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4657A - 애플리케이션의 로그인 패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단말기 - Google Patents

애플리케이션의 로그인 패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4657A
KR20180104657A KR1020187023423A KR20187023423A KR20180104657A KR 20180104657 A KR20180104657 A KR 20180104657A KR 1020187023423 A KR1020187023423 A KR 1020187023423A KR 20187023423 A KR20187023423 A KR 20187023423A KR 20180104657 A KR20180104657 A KR 20180104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assword
voice
meaning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3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4445B1 (ko
Inventor
용 첸
타오 젱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104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4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4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40User authentication by quorum, i.e. whereby two or more security principals are requir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06F21/46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by designing passwords or checking the strength of passw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70Multimodal biometrics, e.g. combining information from different biometric mod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61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biometrical features, e.g. fingerprint, retina-sca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41Access rights, e.g. capability lists, access control lists, access tables, access matr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방법 및 장치, 및 단말기를 개시하고 있다. 이 방법은, 이용자의 생체인식 특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생체인식 특징 정보에 따라, 이용자가 로그인 허가를 갖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이용자의 음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이용자가 로그인 허가를 갖고 있는 것으로 결정된 후에 음성 정보에 따라, 음성 정보에 대응하는 패스워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패스워드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의 패스워드 입력란에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방법, 장치 및 단말기에 따르면, 이용자의 음성 정보가 획득되고, 음성 정보에 대응하는 패스워드 정보가 결정된다. 이용자의 생체인식 특징 정보와 조합하여, 패스워드 정보의 입력 보안이 보장되고, 패스워드 정보의 입력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고, 동작이 용이하고 편리하며, 이용자의 부담이 경감될 수 있다.

Description

애플리케이션의 로그인 패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단말기
본 발명은 단말기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단말기 분야에서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패스워드 입력 방법 및 장치, 및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기술들의 대중화가 증가함에 따라, 네트워크들은 사람들의 일과 생활 속에 스며들었으며, QQ, WeChat 및 Tmall과 같은 대량의 애플리케이션들이 이에 따라 등장하게 되었다. 이용자의 정보 보안을 보장하기 위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은 일반적으로 이용자의 이용 허가에 대한 인증을 수행해야 하며, 애플리케이션들은 인증이 성공한 후에만 소셜 및 오락 활동들에 이용될 수 있다.
종래의 인증 방식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이용 허가를 관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네트워크 환경에서는 다양한 유형들의 스파이웨어 프로그램들(예를 들어, 트로이 목마 프로그램)이 만연하고, 간단한 패스워드들이 쉽게 도용된다. 이는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및 재산 보호를 매우 위협한다. 따라서, 이용자는 통상 암호화를 위해 문자, 숫자, 특수 기호 등을 포함하는 길고 복잡한 패스워드 문자열을 이용한다. 이에 대응하여, 이용자는 상이한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서로 다른 패스워드들을 설정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이용자는 QQ 계정 및 패스워드, WeChat 계정 및 패스워드, 및 Alipay 계정 및 패스워드를 가질 수 있다. 이용자는 상이한 계정들에 대해 서로 다른 패스워드들을 기억해야 한다. 이것은 이용자에게 과중한 부담을 주며, 패스워드가 지나치게 길어서 이용자가 잘못된 패스워드를 입력할 가능성이 비교적 높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잘못된 패스워드 정보를 입력할 가능성을 줄이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패스워드 입력 방법 및 장치, 및 단말기를 제공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패스워드 입력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이용자의 생체인식 특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생체인식 특징 정보에 따라, 이용자가 로그인 허가를 갖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이용자의 음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이용자가 로그인 허가를 갖고 있는 것으로 결정된 후에 음성 정보에 따라, 음성 정보에 대응하는 패스워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패스워드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의 패스워드 입력란에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용자의 음성 정보가 획득되고, 음성 정보에 대응하는 패스워드 정보가 결정된다. 이용자의 생체인식 특징 정보와 조합하여, 패스워드 정보의 입력 보안이 보장되고, 잘못된 패스워드 정보를 입력할 가능성이 줄어들 수 있으며, 동작이 용이하고 편리하다.
이러한 제1 양태와 관련하여, 제1 양태의 가능한 제1 구현예에서, 이용자의 음성 정보에 따라, 음성 정보에 대응하는 패스워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이용자가 로그인 허가를 갖고 있는 것으로 결정될 때 획득된 음성 정보에 따라 음성 정보의 의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음성 정보의 의미에 따라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에서, 음성 정보의 의미와 일치하는 패스워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는 이용자의 음성 패스워드 쌍을 포함하고, 음성 패스워드 쌍은 음성 정보의 의미 및 패스워드 정보를 포함하며, 음성 정보의 의미는 패스워드 정보와 일대일 대응하고 있다.
복수의 음성 패스워드 쌍들이 미리 저장되어 있고, 음성 패스워드 쌍에서의 음성 정보의 의미가 패스워드 정보와 일대일 대응하고 있으며, 이후의 이용을 위해, 이용자는 복수의 음성 패스워드 쌍들을 포함하는 미리 저장된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용자의 음성 정보의 의미에 대응하는 패스워드 정보를 식별하여 다양한 패스워드 정보의 입력을 구현하기만 하면 된다.
제1 양태의 제1 구현예와 관련하여, 제1 양태의 가능한 제2 구현예에서, 음성 패스워드 쌍은 이용자의 생체인식 특징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생체인식 특징 정보와 음성 정보의 의미 모두는 패스워드 정보와 일대일 대응하고 있으며, 이용자가 로그인 허가를 갖고 있는 것으로 결정될 때 음성 정보의 의미에 따라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에서, 음성 정보의 의미와 일치하는 패스워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이용자가 로그인 허가를 갖고 있는 것으로 결정될 때, 생체인식 특징 정보 및 음성 정보의 의미에 따라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에서, 생체인식 특징 정보 및 음성 정보의 의미 모두와 일치하는 패스워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복수의 음성 패스워드 쌍들이 미리 저장되어 있고, 음성 패스워드 쌍에 있는 생체인식 특징 정보와 음성 정보의 의미 모두가 패스워드 정보와 일대일 대응하고 있으며, 이후의 이용을 위해, 이용자는 복수의 음성 패스워드 쌍들을 포함하는 미리 저장된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용자의 생체인식 특징 정보와 이용자의 음성 정보의 의미 모두에 대응하는 패스워드 정보를 식별하여 다양한 패스워드 정보의 입력을 구현하기만 하면 된다.
이용자의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는 음성 패스워드 기록 방식으로 획득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를 수신할 수 있다.
클라우드 백업 또는 1차 백업과 조합하여, 이것은 이용자에 대한 단말기 디바이스의 변경을 용이하게 한다.
임의적으로, 음성 패스워드 쌍에 대하여, 음성 정보의 음성은 패스워드 정보와 일대일 대응하고 있을 수 있거나, 또는 생체인식 특징 정보와 음성 정보의 음성 모두가 패스워드 정보와 일대일 대응하고 있으며, 음성 정보의 음성은 음조, 음절, 음성 주파수, 음질 등을 포함한다.
임의적으로, 신뢰성 있는 문자열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음성 패스워드 쌍에 대해 암호화를 수행함으로써, 음성 패스워드 저장 보안을 매우 보장한다.
제1 양태의 제1 구현예와 관련하여, 제1 양태의 가능한 제3 구현예에서, 이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의 패스워드 설정 화면을 시작하는 단계, 이용자에 의해 입력된 음성 정보의 의미 및 패스워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음성 정보의 의미 및 패스워드 정보를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음성 정보의 의미는 패스워드 정보와 일대일 대응하고 있다.
제1 양태의 제2 구현예와 관련하여, 제1 양태의 가능한 제4 구현예에서, 이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의 패스워드 설정 화면을 시작하는 단계, 이용자에 의해 입력된 음성 정보의 의미, 패스워드 정보 및 생체인식 특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음성 정보의 의미, 패스워드 정보 및 생체인식 특징 정보를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생체인식 특징 정보와 음성 정보의 의미 모두는 패스워드 정보와 일대일 대응하고 있다.
임의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의 패스워드 설정 화면이 시작된 후, 이용자의 생체인식 특징을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방식이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 확립 보안을 보장하는데 추가로 이용될 수 있다.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임의의 구현예와 관련하여, 제1 양태의 가능한 제5 구현예에서, 생체인식 특징 정보는 지문 특징 정보, 홍채 특징 정보, 성문 특징 정보, 안면 특징 정보, 정맥 특징 정보 또는 망막 특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생체인식 특징을 이용한 인증은 신원 확인을 위해 간단하고 빠르며, 또한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정확하다.
제1 양태의 전술한 구현예들 중 임의의 구현예와 관련하여, 제1 양태의 가능한 제6 구현예에서, 음성 패스워드 쌍에서의 음성 정보의 의미 및 패스워드 정보는 상이하다.
이러한 음성 패스워드 쌍에서의 음성 정보의 의미 및 패스워드 정보는 상이하게 설정되고, 이는 음성 입력 프로세스에서 프라이버시 문제를 피한다.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임의의 구현예와 관련하여, 제1 양태의 가능한 제7 구현예에서, 이용자의 생체인식 특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이전에, 이 방법은, 프롬프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프롬프트 정보는 생체인식 특징 정보 및 음성 정보를 입력하여 패스워드 입력을 완료하도록 이용자에게 지시하는데 이용된다.
제2 양태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패스워드 입력 장치가 제공되고, 제1 양태의 방법, 또는 제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예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이 장치는 제1 양태의 방법, 또는 제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예를 실행하는 유닛을 포함한다.
제3 양태에 따르면, 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센서, 마이크로폰 및 버스 시스템을 포함하는 단말기가 제공되며, 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센서 및 마이크로폰은 버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접속되고, 수신기는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센서는 생체인식 특징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마이크로폰은 이용자의 음성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메모리는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며,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프로세서가 제1 양태의 방법, 또는 제1 양태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예를 실행하게 한다.
제4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방법에서 이용된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이러한 컴퓨터 저장 매체는 전술한 양태들을 실행하도록 설계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들 및 다른 양태들은 복수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하의 설명들에서 보다 간결하고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기술적 해결책들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는데 요구되는 첨부 도면들을 간단히 설명한다. 명백하게, 다음의 설명에서의 첨부 도면들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나타내고,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창조적인 노력 없이 여전히 이들 첨부 도면들로부터 다른 도면들을 도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패스워드 입력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패스워드 입력 방법의 다른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 확립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패스워드 입력 장치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기술적 해결책들을 명백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명백하게,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 전부가 아니라 일부이다. 창의적인 노력들 없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기반하여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획득되는 모든 다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의 개략도이다.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에는 QQ, WeChat, 웹페이지, 이메일 또는 다른 제3자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패스워드를 입력해야 하는 시나리오가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QQ에 로그인하는 것이 예로서 이용된다.
QQ에 로그인할 필요가 있을 때, 이용자는 단말기 디바이스 상에서 QQ 소프트웨어를 시작한다. 단말기 디바이스는 QQ 로그인 화면 상의 패스워드 입력란을 식별한 후에 입력 방법 제어를 호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방법 제어에 대한 프롬프트가 있으며, 이용자는 지문과 음성 모두의 방식으로 패스워드 입력 동작을 완료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패스워드 입력 방법(100)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단말기 디바이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 방법(100)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S110. 이용자의 생체인식 특징 정보를 획득한다.
S120. 생체인식 특징 정보에 따라, 이용자가 로그인 허가를 갖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S130. 이용자의 음성 정보를 획득한다.
S140. 이용자가 로그인 허가를 갖고 있는 것으로 결정된 후에 음성 정보에 따라, 음성 정보에 대응하는 패스워드 정보를 결정한다.
S150. 애플리케이션의 패스워드 입력란에 패스워드 정보를 입력한다.
구체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이 시작된 후 또는 시작할 때, 모바일 단말기는 지문 인식 칩과 같은 생체인식 특징 인식 모듈을 이용하여 이용자의 생체인식 특징 정보를 획득하고, 이용자가 로그인 허가를 갖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는 생체인식 특징 정보를 획득할 때 이용자의 음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거나, 또는 이용자가 로그인 허가를 갖고 있다는 것이 결정된 후 일정 기간 내에 이용자의 음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기간은 1초, 2초 또는 다른 시간 간격일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기의 구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바일 단말기는 이용자의 음성 정보에 따라, 이용자의 음성 정보에 대응하는 패스워드 정보를 결정하고, 패스워드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의 패스워드 입력란에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방법에 따르면, 이용자의 음성 정보가 획득되고, 이 음성 정보에 대응하는 패스워드 정보가 결정된다. 이용자의 생체인식 특징 정보와 조합하여, 패스워드 정보의 입력 보안이 보장되고, 패스워드 정보의 입력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고, 동작이 용이하고 편리하며, 이용자의 부담이 경감될 수 있다.
임의적으로, 이용자가 로그인 허가를 갖고 있는 것으로 결정한 후에, 모바일 단말기는 추가로 해독 알고리즘을 호출하여 음성 정보에 대응하는 패스워드 정보를 해독함으로써 이용자에 의해 입력된 음성 정보에 따라 대응하는 패스워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생체인식 특징 정보에 따라,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이용자가 로그인 허가를 갖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현재 시장의 관련 기술에서 비교적 원숙하게 발달한 지문 인식 및 손 모양(hand geometry) 인식일 수 있거나, 엄청난 인기를 얻었으며 현재 단계에서 빠르게 발달하고 있는 안면 인식일 수 있거나, 홍채 인식, 손가락 정맥 인식, 성문 인식, 서명 인식, 보행 인식, 타이핑 리듬 인식 및 데옥시리보핵산(Deoxyribonucleic acid, DNA) 인식과 같은 복수의 유형들의 생체인식 특징 식별 기술들일 수 있거나, 또는 심지어는 생체인식 특징 융합에 의한 또는 장래의 멀티모달 생체인식 특징 기술을 이용한 이용자 신원 인증일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기는 지문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이용자가 로그인 허가를 갖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이용자가 QQ에 로그인할 필요가 있을 때, 모바일 단말기는 이용자가 도 1에 도시된 QQ 패스워드 입력란을 선택한 것으로 결정하고, 그 다음에 입력 방법 제어를 실행하여 이용자에게 입력 방법 제어에 대한 텍스트 방식, 예를 들어 패스워드 입력을 위한 지문 및 음성 정보 입력을 프롬프팅한다. 이 프롬프트는 입력 방법 제어 화면 상에 나타날 수 있거나, 플로팅 요소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거나, 또는 심지어는 모바일 폰 화면 상에 나타나지 않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대안적으로, 모바일 단말기는 진동 또는 음성에 의해 이용자에게 프롬프팅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본 발명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모바일 단말기는 지문 버튼, 예를 들어 모바일 폰의 홈 버튼을 이용하여 이용자에 의해 입력된 지문 특징 정보를 획득한다. 동시에, 모바일 단말기는 이용자에 의해 입력된 음성 정보를 추가로 획득하거나, 이용자가 지문 특징 정보를 입력한 것으로 결정한 후에 이용자의 음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정보의 "QQ 패스워드"의 의미는 실제 패스워드 "12345678"과 일대일 대응하고 있다. 지문 인식 칩을 이용하여 이용자가 로그인 허가를 갖고 있는 것으로 결정한 후에, 모바일 단말기는 이용자에 의해 입력된 "QQ 패스워드"의 의미를 획득하고, 그 의미에 따라 그 음성에 대응하는 실제 패스워드 "12345678"이 결정된다. 모바일 단말기가 실제 패스워드를 결정한 후에, 패스워드 정보는 QQ 패스워드 입력란에 입력될 수 있다. 지문 인식 칩을 이용하여 이용자가 로그인 허가를 갖고 있지 않은 것으로 결정한 후에, 모바일 단말기는 진동, 텍스트 또는 음성에 의해, 또는 이용자에게 프롬프팅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임의의 방식으로 이용자에게 인증 실패를 표시할 수 있다.
임의적으로, 이용자가 로그인 허가를 갖고 있는지 여부는 성문 특징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QQ가 시작된 후, 모바일 단말기는 이용자의 음성 정보, 예를 들어 "여보세요"를 획득할 수 있고, 단말기 디바이스는 "여보세요"의 음절, 음성 주파수 및 음성 강도와 같은 인자들에 따라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용자가 로그인 허가를 갖고 있는 것으로 결정한 후에, 모바일 단말기는 계속해서 이용자의 음성 정보를 획득하고, 음성 정보에 대응하는 패스워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인증에 이용되고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획득된 음성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를 결정하는데 이용되는 음성 정보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여보세요"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한 후에, 다시 입력된 음성 정보 "여보세요" 또는 인증에 이용된 음성 정보 "여보세요"에 따라 QQ 패스워드 정보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음성 정보 "여보세요"의 의미는 QQ 패스워드 정보와 일대일 대응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기는 이용자에 의해 입력된 음성 정보와 일치하는 패스워드 정보에 대해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를 추가로 검색할 수 있으며,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는 이용자가 로그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되는 적어도 음성 정보 및 패스워드 정보를 포함한다. 이하는, 도 3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패스워드 입력 방법(100)의 다른 개략적인 흐름도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가 로그인 허가를 갖고 있는 것으로 결정된 후에 음성 정보에 따라, 음성 정보에 대응하는 패스워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S141. 이용자가 로그인 허가를 갖고 있는 것으로 결정된 후에 음성 정보에 따라 음성 정보의 의미를 획득한다.
S142. 음성 정보의 의미에 따라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에서, 음성 정보의 의미와 일치하는 패스워드 정보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단말기는, 이용자의 생체인식 특징 정보를 획득하기 전에, 먼저 이용자의 음성 패스워드 쌍을 포함하는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를 획득할 수 있다.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는 이용자가 로그인할 필요가 있는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적어도 음성 패스워드 쌍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용자 A가 모바일 폰을 이용하여 QQ에 로그인할 때,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는 이용자 A가 QQ에 로그인하기 위한 적어도 음성 패스워드 쌍을 포함한다.
임의적으로, 음성 패스워드 쌍은 음성 정보의 의미 및 패스워드 정보를 포함한다. 모바일 단말기는 이용자가 로그인 허가를 갖는 것으로 결정할 때 음성 인식 알고리즘에 따라 음성 정보의 의미를 먼저 획득하고, 그 다음에 음성 정보의 의미에 따라 음성 정보의 의미에 대응하는 패스워드 정보를 결정한다. 음성 패스워드 쌍의 저장 방식이 표 1에 도시될 수 있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에 의해 "QQ 패스워드"가 입력되었다고 모바일 단말기가 식별할 때, "QQ 패스워드"에 대응하는 실제 패스워드 "12345678abc?"는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에서 결정될 수 있고, 이용자에 의해 "WeChat 패스워드"가 입력되었다고 모바일 단말기가 식별할 때, "WeChat 패스워드"에 대응하는 실제 패스워드 "87654321abc?"는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에서 결정될 수 있고, 이용자에 의해 "Alipay 패스워드"가 입력되었다고 모바일 단말기가 식별할 때, "Alipay 패스워드"에 대응하는 실제 패스워드 "Z87654321abc?"는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에서 결정될 수 있으며, 이용자에 의해 "JD 패스워드"가 입력되었다고 모바일 단말기가 식별할 때, "JD 패스워드"에 대응하는 실제 패스워드 "J123456abc?"는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에서 결정될 수 있다.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는 단말기 디바이스에서 확립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단말기 디바이스에 의해 전송된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는 모바일 폰의 보안 설정에 새로운 엔트리를 추가함으로써 기록될 수 있고, 모바일 폰에서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의 확립이 완료된 후에, 모바일 폰은 이용자가 컴퓨터 상에서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할 필요가 있을 때 블루투스 등에 의해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를 컴퓨터에 전송함으로써, 이용자는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를 컴퓨터 상에 다시 기록하지 않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음성 패스워드 쌍에 있는 음성 정보의 의미 및 패스워드 정보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음성 정보의 의미 및 패스워드는 이용자에 대한 패스워드 입력 보안을 보장하기 위해 상이하다.
음성 패스워드 쌍은 신뢰성 있는 문자열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추가로 암호화될 수 있다. 암호화 알고리즘은 데이터 암호화 표준(Data Encryption Standard, DES), 디지털 서명 알고리즘(Digital Signature Algorithm, DSA), 고급 암호화 표준(Advanced Encryption Standard, AES) 및 다른 암호화 알고리즘들을 포함한다. 이것은 음성 패스워드 저장 보안을 매우 보장한다.
임의적으로, 음성 패스워드 쌍은 생체인식 특징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며, 생체인식 특징 정보와 음성 정보의 의미 모두는 패스워드 정보와 일대일 대응하고 있다.
음성 정보의 의미에 따라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에서, 음성 정보의 의미와 일치하는 패스워드 정보를 결정하는 것은, 생체인식 특징 정보 및 음성 정보의 의미에 따라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에서, 생체인식 특징 정보와 음성 정보의 의미 모두와 일치하는 패스워드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음성 패스워드 쌍의 저장 방식은 표 2에 도시될 수 있다.
<표 2>
Figure pct00002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가 지문 1을 획득하고, 이용자에 의해 "QQ 패스워드"가 입력되었다고 모바일 단말기가 식별할 때, 지문 1 및 "QQ 패스워드"에 대응하는 실제 패스워드 "12345678abc?"는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에서 결정될 수 있고, 모바일 단말기가 지문 2를 획득하고, 이용자에 의해 "WeChat 패스워드"가 입력되었다고 모바일 단말기가 식별할 때, 지문 2 및 "WeChat 패스워드"에 대응하는 실제 패스워드 "87654321abc?"는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에서 결정될 수 있고, 모바일 단말기가 지문 2를 획득하고, 이용자에 의해 "Alipay 패스워드"가 입력되었다고 모바일 단말기가 식별할 때, 지문 2 및 "Alipay 패스워드"에 대응하는 실제 패스워드 "Z87654321abc?"는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에서 결정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기가 지문 1을 획득하고, 이용자에 의해 "JD 패스워드"가 입력되었다고 모바일 단말기가 식별할 때, 지문 1 및 "JD 패스워드"에 대응하는 실제 패스워드 "J123456abc?"는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에서 결정될 수 있다.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에서의 음성 패스워드 쌍에 있어서, 음성 정보의 의미가 패스워드 정보와 일대일 대응하고 있을 수 있거나, 또는 생체인식 특징 정보와 음성 정보의 의미 모두가 패스워드 정보와 일대일 대응하고 있거나, 또는 음성 정보의 음성이 패스워드 정보와 일대일 대응하고 있거나, 또는 생체인식 특징 정보와 음성 정보의 음성 모두가 패스워드 정보와 일대일 대응하고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는 이용자에 의해 입력된 음성 "QQ 패스워드"에 따라 음성의 "QQ 패스워드"의 의미를 식별하고, "QQ 패스워드"의 의미에 대응하는 패스워드 "12345678"을 결정할 수 있거나, 또는 이용자에 의해 입력된 음성에 따라 음성에 대응하는 패스워드 "12345678"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음성은 이용자의 음조, 음절, 음질, 음성 주파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음성 패스워드 쌍에서의 음성 정보가 그 음성 정보의 의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방법에 따르면, 복수의 음성 패스워드 쌍들이 미리 저장되어 있고, 음성 패스워드 쌍에서의 음성 정보의 의미가 패스워드 정보와 일대일 대응하고 있거나, 또는 음성 패스워드 쌍에 있는 생체인식 특징 정보와 음성 정보의 의미 모두가 패스워드 정보와 일대일 대응하고 있으며, 이후의 이용을 위해, 이용자는 복수의 음성 패스워드 쌍들을 포함하는 미리 저장된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이용자의 음성 정보의 의미에 대응하는 패스워드 정보, 또는 이용자의 생체인식 특징 정보와 이용자의 음성 정보의 의미 모두에 대응하는 패스워드 정보를 식별하여 다양한 패스워드 정보의 입력을 구현하기만 하면 된다. 또한, 클라우드 백업 또는 1차 백업과 조합하여, 이것은 이용자에 대한 단말기 디바이스의 변경을 용이하게 한다.
임의적으로, 이 방법(100)은, 애플리케이션의 패스워드 설정 화면을 시작하는 단계, 이용자에 의해 입력된 음성 정보의 의미 및 패스워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음성 정보의 의미 및 패스워드 정보를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음성 정보의 의미는 패스워드 정보와 일대일 대응하고 있다.
임의적으로, 이 방법(100)은, 애플리케이션의 패스워드 설정 화면을 시작하는 단계, 이용자에 의해 입력된 생체인식 특징 정보, 음성 정보의 의미 및 패스워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생체인식 특징 정보, 음성 정보의 의미 및 패스워드 정보를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생체인식 특징 정보와 음성 정보의 의미 모두는 패스워드 정보와 일대일 대응하고 있다.
임의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의 패스워드 설정 화면이 시작된 후에, 이용자의 생체인식 특징 정보가 획득될 수 있고, 이용자가 동작 허가를 갖고 있는지 여부가 생체인식 특징 정보에 따라 결정되며, 이용자가 동작 허가를 갖고 있는 것으로 결정된 후에, 이용자에 의해 입력된 음성 정보의 음성 및 패스워드 정보가 수신된다.
이용자가 동작 허가를 갖고 있는 것으로 결정된 후에, 이용자가 인증에 이용하는 생체인식 특징 정보, 입력된 음성 정보의 의미 및 패스워드 정보가 함께 결부되며, 즉 생체인식 특징 정보는 음성 정보의 의미를 패스워드 정보와 연관시킴으로써, 일치된 음성 패스워드 쌍을 형성하고 안전한 저장을 수행하는데 이용된다.
이용자가 동작 허가를 갖고 있는 것으로 결정된 후에, 이용자의 생체인식 특징 정보가 다시 획득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생체인식 특징 정보는 인증에 이용된 입력된 생체인식 특징 정보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생체인식 특징을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방식은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 확립 보안을 보장한다.
임의적으로, 생체인식 특징 정보 및 음성 패스워드가 결부되는 방식은 단말기 디바이스 유형에 따라 선택된다. 예를 들면, 모바일 폰 또는 패드와 같은 단말기 디바이스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음성 패스워드 쌍들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 이용자의 지문 특징 정보, 및 이용자에 의해 입력된 음성 정보의 의미는 패스워드 정보에 결부된다. 이용자의 안면 특징 정보, 이용자의 보행 특징 정보, 및 이용자에 의해 입력된 음성 정보의 의미는 지능형 텔레비전 또는 대형 게임 콘솔과 같은 단말기 디바이스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음성 패스워드 쌍들이 확립되어 있는 경우 패스워드 정보에 결부된다.
이하는, 도 4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 확립 방법(400)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방법(400)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S410. 이용자의 지문 특징 정보를 획득한다.
S420. 지문 특징 정보에 따라 이용자의 신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며, 인증이 성공하면 단계(S430)를 수행하거나, 또는 인증이 실패하면 단계(S410)로 되돌아 가서 이용자의 지문 특징 정보를 획득한다.
S430. 이용자의 인증이 성공한 후에, 이용자의 지문 특징 정보가 다시 입력될 수 있거나, 또는 입력되지 않을 수 있으며, 단계(S410)에서 획득된 지문 특징 정보, 단계(S440)에서 입력된 음성 정보의 의미, 및 단계(S450)에서 입력된 패스워드 정보는 직접적으로 결부되며, 즉 지문 특징 정보는 음성 정보의 의미를 패스워드 정보와 연관시킴으로써, 일치된 음성 패스워드 쌍을 형성하고 안전한 저장을 수행하는데 이용된다.
S440. 이용자의 음성 정보의 의미, 예를 들어 "QQ 패스워드"를 입력한다.
S450. 패스워드 정보, 예를 들어 "12345678abc?"를 입력한다.
S460. 패스워드 정보를 다시 입력한다.
S470. 단계(S450) 및 단계(S460)에서 입력된 2개의 패스워드가 동일한지 여부를 결정하고, 2개의 패스워드가 동일하면,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가 성공적으로 확립되거나, 또는 2개의 패스워드가 상이하면, 단계(S450)로 되돌아 가서 실제 패스워드를 다시 입력한다.
단계(S440)에서 입력된 음성 정보의 의미와 단계(S450)에서 입력된 패스워드 정보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음성 정보의 의미와 패스워드는 이용자에 대한 패스워드 입력 보안을 보장하기 위해 상이하다.
전술한 프로세스들의 시퀀스 번호들은 실행 시퀀스를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프로세스들의 실행 시퀀스는 프로세스들의 기능들 및 내부 로직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구현 프로세스들에 대한 어떠한 제한으로도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이점들을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 대체들 및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패스워드 입력 장치(5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장치(500)는,
이용자의 생체인식 특징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생체인식 특징 획득 모듈(510);
생체인식 특징 획득 모듈(510)에 의해 획득된 생체인식 특징 정보에 따라, 이용자가 로그인 허가를 갖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인증 모듈(520);
이용자의 음성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음성 획득 모듈(530);
인증 모듈(520)이 이용자가 로그인 허가를 갖고 있는 것으로 결정할 때, 음성 획득 모듈(530)에 의해 획득된 음성 정보에 따라, 음성 정보에 대응하는 패스워드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모듈(540); 및
결정 모듈(540)에 의해 결정된 패스워드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의 패스워드 입력란에 입력하도록 구성된 입력 모듈(550)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장치에 따르면, 이용자의 음성 정보가 획득되고, 음성 정보에 대응하는 패스워드 정보가 결정된다. 이용자의 생체인식 특징 정보와 조합하여, 패스워드 정보의 입력 보안이 보장되고, 패스워드 정보의 입력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고, 동작이 용이하고 편리하며, 이용자의 부담이 경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생체인식 특징 획득 모듈(510) 및 인증 모듈(520)은 하드웨어 상의 지문 인식 칩 및 안면 인식 칩일 수 있거나, 또는 홍채 인식 칩, 성문 인식 칩 및 손가락 정맥 인식 칩과 같은 복수의 유형들의 생체인식 인식 칩들일 수 있다.
임의적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장치는 단말기 디바이스이며, 모바일 폰, 컴퓨터, 멀티미디어 기계 또는 게임 콘솔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패스워드 입력 장치(500)는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모바일 단말기에 대응할 수 있으며, 전술한 동작들 및 다른 동작들 및/또는 장치(500)의 모듈들의 기능들은 도 2 내지 도 4에서의 방법들(100)의 대응하는 절차들을 구현하는데 각각 이용된다. 간결함을 위해, 세부내용들은 본 명세서에서 반복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600)를 도시한다. 이 단말기(600)는 수신기(610), 메모리(620), 프로세서(630), 마이크로폰(640), 센서(650) 및 버스 시스템(660)을 포함한다. 수신기(610), 메모리(620), 프로세서(630), 마이크로폰(640) 및 센서(650)는 버스 시스템(660)을 이용하여 접속된다. 수신기(610)는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620)는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630)는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센서(650)는 이용자의 생체인식 특징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마이크로폰(640)은 이용자의 음성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는, 센서에 의해 획득된 생체인식 특징 정보에 따라, 이용자가 로그인 허가를 갖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이용자가 로그인 허가를 갖고 있는 것으로 결정될 때, 마이크로폰에 의해 획득된 음성 정보에 따라, 음성 정보에 대응하는 패스워드 정보를 결정하며, 패스워드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의 패스워드 입력란에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의 단말기에 따르면, 이용자의 음성 정보가 획득되고, 음성 정보에 대응하는 패스워드 정보가 결정된다. 이용자의 생체인식 특징 정보와 조합하여, 패스워드 정보의 입력 보안이 보장되고, 패스워드 정보의 입력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고, 동작이 용이하고 편리하며, 이용자의 부담이 경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프로세서(63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줄여서 "CPU")일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630)는 다른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스,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 등일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마이크로폰(640)은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는 리본 마이크로폰, 가동 코일 마이크로폰, 콘덴서 마이크로폰 및 일렉트릿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650)는 지문 센서, 안면 인식 카메라, 손가락 정맥 인증 센서, 홍채 인식 센서, 성문 인식 센서 등일 수 있거나, 또는 인증에 이용될 수 있는 다른 센서일 수 있다.
버스 시스템(660)은, 데이터 버스를 포함하는 것 이외에, 전력 버스, 제어 버스, 상태 신호 버스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명확한 설명을 위해, 모든 유형들의 버스들은 도면에서 버스 시스템(660)으로 표시된다.
구현 프로세스에서, 전술한 방법의 모든 단계들은 프로세서(630)에서 하드웨어의 통합 로직 회로를 이용하거나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를 이용함으로써 완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와 관련하여 개시된 방법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및 완료될 수 있거나, 또는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들의 조합을 이용함으로써 실행 및 완료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판독 전용 메모리, 전기적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또는 레지스터와 같이 관련 기술분야에서 성숙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메모리(620)에 위치한다. 프로세서(630)는 메모리(620)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프로세서(630)의 하드웨어와 관련하여 전술한 방법의 단계들을 완료한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세부내용들은 본 명세서에서 반복하지 않는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예들과 조합하여,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유닛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사이의 상호교환성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앞에서는 기능들에 따라 각각의 예의 구성들 및 단계들을 일반적으로 설명하였다. 기능들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행될지 여부는 기술적 해결책들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들 및 설계 제약 조건들에 좌우된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설명된 기능들을 구현하는데 상이한 방법들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안 된다.
전술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상세한 작업 프로세스에 대하여, 설명의 편리함 및 간결함을 위해, 전술한 방법 실시예들에서의 대응하는 프로세스가 참조될 수 있다는 점이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고, 세부내용들은 본 명세서에서 반복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몇몇 실시예들에서, 개시된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은 다른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설명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일 뿐이다. 예를 들어, 유닛 구분은 단지 논리적인 기능 구분일 뿐이고 실제 구현에서는 다른 구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유닛들 또는 컴포넌트들이 다른 시스템에 결합 또는 통합될 수 있거나, 일부 특성들이 무시되거나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표시되거나 논의된 상호 결합들 또는 직접 결합들 또는 통신 접속들은 일부 인터페이스들, 장치들과 유닛들 사이의 간접 결합들 또는 통신 접속들, 또는 전기적 접속들, 기계적 접속들, 또는 다른 형태들의 접속들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별개의 부분들로서 설명된 유닛들은 물리적으로 별개일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고, 유닛들로서 표시된 부분들은 물리적 유닛들일 수 있거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고, 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들 상에 분산될 수 있다. 이러한 유닛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해결책들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실제 필요들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기능 유닛들은 하나의 처리 유닛에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유닛들 각각이 물리적으로 단독으로 존재할 수 있거나, 또는 2개 이상의 유닛들이 하나의 유닛에 통합된다. 통합 유닛은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거나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통합 유닛이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태로 구현되고 독립적 제품으로서 판매 또는 이용될 때, 통합 유닛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여, 본질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들, 또는 종래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 또는 기술적 해결책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제품은 저장 매체에 저장되고, 컴퓨터 디바이스(개인용 컴퓨터, 서버,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일 수 있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방법들의 단계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여러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전술한 저장 매체는, USB 플래시 드라이브, 이동식 하드 디스크,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와 같이,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들일 뿐이고,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려고 의도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개시된 기술적 범위 내에서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되는 임의의 수정 또는 대체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항들의 보호 범위에 따를 것이다.

Claims (21)

  1.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패스워드 입력 방법으로서,
    이용자의 생체인식 특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생체인식 특징 정보에 따라, 상기 이용자가 로그인 허가를 갖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의 음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가 상기 로그인 허가를 갖고 있는 것으로 결정된 후에 상기 음성 정보에 따라, 상기 음성 정보에 대응하는 패스워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패스워드 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패스워드 입력란에 입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패스워드 입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가 상기 로그인 허가를 갖고 있는 것으로 결정된 후에 상기 음성 정보에 따라, 상기 음성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패스워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용자가 상기 로그인 허가를 갖고 있는 것으로 결정된 후에 상기 음성 정보에 따라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에 따라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와 일치하는 상기 패스워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이용자의 음성 패스워드 쌍을 포함하고, 상기 음성 패스워드 쌍은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 및 상기 패스워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는 상기 패스워드 정보와 일대일 대응하고 있음 - 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패스워드 입력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패스워드 쌍은 상기 생체인식 특징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체인식 특징 정보와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 모두는 상기 패스워드 정보와 일대일 대응하고 있으며,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에 따라 상기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와 일치하는 상기 패스워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생체인식 특징 정보 및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에 따라 상기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생체인식 특징 정보 및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와 일치하는 상기 패스워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패스워드 입력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패스워드 설정 화면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 및 상기 패스워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 및 상기 패스워드 정보를 상기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는 상기 패스워드 정보와 일대일 대응하고 있음 - 를 더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패스워드 입력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패스워드 설정 화면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 상기 패스워드 정보 및 상기 생체인식 특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 상기 패스워드 정보 및 상기 생체인식 특징 정보를 상기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 상기 생체인식 특징 정보와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 모두는 상기 패스워드 정보와 일대일 대응하고 있음 - 를 더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패스워드 입력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인식 특징 정보는 지문 특징 정보, 홍채 특징 정보, 안면 특징 정보, 성문 특징 정보, 정맥 특징 정보 또는 망막 특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패스워드 입력 방법.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패스워드 쌍에서의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 및 상기 패스워드 정보는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패스워드 입력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의 생체인식 특징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방법은,
    프롬프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롬프트 정보는 상기 생체인식 특징 정보 및 상기 음성 정보를 입력하여 패스워드 입력을 완료하도록 상기 이용자에게 지시하는데 이용되는,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패스워드 입력 방법.
  9.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패스워드 입력 장치로서,
    이용자의 생체인식 특징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생체인식 특징 획득 모듈;
    상기 생체인식 특징 획득 모듈에 의해 획득된 상기 생체인식 특징 정보에 따라, 상기 이용자가 로그인 허가를 갖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인증 모듈;
    상기 이용자의 음성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음성 획득 모듈;
    상기 인증 모듈이 상기 이용자가 상기 로그인 허가를 갖고 있는 것으로 결정한 후에, 상기 음성 획득 모듈에 의해 획득된 상기 음성 정보에 따라, 상기 음성 정보에 대응하는 패스워드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모듈; 및
    상기 결정 모듈에 의해 결정된 상기 패스워드 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패스워드 입력란에 입력하도록 구성된 입력 모듈
    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패스워드 입력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모듈은,
    상기 이용자가 상기 로그인 허가를 갖고 있는 것으로 결정된 후에 상기 음성 정보에 따라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유닛; 및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에 따라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와 일치하는 상기 패스워드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 - 상기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이용자의 음성 패스워드 쌍을 포함하고, 상기 음성 패스워드 쌍은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 및 상기 패스워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는 상기 패스워드 정보와 일대일 대응하고 있음 - 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패스워드 입력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패스워드 쌍은 상기 생체인식 특징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체인식 특징 정보와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 모두는 상기 패스워드 정보와 일대일 대응하고 있으며,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생체인식 특징 정보 및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에 따라 상기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생체인식 특징 정보 및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와 일치하는 상기 패스워드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는,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패스워드 입력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패스워드 설정 화면을 시작하도록 구성된 제1 스타트업 모듈;
    상기 이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 및 상기 패스워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1 수신 모듈; 및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 및 상기 패스워드 정보를 상기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구성된 제1 저장 모듈 -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는 상기 패스워드 정보와 일대일 대응하고 있음 - 을 더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패스워드 입력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패스워드 설정 화면을 시작하도록 구성된 제2 스타트업 모듈;
    상기 이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 상기 패스워드 정보 및 상기 생체인식 특징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 수신 모듈; 및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 상기 패스워드 정보 및 상기 생체인식 특징 정보를 상기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구성된 제2 저장 모듈 - 상기 생체인식 특징 정보와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 모두는 상기 패스워드 정보와 일대일 대응하고 있음 - 을 더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패스워드 입력 장치.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패스워드 쌍에서의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 및 상기 패스워드 정보는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패스워드 입력 장치.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단말기 디바이스인,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패스워드 입력 장치.
  16. 단말기로서,
    상기 단말기는 수신기, 센서, 마이크로폰, 메모리, 프로세서 및 버스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 상기 메모리, 상기 프로세서, 상기 센서 및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버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접속되고,
    상기 센서는 이용자의 생체인식 특징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마이크로폰은 상기 이용자의 음성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메모리는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명령어를 실행하여,
    상기 센서에 의해 획득된 상기 생체인식 특징 정보에 따라, 상기 이용자가 로그인 허가를 갖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이용자가 상기 로그인 허가를 갖고 있는 것으로 결정된 후에, 상기 마이크로폰에 의해 획득된 상기 이용자의 상기 음성 정보에 따라, 상기 음성 정보에 대응하는 패스워드 정보를 결정하며, 상기 패스워드 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패스워드 입력란에 입력하는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단말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용자가 상기 로그인 허가를 갖고 있는 것으로 결정한 후에 상기 음성 정보에 따라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를 획득하고,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에 따라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와 일치하는 상기 패스워드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며, 상기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이용자의 음성 패스워드 쌍을 포함하고, 상기 음성 패스워드 쌍은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 및 상기 패스워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는 상기 패스워드 정보와 일대일 대응하고 있는, 단말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패스워드 쌍은 상기 생체인식 특징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생체인식 특징 정보와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 모두는 상기 패스워드 정보와 일대일 대응하고 있으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생체인식 특징 정보 및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에 따라 상기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생체인식 특징 정보 및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와 일치하는 상기 패스워드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되는, 단말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패스워드 설정 화면을 시작하고,
    상기 이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 및 상기 패스워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 및 상기 패스워드 정보를 상기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는 상기 패스워드 정보와 일대일 대응하고 있는, 단말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패스워드 설정 화면을 시작하고,
    상기 이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 상기 패스워드 정보 및 상기 생체인식 특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생체인식 특징 정보,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 및 상기 패스워드 정보를 상기 음성 패스워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며,
    상기 생체인식 특징 정보와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 모두는 상기 패스워드 정보와 일대일 대응하고 있는, 단말기.
  21.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패스워드 쌍에서의 상기 음성 정보의 의미 및 상기 패스워드 정보는 상이한, 단말기.
KR1020187023423A 2016-01-22 2016-01-22 애플리케이션의 로그인 패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단말기 KR1021244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6/071786 WO2017124444A1 (zh) 2016-01-22 2016-01-22 应用程序的登录密码的输入方法、装置和终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657A true KR20180104657A (ko) 2018-09-21
KR102124445B1 KR102124445B1 (ko) 2020-06-18

Family

ID=59361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3423A KR102124445B1 (ko) 2016-01-22 2016-01-22 애플리케이션의 로그인 패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단말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26702B2 (ko)
EP (1) EP3399452B1 (ko)
KR (1) KR102124445B1 (ko)
CN (1) CN107533598B (ko)
WO (1) WO201712444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607A (ko) 2019-08-29 2019-09-20 최희찬 히든 패스워드 입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패스워드 입력방법
KR20210151040A (ko) 2019-08-29 2021-12-13 최희찬 히든 패스워드 입력시스템을 이용한 패스워드 입력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94314A (zh) * 2018-05-15 2018-10-23 安徽天卓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计算机安全登录管理系统及方法
US11521607B2 (en) * 2019-10-01 2022-12-06 Lenovo (Singapore) Pte. Ltd. Login based command activation
CN112287317B (zh) * 2020-10-26 2024-03-22 深圳市创智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户信息输入方法及电子设备
CN112231693A (zh) * 2020-11-03 2021-01-15 深兰科技(上海)有限公司 管理系统的权限切换方法、权限切换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46270A1 (en) * 2012-03-15 2013-09-19 O2 Micro Inc. Method and System for Multi-Modal Identity Recognition
CN103606047A (zh) * 2013-11-22 2014-02-26 深圳市亚略特生物识别科技有限公司 密码管理系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27119B2 (en) * 2007-11-19 2015-05-05 Avaya Inc. Authentication frequency and challenge type based on application usage
CN103390123B (zh) 2012-05-08 2018-01-09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用户认证方法、用户认证装置及智能终端
US20150056951A1 (en) * 2013-08-21 2015-02-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telematics uni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03902872A (zh) * 2014-04-10 2014-07-02 宫雅卓 基于虹膜识别的密码管理系统及方法
CN104331652A (zh) 2014-10-08 2015-02-04 无锡指网生物识别科技有限公司 指纹和语音识别的电子设备的动态密码生成方法
CN104331654B (zh) * 2014-10-27 2018-01-26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生物特征识别的操作方法和装置
US20160246953A1 (en) * 2015-02-19 2016-08-25 Maria Wentzell User fingerprint authent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46270A1 (en) * 2012-03-15 2013-09-19 O2 Micro Inc. Method and System for Multi-Modal Identity Recognition
CN103606047A (zh) * 2013-11-22 2014-02-26 深圳市亚略特生物识别科技有限公司 密码管理系统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7607A (ko) 2019-08-29 2019-09-20 최희찬 히든 패스워드 입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패스워드 입력방법
KR20210026987A (ko) 2019-08-29 2021-03-10 최희찬 히든 패스워드 입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패스워드 입력방법
KR20210151040A (ko) 2019-08-29 2021-12-13 최희찬 히든 패스워드 입력시스템을 이용한 패스워드 입력방법
KR20210152438A (ko) 2019-08-29 2021-12-15 최희찬 히든 패스워드 입력방법
KR20210153574A (ko) 2019-08-29 2021-12-17 최희찬 패스워드 입력방법
KR20210154118A (ko) 2019-08-29 2021-12-20 최희찬 패스워드 입력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99452A4 (en) 2018-12-19
KR102124445B1 (ko) 2020-06-18
US11126702B2 (en) 2021-09-21
CN107533598B (zh) 2021-08-20
EP3399452B1 (en) 2020-03-25
US20190073459A1 (en) 2019-03-07
EP3399452A1 (en) 2018-11-07
CN107533598A (zh) 2018-01-02
WO2017124444A1 (zh) 2017-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4445B1 (ko) 애플리케이션의 로그인 패스워드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단말기
US20240098083A1 (en) Authenticating a user device via a monitoring device
US10326761B2 (en) Web-based user authentication techniques and applications
US10223512B2 (en) Voice-based liveness verification
US9985993B2 (en) Query system and method to determine authentication capabilities
EP2929479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account login
TWI728261B (zh) 判定認證能力之查詢系統、方法及非暫態機器可讀媒體
US921973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random challenges within an authentication framework
US8935777B2 (en) Login using QR code
US10812476B2 (en) Authorization of another device for participation in multi-factor authentication
US9083689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privacy classes within an authentication framework
US9716593B2 (en) Leveraging multiple biometrics for enabling user access to security metadata
EP2853073A1 (en) User-based identification system for social networks
KR102616421B1 (ko) 생체 인증을 이용한 결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1075758B2 (en) Access security system and method
CN109005144B (zh) 一种身份认证方法、设备、介质和系统
US10936705B2 (en) Authenticatio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program medium
US20180285539A1 (en) Multifactor strong authentication
CN105574400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WO2017063298A1 (zh) 一种鉴权方法及终端
WO2016112792A1 (zh) 身份认证方法及装置
CN107818263B (zh) 电子文档处理方法和装置、电子文档加密方法和装置
CN105893810B (zh) 一种终端及其加密和解密方法
WO2016183910A1 (zh) 一种无线连接方法、装置和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