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5039A - Dc-dc convert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Dc-dc convert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5039A
KR20180105039A KR1020170112789A KR20170112789A KR20180105039A KR 20180105039 A KR20180105039 A KR 20180105039A KR 1020170112789 A KR1020170112789 A KR 1020170112789A KR 20170112789 A KR20170112789 A KR 20170112789A KR 20180105039 A KR20180105039 A KR 20180105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or
output
current
mod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27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78371B1 (en
Inventor
석정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5/913,591 priority Critical patent/US10819232B2/en
Publication of KR20180105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50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3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C-DC converter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C-DC converter includes a first and a second inductor, an output network unit, a controller, and an inductor network unit. The first inductor outputs a first inductor current. The second inductor outputs a second inductor current. The output network unit supplies a first output voltage to a first output terminal based on the first inductor current or the second inductor current. The output network unit supplies a second output voltage to a second output terminal based on the first inductor current or the second inductor current. The controller determines cross regulation for the first and the second output terminal, and generates a mode signal. The inductor network unit electrically connects or electrically separates the first inductor and the second indu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ross regulation can be reduced by adaptively controlling an operating mode.

Description

DC-DC 컨버터 및 이의 구동 방법{DC-DC CONVERTER AND DRIVING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C-DC converter,

본 발명은 다중 출력 전압 제어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DC-DC 컨버터 및 이의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multiple output voltage control, and more particularly, to a DC-DC converter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DC-DC 컨버터(Direct Current-to-Direct Current converter)는 직류 입력 전압을 승압하거나, 강압하여 부하에 요구되는 직류 출력 전압을 생성한다. 부하는 컴퓨터 또는 모바일 장치와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들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에 포함된 다양한 소자들은 서로 다른 동작 전압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DC-DC 컨버터에서 다양한 출력 전압을 생성할 수 있는 다중 출력 DC-DC 컨버터에 대한 수요가 제기되고 있다.A DC-DC converter (direct current-to-direct current converter) boosts or downstages a DC input voltage to generate a DC output voltage required for the load. The load may include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computer or a mobile device. Such electronic devices may include elements for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The various elements included in the electronic device may have different operating voltages. Thus, there is a need for a multi-output DC-DC converter capable of producing various output voltages in a single DC-DC converter.

다중 출력 DC-DC 컨버터는 다양한 출력 전압을 생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전압 출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전압 출력 단자는 서로 다른 전압 레벨의 직류 출력 전압을 출력 할 수 있다. 복수의 전압 출력 단자는 어떠한 외부 요인에도 부하가 요구하는 정확한 전압 레벨을 출력할 것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전압 출력 단자에 연결되는 부하의 급격한 변화는 DC-DC 컨버터의 정확한 전압 출력을 방해하는 하나의 요인일 수 있다. 따라서, DC-DC 컨버터의 출력 전압의 안정성 및 정확성을 확보하기 위한 요구가 제기되고 있다.A multi-output DC-DC convert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voltage output terminals to generate various output voltages. The plurality of voltage output terminals can output DC output voltages of different voltage levels. The plurality of voltage output terminals are required to output the exact voltage level required by the load for any external factors. For example, a sudden change in load connected to a plurality of voltage output terminals may be one factor that interferes with the correct voltage output of the DC-DC converter.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securing the stability and accuracy of the output voltage of the DC-DC converter.

본 발명은 복수의 출력 단자에서의 크로스 레귤레이션 발생을 감소시키는 DC-DC 컨버터 및 이의 구동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DC-DC converter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for reducing cross-regulation occurrence at a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C-DC 컨버터는 제1 인덕터, 제2 인덕터, 인덕터 네트워크부, 출력 네트워크부, 및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제1 인덕터는 입력 전압에 근거하여 제1 인덕터 전류를 출력한다. 제2 인덕터는 입력 전압에 근거하여 제2 인덕터 전류를 출력한다. 인덕터 네트워크부는 컨트롤러에 의하여 생성된 모드 신호에 근거하여 제1 및 제2 인덕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제1 및 제2 인덕터를 전기적으로 분리한다. 인덕터 네트워크부는 직렬 모드 스위치 및 제1 및 제2 분리 모드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A DC-DC co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inductor, a second inductor, an inductor network, an output network, and a controller. The first inductor outputs the first inductor current based on the input voltage. The second inductor outputs the second inductor current based on the input voltage. The inductor network unit electrically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inductors or electrically isolates the first and second inductors based on the mode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ler. The inductor network portion may include a serial mode switch and first and second split mode switches.

직렬 모드 스위치는 제1 인덕터와 연결되는 일단자 및 제2 인덕터와 연결되는 타단자를 포함한다. 기준 시간 이후의 제1 인덕터 전류 또는 제2 인덕터 전류가 임계 전류보다 큰 경우, 직렬 모드 스위치는 스위칭-오프 된다. 제1 분리 모드 스위치는 제1 인덕터와 연결되는 일단자 및 출력 네트워크부와 연결되는 타단자를 포함한다. 제2 분리 모드 스위치는 입력 전압을 수신하는 일단자 및 제2 인덕터와 연결되는 타단자를 포함한다. 기준 시간 이후의 제1 인덕터 전류 또는 제2 인덕터 전류가 임계 전류보다 큰 경우, 제1 및 제2 분리 모드 스위치는 스위칭-온 된다.The series mode switch includes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inductor and another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inductor. If the first inductor current or the second inductor current after the reference time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current, the serial mode switch is switched off. The first isolation mode switch includes a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inductor and another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network section. The second isolation mode switch includes a terminal receiving the input voltage and another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inductor. When the first inductor current or the second inductor current after the reference time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current, the first and second split mode switches are switched on.

출력 네트워크부는 제1 인덕터 전류 또는 제2 인덕터 전류에 근거하여 제1 출력 단자에 제1 출력 전압을 제공하고, 제2 출력 단자에 제2 출력 전압을 제공한다. 출력 네트워크부는 제1 및 제2 정상 출력 스위치, 및 제1 및 제2 분리 출력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정상 출력 스위치는 제2 인덕터와 제1 출력 단자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분리 출력 스위치는 제1 분리 모드 스위치와 제1 출력 단자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정상 출력 스위치는 제2 인덕터와 제2 출력 단자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분리 출력 스위치는 제1 분리 모드 스위치 및 제2 출력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The output network portion provides a first output voltage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and a second output voltage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based on the first inductor current or the second inductor current. The output network portion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normal output switches, and first and second split output switches. The first normal output switch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inductor and the first output terminal. The first split output switch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split mode switch and the first output terminal. The second normal output switch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inductor and the second output terminal. The second separation output switch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eparation mode switch and the second output terminal.

컨트롤러는 모드 제어부 및 스위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드 제어부는 제1 및 제2 인덕터 전류에 근거하여 모드 신호 및 클럭 변조 신호를 생성한다. 스위치 제어부는 모드 신호 및 클럭 변조 신호에 근거하여 출력 네트워크부 및 인덕터 네트워크부를 제어한다. 모드 제어부는 크로스 레귤레이션 검출기, 클럭 변조기, 전류 계수기, 및 모드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크로스 레귤레이션 검출기는 기준 시간 이후의 제1 인덕터 전류 또는 제2 인덕터 전류가 임계 전류보다 큰 경우, 크로스 레귤레이션 신호를 출력한다. 클럭 변조기는 크로스 레귤레이션 신호에 근거하여 클럭 변조 신호의 펄스 폭을 증가시킨다. 전류 계수기는 제1 및 제2 방전 시간 신호를 생성한다. 모드 변환기는 크로스 레귤레이션 신호에 근거하여 분리 모드 신호를 생성한다. 모드 변환기는 제1 및 제2 방전 시간 신호에 근거하여 직렬 모드 신호를 생성한다.The controller may include a mode control unit and a switch control unit. The mode control unit generates a mode signal and a clock modulation signal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inductor currents. The switch control unit controls the output network unit and the inductor network unit based on the mode signal and the clock modulation signal. The mode control section may include a cross-regulation detector, a clock modulator, a current counter, and a mode converter. The cross-regulation detector outputs a cross-regulation signal when the first inductor current after the reference time or the second inductor current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current. The clock modulator increases the pulse width of the clock modulated signal based on the cross-regulation signal. The current counter generates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time signals. The mode converter generates a split mode signal based on the cross regulation signal. The mode converter generates a serial mode signal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time signal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C-DC 컨버터의 구동 방법은 제1 및 제2 인덕터를 직렬로 연결하는 단계, 제1 및 제2 출력 전압들을 제공하는 단계, 분리 모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제1 및 제2 인덕터를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단계, 및 제3 및 제4 출력 전압들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인덕터는 직렬 모드 신호에 근거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및 제2 출력 전압들을 제공하는 단계에서, 출력 네트워크부는 인덕터 전류에 근거하여 제1 출력 단자에 제1 출력 전압을 제공하고, 제2 출력 단자에 제2 출력 전압을 제공한다. 제1 출력 전압과 제2 출력 전압은 교번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A method of driving a DC-DC co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onnecting a first and a second inductor in series, providing first and second output voltages, generating a split mode signal, And electrically isolating the second inductor, and providing third and fourth output voltages. The first and second inductors are electrically connected based on the serial mode signal. In providing the first and second output voltages, the output network portion provides a first output voltage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and a second output voltage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based on the inductor current. The first output voltage and the second output voltage may be provided alternately.

제1 및 제2 인덕터의 충전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 이후의 인덕터 전류가 임계 전류보다 큰 경우, 분리 모드 신호가 생성된다. 이 때, 인덕터 전류와 임계 전류가 동일한 값을 가질 때까지 기준 시간은 연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인덕터는 분리 모드 신호에 근거하여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분리 모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인덕터 전류를 센싱하는 단계, 하이 레벨의 크로스 레귤레이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직렬 모드 신호를 분리 모드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inductor current after the reference time from the charging time point of the first and second inductors is larger than the threshold current, a split mode signal is generated. At this time, the reference time can be extended until the inductor current and the threshold current have the same value. The first and second inductors are electrically isolated based on the isolation mode signal. The step of generating a split mode signal may include sensing an inductor current, generating a high level cross-regulation signal, and converting the serial mode signal to a split mode signal.

제3 및 제4 출력 전압들을 제공하는 단계에서, 출력 네트워크부는 제1 인덕터 전류에 근거하여 제1 출력 단자에 제3 출력 전압을 제공한다. 출력 네트워크부는 제2 인덕터 전류에 근거하여 제2 출력 단자에 제4 출력 전압을 제공한다. 이 때, 제1 인덕터 및 제2 인덕터는 분리 모드 신호에 근거하여 동시에 충전될 수 있다. 제1 출력 전압 레벨은 제3 출력 전압 레벨과 같을 수 있고, 제2 출력 전압 레벨은 제4 출력 전압 레벨과 같을 수 있다.In providing the third and fourth output voltages, the output network portion provides a third output voltage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based on the first inductor current. The output network portion provides a fourth output voltage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based on the second inductor current. At this time, the first inductor and the second inductor can be simultaneously charged based on the separation mode signal. The first output voltage level may be equal to the third output voltage level, and the second output voltage level may be equal to the fourth output voltage level.

제3 및 제4 출력 전압들을 제공하는 단계 이후에, DC-DC 컨버터 구동 방법은 제1 및 제2 완전 방전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직렬 모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제1 및 제2 인덕터를 직렬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직렬 모드 신호는 제1 완전 방전 시간이 제1 안정화 시간보다 크고, 제2 완전 방전 시간이 제2 안정화 시간보다 큰 경우 생성될 수 있다.After providing the third and fourth output voltages, the method for driving a DC-DC converter includes the steps of measuring a first and second full discharge time, generating a serial mode signal, and generating a first and a second inductor And connecting them in series. The serial mode signal can be generated when the first full discharge time is greater than the first stabilization time and the second full discharge time is greater than the second stabilization ti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C-DC 컨버터 및 이의 구동 방법은 동작 모드를 적응적으로 제어하여 크로스 레귤레이션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C-DC 컨버터 및 이의 구동 방법은 동작 모드에 따라, 리플 전류를 감소시키거나 충전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DC-DC converter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occurrence of cross regulation by adap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mode. In addition, the DC-DC converter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ripple current or improve the charging spe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도 1은 DC-DC 컨버터의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C-DC 컨버터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C-DC 컨버터의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드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6은 직렬 모드에서 분리 모드로 변환할 때의 펄스 변조 신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7은 직렬 모드에서의 스위치들의 동작 및 전류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8은 직렬 모드를 유지하는 경우의 크로스 레귤레이션 발생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9는 직렬 모드에서 분리 모드로 변환하기 위한 스위치들의 동작 및 전류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C-DC 컨버터의 구동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S300 단계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1 is a circuit diagram of a DC-DC converter.
2 is a block diagram of a DC-DC co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ircuit diagram of a DC-DC co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le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 mod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timing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ulse modulation signal when converting from the serial mode to the separation mode.
7 is a timing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witches and the current flow in the serial mode.
8 is a timing chart for explaining the occurrence of cross regulation when the serial mode is maintained.
9 is a timing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witches and the current flow for converting from the serial mode to the separation mode.
10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driving a DC-DC co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showing the step S300 of FIG.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DC-DC 컨버터의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DC-DC 컨버터(10)는 인덕터(11), 컨트롤러(12), 제1 접지 스위치(SG1), 제2 접지 스위치(SG2), 인덕터 스위치(SF), 복수의 출력 스위치(Y1~Yn)를 포함할 수 있다. DC-DC 컨버터(10)는 전원 공급부(미도시)로부터 직류의 입력 전압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 단자(IN)를 포함할 수 있다. DC-DC 컨버터(10)는 직류 입력 전압을 승압 또는 강압하여 다양한 전압 레벨을 갖는 복수의 출력 전압(VO1~VOn)을 생성하여 부하에 제공할 수 있다.1 is a circuit diagram of a DC-DC converter. 1, the DC-DC converter 10 includes an inductor 11, a controller 12, a first grounding switch SG1, a second grounding switch SG2, an inductor switch SF, (Y1 to Yn). The DC-DC converter 10 may include an input terminal IN for receiving a DC input voltage from a power supply (not shown). The DC-DC converter 10 can generate or output a plurality of output voltages VO1 to VOn having various voltage levels by stepping up or down the DC input voltage.

인덕터(11)는 입력 단자(IN)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원 공급부(미도시)에서 생성된 입력 전압에 근거하여 인덕터(11) 양단에 전압차가 발생하고, 인덕터 전류(IL)가 흐르게 된다. 인덕터 전류(IL)의 증가에 따라, 인덕터(11)는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에너지는 제1 및 제2 접지 스위치들(SG1, SG2) 및 복수의 출력 스위치(Y1~Yn)의 온-오프 동작에 근거하여 부하에 전달될 수 있다. 에너지 출력을 위하여 인덕터(11)는 복수의 출력 스위치(Y1~Yn)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inductor 1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IN. A voltage difference is generated across the inductor 11 based on the input voltage generated by the power supply unit (not shown), and the inductor current IL flows. As the inductor current IL increases, the inductor 11 can store energy. The stored energy can be delivered to the load based on the on-off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ground switches SG1 and SG2 and the plurality of output switches Y1 to Yn. The inductor 1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output switches Y1 to Yn for energy output.

인덕터 스위치(SF)는 인덕터(11)와 병렬로 연결된다. 인덕터 스위치(SF)는 인덕터 스위치 제어 신호(SFC)에 응답하여 스위칭-온 되거나 스위칭-오프 될 수 있다. 인덕터 스위치(SF)가 스위칭-온 되는 경우, 인덕터(11) 양단의 전위 차이가 같아질 수 있다. 이 경우, 인덕터 전류(IL)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일정할 수 있다. 즉, 인덕터 스위치(SF)는 인덕터(11)에 저장된 에너지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The inductor switch SF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inductor 11. The inductor switch SF may be switched on or switched off in response to the inductor switch control signal SFC. When the inductor switch SF is switched on, the potential difference across the inductor 11 can be equalized. In this case, the inductor current IL can be constant with time. That is, the inductor switch SF can be controlled to keep the energy stored in the inductor 11 constant.

제1 및 제2 접지 스위치들(SG1, SG2)은 접지와 인덕터(11) 사이에 연결된다. 제1 접지 스위치(SG1)는 제1 접지 스위치 제어 신호(SG1C)에 응답하여 스위칭-온 되거나 스위칭-오프될 수 있다. 제2 접지 스위치(SG2)는 제2 접지 스위치 제어 신호(SG2C)에 응답하여 스위칭-온 되거나 스위칭-오프될 수 있다. 제1 접지 스위치(SG1)가 스위칭-온 되는 경우, 입력 전압이 인덕터(11)에 인가되지 않는다. 즉, 제1 접지 스위치(SG1)는 인덕터(11)로의 에너지 제공을 차단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제2 접지 스위치(SG2)가 스위칭-온 되는 경우, 인덕터 전류(IL)는 복수의 출력 스위치(Y1~Yn)에 전달되지 않는다. 즉, 제2 접지 스위치(SG2)는 에너지의 출력을 차단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grounding switches (SG1, SG2) are connected between the ground and the inductor (11). The first ground switch SG1 may be switched on or switched off in response to the first ground switch control signal SG1C. The second ground switch SG2 may be switched on or switched off in response to the second ground switch control signal SG2C. When the first ground switch SG1 is switched on, an input voltage is not applied to the inductor 11. [ That is, the first ground switch SG1 can be controlled to block the supply of energy to the inductor 11. [ When the second ground switch SG2 is switched on, the inductor current IL is not transmitted to the plurality of output switches Y1 to Yn. That is, the second ground switch SG2 can be controlled to block the output of energy.

복수의 출력 스위치(Y1~Yn)는 인덕터(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복수의 출력 스위치(Y1~Yn)는 인덕터(11)로부터 인덕터 전류(IL)를 입력 받는다. 복수의 출력 스위치(Y1~Yn)는 복수의 출력 단자(O1~On)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복수의 출력 스위치(Y1~Yn)는 복수의 출력 스위치 제어 신호(Y1C~YnC)에 근거하여 에너지를 전달할 출력 단자를 선택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output switches (Y1 to Yn)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ductor (11). The plurality of output switches Y1 to Yn receive the inductor current IL from the inductor 11. The plurality of output switches Y1 to Yn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O1 to On. The plurality of output switches Y1 to Yn can select output terminals to transmit energy based on the plurality of output switch control signals Y1C to YnC.

컨트롤러(12)는 복수의 출력 스위치(Y1~Yn), 제1 접지 스위치(SG1), 제2 접지 스위치(SG2), 및 인덕터 스위치(SF)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컨트롤러(12)는 복수의 출력 전압(VO1~VOn)을 수신하기 위하여 복수의 출력 단자(O1~On)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러(12)는 인덕터(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인덕터(11)로부터 센싱 전류(ILS)를 수신할 수 있다. 컨트롤러(13)는 센싱 전류(ILS)를 센싱하기 위한 전류 센싱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2)는 복수의 출력 전압(VO1~VOn) 및 센싱 전류(ILS)에 근거하여 복수의 출력 스위치(Y1~Yn), 제1 접지 스위치(SG1), 제2 접지 스위치(SG2), 및 인덕터 스위치(SF)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2 may generate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output switches Y1 to Yn, the first ground switch SG1, the second ground switch SG2, and the inductor switch SF. The controller 1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O1 to On to receive the plurality of output voltages VO1 to VOn. The controller 1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ductor 11 and can receive the sensing current ILS from the inductor 11. [ The controller 13 may include a current sensing unit 13 for sensing the sensing current ILS. The controller 12 has a plurality of output switches Y1 to Yn, a first grounding switch SG1, a second grounding switch SG2, and a third grounding switch SG2 based on the plurality of output voltages VO1 to VOn and the sensing current ILS. The inductor switch SF can be controlled.

복수의 출력 단자(O1~On)는 서로 다른 레벨의 전압들을 출력할 수 있다. 복수의 출력 단자(O1~On)는 복수의 출력 스위치(Y1~Yn), 제1 접지 스위치(SG1), 및 제2 접지 스위치(SG2)의 온-오프 동작에 근거하여 서로 다른 레벨의 전압들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접지 스위치(SG2)가 스위칭-온 되는 시간 및, 제1 접지 스위치(SG1)가 스위칭-오프 되는 시간에 기초하여, 인덕터(11)에 저장되는 에너지 레벨이 조절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O1 to On) can output voltages of different levels. The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O1 to On are connected to the output switches Y1 to Yn and the first and second grounding switches SG1 and SG2 at different levels based on the ON / OFF operations of the plurality of output switches Y1 to Yn, the first grounding switch SG1, Can be output. The energy level stored in the inductor 11 can be adjusted, for example, based on the time when the second ground switch SG2 is switched on and the time when the first ground switch SG1 is switched off .

복수의 출력 단자(O1~On)는 다양한 레벨의 전압 공급이 요구되는 전자 장치(부하)에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특정 출력 단자에 대응하는 부하가 급격하게 변하는 경우, 다른 출력 단자에 제공되는 전압이 변할 수 있다. 즉, 크로스 레귤레이션(Cross-Regulation)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출력 단자(O1)에 연결되는 부하가 급격히 상승하는 경우, 요구되는 에너지가 증가할 수 있다. 이 때, 제1 출력 단자(O1)에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한 충전 시간 및 방전 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인덕터(11)는 특정 시간 동안 완전 방전되지 못할 수 있다. 인덕터(11)는 잔여 에너지가 저장된 채로 제2 출력 단자(O2)에 제공할 에너지를 충전할 수 있다. 그 결과, 제2 출력 단자(O2)에 요구되는 전압이 제공되지 못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O1 to On) can output a voltage to an electronic device (load) requiring supply of various levels of voltage. If the load corresponding to a particular output terminal changes abruptly, the voltage provided to the other output terminal may change. That is, cross-regulation may occur. For example, when the load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O1 sharply rises, the required energy may increase. At this time, the charging time and discharging time for providing energy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O1 may increase. In this case, the inductor 11 may not be fully discharged for a certain time. The inductor 11 can charge the energy to be suppli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O2 while the remaining energy is stored. As a result, the voltage required for the second output terminal O2 may not be provid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C-DC 컨버터 및 이의 구동 방법은 직렬 모드 또는 분리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다중 출력 DC-DC 컨버터는 특정 출력 단자에 연결된 부하의 급격한 변동에 근거하여 크로스 레귤레이션을 초래할 수 있다. 직렬 모드는 크로스 레귤레이션이 발생되지 않는 정상적인 상태에서의 동작 모드일 수 있다. 직렬 모드에서, 후술될 DC-DC 컨버터는 제1 인덕터 및 제2 인덕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분리 모드는 크로스 레귤레이션의 발생 가능성이 나타나는 상태에서의 동작 모드일 수 있다. 분리 모드에서, 후술될 DC-DC 컨버터는 제1 인덕터 및 제2 인덕터를 전기적으로 분리한다.Hereinafter, the DC-DC converter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in a serial mode or a discrete mode. A multi-output DC-DC converter can result in cross regulation based on a sudden change in load connected to a particular output terminal. The serial mode may be an operation mode in a normal state in which no cross regulation occurs. In the serial mode, a DC-DC converter to be described later electrically connects the first inductor and the second inductor. The isolation mode may be an operation mode in which a possibility of cross regulation appears. In the isolated mode, the DC-DC converter to be described later electrically disconnects the first inductor and the second inductor.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C-DC 컨버터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DC-DC 컨버터(100)는 제1 인덕터(110), 제2 인덕터(120), 인덕터 네트워크부(130), 출력 네트워크부(140), 컨트롤러(150), 제1 분리 전송 선로(TL1), 및 제2 분리 전송 선로(TL2)를 포함한다. DC-DC 컨버터(100)는 전원 공급부(미도시)로부터 직류 입력 전압을 수신한다. DC-DC 컨버터(100)는 입력 전압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 단자(IN)를 포함할 수 있다. DC-DC 컨버터(100)는 입력 전압을 승압 하는 부스트(Boost) 컨버터이거나, 입력 전압을 강압하는 벅(Buck) 컨버터일 수 있다.2 is a block diagram of a DC-DC co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DC-DC converter 100 includes a first inductor 110, a second inductor 120, an inductor network unit 130, an output network unit 140, a controller 150, A transmission line TL1, and a second separate transmission line TL2. The DC-DC converter 100 receives a DC input voltage from a power supply (not shown). The DC-DC converter 100 may include an input terminal IN for receiving an input voltage. DC-DC converter 100 may be a boost converter that boosts the input voltage, or a buck converter that reduces the input voltage.

제1 인덕터(110)는 입력 단자(IN)와 연결되는 일단자 및 인덕터 네트워크부(130)와 연결되는 타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인덕터(110)는 전원 공급부(미도시)에서 생성되는 입력 전압에 근거하여 제1 인덕터 전류(IL1)를 인덕터 네트워크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분리 전송 선로(TL1)는 입력 단자(IN)와 인덕터 네트워크부(13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인덕터 네트워크부(130)의 경로 설정에 따라, 제1 인덕터 전류(IL1)가 제1 인덕터(110)를 통하여 인덕터 네트워크부(130)에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전류가 제1 분리 전송 선로(TL1)를 통하여 인덕터 네트워크부(130)에 제공될 수 있다.The first inductor 110 may include a terminal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IN and another terminal connected to the inductor network unit 130. The first inductor 110 may provide the first inductor current IL1 to the inductor network unit 130 based on the input voltage generated in the power supply unit (not shown). The first separation transmission line TL1 electrically connects the input terminal IN and the inductor network unit 130. [ The first inductor current IL1 may be provided to the inductor network unit 130 through the first inductor 110 according to the path setting of the inductor network unit 130. [ Alternatively, current may be provided to the inductor network portion 130 via the first separate transmission line TL1.

제2 인덕터(120)는 인덕터 네트워크부(130)와 연결되는 일단자 및 출력 네트워크부(140)와 연결되는 타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인덕터(120)는 제2 인덕터 전류(IL2)를 인덕터 네트워크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인덕터 네트워크부(130)의 경로 설정에 따라 제1 인덕터(110)와 제2 인덕터(1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인덕터 전류(IL1)와 제2 인덕터 전류(IL2)는 같을 수 있다. 인덕터 네트워크부(130)의 경로 설정에 따라 제1 인덕터(110)와 제2 인덕터(120)가 전기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인덕터 전류(IL1)와 제2 인덕터 전류(IL2)는 다를 수 있다. The second inductor 120 may include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inductor network unit 130 and another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network unit 140. And the second inductor 120 may provide the second inductor current IL2 to the inductor network unit 130. [ The first inductor 110 and the second inductor 1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according to the path setting of the inductor network unit 130. In this case, the first inductor current IL1 and the second inductor current IL2 may be the same. The first inductor 110 and the second inductor 120 may be electrically disconnected according to the path setting of the inductor network unit 130. [ In this case, the first inductor current IL1 and the second inductor current IL2 may be different.

제2 분리 전송 선로(TL2)는 인덕터 네트워크부(130)와 출력 네트워크부(1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인덕터 네트워크부(130)의 경로 설정에 따라, 제1 분리 전송 선로(TL1) 또는 제1 인덕터(110)로부터 제공된 전류가 제2 인덕터(120)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제1 인덕터(110)로부터 제공된 제1 인덕터 전류(IL1)가 제2 분리 전송 선로(TL2)로 제공될 수 있다.The second isolation transmission line TL2 electrically connects the inductor network unit 130 and the output network unit 140. [ The current provided from the first split transmission line TL1 or the first inductor 110 may be provided to the second inductor 120 according to the path setting of the inductor network unit 130. [ Alternatively, the first inductor current IL1 provided from the first inductor 110 may be provided to the second isolation transmission line TL2.

인덕터 네트워크부(130)는 제1 인덕터(110), 제2 인덕터(120), 제1 분리 전송 선로(TL1), 및 제2 분리 전송 선로(TL2)와 연결된다. 인덕터 네트워크부(130)는 제1 인덕터(110), 제2 인덕터(120), 제1 분리 전송 선로(TL1), 및 제2 분리 전송 선로(TL2) 사이의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인덕터 네트워크부(130)는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스위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덕터 네트워크부(130)는 컨트롤러(150)로부터 생성된 인덕터 네트워크 제어 신호(INC)를 수신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인덕터 네트워크 제어 신호(INC)는 인덕터 네트워크부(130)에 포함된 스위치들을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ductor network unit 130 is connected to the first inductor 110, the second inductor 120, the first separation transmission line TL1, and the second separation transmission line TL2. The inductor network unit 130 constitutes a network between the first inductor 110, the second inductor 120, the first split transmission line TL1, and the second split transmission line TL2. The inductor network unit 130 may include switches for network configuration. The inductor network unit 130 may configure the network by receiving the inductor network control signal INC generated from the controller 150. The inductor network control signal INC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the switches included in the inductor network unit 130.

인덕터 네트워크부(130)는 DC-DC 컨버터(100)의 동작 모드에 따라 네트워크를 재구성할 수 있다. 일반적인 경우, 인덕터 네트워크부(130)는 직렬 모드로 동작한다. 인덕터 네트워크부(130)는 제1 인덕터(110)와 제2 인덕터(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인덕터 네트워크부(130)는 제1 분리 전송 선로(TL1) 및 제2 분리 전송 선로(TL2)로 전류가 흐르지 못하도록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즉, 인덕터 네트워크부(130)는 인덕터 전류가 제1 인덕터(110) 및 제2 인덕터(120)를 통하여 출력 네트워크부(140)에 제공되도록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The inductor network unit 130 can reconfigure the network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DC-DC converter 100. [ In general, the inductor network unit 130 operates in a serial mode. The inductor network unit 130 electrically connects the first inductor 110 and the second inductor 120. The inductor network unit 130 forms a network so that current can not flow through the first split transmission line TL1 and the second split transmission line TL2. That is, the inductor network unit 130 may configure the network such that the inductor current is provided to the output network unit 140 through the first inductor 110 and the second inductor 120.

출력 단자에 연결된 부하의 급격한 변동으로 인하여 크로스 레귤레이션의 발생이 예상되는 경우, DC-DC 컨버터(100)의 동작 모드는 분리 모드로 변경된다. 인덕터 네트워크부(130)는 크로스 레귤레이션을 발생시킬 수 있는 출력 단자에 하나의 인덕터가 에너지를 제공하도록 네트워크를 재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덕터 네트워크부(130)는 제1 분리 전송 선로(TL1)와 제2 인덕터(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제2 분리 전송 선로(TL2)와 제1 인덕터(1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1 인덕터(110)와 제2 인덕터(120)는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When the occurrence of the cross regulation is expected due to a sudden change of the load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the operation mode of the DC-DC converter 100 is changed to the separation mode. The inductor network unit 130 may reconfigure the network so that one inductor supplies energy to the output terminal capable of generating cross regulation. For example, the inductor network unit 130 electrically connects the first isolation transmission line TL1 and the second inductor 120, electrically connects the second isolation transmission line TL2 and the first inductor 110, Connect. The first inductor 110 and the second inductor 120 are electr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제1 인덕터(110)는 크로스 레귤레이션을 발생시키는 부하에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제2 인덕터(120)는 다른 부하들에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반대로, 제2 인덕터(120)는 크로스 레귤레이션을 발생시키는 부하에 에너지를 제공하고, 제1 인덕터(110)는 다른 부하들에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크로스 레귤레이션의 발생이 예상되는 부하에 연결된 출력 단자는 다른 출력 단자들과 다른 인덕터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부하들은 이상 동작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The first inductor 110 can provide energy to the load causing the cross regulation. At this time, the second inductor 120 may provide energy to other loads. Conversely, the second inductor 120 provides energy to the load causing the cross-regulation, and the first inductor 110 can provide energy to the other loads. An output terminal connected to a load where transient regulation is expected can transmit energy using other inductors than other output terminals. Therefore, other loads may not be affected by abnormal operation.

출력 네트워크부(140)는 제2 인덕터(120) 및 제2 분리 전송 선로(TL2)와 연결된다. 출력 네트워크부(140)는 제2 인덕터(120) 또는 제2 분리 전송 선로(TL2)로부터 전류를 입력받는다. 직렬 모드에서, 출력 네트워크부(140)는 제2 인덕터(120)로부터 제2 인덕터 전류(IL2)를 입력받는다. 이 경우, 제2 인덕터 전류(IL2)와 제1 인덕터 전류(IL1)는 동일할 수 있다. 분리 모드에서, 출력 네트워크부(140)는 제2 분리 전송 선로(TL2)로부터 제1 인덕터 전류(IL1)를 입력받는다. 출력 네트워크부(140)는 제2 인덕터(120)로부터 제2 인덕터 전류(IL2)를 입력 받는다.The output network unit 140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ductor 120 and the second split transmission line TL2. The output network unit 140 receives a current from the second inductor 120 or the second split transmission line TL2. In the serial mode, the output network unit 140 receives the second inductor current IL2 from the second inductor 120. In this case, the second inductor current IL2 and the first inductor current IL1 may be the same. In the split mode, the output network section 140 receives the first inductor current IL1 from the second split transmission line TL2. The output network unit 140 receives the second inductor current IL2 from the second inductor 120.

출력 네트워크부(140)는 제1 내지 제n 출력 단자들(O1~On)과 연결된다. 출력 네트워크부(140)는 제2 인덕터(120) 또는 제2 분리 전송 선로(TL2)로부터 수신한 전류를 제1 내지 제n 출력 단자(O1~On)에 제공한다. 제1 내지 제n 출력 단자들(O1~On)은 출력 네트워크부(140)로부터 수신한 전류에 근거하여 출력 전압을 부하에 제공한다. 제1 내지 제n 출력 단자들(O1~On)은 도 1의 복수의 출력 단자들(O1~On)과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출력 네트워크부(140)는 수신한 전류를 선택적으로 제1 내지 제n 출력 단자들(O1~On)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네트워크부(140)는 교번적으로 제1 내지 제n 출력 단자들(O1~On)에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출력 네트워크부(140)는 복수의 스위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network unit 140 is connected to the first to n < th > output terminals O1 to On. The output network unit 140 provides the current received from the second inductor 120 or the second split transmission line TL2 to the first to nth output terminals O1 to On. The first to nth output terminals O1 to On provide the output voltage to the load based on the current received from the output network unit 140. [ The first to nth output terminals O1 to On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O1 to On of FIG. The output network unit 140 may selectively provide the received currents to the first through n-th output terminals O1 through On. For example, the output network unit 140 may transmit energy to the first to nth output terminals O1 to On alternately. For this purpose, the output network unit 1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witches.

출력 네트워크부(140)는 DC-DC 컨버터(100)의 동작 모드에 따라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출력 네트워크부(140)는 컨트롤러(150)로부터 생성된 출력 네트워크 제어 신호(ONC)를 수신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출력 네트워크 제어 신호(ONC)는 출력 네트워크부(140)에 포함된 스위치들을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output network unit 140 may configure a network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DC-DC converter 100. [ The output network unit 140 may receive the output network control signal ONC generated from the controller 150 to configure the network. The output network control signal (ONC)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the switches included in the output network section 140.

직렬 모드에서, 출력 네트워크부(140)는 제2 인덕터(120)와 제1 내지 제n 출력 단자들(O1~On) 중 에너지를 전달할 출력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 때, 출력 네트워크부(140)는 제2 분리 전송 선로(TL2)와 제1 내지 제n 출력 단자들(O1~On)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한다. 분리 모드에서, 출력 네트워크부(140)는 제1 내지 제n 출력 단자들(O1~On) 중 에너지를 전달할 출력 단자를 제2 분리 전송 선로(TL2) 또는 제2 인덕터(120)와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 때, 제2 분리 전송 선로(TL2)는 제1 인덕터(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직렬 모드에서 제1 내지 제n 출력 단자들(O1~On)에 제공되는 출력 전압들 각각의 전압 레벨은 분리 모드에서 제1 내지 제n 출력 단자들 (O1~On)에 제공되는 출력 전압들 각각의 전압 레벨과 동일할 수 있다.In the serial mode, the output network unit 140 electrically connects the output terminal to transfer energy among the second inductor 120 and the first to nth output terminals O1 to On. At this time, the output network unit 140 cuts off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separation transmission line TL2 and the first to nth output terminals O1 to On. In the isolation mode, the output network unit 140 electrically connects an output terminal for transmitting energy among the first to nth output terminals O1 to On to the second split transmission line TL2 or the second inductor 120 do. At this time, the second isolation transmission line TL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inductor 110. The voltage levels of the output voltages provided to the first to n < th > output terminals (O1 to On) in the serial mode are the output voltages provided to the first to n < th > output terminals May be the same as the voltage level of FIG.

컨트롤러(150)는 인덕터 네트워크 제어 신호(INC) 및 출력 네트워크 제어 신호(ONC)를 생성한다. 컨트롤러(150)는 제1 내지 제n 출력 단자들(O1~On)에 안정적인 출력 전압이 제공되도록 인덕터 네트워크부(130) 및 출력 네트워크부(140)를 제어한다. 컨트롤러(150)는 제1 내지 제n 출력 전압들(VO1~VOn)을 수신하기 위하여 제1 내지 제n 출력 단자들(O1~On)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제1 내지 제n 기준 전압들(VREF1~VREFn)을 제1 내지 제n 출력 전압들(VO1~VOn)과 각각 비교한다. 제1 내지 제n 기준 전압들(VREF1~VREFn)은 각각 제1 내지 제n 출력 단자들(O1~On)의 목표 전압일 수 있다.The controller 150 generates an inductor network control signal INC and an output network control signal ONC.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inductor network unit 130 and the output network unit 140 to provide stable output voltages to the first to nth output terminals O1 to On. The controller 15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o the n-th output terminals O1 to On to receive the first to n-th output voltages VO1 to VOn. The controller 150 compares the first to the n-th reference voltages VREF1 to VREFn with the first to n-th output voltages VO1 to VOn, respectively. The first to nth reference voltages VREF1 to VREFn may be the target voltages of the first to nth output terminals O1 to On, respectively.

컨트롤러(150)는 제1 내지 제n 출력 전압들(VO1~VOn)과 제1 내지 제n 출력 단자들(O1~On) 사이의 차이를 보상하도록 인덕터 네트워크부(130) 및 출력 네트워크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150)는 제1 인덕터(110)에 흐르는 제1 인덕터 전류(IL1), 및 제2 인덕터(120)에 흐르는 제2 인덕터 전류(IL2)를 센싱할 수 있다. 컨트롤러(150)는 제1 인덕터 전류(IL1) 및 제2 인덕터 전류(IL2)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인덕터 네트워크부(130) 및 출력 네트워크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조절된 제1 인덕터 전류(IL1) 및 제2 인덕터 전류(IL2)에 근거하여 제1 내지 제n 출력 전압들(VO1~VOn)의 레벨이 조절될 수 있다.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inductor network unit 130 and the output network unit 140 to compensate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hrough nth output voltages VO1 through VOn and the first through nth output terminals O1 through On, Can be controlled.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50 can sense the first inductor current IL1 flowing through the first inductor 110 and the second inductor current IL2 flowing through the second inductor 120. The controller 150 may control the inductor network unit 130 and the output network unit 140 to adjust the magnitudes of the first inductor current IL1 and the second inductor current IL2. The levels of the first to n < th > output voltages VO1 to VOn may be adjusted based on the adjusted first inductor current IL1 and the second inductor current IL2.

컨트롤러(150)는 모드 제어부(152)를 포함한다. 모드 제어부(152)는 DC-DC 컨버터(100)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모드 제어부(152)는 제1 인덕터 전류(IL1) 및 제2 인덕터 전류(IL2)에 근거하여 동작 모드를 직렬 모드 또는 분리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모드 제어부(152)는 제1 인덕터 전류(IL1) 및 제2 인덕터 전류(IL2)의 크기에 근거하여 제1 인덕터(110) 및 제2 인덕터(120)의 방전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기준 시간 동안 제1 인덕터(110) 또는 제2 인덕터(120)이 완전 방전되지 않은 경우, 모드 제어부(152)는 크로스 레귤레이션의 발생이 예상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모드 제어부(152)는 동작 모드를 분리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50 includes a mode control unit 152. The mode control unit 152 can determine the operation mode of the DC-DC converter 100. [ The mode control unit 152 may determine the operation mode as a serial mode or a split mode based on the first inductor current IL1 and the second inductor current IL2. The mode control unit 152 may measure the discharge time of the first inductor 110 and the second inductor 120 based on the magnitudes of the first inductor current IL1 and the second inductor current IL2. If the first inductor 110 or the second inductor 120 is not completely discharged during the reference time, the mode controller 152 can determine that the occurrence of cross regulation is expected. In this case, the mode control unit 152 can change the operation mode to the separation mode.

모드 제어부(152)는 분리 모드로 변경 후, 크로스 레귤레이션의 발생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다시 동작 모드를 직렬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드 제어부(152)는 제1 인덕터(110) 및 제2 인덕터(120)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시간을 측정하여 크로스 레귤레이션의 발생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다. 크로스 레귤레이션의 발생 가능성 판단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된다. 모드 제어부(152)는 동작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모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모드 신호는 직렬 모드 신호 및 분리 모드 신호를 포함한다. 컨트롤러(150)는 모드 신호에 근거하여 인덕터 네트워크 제어 신호(INC) 및 출력 네트워크 제어 신호(ONC)를 생성한다.If the mode control unit 152 determines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cross regulation after changing to the separation mode, the mode control unit 152 can change the operation mode to the serial mode again. For example, the mode control unit 152 can determine the occurrence of cross regulation by measuring a time when no current flows in the first inductor 110 and the second inductor 120. [ The details of the determination of the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cross regul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The mode control unit 152 may generate a mode signal for determining the operation mode. The mode signal includes a serial mode signal and a separation mode signal. The controller 150 generates an inductor network control signal INC and an output network control signal ONC based on the mode signal.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C-DC 컨버터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블록도를 구체적인 회로도로 나타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DC-DC 컨버터(200)는 제1 인덕터(210), 제2 인덕터(220), 인덕터 네트워크부(230), 출력 네트워크부(240), 및 컨트롤러(250)를 포함한다. 컨트롤러(250)는 모드 제어부(252)를 포함한다. 제1 인덕터(210), 및 제2 인덕터(220)는 도 2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다.3 is a circuit diagram of a DC-DC co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of FIG. 2 in a specific circuit diagram. 3, the DC-DC converter 200 includes a first inductor 210, a second inductor 220, an inductor network unit 230, an output network unit 240, and a controller 250 . The controller 250 includes a mode control unit 252. The first inductor 210 and the second inductor 220 may be the same as those in FIG.

인덕터 네트워크부(230)는 직렬 모드 스위치(SS), 제1 분리 모드 스위치(S1), 제2 분리 모드 스위치(S2), 제1 인덕터 스위치(SF1), 제2 인덕터 스위치(SF2), 제1 접지 스위치(SG1), 및 제2 접지 스위치(SG2)를 포함한다. 제1 인덕터 스위치(SF1)는 제1 인덕터(210)와 병렬로 연결된다. 제1 인덕터 스위치(SF1)는 제1 인덕터 스위치 제어 신호(SF1C)에 응답하여 스위칭-온 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인덕터(210)에 저장된 에너지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2 인덕터 스위치(SF2)는 제2 인덕터(220)와 병렬로 연결된다. 제2 인덕터 스위치(SF2)는 제2 인덕터 스위치 제어 신호(SF2C)에 응답하여 스위칭-온 될 수 있다. 그 결과, 제2 인덕터(220)에 저장된 에너지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The inductor network unit 230 includes a series mode switch SS, a first isolation mode switch S1, a second isolation mode switch S2, a first inductor switch SF1, a second inductor switch SF2, A ground switch SG1, and a second ground switch SG2. The first inductor switch SF1 is connected to the first inductor 210 in parallel. The first inductor switch SF1 may be switched on in response to the first inductor switch control signal SF1C. As a result, the energy stored in the first inductor 210 can be kept constant. And the second inductor switch SF2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second inductor 220. [ The second inductor switch SF2 can be switched on in response to the second inductor switch control signal SF2C. As a result, the energy stored in the second inductor 220 can be kept constant.

제1 접지 스위치(SG1)는 분리 모드에서 제1 인덕터(210)를 충전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제1 접지 스위치(SG1)는 제1 접지 스위치 제어 신호(SG1C)에 응답하여 스위칭-온 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인덕터(210)에 에너지가 충전될 수 있다. 제2 접지 스위치(SG2)는 직렬 모드에서 제1 인덕터(210) 및 제2 인덕터(220)를 충전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제2 접지 스위치(SG2)는 분리 모드에서 제2 인덕터(220)를 충전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제2 접지 스위치(SG2)는 제2 접지 스위치 제어 신호(SG2C)에 응답하여 스위칭-온 될 수 있다. 그 결과, 분리 모드에서 제2 인덕터(220)에 에너지가 충전될 수 있고, 직렬 모드에서 제1 인덕터(210) 및 제2 인덕터(220)에 에너지가 충전될 수 있다.The first ground switch SG1 is used to charge the first inductor 210 in isolation mode. The first ground switch SG1 may be switched on in response to the first ground switch control signal SG1C. As a result, the first inductor 210 can be charged with energy. The second ground switch SG2 is used to charge the first inductor 210 and the second inductor 220 in series mode. The second ground switch SG2 is used to charge the second inductor 220 in isolation mode. The second ground switch SG2 can be switched on in response to the second ground switch control signal SG2C. As a result, energy can be charged in the second inductor 220 in the isolation mode, and energy can be charged in the first inductor 210 and the second inductor 220 in the serial mode.

직렬 모드 스위치(SS)는 제1 인덕터(210)와 연결되는 일단자 및 제2 인덕터(220)와 연결되는 타단자를 포함한다. 직렬 모드 스위치(SS)는 직렬 모드 스위치 제어 신호(SSC)를 수신하는 제어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직렬 모드 스위치(SS)는 직렬 모드 스위치 제어 신호(SSC)에 응답하여 스위칭-온 되거나 스위칭-오프될 수 있다. 직렬 모드 스위치(SS)는 직렬 모드에서 스위칭-온 되고, 분리 모드에서 스위칭-오프 될 수 있다. 직렬 모드 스위치(SS)는 직렬 모드에서 제1 인덕터(210) 및 제2 인덕터(2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직렬 모드 스위치(SS)는 분리 모드에서 제1 인덕터(210) 및 제2 인덕터(220)를 전기적으로 분리한다.The serial mode switch SS includes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inductor 210 and another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inductor 220. The serial mode switch SS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terminal for receiving the serial mode switch control signal SSC. The serial mode switch SS may be switched on or switched off in response to the serial mode switch control signal SSC. The serial mode switch SS can be switched on in the serial mode and switched off in the disconnect mode. The serial mode switch SS electrically connects the first inductor 210 and the second inductor 220 in series mode. The serial mode switch SS electrically isolates the first inductor 210 and the second inductor 220 in the isolated mode.

제1 분리 모드 스위치(S1)는 제1 인덕터(210)와 연결되는 일단자 및 출력 네트워크부(240)와 연결되는 타단자를 포함한다. 제1 분리 모드 스위치(S1)는 제1 분리 모드 제어 신호(S1C)를 수신하는 제어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분리 모드 스위치(S1)는 제1 분리 모드 제어 신호(S1C)에 응답하여 스위칭-온 되거나 스위칭-오프 될 수 있다. 제1 분리 모드 스위치(S1)는 직렬 모드에서 스위칭-오프 되고, 분리 모드에서 스위칭-온 될 수 있다. 분리 모드에서 제1 분리 모드 스위치(S1)는 제1 인덕터(210)와 출력 네트워크부(240)를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한다.The first isolation mode switch S1 includes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inductor 210 and another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network 240. [ The first isolation mode switch S1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terminal for receiving the first isolation mode control signal S1C. The first isolation mode switch S1 may be switched on or switched off in response to the first isolation mode control signal S1C. The first isolation mode switch S1 may be switched off in the serial mode and switched on in the isolation mode. In the isolation mode, the first isolation mode switch S1 electrically connects the first inductor 210 and the output network 240 directly.

제2 분리 모드 스위치(S2)는 제2 인덕터(220)와 연결되는 일단자 및 입력 단자(IN)와 연결되는 타단자를 포함한다. 제2 분리 모드 스위치(S2)는 제2 분리 모드 제어 신호(S2C)를 수신하는 제어 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분리 모드 스위치(S2)는 제2 분리 모드 제어 신호(S2C)에 응답하여 스위칭-온 되거나 스위칭-오프 될 수 있다. 제2 분리 모드 스위치(S2)는 직렬 모드에서 스위칭-오프 되고, 분리 모드에서 스위칭-온 될 수 있다. 분리 모드에서 제2 분리 모드 스위치(S2)는 제2 인덕터(220)와 입력 단자(IN)를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한다.The second isolation mode switch S2 includes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inductor 220 and another terminal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IN. The second isolation mode switch S2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terminal for receiving the second isolation mode control signal S2C. The second isolation mode switch S2 may be switched on or switched off in response to the second isolation mode control signal S2C. The second isolation mode switch S2 may be switched off in the serial mode and switched on in the isolation mode. In the isolation mode, the second isolation mode switch S2 electrically connects the second inductor 220 and the input terminal IN electrically.

직렬 모드에서, 제1 인덕터(210)와 제2 인덕터(220)는 직렬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1 인덕터(210) 및 제2 인덕터(220)에 동일한 인덕터 전류(IL)가 흐를 수 있다. 직렬 모드에서 제1 인덕터 전류(IL1) 및 제2 인덕터 전류(IL2)는 같을 수 있다. 인덕터 전류(IL)는 제1 인덕터(210) 및 제2 인덕터(220)의 인덕턴스들의 합에 의존한다. 제1 인덕터(210) 및 제2 인덕터(220)의 인덕턴스들의 합은 제1 인덕터(210)의 인덕턴스 또는 제2 인덕터(220)의 인덕턴스보다 크다. 인덕턴스가 증가할수록, 출력 단자의 리플 전류는 감소한다. 따라서, DC-DC 컨버터(200)는 직렬 모드에서 출력 단자의 리플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In the serial mode, the first inductor 210 and the second inductor 220 are connected in series. Therefore, the same inductor current IL can flow through the first inductor 210 and the second inductor 220. In the serial mode, the first inductor current IL1 and the second inductor current IL2 may be the same. The inductor current IL depends on the sum of the inductances of the first inductor 210 and the second inductor 220. The sum of the inductances of the first inductor 210 and the second inductor 220 is larger than the inductance of the first inductor 210 or the inductance of the second inductor 220. As the inductance increases, the ripple current at the output terminal decreases. Therefore, the DC-DC converter 200 can reduce the ripple current of the output terminal in the serial mode.

분리 모드에서, 제1 인덕터(210)와 제2 인덕터(220)는 분리된다. 따라서, 제1 인덕터 전류(IL1)의 전송 경로와 제2 인덕터 전류(IL2)의 전송 경로는 서로 다르다. 제1 인덕터 전류(IL1)(또는 제2 인덕터 전류(IL2))는 크로스 레귤레이션이 예상되는 출력 단자에 제공될 수 있다. 제2 인덕터 전류(IL2)(또는 제1 인덕터 전류(IL1))는 나머지 출력 단자들에 제공될 수 있다. 분리 모드에서 출력 단자에 제공되는 전류는 하나의 인덕터에 근거하여 생성된다. 인덕턴스가 감소할수록, 인덕터의 충전 속도 및 방전 속도는 증가한다. 따라서, DC-DC 컨버터(200)는 급격한 변화가 발생한 부하에 빠른 속도로 출력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In the isolated mode, the first inductor 210 and the second inductor 220 are separated. Therefore,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first inductor current IL1 and the transmission path of the second inductor current IL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first inductor current IL1 (or the second inductor current IL2) may be provided at the output terminal where the cross regulation is expected. The second inductor current IL2 (or the first inductor current IL1) may be provided to the remaining output terminals. The current supplied to the output terminal in isolation mode is generated based on one inductor. As the inductance decreases, the charge and discharge rates of the inductor increase. Therefore, the DC-DC converter 200 can supply the output voltage at a high speed to the load where a sudden change occurs.

출력 네트워크부(240)는 제1 내지 제n 정상 출력 스위치들(Y1~Yn) 및 제1 내지 제n 분리 출력 스위치들(X1~Xn)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n 정상 출력 스위치들(Y1~Yn)은 모두 제2 인덕터(220)와 연결되는 일단자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n 정상 출력 스위치들(Y1~Yn) 각각의 일단자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내지 제n 정상 출력 스위치들(Y1~Yn)은 제1 내지 제n 출력 단자들(O1~On) 중 하나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는 타단자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정상 출력 스위치(Y1)의 타단자는 제1 출력 단자(O1)에 연결되고, 제2 정상 출력 스위치(Y2)의 타단자는 제2 출력 단자(O2)에 연결된다.The output network unit 240 may include first through nth normal output switches Y1 through Yn and first through nth divided output switches X1 through Xn. The first through the n-th normal output switches Y1 through Yn all include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inductor 220. One terminal of each of the first to n < th > normal output switches Y1 to Yn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to n-th normal output switches Y1 to Yn include other terminals connected to on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to the n-th output terminals O1 to On. For example, the other terminal of the first normal output switch Y1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O1, and the other terminal of the second normal output switch Y2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O2.

제1 내지 제n 정상 출력 스위치들(Y1~Yn)은 제1 내지 제n 정상 출력 스위치 제어 신호(Y1C~YnC)에 응답하여 스위칭-온 되거나 스위칭-오프 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n 정상 출력 스위치들(Y1~Yn)은 해당 출력 단자에 출력 전압을 제공하는 시간 동안 스위칭-온 된다. 예를 들어, DC-DC 컨버터(200)가 제1 내지 제n 출력 단자(O1~On)에 순차적으로 출력 전압을 제공하는 경우, 제1 내지 제n 정상 출력 스위치들(Y1~Yn)은 순차적으로 스위칭-온 된다. 직렬 모드에서, 제1 내지 제n 정상 출력 스위치들(Y1~Yn)은 인덕터 전류(IL)를 수신한다. 분리 모드에서, 제1 내지 제n 정상 출력 스위치들(Y1~Yn)은 제2 인덕터 전류(IL2)를 수신한다.The first to nth normal output switches Y1 to Yn may be switched on or switched off in response to the first to the n th normal output switch control signals Y1C to YnC. The first through the n-th normal output switches Y1 through Yn are switched on for a period of time to provide an output voltage to the corresponding output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DC-DC converter 200 sequentially provides output voltages to the first to the n-th output terminals O1 to On, the first to the n-th normal output switches Y1 to Yn are sequentially Lt; / RTI > In the serial mode, the first to the n-th normal output switches Y1 to Yn receive the inductor current IL. In the isolation mode, the first to the n-th normal output switches Y1 to Yn receive the second inductor current IL2.

제1 내지 제n 분리 출력 스위치들(X1~Xn)은 모두 제1 분리 모드 스위치(S1)의 타단자와 연결되는 일단자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n 분리 출력 스위치들(X1~Xn) 각각의 일단자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내지 제n 분리 출력 스위치들(X1~Xn)은 제1 내지 제n 출력 단자들(O1~On) 중 하나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는 타단자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분리 출력 스위치(X1)의 타단자는 제1 출력 단자(O1)에 연결되고, 제2 분리 출력 스위치(X2)의 타단자는 제2 출력 단자(O2)에 연결된다.The first through the n-th split output switches X1 through Xn all include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of the first split mode switch S1. One terminal of each of the first to n < th > separation output switches X1 to Xn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to nth divided output switches X1 to Xn include other terminals connected to one of the first to nth output terminals O1 to On. For example, the other terminal of the first separation output switch X1 is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O1, and the other terminal of the second separation output switch X2 is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O2.

제1 내지 제n 분리 출력 스위치들(X1~Xn)은 제1 내지 제n 분리 출력 스위치 제어 신호(X1C~XnC)에 응답하여 스위칭-온 되거나 스위칭-오프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n 분리 출력 스위치들(X1~Xn)은 해당 출력 단자에 출력 전압을 제공하는 시간 동안 스위칭-온 된다. 예를 들어, DC-DC 컨버터(200)가 제1 내지 제n 출력 단자(O1~On)에 순차적으로 출력 전압을 제공하는 경우, 제1 내지 제n 분리 출력 스위치들(X1~Xn)은 순차적으로 스위칭-온 된다. 직렬 모드에서, 제1 분리 모드 스위치(S1)가 스위칭-오프 되므로, 제1 내지 제n 분리 출력 스위치들(X1~Xn)은 전류를 수신하지 않는다. 분리 모드에서, 제1 내지 제n 분리 출력 스위치들(X1~Xn)은 제1 인덕터 전류(IL1)를 수신한다.The first to nth divided output switches X1 to Xn may be switched on or switched off in response to the first to nth divided output switch control signals X1C to XnC. The first to n < th > separate output switches X1 to Xn are switched on for a period of time to provide an output voltage to the corresponding output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DC-DC converter 200 sequentially provides output voltages to the first to the n-th output terminals O1 to On, the first to the n-th separated output switches X1 to Xn are sequentially Lt; / RTI > In the serial mode, the first to n-th separate output switches X1 to Xn do not receive current because the first separation mode switch S1 is switched off. In the split mode, the first to n < th > separate output switches X1 to Xn receive the first inductor current IL1.

제1 내지 제n 정상 출력 스위치들(Y1~Yn)이 전류를 수신하는 경로는 제1 내지 제n 분리 출력 스위치들(X1~Xn)이 전류를 수신하는 경로와 다르다. 직렬 모드에서, 제1 내지 제n 정상 출력 스위치들(Y1~Yn)은 제1 내지 제n 출력 단자들(O1~On)로 출력 전압을 제공하도록 인덕터 전류(IL)를 수신할 수 있다. 분리 모드에서, 제1 내지 제n 정상 출력 스위치들(Y1~Yn)은 정상적인 부하들에 제2 인덕터 전류(IL2)를 제공할 수 있다. 분리 모드에서, 제1 내지 제n 분리 출력 스위치들(X1~Xn)은 크로스 레귤레이션을 초래할 수 있는 부하에 제1 인덕터 전류(IL1)를 제공할 수 있다.The path through which the first through the n-th normal output switches Y1 through Yn receive the current is different from the path through which the first through the n-th split output switches X1 through Xn receive the current. In the serial mode, the first to the n-th normal output switches Y1 to Yn may receive the inductor current IL to provide the output voltage to the first to the n-th output terminals O1 to On. In the isolated mode, the first through the n th normal output switches Y1 through Yn can provide the second inductor current IL2 to the normal loads. In the isolated mode, the first to n < th > separate output switches X1 to Xn may provide a first inductor current IL1 to a load that may result in cross regulation.

이와 달리, 출력 네트워크부(240)는 크로스 레귤레이션이 발생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네트워크부(240)는 크로스 레귤레이션을 초래할 수 있는 부하에 제2 인덕터 전류(IL2)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출력 네트워크부(240)는 크로스 레귤레이션이 예상되는 부하 및 완전 방전될 시간이 확보되는 일부 부하들에 제1 인덕터 전류(IL1)를 제공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output network unit 240 may configure the network in various manners in a range where no cross regulation occurs. For example, the output network portion 240 may provide a second inductor current IL2 to a load that may result in cross regulation. Alternatively, the output network section 240 may provide a first inductor current IL1 to some loads where cross regulation is expected and the time to be fully discharged is secured.

출력 네트워크부(240)는 신속한 전압 공급의 필요성 및 안정성을 고려하여 최적화된 출력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덕터(210)의 인덕턴스와 제2 인덕터(220)의 인덕턴스는 다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인덕터(210)와 제2 인덕터(220)는 서로 다른 충방전 속도를 가질 수 있고, 서로 다른 리플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크로스 레귤레이션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출력 네트워크부(240)는 더 높은 인덕턴스를 갖는 인덕터에 저장된 에너지를 빠른 전압 공급이 요구되는 부하에 제공할 수 있다. The output network unit 240 can configure an optimized output network considering the necessity and stability of a rapid voltage supply. For example, the inductance of the first inductor 210 and the inductance of the second inductor 220 may be different. In this case, the first inductor 210 and the second inductor 220 may have different charging / discharging speeds and may generate different ripple currents. To the extent that cross regulation does not occur, the output network portion 240 can provide energy stored in an inductor having a higher inductance to a load requiring fast voltage supply.

컨트롤러(250)는 인덕터 네트워크부(230) 및 출력 네트워크부(240)를 제어한다. 컨트롤러(250)는 제1 인덕터 전류(IL1) 및 제2 인덕터 전류(IL2)를 센싱한다. 즉, 컨트롤러(250)는 제1 인덕터 전류(IL1)의 크기에 의존하는 제1 센싱 전류(ILS1)를 수신하고, 제2 인덕터 전류(IL2)의 크기에 의존하는 제2 센싱 전류(ILS2)를 수신한다. 컨트롤러(250)는 인덕터 네트워크부(230)에 포함된 스위치들을 스위칭-온 시키거나 스위칭-오프 시키기 위한 신호들(S1C, S2C, SSC, SF1C, SF2C, SG1C, SG2C)을 생성할 수 있다. 컨트롤러(250)는 출력 네트워크부(240)에 포함된 스위치들의 스위칭-온 시키거나 스위칭-오프 시키기 위한 신호들(Y1C~YnC, X1C~XnC)을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50 controls the inductor network unit 230 and the output network unit 240. The controller 250 senses the first inductor current IL1 and the second inductor current IL2. That is, the controller 250 receives the first sensing current ILS1 depending on the magnitude of the first inductor current IL1 and the second sensing current ILS2 depending on the magnitude of the second inductor current IL2 . The controller 250 may generate signals S1C, S2C, SSC, SF1C, SF2C, SG1C, and SG2C for switching on or off the switches included in the inductor network portion 230. [ The controller 250 may generate signals Y1C to YnC and X1C to XnC for switching on or switching off the switches included in the output network unit 240. [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컨트롤러(250)의 일 실시예로 이해될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컨트롤러(250)는 전류 센싱부(251), 모드 제어부(252), 출력 제어부(253), 및 스위치 제어부(254)를 포함한다. 전류 센싱부(251)는 제1 센싱 전류(ILS1) 및 제2 센싱 전류(ILS2)를 수신한다. 전류 센싱부(251)는 도 3의 제1 인덕터(210) 및 제2 인덕터(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직렬 모드에서, 제1 센싱 전류(ILS1)와 제2 센싱 전류(ILS2)는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1 센싱 전류(ILS1)의 크기는 제1 전류(IL1)의 크기와 비례할 수 있다. 제2 센싱 전류(ILS2)의 크기는 제2 전류(IL2)의 크기와 비례할 수 있다.4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le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will be understood as an embodiment of the controller 250 of FIG. 4, the controller 250 includes a current sensing unit 251, a mode control unit 252, an output control unit 253, and a switch control unit 254. The current sensing unit 251 receives the first sensing current ILS1 and the second sensing current ILS2. The current sensing unit 25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inductor 210 and the second inductor 220 of FIG. In the serial mode, the first sensing current ILS1 and the second sensing current ILS2 may have the same magnitude. The magnitude of the first sensing current ILS1 may be proportional to the magnitude of the first current IL1. The magnitude of the second sensing current ILS2 may be proportional to the magnitude of the second current IL2.

전류 센싱부(251)는 제1 센싱 전류(ILS1)와 제2 센싱 전류(ILS2)를 모드 제어부(252), 출력 제어부(253), 및 스위치 제어부(254)에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전류 센싱부(251)는 제1 인덕터 전류(IL1)의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인덕터 전류 데이터, 및 제2 인덕터 전류(IL2)의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인덕터 전류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류 센싱부(251)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전류 센싱부(251)는 제1 센싱 전류(ILS1) 및 제2 센싱 전류(ILS2)를 출력하는 것으로 가정한다.The current sensing unit 251 may output the first sensing current ILS1 and the second sensing current ILS2 to the mode control unit 252, the output control unit 253, and the switch control unit 254. The current sensing unit 251 may include first inductor current data including magnitude information of the first inductor current IL1 and second inductor current data including magnitude information of the second inductor current IL2, Current data can be output. In this case, the current sensing unit 251 may include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for converting an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the current sensing unit 251 outputs the first sensing current ILS1 and the second sensing current ILS2.

모드 제어부(252)는 전류 센싱부(251)로부터 제1 센싱 전류(ILS1) 및 제2 센싱 전류(ILS2)를 수신한다. 모드 제어부(252)는 제1 센싱 전류(ILS1) 및 제2 센싱 전류(ILS2)의 크기에 근거하여 모드 신호(MD)를 생성한다. 모드 제어부(252)는 모드 신호(MD)를 스위치 제어부(254)에 제공한다. 모드 신호(MD)는 직렬 모드로 동작할 때 생성되는 직렬 모드 신호, 및 분리 모드로 동작할 때 생성되는 분리 모드 신호를 포함한다. 모드 제어부(252)는 크로스 레귤레이션의 발생 가능성에 근거하여 직렬 모드 신호 또는 분리 모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mode control unit 252 receives the first sensing current ILS1 and the second sensing current ILS2 from the current sensing unit 251. [ The mode control unit 252 generates the mode signal MD based on the magnitudes of the first sensing current ILS1 and the second sensing current ILS2. The mode control unit 252 provides the mode signal MD to the switch control unit 254. [ The mode signal MD includes a serial mode signal generated when operating in a serial mode and a split mode signal generated when operating in a split mode. The mode control unit 252 can generate a serial mode signal or a separation mode signal based on the possibility of cross regulation.

모드 제어부(252)는 제1 센싱 전류(ILS1) 및 제2 센싱 전류(ILS2)의 크기에 근거하여 클럭 변조 신호(P_CLK)를 생성한다. 모드 제어부(252)는 클럭 변조 신호(P_CLK)를 출력 제어부(253)에 제공한다. 제1 인덕터(210) 또는 제2 인덕터(220)가 완전 방전되지 않는 경우, 제1 인덕터 전류(IL1) 또는 제2 인덕터 전류(IL2)의 크기는 임계 전류보다 클 수 있다. 임계 전류는 0일 수 있다. 모드 제어부(252)는 임계 전류에 도달할 때까지 펄스를 유지하여 클럭 변조 신호(P_CLK)를 생성할 수 있다.The mode control unit 252 generates the clock modulation signal P_CLK based on the magnitudes of the first sensing current ILS1 and the second sensing current ILS2. The mode control unit 252 provides the clock modulation signal P_CLK to the output control unit 253. When the first inductor 210 or the second inductor 220 is not completely discharged, the magnitude of the first inductor current IL1 or the second inductor current IL2 may be larger than the threshold current. The threshold current may be zero. The mode control unit 252 can maintain the pulse until the threshold current is reached to generate the clock modulation signal P_CLK.

출력 제어부(253)는 제1 내지 제n 출력 전압들(VO1~VOn)을 수신한다. 출력 제어부(253)는 도 3의 제1 내지 제n 출력 단자들(O1~On)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출력 제어부(253)는 제1 내지 제n 출력 전압들(VO1~VOn)과 제1 내지 제n 기준 전압들(VREF1~VREFn)을 각각 비교한다. 출력 제어부(253)는 제1 내지 제n 출력 전압들(VO1~VOn)과 제1 내지 제n 기준 전압들(VREF1~VREFn) 각각의 차이를 증폭할 수 있다. 증폭된 차이값들에 근거하여 출력 제어부(253)는 제1 내지 제n 출력 제어 신호들(P1~Pn)을 생성한다. DC-DC 컨버터(200)는 제1 내지 제n 출력 제어 신호들(P1~Pn)에 근거하여 제1 내지 제n 출력 전압들(VO1~VOn)을 조절할 수 있다.The output controller 253 receives the first to n-th output voltages VO1 to VOn. The output controller 253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o nth output terminals O1 to On of FIG. The output controller 253 compares the first to the n-th output voltages VO1 to VOn with the first to the n-th reference voltages VREF1 to VREFn, respectively. The output controller 253 may ampl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o nth output voltages VO1 to VOn and the first to the nth reference voltages VREF1 to VREFn, respectively. Based on the amplified difference values, the output controller 253 generates first through n-th output control signals Pl through Pn. The DC-DC converter 200 may adjust the first to n-th output voltages VO1 to VOn based on the first to n-th output control signals P1 to Pn.

출력 제어부(253)는 전류 센싱부(251)로부터 제1 센싱 전류(ILS1) 및 제2 센싱 전류(ILS2)를 수신한다. 출력 제어부(253)는 센싱된 제1 센싱 전류(ILS1) 및 제2 센싱 전류(ILS2)에 근거하여 제1 내지 제n 출력 제어 신호들(P1~Pn)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인덕터 전류(IL1) 또는 제2 인덕터 전류(IL2)의 레벨이 변경될 경우, 제1 내지 제n 출력 전압들(VO1~VOn)이 조절될 수 있다. 출력 제어부(253)는 제1 인덕터 전류(IL1) 또는 제2 인덕터 전류(IL2)를 제어하는 제1 내지 제n 출력 제어 신호들(P1~Pn)을 생성할 수 있다. 출력 제어부(253)는 모드 제어부(252)로부터 클럭 변조 신호(P_CLK)를 수신한다. 출력 제어부(253)는 클럭 변조 신호(P_CLK)를 기준 클럭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output control unit 253 receives the first sensing current ILS1 and the second sensing current ILS2 from the current sensing unit 251. [ The output controller 253 may generate the first to the n-th output control signals Pl to Pn based on the sensed first sensing current ILS1 and the second sensing current ILS2. When the levels of the first inductor current IL1 or the second inductor current IL2 are changed, the first to nth output voltages VO1 to VOn can be adjusted. The output controller 253 may generate the first to n-th output control signals Pl to Pn for controlling the first inductor current IL1 or the second inductor current IL2. The output control unit 253 receives the clock modulation signal P_CLK from the mode control unit 252. The output controller 253 can use the clock modulated signal P_CLK as a reference clock.

스위치 제어부(254)는 전류 센싱부(251)로부터 제1 센싱 전류(ILS1) 및 제2 센싱 전류(ILS2)를 수신한다. 스위치 제어부(254)는 모드 제어부(252)로부터 모드 신호(MD)를 수신한다. 스위치 제어부(254)는 출력 제어부(253)로부터 제1 내지 제n 출력 제어 신호들(P1~Pn)을 수신한다. 스위치 제어부(254)는 제1 센싱 전류(ILS1), 제2 센싱 전류(ILS2), 모드 신호(MD) 및 제1 내지 제n 출력 제어 신호들(P1~Pn)에 근거하여 인덕터 네트워크부(230) 및 출력 네트워크부(240)에 포함된 스위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The switch control unit 254 receives the first sensing current ILS1 and the second sensing current ILS2 from the current sensing unit 251. [ The switch control unit 254 receives the mode signal MD from the mode control unit 252. The switch control unit 254 receives the first through n-th output control signals Pl through Pn from the output control unit 253. The switch control unit 254 controls the inductor network unit 230 based on the first sensing current ILS1, the second sensing current ILS2, the mode signal MD and the first through n-th output control signals Pl through Pn. And the output network section 240. The output network section 2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witches.

스위치 제어부(254)는 직렬 모드 또는 분리 모드에 대응되는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스위치 제어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스위치 제어부(254)는 모드 신호(MD)에 근거하여 스위치 제어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스위치 제어부(254)는 제1 내지 제n 출력 전압들(VO1~VOn)이 제1 내지 제n 기준 전압들(VREF1~VREFn)에 대응하도록 스위치 제어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스위치 제어부(254)는 제1 인덕터 전류(IL1) 또는 제2 인덕터 전류(IL2)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The switch control unit 254 may generate switch control signals for configuring the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serial mode or the separation mode. The switch control unit 254 may generate switch control signals based on the mode signal MD. The switch control unit 254 may generate the switch control signals so that the first to nth output voltages VO1 to VOn correspond to the first to the nth reference voltages VREF1 to VREFn. The switch control unit 254 may generate switch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the first inductor current IL1 or the second inductor current IL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드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5의 모드 제어부(2520)는 도 4의 모드 제어부(252)의 일 실시예로 이해될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모드 제어부(2520)는 클럭 생성기(2521), 클럭 변조기(2522), 크로스 레귤레이션 검출기(2523), 전류 계수기(2524), 및 모드 변환기(2525)를 포함한다. 클럭 생성기(2521)는 클럭 신호(CLK)를 생성한다. 생성된 클럭 신호(CLK)는 클럭 변조기(2522), 크로스 레귤레이션 검출기(2523), 및 전류 계수기(2524)에 제공된다.5 is a block diagram of a mod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e control unit 2520 of FIG. 5 will be understood as an embodiment of the mode control unit 252 of FIG. 5, the mode control unit 2520 includes a clock generator 2521, a clock modulator 2522, a cross regulation detector 2523, a current counter 2524, and a mode converter 2525. The clock generator 2521 generates the clock signal CLK. The generated clock signal CLK is provided to a clock modulator 2522, a cross-regulation detector 2523, and a current counter 2524.

클럭 변조기(2522)는 클럭 생성기(2521)로부터 클럭 신호(CLK)를 수신한다. 클럭 변조기(2522)는 클럭 신호(CLK)에 근거하여 클럭 변조 신호(P_CLK)를 생성한다. 클럭 변조기(2522)는 DC-DC 컨버터(200)의 구동에 이용되는 시간만큼의 클럭 신호(CLK)를 카운팅할 수 있다. 클럭 변조기(2522)는 클럭 신호(CLK)의 클럭 신호(CLK)를 분주하여 클럭 변조 신호(P_CLK)를 생성한다. 클럭 변조 신호(P_CLK)는 출력 전압을 생성하기 위한 기준 클럭일 수 있다. 클럭 변조 신호(P_CLK)는 도 4의 출력 제어부(253)에 제공된다.The clock modulator 2522 receives the clock signal CLK from the clock generator 2521. The clock modulator 2522 generates the clock modulated signal P_CLK based on the clock signal CLK. The clock modulator 2522 can count the clock signal CLK by the time used for driving the DC-DC converter 200. The clock modulator 2522 divides the clock signal CLK of the clock signal CLK to generate the clock modulated signal P_CLK. The clock modulated signal P_CLK may be a reference clock for generating an output voltage. The clock modulation signal P_CLK is provided to the output control section 253 of FIG.

클럭 변조기(2522)는 후술될 크로스 레귤레이션 검출기(2523)로부터 제1 크로스 레귤레이션 신호(CR1) 또는 제2 크로스 레귤레이션 신호(CR2)를 수신한다. 제1 크로스 레귤레이션 신호(CR1) 또는 제2 크로스 레귤레이션 신호(CR2)가 하이 레벨로 출력 되는 시간 동안, 클럭 변조기(2522)는 클럭 변조 신호(P_CLK)의 펄스를 유지할 수 있다. 클럭 변조기(2522)는 클럭 변조 신호(P_CLK)의 펄스가 유지되는 시간만큼 DC-DC 컨버터(200)의 동작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클럭 변조 신호(P_CLK)에 근거하여 제1 인덕터(210) 또는 제2 인덕터(220)의 완전 방전 시간이 확보될 수 있다.The clock modulator 2522 receives the first cross-regulation signal CR1 or the second cross-regulation signal CR2 from the cross-regulation detector 252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clock modulator 2522 can hold the pulse of the clock modulated signal P_CLK for a time during which the first cross-regulation signal CR1 or the second cross-regulation signal CR2 is output to the high level. The clock modulator 2522 can maintain the operating state of the DC-DC converter 200 by the time the pulse of the clock modulated signal P_CLK is held. That is, the full discharge time of the first inductor 210 or the second inductor 220 can be secured based on the clock modulation signal P_CLK.

크로스 레귤레이션 검출기(2523)는 제1 크로스 레귤레이션 검출기(2523a) 및 제2 크로스 레귤레이션 검출기(2523b)를 포함한다. 제1 크로스 레귤레이션 검출기(2523a)는 전류 센싱부(251)로부터 제1 센싱 전류(ILS1)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크로스 레귤레이션 검출기(2523b)는 전류 센싱부(251)로부터 제2 센싱 전류(ILS2)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크로스 레귤레이션 검출기(2523a) 및 제2 크로스 레귤레이션 검출기(2523b)는 클럭 생성기(2521)로부터 클럭 신호(CLK)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크로스 레귤레이션 검출기(2523a) 및 제2 크로스 레귤레이션 검출기(2523b)는 클럭 변조기(2522)로부터 클럭 변조 신호(P_CLK)를 수신할 수 있다.The cross-regulation detector 2523 includes a first cross-regulation detector 2523a and a second cross-regulation detector 2523b. The first cross-regulation detector 2523a can receive the first sensing current ILS1 from the current sensing unit 251. [ The second cross-regulation detector 2523b may receive the second sensing current ILS2 from the current sensing unit 251. [ The first cross-regulation detector 2523a and the second cross-regulation detector 2523b can receive the clock signal CLK from the clock generator 2521. [ The first cross-regulation detector 2523a and the second cross-regulation detector 2523b may receive the clock modulation signal P_CLK from the clock modulator 2522. [

크로스 레귤레이션 검출기(2523)는 클럭 신호(CLK) 또는 클럭 변조 신호(P_CLK)를 이용하여 특정 출력 단자에 출력 전압을 제공하는 기준 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 기준 시간의 종료 시점에 제1 센싱 전류(ILS1)의 크기가 임계 전류보다 큰 경우, 제1 크로스 레귤레이션 검출기(2523a)는 제1 크로스 레귤레이션 신호(CR1)를 하이 레벨로 출력할 수 있다. 기준 시간의 종료 시점에 제2 센싱 전류(ILS2)의 크기가 임계 전류보다 큰 경우, 제2 크로스 레귤레이션 검출기(2523b)는 제2 크로스 레귤레이션 신호(CR2)를 하이 레벨로 출력할 수 있다. 임계 전류는 제1 인덕터(210) 또는 제2 인덕터(220)가 완전 방전된 경우의 전류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임계 전류는 0일 수 있다.The cross-regulation detector 2523 can use the clock signal (CLK) or the clock modulation signal (P_CLK) to determine a reference time to provide the output voltage to a specific output terminal. When the magnitude of the first sensing current ILS1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current at the end of the reference time, the first cross-regulation detector 2523a can output the first cross-regulation signal CR1 at a high level. When the magnitude of the second sensing current ILS2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current at the end of the reference time, the second cross-regulation detector 2523b can output the second cross-regulation signal CR2 at a high level. The threshold current is defined as the current when the first inductor 210 or the second inductor 220 is completely discharged. For example, the threshold current may be zero.

일반적으로, 제1 인덕터(210) 및 제2 인덕터(220)는 기준 시간의 종료 시점에서 완전 방전되어야 한다. 만약 기준 시간의 종료 시점에서 제1 인덕터(210) 및 제2 인덕터(220)가 완전 방전되지 않으면, 다음 기준 시간 동안 출력 전압을 제공하는 출력 단자에 크로스 레귤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크로스 레귤레이션 검출기(2523)는 제1 인덕터(210) 및 제2 인덕터(220)가 추가적인 방전 시간을 확보하도록 제1 및 제2 크로스 레귤레이션 신호(CR1, CR2)를 클럭 변조기(2522)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크로스 레귤레이션 검출기(2523)는 DC-DC 컨버터(200)의 동작 모드 변환을 위하여 제1 및 제2 크로스 레귤레이션 신호(CR1, CR2)를 모드 변환기(2525)에 제공할 수 있다.In general, the first inductor 210 and the second inductor 220 must be completely discharged at the end of the reference time. If the first inductor 210 and the second inductor 220 are not fully discharged at the end of the reference time, cross regulation may occur at the output terminal providing the output voltage for the next reference time. Therefore, the cross-regulation detector 2523 provides the first and second cross-regulation signals CR1 and CR2 to the clock modulator 2522 so that the first inductor 210 and the second inductor 220 secure additional discharge time can do. In addition, the cross-regulation detector 2523 may provide the first and second cross-regulation signals CR1 and CR2 to the mode converter 2525 for the operation mode conversion of the DC-DC converter 200. [

전류 계수기(2524)는 제1 전류 계수기(2524a) 및 제2 전류 계수기(2524b)를 포함한다. 제1 전류 계수기(2524a)는 전류 센싱부(251)로부터 제1 센싱 전류(ILS1)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전류 계수기(2524b)는 전류 센싱부(251)로부터 제2 센싱 전류(ILS2)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전류 계수기(2524a) 및 제2 전류 계수기(2524b)는 클럭 생성기(2521)로부터 클럭 신호(CLK)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전류 계수기(2524a) 및 제2 전류 계수기(2524b)는 클럭 변조기(2522)로부터 클럭 변조 신호(P_CLK)를 수신할 수 있다.The current counter 2524 includes a first current counter 2524a and a second current counter 2524b. The first current counter 2524a may receive the first sensing current ILS1 from the current sensing unit 251. [ The second current counter 2524b may receive the second sensing current ILS2 from the current sensing unit 251. [ The first current counter 2524a and the second current counter 2524b may receive the clock signal CLK from the clock generator 2521. [ The first current counter 2524a and the second current counter 2524b may receive the clock modulated signal P_CLK from the clock modulator 2522. [

전류 계수기(2524)는 클럭 신호(CLK) 또는 클럭 변조 신호(P_CLK)를 이용하여 특정 출력 단자에 출력 전압을 제공하는 기준 시간을 판단할 수 있다. 제1 전류 계수기(2524a)는 기준 시간 내에 제1 인덕터(210)의 완전 방전된 시간을 카운팅할 수 있다. 제2 전류 계수기(2524b)는 기준 시간 내에 제2 인덕터(220)의 완전 방전된 시간을 카운팅할 수 있다. 제1 전류 계수기(2524a)는 제1 센싱 전류(ILS1)가 임계 전류 이하인 제1 완전 방전 시간을 측정하여, 제1 방전 시간 신호(DT1)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전류 계수기(2524b)는 제2 센싱 전류(ILS2)가 임계 전류 이하인 제2 완전 방전 시간을 측정하여, 제2 방전 시간 신호(DT2)를 생성할 수 있다.The current counter 2524 can use the clock signal (CLK) or the clock modulated signal (P_CLK) to determine the reference time to provide the output voltage to a specific output terminal. The first current counter 2524a may count the fully discharged time of the first inductor 210 within the reference time. The second current counter 2524b may count the fully discharged time of the second inductor 220 within the reference time. The first current counter 2524a may measure the first full discharge time at which the first sensing current ILS1 is below the threshold current to produce the first discharge time signal DT1. The second current counter 2524b may measure the second full discharge time at which the second sensing current ILS2 is below the threshold current to generate the second discharge time signal DT2.

모드 변환기(2525)는 크로스 레귤레이션 검출기(2523)로부터 제1 크로스 레귤레이션 신호(CR1) 및 제2 크로스 레귤레이션 신호(CR2)를 수신한다. 모드 변환기(2525)는 전류 계수기(2524)로부터 제1 방전 시간 신호(DT1) 및 제2 방전 시간 신호(DT2)를 수신한다. 모드 변환기(2525)는 클럭 변조기(2522)로부터 클럭 변조 신호(P_CLK)를 수신한다. 모드 변환기(2525)는 모드 신호(MD)를 생성한다. 모드 신호(MD)는 직렬 모드 신호 및 분리 모드 신호를 포함한다. 모드 변환기(2525)는 직렬 모드 신호 또는 분리 모드 신호를 스위치 제어부(254)에 제공할 수 있다.The mode converter 2525 receives the first cross-regulation signal CR1 and the second cross-regulation signal CR2 from the cross-regulation detector 2523. [ The mode converter 2525 receives the first discharge time signal DT1 and the second discharge time signal DT2 from the current counter 2524. [ The mode converter 2525 receives the clock modulated signal P_CLK from the clock modulator 2522. The mode converter 2525 generates the mode signal MD. The mode signal MD includes a serial mode signal and a separation mode signal. The mode converter 2525 may provide the serial mode signal or the separation mode signal to the switch control unit 254. [

모드 변환기(2525)는 레지스터(2526)를 포함한다. 레지스터(2526)는 현재 주기의 동작 모드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지스터(2526)는 클럭 변조 신호(P_CLK)에서의 주기의 시작 시점의 동작 모드를 저장할 수 있다. 모드 변환기(2525)는 제1 및 제2 크로스 레귤레이션 신호(CR1, CR2)에 근거하여 직렬 모드 신호를 분리 모드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1 크로스 레귤레이션 신호(CR1) 또는 제2 크로스 레귤레이션 신호(CR2)가 하이 레벨인 경우, 모드 변환기(2525)는 제1 인덕터(210)와 제2 인덕터(220)를 전기적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분리 모드 신호를 생성한다. The mode converter 2525 includes a register 2526. The register 2526 may store the operation mode of the current cycle. For example, register 2526 may store the operating mode at the beginning of the period in the clock modulated signal (P_CLK). The mode converter 2525 can convert the serial mode signal into a separation mode signal based on the first and second cross regulation signals CR1 and CR2 and output the separated mode signal. When the first cross-regulation signal CR1 or the second cross-regulation signal CR2 is at a high level, the mode converter 2525 switches the mode between the first inductor 210 and the second inductor 220 to electrically isolate the first inductor 210 and the second inductor 220, Signal.

모드 변환기(2525)는 제1 방전 시간 신호(DT1) 및 제2 방전 시간 신호(DT2)에 근거하여 분리 모드 신호를 직렬 모드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1 방전 시간 및 제2 방전 시간이 충분히 긴 경우, 제1 인덕터(210)와 제2 인덕터(220)를 직렬로 연결하여도 크로스 레귤레이션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제1 방전 시간이 제1 안정화 시간보다 크고, 제2 방전 시간이 제2 안정화 시간보다 큰 경우, 직렬 모드로 변환하여도 크로스 레귤레이션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모드 변환기(2525)는 직렬 모드 신호를 생성한다. 제1 안정화 시간 및 제2 안정화 시간은 도 9에서 구체적으로 정의된다.The mode converter 2525 can convert the separation mode signal into a serial mode signal based on the first discharge time signal DT1 and the second discharge time signal DT2 and output the serial mode signal. If the first discharge time and the second discharge time are sufficiently long, even if the first inductor 210 and the second inductor 220 are connected in series, cross regulation will not occur. When the first discharge time is larger than the first stabilization time and the second discharge time is longer than the second stabilization time, the cross regulation does not occur even if the first discharge time is converted to the serial mode. Thus, the mode converter 2525 generates a serial mode signal. The first stabilization time and the second stabilization time are specifically defined in Fig.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C-DC 컨버터의 타이밍도이다. 도 6은 직렬 모드에서 분리 모드로 변환할 때의 펄스 변조 신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도 6의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낸다. 도 6의 세로축은 시간의 흐름에 다른 클럭 신호(CLK), 제1 크로스 레귤레이션 신호(CR1)(또는 제2 크로스 레귤레이션 신호(CR2)), 및 클럭 변조 신호(P_CLK)의 크기를 나타낸다.6 to 9 are timing diagrams of a DC-DC co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timing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ulse modulation signal when converting from the serial mode to the separation mode. The horizontal axis in Fig. 6 represents time. The vertical axis in Fig. 6 indicates the magnitudes of the clock signal CLK, the first cross-regulation signal CR1 (or the second cross-regulation signal CR2), and the clock modulation signal P_CLK in the course of time.

클럭 신호(CLK)는 도 5의 클럭 생성기(2521)에서 생성된다. 클럭 변조 신호(P_CLK)는 도 5의 클럭 변조기(2522)에서 생성된다. 클럭 변조기(2522)는 클럭 변조 신호(P_CLK)를 생성하기 위하여 클럭 신호(CLK)를 카운팅할 수 있다. 도 6은 예시적으로 클럭 신호(CLK)의 3회의 주기 반복시 클럭 변조 신호(P_CLK)의 레벨이 변환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클럭 변조 신호(P_CLK)는 클럭 신호(CLK)보다 수백배 낮은 클럭 주파수를 갖도록 클럭 신호(CLK)로부터 분주되어 생성될 수 있다. The clock signal CLK is generated in the clock generator 2521 in Fig. The clock modulated signal P_CLK is generated in the clock modulator 2522 of FIG. The clock modulator 2522 may count the clock signal CLK to generate a clock modulated signal P_CLK. FIG. 6 is illustratively shown that the level of the clock modulated signal (P_CLK) is converted upon three cycles of the clock signal (CLK). However,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the clock modulated signal P_CLK may be generated by dividing from the clock signal CLK so as to have a clock frequency several hundreds times lower than the clock signal CLK.

클럭 변조 신호(P_CLK)는 DC-DC 컨버터의 기준 클럭일 수 있다. 특정 출력 단자에 출력 전압을 제공하는 기준 시간은 클럭 변조 신호(P_CLK)의 주기와 같을 수 있다. 클럭 변조 신호(P_CLK)의 주기 동안 제1 인덕터(110, 210) 또는 제2 인덕터(120, 220)는 충전 및 방전될 수 있다. 클럭 변조 신호(P_CLK)동안 제1 인덕터(110, 210)(또는 제2 인덕터(120, 220))가 완전 방전 되지 않은 경우, 크로스 레귤레이션 검출기(2523)는 제1 크로스 레귤레이션 신호(CR1)(또는 제2 크로스 레귤레이션 신호(CR2))를 하이 레벨로 변경할 수 있다.The clock modulated signal (P_CLK) may be the reference clock of the DC-DC converter. The reference time for providing the output voltage to a specific output terminal may be equal to the period of the clock modulated signal P_CLK. During the period of the clock modulation signal P_CLK, the first inductor 110, 210 or the second inductor 120, 220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When the first inductors 110 and 210 (or the second inductors 120 and 220) are not completely discharged during the clock modulation signal P_CLK, the cross-regulation detector 2523 outputs the first cross-regulation signal CR1 The second cross-regulation signal CR2) to a high level.

제1 크로스 레귤레이션 신호(CR1)는 제1 인덕터(110, 210)가 완전 방전될 때까지 하이 레벨로 유지된다. 제1 크로스 레귤레이션 신호(CR1)가 하이 레벨로 유지되는 시간은 지연 시간(Td)으로 정의된다. 지연 시간(Td)의 최대값은 제한될 수 있다. 제1 인덕터(110, 210)가 완전 방전될 때까지, 클럭 변조 신호(P_CLK)의 펄스가 유지된다. 즉, 제1 인덕터(110, 210)의 완전 방전을 위하여 해당 출력 단자에 대한 기준 시간을 증가시킨다. 이후, DC-DC 컨버터의 동작 모드가 변경되고, 다시 클럭 변조 신호(P_CLK)의 주기는 정상적으로 유지된다.The first cross-regulation signal CR1 is maintained at a high level until the first inductors 110 and 210 are completely discharged. The time when the first cross-regulation signal CR1 is held at the high level is defined as the delay time Td. The maximum value of the delay time Td can be limited. The pulse of the clock modulated signal P_CLK is held until the first inductor 110, 210 is completely discharged. That is, the reference time for the corresponding output terminal is increased for the full discharge of the first inductors 110 and 210. Thereafter, the operation mode of the DC-DC converter is changed, and the cycle of the clock modulation signal P_CLK is maintained normally.

도 7은 직렬 모드에서의 도 3의 스위치들의 동작 및 인덕터 전류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7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7의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낸다. 도 7의 세로축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직렬 모드 스위치 제어 신호들(SSC), 제1 및 제2 분리 모드 제어 신호들(S1C, S2C), 제1 및 제2 접지 스위치 제어 신호들(SG1C, SG2C), 제1 및 제2 정상 출력 스위치 제어 신호들(Y1C, Y2C), 및 인덕터 전류(IL)의 크기를 나타낸다. 7 is a timing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witches of FIG. 3 and the flow of the inductor current in the serial mode.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description, Fig. 7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horizontal axis in Fig. 7 represents time. The vertical axis of FIG. 7 shows the serial mode switch control signals SSC, the first and second separation mode control signals S1C and S2C, the first and second ground switch control signals SG1C and SG2C ), The first and second normal output switch control signals Y1C and Y2C, and the inductor current IL.

도 7에 도시된 각각의 스위치 제어 신호들은 하이 레벨에서 스위치들을 스위칭-온 시키고, 로우 레벨에서 스위치들을 스위칭-오프 시키는 것으로 가정한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각각의 스위치 제어 신호들은 하이 레벨에서 스위치들을 스위칭-오프 시키고, 로우 레벨에서 스위치들을 스위칭-온 시킬수 있다. 이 경우, 도 7의 스위치 제어 신호들의 파형은 반대가 될 것이다. 도 7의 직렬 모드에서, 직렬 모드 스위치 제어 신호(SSC)는 하이 레벨로 유지된다. 또한, 제1 및 제2 분리 모드 제어 신호들(S1C, S2C), 그리고 제1 접지 스위치 제어 신호(SG1C)는 로우 레벨로 유지된다.It is assumed that each of the switch control signals shown in FIG. 7 switches on the switches at the high level and switches off the switches at the low level. However,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each switch control signal may switch off the switches at a high level and switch on the switches at a low level. In this case, the waveform of the switch control signals in Fig. 7 will be opposite. In the serial mode of FIG. 7, the serial mode switch control signal SSC is held at a high level.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isolation mode control signals S1C and S2C and the first ground switch control signal SG1C are maintained at a low level.

도 7은 출력 단자가 2개인 것으로 가정한다. DC-DC 컨버터는 제1 기준 시간(Ta) 동안 제1 출력 단자(O1)에 출력 전압을 제공하고, 및 제2 기준 시간(Tb) 동안 제2 출력 단자(O2)에 출력 전압을 제공한다. 제1 기준 시간(Ta)과 제2 기준 시간(Tb)은 같을 수 있다. 도 7에 따른 DC-DC 컨버터는 제1 출력 단자(O1)과 제2 출력 단자(O2)에 교번적으로 출력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출력 단자(O1) 및 제2 출력 단자(O2)에 출력 전압을 제공하는 시간은 다중 출력 주기(Ts)로 정의된다.Fig. 7 assumes that there are two output terminals. The DC-DC converter provides the output voltage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O1 during the first reference time Ta and provides the output voltage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O2 during the second reference time Tb. The first reference time Ta and the second reference time Tb may be the same. The DC-DC converter according to FIG. 7 can alternately provide an output voltage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O1 and the second output terminal O2. The time for providing the output voltage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O1 and the second output terminal O2 is defined as a multiple output period Ts.

제1 기준 시간(Ta)은 제1 충전 시간(Ta1), 제1 방전 시간(Ta2), 및 제1 휴지 시간(Ta3)을 포함한다. 제1 충전 시간(Ta1)에 제1 및 제2 인덕터들(210, 220)은 충전된다. 제1 및 제2 인덕터들(210, 220)이 입력 전압에 의하여 충전되도록, 제2 접지 스위치 제어 신호(SG2C)는 제2 접지 스위치(SG2)를 스위칭-온 시킨다. 제1 방전 시간(Ta2)에 제1 및 제2 인덕터들(210, 220)은 방전된다. 제1 및 제2 인덕터들(210, 220)에 충전된 에너지가 제1 출력 단자(O1)로 전달되기 위하여 제1 정상 출력 스위치 제어 신호(Y1C)는 제1 정상 출력 스위치(Y1)를 스위칭-온 시킨다. 제1 휴지 시간(Ta3)에 제1 및 제2 인덕터들(210, 220)은 완전 방전된다. 이 때, 인덕터 전류(IL)의 크기는 임계 전류인 0일 수 있다.The first reference time Ta includes a first charging time Ta1, a first discharging time Ta2, and a first resting time Ta3. The first and second inductors 210 and 220 are charged at the first charging time Ta1. The second ground switch control signal SG2C switches on the second ground switch SG2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inductors 210 and 220 are charged by the input voltage. The first and second inductors 210 and 220 are discharged at the first discharge time Ta2. The first normal output switch control signal Y1C is used to switch the first normal output switch Y1 so that the energy charged in the first and second inductors 210 and 220 is transferr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O1, Turn on. The first and second inductors 210 and 220 are completely discharged at the first dwell time Ta3. At this time, the magnitude of the inductor current IL may be zero, which is the threshold current.

제2 기준 시간(Tb)은 제2 충전 시간(Tb1), 제2 방전 시간(Tb2), 및 제2 휴지 시간(Tb3)을 포함한다. 제2 충전 시간(Tb1)에 제1 및 제2 인덕터들(210, 220)은 충전된다. 제1 및 제2 인덕터들(210, 220)이 입력 전압에 의하여 충전되도록, 제2 접지 스위치 제어 신호(SG2C)는 제2 접지 스위치(SG2)를 스위칭-온 시킨다. 제2 방전 시간(Tb2)에 제1 및 제2 인덕터들(210, 220)은 방전된다. 제1 및 제2 인덕터들(210, 220)에 충전된 에너지가 제2 출력 단자(O2)로 전달되기 위하여 제2 정상 출력 스위치 제어 신호(Y2C)는 제2 정상 출력 스위치(Y2)를 스위칭-온 시킨다. 제2 휴지 시간(Tb3)에 제1 및 제2 인덕터들(210, 220)은 완전 방전된다. The second reference time Tb includes a second charging time Tb1, a second discharging time Tb2, and a second pause time Tb3. The first and second inductors 210 and 220 are charged at the second charging time Tb1. The second ground switch control signal SG2C switches on the second ground switch SG2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inductors 210 and 220 are charged by the input voltage. The first and second inductors 210 and 220 are discharged at the second discharge time Tb2. The second normal output switch control signal Y2C switches the second normal output switch Y2 so that the energy charged in the first and second inductors 210 and 220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O2, Turn on. The first and second inductors 210 and 220 are completely discharged during the second dwell time Tb3.

제1 출력 단자(O1)와 제2 출력 단자(O2)에 연결되는 부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제1 출력 단자(O1)에 요구되는 에너지와 제2 출력 단자(O2)에 요구되는 에너지가 다른 경우, 충전 시간, 방전 시간, 및 휴지 시간은 다를 수 있다. 또한, 제1 기준 시간(Ta)에 제공되는 인덕터 전류(IL)와 제2 기준 시간(Tb)에 제공되는 인덕터 전류(IL)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제2 출력 단자(O2)에 요구되는 에너지가 제1 출력 단자(O1)에 요구되는 에너지보다 큰 경우, 제2 충전 시간(Tb1) 및 제2 방전 시간(Tb2)의 합은 제1 충전 시간(Ta1) 및 제1 방전 시간(Ta2)의 합보다 길 수 있다. 또한, 제2 휴지 시간(Tb3)은 제1 휴지 시간(Ta3)보다 짧을 수 있다.The loads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O1 and the second output terminal O2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When the energy required for the first output terminal O1 and the energy required for the second output terminal O2 are different, the charging time, the discharging time, and the stopping time may be different. The inductor current IL provided in the first reference time Ta and the inductor current IL provided in the second reference time Tb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When the energy required for the second output terminal O2 is greater than the energy required for the first output terminal O1, the sum of the second charging time Tb1 and the second discharging time Tb2 is the first charging time Ta1) and the first discharge time Ta2. Also, the second dwell time Tb3 may be shorter than the first dwell time Ta3.

도 8은 직렬 모드를 유지하는 경우의 크로스 레귤레이션 발생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8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8의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낸다. 도 8의 세로축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인덕터 전류(IL)의 크기를 나타낸다. 다중 출력 주기(Ts)는 제1 기준 시간(Ta) 및 제2 기준 시간(Tb)을 포함한다. 제1 기준 시간(Ta)에 인덕터 전류(IL)는 제1 출력 단자(O1)에 제공되고, 제2 기준 시간(Tb)에 인덕터 전류(IL)는 제2 출력 단자(O2)에 제공된다.8 is a timing chart for explaining the occurrence of cross regulation when the serial mode is maintain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description, FIG. 8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horizontal axis in Fig. 8 represents time. The vertical axis of FIG. 8 represents the magnitude of the inductor current IL with the passage of time. The multiple output period Ts includes a first reference time Ta and a second reference time Tb. The inductor current IL is suppli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O1 at the first reference time Ta and the inductor current IL is suppli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02 at the second reference time Tb.

제1 기준 시간(Ta)동안 DC-DC 컨버터는 제1 출력 단자(O1)에 에너지를 제공한다. 제1 기준 시간(Ta)동안 제1 출력 단자(O1)에 제공되는 에너지는 제1 넓이(A1)에 의존한다. 제1 넓이(A1)는 제1 및 제2 인덕터들(210, 220)이 방전되는 시간 동안의 인덕터 전류(IL)의 적분값이다. 제1 넓이(A1)가 클수록, 제1 출력 단자(O1)에 제공되는 에너지는 상승한다.During the first reference time Ta, the DC-DC converter provides energy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O1. The energy provid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O1) during the first reference time (Ta) depends on the first width (A1). The first area A1 is an integral value of the inductor current IL during the time during which the first and second inductors 210 and 220 are discharged. The greater the first width A1, the higher the energy provid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O1.

제2 기준 시간(Tb)동안 DC-DC 컨버터는 제2 출력 단자(O2)에 에너지를 제공한다. 도 7과 달리, 제2 출력 단자(O2)에 연결된 부하가 급격하게 변하는 경우, 제2 출력 단자(O2)에 제공되는 에너지는 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2 출력 단자(O2)에 연결된 부하가 과부하 상태인 경우, 제2 출력 단자(O2)에 요구되는 에너지는 증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인덕터들(210, 220)의 충전 시간 및 방전 시간은 증가한다. 제1 및 제2 인덕터들(210, 220)의 충전 시간 및 방전 시간의 합이 제2 기준 시간(Tb)보다 큰 경우, 제1 및 제2 인덕터들(210, 220)은 완전 방전되지 않는다. 즉, 인덕터 전류(IL)는 임계 전류 0에 도달하지 못하고, 제2 기준 시간(Tb)에 휴지 시간은 제공되지 않는다.During the second reference time Tb, the DC-DC converter provides energy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O2. 7, when the load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O2 is abruptly changed, the energy provid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O2 is changed. For example, when the load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O2 is in an overload state, the energy required for the second output terminal O2 may increase. In this case, the charging time and the discharging time of the first and second inductors 210 and 220 increase. When the sum of the charging time and the discharging time of the first and second inductors 210 and 220 is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time Tb, the first and second inductors 210 and 220 are not completely discharged. That is, the inductor current IL does not reach the threshold current 0, and the dwell time is not provided at the second reference time Tb.

다시 제1 기준 시간(Ta)이 시작되는 시점에, 인덕터 전류(IL)의 크기는 임계 전류보다 크다. 따라서, 이전 제1 기준 시간(Ta)과 동일한 충전 시간 동안 제1 및 제2 인덕터들(210, 220)을 충전하는 경우, 제1 및 제2 인덕터들(210, 220)에 충전되는 에너지는 증가한다. 제1 및 제2 인덕터들(210, 220)을 완전 방전하기 위해 요구되는 방전 시간은 이전 제1 기준 시간(Ta)에서의 방전 시간보다 크다. 즉, 제2 넓이(A2)는 제1 넓이(A1)보다 크다. 제1 출력 단자(O1)에 요구되는 에너지보다 많은 양의 에너지가 부하에 제공되므로, 크로스 레귤레이션이 발생한다.At the start of the first reference time Ta again, the magnitude of the inductor current IL is larger than the threshold current. Therefore, when the first and second inductors 210 and 220 are charged for the same charging time as the first reference time Ta, the energy charged in the first and second inductors 210 and 220 increases do. The discharge time required to completely discharge the first and second inductors 210 and 220 is larger than the discharge time at the previous first reference time Ta. That is, the second width A2 is larger than the first width A1. Since a larger amount of energy is supplied to the load than the energy required for the first output terminal O1, cross regulation occurs.

도 9는 직렬 모드에서 분리 모드로 변환하기 위한 스위치들의 동작 및 전류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9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9의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낸다. 도 9의 세로축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직렬 모드 스위치 제어 신호(SSC), 제1 및 제2 분리 모드 제어 신호들(S1C, S2C), 제1 및 제2 접지 스위치 제어 신호들(SG1C, SG2C), 제1 및 제2 정상 출력 스위치 제어 신호들(Y1C, Y2C), 제1 분리 출력 스위치 제어 신호(X1C), 제1 인덕터 전류(IL1), 및 제2 인덕터 전류(IL2)의 크기를 나타낸다. 9 is a timing chart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witches and the current flow for converting from the serial mode to the separation mode.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description, Fig. 9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horizontal axis in Fig. 9 represents time. The vertical axis of FIG. 9 shows the serial mode switch control signal SSC, the first and second separation mode control signals S1C and S2C, the first and second grounding switch control signals SG1C and SG2C, The first and second normal output switch control signals Y1C and Y2C, the first separation output switch control signal X1C, the first inductor current IL1 and the second inductor current IL2.

도 9에 도시된 각각의 스위치 제어 신호들은 하이 레벨에서 스위치들을 온 상태로 제어하고, 로우 레벨에서 스위치들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각각의 스위치 제어 신호들은 하이 레벨에서 스위치들을 스위칭-오프 시키고, 로우 레벨에서 스위치들을 스위칭-온 시킬수 있다. 이 경우, 도 7의 스위치 제어 신호들의 파형은 반대가 될 것이다.It is assumed that each of the switch control signals shown in FIG. 9 controls the switches at the high level to the ON state and controls the switches to the OFF state at the low level. However,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each switch control signal may switch off the switches at a high level and switch on the switches at a low level. In this case, the waveform of the switch control signals in Fig. 7 will be opposite.

직렬 모드에서, 제1 인덕터(210) 및 제2 인덕터(220)가 직렬로 연결되므로, 제1 인덕터 전류(IL1) 및 제2 인덕터 전류(IL2)는 동일하다. 제1 기준 시간(Ta)동안 DC-DC 컨버터는 제1 출력 단자(O1)에 에너지를 제공한다. 제2 기준 시간(Tb)동안 DC-DC 컨버터는 제2 출력 단자(O2)에 에너지를 제공한다. 제2 기준 시간(Tb)동안 제1 및 제2 인덕터들(210, 220)이 완전 방전되지 않는 경우, 제2 기준 시간(Tb)의 종료 시점에서 제1 인덕터 전류(IL1) 및 제2 인덕터 전류(IL2)의 크기는 0보다 크다. 이 경우, 제1 크로스 레귤레이션 신호(CR1) 및 제2 크로스 레귤레이션 신호(CR2)는 하이 레벨로 변경된다.In the serial mode, since the first inductor 210 and the second inductor 220 are connected in series, the first inductor current IL1 and the second inductor current IL2 are the same. During the first reference time Ta, the DC-DC converter provides energy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O1. During the second reference time Tb, the DC-DC converter provides energy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O2. When the first and second inductors 210 and 220 are not completely discharged during the second reference time Tb, the first inductor current IL1 and the second inductor current IL2 at the end of the second reference time Tb, (IL2) is greater than zero. In this case, the first cross-regulation signal CR1 and the second cross-regulation signal CR2 are changed to the high level.

제1 크로스 레귤레이션 신호(CR1) 및 제2 크로스 레귤레이션 신호(CR2)는 제1 인덕터 전류(IL1) 및 제2 인덕터 전류(IL2)가 임계 전류 0에 도달할 때까지 하이 레벨을 유지한다. 제1 인덕터 전류(IL1) 및 제2 인덕터 전류(IL2)는 지연 시간(Td) 동안 0에 도달한다. 지연 시간(Td) 동안, 직렬 모드 스위치 제어 신호(SSC), 제1 및 제2 분리 모드 제어 신호들(S1C, S2C), 제1 및 제2 접지 스위치 제어 신호들(SG1C, SG2C), 및 제1 및 제2 정상 출력 스위치 제어 신호들(Y1C, Y2C)의 크기는 유지된다.The first cross-regulation signal CR1 and the second cross-regulation signal CR2 maintain the high level until the first inductor current IL1 and the second inductor current IL2 reach the threshold current 0. The first inductor current IL1 and the second inductor current IL2 reach zero during the delay time Td. During the delay time Td, the serial mode switch control signal SSC, the first and second separation mode control signals S1C and S2C, the first and second grounding switch control signals SG1C and SG2C, 1 and the second normal output switch control signals Y1C and Y2C are maintained.

제1 인덕터 전류(IL1) 및 제2 인덕터 전류(IL2)가 임계 전류 0에 도달하거나 지연 시간(Td)의 최대값을 초과하는 순간, 제1 및 제2 크로스 레귤레이션 신호들(CR1, CR2)은 로우 레벨로 변경된다. 이 때, DC-DC 컨버터의 동작 모드는 분리 모드로 변경된다. 직렬 모드 스위치 제어 신호(SSC)는 로우 레벨로 변경된다. 제1 및 제2 분리 모드 제어 신호들(S1C, S2C)은 하이 레벨로 변경된다. 따라서, 제1 인덕터(210) 및 제2 인덕터(220)는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분리 모드에서, 제1 인덕터 전류(IL1)와 제2 인덕터 전류(IL2)의 크기는 서로 독립적으로 결정된다.The first and second cross-regulation signals CR1 and CR2 are at the instant when the first inductor current IL1 and the second inductor current IL2 reach the threshold current 0 or exceed the maximum value of the delay time Td It is changed to the low level. At this time, the operation mode of the DC-DC converter is changed to the separation mode. The serial mode switch control signal SSC is changed to the low level. The first and second separation mode control signals S1C and S2C are changed to the high level. Thus, the first inductor 210 and the second inductor 220 are electrically isolated. In the isolation mode, the magnitudes of the first inductor current IL1 and the second inductor current IL2 are determin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분리 모드에서, 도 9는 제1 인덕터(210)가 제1 출력 단자(O1)에 에너지를 제공하고, 제2 인덕터(220)가 제2 출력 단자(O2)에 에너지를 제공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제1 인덕터(210)와 제2 인덕터(220)가 서로 다른 인덕턴스를 갖는 경우, 충전 속도 및 방전 속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9의 경우, 제1 인덕터(210)의 인덕턴스가 제2 인덕터(220)의 인덕턴스보다 작다. 따라서, 제1 인덕터 전류(IL1)의 기울기가 제2 인덕터 전류(IL2)의 기울기보다 크고, 제1 인덕터(210)의 충전 속도가 제2 인덕터(220)의 충전 속도보다 빠르다.In the isolated mode, FIG. 9 assumes that the first inductor 210 provides energy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O1 and the second inductor 220 provides energy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O2. When the first inductor 210 and the second inductor 220 have different inductances, the charging speed and the discharging speed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9, the inductance of the first inductor 210 is smaller than the inductance of the second inductor 220. Therefore, the slope of the first inductor current IL1 is larger than the slope of the second inductor current IL2, and the charging speed of the first inductor 210 is faster than the charging speed of the second inductor 220.

분리 모드의 다중 출력 주기(Ts')는 제1 충방전 시간(T'a) 및 제1 완전 방전 시간(TZ1)의 합과 같을 수 있다. 또는, 분리 모드의 다중 출력 주기(Ts')는 직렬 모드의 다중 출력 주기(Ts)와 같을 수 있다. 분리 모드의 다중 출력 주기(Ts')는 직렬 모드의 제1 기준 시간(Ta) 및 제2 기준 시간(Tb)의 합과 같을 수 있다. 제1 충방전 시간(T'a)에 제1 인덕터(210)는 충전 및 방전된다. 제1 완전 방전 시간(TZ1)에 제1 인덕터(210)는 완전 방전된다. 제2 충방전 시간(T'b)에 제2 인덕터(220)는 충전 및 방전된다. 제2 완전 방전 시간(TZ2)에 제2 인덕터(220)는 완전 방전된다.The multiple discharge period Ts' of the separation mode may be equal to the sum of the first charge / discharge time T'a and the first full discharge time TZ1. Alternatively, the multiple output period Ts' of the split mode may be equal to the multiple output period Ts of the serial mode. The multiple output period Ts' of the separation mode may be equal to the sum of the first reference time Ta and the second reference time Tb in the serial mode. The first inductor 210 is charged and discharged during the first charge / discharge time T'a. The first inductor 210 is completely discharged in the first full discharge time TZ1. And the second inductor 220 is charged and discharged in the second charge / discharge time T'b. And the second inductor 220 is completely discharged in the second full discharge time TZ2.

제1 접지 스위치 제어 신호(SG1C)가 제1 접지 스위치(SG1)를 스위칭-온 시키는 동안, 제1 인덕터(210)는 충전된다. 제1 분리 출력 스위치 제어 신호(X1C)가 제1 분리 출력 스위치(X1)를 스위칭-온 시키는 동안, 제1 인덕터(210)는 방전되고, 제1 출력 단자(O1)에 에너지를 전달한다. 제2 접지 스위치 제어 신호(SG2C)가 제2 접지 스위치(SG2)를 스위칭-온 시키는 동안, 제2 인덕터(220)는 충전된다. 제2 정상 출력 스위치 제어 신호(X2C)가 제2 정상 출력 스위치(X2)를 스위칭-온 시키는 동안, 제2 인덕터(220)는 방전되고, 제2 출력 단자(O2)에 에너지를 전달한다.While the first ground switch control signal SG1C switches on the first ground switch SG1, the first inductor 210 is charged. The first inductor 210 is discharged and transfers energy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O1 while the first split output switch control signal X1C switches on the first split output switch X1. While the second grounding switch control signal SG2C switches on the second grounding switch SG2, the second inductor 220 is charged. While the second normal output switch control signal X2C switches on the second normal output switch X2, the second inductor 220 is discharged and transfers energy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O2.

직렬 모드에서 분리 모드로 변경되는 시점에, 제1 접지 스위치 제어 신호(SG1C) 및 제2 접지 스위치 제어 신호(SG2C)는 하이 레벨로 변경될 수 있다. 즉, 제1 인덕터(210) 및 제2 인덕터(220)는 동시에 충전될 수 있다. 분리 모드에서, 제1 출력 단자(O1)에 제공되는 에너지와 제2 출력 단자(O2)에 제공되는 에너지는 서로 다른 인덕터를 이용하여 동시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직렬 모드에 비하여, 분리 모드에서 제1 출력 단자(O1) 및 제2 출력 단자(O2)에 빠른 에너지 제공이 가능하다. 특히, 과부하 등으로 인하여 많은 에너지가 요구되는 제2 출력 단자(O2)에 에너지가 빠르게 제공될 수 있다.At the time of changing from the serial mode to the separation mode, the first ground switch control signal SG1C and the second ground switch control signal SG2C can be changed to the high level. That is, the first inductor 210 and the second inductor 220 can be charged at the same time. In the isolation mode, the energy provid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O1 and the energy provid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O2 may be simultaneously stored using different inductors. Therefore, compared to the serial mode, it is possible to provide fast energy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O1 and the second output terminal O2 in the separation mode. Particularly, energy can be rapidly suppli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O2 which requires a large amount of energy due to overload or the like.

DC-DC 컨버터는 제1 완전 방전 시간(TZ1) 및 제2 완전 방전 시간(TZ2)에 근거하여 분리 모드를 다시 직렬 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 제1 완전 방전 시간(TZ1)이 제1 안정화 시간(Tst1)보다 크고, 제2 완전 방전 시간(TZ2)이 제2 안정화 시간(Tst2)보다 큰 경우, DC-DC 컨버터의 동작 모드는 직렬 모드로 변환된다. 출력 단자가 2개인 경우, 제1 안정화 시간(Tst1)은 수학식 1에서 정의된다. 제2 안정화 시간(Tst2)은 수학식 2에서 정의된다.The DC-DC converter can convert the isolation mode back to the serial mode based on the first full discharge time TZ1 and the second full discharge time TZ2. When the first full discharge time TZ1 is greater than the first stabilization time Tst1 and the second full discharge time TZ2 is greater than the second stabilization time Tst2, the operation mode of the DC- . When there are two output terminals, the first stabilization time Tst1 is defined in Equation (1). The second stabilization time Tst2 is defined in Equation (2).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Ts는 다중 출력 주기를 나타낸다. L1은 제1 인덕터(210)의 인덕턴스를 나타낸다. L2는 제2 인덕터(220)의 인덕턴스를 나타낸다. aa는 여유 시간을 나타낸다. 출력 단자가 2개인 경우, 직렬 모드에서 DC-DC 컨버터는 다중 출력 주기(Ts) 동안 두 개의 출력 단자에 교번적으로 에너지를 제공한다. 따라서, 제1 안정화 시간(Tst1) 및 제2 안정화 시간(Tst2)은 다중 출력 주기(Ts)의 0.5배를 기준으로 계산된다. L1 및 L2의 합이 클수록, 제1 안정화 시간(Tst1) 및 제2 안정화 시간(Tst2)은 늘어난다. L1 및 L2의 합이 클수록 직렬 모드에서의 충전 및 방전 시간이 증가하므로, 크로스 레귤레이션 방지를 위하여 더 많은 안정화 시간이 요구된다.Ts represents a multiple output period. L1 represents the inductance of the first inductor 210. [ And L 2 represents the inductance of the second inductor 220. aa represents the spare time. In the case of two output terminals, the DC-DC converter in series mode alternately provides energy to two output terminals during multiple output periods (Ts). Therefore, the first stabilization time Tst1 and the second stabilization time Tst2 are calculated based on 0.5 times the multiple output period Ts. As the sum of L1 and L2 is larger, the first stabilization time Tst1 and the second stabilization time Tst2 are increased. The larger the sum of L1 and L2 is, the longer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time in the serial mode is, so more stabilization time is required for preventing cross regulation.

수학식 1을 참고하면, 제1 인덕터의 인덕턴스(L1)가 클수록 제1 안정화 시간(Tst1)은 줄어든다. 제2 인덕터의 인덕턴스(L2)가 클수록 제1 안정화 시간(Tst1)은 늘어난다. 분리 모드에서 직렬 모드로 변경될 때, 제1 인덕터(210) 및 제2 인덕터(220)의 직렬 연결로 인하여 충방전 속도는 느려진다. 제1 인덕터의 인덕턴스(L1)가 제2 인덕터의 인덕턴스(L2)보다 큰 경우, 모드 변환에 따른 제1 인덕터 전류(IL1)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작다. 따라서, 제1 인덕터의 인덕턴스(L1)가 크고 제2 인덕터의 인덕턴스(L2)가 작아질수록, 요구되는 제1 안정화 시간(Tst1)이 작아진다. Referring to Equation (1), the larger the inductance L1 of the first inductor, the smaller the first stabilization time Tst1. As the inductance L2 of the second inductor increases, the first stabilization time Tst1 increases. When the mode is changed from the isolation mode to the serial mode, the charging / discharging speed is slowed due to the series connection of the first inductor 210 and the second inductor 220. When the inductance L1 of the first inductor is larger than the inductance L2 of the second inductor, the change in the first inductor current IL1 due to mode conversion is relatively small. Therefore, the larger the inductance L1 of the first inductor and the smaller the inductance L2 of the second inductor, the smaller the required first stabilization time Tst1.

수학식 2를 참고하면, 동일한 이유로 제2 인덕터의 인덕턴스(L2)가 클수록 제2 안정화 시간(Tst2)은 줄어든다. 또한, 제1 인덕터의 인덕턴스(L1)가 클수록 제2 안정화 시간(Tst2)은 늘어난다. 제2 인덕터의 인덕턴스(L2)가 제1 인덕터의 인덕턴스(L1)보다 큰 경우, 모드 변환에 따른 제2 인덕터 전류(IL2)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이다.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동시에 만족하여야 크로스 레귤레이션의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고, DC-DC 컨버터는 분리 모드에서 직렬 모드로 변환된다.Referring to Equation 2, the second stabilization time Tst2 decreases as the inductance L2 of the second inductor increases for the same reason. Further, the second stabilization time Tst2 increases as the inductance L1 of the first inductor increases. This is because, when the inductance L2 of the second inductor is larger than the inductance L1 of the first inductor, the change in the second inductor current IL2 due to mode conversion is relatively small. Equation 1 and Equation 2 must be satisfied at the same time to determine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cross regulation, and the DC-DC converter is converted from the split mode to the serial mode.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C-DC 컨버터의 구동 방법의 순서도이다. DC-DC 컨버터의 구동 방법은 도 2의 DC-DC 컨버터(100) 또는 도 3의 DC-DC 컨버터(200)에서 수행된다. 도 10은 DC-DC 컨버터(100, 200)가 직렬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크로스 레귤레이션이 발생하여 분리 모드로 변환되고, 다시 직렬 모드로 변환되는 동작을 나타낸다. 다만, 이러한 동작 모드의 변환은 하나의 실시예로 이해될 것이고, 크로스 레귤레이션 발생 가능성에 근거하여 다양한 동작 모드 변환이 가능하다. 이하, 도 3 내지 도 5의 구성 요소와 대응하여 DC-DC 컨버터의 구동 방법이 설명된다.10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driving a DC-DC conve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method of the DC-DC converter is performed in the DC-DC converter 100 of FIG. 2 or the DC-DC converter 200 of FIG. FIG. 10 shows an operation in which cross regulation occurs while the DC-DC converters 100 and 200 operate in the serial mode to convert to the separation mode and then to the serial mode again. However, the conversion of this operation mode will be understood as one embodiment, and various operation mode conversion is possible based on the possibility of cross regulation. Hereinafter, a method of driving the DC-DC converter in correspondence with the components of Figs. 3 to 5 will be described.

S100 단계에서, 제1 인덕터(210) 및 제2 인덕터(220)는 직렬로 연결된다. S100 단계는 인덕터 네트워크부(23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모드 제어부(252)는 직렬 모드 신호를 생성하고, 컨트롤러(250)는 직렬 모드 신호에 근거하여 직렬 모드 스위치(SS)를 제어한다. 직렬 모드 스위치(SS)는 제1 인덕터(210) 및 제2 인덕터(220)를 직렬로 연결한다. 직렬 모드 스위치(SS)는 스위칭-온 된다.In step S100, the first inductor 210 and the second inductor 220 are connected in series. The step S100 may be performed in the inductor network unit 230. The mode control unit 252 generates a serial mode signal, and the controller 250 controls the serial mode switch SS based on the serial mode signal. The serial mode switch SS connects the first inductor 210 and the second inductor 220 in series. The serial mode switch SS is switched on.

S200 단계에서, 직렬 모드에 근거하여 출력 전압이 복수의 출력 단자에 제공된다. S200 단계는 출력 네트워크부(24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출력 네트워크부(240)는 제1 내지 제n 출력 단자들(O1~On)에 제1 내지 제n 출력 전압들(VO1~VOn) 중 대응되는 출력 전압을 제공한다. S200 단계는 직렬 모드로 동작하므로, 제1 내지 제n 출력 전압들(VO1~VOn)은 제1 인덕터(210) 및 제2 인덕터(220)에 흐르는 인덕터 전류(IL)에 근거하여 제공된다. 제1 내지 제n 출력 전압들(VO1~VOn)은 출력 네트워크부(240)의 스위칭 동작에 근거하여 제1 내지 제n 출력 단자들(O1~On)에 교번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In step S200, an output voltage is provided to a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based on the serial mode. Step S200 may be performed in the output network unit 240. [ The output network 240 provides corresponding output voltages of the first through n-th output voltages VO1 through VOn to the first through nth output terminals O1 through On. Since the step S200 operates in the serial mode, the first to nth output voltages VO1 to VOn are provided based on the inductor current IL flowing in the first inductor 210 and the second inductor 220. The first to nth output voltages VO1 to VOn may be alternately provided to the first to nth output terminals O1 to On based on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output network unit 240. [

S300 단계에서, 인덕터 전류(IL)와 임계 전류가 비교된다. S300 단계는 컨트롤러(250)에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300 단계는 모드 제어부(252)에서 수행될 수 있다. 컨트롤러(250)는 제1 인덕터(210) 및 제2 인덕터(220)의 충전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 이후의 인덕터 전류(IL)를 센싱한다. 인덕터 전류(IL)가 임계 전류보다 큰 경우, S400 단계가 진행된다. 임계 전류는 제1 인덕터(210) 및 제2 인덕터(220)의 완전 방전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 전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임계 전류는 0일 수 있다. 인덕터 전류(IL)가 0인 경우, 직렬 모드를 유지하기 위하여 S200 단계가 진행된다.In step S300, the inductor current IL and the threshold current are compared. Step S300 may be performed in the controller 250. More specifically, the step S300 may be performed in the mode control unit 252. The controller 250 senses the inductor current IL after the reference time from the charging time of the first inductor 210 and the second inductor 220. If the inductor current IL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current, step S400 is performed. The threshold current may be a reference current for determining the full discharge of the first inductor 210 and the second inductor 220. For example, the threshold current may be zero. When the inductor current IL is 0, step S200 is performed to maintain the serial mode.

S400 단계에서, 컨트롤러(250)는 분리 모드 신호를 생성한다. 즉, 크로스 레귤레이션의 발생 가능성이 높으므로, DC-DC 컨버터(200)는 분리 모드로 동작된다. S400 단계는 모드 제어부(252, 2520)의 모드 변환기(2525)에서 수행될 수 있다. S500 단계에서, 제1 인덕터(210) 및 제2 인덕터(220)는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S500 단계는 인덕터 네트워크부(23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컨트롤러(250)는 분리 모드 신호에 근거하여 직렬 모드 스위치(SS)와 제1 및 제2 분리 모드 스위치(S1, S2)를 제어한다. 직렬 모드 스위치(SS)는 스위칭-오프 된다.In step S400, the controller 250 generates a separation mode signal. That is, since the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the cross regulation is high, the DC-DC converter 200 operates in the separation mode. The step S400 may be performed in the mode converter 2525 of the mode control units 252 and 2520. In step S500, the first inductor 210 and the second inductor 220 are electrically isolated. Step S500 may be performed in the inductor network unit 230. The controller 250 controls the serial mode switch SS and the first and second separation mode switches S1 and S2 based on the separation mode signal. The serial mode switch SS is switched off.

S600 단계에서, 분리 모드에 근거하여 출력 전압이 복수의 출력 단자에 제공된다. S600 단계는 출력 네트워크부(24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출력 네트워크부(240)는 부하의 급격한 변화에 근거하여 크로스 레귤레이션을 발생시킬 가능성을 갖는 출력 단자와 다른 출력 단자들을 분리하여 출력 전압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로스 레귤레이션을 발생시키는 출력 단자에 제1 인덕터(210)를 이용하여 출력 전압이 제공되고, 나머지 출력 단자들에 제2 인덕터(220)를 이용하여 출력 전압이 제공될 수 있다. S200 단계에서, 복수의 출력 단자에 제공되는 출력 전압의 레벨은 S600 단계에서, 복수의 출력 단자에 제공되는 출력 전압의 레벨과 같을 수 있다.In step S600, an output voltage is provided to a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based on the isolation mode. The step S600 may be performed in the output network unit 240. [ The output network unit 240 can provide an output voltage by separating output terminals that have a possibility of generating cross regulation based on a sudden change in the load, and output terminals other than the output terminal. For example, the output voltage may be provided using the first inductor 210 at the output terminal that generates the cross regulation, and the output voltage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output terminals using the second inductor 220. In step S200, the level of the output voltage provided to the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may be equal to the level of the output voltage provided to the plurality of output terminals in step S600.

S700 단계에서, 제1 완전 방전 시간과 제1 안정화 시간이 비교된다. S800 단계에서, 제2 완전 방전 시간과 제2 안정화 시간이 비교된다. 제1 완전 방전 시간은 제1 인덕터(210)에 의하여 출력 전압이 제공되는 출력 단자의 완전 방전 시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완전 방전 시간은 제2 인덕터(220)에 의하여 출력 전압이 제공되는 출력 단자의 완전 방전 시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S700 단계 및 S800 단계는 컨트롤러(250)에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700 단계 및 S800 단계는 전류 계수기(2524) 및 모드 변환기(2525)에서 수행될 수 있다.In step S700, the first full discharge time and the first stabilization time are compared. In the step S800, the second full discharge time and the second stabilization time are compared. The first full discharge time may be defined as the full discharge time of the output terminal to which the output voltage is supplied by the first inductor 210. The second full discharge time may be defined as the full discharge time of the output terminal to which the output voltage is supplied by the second inductor 220. Steps S700 and S800 may be performed in the controller 250. Specifically, steps S700 and S800 may be performed in the current counter 2524 and the mode converter 2525.

제1 완전 방전 시간이 제1 안정화 시간보다 크고 제2 완전 방전 시간이 제2 안정화 시간보다 큰 경우, 직렬 모드로 변환하여도 크로스 레귤레이션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S900 단계가 진행된다. 제1 완전 방전 시간이 제1 안정화 시간보다 작거나, 제2 완전 방전 시간이 제2 안정화 시간보다 작은 경우, 직렬 모드로 변환시 크로스 레귤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분리 모드를 유지하기 위하여 S600 단계가 진행된다.When the first full discharge time is larger than the first stabilization time and the second full discharge time is larger than the second stabilization time, the cross regulation does not occur even when the mode is changed to the serial mode. Therefore, step S900 is performed. When the first full discharge time is smaller than the first stabilization time or the second full discharge time is shorter than the second stabilization time, cross regulation may occur during conversion to the serial mode. Therefore, step S600 is performed to maintain the separation mode.

S900 단계에서, 컨트롤러(250)는 다시 직렬 모드 신호를 생성한다. 즉, DC-DC 컨버터(200)는 분리 모드에서 직렬 모드로 변환되어 동작한다. S1000 단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전압의 제공이 계속적으로 요구되는 경우, S100 단계가 진행된다. 이 경우, 제1 인덕터(210)와 제2 인덕터(220)는 서로 직렬로 연결된다.In step S900, the controller 250 again generates a serial mode signal. That is, the DC-DC converter 200 is converted from the isolated mode to the serial mode and operates. As shown in step S1000, if the output voltage is continuously requested, step S100 is performed. In this case, the first inductor 210 and the second inductor 220 are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도 11은 인덕터 전류와 임계 전류를 비교하여 크로스 레귤레이션의 가능성을 판단하는 S300 단계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S310 내지 S340단계는 컨트롤러(250)에서 수행될 수 있다. S310 단계에서, 컨트롤러(250)는 제1 인덕터 전류(IL1) 및 제2 인덕터 전류(IL2)를 센싱한다. S310 단계는 전류 센싱부(251)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1 인덕터 전류(IL1) 및 제2 인덕터 전류(IL2)는 직렬 모드에서 인덕터 전류(IL)일 수 있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tep S300 of comparing the inductor current with the threshold current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cross regulation. Steps S310 to S340 may be performed in the controller 250. In step S310, the controller 250 senses the first inductor current IL1 and the second inductor current IL2. Step S310 may be performed in the current sensing unit 251. [ The first inductor current IL1 and the second inductor current IL2 may be the inductor current IL in series mode.

S320 단계에서, 컨트롤러(250)는 크로스 레귤레이션 신호를 생성한다. 크로스 레귤레이션 신호는 제1 및 제2 크로스 레귤레이션 신호들(CR1, CR2)을 포함한다. S320 단계는 모드 제어부(252) 또는 크로스 레귤레이션 검출기(2523)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1 인덕터 전류(IL1) 또는 제2 인덕터 전류(IL2)의 크기가 기준 시간 이후에 임계 전류보다 큰 경우, 크로스 레귤레이션 신호는 하이 레벨로 변경될 수 있다.In step S320, the controller 250 generates a cross regulation signal. The cross-regulation signal includes first and second cross-regulation signals CR1 and CR2. Step S320 may be performed in the mode control unit 252 or the cross regulation detector 2523. [ When the magnitude of the first inductor current IL1 or the second inductor current IL2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current after the reference time, the cross-regulation signal can be changed to a high level.

S330 단계에서, 컨트롤러(250)는 인덕터 전류(IL)가 임계 전류가 될 때까지 기준 시간을 연장한다. S330 단계는 모드 제어부(252) 또는 클럭 변조기(2522)에서 수행될 수 있다. 컨트롤러(250)는 제1 인덕터(210) 및 제2 인덕터(220)가 완전 방전될 때까지 기준 시간을 연장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250)는 인덕터 전류(IL)가 0이 될 때까지 인덕터 네트워크부(230) 및 출력 네트워크부(240)의 스위치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DC-DC 컨버터는 다음 출력 단자에 출력 전압을 정확히 제공할 수 있다. S340 단계에서, 컨트롤러(250)는 직렬 모드 신호를 분리 모드 신호로 변환한다. S340 단계는 모드 제어부(252) 또는 모드 변환기(2525)에서 수행될 수 있다. S340 단계에서, DC-DC 컨버터는 분리 모드로 동작한다.In step S330, the controller 250 extends the reference time until the inductor current IL becomes the threshold current. The step S330 may be performed in the mode control unit 252 or the clock modulator 2522. The controller 250 extends the reference time until the first inductor 210 and the second inductor 220 are completely discharged. For example, the controller 250 may maintain the switch operation of the inductor network portion 230 and the output network portion 240 until the inductor current IL becomes zero. As a result, the DC-DC converter can accurately provide the output voltage to the next output terminal. In step S340, the controller 250 converts the serial mode signal into a separation mode signal. Step S340 may be performed in the mode control unit 252 or the mode converter 2525. [ In step S340, the DC-DC converter operates in the separation mode.

위에서 설명한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예들이다. 본 발명에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 예들뿐만 아니라, 단순하게 설계 변경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도 포함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는 상술한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앞으로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들도 포함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a concrete example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not onl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also embodiments that can be simply modified or easily chang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echniques that can be easily modified by using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10, 100, 200: DC-DC 컨버터 110, 210: 제1 인덕터
120, 220: 제2 인덕터 130, 230: 인덕터 네트워크부
140, 240: 출력 네트워크부 12, 150, 250: 컨트롤러
152, 252, 2520: 모드 제어부
10, 100, 200: a DC-DC converter 110, 210: a first inductor
120, 220: second inductor 130, 230: inductor network part
140, 240: output network section 12, 150, 250: controller
152, 252 and 2520:

Claims (18)

입력 전압에 근거하여 제1 인덕터 전류를 출력하는 제1 인덕터;
상기 입력 전압에 근거하여 제2 인덕터 전류를 출력하는 제2 인덕터;
상기 제1 인덕터 전류 또는 상기 제2 인덕터 전류에 근거하여 제1 출력 단자에 제1 출력 전압을 제공하고, 제2 출력 단자에 제2 출력 전압을 제공하는 출력 네트워크부;
상기 제1 출력 단자 및 상기 제2 출력 단자에 대한 크로스 레귤레이션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에 근거하여 모드 신호를 생성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모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인덕터 및 상기 제2 인덕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상기 제1 인덕터 및 상기 제2 인덕터를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인덕터 네트워크부를 포함하는 DC-DC 컨버터.
A first inductor for outputting a first inductor current based on an input voltage;
A second inductor for outputting a second inductor current based on the input voltage;
An output network section for providing a first output voltage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and a second output voltage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based on the first inductor current or the second inductor current;
A controller for determining a cross regula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and the second output terminal, and generating a mode signal based on the determination; And
And an inductor network portion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inductor and the second inductor based on the mode signal or electrically separating the first inductor and the second inducto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 네트워크부는,
상기 제1 인덕터와 연결되는 일단자 및 상기 제2 인덕터와 연결되는 타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인덕터 및 상기 제2 인덕터의 충전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 이후의 상기 제1 인덕터 전류 또는 상기 제2 인덕터 전류가 임계 전류보다 큰 경우, 스위칭-오프 되는 직렬 모드 스위치를 포함하는 DC-DC 컨버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ductor network unit includes:
A first inductor connected to the first inductor, and another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inductor, wherein the first inductor current or the second inductor after the reference time from the charging time of the first inductor and the second inductor, DC-DC converter comprising a series mode switch that is switched off when the current is greater than a threshold current.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 네트워크부는,
상기 제1 인덕터와 연결되는 일단자 및 상기 출력 네트워크부와 연결되는 타단자를 포함하는 제1 분리 모드 스위치; 및
상기 입력 전압을 수신하는 일단자 및 상기 제2 인덕터와 연결되는 타단자를 포함하는 제2 분리 모드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분리 모드 스위치 및 상기 제2 분리 모드 스위치는 상기 충전 시점으로부터 상기 기준 시간 이후의 상기 제1 인덕터 전류 또는 상기 제2 인덕터 전류가 상기 임계 전류보다 큰 경우, 스위칭-온 되는 DC-DC 컨버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inductor network unit includes:
A first isolation mode switch including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inductor and another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network section;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isolation mode switch including a terminal receiving the input voltage and another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inductor,
Wherein the first isolation mode switch and the second isolation mode switch are turned on when the first inductor current or the second inductor current after the reference time from the charging time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current,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네트워크부는,
상기 제2 인덕터와 연결되는 일단자 및 상기 제1 출력 단자와 연결되는 타단자를 포함하는 제1 정상 출력 스위치;
상기 제1 분리 모드 스위치와 연결되는 일단자 및 상기 제1 출력 단자와 연결되는 타단자를 포함하는 제1 분리 출력 스위치;
상기 제2 인덕터와 연결되는 일단자 및 상기 제2 출력 단자와 연결되는 타단자를 포함하는 제2 정상 출력 스위치; 및
상기 제1 분리 모드 스위치와 연결되는 일단자 및 상기 제2 출력 단자와 연결되는 타단자를 포함하는 제2 분리 출력 스위치를 포함하는 DC-DC 컨버터.
The method of claim 3,
The output network unit includes:
A first normal output switch including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inductor and another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A first separation output switch including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separation mode switch and another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A second normal output switch including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inductor and another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And
And a second isolation output switch including a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isolation mode switch and another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termin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인덕터 전류 및 상기 제2 인덕터 전류를 센싱하여 상기 모드 신호 및 클럭 변조 신호를 생성하는 모드 제어부; 및
상기 모드 신호 및 상기 클럭 변조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출력 네트워크부 및 상기 인덕터 네트워크부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DC-DC 컨버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ler comprising:
A mode controller for sensing the first inductor current and the second inductor current to generate the mode signal and the clock modulation signal; And
And a switch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utput network unit and the inductor network unit based on the mode signal and the clock modulation signal.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제어부는,
충전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 이후의 상기 제1 인덕터 전류 또는 상기 제2 인덕터 전류가 임계 전류보다 큰 경우, 크로스 레귤레이션 신호를 출력하는 크로스 레귤레이션 검출기;
상기 크로스 레귤레이션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클럭 변조 신호의 펄스 폭을 증가시키는 클럭 변조기; 및
상기 크로스 레귤레이션 신호에 근거하여 모드 신호를 생성하는 모드 변환기를 포함하는 DC-DC 컨버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mode control unit includes:
A cross-regulation detector for outputting a cross-regulation signal when the first inductor current or the second inductor current after the reference time from the charging time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current;
A clock modulator for increasing a pulse width of the clock modulated signal based on the cross regulation signal; And
And a mode converter for generating a mode signal based on the cross-regulation signal.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신호는 분리 모드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모드 변환기는,
상기 크로스 레귤레이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분리 모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분리 모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인덕터 및 상기 제 2 인덕터를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DC-DC 컨버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mode signal comprises a split mode signal,
The mode converter includes:
Generates a separation mode signal when receiving the cross regulation signal,
The switch control unit,
And the first inductor and the second inductor are electrically separated based on the separation mode signal.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제어부는,
상기 제1 인덕터 전류가 상기 임계 전류 이하인 제1 완전 방전 시간을 측정하여 제1 방전 시간 신호를 생성하는 제1 전류 계수기; 및
상기 제2 인덕터 전류가 상기 임계 전류 이하인 제2 완전 방전 시간을 측정하여 제2 방전 시간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전류 계수기를 더 포함하는 DC-DC 컨버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mode control unit includes:
A first current counter for generating a first discharge time signal by measuring a first full discharge time at which the first inductor curren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current;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urrent counter for measuring a second full discharge time at which the second inductor current is below the threshold current to generate a second discharge time signal.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신호는 직렬 모드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모드 변환기는,
상기 제1 방전 시간 신호 및 상기 제2 방전 시간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완전 방전 시간이 제1 안정화 시간보다 크고, 상기 제2 완전 방전 시간이 제2 안정화 시간보다 큰 경우 직렬 모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스위치 제어부는,
상기 직렬 모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인덕터 및 상기 제2 인덕터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DC-DC 컨버터.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mode signal comprises a serial mode signal,
The mode converter includes:
And generates a serial mode signal when the first full discharge time is greater than the first stabilization time and the second full discharge time is greater than the second stabilization time and,
The switch control unit,
And the first inductor and the second inductor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ased on the serial mode signal.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출력 전압과 제1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제1 출력 제어 신호를 상기 스위치 제어부에 제공하고, 상기 제2 출력 전압과 제2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제2 출력 제어 신호를 상기 스위치 제어부에 제공하는 출력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DC-DC 컨버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ler comprising:
Comparing the first output voltage with a first reference voltage to provide a first output control signal to the switch control section and comparing the second output voltage with a second reference voltage to provide a second output control signal to the switch control section The DC-DC converter further comprising:
인덕터 네트워크부가 직렬 모드 신호에 근거하여 제1 인덕터 및 제2 인덕터를 직렬로 연결하는 단계;
출력 네트워크부가 제1 인덕터 및 제2 인덕터에 흐르는 인덕터 전류에 근거하여 제1 출력 단자에 제1 출력 전압을 제공하고, 제2 출력 단자에 제2 출력 전압을 제공하는 단계;
컨트롤러가 상기 제1 인덕터 및 상기 제2 인덕터의 충전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 이후의 상기 인덕터 전류가 임계 전류보다 큰 경우, 분리 모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인덕터 네트워크부가 상기 분리 모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인덕터 및 상기 제2 인덕터를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출력 네트워크부가 상기 제1 인덕터에 흐르는 제1 인덕터 전류에 근거한 제3 출력 전압을 상기 제1 출력 단자에 제공하고, 상기 제2 인덕터에 흐르는 제2 인덕터 전류에 근거한 제4 출력 전압을 상기 제2 출력 단자에 제공하는 분리 모드 전압 제공 단계를 포함하는 DC-DC 컨버터 구동 방법.
Connecting the first inductor and the second inductor in series based on the inductor network portion serial mode signal;
Providing an output network portion with a first output voltage at a first output terminal and a second output voltage at a second output terminal based on an inductor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rst inductor and the second inductor;
Generating a split mode signal when the controller has the inductor current after the reference time from the charging time of the first inductor and the second inductor larger than the threshold current;
The inductor network part electrically separating the first inductor and the second inductor based on the separation mode signal;
Wherein the output network section provides a third output voltage to the first output terminal based on a first inductor current flowing in the first inductor and a fourth output voltage based on a second inductor current flowing in the second inductor, Output terminal of the DC-DC converter.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출력 전압들을 제공하는 단계는,
제1 기준 시간 동안 상기 제1 출력 전압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출력 시간 이후의 제2 기준 시간 동안 상기 제2 출력 전압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C-DC 컨버터 구동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providing the first and second output voltages comprises:
Providing the first output voltage for a first reference time; And
And providing the second output voltage during a second reference time after the first output time.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모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인덕터 전류가 상기 임계 전류와 동일한 값을 가질 때까지 상기 기준 시간을 연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C-DC 컨버터 구동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generating the separation mode signal comprises:
And extending the reference time until the inductor current has the same value as the threshold current.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모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인덕터 전류를 센싱하는 단계;
상기 인덕터 전류가 상기 임계 전류보다 큰 경우 하이 레벨의 크로스 레귤레이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크로스 레귤레이션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직렬 모드 신호를 상기 분리 모드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C-DC 컨버터 구동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generating the separation mode signal comprises:
Sensing the inductor current by the controller;
Generating a high-level cross-regulation signal when the inductor current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current; And
And converting the serial mode signal into the separation mode signal based on the cross-regulation signal.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출력 전압들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분리 모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1 인덕터 및 상기 제2 인덕터가 동시에 충전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DC-DC 컨버터 구동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providing the third and fourth output voltages comprises:
And charging the first inductor and the second inductor simultaneously based on the isolation mode signal.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 전압의 전압 레벨과 상기 제3 출력 전압의 전압 레벨은 동일하고, 상기 제2 출력 전압의 전압 레벨과 상기 제4 출력 전압의 전압 레벨은 동일한 DC-DC 컨버터 구동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voltage level of the first output voltage and the voltage level of the third output voltage are the same and the voltage level of the second output voltage and the voltage level of the fourth output voltage are the same.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1 인덕터 전류가 상기 임계 전류 이하인 제1 완전 방전 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제2 인덕터 전류가 상기 임계 전류 이하인 제2 완전 방전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컨트롤러가 상기 제1 완전 방전 시간이 제1 안정화 시간보다 크고, 상기 제2 완전 방전 시간이 제2 안정화 시간보다 큰 경우, 상기 직렬 모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인덕터 네트워크부가 상기 직렬 모드 신호에 근거하여 분리된 상기 제1 인덕터 및 상기 제2 인덕터를 직렬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DC-DC 컨버터 구동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roller measuring a first full discharge time at which the first inductor curren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current and a second full discharge time at which the second inductor current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hreshold current;
The controller generating the serial mode signal if the first full discharge time is greater than the first stabilization time and the second full discharge time is greater than the second stabilization time; And
Wherein the inductor network unit further comprises serially connecting the first inductor and the second inductor separated based on the serial mode signal.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전류의 크기는 0이고, 상기 제1 안정화 시간 및 상기 제2 안정화 시간은 상기 기준 시간 및 상기 제1 및 제2 인덕터들의 인덕턴스에 의존하는 DC-DC 컨버터 구동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magnitude of the threshold current is zero and the first stabilization time and the second stabilization time depend on the reference time and the inductance of the first and second inductors.
KR1020170112789A 2017-03-14 2017-09-04 Dc-dc convert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3783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913,591 US10819232B2 (en) 2017-03-14 2018-03-06 DC-DC convert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31983 2017-03-14
KR1020170031983 2017-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039A true KR20180105039A (en) 2018-09-27
KR102378371B1 KR102378371B1 (en) 2022-03-24

Family

ID=63719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2789A KR102378371B1 (en) 2017-03-14 2017-09-04 Dc-dc convert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8371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07935A1 (en) * 2005-07-06 2007-01-11 Dell Products L.P. Extending the continuous mode of operation for a buck converter
JP2014011888A (en) * 2012-06-29 2014-01-20 Gunma Univ Single-inductor multiple-output dc-dc conversion circuit
KR101487138B1 (en) * 2014-07-31 2015-02-0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DC-DC converter and Ramp generator
KR20160069603A (en) * 2014-12-08 2016-06-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Single inductor multiple output dc-dc buck converter in digital control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ing the same
KR20160080835A (en) * 2014-12-29 2016-07-08 (주)자람테크놀로지 Cross regulation reduced multiple output buck converter with charge control and convert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07935A1 (en) * 2005-07-06 2007-01-11 Dell Products L.P. Extending the continuous mode of operation for a buck converter
JP2014011888A (en) * 2012-06-29 2014-01-20 Gunma Univ Single-inductor multiple-output dc-dc conversion circuit
KR101487138B1 (en) * 2014-07-31 2015-02-0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DC-DC converter and Ramp generator
KR20160069603A (en) * 2014-12-08 2016-06-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Single inductor multiple output dc-dc buck converter in digital control and method for controlling using the same
KR20160080835A (en) * 2014-12-29 2016-07-08 (주)자람테크놀로지 Cross regulation reduced multiple output buck converter with charge control and conver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8371B1 (en) 2022-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1700B2 (en) Voltage regulation circuit of single inductor and multiple outputs and control method
US9041371B2 (en) Switching regulator
US9515556B2 (en) Current pulse count control in a voltage regulator
US20060176031A1 (en) Dual output switching regulator and method of operation
CN103404012B (en) Buck switch voltage converter and associated switching control method
US9755517B2 (en) Multi-threshold panic comparators for multi-phase buck converter phase shedding control
US6400127B1 (en) Dual mode pulse-width modulator for power control applications
US8611109B2 (en) Flyback converter with an adaptively controlled rectifier arrangement
US20050280402A1 (en) DC-DC converting method and apparatus
CN107959421B (en) BUCK-BOOST type direct current conver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876376B2 (en) Multiple battery charg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2055358A (en) Power converter, charging method and charging system
US10651736B1 (en) Multi-level converter with continuous conduction mode (CCM) and discontinuous conduction mode (DCM)
EP3223418A1 (en) Controlling module, switch-mode power supply apparatus, and peak current mode controlling method of a switch-mode power supply apparatus
US10944323B2 (en) Power converter for detecting oscillation of output voltage
KR20150082009A (en) Switching regulator
CN104852568B (en) Current source based on Cuk
US8547078B2 (en) Methods for light load efficiency improvement of a buck boost voltage regulator
US201503336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ysteresis regulation of the output voltage of a DC-to-DC converter
US10819232B2 (en) DC-DC convert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378371B1 (en) Dc-dc converter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08183611B (en)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bidirectional switch circuit
CN111149274B (en) Power management system for battery powered audio devices
CN113809916B (en) Current controlled single inductor multiple output DC-DC converter with continuous conduction mode and discontinuous conduction mode
US8410762B2 (en) DC-DC conver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