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4218A - 효과적인 영상 부/복호화를 위한 인루프 필터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효과적인 영상 부/복호화를 위한 인루프 필터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4218A
KR20180104218A KR1020170030090A KR20170030090A KR20180104218A KR 20180104218 A KR20180104218 A KR 20180104218A KR 1020170030090 A KR1020170030090 A KR 1020170030090A KR 20170030090 A KR20170030090 A KR 20170030090A KR 20180104218 A KR20180104218 A KR 20180104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oop filter
filter
decoding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7482B1 (ko
Inventor
심동규
박시내
Original Assignee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30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482B1/ko
Publication of KR20180104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7Filters, e.g. for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7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syntax aspects related to video coding, e.g. related to compre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화질의 보안 카메라를 위한 비디오 압축 기술에 있어 효율적인 영상 부호화를 위해 인루프 필터 정보 전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효과적인 영상 부/복호화를 위한 인루프 필터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IN-LOOP FILTER INFORMATION THRANSMITION FOR CODING EFFICIENCY}
본 발명은 보안 카메라를 위한 고화질 비디오 압축 방법 및 장치에서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화질 영상의 부/복호화시 부호화 효율 및 주관적 화질 향상을 위해 인루프 필터링 관련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불특정 다수에 대한 무차별 범죄 혹은 특정 대상에 대한 보복 범죄, 사회적 취약 계층에 대한 범죄 등 범죄로 인한 사회적인 불안감이 증가하면서 보안을 위한 다양한 장치 및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보안카메라(CCTV)의 경우 범죄의 현장에 대한 증거 혹은 범인의 인상착의에 대한 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국가적인 차원의 수요뿐 아니라 개인의 안전을 위한 수요 또한 증가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취득된 자료의 전송 혹은 저장에 있어서의 제한적인 상황으로 인해 화질에 열화가 발생하거나 혹은 저화질의 영상으로 저장할 수 밖에 없는 현실적인 문제를 가지게 된다. 보안 카메라 영상의 다양한 활용을 위해서는 고화질의 영상을 낮은 데이터량으로 저장할 수 있는 압축 방법이 요구된다.
비디오 압축 영상을 복호화기에서 복원을 하면 압축 방법, 압축 모드, 압축률 등에 따라 다양한 잡음(artefact)이 나타나게 되며 이는 주관적 객관적 화질저하의 원인이 된다. 이에 복호화 된 영상을 필터링 하는 방법을 통해 화질 저하를 막고 압축 효율을 높이는 방법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고화질 영상의 부/복호화시 부호화 효율 및 주관적 화질 향상을 위해 인루프 필터링 관련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 및 방법은 부호화 장치로부터 비트스트림을 수신하고, 비트스트림을 파싱하는 단계, 해당 파싱된 비트스트림 데이터를 복호화 하는 단계, 인루프 필터링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필터링 정보를 이용하여 필터링 적용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필터링 적용여부에 따라 ?터링을 적용하는 단계, 필터링이 적용된 복호화 영상을 DP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인루프 필터 관련 정보를 효과저으로 전송하기 위해 일부 인루프 필터 적용 여부 및 관련 정보를 복호화기에서 유도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루프 필터 관련 정보를 효율적으로 복호화기로 전달하여 부호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호화기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복호화기에서 인루프 필터를 적응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인루프 필터링을 적용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블록단위 인루프 필터링 적용이 선택된 경우, 적용되는 필터의 종류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복호화기에서 생성된 인루프 필터에 대한 저장 방법에 대한 순서도 이다.
하기는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또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덧붙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구성부들은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되는 것으로, 각 구성부들이 분리된 하드웨어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단위로 이루어짐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각 구성부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부로 나열하여 기술되고, 각 구성부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부가 합쳐져 하나의 구성부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 개의 구성부로 나뉘어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각 구성부의 통합된 실시예 및 분리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후술할 복호화 장치(Video Decoding Apparatus)는 민간 보안 카메라, 민간 보안 시스템, 군용 보안 카메라, 군용 보안 시스템,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무선 통신 단말기(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스마트 폰(Smart Phone), TV 응용 서버와 서비스 서버 등 서버 단말기에 포함된 장치일 수 있으며, 각종 기기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 유무선 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뎀 등의 통신 장치, 영상을 복호화하거나 복호화를 위해 화면 간 또는 화면 내 예측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는 다양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기에 의해 비트스트림(bitstream)으로 부호화된 영상은 실시간 또는 비실시간으로 인터넷, 근거리 무선 통신망, 무선랜망, 와이브로망, 이동통신망 등의 유무선 통신망 등을 통하거나 케이블, 범용 직렬 버스(USB, Universal Serial Bus)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영상 복호화 장치로 전송되어 복호화되어 영상으로 복원되고 재생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동영상은 일련의 픽쳐(Picture)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픽쳐들은 블록(Block)과 같은 코딩 유닛(coding unit)으로 분할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기재된 픽쳐라는 용어는 영상(Image), 프레임(Frame) 등과 같은 동등한 의미를 갖는 다른 용어로 대치되어 사용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코딩유닛이라는 용어는 단위 블록, 블록 등과 같은 동등한 의미를 갖는 다른 용어로 대치되어 사용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호화기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복호화 장치는 엔트로피 복호화부(110), 역양자화부(120), 역변환부(130), 화면간예측부(140), 화면내예측부(150), 루프필터부(160), 복원 영상 저장부(17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엔트로피 복호화부(110)는 입력된 비트스트림(100)을 파싱하고 파싱된 정보를 엔트로피 복호화하여 신택스 요소(syntax elements) 및 양자화된 계수 등과 같은 복호화 정보를 출력한다. 출력되는 정보에는 복호호화를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복호화기는 이렇게 추출된 해당 데이터를 그대로 이용하거나 해당 정보를 통해 복호화에 필요한 정보를 예측 혹은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복호화 관련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후 복호화 단계에서 사용가능하다. 역양자화부(320) 및 역변환부(330)는 엔트로피 복호화 된 정보 중 양자화된 계수를 수신하여 역양자화 및 역변환을 차례대로 수행하고, 잔차 신호(residual signal)를 출력한다. 화면 간 예측 부(14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차분 움직임 백터와 예측 움직임백터를 이용하여 움직임 백터를 계산하고 복원 영상 저장부(170)에 저장되어 있는 복원 영상을 이용하여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여 예측 신호를 생성한다. 화면 내 예측부(150)는 복호화되는 현재 블록과 인접하는 기 복호화된 주변 블록의 화소 값을 이용하여 공간적 예측을 수행하여 예측 신호를 생성한다. 화면 간 예측부(140)와 화면 내 예측부(150)로부터 출력된 예측 신호는 역변환부에서 출력된 잔차신호와 합산되며, 합산을 통해 생성된 복원된 영상은 인루프 필터부(160)로 전달된다. 실시예에 따라 인루프 필터부(160)에서는 블록의 경계 혹은 블록의 내부에 필터링을 수행하고 복원 영상 저장부(170)에 복원 블록 혹은 영상을 저장하게 된다. 인루프 필터를 적용할 때, 필터링의 수행 여부를 영상의 특성에 따라 적응적 혹은 선택적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이는 부호화기에서 해당 정보를 복호화기로 전송할 수도 있고, 복호화기에서 복호화된 정보를 바탕으로 유도할 수 있다. 블록 경계에서 발생하는 잡음(artefact)의 경우 그 특성이 양자화 파라미터 혹은 예측 방법의 차이, 참조영상의 차이 등에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정보들을 이용하여 블록 경계 필터의 종류 및 정도를 적응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블록 내부 픽셀 값에 대한 인루프 필터의 경우 해당 픽셀 값의 주변값과의 차이, 양자화 파라미터, 차분 영상 계수의 양, 화면내 예측의 경우 예측모드, 화면간 예측의 경우 MVD, 참조 영상과 현재 부호화 영상의 POC number 차이 등을 이용하여 필터링의 적용여부, 필터의 종류, 필터의 방향 및 필터 계수 등을 유도하여 적응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2는 복호화기에서 인루프 필터를 적응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시퀀스, 프레임, 슬라이스, 타일, 부/복호화유닛 그룹 등의 단위에서 인루프 필터의 적용여부에 대한 정보를 추출(200)한다. 실시예에 따라 부/복호화기 간의 약속의 통해 부호화기에서 비트스트림을 통해 전송하지 않고, 적용여부에 대한 약속을 통해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복호화기는 부호화기와의 약속 혹은 추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인루프 필터의 적용여부를 유도한다. 적용 단위는 전송 레벨에서 전송된 정보를 통해 예측 유도되거나 부/복호화기 사이의 약속을 통해 정해질 수 있다. 부호화기는 해당 적용 단위에서의 인루프 필터 적용여부를 예측, 유도, 판단하고 해당 판단 정보에 따하 하위 적용 단위에서의 선택적인 적용 여부를 결정(202)한다. 이때 복호화기는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기로부터 전송 받은 적용 여부에 대한 플래그를 통해 인루프 필터의 적용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호화기에서 복호화된 정보를 바탕으로 적용여부를 계산하여 유도할 수 있다. 복호화기에서 적용여부에 대한 예측 및 유도가 가능한 경우 적용여부에 대한 플래그는 생략가능하다. 플래그를 통해 인루프 필터의 적용여부가 정해지면 복호화 영상에 대해 인루프 필터를 수행(105)하고 필터링된 영상을 복호화픽쳐버퍼에 저장하게된다. 이때 이후 참조 영상으로 사용되지 않는 영상에 대해서는 해당 과정을 생략(104)할 수 있다.
도 3은 인루프 필터링을 적용을 판단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실시예에 따라 전송된 비트스트림 파싱(301)을 통해 시퀀스, 프레임, 슬라이스 단위에서 인루프 필터가 적용되는 것으로 판단(302)된 경우 블록단위 복호화에서 각 블록은 선택적으로 인루프 필터링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필터링의 적용여부 threshold 값을 통해 판단한다. Threshold 값은 실시예에 따라 부/복호화기 간의 약속을 통해 정해질 수 있으며 해당 경우 전송은 생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threshold 값이 전송을 통해 정해질 수도 있다. Threshold 값은 하나의 값이 될 수도 있고 그룹의 형태로 될 수도 있다. 혹은 Threshold 값을 계산하기 위한 수식의 계수 값이 전송될 수도 있다. 전송을 통해 정해지는 경우 그 전송이 되고 적용이 되는 단위는 시퀀스, 프레임, 슬라이스, 블록, 픽셀 등 다양한 단위로 가능하며, 적용 단위는 전송 신택스 정보를 통해 판단이 가능할 것이다. 인루프 필터링을 적용하는 임의의 단위에서 인루프 필터가 적용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threshold 값을 추출(303)한다. 추출이란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기에서의 전송 값을 복호화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고, 복호화기에서 계산을 통해 유도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필터링 판단 값은 slice의 종류 및 예측 모드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계산될 수 있다. 이렇게 계산된 값과 threshold 값을 비교(304)하여 조건을 만족할 경우 인루프 필터링을 수행(305)한다. 이후 필터링이 적용된 영상에 대해 DPB 저장이 필요한 영상인지 판단(306)을 하고 저장이 필요한 영상에 대해 DPB에 저장(307)을 수행한다.
도 4는 블록단위 인루프 필터링 적용이 선택(400)된 경우, 적용되는 필터의 종류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필터의 적용여부는 실시예에 따라 플래그 형식의 정보를 통해 전송될 수 있고, 필터의 on/off를 판단할 수 있는 threshold 값 혹은 threshold 값을 판단할 수 있는 수식의 계수 정보가 될 수 있다.
인루프 필터를 적응적으로 적용하는 경우 실시 예에 따라 부호화기로부터 전송된 필터 정보를 통해 필터를 생성하여 적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고, 부/복호화기 간의 약속된 방법을 통해 필터를 취하는 픽셀, 블록, 슬라이스, 프레임, 유닛 그룹 등의 단위의 복호화된 정보를 이용하여 필터 정보를 유도(401)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렇게 유도되는 정보에는 필터 계수 혹은 필터 계수가 저장된 필터 그룹의 인덱스 등이 있을 수 있다. 복호화기에서 인루프 필터링 종류를 판단하는 복호화 정보를 추출한다. 해당 정보는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기에서 복호화기로 전송을 통해 복호화기에서 추출되거나 부/복호화기 간의 약속을 통해 추출될 수 있다. 이렇게 추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필터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결정(402)한다. 생성되는 필터 정보에는 필터링이 되는 적용범위, 필터 계수. 필터의 모양, 필터의 방향 등이 있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해당 정보가 현재 필터링 대상 영역의 주변 혹은 필터링 대상 영역의 복호화 정보를 통해 일부 정보가 유도되고, 일부 정보는 부호화기로부터 전송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전송되는 방법으로 필터 그룹의 인덱스가 전송될 수 있고, 해당 정보가 직접 부호화되어 복호화기로 전송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필터를 통해 필터링을 수행하고 필터링이 수행된 영상에 대해 DPB에 저장이 필요한 영상인지에 대한 판단과정(404)을 통해 DPB에 저장되어 다음 복호화시 참조 영상으로 사용가능하며, 판단과정에서 필요가 없는 영역으로 판단될 경우 DPB에 저장이 생략될 수 있다.
도 5는 복호화기에서 생성된 인루프 필터에 대한 저장 방법에 대한 순서도 이다. 실시예에 따른 복호화기에서는 부호화기에서 전송된 정보, 복호화기에서 복호화된 정보 등을 이용하여 인루프 필터 정보를 유도(500)할 수 있다. 이렇게 유도된 정보들 중 일부는 필요시(501) 이후 복호화될 영역의 인루프 필터링을 위해 복호화기에서 저장될 수 있다(502). 복호화기는 인루프 필터링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인루프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해당 필터의 정보를 이후 수행되는 인루프 필터링 단계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하는 방법으로는 실시예에 따라 인루프 필터 그룹의 필터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방법, 인루프 필터 예측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방법, 인루프 필터 관련 엔트로피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으며, 해당 방법들은 복호화기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되거나 혹은 부/복호화기 간의 약속을 통해 약속된 방법이 사용될 수 있고, 두 가지 이상의 방법이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저장되는 정보는 영역에 대한정보 필터링이 되는 적용범위, 필터 계수. 필터의 모양, 필터의 방향, 필터의 적용 여부 등이 있을 수 있다. 영역에 대한 정보는 픽셀, 블록 등 픽셀 그룹, 슬라이스, 프레임, 유닛 그룹, 타일 등의 인덱스와 관련된 정보 및 해당 영역의 크기정보를 의미한다. 필터의 적용여부는 실시예에 따라 플래그 형식의 정보를 통해 전송될 수 있고, 필터의 on/off를 판단할 수 있는 threshold 값 혹은 threshold 값을 판단할 수 있는 수식의 계수 정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실시예에 따라 직접적으로 저장이 될 수 있으며, 해당 정보를 유도할 수 있는 값을 통해 저장 될 수 있다.
해당없음

Claims (3)

  1. 비디오 복호화 방법에 있어서,
    전송받은 비트스트림을 파싱하는 단계;
    파싱된 정보로부터 복호화 정보 및 영상정보를 복호화하는 단계;
    복호화된 복호화 정보 및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인루프 필터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추출된 인루프 필터 정보를 이용하여 인루프 필터 적용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추출된 필터 정보 및 인루프 필터 적용여부를 통해 필터 계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필터 계수 정보를 이용하여 필터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파싱된 정보로부터 복호화 정보를 복호화화는 단계에서 인루프 필터 적용여부에 대한 판단방법을 추출하는 단계 및 해당 판단 방법을 통해 인루프 필터 적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인루프 필터 적용여부에 대한 판단 방법을 복호화기에서 유도하는 방법으로 결정되는 경우 현재 인루프 필터를 적용할 영역과 그 주변의 복호화된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ON/OFF 판단 기준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기준값을 통해 인루프 필터 적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복호화 방법

KR1020170030090A 2017-03-09 2017-03-09 효과적인 영상 부/복호화를 위한 인루프 필터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377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090A KR102377482B1 (ko) 2017-03-09 2017-03-09 효과적인 영상 부/복호화를 위한 인루프 필터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090A KR102377482B1 (ko) 2017-03-09 2017-03-09 효과적인 영상 부/복호화를 위한 인루프 필터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218A true KR20180104218A (ko) 2018-09-20
KR102377482B1 KR102377482B1 (ko) 2022-03-22

Family

ID=63719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090A KR102377482B1 (ko) 2017-03-09 2017-03-09 효과적인 영상 부/복호화를 위한 인루프 필터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748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3592A (ko) * 2010-04-09 2011-10-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적응적 필터를 이용한 인트라 예측 수행 방법 및 장치
KR20150004292A (ko) * 2013-07-01 2015-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필터링을 수반한 비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3592A (ko) * 2010-04-09 2011-10-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적응적 필터를 이용한 인트라 예측 수행 방법 및 장치
KR20150004292A (ko) * 2013-07-01 2015-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필터링을 수반한 비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7482B1 (ko) 202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8327B1 (ko) 영상 코덱에서 패딩을 이용한 영상 부/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9414086B2 (en) Partial frame utilization in video codecs
US100340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images considering low frequency components
KR101869459B1 (ko) 블록-기반의 혼합된-해상도 데이터 프루닝을 이용하는 비디오 디코딩
KR101482896B1 (ko) 최적화된 디블록킹 필터
US11924424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block division information in image codec for security camera
EP1997317A1 (en) Image encoding/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US11341688B2 (en) Guiding decoder-side optimization of neural network filter
US9565404B2 (en) Encoding techniques for banding reduction
EP2687011A1 (en) Method for reconstructing and coding an image block
US20230196072A1 (en) Iterative overfitting and freezing of decoder-side neural networks
WO2022224113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finetuned neural network filter
KR20180104218A (ko) 효과적인 영상 부/복호화를 위한 인루프 필터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US20240187585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block division information in image codec for security camera
US11711540B2 (en) Method for encoding video using effective differential motion vector transmission method in omnidirectional camera, and method and device
KR102469039B1 (ko) 전방향 카메라에서 효과적인 영상 패딩 방법 및 장치
KR102235314B1 (ko) 영상 코덱에서 패딩을 이용한 영상 부/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180057788A (ko) 장면 전환에 따른 주관적 율 제어 방법 및 부호화 장치
US20240146938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end-to-end learned predictive coding of media fra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