be analyzed are displayed,
In the second to the other 201 of the map, a second concept trend diagram 200 is displayed in which the concept consumer of the candidate brand for brand determination to be used is displayed by the map consumer,
The second through the second through 201 are formed to be transparent and are bent so as to b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assistant in the blank state 202,
(101) is placed on the surface of the first to (101) by being folded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to (101) are sandwiched on the surface of the auxiliary member (202)
The second concept trend analysis chart 200 is superimposed on the first concept trend analysis chart 100 so that the concept trend of the candidate brand in relation to the major brands can be visually confirmed.
Editing structure of brand analysis map.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셉트랜드분석도(100) 및 제2컨셉트랜드분석도(200)는 사각형의 도형(11)으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도형(11) 내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격자형을 이루는 제1기준선(11a)이 형성되어 제1기준선(11a)에 의해 다수 개의 분리된 제1구역(1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내지(101) 및 제2내지(201)는 상기 도형(11)의 외부에 해당 브랜드의 트랜드를 특정짓는 문장이 표시된 트랜드정의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내지(101) 및 제2내지(201)는 상기 도형(11)의 둘레에 상기 트랜드정의부(12)에서 특정된 트랜드의 정도가 수치화되어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표시된 지수표시부(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컨셉트랜드분석도(100)의 제1구역(11b) 내부에는 분석 대상이 되는 주요브랜드의 표장(20)이 지수표시부(13)의 수치에 대응되어 위치하고,
상기 제2컨셉트랜드분석도(200)의 제1구역(11b) 내부에는 후보브랜드의 표장(30)이 지수표시부(13)의 수치에 대응되어 위치하며,
상기 제1컨셉트랜드분석도(100)에는 도형(11) 내부에 다수의 인접한 주요브랜드 표장(20)이 내부 영역에 위치하는 그룹도형(110)이 표시되어 있고,
상기 도형(11) 내부에 그룹도형(110)을 제외한 부분에 그룹도형(110)과 다른 색상의 비그룹도형(120)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랜드 분석맵의 편집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ncept trend diagram 100 and the second concept trend diagram 200 are formed of a quadrangle figure 11 and a first reference line 11a A plurality of separated first regions 11b are formed by the first reference lines 11a,
In the first to (101) and second to (201), a trend definition section 12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figure 11, in which a sentence specifying the trend of the brand is displayed.
The first to 101st and second to 201steps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degree of trend specified by the trend defining unit 12 is digitized around the graphic figure 11 and displayed in an upward or downward direction or in a left- 13,
In the first section 11b of the first concept trend analysis chart 100, the mark 20 of the major brand to be analyzed is located corresponding to the numerical value of the exponent display section 13,
The mark 30 of the candidate brand is loc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numerical value of the exponent display part 13 in the first zone 11b of the second concept trend diagram 200,
In the first concept trend analysis diagram 100, a group figure 110 in which a plurality of adjacent major brand marks 20 are located in an inner area is displayed in the figure 11,
Wherein a group figure (110) and a non-group figure (120) of a different color are displayed in the figure (11) except for the group figure (110)
Editing structure of brand analysis map.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셉트랜드분석도(100)에는 주요브랜드의 표장(20)이 위치하는 제1구역(11b) 내부에는 숫자가 표시된 제1숫자도형(130)이 위치하고,
상기 맵의 다른 내지들에는 상기 제1숫자도형(130)의 숫자와 일치하는 숫자가 각각 일측에 표시되어 있으며, 제1숫자도형(130)의 숫자와 매칭되는 주요브랜드의 상표등록현황이 표시된 등록현황표시부(30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컨셉트랜드분석도(200)에는 후보브랜드의 표장(30)이 위치하는 제1구역(11b) 내부에는 숫자가 표시된 제2숫자도형(210)이 위치하고,
상기 맵의 다른 내지들에는 상기 제2숫자도형(210)의 숫자와 일치하는 숫자가 각각 일측에 표시되어 있으며, 제2숫자도형(210)의 숫자와 매칭되는 후보브랜드의 소비자 선호 정도, 상표 등록 가능성, 좋은 상표 여부를 알 수 있는 지수에 의해 방사형 챠트로 표시되는 후보브랜드분석도(40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랜드 분석맵의 편집 구조.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first concept trend diagram 100, a first numeric figure 130 is placed in a first area 11b where a mark 20 of a major brand is located,
The numbers of the first numeric figure 130 and the numbers of the first numeric graphic 130 corresponding to the numbers of the first numeric figure 130 are displayed on one side of the map, The status display unit 300 is formed,
In the second concept trend diagram 200, a second number figure 210 is displayed in a first area 11b where a mark 30 of a candidate brand is located,
The numbers of the second numeric figure 210 corresponding to the numbers of the second numeric figure 210 are displayed on one side and the degree of consumer preference of the candidate brand matching the numbers of the second numeric figure 210, A candidate brand analysis chart (400) is displayed which is displayed in a radial chart by means of an index that indicates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or a good brand.
Editing structure of brand analysis map.
KR1020170032696A 2017-03-15 2017-03-15 Brand map printed matter KR1019532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696A KR101953200B1 (en) 2017-03-15 2017-03-15 Brand map printed mat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696A KR101953200B1 (en) 2017-03-15 2017-03-15 Brand map printed mat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526A true KR20180105526A (en) 2018-09-28
KR101953200B1 KR101953200B1 (en) 2019-05-17

Family

ID=63721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2696A KR101953200B1 (en) 2017-03-15 2017-03-15 Brand map printed mat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320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9175A (en) * 2000-10-02 2002-04-12 Dentsu Inc Method and system for diagnosing brand power
KR20070056017A (en) * 2007-05-02 2007-05-31 강민수 Trademark system
KR200459252Y1 (en) 2011-10-21 2012-03-23 변창규 The editorial structure of industrial property map
JP2015095249A (en) * 2013-11-12 2015-05-18 パラディ有限会社 Brand diagnostic method and system theref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9175A (en) * 2000-10-02 2002-04-12 Dentsu Inc Method and system for diagnosing brand power
KR20070056017A (en) * 2007-05-02 2007-05-31 강민수 Trademark system
KR200459252Y1 (en) 2011-10-21 2012-03-23 변창규 The editorial structure of industrial property map
JP2015095249A (en) * 2013-11-12 2015-05-18 パラディ有限会社 Brand diagnostic method and system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3200B1 (en) 2019-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ther et al. Customer brand identification, affective commitment, customer satisfaction, and brand trust as antecedents of customer behavioral intention of loyalty: An empirical study in the hospitality sector
McCormick et al. Manual for value chain research on homeworkers in the garment industry
Flor et al. Identification of innovating firms through technological innovation indicators: an application to the Spanish ceramic tile industry
Olaru et al. From customer value to repurchase intentions and recommendations
Ascui A review of carbon accounting in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accounting literature: what can it contribute to the debate?
Prajogo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 strategy, total quality management (TQM), and organization performance––the mediating role of TQM
Zahoor et al. Investigating causal linkages in the balanced scorecard: an Indian perspective
Landrum et al. Corporate accountability: A path-goal perspective
Schneider et al. Employees’ evaluative repertoires of tourism and hospitality jobs
Ferreira et al. ISO 14001: 2015 and ISO 9001: 2015: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management systems standards and corporate sustainability
KR101953200B1 (en) Brand map printed matter
Maletič Influence of sustainable quality managemen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Kapuria et al. Quality improvement of T-shirt using fuzzy QFD: a case study
Davidson An integrated approach to service quality in hotels
Balmer Corporate brands: a strategic management framework
Alemie Urban cadastre for urban land governance: a socio-technical analysis
Kaeokla et al. Exploring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reporting: A case study in Thai listed companies
Muhsyaf et al. Review of public hospital balance scorecard and its applicability to indonesian public hospitals
Helala Development of performance measurement for the procurement of project business
Bashar et al. Lean implementation barriers in the apparel industry in Bangladesh
Breznik et al. Hotel branding exposed: a content analysis of related organisational values
Ellis MEASURING TRADITIONAL SKILLS TAKING STOCK OF WHAT WE HAVE BEFORE WE LOSE IT CRAFT STATISTICS A WAY FORWARD
Metso et al. Custo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and image in pulp and paper and power generation industry
Hassanein et al. Green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Employee Retention in the Hotel Industry of UAE; the Mediating Effect of Green Innovation
Baden Researching Homework and Value Chains in the Global Garments Industry: An An notated Resource List and Bin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