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5301A - Image keyboard system for IoT device control - Google Patents
Image keyboard system for IoT device contro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05301A KR20180105301A KR1020170032157A KR20170032157A KR20180105301A KR 20180105301 A KR20180105301 A KR 20180105301A KR 1020170032157 A KR1020170032157 A KR 1020170032157A KR 20170032157 A KR20170032157 A KR 20170032157A KR 20180105301 A KR20180105301 A KR 2018010530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rol
- iot device
- image
- user
- io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claims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3475 auth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84 smar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 G06Q50/30—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IoT 디바이스의 제어에 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SNS와 이미지를 이용한 가상키보드로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이미지 키보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하여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ontrol of an Io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age keyboard system for controlling an IoT device with a virtual keyboard using an SNS and an imag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IoT device using the system.
IoT(Internet of Things)는 사물 인터넷 또는 Internet of Objects라고도 불리우며, 통신 가능한 모든 사물들을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상호 통신 수행이 가능한 개념을 의미한다. 시스템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모든 개체는 Things 또는 Objects로 분류되며, 여기에는 근거리 및 원거리 통신 기능을 탑재하고 센서 등 데이터 생산 및 이용이 가능한 사물 또는 사람이 포함될 수 있다.IoT (Internet of Things) is also called Internet of Objects or Internet, and refers to the concept that all objects that can communicate can be connected to the network to perform mutual communication. Every systemically recognizable entity is classified as Things or Objects, which can include objects or persons that are equipped with local and remote communication capabilities and can produce and use data, such as sensors.
IoT 환경에서 각 IoT 디바이스들을 동작시키거나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거나 웹을 통한 접근,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이용한 제어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In order to operate or monitor each IoT device in the IoT environment, various methods such as a dedicated application, a web access, and a SNS (Social Network Service) control are used.
특히 SNS 서비스의 하나인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 통해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IoT 디바이스에 SNS 계정을 부여하여 상태 정보를 SNS 메시지의 형태로 주고 받는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제어 메시지를 입력해야 하므로 번거롭고 사용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In particular, a method for controlling an IoT device through an instant messenger service, which is one of the SNS services, has been actively researched. According to a method of giving an SNS account to an IoT device and exchanging status information in the form of an SNS messag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cumbersome and difficult to use because a message is required to be input.
또한 IoT 제품이 일상화되거나 다양하지 못한 현재의 상황에는 사용자가 제어해야 하는 IoT 디바이스가 몇 개 되지 않기 때문에 필요한 디바이스를 선택하거나 각 디바이스마다의 작동 방법, 조작 등에 큰 불편을 느끼지 못한다. 하지만 빠른 속도로 IoT 관련 기술이 발달하고, 주변의 가전제품, 생활 편의제품, 전자기기들이 IoT화 되어가고, 특히 가까운 시간 안에 최대 200억 개의 IoT 제품이 생산소비될 것이라는 예측으로 미루어 보면, 개개인의 사용자가 제어해야 하는 디바이스의 종류와 숫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이를 하나하나 선택하여 적절히 제어하기도 힘들뿐더러, IoT 기술이 적용된 생활 편의제품들이 보편화되면 IoT 디바이스를 여러 사람이나 특정 조직 간에 공유하여 사용할 수도 있게 될 것이다.In addition, there are few IoT devices that users need to control in the present situation where IoT products are not normalized or diversified. Therefore, there is no inconvenience to select necessary devices, operation method and operation for each device. However,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IoT technology and the prospect that nearby home appliances, convenience products and electronic devices will become IoT, especially in the near future, up to 20 billion IoT products will be produced and consumed. As the types and numbers of devices that users need to control increase explosively, it is difficult to select them one by one and to control them appropriately. When the life convenience products to which IoT technology is applied become common, IoT devices can be shared among several persons or organizations Will be.
이 경우, 현재의 방법으로는 지금 필요한 IoT 디바이스를 바로 찾거나, 지금부터 특정 시간까지 순차적으로 써야 할 디바이스들을 작동 시간대별로 찾아 쉽게 제어하기가 힘들고, 특히 가족이나 친구 혹은 특정 조직 내의 여러 사람과 간편하게 공유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In this case, it is difficult to find the necessary IoT device right now, to easily find the devices to be sequentially used from now to a specific time by operating time, and to easily manage it with family, friends,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shar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들이 익숙하게 사용하는 카톡, 라인 등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하되, 사용자가 직접 IoT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타이핑이나 음성 입력으로 제어 문안을 일일이 입력하는 대신 대화 문맥이나 의미, 특정 단어에 따라 제어가 필요한 IoT 디바이스를 자동으로 추천해주고 가상키보드를 상황에 따라 IoT 디바이스 콘트롤러 이미지로 변경하여 제공함으로써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쉽게 IoT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stant messenger service such as a karaoke or a line, IOT devices that need to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text, meaning, or specific words are automatically recommended instead of inputting, and the virtual keyboard is changed to the IoT device controller image according to the situation. .
또한 본 발명은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 이용해 특정 IoT 디바이스를 특정 상대방에게 일정기간 공유하도록 하거나, 가족, 직원 등 여러 사용자가 특정 IoT 디바이스를 공유하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IoT device control method for allowing a specific IoT device to be shared with a specific user for a predetermined period by using an instant messenger service, or allowing a plurality of users such as a family member and an employee to share and use a specific IoT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가 이미지 키보드 시스템을 이용하여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와 상대방 사용자가 대화하기 위한 대화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대화창에 입력되는 대화 내용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제어가 필요한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를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선정된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아이콘 리스트를 포함하는 가상키보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가상키보드에서 원하는 아이콘을 선택하면 그에 대응하는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Remocon; Remote controller)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controlling an IoT device using an image keyboar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isplaying a dialog for a user of the mobile device and a user of the other party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 Analyzing conversation contents inputted in the dialog window and selecting one or more IoT devices that need to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Displaying a virtual keyboard including a list of icon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one or more IoT devices; When the user selects a desired icon from the virtual keyboard, displaying a remocon (Remote controller) image for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상기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상기 리모콘 이미지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해당 IoT 디바이스의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수행된 IoT 디바이스의 제어에 대한 정보를 상기 대화창의 대화로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oT device control method includes: performing control of a corresponding IoT device according to a user's input through the remote control image; And inputting information on the control of the performed IoT device into the dialog of the dialog window.
상기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IoT 디바이스의 “제어 권한을 상기 상대방 사용자에게 부여하라”는 의미가 포함된 제어 문구가 상기 대화창의 대화로 입력되면, 상기 IoT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메시지가 상기 대화창을 통해 상기 상대방 사용자로부터 수신되기를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 상대방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제어 메시지에 따라 상기 IoT 디바이스의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of the IoT device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when a control phrase including " grant control authority to the counterpart user " of the Io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con is input into the dialog of the dialog, Waiting to be received from the counterpart user via the dialog window; And controlling the IoT device according to a control message received from the counterpart user.
상기 제어 권한을 부여하는 제어 문구는 해당 IoT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가능 범위 및 제어 가능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phrase granting the control authority may include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 controllable range and a controllable time for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상기 리모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해당 IoT 디바이스로부터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와 해당 IoT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리모콘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리모콘 이미지를 상기 가상키보드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displaying the remote controller image may include receiving information on a current state from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Generating a remote control image including the received status information and a graphical interface for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And displaying the remote control image on the virtual keyboard.
상기 상대방 사용자는 IoT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해 등록된 가상의 채팅 친구일 수 있다.The other user may be a registered virtual chat buddy for controlling the IoT device.
상기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은, 상기 가상의 채팅 친구와의 대화를 위한 대화창을 열 때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제어 가능한 IoT 디바이스들을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된 IoT 디바이스들에 대응하는 아이콘 리스트를 포함하는 가상키보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oT device control method includes: searching IoT devices controllable through the mobile device when opening a dialog for chat with a virtual chat buddy; And displaying a virtual keyboard including a list of icons corresponding to the retrieved IoT device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가 이미지 키보드 시스템을 이용하여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상대방 사용자와 대화하기 위한 대화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소정의 IoT 디바이스의 “제어 권한을 부여한다”는 의미가 포함된 제어 문구를 상기 대화창을 통해 상기 상대방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 문구가 수신되면, 상기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미지 가상키보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리모콘 이미지를 통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IoT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IoT 디바이스 제어 메시지를 상기 대화창을 통해 상기 상대방 사용자에게 전송하거나, 상기 IoT 디바이스의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a mobile device to control an IoT device using an image keyboard system comprises the steps of: displaying a dialog for a user of the mobile device to talk with a remote user; Receiving a control statement including a meaning of " granting control authority " of a predetermined IoT device from the counterpart user via the dialog window; When the control phrase is received, displaying an image virtual keyboard including a remote control image for controlling the IoT device; Generating a control message for the IoT device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user via the remote control image;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IoT device control message to the counterpart user via the dialog window or performing control of the IoT device.
상기 제어 권한을 부여하는 제어 문구는 상기 IoT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가능 범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리모콘 이미지는 상기 제어 가능 범위를 반영하여 생성될 수 있다.The control phrase giving the control authority includes information on the controllable range for the IoT device, and the remote control image can be generated reflecting the controllable range.
상기 제어 권한을 부여하는 제어 문구는 상기 IoT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가능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리모콘 이미지는 상기 제어 가능 시간이 경과되면 비활성화될 수 있다.The control phrase granting the control authority includes information on the controllable time for the IoT device, and the remote control image may be deactivated when the controllable time elapses.
본 발명에 의하면, 대화창에서의 대화 문맥이나 의미, 특정 단어에 따라 제어가 필요한 IoT 디바이스가 자동으로 추천되므로 대화를 하면서 IoT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거나, 대화창에 입력한 특정 단어나 명령어를 분석하여 상황에 따라 제어가 필요한 IoT 디바이스들을 선택, 그룹핑하여 주므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oT device requiring control according to a dialogue context, a meaning, and a specific word in a dialog window is automatically recommended, so that control of the IoT device is performed while conversing, or a specific word or command entered in the dialog window is analyzed IoT devices that require control depending on the situation can be selected and grouped for convenient us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대화창에 연결된 이미지 키보드의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IoT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제어 명령을 내릴 수 있기 때문에 직관적인 방법으로 IoT 디바이스를 쉽게 제어할 수 있고, 소음이 심한 장소나 정숙이 요구되어 음성 입력이 불가능한 상황이나 볼륨 크기나 밝기 정도, 지도상에서의 위치 등 텍스트 입력으로는 정확한 제어가 불가능한 경우에서도 효율적인 제어가 가능해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oT device can be selected through the graphic interface of the image keyboard connected to the dialogue window and the control command can be issued, the IoT device can be easily controlled in an intuitive manner, Efficient control is possible even in situations where input is impossible, volume size, brightness level, location on a map, etc., even if precise control is impossible with text inpu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대화창에 연결된 이미지 키보드의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통해 현재 IoT 디바이스들의 작동상태를 한눈에 알아볼 수가 있는 것은 물론, 그래픽상의 터치와 드래그, 스와이핑에 의한 제어 명령을 시각적으로 표시함과 더불어 대화창에 문자화해 보여주고 저장함으로써 제어 명령을 재확인하게 하여 작동 오류를 예방하고, 과거의 이력이나 기 설정한 요건 등을 저장분석하여 최적의 요건을 추천 또는 제어해주기 때문에 IoT 디바이스의 사용기간, 사용량이 많아질수록 사용자에게 더 적합하고 편리한 추천선택제어가 가능해지며 축적된 데이터를 활용한 기기 개발이나 마케팅의 활용도 가능해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status of current IoT devices can be noticed at a glance through the graphic interface of the image keyboard connected to the dialogue window, the control commands by touch, drag and swiping on the graphic are visually displayed, IOT device's usage period and use amount are changed because it recalculates control command by characterizing and storing in dialog window to prevent operation error and to store or analyze past history or required requirements to recommend or control optimal requirements. As the number of users increases, more convenient and convenient recommendation selection control becomes possible, and device development and marketing utilizing accumulated data become possibl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특정 IoT 디바이스를 가족과 공유하거나 친구, 직원 등 특정 다수와 공유하며 함께 사용할 수 있고, IoT 디바이스의 공유 선택 및 공유 범위, 공유 시간 등을 손쉽게 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pecific IoT device can be shared with a family member, shared with a certain number of friends or employees, and used together, and the sharing selection, sharing range, and sharing time of the IoT device can be easily adjus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이미지 키보드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키보드 시스템을 이용하여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IoT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이미지 키보드를 생성한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키보드 시스템을 이용해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키보드의 리모콘 이미지를 예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키보드를 이용한 IoT 제어 정보를 대화창에 제공한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대방 사용자에게 IoT 디바이스의 제어 권한을 부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키보드를 이용하여 자택 내 IoT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제어하는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키보드 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량 내 IoT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제어하는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대화 내용을 분석하여 제어가 필요한 IoT 디바이스들을 추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키보드를 이용하여 자택 내 IoT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제어하는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network configuration of an image keyboard system for controlling an Io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IoT device using an image keyboar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llustrates a screen on which an image keyboard for controlling an IOT device is gene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n IoT device using an image keyboar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llustrates a remote control image of an image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in which a dialog window provides IoT control information using an image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 to 9 are exemplary screen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granting a control right of an IoT device to a counterpart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llustrates a screen for selecting and controlling an intra-home IoT device using an image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to 13 illustrate screens for selecting and controlling IoT devices in a vehicle using an image keyboar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recommending IoT devices requiring control by analyzing conversation cont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to 17 illustrate a screen for selecting and controlling an intra-home IoT device using an image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Also, in certain cases, there may be a term selected arbitrarily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not on the name of a simple term, but on the entir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수단",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including" an elem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 means ", "part "," module ", etc. in the specification means units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Lt; / RTI >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이미지 키보드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network configuration of an image keyboard system for controlling an Io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이미지 키보드 시스템은 인터넷 등의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12), 사용자 단말(10) 및 사용자 단말(10)의 사용자와 대화를 주고받는 상대방 사용자의 단말(11)을 포함한다.1, an image keyboard system includes at least one
IoT 디바이스(12)는 전기, 가스, 상하수도 등 에너지를 관리하는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 가정의 냉난방과 보안, 가전제품 등을 통합 관리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 자동차의 도어 잠금 및 원격제어,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제어하는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 시스템, 스마트워치, 스마트글래스, 스마트슈즈 등의 웨어러블 기기와 같이 IoT 기술 기반의 서비스 대상이 되는 모든 스마트 기기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oT
사용자 단말(10) 및 상대방 사용자 단말(11)은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컴퓨터,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와 같이 무선통신 방식에 의해 IoT 디바이스(12)를 제어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일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PC(Personal Computer)에도 본 발명의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이 적용될 수도 있다.The
사용자 단말(10) 및 상대방 사용자 단말(11)은 다른 사용자와 대화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Instant Messenger Service)의 이용과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단말장치이다. The
사용자 단말(10) 및 상대방 사용자 단말(11)은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제어 하에 서비스 화면의 구성, 데이터 입력, 데이터 송수신, 데이터 저장 등 서비스 전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사용자 단말(10)은 IoT 디바이스(12)의 제어 권한을 가진 사용자의 단말로서, 사용자는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의 대화창이나 설정창에서 제어 대상이 되는 IoT 디바이스들을 등록한다.The
IoT 디바이스(12)는 무선통신 방식으로 제어되며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그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IoT 제어 플랫폼이 이미지 키보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 경우는 사용자 단말(10)이 특정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IoT 제어 플랫폼에 전송하면, IoT 제어 플랫폼이 해당 IoT 디바이스(12)에 제어 신호를 보내 제어를 수행할 것이다. 또한, 제어 신호 외에 사용자 단말(10)과 IoT 디바이스(12) 간의 데이터 송수신도 IoT 제어 플랫폼을 통해 수행될 것이다.1, an IoT control platform may be included in the image keyboard system, in which case the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에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대화창을 열어 상대방 사용자와 대화를 주고받으며,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두 사용자의 대화 내용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어떤 IoT 디바이스를 제어할지 선정한다. 이때 선정되는 IoT 디바이스는 사용자 단말(10)이 제어할 수 있는 전체 IoT 디바이스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며, 선정된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아이콘의 리스트가 화면에 표시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두 사용자'로 예시했으나 대화 상대자는 다수일 수도 있다.The user executes a dedicated application in the
가상키보드는 키보드나 자판이 없는 스마트 기기에서 문자 입력을 위한 가상의 입력장치를 말하며,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이용시 대화창에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연결된 가상키보드가 그 예이다. 이에 반해 이미지 키보드는 타이핑을 주목적으로 한 가상키보드와 달리 자판(문자) 표시 외에도 IoT 디바이스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그래픽 이미지로 리모콘(콘트롤러)이나 도면, 구조도, 지도 등을 표시해주어 시각적으로 제어 상태를 즉시 판단하고, 문자 타이핑 없이 터치 및 드래그 동작으로 제어 지시 내용 입력 및 IoT 디바이스 제어가 가능하다.A virtual keyboard is a virtual input device for inputting characters in a smart device without a keyboard or keyboard, and a virtual keyboard connected to input characters in a dialogue when using an instant message service. On the other hand, unlike the virtual keyboard, which is mainly used for typing, the image keyboard displays a remote controller (controller), a drawing, a structure diagram, and a map in a graphical image so as to efficiently control the IoT device in addition to a keyboard State, and inputting control instruction contents and IoT device control by touch and drag operation without character typing are possible.
아이콘 리스트는 대화창에 대화를 입력하기 위한 가상키보드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며, 가상키보드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아이콘 리스트가 가상키보드에 추가되거나 가상키보드 위에 오버레이되는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The icon list is displayed through a virtual keyboard for inputting a dialog in a dialogue box, and the icon list can be displayed in the form of being added to the virtual keyboard or overlaid on the virtual keyboard while the virtual keyboard is displayed.
한편, 이미지 키보드에는 제어 가능한 IoT 디바이스를 나열하기 위한 버튼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해당 버튼을 선택하면 제어 가능한 모든 IoT 디바이스의 아이콘 리스트가 이미지 키보드에 표시될 것이다. 이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원하는 IoT 디바이스 제어를 호출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image keyboard may include a user interface such as a button for listing controllable IoT devices. When the user selects the corresponding button, a list of icons of all controllable IoT devices will be displayed on the image keyboard. This is to allow the user to manually invoke the desired IoT device control.
사용자가 이미지 키보드의 아이콘 리스트에서 특정 아이콘을 선택하면 그에 대응하는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 이미지, 즉 가상의 리모콘이 이미지 키보드로서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가 리모콘 이미지를 조작하면 그에 해당하는 제어 신호가 생성되어 IoT 디바이스로 전송되며, 어떤 제어를 수행하였는지에 대한 정보가 대화창의 대화로 자동 입력됨으로써 사용자와 상대방 사용자가 제어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icon from the icon list of the image keyboard, a remote controller image for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i.e., a virtual remote controller is displayed as an image keyboard. When the user manipulates the remote control image,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IoT device. Information on which control has been performed is automatically input into the dialog in the dialog window so that the user and the opponent user can check the control contents.
이미지 키보드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12)의 제어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trol of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키보드를 이용하여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IoT device using an image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대화창을 오픈하면 상대방 사용자와 대화하기 위한 대화창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S42). 대화의 시작을 위한 대화창의 오픈은 상대방 사용자에 의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when a user executes a dedicated application and opens a dialog window, a dialog window for communicating with the opposite us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S42). The opening of the dialog for the start of the conversation can also be done by the other user.
여기서, '사용자'는 IoT 디바이스의 제어 권한을 가진 자이며, 사용자의 단말(1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IoT 디바이스가 작동할 것이다. Here, 'user' is a person having control authority of the IoT device, and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will operat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utputted from the
'상대방 사용자'는 사용자의 대화 상대방으로서 IoT 디바이스의 제어 권한은 가지고 있지 않지만 사용자와의 대화를 통해 IoT 디바이스의 제어를 유도하거나 IoT 디바이스 제어 권한을 위임받을 수 있다.The 'other user' does not have the control authority of the IoT device as the user of the user, but it can induce the control of the IoT device or delegate the control of the IoT device by talking with the user.
사용자와 상대방 사용자의 대화 내용 즉 사용자가 입력한 문장 및/또는 상대방 사용자가 입력한 문장을 분석하여 IoT 디바이스의 제어에 연관된 내용이 있는지 판단하고, 판단의 결과에 따라 제어 가능한 전체 IoT 디바이스들 중에서 제어가 필요한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를 선정한다(S21). 대화 내용의 분석은 사용자 또는 상대방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IoT 디바이스가 어떤 것인지 자동으로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The
다음으로, 상기에서 선정된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아이콘 리스트를 포함하는 가상키보드가 디스플레이된다(S22). 대화의 문맥에 따라 적당한 IoT 디바이스(들)을 추천하는 것이다.Next, a virtual keyboard including the icon list corresponding to the one or more IoT devices selected in the above is displayed (S22). It is to recommend the appropriate IoT device (s) according to the context of the conversa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IoT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이미지 키보드를 생성한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FIG. 3 illustrates a screen on which an image keyboard for controlling an IOT device is gene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대화 상대방 '김OO'와의 대화를 위한 대화창이 오픈되어 있으며, '김OO'가 “집에 보일러 껐어”(35)라는 문장을 입력하면 해당 문장의 내용이 분석된다. 대화 내용의 분석에는 문맥의 분석을 위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a dialog window for conversation with the conversation partner 'Kim OO' is opened, and the contents of the corresponding sentence are analyzed when 'Kim OO' inputs a sentence '(35). Various methods for analyzing the context can be used for analysis of the conversation contents.
분석의 결과에 따라 선정된 IoT 디바이스들을 나타내는 아이콘 리스트가 가상키보드(36)의 하단에 표시된다. A list of icons representing the selected IoT devices is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도 3의 예에서는 난방장치에 대응하는 아이콘(30)뿐만 아니라 '집', '보일러', '끄다'와 연관된 홈 네트워크 상의 IoT 디바이스들을 나타내는 홈 아이콘(31), 전등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아이콘(32), 도어락 등 보안 관련 장치를 나타내는 아이콘(33) 등 연관된 다른 아이콘들도 표시되었음을 알 수 있다. 사용자들이 보일러를 껐는지 여부에 대한 대화를 나누고 있는 경우 전등이나 도어락, 함께 작동되었던 가전제품들의 상태 확인도 필요할 것이라고 예측하여 연관 아이콘으로 보여주는 것이다.3, a
또한, 과거 및 이전의 상태 정보들을 비교분석하여 이전과는 다른 상태로 작동 중인 IoT 디바이스가 있다면 '주의 관찰대상'으로 추천해줄 수도 있다. 즉, 과거의 사용 데이터를 비교분석한 결과 현재 시간대에는 작동하지 않았던 전기오븐이나 전등이 작동 중이거나, 현재 날짜(계절)와는 상이한 온도 등이 감지되는 냉난방장치가 있다면 '확인' 경보를 함께 보여주는 것이다. In addition, if past and previous status information is compared and analyzed, IOT devices that are operating in a stat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ne may be recommended as a 'state of observation'. That is, if there is an air-conditioning system in which the electric oven or electric lamp which is not operating in the current time zone is operated or the temperatur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present date (season) is detected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ast usage data, .
다른 예로, 사용자가 대화방에 “나 지금 퇴근해”라는 내용을 입력하면,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대화 내용을 분석하고 문맥을 인식하고 현재 이슈(시간, 위치, 날씨, 트래픽 등)를 종합하여 퇴근시 제어가 필요한 IoT 디바이스들을 선정하고 그에 해당하는 아이콘 리스트를 적용, 시간대별로 순차적으로 배열, 디스플레이할 것이다.Another example is that when a user enters "break me now" into the chat room, the dedicated application analyzes the conversation, recognizes the context, and synthesizes the current issue (time, location, weather, traffic, etc.) The necessary IoT devices are selected and a corresponding icon list is applied, and they are sequentially arranged and displayed by time zone.
이때, 아이콘 리스트의 디스플레이는 "퇴근 준비 -> 퇴근 -> 집 도착"까지의 시간대별, 혹은 순차적인 작동 및 사용 순서에 의해 관련된 IoT 디바이스를 정렬하여 보여주어, 사용자는 어느 아이콘을 추가삭제수정할 것인지, 어느 아이콘을 이전과 그대로 유지할 것인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con list is displayed by sorting the related IoT devices according to the time period or sequential operation and order of use from "preparation for leaving work-> leaving work-> home arrival", and the user can select which icon , You can see at a glance which icon to keep as it is.
퇴근시 제어가 필요한 IoT 디바이스는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이전에 사용자가 퇴근시 제어했던 IoT 디바이스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해두었다가 동일한 디바이스들을 선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IoT devices that need to be controlled at work may be set in advance, but the same devices may be selected after storing information on IoT devices that the user has previously controlled at the time of work.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가상키보드에서 원하는 아이콘을 선택하면, 그에 대응하는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Remocon; Remote controller)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S23). 리모콘 이미지의 디스플레이를 위해, 먼저 해당 IoT 디바이스로부터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 혹은 과거 마지막으로 사용되었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태 정보와 해당 IoT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리모콘 이미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리모콘 이미지를 이미지 키보드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2, when the user selects a desired icon on the virtual keyboard, a remocon (Remote controller) image for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is displayed (S23). In order to display the remote control image, first, the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state or the last used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and a remote control image including the received state information and a graphic interface for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is generated , And display the generated remote control image on the image keyboard.
도 3의 예에서, 사용자가 난방장치 아이콘(30)을 터치하여 선택하면 난방장치의 제어 조작을 위한 리모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것이다. 사용자가 홈 아이콘(31)을 선택하면 홈 네트워크에 속하는 IoT 디바이스(들)이 리스트될 것이며, 이 리스트에서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IoT 디바이스의 제어 조작을 위한 리모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것이다. 사용자가 전등 제어장치 아이콘(32)을 선택하면 각 방의 전등 제어를 위한 리모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도어락 아이콘(33)을 선택하면 도어락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는 리모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것이다.In the example of Fig. 3, when the user touches and selects the
이때, 이미지 키보드와 함께 디스플레이되는 대화창 화면에는 선택된 아이콘의 상세정보(현재 상태 정보, 혹은 과거 마지막으로 진행되었던 정보나 미리 설정해 놓은 정보)가 표시되며, 대화창 화면의 상세정보(IoT 디바이스와의 대화 정보)를 터치하여 삭제수정하거나, 이미지 키보드의 리모콘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세정보를 삭제하거나 제어 명령을 수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selected icon (current state information, past last information or previously se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alog window displayed together with the image keyboard, and detailed information of the dialog window (dialog information with the IoT device ), Or delete the detailed information by using the remote control image of the image keyboard or modify the control command.
IoT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리모콘 이미지는 실제 제어장치를 형상화한 가상의 리모콘으로써 디바이스의 유형에 따라 다르게 생성되어 표시되지만, 오프라인상에서 실제 사용되는 기기들의 콘트롤러나 작동 버튼, 제어판, 리모콘 등을 실물처럼 시각화하여 그래픽 이미지로 표현할 경우 사용방법의 혼란과 오작동을 최소화하고 직감적으로 IoT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The remote control image for controlling the IoT device is a virtual remote control that simulates a real control device, and is generated and display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evice. However, the controller, the operation button, the control panel, ,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IoT device intuitively by minimizing the confusion and malfunction of the usage method.
리모콘 이미지는 가상키보드(36)의 글자 입력용 키보드를 대체하여 표시되거나, 기존의 가상키보드(36)와 별도의 이미지 키보드로 생성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image may be displayed in place of the keyboard for inputting characters of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키보드를 이용해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trolling an IoT device using an image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이미지 키보드의 리모콘 이미지를 통해 원하는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을 할 수 있다(S40). 사용자 단말은 리모콘 이미지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IoT 디바이스의 제어를 수행한다(S41). 이를 위해, 사용자의 입력은 해당 IoT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신호로 변환되어 IoT 디바이스로 전송되며, IoT 디바이스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른 동작을 할 것이다.Referring to FIG. 4, a user can input an input for controlling a desired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ler image of the image keyboard (S40). The user terminal controls the IoT device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received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image (S41). To this end, the user's input is converted into a control signal for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and transmitted to the IoT device, and the IoT device will operate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rol signal.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키보드의 리모콘 이미지를 예시한 것이다. 도 3의 예에서 제어 권한을 가진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에서 난방장치 아이콘(30)을 선택한 경우 도 5와 같은 리모콘 이미지(5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5 illustrates a remote control image of an image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xample of FIG. 3, when the user having the control right selects the
리모콘 이미지는 해당 IoT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와 제어를 위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버튼, 스위치, 조그 셔틀 등 제어 대상이 되는 기능에 적합한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image may include one or more user interfaces for control and status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A user interface button for control, a switch, a jog shuttle, and the like.
사용자는 리모콘 이미지의 소정 부분을 터치하거나 드래그, 또는 스와이핑하는 방식으로 제어 명령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The user can generate a control command by touching, dragging, or swiping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remote control image.
이때의 터치나 드래그 시, 진동 및 음향 효과를 함께 주어 리모콘 이미지상의 버튼 조작 상태를 시각과 청각, 촉각으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래픽 이미지상에 평면으로 존재하는 버튼의 오작동에 의한 잘못된 제어 명령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touched or dragged, the user can confirm the operation state of the button on the remote control image by the visual, auditory, or tactile by giving the vibration and the sound effect. .
도 5를 참조하면, 난방장치에 대응하는 리모콘 이미지(50)는 난방 작동 여부, 현재 온도, 희망 온도 등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와 온도 조절 버튼(51, 52) 및 전원 버튼(53)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5, the
사용자가 전원 버튼(53)을 터치하여 선택하면, 난방장치를 끄라는 제어 신호가 생성되어 해당 IoT 디바이스로 전송될 것이다. IoT 디바이스는 제어 신호에 따른 제어 동작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를 리턴할 수 있다.When the user touches and selects the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리모콘 이미지를 통해 수행된 IoT 디바이스의 제어에 대한 정보가 대화창의 대화로 입력된다(S42).Referring again to FIG. 4, information on control of the IoT device performed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image is input into the dialog window dialog (S42).
사용자가 키보드를 통해 제어 명령이나 대화를 입력하는 대신, 리모콘 이미지를 통해 간편하게 집의 전등을 켜거나 온도를 조절하거나 차량의 네비게이션에 목적지를 추가하는 등의 제어를 하면, 마치 키보드로 입력한 것처럼 대화창에 대화 내용으로 제어 내역이 표시되는 것이다. 제어의 내용이 텍스트로 변환되어 대화로 입력되므로 상대방 사용자도 어떤 디바이스가 어떻게 제어되었는지 볼 수 있다.Instead of typing control commands or dialogs through the keyboard, users can easily turn on the lights in the home, adjust the temperature, add destinations to the vehicle's navigation, etc. via the remote control image, The control contents are displayed in the dialogue contents. Since the content of the control is converted into text and entered as a dialog, the other user can also see which device is controlled.
단, 대화 상대방을 지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디바이스 제어 상태나 표시 내용을 시용자만이 확인할 수 있게 된다.However, when the communication partner is not designated, only the user can confirm the device control state and the display contents.
또한, 제어 및 수행된 사용 이력이 텍스트로 기록되어 짐으로써 이후에 열람하거나 기기 제어 정보로의 축적활용이 가능해지며, 리모콘 이미지에서 제어한 내용을 대화창에서 대화 내용으로 다시 재차 확인하게 됨으로써 제어 명령의 입력오류를 예방 및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control and execution histories are recorded as texts, it is possible to browse later or utilize the accumulation of the device control information, and the content controlled by the remote control image is re-confirmed as the content of the dialog in the dialog window, Input errors can be prevented and prevent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키보드를 이용한 IoT 제어 정보를 대화창에 제공한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in which a dialog window provides IoT control information using an image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리모콘 이미지에서 전원 버튼(53)을 터치하여 난방장치를 끈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방 사용자와 대화중인 대화창에 해당 정보(60)가 입력될 것이다. 난방장치의 전원을 차단한 사용자가 직접 그에 대한 정보를 대화방에 입력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해당 정보가 대화로 입력되는 것이다.In the remote controller image shown in FIG. 5, whe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에서는 대화창에서의 대화 입력을 위해 표시되는 가상키보드에 IoT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IoT 디바이스 선택 버튼, IoT 디바이스 제어 리모콘 등)가 결합된다. 사용자는 이미지 키보드에서 모든 IoT 디바이스들의 현재 상태, 제어 방법, 제어 이력 등을 이미지로 확인하고 직접 컨트롤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IoT devic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interface (IoT device selection button, IoT device control remote controller, etc.) for controlling the IoT device is coupled to the virtual keyboard displayed for dialog input in the dialog window. You can view and control the current status, control method, and control history of all IoT devices from the image keyboard.
또한, 사용자들 간의 대화를 분석하여 제어가 필요한 IoT 디바이스를 추정하고, 제어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해당 IoT 디바이스의 아이콘을 자동으로 보여줌으로써 디바이스 제어를 유도하고, 이미지 키보드에서 터치, 드래그 및/또는 스와이핑에 의해 간편하게 IoT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dialog between the users,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IoT device requiring control and automatically display the icon of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to the user having the control authority, thereby inducing device control and controlling the touch, drag and / It is easy to control the IoT device by pinging.
손의 사용이 자유롭지 못한 경우에는 음성으로 제어 명령을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여 텍스트로 치환한 후 이를 이용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대화창에 입력할 대화를 생성할 수 있다.When the use of the hand is not free, it is possible to input a control command by voice. In this case, the input speech is recognized and replaced with text, and then a control signal can be generated using it and a conversation to be input to the dialog window can be generated.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대방 사용자에게 IoT 디바이스의 제어 권한을 부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이다.FIGS. 7 to 9 are exemplary screen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granting a control right of an IoT device to a counterpart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상대방 사용자인 자녀의 모바일 디바이스로서, 사용자 '아빠'와의 대화창에 상대방 사용자 '아들'이 “아빠! TV 좀 볼께요~”라는 대화(71)를 입력하고 있다.7 is a mobile device of a child who is a user of the other party, and the other user "son" in the dialog box with the user "Dad" &Quot; I will watch TV ".
사용자 '아빠'의 단말에서 실행중인 IoT 디바이스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입력된 대화의 문맥을 분석하고 그에 따라 TV라는 IoT 디바이스를 제어할 필요가 있음을 결정하고, 도 8과 같이 TV 제어 아이콘(74)을 이미지 키보드에 표시할 것이다.The IoT device control application executing on the terminal of the user 'father' analyzes the context of the input dialog, determines that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IoT device called TV, and transmits the
사용자가 TV 제어 아이콘(74)을 선택하면 TV 리모콘 이미지가 이미지 키보드에 표시될 것이며, TV 리모콘 이미지를 통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제어 신호가 생성되고 TV에 전송될 것이다. 그러나 도 8의 예에서는 사용자인 '아빠'가 직접 TV를 제어하는 대신 상대방 사용자인 '아들'에게 제어 권한을 부여하고 있다. When the user selects th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오케이. 한 시간만”이라는 대화(72)를 입력하면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문맥을 파악하여 제어 권한이 상대방 사용자에게 부여되었고, 나아가 상대방 사용자가 1시간 동안 TV를 제어할 수 있도록 허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8, when the user clicks " OK. Quot; one hour only " 72, the dedicated application can grasp the context, grant control authority to the other user, and further determine that the other user is allowed to control the TV for one hour.
이때 사용자가 입력한 대화에는 해당 IoT 디바이스의 제어 권한을 상대방에게 부여하라는 제어 문구가 포함된 것으로 인식되며, 사용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은 대화창을 통해 상대방 사용자로부터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기를 대기한다.At this time, it is recognized that the dialog input by the user includes a control phrase for giving the control authority of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to the counterpart, and the application of the user terminal waits for the control message from the counterpart user via the dialog window.
제어 권한을 부여하는 제어 문구는 해당 IoT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가능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 가능 범위에 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phrase granting the control authority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controllable time for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and may also include information on the controllable range.
상대방 사용자 단말이 대화창을 통해 “오케이. 한 시간만”이라는 대화 내용을 수신하면 문맥 분석을 통해 권한 부여를 위한 제어 문구의 수신으로 판단할 수 있다. 수신된 제어 문구를 상대방 사용자가 터치하여 선택하면, 상대방 사용자 단말의 대화창에 연결된 이미지 키보드에 해당 IoT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리모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 The user terminal of the other party sends a message "OK. Quot; only one hour " is received, it can be judged as reception of the control phrase for authorization by context analysis. When the remote control user touches and selects the received control phrase, the remote controller image for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is displayed on the image keyboard connected to the dialog window of the opposite user terminal.
제어 문구에 제어 가능 범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는 이를 반영하여 제어 가능한 기능만을 조작할 수 있는 리모콘 이미지가 생성될 것이다. 예를 들어, 성인채널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거나 유료채널을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으며, 이때 생성되는 리모콘 이미지에는 상기 금지 채널이 삭제된 후 나머지 채널들만 표시된다.If the control phrase includes information on the controllable range, a remote control image capable of operating only the controllable functions will be generated by reflecting the information.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dult channel from being used or to effectively restrict a pay channel, and only the remaining channels are displayed in the generated remote control image after the forbidden channel is deleted.
제어 문구에 제어 가능 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 리모콘 이미지를 통한 디바이스 제어 가능 시간이 제한된다.If the control phrase includes information on the controllable time, the device controllable time through the remote control image is limited.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방 사용자 단말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은 대화방에 입력된 사용자의 대화를 분석하여 TV 제어 권한이 상대방 사용자에게 임시로 1시간 동안 부여되었음을 인식하고, TV 제어를 위한 리모콘 이미지(90)를 이미지 키보드에 디스플레이한다.As shown in FIG. 9, the dedicated application of the counterpart user terminal analyzes the conversation of the user entered in the chat room, recognizes that the TV control authority is temporarily granted to the counterpart user for one hour, and displays the remote control image 90 ) On the image keyboard.
상대방 사용자인 '아들'은 이 이미지 키보드를 통해 TV의 전원을 켜고 원하는 채널을 선택하는 등 제어 조작을 할 수 있으며, 이때 수행된 제어 조작에 대응하는 제어 메시지가 생성되어 대화창에 자동으로 입력된다. The opponent user 'Son' can perform control operations such as turning on the power of the TV and selecting a desired channel through the image keyboard, and a control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operation performed at this time is generated and automatically inputted into the dialog window.
사용자인 '아빠'의 단말은 수신된 제어 메시지에 따라 제어를 수행한다. 즉, 사용자 단말은 대화창을 통해 수신된 제어 메시지를 제어 신호로 변환한 후 해당 IoT 디바이스에게 송신함으로써 상대방 사용자가 요청한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사용자 '아빠'도 대화창을 통해 상대방 사용자에 의한 제어 내용을 알 수 있다.The user terminal 'Dad' performs control according to the received control message. That is, the user terminal converts the control message received through the dialog window into a control signal, and transmits the control message to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thereby performing the control requested by the counterpart user. Also, the user 'dad' can know the control contents by the user of the other party through the dialog window.
이 실시예에서는 권한 부여에 시간 제한이 있으므로, 제한 시간인 1시간이 경과한 경우 자동으로 해당 IoT 디바이스의 전원이 차단되고 상대방 사용자 '아들'의 단말에서 TV 제어 리모콘(90)이 소거되고 대화 입력을 위한 가상키보드가 다시 나타날 것이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re is a time limit for authorization, when the time limit of 1 hour has elapsed, the power of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is automatically shut off, the TV control
한편, 도 8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권한 부여를 위해 대화를 입력하는 대신, 상대방 사용자의 단말에 해당 IoT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리모콘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권한 부여 아이콘을 사용자 단말에 부여할 수도 있다. 8, instead of inputting a dialog for authorization, an authorization icon may be given to the user terminal so that a remote control image capable of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of the other user .
예컨대, 도 8의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가상키보드에 TV 모양의 TV 제어 권한 부여 아이콘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이를 선택하였을 때 사용자 단말 대신 상대방 사용자의 단말에 TV 제어를 위한 리모콘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하거나, 사용자 단말과 상대방 사용자의 단말 모두에 TV 제어 리모콘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가 대화창에서 TV 리모콘을 꺼내서 상대방에게 주는 모습으로 보이므로 더 직관적인 방법으로 제어 권한을 넘겨줄 수 있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V-shaped TV control authorization icon on the virtual keyboard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of FIG. 8, to control the remote control image for TV control to be displayed on the terminal of the other user instead of the user terminal,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TV remote controller to be displayed on both the user terminal and the terminal of the other user. In this way, the user can take the TV remote control out of the dialog window and give it to the other party so that the control right can be handed down in a more intuitive way.
이 경우 제어 권한을 부여한다는 제어 문구가 생성되어 대화창에 입력되거나,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에서 이모티콘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TV 아이콘이 대화창에 입력되며, 사용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은 대화창을 통해 상대방 사용자로부터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기를 대기한다.In this case, a control phrase for granting a control right is generated and input to the dialogue window, or an emoticon is transmitted from the instant messenger service, a TV icon is input to the dialogue window, and the application of the user terminal receives a control message .
상대방 사용자는 해당 대화창이 열려있는 동안에 TV 제어 리모콘을 이용하여 TV를 제어할 수 있으며, 시간 제한이 있는 경우는 대화창이 열려 있더라도 제한된 시간 내에만 TV를 제어할 수 있으며 제한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대방 사용자의 단말에 부여된 TV 제어 리모콘 이미지(90)는 비활성화되거나 소거될 것이다. The user of the other party can control the TV using the TV control remote controller while the corresponding window is open. If there is a time limit, the TV can be controlled within a limited time even if the dialog window is opened. The TV control
이때, 이미지 키보드에 디스플레이된 리모콘 이미지는 버튼 등의 제어 조작의 편리성을 위해 핀치아웃(Pinch out:두 손가락을 동시에 터치해서 벌림)하여 단말장치의 전체화면으로 확대해 사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mote controller image displayed on the image keyboard can be enlarged to the entire screen of the terminal device by pinching out (opening two fingers at the same time) for convenience of control operation of the buttons and the like.
또한, 상기의 예시에서는 아빠와 아들간의 양자간 제어 권한의 공유 방법에 대해 설명을 하였지만, 상기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다수에게도 권한 부여를 할 수 있다. 즉, 아빠와 아들 외에도 여러 가족이 함께 IoT 디바이스 제어 권한을 공유할 수 있으며, 때에 따라 공유시간, 공유채널 등 제어 권한의 사용 한계를 지정할 수도 있어 가족, 친구, 직원 등 공동체 구성원들 간에도 편리한 사용이 가능해지는 것이다.Also, in the above example, a method of sharing the control authority between the father and the son has been described, but the same method can be used to grant authority to a plurality of users. In other words, in addition to my dad and son, IoT device control privileges can be shared by several family member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signate the usage limit of control authority such as sharing time and shared channel at times, so that it is convenient for family members, friends and employees It is possible.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실제 사용자가 아닌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사용자 즉 가상의 채팅 친구와의 대화창을 통해 IoT 제어 명령을 내릴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user interface can be provided so that an IoT control command can be issued through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 user who is not an actual user, that is, a chat window with a virtual chat buddy.
이 실시예에서는 IoT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AI 사용자를 버디(채팅 친구)로 등록해두고 AI 사용자와의 대화를 시작하면 대화 내용을 분석하고 문맥에 따라 제어할 IoT 디바이스를 추천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IoT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리모콘 이미지를 이미지 키보드에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IoT 디바이스의 제어를 지원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when an AI user for controlling an IoT device is registered as a buddy (chat buddy) and starts a conversation with an AI user, the conversation contents are analyzed, an IoT device to be controlled according to a context is recommended, It is possible to support control of the IoT device by displaying the corresponding remote control image on the image keyboard.
IoT 디바이스의 제어용으로 등록된 가상의 채팅 친구와의 대화를 위한 대화창을 열 때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어 가능한 IoT 디바이스들을 검색하고, 검색된 IoT 디바이스들에 대응하는 아이콘 리스트를 포함하는 가상키보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 리스트에서 원하는 IoT 디바이스를 선택하면, 대응하는 리모콘 이미지가 이미지 키보드에 표시되며, 이를 통해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When opening a dialog for chatting with a virtual chat buddy registered for control of the IoT device, it is possible to search IoT devices controllable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display a virtual keyboard including an icon list corresponding to the retrieved IoT devices have. When the user selects the desired IoT device from this list, the corresponding remote control image is displayed on the image keyboard, thereby allowing the device to be controlled.
이때, 대화 상대방인 AI 사용자가 축적해온 데이터 혹은 현재 발생된 이슈(날씨 정보, 위치 정보, 트래픽 정보, 타사용자 정보 등) 등을 취합 도출해낸 선택추천 정보를 제시받음으로써 디바이스 제어에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device control by receiving the accumulated information of the AI user who is the communication partner, or the currently selected issue (weather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traffic information, other user information, etc.) .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키보드 시스템을 이용하여 자택 내 IoT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제어하는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FIG. 10 illustrates a screen for selecting and controlling an intra-home IoT device using an image keyboar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의 대화창에 연관된 가상키보드(101) 내에서 대화 내용의 분석에 따라 추천되는 IoT 디바이스들을 확인할 수 있으며(100), 사용자가 이 중 하나를 선택하면 가상키보드가 해당 디바이스의 리모콘 이미지(106)로 변환된다.Referring to FIG. 10, IoT devices that are recommend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onversation contents in the
등록되어 있는 복수의 IoT 디바이스들은 카테고리(104) 별로 분류될 수 있다. 도 10은 사용자가 홈 아이콘(105)을 선택한 경우의 화면으로서,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IoT 디바이스들에 대한 상세 정보가 대화창(103)에 디스플레이되며, 이 중 오디오(107)를 선택한 경우 그에 대응하는 오디오 리모콘 이미지(106)가 표시된다.A plurality of registered IoT devices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사용자는 오프라인 상에서 실제 컨트롤러, 리모콘 또는 스위치를 조작하듯이 이 리모콘 이미지(106)에서 터치나 드래그로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정확한 수치나 기준값을 이해하고 있어 판단하기 쉬운 제어, 예를 들면 온도라든지 시간, 속도, On/Off 등의 제어 지시는 타이핑이나 구술(口述)로 가능하지만, 소리(볼륨)의 크기 조정이나 방의 조명 밝기를 어느 정도로 할 것인지, 지도상의 특정부분의 위치 등은 타이핑이나 구술로는 정확한 제어가 어렵기 때문에 그래픽 이미지를 사용한 리모콘 이미지의 효용성이 크다.The user can input a control command by touching or dragging from the
입력된 제어 명령은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어 신호로 변환되어 해당 IoT 디바이스로 전송된다. The input control command is converted into a control signal by the application and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사용자가 리모콘 이미지(106)를 통해 오디오 장치의 전원 차단에 성공한 경우, 대화창에 제어 내역(108)이 자동으로 입력되므로 사용자와 상대방 사용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user succeeds in powering off the audio device through the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키보드 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량 내 IoT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제어하는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11 to 13 illustrate screens for selecting and controlling IoT devices in a vehicle using an image keyboar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등록된 IoT 디바이스들의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는 가상키보드(110)에서 차량 아이콘(111)을 선택한 경우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 이미지(112)가 디스플레이된다. 이 리모콘 이미지(112)에서 경유지를 터치하여 입력하면 그에 해당하는 제어 신호가 생성되어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로 전송되며, 그에 대한 정보가 대화창의 대화(113)로 표시된다. Referring to FIG. 11, when the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대화 상대방인 상대방 사용자와 네비게이션이 디스플레이된 리모콘 이미지(도 11(a))를 공유할 경우, 대화 상대방의 사용자 단말의 이미지 키보드에 도 11(b)와 같이 사용자가 이미 설정한 네비게이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다. 도 11(a)와 (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의 네비게이션 이미지와 상대방 단말의 네비게이션 이미지 간에 서로의 현재 위치는 물론 상대방의 현재 주행 속도, 주행 노선, 목적지 등이 실시간 공유되며 디스플레이됨을 알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the user shares the remote control image (FIG. 11 (a)) on which the navigation is displayed with the user of the other party as the conversation partner, The navigation image already set by the user is displayed. Referring to FIGS. 11A and 11B, it can be seen that the current position, the current traveling speed, the traveling route, and the destination of the other party as well as the current position of each other are displayed and displayed in real time between the navigation image of the user terminal and the navigation image of the counterpart terminal have.
현재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상대방에게 최종 목적지의 위치만을 맵(지도) 이미지나 텍스트로 주고받아 공유하는 것으로, 단지 최종 목적지의 지도나 주소, 명칭을 알려주는 데에만 그치고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공통의 목적지를 서로 공유하는 것은 물론 사용자와 상대방의 현재 운행 정보가 실시간 공유됨으로써 서로 다른 시간, 다른 위치에서 각각 출발하여도 주행 중 노선변경, 주행 지체, 목적지 변경 등의 주행 정보 및 현재 상태를 서로간에 확인할 수 있어, 목적지 중간에 휴게소 등의 경유지가 새로 생기거나, 노선이 변경되거나, 불의의 사고나 응급상황으로 지체되는 경우에도 실시간 확인하고 대응, 조치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The present navigation system only exchanges the location of the final destination with the map image or text and gives only the map, address and name of the final destination.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urrent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and the other party is shared in real time. Therefore, even if the vehicle departs at different times or different positions, the traveling information such as route change, traveling delay, destination change, There is a convenience in that it can check in real time and cope with and deal with when a stopover place such as a rest stop is newly created in the middle of a destination, a route is changed, or an accident or an emergency situation is delayed.
또한, 상대방의 주행 정보를 바탕으로 주행 속도, 주행 방향, 노선 등을 효율적으로 수정 및 조정할 수 있어 단체여행시 여러 차량이 함께 공유하여 사용할 경우 꼬리물기 운행을 막을 수 있어 안전한 운행에도 도움을 준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modify and adjust driving speed, driving direction, route, etc. based on the traveling information of the other party.
도 12는 가상키보드에서 텍스트 입력(121)에 의해 경유지를 선택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3은 지도 이미지를 포함하는 리모콘 이미지(112)를 통해 경유지 정보를 입력하는 이미지 키보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12 shows an example of selecting the waypoint by the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대화 내용을 분석하여 제어가 필요한 IoT 디바이스들을 추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recommending IoT devices requiring control by analyzing conversation conte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를 참조하면, 대화창(144)에 연결된 가상키보드는 IoT 아이콘(140)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선택하면 등록된 IoT 디바이스들의 목록과 각 IoT 디바이스의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the virtual keyboard connected to the
또한, 가상키보드에 “퇴근...”이라는 대화(141)를 입력하면 입력된 문자의 내용, 현재 시간 정보, 현재 위치 정보, 이전의 IoT 디바이스 제어 이력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참조하여, 등록된 IoT 디바이스들 중 현재 상황에 적합한 IoT 디바이스들을 선정하고 해당 아이콘들을 가상키보드(142)에 디스플레이한다.Also, when a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IoT 디바이스들의 그룹핑을 수동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입력된 문장을 분석하여 연관된 IoT 디바이스들을 선정하고 순서를 결정하여 정렬한 후 현재 상태, 이전 이력, 이슈(날씨, 기념일, 트래픽 등)와 함께 디스플레이한다. 도 14의 예에서는 선정된 IoT 디바이스들에 대한 정보가 대화창 영역(144)에 표시되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ping of IoT devices is not performed manually but the input sentences are analyzed to select and sort the related IoT devices, and then the current state, the previous history, the issue , Traffic, etc.). In the example of FIG. 14,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IoT devices is displayed in the
또한, 사용자가 이미지 가상키보드를 통해 제어한 내역이 대화로 변환되어 자동으로 대화창(144)에 입력된다. 제어의 내역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IoT 디바이스가 어떤 것인지, 이 IoT 디바이스에 대해 지시된 제어가 어떤 것인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ails controlled by the user through the image virtual keyboard are converted into conversations and automatically input into the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가상키보드(142)에서 차량 아이콘(143)을 선택하면, 선택 정보가 대화(146)로 자동 입력되며 그에 대응하는 리모콘 이미지(148)가 이미지 키보드로서 디스플레이된다. 이 리모콘 이미지(148)에서 특정 위치(147)를 경유지로 선택하면 그에 해당하는 제어 신호가 생성되어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로 전송되며, 제어 내역이 대화(149)로 입력된다.Specifically, when the user selects the
도 14를 참조하면, 원래의 주행 경로에는 두 개의 노선이 표시되었으며,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주행 경로 중 경유지(147)가 선택되면, 두 개의 노선 중 과거의 사용 이력, 현재의 이슈(날씨 정보, 트래픽, 사고, 타사용자 정보 등)를 반영하여 적절한 노선이 추천된다. Referring to FIG. 14, two routes are displayed in the original travel route. When the
이후 시간대별로 순차적으로 '퇴근'과 연관된 IoT 디바이스들이 작동하도록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착시간에 실내 온도가 소정치가 되도록 온도 조절기가 가동되도록 하고, 이후 도어락 등 방범장치의 락 해제를 준비하고, 다음으로 TV나 조명장치의 ON/OFF 시간을 조절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대화 내용을 분석하여 연관된 IoT 디바이스들을 추천하는 것 뿐만 아니라 대화 형식으로 IoT 디바이스들의 진행 예정 사항을 애플리케이션 스스로 판단하고 사용자에게 고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reafter, the IoT devices associated with " off work " can be preset to operate sequentially in time zone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set the temperature controller to be operated so that the room temperature becomes the predetermined value at the arrival time, prepare the unlocking of the door lock and other security devices, and then adjust the ON / OFF time of the TV or the lighting device. That is, it can be implemented not only by analyzing the conversation contents to recommend the associated IoT devices, but also by the application itself to judge the progress schedule of the IoT devices in conversation form and notify the user.
사용자는 도 14와 같은 인터페이스에서 제어하고자 하는 IoT 디바이스를 추가 및/또는 삭제하거나 예약된 제어 동작을 수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앞의 예에서 경유지를 추가하여 주행 경로를 바꾼 것과 유사하게, 리모콘 이미지상에서 터치, 드래그 및/또는 스와핑에 의해 원하는 실내 온도를 변경하거나 예약된 TV 채널을 바꾸는 등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user can add and / or delete the IoT device to be controlled in the interface as shown in FIG. 14 or modify the reserved control operation. Specifically, control such as changing the desired indoor temperature or changing the reserved TV channel by touching, dragging and / or swapping can be performed on the remote control image, similar to changing the traveling route by adding the waypoint in the previous example have.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키보드를 이용하여 자택 내 IoT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제어하는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15 to 17 illustrate a screen for selecting and controlling an intra-home IoT device using an image key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가상키보드의 홈 아이콘(151) 선택시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IoT 디바이스들의 목록과 현재 상태가 대화창 영역(150)에 표시되며, IoT 디바이스 아이콘 리스트와 선택된 IoT 디바이스(153)의 제어를 위한 리모콘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미지 키보드(152)가 나타난다.15, when the
이미지 키보드(152)에서 각 방을 터치하여 선택하면 해당 위치에 존재하는 A/V 장치를 제어할 수 있으며, 제어 내역이 대화(154)로 표시될 것이다.By touching each room on the
도 16은 자택 내 각 방의 전등 장치를 제어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미지 키보드에서 각 방을 터치하여 해당 위치의 전등을 ON/OFF할 시간 및 조도를 예약할 수 있다. 이때, 마지막으로 사용되었거나 기 설정된 정보와 현재 상황(출발시간 및 도착 예정시간) 및 이슈 등을 종합하여 예측판단한 제어 내용을 제시해주기 때문에, 제어 내용 확인 후 수정이 필요없는 경우 별도의 리모콘 이미지의 조작이 없어도 수정된 IoT 디바이스만 바뀐 내용으로 제어될 것이다.Fig. 16 shows an example of controlling the light devices in each room in the home. You can touch each room on the image keyboard to reserve the time and illuminance to turn on / off the light at that location. At this time, since the control contents predicted based on the last used or pre-set information and the current situation (departure time and arrival time) and issues are presented,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separate remote control image The modified IoT device will be controlled with the changed contents.
도 17을 참조하면, 가상키보드에서 홈 아이콘(151)을 선택하였을 때 선택 내역이 대화(171)로 자동 입력되며, 홈 카테고리에 속하는 IoT 디바이스들의 아이콘 리스트와 리모콘 영역을 포함하는 이미지 키보드(170)가 디스플레이되었다. 이미지 키보드(170)에서 선택된 IoT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리모콘 이미지가 리모콘 영역에 표시될 것이며, 사용자는 리모콘 조작을 통해 원하는 IoT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의 내역 또한 대화창의 대화로 자동 입력될 것이다.17, whe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which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Includes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magneto-optical media and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10: 사용자의 단말
11: 상대방 사용자의 단말
20: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10: User terminal
11: terminal of the other user
20: IoT (Internet of Things) device
Claims (12)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와 상대방 사용자가 대화하기 위한 대화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대화창에 입력되는 대화 내용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제어가 필요한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를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선정된 하나 이상의 IoT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아이콘 리스트를 포함하는 가상키보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가상키보드에서 원하는 아이콘을 선택하면 그에 대응하는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 이미지를 이미지 키보드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디바이스 제어용 이미지 키보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A method for a mobile device to control an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 using an image keyboard system,
Displaying a dialog for the user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user of the other party to communicate;
Analyzing conversation contents inputted in the dialog window and selecting one or more IoT devices that need to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Displaying a virtual keyboard including a list of icon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one or more IoT devices;
And displaying the remote controller image for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on the image keyboard when the user selects a desired icon on the virtual keyboard, and an IoT devic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
상기 리모콘 이미지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해당 IoT 디바이스의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수행된 IoT 디바이스의 제어에 대한 정보를 상기 대화창의 대화로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디바이스 제어용 이미지 키보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Performing control of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according to a user input through the remote control imag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inputting information on control of the performed IoT device into a dialog of the dialog window, and an IoT devic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하는 IoT 디바이스의 제어 권한을 상기 상대방 사용자에게 부여하라는 제어 문구 또는 상기 아이콘이 상기 대화창에 입력되면, 상기 IoT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메시지가 상기 대화창을 통해 상기 상대방 사용자로부터 수신되기를 대기하는 단계와;
상기 상대방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제어 메시지에 따라 상기 IoT 디바이스의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디바이스 제어용 이미지 키보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ontrol message for giving a control right of the Io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con to the counterpart user or a control message for the IoT device being received from the counterpart user via the dialog window when the icon is input to the dialog window ;
And controlling the IoT device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message received from the counterpart user. The image keyboard system for controlling an IoT device and the IoT devic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상기 제어 권한을 부여하는 제어 문구는 해당 IoT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가능 범위 및 제어 가능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디바이스 제어용 이미지 키보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trol phrase giving the control right includes information on at least one of a controllable range and a controllable time for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and an IoT devic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상기 리모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해당 IoT 디바이스로부터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 및 기 설정된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상태 정보 및 제어 정보와 해당 IoT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한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리모콘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리모콘 이미지를 상기 이미지 키보드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디바이스 제어용 이미지 키보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isplaying the remote-
Receiving information on a current state and predetermined control information from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Generating a remote control image including the received status information and control information and a graphical interface for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IoT device;
Displaying an image of the remote controller on the image keyboard; and controlling the IoT device using the image keyboard system.
상기 상대방 사용자는 IoT 디바이스의 제어를 위해 등록된 가상의 채팅 친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디바이스 제어용 이미지 키보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unterpart user is a virtual chat buddy registered for controlling the IoT device, and an IoT devic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상기 가상의 채팅 친구와의 대화를 위한 대화창을 열 때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제어 가능한 IoT 디바이스들을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된 IoT 디바이스들에 대응하는 아이콘 리스트를 포함하는 가상키보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디바이스 제어용 이미지 키보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Retrieving controllable IoT devices through the mobile device when opening a dialog for chat with the virtual chat buddy;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a virtual keyboard including a list of icons corresponding to the searched IoT devices, and an IoT devic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사용자가 상대방 사용자와 대화하기 위한 대화창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소정의 IoT 디바이스의 제어 권한을 부여한다는 제어 문구 또는 아이콘을 상기 대화창을 통해 상기 상대방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 문구 또는 아이콘이 수신되면, 상기 IoT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미지 키보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리모콘 이미지를 통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IoT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IoT 디바이스 제어 메시지를 상기 대화창을 통해 상기 상대방 사용자에게 전송하거나, 상기 IoT 디바이스의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디바이스 제어용 이미지 키보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A method for a mobile device to control an IoT device using an image keyboard system,
Displaying a dialog for the user of the mobile device to communicate with the other user;
Receiving a control statement or icon from the counterpart user through the dialog window to give control authority of a predetermined IoT device;
When the control phrase or icon is received, displaying an image keyboard including a remote control image for controlling the IoT device;
Generating a control message for the IoT device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user via the remote control image;
Transmitting the generated IoT device control message to the counterpart user via the dialog window or performing control of the IoT device, and an IoT devic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상기 제어 권한을 부여하는 제어 문구는 상기 IoT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가능 범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리모콘 이미지는 상기 제어 가능 범위를 반영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디바이스 제어용 이미지 키보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ntrol phrase for granting the control right includes information on a controllable range for the IoT device, and the remote controller image is generated reflecting the controllable range. IoT device control method.
상기 제어 권한을 부여하는 제어 문구는 상기 IoT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가능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리모콘 이미지는 상기 제어 가능 시간이 경과되면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디바이스 제어용 이미지 키보드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IoT 디바이스 제어 방법.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ntrol statement for giving the control authority includes information on the controllable time for the IoT device and the remote control image is inactivated when the controllable time elapses. IoT device control metho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2157A KR20180105301A (en) | 2017-03-15 | 2017-03-15 | Image keyboard system for IoT device contro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2157A KR20180105301A (en) | 2017-03-15 | 2017-03-15 | Image keyboard system for IoT device contro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5301A true KR20180105301A (en) | 2018-09-28 |
Family
ID=63721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32157A Withdrawn KR20180105301A (en) | 2017-03-15 | 2017-03-15 | Image keyboard system for IoT device contro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105301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016001A (en) * | 2018-11-19 | 2021-06-22 | 三星电子株式会社 | Method and system for predicting content-based recommendations |
-
2017
- 2017-03-15 KR KR1020170032157A patent/KR20180105301A/en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016001A (en) * | 2018-11-19 | 2021-06-22 | 三星电子株式会社 | Method and system for predicting content-based recommendations |
CN113016001B (en) * | 2018-11-19 | 2024-06-07 | 三星电子株式会社 | Method and system for predicting content-based recommendation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73538B1 (en) |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ontrolling IoT devices using virtual keyboard | |
KR102475223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xt aware service in a user device | |
KR102229356B1 (en) | Control device | |
KR102150289B1 (en) | User interface appratus in a user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 |
US9244610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entered text to access and process contextual information | |
CN103154856B (en) | For the environmental correclation dynamic range control of gesture identification | |
WO2017119164A1 (en) | Control device, display device, method, and program | |
EP2775382A1 (en) | Hierarchical navigation with related objects | |
KR20170112556A (en) |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KR102059800B1 (en) | User interface appratus in a user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 |
JP2014064278A (en) | Context aware service provision method and apparatus of user device | |
EP3411810A1 (en) | Dynamic reactive contextual policies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s | |
JP6797987B2 (en) | Mobile device application execution device and its method | |
KR20140081642A (en) |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for external apparatus | |
KR20140118663A (en) |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mene | |
EP4044634A1 (en) |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 on the basis of usage scenario,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 |
JP2020021479A (en) | Method and terminal for providing function for managing vip messages | |
KR20160016491A (en) |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functions | |
KR20180103635A (en) | Image virtual keyboard system for IoT device control and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 |
KR20180105301A (en) | Image keyboard system for IoT device control | |
KR20180104804A (en) | IoT device control method using Image virtual keyboard system and SNS | |
US11570018B2 (en) | Systems, methods, apparatus and media for use in association with scheduling | |
KR20190143563A (en) | IoT devic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Image virtual keyboard and SNS | |
US20190281068A1 (en) | Method for providing an access device for a personal data source | |
KR20200000291A (en) | IoT devic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SNS and Image virtual keyboar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1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